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2/09/2023 목요일
예수님을 보라
레오의 아버지는 레오에게 새 안경을 처음 씌워 주는 어머니의 영상을 인터넷에 올렸습니다. 우리는 레오의 눈이 서서히 초점을 맞추는 것을 보았습니다. 엄마를 처음 보게 된 레오의 얼굴에 미소가 가득 피어올랐습니다. 정말 귀한 장면이었습니다. 바로 그 순간, 어린 레오는 주위를 분명하게 볼 수 있었습니다.
요한은 예수님과 제자들 사이에 있었던 대화를 전해줍니다. 빌립은 주님에게 “아버지를 우리에게 보여 주옵소서”(요한복음 14:8)라고 요청했습니다. 예수님의 제자들은 그렇게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내고서도 그들 앞에 있는 분이 누구신지를 알지 못했습니다. 예수님은 “내가 아버지 안에 거하고 아버지는 내 안에 계신 것을 네가 믿지 아니하느냐”(10절)고 대답하셨습니다. 조금 전에 예수님은 “내가 곧 길이요 진리요 생명”(6절)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그것은 예수님이 “나는...” 이라고 일곱 번 말씀하신 것 중 여섯 번째 말씀입니다. 예수님은 우리에게 이 “나는...” 이라는 안경을 쓰고 봄으로써 주님이 진정 하나님이심을 보라고 말씀합니다.
우리는 제자들과 아주 비슷합니다. 어려운 시기에는 힘겨워하며 앞을 잘 못 보고, 하나님께서 하신 일들과 하실 수 있는 일들에 집중하지 못합니다. 어린 레오가 특수 안경을 썼을 때 부모를 분명히 볼 수 있었던 것처럼, 어쩌면 우리도 예수님이 실제로 누구이신지 분명히 볼 수 있는 ‘하나님의 안경’이 필요한 지도 모르겠습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4:1-11나를 본 자는 아버지를 보았거늘
[요한복음 14:9]
예수님을 보는 당신의 시력이 무엇 때문에 흐려집니까?
어떻게 다시 예수님을 분명히 볼 수 있을까요?
예수님, 제 눈이 주님을 향하도록 도와주시고, 저를 향한 주님의 길을 분명히 보여주소서.
Daily Article
02/09/2023 THURSDAY
SEEING JESUS
Leo’s father posted the video of Mom placing the new glasses over his eyes for the first time. We watch as Leo’s eyes slowly focus. A smile spreads wide across his face as he truly sees his mom for the first time. Priceless. In that moment, little Leo could see clearly.
John reports a conversation Jesus had with His disciples. Philip asked Him, “Show us the Father” (JOHN 14:8). Even after all this time together, Jesus’ disciples couldn’t recognize who was right in front of them. He replied, “Don’t you believe that I am in the Father, and that the Father is in me?” (V. 10). Earlier Jesus had said, “I am the way and the truth and the life” (V. 6). This is the sixth of Jesus’ seven “I am” statements. He’s telling us to look through these “I am” lenses and see who He truly is—God Himself.
We’re a lot like the disciples. In difficult times, we struggle and develop blurred vision. We fail to focus on what God has done and can do. When little Leo put on the special glasses, he could see his parents clearly. Perhaps we need to put on our God-glasses so we can clearly see who Jesus really is.
- KENNETH PETERSEN
Today's Reading
JOHN 14:1–11Anyone who has seen me has seen the Father.
[ JOHN 14:9 ]
What are some ways in which your vision of Jesus may have become cloudy?
How can you look to Him again with clear vision?
Jesus, please help me turn my eyes on You. Show me clearly Your path for me.
오늘의 말씀
02/08/2023 수요일
하나님의 품은 열려 있다
전화를 걸기 전에 나는 ‘만약 친구가 나를 용서하지 않으면 어쩌지? 친구 관계가 계속 유지될 수 있을까?’ 하는 걱정이 들었습니다. 바로 그때 한 노래 가사가 떠오르며 하나님 앞에서 나의 죄를 고백하던 때를 회상하게 되었습니다. 하나님이 나를 용서하시고 죄책감에서 풀어주셨다는 것을 알고 나니 마음이 놓였습니다.
인간관계의 문제를 풀려고 할 때 사람들의 반응을 마음대로 조절할 수는 없습니다. 우리가 할 수 있는 부분을 하고 겸손히 용서를 구하며 고쳐야 할 것은 고치면서 치유는 하나님께 맡기면 됩니다. 해결되지 못한 “인간관계의 문제” 로 고통을 견뎌야만 하는 상황에서도 주님과의 평화는 언제나 가능합니다. 하나님의 품은 열려 있고, 하나님은 우리에게 필요한 은혜와 자비를 주시기 위해 기다리고 계십니다. “만일 우리가 우리 죄를 자백하면 그는 미쁘시고 의로우사 우리 죄를 사하시며 우리를 모든 불의에서 깨끗하게 하실 것이요”(요한1서 1:9).
오늘의 성구
요한1서 1:5-10만일 우리가 우리 죄를 자백하면 그는 미쁘시고 의로우사 우리 죄를 사하시며
[요한1서 1:9]
용서가 어떻게 평화를 만들어낼까요?
이번 주에 누군가와 화해하기 위해 하나님의 능력으로 어떤 노력을 해보시겠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주님의 한량없는 은혜가 기억나게 하소서.
저를 더욱 겸손하게 하시고 모든 관계들을 주님께 맡기게 하소서.
Daily Article
02/08/2023 WEDNESDAY
GOD’S ARMS ARE OPEN
Anticipating the phone call, I wondered, What if she doesn’t forgive me? What if she doesn’t want to continue our friendship? Just then, lyrics to a song came to mind and took me back to the moment when I confessed my sin in the situation to God. I felt relief because I knew God had forgiven me and released me from guilt.
We can’t control how people will respond to us when we try to work out relational problems. As long as we own up to our part, humbly ask for forgiveness, and make any changes needed, we can let God handle the healing. Even if we have to endure the pain of unresolved “people problems,” peace with Him is always possible. God’s arms are open, and He is waiting to show us the grace and mercy we need. “If we confess our sin, He is faithful and just and will forgive us our sins and purify us from all unrighteousness” (1 JOHN 1:9).
- JENNIFER BENSON SCHULDT
Today's Reading
1 JOHN 1:5–10If we confess our sins, he is faithful and just and will forgive us our sins.
[ 1 JOHN 1:9 ]
How does forgiveness create peace?
What steps will you take in God’s power toward reconciliation with someone this week?
Dear God, remind me of Your unending grace.
Help me to be more humble and to commit all my relationships to You.
오늘의 말씀
02/07/2023 화요일
선한 목자
하나님이 에스겔 선지자를 통해 그의 양떼를 돌보겠다고 말씀하신 것처럼, 목사로서 워렌은 교회 공동체를 위해 목자의 역할을 한 것입니다. 하나님은 그의 흩어진 양떼를 돌보고 구원하시며 함께 모을 것이라고 약속하셨습니다 (에스겔 34:12-13). 하나님은 “좋은 꼴을 먹이고... 잃어버린 자를 찾으며 쫓기는 자를 돌아오게 하며” “상한 자를 싸매 주며 병든 자를 강하게” 하실 것입니다 (14-16절). 자신의 백성들을 향한 하나님의 사랑은 이런 모습으로 울려 퍼질 것입니다. 에스겔의 말은 하나님이 앞으로 행하실 일들을 예측하게 하지만, 또한 언젠가 예수님 안에서 자신을 드러내실 목자 하나님의 영원한 마음을 나타내고 있기도 합니다.
우리의 상황이 어떻든 하나님은 우리 한 사람 한 사람을 찾아오셔서 구원하시고 푸른 초장으로 인도해 주십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자기 양떼를 위해 생명을 내려놓은 그 선한 목자를 따르기를 원하십니다(요한복음 10:14-15 참조).
오늘의 성구
에스겔 34:11-16목자가... 양이 흩어졌으면 그 떼를 찾는 것 같이 내가 내 양을 찾아서... 건져낼지라
[에스겔 34:12]
선한 목자이신 예수님이 어떻게 당신을 돌보십니까?
당신은 치료해야 할 상처와 강해져야 할 약점을 어떻게 주님께 보여드리겠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제가 헤매며 방황할 때도 주님은 저를 사랑하십니다.
주님의 사랑과 돌봄을 받을 수 있도록 주님의 품 안에 항상 머무르게 하소서.
Daily Article
02/07/2023 TUESDAY
THE GOOD SHEPHERD
As a pastor, Warren was acting as a shepherd for those in his church community, even as God through the prophet Ezekiel said He would tend His flock. God promised to look after His scattered sheep, rescuing them and gathering them together (EZEKIEL 34:12–13). He would “tend them in a good pasture” and “search for the lost and bring back the strays”; He would “bind up the injured and strengthen the weak” (VV. 14–16). God’s love for His people reverberates through each of these images. Though Ezekiel’s words anticipate God’s future actions, they reflect the eternal heart of the God and Shepherd who would one day reveal Himself in Jesus.
No matter our situation, God reaches out to each of us, seeking to rescue us and sheltering us in a rich pasture. He longs for us to follow the Good Shepherd, He who lays down His life for His sheep (SEE JOHN 10:14–15).
-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EZEKIEL 34:11–16As a shepherd looks after his scattered flock . . . , so will I look after my sheep.
[ EZEKIEL 34:12 ]
How does Jesus, the Good Shepherd, care for you?
How could you offer Him any wounds that need tending or weakness you’d like strengthened?
Dear God, You love me even when I go astray and wander.
Help me to stay always in Your sheepfold, that I might receive Your love and care.
오늘의 말씀
02/06/2023 월요일
가장 외로운 사람
그의 팀원들이 달의 표면을 탐사하기 위해 착륙선 계단을 내려갈 때, 콜린스는 달의 반대편에서 혼자 기다렸습니다. 그는 닐이나 버즈, 또 지구에 있는 사람들과 완전히 연락이 단절되어 있었습니다. 미국 항공 우주국의 관제 센터는 이렇게 논평했습니다. “아담 이후로 그 어느 누구도 마이클 콜린스와 같은 외로움을 맛본 사람은 없었다.”
우리도 철저히 고독을 느낄 때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야곱의 아들 요셉이 형들에 의해 가나안에서 이집트로 팔려갔을 때 어떤 기분이었을지 상상해 보십시오(창세기 37:23-28). 그리고 그는 후에 무고하게 감옥에 갇혀 더욱 고립되었습니다(39:19-20).
요셉은 어떻게 가족이 가까이에 없는 외국의 감옥에서 살아남았을까요? 다음 성경구절을 보십시오. “요셉이 감옥에 갇혔으나 여호와께서 요셉과 함께하셨다”(20-21절). 창세기 39장은 이 위로의 말씀을 우리에게 네 번이나 상기시켜 줍니다.
외로움을 느끼거나, 다른 사람들로부터 소외되었다고 느끼십니까? 예수님이 “너희와 항상 함께 있으리라”(마태복음 28:20)고 직접 약속하신 대로, 하나님이 함께 하신다는 진리를 꼭 붙드십시오. 구주 예수님과 함께 있는 우리는 결코 혼자가 아닙니다.
오늘의 성구
창세기 39:11-22요셉이 감옥에 갇혔으나 여호와께서 요셉과 함께 하시고 그에게 인자를 더하사
[창세기 39:20-21]
당신은 언제 가장 외로움을 느낍니까?
외로울 때에 하나님께서 함께 하신다는 것을 어떻게 상기시켜 주십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성경에 약속하신 대로, 요셉과 함께 하셨던 것처럼 저와도 함께 하신다는 것을 알게 하소서.
Daily Article
02/06/2023 MONDAY
THE LONELIEST MAN
After his teammates clambered down the ladder to test the lunar surface, Collins waited alone on the far side of the moon. He was out of touch with Neil, Buzz, and everyone on earth. NASA’s mission control commented, “Not since Adam has any human known such solitude as Mike Collins.”
There are times when we feel completely alone. Imagine, for instance, how Joseph, Jacob’s son, felt when he was taken from Canaan to Egypt after his brothers sold him (GENESIS 37:23–28). Then he was thrust into further isolation by being thrown in prison on false charges (39:19–20).
How did Joseph survive in prison in a foreign land with no family anywhere nearby? Listen to this: “While Joseph was there in the prison, the Lord was with him” (VV. 20–21). Four times we’re reminded of this comforting truth in Genesis 39.
Do you feel alone or isolated from others? Hold on to the truth of God’s presence, promised by Jesus Himself: “Surely I am with you always” (MATTHEW 28:20). With Jesus as your Savior, you’re never alone.
- DAVE BRANON
Today's Reading
GENESIS 39:11–22While Joseph was there in the prison, the Lord was with him; he showed him kindness.
[ GENESIS 39:20–21 ]
When do you feel most alone?
How does God remind you that He’s with you in your times of isolation?
Dear heavenly Father, please help me know, as You’ve promised in the Scriptures, that You’re with me as You were with Joseph.
오늘의 말씀
02/05/2023 주일
상상만 할 수 있을 뿐입니다
몇 달 후 루이스는 자신이 죽는 것이 두렵다고 했습니다. 나는 병원 침대에 기대어 그녀의 머리 옆에 내 머리를 바짝 대고 속삭이며 기도하고 조용히 우리의 노래를 불렀습니다. 불과 며칠 뒤 루이스가 예수님을 직접 만나 경배하게 되었을 때 그녀의 느낌이 어땠을지는 오직 상상만 할 수 있을 뿐입니다.
바울 사도는 죽음을 앞둔 사람들에게 편지를 보내어 위로의 약속을 해주었습니다(고린도후서 5:1). 우리가 영원의 이쪽 편에서 고통받으며 탄식할 수도 있지만, 우리의 소망은 하늘의 처소, 곧 예수님과 함께하는 영생에 단단히 매여 있습니다(2-4절). 하나님은 우리가 그분과 함께하는 영원한 삶을 갈망하도록 우리를 지으셨지만(5-6절), 하나님의 약속은 우리가 이 땅에서 하나님을 위해 사는 삶을 위해서도 주신 것입니다(7-10절).
예수님이 다시 오시거나 우리를 부르시기를 기다리는 동안 우리가 주님을 기쁘시게 하며 살 때, 우리는 주님의 한결같은 임재 가운데 평안을 누릴 수 있습니다. 육신을 떠나 주와 함께 영생을 누리는 순간, 우리는 무엇을 경험하게 될까요? 오직 상상만 할 수 있을 뿐입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후서 5:1-10흙은 여전히 땅으로 돌아가고 영은 그것을 주신 하나님께로 돌아가기 전에 기억하라
[전도서 12:7]
자신의 죽음이나 사랑하는 사람을 잃는 것에 대해 걱정하거나 두려워한 적이 있습니까?
영원한 생명을 약속하신 하나님께서 어떻게 격려해 주십니까?
사랑의 하나님, 이 세상 사는 동안, 그리고 영원히 나와 함께 하신다고 약속해 주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2/05/2023 SUNDAY
I CAN ONLY IMAGINE
A few months later, Louise told me she feared dying. Leaning onto her hospital bed, I rested my head next to hers, whispered a prayer, and quietly sang our song. I can only imagine what it was like for Louise when she worshiped Jesus face-to-face just a few days later.
The apostle Paul offered comforting assurance for his readers who were facing death (2 CORINTHIANS 5:1). The suffering experienced on this side of eternity may cause groaning, but our hope remains anchored to our heavenly dwelling—our eternal existence with Jesus (VV. 2–4). Though God designed us to yearn for everlasting life with Him (VV. 5–6), His promises are meant to impact the way we live for Him now (VV. 7–10).
As we live to please Jesus while waiting for Him to return or call us home, we can rejoice in the peace of His constant presence. What will we experience the moment we leave our earthly bodies and join Jesus in eternity? We can only imagine!
-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2 CORINTHIANS 5:1–10The dust returns to the ground it came from, and the spirit returns to God who gave it.
[ ECCLESIASTES 12:7 ]
When have you been worried about or discouraged by facing death or losing a loved one?
How does God’s promise of everlasting life encourage you?
Loving God, thank You for promising to be with me on earth and for all eternity.
오늘의 말씀
02/04/2023 토요일
당신의 이름은 무엇입니까?
나오미의 남편은 가족을 데리고 모압으로 갔습니다. 거기서 남편과 두 아들이 죽고, 여러 해가 지나 나오미는 며느리 룻만 데리고 빈손으로 베들레헴으로 돌아왔습니다. 고향 사람들이 웅성거리며 “정말 이 사람이 나오미냐?”(룻기 1:19, 현대인의 성경)라고 물었습니다. 그녀는 그들에게 “나의 기쁨”이라는 뜻의 그 이름을 사용하지 말라고 했습니다. 그녀는 “내가 풍족하게 나갔더니 여호와께서 내게 비어 돌아오게 하셨으니”(20-21절) “괴로움”이란 의미의 “마라”라고 부르라고 했습니다.
혹시 당신의 이름도 ‘괴로움’이 아닙니까? 친구나 가족, 혹은 나빠진 건강으로 실의에 빠져 있지 않습니까? 더 나은 삶을 살 자격이 있는데도 그렇지 못해서 지금 괴로워하고 있지는 않습니까?
나오미는 베들레헴으로 돌아올 때 괴로웠지만, 그럼에도 그녀는 고향으로 돌아왔습니다. 당신도 고향으로 돌아올 수 있습니다. 베들레헴에서 나신 룻의 후손, 예수님께로 오십시오. 그분의 사랑 안에서 안식을 누리십시오.
때가 되어 하나님은 그분의 완벽한 계획을 이루시며 나오미의 고통을 기쁨으로 바꾸어 주셨습니다(4:13-22). 하나님은 당신의 괴로움도 바꾸실 수 있습니다. 하나님께로 돌아오십시오.
오늘의 성구
룻기 1:3-8, 15-21나를 나오미라 부르지 말고 나를 마라라 부르라 이는 전능자가 나를 심히 괴롭게 하셨음이니라
[룻기 1:20]
당신에게 맞는 이름이 무엇입니까?
예수님 안에서 당신의 이름에 걸맞게 살려면 어떻게 살아야 할까요?
하나님 아버지, 당신의 아들 예수님 안에 있는 안식을 찾아 본향으로 돌아옵니다.
Daily Article
02/04/2023 SATURDAY
WHAT’S YOUR NAME?
Naomi’s husband moved the family to Moab, where he and their two sons died. Years later, Naomi returned to Bethlehem empty-handed, except for her daughter-in-law Ruth. The town was stirred and asked, “Can this be Naomi?” (RUTH 1:19). She said they shouldn’t use that name, which means “my pleasant one.” They should call her “Mara,” which means “bitter,” because “I went away full, but the Lord has brought me back empty” (VV. 20–21).
Is there a chance your name is Bitter? You’ve been disappointed by friends, family, or declining health. You deserved better. But you didn’t get it. Now you’re bitter.
Naomi came back to Bethlehem bitter, but she came back. You can come home too. Come to Jesus, the descendant of Ruth, born in Bethlehem. Rest in His love.
In time, God replaced Naomi’s bitterness with the joyful fulfillment of His perfect plan (4:13–22). He can replace your bitterness too. Come home to Him.
- MIKE WITTMER
Today's Reading
RUTH 1:3–8, 15–21Don’t call me Naomi. . . . Call me Mara, because the Almighty has made my life very bitter.
[ RUTH 1:20 ]
What name describes you?
What does it mean for you to live out the name that describes who you are in Jesus?
Father, I’m coming home to find my rest in Your Son.
오늘의 말씀
02/03/2023 금요일
우리는 다 나그네
하나님은 모세를 통해 자기 백성에게 율법들을 주셨는데, 그중에는 그들과 함께 있는 이방인들을 “너희 동족 같이”(레위기 19:34, 현대인의 성경) 여기라는 계명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하나님은 더 나아가 “자기 같이 사랑하라” 고 명령하셨습니다. 예수님은 이 계명을 하나님을 사랑하라는 계명 다음으로 가장 중요한 둘째 계명이라고 하셨습니다(마태복음 22:39). 그것은 하나님도 “나그네들을 보호하시기” 때문입니다(시편 146:9).
낯선 이웃들이 우리나라에 와서 잘 적응하도록 도울 때,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우리 자신도 사실은 “이 땅에서 나그네임을” (히브리서 11:13) 기억나게 해줍니다. 그리고 새로운 하늘나라가 이 땅에 임할 것을 기대하는 가운데 우리가 자라가게 될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레위기 19:32-37너희와 함께 있는 거류민을 너희 중에서 낳은 자 같이 여기며
[레위기 19:34]
하나님은 당신이 누구를 돌보기를 원하십니까?
다른 사람들에게 하나님의 사랑을 전하도록 하나님께서 당신에게 어떤 은사를 주셨습니까?
자비로운 하나님, 저는 이 세상에 이방인으로 사는 것이 어떤 것인지 조금 이해합니다. 다른 외국인과 낯선 사람들을 격려하는 자가 될 수 있도록 인도해 주소서.
Daily Article
02/03/2023 FRIDAY
WE ARE STRANGERS
God, through Moses, gave a list of laws for His people, which included a command to treat foreigners among them “as your native-born” (LEVITICUS 19:34). “Love them as yourself,” God further commanded. Jesus called this the second greatest commandment after loving God (MATTHEW 22:39). For even God “watches over the foreigner” (PSALM 146:9).
Besides obeying God as we help new friends adapt to life in our country, we may be reminded that we too in a real sense are “strangers on earth” (HEBREWS 11:13). And we’ll grow in our anticipation of the new heavenly land to come.
- ANNE CETAS
Today's Reading
LEVITICUS 19:32–37The foreigner residing among you must be treated as your native-born.
[ LEVITICUS 19:34 ]
Who might God want you to look after?
In what ways has He gifted you to spread His love to others?
Compassionate God, I understand a little what it feels like to be a stranger in this world. Lead me to be an encourager of other foreigners and strangers.
오늘의 말씀
02/02/2023 목요일
우리의 훌륭한 스승처럼
예수님은 “제자가 그 선생보다 높지 못하나 무릇 온전하게 된 자는 그 선생과 같으리라”(누가복음 6:40)고 말씀하셨습니다.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자신을 본받아 관대하고, 사랑하고, 비판하지 말라고 말씀하셨습니다(37- 38절). 또한 “맹인이 맹인을 인도할 수 있느냐 둘이 다 구덩이에 빠지지 아니하겠느냐”(39절)고 하시면서 사람을 분별하여 따르라고 하셨습니다. 사람들을 파멸로 인도하는 눈먼 바리새인들에게는 예수님이 말씀하신 그런 자질이 없다는 것을 제자들은 분별할 수 있어야 했습니다(마태복음 15:14). 그리고 제자들은 그들의 스승인 예수님을 따르는 것의 중요성을 확실히 알아야 했습니다. 이처럼, 제자들의 목표는 예수님처럼 되는 것이어야 했습니다. 그래서 주의를 기울여 관용과 사랑에 대한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배우고 적용하는 것이 그들에게 아주 중요한 일이었습니다.
오늘 예수님을 닮으려고 애쓰는 믿는 자로서, 주님의 지식과 지혜와 행동을 본받기 위해 우리의 가장 크신 스승이신 주님께 우리의 삶을 맡기도록 합시다. 주님만이 우리 삶에 그의 관용과 사랑이 나타나게 도우실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6:37-42제자가 그 선생보다 높지 못하나 무릇 온전하게 된 자는 그 선생과 같으리라
[누가복음 6:40]
요즈음 예수님의 어떤 부분을 닮으려고 노력하고 있습니까?
가장 크신 스승인 그리스도를 본받는 것이 언제 가장 어렵습니까?
위대한 스승이신 예수님, 주님께 합당한 훈련과 집중을 하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2/02/2023 THURSDAY
LIKE OUR GREAT TEACHER
Jesus once said, “The student is not above the teacher, but everyone who is fully trained will be like their teacher” (LUKE 6:40). He told His disciples that to imitate Him included being generous, loving, nonjudgmental (VV. 37–38), and discerning about whom they followed: “Can the blind lead the blind? Will they not both fall into a pit?” (V. 39). His disciples needed to discern that this standard disqualified the Pharisees who were blind guides—leading people to disaster (MATTHEW 15:14). And they needed to grasp the importance of following their Teacher. Thus, the aim of Christ’s disciples was to become like Jesus Himself. So it was important for them to pay careful attention to Christ’s instruction about generosity and love and apply it.
As believers striving to imitate Jesus today, let’s give our lives over to our Master Teacher so we can become like Him in knowledge, wisdom, and behavior. He alone can help us reflect His generous, loving ways.
- MARVIN WILLIAMS
Today's Reading
LUKE 6:37–42The student is not above the teacher, but everyone who is fully trained will be like their teacher.
[ LUKE 6:40 ]
What parts of Jesus’ life are you seeking to imitate these days?
When is it most difficult for you to imitate Christ, the Master Teacher?
Jesus, my Great Teacher, help my discipline and attentiveness to be worthy of You!
오늘의 말씀
02/01/2023 수요일
눈물 속의 축복
나는 그 가족의 커다란 사랑과 슬픔에 마음이 아팠습니다. 그들은 남편과 아버지를 너무 일찍 여의었습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예수님은 “애통하는 자는 복이 있다”(마태복음 5:4)고 말씀하시며 바로 이렇게 슬퍼하는 자들이 복이 있는 자들이라고 말씀하십니다. 예수님은 고통이나 슬픔이 좋다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긍휼과 자비가 그것이 가장 필요한 사람들에게 부어진다는 것을 말씀하신 것입니다. 사별로 인하여, 더 나아가 자신의 죄로 인해 슬퍼하는 사람들이 바로 하나님의 관심과 위로가 가장 필요한 사람들입니다. 예수님은 “그들이 위로를 받을 것”(4절)이라고 우리에게 약속하십니다.
하나님은 그의 사랑하는 자녀인(9절) 우리에게 다가오시며, 애통해 하는 우리를 축복하십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5:1-12애통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마태복음 5:4]
당신이나 다른 사람들의 삶에 어떤 슬픔이 있습니까?
예수님이 약속하신 축복을 믿을 때 그 슬픔이 어떻게 달리 보입니까?
하나님, 슬픔과 애통에 젖어 있지만, 눈물 속에서도 하나님의 축복을 경험하게 해주소서.
Daily Article
02/01/2023 WEDNESDAY
BLESSING IN THE TEARS
My heart broke. Such love, such devastation. The family lost a husband and father far too soon. Yet it’s surprising to hear Jesus insist that it’s precisely these grieving ones who are blessed: “Blessed are those who mourn,” Jesus says (MATTHEW 5:4). Jesus isn’t saying suffering and sorrow are good, but rather that God’s mercy and kindness pour over those who need it most. Those overcome by grief due to death or even their own sinfulness are most in need of God’s attention and consolation—and Jesus promises us “they will be comforted” (V. 4).
God steps toward us, His loved children (V. 9). He blesses us in our tears.
- WINN COLLIER
Today's Reading
MAT THEW 5:1–12Blessed are those who mourn.
[ MATTHEW 5:4 ]
What places do you encounter sorrow in your story and in others’ stories?
How does Jesus’ promise of blessing alter how you view this grief?
God, I am awash in grief and sorrow. Please help me to experience Your blessing even in the tears.
오늘의 말씀
01/31/2023 화요일
축복의 주관자
당밀같이 우리에게 유익한 것도 예기치 않게 우리를 해칠 수 있습니다. 모세는 이스라엘 백성이 하나님이 약속해 주신 땅에 들어가기에 앞서 그들이 누리게 될 좋은 것들을 그들 자신의 공로로 돌리지 말라고 경고했습니다. “네가 먹어서 배부르고 아름다운 집을 짓고 거주하게 되며 또 네 소와 양이 번성하며 네 은금이 증식되며 네 소유가 다 풍부하게 될 때에 네 마음이 교만하여 네 하나님 여호와를 잊어버릴까 염려하노라.” 이스라엘 백성들은 그들의 힘과 능력으로 부를 얻었다고 말하지 말아야 했습니다. 모세는 그에 대해 이렇게 말합니다. “네 하나님 여호와를 기억하라 그가 네게 재물 얻을 능력을 주셨음이라”(신명기 8:12–14, 17–18).
우리의 건강과 생계를 위한 기술 등, 모든 좋은 것들은 우리를 사랑하시는 하나님으로부터 온 축복입니다. 우리가 열심히 일할 때라도 우리를 주관하시는 분은 바로 하나님이십니다.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인자하심을 감사함으로 찬양하며 우리에게 주시는 축복을 꼭 붙들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신명기 8:10-18네 하나님 여호와를 기억하라
[신명기 8:18]
오늘 하나님의 인자하신 어떤 모습에 감사하고 있습니까?
당신이 받은 복으로 누구를 도울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매 순간 저를 붙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나님의 인자하심을 깨닫고 다른 사람들에게 그것을 나눌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1/31/2023 TUESDAY
SUSTAINER OF BLESSINGS
Sometimes even good things—like molasses—can overwhelm us unexpectedly. Before the Israelites entered the land God promised them, Moses warned the people to be careful not to take credit for the good things they’d receive: “When you eat and are satisfied, when you build fine houses and settle down, and when your herds and flocks grow large and your silver and gold increase . . . , then your heart will become proud and you will forget the Lord your God.” They weren’t to attribute this wealth to their own strength or capabilities. Instead, Moses said, “Remember the Lord your God, for it is he who gives you the ability to produce wealth” (DEUTERONOMY 8:12–14, 17–18).
All good things—including physical health and the skills needed to earn a living—are blessings from the hand of our loving God. Even when we’ve worked hard, it’s He who sustains us. Oh, to hold our blessings with open hands, that we may gratefully praise God for His kindness to us!
- JAMES BANKS
Today's Reading
DEUTERONOMY 8:10–18Remember the Lord your God.
[ DEUTERONOMY 8:18 ]
What kindnesses from God are you thankful for today?
Who can you help with a blessing you’ve received?
Thank You, Father, for sustaining me every moment.
Please help me to recognize Your kindness, so I may share it with ot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