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12/05/2022     월요일

성경읽기: 다니엘 1-2; 요한1서 4
찬송가: 361(통480)

매일 의지함

어느 날 아침 우리 집 어린아이들이 일찍 일어나 스스로 아침을 준비하기로 했습니다. 아내와 나는 한 주간의 피로로 녹초가 되어 토요일 아침은 적어도 아침 7시까지는 자려고 했습니다. 갑자기 요란한 소리가 들렸습니다! 침대에서 벌떡 일어나 아래층으로 한 걸음에 뛰어내려가 보니 깨진 그릇과 사방에 흩어진 오트밀에다 우리 다섯 살짜리 조나스가 끙끙대며 질척거리는 바닥을 닦고(차라리 ‘뭉개고’) 있었습니다. 아이들은 배가 고팠지만 도와달라고 하지 않았습니다. 도움을 요청해 의존하기보다 스스로 해결하려 했습니다. 다만 그 결과는 분명 맛있는 요리와는 거리가 있었습니다.

사람의 관점에서 볼 때 아이들은 의존 단계에서 독립 단계로 성장하게 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과의 관계 안에서 성숙함은 독립 단계에서 하나님께 의존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기도란 바로 우리가 하나님께 의존하는 행위입니다. 예수님께서 제자들과 그를 믿게 된 우리 모두에게 “오늘 우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시옵고”(마태복음 6:11)라고 기도하라고 하신 것은 바로 의지하는 기도를 가르치셨던 것입니다. 일용할 양식이란 생계와 구원과 인도하심을 달리 표현한 것입니다(11-13절). 우리는 이것뿐 아니라 더 많은 것들을 하나님께 의지합니다.

자기 힘으로 예수님을 믿을 수 있는 사람은 없고, 그의 은혜를 떠나 살 수 있는 사람도 없습니다. 평생 동안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여”라고 기도하면서 항상 의지하는 자세로 하루를 시작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9절).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6:6-13
오늘 우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시옵고
[마태복음 6:11]

오늘 당신은 어떤 “양식”을 위해 기도하고 있습니까?
하나님을 부를 때 그분을 의지하는 마음을 무슨 말로 표현합니까?

나의 창조주이시며 나를 지켜주는 분이신 사랑하는 예수님, 주님을 신뢰하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2/05/2022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DANIEL 1–2; 1 JOHN 4
Hymn: 361(old 480)

DAILY DEPENDENCE

One morning our younger kids decided to get up early and fix breakfast for themselves. Tired from a grueling week, my wife and I were trying to sleep until at least 7:00 a.m. on that Saturday morning. Suddenly, I heard a loud crash! I jumped out of bed and raced downstairs to find a shattered bowl, oatmeal all over the floor, and Jonas—our five-year-old—desperately trying to sweep (more like smear) the gooey mess off the floor. My children were hungry, but they chose not to ask for help. Instead of reaching out in dependence, they chose independence, and the result was definitely not a culinary delight.

In human terms, children are meant to grow from dependence to independence. But in our relationship with God, maturity means moving from independence to dependence on Him. Prayer
is where we practice such dependent ways. When Jesus taught His disciples—and all of us who have come to believe in Him—to pray, “Give us today our daily bread” (MATTHEW 6:11), He was teaching a prayer of dependence. Bread is a metaphor for sustenance, deliverance, and guidance (VV. 11–13). We’re dependent on God for all that and more.

There are no self-made believers in Jesus, and we’ll never graduate from His grace. Throughout our lives, may we always begin our day by taking the posture of dependence as we pray to “our Father in heaven” (V. 9).
- GLENN PACKIAM

Today's Reading

MAT THEW 6:6–13
Give us today our daily bread.
[ MATTHEW 6:11 ]

What’s the “bread” you’re praying for today?
How do you reveal your trust in God as you call out to Him?

Dear Jesus, You’re my Creator and my Sustainer. Please help me to trust in You.

오늘의 말씀

12/04/2022     주일

성경읽기: 에스겔 47-48; 요한1서 3
찬송가: 326(통368)

사랑의 수고

레베카 리 크럼플러 박사는 의과대학을 졸업한 미국 최초의 흑인 여성이었습니다. 하지만 그녀는 평생 동안(1831-1895) “무시와 업신여김과 별 볼일 없는 사람 취급을 받았다”고 회고합니다. 그런 가운데 그녀는 치료 사업과 자신의 목적에 끝까지 충실했습니다. 크럼플러는 어떤 사람들은 인종과 성별로 그녀를 판단했지만 자신은 언제나 “초심으로 돌아가 용기를 가지고 언제 어디서 치료가 필요해도 달려갈 준비를 하였으며” 또 그대로 행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녀는 여자와 아이들을 치료하고 해방된 노예들에게 의료 지원을 하는 것이 하나님을 섬기는 일이라고 믿었습니다. 애석하게도 그녀는 거의 한 세기가 지나서야 모든 업적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았습니다.

때로 주변 사람들이 우리를 몰라주거나 평가절하하고 인정하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그러나 성경의 지혜는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일을 맡기실 때 세상의 관심이나 인정에 초점을 두지 말고 오직 “무슨 일을 하든지 마음을 다하여 주께 하듯 하라”(골로새서 3:23)고 가르칩니다. 하나님을 섬기는 것에 집중하면 아무리 힘든 일이라도 주님의 능력과 인도하심 가운데 열정과 기쁨으로 해낼 수 있습니다. 그럴 때 우리는 세상의 인정을 받는 것에 덜 신경 쓰게 되고 주님만 주실 수 있는 상급을 향해 더욱 열심을 낼 수 있습니다(24절).

오늘의 성구

골로새서 3:23-24
무슨 일을 하든지 마음을 다하여 주께 하듯 하고 사람에게 하듯 하지 말라
[골로새서 3:23]

당신의 선행을 남이 몰라준다고 느꼈던 적이 있습니까?
모든 활동의 중심을 하나님께 두고 꾸준히 행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하늘에 계신 아버지, 주님을 섬기는 선한 일에 불러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나님이 명하신 일에 집중할 수 있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2/04/2022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EZEKIEL 47–48; 1 JOHN 3
Hymn: 326(old 368)

A LABOR OF LOVE

Dr. Rebecca Lee Crumpler was the first African American woman to earn a medical degree. Yet during her lifetime (1831–95), she recalls being “ignored, slighted and rendered insignificant.” However, she remained devoted to healing and fulfilling her purpose. Crumpler affirmed that although some people might choose to judge her based on her race and gender, she’d always have a “renewed and courageous readiness to go whenever and wherever duty calls,” and that she did. She believed that treating women and children and providing medical attention for freed slaves was a way to serve God. Sadly, she didn’t receive formal recognition for her accomplishments until nearly a century later.

There are times when we’ll be overlooked, devalued, or unappreciated by those around us. Biblical wisdom reminds us, however, that when God has called us to a task, we shouldn’t focus on gaining worldly approval and recognition but should instead “work at it with all [our] heart, as working for the Lord” (COLOSSIANS 3:23). When we focus on serving God, we’re able to accomplish even the most difficult tasks with fervor and gladness in His power and leading. We can then become less concerned with receiving earthly recognition and become more eager to receive the reward only He can provide (V. 24).
- KIMYA LODER

Today's Reading

COLOSSIANS 3:23–24
Whatever you do, work at it with all your heart, as working for the Lord.
[ COLOSSIANS 3:23 ]

When have you felt the good you did went overlooked?
How can you practice keeping God at the forefront of your activities?

Heavenly Father, thank You for calling me to do good things for You.
Help me to focus on what You’ve called me to do.

오늘의 말씀

12/03/2022     토요일

성경읽기: 에스겔 45-46; 요한1서 2
찬송가: 116(통116)

크리스마스 불꽃

내 눈에는 크리스마스트리가 불 붙은 것같이 환했습니다! 전깃줄로 연결된 인공의 불빛이 아닌 진짜 불꽃 때문이었습니다. 우리 가족은 친구의 알트도이체 전통이라 하는 “독일식 전통 축제”에 초대되었는데, 이 축제는 맛있는 전통 디저트와 진짜 촛불이 켜진 트리가 특징인 축하 행사였습니다. (안전을 위해 새로 자른 나무에 하룻밤만 불을 붙입니다.)

불타는 듯한 나무를 보면서 나는 모세가 불타는 떨기나무에서 하나님을 만난 것을 생각했습니다. 모세는 광야에서 양을 치다가 불에 타면서도 그대로 있는 떨기나무를 보고 놀랐습니다. 떨기나무 덤불에 가까이 가서 무슨 일인가 알아보려는 모세를 하나님이 부르셨습니다. 불타는 떨기나무의 메시지는 심판이 아니라 이스라엘 백성을 위한 구원의 메시지였습니다. 하나님은 애굽에서 종살이하는 그의 백성들의 곤경과 비참함을 보시고 “내려가서 그들을 건져 내셨습니다”(출애굽기 3:8).

하나님께서 애굽 사람들에게서 이스라엘 백성들을 구하셨지만, 여전히 모든 인류는 육체적 고통에서뿐 아니라 악과 죽음이 이 세상에 가져온 결과로부터 구원이 필요했습니다. 수백 년이 지나 하나님은 빛이신 그의 아들 예수님을 보내심으로 응답하셨는데(요한복음 1:9-10), 이는 “세상을 심판하려 하심이 아니요 그로 말미암아 세상이 구원을 받게 하시기”(3:17) 위해서였습니다.

오늘의 성구

출애굽기 3:4-10
내가 애굽에 있는 내 백성의 고통을 분명히 보고... 내가 내려가서 그들을 건져내고
[출애굽기 3:7-8]

예수님을 통한 하나님의 구원의 섭리를 어떻게 찬양할 수 있습니까?
우리를 주님께로 인도하는 다른 전통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하늘에 계신 아버지, 세상의 빛이신 예수님을 보내주심에 감사드립니다.

Daily Article

12/03/2022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EZEKIEL 45–46; 1 JOHN 2
Hymn: 116(old 116)

CHRISTMAS LIGHT

To my eyes, the Christmas tree looked to be ablaze in fire! Not because of artificial strings of lights but from real fire. Our family was invited to a friend’s altdeutsche Tradition, or the “old German way,” a celebration featuring delicious traditional desserts and a tree with real, lit candles. (For safety, the freshly cut tree was lit one night only.)

As I watched the tree appear to burn, I thought of Moses’ encounter with God in the burning bush. While tending sheep in the wilderness, Moses was surprised by a flaming bush that was somehow not consumed by the flames. As he approached the bush to investigate, God called to him. The message from the burning bush was not one of judgment but of rescue for the people of Israel. God had seen the plight and misery of His people who were enslaved in Egypt and had “come down to rescue them” (EXODUS 3:8).

While God rescued the Israelites from the Egyptians, all of humanity still needed rescue—not just from physical suffering but also from the effects that evil and death brought into our world. Hundreds of years later, God responded by sending down the Light, His Son, Jesus (JOHN 1:9–10), sent not “to condemn the world, but to save the world through him” (3:17).
- LISA M. SAMRA

Today's Reading

EXODUS 3:4–10
I have indeed seen the misery of my people in Egypt. . . . So I have come down to rescue them.
[ EXODUS 3:7–8 ]

How can you celebrate God’s provision of rescue through Jesus?
What other traditions point you to Him?

Heavenly Father, thank You for sending Jesus, the Light of the world.

오늘의 말씀

12/02/2022     금요일

성경읽기: 에스겔 42-44; 요한1서 1
찬송가: 465(통523)

당신의 성품

결혼 후 10년 동안 아기가 생기지 않았던 아내와 나는 2011년 다른 나라에 가서 새 출발을 하기로 했습니다. 이주하는 것은 신이 났지만 그동안 하던 방송일을 접는 것은 아쉬웠습니다. 어떻게 할까 망설이다가 친구 리암에게 조언을 구했습니다.

“나는 이제 내 소명이 무엇인지도 모르겠어.” 의기소침한 나는 리암에게 말했습니다.

“여기서 방송하는 것 아니야?”라고 묻는 리암에게 나는 아니라고 대답했습니다.

“그런데 너희 결혼생활은 어떻니?”

그가 갑자기 화제를 바꾸자 나는 놀라며, 메린과 잘 지내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우리는 상심되는 일을 함께 겪었지만 그 시련을 통해 더 가까워졌던 것입니다.

“헌신은 복음의 핵심이지.” 리암은 미소를 지으며 말했습니다. “너희 같은 헌신적인 결혼생활을 세상이 다 알아야 히는데! 잘 모르겠지만, 너희는 일보다 삶 자체로 벌써 세상에 영향을 주고 있어.”

디모데가 사역을 하며 어려운 일로 실의에 빠졌을 때 바울 사도는 그에게 일에 관한 목표를 제안하기보다는 말과 행실과 사랑과 믿음과 정절을 통해 본을 보이면서 경건한 삶을 살라고 권면했습니다(디모데전서 4:12-13, 15). 그래서 디모데는 신실한 삶의 모습으로 사람들에게 가장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었습니다.

우리의 성품이 무엇보다 중요한 데도 우리는 직업에서의 성공을 가지고 우리의 삶을 평가하기 쉽습니다. 성품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사실을 나는 잊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진실한 말 한마디, 은혜로운 행동 하나, 나아가 헌신적인 결혼생활도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그것들을 통해 하나님의 선하심이 세상에 감동을 전하기 때문입니다.

오늘의 성구

디모데전서 4:12-16
말과 행실과 사랑과 믿음과 정절에 있어서 믿는 자에게 본이 되어
[디모데전서 4:12]

당신의 삶에 누가, 어떤 성품으로 감동을 주었습니까?
오늘 어떻게 신실함을 보여주시겠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일보다는 제가 어떤 사람이 되어가는지가 더 중요함을 잊지 않게 하소서. 주님을 더 닮아가게 하소서.

Daily Article

12/02/2022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EZEKIEL 42–44; 1 JOHN 1
Hymn: 465(old 523)

WHO YOU ARE

In 2011, after a decade of childlessness, my wife and I chose
to start afresh in a new country. Exciting as the move was, it
required my leaving a broadcast career, which I missed. Feeling
lost, I asked my friend Liam for advice.

“I don’t know what my calling is anymore,” I told Liam dejectedly.

“You’re not broadcasting here?” he asked. I said I wasn’t.

“And how is your marriage?”

Surprised at his change of topic, I told Liam that Merryn and
I were doing well. We’d faced heartbreak together but emerged
closer through the ordeal.

“Commitment is the core of the gospel,” he said, smiling. “Oh,
how the world needs to see committed marriages like yours! You
may not realize the impact you’re having already, beyond what
you do, simply by being who you are.”

When a difficult work situation left Timothy dejected, the
apostle Paul didn’t give him career goals. Instead, he encouraged
Timothy to live a godly life, setting an example through his speech,
conduct, love, faith, and purity (1 TIMOTHY 4:12–13, 15). He would
best impact others by living faithfully.

It’s easy to value our lives based on our career success when
what matters most is our character. I had forgotten that. But a
word of truth, a gracious act, even a committed marriage can
bring great change—because through them something of God’s
own goodness touches the world.
- SHERIDAN VOYSEY

Today's Reading

1 TIMOTHY 4:12–16
Set an example for the believers in speech, in
conduct, in love, in faith and in purity. [ 1 TIMOTHY 4:12 ]

Who has touched your life and what qualities did they have?
How can you set an example of faithfulness today?

Dear God, help me to remember that the work I do isn’t as important as the person I become. Please make me more like You.

오늘의 말씀

12/01/2022     목요일

성경읽기: 에스겔 40-41; 베드로후서 3
찬송가: 221(통525)

서로 격려하자

건강이 더 안 좋아지면서 힘들게 또 한 주를 보내고 나서 나는 소파에 털썩 주저앉았습니다. 아무 생각도 하기 싫고 누구와 이야기도 하고 싶지 않았습니다. 기도마저 할 수 없었습니다. 낙담과 회의 가운데 텔레비전을 켰습니다. 광고가 나오는데 한 어린 여자아이가 남동생에게 말하고 있었습니다. 누나가 “너는 챔피언이야”라며 계속 북돋아주자 동생의 미소가 점점 커졌습니다. 나의 미소도 따라서 커졌습니다.

하나님의 백성은 늘 좌절과 회의감으로 고생해왔습니다. 히브리서 기자는 성령을 통해 하나님의 음성을 들을 수 있다고 단언하고 있는 시편 95편 말씀을 인용하며 예수님을 믿는 사람들에게 이스라엘 백성들이 광야에서 방황하며 범한 잘못들을 반복하지 말라고 경고했습니다(히브리서 3:7-11). “형제들아 너희는 삼가 혹 너희 중에 누가 믿지 아니하는 악한 마음을 품고 살아 계신 하나님에게서 떨어질까 조심할 것이요... 매일 피차 권면...하라”(12-13절).

그리스도 안에 소망의 생명줄을 가진 우리에게는 능히 견딜 수 있는 힘찬 동력이 있습니다. 바로 성도의 교제를 통해 서로 힘을 얻는 것입니다 (13절). 누군가 회의에 빠지면 다른 믿는 사람들이 확신을 주거나 설명을 해 줄 수 있습니다. 우리 하나님의 백성은 그가 주시는 힘으로 서로를 격려하며 세워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히브리서 3:7-19
오직 오늘이라 일컫는 동안에 매일 피차 권면하여
[히브리서 3:13]

하나님은 누군가의 긍정적인 말을 통해 당신의 삶 중 어려운 시기에 어떻게 위로하고 격려해주셨습니까?
오늘 무슨 말로 다른 사람들을 격려할 수 있을까요?

사랑의 하나님, 주님을 위해 살게 하시고, 말과 행동으로 다른 사람들을 사랑으로 일으킬 수 있게 하소서.

Daily Article

12/01/2022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EZEKIEL 40–41; 2 PETER 3
Hymn: 221(old 525)

MUTUAL ENCOURAGEMENT

After another week of being beaten down by more medical setbacks, I slumped onto the sofa. I didn’t want to think about anything. I didn’t want to talk to anybody. I couldn’t even pray. Discouragement and doubt weighed me down as I turned on the television. I began watching a commercial showing a little girl talking to her younger brother. “You’re a champion,” she said. As she continued affirming him, his grin grew. So did mine.

God’s people have always struggled with discouragement and doubt. Quoting Psalm 95, which affirms that God’s voice can be heard through the Holy Spirit, the writer of Hebrews warned believers in Jesus to avoid the mistakes made by the Israelites while wandering in the wilderness (HEBREWS 3:7–11). “See to it, brothers and sisters, that none of you has a sinful, unbelieving heart that turns away from the living God,” he wrote. “But encourage one another daily” (VV. 12–13).

With our lifeline of hope secured in Christ, we can experience the power-packed fuel we need to persevere: mutual encouragement within the fellowship of believers (V. 13). When one believer doubts, other believers can offer affirmation and accountability. As God strengthens us, His people, we can offer the power of mutual encouragement to one another.
-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HEBREWS 3:7–19
Encourage one another daily, as long as it is called “Today.”
[ HEBREWS 3:13 ]

How has God used the affirming words of someone in your life to comfort and encourage you during a difficult time?
How can you encourage others with your words today?

Loving God, help me live for You and lift others up in love with my words and actions.

오늘의 말씀

11/30/2022     수요일

성경읽기: 에스겔 37-39; 베드로후서 2
찬송가: 187(통171)

경고음

가까운 거리에서 방울뱀을 만난 적이 있습니까? 만약 그렇다면, 뱀과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방울 소리가 더 크게 들리는 것처럼 느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과학 학술지 ’현대생물학’에 실린 연구에 의하면 방울뱀은 위협이 가까워질수록 소리를 내는 음량을 ‘증가’시킨다고 합니다. 이 “고주파 모드”는 방울뱀과의 거리가 실제보다 더 가깝다는 착각을 불러일으키는데, 한 연구원이 언급한 것처럼 “거리에 관한 이 오해가... 충분히 안전한 거리를 유지하게 해줍니다.”

사람들은 때때로 서로 갈등이 있을 때 화를 내거나 소리를 지르면서, 상대방을 밀치는 험한 말로 언성을 높이기도 합니다. 이런 상황에 대해 잠언 기자는 “유순한 대답은 분노를 쉬게 하여도 과격한 말은 노를 격동하느니라” (잠언 15:1)고 지혜로운 충고를 줍니다. 그리고 계속해서 “온순”하고 “지혜로운” 말은 “생명나무”이며 “지식”의 원천이 될 수 있다고 말합니다(4, 7절).

예수님은 서로 갈등을 겪고 있는 상대에게 이의를 제기할 때조차도 온유해야 하는 근본적인 이유를 제시해 주셨습니다. 그것은 상대에게 베푸는 사랑으로 우리가 하나님 자녀임을 드러내고(마태복음 5:43–45), 화해를 추구함으로써 “형제를 얻기” 위한 것입니다(18:15). 다툼 가운데 언성을 높이거나 모진 말을 퍼붓기보다, 하나님께서 성령으로 인도하시는 대로 사람들에게 배려와 지혜와 사랑을 보여줄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잠언 15:1-7
유순한 대답은 분노를 쉬게 하여도 과격한 말은 노를 격동하느니라
[잠언 15:1]

갈등 상황에서 온유하고 사랑으로 대하는 것이 왜 어려울까요?
우리가 말과 행동에 신중할 수 있도록 성령께서 어떻게 도와주실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저희와 생각이 다른 사람들과 생기는 문제들을 사랑으로 풀어갈 수 있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1/30/2022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EZEKIEL 37–39; 2 PETER 2
Hymn: 187(old 171)

WARNING SOUNDS

Ever had a close encounter with a rattlesnake? If so, you might have noticed that the sound of the rattle seemed to get more intense as you moved nearer to the viper. Research in the scientific journal Current Biology reveals that the snakes do increase their rattling rate when a threat is approaching. This “high-frequency mode” can cause us to think they’re closer than they are. As one researcher put it, “The misinterpretation of distance by the listener . . . creates a distance safety margin.”

People can sometimes use increasing volume with harsh words that push others away during a conflict—exhibiting anger and resorting to shouting. The writer of Proverbs shares some wise
advice for times like these: “A gentle answer turns away wrath, but a harsh word stirs up anger” (PROVERBS 15:1). He goes on to say that “soothing” and “wise” words can be “a tree of life” and a source of “knowledge” (VV. 4, 7).

Jesus provided the ultimate reasons for gently appealing to those with whom we enter into conflict: extending love that reveals us to be His children (MATTHEW 5:43–45) and seeking reconciliation— “[winning] them over” (18:15). Instead of raising our voice or using unkind words during conflicts, may we show civility, wisdom, and love to others as God guides us by His Spirit.
- TOM FELTEN

Today's Reading

PROVERBS 15:1–7
A gentle answer turns away wrath, but a harsh word stirs up anger.
[ PROVERBS 15:1 ]

Why can it be difficult to be gentle and loving in a conflict?
How can the Holy Spirit help you carefully choose your words and actions?

Heavenly Father, help me to lovingly address issues with those with whom I disagree.

오늘의 말씀

11/29/2022     화요일

성경읽기: 에스겔 35-36; 베드로후서 1
찬송가: 218(통369)

따뜻한 식사 한 끼

치킨 바비큐, 그린 빈, 스파게티, 롤빵. 10월의 어느 시원한 날, 54년의 삶을 자축하는 한 여성이 최소 54명의 노숙자들에게 이 따뜻한 식사를 대접했습니다. 그 여성과 친구들은 레스토랑에서 먹는 평범한 생일 저녁 식사 대신, 시카고 지역 노숙자들에게 자신들이 직접 요리한 음식을 대접하기로 한 것입니다. 그러면서 그녀는 소셜미디어에서 다른 사람들에게 자기들 생일 선물로 노숙자들을 위한 이런 색다른 선행을 해볼 것을 권했습니다.

이 이야기는 마태복음 25장에 있는 예수님의 말씀을 생각나게 해줍니다.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너희가 여기 내 형제 중에 지극히 작은 자 하나에게 한 것이 곧 내게 한 것이니라”(40절). 예수님은 자신의 양들이 그의 영원한 나라로 초대받아 상속받을 것이라고 선언하신 후에 이 말씀을 하셨습니다(33-34절). 그때에 예수님은 자신을 믿지 않았던 교만한 종교인들과는 달리, 그들이야말로 주님을 향한 참된 믿음 때문에 예수님을 먹이고 입힌 사람들이라는 것을 알아주실 것입니다(26:3-5 참조). 비록 “의로운” 사람들은 자신이 언제 예수님을 먹이고 입혔는지 의아해하겠지만 (25:37), 예수님은 그들이 다른 사람들에게 한 일이 곧 주님에게 한 것이라는 사실을 확인시켜 주실 것입니다(40절).

배고픈 사람들을 먹이는 것은 우리가 하나님의 도움을 받아 하나님의 백성들을 돌보게 하시는 한 가지 방식이며, 그것은 바로 하나님을 향한 우리의 사랑과 하나님과의 관계를 드러내 보여줍니다. 오늘도 하나님의 도우심으로 우리가 다른 사람의 필요를 채워줄 수 있기를 소망합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25:34-40
너희가 여기 내 형제 중에 지극히 작은 자 하나에게 한 것이 곧 내게 한 것이니라
[마태복음 25:40]

오늘 어떤 선행으로 다른 사람들에게 하나님의 사랑을 보여주시겠습니까?
우리가 다른 이들의 필요를 채워줄 때 그것이 어떻게 하나님을 섬기는 일이 될까요?

은혜로우신 하나님, 오늘도 저희 선행으로 하나님의 사랑을 나타내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1/29/2022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EZEKIEL 35–36; 2 PETER 1
Hymn: 218(old 369)

A HOT MEAL

Barbecue chicken, green beans, spaghetti, rolls. On a cool day in October, at least fifty-four homeless people received this hot meal from a woman celebrating fifty-four years of life. The woman and her friends decided to forgo her usual birthday dinner in a restaurant, choosing instead to cook and serve meals to people on the streets of Chicago. On social media, she encouraged others to also perform a random act of kindness as a birthday gift.

This story reminds me of Jesus’ words in Matthew 25: “Truly I tell you, whatever you did for one of the least of these brothers and sisters of mine, you did for me” (V. 40). He said these words
after declaring that His sheep will be invited into His eternal kingdom to receive their inheritance (VV. 33–34). At that time, Jesus will acknowledge that they’re the people who fed and clothed Him because of their genuine faith in Him, unlike the proud religious people who did not believe in Him (SEE 26:3–5). Although the “righteous” will question when they fed and clothed Jesus (25:37), He’ll assure them that what they did for others was also done for Him (V. 40).

Feeding the hungry is just one way God helps us care for His people—showing our love for Him and relationship with Him. May He help us meet others’ needs today.
- KATARA PATTON

Today's Reading

MAT THEW 25:34–40
Whatever you did for one of the least of these brothers and sisters of mine, you did for me.
[ MATTHEW 25:40 ]

What acts of kindness can you do today to show God’s love to others?
How are you also caring for Him when you help meet their needs?

Gracious God, please help me to show Your love through my actions today.

오늘의 말씀

11/28/2022     월요일

성경읽기: 에스겔 33-34; 베드로전서 5
찬송가: 440(통497)

나와 함께 동행하시는 하나님

몇 년 전 한 복음 합창단의 합창곡 “예수님이 나와 동행하시네”가 인기 곡 차트에 올랐는데, 이 노래의 가사에는 놀라운 뒷이야기가 있습니다. 그 합창단은 재즈 음악가 커티스 런디가 코카인 중독 치료 프로그램을 받을 때 시작되었습니다. 동료 중독자들을 한데 모으고 오래된 찬송가에서 영감을 얻으면서, 그는 재활 과정에 있는 사람들을 위한 소망의 찬송가로 그 합창곡을 썼습니다. 한 단원은 이 노래를 이렇게 말합니다. “우리는 우리의 삶을 위해 노래를 불렀어요. 예수님께 우리를 구해 달라고, 마약에서 벗어나게 도와 달라고 간구하면서 그 노래를 불렀지요.” 또 다른 단원은 이 노래를 부를 때 마약을 끊으면서 생긴 만성 통증이 가라앉는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합창단은 그저 악보에 쓰인 가사를 노래한 것이 아니라 구원을 위한 필사적인 기도를 드렸던 것입니다.

오늘의 본문 성경구절은 그들의 체험을 잘 묘사하고 있습니다. 우리 하나님은 모든 사람에게 구원을 베푸시려고 그리스도 안에 나타나셨습니다 (디도서 2:11). 영원한 생명이 이 선물의 일부이기도 하지만(13절), 하나님은 지금도 우리를 위해 일하시면서 우리가 자제력을 회복하고, 세속적인 정욕을 거부하고, 그분과 함께 구속된 삶을 살도록 능력을 주십니다(12, 14절). 합창단원들이 알게 된 것처럼, 예수님은 우리의 죄를 용서하실 뿐만 아니라 우리를 파괴적인 생활습관에서도 자유롭게 하십니다.

예수님은 우리와 함께, 그리고 주님께 도움을 간구하는 모든 사람과 함께 동행하십니다. 주님은 우리와 함께 하시며 이 순간 미래와 구원에 대한 소망을 주고 계십니다.

오늘의 성구

디도서 2:11-14
모든 사람에게 구원을 주시는 하나님의 은혜가 나타나
[디도서 2:11]

예수님께서 당신을 변화시키려면 지금 당신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입니까?
당신은 변화를 위해 얼마나 간절히 주님을 찾고 있습니까?

예수님, 저희는 주님이 필요합니다. 저희 죄를 용서하시고, 파멸의 습관에서 벗어나게 하시고, 내면에서부터 저희를 변화시켜 주소서.

Daily Article

11/28/2022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EZEKIEL 33–34; 1 PETER 5
Hymn: 440(old 497)

WALK WITH ME

A few years ago, a popular song hit the charts, with a gospel choir singing the chorus, “Jesus walks with me.” Behind the lyrics lies a powerful story.

The choir was started by jazz musician Curtis Lundy when he entered a treatment program for cocaine addiction. Drawing fellow addicts together and finding inspiration in an old hymnal, he wrote that chorus as a hymn of hope for those in rehab. “We were singing for our lives,” one choir member says of the song. “We were asking Jesus to save us, to help us get out of the drugs.” Another found that her chronic pain subsided when she sang the song. That choir wasn’t just singing words on a sheet but offering desperate prayers for redemption.

Today’s Scripture reading describes their experience well. In Christ, our God has appeared to offer salvation to all people (TITUS 2:11). While eternal life is part of this gift (V. 13), God is working on us now, empowering us to regain self-control, say no to worldly passions, and redeem us for life with Him (VV. 12, 14). As the choir members found, Jesus doesn’t just forgive our sins—He frees us from destructive lifestyles.

Jesus walks with me. And you. And anyone who cries out to Him for help. He’s with us, offering hope for the future and salvation now.
- SHERIDAN VOYSEY

Today's Reading

TITUS 2:11–14
The grace of God has appeared that offers salvation to all people.
[ TITUS 2:11 ]

What do you need Jesus to change in you today?
How desperate are you for Him to do it?

Jesus, I need You. Forgive my sins, free me from destructive habits, and change me from the inside out.

오늘의 말씀

11/27/2022     주일

성경읽기: 에스겔 30-32; 베드로전서 4
찬송가: 293(통414)

너무나 아름다운

나는 아주 어렸을 때 병원 신생아실 창문 밖에서 처음으로 갓난아기를 보았습니다. 그때 신생아에 대해 아는 것이 전혀 없어서, 아주 작고 머리털 하나 없이 주름진 원뿔 모양의 아기 머리를 보고는 너무 놀랐습니다. 하지만 가까이 서 있던 아기 엄마는 모두에게 “우리 아기 정말 예쁘죠?”라고 몇번이나 말했습니다. 훗날 나는 어느 젊은 아빠가 갓난 딸아이에게 “너는 너무 아름다워”라고 다정하게 노래 불러주는 영상을 보면서 그 때 그 순간이 떠올랐습니다. 사실 너무 기뻐 어쩔 줄 몰라하는 아빠에게 그 어린 딸은 모든 창조물 중에서 가장 아름다운 존재였습니다.

하나님도 우리를 그렇게 바라보시지 않을까요? 에베소서 2장 10 절에서는 우리를 하나님이 “직접 만드신” 걸작품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자신의 부족함을 잘 알기에 하나님이 우리를 얼마나 많이 사랑하시는지 받아들이기 힘들고, 또 우리가 하나님께 아주 귀한 존재라는 사실을 믿기 어려울 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우리가 사랑받을 만한 자격이 있어서 우리를 사랑하시는 것이 아니라(3-4절) 그분 자신이 사랑이시기 때문에 우리를 사랑하십니다(요한 1서 4:8). 하나님의 사랑은 그분의 여러 은혜 중의 하나입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죄로 말미암아 죽어 있을 때 예수님의 희생을 통해 그분 안에서 우리를 살리심으로 그 사랑의 깊이를 보여주셨습니다(에베소서 2:5, 8).

하나님의 사랑은 변덕스럽지 않고 한결같습니다. 그분은 불완전하고 망가진 사람들, 약하고 엉망인 사람들을 사랑하시며, 우리가 넘어질 때에도 하나님은 거기 계셔서 우리를 일으켜 주십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보화이며 그분께 너무나 아름다운 존재입니다.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2:1-10
우리는 그가 만드신 바라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선한 일을 위하여 지으심을 받은 자니
[에베소서 2:10]

“하나님은 사랑이시다”라는 말을 안다는 것이 어떤 의미로 다가옵니까?
우리가 스스로 자격이 없다고 느껴질 때 하나님의 끝없는 사랑의 진실을 어떻게 받아들일 수 있을까요?

귀하신 하나님 아버지, 저희를 사랑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11/27/2022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EZEKIEL 30–32; 1 PETER 4
Hymn: 293(old 414)

SO BEAUTIFUL

I was very young when I peered through a hospital nursery window and saw a newborn for the first time. In my ignorance, I was dismayed to see a tiny, wrinkly child with a hairless, cone-shaped head. The baby’s mother standing near us, however, couldn’t stop asking everyone, “Isn’t he gorgeous?” I was reminded of that moment when I saw a video of a young dad tenderly singing the song, “You Are So Beautiful” to his baby girl. To her enraptured daddy, the little girl was the most beautiful thing ever created.

Is that how God looks at us? Ephesians 2:10 says that we’re His “handiwork”—His masterpiece. Aware of our own failings, it may be hard for us to accept how much He loves us or to believe that we could ever be of value to Him. But God doesn’t love us because we deserve love (VV. 3–4); He loves us because He is love (1 JOHN 4:8). His love is one of grace, and He showed the depth of it when, through Jesus’ sacrifice, He made us alive in Him when we were dead in our sins (EPHESIANS 2:5, 8).

God’s love isn’t fickle. It’s constant. He loves the imperfect, the broken, those who are weak and those who mess up. When we fall, He’s there to lift us up. We’re His treasure, and we’re so beautiful to Him.
- CINDY HESS KASPER

Today's Reading

EPHESIANS 2:1–10
We are God’s handiwork, created in Christ Jesus to do good works.
[ EPHESIANS 2:10 ]

What does it mean to know that “God is love”?
How can you accept the truth of God’s endless love for you when you feel undeserving of it?

Precious Father, thank You for Your love for me.

오늘의 말씀

11/26/2022     토요일

성경읽기: 에스겔 27-29; 베드로전서 3
찬송가: 258(통190)

축복받은 회개

“파산(BROKE)”이라는 뜻의 이 단어는 그래디에게 붙여진 별명 이었는데, 그 글자는 그의 자동차 번호판에 자랑스럽게 새겨져 있었습니다. 의도적으로 영적 의미를 부여한 것은 아니지만, 그것은 도박꾼에, 간통범에, 사기꾼인 이 중년 남자에게 딱 맞는 별명이었습니다. 그는 망가지고 파산했으며, 하나님과는 거리가 먼 사람이었습니다. 그러나 어느 날 밤 호텔방에서 성령님이 그의 죄를 지적하시자 모든 것이 바뀌었습니다. 그는 아내에게 “내가 구원받고 있는 것 같아!”라고 말했습니다. 그날 밤 그는 무덤까지 가지고 가리라고 생각하고 숨겨왔던 죄들을 다 고백하고 예수님께 나아가 용서를 구했습니다. 스스로 마흔 살도 채 살지 못할 거라고 생각했던 그 사람은 그후 30년 동안 변화 받은 신자로서 하나님을 섬기며 살았습니다. 그의 자동차 번호판도 “파산”에서 “회개(REPENT)”로 바뀌었습니다.

‘회개하라.’ 이 말은 그래디가 바로 그렇게 실천했으며, 하나님이 호세아 14:1-2에서 이스라엘에게 명하신 것이기도 합니다. “이스라엘아 네 하나님 여호와께로 돌아오라... 너는 말씀을 가지고 여호와께로 돌아와서 아뢰기를 모든 불의를 제거하시고 선한 바를 받으소서 할지니라.” 크든 작든, 많든 적든, 우리의 죄는 하나님과 우리 사이를 갈라놓습니다. 그러나 죄에서 돌아서서 하나님께로 향하여 예수님의 죽음을 통해 베푸신 용서의 은혜를 받으면 그 간극을 메울 수 있습니다. 힘들게 믿음 생활하는 그리스도인이든, 그래디와 같은 삶을 살았던 사람이든, 당신은 단 한 번의 기도로 용서받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호세아 14:1-4
모든 불의를 제거하시고 선한 바를 받으소서
[호세아 14:2]

어떤 죄들이 당신과 하나님 사이를 갈라놓고 있습니까?
당신은 하나님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고백하고 하나님께서 그분의 아들 예수님을 통해 주신 용서를 받을 준비가 되어 있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저희를 타락시키고 하나님과의 간극을 만드는 저희 마음의 모든 것들을 살펴주소서. 저희를 깨끗하게 하시고, 용서하시고,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사용해 주소서.

Daily Article

11/26/2022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EZEKIEL 27–29; 1 PETER 3
Hymn: 258(old 190)

BLESSED REPENTANCE

“BROKE” was the street name Grady answered to and those five letters were proudly emblazoned on his license plates. Though not intended in a spiritual sense, the moniker fit the middle-aged gambler, adulterer, and deceiver. He was broken, bankrupt, and far from God. However, all that changed one evening when he was convicted by God’s Spirit in a hotel room. He told his wife, “I think I’m getting saved!” That evening he confessed sins he thought he’d take with him to the grave and came to Jesus for forgiveness. For the next thirty years, the man who didn’t think he’d live to see forty lived and served God as a changed believer in Jesus. His license plates changed too—from “BROKE” to “REPENT.”

Repent. That’s what Grady did and that’s what God called Israel to do in Hosea 14:1–2. “Return, Israel, to the Lord your God. . . . Take words with you and return to the Lord. Say to him: ‘Forgive all our sins and receive us graciously.’ ” Big or small, few or many, our sins separate us from God. But the gap can be closed by turning from sin to God and receiving the forgiveness He’s graciously provided through the death of Jesus. Whether you’re a struggling believer in Christ or one whose life looks like Grady’s did, your forgiveness is only a prayer away.
- ARTHUR JACKSON

Today's Reading

HOSEA 14:1–4
Forgive all our sins and receive us graciously.
[ HOSEA 14:2 ]

What sins separate you from God?
Are you ready to confess your need for Him and receive the forgiveness that He’s provided through His Son, Jesus?

Father, search my heart for anything that may contribute to my downfall and distance from you. Cleanse me, forgive me, and use me for Your honor.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