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11/25/2022 금요일
참아내는 소망
솔로몬은 치료를 잘 받고 있는데, 가끔 고통을 잊으려고 소리지르면서 하나님을 찬양합니다. 어떤 날은 더 힘들어 합니다. 그 힘들었던 어느 날, 솔로몬은 어머니를 껴안고 말했습니다. “천국에는 이런 병이 없어서 너무 좋아요.”
병의 증세가 악화되면 영원의 이쪽 편 세상에 사는 사람들은 누구나 다 영향을 받습니다. 그러나 솔로몬과 같이 우리에게도 참아내는 소망이 있어서 불가피한 괴로운 나날을 견디려는 결심을 견고히 해줍니다. 하나님은 우리에게 “새 하늘과 새 땅”(요한계시록 21:1)을 약속해 주십니다. 우리를 창조하시고 삶을 영위하게 하시는 하나님의 장막이 우리와 함께 있어, 하나님이 우리 가운데 “계시며”(3절) 우리의 눈에서 “모든 눈물을 닦아주실” 것입니다. 그리고 “다시는 사망이 없고 애통하는 것이나 곡하는 것이나 아픈 것이 다시 있지 아니할”(4절) 것입니다. 기다림이 “너무 힘들거나” “너무 길다고” 느껴져도, 하나님의 약속은 이루어질 것이기에 우리는 평안을 누릴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계시록 21:1-8모든 눈물을 그 눈에서 닦아주시니 다시는 사망이 없고 애통하는 것이나 곡하는 것이나 아픈 것이 다시 있지 아니하리니
[요한계시록 21:4]
새 하늘과 새 땅에 대한 하나님의 약속을 받아들였을 때 어떻게 위로가 되었습니까?
고통받고 있는 친구에게 어떻게 하나님의 약속을 인내하며 바라보도록 격려할 수 있을까요?
사랑의 하나님, 인내의 소망에 대한 확신으로 저희 결심을 굳건하게 해주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11/25/2022 FRIDAY
ENDURING HOPE
Though Solomon accepts his treatment, often bursting out in song to praise God, some days are harder. On one of those difficult days, Solomon hugged his mom and said, “I’m happy there’s no Duchenne’s in heaven.”
The degenerating effects of sickness affect all people on this side of eternity. Like Solomon, however, we have an enduring hope that can strengthen our resolve on those inevitable tough days. God gives us the promise of “a new heaven and a new earth” (REVELATION 21:1). Our Creator and Sustainer will “dwell” among us by making His home with us (V. 3). He will “wipe every tear” from our eyes. “There will be no more death or mourning or crying or pain” (V. 4). When the wait feels “too hard” or “too long,” we can experience peace because God’s promise will be fulfilled.
-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REVEL ATION 21:1–8He will wipe every tear from their eyes. There will be no more death or mourning or crying or pain.
[ REVELATION 21:4 ]
How has acknowledging God’s promise for a new heaven and a new earth comforted you?
How can you encourage a hurting friend with the enduring hope of God’s promises?
Loving God, thank You for strengthening my resolve with the surety of my enduring hope.
오늘의 말씀
11/24/2022 목요일
소망과 소원
이 추수감사절 기간 동안 기도하면서 성경의 지혜를 묵상하니 도움이 되었습니다. 그중에 솔로몬 왕의 이런 잠언이 있었습니다. “소망이 더디 이루어지면 그것이 마음을 상하게 하거니와 소원이 이루어지는 것은 곧 생명나무니라”(잠언 13:12). 솔로몬의 지혜를 담은 간결한 격언 중의 하나인 이 잠언에서 그는 “소망이 더디 이루어지면”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해 언급하면서, 간절히 바라는 어떤 소원이 더디 이루어지면 불안과 고통이 따를 수 있다고 이야기합니다. 그러나 우리가 바라는 소원이 이루어지면 생명나무와도 같이 우리의 기분을 상쾌하고 새롭게 해줍니다.
우리의 어떤 소망과 바라는 소원은 바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고, 또 어떤 것은 우리가 죽은 후에 하나님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습니다. 우리의 소원이 무엇이든, 우리는 하나님이 우리를 끊임없이 사랑하신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그분을 신뢰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언젠가 우리는 사랑하는 사람들을 다시 만나 하나님과 함께 잔치하며 그분께 감사하는 날을 맞게 될 것입니다 (요한계시록 19:6-9 참조).
오늘의 성구
잠언 13:12-19소망이 더디 이루어지면 그것이 마음을 상하게 하거니와 소원이 이루어지는 것은 곧 생명나무니라
[잠언 13:12]
당신은 이루어지지 못한 소원 때문에 마음이 아팠던 때가 있습니까?
그렇게 힘든 때에 하나님께서 당신을 어떻게 만나 주셨습니까?
창조주 하나님, 주님은 나의 가장 간절한 소원을 이루어주십니다.
나의 소망과 바라는 소원을 주께 아뢰니, 주님의 지혜와 사랑 안에서 이루어 주소서.
Daily Article
11/24/2022 THURSDAY
HOPES AND LONGINGS
During these times, praying and pondering the wisdom of the Bible has helped me, including one of King Solomon’s proverbs: “Hope deferred makes the heart sick, but a longing fulfilled is a tree of life” (PROVERBS 13:12). In this proverb, one of the pithy sayings through which Solomon shared his wisdom, he notes the effect that “hope deferred” can have: the delay of something much longed for can result in angst and pain. But when the desire is fulfilled, it’s like a tree of life—something that allows us to feel refreshed and renewed.
Some of our hopes and desires might not be fulfilled right away, and some might only be met through God after we die. Whatever our longing, we can trust in Him, knowing He loves us unceasingly. And, one day, we’ll be reunited with loved ones as we feast with Him and give thanks to Him (SEE REVELATION 19:6–9).
-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PROVERBS 13:12–19Hope deferred makes the heart sick, but a longing fulfilled is a tree of life.
[ PROVERBS 13:12 ]
When have you felt sick because of an unfulfilled longing?
How did God meet you in your time of need?
God our Creator, You fulfill my deepest longings.
I give You my hopes and my desires, asking You to grant them according to Your wisdom and love.
오늘의 말씀
11/23/2022 수요일
우리의 미래를 하나님께 맡기자
물론 하니츠는 그렇게 될 줄 몰랐고, 우리 모두 다 마찬가지입니다. 사람들은 미래를 미리 알아서 인생을 유리하게 조정하려고 해보지만, 전도서는 “앞으로 무슨 일이 일어날지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10:14, 현대인의 성경) 는 진실을 일깨워줍니다. 어떤 사람들은 자신이 아는 것보다 더 많이 안다고 잘못 생각하거나, 더 심한 경우 다른 사람의 삶이나 미래에 대해서 남다른 통찰력을 갖고 있다고 스스로 착각합니다. 그러나 전도서는 “나중에 일어날 일을 누가 그에게 알리리요”(14절)라고 날카롭게 질문합니다. 그럴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성경은 지혜로운 사람과 어리석은 사람을 대조하고 있는데, 이 둘을 구분하는 많은 것 중의 하나가 미래에 대한 겸손한 자세입니다(잠언 27:1). 현명한 사람은 결정을 내릴 때 하나님만이 미래에 일어날 일을 진실로 아신다는 사실을 인정하지만, 어리석은 사람들은 자신이 모르는 지식을 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에게 지혜가 있어서, 우리의 미래를 실제로 알고 계시는 유일하신 그분께 우리의 미래를 맡길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전도서 10:12-14사람은 장래 일을 알지 못하나니
[전도서 10:14]
당신은 어떤 부분에서 미래를 미리 알고 싶은 유혹을 느낍니까?
어떻게 하면 우리의 미래를 하나님께 더 잘 맡길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오늘 하나님을 순전하게 신뢰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1/23/2022 WEDNESDAY
TRUSTING OUR FUTURE TO GOD
Of course, Hanyecz couldn’t possibly have known. None of us could have. Despite our attempts to comprehend and control the future, Ecclesiastes rings true: “No one knows what is coming”
(10:14). Some of us delude ourselves into thinking we know more than we do, or worse, that we possess some special insight about another person’s life or future. But as Ecclesiastes pointedly asks: “who can tell someone else what will happen after them?” (V. 14). No one.
Scripture contrasts a wise and a foolish person, and one of the many distinctions between the two is humility about the future (PROVERBS 27:1). A wise person recognizes that only God truly knows what’s over the horizon as they make decisions. But foolish people presume knowledge that isn’t theirs. May we have wisdom, trusting our future to the only One who actually knows it.
- WINN COLLIER
Today's Reading
ECCLESIASTES 10:12–14No one knows what is coming.
[ ECCLESIASTES 10:14 ]
Where do you see temptation to control the future?
How can you better trust God with your coming days?
Dear God, help me to simply trust You today.
오늘의 말씀
11/22/2022 화요일
행함이 있는 믿음
야고보는 “행함이 없는 믿음은 죽은 것”(야고보서 2:26)이라고 말하면서, 어디로 가는지도 모르면서 하나님을 순종하며 따랐던 아브라함을 예로 듭니다 (23절; 창세기 12:1-4; 15:6; 히브리서 11:8 참조). 또 여리고 성을 정탐하러 왔던 정탐꾼을 숨겨주어 이스라엘의 하나님에 대한 믿음을 보여주었던 라합도 언급합니다(야고보서 2:25; 여호수아 2; 6:17 참조).
“사람이 믿음이 있노라 하고 행함이 없으면”(야고보서 2:14) 자신들에게 유익이 되지 않습니다. 매튜 헨리는 이렇게 주석합니다. “믿음은 뿌리이고 선행은 그 열매이다. 우리는 이 두 가지를 모두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아야 한다.” 하나님에게 우리의 선행이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우리의 믿음은 우리의 행위로 증명됩니다.
오늘의 성구
야고보서 2:14-26행함이 없는 믿음은 죽은 것이니라
[야고보서 2:26]
우리의 선한 행실이 왜 중요하다고 생각합니까?
사랑하는 하나님을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오늘 우리가 믿고 사랑하는 주님을 섬길 수 있게 하소서.
Daily Article
11/22/2022 TUESDAY
FAITH IN ACTION
James said that “faith without deeds is dead” (JAMES 2:26). He gives the example of Abraham, who in obedience followed God when he didn’t know where he was going (V. 23; SEE GENESIS 12:1–4; 15:6; HEBREWS 11:8). James also mentions Rahab, who showed her belief in the God of Israel when she hid the spies who came to check out the city of Jericho (JAMES 2:25; SEE JOSHUA 2; 6:17).
“If someone claims to have faith but has no deeds” (JAMES 2:14), it does them no good. “Faith is the root, good works are the fruits,” comments Matthew Henry, “and we must see to it that we have both.” God doesn’t need our good deeds, but our faith is proven by our actions.
- ANNE CETAS
Today's Reading
JAME S 2:14–26Faith without deeds is dead.
[ JAMES 2:26 ]
Why do you think it’s important that we do good deeds?
What can you do out of your love for God?
May I serve You out of my faith in You and love for You today, dear God.
오늘의 말씀
11/21/2022 월요일
책을 거꾸로 읽기
‘책을 거꾸로 읽기’의 저자 리차드 헤이는 성경을 이해하는 데 이 방법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줍니다. 헤이 교수는 성경의 말씀과 사건의 전개가 서로 어떤 복선과 반복과 암시가 있는지 설명하면서 성경을 앞뒤로 읽어야 할 이유를 제시합니다.
헤이는 파괴된 성전을 3일 만에 재건할 것이라는 예수님의 말씀을 제자들이 주님이 부활하신 ‘후’에야 이해했다는 사실을 독자들에게 상기시킵니다. 요한 사도는 그 말씀을 “예수는 성전된 자기 육체를 가리켜 말씀하신 것이라” (요한복음 2:21)고 뒤늦게 말합니다. 그들은 또 이전에는 전혀 이해하지 못했던 유월절 행사의 의미를 나중에야 이해할 수 있었고(마태복음 26:17-29 참조), 지난 날을 돌아보면서 어떻게 하나님의 전을 사모하는 고대 한 왕의 열심이 예수님을 통해 온전히 나타나게 되었는지를 떠올릴 수 있었습니다(시편 69:9; 요한복음 2:16-17). 하나님의 참된 성전(예수님 자신)에 비추어 성경을 다시 읽고 나서야 제자들은 이스라엘의 종교 의식과 메시아가 서로를 어떻게 조명해 주는지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지금도 똑같은 이 성경의 여러 내용들을 앞뒤로 읽을 때 비로소 우리가 필요로 하거나 갈망했던 모든 것들을 예수님 안에서 볼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2:13-22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나신 후에야 제자들이 예수께서 하신 말씀을 기억하고 믿었더라
[요한복음 2:22]
당신은 미래의 어떤 어려움들이 염려됩니까?
영원의 관점으로 읽음으로 가장 잘 이해되고 사랑받는 하나님의 이야기를 이해하고 믿는 것을 어떻게 배워가고 있습니까?
하늘에 계신 아버지, 저희가 살 동안 예측 못한 방법으로 하나님 존재의 경이로움을 드러내시는 하나님의 능력을 볼 수 있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11/21/2022 MONDAY
READING BACKWARDS
In Reading Backwards, author Richard Hays shows how important the practice is for our understanding of the Bible. By illustrating how the unfolding words and events of Scripture anticipate, echo, and throw light on one another, Professor Hays gives us reason to read our Bibles forward and backward.
Hays reminds readers that it was only after Jesus’ resurrection that His disciples understood His claim to rebuild a destroyed temple in three days. The apostle John tells us, “The temple he had spoken of was his body” (JOHN 2:21). Only then could they understand a meaning of their Passover celebration never before understood (SEE MATTHEW 26:17–29). Only in retrospect could they reflect on how Jesus gave fullness of meaning to an ancient king’s deep feelings for the house of God (PSALM 69:9; JOHN 2:16–17). Only by rereading their Scriptures in light of the true temple of God (Jesus Himself) could the disciples grasp how the ritual of Israel’s religion and Messiah would throw light on one another.
And now, only by reading these same Scriptures backward and forward, can we see in Jesus everything that any of us has ever needed or longed for.
- MART DEHAAN
Today's Reading
JOHN 2:13–22After he was raised from the dead, his disciples recalled what he had said.
[ JOHN 2:22 ]
What difficulties concern you about your future?
How are you learning to understand and believe God’s story that’s best understood and loved when read with eternity in view?
Father in heaven, thank You for letting me live long enough to see Your ability to show up and reveal the wonder of Your presence in ways I could not have foreseen.
오늘의 말씀
11/20/2022 주일
소크라테스 클럽
일반 대학에서 종교 논쟁을 하는 것이 드문 일은 아니지만, 놀라운 사실은 15년 동안 소크라테스 클럽을 이끌었던 사람이 바로 위대한 기독교 학자 C.S. 루이스였습니다. 기꺼이 자신의 생각을 시험해 보고자 했던 루이스는 그리스도를 믿는 신앙은 철저한 검증까지도 견뎌낼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그는 예수님을 믿는 신앙에 대한 확실하고 합리적인 증거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어떤 의미에서 루이스는 박해로 흩어진 신자들에게 베드로가 한 충고를 실천하고 있었습니다. 베드로는 그때 그들에게 이렇게 일깨워 주었습니다. “너희 마음에 그리스도를 주로 삼아 거룩하게 하고 너희 속에 있는 소망에 관한 이유를 묻는 자에게는 대답할 것을 항상 준비하되 온유와 두려움으로 하라”(베드로전서 3:15). 베드로는 두 가지 핵심을 말하고 있습니다. 그리스도에 대한 우리의 소망에는 충분한 이유가 있다는 것과, 그 이유에 대해서 “온유와 두려움”으로 표현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리스도를 믿는 것은 종교적 도피나 희망 사항이 아닙니다. 우리의 믿음은 예수님의 부활과 창조주 하나님을 증언하는 창조의 증거들을 포함하는 역사적 사실들에 근거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하나님의 지혜와 성령의 능력 안에 거하면서 위대하신 하나님을 믿는 이유를 서로 나눌 준비가 되어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베드로전서 3:13-18너희 속에 있는 소망에 관한 이유를 묻는 자에게는 대답할 것을 항상 준비하되
[베드로전서 3:15]
우리는 어떻게 다른 사람에게 우리의 믿음을 전할 수 있을까요?
예수님의 부활이 비록 명백한 기적이긴 하지만, 어떤 증거가 부활을 합리적으로 만들어 줄까요?
전능하신 하나님, 하나님에 대한 믿음을 뒷받침해 주는 믿을 만한 증거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11/20/2022 SUNDAY
THE SOCRATIC CLUB
Religious debate at a secular university isn’t unusual, but what is surprising is who chaired the Socratic Club for fifteen years—the great Christian scholar C. S. Lewis. Willing to have his thinking tested, Lewis believed that faith in Christ could stand up to great scrutiny. He knew there was credible, rational evidence for believing in Jesus.
In a sense, Lewis was practicing Peter’s advice to believers scattered by persecution when he reminded them, “In your hearts revere Christ as Lord. Always be prepared to give an answer to everyone who asks you to give the reason for the hope that you have. But do this with gentleness and respect” (1 PETER 3:15). Peter makes two key points: we have good reasons for our hope in Christ and we’re to present our reasoning with “gentleness and respect.”
Trusting Christ isn’t religious escapism or wishful thinking. Our faith is grounded in the facts of history, including the resurrection of Jesus and the evidence of the creation bearing witness to its Creator. As we rest in God’s wisdom and the strength of the Spirit, may we be ready to share the reasons we have for trusting our great God.
- BILL CROWDER
Today's Reading
1 PETER 3:13–18Always be prepared to give an answer to everyone . . . for the hope that you have.
[ 1 PETER 3:15 ]
How might you share your faith with someone?
What evidence for the resurrection of Jesus makes it reasonable, even though it’s clearly miraculous?
Almighty God, thank You for giving me credible evidence to support my faith in You.
오늘의 말씀
11/19/2022 토요일
우리를 잘 아시는 하나님
예수님을 믿는 사람들은 우리를 자세히 아시는 하나님의 보살핌을 받습니다. 시편 기자 다윗은 그분의 자녀들의 삶을 세심하게 지켜보시는 하나님을 이렇게 찬양했습니다. “여호와여 주께서 나를 살펴보셨으므로 나를 아시나이다 주께서 내가 앉고 일어섬을 아시고 멀리서도 나의 생각을 밝히 아시오며”(시편 139:1-2). 하나님은 우리가 누구인지를, 곧 우리의 모든 생각과 갈망과 행동을 아시기 때문에 우리가 그분의 풍성한 사랑과 보살핌의 테두리를 벗어나 갈 수 있는 곳은 아무데도 없습니다(7-12절). 다윗이 쓴 것처럼, “내가... 바다 끝에 가서 거주할지라도 거기서도 주의 손이 나를 인도하실”(9- 10절) 것입니다. 우리가 어느 곳에 살고 있든 기도로 하나님께 부르짖으면 우리에게 필요한 사랑과 지혜로 인도해 주실 거라는 사실을 알고 위안을 얻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39:1-12여호와여 주께서 나를 살펴보셨으므로 나를 아시나이다
[시편 139:1]
당신은 자신의 감정을 아무도 이해하지 못할 거라고 느낀 적이 있습니까? 그럴 때 하나님이 계시다는 사실이 어떤 도움과 격려가 됩니까?
사랑의 하나님, 우리는 자주 오해받고 또 외롭다고 느낍니다.
우리 삶 속에 하나님이 계시다는 것을 상기시켜 주시니 감사합니다.
그러는 사람이 아무도 없는 것처럼 보일 때라도 하나님께서 저희를 보시고 들으시고 사랑하신다는 것을 잘 압니다.
Daily Article
11/19/2022 SATURDAY
GOD KNOWS YOU
As believers in Jesus, we’re cared for by a God who knows us intimately. The psalmist David praised Him for His attentiveness to the lives of His children saying, “You have searched me, Lord, and you know me. You know when I sit and when I rise; you perceive my thoughts from afar” (PSALM 139:1–2). Because God knows who we are—our every thought, desire, and action—there’s nowhere we can go where we’re outside the bounds of His abundant love and care (VV. 7–12). As David wrote, “If I settle on the far side of the sea even there your hand will guide me” (VV. 9–10). We can find comfort knowing that no matter where we are in life, when we call out to God in prayer, He’ll offer us the love, wisdom, and guidance we need.
- KIMYA LODER
Today's Reading
PSALM 139:1–12You have searched me, Lord, and you know me.
[ PSALM 139:1 ]
When have you felt like no one else could understand how you were truly feeling? How does the reality of God’s presence help and encourage you during such times?
Loving God, many times I feel misunderstood and alone.
Thank You for reminding me of Your presence in my life.
I know You see me, hear me, and love me even when it seems like no one else does.
오늘의 말씀
11/18/2022 금요일
생각하며 기도하기
하나님은 베드로가 감옥에 갇혔던 경험을 통해서도 기도의 힘을 보여주셨습니다. 베드로 사도가 헤롯의 사람들에게 잡혀서 감옥에 갇혀 “군사 넷 씩인 네 패에 맡겨”(사도행전 12:4)졌을 때 그의 앞날은 캄캄해 보였습니다. 그러나 “교회는 그를 위하여 간절히 하나님께 기도했습니다”(5절). 교인들은 베드로를 생각하며 기도한 것입니다. 그러자 하나님께서 정말 기적적인 일을 행하셨습니다! 감옥에 있는 베드로에게 천사가 나타나 쇠사슬을 풀어주고 감옥문을 지나 안전한 곳으로 그를 인도해 준 것입니다(7-10절).
실제로 그렇게 하지 않으면서도 그냥 “생각하고 기도하겠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하나님 아버지는 우리의 생각을 아시고, 우리의 기도를 들으시며, 그분의 완벽한 뜻에 따라 우리를 위해 행하십니다. 우리가 위대하고 능력있는 하나님을 섬긴다면, 다른 사람들이 나를 위해 기도하고, 내가 다른 이들을 위해 기도하는 일은 결코 작은 일이 아닙니다.
오늘의 성구
사도행전 12:4-11베드로는 옥에 갇혔고 교회는 그를 위하여 간절히 하나님께 기도하더라
[사도행전 12:5]
누군가가 당신을 기억하고 당신을 위해 간절하게 기도했던 때가 마지막으로 언제였습니까?
당신도 오늘 누군가를 위해 그렇게 기도할 수 있습니까?
예수님, 주님께 모든 염려를 내려놓을 수 있고, 또 그것을 다 들어주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11/18/2022 FRIDAY
THOUGHTS AND PRAYERS
God demonstrated the power of prayer in Peter’s prison experience. After the apostle was seized by Herod’s men, thrown into prison, and then “guarded by four squads of four soldiers each” (ACTS 12:4), his prospects looked bleak. But “the church was earnestly praying to God for him” (V. 5). They had Peter in their thoughts and prayers. What God did is simply miraculous! An angel appeared to Peter in prison, released him from his chains, and led him to safety beyond the prison gates (VV. 7–10).
It’s possible some may use “thoughts and prayers” without really meaning it. But our Father knows our thoughts, listens to our prayers, and acts on our behalf according to His perfect will. To be prayed for and to pray for others is no small thing when we serve the great and powerful God.
- JOHN BLASE
Today's Reading
AC TS 12:4–11Peter was kept in prison, but the church was earnestly praying to God for him.
[ ACTS 12:5 ]
When was the last time you knew someone remembered you
and prayed earnestly for you? Who is someone you can pray that way for today?
Jesus, thank You that I can bring every care to You and that You listen.
오늘의 말씀
11/17/2022 목요일
빗나가지 말고 곧바로 전진!
시인은 참다운 안식과 기쁨은 사랑과 섬김을 통해 찾을 수 있다고 결론적으로 말하는데, 그것은 바울이 데살로니가 사람들에게 했던 격려를 떠올려 줍니다. 바울은 신자들이 “하나님께 합당하게 살아가도록” (데살로니가전서 2:12, 새번역) 격려하는 일에 자신이 부르심을 받았다고 하면서 그것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합니다.
그가 그리고 있는 삶의 모습은 조용한 가운데 성실하고 사랑하고 섬기는 그런 삶입니다. 바울은 하나님께서 “모든 사람에 대한 [그들의] 사랑이 더욱 많아 넘치게 하시기를”(3:12) 위해서 기도합니다. 그리고 예수님을 믿는 신자들에게 “조용하게 살기를 힘쓰고, 자기 일에 전념하고, 자기 손으로 일을 하라”(4:11, 새번역)고 권면합니다. 하나님이 우리에게 허락하신 모든 방법으로 조용히 사랑하고 섬기는 것, 바로 그 같은 삶이 사람들에게 아름다운 믿음의 삶을 보여주는 것입니다(12절).
그리고 시인은 진정한 기쁨은 “사랑하고 섬기는 것이니/가장 고귀하고 가장 좋은 것은/빗나가지 말고 곧바로 전진하는 것/그것이 참다운 안식이라” 고 말합니다.
오늘의 성구
데살로니가전서 3:11-13; 4:9-12자기 나라와 영광에 이르게 하시는 하나님께 합당히 행하게 하려함이라
[데살로니가전서 2:12]
하나님이 함께하심이 어떻게 진정한 기쁨을 경험하는데 도움을 줍니까?
하나님 나라에서는 안식과 섬김이 어떻게 하나가 될까요?
사랑의 하나님, 저희가 매일의 규칙적인 삶과 할 일들을 피하지 않고 하나님의 아름다움을 경험하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하나님과 함께하는 조용한 삶의 기쁨을 알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1/17/2022 THURSDAY
ONWARDS! UNSWERVING
The poet concludes that true rest and joy are both found through love and service—an idea that brings to mind Paul’s encouragement to the Thessalonians. After describing his calling to encourage believers “to live lives worthy of God” (1 THESSALONIANS 2:12), the apostle gives more specifics.
And the picture he paints of such a life is one of quiet integrity, love, and service. Paul prays that God would “make [their] love increase and overflow for each other and for everyone else” (3:12). And he urges believers in Jesus to “make it your ambition to lead a quiet life,” to “mind your own business and work with your hands” (4:11). It’s that kind of life, quietly loving and serving in whatever ways God has enabled us, that reveals to others the beauty of a life of faith (V. 12).
Or, as the writer puts it, true joy is “loving and serving / The highest and best; / ’Tis onwards! Unswerving— / And that is true rest.”
- MONICA LA ROSE
Today's Reading
1 THESS. 3:11–13; 4:9–12[We encouraged] . . . you to live lives worthy of God, who calls you into his kingdom and glory.
[ 1 THESSALONIANS 2:12 ]
How does God’s presence help you experience true joy?
How are rest and service united in God’s kingdom?
Loving God, thank You that I don’t need to avoid the duties and rhythms of daily life to experience Your beauty. Help me to know the joy of a quiet life lived with You.
오늘의 말씀
11/16/2022 수요일
경계를 늦추지 마십시오
이스라엘이 약속의 땅으로 들어갈 준비를 하고 있을 때 하나님은 그의 백성들이 경계를 늦추지 않고 조심하여 깨어 있기를 원하셨습니다. 그래서 그들에게 그분의 모든 “율례와 법도”(신명기 4:1-2)에 순종하고, 이전에 불순종한 자들을 심판하셨던 것을 기억하라고 명령하셨습니다(3-4절). 그들은 스스로를 성찰하고 내면의 삶을 살피면서 “조심할” 필요가 있었습니다(9절). 그렇게 했다면 그들이 외부의 영적 위험과 내부의 영적 무관심에 대한 경계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었을 것입니다.
우리는 경계심을 늦추고 무관심과 자기 기만에 빠지기 쉽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우리가 삶에서 넘어지지 않도록 힘을 주시고, 또 넘어질 때에는 그분의 은혜로 용서해 주십니다. 하나님을 따르고 그분의 지혜와 예비하심 안에 거한다면 우리는 경계를 늦추지 않는 가운데 올바른 결정들을 내릴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신명기 4:1-9스스로 삼가며 네 마음을 삼가 지키라
[신명기 4:9]
당신은 언제 영적 경계심을 늦추는 경향이 있습니까?
하나님의 지혜를 따르면서 신앙의 위험에 대한 경계심을 계속 유지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저희가 깨어 있어 사랑으로 순종하며 주님을 따를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1/16/2022 WEDNESDAY
KEEP YOUR GUARD UP
As Israel prepared to go into the promised land, God wanted His people to keep their guard up—to be careful and alert. So He commanded them to obey all His “decrees and laws” (DEUTERONOMY 4:1–2) and remember His past judgment on those who disobeyed (VV. 3–4). They needed to “be careful” to examine themselves and keep watch over their inner lives (V. 9). This would help them keep their guard up against spiritual dangers from without and spiritual apathy from within.
It’s easy for us to let our guard down and fall into apathy and self-deception. But God can give us strength to avoid falling in life and forgiveness by His grace when we do. By following Him and resting in His wisdom and provision, we can keep our guard up and make good decisions!
- MARVIN WILLIAMS
Today's Reading
DEUTERONOMY 4:1–9Be careful, and watch yourselves closely.
[ DEUTERONOMY 4:9 ]
When do you tend to let your spiritual guard down?
What will you do to follow God’s wisdom and remain alert to dangers to your faith?
Dear God, please help me to remain alert and follow You in loving obedien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