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10/06/2022     목요일

성경읽기: 이사야 26-27; 빌립보서 2
찬송가: 211(통346)

다른 미래를 내다보며

캔자스 주의 네오데샤라는 작은 마을에 사는 중고등학생들 삼백 여명 이 갑자기 소집된 학교 모임에 줄지어 들어갔습니다. 자리에 앉은 아이들은 이 마을과 유대가 있는 한 부부가 네오데샤 마을의 모든 학생들의 대학 등록금을 향후 25년간 대신 내주기로 했다는 믿을 수 없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학생들은 놀라고 너무나 기뻐 눈물을 흘렸습니다.

네오데샤 마을은 그동안 경제적으로 많이 침체되어 많은 가정에서 아이들 대학 학비 마련을 걱정하고 있었습니다. 이 선물은 세대에 걸쳐 마을을 바꿔놓을 중요한 사건으로, 기부자들은 그 선물이 현재의 가족들에게 즉시 영향을 주고, 또 다른 지역 사람들에게도 네오데샤로 이사 올 동기부여가 되기를 바랐습니다. 그들은 기부로 새로운 일자리와 활력이 생겨 완전히 달라질 미래의 마을 모습을 마음에 그리고 있습니다.

하나님은 그의 백성들이 자신의 급한 필요만 돌보지 말고 어려움을 겪는 이웃들의 앞날도 생각하는 넓은 마음을 원하셨습니다. 하나님은 “네 형제가 가난하게 되어 빈 손으로 있거든 너는 그를 도우라”(레위기 25:35)라고 명확하게 말씀하셨습니다. 관용은 기본적인 물질적 필요를 충족시켜 주는 것뿐 아니라 한 공동체로서 함께 살아갈 미래에 필요한 것을 고려하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그를 도와 동거인처럼 너와 함께 생활하게 하라”(35절)고 말씀하셨습니다.

가장 깊은 형태의 베풂은 달라진 미래를 상상하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지대하고 창의적인 자비하심은 우리들이 완전히 하나 되어 풍요롭게 함께 살게 될 그날을 향해 나아가도록 합니다.

오늘의 성구

레위기 25:35-37
너는 그를 도와... 너와 함께 생활하게 하되
[레위기 25:35]

관용은 어떻게 당면한 필요를 충족시키나요?
관용은 그것을 넘어 어떤 것을 보게 하나요?

하나님, 가장 기본적인 것들에 대해서도 관용을 베풀지 못하고 있습니다.
눈으로 보고 행동으로 옮기게 도우소서.

Daily Article

10/06/2022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ISAIAH 26–27; PHILIPPIANS 2
Hymn: 211(old 346)

ENVISIONING A DIFFERENT FUTURE

The three hundred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f the small town of Neodesha, Kansas, filed into a surprise school assembly. They then sat in disbelief upon hearing that a couple with ties to their town had decided to pay college tuition for every Neodesha student for the next twenty-five years. The students were stunned, overjoyed, and tearful.

Neodesha had been hard hit economically, which meant many families worried about how to cover college expenses. The gift was a generational game-changer, and the donors hoped it would immediately impact current families but also incentivize others to move to Neodesha. They envision their generosity igniting new jobs, new vitality—an entirely different future for the town.

God desired His people to be generous by not only tending to their own acute needs but also by envisioning a new future for their struggling neighbors. God’s directions were clear: “If any of your fellow Israelites become poor and are unable to support themselves among you, help them” (LEVITICUS 25:35). The generosity wasn’t only about meeting basic physical needs but also about considering what their future life together as a community would require. “Help them,” God said, “so they can continue to live among you” (V. 35).

The deepest forms of giving reimagine a different future. God’s immense, creative generosity encourages us toward that day when we’ll all live together in wholeness and plenty.
- WINN COLLIER

Today's Reading

LEVITICUS 25:35–37
Help them . . . so they can continue to live among you.
[ LEVITICUS 25:35 ]

How does generosity meet immediate needs?
How can it encourage you to also look further?

God, I struggle with being generous in the most basic ways.
Help me to see and act.

오늘의 말씀

10/05/2022     수요일

성경읽기: 이사야 23-25; 빌립보서 1
찬송가: 393(통447)

슬픔과 감사

어머니가 돌아가신 후 함께 암 치료를 받던 환자 한 분이 나에게 와서 “당신 어머니께서 저에게 너무 잘해 주셨어요.”라고 말하면서 “내가 먼저 가야 하는데... 가슴이 미어집니다”라며 울먹였습니다.

나는 “어머니는 당신을 사랑하셨고, 우리는 하나님께 당신이 아들들 자라는 걸 보게 해달라고 기도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녀의 손을 잡고 함께 눈물을 흘리며 하나님께 그녀의 슬픈 마음을 위로해 달라고 기도했습니다. 또한 그녀의 병이 호전되어 남편과 자라나는 두 자녀를 계속 사랑할 수 있도록 허락하신 하나님께 감사했습니다.

성경은 욥이 자녀와 재산을 모두 잃었을 때 그가 느꼈던 슬픔의 복합적인 모습을 보여줍니다. 욥은 심히 슬퍼하며 “땅에 엎드려 예배했습니다”(욥기 1:20). 미어지는 가슴에도 소망을 담아 순복하며 감사의 마음으로, “주신 이도 여호와시요 거두신 이도 여호와시니 여호와의 이름이 찬송을 받으실지니이다”(21 절)라고 고백했습니다. 욥은 나중에 슬픔 가운데 하나님이 그의 삶을 다시 일으키시는 과정을 온 힘으로 견뎌내야 했지만, 지금 이 순간만큼은 좋고 나쁜 모든 상황 위에 계시는 하나님의 권능을 받아들이고 기뻐했습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헤쳐나가는 여러 과정과 마음의 어려움을 이해하십니다. 주님은 우리를 진실되고 연약한 가운데 슬퍼하도록 하십니다. 슬픔의 끝이 보이지 않고 견딜 수 없어 보이더라도 하나님은 변하지 않으셨고 앞으로도 변치 않을 것이라고 말씀하십니다. 이 언약으로 하나님은 우리를 위로하시고 힘주시어 그분의 임재에 감사하게 하십니다.

오늘의 성구

욥기 1:13-22
주신 이도 여호와시요 거두신 이도 여호와시오니 여호와의 이름이 찬송을 받으실지니이다
[욥기 1:21]

당신은 어떤 큰 슬픔 가운데 하나님께 감사하였나요?
혼자라고 느끼거나 오해받아 슬픔 중에 있을 때 하나님은 어떻게 임재 하셨나요?

자비하신 하나님, 저를 아시고 모든 슬픈 과정을 헤쳐나갈 수 있도록 인도하여 주시니 감사드립니다

Daily Article

10/05/2022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ISAIAH 23–25; PHILIPPIANS 1
Hymn: 393(old 447)

GRIEVING AND GRATEFUL

After my mom died, one of her fellow cancer patients approached me. “Your mom was so kind to me,” she said, sobbing. “I’m sorry she died . . . instead of me.”

“My mom loved you,” I said. “We prayed God would let you see your boys grow up.” Holding her hands, I wept with her and asked God to help her grieve peacefully. I also thanked Him for her remission that allowed her to continue loving her husband and two growing children.

The Bible reveals the complexity of grief when Job lost almost everything, including all his children. Job grieved and “fell to the ground in worship” (JOB 1:20). With a heartbreaking and hopeful act of surrender and expression of gratitude, he declared, “The Lord gave and the Lord has taken away; may the name of the Lord be praised” (V. 21). While Job would struggle mightily later through his grieving and God’s rebuilding of his life, in this moment he accepted and even rejoiced in God’s authority over the good and bad situations.

God understands the many ways we process and struggle with emotions. He invites us to grieve with honesty and vulnerability. Even when sorrow seems endless and unbearable, God affirms that He hasn’t and won’t change. With this promise, God comforts us and empowers us to be grateful for His presence.
-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JOB 1:13–22
The Lord gave and the Lord has taken away; may the name of the Lord be praised.
[ JOB 1:21 ]

When have you experienced gratitude toward God while grieving a great loss?
How has God revealed His presence when you felt alone or misunderstood in your grief?

Compassionate God, thank You for knowing me and carrying me through every step of my grieving process.

오늘의 말씀

10/04/2022     화요일

성경읽기: 이사야 20-22; 에베소서 6
찬송가: 298(통35)

진정한 마음의 집

“기적의 개 바비”는 2,200 마일 떨어진 곳에서의 여름휴가 중 가족과 헤어지게 되었던 콜리 종의 개입니다. 가족들은 사랑하는 반려견을 찾아 사방을 헤맸지만 찾지 못하고 슬픈 마음으로 돌아와야 했습니다.

6개월이 지나 겨울이 끝나갈 무렵, 오리건주 실버톤의 집 문 앞에 바비가 덥수룩하지만 단호한 모습으로 나타났습니다. 바비는 강과 사막과 눈 덮인 산들을 넘어 길고도 험한 여정을 마치고 사랑하는 가족에게 돌아왔습니다.

바비의 이야기는 책과 영화로 만들어지고 마을의 벽화에도 그려졌습니다. 아마도 하나님께서 우리 속에 이보다 더 깊은 어떤 사모하는 마음을 심어 주셨기 때문인지, 바비의 헌신의 모습은 우리의 심금을 울립니다. 고대 신학자 어거스틴은 그것을 이렇게 표현했습니다. “주님은 당신을 위해 우리를 만드셨습니다. 우리 마음은 당신 안에서 안식할 때까지 쉼을 얻지 못합니다.” 이와 같이 갈망하는 마음은 다윗이 유다 광야에서 추격자들을 피해 숨어 절망 가운데 드린 간절한 기도에도 나타납니다. “하나님이여 주는 나의 하나님이시라 내가 간절히 주를 찾되 물이 없어 마르고 황폐한 땅에서 내 영혼이 주를 갈망하며 내 육체가 주를 앙모하나이다”(시편 63:1).

다윗은 주님의 “인자하심이 생명보다 나으므로”(3절) 하나님을 찬양 했습니다. 하나님을 아는 것과 비길 것은 없습니다! 하나님은 예수님을 통해 우리를 찾으시고, 우리가 전에 얼마나 멀리 있었는지 상관없이 주님의 완벽한 사랑이 있는 집으로 돌아올 수 있는 길을 열어주셨습니다. 하나님께 돌아오면 거기에 우리 마음의 참된 집이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63
내 육체가 주를 앙모하나이다
[시편 63:1]

언젠가 예수님을 만날 때 당신이 가장 기대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오늘 어떤 방법으로 주님을 찾으시렵니까?

예수님, 주님의 삶과 십자가에서의 죽음, 부활을 통해 하나님께 갈 수 있는 길을 열어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10/04/2022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ISAIAH 20–22; EPHESIANS 6
Hymn: 298(old 35)

OUR HEART’S TRUE HOME

“Bobbie the Wonder Dog” was a collie mix separated from his family while they were on a summer vacation together more than 2,200 miles from home. The family searched everywhere for their beloved pet but returned heartbroken without him.

Six months later, toward the end of winter, a scraggly but determined Bobbie showed up at their door in Silverton, Oregon. Bobbie somehow made the long and dangerous trek, crossing rivers, desert, and snow-covered mountains to find his way home to those he loved.

Bobbie’s quest inspired books, movies, and a mural in his hometown. His devotion strikes a chord within, perhaps because God has placed an even deeper longing in our hearts. Ancient theologian Augustine described it this way: “You have made us for yourself, and our hearts are restless until they rest in you.” This same longing was desperately yet eloquently expressed by David in a prayer as he hid from his pursuers in Judah’s wilderness: “You, God, are my God, earnestly I seek you; I thirst for you, my whole being longs for you, in a dry and parched land where there is no water” (PSALM 63:1).

David praised God because His “love is better than life” (V. 3). Nothing compares with knowing Him! Through Jesus, God has sought us out and made the way for us to come home to His perfect love—regardless of how distant we once were. As we turn to Him, we find our heart’s true home.
- JAMES BANKS

Today's Reading

PSALM 63
My whole being longs for you.
[ PSALM 63:1 ]

What do you look forward to most about one day seeing Jesus?
In what ways will you seek Him today?

Jesus, thank You for making the way for me to come to You through Your life, death on the cross, and resurrection.

오늘의 말씀

10/03/2022     월요일

성경읽기: 이사야 17-19; 에베소서 5:17-33
찬송가: 204(통379)

거울 테스트

“거울 안에 누가 있나요?” 자기 인식 테스트를 진행하는 심리학자들이 아이들에게 물었습니다. 18개월이 안된 아이들은 대개 거울 속 모습이 자기라는 걸 모릅니다. 그러나 자라면서 아이들은 그것이 자신의 모습이라는 것을 알게 됩니다. 자기 인식은 건강한 성장과 성숙의 중요한 척도입니다.

이것은 예수님을 믿는 신자들의 성장에 있어서도 중요합니다. 야고보는 거울 인식 테스트의 개념을 설명해줍니다. 거울은 하나님께서 주신 “진리의 말씀”입니다(야고보서 1:18). 우리가 성경을 읽을 때 무엇을 보게 되나요? 사랑과 겸손을 설명하는 성경에서 우리는 자신을 보게 되나요? 하나님이 명령하신 것을 읽을 때 우리 자신의 행실을 돌아보게 되나요? 우리가 자신의 마음과 행실을 돌아볼 때, 성경은 그 행실이 하나님의 뜻에 맞는지, 아니면 회개하고 달라져야 하는지를 알게 해줍니다.

야고보는 우리에게 성경을 읽기만 하고 돌아서서 잊어버려 “자신을 속이는 자”(22절)가 되지 말라고 경고합니다. 성경은 하나님의 계획대로 지혜롭게 살 수 있게 해주는 지도책입니다. 우리가 성경을 읽고 묵상하고 깊이 이해할 때, 우리의 마음을 들여다볼 수 있는 눈과 달라질 수 있는 힘을 달라고 주님께 간구하십시오.

오늘의 성구

야고보서 1:22-27
자유롭게 하는 온전한 율법을 들여다보고 있는 자는... 이 사람은 그 행하는 일에 복을 받으리라
[야고보서 1:25]

성경이라는 거울 안에 무엇이 보이나요?
당신에게는 어떤 변화가 필요합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성경을 제 삶과 동기와 행실을 비추는 거울로 삼게 하소서.

Daily Article

10/03/2022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ISAIAH 17–19; EPHESIANS 5:17–33
Hymn: 204(old 379)

MIRROR TEST

“Who’s in the mirror?” the psychologists conducting the self-recognition test asked children. At eighteen months or younger, children don’t usually associate themselves with the image in the mirror. But as kids grow, they can understand they’re looking at themselves. Self-recognition is an important mark of healthy growth and maturation.

It’s also important to the growth of believers in Jesus. James outlines a mirror recognition test. The mirror is “the word of truth” from God (JAMES 1:18). When we read the Scriptures, what do we see? Do we recognize ourselves when they describe love and humility? Do we see our own actions when we read what God commands us to do? When we look into our hearts and test our actions, Scripture can help us recognize if our actions are in line with what God desires for us or if we need to seek repentance and make a change.

James cautions us not to just read Scripture and turn away “and so deceive [ourselves]” (V. 22), forgetting what we’ve taken in. The Bible provides us with the map to live wisely according to God’s plans. As we read it, meditate on it, and digest it, we can ask Him to give us the eyes to see into our heart and the strength to make necessary changes.
- KATARA PATTON

Today's Reading

JAMES 1:22–27
Whoever looks intently into the perfect law that gives freedom, and continues in it . . . will be blessed in what they do.
[ JAMES 1:25 ]

What do you see when you look into the mirror of Scripture?
What changes do you need to make?

Dear God, please help me use Scripture as a mirror into my life, my motives, and my actions.

오늘의 말씀

10/02/2022     주일

성경읽기: 이사야 14-16; 에베소서 5:1-16
찬송가: 299(통418)

하나님의 온유한 은혜

시인 에밀리 디킨슨은 “모든 진실을 말하되 다른 말로 적절히 바꾸어 전하라”고 썼습니다. 하나님의 진리와 영광은 “너무나 눈부셔”서 연약한 인간이 한 번에 다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없기 때문에, 하나님의
은혜와 진리를 듣고 전할 때에는 온유하고 완곡하게 “적절한 말로 바꾸어” 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했습니다. 왜냐하면 “진리의 강한 빛을 갑자기 받으면 누구나 눈이 멀게 되기 때문”입니다.

바울 사도가 에베소서 4장에서 성도들에게 “모든 겸손과 온유로 하고 오래 참음으로 사랑 가운데서 서로 용납하라”(2절)고 권면한 것도 이와 같은 취지였습니다. 바울은 믿는 자들이 온유와 은혜로 서로를 대하는 것은 예수님께서 우리를 은혜로 대하셨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예수님은 이 땅에 오셔서(9-10절) 사람들이 그를 믿고 영접할 수 있도록 조용하고 온유하게 자신을 나타내셨습니다.

그리고 예수님은 지금도 그런 온유한 사랑으로 다가와 그의 백성이 계속 성장하고 성숙하는데 필요한 은사와 능력을 주십니다. “이는 성도를 온전하게 하여 봉사의 일을 하게 하며 그리스도의 몸을 세우려 하심이라 우리가 다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 것과 아는 일에 하나가 되어 온전한 사람을 이루어 그리스도의 장성한 분량이 충만한 데까지 이르”(12-13절)게 하기 위함입니다. 우리는 성장해 가면서 예수님 외의 다른 곳에서 희망을 찾는 연약함 대신(14절) 더 확신을 가지고 예수님의 온유한 사랑의 본보기를 따르게 됩니다(15-16절).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4:2-15
모든 겸손과 온유로 하고 오래 참음으로 사랑 가운데서 서로 용납하고
[에베소서 4:2]

어떻게 하나님의 은혜와 진리를 온유하고 완곡한 방법으로 경험하셨습니까?
다른 사람들과 사귈 때 주님처럼 온유하게 대하면 어떤 도움이 될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주님의 선하심과 은혜와 진리를 온유하게 보여주시니 감사드립니다.
사랑으로 돌보시는 주님을 믿고 인내와 안식을 얻게 하소서.

Daily Article

10/02/2022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ISAIAH 14–16; EPHESIANS 5:1–16
Hymn: 299(old 418)

GOD’S GENTLE GRACE

“Tell all the truth but tell it slant,” the poet Emily Dickinson wrote, suggesting that, because God’s truth and glory is far “too bright” for vulnerable human beings to understand or receive all at once, it’s best for us to receive and share God’s grace and truth in “slant”—gentle, indirect—ways. For “the Truth must dazzle gradually / Or every man be blind.”

The apostle Paul made a similar argument in Ephesians 4 when he urged believers to be “completely humble and gentle” and to “be patient, bearing with one another in love” (V. 2). The foundation for believers’ gentleness and grace with each other, Paul explained, is Christ’s gracious ways with us. In His incarnation (VV. 9–10), Jesus revealed Himself in the quiet, gentle ways people needed in order to trust and receive Him.

And He continues to reveal Himself in such gentle, loving ways— gifting and empowering His people in just the ways they need to continue to grow and mature—“so that the body of Christ may be built up until we all reach unity in the faith and in the knowledge of the Son of God and become mature” (VV. 12–13). As we grow, we become less vulnerable to looking elsewhere for hope (V. 14) and more confident in following Jesus’ example of gentle love (VV. 15–16).
- MONICA LA ROSE

Today's Reading

EPHESIANS 4:2–15
Be completely humble and gentle; be patient, bearing with one another in love.
[ EPHESIANS 4:2 ]

How have you experienced God’s grace and truth in gentle, indirect ways?
How can His gentle ways help you relate to others?

Dear God, thank You for the gentle ways You reveal Your goodness, grace, and truth to me.
Help me to find patience and rest as I trust in Your loving care.

오늘의 말씀

10/01/2022     토요일

성경읽기: 이사야 11-13; 에베소서 4
찬송가: 84(통96)

열매를 보라

“진짜 주인공[사람 이름], 일어나 주세요.” 이 말은 ‘진실을 말하다’ 라는 쇼 프로그램의 끝에 가서 늘 듣는 대사입니다. 네 명의 연예인 패널이 각자 자기가 진짜 주인공이라고 주장하는 세 명의 출연자에게 질문을 합니다. 물론 둘은 가짜이고 실제 인물을 가려내는 것은 패널의 몫입니다. 한 에피소드에서는 패널이 “루돌프 사슴 코”의 작사가인 “진짜 죠니 마크스”를 찾아내야 했습니다. 연예인 패널은 아무리 좋은 질문을 해도 누가 누군지 맞추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알게 되었습니다. 가짜 출연자들은 속임수로 진실을 꾸며 대어 TV 쇼를 재미있게 했습니다.

재미로 보는 TV 게임과는 완전히 다른 이야기이지만, “거짓 선지자들” 을 가려내는 것도 이처럼 어려운 일이고, 중요함에서는 비교도 되지 않습니다. “사나운 늑대”는 흔히 “양의 옷”을 입고 우리에게 다가옵니다. 예수님은 아무리 지혜 있는 사람이라도 이들을 “조심하라”고 주의를 주십니다(마태복음 7:15). 바르게 분별하려면 좋은 질문보다는 정확한 눈이 더 필요합니다. 그들의 열매를 보십시오. 그 열매로 가짜를 구분하게 될 것입니다(16-20절).

성경 말씀의 도움으로 좋은 열매와 나쁜 열매를 알아낼 수 있습니다. 좋은 열매는 “사랑과 희락과 화평과 오래 참음과 자비와 양선과 충성과 온유와 절제”(갈라디아서 5:22-23)입니다. 늑대는 속임수를 쓰기 때문에 자세히 보아야 합니다. 성령으로 충만한 우리 믿는 사람들은 “은혜와 진리가 충만한”(요한복음 1:14) 진정 선한 목자를 섬깁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7:15-20
그들의 열매로 그들을 알리라
[마태복음 7:16]

양의 탈을 쓴 늑대를 만난 적이 있습니까?
“열매를 보라”는 테스트를 거기에 적용해 본다면 어떤 모습이 보입니까?

선한 목자 되신 주님, 저에게 좋은 열매를 알아낼 수 있는 눈과 귀를 주소서.

Daily Article

10/01/2022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ISAIAH 11–13; EPHESIANS 4
Hymn: 84(old 96)

LOOK AT THE FRUIT

“Will the real [person’s name] please stand up?” That’s the familiar line at the end of the game show To Tell the Truth. A panel of four celebrities asks questions of three individuals claiming to be the same person. Of course, two are impostors, but it’s up to the panel to discern the actual person. In one episode, the celebrities tried to guess “the real Johnny Marks,” who wrote the lyrics to “Rudolph the Red-Nosed Reindeer.” The celebrities found out how difficult it was to figure out who’s who, even when asking good questions. Impostors finagled the truth, which made for entertaining television.

Discerning who’s who when it comes to “false teachers” is a far cry from television game show antics, but it can be equally as challenging and is infinitely more important. The “ferocious wolves” often come to us in “sheep’s clothing,” and Jesus warns even the wise among us to “watch out” (MATTHEW 7:15). The best test is not so much good questions, but good eyes. Look at their fruit, for that’s how you’ll recognize them (VV. 16–20).

Scripture gives us assistance in seeing good and bad fruit. The good looks like “love, joy, peace, forbearance, kindness, goodness, faithfulness, gentleness and self-control” (GALATIANS 5:22–23). We’ve got to pay close attention, for wolves play by deception. But as believers, who are filled with the Spirit, we serve the real Good Shepherd, “full of grace and truth” (JOHN 1:14).
- JOHN BLASE

Today's Reading

MAT THEW 7:15–20
By their fruit you will recognize them.
[ MATTHEW 7:16 ]

When have you met a wolf in sheep’s clothing?
Apply the “look for the fruit” test to that experience and now what do you see?

Great Shepherd, give me eyes and ears to look and listen for good fruit.

오늘의 말씀

09/30/2022     금요일

성경읽기: 이사야 9-10; 에베소서 3
찬송가: 415(통471)

우리가 돌아가 의지할 곳

고등학교 시절 잭은 여유로운 태도와 운동 실력으로 모두의 부러움을 샀습니다. 한 손으로 스케이트보드를 잡고 다른 한 손은 균형을 잡기 위해 쭉 뻗은 채 하프파이프 (스케이트보드용 U형 구조물 : 역자 주) 위 공중으로 날아오른 잭은 가장 행복해 보였습니다.

동네에 있는 교회에 다니면서 그는 예수님을 따르기로 결심했습니다. 그렇게 결심할 때까지 잭은 심각한 가족 문제로 힘들어했고 그 아픔을 잊고자 약물을 복용한 적도 있습니다. 예수를 믿고 한동안은 모든 일이 잘 되어가는 것 같았습니다. 그러나 몇 년 후 다시 약물을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적절한 도움과 지속적인 치료도 못 받은 채 그는 결국 약물 과다 복용으로 사망하고 말았습니다.

우리는 어려움이 닥칠 때 자기가 친숙한 쪽에 의지하기 쉽습니다. 이스라엘 민족은 닥쳐올 앗수르의 공격을 두려워하고 있을 때 그들의 노예 시절 주인이던 애굽 사람들에게 도움을 청했습니다(이사야 30:1–5). 하나님은 그들이 이 일로 곤욕을 치르게 될 것이라고 예상하셨지만, 잘못된 선택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이스라엘 백성들을 보살펴 주셨습니다. 이사야는 하나님의 마음을 이렇게 전합니다 “여호와께서 기다리시나니 이는 너희에게 은혜를 베풀려 하심이요 일어나시리니 이는 너희를 긍휼히 여기려 하심이라”(18절).

이것이 하나님의 성품이십니다. 우리가 고통을 피하고자 다른 곳을 찾아 헤맬 때에도 하나님은 우리를 기다리시는 분입니다. 하나님은 우리를 돕고자 하십니다. 우리가 중독적인 습관으로 상처 입는 것을 원치 않으십니다. 어떤 물질이나 행동을 통해 순간의 안식을 맛볼 수도 있겠지만, 하나님께서는 우리가 그분과 가까이 동행할 때 진정한 치유를 베풀기를 원하십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30:12-18
여호와께서 기다리시나니 이는 너희에게 은혜를 베풀려 하심이요 [이사야 30:18]

실패를 겪을 때 주님의 은혜를 인정하는 것이 왜 중요할까요? 당신은 어떻게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그분처럼 신실할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저를 죄의 굴레에서 자유롭게 하소서. 다른 곳에서 안식을 찾으려는 유혹에 빠질 때 주님을 의지하는 용기를 주소서.

Daily Article

09/30/2022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ISAIAH 9–10; EPHESIANS 3
Hymn: 415(OLD 471)

WHERE TO TURN

Everyone in high school admired Jack’s easygoing attitude and athletic skill. He was happiest in midair above a half-pipe ramp—one hand holding his skateboard, the other stretched out for balance.

Jack decided to follow Jesus after he started attending a local church. Up to that point, he’d endured significant family struggles and had used drugs to medicate his pain. For a while after his conversion, things seemed to be going well for him. But years later he started using drugs again. Without the proper intervention and ongoing treatment, he eventually died of an overdose.

It’s easy to turn back to what’s familiar when we face difficulty. When the Israelites felt the distress of an upcoming Assyrian attack, they crawled back to the Egyptians—their former slave masters—for help (ISAIAH 30:1–5). God predicted that this would be disastrous, but He continued to care for them although they made the wrong choice. Isaiah voiced God’s heart: “The Lord longs to be gracious to you; therefore he will rise up to show you compassion” (V. 18).

This is God’s attitude toward us, even when we choose to look elsewhere to numb our pain. He wants to help us. He doesn’t want us to hurt ourselves with habits that create bondage. Certain substances and actions tempt us with a quick sense of relief, but God wants to provide authentic healing as we walk closely with Him. - JENNIFER BENSON SCHULDT

Today's Reading

ISAIAH 30:12–18
The Lord longs to be gracious to you. [ ISAIAH 30:18 ]

Why is it important to recognize God’s grace in times of failure? How can you better mirror God’s faithfulness in your relationship with Him?

Dear God, please set me free from sinful patterns. Help me to turn to You when I’m tempted to find relief in something else.

오늘의 말씀

09/29/2022     목요일

성경읽기: 이사야 7-8; 에베소서 2
찬송가: 465(통523)

커피콩 담았던 그릇

나는 커피를 마시지 않지만, 커피콩의 향을 맡으면 위로와 애틋함을 동시에 느끼곤 합니다. 딸 멜리사가 10대였을 때 자신의 방을 따뜻하고 기분 좋은 냄새가 스며들도록 커피콩을 그릇에 가득 담아두어 자신만의 독특한 향이 나는 침실로 꾸몄습니다.

멜리사가 17세에 차 사고로 이 땅에서의 삶을 마감한 후로 거의 20년이 지났지만, 우리는 아직도 멜리사의 커피콩 담았던 그릇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것은 우리와 함께 했던 멜리사의 생을 지속적으로 향기롭게 기억하게 해 줍니다.

성경도 향기를 암시의 상징으로 사용합니다. 아가서에서 향기를 남녀 간 사랑의 상징이라고 말합니다(1:3; 4:11,16 참조). 호세아서는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을 용서하시는 것을 “그의 향기는 레바논 백향목 같으리니”라고 말합니다(호세아 14:6). 마리아가 예수님의 발에 향유를 부어 형제자매의 집을 향유 냄새로 가득히 채웠던(요한복음 12:3) 일은 예수님의 죽음을 미리 암시했습니다(7절 참조).

향기라는 말은 주변 사람들에게 우리의 신앙 간증이 생각나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바울은 이것을 “우리는 구원받는 자들에게나 망하는 자들에게나 하나님 앞에서 그리스도의 향기니”라고 설명했습니다(고린도후서 2:15).

커피콩 향기가 내게 멜리사를 떠오르게 하듯, 우리의 삶이 예수의 향기를 퍼뜨려 다른 사람들도 자신들이 예수님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깨닫게 되기를 기원합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2:1-7
우리는... 하나님 앞에서 그리스도의 향기니 [고린도후서 2:15]

당신은 오늘 누군가에게 어떻게 “그리스도의 향기”가 되시겠습니까? 당신의 삶이 어떻게 다른 사람들에게 구세주의 임재를 느끼게 합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제가 주님을 드러내는 사람임을 다른 사람들이 알 수 있도록 삶의 향기가 풍기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9/29/2022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ISAIAH 7–8; EPHESIANS 2
Hymn: 465(OLD 523)

THE COFFEE-BEAN BOWL

I’m not a coffee drinker, but one sniff of coffee beans brings me a moment of both solace and wistfulness. When our teenage daughter Melissa was making her bedroom uniquely hers, she filled a bowl with coffee beans to permeate her room with a warm, pleasant scent.

It’s been nearly two decades since Melissa’s earthly life ended in a car accident at age seventeen, but we still have that coffeebean bowl. It gives us a continual, aromatic remembrance of Mell’s life with us.

Scripture also uses fragrances as a reminder. Song of Songs refers to fragrances as a symbol of love between a man and a woman (SEE 1:3; 4:11, 16). In Hosea, God’s forgiveness of Israel is said to be “fragrance like a cedar of Lebanon” (HOSEA 14:6). And Mary’s anointing of Jesus’ feet, which caused the house of Mary and her siblings to be “filled with the fragrance of the perfume” (JOHN 12:3), pointed ahead to Jesus’ death (SEE V. 7).

The idea of fragrance can also help us be mindful of our testimony of faith to those around us. Paul explained it this way: “We are to God the pleasing aroma of Christ among those who are being saved and those who are perishing” (2 CORINTHIANS 2:15).

Just as the scent of coffee beans reminds me of Melissa, may our lives produce a scent of Jesus and His love that reminds others of their need of Him. - DAVE BRANON

Today's Reading

JOHN 12:1–7
We are to God the pleasing aroma of Christ. [ 2 CORINTHIANS 2:15 ]

How can you be “the fragrance of Christ” to someone today? How has your life caused others to sense the presence of the Savior?

Dear heavenly Father, help me to pass along an aroma of life that makes others know I represent You.

오늘의 말씀

09/28/2022     수요일

성경읽기: 이사야 5-6; 에베소서 1
찬송가: 268(통202)

마음에서 나오는 것들

“노아의 방주 작전”이라는 이름의 구조 작전은 동물 애호가들에게는 재미있게 들릴지 모르지만 나쏘 동물 학대 방지 협회에게는 악몽 이었습니다. 어떤 집에서 나는 소음과 지독한 악취에 대한 민원을 접수 받고, 인부들은 롱아일랜드의 한 집에 들어가 방치되어 있던 400여 마리의 동물들을 발견해 데리고 나왔습니다.

우리가 더러운 환경에서 수백 마리의 동물을 방치하고 있지는 않겠지만, 예수님께서는 우리가 마음에 품고 있을지 모르는 악하고 나쁜 생각과 행동은 드러내어 제거할 필요가 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예수님이 제자들에게 무엇이 사람을 깨끗하게 하고 더럽게 하는지 가르치실 때, 사람을 더럽게 하는 것은 더러운 손이나 “입에 들어가는 모든 것”이 아니라 악한 마음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마태복음 15:17-19). 우리 마음의 악취는 결국 우리 삶에서 배어 나올 것입니다. 그리고 예수님은 “마음에서”(19 절) 나오는 악한 생각과 행동들을 예를 들어 말씀하셨습니다. 아무리 많은 형식적인 종교 활동과 예식으로도 그 악한 생각과 행동들을 깨끗하게 만들 수 없습니다. 우리의 마음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하나님이 필요합니다.

우리는 예수님의 내면을 뒤집는 가르침을 실천하기 위해 그분께 우리 마음의 추한 모습을 보여주어서 그 악취를 일으키는 원인을 제거하시게 해야 합니다. 그리스도께서 우리 마음에서 나오는 것들을 드러내실 때 그분은 우리의 말과 행동이 예수님을 닮을 수 있도록 도우실 것이며 그로 말미암아 풍기는 우리 삶의 향기는 그분을 기쁘게 할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15:12-20
마음에서 나오는 것은 악한 생각과 살인과 간음과 음란과 도둑질과 거짓 증언과 비방이니 [마태복음 15:19]

당신이 마음 속을 자주 점검해보는 것이 왜 중요합니까? 어떻게 하나님의 도움을 구할 수 있습니까?

사랑의 하나님, 저의 마음은 심히 악합니다. 오직 주님만이 그것을 다 아시고 그 안에 있는 악을 제거하실 수 있습니다.

Daily Article

09/28/2022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ISAIAH 5–6; EPHESIANS 1
Hymn: 268(OLD 202)

OUT OF THE HEART

A rescue mission nicknamed “Operation Noah’s Ark” might sound fun for animal lovers, but it was a nightmare for the Nassau Society for the Prevention of Cruelty to Animals. After receiving complaints about the noise and the horrid stench coming from a certain house, workers entered the Long Island home and found (and later removed) more than four hundred animals from their neglected conditions.

We may not be holding hundreds of animals in filthy conditions, but Jesus said we might be harboring evil and sinful thoughts and actions in our hearts that need to be exposed and removed.

In teaching His disciples about what makes a person clean and unclean, Jesus said it isn’t dirty hands or “whatever enters the mouth” that defiles a person, but an evil heart (MATTHEW 15:17–19). The stench from our hearts will eventually leak out from our lives. Then Jesus gave examples of evil thoughts and actions that come “out of the heart” (V. 19). No amount of external religious activities and rituals can make them clean. We need God to transform our hearts.

We can practice Jesus’ inside-out ethic by giving Him access to the squalor of our hearts and letting Him remove what’s causing the stench. As Christ uncovers what’s coming from our hearts, He’ll help our words and actions be aligned with His desires, and the aroma from our lives will please Him. - MARVIN WILLIAMS

Today's Reading

MATTHEW 15:12–20
Out of the heart come evil thoughts—murder, adultery, sexual immorality, theft, false testimony, slander. [ MATTHEW 15:19 ]

Why is it important to take frequent inventory of your heart? How can you seek God’s help?

Loving God, my heart is desperately wicked. Only You can fully know it and remove the evil that’s in it.

오늘의 말씀

09/27/2022     화요일

성경읽기: 이사야 3-4; 갈라디아서 6
찬송가: 380(통424)

우리의 미래를 위한 하나님의 도움

심리학자 메그 제이에 따르면, 우리는 자신의 미래를 우리가 전혀 모르는 사람의 미래처럼 생각한다고 합니다. 왜 그럴까요? 그것은 소위 “공감의 격차” 때문일 것입니다. 우리가 개인적으로 잘 알지 못하는 사람들을 공감하고 배려하는 일은 쉽지 않습니다. 그것은 미래의 우리 자신의 모습을 보아도 마찬가지입니다. 이 심리학자는 그래서 젊은이들이 미래의 자신들의 모습을 상상하면서 준비할 수 있게 도와주는 논문을 썼습니다. 이 논문에는 젊은이들이 미래에 소망하는 삶을 위해 자신의 꿈을 쫓기 위한 길을 닦고 계속해서 힘차게 살아 나가면서 실행 가능한 계획을 세우는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시편 90편은 우리에게 “우리의 날을 세는 법을 가르쳐 주셔서 지혜의 마음을 얻도록”(12절, 새번역) 하나님께 도움을 구하라고 하면서, 우리의 현재 삶 뿐만 아니라 우리 생애 전체를 바라보라고 권면합니다. 이 땅에서 우리의 시간이 제한되어 있다는 사실을 기억한다면 하나님을 의지해야만 하는 절박한 필요를 생각하게 될 것입니다. 우리는 지금 이 시간 동안만이 아니라 “평생 동안” 만족과 기쁨을 누리는 방법을 배우기 위해 주님의 도우심이 필요합니다(14 절). 우리 자신만이 아니라 미래 세대를 위해서도 그분의 도우심이 필요합니다 (16절). 또 우리의 손과 마음이 하는 일처럼 우리가 주어진 날 동안 주님을 잘 섬기기 위해서도 그분의 도우심이 필요합니다(17절).

오늘의 성구

시편 90:12-17
아침에 주의 인자하심이 우리를 만족하게 하사 우리를 일생 동안 즐겁고 기쁘게 하소서 [시편 90:14]

당신의 미래 모습을 위해 지금 어떻게 성장해야 할까요? 당신의 삶에 대해 더 큰 모습을 보는 것이 다른 사람들을 더 잘 섬기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될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생명을 선물로 주셔서 감사합니다. 저에게 주신 시간을 소중히 여기도록 도와주세요. 이 땅에서 주님과의 동행이 끝날 때 주님과 영원한 교제를 기대할 수 있으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9/27/2022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ISAIAH 3–4; GALATIANS 6
Hymn: 380(OLD 424)

GOD’S HELP FOR OUR FUTURE

According to psychologist Meg Jay, our minds tend to think about our future selves similarly to how we think about complete strangers. Why? It’s probably due to what’s sometimes called the “empathy gap.” It can be hard to empathize and care for people we don’t know personally—even future versions of ourselves. So in her work, Jay tries to help young people imagine their future selves and take steps to care for them. This includes working out actionable plans for who they will one day be—paving the way for them to pursue their dreams and to continue to thrive.

In Psalm 90, we’re invited to see our lives not just in the present, but as a whole—to ask God to help us “number our days, that we may gain a heart of wisdom” (V. 12). Remembering that our time on earth is limited can remind us of our desperate need to rely on God. We need His help to learn how to find satisfaction and joy—not just now, but “all our days” (V. 14). We need His help to learn to think not just of ourselves, but of future generations (V. 16). And we need His help to serve Him with the time we’ve been given—as He establishes the work of our hands and hearts (V. 17). - MONICA LA ROSE

Today's Reading

PSALM 90:12–17
Satisfy us in the morning with your unfailing love, that we may sing for joy and be glad all our days. [ PSALM 90:14 ]

How might you grow in taking care of your future self? How does keeping the bigger picture of your life in view help you to better serve others?

Dear God, thank You for the gift of life. Help me to cherish it with the time I’ve been given. Thank You that when my walk with You on earth is over, I can look forward to an eternity of fellowship with You.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