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9/16/2022     금요일

성경읽기: 잠언 25-26; 고린도후서 9
찬송가: 180(통168)

할렐루야!

놀랍게도 작곡가 헨델이 ‘메시아’ 오라토리오를 관현악곡으로 작곡하는데 불과 24일 밖에 걸리지 않았습니다. 오늘날 전 세계에서 해마다 수천 번씩 연주되는 가장 유명한 음악 작품입니다. 이 웅장한 음악은 곡을 시작해서 거의 두 시간이 지나서야 이 오라토리오의 가장 유명한 부분 “할렐루야 합창”이 나오면서 클라이맥스를 이룹니다.

트럼펫과 팀파니가 합창의 시작을 알리면 합창단이 “세세토록 왕 노릇하시리로다”라는 요한계시록 11장 15절의 가사를 교대로 각 파트가 노래하며 합창이 진행됩니다. 이것은 예수님과 함께 할 영원한 천국을 소망하는 승리의 선언입니다.

‘메시아’에 나오는 대부분의 가사는 요한 사도가 삶의 끝자락에서 보았던 그리스도의 재림으로 절정에 달하는 환상을 묘사한 요한계시록에서 나온 것입니다. 요한계시록에서 요한은 부활하신 예수님께서 합창단의 노래와 함께 커다란 기쁨 가운데 이 땅에 재림하신다는 주제를 거듭 언급했습니다 (19:1-8). 예수님이 흑암과 사망의 권세를 이기고 평강의 나라를 세우시면 온 세상은 기뻐할 것입니다.

언젠가 천국의 모든 백성들이 웅장한 성가대가 되어 함께 노래하며 예수님의 위엄과 그의 영원한 통치의 축복을 선포하게 될 것입니다 (7:9) . 그날까지 우리는 살면서 일하고 기도하며 소망을 가지고 기다립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계시록 11:15-18
그가 세세토록 왕 노릇 하시리로다 [요한계시록 11:15]

예수님께서 이 땅을 다스리기 위해 재림하시는 것이 지금 당신에게 어떻게 희망을 줍니까? 어떤 노래가 예수님의 위엄을 생각나게 하며 용기를 줍니까?

예수님, 속히 오셔서 이 땅에 당신의 통치를 이루소서.

Daily Article

09/16/2022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PROVERBS 25–26; 2 CORINTHIANS 9
Hymn: 180(OLD 168)

HALLELUJAH!

Astonishingly, it took Handel only twenty-four days to write the orchestral music for the Messiah oratorio—today perhaps the world’s most famous musical composition, one performed thousands of times every year around the world. The magnificent work reaches its climax nearly two hours after it begins with the most famous part of the oratorio, the “Hallelujah Chorus.”

As the trumpets and timpani announce the beginning of the chorus, voices layer on top of each other as the choir sings the words of Revelation 11:15: “And he shall reign for ever and ever.” It’s a triumphant declaration of the hope of eternity in heaven with Jesus.

Many of the words in Messiah come from the book of Revelation, the apostle John’s account of a vision he had near the end of his life describing events culminating with the return of Christ. In Revelation, John returned again and again to the theme of the return of the resurrected Jesus to earth—when there would be great rejoicing with the sound of choirs (19:1–8) . The world will rejoice because Jesus will have defeated the powers of darkness and death and established a kingdom of peace.

One day, all the people of heaven will sing together in a magnificent choir proclaiming the majesty of Jesus and the blessing of His forever reign (7:9) . Until then, we live, work, pray, and wait in hope. - LISA M. SAMRA

Today's Reading

REVELATION 11:15–18
He will reign for ever and ever. [REVELATION 11:15]

How does the return of Jesus to reign over the earth provide you with hope now? What songs encourage you with reminders of the majesty of Jesus?

Come quickly, Jesus, to establish Your reign over the earth.

오늘의 말씀

09/15/2022     목요일

성경읽기: 잠언 22-24; 고린도후서 8
찬송가: 221(통525)

내가 속한 곳

하나님의 구원 사역의 위대함을 기념하고 기억하는 유대 전통 명절인 유월절을 기념하는 식사가 끝날 무렵, 교인들은 함께 원을 만들어 춤을 추며 기쁨을 표현했습니다. 배리는 뒤에 서서 큰 미소를 지으며 바라보았습니다. 그리고 자신이 이런 시간을 얼마나 좋아하는지 이렇게 말했습니다. “이들은 이제 내 가족이며 내가 속한 공동체입니다. 나는 내가 사랑하고 사랑 받을 수 있는, 내가 속한 곳을 찾았습니다.”

어린 시절 배리가 겪었던 혹독한 정신적, 신체적 학대는 그의 기쁨을 앗아갔습니다. 그러나 지역 교회는 그를 반갑게 맞이하여 그에게 예수님을 소개했습니다. 교회 공동체에서 기쁨을 준다는 것을 알게 된 그는 그리스도를 따르기 시작했고 자신이 교회에서 사랑 받고 받아들여짐을 느꼈습니다.

시편 133편에서 다윗 왕은 강렬한 이미지를 사용해 하나님의 백성이 “선하고 기쁘게” 하나가 될 때 그 힘이 멀리까지 미치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이것은 마치 옷깃으로 흘러내리는 보배로운 기름을 부음 받은 사람 같다고 말했습니다(2절). 기름 부음은 고대 세계에서 흔한 일이었고, 때로 누군가의 집을 방문할 때 하는 인사 같은 것이었습니다. 다윗은 또한 이렇게 하나 됨을 생명과 복을 가져다 주는, 산에 내린 이슬에 비유했습니다(3절).

기름의 향기는 방을 채우고 이슬은 건조한 곳에 수분을 공급합니다. 이처럼 하나 됨도 외로운 이들을 따뜻하게 맞아주는 것과 같은 선하고 기쁨이
되는 힘이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우리를 통해 선을 이루실 수 있도록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 되기를 구합시다.

오늘의 성구

시편 133
보라 형제가 연합하여 동거함이 어찌 그리 선하고 아름다운고 [시편 133:1]

당신은 공동체에서 하나 됨을 본 적이 있습니까? 교회 안에서 당신이 잘 모르는 사람에게 어떻게 다가갈 수 있습니까?

예수님, 제가 받아들이기 쉬운 이들뿐만 아니라 불편하게 느껴지는 이들에게도 주님의 사랑을 보일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9/15/2022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PROVERBS 22–24; 2 CORINTHIANS 8
Hymn: 221(OLD 525)

WHERE I BELONG

At the end of a meal to mark Passover, a traditional Jewish holiday that celebrates and remembers the greatness of God’s saving work, church members expressed their joy by dancing together in a circle. Barry stood back, watching with a huge smile. He remarked how much he loved these occasions, saying,“This is my family now. This is my community. I’ve found somewhere where I know I can love and be loved . . . where I belong.”

In his childhood, Barry suffered cruel emotional and physical abuse, robbing him of his joy. But his local church welcomed him and introduced him to Jesus. Finding their unity and joy infectious, he began following Christ and felt loved and accepted.

In Psalm 133, King David used powerful images to illustrate the far-reaching effects of the “good and pleasant” unity of God’s people. He said it’s like someone who is anointed with precious oil, the liquid running down over their collar (V. 2). This anointing was common in the ancient world, sometimes as a greeting when one entered a home. David also compared this unity to the dew that falls on the mountain bringing life and blessing (V. 3).

Oil releases a fragrance that fills a room and dew brings moisture to dry places. Unity too has good and pleasant effects such as welcoming those who are alone. Let’s seek to be united in Christ so that God can bring about good through us. -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PSALM 133
How good and pleasant it is when God’s people live together in unity! [ PSALM 133:1 ]

When have you seen unity at work in your community? + How could you reach out to someone you don’t know at your church?

Jesus, help me to show Your love, not only to those I find easy to accept but also to those I find challenging.

오늘의 말씀

09/14/2022     수요일

성경읽기: 잠언 19-21; 고린도후서 7
찬송가: 190(통177)

분쟁하지 않는 나라

1858년 6월 16일, 일리노이주 공화당 상원의원 후보로 새로이 지명된 에이브러햄 링컨은 유명한 “분쟁하는 집”이라는 연설을 했습니다. 그것은 노예제도를 놓고 미국의 여러 당파 간의 갈등을 보여주는 내용이었습니다. 이 연설은 링컨을 지지하는 자와 반대하는 자 모두에게 논란을 일으켰습니다. 링컨은 마태복음 12장 25절에서 예수님이 말씀하신 “분쟁하는 집”의 비유가 널리 알려져 있고 이해하기 쉽게 표현되었기 때문에 그 비유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는 이 비유를 사용해 “그 시대의 위기를 깨닫도록 사람들의 정곡을 찔렀던 것”입니다.

분쟁하는 집은 설 수 없지만, 반대로 분쟁하지 않는 집은 연합해 일어납니다. 그것이 바로 하나님의 가족 공동체(에베소서 2:19)의 원래 모습 입니다. 비록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지만, 예수님이 십자가에서 죽으심으로 우리는 서로 더불어 하나님과 화목하게 되었습니다(14-16절). 이 진리의 관점에서(에베소서 3장 참조) 바울은 예수님을 믿는 자들에게 “평안의 매는 줄로 성령이 하나 되게 하신 것을 힘써 지키라”(4:3)고 가르칩니다.

오늘날 가족이나 믿음의 동료들처럼 본래 연합된 사람들이 고조된 긴장감으로 분쟁할 때, 하나님은 성령의 도움을 통해 서로 연합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지혜와 힘을 주십니다. 이로 인해 우리는 어둡고 분열된 세상에서 빛이 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2:17-22
스스로 분쟁하는 동네나 집마다 서지 못하리라
[마태복음 12:25]

하나님은 어떻게 당신을 들어 “가족을 평화롭게 하는 자”로 사용하십니까? 인간관계로 인한 긴장과 분쟁에 대처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성경 구절은 무엇입니까?

예수님, 저에게 모든 이들과 화평하는 삶을 살 수 있는 지혜와 용기와 힘을 주소서.

Daily Article

09/14/2022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PROVERBS 19–21; 2 CORINTHIANS 7
Hymn: 190(OLD 177)

A HOUSE UNDIVIDED

On June 16, 1858, as the newly nominated Republican candidate for the US Senate from Illinois, Abraham Lincoln delivered his famous “House Divided” speech, which highlighted the tensions between various factions in America regarding slavery. It caused a stir among Lincoln’s friends and foes. Lincoln felt it was important to use the “house divided” figure of speech which Jesus used in Matthew 12:25 because it was widely known and simply expressed. He used this metaphor “so it would strike home to the minds of men in order to rouse them to the peril of the times.”

While a divided house can’t stand, the implied opposite can—an undivided house stands unified. In principle, that’s what the household of God is designed to be (EPHESIANS 2:19). Though made up of people from various backgrounds, together we’ve been reconciled to God (and each other) through Jesus’ death on the cross (VV. 14–16). In view of this truth (SEE EPHESIANS 3), Paul offers this instruction to believers in Jesus: “Make every effort to keep the unity of the Spirit through the bond of peace” (4:3).

Today, when heightened tensions threaten to divide people who are otherwise united, such as our families and fellow believers, God can give the wisdom and strength needed to keep unity with one another through the help of the Spirit. This will cause us to be light in a dark, divided world.- ARTHUR JACKSON

Today's Reading

EPHESIANS 2:17–22
Every city or household divided against itself
will not stand. [ MATTHEW 12:25 ]

How could God use you to be a “family peacemaker”? What Scripture passages could help you counter relational tension and fracture?

Jesus, please grant me wisdom, courage, and strength to live in ways that demonstrate reconciliation with all people.

오늘의 말씀

09/13/2022     화요일

성경읽기: 잠언 16-18; 고린도후서 6
찬송가: 515(통256)

고래 이야기

마이클이 바닷물 속에 들어가 바닷가재를 잡는 중 혹등고래가 나타나 그를 집어삼켜버렸습니다. 자신을 쥐어짜듯 압박해 오는 고래의 근육을 어둠 속에서 밀어내면서 이제 죽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고래는 바닷가재 잡는 어부는 취향이 아니었는지 30초 만에 마이클을 공중으로 뱉어 냈습니다. 놀랍게도 마이클의 뼈는 하나도 부러지지 않았습니다. 단지 몸 전체에 넓게 자리 잡은 멍들과 굉장한 고래 이야기 하나가 남았을 뿐이었습니다.

고래에 잡혀 먹힌 사람은 그가 처음은 아니었습니다. “큰 물고기” (요나 1:17)가 요나를 삼켰고 그 뱃속에서 3일 동안 있었습니다(1:17; 2:10). 우연히 잡혀 먹힌 마이클과 달리 요나는 이스라엘의 원수들을 미워하여 그들이 회개하는 것을 원하지 않았기 때문에 삼켜져 버린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요나에게 니느웨로 가서 외치라고 하셨을 때 그는 다른 방향으로 가는 배를 탔습니다. 그래서 하나님은 그를 경고하기 위해 고래만한 큰 물고기를 보내셨습니다.

요나가 왜 앗수르인을 미워했는지 이해가 됩니다. 그들은 과거에 이스라엘을 괴롭혔고, 50년 뒤 이스라엘의 북방 지파들을 포로로 끌고 가서 그들이 영원히 사라지게 했습니다. 앗수르가 용서받을지 모른다는 사실에 요나의 마음이 상했던 것은 당연합니다.

요나는 세상 만민들의 하나님보다 오직 하나님의 백성 이스라엘 사람들에게 더 충성했던 것입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이스라엘의 원수까지도 사랑하여서 그들을 구원하기를 원하셨습니다. 물론 하나님은 우리의 원수들도 사랑하시므로 그들을 구원하기를 원하십니다. 우리 모두 예수의 복음을 들고 우리 뒤에서 불어오는 성령의 바람과 함께 우리 원수들을 향하여 항해해 갑시다.

오늘의 성구

요나 2:1-10
여호와께서 그 물고기에게 말씀하시매 요나를 육지에 토하니라 [요나 2:10]

당신은 예수님을 따라야 할 사람이 누구인지 아십니까? 그들에 대한 사랑을 어떻게 키울 수 있습니까?

예수님, 주님께서 사랑하신 것처럼 저의 원수를 사랑할 수 있는 방법을 보여주시옵소서.

Daily Article

09/13/2022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PROVERBS 16–18; 2 CORINTHIANS 6
Hymn: 515(OLD 256)

WHALE OF A STORY

Michael was diving for lobster when a humpback whale caught him in its mouth. He pushed back in the darkness as the whale’s muscles squeezed against him. He thought he was done. But whales don’t prefer lobstermen, and thirty seconds later the whale spit Michael into the air. Amazingly, Michael had no broken bones—only extensive bruises and one whale of a story.

He wasn’t the first. Jonah was swallowed by “a huge fish” (JONAH 1:17), and he stayed in its belly for three days before being vomited onto land (1:17; 2:10). Unlike Michael, who was caught by accident, Jonah was swallowed because he hated Israel’s enemies and didn’t want them to repent. When God told Jonah to preach in Nineveh, he caught a boat going the other way. So God sent a whale-sized fish to get his attention.

I appreciate why Jonah hated the Assyrians. They’d harassed Israel in the past, and within fifty years they’d carry the northern tribes into captivity where they’d vanish forever. Jonah was understandably offended that Assyria might be forgiven.

But Jonah was more loyal to the people of God than to the God of all people. God loved Israel’s enemies and wanted to save them. He loves our enemies and wants to save them. With the wind of the Spirit at our backs, let’s sail toward them with the good news of Jesus. - MIKE WITTMER

Today's Reading

JONAH 2:1–10
The Lord commanded the fish, and it vomited Jonah onto dry land. [ JONAH 2:10 ]

Who do you know that needs to follow Jesus? How might you increase your love for them?

Jesus, please show me how to love my enemies as You love them.

오늘의 말씀

09/12/2022     월요일

성경읽기: 잠언 13-15; 고린도후서 5
찬송가: 395(통450)

주님의 이름을 믿음

어렸을 때 학교에 가는 것이 두려웠던 때가 있었습니다. 몇몇 여자아이들이 심한 장난을 치며 나를 괴롭혔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쉬는 시간이 되면 도서관에 숨어서 기독교 동화책 시리즈를 읽곤 했습니다. 나는 “예수” 라는 이름을 처음 읽었을 때를 기억합니다. 왜 그랬는지 아무튼 예수라는 말이 나를 사랑하는 사람의 이름이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그 후 몇 달 동안 나는 닥쳐올 괴롭힘이 두려워 학교 문에 들어갈 때마다 “예수님, 저를 보호해 주세요”라고 기도했습니다. 주님이 나를 지켜보고 계시다는 것을 알았기에 더 강하고 침착해졌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여자아이들은 나를 괴롭히다 못해 싫증을 내고 그만두었습니다.

많은 세월이 흘렀지만 주님의 이름에 대한 믿음은 어려운 시기에 언제나 나를 지탱해 주고 있습니다. 주님의 이름을 믿는다는 것은 주님이 자신의 성품에 대해 말씀하신 것이 사실임을 믿는 것이며, 그로 인해 나는 주님 안에서 쉼을 얻습니다.

다윗 역시 하나님의 이름을 믿음으로 안전함을 느꼈습니다. 시편 9편을 쓸 때 그는 이미 공의롭고 신실하시며 전능한 통치자이신 하나님을 경험했던 것입니다(7-8, 10, 16절). 따라서 다윗은 자신의 무기나 군사 기술을 신뢰하지 않고 궁극적으로 “압제를 당하는 자의 요새”(9절)로 나타나시는 하나님 안에서 원수와의 전쟁에 임함으로써 하나님의 이름을 믿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어린 소녀였던 나는 주님의 이름을 불렀고 주님이 그 부름에 어떻게 대답하셨는지 경험했습니다. 우리를 사랑하시는 예수라는 오직 한 분의 이름을 항상 신뢰하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9:7-12
주의 이름을 아는 자는 주를 의지하오리니 [시편 9:10]

어떤 어려움이 당신을 힘들게 했습니까? 예수의 이름을 묵상하는 것이 어떻게 그분에 대한 신뢰를 쌓게 합니까?

하늘에 계신 아버지, 하나님이 어떤 분이신지를 제게 가르쳐 주셔서 어떤 상황에도 하나님을 결코 의심하지 않게 해주소서.

Daily Article

09/12/2022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PROVERBS 13–15; 2 CORINTHIANS 5
Hymn: 395(OLD 450)

TRUST IN HIS NAME

As a child, there was a time I dreaded going to school. Some girls were bullying me by subjecting me to cruel pranks. So during recess, I’d take refuge in the library, where I read a series of Christian storybooks. I remember the first time I read the name “Jesus.” Somehow, I knew that this was the name of someone who loved me. In the months that followed, whenever I’d enter school fearful of the torment that lay ahead, I’d pray, “Jesus, protect me.” I’d feel stronger and calmer, knowing He was watching over me. In time, the girls simply grew tired of bullying me and stopped.

Many years have passed, and trusting His name continues to sustain me through difficult times. Trusting His name is believing that what He says about His character is true, allowing me to rest in Him.

David, too, knew the security of trusting in God’s name. When he wrote Psalm 9, he’d already experienced God as the all-powerful ruler who is just and faithful (VV. 7–8, 10, 16). David thus showed his trust in God’s name by going into battle against his enemies, trusting not his weapons or military skill, but in God ultimately coming through for him as “a refuge for the oppressed” (V. 9).\

As a little girl, I called on His name and experienced how He lived up to it. May we always trust His name—Jesus—the name of the One that loves us. - KAREN HUANG

Today's Reading

PSALM 9:7–12
Those who know your name trust in you. [ PSALM 9:10 ]

What challenges have been troubling you? How does meditating on Jesus’ name build your trust in Him?

Heavenly Father, teach me who You are, so that I never have reason to doubt You in any circumstance I face.

오늘의 말씀

09/11/2022     주일

성경읽기: 잠언 10-12; 고린도후서 4
찬송가: 269(통211)

비통함을 뛰어넘는 긍휼한 마음

그렉 로드리게즈는 2001년 9월 11일 세계무역센터가 무너졌을 때 잔해 속에서 사망한 희생자 중 한 사람이었습니다. 그의 어머니 필리스와 아버지는 몹시 슬펐지만 이러한 끔찍한 공격에 어떻게 반응해야 할지 심사숙고했습니다. 2002년에 필리스는 테러리스트를 도운 혐의로 기소된 한 남성의 어머니인 아이챠 엘 와피를 만났습니다. 필리스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나는 두 팔을 벌려 그 어머니에게 다가갔습니다. 우리는 서로 껴안고 울었어요... 아이챠와 나 사이에는 직접적인 연결고리가 있었습니다... 우리 둘 다 아들로 인해 고통을 받았던 것이지요.”

필리스는 비슷한 고통과 슬픔을 겪고 있는 아이챠를 만났습니다. 필리스는 그 당시 상황에서 아들의 죽음에 대해 분노하는 것이 당연했지만 그것으로 자신의 괴로움을 치유할 수 없다고 믿었습니다. 아이챠 가족의 이야기를 들은 필리스는 그들을 단지 원수로 여기고 싶은 유혹을 뿌리치고 긍휼한 마음을 가졌습니다. 필리스는 정의를 원했지만 우리가 부당한 대우를 받았을 때 종종 우리를 사로잡는 복수의 유혹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믿었습니다.

바울 사도도 이러한 믿음을 갖고 우리에게 “모든 악독과 노함과 분냄을... 모든 악의와 함께 버리라”(에베소서 4:31)고 권면했습니다. 우리가 이런 파괴적인 힘을 버리면 하나님의 영은 새로운 관점에서 우리의 마음을 채워 주십니다. 바울은 “서로 친절하게 하며 불쌍히 여기라“(32절)고 말합니다. 분노로 가득 찬 복수를 하지 않고도 잘못을 바로잡을 수 있습니다. 성령님이여 우리가 비통함을 뛰어넘는 긍휼한 마음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4:25-32
너희는 모든 악독과 노함과 분냄과... 모든 악의와 함께 버리고 [에베소서 4:31]

무엇이 당신을 비통함, 격분과 분노에 사로잡히게 합니까? 하나님께서 당신이 복수심 대신 긍휼한 마음을 갖고 살도록 어떻게 도와주실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세상에는 잘못된 것이 너무나 많습니다. 부디 저에게 비통함보다는 긍휼한 마음을 주시옵소서.

Daily Article

09/11/2022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PROVERBS 10–12; 2 CORINTHIANS 4
Hymn: 269(OLD 211)

COMPASSION OVER BITTERNESS

When the World Trade Center towers fell on September 11, 2001, Greg Rodriguez was one of the victims who died in the wreckage. As his mother, Phyllis, and his father grieved, they also carefully considered their response to such a horrific attack. In 2002, Phyllis met Aicha el-Wafe, the mother of one of the men accused of helping the terrorists. Phyllis said she “approached her and opened my arms. We embraced and cried. . . . For Aicha and me, there was an immediate bonding. . . . We both suffered on account of our sons.”

Phyllis met Aicha amid shared pain and sorrow. Phyllis believed that fury over her son’s death, appropriate as it was, could not heal her anguish. Listening to Aicha’s family story, Phyllis felt compassion, resisting the temptation to view them merely as enemies. She desired justice, but believed we must release the temptation to seek revenge that often grips us when we’ve been wronged.

The apostle Paul shared this conviction, admonishing us to “get rid of all bitterness, rage and anger . . . along with every form of malice” (EPHESIANS 4:31). As we relinquish these destructive powers, God’s Spirit fills us with new perspective. “Be kind and compassionate to one another,” Paul says (V. 32). It’s possible to work for wrongs to be made right while also refusing rageful vengeance. May the Spirit help us show compassion that overcomes bitterness. - WINN COLLIER

Today's Reading

EPHESIANS 4:25–32
Get rid of all bitterness, rage and anger. [ EPHESIANS 4:31 ]

Where have you been held captive by bitterness, rage, or anger? How can God help you live out compassion rather than vengeance?

Dear God, there’s so much wrong in the world. Please give me compassion instead of bitterness.

오늘의 말씀

09/10/2022     토요일

성경읽기: 잠언 8-9; 고린도후서 3
찬송가: 96(통94)

특별한 시대

비기독교인으로 삶의 대부분을 살았음에도 불구하고 로마 황제 콘스탄티누스(AD 272-337)는 기독교인에 대한 조직적인 박해를 중단시키는 개혁을 단행했습니다. 그는 또한 우리가 지금 사용하고 있는 달력을 제정해서 모든 역사를 기원전 (그리스도 이전)과 기원후 (주님의 시대)로 나누었습니다.

그런데 이 체계를 세속화하려는 움직임에 따라 그 명칭들이 보통 시대 (CE; Common Era)와 그 이전 시대(BCE; before the Common Era)로 바뀌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이것도 세상이 어떻게 우리를 하나님으로부터 멀어지게 하는지에 대한 한 예라고 지적합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언제나 우리와 함께 계십니다. 이름에 관계없이, 우리의 달력은 여전히 이 땅에 오신 예수님의 삶을 중심으로 하고 있습니다.

성경에서 에스더서는 하나님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는 점에서 이례적입니다. 그러나 그 책의 이야기는 하나님의 구원에 관한 것입니다. 고국에서 추방된 유대인들은 하나님께 무관심한 나라에서 살았습니다. 막강한 정부 관리가 그들을 모두 죽이려고 했습니다(에스더 3:8-9,12-14). 그러나 하나님은 왕비 에스더와 그 사촌 모르드개를 통해 그의 백성을 구원해주셨습니다. 이 이야기는 오늘날까지 부림절이라는 유대인의 명절로 아직도 기념되고 있습니다(9:20-32).

세상이 하나님께 어떻게 반응하고 있는지와 상관없이 예수님은 모든 것을 바꾸셨습니다. 그분은 우리에게 진정한 소망과 약속으로 가득 찬 특별한 시대를 보여주셨습니다. 우리가 해야 할 일이 있습니다. 주위를 둘러보십시오. 우리는 그분을 보게 될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에스더 9:20-23,29-32
유대인이 자기들이 이미 시작한 대로 또한 모르드개가 보낸 글대로 계속하여 행하였으니 [에스더 9:23]

당신은 하나님의 흔적이 “지워진 것”처럼 보이는 상황을 어떻게 대처하시겠습니까? 오늘날 어떤 방법으로 하나님을 볼 수 있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역사를 바꾸시는 하나님의 아들 예수님의 존재를 감사드립니다.

Daily Article

09/10/2022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PROVERBS 8–9; 2 CORINTHIANS 3
Hymn: 96(OLD 94)

UNCOMMON ERA

Despite living much of his life as a pagan, the Roman emperor Constantine (AD 272–337) implemented reforms that stopped the systematic persecution of Christians. He also instituted the calendar we use, dividing all of history into bc (before Christ) and ad (anno Domini, or “in the year of the Lord”).

A move to secularize this system has changed the labels to ce (Common Era) and bce (before the Common Era). Some people point to this as yet another example of how the world keeps God out.

But God hasn’t gone anywhere. Regardless of the name, our calendar still centers itself around the reality of Jesus’ life on earth.

In the Bible, the book of Esther is unusual in that it contains no specific mention of God. Yet the story it tells is one of God’s deliverance. Banished from their homeland, the Jewish people lived in a country indifferent to Him. A powerful government official wanted to kill them all (ESTHER 3:8–9, 12–14). Yet through Queen Esther and her cousin Mordecai, God delivered His people, a story still celebrated to this day in the Jewish holiday of Purim (9:20–32).

Regardless of how the world chooses to respond to Him now, Jesus changed everything. He introduced us to an uncommon era—one full of genuine hope and promise. All we need to do is look around us. We’ll see Him.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ESTHER 9:20–23, 29–32
The Jews agreed to continue the celebration they had begun, doing what Mordecai had written to them. [ ESTHER 9:23 ]

How do you react to instances where it seems like God is being “banished”? In what ways do you see Him today?

Father, thank You for the history-changing reality of Your Son, Jesus.

오늘의 말씀

09/09/2022     금요일

성경읽기: 잠언 6-7; 고린도후서 2
찬송가: 610(통289)

천국에서 다시 만남

어머니의 부고 기사를 쓸 때, ‘죽었다’는 표현은 우리에게 약속된 천국에 가서 다시 만난다는 소망을 생각하면 마지막이라는 너무 부정적인 느낌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나는 이렇게 썼습니다. “어머니가 예수님의 팔에 안기셨습니다.” 그래도 아직 나는 최근에 찍은, 어머니가 빠진 가족사진들을 보고 며칠 동안 슬픔에 잠기기도 합니다. 그런데 얼마 전, 가족 초상화에 돌아가신 가족들을 포함해 그리는 화가를 만났습니다. 그 화가는 우리보다 먼저 간 사랑하는 가족들의 사진을 보고 살아 있는 가족들과 함께 그들을 그려 넣습니다. 그 화가는 천국 재회에 대한 하나님의 약속을 붓으로 표현하는 것입니다. 내 옆에서 웃는 어머니를 다시 볼 생각에 감사의 눈물을 흘렸습니다.

바울 사도는 예수님을 믿는 사람들은 “소망 없는 다른 이와 같이” (데살로니가전서 4:13) 슬퍼할 필요가 없다고 말합니다. “우리가 예수께서 죽으셨다가 다시 살아나심을 믿을진대 이와 같이 예수 안에서 자는 자들도 하나님이 그와 함께 데리고 오시리라”(14절). 바울 사도는 예수님의 재림을 인정하고 모든 신자가 예수님과 다시 만날 것이라고 선포합니다(17절).

사랑하는 가족을 잃고 슬퍼할 때 천국에서 다시 만나게 되리라는 하나님의 약속으로 우리는 위로를 받습니다. 또한 예수님이 이 땅에 다시 오시거나 우리를 주님의 품으로 부르실 때까지 영생을 기대함으로 우리는 부활하신 왕과의 약속된 미래에 대한 영원한 소망을 가집니다.

오늘의 성구

데살로니가전서 4:13-18
우리가 항상 주와 함께 있으리라 [데살로니가전서 4:17]

하나님께서 어떻게 천국에서 다시 만날 약속으로 슬픔 속에 있는 당신을 위로하셨나요? 천국에서의 재회 약속은 왜 당신에게 큰 소망이 되나요?

사랑의 구세주, 주님께서 저를 본향으로 부르시거나 이 땅에 다시 오실 때까지 다른 사람들과 나눌 수 있는 영원한 소망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9/09/2022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PROVERBS 6–7; 2 CORINTHIANS 2
Hymn: 610(OLD 289)

A HEAVENLY REUNION

When writing my mom’s obituary, I felt that the word died seemed too final for the hope I had in our promised reunion in heaven. So, I wrote: “She was welcomed into the arms of Jesus.” Still, some days I grieve when looking at the more current family photos that don’t include my mom. Recently, though, I discovered a painter who creates family portraits to include those we’ve lost. The artist uses the photos of loved ones who have gone before us to paint them into the picture of the family. With strokes of a paintbrush, this artist represents God’s promise of a heavenly reunion. I shed grateful tears at the thought of seeing my mom smiling by my side again.

The apostle Paul affirms that believers in Jesus don’t have to grieve “like the rest of mankind” (1 THESSALONIANS 4:13). “We believe that Jesus died and rose again and so we believe that God will bring with Jesus those who have fallen asleep in him” (V. 14). Paul acknowledges Jesus’ second coming and proclaims that all believers will be reunited with Jesus (V. 17).

God’s promise of a heavenly reunion can comfort us when we’re grieving the loss of a loved one who has trusted Jesus. Our promised future with our risen King also provides enduring hope when we face our own immortality, until the day Jesus comes or calls us home. -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1 THESSALONIANS 4:13–18
We will be with the Lord forever. [ 1 THESSALONIANS 4:17 ]

How has God used the promise of a heavenly reunion to comfort you in your grief? Why does the promise of a heavenly reunion give you great hope?

Loving Savior, thank You for giving me an enduring hope to share with others until the day You call me home or come again.

오늘의 말씀

09/08/2022     목요일

성경읽기: 잠언 3-5; 고린도후서 1
찬송가: 600(통242)

집을 짓는다는 것

1889년 미국에서 가장 야심 찬 개인주택 건설 프로젝트가 시작 되었습니다. 공사 현장에서는 하루에 벽돌 약 32,000장이 생산 되었습니다. 6년이나 걸려 지은 이 집은 조지 밴더빌트 2세의 “여름 별장”입니다. 그 결과 노스캐롤라이나 주 애슈빌의 빌트모어 에스테이트가 생겼습니다. 현재까지도 이 집은 178,926 평방피트(16,226 제곱미터)의 엄청난 면적에 250개의 방(35개의 침실과 43개의 욕실 포함)이 있는 미국에서 가장 큰 개인주택으로 남아 있습니다.

그러나 이 프로젝트는 아무리 야심차다 해도 마태복음 16장에서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말씀하신 “건축”계획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닙니다. 베드로가 예수님이 “그리스도시요 살아 계신 하나님의 아들이시니이다”(16절)라고 대답했을 때, 예수님은 “너는 베드로라 내가 이 반석 위에 내 교회를 세우리니 음부의 권세가 이기지 못하리라”(18절)고 선언하셨습니다. 신학자들이 “반석”이 무엇인지에 대해 논쟁하고 있지만, 예수님의 건축계획에 대해서는 논쟁의 여지가 없습니다. 주님은 세상의 모든 나라와 민족을 포함시켜 (요한계시록 5:9), 주님의 교회를 세상 끝까지 세우실 것입니다(마태복음 28:19-20).

예수님의 이 건축 프로젝트 비용은 얼마나 될까요? 십자가 위에서 흘리신 예수님의 보혈로 치른 희생의 값입니다(사도행전 20:28). 그렇게 비싼 값으로 사신 주님의 “건물”(에베소서 2:21)에 속한 구성원으로서, 주님이 보여주신 사랑의 희생을 기리고 이 위대한 사명에 주님과 동참하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16:13-20
내가 이 반석 위에 내 교회를 세우리니 음부의 권세가 이기지 못하리라 [마태복음 16:18]

교회는 어떻게 그리스도를 나타내야 합니까? 당신이 예수님을 확실하게 닮아가는 데 방해가 되는 것들은 무엇입니까?

하나님의 어린 양, 주님의 희생에 감사드립니다. 제가 믿음의 가족들과 함께 주님을 찬양할 수 있게 해주소서.

Daily Article

09/08/2022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PROVERBS 3–5; 2 CORINTHIANS 1
Hymn: 600(OLD 242)

BUILDING THE HOUSE

In 1889, the most ambitious private home construction project in the United States began. On-site manufacturing produced some 32,000 bricks a day. The work continued until the completion of George Vanderbilt II’s “summer house”—six years later. The result was the Biltmore Estate in Asheville, North Carolina. To this day, it remains the largest private residence in America, with 250 rooms (including 35 bedrooms and 43 bathrooms) consuming a staggering 178,926 square feet (16,226 square meters) of floor space.

This project, ambitious as it was, was nothing compared to the “building” intentions Jesus proclaimed to His disciples in Matthew 16. After Peter had confirmed that Jesus is “the Messiah, the Son of the living God” (V. 16), Jesus declared, “I tell you that you are Peter, and on this rock I will build my church, and the gates of Hades will not overcome it” (V. 18). While theologians debate the identity of the “rock,” there’s no debate about Jesus’ intentions. He would build His church to stretch to the ends of the earth (MATTHEW 28:19–20), including people from every nation and ethnic group from around the globe (REVELATION 5:9).

The cost of this building project? The sacrifice of Jesus’ own blood on the cross (ACTS 20:28). As members of His “building” (EPHESIANS 2:21), purchased at so great a price, may we celebrate His loving sacrifice and join Him in this great mission. - BILL CROWDER

Today's Reading

MAT THEW 16:13–20
On this rock I will build my church, and the gates of Hades will not overcome it. [ MATTHEW 16:18 ]

How is the church to reflect Christ? What are some things that can hinder you from accurately reflecting Jesus?

Lamb of God, thank You for Your sacrifice. Enable me to celebrate You in my heart as well as with others in the family of faith.

오늘의 말씀

09/07/2022     수요일

성경읽기: 잠언 1-2; 고린도전서 16
찬송가: 345(통461)

피난처 찾기

아내와 나는 큰 덧창들과 두꺼운 돌담으로 둘러싸인 아름답고 오래된 해변 호텔에 머물렀습니다. 어느 날 오후, 태풍이 그 지역을 휩쓸고 지나가며 바다를 마구 휘저어 놓았고, 마치 성난 사람이 주먹으로 문을 마구 두드리는 것처럼 바람이 우리 호텔 창문을 두들겼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평온했습니다. 호텔의 담은 아주 견고했고, 건물의 기초 또한 아주 단단했으니까요! 밖에서 폭풍우가 몰아치는 동안, 우리의 방은 피난처였습니다.

피난처는 성경의 중요한 주제인데, 하나님 자신이 먼저 피난처가 되십니다. 이사야는 하나님에 대해 말하면서, “빈궁한 자의 요새이시며, 환난 당한 가난한 자의 요새이시며, 폭풍 중의 피난처”(이사야 25:4)이시라고 했습니다. 또한 피난처는 이스라엘의 고대 도피성(민수기 35:6)이나 도움이 필요한 “이방인” 들을 대접하는(신명기 10:19) 것 같이, 하나님의 백성들이 제공해야 했고 또 제공해야 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같은 원리로 오늘날 인도주의적 위기가 닥쳤을 때, 우리도 그렇게 도울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 처할 때, 피난처 되시는 하나님께서 우리와 그의 백성들을 사용하셔서 연약한 사람들이 안전한 곳을 찾도록 도울 수 있기를 기도합니다.

우리 호텔을 강타한 폭풍은 다음 날 아침 사라지고 고요한 바다와 따뜻한 햇살에 갈매기들이 빛나고 있었습니다. 자연재해에 직면했거나 “무자비한” 정권으로부터 도망가는 사람들을(이사야 25:4) 떠올리면서, 내가 그리고 있는 이미지는 피난처 되신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힘을 주셔서 그들이 안전한 현재와 밝은 미래를 찾을 수 있도록 그들을 돕는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25:1-9
가난한 자의 요새이시며 폭풍 중의 피난처시며 폭양을 피하는 그늘이 되셨사오니 [이사야 25:4]

당신은 언제 하나님 안에서 “피난처”를 얻었거나 그분의 백성을 통해 그것을 찾았습니까? 오늘날 위기에 처한 사람들을 돕는 데 당신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습니까?

피난처이신 하나님, 당신의 자녀인 저에게 능력을 주셔서 궁핍한 사람들이 피난처와 희망을 찾도록 도울 수 있게 해주소서.

Daily Article

09/07/2022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PROVERBS 1–2; 1 CORINTHIANS 16
Hymn: 345(OLD 461)

FINDING REFUGE

My wife and I once stayed in a lovely old seaside hotel with large sash windows and thick stone walls. One afternoon, a storm ripped through the region, churning up the sea and pounding our windows like angry fists on a door. Yet we were at peace. Those walls were so strong, and the hotel’s foundations so solid! While storms raged outside, our room was a refuge.

Refuge is an important theme in Scripture, starting with God Himself. “You have been a refuge for the poor,” Isaiah says of God, “a refuge for the needy in their distress, a shelter from the storm” (ISAIAH 25:4). In addition, refuge is something God’s people were and are to provide, whether through Israel’s ancient cities of refuge (NUMBERS 35:6) or by offering hospitality to “foreigners” in need (DEUTERONOMY 10:19). These same principles can guide us today when humanitarian crises hit our world. In such times, we pray that the God of refuge would use us, His people, to help the vulnerable find safety.

The storm that hit our hotel was gone the following morning, leaving us with a calm sea and a warm sun that made the seagulls glow. It’s an image I hold on to as I think of those facing natural disasters or fleeing “ruthless” regimes (ISAIAH 25:4): that the God of refuge would empower us to help them find safety now and a brighter tomorrow. - SHERIDAN VOYSEY

Today's Reading

ISAIAH 25:1–9
You have been a refuge for the poor, a refuge for the needy in their distress, a shelter from the storm. [ ISAIAH 25:4 ]

When have you taken “refuge” in God or found it through His people? How can you play a part in helping those facing a crisis today?

God of refuge, empower me, Your child, to help the needy find refuge and hope.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