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9/06/2022     화요일

성경읽기: 시편 148-150; 고린도전서 15:29-58
찬송가: 187(통171)

담에 생긴 구멍

무엇인가가 내 꽃들을 먹고 있었습니다. 어제까지만 해도 자랑스럽게 꽃을 피워 머리를 꼿꼿이 치켜세우고 있었는데 이제 꽃은 없어지고 줄기만 남았습니다. 나는 마당 주변을 살펴보다가 나무 담장에 토끼 한 마리가 드나들 정도의 구멍을 발견했습니다. 토끼들은 귀엽지만 화단의 꽃들을 순식간에 잘라먹어 버릴 수 있는 성가신 동물입니다.

이것을 보면서 내 삶 가운데에도 하나님의 성품으로 피운 꽃들을 베어먹는 “침입자”가 있을지도 모른다는 의문이 들었습니다. 잠언 25장 28절은 “자기의 마음을 제어하지 아니하는 자는 성읍이 무너지고 성벽이 없는 것과 같으니라” 고 말합니다. 고대에는 도시의 성벽이 적의 침략으로부터 보호해주는 역할을 했습니다. 성벽에 생긴 아주 작은 구멍일지라도, 이를 통해 도시 전체가 적의 공격에 노출될 수 있었습니다.

잠언의 많은 구절들은 절제에 관한 내용입니다. 현자는 “꿀을 보거든 족하리만큼 먹으라”고 말합니다(25:16). 절제는 우리를 인도하는 성령의 열매이며, 성급함이나 시기, 탐심 그리고 다른 해로운 것들이 침입하여 우리 삶 가운데 맺은 성령의 열매를(갈라디아서 5:22-23 참조) 파괴하지 못하도록 보호해 줍니다. 절제는 건강한 마음가짐으로 우리 삶의 담벼락에 생긴 구멍들을 찾아내고, 또 계속 고치도록 해줍니다.

내 삶의 주위를 둘러보면, 때때로 취약한 구멍을 볼 수 있습니다. 자꾸만 유혹에 넘어가는 곳, 즉 조바심의 영역입니다. 그러한 침입자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나의 삶에서 하나님의 건전한 절제가 얼마나 필요한지요!

오늘의 성구

잠언 25:16-28
자기의 마음을 제어하지 아니하는 자는 성읍이 무너지고 성벽이 없는 것과 같으니라 [잠언 25:28]

당신의 마음을 에워싼 벽에서 어떤 구멍이 보이나요? 절제라는 성령의 열매가 침입자로부터 당신의 삶을 보호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됩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침입자들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도록 제 삶에 절제의 열매를 키워 주소서.

Daily Article

09/06/2022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48–150; 1 CORINTHIANS 15:29–58
Hymn: 187(OLD 171)

A HOLE IN THE WALL

Something was eating my flowers. The day before, blooms proudly lifted their heads. Now they were headless stems. I prowled the perimeter of my yard and discovered a rabbitsized hole in my wooden fence. Bunnies are cute, but the pesky animals can mow down a garden of flowers in minutes.

I wonder, might there be “intruders” shearing off the blooms of God’s character in my life? Proverbs 25:28 says, “Like a city whose walls are broken through is a person who lacks selfcontrol.” In ancient days, the wall of the city protected it against invasion from enemies. Even a small opening in a wall meant that the entire city lay open to attack.

So many of the proverbs are about self-control. “If you find honey, eat just enough,” wrote the wise man (25:16). Self-control is a fruit of the Spirit that guards us, protecting us from losing ground to impatience, bitterness, greed, and other pests that can intrude and destroy God’s harvest in our lives (SEE GALATIANS 5:22–23). Self-control is a healthy-mindedness that watches for the holes in the walls of our lives and keeps them patched.

When I inspect the perimeter of my life, I can at times see vulnerable holes. A spot where I give in to temptation over and over. An area of impatience. Oh, how I need the healthy-minded self-control of God in my life to guard me from such intruders! - ELISA MORGAN

Today's Reading

PROVERBS 25:16–28
Like a city whose walls are broken through is a person who lacks self-control. [ PROVERBS 25:28 ]

What holes do you see in the wall of your heart? How might God’s fruit of self-control help guard your life from such an intruder?

Dear God, please grow the fruit of self-control in my life that I might be protected from intruders.

오늘의 말씀

09/05/2022     월요일

성경읽기: 시편 146-147; 고린도전서 15:1-28
찬송가: 487(통535)

레고가 주는 교훈

매년 750억 개 이상의 레고 조각이 팔리고 있다고 합니다. 이는 전 세계 인구 한 명당 약 10개의 작은 플라스틱 블록들이 팔리는 셈입니다. 그러나 덴마크 장난감 제작자 올레 키르크 크리스티안센의 끈기가 없었다면, 아마 서로 맞출 수 있는 레고는 이 세상에 없었을 것입니다.

크리스티안센은 수십 년 동안 덴마크 빌룬트에서 피땀 흘려 일한 끝에 “잘 가지고 논다”라는 뜻의 ‘레그 고트’를 만들었습니다. 그의 작업실은 화재로 두 번이나 소실되어 파산을 겪었고 세계대전 중에는 자재 부족을 겪었습니다. 마침내, 1940년대 말에 와서 그는 서로 결합할 수 있는 플라스틱 조각에 대한 아이디어를 고안했습니다. 1958년 올레 키르크 크리스티안센이 사망했을 즈음, ‘레고’라는 단어가 세상 사람들에게 알려지기 시작했습니다.

일과 삶의 여러 가지 도전을 견디기는 어렵습니다. 예수님을 닮기 위해 노력하는 영적인 삶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우리가 고난을 겪을 때 인내하기 위해서 하나님이 주시는 힘이 필요합니다. 야고보는 “시험을 참는 자는 복이 있나니”(야고보서 1:12)라고 썼습니다. 때때로 우리가 겪는 여러 가지 시련들은 인간관계와 재정, 혹은 건강의 차질입니다. 때로는 우리의 삶에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려는 목표의 달성을 지체시키는 유혹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주님은 그럴 때 지혜를 주시고(5절), 우리가 필요로 하는 것을 공급해 주시면서 하나님을 신뢰하라고 하십니다(6절). 그 모든 것을 통해 우리가 삶으로 주께 영광 돌리면서 우리가 인내할 수 있도록 주님의 도움을 구하면, 우리는 진정한 축복을 찾게 됩니다(12절).

오늘의 성구

야고보서 1:2-12
시험을 참는 자는 복이 있나니 [야고보서 1:12]

당신은 요즈음 어떤 시련을 맞고 있습니까? 당신이 주님을 위해 전심을 다하도록 하나님이 어떻게 도우실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예수님, 주님의 삶을 배움으로써 인내에 대해 알게 됩니다. 시련이 닥칠 때, 주님의 본보기가 저의 길잡이가 되어 주소서.

Daily Article

09/05/2022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46–147; 1 CORINTHIANS 15:1–28
Hymn: 487(OLD 535)

LEGO LESSONS

Approximately ten Lego pieces are sold for every person on earth each year—more than seventy-five billion of the little plastic bricks. But if it wasn’t for the perseverance of Danish toymaker Ole Kirk Christiansen, there wouldn’t be any Legos to snap together.

Christiansen toiled away in Billund, Denmark, for decades before creating Leg Godt, which means “play well.” His workshop was destroyed by fire twice. He endured bankruptcy and a world war that caused a shortage of materials. Finally, in the late 1940s, he landed on the idea for self-locking plastic bricks. By the time Ole Kirk died in 1958, Legos was on the verge of becoming a household word.

Persevering in the challenges of work and life can be difficult. That’s also true in our spiritual life as we strive to grow to be more like Jesus. Trouble hits us, and we need God’s strength to persevere. James wrote: “Blessed is the one who perseveres under trial” (JAMES 1:12). Sometimes the trials we face are setbacks in relationships or finances or health. Sometimes they’re temptations that slow us down in our goal of honoring God with our lives.

But God promises wisdom for such times (V. 5), and He asks us to trust Him as He provides what we need (V. 6). Through it all, when we allow Him to help us persevere in honoring Him with our lives, we find true blessing (V. 12). - DAVE BRANON

Today's Reading

JAMES 1:2–12
Blessed is the one who perseveres under trial. [ JAMES 1:12 ]

What trials are you facing these days? How can God help you live wholeheartedly for Him?

Dear Jesus, I know about perseverance from studying Your life. May Your example be my guide when trials come my way.

오늘의 말씀

09/04/2022     주일

성경읽기: 시편 143-145; 고린도전서 14:21-40
찬송가: 202(통241)

재발견

1970년 덴마크를 방문했던 어떤 자동차 회사 임원은 이 지역 주민 한 사람이 1939년형 뷰익 듀얼 카얼 피에튼 차종을 소유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 차종은 실제로 생산되지 않았기 때문에 그 차는 희귀한, 그야말로 세상에 단 하나뿐인 차였습니다. 그 차를 발견하고 기쁨에 찬 임원은 그것을 구입해서 자신의 시간과 돈을 들여 수리했습니다. 현재, 이 유일무이한 차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클래식 자동차 컬렉션의 주요 전시물입니다.

숨겨진 보물은 여러 형태로 발견되는데, 역대하는 잃어버린 보물을 찾은 또 다른 사건에 대해 기록하고 있습니다. 유다 왕 요시야의 재위 18년, 왕은 예루살렘에 있는 성전을 복구하기 시작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제사장 힐기야는 “여호와의 전에서 율법책”을 발견했습니다(역대하 34:15). 구약성경의 첫 다섯 권인 율법책을 침략자로부터 안전하게 보존하기 위해 수십 년 전 숨겨 놓았던 것 같습니다. 시간이 흘러 이 사실이 감쪽같이 잊혔던 것입니다.

요시야 왕은 이 이야기를 듣고 그 책 발견의 중요성을 깨달았습니다. 요시야는 온 백성을 불러 모아 율법책 전체를 읽고 율법책에 기록된 대로 모두 사람이 지킬 수 있도록 했습니다(30-31절).

우리는 오늘날 삶에서 여전히 중요한, 무한한 가치를 지닌 보물인 성경 66권을 모두 읽을 수 있는 놀라운 축복을 받았습니다.

오늘의 성구

역대하 34:29-31
여호와의 전 안에서 발견한 언약책의 모든 말씀을 읽어 무리의 귀에 들려주고 [역대하 34:30]

당신은 어떻게 성경이 보물인 것을 알게 되었습니까? 어떻게 그 위대한 가치에 대해 더 이해하게 되었습니까?

하늘에 계신 아버지, 오늘 제가 성경이라는 보화 속에서 기쁨을 누리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9/04/2022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43–145; 1 CORINTHIANS 14:21–40
Hymn: 202(OLD 241)

REDISCOVERED

In 1970, a car executive visiting Denmark learned that a 1939 Buick Dual Cowl Phaeton was owned by a local resident. Since the car never actually went into production, it was a rare find— a one-of-kind vehicle. Delighted with the discovery, the executive bought the car and spent his time and money to have it restored. Currently, this unique car is featured in a world-renowned collection of classic vehicles.

Hidden treasures can take many forms, and in the book of 2 Chronicles we read about another discovery of a lost treasure. Eighteen years into his reign as king of Judah, Josiah began to repair the temple in Jerusalem. During the process, the priest Hilkiah found the “Book of the Law in the temple” (2 CHRONICLES 34:15). The Book of the Law, the first five books of the Old Testament, had likely been hidden away decades earlier to keep it safe from invading armies. Over time it had been simply forgotten.

When King Josiah was told about this discovery, he realized the importance of the find. Josiah called all the people together and read the entire Book of the Law so they could commit themselves to keep all that was written in it (VV. 30–31).

Still important for our lives today, we have the amazing blessing of access to all sixty-six books of the Bible, a treasure of infinite worth. - LISA M. SAMRA

Today's Reading

2 CHRONICLES 34:29–31
He read in their hearing all the words of the Book of the Covenant, which had been found in the temple of the Lord. [ 2 CHRONICLES 34:30 ]

How did you come to know the Bible as a treasure? How have you grown in your understanding of its great worth?

Heavenly Father, help me to delight in the treasure of the Scriptures today.

오늘의 말씀

09/03/2022     토요일

성경읽기: 시편 140-142; 고린도전서 14:1-20
찬송가: 394(통449)

사랑 안에 뿌리를 내림

나는 입주 간병인으로 어머니를 돕기 위해 암 치료 센터에 도착했습니다. 외롭고 두려웠습니다. 가족과 주위의 도움을 떠나 750마일 이상 떨어진 곳에 온 것입니다. 내가 짐을 챙기기도 전에 미소의 사나이 프랭크가 도와주겠다고 했습니다. 우리가 6층에 도착할 즈음에는, 프랭크의 치료를 돕고 있는 그의 아내 로리와 만나기로 했습니다. 이들 부부와 나는 하나님과 서로를 의지하며 곧 가족처럼 되었습니다. 우리는 함께 웃다가, 화도 내고, 울면서 기도했습니다. 어쩌다 못 올 데 온 기분이 들었지만 하나님과 연결된 우리의 관계는 서로 의지하며 사랑 안에서 깊게 뿌리내렸습니다.

룻이 시어머니 나오미를 돌보기로 결심했을 때 그녀는 익숙한 환경의 안정감을 뒤로하고 떠난 것입니다. 룻은 “가서 베는 자를 따라 밭에서 이삭을 주웠습니다”(룻기 2:3). 감독자는 지주인 보아스에게 룻이 “와서는 잠시 집에서 쉰 외에 지금까지 계속 하는 중이니이다”(7절)라고 보고했습니다. 룻은 자신이 나오미를 돌보듯이 자신을 돌봐줄 사람들과 안전한 거처를 얻었습니다 (8-9 절). 그리고 하나님은 보아스가 룻과 나오미에게 관대히 베풀도록 하셨습니다(14-16 절).

삶의 여러 환경들은 우리의 익숙한 환경을 훨씬 넘어 전혀 예기치 못한 곳으로 우리를 인도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우리가 하나님과, 또 서로서로와의 관계를 유지한다면, 하나님은 우리가 서로 의지하면서 사랑 안에 뿌리를 내리게 하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룻기 2:5-13
네 부모와 고국을 떠나 전에 알지 못하던 백성에게로 온 일이 내게 분명히 알려졌느니라 [룻기 2:11]

당신이 혼자라고 느꼈을 때 하나님께서 어떻게 위로해 주셨습니까? 하나님은 그분의 사랑 안에 뿌리를 내린 공동체를 통해 당신을 돕기 위해서 어떻게 사람들을 사용하셨습니까?

사랑의 하나님 아버지, 저와 함께 하시겠다고 약속하시고 필요한 모든 것을 공급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9/03/2022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40–142; 1 CORINTHIANS 14:1–20
Hymn: 394(OLD 449)

ROOTED IN LOVE

I arrived at the cancer care center, where I’d be serving as my mom’s live-in caregiver, feeling alone and afraid. I’d left my family and support system more than 750 miles behind me. But before I could even touch my luggage, Frank, a man with a huge grin, offered to help. By the time we reached the sixth floor, I’d made plans to meet his wife, Lori, who cared for him during his treatments. The couple soon became like family as we leaned on God and each other. We laughed, vented, cried, and prayed together. Though we all felt displaced, our connection to God and each other kept us rooted in love as we supported one another.

When Ruth committed to caring for her mother-in-law, Naomi, she left the security of familiarity behind. Ruth “entered a field and began to glean behind the harvesters” (RUTH 2:3). The overseer told the landowner, Boaz, that Ruth “came into the field” and “remained” working “except for a short rest in the shelter” (V. 7). Ruth found a safe place with people willing to care for her as she cared for Naomi (VV. 8–9). And God provided for Ruth and Naomi though Boaz’s generosity (VV. 14–16).

Life’s circumstances can provide roads to unexpected places far beyond our comfort zones. As we remain connected to God and each other, He’ll keep us rooted in love as we support one another. -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RUTH 2:5–13
You left your father and mother and your homeland and came to live with a people you did not know before. [ RUTH 2:11 ]

How has God comforted you when you felt alone? How has He used other people to support you through a community rooted in His love?

Loving Father, thank You for promising to be with me and for providing all I need.

오늘의 말씀

09/02/2022     금요일

성경읽기: 시편 137-139; 고린도전서 13
찬송가: 176(통163)

촛불 켜기

정오였지만 해는 보이지 않았습니다. 1780년 5월 19일 아침 뉴잉글랜드에 암흑이 시작되어 몇 시간 동안 지속되었습니다. 이 아주 이상한 어두움은 캐나다의 대규모 산불로 생긴 짙은 연기구름 때문에 그런 것 같았지만, 많은 사람들은 최후 심판의 날이 온 것은 아닐까 생각했습니다.

그날 코네티컷 주지사 자문회의(상원의회)가 열리는 중이었는데 그 어두움 때문에 사람들이 휴회를 고려하고 있을 때, 에이브러햄 데븐포트는 분연히 말했습니다. “나는 휴회에 반대합니다. 최후의 심판일이 올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습니다. 최후의 심판일이 아니라면 휴회할 이유가 없습니다. 만일 최후 심판일이라 해도 나는 내 임무를 끝까지 수행하는 쪽을 택하겠습니다. 그러니 양초를 가져와주십시오.”

주님이 재림하시는 날까지 하나님이 맡기신 일을 충실하게 수행하려는 데븐포트의 간절한 마음은 예수님이 하신 다음 말씀을 실제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허리에 띠를 띠고 등불을 켜고 서 있으라 너희는 마치 그 주인이 혼인 집에서 돌아와 문을 두드리면 곧 열어 주려고 기다리는 사람과 같이 되라 주인이 와서 깨어 있는 것을 보면 그 종들은 복이 있으리로다”(누가복음 12:35-37).

밤이든 낮이든 우리의 구세주를 섬기는 것은 항상 좋은 일입니다. 어두움이 밀어닥쳐도 주님을 기다리는 모든 사람에게 하신 주님의 약속은 지켜질 것입니다. 어둠 속의 촛불처럼 우리의 “빛이 사람 앞에 비치게 하여 그들로 보게”(마태복음 5:16) 하며 주님을 사랑하고 섬기게 하소서.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12:35-40
허리에 띠를 띠고 등불을 켜고 서 있으라 [누가복음 12:35]

만일 내일 예수님이 오신다는 것을 알게 된다면 어떻게 다르게 행동하시겠습니까? 오늘 어떻게 주님의 빛을 비추시겠습니까?

어서 오소서, 예수님! 주님이 그날에 준비되어 있는 저를 보실 수 있기를, 또 지금 사는 저의 모습으로 다른 이들을 주님께 인도할 수 있기를 기도합니다.

Daily Article

09/02/2022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37–139; 1 CORINTHIANS 13
Hymn: 176(OLD 163)

LIGHTING CANDLES

It was noon, but the sun wasn’t visible. New England’s Dark Day began the morning of May 19, 1780, and lasted for hours. The cause of the surreal darkness was likely heavy clouds of smoke from massive wildfires in Canada, but many wondered if it might be judgment day.

The Connecticut governor’s council (senate) was in session, and when some considered adjourning because of the darkness, Abraham Davenport responded, “I am against adjournment. The day of judgment is either approaching, or it is not. If it is not, there is no cause for an adjournment; if it is, I choose to be found doing my duty. I wish therefore that candles may be brought.”

Davenport’s desire to be found faithfully performing the work God had given him to do on the day He returns is illustrative of Jesus’ words: “Be dressed ready for service and keep your lamps burning, like servants waiting for their master to return from a wedding banquet, so that when he comes and knocks they can immediately open the door for him. It will be good for those servants whose master finds them watching when he comes” (LUKE 12:35–37).

Day or night, it’s always good to serve our Savior. Even when darkness encroaches, His promises for all who look forward to Him will stand. Like candles in the darkness, may our “light shine before others, that they may see” (MATTHEW 5:16) and love and serve Him too.
- JAMES BANKS

Today's Reading

LUKE 12:35–40
Be dressed ready for service and keep your lamps burning. [ LUKE 12:35 ]

What would you do differently if you knew Jesus was coming tomorrow? How will you shine His light today?

Come soon, Jesus! I pray You’ll find me ready on that day, and that the way I live now will draw others to You.

오늘의 말씀

09/01/2022     목요일

성경읽기: 시편 135-136; 고린도전서 12
찬송가: 221(통525)

우리가 함께 모일 때

세계 행복보고서에 따르면 덴마크는 가장 행복한 국가 중 하나입니다. 덴마크 사람들은 친구들과 함께 모여서 따뜻한 음료와 풍성한 음식을 나누며 길고 어두운 겨울을 견딥니다. 그런 자리에서 느끼는 감정을 표현하는 단어가 ‘후가’입니다. 그들보다 더 남쪽에 사는 사람들만큼 누릴 수 없는 부족한 햇볕을 후가가 대신해 줍니다. 사랑하는 사람들과 함께 소박한 식탁에 둘러앉는 것만으로도 그들의 마음은 푸근해지니까요.

히브리서 기자는 신도들에게 공동체를 이루어 함께 모이라고 권면합니다. 그리스도를 따르는 사람들이 믿음 안에서 인내해야 하는, 겨울 날씨보다 훨씬 더 심각하고 힘든 날들이 있을 것을 알았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구세주를 믿으면 하나님께서 우리를 받아주신다고 예수님이 확실히 말씀해주셨지만, 수치심이나 의심이 들거나 실제로 어떤 반대에 부딪치면 그것들과 싸워야 할지 모릅니다. 그러나 우리가 함께 모인다면 서로 격려할 수 있는 특권을 갖습니다. 우리가 서로 동반자라면 “서로 돌아보아 사랑과 선행을 격려하며”(히브리서 10:24) 믿음을 굳게 세울 수 있습니다.

물론 친구들과 함께 한다고 해서 “행복보고서”의 순위가 올라간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다만 이것은 생활 속에 흔히 겪는 좌절감을 믿음으로 견디게 해주는 성경이 알려주는 방법입니다. 이것은 우리가 교회라는 공동체를 추구하는 아주 훌륭한 이유입니다! 혹은, 서로의 마음을 풍성하게 하기 위해 덴마크 사람들처럼 그저 소박하게 각자의 집을 개방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오늘의 성구

히브리서 10:19-25
모이기를 폐하는 습관과 같이 하지 말고... 오직 권하여 [히브리서 10:25]

다른 믿음의 식구들과 함께 하는 것이 어떻게 격려가 되었습니까? 당신은 마음을 활짝 열어 누구를 격려할 수 있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우리 믿음의 식구들이 함께 모여 서로를 격려할 수 있어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9/01/2022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35–136; 1 CORINTHIANS 12
Hymn: 221(OLD 525)

WHEN WE GATHER TOGETHER

Denmark is among the happiest countries in the world, according to the World Happiness Report. The Danes weather their lengthy, dark winters by gathering with friends to share a warm drink or a gracious meal. The word they use for the feelings associated with those moments is hygge (hoo-gah). Hygge helps them offset the impact of enjoying less sunlight than their counterparts at lower latitudes. By circling around a simple table with loved ones, their hearts are nourished.

The writer of Hebrews encourages gathering together as a community. He acknowledges that there will be difficult days—with challenges far more significant than the weather—requiring those who follow Christ to persevere in faith. Though Jesus has made certain our acceptance by God through our faith in the Savior, we may struggle against shame or doubt or real opposition. By gathering together, we have the privilege of encouraging one another. When we’re sharing company, we’re able to “spur one another on toward love and good deeds,” which bolsters our faith (HEBREWS 10:24).

Gathering with friends doesn’t assure us of a ranking on a “happiness report.” It is, however, something the Bible offers as a means to bear us up in faith under the common frustrations of life. What a wonderful reason to seek out the community of a church! Or to open our homes—with an attitude of Danish simplicity—to nourish one another’s hearts. -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HEBREWS 10:19–25
Let us not neglect our meeting together, . . . but encourage one another. [ HEBREWS 10:25 NLT ]

How has gathering together with others encouraged you? Who can you encourage with an open heart?

Thank You, God, that I can encourage other believers and be encouraged by them when we gather together.

오늘의 말씀

08/31/2022     수요일

성경읽기: 시편 132-134; 고린도전서 11:17-34
찬송가: 414(통475)

아는 것이 상처가 될 때

잭 엘더와 그의 친구들이 그랜드 캐니언을 관통하는 25일간의 래프팅을 마치고 뭍으로 올라오자 그들이 탔던 보트를 회수하러 온 남자가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해 이야기해주었습니다. 그들은 그가 농담한다고 생각했지만 협곡을 벗어나자 그들의 휴대폰에서 부모님들이 보내온 긴급 메시지가 떴습니다. 잭과 친구들은 충격에 빠져 다시 강으로 돌아가 지금 알게 된 현실에서 벗어나고 싶었습니다.

타락한 이 세상에서는 아는 것이 고통을 가져다 줄 때가 많습니다. 전도서의 현자는 “지혜가 많으면 번뇌도 많으니 지식을 더하는 자는 근심을 더하느니라”(1:18)라고 하였습니다. 어린아이가 알지 못하기 때문에 누리는 행복을 부러워해보지 않은 어른이 있을까요? 아이는 인종차별과 폭력, 암을 아직 모릅니다. 우리는 성인이 되어 우리의 약점과 악함을 알기 전에, 그리고 삼촌은 왜 그렇게 술을 많이 마시는지, 부모님이 왜 이혼했는지 등과 같은 가족의 비밀을 몰랐을 때에 더 행복하지 않았던가요?

아는 것에서 오는 고통은 원한다고 피할 수 없습니다. 일단 알게 되면 모른 척해도 소용없습니다. 그러나 우리를 인내하게 하고 나아가 더 좋아지게 하는 차원 높은 앎이 있습니다. 그것은 예수님은 하나님의 말씀이시고 우리의 어둠을 비치는 빛이시라는(요한복음 1:1-5) 것입니다. 예수님은 “하나님으로부터 나와서 우리에게 지혜와 의로움과 거룩함과 구원함이 되셨습니다”(고린도전서 1:30). 당신이 고통을 느낀다면 예수님께로 달려가십시오. 예수님은 당신을 아시고 돌보아 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전도서 1:12-18
지혜가 많으면 번뇌도 많으니 지식을 더하는 자는 근심을 더하느니라
[전도서 1:18]

당신이 몰랐었다면 하고 바라는 것이 있습니까?
예수님께 말씀드리고 그것을 주님께 맡기십시오.
그것이 당신을 괴롭힐 때마다 예수님께 다시 가져가십시오.

예수님, 저는 고통을 좋아하지 않지만 그것이 저를 주님께로 이끈다면 그럴 가치가 있습니다.

Daily Article

08/31/2022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32–134; 1 CORINTHIANS 11:17–34
Hymn: 414(old 475)

WHEN KNOWLEDGE HURTS

Zach Elder and his friends pulled up to shore after a twenty-five-day rafting trip through the Grand Canyon. The man who came to retrieve their rafts told them about the COVID-19 virus. They thought he was joking. But as they left the canyon their phones pinged with their parents’ urgent messages. Zach and his friends were stunned. They wished they could return to the river and escape what they now knew.

In a fallen world, knowledge often brings pain. The wise Teacher of Ecclesiastes observed, “With much wisdom comes much sorrow; the more knowledge, the more grief” (1:18). Who hasn’t envied a child’s blissful ignorance? She doesn’t yet know about racism, violence, and cancer. Weren’t we happier before we grew up and discerned our own weaknesses and vices? Before we learned our family’s secrets—why our uncle drinks heavily or what caused our parents’ divorce?

The pain from knowledge can’t be wished away. Once we know, it’s no use pretending we don’t. But there’s a higher knowledge that empowers us to endure, even thrive. Jesus is the Word of God, the light that shines in our darkness (JOHN 1:1–5). He “has become for us wisdom from God—that is, our righteousness, holiness and redemption” (1 CORINTHIANS 1:30). Your pain is your reason to run to Jesus. He knows you and cares for you.
- MIKE WITTMER

Today's Reading

ECCLESIASTES 1:12–18
For with much wisdom comes much sorrow; the more knowledge, the more grief.
[ ECCLESIASTES 1:18 ]

What’s something you wished you didn’t know?
Tell Jesus about it. Then leave it with Him.
Whenever it troubles you, take it to Jesus again.

Jesus, I don’t enjoy pain, but if it drives me to You, it’s worth it.

오늘의 말씀

08/30/2022     화요일

성경읽기: 시편 129-131; 고린도전서 11:1-16
찬송가: 510(통276)

불을 켜 두어라

어느 호텔 체인의 광고를 보니 어두운 밤에 작은 건물이 하나 서 있고 그 주변에는 아무것도 없습니다. 영상 속에 빛이라고는 호텔 현관문 가까이 있는 작은 등에서 비추는 불빛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그 등불은 방문자가 계단을 올라가 호텔에 들어가기에 충분한 밝은 빛을 비추고 있습니다. 광고 문구는 이렇게 끝을 맺었습니다. “당신을 위해 불을 켜 두겠습니다.”

현관의 불빛은 지친 여행자들이 멈추고 쉴 수 있는 편안한 곳이 지금도 영업중임을 알리는 환영의 표시와도 같습니다. 그 불빛은 지나가던 사람들에게 어둡고 지친 여행길에서 들어와 쉬라고 초대합니다.

예수님은 그를 믿는 사람들의 삶은 환영하는 불빛과도 같은 삶이어야 한다고 말씀하십니다. 주님은 제자들에게 “너희는 세상의 빛이라 산 위에 있는 동네가 숨겨지지 못할 것”(마태복음 5:14)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믿는 우리는 이 어두운 세상을 밝게 비추어야 합니다.

주님이 우리를 이끄시고 능력을 주실 때 “[사람들이] [우리의] 착한 행실을 보고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께 영광을 돌릴”(16절)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의 불을 계속 켜 두면 그들은 마음에 환대를 느끼고 우리에게 와서 세상의 참된 빛이신 예수님에 대해 더 알고 싶어 할 것입니다(요한복음 8:12). 지치고 어두운 이 세상에서 예수님의 빛은 항상 켜져 있습니다.

당신의 불은 켜져 있습니까? 오늘 예수님이 당신을 통해 빛을 비추실 때 다른 사람들이 보고 그들도 주님의 빛을 비추기 시작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5:13-16
너희는 세상의 빛이라 산 위에 있는 동네가 숨겨지지 못할 것이요
[마태복음 5:14]

당신은 오늘 예수님을 위한 빛을 어떻게 비출 수 있습니까?
예수님을 비추지 못하게 막는 장애물이 무엇입니까?

예수님, 빛을 밝게 비추어 사람들을 주님께로 이끌 수 있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8/30/2022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29–131; 1 CORINTHIANS 11:1–16
Hymn: 510(old 276)

LEAVE THE LIGHT ON

A hotel chain’s commercial featured one little building standing amidst a dark night. Nothing else was around. The only light in the scene came from a small lamp near the door on the porch of the building. The bulb cast enough illumination for a visitor to walk up the steps and enter the building. The commercial ended with the phrase, “We’ll leave the light on for you.”

A porch light is akin to a welcome sign, reminding weary travelers that there’s a comfortable place still open where they can stop and rest. The light invites those passing by to come on in and escape from the dark, weary journey.

Jesus says the lives of those who believe in Him should resemble that of a welcoming light. He told His followers, “You are the light of the world. A town built on a hill cannot be hidden” (MATTHEW 5:14). As believers, we’re to illuminate a dark world.

As He directs and empowers us, “[others] may see [our] good deeds and glorify [our] Father in heaven” (V. 16). And as we leave our lights on, they will feel welcomed to come to us to learn more about the one true Light of the World—Jesus (JOHN 8:12). In a weary and dark world, His light always remains on.

Have you left your light on? As Jesus shines through you today, others may see and begin radiating His light too.
- KATARA PATTON

Today's Reading

MAT THEW 5:13–16
You are the light of the world. A town built on a hill cannot be hidden.
[ MATTHEW 5:14 ]

In what ways can you shine your light for Jesus today?
What can prevent you from shining for Him?

Jesus, help me to shine brightly so that others may be drawn to You.

오늘의 말씀

08/29/2022     월요일

성경읽기: 시편 126-128; 고린도전서 10:19-33
찬송가: 518(통252)

시간을 간직한 씨앗들

1879년에 윌리엄 빌을 본 사람들은 아마도 그를 이상한 사람이라 여겼을 것입니다. 식물학 교수였던 그가 다양한 씨앗들을 스무 개의 병에 담아 땅속 깊이 묻는 것을 본 것입니다. 그러나 사람들은 빌이 그후 몇 백 년간 이어질 종자의 발아 능력 실험을 한다는 것을 몰랐습니다. 매 20년마다 병 하나를 꺼내어 병 속에 담겨있는 종자들을 심어 어떤 것이 싹이 나는지 관찰하려 했던 것입니다.

예수님은 씨 뿌리기에 관해 많이 이야기하시면서 종종 씨 뿌리는 것을 “말씀”을 전하는 것에 비유하셨습니다(마가복음 4:15). 주님은 어떤 씨는 사탄이 가로채고, 어떤 씨는 기초가 없으므로 뿌리내리지 못하며, 어떤 씨는 주변 것들에 방해를 받아 자라지 못한다고 가르치셨습니다(15-19절). 복음을 전할 때 어떤 씨앗이 살아 남을지는 우리에게 달린 것이 아닙니다. 우리의 할 일은 단지 예수님을 다른 사람들에게 전하는 것, 곧 복음을 뿌리는 것입니다. “온 천하에 다니며 만민에게 복음을 전파하라”(16:15).

2021년, 빌이 묻었던 병 하나를 새로 꺼내어 씨앗들을 심었는데, 어떤 씨앗들은 142년 이상을 살아남아 싹을 틔웠습니다. 하나님이 우리를 통해 일하셔서 우리의 믿음을 다른 사람들에게 전할 때 우리가 나눈 말씀이 뿌리를 내릴지, 그리고 언제 내릴지 우리는 알지 못합니다. 그러나 여러 해가 지나서라도 우리가 뿌린 복음을 받은 누군가가 “말씀을 받아... 결실을 할”(4:20) 수도 있다는 사실에 우리는 격려를 받습니다.

오늘의 성구

마가복음 4:13-20
좋은 땅에 뿌려졌다는 것은 곧 말씀을 듣고 받아... 결실을 하는 자니라
[마가복음 4:20]

누군가에게 복음을 전했던 경우를 생각해 보십시오. 그때 그 사람의 반응은 어땠습니까?
오늘 그 사람을 위해 어떻게 기도하고 있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친구와 동료들에게 예수님을 전할 수 있는 용기를 주소서.

Daily Article

08/29/2022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26–128; 1 CORINTHIANS 10:19–33
Hymn: 518(old 252)

SEEDS OF TIME

In 1879, people watching William Beal would likely think he was loony. They’d see the professor of botany filling twenty bottles with various seeds, then burying them in deep soil. What they didn’t know was that Beal was conducting a seed viability experiment that would span centuries. Every twenty years a bottle would be dug up to plant its seeds and see which seeds would germinate.

Jesus talked a lot about seed planting, often likening the sowing of seed to the spreading of “the word” (MARK 4:15). He taught that some seeds are snatched by Satan, others have no foundation and don’t take root, and yet others are hampered by the life around them and are choked out (VV. 15–19). As we spread the good news, it’s not up to us which seeds will survive. Our job is simply to sow the gospel—to tell others about Jesus: “Go into all the world and proclaim the gospel to the whole creation” (16:15 ESV).

In 2021, another of Beal’s bottles was dug up. The seeds were planted by researchers and some sprouted, having survived more than 142 years. As God works through us and we share our faith with others, we never know if the word we share will take root or when. But we’re to be encouraged that our sowing of the good news might, even after many years, be received by someone who will “accept it, and produce a crop” (4:20).
- KENNETH PETERSEN

Today's Reading

MARK 4:13–20
Others, like seed sown on good soil, hear the word, accept it, and produce a crop.
[ MARK 4:20 ]

Consider an example of how you shared the good news with someone. How did that person respond?
How are you praying for that person today?

Dear God, please give me courage to share Jesus with friends and colleagues.

오늘의 말씀

08/28/2022     주일

성경읽기: 시편 123-125; 고린도전서 10:1-18
찬송가: 331(통375)

하나님을 사랑하고 의지하라

잭은 유쾌하고 똑똑하며 호감이 가는 아이였지만 남몰래 우울증을 앓고 있었습니다. 그는 열다섯 살에 자살하고 말았는데, 어머니 로리는 그후 아들에 대해 이렇게 말했습니다. “그렇게 많은 것을 가졌던 아이가 어떻게 여기까지 오게 됐는지 정말 모르겠어요. 잭도... 자살할 수 있는 아이였던 거예요.” 로리는 가끔씩 조용히 하나님께 슬픔을 쏟아내곤 합니다. 그녀는 자살 후에 느끼는 깊은 슬픔은 “전혀 다른 차원의 슬픔”이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로리와 그녀의 가족은 하나님과 다른 사람들을 의지하여 힘을 얻는 법을 배웠고, 지금은 우울증을 앓는 사람들을 사랑하는 데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사랑하고 의지하자.” 이것이 로리의 좌우명이 되었습니다. 이것은 구약성경의 룻의 이야기에도 나타납니다. 나오미는 남편과 두 아들을 잃었는데, 아들 중 하나는 룻의 남편이었습니다(룻기 1:3-5). 비통한 마음에 우울해진 나오미는 룻에게 친정으로 돌아가 보살핌을 받으라고 권했습니다. 룻 또한 슬펐지만 시어머니에게 “붙어서” 함께 살며 돌봐 드리기로 마음을 정했습니다 (14-17절). 그들은 나오미의 고향인 베들레헴으로 돌아갔습니다. 룻에게는 낯선 곳이었지만 그들은 서로 사랑하며 의지하였고 하나님은 그들의 필요를 공급해 주셨습니다(2:11-12).

우리가 슬픔에 빠져 있을 때에도 하나님의 사랑은 한결같습니다. 우리에게는 언제나 의지할 하나님이 계시고, 또 그분의 능력으로 다른 사람들을 의지하고 사랑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룻기 1:11-19
룻은 그를 붙좇았더라
[룻기 1:14]

슬픔에 빠져 있을 때 하나님을 의지한다는 것이 어떤 의미일까요?
바로 지금 당신의 도움이 필요한 사람은 누구입니까?

하나님 아버지, 아버지의 신실하신 사랑과 보살핌에 감사드립니다.
다른 사람들이 주님을 믿도록 인도하는 일에 저를 사용해 주소서.

Daily Article

08/28/2022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23–125; 1 CORINTHIANS 10:1–18
Hymn: 331(old 375)

LOVE AND LEAN ON GOD

Zach was funny, smart, and well-liked. But he secretly struggled with depression. After he committed suicide at age fifteen, his mom, Lori, said of him, “It’s just hard to comprehend how someone that had so much going for him would come to that point. Zach . . . was not exempt from suicide.” There are moments in the quiet when Lori pours out her sorrow to God. She says that the deep sadness after suicide is “a whole different level of grief.” Yet she and her family have learned to lean on God and others for strength, and now they’re using their time to love others who are grappling with depression.

Lori’s motto has become “Love and lean.” This idea is also seen in the Old Testament story of Ruth. Naomi lost her husband and two sons—one who was married to Ruth (RUTH 1:3–5). Naomi, bitter and depressed, urged Ruth to return to her mother’s family where she could be cared for. Ruth, though also grieving, “clung” to her mother-in-law and committed to staying with her and caring for her (VV. 14–17). They returned to Bethlehem, Naomi’s homeland, where Ruth would be a foreigner. But they had each other to love and lean on, and God provided for them (2:11–12).

During our times of grief, God’s love remains steady. We always have Him to lean on as we also lean on and love others in His strength.
- ANNE CETAS

Today's Reading

RUTH 1:11–19
Ruth clung to her.
[ RUTH 1:14 ]

What does it mean for you to lean on God during your times of grief?
Who may need your support right now?

Father, I’m grateful for Your faithful love and care for me.
Use me to encourage others to trust You.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