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8/17/2022     수요일

성경읽기: 시편 97-99; 로마서 16
찬송가: 220(통278)

나를 만드는 것

일곱 살의 토마스 에디슨은 학교를 좋아하지 않았고 학교생활도 잘하지 못했습니다. 어느 날 선생님이 그를 “정신이상자”라고까지 부르자 그는 집으로 급하게 달려갔습니다. 교사 훈련을 받은 어머니는 다음날 선생님과 면담 후 토마스를 집에서 가르치기로 했습니다. 어머니의 사랑과 격려로(그리고 하나님이 주신 그의 천재성으로) 토마스는 위대한 발명가가 되었습니다. 그는 나중에 이렇게 썼습니다. “어머니가 나를 만들어 주셨다. 어머니는 아주 진실하셨으며 나를 온전히 믿으셨다. 나는 내가 위해서 살아야 할 누군가가, 내가 실망시켜서는 안 될 누군가가 있다는 것을 느꼈다.”

사도행전 15장에서 우리는 바나바와 바울 사도가 전도자로 함께 사역하다가 마가라고 하는 요한을 데려가는 일에 큰 의견 차이를 보이는 것을 보게 됩니다. 바울은 마가가 이전에 “밤빌리아에서 그들을 떠났기” 때문에 반대했습니다(36-38절). 그 결과 바울과 바나바는 서로 헤어져 바울은 실라를, 바나바는 마가를 데려갔습니다. 바나바는 마가에게 기꺼이 두 번째 기회를 주었고, 그의 격려는 마가가 전도자로 자라고 사역하는 능력을 키우는데 큰 도움을 주었습니다. 나중에 그는 마가복음을 기록하였으며 바울이 감옥에 있는 동안 위로가 되기도 했습니다(디모데후서 4:11).

우리가 돌아보아도 우리 삶의 길에서 우리를 격려하고 도와주었던 사람들을 찾을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우리도 살면서 누군가를 위해 같은 일을 하라고 부르고 계시는 지도 모릅니다. 우리는 누구를 격려할 수 있을까요?

오늘의 성구

사도행전 15:36-40
바나바는 요한도 데리고 가고자 하나... 바울은 데리고 가는 것이 옳지 않다 하여
[사도행전 15:37-38]

누가 당신을 믿고 성공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습니까?
그 사람은 당신을 어떻게 격려해 주었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저와 동행하시고 오늘의 제 모습이 있도록 돕는 사람들을 제 삶에 보내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8/17/2022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97–99; ROMANS 16
Hymn: 220(old 278)

THE MAKING OF ME

Seven-year-old Thomas Edison didn’t like or do well in school. One day, he was even called “addled” (mentally confused) by a teacher. He stormed home. After speaking with the teacher the next day, his mom, a teacher by training, decided to teach Thomas at home. Helped along by her love and encouragement (and his God-given genius), Thomas went on to become a great inventor. He later wrote, “My mother was the making of me. She was so true, so sure of me, and I felt I had someone to live for, someone I must not disappoint.”

In Acts 15, we read that Barnabas and the apostle Paul served together as missionaries until they had a major disagreement about whether or not to bring along John Mark. Paul was opposed because Mark had earlier “deserted them in Pamphylia” (VV. 36–38). As a result, Paul and Barnabas split. Paul took Silas and Barnabas took Mark. Barnabas was willing to give Mark a second chance, and his encouragement contributed to Mark’s ability to serve and succeed as a missionary. He went on to write the gospel of Mark and was even a comfort to Paul while he was in prison (2 TIMOTHY 4:11).

Many of us can look back and point to someone in our life who encouraged and helped us along our way. God may be calling you to do the same for someone in your life. Whom might you encourage?
- ALYSON KIEDA

Today's Reading

AC TS 15:36–40
Barnabas wanted to take John . . . with them, but Paul did not think it wise to take him.
[ ACTS 15:37–38 ]

Who had faith in you and helped you succeed?
What did that person do to encourage you?

Dear God, thank You for walking alongside me and placing people in my life who helped to make me who I am today.

오늘의 말씀

08/16/2022     화요일

성경읽기: 시편 94-96; 로마서 15:14-33
찬송가: 254(통186)

부서져 아름다운

후지무라 마코토의 ‘백합꽃을 보라’라는 그림을 처음 봤을 때 나는 배경 뒤에 숨어 있는 백합 한송이를 주제로 그린 단순한 단색 그림으로 치부했습니다. 그러나 그것이 실제로는 후지무라가 “느림의 예술” 이라고 부르는, 니혼가라는 일본 미술 스타일로서 아주 미세하게 분쇄된 광물을 ‘80겹’ 이상 칠해서 그려졌다는 사실을 알았을 때 하나의 살아 있는 그림으로 다가왔습니다. 자세히 보면 복잡하고 아름다운 층들이 드러납니다. 후지무라는 예수님의 고난이 세상에 온전함과 희망을 가져다준 것처럼, “깨어짐을 통해 아름다움”을 만드는 이 기술 속에서 복음을 본다고 설명합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부서지고 깨진 삶의 여러 면을 취하셔서 새롭고 아름다운 것을 창조하시기를 좋아하십니다. 다윗왕은 자신의 파괴적인 행동으로 말미암아 깨어진 삶을 고치기 위해 하나님의 도움이 필요했습니다. 다윗이 왕권을 남용하여 다른 사람의 아내를 취하고 그 남편을 살해하는 일을 도모한 것을 인정한 후에 기록한 시편 51편에서 그는 “상하고 통회하는 마음”(17절)을 하나님 앞에 내어놓고 자비를 구했습니다. “통회하는”으로 번역된 히브리어 ‘닛케’는 “으깨진”이라는 뜻입니다.

하나님께서 다윗의 마음을 새롭게 하시려면(10절) 다윗이 먼저 그의 부서진 부분들을 하나님께 내어놓아야 했습니다. 그것은 자신의 슬픈 모습과 하나님에 대한 신뢰를 함께 인정하는 태도였습니다. 다윗은 신실하시고 용서하시는 하나님, 부서진 것들을 사랑으로 취하여 아름다운 것으로 바꾸시는 하나님께 그의 마음을 맡겼습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51:10-17
하나님께서 구하시는 제사는 상한 심령이라 상하고 통회하는 마음을 주께서 멸시하지 아니하시리이다
[시편 51:17]

당신 마음의 어떤 부분들이 부서져 있습니까?
어떻게 부서진 것들을 하나님께 맡길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의 때에 진정 아름다운 것으로 변화시켜 주실 것을 믿고 저의 부서진 것들을 하나님께 맡깁니다.

Daily Article

08/16/2022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94–96; ROMANS 15:14–33
Hymn: 254(old186)

CRUSHED AND BEAUTIFUL

At first glance I dismissed the painting Consider the Lilies by Makoto Fujimura as a simple, monochromatic painting featuring a lily seemingly hiding in the background. However, the painting came alive when I learned it was actually painted with more than eighty layers of finely crushed minerals in a style of Japanese art known as Nihonga, a style Fujimura calls “slow art.” Looking closely reveals layers of complexity and beauty. Fujimura explains that he sees the gospel echoed in the technique of making “beauty through brokenness,” just as Jesus’ suffering brought the world wholeness and hope.

God loves to take aspects of our lives where we’ve been crushed and broken and create something new and beautiful. King David needed God’s help to repair the brokenness in his life caused by his own devastating actions. In Psalm 51, written after admitting to abusing his kingly power to take another man’s wife and arrange the murder of her husband, David offered God his “broken and contrite heart” (V. 17) and pleaded for mercy. The Hebrew word translated “contrite” is nidkeh, meaning “crushed.”

For God to refashion his heart (V. 10), David had to first offer Him the broken pieces. It was both an admission of sorrow and trust. David entrusted his heart to a faithful and forgiving God, who lovingly takes what’s been crushed and transforms it into something beautiful.
- LISA M. SAMRA

Today's Reading

PSALM 51:10–17
My sacrifice, O God, is a broken spirit; a broken and contrite heart.
[ PSALM 51:17 ]

What parts of your heart are crushed?
How might you entrust your brokenness to God?

Heavenly Father, I entrust my brokenness to You, believing that in Your time, You’ll transform it into something truly beautiful.

오늘의 말씀

08/15/2022     월요일

성경읽기: 시편 91-93; 로마서 15:1-13
찬송가: 455(통507)

결혼 비유

나는 메린과의 22년 결혼생활이 어떻게 가능했는지 가끔 의아할 때가 있습니다. 나는 작가이고 메린은 통계학자입니다. 나는 글로 일하고 아내는 숫자로 일을 합니다. 나는 아름다움을 원하고 아내는 기능을 원합니다. 우리는 다른 세상에서 왔습니다.

메린은 약속 시간보다 일찍 도착하고 나는 때때로 늦습니다. 나는 메뉴에서 새로운 것들을 시켜보는데 아내는 같은 것만 주문합니다. 미술관에서 20분이 지나면 나는 그제야 감상을 시작하는데 메린은 이미 아래층 카페에 내려가 내가 얼마나 더 오래 걸릴까 생각합니다. 우리는 서로에게 인내를 배울 기회를 많이 줍니다!

우리에게는 공통점도 있습니다. 유머 감각이 있고 여행을 좋아하며 같은 믿음이 있어서 기도로 일들을 결정하고 필요할 땐 절충도 합니다. 이런 공유된 기반이 있기 때문에 우리의 다른점은 오히려 유익합니다. 아내의 도움으로 나는 느긋하게 사는 법을 배웠고, 반대로 메린은 나의 도움으로 규율 있게 사는 법을 배웠습니다. 서로의 다른 점을 겪으면서 우리는 더 나은 사람이 되었습니다.

바울이 교회를 결혼에 비유하여 설명한 데에는(에베소서 5:21-33) 그럴 만한 이유가 있습니다. 결혼과 마찬가지로 매우 다른 사람들이 함께 모이는 교회는 서로 겸손과 인내를 키우며 “사랑 가운데서 서로 용납하는”(4:2) 것을 요구합니다. 그리고 결혼에서처럼 믿음과 서로 섬김이라는 공유된 기반이 교회가 하나 되고 성숙해지는 데 도움을 줍니다(11-13절).

인간 관계에 있어서 서로의 다른점들은 큰 좌절감을 안겨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잘 관리만 된다면 그것들은 우리가 좀더 그리스도를 닮아가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4:2-13
모든 겸손과 온유로 하고 오래 참음으로 사랑 가운데 서로 용납하고
[에베소서 4:2]

가까운 사람과의 다른점이 함께 성장하는 데 어떻게 도움을 주었습니까?
교회 성도들 간의 다른점들이 경건을 키워나가는데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우리의 다른 점들을 사용하여 우리를 성숙시켜 주소서.

Daily Article

08/15/2022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91–93; ROMANS 15:1–13
Hymn: 455(old 507)

THE MARRIAGE METAPHOR

After twenty-two years together, I sometimes wonder how my marriage to Merryn works. I’m a writer; Merryn is a statistician. I work with words; she works with numbers. I want beauty; she wants function. We come from different worlds.

Merryn arrives to appointments early; I’m occasionally late. I try new things on the menu; she orders the same. After twenty minutes at an art gallery, I’m just getting started, while Merryn is already in the cafe downstairs wondering how much longer I’ll be. We give each other many opportunities to learn patience!

We do have things in common—a shared sense of humor, a love of travel, and a common faith that helps us pray through options and compromise as needed. With this shared base, our
differences even work to our advantage. Merryn has helped me learn to relax, while I’ve helped her grow in discipline. Working with our differences has made us better people.

Paul uses marriage as a metaphor for the church (EPHESIANS 5:21–33), and with good reason. Like marriage, church brings very different people together, requiring them to develop humility and patience and to “[bear] with one another in love” (4:2). And, as in marriage, a shared base of faith and mutual service helps a church become unified and mature (VV. 11–13).

Differences in relationships can cause great frustration. But managed well, they can help us become more Christlike.
- SHERIDAN VOYSEY

Today's Reading

EPHESIANS 4:2–13
Be completely humble and gentle; be patient, bearing with one another in love.
[ EPHESIANS 4:2 ]

How have differences between you and those close to you helped you both to grow?
How can differences between church members help to develop godliness?

Heavenly Father, please use our differences to help us mature.

오늘의 말씀

08/14/2022     주일

성경읽기: 시편 89-90; 로마서 14
찬송가: 401(통457)

고난 중에 은혜

애니 존슨 플린트는 고등학교 졸업 후 몇 년 되지 않아 심한 관절염을 앓고 불구가 되었습니다. 그녀는 다시 걷지 못했고 다른 사람에게 의지하여 필요한 도움을 받았습니다. 그녀가 지은 시와 찬송가 덕분에 방문자가 많았는데, 그 중에 자신의 사역에 낙심한 어느 여집사가 있었습니다. 집에 돌아간 그 방문자는 왜 하나님께서 자신의 삶에 이런 고난을 주시는지 모르겠다며 애니에게 편지를 썼습니다.

애니는 답장으로 이런 시를 보냈습니다. “하나님은 우리에게 평생토록 푸른 하늘과 꽃길만 약속하지 않으셨습니다....” 그녀는 때로 고난이 생기기도 하지만 하나님은 그가 사랑하시는 이들을 결코 버리지 않으신다는 것을 경험으로 알았습니다. 하나님은 “고난 중에 은혜를, 하늘의 도우심을, 변함없는 연민을, 그리고 영원한 사랑을” 주시겠다고 약속하셨습니다. 찬송가 “하나님이 주신 약속은”이 바로 그 시입니다.

모세도 고통과 갈등을 겪었지만 하나님께서 그와 함께 하신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이스라엘 민족의 지도력을 여호수아에게 넘길 때 그는 “네 하나님 여호와 그가 너와 함께 가시기”(신명기 31:6) 때문에 강하고 담대하라고 젊은 여호수아에게 말했습니다. 모세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약속의 땅에 들어가 정복할 때 만만치 않은 적들을 만날 것을 알고 여호수아에게 “너는 두려워하지 말라 놀라지 말라”(8절)고 말했습니다.

그리스도의 제자들도 어려움을 겪게 될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에게는 힘주시는 성령님이 있습니다. 하나님은 결코 우리를 떠나지 않으십니다.

오늘의 성구

신명기 31:1-8
너를 떠나지 아니하시며 버리지 아니하시리니 너는 두려워하지 말라 놀라지 말라
[신명기 31:8]

고난을 겪을 때 어떻게 하나님을 신뢰하십니까? 당신이 경험한 하나님의 신실하심에 대해 다른 사람들과 어떻게 나눌 수 있을까요?

하늘에 계신 아버지, 낙심 되고 괴로울 때 하나님이 저를 절대 떠나지 않으신다는 것을 성령님을 통해 알게 해주소서.

Daily Article

08/14/2022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89–90; ROMANS 14
Hymn: 401(old457)

GRACE FOR TRIALS

Annie Johnson Flint was crippled by severe arthritis just a few years after high school. She never walked again and relied on others to help care for her needs. Because of her poetry and hymns, she received many visitors, including a deaconess who felt discouraged about her own ministry. When the visitor returned home, she wrote to Annie, wondering why God allowed such hard things in her life.

In response, Annie sent a poem: “God hath not promised skies always blue, / flower-strewn pathways all our lives through. . . .” She knew from experience that suffering often occurred, but that God would never abandon those He loves. Instead, He promised to give “grace for the trials, help from above, / unfailing sympathy, undying love.” You may recognize that poem as the hymn “What God Hath Promised.”

Moses also suffered and faced strife, but He knew God’s presence was with him. When he passed his leadership of the Israelites to Joshua, he told the younger man to be strong and courageous, because “the Lord your God goes with you” (DEUTERONOMY 31:6). Moses, knowing that the people of Israel would face formidable enemies as they entered and took the promised land, said to Joshua, “Do not be afraid; do not be discouraged” (V. 8).

Disciples of Christ will face hardship, but we have God’s Spirit to encourage us. He’ll never leave us.
-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DEUTERONOMY 31:1–8
He will never leave you nor forsake you. Do not be afraid; do not be discouraged.
[ DEUTERONOMY 31:8 ]

When you endure trials, how do you trust in God? How could you share your stories of God’s faithfulness with others?

Heavenly Father, when I’m feeling discouraged and distressed, please remind me through Your Spirit that You’ll never leave me.

오늘의 말씀

08/13/2022     토요일

성경읽기: 시편 87-88; 로마서 13
찬송가: 218(통369)

몬스트로라는 이름의 금붕어

동네 반려동물 가게의 수조 바닥에 있던 한 가엾은 물고기가 레이시 스콧의 눈에 들어왔습니다. 물고기의 비늘은 검게 변해 있었고 몸에는 상처들이 있었습니다. 레이시는 그 열 살 된 물고기를 구해 동화 ‘피노키오’ 속의 고래의 이름을 따 “몬스트로”라고 부르고, “병원” 수조 안에 넣고는 매일 물을 갈아주었습니다. 몬스트로는 천천히 조금씩 나아져 헤엄치기 시작했고 몸도 커지고, 검은 비늘도 황금색으로 변했습니다. 레이시가 열심히 돌본 결과 몬스트로가 새롭게 된 것입니다!

누가복음 10장에서 예수님은 매맞고, 강도 당해 죽게 내버려진 여행자의 비유를 말씀하십니다. 제사장과 레위인 모두 그 사람의 고통을 못 본 체하고 지나갔지만, 당시 천대받던 사마리아인 중 한 사람이 자기 돈까지 들여 그의 필요를 돌보았습니다(누가복음 10:33-35). 예수님은 이야기 속의 사마리아 사람을 진정한 “이웃”이라고 하시며 듣고 있던 자들도 그와 같이 하라고 권면하셨습니다.

레이시가 죽어가던 금붕어에게 한 것처럼 우리도 주위의 어려운 사람들에게 그렇게 할 수 있습니다. 노숙자나 실직자, 장애인, 외로운 “이웃들” 이 우리 앞에 놓여 있습니다. 그들의 슬픔을 외면하지 말고 관심을 가지고 내 이웃처럼 보살핍시다. 따뜻한 말 한마디, 한끼 식사, 손에 슬쩍 쥐여주는 얼마의 돈이면 됩니다. 하나님은 모든 것을 새롭게 만들 수 있는 그분의 사랑을 사람들에게 베풀기 위해 우리를 어떻게 사용하실까요?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10:27-37
네 이웃을 네 자신 같이 사랑하라
[누가복음 10:27]

어떻게 이웃을 돌보듯이 사람들에게 다가갈 수 있을까요?
주위에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저를 새롭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가 하나님의 보살핌이 절실히 필요한 이들의 이웃이 되어 그들이 변화되게 해주소서.

Daily Article

08/13/2022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87–88; ROMANS 13
Hymn: 218(old 369)

MONSTRO THE GOLDFISH

Lacey Scott was at her local pet store when a sad fish at the bottom of the tank caught her eye. His scales had turned black and lesions had formed on his body. Lacey rescued the ten-year-old fish, named him “Monstro” after the whale in the fairytale Pinocchio, and placed him in a “hospital” tank, changing his water daily. Slowly, Monstro improved, began to swim, and grew in size. His black scales transformed to gold. Through Lacey’s committed care, Monstro was made new!

In Luke 10, Jesus tells the story of a traveler who was beaten, robbed, and left for dead. Both a priest and a Levite passed by, ignoring the man’s suffering. But a Samaritan—a member of a despised people group—took care of him, even paying for his needs (LUKE 10:33–35). Pronouncing the Samaritan as the true “neighbor” in the story, Jesus encouraged His listeners to do the same.

What Lacey did for a dying goldfish, we can do for people in need around us. Homeless, unemployed, disabled, and lonely “neighbors” lie in our path. Let us allow their sadness to catch our
eyes and draw us to respond with neighborly care. A kind greeting. A shared meal. A few dollars slipped from palm to palm. How might God use us to offer His love to others, a love which can make all things new?
- ELISA MORGAN

Today's Reading

LUKE 10:27–37
Love your neighbor as yourself.
[ LUKE 10:27 ]

How can you reach out to others in a neighborly way?
What can you do for people in need around you?

Dear God, thank You for making me new!
May I be a neighbor to those who desperately need Your care in order to be transformed by You.

오늘의 말씀

08/12/2022     금요일

성경읽기: 시편 84-86; 로마서 12
찬송가: 543(통342)

재난 때문에

1717년 엄청난 파괴력을 지닌 폭풍우가 며칠 동안 맹렬히 몰아치면서 북유럽 전역에 홍수가 발생했습니다. 네덜란드와 독일, 덴마크에서는 수천 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그때 한 지방 정부에서 내놓은, 당시에는 관례라 할 수 있는 한 재미있는 대처방안이 기록되어 남아 있습니다. 네덜란드 흐로닝언 시 당국은 재난 대책으로 “기도의 날”을 선포했는데, 한 역사가는 시민들이 교회에 모여 “설교를 듣고 찬송하며 몇 시간 동안 기도했다” 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요엘 선지자는 유다 백성들이 당한 불가항력적인 재난 때문에 그들도 기도하게 되었다고 기록합니다. 엄청난 메뚜기 떼가 땅을 뒤덮어 “[그 땅의] 포도나무를 멸하며 [그 땅의] 무화과나무를 황폐시켰습니다”(요엘 1:7). 그와 백성들이 재난에 휘청거릴 때 요엘은 “여호와여 내가 주께 부르짖으오니 ”(1:19)라며 기도했습니다. 직간접적으로 북유럽과 유다의 사람들은 죄와 타락한 세상에서 비롯된 재앙을 경험했습니다(창세기 3:17-19; 로마서 8:20- 22). 그러나 그들은 그 어려운 시기 때문에 하나님께 부르짖고 기도로 하나님을 찾게 되었다는 것도 알게 되었습니다(요엘1:19). 그리고 하나님도 “너희는 이제라도... 마음을 다하여 내게로 돌아오라”(요엘 2:12)고 말씀하셨습니다.

고난이나 재난을 당할 때 하나님께로 돌이킬 수 있기를 바랍니다. 어쩌면 고뇌나 회개하는 마음으로 그렇게 할 지도 모릅니다. 그럴 때 “자비로우시며” “인애가 크신”(13절) 하나님은 우리를 그분께로 이끌어 우리에게 필요한 위로와 도움을 베풀어 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요엘 1:1-7, 19-20
여호와여 내가 주께 부르짖으오니
[요엘 1:19]

왜 사람들은 종종 재난을 당할 때 하나님께로 향할까요?
하나님은 어떻게 고난의 시기를 사용해 우리를 그분께로 이끄시나요?

하나님 아버지, 고난을 당할 때 하나님께 부르짖어 오직 하나님만이 주실 수 있는 소망을 찾게 하소서.

Daily Article

08/12/2022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84–86; ROMANS 12
Hymn: 543(old 342)

DRAWN BY DISASTER

In 1717, a devastating storm raged for days, leading to widespread flooding in northern Europe. Thousands of people lost their lives in the Netherlands, Germany, and Denmark. History reveals an interesting and customary—for that time—response by at least one local government. The provincial authorities of the Dutch city of Groningen called for a “prayer day” in response to the disaster. A historian reports that the citizens gathered in churches and “listened to sermons, sang psalms, and prayed for hours.”

The prophet Joel describes an overwhelming disaster faced by the people of Judah that also led to prayer. A massive swarm of locusts had covered the land and “laid waste [its] vines and ruined [its] fig trees” (JOEL 1:7). As he and his people reeled from the devastation, Joel prayed, “Lord, help us!” (1:19 NLT). Directly and indirectly, both the people of northern Europe and Judah experienced disasters that originated with the effects of sin and this fallen world (GENESIS 3:17–19; ROMANS 8:20–22). But they also found that these times led them to call out to God and seek Him in prayer (JOEL 1:19). And God said, “Even now . . . return to me with all your heart” (2:12).

When we face difficulties and disaster, may we turn to God— perhaps in anguish, perhaps in repentance. “Compassionate” and “abounding in love” (V. 13), He draws us to Himself—providing the comfort and help we need.
- TOM FELTEN

Today's Reading

JOEL 1:1–7, 19–20
Lord, help us!
[ JOEL 1:19 nlt ]

Why do people often turn to God when they face disaster?
How can He use difficult times to draw us to Himself?

Heavenly Father, in the face of difficulty, help me to call out to You and find the hope You alone can provide.

오늘의 말씀

08/11/2022     목요일

성경읽기: 시편 81-83; 로마서 11:19-36
찬송가: 302(통408)

헤아릴 수 없는 풍성함

수 조 달러의 수 조배 가치가 있는 소행성이 화성과 목성 사이의 궤도를 빠르게 돌고 있습니다. 과학자들은 ‘16 프시케’라는 이름의 그 소행성이 도저히 헤아릴 수 없는 가치의 금과 철, 니켈, 백금과 같은 광물질로 이루어져 있다고 말합니다. 아직은 지구인들이 이 부유한 자원을 채굴하려고 하지 않지만 미국은 그 귀중한 암석을 연구하기 위해 탐사선을 보낼 계획입니다.

닿을 수 없는 곳에 헤아릴 수 없는 부가 있다는 사실은 애를 태우고 또한 좌절감이 들게 합니다. 언젠가는 분명히 그 보물을 얻기 위해 16 프시케를 향해 나서는 사람들이 나타날 것입니다.

반면에 손이 닿는 곳에 부가 있다면 어떻겠습니까? 모두가 그쪽으로 가지 않을까요? 바울 사도는 초대 로마 교회에 쓴 편지에서 얻을 수 있는 부, 곧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찾을 수 있는 부에 대해 말하면서, “깊도다 하나님의 지혜와 지식의 풍성함이여”(로마서 11:33)라고 썼습니다. 성경학자 제임스 데니는 이 풍성함을 “세상의 [모든 필요를] 충족시키고도 남는 하나님의 측량할 수 없이 풍성한 사랑”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이 바로 그것이 아닐까요? 저 멀리 떨어져 있는 소행성에 있는 금덩이보다 더 말입니다. 성령님의 도우심으로 우리는 성경에 있는 하나님의 풍성한 지혜와 지식을 캐낼 수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우리를 이끄셔서 그 풍성함을 파내고 하나님을 더 많이 알고 더 소중히 여길 수 있게 되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로마서 11:33-36
깊도다 하나님의 지혜와 지식의 풍성함이여
[로마서 11:33]

하나님의 사랑 안에서 풍성해진다는 것이 무슨 의미일까요?
어떻게 영원한 부를 더 캐낼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을 따르면서 하나님의 지혜와 지식, 하나님의 판단과 길을 구하게 하소서.

Daily Article

08/11/2022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81–83; ROMANS 11:19–36
Hymn: 302(old408)

UNTOLD RICHES

In an orbit between Mars and Jupiter zooms an asteroid worth trillions and trillions of dollars. Scientists say 16 Psyche consists of metals such as gold, iron, nickel, and platinum worth unfathomable amounts of money. For now, earthlings are not attempting to mine this rich resource, but the United States is planning to send a probe to study the valuable rock.

The promise of untold riches just out of reach can be both tantalizing and frustrating. Surely in time there will be people who will champion the cause of reaching 16 Psyche for its treasure.

But what about the prospect of riches that are within our reach? Wouldn’t everyone go for that? Writing to the first-century church at Rome, the apostle Paul spoke of attainable riches—those we find in our relationship with God. He wrote, “Oh, the depth of the riches of the wisdom and knowledge of God!” (ROMANS 11:33). Bible scholar James Denney described these riches as “the unsearchable wealth of love that enables God to . . . far more than meet the [great needs] of the world.”

Isn’t that what we need—even more than gold nuggets from some far-off asteroid? We can mine the riches of God’s wisdom and knowledge found in the Scriptures as the Holy Spirit helps us. May God lead us to dig into those riches and to know and treasure Him more.
- DAVE BRANON

Today's Reading

ROMANS 11:33–36
Oh, the depth of the riches of the wisdom and knowledge of God!
[ ROMANS 11:33 ]

What does it mean for you to be rich in God’s love?
How can you dig more for riches that last?

Father God, help me to seek out Your wisdom and knowledge, Your judgments, and Your paths as I seek to follow You.

오늘의 말씀

08/10/2022     수요일

성경읽기: 시편 79-80; 로마서 11:1-18
찬송가: 400(통463)

담대히 서라

일리노이주의 어느 작은 마을에는 가정 폭력이 그 지역 범죄의 40 퍼센트를 차지합니다. 그곳의 한 목회자에 따르면, 신앙 공동체 안에서는 그것에 대해 말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그 문제가 숨겨진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그래서 이곳 목회자들은 문제를 피하기보다는 믿음을 가지고 나서서 폭력의 징후를 인식하는 방법을 배우고 이 문제를 다루는 비영리단체를 지원하면서 이 문제를 용기 있게 다루기로 했습니다. 한 목회자는 믿음과 실천의 힘에 대해 이렇게 말했습니다. “가시적인 지원과 함께 기도하며 긍휼을 베풀면 중요한 차이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바사의 왕후 에스더가 자기 민족의 학살을 정당화한 법에 대항하기를 주저하자, 에스더의 삼촌은 그녀가 계속 침묵한다면 그녀와 그녀의 가족도 살아남지 못하고 멸망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에스더 4:13-14). 담대하게 일어서야 할 때임을 안 모르드개는 “네가 왕후의 자리를 얻은 것이 이 때를 위함이 아닌지 누가 알겠느냐”(14절)고 물었습니다. 우리가 불의에 대항해 목소리를 내라는 부름을 받았든지, 고통을 준 사람을 용서하라는 부름을 받았든지, 성경은 우리가 어려운 상황에 있을 때 하나님이 결코 우리를 떠나거나 버리지 않으신다고 확실히 말씀합니다(히브리서 13:5-6). 위협을 느끼는 순간에도 하나님을 바라보고 도움을 구하면 하나님은 “능력과 사랑과 절제하는 마음” 을 주셔서 끝까지 임무를 완성할 수 있도록 해 주실 것입니다(디모데후서 1:7).

오늘의 성구

에스더 4:7-14
네가 왕후의 자리를 얻은 것이 이 때를 위함이 아닌지 누가 알겠느냐
[에스더 4:14]

하나님은 당신이 무엇을 하기를 원하십니까?
그 부름에 응답하도록 당신에게 이미 주신 것들은 무엇입니까?

하늘에 계신 아버지, 제 삶에 특별한 소명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두려움을 극복하고 믿음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8/10/2022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79–80; ROMANS 11:1–18
Hymn: 400(old463)

STANDING BOLDLY

In a small Illinois town, domestic violence comprises 40 percent of all crimes in the community. According to a local pastor, this issue is often hidden in our faith communities because it’s uncomfortable to talk about. So instead of shying away from the problem, local ministers chose to exercise faith and courageously address the issue by taking classes to recognize the signs of violence and supporting nonprofit organizations working on the issue. Acknowledging the power of faith and action, a local minister said, “Our prayers and compassion, coupled with some tangible support, can make an important difference.”

When Esther, Queen of Persia, was hesitant to speak out against a law that authorized the genocide of her people, she was warned by her uncle that if she remained silent, she and her family wouldn’t escape but would perish (ESTHER 4:13–14). Knowing it was time to be bold and take a stand, Mordecai queried, “Who knows but that you have come to your royal position for such a time as this?” (V. 14). Whether we are called to speak out against injustice or to forgive someone who’s caused us distress, the Bible assures us that in challenging circumstances, God will never leave or forsake us (HEBREWS 13:5–6). When we look to God for help in moments where we feel intimidated, he’ll give us “power, love, and self-discipline” to see our assignment through to the end (2 TIMOTHY 1:7).
- KIMYA LODER

Today's Reading

ESTHER 4:7–14
Who knows but that you have come to your royal position for such a time as this?
[ ESTHER 4:14 ]

What might God be asking you to do?
What tools have you already been given to answer the call?

Heavenly Father, thank You for placing a unique calling over my life.
Help me to overcome my fears and step out in faith.

오늘의 말씀

08/09/2022     화요일

성경읽기: 시편 77-78; 로마서 10
찬송가: 212(통347)

겸손함이 진리

16세기 아빌라의 성녀 테레사는 하나님이 왜 겸손을 그토록 중요하게 생각하시는지 묵상하다가 문득 해답을 찾았습니다. “그것은 하나님은 최상의 진리이시고 겸손도 진리이기 때문입니다... 우리에게서는 어떤 선한 것도 나오지 않습니다. 그것은 강가에 심은 나무처럼 영혼이 가까이 머무는 은혜의 샘물에서 나오고 우리의 일에 생명을 불어넣는 해 같은 그분에게서 나옵니다.” “기도의 모든 기초는 겸손이어서, 우리가 기도를 통해 더 겸손해질수록 하나님께서 우리를 더 높여 주실 것”이기 때문에, 테레사는 우리가 기도함으로써 그 사실에 우리를 메어둘 수 있다고 결론지었습니다.

테레사의 겸손에 대한 말은 야고보서 4장에 기록된 구절들을 떠올려줍니다. 거기에서 야고보는 하나님의 은혜에 의지해서 사는 삶과 정반대인, 교만과 이기적인 욕망 같은 자기 파괴적인 본성에 대해 경고했습니다(1-6절). 야고보는 탐욕과 절망, 지속적인 충돌이 있는 삶에 대한 유일한 해결책은 우리의 교만을 회개하고 그 대신 하나님의 은혜로 채우는 것이라고 강조합니다. 다시 말해 그것은 ”주께서 우리를 높이시리라”는 확신 아래 “주 앞에서 자신을 낮추는” 것입니다(10절).

은혜의 샘물에 뿌리를 내릴 때 우리는 비로소 “위로부터 난 지혜”(3:17) 로 영양분을 공급받게 되며, 우리가 오직 주님 안에 있을 때 진리로 인해 높아지게 될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야고보서 4:1-11
주 앞에서 낮추라 그리하면 주께서 너희를 높이시리라
[야고보서 4:10]

교만이 어떻게 진실한 기도를 드리지 못하게 하고 하나님의 은혜를 경험하지 못하게 할까요? 기도를 통해 겸손해짐으로 얻게 되는 자유를 어떻게 경험해 보셨습니까?

사랑의 하나님, 하나님과 함께 하는 삶을 선물로 주셔서 감사합니다.
실제의 제 모습 그 이상 될 필요없이 하나님 안에서 제게 필요한 모든 것, 그리고 그 이상을 찾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8/09/2022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77–78; ROMANS 10
Hymn: 212(old 347)

HUMILITY IS THE TRUTH

Reflecting one day on why God values humility so highly, sixteenth- century believer Teresa of Avila suddenly realized the answer: “It is because God is the supreme Truth, and humility is the truth. . . . Nothing good in us springs from ourselves. Rather, it comes from the waters of grace, near which the soul remains, like a tree planted by a river, and from that Sun which gives life to our works.” Teresa concluded that it’s by prayer that we anchor ourselves in that reality, for “the whole foundation of prayer is humility. The more we humble ourselves in prayer, the more will God lift us up.”

Teresa’s words about humility echo the language of Scripture in James 4, where James warned of the self-destructive nature of pride and selfish ambition, the opposite of a life lived in dependence on God’s grace (VV. 1–6). The only solution to a life of greed, despair, and constant conflict, he emphasized, is to repent of our pride in exchange for God’s grace. Or, in other words, to “humble yourselves before the Lord,” with the assurance that “he will lift you up” (V. 10).

Only when we’re rooted in the waters of grace can we find ourselves nourished by the “wisdom that comes from heaven” (3:17). Only in Him can we find ourselves lifted up by the truth.
- MONICA LA ROSE

Today's Reading

JAMES 4:1–11
Humble yourselves before the Lord, and he will lift you up.
[ JAMES 4:10 ]

How does pride hinder true prayer and experience of God’s grace? How have you experienced the freedom of humility through prayer?

Loving God, thank You for the gift of life with You. Thank You that I don’t need to be more than I am.
Thank You that in You I find all that I need and more.

오늘의 말씀

08/08/2022     월요일

성경읽기: 시편 74-76; 로마서 9:16-33
찬송가: 570(통453)

옳은 길을 구별하는 법

열 여섯 살의 브라질 스케이트보더 펠리페 구스타보가 “세계 최고의 전설적인 스케이트보더”가 될 거라고 믿었던 사람은 아무도 없었습니다. 구스타보의 아버지는 아들이 프로 스케이트보더의 꿈을 이루길 원했지만 돈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그의 아버지는 차를 팔아 아들을 플로리다에서 열리는 유명한 탬파 앰 스케이트 경기에 참가시켰습니다. 무명의 구스타보는 거기서 우승했고, 그 승리 이후 놀라운 경력을 쌓아가게 되었습니다.

구스타보의 아버지는 아들의 마음과 열정을 볼 줄 아는 능력이 있었습니다. 구스타보는 “내가 아버지가 되면, 아빠가 나를 위해 했던 것의 5퍼센트만이라도 닮기를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잠언에는 부모가 하나님이 자녀들에게 심어 놓으신 마음과 열정과 성품의 고유한 장점들을 스스로 발견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하나님께서 만드신 그들의 모습에 맞는 길로 가도록 인도하고 용기를 북돋워줘야 한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잠언 저자는 “마땅히 행할 길을 아이에게 가르치라 그리하면 늙어도 그것을 떠나지 아니하리라”(22:6)고 말합니다.

우리에게 큰 재력이나 깊은 지식은 없을지라도 하나님의 지혜(17-21절) 와 우리의 관심 어린 사랑으로 우리 자녀나 우리의 영향권 안에 있는 다른 아이들에게 커다란 선물을 안겨줄 수 있습니다. 우리는 아이들이 하나님을 신뢰하고 평생 추구해 나갈 길을 구별하도록 도와줄 수 있습니다(3:5-6).

오늘의 성구

잠언 22:6, 17-21
마땅히 행할 길을 아이에게 가르치라 그리하면 늙어도 그것을 떠나지 아니하리라
[잠언 22:6]

자녀의 마음과 열정에 관심을 두는 부모를 어디에서 만나보았습니까?
하나님은 당신에게 어떻게 그분의 관심을 보여주셨습니까?

하늘에 계신 아버지, 좋은 부모들이 어떻게 자녀들에게 관심을 쏟는지 생각해 보면 하나님이 가장 참된 부모임을 알게 됩니다.
나를 지켜보시고 인도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8/08/2022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74–76; ROMANS 9:16–33
Hymn: 570(old 453)

DISCERNING RIGHT PATHS

No one would have believed sixteen-year-old Brazilian skateboarder Felipe Gustavo would become “one of the most legendary skateboarders on the planet.” Gustavo’s dad believed his son needed to pursue his dream of skating professionally, but they didn’t have the money. So his dad sold their car and took his son to the renowned Tampa Am skating competition in Florida. No one had heard of Gustavo . . . until he won. And the victory catapulted him into an amazing career.

Gustavo’s dad had the capacity to see his son’s heart and passion. “When I become a father,” Gustavo said, “I just want to be like 5 percent of what my dad was for me.”

Proverbs describes the opportunity parents have to help their children discern the unique way God has crafted their heart, energy, and personality—and then to direct and encourage them toward the path that reflects who God made them to be. “Start children off on the way they should go,” the writer said, “and even when they are old they will not turn from it” (22:6).

We may not possess vast resources or profound knowledge. With God’s wisdom (VV. 17–21) and our attentive love, however, we can offer our kids and other children within our sphere of influence an immense gift. We can help them trust in God and discern the paths they can follow for a lifetime (3:5–6).
- WINN COLLIER

Today's Reading

PROVERBS 22:6, 17–21
Start children off on the way they should go, and even when they are old they will not turn from it.
[ PROVERBS 22:6 ]

Where have you encountered a parent attentive to their child’s heart or energy?
How has God revealed His attentive ways to you?

Heavenly Father, as I consider how good parents pay attention to their children, I know You’re the truest parent.
Thank You for seeing and guiding me.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