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7/28/2022 목요일
온 세상이 노래할 때
요한 사도는 그 노래보다 더 엄청난 이상적인 꿈을 묘사합니다. “하늘 위에와 땅 위에와 땅 아래와 바다 위에와 또 그 가운데 모든 피조물이” (요한계시록 5:13) 함께 노래를 부르는 환상을 보았습니다. 이 찬송에는 그 어떤 기발한 연출도 없습니다. 이 찬송의 당사자인 예수님이 치르신 대가보다 더 사실적인 내용은 없습니다. 예수님의 사랑의 희생으로 극복하게 된, 전쟁과 죽음, 그리고 그 결과를 보는 것보다 더 끔찍한 환상은 없습니다.
참으로 하나님의 어린 양은 우리의 죄를 대신 지셨고, 죽음을 이기셨고, 우리가 더 이상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게 하셨으며, 온 하늘과 땅이 완벽한 하모니로 노래할 수 있도록 가르치셨습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계시록 5:8-14그들이 새 노래를 불러 이르되... 각 족속과 방언과 백성과 나라 가운데에서 사람들을 피로 사서 하나님께 드리시고
[요한계시록 5:9]
당신이 노래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모든 피조물이 하나 되어 어린 양과 그분의 사랑을 노래하는 요한의 환상을 떠올릴 때 어떤 마음과 생각이 듭니까?
하늘에 계신 아버지, 모든 사람 모든 피조물이 즐거이 부를 노래를 주시려고 하나님께서 행하신 그 놀라운 일을 깨달을 수 있게 해주소서.
Daily Article
07/28/2022 THURSDAY
WHEN THE WHOLE WORLD SINGS
The apostle John describes something like that idealized dream, only vastly greater. He envisioned a song sung by “every creature in heaven and on earth and under the earth and on the sea, and all that is in them” (REVELATION 5:13). There’s nothing whimsical about this anthem. Nothing could be more realistic than the price paid by the One to whom this song is sung. Neither could there be anything more foreboding than the visions of war, death, and consequence that His sacrifice of love would have to overcome.
Yet this is what it took for the Lamb of God to bear our sin and defeat death, overcome our fear of death, and teach all heaven and earth to sing—in perfect harmony.
- MART DEHAAN
Today's Reading
REVE L ATION 5:8–14They sang a new song, saying . . . with your blood you purchased for God persons from every tribe and language and people and nation.
[ REVELATION 5:9 ]
What gives you cause to sing? What happens to your heart and mind when you embrace John’s vision of every created being singing in united praise of the Lamb and His love?
Father in heaven, please help me to sense the wonder of what You’ve done to give me a song that can be sung in joy by everyone and every living creature.
오늘의 말씀
07/27/2022 수요일
열쇠
키팅은 여기서 우리가 “하나님과의 친밀함과 하나님의 사랑의 임재를 경험하게” 해주는 열쇠를 잃어버렸다고 결론 내립니다. “그 경험 없이는 어떤 것도 가능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그것을 경험하면 거의 모든 것이 가능합니다.”
삶의 기복 속에서도 하나님이 여전히 우리의 가장 깊은 소망의 열쇠가 되신다는 사실을 우리는 너무나 쉽게 잊어버립니다. 하지만 우리가 모든 그릇된 곳을 향하는 것을 멈출 때 하나님은 거기서 우리에게 참된 안식을 보여주십니다. 마태복음 11장에서 예수님은 하나님의 길을 “지혜롭고 슬기 있는 자들”에게는 숨기시고 “어린아이들”에게는 나타내신 하나님 아버지를 찬양합니다(25절). 그러시고 나서 “수고하고 무거운 짐 진 자들”(28절)을 불러 안식으로 초대하십니다.
우리가 어린아이와 같이 “마음이 온유하고 겸손”(29절) 하신 우리 예수님의 길을 배워 나갈 때 우리는 참된 평안을 얻을 수 있습니다. 우리를 본향으로 맞이하고 싶어 하시는 하나님께서 거기 계십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11:25-29나는 마음이 온유하고 겸손하니 나의 멍에를 메고 내게 배우라 그리하면 너희 마음이 쉼을 얻으리니
[마태복음 11:29]
당신은 언제 그릇된 곳에서 만족과 쾌락을 얻고 싶은 유혹을 느낍니까?
그 대신 무엇이 하나님 안에서 평화를 찾도록 상기시켜 줍니까?
사랑의 하나님, 가장 화려해 보이는 곳에서 만족을 찾으려 하는 저의 모습을 자주 봅니다.
그 대신 참된 평안을 찾기 위해 하나님께로 향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7/27/2022 WEDNESDAY
THE KEY
We have lost the key to “intimacy with God, the experience of God’s loving presence,” Keating concludes. “Without that experience, nothing else quite works; with it, almost anything works.”
How easy it is to forget that even in life’s ups and downs, God remains the key to our deepest longings. But when we’re ready to stop looking in all the wrong places, God is there, ready to show us true rest. In Matthew 11, Jesus praises the Father for revealing His ways, not to the “wise and learned,” but “to little children” (V. 25). Then He invites “all you who are weary and burdened” (V. 28) to come to Him for rest.
Like little children, we can find true rest as we learn the ways of our Teacher, who’s “gentle and humble in heart” (V. 29). God is there, eager to welcome us home.
- MONICA LA ROSE
Today's Reading
MAT THEW 11:25–29Take my yoke upon you and learn from me, for I am gentle and humble in heart, and you will find rest for your souls.
[ MATTHEW 11:29 ]
When are you tempted to look for satisfaction and joy in the wrong places?
What helps you remember to find peace in God instead?
Loving God, how easily I’m drawn to seek satisfaction in whatever looks brightest.
Help me turn to You to find true rest.
오늘의 말씀
07/26/2022 화요일
동산의 하나님
미첼이 시적으로 표현한 “동산”은 물론 에덴을 말합니다. 에덴은 태초에 하나님께서 우리를 위해 창조하신 낙원이었습니다. 이 동산에서 아담과 하와는 악마와 거래를 한 바로 그 날까지 정기적으로 하나님을 만났습니다(창세기 3:6-7 참조). 그러나 그 날은 달랐습니다. “그 날 저녁, 날이 서늘할 때에 아담과 그의 아내는 여호와 하나님이 동산에서 거니시는 소리를 듣고 그분의 낯을 피하여 동산 나무 사이에 숨었습니다”(8절, 현대인의 성경).
하나님께서 그들에게 무엇을 했냐고 물으셨을 때 아담과 하와는 서로를 책망했습니다. 그들이 부인함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은 그들을 그곳에 그대로 남겨두지 않으셨습니다. 하나님은 “아담과 그의 아내를 위하여 가죽옷을 지어 입히셨는데”(21절), 그것은 훗날 예수님께서 우리의 죄를 덮기 위해 돌아가실 것을 암시한 희생 제물이었습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에덴으로 돌아갈 수 있는 길을 주지 않으셨으나, 그분과의 회복된 관계로 나아갈 수 있는 길을 주셨습니다. 우리는 동산으로 돌아갈 수는 없지만, 동산의 하나님께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창세기 3:8-13그 날 저녁, 날이 서늘할 때에 아담과 그의 아내는 여호와 하나님이 동산에서 거니시는 소리를 듣고
[창세기 3:8, 현대인의 성경]
오늘 당신과 하나님 사이를 가로막고 있는 것은 무엇입니까?
“날이 서늘할 때에” 하나님과 함께 걷기 위해 무엇을 고백해야 할까요?
하나님 아버지, 저의 실수와 잘못인데도 다른 사람을 탓하지 않도록 도와주소서.
주님께 정직해야 주님과 동행할 수 있음을 알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7/26/2022 TUESDAY
GOD OF THE GARDEN
Mitchell’s poetical “garden” is Eden, of course. Eden was the paradise God created for us back in the beginning. In this garden, Adam and Eve met with God on a regular basis—until the day they made their bargain with the devil (SEE GENESIS 3:6–7). That day was different. “Then the man and his wife heard the sound of the Lord God as he was walking in the cool of the day, and they hid from the Lord God among the trees of the garden” (V. 8).
When God asked what they’d done, Adam and Eve engaged in a lot of blame-shifting. Despite their denial, God didn’t leave them there. He “made garments of skin for Adam and his wife and clothed them” (V. 21), a sacrifice that hinted at the death Jesus would endure to cover our sins.
God didn’t give us a way back to Eden. He gave us a way forward into restored relationship with Him. We can’t return to the garden. But we can return to the God of the garden.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GENE SIS 3:8–13Then the man and his wife heard the sound of the Lord God as he was walking in the garden in the cool of the day.
[ GENESIS 3:8 ]
What stands between you and God today?
What might you confess to Him in order to walk in “the cool of the day” with Him?
Father, help me not to blame others for my own faults and failures.
Thank You that honesty with You means relationship with You.
오늘의 말씀
07/25/2022 월요일
가벼운 차림으로 여행하기
제임스의 생각이 맞았습니다. 그것은 히브리서 저자가 하고 있는 말을 떠올리게 합니다. 우리는 삶의 여정을 이어갈 때 “모든 무거운 것과 얽매이기 쉬운 죄를 벗어 버려야”(12:1) 합니다. 계속 나아가려면 가벼운 차림으로 여행을 해야 하는 것입니다.
예수 믿는 사람들이 하는 경주에는 “인내”가 요구됩니다(1절). 계속 달릴 수 있게 하는 방법 중 하나는 우리를 무겁게 하는 용서하지 못하는 마음과 인색함, 그리고 우리를 가로막는 다른 죄에서 벗어나 자유로워지는 것입니다.
예수님의 도우심 없이는 가벼운 차림으로 여행할 수도 없고, 이 경주를 잘 마칠 수도 없습니다. 우리가 “믿음의 주요 또 온전하게 하시는 예수”를 바라봄으로 “피곤하여 낙심하지 않게” 되기를 바랍니다(2-3절).
오늘의 성구
히브리서 12:1-3인내로써 우리 앞에 당한 경주를 하며
[히브리서 12:1]
삶의 여정에서 당신을 짓누르고 있는 것이 무엇입니까?
당신을 얽매는 그 짐을 어떻게 견딜 수 있고, 또 어떻게 그것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요?
하늘에 계신 아버지, 내 앞길에 허락하신 경주에 감사드립니다.
나를 얽매고 달리지 못하게 하는 죄에서 벗어나도록 지혜와 분별력을제게 주소서.
Daily Article
07/25/2022 MONDAY
TRAVELING LIGHT
James’ realization was smart. It’s a reflection of what the writer of Hebrews is saying too. As we continue our journey in life, we need to “throw off everything that hinders and the sin that so easily entangles” (12:1). We need to travel light to press on.
As believers in Jesus, running this race requires “perseverance” (V. 1). And one of the ways to ensure we can keep going is to be free of the weight of unforgiveness, pettiness, and other sins that will hinder us.
Without Jesus’ help, we can’t travel light and run this race well. May we look to the “pioneer and perfecter of faith” so that we won’t “grow weary and lose heart” (VV. 2–3).
- KATARA PATTON
Today's Reading
HEBREWS 12:1–3Let us run with perseverance the race marked out for us.
[ HEBREWS 12:1 ]
What do you sense is weighing you down on your life journey?
How might you persevere and be free of the weight that entangles?
Heavenly Father, I thank You for the race You’ve set before me.
Please give me wisdom and discernment to steer clear of the sin that tries to entangle me and prevent me from running well.
오늘의 말씀
07/24/2022 주일
하나님은 아십니다
요단강 동쪽에 거주하던 이스라엘 백성들이 강 옆에 큰 제단을 쌓자 오해를 불러일으켰습니다. 예배를 위해 하나님께서 인정한 유일한 장소가 성막뿐이라는 것을 누구나 알고 있었기에 강 서쪽에 거주하는 지파들은 그것을 하나님에 대한 반역으로 여겼습니다(여호수아 22:16).
긴장이 고조되자 동쪽 지파 사람들이 그것은 하나님의 제단의 모형일 뿐이라고 해명했습니다. 그들은 후손들이 그것을 보고 이스라엘의 다른 지파와의 영적, 혈연관계를 인식할 수 있기를 바랐던 것입니다(28-29절). 동쪽 지파 사람들은 이렇게 외쳤습니다. “전능하신 자 하나님 여호와께서 아십니다”(22절). 다행히도 다른 지파 사람들이 귀 기울여 듣고 정황을 파악한 후 하나님을 찬양하고 집으로 돌아갔습니다.
하나님은 “모든 마음을 감찰하사 모든 의도를 아시기”(역대상 28:9) 때문에 모든 사람들의 마음속 동기를 분명히 아십니다. 혼란스러운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하나님께 도움을 구하면 하나님은 우리에게 해명할 기회를 주시거나 가해자를 용서할 수 있는 은혜를 주시기도 합니다. 다른 사람들과의 화합을 위해 노력할 때 우리는 하나님을 의지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여호수아 22:21-27전능하신 자 하나님 여호와께서 아시나니
[여호수아 22:22]
당신은 다른 사람들과의 화합을 위해 어떤 가치를 내세웁니까?
때때로 다른 신자들과 의견 차이가 있을 때 사랑으로 대응하는 것이 왜 그렇게 중요할까요?
하나님, 귀를 기울여 듣고 겸손히 말할 수 있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7/24/2022 SUNDAY
GOD KNOWS
The Israelites who lived east of the Jordan created a misunderstanding when they built a massive altar next to the river. The western tribes viewed this as rebellion against God—everyone knew the tabernacle was the only God-approved place for worship (JOSHUA 22:16).
Tensions mounted until the eastern tribes explained that they only meant to make a replica of God’s altar. They wanted their descendants to see it and recognize their spiritual and ancestral connection with the rest of Israel (VV. 28–29). They exclaimed: “The Mighty One, God, the Lord! He knows!” (V. 22). Thankfully, the others listened. They saw what was going on, praised God, and returned home.
Because God “searches every heart and understands every desire and every thought” (1 CHRONICLES 28:9), everyone’s motives are clear to Him. If we ask Him to help us sort out confusing situations, He may give us the chance to explain ourselves or the grace we need to forgive offenses. We can turn to Him when we’re striving for unity with others.
- JENNIFER BENSON SCHULDT
Today's Reading
JOSHUA 22:21–27The Mighty One, God, the Lord! He knows!
[ JOSHUA 22:22 ]
What kind of value do you place on unity with others?
Why is it vital for us to lovingly disagree with fellow believers at times?
God, help me to be an attentive listener and humble speaker.
오늘의 말씀
07/23/2022 토요일
성장하도록 부르심을 받음
멍게는 먹이를 찾고 자신을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원시적인 척수와 두뇌를 갖춘 올챙이 같은 모습으로 삶을 시작합니다. 어렸을 때는 바다를 탐색하며 시간을 보내지만 성체에 이르면 변화가 일어나, 바위에 달라붙어서 탐색과 성장을 멈추어 버립니다. 그리고 자신의 뇌를 먹어 치우는 섬뜩한 반전을 보여줍니다.
척추도 없이 생각도 없이 수동적으로 물결에 따라 사는 멍게. 베드로 사도는 우리에게 그런 멍게의 운명을 쫓지 말라고 권면합니다. 우리는 성장하도록 부르심을 받았고, 그것은 곧 하나님의 성품에 참여하는 것 (베드로후서 1:4)을 의미합니다. 성장은 곧 정신적으로는 그리스도를 아는 지식을 (3:18), 영적으로는 덕과 인내, 그리고 절제의 모습을(1:5–7), 실제 삶에서는 서로 사랑하고 대접하며, 각각 은사를 받은 대로 봉사하는 것을 더해가는 것입니다 (베드로전서 4:7-11). 베드로는 이같은 성장을 통해 우리가 “게으르지 않고 열매 없는”(베드로후서 1:8) 삶을 살지 않을 거라고 말합니다.
이 성장에로의 부르심은 십 대뿐 아니라 칠십 세의 사람에게도 똑같이 아주 중요합니다. 하나님의 성품은 바다처럼 광대한데, 우리는 고작 몇 미터 밖에 나아가지 못했습니다. 하나님의 끝없는 성품을 탐구하며 새로운 영적 모험을 떠나 보십시오. 배우고 섬기며 위험을 감수해 내십시오. ‘성장하십시오.’
오늘의 성구
베드로후서 1:3-9이런 것이 너희에게 있어 흡족한 즉 너희로... 게으르지 않고 열매 없는 자가 되지 않게 하려니와
[베드로후서 1:8]
하나님은 당신의 어떤 성품이 자라기를 원한다고 생각하십니까?
하나님께서 당신을 어떤 섬김의 자리로 인도하고 계십니까?
하나님 아버지, 매일 주님을 더 닮아가려는 열정을 저에게 주소서.
Daily Article
07/23/2022 SATURDAY
CALLED TO GROW
The sea squirt starts life as a tadpole with a primitive spinal cord and brain that helps it find food and avoid harm. As a juvenile, it spends its days exploring the ocean, but something happens when it reaches adulthood. Settling on its rock, it stops exploring and growing. In a macabre twist, it digests its own brain.
Spineless, thoughtless, flowing passively with the current. The apostle Peter encourages us not to follow the sea squirt’s fate. Since maturity for us means taking on God’s nature (2 PETER 1:4), you and I are called to grow—grow mentally in our knowledge of Christ (3:18); spiritually in traits like goodness, perseverance, and self-control (1:5–7); and practically by exploring new ways to love, offer hospitality, and serve others through our gifts (1 PETER 4:7–11). Such growth, Peter says, will stop us from living “ineffective and unproductive” lives (2 PETER 1:8).
This calling to grow is as vital for the seventy-year-old as it is for the teenager. God’s nature is as vast as the ocean. We’ve barely swum a few feet. Explore His unending character, take new spiritual adventures. Study, serve, take risks. Grow.
- SHERIDAN VOYSEY
Today's Reading
2 PETER 1:3–9For if you possess these qualities in increasing measure, they will keep you from being ineffective and unproductive.
[ 2 PETER 1:8 ]
What character trait do you feel God calling you to grow in?
What service opportunity is God leading you to try?
Father God, make me ambitious to grow more like You each day.
오늘의 말씀
07/22/2022 금요일
치유받은 자 같이 살라
태어날 때부터 다리를 절었던 남자가 성전 입구의 늘 앉는 자리에 앉아 돈을 구걸하고 있었습니다. 베드로는 그에게 가진 돈은 없지만 그보다 더 귀한 것이 있다고 하면서 “나사렛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일어나 걸으라” (사도행전 3:6)고 했습니다. 그 사람은 “뛰어 일어나서 걸으며... 기뻐 뛰면서 하나님을 찬송했습니다”(8절).
앞을 보지 못했던 자매와 다리를 절었던 남자는 눈에 문제가 없거나 다리가 불편하지 않은 보통 사람들보다 자신의 보이는 눈과 걷는 다리에 더 많이 감사했습니다. 자매는 놀라움과 기쁨에 벅차 계속 눈을 깜박거렸고, 그 남자는 “뛰어 일어섰습니다.”
당신이 지닌 타고난 능력을 생각해 보십시오. 만약 과거에 기적적으로 치유를 받아 그 능력을 갖게 되었다면, 당신은 그 능력을 얼마나 더 즐길 수 있으며 또 어떻게 다르게 사용할 수 있을까요? 이제 이렇게 한번 생각해 보십시오. 당신이 예수님을 믿음으로 영적으로 치유를 받은 것입니다. 예수님은 당신을 죄에서 구원해 주신 것입니다.
우리를 지으시고 구원하신 하나님께 감사를 드리고 주님이 주신 우리의 능력을 그 분께 바치도록 합시다.
오늘의 성구
사도행전 3:1-10그들과 함께 성전으로 들어가면서 걷기도 하고 뛰기도 하며 하나님을 찬송하니
[사도행전 3:8]
당신의 타고난 능력을 예수님을 위해 어떻게 사용할 수 있을까요?
당신이 가진 어떤 능력이든 상관없이 어떻게 즐거운 마음으로 섬길 수 있을까요?
그 능력이 가져다주는 즐거움을 하나님께 감사드리십시오.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의 음성을 들을 수 있는 귀와, 하나님을 찬양할 수 있는 입, 그리고 하나님을 섬길 수 있는 손과 발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7/22/2022 FRIDAY
LIVE LIKE YOU’RE HEALED
A man who had been lame since birth sat in his usual spot at a temple gate, begging for money. Peter told the man he didn’t have coins, but he had something better. “In the name of Jesus Christ of Nazareth, walk” (ACTS 3:6), he said. The man “jumped to his feet and began to walk. Then he went . . . jumping, and praising God” (V. 8).
The sisters and the man appreciated their eyes and legs more than those who were never blind or lame. The girls couldn’t stop blinking in amazement and celebration, and the man “jumped to his feet.”
Consider your own natural abilities. How might you enjoy these abilities more, and how might you use them differently, if you had been miraculously healed? Now consider this. If you believe in Jesus, He’s healed you spiritually. He’s rescued you from your sins.
Let’s thank the One who made and saved us and dedicate all that He gave us to Him.
- MIKE WITTMER
Today's Reading
AC TS 3:1–10Then he went with them into the temple courts, walking and jumping, and praising God.
[ ACTS 3:8 ]
How might you use your natural abilities for Jesus?
How might you enjoy serving with whatever abilities you have?
Thank Him for the pleasure they bring.
Father, thank You for ears to hear You, mouths to praise You, and hands and feet to serve You.
오늘의 말씀
07/21/2022 목요일
나를 살피시는 하나님
남편에게 버림받은 후 알마는 혼자서 아이들의 양육을 책임져야 했습니다. 알마는 이렇게 말합니다. “힘들어요. 하지만 하나님께서 나와 내 가족을 살피시는 것을 알고 있어요. 내가 두 직장에서 일할 수 있도록 힘주시고, 우리의 필요도 채워 주시고, 또 아이들이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매일 경험하게 해주시지요.”
애굽 출신 여종이었던 하갈은 하나님의 살피심을 받는 의미를 잘 이해하고 있었습니다. 아브람의 아이를 임신한 후 사래를 멸시하기 시작하다가(창세기 16:4), 결국 사래에게 학대를 당하면서 사막으로 도망쳤습니다. 하갈은 뱃속 아이와 자신이 겪을 암울하고 절망스러운 미래를 앞둔 자신의 모습을 홀로 마주해야 했습니다.
그런데 그 사막에서 “여호와의 사자”(7절)가 나타나 “여호와께서 네 고통을 들으셨다”(11절)고 말했습니다. 여호와의 사자는 하갈에게 어떻게 할 지를 알려주며 앞으로 있을 일에 대해 안심시켜 주었습니다. 하갈을 통해 우리는 하나님의 이름 중 하나인 엘 로이(El Roi), 곧 “나를 살피시는 하나님”(13절) 에 대해 배우게 됩니다.
우리도 하갈처럼 길을 잃고 외로움 속에 고된 여정을 지나고 있을지 모릅니다. 하지만 하나님은 황무지 속에서도 우리를 살피신다는 것을 기억하십시오. 그분께 나아가 그분의 인도하심을 신뢰하시기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창세기 16:7-16여호와의 이름을 나를 살피시는 하나님이라 하였으니
[창세기 16:13]
살피시는 하나님, 곧 “엘 로이(El Roi)”이신 하나님을 아는 것이 현재 상황을 바라보는 당신의 관점을 어떻게 바꾸어 줍니까?
당신은 어떻게 하나님께 반응할 수 있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결코 저를 홀로 삶의 여정을 지나지 않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하나님께서 저를 살피시고 늘 함께 하신다는 것을 압니다.
Daily Article
07/21/2022 THURSDAY
GOD SEES YOU
When her husband abandoned her, Alma bore the responsibility of raising her children on her own. “It’s difficult,” she says, “but I know God sees me and my family. He gives me the strength to work two jobs, provides for our needs, and lets my kids experience His guidance each day.”
Hagar, an Egyptian maidservant, understood what it meant to be seen by God. After she got pregnant by Abram, she began to despise Sarai (GENESIS 16:4), who in turn mistreated her, causing Hagar to flee to the desert. Hagar found herself alone, facing a future that seemed bleak and hopeless for her and her unborn child.
But it was in the desert that “the angel of the Lord” (V. 7) met her and said, “The Lord has heard of your misery” (V. 11). The angel of God gave Hagar guidance on what to do, and He assured her of what the future would hold. From her we learn one of the names of God—El Roi, “the God who sees me” (V. 13).
Like Hagar, you may be on a difficult journey—feeling lost and alone. But remember that even in the wasteland, God sees you. Reach out to Him and trust Him to guide you through.
- KAREN HUANG
Today's Reading
G E N E SIS 16:7−16You are the God who sees me.
[ GENESIS 16:13 ]
How could knowing God as El Roi—the God who sees—change your view of your current circumstances?
How can you respond to Him?
Dear God, thank You that I’ll never have to journey through life alone.
I know that You see me and will always be with me.
오늘의 말씀
07/20/2022 수요일
엄청난 발견!
열왕기하 22장 8절에는 힐기야가 “여호와의 성전에서 율법책을 발견” 하는 놀라운 광경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대제사장 힐기야가 신명기로 보이는 책을 발견한 것입니다. 왕은 “율법책이란 말을 듣자” 깊이 감동을 받으면서도 아주 괴로워했습니다(11절). 당시 백성들은 마치 유다의 성전 모습과도 같이 하나님은 물론 그분의 영감으로 쓰인 말씀을 읽고 순종하는 일을 등한시하고 있었던 것입니다. 왕은 회개하며 나라를 위한 개혁을 실행하면서 성전에서 우상과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지 않는 것들을 다 쓸어버렸습니다(23:1-24).
오늘날 우리가 가진 성경에는 신명기를 포함하여 하나님의 지혜와 교훈을 보여주는 66권의 책이 있습니다. 성경을 읽고 들으면서 성령님께서 우리의 마음을 변화시켜 우리의 삶을 바로 고쳐 주시기를 바랍니다. 삶을 변화시키는 성경 이야기 속으로 빠져들어가서 일평생 탐구할 지혜를 찾으십시오!
오늘의 성구
열왕기하 22:8-12내가 여호와의 성전에서 율법책을 발견하였노라
[열왕기하 22:8 ]
최근 말씀을 공부할 때 하나님께서 당신에게 어떤 것을 보여 주셨습니까?
정기적으로 시간을 내어 성경을 공부하는 것이 왜 중요할까요?
하나님 아버지, 제 삶에서 변화되어야 할 것이 무엇인지 보여주소서.
Daily Article
07/20/2022 WEDNESDAY
WHAT A FIND!
In 2 Kings 22:8, we read that Hilkiah made an extraordinary find when he “found the Book of the Law in the temple of the Lord.” The high priest found what was likely the book of Deuteronomy. “When the king heard the words of the Book of the Law,” he was both deeply moved and greatly distressed (V. 11). Like the temple in Judah itself, God and the reading of and obedience to the Scriptures He’d inspired had been neglected by the people. In repentance, the king had the temple swept clean of idols and anything that would displease God as he instituted reforms for his nation (23:1–24).
Today, our Bibles contain sixty-six books that reveal God’s wisdom and instruction—including Deuteronomy. As we read and listen to them, may the Holy Spirit transform our minds and reform our ways. Dive into the life-changing story of Scripture today and find wisdom to explore for a lifetime!
- TOM FELTEN
Today's Reading
2 KINGS 22:8–12I have found the Book of the Law in the temple of the Lord.
[ 2 KINGS 22:8 ]
What has God recently revealed to you as you’ve studied the Scriptures?
Why is it vital for you to regularly spend time in them?
Father, please help me see the things I need to change in my life.
오늘의 말씀
07/19/2022 화요일
과자로부터 배운 겸손
‘저렇게 무례할 수가’라고 선교사는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곧 자신의 생각을 부끄럽게 여겼습니다. 자신이 섬기기로 한 그 지역의 문화를 아직 올바로 이해하지 못했던 것입니다. 개인주의를 강조하는 미국과 달리 도미니카 공화국에서는 삶의 모든 것이 공동체 중심이었습니다. 음식과 물건을 나누는 것이 다른 사람과 서로 관계를 맺는 하나의 방식이었던 것입니다. 그 선교사의 방식이 더 나은 것이 아닌, 그저 다른 것일 뿐이었습니다. 그리고 “이런 나의 모습을 깨닫게 되어 무척 부끄러웠다”고 고백했습니다. 자신의 편견을 인식한 그 선교사는 겸손히 다른 이들과 나누는 것이 그들을 더 잘 섬기는 방법이라는 것도 알게 되었습니다.
베드로는 교회의 지도자들에게 다른 이들을 겸손으로 대하라는 이 교훈을 가르쳤습니다. 그는 장로들에게 “맡겨진 양떼를 지배하려” 들지 말라고 권고했습니다(베드로전서 5:3, 현대인의 성경). 또한 젊은이들에게는 “장로들에게 순종하고 다 서로 겸손으로 허리를 동이라”(5절)고 했습니다. 그가 선포한 것처럼 “하나님은 교만한 자를 대적하시되 겸손한 자들에게는 은혜를 주십니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능하신 손 아래에서 겸손하십시오. 때가 되면 여러분을 높이실 것입니다”(6절). 하나님께서 오늘 우리를 그분과 다른 이들 앞에서 겸손히 살도록 도와주시기를 간구합니다.
오늘의 성구
베드로전서 5:1-6겸손으로 허리를 동이라
[베드로전서 5:5 ]
당신은 어떤 문화적 편견을 갖고 있습니까? 어떻게 하나님께서 그 모습을 변화시켜 겸손히 모든 이들을 섬길 수 있게 할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다른 이들을 향한 저의 교만을 하나님의 겸손한 사랑으로 바꾸어 주소서.
Daily Article
07/19/2022 TUESDAY
A HUMBLE SNACK
How rude, the missionary thought. Then she realized a humbling lesson. She didn’t yet understand the culture where she’d agreed to serve. Rather than emphasizing individualism, as in the United States, she learned that life in the Dominican Republic is lived in community. Sharing one’s food and goods is how people relate to each other. Her way wasn’t better, just different. She confessed, “It was very humbling to discover these things about me.” As she began to recognize her own biases, she also learned that humbly sharing with others helped her serve them better.
Peter taught this lesson to church leaders: treat others with humility. He counseled the elders to resist “lording it over those entrusted to you” (1 PETER 5:3). And those younger? “Submit yourselves to your elders. All of you, clothe yourselves with humility” (V. 5). As he declared: “God opposes the proud but shows favor to the humble.” Therefore, “humble yourselves under God’s mighty hand, that he may lift you up in due time” (V. 6). May He help us humbly live before Him and others today.
-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1 PETER 5:1–6Clothe yourselves with humility.
[ 1 PETER 5:5 ]
What cultural biases do you harbor? How could you let God transform those attitudes so you humbly serve all?
Father, exchange my arrogance regarding others with Your humble 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