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7/18/2022 월요일
원치 않는 손님
다윗은 죄와 싸우기 위해 하나님께 도움을 구하지 않으면 자신이 꿈꾸는 하나님 앞에서의 즐거운 삶도 죄와 반항이라는 원치 않는 손님과의 싸움으로 바뀔 거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다윗은 하나님이 자연 세계 속에 자신을 드러내시며(시편 19:1-6) 하나님의 가르침 속에 그분의 지혜가 담겨 있다는 (7-10절) 사실을 선포한 후, 경솔함과 교만, 고의적인 불순종으로부터 자기를 지켜 달라고 하나님께 간구했습니다. “나를 숨은 허물에서 벗어나게 하소서 또 주의 종에게 고의로 죄를 짓지 말게 하소서”(12-13절). 그는 죄라는 감염병에서 자신을 지켜낼 인간적인 방법이 없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에 지혜롭게 하나님께 도움을 간구했습니다.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삶을 살려고 하는 우리의 꿈이 죄에 사로잡히지 않도록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계속해서 우리의 눈을 하나님께로 향하고, 죄를 고백하고 회개하며, 하나님의 도움을 구함으로써 원치 않는 영적 기생충이 우리의 삶에 파고들지 않게 합시다.
오늘의 성구
시편 19:1-4, 7-14자기 허물을 능히 깨달을 자 누구리요 나를 숨은 허물에서 벗어나게 하소서. 또 주의 종에게 고의로 죄를 짓지 말게 하사
[시편 19:12-13]
죄를 고백하고 회개하는 영적 습관이 당신의 삶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을까요?
하나님을 경외하는 삶을 사는 것이 당신에게 얼마만큼 중요한 일인가요?
사랑의 하나님, 저는 제 자신을 잘 모를뿐더러 무엇이 옳고 선한지 잘 알지 못합니다. 죄와 싸울 때 하나님의 능력을 신뢰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7/18/2022 MONDAY
UNWANTED GUESTS
David knew that if he didn’t ask God for help to fight sin, his dream of living a pleasing life before Him would turn into a battle with the unwanted guests of sin and rebellion. After declaring how God is revealed in the natural world (PSALM 19:1–6) and His wisdom found in His instruction (VV. 7–10), David asked God to protect him from inadvertent, arrogant, and deliberate disobedience. “Forgive my hidden faults. Keep your servant also from willful sins,” he wrote (VV. 12–13). He recognized that he didn’t have the human resources to keep the infectious disease of sin from affecting him. So, he wisely asked God for help.
How can we make sure our dream of living in a way that honors God doesn’t become hijacked by sin? Let’s keep our eyes on Him, confess and repent of our sin, and seek divine help in keeping unwanted spiritual parasites from burrowing into our lives.
- MARVIN WILLIAMS
Today's Reading
PSALM 19:1–4, 7–14Who can discern their own errors? Forgive my hidden faults. Keep your servant also from willful sins.
[ PSALM 19:12–13 ]
What roles do the spiritual habits of confession and repentance play in your life?
How important is living a God-honoring life to you?
Loving God, I don’t know myself as well as I should, and I fall short of what I know is right and good. Please help me trust in Your power in my battle with sin.
오늘의 말씀
07/17/2022 주일
은혜로운 여행
때로는 삶의 여정도 정확히 이와 같이 느껴질 때가 있습니다. 우리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광야에서 힘들게 살았던 것을 보면서(신명기 2:7) 삶이 힘들 수 있다는 것을 쉽게 공감합니다. 그런데 그와 비슷한 또 다른 여정을 알고 있나요? 우리는 하나님의 길을 벗어나 우리 자신의 여정을 계획하고 (1:42-43), 이스라엘 백성들처럼 우리의 필요를 채우는 데에만 급급하여 자주 불평합니다(민수기 14:2). 그리고 매일 불안과 초조 속에 그들처럼 하나님의 목적을 의심하기도 합니다(11절). 이스라엘 백성들의 이야기는 우리 자신의 삶 속에 끊임없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그분의 길을 좇으면 음울한(Dismal) 곳보다 훨씬 더 좋은 곳으로 우리를 인도하실 거라고 확언해 주십니다. 하나님은 우리에게 진정 필요한 것들을 부족함 없이 채워 주실 것입니다(신명기 2:7; 빌립보서 4:19). 하지만 우리는 이런 사실을 이미 알면서도 그대로 실행하지 못할 때가 많습니다. 우리는 하나님이 정해주신 길을 따라가야 합니다.
조금 더 운전을 해야 하지만, 공황(Panic)에서 차로 6시간가량 더 가면 웨스트버지니아 주의 보장(Assurance)이라는 곳에 다다를 수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우리의 길을 이끄시도록 맡겨드릴 때(시편 119:35) 우리는 정말 보장된 축복 속에서 운전대를 잡으신 그분과 함께 즐거운 여행을 하게 될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신명기 2:1-7네 하나님이 네가 이 큰 광야에 두루 다님을 알고...네게 부족함이 없었느니라
[신명기 2:7]
하나님의 지도 대신 당신의 지도를 따라간 적이 있습니까?
그때 당신은 무엇 때문에 불안하고 초조해 했습니까?
신실하신 하나님,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확신하며 안식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7/17/2022 SUNDAY
TRAVELING MERCIES
Sometimes this is exactly what the journey of life feels like. We easily identify with the Israelites’ tough life in the wilderness (DEUTERONOMY 2:7)—life can be hard. But do we see the other parallels? We create our own itinerary, turning from God’s way (1:42–43). Like the Israelites, we often grumble about getting our needs met (NUMBERS 14:2). In our daily fretting, we likewise doubt God’s purposes (V. 11). The story of the Israelites is repeated over and over in our own.
God assures us that if we follow His path, He’ll deliver us into a far better place than Dismal. He’ll provide and we’ll lack nothing we really need (DEUTERONOMY 2:7; PHILIPPIANS 4:19). Yet as much as we already know this, we often fail to do it. We need to follow God’s roadmap.
It’s a bit more of a drive, but another six hours by car would take you from the town of Panic to the place known as Assurance, West Virginia. If we let God direct our paths (PSALM 119:35), we’ll journey in joy with Him at the wheel—blessed assurance indeed!
- KENNETH PETERSEN
Today's Reading
DEUTERONOMY 2:1–7He has watched over your journey . . .and you have not lacked anything.
[ DEUTERONOMY 2:7 ]
What are some of the ways you’ve followed your own roadmap instead of God’s?
What have you been fretting about?
Faithful God, help me rest in the assurance of Your direction.
오늘의 말씀
07/16/2022 토요일
사랑이 없으면 아무 쓸모없다
중요한 부품 하나가 없어서 쓸모없게 되는 것은 테이블뿐만이 아닙니다. 바울 사도는 고린도전서에서 성도들에게 필수적인 한 가지가 부족하다고 일깨워주었습니다. 그곳 성도들은 많은 영적 은사들을 갖고 있었지만 사랑이 부족했던 것입니다.
바울은 그 점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된 표현을 쓰면서, 그들이 ‘모든’ 지식을 알고 그들에게 있는 것 ‘하나까지 다’ 내어주고 고난을 기꺼이 감당하더라도, 사랑이 기본적인 바탕이 되어 있지 않으면 그들의 행동은 모두 아무것도 아니라고 했습니다(고린도전서 13:1-3). 바울은 그들에게 언제나 사랑으로 행하라고 권면하면서, 언제나 지켜주고 믿고 바라며 인내하는 사랑의 아름다움을 감동적으로 묘사하고 있습니다(4-7절).
신앙 공동체에서 가르치고 격려하고 섬기기 위해 우리의 영적 은사들을 사용할 때 하나님은 언제나 사랑을 요구하신다는 것을 기억하십시오. 그렇지 않으면 다리 하나가 없는 테이블과 같습니다. 사랑이 없으면 지으심을 받은 진정한 목적을 이룰 수 없습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전서 13:1-7내가 내게 있는 모든 것으로 구제하더라도... 사랑이 없으면 내게 아무 유익이 없느니라
[고린도전서 13:3]
당신은 언제 사랑이 부족한 것을 경험해 보셨습니까?
사랑이 꼭 필요했던 한 가지 예는 무엇입니까?
하늘에 계신 아버지, 모든 일을 사랑으로 행하시는 것이 너무 놀랍습니다.
하나님처럼 사랑하는 것을 배울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7/16/2022 SATURDAY
USELESS WITHOUT LOVE
It’s not just tables that are useless when missing one vital piece. In the book of 1 Corinthians, Paul reminded his readers that they were missing one essential component. The believers possessed many spiritual gifts but lacked love.
Using exaggerated language to emphasize his point, Paul wrote that even if his readers had all knowledge, if they gave away every single thing they owned, and even if they willingly suffered hardship, without the essential foundation of love, their actions would all amount to nothing (1 CORINTHIANS 13:1–3). Paul encouraged them to always infuse their actions with love, movingly describing the beauty of a love that always protects, trusts, hopes, and perseveres (VV. 4–7).
As we use our spiritual gifts, perhaps to teach, encourage, or serve in our faith communities, remember that God’s design always calls for love. Otherwise, it’s like a table missing a leg. It can’t achieve the true purpose for which it was designed.
- LISA M. SAMRA
Today's Reading
1 CORINTHIANS 13:1–7If I give all I possess to the poor . . . but do not have love, I gain nothing.
[ 1 CORINTHIANS 13:3 ]
When have you experienced love being a missing ingredient?
What is an example where love was integral?
Heavenly Father, it amazes me that You do everything in love.
Help me learn to love like You.
오늘의 말씀
07/15/2022 금요일
온 집안
성경에는 또 다른 감옥에서의 구원 이야기가 있습니다. 감옥을 지키던 간수와 그 온 가족이 예수님의 사랑으로 구원받은 사건입니다. “큰 지진이 나서 옥터가 움직이고 문이 곧 다 열렸을 때” 바울과 실라가 도망치지 않고 감옥에 그대로 남아 있었습니다(사도행전 16:26-28). 간수가 그들이 떠나지 않은 것에 크게 감동해 그의 집으로 초대해 그의 삶의 변화를 이끈 중요한 질문을 했습니다. “어떻게 하여야 구원을 받으리이까”(30절).
바울과 실라가 대답하기를 “주 예수를 믿으라 그리하면 너와 네 집이 구원을 받으리라”(31절). 이 말씀을 통해 우리는 하나님이 은혜를 주시되 각 개인에게 뿐만 아니라 온 집안에 부어 주시려는 하나님의 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사랑을 접한 “간수와 그 집에 있는 모든 사람이” 하나님을 믿게 되었습니다(34절). 우리는 흔히 사랑하는 사람의 구원을 간절히 바라는데, 하나님께서는 그들을 우리보다 더 사랑하신다는 사실을 믿어야 합니다. 하나님은 우리 모두, 온 집안을 구원하시기 원하십니다.
오늘의 성구
사도행전 16:22-34주 예수를 믿으라 그리하면 너와 네 집이 구원을 받으리라
[사도행전 16:31]
하나님이 온 가족에게 다가가신다는 것을 알 때 어떤 변화가 생깁니까?
하나님의 은혜가 당신의 가족 모두에게 함께하시는 것을 어떻게 믿을 수 있습니까?
사랑의 하나님, 저희 가족에게 하나님을 나타내 보여주소서.
Daily Article
07/15/2022 FRIDAY
THE WHOLE HOUSE
Scripture describes another prison encounter—this time with a jailer—where Jesus’ love transformed an entire family. After a “violent earthquake” shook the prison and “the prison doors flew open,” Paul and Silas didn’t run but remained in their cell (ACTS 16:26–28). The jailer, overcome with gratitude that they didn’t flee, took them to his house and eventually asked that lifechanging question: “What must I do to be saved?” (V. 30)
“Believe in the Lord Jesus,” they answered, “you and your household” (V. 31). The response reveals God’s desire to pour out mercy on not only individuals but also entire families. Encountering God’s love, they all came “to believe in God—[the jailer] and his whole household” (V. 34). Though we’re often eager for the salvation of those we love, we can trust that God loves them even more than we do. He desires to renew all of us, our whole house.
- WINN COLLIER
Today's Reading
ACTS 16:22–34Believe in the Lord Jesus, and you will be saved—you and your household.
[ ACTS 16:31 ]
What difference does it make to consider how God reaches out to whole families?
How can you trust God’s mercy for your family?
Dear God, please reveal Yourself to my whole family.
오늘의 말씀
07/14/2022 목요일
믿음의 힘을 보이기
시편 46편에서 기자는 하나님이 우리에게 힘만 ‘주신’ 것이 아니라 우리의 힘이 ‘되심’을 선포합니다(1절). 우리 주변에 무슨 일이 있어도 “만군의 여호와께서 우리와 함께 하신다”(7절)는 확신을 가지고 이 진리를 반복해 말하고 있습니다(11절).
나무늘보와 마찬가지로 우리의 일상적인 삶에도 종종 느린 변화와 거의 움직임이 없는 정적의 시간이 있습니다. 우리가 하나님의 변함없는 성품을 믿을 때, 어떤 계획이나 추진속도라도 우리에게 맞는 것을 정해주시는 하나님의 능력에 의지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계속해서 고난과 싸우거나 기다림의 어려움을 겪을지라도 하나님은 신실하게 함께 하십니다. 우리가 연약하다고 느낄 때에도 그분은 우리의 믿음의 힘이 강하다는 것을 입증할 수 있도록 도와주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46너희는 가만히 있어 내가 하나님 됨을 알지어다
[시편 46:10]
정적의 시간을 통해 당신에게 힘을 주시는 하나님의 능력을 어떻게 경험했습니까?
그분의 변함없는 성품에 대한 숙고가 인내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됩니까?
전능하신 하나님, 저의 힘이 되시는 주님을 믿음으로써 저의 믿음의 힘이 강하다는 것을 입증할 수 있는 기회를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Daily Article
07/14/2022 THURSDAY
FLEXING FAITH MUSCLES
In Psalm 46, the writer proclaims that God doesn’t just give us strength, He is our strength (V. 1). No matter what’s going on around us, the “Lord Almighty is with us” (V. 7). The psalmist repeats this truth with conviction (V. 11).
Like the sloth, our day-to-day adventures often require slow steps and extended periods of seemingly impossible stillness. When we rely on God’s unchanging character, we can depend on His strength no matter what plan and pace He determines is right for us.
Though we may continue to battle afflictions or struggle with waiting, God remains faithfully present. Even when we don’t feel strong, He’ll help us flex our faith muscles.
-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PSALM 46Be still, and know that I am God.
[ PSALM 46:10 ]
How have you experienced God’s strength empowering you through a season of stillness?
How can reflecting on His unchanging character help you persevere?
God Almighty, thank You for giving me opportunities to flex my faith muscles by trusting You to be my strength.
오늘의 말씀
07/13/2022 수요일
예수는 누구신가
예수님은 제자들과 마을을 두루 다니시면서 제자들에게 “사람들이 나를 누구라고 하느냐”고 물으셨습니다(마가복음 8:27). 그들은 사람들이 세례 요한, 엘리야, 그리고 선지자들 중 한 명이라고 한다고 대답했습니다(28절). 그러나 예수님은 제자들이 자신을 누구라고 믿는지 알고 싶으셨습니다. “너희는 나를 누구라 하느냐?”는 예수님의 질문에 베드로는 “주는 그리스도시니이다”(29 절)라고 정확히 대답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예수를 누구라고 말합니까? 예수님이 자신에 대해 하신 말씀 곧, 자신과 아버지(하나님)가 “하나”라고 하신 말씀(요한복음 10:30)이 사실이 아니라면 훌륭한 스승이나 선지자가 될 수 없었습니다. 예수를 따르는 사람들은 물론 마귀조차도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그의 신성을 인정했습니다 (마태복음 8:29; 16:16; 요한1서 5:20). 오늘날 그리스도께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을 공급해 주실 때 예수님이 누구이신지에 대해 전파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마가복음 8:27-30사람들이 나를 누구라고 하느냐
[마가복음 8:27]
당신은 예수님을 누구라고 말합니까?
그분이 하나님의 아들이심을 믿는다면 그분이 누구인지 다른 사람들에게 어떻게 전할 수 있겠습니까?
사랑하는 예수님,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 되심을 감사드립니다.
주님을 의지할 수 있어 기쁩니다. 주님이 누구이신가에 대한 복된 소식을 다른 사람들에게 전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7/13/2022 WEDNESDAY
WHO IS JESUS?
While talking with His disciples as they walked between villages, Jesus asked them, “Who do people say I am?” (MARK 8:27). Their answers included John the Baptist, Elijah, and one of the prophets (V. 28). But Jesus wanted to know what they believed: “Who do you say I am?” Peter got it right. “You are the Messiah” (V. 29), the Savior.
But who do we say Jesus is? Jesus could not have been a good teacher or prophet if what He said about Himself—that He and the Father (God) are “one” (JOHN 10:30)—wasn’t true. His followers and even the demons declared His divinity as the Son of God (MATTHEW 8:29; 16:16; 1 JOHN 5:20). Today, may we spread the word about who Christ is as He provides what we need.
- ALYSON KIEDA
Today's Reading
MARK 8:27–30Who do people say I am?
[ MARK 8:27 ]
Who do you say Jesus is?
If you believe He’s the Son of God, then how can you share who He is with others?
Dear Jesus, thank You for being the way, the truth, and the life.
I’m glad I can cling to You. Help me to share with others the good news of who You are.
오늘의 말씀
07/12/2022 화요일
가르침을 받아들이는 마음
잠언을 소개할 때, 솔로몬 왕은 이 지혜가 담긴 모음집의 다양한 목적을 열거했습니다. 여러 목적 중에서 솔로몬 왕은 “지혜 있는 자는 듣고 학식이 더할 것이요 명철한 자는 지략을 얻을 것이라”(잠언 1:5)고 말합니다. 예수님을 수십 년 간 따랐음에도 여전히 예수님을 배워가는 중이라고 말한 바울 사도처럼 (빌립보서 3:10), 솔로몬은 지혜 있는 자들이 듣고 배우고 계속 성장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가르침을 받아들이는 마음은 절대 해로운 것이 아닙니다. 우리가 믿음에 대해 (그리고 삶에 대해) 계속 성장하고 가르침을 받고자 할 때, 성령님이 우리를 진리로 인도하셔서(요한복음 16:13), 선하시며 위대하신 하나님의 경이로움을 더욱 잘 이해하게 될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잠언 1:1-7지혜 있는 자는 듣고 학식이 더할 것이요 명철한 자는 지략을 얻을 것이라
[잠언 1:5]
당신의 삶에서 혹은 영적 성장에서 어떤 부분이 침체되고 정체되어 있습니까?
어떻게 하면 당신이 가르침을 더 잘 받아들여 하나님께서 당신을 지금보다 더 성장시킬 수 있을까요?
사랑의 하나님, 겸손히 가르침을 받을 수 있는 마음을 주셔서 제가 예수님의 은혜와 지식 가운데 계속 자라가게 하소서.
Daily Article
07/12/2022 TUESDAY
A TEACHABLE SPIRIT
As the book of Proverbs was being introduced, King Solomon listed the various intents of this collection of wise sayings. But in the midst of those purposes, he inserted this challenge, “Let the wise listen and add to their learning, and let the discerning get guidance” (PROVERBS 1:5). Like the apostle Paul, who claimed that, even after following Christ for decades, he continued to pursue knowing Jesus (PHILIPPIANS 3:10), Solomon urged the wise to listen, to learn, and to continue to grow.
No one is ever hurt by maintaining a teachable spirit. As we seek to continue to grow and learn about the things of faith (and the things of life), may we allow the Holy Spirit to guide us into truth (JOHN 16:13), that we might better comprehend the wonders of our good and great God.
- BILL CROWDER
Today's Reading
PROVERBS 1:1–7Let the wise listen and add to their learning, and let the discerning get guidance.
[ PROVERBS 1:5 ]
In what areas of life or spiritual growth have you become stale or stunted?
How can you become more teachable, allowing God to grow you beyond where you are at this moment?
Loving God, give me a humble, teachable spirit that I might continually be growing in the grace and knowledge of Jesus.
오늘의 말씀
07/11/2022 월요일
참된 자유
메일링의 행동은 고린도전서 10:23-24에 있는 바울 사도의 말씀을 떠올리게 합니다. “모든 것이 가하나 모든 것이 유익한 것은 아니요 모든 것이 가하나 모든 것이 덕을 세우는 것은 아니니 누구든지 자기의 유익을 구하지 말고 남의 유익을 구하라.”
초창기 고린도 교회의 성도들은 주님 안에서의 자유를 개인의 관심을 추구하는 기회로 여겼습니다. 그러나 바울은 이를 다른 사람들을 유익하게 하고 바로 세우는 기회로 봐야 한다고 썼습니다. 바울은 고린도 교회 성도들에게 진정한 자유는 자신을 즐겁게 하기 위한 자유가 아니라 하나님을 기쁘게 하기 위한 것이어야 한다고 가르쳤습니다.
자신이 아닌 다른 이들을 세우기 위해 자유를 사용할 때 우리는 주님을 따르는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전서 10:23-11:1누구든지 자기의 유익을 구하지 말고 남의 유익을 구하라
[고린도전서 10:24]
당신이 다른 사람들에게 말하고 행동하는 것에 조심하는 것이 왜 하나님을 영광스럽게 하는 일이 될까요?
자유를 행사할 때 어떻게 하면 다른 사람들을 더 배려할 수 있을까요?
예수님, 저를 자유케 해주심에 감사드립니다. 주님을 영화롭게 하고 다른 사람들을 축복하는데 저의 자유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혜와 은혜를 주소서.
Daily Article
07/11/2022 MONDAY
TRUE FREEDOM
Meiling’s actions reminded me of the apostle Paul’s inspired words in 1 Corinthians 10:23–24: “ ‘I have the right to do anything,’ you say—but not everything is beneficial. ‘I have the right to do anything’—but not everything is constructive. No one should seek their own good, but the good of others.”
The believers in Jesus in the young church in Corinth saw their freedom in Christ as an opportunity to pursue personal interests. But Paul wrote that they should view it as an opportunity to benefit and build up others. He taught them that true freedom isn’t the right to do as one pleases, but the liberty to do as they should for God.
We follow in Jesus’ footsteps when we use our freedom to choose building others up instead of serving ourselves.
- POH FANG CHIA
Today's Reading
1 CORINTHIANS 10:23–11:1No one should seek their own good, but the good of others.
[ 1 CORINTHIANS 10:24 ]
Why does it honor God when you’re careful in what you say and do around others?
How can you be more considerate of others in the exercise of your freedom?
Jesus, thank You for setting me free. Give me wisdom and grace to exercise my freedom in ways that truly honor You and bless others.
오늘의 말씀
07/10/2022 주일
서로를 돌봐 주기
성경은 우리에게 서로를 돌보라고 반복해서 가르치지만 우리는 종종 우리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급급할 뿐입니다. 선지자 스가랴는 하나님께 경배를 드리고 다른 이들을 섬기기보다 “[그들 자신을] 위하여 먹고 마시는” 이스라엘을 책망했습니다(스가랴 7:6). 당시 이스라엘 백성들은 나눔이 있는 공동체적 삶을 무시하고 이웃의 필요를 외면했습니다. 스가랴는 하나님의 가르침을 다음과 같이 분명히 말했습니다. “진실한 재판을 행하며 서로 인애와 긍휼을 베풀며 과부와 고아와 나그네와 궁핍한 자를 압제하지 말라”(9-10절).
자신의 필요를 채우는데 빠져 있기는 쉽지만 믿는 사람들은 다른 사람의 필요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하나님의 경제권 아래에서는 모든 것이 풍족합니다. 그리고 자비하신 하나님은 그 풍성함을 다른 사람들과 나누도록 우리를 사용하십니다.
오늘의 성구
스가랴 7:4-10서로 인애와 긍휼을 베풀며
[스가랴 7:9]
당신이 돌봐야 하는 사람들은 누구입니까?
당신의 어떤 문제 해결에 몰두하고 있습니까?
하나님, 저의 이웃을 돌보기 위한 더 큰 비전을 주소서.
Daily Article
07/10/2022 SUNDAY
WATCHING OUT FOR ONE ANOTHER
Though Scripture repeatedly instructs us to watch out for one another, it’s sometimes difficult to see past our own concerns. The prophet Zechariah rebuked Israel who, rather than worshiping God or serving others, were “feasting for [them]selves” (ZECHARIAH 7:6). Ignoring their shared communal life, they disregarded their neighbors’ need. Zechariah made God’s instructions clear: the people were to “administer true justice; show mercy and compassion to one another . . . [and] not oppress the widow or the fatherless, the foreigner or the poor” (VV. 9–10).
While it’s easy to be consumed with our own needs, faithfulness calls us to tend to the needs of others. In the divine economy, there’s plenty for all. And God, in His mercy, chooses to use us to give some of that plenty to others.
- WINN COLLIER
Today's Reading
ZECHARIAH 7:4–10Show mercy and compassion to one another.
[ ZECHARIAH 7:9 ]
Who are some of the people that you’re responsible to care for?
Where do you find yourself consumed with your own concerns?
God, please give me greater vision to care for my neighbors.
오늘의 말씀
07/09/2022 토요일
환상의 팀
바울은 그리스도의 몸인 신자들을 멜라니와 트레버와 비슷한 “환상의 팀”이라고 표현합니다. 그는 로마인들에게 그들 각각의 은사가 더 많은 사람들에게 얼마나 큰 유익을 주는지 알아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우리의 육체가 각각 다른 기능을 하는 많은 부분들로 이루어진 것처럼, 우리도 함께 “한 몸이 되어” 교회 전체의 유익을 위해 우리의 은사를 사용해야 합니다(로마서 12:5). 바울은 베푸는 일이나 격려하는 일이나 가르치는 일이나 그 외에 다른 영적 은사라도, 우리 자신과 우리의 은사는 다른 사람들에게 속한 것이라고 가르쳐 줍니다(5-8절).
멜라니와 트레버는 자신들의 부족한 점에 신경을 쓰지 않았고, 서로 비교하며 더 가진 것에 대해 자랑하지도 않았습니다. 대신 그들은 상대방을 섬기는 데에 자신의 “은사”를 기꺼이 사용하며 서로 협력할 때 서로에게 얼마나 유익이 되는지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스도를 위해 하나님이 우리에게 주신 서로 다른 은사를 기꺼이 교우들과 함께 나누시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로마서 12:3-8이와 같이 우리 많은 사람이 그리스도 안에서 한 몸이 되어 서로 지체가 되었느니라
[로마서 12:5]
하나님은 당신에게 어떤 은사와 재능을 주셨나요?
그것들을 주위 사람들과 어떻게 나눌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제가 가진 자원과 재능을 그리스도의 몸을 위해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 보여 주소서.
Daily Article
07/09/2022 SATURDAY
THE DREAM TEAM
Paul describes believers in Jesus—the body of Christ—as a similar kind of “dream team.” He urged the Romans to recognize how their individual giftings benefited the larger group. Just as our physical bodies are made up of many parts, each with different functions, together we “form one [spiritual] body” and our gifts are meant to be given in service for the collective benefit of the church (ROMANS 12:5). Whether in the form of giving, encouraging, or teaching, or any of the other spiritual gifts, Paul instructs us to view ourselves and our gifts as belonging to all the others (VV. 5–8).
Melanie and Trevor aren’t focused on what they lack, nor are they prideful of what they do have in comparison to the other. Rather, they cheerfully give of their “gifts” in service to the other, recognizing how much they’re both bettered by their collaboration. May we too freely combine the gifts God has given us with those of our fellow members—for the sake of Christ.
-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ROMANS 12:3–8So in Christ we, though many, form one body, and each member belongs to all the others.
[ ROMANS 12:5 ]
What gifts and abilities has God given you?
How can you share them with those around you?
Father, please show me how I can use my resources and abilities to benefit the body of Chris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