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6/18/2022     토요일

성경읽기: 느헤미야 10-11; 사도행전 4:1-22
찬송가: 465(통523)

선생님은 어떠신가요?

임종을 앞둔 찰라는 그 사실을 알고 있었습니다. 병실 침대에 누워있는데 담당 의사와 젊은 인턴들이 병실로 몰려 들어왔습니다. 의사는 몇 분 동안 찰라를 보지도 않고 인턴들에게 환자의 더 이상 손쓸 수 없는 상태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그리고는 찰라를 돌아보며 “그런데 환자분은 좀 어떠신가요?”라고 물었습니다. 카를라는 옅은 미소를 지으며 의사와 인턴들에게 예수님 안에 있는 그녀의 소망과 평강에 대해 진심으로 이야기했습니다.

약 2천 년 전 많은 사람들이 보는 앞에서 예수님은 매 맞고 벌거벗은 몸으로 십자가에 달리는 수치를 당하셨습니다. 예수님께서는 그를 박해하는 사람들을 꾸짖으셨을까요? 아닙니다. “이에 예수께서 이르시되 아버지 저들을 사하여 주옵소서 자기들이 하는 것을 알지 못함이니이다 하시더라” (누가복음 23:34) . 억울한 유죄 판결로 십자가에 못 박히신 예수님은 자신을 대적하는 사람들을 위해 기도하셨습니다. 그리고 십자가에서 수치를 당하던 다른 죄수에게 그의 믿음으로 인해 예수님과 함께 곧 “낙원에” 있으리라고 말씀하셨습니다 (43절) . 고난과 수치를 당하는 가운데서도 예수님은 다른 사람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소망과 생명의 말씀을 나누셨습니다.

찰라는 듣고 있던 사람들에게 그리스도를 전하고 나서 의사가 그녀에게 물었던 질문을 다시 그에게 하였습니다. 눈물이 가득한 의사의 눈을 바라보며 이렇게 되물은 것입니다. “그런데 선생님은 좀 어떠신가요?” 그리스도의 은혜와 능력으로 그녀는 병실에 있던 의사와 다른 사람들에게 사랑과 관심을 보이며 생명의 말씀을 나누었습니다. 오늘이나 앞으로 우리가 만나게 될 어떠한 괴로운 상황에서도 생명의 말씀을 사랑으로 말할 수 있는 용기를 주시는 하나님을 신뢰합시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23:32-43
아버지 저들을 사하여 주옵소서 자기들이 하는 것을 알지 못함이니이다 [누가복음 23:34]

요즘 어떤 어렵고 힘에 부치는 상황을 겪고 있습니까? 이 어려운 시기에
어떻게 예수님을 의지할 수 있을까요?

예수님, 은혜와 겸손의 본이 되어주신 주님을 찬양합니다. 저의 말 속에 은혜와 겸손이 나타나게 하소서.

Daily Article

06/18/2022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NEHEMIAH 10–11; ACTS 4:1–22
Hymn: 465(OLD 523)

HOW ARE YOU?

Charla was dying, and she knew it. While she was lying on her hospital room bed, her surgeon and a group of young interns poured into the room. For the next several minutes, the doctor ignored Charla as he described her terminal condition to the interns. Finally, he turned to her and asked, “And how are you?” Charla weakly smiled and warmly told the group about her hope and peace in Jesus.

Some two thousand years ago, Jesus’ battered, naked body hung in humiliation on a cross before a crowd of onlookers. Would He lash out at His tormentors? No. “Jesus said, ‘Father, forgive them, for they do not know what they are doing’ ” (LUKE 23:34) . Though falsely convicted and crucified, He prayed for His enemies. Later, He told another humiliated man, a criminal, that—because of the man’s faith—he would soon be with Him “in paradise” (V. 43) . In His pain and shame, Jesus chose to share words of hope and life out of love for others.

As Charla concluded sharing Christ to her listeners, she posed the question back to the doctor. She tenderly looked into his tear-filled eyes and asked, “And how are you?” By Christ’s grace and power, she’d shared words of life—showing love and concern for him and others in the room. In whatever trying situation we face today or in the days ahead, let’s trust God to provide courage to lovingly speak words of life. - TOM FELTEN

Today's Reading

LUKE 23:32–43
Father, forgive them, for they do not know what they are doing. [ LUKE 23:34 ]

What difficult and humbling circumstances are you facing these
days? How can you rest on Jesus during this challenging season?

Jesus, I praise You for Your example of grace and humility. Please help me reflect these qualities in my words.

오늘의 말씀

06/17/2022     금요일

성경읽기: 느헤미야 7-9; 사도행전 3
찬송가: 225(통298)

하나님 안에 심겨지다

“바람이 라일락을 뒤흔든다.” 시인 사라 티즈데일은 봄날을 노래한 시 “5월”의 첫 구절에서 라일락 나무들이 거센 바람에 물결치는 모습을 담아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티즈데일의 잃어버린 사랑의 이야기로, 시는 곧 슬픔으로 바뀌게 됩니다.

우리 집 뒤뜰의 라일락에게도 시련이 왔습니다. 너무나 건강하고 아름다웠던 라일락을 이제 잔디 관리인이 도끼로 열심히 “가지치기”해 그루터기만 남게 되었습니다. 나는 눈물이 났습니다. 그 후 3년이란 오랜 시간 동안 여러 가지 시련들, 즉 메마른 가지만 남긴 채, 흰가루병도 한 차례 치르고, 이것들을 다 파내 버릴까 하는 부질없는 나의 생각들을 견뎌온 라일락이 되살아났습니다. 그것에겐 시간이 필요했던 것이고, 나에게는 보이지 않아도 기다리는 것이 필요했습니다.

성경은 역경이 와도 믿음으로 기다렸던 많은 사람들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노아는 내리지 않는 비를 기다렸습니다. 갈렙은 약속의 땅에서 살기 위해 40년을 기다렸고, 리브가는 아이를 갖기 위해 20년을 기다렸고, 야곱은 라헬과 결혼하기 위해 7년을 기다렸으며, 시므온은 아기 예수를 오래도록 기다렸습니다. 그리고 그들의 인내는 보상을 받았습니다.

그와 반대로 인간을 의지하는 사람들은 “사막의 떨기나무 같을 것” (예레미야 17:6) 입니다. 시인 티즈데일은 너무나 우울하게 시를 마무리하면서 “나는 겨울 길을 간다”고 하였습니다. 그러나 예레미야는 “주님을 의지하는 사람은 복을 받을 것”이라며 기뻐했습니다. “그들은 물가에 심은 나무와 같을 것입니다” (7-8절) .

믿는 자들은 하나님 안에 심겨져 있습니다. 그분은 삶의 기쁨과 역경 속에서 우리와 동행하십니다.

오늘의 성구

예레미야 17:5-8
그는 물가에 심은 나무와 같아서
[예레미야 17:8, 새번역]

당신의 믿음을 불러일으키는 하나님에 대해 무엇을 알고 있습니까?
어떻게 주님의 흔들리지 않는 땅에 더 깊은 신뢰를 심겠습니까?

하늘에 계신 아버지, 삶이 메마르거나 거센 바람에 흔들릴 때에도 주님의 변함없는 사랑 속에 저를 더욱 깊이 심어 주소서.

Daily Article

06/17/2022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NEHEMIAH 7–9; ACTS 3
Hymn: 225(OLD 298)

PLANTED IN GOD

“The wind is tossing the lilacs.” With that opening line of her springtime poem “May,” poet Sara Teasdale captured a vision of lilac bushes waving in gusty breezes. But Teasdale was lamenting a lost love, and her poem soon turned
sorrowful.

Our backyard lilacs also encountered a challenge. After having their most lush and beautiful season, they faced the axe of a hardworking lawn man who “trimmed” every bush, chopping them to stubs. I cried. Then, three years later—after barren branches, a bout of powdery mildew, and my faithless plan to dig them up— our long-suffering lilacs rebounded. They just needed time, and I simply needed to wait for what I couldn’t see.

The Bible tells of many people who waited by faith despite adversity. Noah waited for delayed rain. Caleb waited forty years to live in the promised land. Rebekah waited twenty years to conceive a child. Jacob waited seven years to marry Rachel. Simeon waited and waited to see the baby Jesus. Their patience was rewarded.

In contrast, those who look to humans “will be like a bush in the wastelands” (JEREMIAH 17:6) . Poet Teasdale ended her verse in such gloom. “I go a wintry way,” she concluded. But “blessed is the one who trusts in the Lord,” rejoiced Jeremiah. “They will be like a tree planted by the water” (VV. 7–8) .

The trusting stay planted in God—the One who walks with us through the joys and adversities of life. -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J E R E M I A H 17:5–8
They will be like a tree planted by the water.
[ JEREMIAH 17:8 ]

What do you know about God that stirs your trust in Him?
How will you plant your trust deeper in His steadying soil

Heavenly Father, when my life feels barren or buffeted by stiff winds, please plant me deeper in Your steadying love.

오늘의 말씀

06/16/2022     목요일

성경읽기: 느헤미야 4-6; 사도행전 2:22-47
찬송가: 421(통210)

예수 안에서 얻은 새 DNA

골수 이식으로 새 생명을 얻은 크리스는 4년 후 다시 혈액 검사를 했습니다. 기증받은 골수가 치료에 도움을 주었지만, 다른 놀라운 사실이 발견되었습니다. 크리스의 혈액의 DNA가 크리스 본인의 것이 아니라 기증자의 것이라는 사실이었습니다. 그 수술의 목적이 문제가 있는 크리스의 혈액을 기증자의 건강한 혈액으로 바꾸는 것이었으니 그럴 수도 있겠지요. 그런데 크리스의 뺨, 입술, 혀에서 채취한 샘플에서도 기증자의 DNA 가 발견됐습니다. 이제 그는 자신의 기억, 외모, 그리고 원래의 DNA를 상당히 지니고 있다고 해도 어떤 면에서 다른 사람이 된 것입니다.

크리스의 이야기는 예수님 안에서 구원받은 사람의 삶에 일어나는 일과 매우 비슷합니다. 우리가 예수님을 믿고 영적으로 변화될 때 새로운 피조물이 됩니다 (고린도후서 5:17) . 바울은 에베소 교회에 보내는 편지에서 그러한 내적인 변화를 드러내고, 예전의 생활 방식을 따르는 “옛 사람을 벗어 버리고 하나님을 따라 의와 진리의 거룩함으로 지으심을 받은 새 사람을 입으라” (에베소서 4:22,24) 고 권면했습니다. 그리스도를 위해 구별되라는 것입니다.

예수님의 변화시키시는 능력이 우리 안에 살아있음을 보여주려고 DNA 샘플 채취나 혈액 검사를 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러한 내면세계는 우리가 세상 속에 살면서 나타나야 하며, 얼마나 “서로 친절하게 하며 불쌍히 여기며 서로 용서하기를 하나님이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를] 용서하심과 같이” 하는지를 보여야 하는 것입니다 (32절) .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4:17-24
하나님을 따라 의와 진리의 거룩함으로 지으심을 받은 새 사람을 입으라 [에베소서 4:24]

예수님은 당신을 어떻게 내적으로 변화시켰습니까?
그 내면의 세계는 주변 사람들을 대할 때 어떻게 드러납니까?

예수님, 저를 새롭게 하시고 주님 안에서 새 생명을 주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6/16/2022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NEHEMIAH 4–6; ACTS 2:22–47
Hymn: 421(OLD 210)

NEW DNA IN JESUS

Chris had his blood retested four years after his lifesaving bone marrow transplant. The donor’s marrow had provided what was needed to cure him but had left a surprise: the DNA in Chris’ blood was that of his donor, not his own. It makes sense, really: the goal of the procedure was to replace the weakened blood with a donor’s healthy blood. Yet even swabs of Chris’ cheeks, lips, and tongue showed the donor’s DNA. In some ways, he’d become someone else—though he retained his own memories, outward appearance, and some of his original DNA.

Chris’ experience bears a striking resemblance to what happens in the life of a person who receives salvation in Jesus. At the point of our spiritual transformation—when we trust in Jesus—we become a new creation (2 CORINTHIANS 5:17) . Paul’s letter to the church in Ephesus encouraged them to reveal that inward transformation, to “put off [their] old self” with its way of living and to “put on the new self, created to be like God in true righteousness and holiness” (EPHESIANS 4:22, 24) . To be set apart for Christ.

We don’t need DNA swabs or blood tests to show that the transforming power of Jesus is alive within us. That inward reality should be evident in the way we engage with the world around us, revealing how we’re “kind and compassionate to one another, forgiving each other, just as in Christ God forgave [us]” (V. 32) . -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E P H E S I A N S 4:17–24
Put on the new self, created to be like God in true righteousness and holiness. [ EPHESIANS 4:24 ]

How has Jesus changed you inwardly? How does that inward
reality show in the way you engage with those around you?

Jesus, thank You for making me new and giving me a new life in You.

오늘의 말씀

06/15/2022     수요일

성경읽기: 느헤미야 1-3; 사도행전 2:1-21
찬송가: 211(통346)

사람에게 투자하기

어떤 회사에서 자기들 식료품 중 하나를 열 번 구매할 때마다 1000마일의 마일리지를 주겠다고 하자 한 남성은 그중 가장 저렴한 제품이 개별 포장된 초콜릿 푸딩이라는 것을 알고 12,000개 넘게 구입을 했습니다. 그는 3,000달러로 골드 등급을 얻고 자신과 가족이 평생 사용할 수 있는 항공 마일리지를 받았습니다. 그는 또한 푸딩을 자선 단체에 기부하여 800달러의 세금을 공제받았습니다. 정말 천재입니다!

예수님께서는 여러 가지로 해석할 수 있는 한 비유를 말씀하셨는데, 그것은 해고당하면서 주인에게 빚진 사람들의 빚을 탕감해 준 교활한 청지기에 대한 것이었습니다. 그 청지기는 자신이 지금 호의를 베풀면 나중에 그들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예수님은 청지기의 비윤리적인 일 처리를 칭찬하신 게 아니라 그의 기발한 생각에서 우리가 배울 점이 있다는 것을 아셨습니다. 예수님은 우리가 슬기롭게 자신을 위해 세상 재물로 친구를 사귀면 그 재물이 없어질 때에 그들이 우리를 영원한 집으로 맞아들일 것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누가복음 16:9) . “푸딩맨”이 25센트 짜리 디저트를 평생 항공권이 되게 한 것처럼 우리도 “참된 재물”을 얻기 위해 “세상의 재물”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11절) .

이 재물은 무엇입니까? 예수님은“구제하여 낡아지지 아니하는 배낭을 만들라 곧 하늘에 둔 바 다함이 없는 보물이니 거기는 도둑도 가까이 하는 일이 없고 좀도 먹는 일이 없느니라”고 말씀하셨습니다 (12:33) . 우리가 투자로 구원을 얻는 것은 아니지만 “너희 보물이 있는 곳에는 너희 마음도 있다” (34 절) 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16:1-12
불의의 재물로 친구를 사귀라 [누가복음 16:9]

근래에 물질적인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 어떤 도움을 주었습니까?
당신의 기부가 투자가 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사랑의 하나님, 예수님과 하나님을 위해 가난한 이들에게 투자하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6/15/2022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NEHEMIA H 1–3; AC T S 2:1–21
Hymn: 211(OLD 346)

INVESTING IN OTHERS

When a corporation offered one thousand frequent-flier miles for every ten purchases of one of their foods, one man realized their cheapest product was individual cups of chocolate pudding. He bought more than twelve thousand.
For $3,000, he received gold status and a lifetime supply of air miles for himself and his family. He also donated the pudding to charity, which netted him an $800 tax write-off. Genius!

Jesus told a controversial parable about a cunning manager who, as he was being fired, reduced what debtors owed his master. The man knew he could rely on their help later for the favor he was doing them now. Jesus wasn’t praising the manager’s unethical business practice, but He knew we could learn from his ingenuity. Jesus said we should shrewdly “use worldly wealth to gain friends for yourselves, so that when it is gone, you will be welcomed into eternal dwellings” (LUKE 16:9) . As “the pudding guy” turned twenty-five cent desserts into flights, so we may use our “worldly wealth” to gain “true riches” (V. 11) .

What are these riches? Jesus said, “Give to the poor” and you will “provide purses for yourselves that will not wear out, a trea- sure in heaven that will never fail, where no thief comes near and no moth destroys” (12:33) . Our nvestment doesn’t earn our salvation, but it does affirm it, “for where your treasure is, there your heart will be also” (V. 34) . - MIKE WITTMER

Today's Reading

LUKE 16:1–12
Use worldly wealth to gain friends for yourselves. [ LUKE 16:9 ]

How have you recently helped meet someone’s physical needs?
Why is your charity an investment?

Loving God, help me to invest in the poor, for Jesus’ sake and Yours.

오늘의 말씀

06/14/2022     화요일

성경읽기: 에스라 9-10; 사도행전 1
찬송가: 261(통195)

교만과 속임수

‘사랑의 하나님, 따뜻하고 부드럽게 잘못을 바로잡아 주셔서 감사합니다.’ 나는 어깨가 축 처진 채로 그 힘든 말을 중얼거렸습니다. ‘저는 너무 교만해서 혼자서 모든 것을 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직장에서 몇 달 동안 프로젝트를 성공시켰고 그로 인해 칭찬을 받으면서 나의 능력을 신뢰하고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외면했습니다. 그러나 어려운 프로젝트를 맡으면서 내가 생각만큼 똑똑하지 않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동안 나의 교만함으로 하나님의 도움이 필요하지 않다고 스스로를 속인 것입니다.

강대했던 에돔 왕국은 교만 때문에 하나님께 징계를 받았습니다. 에돔은 산간 지역에 위치하여 적이 침입할 수 없을 것처럼 보였습니다 (오바댜 1:3) . 또한 에돔은 전략적으로 중요한 교역로의 중심에 위치하고 고대 세계에서 매우 가치 있는 상품인 구리가 풍부한 부유한 국가였습니다. 좋은 것들로 가득하고 자부심 또한 넘쳤습니다. 에돔 사람들은 하나님의 백성을 억압하면서도 아무도 그들의 왕국을 꺾을 수 없다고 믿었습니다 (10-14절) .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오바댜 선지자를 통해 나라들은 에돔에 맞서 일어날 것이며 한때 강력했던 왕국은 싸울 힘을 잃고 치욕을 당할 것이라고 심판의 말씀을 하셨습니다 (1-2절) .

교만은 우리를 속여 하나님 없이도 우리의 방식대로 살 수 있다고 생각하게 만듭니다. 권위와 훈계와 자신의 부족한 부분도 대수롭지 않게 여기게 만듭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그분 앞에서 우리를 낮추라고 말씀하십니다 (베드로전서 5:6) . 교만한 마음을 버리고 회개하고 돌아서면 하나님은 우리를 인도하여 그분을 온전히 신뢰하게 하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오바댜 1:1-4
너의 마음의 교만이 너를 속였도다 [오바댜 1:3]

삶의 축복이 교만의 근원이 될 때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교만이 어떻게 당신을 속일 수 있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교만으로부터 저를 지키시고 겸손한 마음을 주소서.

Daily Article

06/14/2022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EZRA 9−10; ACTS 1
Hymn: 261(OLD 195)

PRIDE AND DECEPTION

Loving God, thank You for Your gentle, nudging correction. With my shoulders slumped, I murmured those difficult words. I’ve been so arrogant, thinking I could do it all on my own. For months, I’d been enjoying successful work projects, and the accolades lulled me into trusting my capabilities and rejecting God’s leading. It took a challenging project for me to realize I wasn’t as smart as I thought. My proud heart had deceived me into believing I didn’t need God’s help.

The powerful kingdom of Edom received discipline from God for its pride. Edom was located amid mountainous terrain, making her seemingly invulnerable to enemies (OBADIAH 1:3) . Edom was also a wealthy nation, situated at the center of strategic trade routes and rich in copper, a highly valued commodity in the ancient world. It was full of good things yet also full of pride. Its citizens believed their kingdom was invincible, even as they oppressed God’s people (VV. 10–14) . But God used the prophet Obadiah to tell them of His judgment. Nations would rise up against Edom, and the once-powerful kingdom would be defenseless and humiliated (VV. 1–2) .

Pride deceives us into thinking we can live life on our terms, without God. It makes us feel invulnerable to authority, correction, and weakness. But God calls us to humble ourselves before Him (1 PETER 5:6) . As we turn from our pride and choose repentance, God will guide us toward total trust in Him. - KAREN HUANG

Today's Reading

OBADIAH 1:1−4
The pride of your heart has deceived you. [ OBADIAH 1:3 ]

What happens when blessings in your life become
sources of pride? How can pride deceive you?

Father, protect me from pride. Please give me a humble heart.

오늘의 말씀

06/13/2022     월요일

성경읽기: 에스라 6-8; 요한복음 21
찬송가: 301(통460)

하나님의 도우심

나는 한 사업가가 대학 시절에 우울증으로 인해 종종 “무력함과 절망감” 을 느꼈다고 이야기하는 것을 들었습니다. 그는 안타깝게도 이러한 감정에 대해 의사와 상담한 적이 없었으며 대신 지역 도서관에서 자살에 관한 책을 주문하고 죽을 날짜를 정하는 등 더욱 극단적인 계획을 세우기 시작했다고 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무력함과 절망에 빠진 사람들을 돌보십니다. 우리는 성경의 인물들이 어두운 시기를 지날 때 그들을 위해 행하신 하나님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요나가 죽고 싶었을 때 하나님은 그와 다정한 대화를 나누셨습니다 (요나 4:3-10) . 엘리야가 자신의 생명을 거두어 달라고 간구했을 때 (열왕기상 19:4) 하나님은 그에게 떡과 물을 주어 힘을 회복시키셨고 (5-9절) , 그에게 부드럽게 말씀하셨으며 (11-13절) , 그가 생각하는 것처럼 혼자가 아니라는 것을 알게 하셨습니다 (18절) . 하나님께서는 다정하고 실질적인 도움으로 낙심한 사람들에게 다가가십니다.

도서관에서 그 학생에게 자살에 관한 책이 준비되었다고 연락했습니다. 그런데 착오로 그의 부모님의 주소로 그 공지가 전달되었습니다. 놀란 어머니의 전화를 받은 그는 자기가 자살하면 엄청난 충격의 여파가 있을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는 그때 주소가 잘못되지 않았다면 오늘 이 자리에 없었을 것이라고 말합니다.

나는 그 학생이 행운이나 우연으로 죽음을 면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것이 우리가 필요할 때 주시는 빵과 물이든, 아니면 적시에 일어난 주소의 착오이든, 어떤 신비한 개입이 우리의 생명을 구한다면 우리는 하나님의 도우심을 경험한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열왕기상 19:4-10, 15-18
[엘리야가] 본즉 머리맡에 숯불에 구운 떡과 한 병 물이 있더라
이에 먹고 마시고 다시 누웠더니 [열왕기상 19:6]

절망의 시기에 하나님은 어떻게 당신을 도와주셨습니까?
하나님의 인자하심을 또 어디에서 경험했습니까?

사랑의 하나님, 무력하고 절망 가운데 있는 사람들을 다정하고 실질적으로 돌보아 주시는 주님을 찬양합니다.

Daily Article

06/13/2022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EZRA 6–8; JOHN 21
Hymn: 301(OLD 460)

DIVINE TENDERNESS

I once heard a businessman describe his years in college as a time when he often felt “helpless and hopeless” from bouts of depression. Sadly, he never talked to a doctor about these feelings, but instead started making more drastic plans—ordering a book on suicide from his local library and setting a date to take his life.

God cares for the helpless and hopeless. We see this in His treatment of biblical characters during their own dark times. When Jonah wanted to die, God engaged him in tender conversation (JONAH 4:3–10) . When Elijah asked God to take his life (1 KINGS 19:4) , God provided bread and water to refresh him (VV. 5–9), spoke gently to him (VV. 11–13) , and helped him see he wasn’t as alone as he thought (V. 18) . God approaches the downhearted with tender, practical help.

The library notified the student when his book on suicide was ready to collect. But in a mix-up, the note went to his parents’ address instead. When his mother called him, distraught, he realized the devastation his suicide would bring. Without that address mix-up, he says, he wouldn’t be here today.

I don’t believe that student was saved by luck or chance. Whether it’s bread and water when we need it, or a timely wrong address, when mysterious intervention saves our lives, we’ve encountered divine tenderness. - SHERIDAN VOYSEY

Today's Reading

1 KINGS 19:4–10, 15–18
[Elijah] looked around, and there by his head
was some bread baked over hot coals, and a jar of water.
He ate and drank and then lay down again. [ 1 KINGS 19:6 ]

How has God come through for you in a time of desperation?
Where else have you seen divine tenderness in action?

Loving God, I praise You for Your tender, practical care for the helpless and hopeless.

오늘의 말씀

06/12/2022     주일

성경읽기: 에스라 3-5; 요한복음 20
찬송가: 383(통433)

하나님의 방식

나는 스크래블 게임을 좋아합니다. 한 번은 게임이 끝나자 친구들이 내가 했던 플레이를 내 이름을 따서 “카타라”라고 불렀습니다. 나는 게임을 하는 내내 지고 있었지만 마지막에 가방에 있던 타일이 바닥났을 때 일곱 글자로 된 단어를 만들어냈습니다. 이 플레이로 게임은 끝났고 나는 남아있는 모든 상대편 타일의 점수뿐만이 아니라 50점의 보너스까지 받아 일약 꼴찌에서 일등이 되었습니다. 이제는 게임에서 누군가가 지고 있을 때마다 그 사람은 전에 있었던 이 일을 기억하고 “카타라”를 하겠다는 희망을 갖게 되었습니다.

과거에 있었던 일을 기억하는 것은 우리의 사기를 북돋우고 희망을 주는 힘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것이 바로 이스라엘 백성들이 유월절을 기념할 때 했던 일이었습니다. 유월절은 이스라엘 백성이 이집트에서 바로와 그의 부하들에게 억압당할 때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을 위해 행하신 일을 기념하는 것입니다 (출애굽기 1:6-14) . 이스라엘 사람들이 하나님께 부르짖자 하나님은 놀라운 방법으로 그들을 구원하셨습니다. 하나님은 그들에게 문설주에 피를 발라서 죽음의 천사가 그들의 처음 난 사람과 짐승을 “넘어가게” 하라고 말씀하셨습니다 (12:12-13) . 이로써 그들은 죽음으로부터 안전하게 되었습니다.

여러 세기가 지난 지금, 예수를 믿는 사람들은 우리를 죄와 죽음에서 구원하기 위해 십자가에서 죽으신 예수님을 기억하면서 정기적으로 성찬에 참여합니다 (고린도전서 11:23-26) . 과거에 하나님께서 사랑으로 역사하신 것을 기억함으로 우리는 오늘의 희망을 갖게 됩니다.

오늘의 성구

출애굽기 12:24-28
이는 여호와의 유월절 제사라 여호와께서 애굽 사람에게
재앙을 내리실 때에 애굽에 있는 이스라엘 자손의 집을 넘으사
우리의 집을 구원하셨느니라 [출애굽기 12:27]

하나님께서 당신을 위해 하신 일을 어떻게 기념할 수 있습니까?
어떻게 하면 과거의 경험을 통해 다른 사람들에게도 희망을 줄 수 있을까요?

사랑의 하나님, 저를 위해 행하신 모든 경이로운 일에 대해 감사드립니다. 앞으로 살면서 소망이 필요할 때 하나님께서 행하신 위대한 일에 초점을 맞추도록 힘을 주시옵소서.

Daily Article

06/12/2022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EZRA 3–5; JOHN 20
Hymn: 383(OLD 433)

GOD’S MOVES

I love a good game of Scrabble. After one particular game, my friends named a move after me—calling it a “Katara.” I’d been trailing the entire game, but at the end of it—with no tiles left in the bag—I made a seven-letter word. This meant the game was over, and I received fifty bonus points as well as all the points from all of my opponents’ leftover tiles, moving me from last place to first. Now whenever we play and someone is trailing, they remember what happened and hold out hope for a “Katara.”

Remembering what has happened in the past has the power to lift our spirits and give us hope. And that’s exactly what the Israelites did when they celebrated Passover. The Passover commemorates what God did for the Israelites when they were in Egypt, oppressed by Pharaoh and his crew (EXODUS 1:6–14) . After they cried out to God, He delivered the people in a mighty way. He told them to put blood on their doorposts so the death angel would “pass over” their firstborn people and animals (12:12–13) . Then they would be kept safe from death.

Centuries later, believers in Jesus regularly take communion as we remember His sacrifice on the cross—providing what we needed to be delivered from sin and death (1 CORINTHIANS 11:23–26) . Remembering God’s loving acts in the past gives us hope for today. - KATARA PATTON

Today's Reading

E XO D US 12:24–28
It is the Passover sacrifice to the Lord, who passed
over the houses of the Israelites in Egypt and spared
our homes. [ EXODUS 12:27 ]

How can you celebrate what God has done on your behalf?
How can you offer hope to others from your past experiences?

I thank You, loving God, for all the marvelous works You’ve done on my behalf. Please give me the strength to focus on Your mighty acts when I need hope to keep going.

오늘의 말씀

06/11/2022     토요일

성경읽기: 에스라 1-2; 요한복음 19:23-42
찬송가: 559(통305)

가정에서 나누는 믿음의 대화

“집 보다 좋은 곳은 없어. 집보다 좋은 곳은 없어.” ‘오즈의 마법사’ 에 나오는 도로시의 잊지 못할 대사는 ‘스타워즈’에서 ‘라이언 킹’ 에 이르기까지 우리에게 오랫동안 사랑받는 작품들에서 수 없이 많이 사용된 이야기 전개 방식입니다. 이것을 “영웅의 여정”이라고도 하는데, 요약하자면 한 평범한 사람이 평범한 삶을 살다가 특별한 모험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주인공은 집을 떠나서 우군과 악당, 시험과 역경을 만나며 다른 세상으로 여행을 하게 됩니다. 만일 주인공이 여러 가지 시험을 이기고 영웅이
되면 끝에 가서 그동안의 이야기들과 얻은 지혜들을 가지고 집으로 돌아갑니다.

그런데 여기서 이 마지막 부분이 대단히 중요합니다. 귀신 들린 사람의 이야기는 이런 영웅의 여정과 매우 비슷합니다. 흥미로운 것은 마지막 장면에서 그 사람이 예수님께 “같이 가게 해 달라”고 간청했다는 것입니다 (마가복음 5:18, 현대인의 성경) . 그러나 예수님은 그에게 “집으로 돌아가라”고 말씀하셨습니다 (19절) . 그의 여정에서 집으로 돌아가 그를 가장 잘 아는 사람들에게 그가 경험한 놀라운 이야기를 들려주는 것이 중요했던 것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우리 각 사람을 다른 방식과 다른 상황으로 부르십니다. 그러나 그중 어떤 사람들의 신앙 여정에서는 집으로 돌아가 그들을 가장 잘 아는 사람들에게 지내온 이야기들을 들려주는 것이 아주 중요합니다. 우리 중 누구에게는 “집보다 더 좋은 것은 없다”라는 말이 사명이 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마가복음 5:11-20
집으로 돌아가 주께서 네게 어떻게 큰 일을 행하사 너를 불쌍히 여기신 것을 네 가족에게 알리라 [마가복음 5:19]

“당신의 가족”을 생각해 보십시오. 하나님께서 당신을 위해
어떤 일을 하셨는지 들어야 할 사람은 누구입니까?
그 여정의 첫걸음은 어떤 모습일까요?

예수님, 제가 잘 모르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저를 가장 잘 아는 가족들에게도 주님이 행하신 놀라운 일을 말할 수 있는 용기를 주세요.

Daily Article

06/11/2022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EZRA 1–2; JOHN 19:23–42
Hymn: 559(OLD 305)

FAITH CONVERSATIONS AT HOME

“There’s no place like home. There’s no place like home.” Those unforgettable lines spoken by Dorothy in The Wizard of Oz reveal a story-telling device found in an overwhelming number of our most enduring stories from the likes of Star Wars to The Lion King. It’s known as “the hero’s journey.” In brief: an ordinary person is living an ordinary life when an extraordinary adventure is presented. The character leaves home and travels to a different world where tests and trials await, as well as mentors and villains. If she or he passes the tests and proves heroic, then the final stage is returning home with stories to tell and wisdom gained. The last piece is crucial.

The story of the demon-possessed man closely parallels the hero’s journey. It’s interesting that in last scene the man begged Jesus to let him “go with him” (MARK 5:18) . Yet Jesus told him: “Go home to your own people” (V. 19) . It was important in this man’s journey to return home to the people who knew him best and to tell them his amazing story.

God calls each of us in different ways and to different scenarios. But for some of us, it can be crucial for our faith journey to go home and tell our story to those who know us best. For some of us, the call is “there’s no place like home.” - JOHN BLASE

Today's Reading

MARK 5:11–20
Go home to your own people and tell them how much the Lord has done for you. [ MARK 5:19 ]

Think of “your own people.” Who comes to mind that
needs to hear what God has done for you? What does the first
step in that journey look like?

Jesus, give me the courage to tell of Your wonderful works. Not just to strangers, but also to those who know me best—those at home.

오늘의 말씀

06/10/2022     금요일

성경읽기: 역대하 34-36; 요한복음 19:1-22
찬송가: 454(통508)

충분한 시간

친구의 책장에서 방대한 분량의 레오 톨스토이의 ‘전쟁과 평화’를 보고 나는 “사실 난 그 책을 다 읽지 못했어.”라고 고백했습니다. 친구 마티는 “그러게, 내가 교수직을 그만두었을 때 한 친구가 이 책을 선물하며 ‘너도 이제 드디어 이 책을 읽을 시간이 생겼구나.’라고 하더군.” 하고 웃으며 말했습니다.

전도서 3장의 처음 여덟 절은 삶의 여러 가지 주제를 임의로 골라 그에 대해 친숙하고 자연스러운 운율로 써 내려갑니다. 삶의 어느 단계에서든 우리가 하고 싶은 것을 다 할 시간은 없습니다. 그리고 시간 관리를 지혜롭게 하려면 계획이 필요합니다 (시편 90:12) .

우리의 영적 건강을 위해서는 매일 하나님과의 시간을 보내는 것이 우선순위이어야 합니다. 생산적인 일을 하면 마음의 낙을 누릴 수 있습니다 (전도서 3:13) . 하나님을 섬기고 다른 사람들을 섬기는 것은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반드시 필요합니다 (에베소서 2:10) . 그리고 휴식이나 여가 시간을 갖는 것은 낭비가 아니라 몸과 마음을 새롭게 합니다.

물론 우리는 지금 이곳에서 일어나는 일에 몰두하며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일을 하기 위해 시간을 보내기 아주 쉽습니다. 그러나 전도서 3장 11절은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영원을 사모하는 마음을 주셨느니라”라고 기록하며 ‘영원’한 것을 먼저 생각하라고 가르칩니다. 그렇게 하면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어떤 것을 직면하게 될 것입니다. 그것은 “처음부터 끝까지” 다 보시는 하나님의 영원한 관점입니다.

오늘의 성구

전도서 3:1-13
또 사람들에게는 영원을 사모하는 마음을 주셨느니라 그러나 하나님이 하시는 일의 시종을 사람으로 측량할 수 없게 하셨도다 [전도서 3:11]

시간을 쓰는데 있어서 어떤 다른 선택들이 가능할까요?
전도서 기자가 하나님이 인간에게 영원을 사모하는 마음을 주셨다는
것은 어떤 의미였을까요?

예수님, 주님의 영원한 관점을 이해하게 하시고 주님의 목적을 이룰 수 있게 시간을 균형 있게 사용하게 하소서.

Daily Article

06/10/2022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2 CHRONICLES 34–36; JOHN 19:1–22
Hymn: 454(OLD 508)

TIME ENOUGH

When I saw the massive volume of Leo Tolstoy’s War and Peace on my friend’s bookshelf, I confessed, “I’ve never actually made it all the way through that.” “Well,” Marty chuckled, “When I retired from teaching, I got it as a gift from a
friend who told me, ‘Now you’ll finally have time to read it.’ ”

The first eight verses of Ecclesiastes 3 state a familiar, natural rhythm of the activities of life with some arbitrary choices. No matter what stage of life we find ourselves in, it’s often difficult to find time to do everything we want to do. And to make wise decisions about managing our time, it’s helpful to have a plan (PSALM 90:12) .

Time spent with God each day is a priority for our spiritual health. Doing productive work is satisfying to our spirit (ECCLESIASTES 3:13) . Serving God and helping other people is essential to fulfilling God’s purpose for us (EPHESIANS 2:10) . And times of rest or leisure aren’t wasted but refreshing for body and spirit.

Of course, it’s easy to become too focused on the here and now—finding time for the things that matter most to us. But Ecclesiastes 3:11 says that God has “set eternity” in our hearts— reminding us to make a priority of things that are eternal. That can bring us face to face with something of the greatest importance— God’s eternal perspective “from beginning to end.” - CINDY HESS KASPER

Today's Reading

ECCLESIASTES 3:1–13
He has also set eternity in the human heart; yet no one can fathom what God has done from beginning to end. [ ECCLESIASTES 3:11 ]

What different choices might you make about the way you’re
spending your time? What did the author of Ecclesiastes mean
about God setting eternity in the human heart?

Jesus, give me a glimpse of Your eternal perspective and help me to search for the right balance of time that better fulfills Your purpose.

오늘의 말씀

06/09/2022     목요일

성경읽기: 역대하 32-33; 요한복음 18:19-40
찬송가: 420(통212)

합리화하지 맙시다

애틀랜타 주의 한 경찰관이 운전자에게 왜 그녀의 차를 세웠는지 아느냐고 물었습니다. 그녀는 당황해하며 모른다고 말했습니다. 경찰관은 “선생님, 운전 중에 문자를 보내고 있었습니다”라고 정중히 말했습니다. 그녀는 “아닙니다, 아니에요!”라며 휴대전화를 보여주며 “이메일 한 거예요” 라고 항의했습니다.

휴대전화로 이메일을 보내는 것이 운전 중 문자 메시지를 금지하는 법망을 피할 수는 없지요! 이 법의 핵심은 문자 전송을 금지하는 것이 아니라 운전 중 다른데 정신 파는 것을 방지하려는 것입니다.

예수님께서는 그 시대의 종교 지도자들의 훨씬 더 심각한 문제점을 지적하셨습니다. 주님은 증거로 “네 부모를 공경하라”는 계명을 인용하면서 “너희가 전통을 지키려고 하나님의 계명을 잘 저버리는도다”라고 말씀 하셨습니다 (마가복음 7:9-10) . 그들 부유한 지도자들은 율법을 철저히 지킨다는 미명 아래 그들의 가족들에게는 소홀했습니다. 그들은 자기들의 돈을 “하나님께 바쳤다”라고 하면서, 노년의 부모를 돌볼 필요가 없다고 했습니다. 예수님께서는 문제의 핵심을 지적했습니다. “너희가 전한 전통으로 하나님의 말씀을 폐한다” (13절) 고 말씀한 것입니다. 부모를 공경하지 않았던 그들은 곧 하나님을 공경하지 않았던 것입니다.

합리화는 교묘한 방법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합리화함으로 자신의 책임을 회피하고, 이기적인 행동을 하고도 이유가 있고, 하나님이 직접 주신 명령을 안 지킵니다. 이것이 바로 우리의 모습이라면 우리는 자신을 속이고 있는 것입니다. 예수님은 우리의 이기적 성향을 내려놓고 대신 하나님 아버지의 선한 가르침을 받쳐주시는 성령의 인도하심을 따르라 하십니다.

오늘의 성구

마가복음 7:6-13
너희가 하나님의 계명은 버리고 사람의 전통을 지키느니라 [마가복음 7:8]

당신은 어떤 경우에 자신을 합리화합니까?
이러한 합리화는 성경의 가르침과도 잘 맞는지요?

하나님, 저는 주님의 지혜로운 분별력이 필요합니다. 저의 죄를 부인하지 않게 하소서. 성령님과 함께 살게 하소서.

Daily Article

06/09/2022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2 CHRONICLES 32–33; JOHN 18:19–40
Hymn: 420(OLD 212)

REJECTING RATIONALIZATION

An Atlanta police officer asked a driver if she knew why he’d stopped her. “No idea!” she said in bewilderment. “Ma’am, you were texting while driving,” the officer gently told her. “No, no!” she protested, holding up her cell phone as evidence. “It’s an email.”

Using a cell phone to send an email doesn’t grant us a loophole from a law that prohibits texting while driving! The point of the law isn’t to prevent texting; it’s to prevent distracted driving.

Jesus accused the religious leaders of His day of creating far worse loopholes. “You have a fine way of setting aside the commands of God,” He said, quoting the command to “Honor your father and mother” as evidence (MARK 7:9–10) . Under the hypocritical cloak of religious devotion, these wealthy leaders were neglecting their families. They simply declared their money as “devoted to God,” and voila, no need to help Mom and Dad in their old age. Jesus quickly got to the heart of the problem. “You nullify the word of God by your tradition,” He said (V. 13) . They weren’t honoring God; they were dishonoring their parents.

Rationalization can be so subtle. With it we avoid responsibilities, explain away selfish behavior, and reject God’s direct commands. If that describes our behavior, we’re merely deceiving ourselves. Jesus offers us the opportunity to exchange our selfish tendencies for the guidance of the Spirit behind His Father’s good instructions.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M A R K 7:6–13
You have let go of the commands of God and are holding on to human traditions. [ MARK 7:8 ]

In what areas of your life do you find yourself rationalizing? How
do these rationalizations square with the wisdom of the Bible?

God, I need Your wise discernment. Rescue me from my denial of my own guilt. Help me live in step with Your Spirit.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