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6/08/2022     수요일

성경읽기: 역대하 30-31; 요한복음 18:1-18
찬송가: 217(통262)

베풂과 기쁨

연구자들은 베풂과 기쁨 사이에 연관이 있다고 합니다. 자신의 돈과 시간을 다른 사람들에게 쓰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더 행복하다고 합니다, 이 때문에 한 심리학자는 결론지었습니다. “이제는 주는 것을 도덕적 의무로 생각하지 말고 기쁨의 원천으로 생각합시다.”

주는 것이 우리를 행복하게 할 수 있지만, 그렇다고 행복이 목적이 되는 것에 대해서는 의문이 듭니다. 기분 좋게 하는 사람들이나 그런 일들만 돕는다면 우리의 도움을 기다리는 더 어렵거나 기본적인 필요들에 대해서는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성경도 베풂과 기쁨을 연결하지만 그 근거는 다릅니다. 성전 건축을 위해 자신의 재물을 바친 다윗 왕은 이스라엘 백성들에게도 헌물을 권유했습니다. (역대상 29:1-5) . 백성들은 금, 은, 보석들을 기쁜 마음으로 드리며 기꺼이 나섰습니다 (6-8절) . 그러나 그들이 무엇 때문에 기뻐했는지 주목하십시오. “백성들은 ‘자원’하여 드렸으므로 기뻐하였으니 곧 그들이 ‘성심으로’ 여호와께 ‘자원’하여 드렸으므로” (9절) . 성경은 우리에게 행복 때문에 베푸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곳에 기꺼이 그리고 성심껏 베풀라고 말합니다. 그러면 기쁨은 따라오게 되어 있습니다.

선교사들이 잘 아는 대로, 교인들은 복음전도의 최전선을 돕고 싶은 마음이 있어서, 행정업무를 위한 모금보다는 전도를 위한 모금이 더 쉬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다른 필요에 대해서도 기꺼이 베푸십시오. 무엇보다 예수님이 우리의 필요를 채워주시려고 자신을 값없이 내주셨습니다 (고린도후서 8:9).

오늘의 성구

역대상 29:1-9
백성들은 자원하여 드렸으므로 기뻐하였으니 곧 그들이 성심으로 여호와께 자원하여 드렸으므로 [역대상 29:9]

당신은 베풂과 기쁨이 왜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당신은 남들의 “일상적인” 필요에도 도움을 준 일이 있는지요?

하나님 아버지, 베풂에서 오는 기쁨을 알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평범한 필요에 대해서도 베풀 수 있는 마음을 주소서.

Daily Article

06/08/2022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2 CHRONICLES 30–31; JOHN 18:1–18
Hymn: 217(OLD 262)

GENEROSITY AND JOY

Researchers tell us there’s a link between generosity and joy: those who give their money and time to others are happier than those who don’t. This has led one psychologist to conclude, “Let’s stop thinking about giving as a moral obligation, and start thinking of it as a source of pleasure.”

While giving can make us happy, I question whether happiness should be the goal. If we’re only generous to people or causes that make us feel good, what about the more difficult or mundane needs requiring our support?

Scripture links generosity with joy too, but on a different basis. After giving his own wealth toward building the temple, King David invited the Israelites to also donate (1 CHRONICLES 29:1–5) . The people responded generously, giving gold, silver, and precious stones joyously (VV. 6–8) . But notice what their joy was over: “The people rejoiced at the willing response of their leaders, for they had given freely and wholeheartedly to the Lord” (V. 9, ITALICS ADDED) . Scripture never tells us to give because it will make us happy but to give willingly and wholeheartedly to meet a need. Joy often follows.

As missionaries know, it can be easier to raise funds for evangelism than for administration because believers in Jesus like the feeling of funding frontline work. Let’s be generous toward other needs as well. After all, Jesus freely gave Himself. - SHERIDAN VOYSEY

Today's Reading

1 CHRONICLES 29:1–9
The people rejoiced at the willing response of their leaders, for they had given freely and wholeheartedly to the Lord. [ 1 CHRONICLES 29:9 ]

Why do you think generosity and joy are connected? What
“unexciting” need could benefit from your generous giving?

Father God, thank You for the joy found in giving. Give me a generous heart even toward ordinary needs.

오늘의 말씀

06/07/2022     화요일

성경읽기: 역대하 28-29; 요한복음 17
찬송가: 93(통93)

예수님이 함께 계신다

연로하신 이모할머니는 얼굴에 미소를 띠고 병상에 누워 계셨습니다. 백발은 뒤로 넘겨졌고 두 뺨은 주름으로 가득했습니다. 이모할머니의 말은 많지 않았지만 아버지, 어머니와 함께 문병을 갔을 때 그녀가 나직이 속삭인 몇 마디는 아직도 기억납니다. “나 외롭지 않아. 예수님이 내 옆에 계시니까.”

당시 미혼이었던 나는 이모할머니의 고백에 놀랐습니다. 남편은 수년 전에 돌아가셨고 자녀들은 멀리 떨어져 살고 있었습니다. 90세가 다 되어 혼자가 된 이모할머니는 침대에 누워 거의 움직일 수 없었습니다. 그럼에도 자신이 외롭지 않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예수님이 제자들에게 “내가 너희와 항상 함께 있으리라” (마태복음 28:20) 고 하신 말씀을 우리 모두가 믿어야 하듯, 이모할머니는 이 말씀을 그대로 받아들였습니다. 그녀는 예수님이 제자들에게 세상으로 나아가 그의 말씀을 다른 사람에게 전하라 (19절) 고 가르치시며 약속하신 대로 그리스도의 영이 함께 계신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예수님은 성령이 제자들과 우리와 “함께” 계실 것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요한복음 14:16-17).

나는 이모할머니가 그 약속이 이루어진 것을 체험했다고 확신합니다. 그녀가 침대에 누워있을 때 성령이 함께 하셨습니다. 그리고 성령님은 그녀를 사용하여, 예수님의 진리의 말씀을 듣고 마음에 새겨야 하는 어린 조카 손녀인 나에게 그 진리를 전하게 하셨습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28:16-20
내가 너희에게 분부한 모든 것을 가르쳐 지키게 하라 볼지어다. 내가 세상 끝날까지 너희와 항상 함께 있으리라 [마태복음 28:20]

예수님이 오늘 당신과 함께 하신다는 사실에 어떻게 격려가 됩니까?
성령의 위로를 어떻게 경험하셨습니까?

예수님, 성령님을 나의 위로와 친구로 보내주신 것을 감사합니다. 오늘도 종일 주님의 임재를 경험하게 해주소서.

Daily Article

06/07/2022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2 CHRONICLES 28–29; JOHN 17
Hymn: 93(OLD 93)

JESUS IS HERE

My elderly great aunt lay on her sickbed with a smile on her face. Her gray hair was pushed back from her face and wrinkles covered her cheeks. She didn’t speak much, but I still recall the few words she said when my father, mother,
and I visited her. She whispered, “I don’t get lonely. Jesus is here with me.”

As a single woman at the time, I marveled at my aunt’s proclamation. Her husband had died several years earlier, and her children lived far away. Nearing her ninetieth year of life, she was alone, in her bed, barely able to move. Yet she was able to say she wasn’t lonely.

My aunt took Jesus’ words to the disciples literally, as we all should: “Surely I am with you always” (MATTHEW 28:20) . She knew that Christ’s Spirit was with her, as He promised when He instructed the disciples to go out into the world and share His message with others (V. 19) . Jesus said the Holy Spirit would “be with” the disciples and us (JOHN 14:16–17).

I’m certain my aunt experienced the reality of that promise. The Spirit was within her as she lay on her bed. And the Spirit used her to share His truth with me—a young niece who needed to hear those words and take them to heart. -KATARA PATTON

Today's Reading

M ATTHEW 28:16–20
[Teach] them to obey everything I have commanded you. And surely I am with you always, to the very end of the age. [ MATTHEW 28:20 ]

How are you encouraged by the reality that Jesus is with you
today? How have you experienced the comfort of the Holy Spirit?

Thank You, Jesus, for sending Your Spirit as my comfort and companion. Remind me of Your presence throughout this day.

오늘의 말씀

06/06/2022     월요일

성경읽기: 역대하 25-27; 요한복음 16
찬송가: 90(통98)

솔직한 친절

“친구야, 자네는 속보다 겉이 더 거룩해 보일 때가 가끔 있어.”

친구는 이 말을 부드러운 미소를 띠고 나를 똑바로 바라보면서 솔직하고 담담하게 해주었습니다. 가까운 친구이자 멘토이며 내가 높이 사는 분별력을 가진 그가 아니라 다른 사람이 이 말을 했다면 마음이 많이 상했을 것입니다. 그의 말이 “신경에 좀 거슬리기는” 했지만 한편 옳은 지적이라는 것을 알았기에 움찔하면서 그냥 웃었습니다. 나는 가끔 나의 믿음에 대해 말할 때 자연스럽지 않은 전문용어를 사용해서 진심이 아닌 듯한 인상을 주었습니다. 나를 사랑하는 친구는 내가 진정으로 믿는 것을 다른 사람들과 더 효과적으로 나눌 수 있게 도우려 했던 것입니다. 돌이켜보면 이것은 내가 받은 조언 중 최고의 조언이었습니다.

“친구의 아픈 책망은 충직으로 말미암은 것이나 원수의 잦은 입맞춤은 거짓에서 난 것이니라” (잠언 27:6) . 솔로몬이 기록한 지혜의 말씀입니다. 내 친구의 통찰력은 이 말씀이 맞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내가 받아들이기가 쉽지 않을 것을 알면서도 내게 깊은 관심을 가지고 필요한 말을 해준 친구가 고마웠습니다. 때때로 어떤 이들은 당신이 듣고 싶어 하는 것만 이야기하지만 도움은 되지 않습니다. 당신이 중요한 부분에서 더 자라고 발전하는 것을 막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진실하고 겸손한 사랑에서 나오는 솔직함은 친절함이 될 수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지혜를 주셔서 솔직한 충고를 잘 주고받으며 하나님의 사랑의 마음을 전하게 되기를 원합니다

오늘의 성구

잠언 27:1-9
친구의 충성된 권고가 이와 같이 아름다우니라 [잠언 27:9 ]

때때로 우리가 유익하지만 엄한 조언을 받아들이기 힘든 이유는 무엇입니까?
누가 어떻게 당신에게 솔직하게 다가와 사랑의 조언을 해주었습니까?

아바, 아버지, 성경을 통해 저에게 진리를 말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를 인도하시는 주님을 의지하여 조언을 잘 주고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6/06/2022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2 CHRONICLES 25–27; JOHN 16
Hymn: 90(OLD 98)

THE KINDNESS OF CANDOR

“My dear friend, sometimes you sound holier than you really are.”

Those words were leveled with a direct gaze and gentle smile. Had they come from someone other than a close friend and mentor whose discernment I highly valued, my feelings might have been hurt. Instead, I winced and laughed at the same time, knowing that while his words “hit a nerve,” he was also right. Sometimes when I talked about my faith, I used jargon that didn’t sound natural, which gave the impression that I wasn’t being sincere. My friend loved me and was trying to help me be more effective in sharing with others what I genuinely believed. Looking back, I see it as some of the best advice I ever received.

“Wounds from a friend can be trusted,” Solomon wisely wrote, “but an enemy multiplies kisses” (PROVERBS 27:6) . My friend’s insights demonstrated the truth of that counsel. I was grateful he cared enough to tell me something I needed to hear, even though he knew it might not be easy to accept. Sometimes when someone tells you only what they think you want to hear, it isn’t helpful, because it can keep you from growing and developing in vital ways.

Candor can be kindness when measured out with genuine, humble love. May God give us the wisdom to receive it and impart it well, and so reflect His caring heart. - JAMES BANKS

Today's Reading

PROVERBS 27:1–9
The pleasantness of a friend springs from their heartfelt advice. [ PROVERBS 27:9 ]

Why is it difficult for us to sometimes receive good
but hard advice? How has someone been candid with you
in a helpful and loving way?

Abba, Father, thank You for speaking truth to me through Scripture. Please help me to receive and give advice well by relying on You to lead me.

오늘의 말씀

06/05/2022     주일

성경읽기: 역대하 23-24; 요한복음 15
찬송가: 361(통480)

하나님 안에서 담대하기

2018년의 한 연구에 따르면 영국의 성인들은 평균적으로 “깨어 있는 동안 12분마다 스마트폰을 본다”고 합니다. 그러나 솔직히 말해서 나처럼 알고 싶은 것을 찾으려고 검색을 하거나 하루 종일 전화기에 울리는 끝도 없는 알림 신호에 응답하는 빈도를 고려한다면 이 통계는 오히려 너무 보수적으로 집계된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우리 대부분은 스마트폰을 가지고 할 일들을 정리하고 필요한 정보를 얻고 서로 소통할 수 있다고 믿고 이 도구에 의지합니다.

예수님을 믿는 우리에게는 스마트폰 보다 훨씬 더 나은 자원이 있습니다. 하나님은 우리를 가까이서 사랑하시고 돌보시며 우리가 필요를 가지고 그분께 나아오기를 바라십니다. 성경은 우리가 기도할 때, “그의 뜻대로 무엇을 구하면 들으심” (요한1서 5:14) 을 믿으라고 말씀합니다. 성경을 읽고 하나님의 말씀을 마음에 새김으로써 우리는 평화와 지혜, 그리고 우리의 필요를 하나님이 채워주신다는 믿음을 포함한 모든 것을 하나님이 이미 우리에게 주기로 하셨다는 사실을 알게 되어 이를 위해 확신 있는 기도를 할 수 있습니다 (15절).

때로는 우리의 상황이 변하지 않으면 하나님이 우리의 기도를 듣지 않으시는 것처럼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어떤 상황 속에서도 하나님께 끊임없이 도움을 간구함으로써 하나님에 대한 확신을 더 할 수 있습니다 (시편 116:2) . 원하는 것을 다 얻지 못해도 모든 필요를 하나님께서 정하신 시간에 주신다는 약속에 의지할 때 우리의 믿음은 더 성장하게 됩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1서 5:13-15
그를 향하여 우리가 가진 바 담대함이 이것이니 그의 뜻대로 무엇을 구하면 들으심이라 [요한1서 5:14]

하나님께 기도하면서 담대함이 부족했던 때가 있었습니까?
어떻게 하면 확신과 목적을 가지고 기도할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제 모든 필요를 공급해주시는 하나님을 믿으며 기도로 담대히 나아갈 수 있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6/05/2022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2 CHRONICLES 23–24; JOHN 15
Hymn: 361(OLD 480)

CONFIDENT IN GOD

A 2018 study of adults in the United Kingdom found that, on average, “they checked their smartphones every twelve minutes of the waking day.” But let’s be honest, this statis- tic seems extremely conservative when I consider how frequently I search Google to find the answer to a question or respond to endless alerts that come to my phone throughout the day. Many of us consistently look to our devices, confident they’ll provide what we need to keep us organized, informed, and connected.

As believers in Jesus, we have a resource infinitely better than a smartphone. God loves and cares for us intimately and desires for us to come to Him with our needs. The Bible says that when we pray, we can be confident “that if we ask anything according to his will, he hears us” (1 JOHN 5:14) . By reading the Bible and storing God’s words in our hearts, we can pray assuredly for things that we know He already desires for us, including peace, wisdom, and faith that He’ll provide what we need (V. 15).

Sometimes it may seem like God doesn’t hear us when our situation doesn’t change. But we build our confidence in God by consistently turning to Him for help in every circumstance (PSALM 116:2) . This allows us to grow in faith, trusting that although we may not get everything we desire, He’s promised to provide what we need in His perfect timing. - KIMYA LODER

Today's Reading

1 JOHN 5:13–15
This is the confidence we have in approaching God: that if we ask anything according to his will, he hears us. [ 1 JOHN 5:14 ]

When have you lacked boldness when coming to God in prayer?
How can you be confident and intentional in your prayers?

Dear heavenly Father, thank You that I can come confidently to You in prayer, trusting You to supply all my needs.

오늘의 말씀

06/04/2022     토요일

성경읽기: 역대하 21-22; 요한복음 14
찬송가: 288(통204)

하나님께 초점을

나는 약혼반지를 고를 때 마음에 꼭 드는 다이아몬드를 찾느라 많은 시간을 보냈습니다. ‘제일 멋진 다이아몬드를 못 구하면 어쩌지?’ 하는 생각을 떨치지 못했습니다.

경제 심리학자 배리 슈와츠에 의하면 나처럼 습관적으로 결정을 못 내리는 사람은 “자족하는 사람”이 아니라 “최고를 찾는 사람”이라고 합니다. ‘자족하는 사람’은 자신의 필요에 맞는 것을 찾아 선택을 하지만, ‘최고를 찾는 사람’은 어떨까요? 이들에게는 언제나 최선을 선택해야 한다는 마음이 있다고 합니다 (내가 그렇습니다!). 그러나 늘 많은 선택을 앞두고 결정을 못 내리면 어떻게 될까요? 불안, 우울, 불만족이 생길 수 있다고 합니다. 실제로 사회학자들은 이런 현상을 ‘놓칠까 하는 두려움’이라고도 합니다.

물론 성경에는 ‘최고를 찾는 사람’이나 ‘자족하는 사람’이라는 말은 없지만 이와 비슷한 예는 분명히 있습니다. 디모데전서에서 바울은 디모데에게 이 세상의 것보다 하나님 안에서 가치를 찾으라고 권면합니다. 성취에 대한 세상의 약속은 결코 온전히 지켜질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바울은 디모데가 자신의 정체성을 하나님 안에서 뿌리내리기를 바라며 “자족하는 마음이 있으면 경건은 큰 이익이 되느니라” (6:6) 라고 권면했습니다. 바울이 “우리가 먹을 것과 입을 것이 있은즉 족한 줄로 알 것이니라” (8절) 고 말한 것을 보면 그는 자족하는 사람이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나의 경우 만족을 줄 것만 같은 세상의 많은 방법들을 붙잡다 보면 대개는 애만 쓰고 불만족으로 끝나고 맙니다. 그러나 하나님께 초점을 두고 최고를 찾는 강박관념을 내려놓을 때 내 영혼은 진정한 만족과 안식으로 나아갑니다.

오늘의 성구

디모데전서 6:6-11
자족하는 마음이 있으면 경건은 큰 이익이 되느니라 [디모데전서 6:6]

당신은 자족하는 편입니까? 왜 그렇습니까? 아니면 왜 그렇지 않습니까?
하나님과의 관계가 삶의 전반적인 만족에 어떤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합니까?

하나님 아버지, 주님만이 제 영혼을 채울 수 있음을 기억하게 하소서.

Daily Article

06/04/2022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2 CHRONICLES 21–22; JOHN 14
Hymn: 288(OLD 204)

GOD FOCUS

When I was shopping for engagement rings, I spent many hours looking for exactly the right diamond. I was plagued by the thought, What if I miss the best one?

According to economic psychologist Barry Schwartz, my chronic indecision indicates that I am what he calls a “maximizer,” in contrast to a “satisficer.” A satisficer makes choices based on whether something is adequate for their needs. Maximizers? We have a need to always make the best choice (guilty!). The potential outcome of our indecision in the face of many choices? Anxiety, depression, and discontent. In fact, sociologists have coined another phrase for this phenomenon: fear of missing out.

We won’t find the words maximizer or satisficer in Scripture, of course. But we do find a similar idea. In 1 Timothy, Paul challenged Timothy to find value in God rather than the things of this world. The world’s promises of fulfillment can never fully deliver. Paul wanted Timothy to instead root his identity in God: “Godliness with contentment is great gain” (6:6) . Paul sounds like a satisficer when he adds, “But if we have food and clothing, we will be content with that” (V. 8).

When I fixate on the myriad ways the world promises fulfillment, I usually end up restless and unsatisfied. But when I focus on God and relinquish my compulsive urge to maximize, my soul moves toward genuine contentment and rest. - ADAM R. HOLZ

Today's Reading

1 TIMOTHY 6:6–11
Godliness with contentment is great gain. [ 1 TIMOTHY 6:6 ]

Would you say you tend to be a content person? Why or why
not? How do you think your relationship with God
affects your overall contentment in life?

Father, help me to remember that only You can fill my soul.

오늘의 말씀

06/03/2022     금요일

성경읽기: 역대하 19-20; 요한복음 13:21-38
찬송가: 95(통82)

희망의 무지개를 보면

10월의 휴가 기간 동안 만성 통증 때문에 처음 며칠을 방에서 회복되기를 기다려야 했습니다. 내 기분은 잔뜩 흐린 하늘과도 같았습니다. 마침내 남편과 함께 가까운 등대 근처의 경치를 보러 나갔는데 먹구름이 시야를 대부분 가렸습니다. 그래도 희미하게 보이는 산과 흐릿한 수평선의 사진을 몇 장 찍었습니다.

밤새 내린 폭우 때문에 아무것도 못하게 되어 실망하며 찍었던 사진을 훑어보다 깜짝 놀라 남편에게 카메라를 건냈습니다. “무지개예요!” 우울함에 빠져 있다 보니 예상하지 못한 한줄기 희망의 빛으로 지친 심령을 새롭게 하시는 하나님을 생각하지 못했습니다 (창세기 9:13-16).

육체의 고통이나 상한 감정은 종종 우리를 깊은 절망으로 빠져들게 합니다. 새 힘이 꼭 필요한 우리는 하나님의 끊임없는 임재와 무한하신 능력을 늘 확인하고 싶어 합니다 (시편 42:1-3) . 과거에 하나님께서 우리와 다른 사람들을 위해 일하신 수없이 많은 시간을 떠올리면 지금은 아무리 낙심되더라도 (4-6절) 우리의 소망이 하나님께 있음을 믿을 수 있습니다.

그릇된 태도나 어려운 상황으로 시야가 흐려질 때, 하나님은 우리가 주님께 간구하고 말씀을 묵상하고 그의 신실하심을 신뢰하도록 부르십니다 (7-11절) . 우리가 하나님을 찾을 때 아무리 어두운 날에도 둥근 희망의 무지개를 보게 하시는 그분을 의지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42
너는 하나님께 소망을 두라 그가 나타나 도우심으로 말미암아 내가 여전히 찬송하리로다 [시편 42:5]

그릇된 태도로 부정적 시각을 가졌던 때가 있었는지요?
당신의 소망이 하나님께 맞추어져 있는지 어떻게 확신할 수 있습니까?

사랑의 하나님, 제 영혼을 새롭게 하시고 자비를 구하는 기도를 희망의 찬양으로 바꾸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6/03/2022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2 CHRONICLES 19–20; JOHN 13:21–38
Hymn: 95(OLD 82)

SPOTTING RAINBOWS OF HOPE

During an October vacation, another battle with chronic pain forced me to spend the first few days recovering in our room. My mood became as overcast as the sky. When I finally ventured out to enjoy sightseeing at a nearby lighthouse with my husband, gray clouds blocked much of our view. Still, I snapped a few photos of the shadowy mountains and dull horizon.

Later, disappointed because a downpour tucked us in for the night, I skimmed through our digital pictures. Gasping, I handed my husband the camera. “A rainbow!” Focused on the gloominess earlier, I’d missed out on God refreshing my weary spirit with the unexpected glimpse of hope (GENESIS 9:13–16).

Physical or emotional suffering can often drag us down into the depths of despair. Desperate for refreshment, we thirst for reminders of God’s constant presence and infinite power (PSALM 42:1–3) . As we recall the countless times God has come through for us and for others in the past, we can trust that our hope is secured in Him no matter how downcast we feel in the moment (VV. 4–6).

When bad attitudes or difficult circumstances dim our vision, God invites us to call on Him, read the Bible, and trust His faithfulness (VV. 7–11) . As we seek God, we can rely on Him to help us spot rainbows of hope arched over the darkest days. -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PSALM 42
Put your hope in God, for I will yet praise him. [ PSALM 42:5 ]

When have bad attitudes negatively affected your vision?
How can you make sure your hope is centered on God?

Loving God, thank You for refreshing my spirit and turning my plea for mercy into hope-filled praises.

오늘의 말씀

06/02/2022     목요일

성경읽기: 역대하 17-18; 요한복음 13:1-20
찬송가: 187(통171)

구별됨

1742년 11월 영국의 스태포드셔에서 찰스 웨슬리가 설교한 복음 메시지에 대해 항의하는 시위가 벌어졌습니다. 찰스와 그의 형 존이 오랜 교회의 전통을 바꾸려 하는 것처럼 보여 많은 지역 주민들은 그것을 받아들이기 어려웠습니다.

존 웨슬리는 시위 소식을 듣고 동생을 돕기 위해서 스태포드셔로 급히 떠났습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존이 머무는 곳을 통제불능의 군중들이 에워쌌습니다. 그는 용기를 내어 그들의 지도자들과 만나 차분히 대화하며 그들의 분노를 조금씩 가라앉혔습니다.

웨슬리의 온유하고 조용한 성품이 성난 시위대를 진정시켰습니다. 그러나 그 온유함은 그의 마음에서 저절로 나온 게 아니라 웨슬리가 그토록 가까이 따랐던 주님의 마음이었습니다. 예수님께서 “나는 마음이 온유하고 겸손하니 나의 멍에를 메고 내게 배우라 그러면 너희 마음이 쉼을 얻으리니” 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마태복음 11:29) . 바울 사도가 우리에게 “모든 겸손과 온유로 하고 오래 참음으로 사랑 가운데서 서로 용납하라” (에베소서 4:2) 고 도전한 이 온유함의 멍에가 진정한 힘이 되었습니다.

우리 인간의 본성으로는 그러한 인내가 불가능합니다. 그러나 우리 안에 있는 성령의 열매로 말미암아 그리스도 마음의 온유함이 우리를 구별되게 하고 우리를 적대시하는 세상을 살아갈 수 있도록 합니다. 우리가 그렇게 살 때 “너희 관용을 모든 사람에게 알게 하라” (빌립보서 4:5) 고 하였던 바울의 말을 실천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4:29-32
나는 마음이 온유하고 겸손하니 나의 멍에를 메고 내게 배우라
[마태복음 11:29]

오늘날의 문화는 왜 온유함을 약함으로 여길까요?
어떤 면에서 온유함이 실제로는 강한 것일까요?

하나님, 적들에게 온유함과 동정심을 보여주신 예수님을 기억하게 하소서.

Daily Article

06/02/2022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2 CHRONICLES 17–18; JOHN 13:1–20
Hymn: 187(OLD 171)

SET APART

In November 1742, a riot broke out in Staffordshire, England, to protest against the gospel message Charles Wesley was preaching. It seems Charles and his brother John were changing some longstanding church traditions, and that was too much for many of the townsfolk.

When John Wesley heard about the riot, he hurried to Stafford­ shire to help his brother. Soon an unruly crowd surrounded the place where John was staying. Courageously, he met face to face with their leaders, speaking with them so serenely that one by one their anger was assuaged.

Wesley’s gentle and quiet spirit calmed an angry mob. But it wasn’t a gentleness that occurred naturally in his heart. Rather, it was the heart of the Savior whom Wesley followed so closely. Jesus said, “Take my yoke upon you and learn from me, for I am gentle and humble in heart, and you will find rest for your souls” (MATTHEW 11:29) . This yoke of gentleness became the true power behind the apostle Paul’s challenge to us: “Be completely humble and gentle; be patient, bearing with one another in love” (EPHESIANS 4:2).

In our humanness, such patience is impossible for us. But by the fruit of the Spirit in us, the gentleness of the heart of Christ can set us apart and equip us to face a hostile world. When we do, we fulfill Paul’s words, “Let your gentleness be evident to all” (PHILIPPIANS 4:5). - BILL CROWDER

Today's Reading

EPHESIANS 4:29–32
Take my yoke upon you and learn from me, for I am gentle and humble in heart.
[ MATTHEW 11:29 ]

Why does today’s culture see gentleness as weakness?
How is gentleness actually strong?

Dear God, remind me that Jesus displayed a heart of gentleness and compassion to His adversaries.

오늘의 말씀

06/01/2022     수요일

성경읽기: 역대하 15-16; 요한복음 12:27-50
찬송가: 299(통418)

사랑의 선물

글렌은 매일 아침 근처 드라이브스루에서 커피를 삽니다. 그리고 매일 자기 뒷차에 탄 사람이 주문한 것까지 지불하면서, 그 사람에게 좋은 하루를 보내길 바란다는 인사를 해달라고 계산원에게 부탁합니다. 글렌은 뒤에 있는 사람들과 아무 관계가 없습니다. 그들의 반응도 알지 못하며 단순히 이 작은 행위가 “그가 할 수 있는 최소한의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한 번은 지역 신문사에 보내온 익명의 편지를 읽고 그가 한 일이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알게 되었습니다. 2017년 7월 18일 그가 베푼 친절로 뒷차에 타고 있던 사람이 그날 자살하려 했던 계획을 내려놓았다는 것입니다.

글렌은 어떤 인정도 받지 않고 매일 자기 뒷차에 타고 있는 사람에게 선의를 베풉니다. 자신의 작은 선물이 미친 영향에 대해서 이제야 비로소 알게 된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오른손이 하는 것을 왼손이 모르게 하라” (마태복음 6:3) 고 하신 말씀은 우리에게 인정받겠다는 마음 없이 글렌처럼 그저 베풀라고 하신 말씀입니다.

우리가 사람들의 칭찬을 바라지 않고 하나님을 향한 사랑으로 도울 때 하나님께서 크든 작든 우리가 드리는 것을 그것이 필요한 사람들을 위해 사용하실 것을 믿습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6:1-4
은밀한 중에 보시는 너의 아버지께서 갚으시리라
[마태복음 6:4]

모르는 사람으로부터 도움을 받아본 적이 있습니까?
당신은 어떻게 더 많이 남들이 모르게 도울 수 있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저를 통해 다른 사람들의 필요를 채우시고 그들을 통해 저의 필요를 채워주시니 감사합니다. 남을 도울 때 인정받으려 하지 않고 주님께만 영광 돌리게 하소서.

Daily Article

06/01/2022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2 CHRONICLES 15–16; JOHN 12:27–50
Hymn: 299(OLD 418)

GIVING OUT OF LOVE

Every day, Glen purchases his morning coffee at a nearby drive-through. And every day he also pays for the order of the person in the car behind him, asking the cashier to wish that person a good day. Glen has no connection to them. He’s not aware of their reactions; he simply believes this small gesture is “the least he can do.” On one occasion, however, he learned of the impact of his actions when he read an anonymous letter to the editor of his local newspaper. He discovered that the kindness of his gift on July 18, 2017, caused the person in the car behind him to reconsider their plans to take their own life later that day.

Glen gives daily to the people in the car behind him without receiving credit for it. Only on this single occasion did he get a glimpse of the impact of his small gift. When Jesus says we should “not let [our] left hand know what [our] right hand is doing” (MATTHEW 6:3) , He’s urging us to give—as Glen does—without need for recognition.

When we give out of our love for God, without concern for receiving the praise of others, we can trust that our gifts—large or small—will be used by Him to help meet the needs of those receiving them. -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MATTHEW 6:1–4
Your Father, who sees what is done in secret, will reward you.
[ MATTHEW 6:4 ]

How have you benefited from someone’s anonymous giving?
How can you give more “in secret”?

Father, thank You for using me to meet the needs of others and for meeting my needs through them. Help me not to seek credit when I give but to do so in a way that gives You the glory.

오늘의 말씀

05/31/2022     화요일

성경읽기: 역대하 13-14; 요한복음 12:1-26
찬송가: 371(통419)

소망은 폭풍우를 헤쳐 나간다

2021년 봄, 폭풍우를 추적하는 몇 사람이 텍사스 주에서 생긴 토네이도를 비디오로 촬영하다가 토네이도 옆에 있는 무지개도 함께 영상에 담았습니다. 한 비디오 영상에는 들판에 있는 밀의 긴 줄기가 소용돌이치는 바람의 힘 때문에 꺾이는 장면과 함께, 회색빛 하늘을 가로질러 무지개가 밝게 빛나며 토네이도 소용돌이 쪽으로 아치를 이루고 있었습니다. 다른 비디오 영상에는 구경꾼들이 길가에 서서 소용돌이치는 깔때기 모양의 구름 옆에 견고히 서 있는 희망의 상징인 무지개를 쳐다보고 있었습니다.

시편 107편에서 시편 기자는 소망을 말하며, 우리에게 고난의 때에 하나님께로 돌아오라고 격려해 줍니다. 그는 폭풍 가운데 있는 사람들을 “모든 지각이 혼돈 속에 빠진”(27절) 이들이라고 묘사하면서 “이에 그들이 그들의 고통 때문에 여호와께 부르짖으매 그가 그들의 고통에서 그들을 인도하여 내셨다”(28절)고 하였습니다.

하나님은 그분의 자녀들이 인생이 폭풍 같이 느껴질 때 희망을 가지려고 애쓰고 있음을 이해하십니다. 우리에게는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떠올려주는 것들이 필요합니다. 특히 수평선이 어둡고 격랑이 이는 것처럼 보일 때 더 그렇습니다.

우리의 폭풍우가 우리 삶의 심각한 장애물이나, 정서적 혼란이나, 정신적 스트레스로 다가올지라도, 하나님은 그 폭풍을 “고요하게” 하시며 우리를 피난처로 인도하실 수 있습니다(29-30절). 비록 우리가 바라는 방법과 시간에 맞춰 안도감을 얻지 못하더라도, 우리는 하나님께서 성경에 기록된 약속들을 지키실 것을 믿을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변함없는 소망은 어떤 폭풍우도 헤쳐 나갈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07:23-32
광풍을 고요하게 하사 물결도 잔잔하게 하시는도다
[시편 107:29]

삶의 폭풍 속에서 소망을 갖기 위해 발버둥쳤던 때가 언제입니까?
크나큰 희망이 필요했을 때 하나님은 어떻게 성경과 성도들을 통해 그분의 약속을 상기시켜 주셨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우리 삶에 무슨 일이 일어나더라도 우리에게 소망을 주시는 분이 되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5/31/2022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2 CHRONICLES 13–14; JOHN 12:1–26
Hymn: 371(old419)

HOPE CUTS THROUGH STORMS

In the spring of 2021, several storm-chasers recorded videos and took photos of a rainbow next to a tornado in Texas. In one video, long stalks of wheat in a field bent under the power of the whirling winds. A brilliant rainbow cut across the gray skyline and arched toward the twister. Bystanders in another video stood on the side of the road and watched the symbol of hope standing firm beside the twisting funnel-shaped cloud.

In Psalm 107, the psalmist offers hope and encourages us to turn to God during difficult times. He describes some who were in the middle of a storm, “at their wits’ end” (V. 27). “Then they cried out to the Lord in their trouble, and he brought them out of their distress” (V. 28).

God understands His children will sometimes struggle to feel hopeful when life feels like a storm. We need reminders of His faithfulness, especially when the horizon looks dark and tumultuous.

Whether our storms come as substantial obstacles in our lives, as emotional turmoil, or as mental stress, God can still our storms “to a whisper” and guide us to a place of refuge (VV. 29–30). Though we may not experience relief in our preferred way or time, we can trust God to keep the promises He’s given in Scripture. His enduring hope will cut through any storm. -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PSALM 107:23–32
He stilled the storm to a whisper; the waves of the sea were hushed.
[ PSALM 107:29 ]

When have you struggled to feel hopeful during a storm in your life?
How has God given you reminders of His promises through Scripture and His people when you needed a burst of hope?

Loving God, thank You for being my hope-giverno matter what’s going on in my life.

오늘의 말씀

05/30/2022     월요일

성경읽기: 역대하 10-12; 요한복음 11:30-57
찬송가: 472(통530)

온 세상을 위한 치유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슬로베니아 서부지역의 외진 협곡에 위치한 비밀 의료시설(프란자 파티산 병원)에는 나치에게 발각되지 않으면서 수천 명의 부상당한 군인들을 돌보던 대규모의 의료진이 있었습니다. 이 시설의 위치를 알아내려고 수많은 시도를 했던 독일 나치의 눈을 피한 것 자체도 놀랍지만, 더 주목할만한 점은 이 병원(슬로베니아 저항운동 세력에 의해 건립되고 운영됨)에서는 연합국 소속 군인과 추축국 소속 군인 모두를 돌봐주었다는 것입니다. (역자 주: 추축국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과 이탈리아, 일본으로 이루어진 진영). 이 병원은 누구나 다 받아들였습니다.

성경은 우리에게 온 세상이 영적으로 치유되도록 도우라고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견해의 차이가 있더라도 모든 사람에 대해 연민을 가지라는 뜻입니다. 사람은 누구나 다 이념에 상관없이 그리스도의 사랑과 은혜를 누릴 자격이 있습니다. 바울은 모든 것을 포용하는 그리스도의 사랑이 “우리를 강권하시는도다 우리가 생각하건대 한 사람이 모든 사람을 대신하여 죽었은즉” (고린도후서 5:14)이라고 주장합니다. 우리 모두는 죄로 인한 아픔으로 고통받고 있습니다. 우리 모두는 예수님의 용서가 주는 치유가 간절히 필요합니다. 그리고 주님은 우리를 치유하시기 위해 우리 모두에게 다가오셨습니다.

그리고는 놀랍게도 하나님은 “화목하게 하는 말씀”을 우리에게 부탁하셨습니다(19절). 하나님은 (우리처럼) 상처 입고 망가진 사람들을 돌보라고 하십니다. 우리는 하나님과의 연합을 통해 병든 자가 다시 건강해지는 치유의 과정에 참여합니다. 그리고 이 화목, 곧 이 치유는 그것을 받아들이는 모든 사람들을 위한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후서 5:11-19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우리를 자기와 화목하게 하시고 또 우리에게 화목하게 하는 직분을 주셨으니
[고린도후서 5:18]

당신은 어느 누가 하나님이 치유하시지 않을 (아니면 해주시면 안 될) 사람이라고 생각합니까?
하나님은 당신을 어느 곳에서 화목하게 하는 자와 치유자로 부르십니까?

하나님, 우리에게 치유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다른 모든 사람들도 치유가 필요하다는 사실이 놀랍지 않습니다. 하나님께서 다른 사람들을 치유하시는 데에 우리도 쓰임 받게 해주소서.

Daily Article

05/30/2022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2 CHRONICLES 10–12; JOHN 11:30–57
Hymn: 472(old530)

HEALING FOR THE WHOLE WORLD

Tucked into a remote gorge in western Slovenia, a secret medical facility (Franja Partisan Hospital) housed an extensive staff that tended to thousands of wounded soldiers during World War II—all the while staying hidden from the Nazis. Though avoiding detection from numerous Nazi attempts to locate the facility is in itself a remarkable feat, even more remarkable is that the hospital (founded and run by the Slovenia resistance movement) cared for soldiers from both the Allied and Axis armies. The hospital welcomed everyone.

Scripture calls us to help the whole world to be spiritually healed. This means we need to have compassion for all—regardless of their views. Everyone, no matter their ideology, deserves Christ’s love and kindness. Paul insists that Jesus’ all-embracing love “compels us, because we are convinced that one died for all” (2 CORINTHIANS 5:14). All of us suffer the sickness of sin. All of us are in desperate need of the healing of Jesus’ forgiveness. And He’s moved toward all of us in order to heal us.

Then, in a surprising move, God entrusted us with “the message of reconciliation” (V. 19). God invites us to tend to wounded and broken people (like us). We participate in healing work where the sick are made healthy through union with Him. And this reconciliation, this healing, is for all who will receive it. - WINN COLLIER

Today's Reading

2 CORINTHIANS 5:11–19
God . . . reconciled us to himself through Christ and gave us the ministry of reconciliation.
[ 2 CORINTHIANS 5:18 ]

Who are the people you think God won’t (or shouldn’t) heal?
Where might He call you to be a reconciler and a healer?

God, I need healing. And so it shouldn’t surprise me that everyone else needs healing too. Help me be part of Your healing of others.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