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4/29/2022 금요일
영적 진단
유다 백성도 이와 비슷하게 생사의 질문 가운데 놓여 있었습니다. 전쟁과 기근으로 지친 하나님의 백성들은 그들의 문제가 우상 숭배가 과했기 때문인지 아니면 모자랐기 때문인지를 몰랐습니다. 결국 그들은 우상에게 더 많은 제물을 바치기로 하고, 그 우상이 그들을 지켜주고 복을 내려주는지를 지켜보기로 했습니다(예레미야 44:17).
예레미야는 그들이 내린 진단이 크게 잘못되었다고 말했습니다. 그들의 문제는 우상을 더 잘 섬기지 못한 것이 아니라 우상을 세웠다는 그 사실에 있었던 것입니다. 그들은 예레미야에게 “네가 여호와의 이름으로 우리에게 하는 말을 우리가 듣지 아니하겠다”(16절)고 말했습니다. 이에 예레미야는 이렇게 대답합니다. “너희가 분향하여 여호와께 범죄하였으며 여호와의 목소리를 순종하지 아니하고 여호와의 율법과 법규와 여러 증거대로 행하지 아니하였으므로 이 재난이 오늘과 같이 너희에게 일어났느니라”(23절).
우리도 유다 백성처럼 우리를 곤경에 빠뜨린 잘못된 방법들을 계속 더 사용하려 할 때가 있습니다. 사람과의 관계에서 문제가 생길 때 더 차갑게 대해 주거나, 재정적으로 어려워질 때 충동구매를 더 한다거나, 밀침을 당하면 똑같이 밀어붙이려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의 문제를 일으킨 그 우상이 우리를 구원할 수 없습니다. 예수님께로 돌이킬 때 주님만이 우리를 문제에서 구해주실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예레미야 44:16-18, 20-23네가 여호와의 이름으로 우리에게 하는 말을 우리가 듣지 아니하고
[예레미야 44:16]
당신이 어떤 문제에 직면하여 그것을 죄악된 방법으로 해결하려고 하지는 않습니까?
예수님은 당신이 어떤 선택을 하기를 원하실까요?
예수님, 주님 없이 성공하기보다는 주님과 함께 하며 실패하기를 원합니다.
Daily Article
04/29/2022 FRIDAY
SPIRITUAL DIAGNOSIS
The people of Judah had a similar life-and-death question. Weary from war and famine, God’s people wondered whether their problem was too much idolatry or not enough. They concluded they should offer more sacrifices to a false god and see if she would protect and prosper them (JEREMIAH 44:17).
Jeremiah said they had wildly misdiagnosed their situation. Their problem wasn’t a lack of commitment to idols; their problem was that they had them. They told the prophet, “We will not listen to the message you have spoken to us in the name of the Lord!” (V. 16). Jeremiah replied, “Because you have burned incense and have sinned against the Lord and have not obeyed him or followed his law or his decrees or his stipulations, this disaster has come upon you” (V. 23).
Like Judah, we may be tempted to double down on sinful choices that have landed us in trouble. Relationship problems? We can be more aloof. Financial issues? We’ll spend our way to happiness. Pushed aside? We’ll be equally ruthless. But the idols that contributed to our problems can’t save us. Only Jesus can carry us through our troubles as we turn to Him. - MIKE WITTMER
Today's Reading
JEREMIAH 44:16–18, 20–23We will not listen to the message you have spoken to us in the name of the Lord.
[ JEREMIAH 44:16 ]
What personal problem has you stumped and how are you tempted to respond in a sinful way?
What do you think Jesus might want you to do?
Jesus, I’d rather fail with You than succeed without You.
오늘의 말씀
04/28/2022 목요일
믿음 안에서 성장하기
우리는 종종 인격이 성장하려면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잊고, 겉으로 보이는 성공이나 업적에만 찬사를 보내곤 합니다. 야고보는 “여러 가지 시험을 당하거든 온전히 기쁘게 여기라”(야고보서 1:2)고 말합니다. 하지만 시험을 기쁘게 여기는 것이 어떻게 가능할까요?
하나님은 우리에게 도전과 어려움을 겪게 하셔서 우리를 하나님이 부르시기에 합당한 모습으로 빚어 가십니다. 그분은 우리가 살면서 겪는 시련을 “온전하고 구비하여 조금도 부족함이 없게”(4절) 이기고 나오기를 고대하십니다. 우리는 계속해서 예수님 안에 서 있음으로써 어떤 시련도 견딜 수 있고, 더 강건해져서 마침내 우리의 삶 가운데 성령의 열매를 맺을 수 있습니다(갈라디아서 5:22-23). 하나님의 지혜로 우리는 날마다 제대로 성장하는 데 필요한 자양분을 공급받을 수 있습니다(요한복음 15:5).
오늘의 성구
야고보서 1:2-4인내를 온전히 이루라 이는 너희로 온전하고 구비하여 조금도 부족함이 없게 하려 함이라
[야고보서 1:4]
최근에 어떤 시련을 겪었습니까?
그 상황 때문에 어떤 교훈을 얻었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가끔 견디기 힘든 시련에 직면할 때가 있습니다.
견딜 힘을 주시고, 믿음 안에서 성장할 수 있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4/28/2022 THURSDAY
GROWING IN FAITH
Sometimes it’s easy to praise the victories and triumphs in our lives without similarly acknowledging that growth in our character often comes through time and struggle. James instructs us to “consider it pure joy” when we “face trials of many kinds” (JAMES 1:2). But what could possibly be delightful about trials?
God will sometimes allow us to go through challenges and hardships so that we can be molded into who He’s called us to be. He waits in anticipation for us to come out of the trials of life “mature and complete, not lacking anything” (V. 4). By staying grounded in Jesus, we can persevere through any challenge, growing stronger and ultimately allowing the fruit of the Spirit to blossom in our lives (GALATIANS 5:22–23). His wisdom gives us the nourishment we need to truly flourish each and every day (JOHN 15:5). - KIMYA LODER
Today's Reading
JAMES 1:2–4Let perseverance finish its work so that you may be mature and complete, not lacking anything.
[ JAMES 1:4 ]
What trials have you been working through recently?
What lessons are these circumstances revealing to you?
Loving Father, sometimes my trials seem unbearable.
Please give me the strength to persevere and help me grow in faith.
오늘의 말씀
04/27/2022 수요일
다시 노래하라
다행히도 환경 보호자들이 나서서 새를 구할 계획을 세워, 새들에게 노래를 불러주기로 했습니다. 좀 더 정확히 말해서, 녹음한 다른 꿀빨이새의 노래를 틀어줘서 자기들의 노래를 다시 배울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그 계획에는 수컷이 노래를 배워 암컷의 마음을 끌게 되면서 개체 수가 많아지기를 바라는 의도가 담겨 있습니다.
스바냐 선지자는 곤경에 처한 백성에게 연설하면서, 그들 가운데 부패가 너무 심해 하나님의 심판이 임할 것이라고 선언했습니다(스바냐 3:1- 8). 훗날 하나님의 심판으로 포로가 되어 유배되었을 때 그들 또한 노래를 잃어버렸습니다(시편 137:4). 그러나 스바냐는 심판 이후에 하나님께서 고난당한 백성에게 오셔서 그들의 죄를 사하시고 그들에게 노래를 불러 주실 때를 미리 바라보았습니다. “그가 너로 말미암아 기쁨을 이기지 못하시며 너를 잠잠히 사랑하시며 너로 말미암아 즐거이 부르며 기뻐하시리라”(스바냐 3:17). 그 결과 이 백성들도 마음 속에서 우러나오는 노래를 회복할 수 있었습니다(14절).
불순종이나 삶의 시련들로 우리도 마음속에서 우러나오는 기쁨의 노래를 잃어버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하나님께서 우리를 위해 용서와 사랑의 노래를 부르고 계십니다. 우리도 하나님의 노래를 들으며 함께 따라 부릅시다.
오늘의 성구
스바냐 3:14-20시온의 딸아 노래할지어다 이스라엘아 기쁘게 부를지어다
[스바냐 3:14]
하나님이 주시는 기쁨을 간직하기 가장 어려운 순간은 언제입니까?
우리를 기뻐하시는 하나님께 우리는 어떤 노래나 시, 또는 기도를 드릴 수 있을까요?
사랑의 하나님, 하나님께서 나를 향해 즐겁게 노래하신다 생각하니 참 놀랍습니다.
하나님을 찬양하며 나의 찬양의 노래로 하나님께 노래합니다.
Daily Article
04/27/2022 WEDNESDAY
SING AGAIN
Thankfully, conservationists plan to rescue the honeyeaters by singing to them. Or, more precisely, play them recordings of other honeyeaters singing so they can relearn their heart song. As the males pick up the tune and attract females again, it’s hoped the species will flourish once more.
The prophet Zephaniah addressed a people in trouble. With so much corruption among them, he announced that God’s judgment was coming (ZEPHANIAH 3:1–8). When this later came to pass through capture and exile, the people too lost their song (PSALM 137:4). But Zephaniah foresaw a time beyond judgment when God would come to this decimated people, forgive their sins, and sing to them: “He will take great delight in you, in his love he will no longer rebuke you, but will rejoice over you with singing” (ZEPHANIAH 3:17). As a result, the heart song of the people would be restored (V. 14).
Whether through our own disobedience or the trials of life, we too can lose our heart song of joy. But a Voice is singing over us songs of forgiveness and love. Let’s listen to His melody and sing along. - SHERIDAN VOYSEY
Today's Reading
ZEPHANIAH 3:14–20Sing, Daughter Zion; shout aloud, Israel!
[ ZEPHANIAH 3:14 ]
When do you find it hardest to retain your joy in God?
What song, poem, or prayer can you give to God in response to His rejoicing over You?
Loving God, it’s amazing to imagine that You would sing songs of joy over me.
I praise You and sing my own song of praise to You.
오늘의 말씀
04/26/2022 화요일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
미카일라의 추진력과 꿈은 바울이 디모데에게 한 말을 떠올려 줍니다. “누구든지 네 연소함을 업신여기지 못하게 하고 오직 말과 행실과 사랑과 믿음과 정절에 있어서 믿는 자에게 본이 되라”(디모데전서 4:12).
디모데는 미카일라 같은 어린아이는 아니었지만 그의 대부분의 회중보다 더 어렸던 것 같습니다. 디모데가 바울 사도 밑에서 훈련을 받은 뒤에도 몇몇 사람들은 그가 자신들을 인도할 만큼 성숙하지 못하다고 생각했습니다. 바울은 디모데에게 경력을 내세워 자신을 증명하지 말고, 오직 말과 행실과 사랑과 믿음과 정절로 본이 됨으로 영적인 성숙함을 보여주라고 권면했습니다(12 절). 디모데가 보여준 경건한 삶의 본으로 인해 아무도 그를 교사와 목사로서 부족하다고 말하지 못했습니다.
우리는 나이와 관계없이 세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우리의 필요를 채워주실 때 그리스도께 중심을 둔 모습을 사람들에게 보여줌으로써 그렇게 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복음으로 우리의 삶을 빚으셔서, 나이가 열일곱이든 일흔이든 상관없이 복음을 전하기에 합당하게 될 수 있기를 소원합니다.
오늘의 성구
디모데전서 4:6-13누구든지 네 연소함을 업신여기지 못하게 하고 오직 말과 행실과 사랑과 믿음과 정절에 있어서 믿는 자에게 본이 되어
[디모데전서 4:12]
하나님은 당신이 영적으로 성숙하고 영향력이 있도록 어떻게 도와주셨습니까?
나이가 가장 중요한 요소가 아닌 이유가 무엇일까요?
하나님 아버지, 나의 말과 행실, 다른 이들을 향한 사랑으로 예수님께 헌신하는 본을 보일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4/26/2022 TUESDAY
AGE IS JUST A NUMBER
Mikaila’s drive and dreams point us back to Paul’s words to Timothy: “Don’t let anyone look down on you because you are young” (1 TIMOTHY 4:12).
Timothy, though not a child like Mikaila, was likely considerably younger than most in his congregation. After interning with the apostle Paul, some thought that Timothy wasn’t mature enough to lead them. Instead of telling him to prove himself by showing his credentials, Paul encouraged Timothy to demonstrate spiritual maturity by the way he used his words, lived his life, loved his parishioners, exercised his faith, and remained sexually pure (V. 12). No one could discredit him as a teacher and pastor if he backed it up with a godly example.
Regardless of our age, we can impact the world. We do it by setting a Christ-centered example for others as God provides what we need. May He shape our lives with the gospel, so whether we’re seventeen or seventy, we’ll be worthy to share it with others. - MARVIN WILLIAMS
Today's Reading
1 TIMOTHY 4:6–13Don’t let anyone look down on you because you are young, but set an example for the believers in speech, in conduct, in love, in faith and in purity.
[ 1 TIMOTHY 4:12 ]
How has God been helping you grow in spiritual maturity and effectiveness for Him?
Why is age not the most important factor?
Father, help me to model what it means to be devoted to Jesus in the way I speak, exercise my faith, and love others.
오늘의 말씀
04/25/2022 월요일
안전하게 구원받음
하나님께서 시편 기자 다윗을 적으로부터 구해내시자 다윗은 잠시 자리에 앉아 “신을 벗고” 온 영혼에 안도감이 퍼지는 것을 느꼈습니다. 다윗은 그 느낌을 이렇게 노래로 표현했습니다. “내가 찬양을 받으실 여호와께 아뢰리니 내 원수들에게서 구원을 받으리로다”(사무엘하 22:4). 그는 하나님을 그의 반석이요, 요새, 방패, 높은 망대로 비유하며 찬양하고(2-3절), 하나님의 응답하심에 대해 이렇게 시적으로 표현했습니다. “땅이 진동하고 떨며, 그가 강림하시니, 그 앞에서는 광채가 빛나고, 하늘에서 우렛소리를 내시며, 많은 물에서 나를 건져내셨도다”(8, 10, 13-15, 17절).
오늘 주변에 당신을 대적하는 세력을 느끼거나, 영적 성장을 방해하는 죄에 갇혀 있을 수도 있습니다. 과거에 하나님께서 당신을 어떻게 도우셨는지 떠올려 보고, 그분을 찬양하며 그분의 도우심을 다시 한번 간구하십시오! 특별히 당신을 구하여 그분의 나라로 옮겨 주신 일에 감사를 드리십시오 (골로새서 1:13).
오늘의 성구
사무엘하 22:13-20그가 위에서 손을 내미사 나를 붙드심이여
[사무엘하 22:17]
고난 중에 있을 때 하나님께서 이전에 베푸셨던 선한 일을 쉽게 잊어버리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하나님을 찬양함으로 어떻게 믿음이 성장할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그처럼 많이 나를 도와주셔서 감사합니다.
내 옆에 계시는 하나님과 함께 어떤 싸움도 맞설 수 있음을 알게 하소서.
Daily Article
04/25/2022 MONDAY
PULLED TO SAFETY
After God rescued the psalmist David from his enemies, he took a moment to sit down, “pull off his boots,” and allow the relief to flood his soul. He wrote a song to express his feelings. “I called to the Lord, who is worthy of praise, and have been saved from my enemies,” he said (2 SAMUEL 22:4). He praised God as his rock, fortress, shield, and stronghold (VV. 2–3), and then went on to narrate a poetic response of God’s response: The earth trembled. God came down from heaven. Lightning bolts flew from His presence. His voice thundered, and He drew him out of deep water (VV. 8, 10, 13–15, 17).
Maybe today you feel opposition around you. Maybe you’re stuck in sin that makes it hard to advance spiritually. Reflect on how God has helped you in the past, and then praise Him and ask Him to do it again! Thank Him especially for rescuing you by bringing you into His kingdom (COLOSSIANS 1:13). - JENNIFER BENSON SCHULDT
Today's Reading
2 SAMUEL 22:13–20He reached down from on high and took hold of me.
[ 2 SAMUEL 22:17 ]
Why is it easy to overlook the good things God’s done for you in the past when you’re in the midst of trouble?
How does praising God increase your faith in Him?
Dear heavenly Father, thank You for coming to my aid so many times.
Help me to know I can face any battle with You by my side.
오늘의 말씀
04/24/2022 주일
먼지 같다고 느껴질 때
우리가 육체적, 지적, 정서적, 그리고 영적으로 부족하고 불완전하며 약하다는 것은 굳이 나이가 많지 않아도 알 수 있는 사실입니다. 하나님은 그의 아들 예수님의 모습으로 타락한 이 세상에 들어오셔서 인간의 연약함을 겪는 이들을 돌보아 주십니다(시편 103:13). 또한 다윗은 “그가 우리의 체질을 아시며 우리가 단지 먼지뿐임을 기억하심이로다”(14절)라고 했습니다. ‘먼지’ 라는 단어는 “여호와 하나님이 땅의 흙(먼지)으로 사람을 지으시고 생기를 그 코에 불어넣으시니 사람이 생령이 되니라”(2:7)고 하였던 창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근래에 자신이 먼지처럼 느껴지고 있습니까? 그것은 이 땅에 사는 우리의 현실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아주 약함을 느낄 때라도 홀로 내버려진 것이 아님을 기억하십시오. 은혜로우신 하나님께서 그것을 “아시며” “기억하십니다.” 하나님은 우리 같은 이 땅의 사람들을 용서하시려고 그분의 아들 예수님을 보내주심으로 우리를 향한 그분의 사랑을 증명해 보여주셨습니다. 삶에 무슨 일이 닥쳐오더라도 하나님을 신뢰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03:13-19우리가 단지 먼지뿐임을 기억하심이로다
[시편 103:14]
당신의 어떤 상황이 인간으로 한계를 느끼게 합니까?
연약함 중에 어떻게 하나님의 손길을 체험해 보셨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여러 가지로 나의 한계를 느끼며 자신이 먼지같이 느껴지지만, 믿음 안에서 강건하여 하나님을 신뢰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4/24/2022 SUNDAY
FEELING DUSTY
One doesn’t have to live long before sensing our inadequacies, imperfections, and weaknesses—physically, intellectually, emotionally, and spiritually. God, in the person of His Son, Jesus, stepped into our fallen world and cares for those who experience the liabilities of human existence (PSALM 103:13). Furthermore, David wrote, “He knows how we are formed, he remembers that we are dust” (V. 14). The term dust takes us back to Genesis: “Then the Lord God formed a man from the dust of the ground and breathed into his nostrils the breath of life, and the man became a living being” (2:7).
Are you feeling dusty these days? Welcome to the realities of earthly living. Remember, however, that when we feel most vulnerable, we’re not left alone. Our compassionate God “knows” and “remembers.” He demonstrated His love to us by sending His Son to provide forgiveness for earthly people like you and me. Whatever life may bring, may we trust in Him. - ARTHUR JACKSON
Today's Reading
PSALM 103:13–19He remembers that we are dust.
[ PSALM 103:14 ]
What situations make you aware of your human limitations?
How have you seen the hand of God in the midst of your weaknesses?
Father, though in various ways I feel my limitations—my dustiness—help me to be strong in faith and trust You.
오늘의 말씀
04/23/2022 토요일
정말 중요한 것
바울이 살았던 시대에도 여러 다른 문제들로 사람들 사이에 분열이 있었습니다. 먹어도 되는 음식은 무엇인지, 그리고 어느 날을 거룩하게 지켜야 하는지 같은 것들에 로마의 그리스도인들의 의견이 일치하지 않았습니다. 바울은 “각각 자기 마음에 확정”한 입장이 있을지라도 그들에게 예수님을 위해 사는 삶이라는 공통된 기반이 있음을 강조했습니다(로마서 14:5-9). 그는 서로 비판하기보다는 “화평의 일과 서로 덕을 세우는 일”에 힘쓰라고 권면했습니다 (19절).
많은 국가와 교회와 공동체들이 크고 작은 문제들로 분열된 이 시대에 우리는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서 이루신 하나됨의 진리를 서로 강조하며 주님과 영원히 동행하는 삶을 지켜 나갈 수 있습니다. 우리 개인의 입장 때문에 “하나님의 일을 망쳐 놓지 말라”(20절, 현대인의 성경)는 바울의 권면은 2천 년 전이나 지금이나 매우 적절합니다. 우리는 서로를 비판하는 대신 사랑을 실천하면서 형제자매를 존귀히 여기며 살아야 합니다.
오늘의 성구
로마서 14:13-23그러므로 우리가 화평의 일과 서로 덕을 세우는 일을 힘쓰나니
[로마서 14:19]
다른 성도와의 의견 차이로 갈라선 적이 있습니까?
의견 차이를 해결했다면 어떻게 할 수 있었습니까?
예수님, 저를 구원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찮은 것에 마음을 뺏겨 다른 성도들과 분열을 일으켰던 것을 용서해 주소서.
주님께 초점을 맞춤으로 하나 되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4/23/2022 SATURDAY
WHAT COUNTS
People were also divided in Paul’s day, though over different issues. Topics such as what foods were permissible to eat and what days were considered holy brought disagreement among the Christians in Rome. Despite being “fully convinced in their own mind” on whichever position they held, Paul reminds them of their common ground: living for Jesus (ROMANS 14:5–9). Instead of passing judgment on one another, he encouraged them to “do what leads to peace and to mutual edification” (V. 19).
In an era when many countries, churches, and communities are divided over issues large and small, we can point one another to the unifying truth of Christ’s work on the cross to secure our life with Him eternally. Paul’s reminder that we ought not “destroy the work of God” (V. 20) with our individual positions is as timely today as it was 2,000 years ago. Instead of passing judgment on one another, we can act in love and live in a way that honors our brothers and sisters. -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ROMANS 14:13–23Let us therefore make every effort to do what leads to peace and to mutual edification.
[ ROMANS 14:19 ]
When did a difference of opinion cause division between you and another believer?
If you resolved your differences, how did you do so?
Jesus, thank You for saving me. Forgive me for the times I get distracted by lesser issues and allow division to occur between myself and other believers.
Help me to bring unity through focusing on You.
오늘의 말씀
04/22/2022 금요일
지구의 날에 드리는 감사
창세기에서 우리는 하나님께서 온 우주를 창조하시고 인류가 살게 될 지구를 창조하신 것을 봅니다. 멋진 산과 들판을 지으셨을 뿐 아니라 에덴동산을 만드시고 그곳에 사는 이들을 위해 음식과 집과 각종 아름다운 것들을 창조하셨습니다(창세기 2:8-9).
하나님은 가장 중요한 창조물인 사람에게 생기를 불어넣으신 후 동산 가운데 두시고(8, 22절), 그곳을 “경작하며 지키는”(15절) 책임을 맡기셨습니다. 아담과 하와가 에덴동산에서 쫓겨난 후에는 하나님의 창조물을 돌보는 것이 더욱 고된 일이 되었지만(3:17-19), 하나님은 지금까지 손수 이 땅을 돌보시며 (시편 65:9-13) 우리도 그렇게 할 것을 요구하십니다(잠언 12:10).
사는 곳이 복잡한 도시이든 시골이든, 우리는 누구나 하나님이 우리에게 맡기신 터전을 잘 돌볼 수 있는 방법들이 있습니다. 지구를 보살피면서 이 아름다운 세상을 지으신 하나님께 감사하는 마음으로 하기를 원합니다.
오늘의 성구
창세기 2:4-10, 15여호와 하나님이 그 사람을 이끌어 에덴 동산에 두어 그것을 경작하며 지키게 하시고
[창세기 2:15]
당신에게 가장 감동을 주는 창조물은 무엇입니까?
하나님께서 당신에게 맡기신 창조물을 어떻게 잘 돌볼 수 있을까요?
우리가 살고 있는 놀랍고 경이로운 이 세상을 우리에게 맡겨 주신 창조주 하나님. 그것을 돌봄으로 하나님의 선물에 보답할 수 있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4/22/2022 FRIDAY
GRATITUDE ON EARTH DAY
In Genesis, we learn that God created the entire universe and formed the earth as a place for humans to dwell. Not only did He fashion the mountain peaks and lush plains, God also created the garden of Eden, a beautiful place providing food, shelter, and beauty for its inhabitants (GENESIS 2:8–9).
After breathing life into His most important creation, humans, God placed them in this garden (VV. 8, 22) and gave them the responsibility “to work it and take care of it” (V. 15). After Adam and Eve were expelled from the garden, caring for God’s creation became more difficult (3:17–19), but to this day God Himself cares for our planet and its creatures (PSALM 65:9–13) and asks us to do the same (PROVERBS 12:10).
Whether we live in crowded cities or rural areas, we all have ways we can care for the areas God has entrusted to us. And as we tend the earth, may it be an act of gratitude to Him for this beautiful planet. - LISA M. SAMRA
Today's Reading
GENE SIS 2:4–10, 15The Lord God took the man and put him in the Garden of Eden to work it and take care of it.
[ GENESIS 2:15 ]
What part of creation takes your breath away?
How might you care for the part of the earth God has entrusted to you?
Creator God, You’ve entrusted to us a marvelous planet that sustains and astonishes me. Please help me to respond to Your gift by caring for it.
오늘의 말씀
04/21/2022 목요일
정말로 다시 산다
이것은 용기를 내어 말하든 그렇지 않든 정말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고 있는 질문입니다. 하나님은 정말로 우리를 고쳐주실까요? 하나님은 정말로 우리를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리실까요? 하나님은 정말로 모든 약속을 지키실까요?
요한 사도는 우리의 분명한 훗날의 모습을 “새 하늘과 새 땅”(요한계시록 21:1)으로 묘사합니다. 그곳 거룩한 천성에서 “[우리는] 하나님의 백성이 되고 하나님은 친히 [우리와] 함께 계실”(3절) 것입니다. 그리스도의 승리로 우리는 더 이상 눈물이 없고, 하나님과 그의 백성을 대적하는 악의 공격도 없는 미래를 약속받았습니다. “다시는 사망이 없고 애통하는 것이나 곡하는 것이나 아픈 것이 다시 있지 아니하리니 처음 것들이 다 지나갔음이러라”(4절).
다시 말해 우리는 하나님이 약속하신 미래에서 ‘정말로’ 다시 살게 될 것입니다. 지금의 삶은 한낱 그림자였던 것처럼 느껴질 정도로 그렇게 다시 살게 될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계시록 21:1-7다시는 사망이 없고
[요한계시록 21:4]
삶의 어느 부분에서 사망의 권세를 경험하고 있습니까?
사망의 권세가 멸망하고 우리가 ‘정말’ 다시 살게 될 것이라는 하나님의 약속으로 어떤 새로운 소망이 생깁니까?
하나님, 사망의 권세를 멸하실 거라고 말씀하시고 진정한 삶을 약속해 주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4/21/2022 THURSDAY
REALLY ALIVE
This is the question so many of us carry, whether or not we have the courage to speak it aloud. Is God really going to heal us? Is He really going to raise us from the dead? Is He really going to keep all His promises?
The apostle John describes our certain future as “a new heaven and a new earth” (REVELATION 21:1). In that holy city, “God himself will be with [us] and be [our] God” (V. 3). Because of Christ’s victory, we’re promised a future where there’s no more tears, no evil arrayed against God and His people. In this good future, “There will be no more death or mourning or crying or pain, for the old order of things has passed away” (V. 4).
In other words, in the future God promises, we’ll be really alive. We’ll be so alive that our life now will seem a mere shadow. - WINN COLLIER
Today's Reading
REVEL ATION 21:1–7There will be no more death.
[ REVELATION 21:4 ]
Where do you experience death in your life?
If God promises that death is doomed and we’re going to really live, how does this renew your hope?
God, You said death will meet its end and You promise me genuine life. Thank You.
오늘의 말씀
04/20/2022 수요일
위험을 감수하는 사랑
예수님은 “요한의 아들 시몬아 네가 이 사람들보다 나를 더 사랑하느냐” (21:15)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배신과 거절의 아픔을 겪으신 예수님은 베드로에게 두려움이 아닌 담대함으로, 약함이 아닌 강함으로, 체념이 아닌 배려의 마음으로 말씀하셨습니다. 이렇게 변함없이 사랑하심으로써 예수님은 진노 대신 자비를 보이셨습니다.
성경은 “주께서 세 번째 ‘네가 나를 사랑하느냐’ 하시므로 베드로가 근심하여”(17절)라고 기록합니다. 그러나 예수님이 베드로에게 다른 사람들을 사랑하고(15-17절) 주님을 따름으로(19절) 그의 사랑을 증명하라고 말씀하신 것은, 다른 모든 제자들에게도 그렇게 조건 없는 사랑을 하라고 권면하신 것입니다. 예수님이 “네가 나를 사랑하느냐?”라고 물으실 때 우리는 대답을 해야 합니다. 그 대답으로 우리가 다른 사람을 어떻게 사랑하는지가 정해질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21:15-19너희가 나를 사랑하면 나의 계명을 지키리라
[요한복음 14:15]
사랑의 하나님은 왜 사랑하는 자녀인 우리에게 예수님처럼 두려워하지 말고 다른 이들을 사랑하라고 하실까요?
하나님과 친밀해지면 어떻게 사람들을 마음 놓고 사랑하게 될까요?
사랑의 하나님, 저를 지키려는 모든 벽을 허물어 주셔서 성령님께서 주시는 용기와 열정, 인내를 갖고 하나님과 사람들을 사랑하게 하소서.
Daily Article
04/20/2022 WEDNESDAY
LOVE IS WORTH THE RISK
Jesus said, “Simon son of John, do you love me more than these?” (21:15).
After experiencing the sting of betrayal and rejection, Jesus spoke to Peter with courage not fear, strength not weakness, selflessness not desperation. He displayed mercy not wrath by confirming His willingness to love.
Scripture reveals that “Peter was hurt because Jesus asked him the third time, ‘Do you love me?’ ” (V. 17). But when Jesus asked Peter to prove his love by loving others (VV. 15–17) and following Him (V. 19), He invited all His disciples to risk loving unconditionally. Each of us will have to answer when Jesus asks, “Do you love me?” Our answer will impact how we love others. -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JOHN 21:15–19If you love me, keep my commands.
[ JOHN 14:15 ]
Why would a loving God ask His beloved children to risk being hurt for the sake of loving others like Jesus did?
How can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God help you feel safe enough to risk loving?
Loving God, please break down every wall that keeps me from being vulnerable so I can love You and others with Spirit-empowered courage, compassion, and consistenc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