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4/19/2022 화요일
와서 예배하라
하나님은 남자와 여자, 노인과 청년, 오래된 성도와 새로운 성도 등, 언제나 모든 하나님의 백성들이 그분을 예배하기를 원하셨습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약속의 땅으로 들어가기 전 모세는 각 지파들을 축복하면서 모두가 함께 모일 것을 권면하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백성의 남녀와 어린이와 네 성읍 안에 거류하는 타국인을 모으고 그들에게 듣고 배우고 네 하나님 여호와를 경외하며” 이 율법의 모든 말씀을 지켜 행하게 하라(신명기 31:12). 우리 삶의 형편이 어떻든 하나님의 백성들이 함께 모여 주님을 예배할 수 있을 때 하나님께서 영광을 받으십니다.
그날 아침 교회에서 예배를 드렸던 엄마와 노신사, 그리고 젊은 여인은 서로 도움을 주고받음으로써 제각각 하나님의 사랑을 경험했습니다. 어쩌면 다음에 교회에 가면 우리도 도움을 줌으로써 하나님의 사랑을 나누어 주거나 우리 자신이 그 은혜의 손길을 받는 사람이 될 수도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신명기 31:9-13곧 백성의 남녀와 어린이와 네 성읍 안에 거류하는 타국인을 모으고
[신명기 31:12]
그리스도의 몸 된 교회가 다양한 세대와 사람들을 아우르는 모습을 어떻게 경험해 보셨습니까? 교회 안에서 하나님의 사랑을 어떻게 주고받았습니까?
사랑의 예수님, 다른 이들을 환영하고 사랑으로 다가갈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4/19/2022 TUESDAY
COME AND WORSHIP
God has always intended that all His people worship Him—men and women, old and young, longtime believers, and newcomers. As Moses blessed the tribes of Israel before they entered the promised land, he urged them all to meet together, “men, women and children, and the foreigners residing in your towns,” so that they could “listen and learn to fear the Lord your God” and to follow His commands (DEUTERONOMY 31:12). It honors God when we make it possible for His people to worship Him together, no matter our stage of life.
That morning in church, the mother, the older gentleman, and the young woman each experienced God’s love through giving and receiving. Perhaps the next time you’re at church, you too could either extend God’s love through an offer of help or you could be the one accepting the act of grace. AMY BOUCHER PYE How have you experienced the body of Christ as encompassing many generations and people groups? How have you given and received God’s love while at church?
Today's Reading
DEUTERONOMY 31:9–13Assemble the people—men, women and children, and the foreigners residing in your towns.
[ DEUTERONOMY 31:12 ]
How have you experienced the body of Christ as encompassing many generations and people groups? How have you given and received God’s love while at church?
Loving Jesus, help me to welcome and reach out to others in love.
오늘의 말씀
04/18/2022 월요일
일터에서 증거하는 삶
베드로 사도는 그의 첫 번째 서신에서 예수님을 믿는 초대 교회 성도들에게 “인간의 모든 제도”에 순종할 것을 강조했습니다(베드로전서 2:13). 어려운 업무 현장에서 성실함을 유지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그러나 베드로는 지속해서 선을 행해야 하는 이유를 이렇게 설명합니다. “너희가 이방인 중에 행실을 선하게 가져 너희를 악행한다고 비방하는 자들로 하여금 너희 선한 일을 보고 오시는 날에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게 하려 함이라”(12절). 아울러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를 지켜보는 다른 성도들에게 경건한 본이 될 수 있습니다.
우리의 일터가 정말로 혹사를 강요하는 곳이라면, 가능하면 그곳을 떠나는 것이 최선일 수도 있습니다(고린도전서 7:21). 하지만 안전한 환경이라면 “이는 하나님 앞에 아름다우니라”(베드로전서 2:20)라는 말씀을 기억하며 성령님의 도우심으로 우리의 일터에서 계속해서 선을 행해야 합니다. 우리가 권위에 순종할 때, 우리로 말미암아 다른 사람들이 하나님을 따르고 영화롭게 할 기회가 생길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베드로전서 2:11-21그러나 선을 행함으로 고난을 받고 참으면 이는 하나님 앞에 아름다우니라
[베드로전서 2:20]
누군가의 권위에 눌려 어려움을 겪을 때 보통 어떻게 반응합니까?
하나님은 이런 일을 통해 당신 안에서 무엇을 하려고 하시는 걸까요?
하늘에 계신 아버지, 어려움 속에서도 권위자에게 순종함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릴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매일의 삶이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삶이 되게 하소서.
Daily Article
04/18/2022 MONDAY
WITNESS IN THE WORKPLACE
In the apostle Peter’s first letter, he urged first-century believers in Jesus to submit “to every human authority” (1 PETER 2:13). Maintaining integrity in a tough work situation isn’t easy. But Peter gives us a reason to continue doing good: “Live such good lives among the pagans that, though they accuse you of doing wrong, they may see your good deeds and glorify God” (V. 12). Additionally, this helps us set a godly example for other believers who are watching.
If we’re in a truly abusive work situation, it may be best to leave if at all possible (1 CORINTHIANS 7:21). But in a safe environment, with the Spirit’s help we can continue to do good in our work remembering “this is commendable before God” (1 PETER 2:20). When we submit to authority, we have an opportunity to give others reason to follow and glorify God. - JULIE SCHWAB
Today's Reading
1 PETER 2:11–21If you suffer for doing good and you endure it, this is commendable before God.
[ 1 PETER 2:20 ]
What do you typically do when you’re in a difficult situation under someone else’s authority?
How might God be trying to work in you through this?
Heavenly Father, help me to continue to honor You in my response to those in authority despite the difficult situations I may face.
Help me to live each day in a way that glorifies You.
오늘의 말씀
04/17/2022 주일
이것이 모든 것을 바꿉니다
펠리컨의 이 말은 “그리스도께서 만일 다시 살아나지 못하셨으면 우리가 전파하는 것도 헛것이요 또 너희 믿음도 헛것”(고린도전서 15:14)이라 하였던 바울의 확신과 같은 것이었습니다. 바울 사도는 부활이 단 한번 있는 기적이 아니라, 인류 역사에 있어서 하나님의 구속 사역의 절정이라는 사실을 알았기에 그같이 담대하게 말할 수 있었습니다. 부활에 대한 하나님의 약속은 예수님이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나신다는 것뿐 아니라, 우리 가운데 죽음으로 무너진 것들(삶, 이웃, 관계)이 예수님을 통해 언젠가 다시 회복된다는 것을 분명히 확증하신 것입니다. 부활이 없으면 그것은 우리에게 큰 문제라는 것을 바울은 알고 있었습니다. 부활이 없으면 죽음과 파멸이 승리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물론 “그리스도께서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나셨습니다”(20 절). 승리의 주님으로 말미암아 사망은 패퇴하였습니다. 예수님은 부활할 모든 자들의 “첫 열매”가 되셨습니다. 주님이 죄와 죽음을 이기심으로 우리는 담대하고 자유롭게 살 수 있게 되었습니다. 바로 이것이 모든 것을 바꾸어 줍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전서 15:12-26이제 그리스도께서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나사 잠자는 자들의 첫 열매가 되셨도다
[고린도전서 15:20]
예수님의 부활의 놀라운 소망을 이해하면 무엇이 달라지나요?
당신의 삶에서 부활이 필요한 곳은 어디입니까?
하나님, 예수님의 부활이 내 삶의 모든 것을 지금부터 영원까지 어떻게 바꿀 수 있는지 알게 해주소서.
Daily Article
04/17/2022 SUNDAY
THIS CHANGES EVERYTHING
Pelikan echoed Paul’s conviction: “If Christ has not been raised, our preaching is useless and so is your faith” (1 CORINTHIANS 15:14). The apostle made such a bold statement because he knew that the resurrection was not merely a one-off miracle but rather the pinnacle of God’s redeeming work in human history. The promise of resurrection wasn’t only His assurance that Jesus would rise from the dead but His bold affirmation that other dead and ruined things (lives, neighborhoods, relationships) would also one day be brought back to life through Christ. If there’s no resurrection, however, Paul knew that we’re in deep trouble. If there’s no resurrection, then death and destruction win.
But, of course, “Christ has indeed been raised from the dead” (V. 20). Destroyed by the Victor, death loses. And Jesus is the “firstfruits” of all the life that will follow. He conquered evil and death so that we could live bold and free. This changes everything. - WINN COLLIER
Today's Reading
1 CORINTHIANS 15:12–26Christ has indeed been raised from the dead, the firstfruits of those who have fallen asleep.
[ 1 CORINTHIANS 15:20 ]
What difference does it make to understand the expansive hope of Jesus’ resurrection?
Where do you need resurrection in your life?
God, allow me to see how Jesus’ resurrection changes everything about my life now and forever.
오늘의 말씀
04/16/2022 토요일
사실이 아니기를
“사실이 아니게 되돌리고 싶어” 하는 간절함은 예수님이 돌아가신 후 그를 따르던 사람들의 마음에도 잘 나타나 있습니다. 복음서는 그 무서운 처형의 시간들에 관해서는 아주 짧게 언급하지만 몇몇 신실했던 사람들이 한 일은 자세히 기록하고 있습니다.
남몰래 예수님을 믿었던 종교지도자 요셉은(요한복음 19:38 참조) 용기를 내어 예수님의 시신을 달라고 빌라도에게 요청했습니다(누가복음 23:52). 십자가에서 끔찍한 고난을 당한 예수님의 몸을 옮겨 정성껏 장례를 준비하는 것이 어떠했을지 잠시 생각해 보십시오(53절). 그리고 예수님과 무덤에까지 모든 순간을 함께했던 여인들의 헌신과 용기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십시오(55절).
예수님을 따랐던 이 사람들에게 부활의 기대는 없었고 그저 눈앞의 슬픔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있었습니다. 누가복음 23장은 아무런 희망도 없이 이렇게 어두운 막을 내립니다. “돌아가 [예수의 몸에 바르기 위해] 향품과 향유를 준비하더라 계명을 따라 안식일에 쉬더라”(56절).
그러나 그 안식일에 인류 역사에 가장 극적인 장면을 위한 무대가 마련되고 있다는 사실을 그들은 모르고 있었습니다. 예수님께서 상상도 못할 일을 곧 하시기 전이었습니다. 그리고 예수님은 마침내 죽음 자체를 “사실이 아니게 되돌리셨습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23:49-56예수를 아는 자들도 다 멀리 서서 이 일을 보니라
[누가복음 23:49]
최악의 상황이 닥칠 때 어디에서 위로를 얻습니까?
어떻게 부활을 사실로 믿고 살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오늘 예수님의 십자가 죽음과 부활 사이의 그날에 대해 잠시 생각해 봅니다.
예수님께서 나를 위해 죄의 저주를 복으로 바꿔 주시니 참으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4/16/2022 SATURDAY
NOT SO
The longing to “make it not so” might well describe how Jesus’ followers felt after His death. The Gospels say little about those awful hours, but they do record the actions of a few faithful friends.
Joseph, a religious leader who secretly believed in Jesus (SEE JOHN 19:38), suddenly found the courage to ask Pilate for Jesus’ body (LUKE 23:52). Ponder for a moment what it would take to remove a body from a grisly crucifixion and tenderly prepare it for burial (V. 53). Consider too the devotion and bravery of the women who stayed with Jesus every step of the way, even to the tomb (V. 55).
These followers weren’t anticipating a resurrection; they were coming to terms with grief. The chapter ends without hope, merely a somber, “Then they went home and prepared spices and perfumes [to embalm Jesus’ body]. But they rested on the Sabbath in obedience to the commandment” (V. 56).
Little did they know the Sabbath intermission was setting the stage for history’s most dramatic scene. Jesus was about to do the unimaginable. He would make death itself “not so.”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LUKE 23:49–56All those who knew him . . . stood at a distance, watching these things.
[ LUKE 23:49 ]
Where do you turn for comfort when the worst happens?
How do you live as though the resurrection is real?
Today, Father, I pause to remember how it must have been that day between Your Son’s crucifixion and His resurrection.
I’m so grateful that He’s reversed sin’s curse for me.
오늘의 말씀
04/15/2022 금요일
평화의 십자가
마가에 의하면 시몬은 예수님 당시에 많은 유대인들이 살던 북아프리카의 구레네라는 큰 도시에서 온 사람이었습니다. 아마도 그 당시 시몬은 유월절을 지키려고 예루살렘에 와 있었을 것입니다. 거기서 그는 이 불의한 사형집행 과정에 끌려들어와 작지만 아주 뜻깊은 방법으로 예수님께 도움을 드릴 수 있었습니다(마가복음 15:21).
마가복음의 앞부분을 보면 예수님이 제자들에게 “누구든지 나를 따라오려거든 자기를 부인하고 자기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를 것이니라”(8:34) 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예수님이 제자들에게 비유적으로 말씀하셨던 것을 시몬은 골고다로 가는 길에서 실제로 행했습니다. 자기에게 주어진 십자가를 받아 예수님 대신 지고 간 것입니다.
우리도 각자 감당해야 할 “십자가”가 있습니다. 그것은 병이거나 힘든 사역일 수도 있고, 사랑하는 사람을 잃어버리거나 믿음 때문에 받는 박해일 수도 있습니다. 우리가 이런 고통들을 믿음으로 견뎌낼 때 예수님이 십자가에서 우리를 위해 겪으신 희생을 다른 사람들도 알 수 있게 됩니다. 주님의 십자가를 통해 우리는 하나님과 화평을 누리고 삶의 힘을 얻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마가복음 15:16-24마침 구레네 사람 시몬이... 지나가는데 그들이 그를 억지로 같이 가게 하여 예수의 십자가를 지우고
[마가복음 15:21]
당신은 어떤 “십자가”를 져야 합니까?
이 어려움을 통해 어떻게 다른 이들에게 예수님을 전할 수 있을까요?
예수님, 제 십자가를 지고 주님을 따르는 고통을 아시고 함께 아파하시니 감사합니다.
삶의 여정이 힘들 때 제게 힘과 용기를 주소서.
Daily Article
04/15/2022 FRIDAY
HIS CROSS OF PEACE
Mark tells us that Simon was from Cyrene, a big city in North Africa with a large population of Jews during Jesus’ time. Most likely Simon had journeyed to Jerusalem to celebrate the Passover. There he found himself in the middle of this unjust execution but was able to perform a small but meaningful act of assistance to Jesus (MARK 15:21).
Earlier in the gospel of Mark, Jesus tells His followers, “Whoever wants to be my disciple must deny themselves and take up their cross and follow me” (8:34). On the road to Golgotha, Simon literally did what Jesus figuratively asks His disciples to do: he took up the cross given to him and carried it for Jesus’ sake.
We too have “crosses” to bear: perhaps an illness, a challenging ministry assignment, the loss of a loved one, or persecution for our faith. As we carry these sufferings by faith, we point people to the sufferings of Jesus and His sacrifice on the cross. It was His cross that gave us peace with God and strength for our own journey. - LISA M. SAMRA
Today's Reading
MARK 15:16–24A certain man from Cyrene . . . was passing by . . . and they forced him to carry the cross.
[ MARK 15:21 ]
What “cross” have you been asked to carry?
How can you use this struggle to point others to Jesus?
Jesus, thank You that You understand and sympathize with the pain I experience as I take up my cross and follow You.
Give me courage and strength even when the journey is difficult.
오늘의 말씀
04/14/2022 목요일
“때는 밤이었다”
비젤과 그의 어두운 아이러니를 비판하지 않고 이해하기 위해서는 성경에도 비슷한 줄거리 반전이 들어있다는 것을 생각해야 합니다. 하나님의 백성을 고난에서 구해주실 거라고 기대했던 예수님이 유월절 밤에 오히려 자신을 죽이려는 자들이 체포하도록 놔두신 것입니다.
요한은 우리를 예수님께서 체포되시기 전의 거룩한 장면으로 안내합니다. 예수님은 최후의 만찬에서 자신에게 일어날 일들에 대해 “심령에 근심하시면서” 자신이 배반당할 것을 예언하셨습니다(요한복음 13:21). 그러고는 자신을 팔 자에게 떡을 나눠 주시는, 우리로서는 이해하기 힘든 일을 하셨습니다. 그 구절은 이렇게 말합니다. “유다는 빵 조각을 받자 즉시 밖으로 나갔는데 때는 밤이었다”(30절, 현대인의 성경). 역사상 가장 큰 불의가 진행되던 그 시간, 예수님은 “지금 인자가 영광을 받았고 하나님도 인자로 말미암아 영광을 받으셨도다”(31절)라고 선포하셨습니다. 몇 시간 후 제자들은 공황과 패배와 낙담을 경험할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하나님의 계획이 원래대로 전개되는 것을 보셨습니다.
어두움이 이기는 것 같을 때, 우리는 하나님께서 그 어두운 밤과 마주해 승리하셨음을 기억해야 합니다.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하십니다. 그리고 밤은 끝나게 되어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3:21-32유다는 빵 조각을 받자 즉시 밖으로 나갔는데 때는 밤이었다.
[요한복음 13:30, 현대인의 성경]
언제 공황이나 실망, 절망을 경험해 보셨습니까?
그 어두운 경험을 겪은 후의 감정을 어떻게 설명하겠습니까?
예수님, 십자가에 달리시기까지 매 순간 아버지의 뜻만을 생각하신 것을 감사드립니다.
우리를 위해 죽음을 정복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Daily Article
04/14/2022 THURSDAY
“AND IT WAS NIGHT”
Lest we criticize Wiesel and his dark irony, consider that the Bible contains a similar plot twist. On the night of Passover, Jesus, expected to free God’s people from suffering, instead permits Himself to be arrested by those who would kill Him.
John ushers us into the holy scene before Jesus’ arrest. “Troubled in spirit” over what awaited Him, at the Last Supper Jesus predicted His betrayal (JOHN 13:21). Then, in an act we can scarcely comprehend, Christ served His betrayer bread. The account reads: “As soon as Judas had taken the bread, he went out. And it was night” (V. 30). History’s greatest injustice was underway, yet Jesus declared, “Now the Son of Man is glorified and God is glorified in him” (V. 31). In a few hours, the disciples would experience panic, defeat, and dejection. But Jesus saw God’s plan unfolding as it should.
When it seems as though the darkness is winning, we can recall that God faced His dark night and defeated it. He walks with us. It won’t always be night.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JOHN 13:21–32As soon as Judas had taken the bread, he went out. And it was night.
[ JOHN 13:30 ]
When have you experienced panic, loss of hope, and despair?
How would you describe how you felt after you came through that dark experience?
Thank You, Jesus, for keeping Your Father’s plan in view when You went through the steps to the cross.
Thank You for conquering death for us.
오늘의 말씀
04/13/2022 수요일
사랑으로 인도하심
나는 그런 손자의 마음이 기특해 미소 지으며 그를 가까이 끌어당겨 안아주었습니다. 손자가 할아버지에게 사랑을 표현한 그 흐뭇한 순간을 돌이켜보던 나는 우리에 대한 하나님의 이타적이고 관대한 사랑에 대해서도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G. K. 체스터턴은 이렇게 썼습니다. “우리는 죄를 범하며 늙지만 우리 하나님 아버지는 우리보다 젊다.” 그는 이 말이 “옛적부터 항상 계신”(다니엘 7:9) 그분은 죄의 부패로 더럽혀지지 않는다는 것을 뜻한다고 말했습니다. 하나님은 늙지 않으시며 결코 흔들리거나 시들지 않는 사랑으로 우리를 뜨겁게 사랑하십니다. 하나님은 이사야 46장에서 그의 백성들에게 하신 약속을 성취하실 수 있으며 기꺼이 그렇게 하실 것입니다. “너희가 노년에 이르기까지 내가 그리하겠고 백발이 되기까지 내가 너희를 품을 것이라 내가 지었은즉 내가 업을 것이요 내가 품고 구하여 내리라”(4절).
다섯 구절 뒤에 하나님은 “나는 하나님이라 나 같은 이가 없느니라”(9절) 라고 말씀하십니다. “나는 스스로 있는 자”(출애굽기 3:14)라고 말씀하신 위대한 하나님은 우리를 너무나 사랑하셔서 우리의 죄를 전부 짊어지고 십자가에서 극심한 죽음의 고통을 감내하심으로써, 우리가 그분께로 돌이켜 죄의 짐을 벗어버리고 영원히 그분을 감사하며 찬양하도록 하셨습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46:1-10내가 지었은즉 내가 업을 것이요
[이사야 46:4]
하나님은 매일 어떤 방식으로 당신을 인도하십니까?
이 순간 어떻게 그분에게서 새로운 힘을 얻을 수 있을까요?
아름다운 구세주여, 저를 향한 주님의 사랑이 결코 쇠하지 않으니
감사합니다! 주님을 향한 저의 사랑이 더욱 깊어지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4/13/2022 WEDNESDAY
CARRIED BY LOVE
I smiled at his compassion and pulled him close for a hug. Reflecting later on his love for me in that cherished moment also caused me to ponder God’s selfless, generous love.
G. K. Chesterton wrote: “We have sinned and grown old, and our Father is younger than we.” By this he meant that the “Ancient of Days” (DANIEL 7:9) is untainted by sin’s decay—God is ageless and loves us exuberantly with a love that never falters or fades. He’s fully willing and able to fulfill the promise He made to His people in Isaiah 46: “Even to your old age and gray hairs I am he, I am he who will sustain you. I have made you and I will carry you” (V. 4).
Five verses later He explains, “I am God, and there is none like me” (V. 9). The great “I am” (EXODUS 3:14) loves us so deeply that He went to the extreme of dying on the cross to bear the full weight of our sin, so that we might turn to Him and be free of our burden and gratefully worship Him forever! - JAMES BANKS
Today's Reading
ISAIAH 46:1–10I have made you and I will carry you.
[ ISAIAH 46:4 ]
In what ways does God carry you through each day?
How can you draw new strength from Him in this moment?
Beautiful Savior, I’m so thankful Your love for me never grows old!
Help my love for You to grow ever deeper.
오늘의 말씀
04/12/2022 화요일
우리를 위해, 우리와 같이 되신
아들을 향한 데릭의 사랑은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사랑을 비춰 줍니다. 그분의 자녀인 우리가 “혈과 육에 속하였으매”(히브리서 2:14) 예수님이 우리처럼 인간의 모습을 취하시고 “[우리와] 같은 모양으로” 오셔서 죽음의 권세에서 우리를 자유롭게 해주셨습니다(14절). 우리와 하나님과의 관계를 회복하시기 위해 “주님은 모든 점에서 [우리와] 같이 되셔야 했습니다”(17절, 현대인의 성경).
데릭은 아들이 그의 자의식을 극복하도록 돕기를 원했기에 자신의 몸을 아들과 “똑같이” 만들었습니다. 예수님은 우리의 훨씬 더 큰 문제, 곧 죽음의 노예 상태에 있는 우리의 문제를 극복하도록 도와주셨습니다. 주님은 우리를 ‘위해’ 우리와 ‘같이’ 되셔서 우리를 대신해 죽으심으로 우리 죄의 결과를 감당하셨습니다.
예수님은 기꺼이 우리 인간의 모습이 되심으로 우리와 하나님과의 올바른 관계를 견고케 해주셨을 뿐 아니라 우리가 고통받을 때에도 그분을 신뢰할 수 있게 하십니다. 유혹이나 고난을 만날 때 우리는 우리를 “능히 도우실 수 있는”(18절) 예수님의 능력과 도우심을 의지할 수 있습니다. 사랑의 아버지처럼 주님은 우리를 이해하고 보살펴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히브리서 2:10-18그러므로 그가 범사에 형제들과 같이 되심이 마땅하도다
[히브리서 2:17]
당신이 지금 겪고 있는 고난이 예수님과 어떤 관련이 있을까요?
지금 이 순간 그분을 의지하지 못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예수님, 인간으로 오셔서 저의 고난을 몸소 감당하시고 제 잘못의 대가를 치러주시니 감사합니다.
주님을 더욱 신뢰하기를 원합니다.
Daily Article
04/12/2022 TUESDAY
LIKE US, FOR US
Derek’s love for his son reflects God’s love for His sons and daughters. Because we, His children, “have flesh and blood” (HEBREWS 2:14), Jesus became like us and took on a human form and “shared in [our] humanity” to free us from the power of death (V. 14). “He had to be made like [us], fully human in every way” (V. 17) to make things right with God for us.
Derek wanted to help his son overcome his self-consciousness and so made himself “like” him. Jesus helped us overcome our far greater problem—slavery to death. He overcame it for us by making Himself like us, bearing the consequence of our sin by dying in our place.
Jesus’ willingness to share in our humanity not only secured our right relationship with God but enables us to trust Him in our moments of struggle. When we face temptation and hardship, we can lean on Him for strength and support because “he is able to help” (V. 18). Like a loving father, He understands and cares. -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HEBREWS 2:10–18For this reason he had to be made like them, fully human in every way.
[ HEBREWS 2:17 ]
How might Jesus relate to the struggle you’re facing right now?
What keeps you from leaning on Him in this moment?
Thank You, Jesus, for taking on a human form to relate to me in my struggles and pay for my wrongdoings.
I want to trust You more.
오늘의 말씀
04/11/2022 월요일
모든 순간을 소중하게
이 대학의 교수였던 미첼은 그가 오른 산 정상(현재 그의 이름을 딴 미첼 산)이 미시시피강 동쪽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라는 주장을 증명하기 위해 자료를 수집하던 중이었습니다. 그의 무덤은 그가 추락한 곳에서 멀지 않은 산 정상에 있습니다.
나는 얼마 전 그 산봉우리에 오르면서 미첼의 이야기와 나 자신의 죽음에 대해, 그리고 우리 모두에게 인생의 남은 시간이 얼마나 있는지를 생각하며, 예수님께서 감람산에서 “이러므로 너희도 준비하고 있으라 생각하지 않은 때에 인자가 오리라”(마태복음 24:44)고 하신 말씀을 묵상했습니다.
예수님은 언제 다시 오셔서 영원한 그의 나라를 세우실지, 혹은 언제 우리를 이 세상에서 불러내어 그에게로 오라고 하실지 아무도 모른다고 분명히 말씀하십니다. 그러나 주님은 우리에게 준비하고 “깨어있으라”(42 절)고 말씀하십니다.
우리 삶의 “시계”는 매 순간 아직 ‘재깍...재깍...’ 돌아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언제까지일까요? 우리의 자비로운 구세주를 기다리고 그분을 위해 일하면서, 주님을 사랑하는 가운데 우리의 매 순간을 살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24:36-44그러므로 깨어 있으라 어느 날에 너희 주가 임할는지 너희가 알지 못함이니라
[마태복음 24:42]
예수님을 만날 준비를 어떻게 하고 있습니까? 그분과 함께 하게 될 때 무엇이 가장 기대되나요?
사랑의 구세주여, 언제든지 주님을 만날 준비가 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오늘도 주님을 섬기며 주님이 다시 오시는 것을 준비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4/11/2022 MONDAY
MAKING EVERY MOMENT COUNT
Mitchell, a professor at the university, was gathering data to defend his (correct) claim that the peak he was on—which now bears his name, Mount Mitchell—was the highest one east of the Mississippi. His grave is located at the mountain’s summit, not far from where he fell.
As I ascended that mountain peak recently, I reflected on Mitchell’s story and my own mortality and how each of us has only so much time. And I pondered Jesus’ words about His return as He spoke to His disciples on the Mount of Olives: “So you also must be ready, because the Son of Man will come at an hour when you do not expect him” (MATTHEW 24:44).
Jesus clearly indicates that none of us knows either the moment He’ll return and establish His kingdom forever or when He may summon us to leave this world and come to Him. But He tells us to be prepared and “keep watch” (V. 42).
Tick . . . tick . . . The “clockwork” of each of our lives is still in motion—but for how long? May we live our moments in love with our merciful Savior, waiting and working for Him. - JAMES BANKS
Today's Reading
MAT THEW 24:36–44Therefore keep watch, because you do not know on what day your Lord will come.
[ MATTHEW 24:42 ]
How are you preparing to meet Jesus? What do you look forward to the most about being with Him?
Loving Savior, please help me to be ready to meet You at any time.
Help me to serve You and prepare for Your return today.
오늘의 말씀
04/10/2022 주일
나귀를 탄 왕
수많은 사람들이 예배 드리러 예루살렘으로 들어오고 있던 그때에 예수님은 어린 나귀를 타고 들어오심으로써 모든 사람들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마태복음 21:9-10). 지난 3년 동안은 일부러 눈에 띄지 않게 지내셨는데 왜 수많은 사람들 앞에 눈에 띄게 나타나셨을까요? 왜 돌아가시기 닷새 전에 예수님이 왕이라고 하는 사람들의 선언을 받아들이셨을까요?
마태는 그것을 하나님이 선택하신 왕이 “공의로우시며 구원을 베푸시며 [그러나] 겸손하여서 나귀를 타시며”(스가랴 9:9; 창세기 49:10-11 참조) 예루살렘에 들어오신다는 오백 년 전 예언을 이루기 위함(마태복음 21:4-5) 이라고 말합니다.
승리를 거둔 왕이 이렇게 입성하는 것은 정말로 비정상적인 일이었습니다. 정복한 왕들은 보통 힘센 종마를 탔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군마를 타지 않으셨습니다. 이것은 예수님이 어떤 왕이신지를 보여줍니다. 주님은 온유하고 겸손한 모습으로 오셨습니다. 예수님은 전쟁이 아니라 평화를 위해, 하나님과 우리 사이에 화평을 이루시기 위해 오셨습니다(사도행전 10:36; 골로새서 1:20).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21:1-11네 왕이 네게 임하나니 그는 겸손하여 나귀를 탔도다
[마태복음 21:5]
오늘 당신에게 예수님은 어떤 왕이십니까?
어떻게 주님을 당신의 왕으로 섬길 수 있을까요?
예수님, 예루살렘에 오셔서 주님의 능력과 겸손을 보여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주님의 평화로 제 마음을 채워 주소서.
Daily Article
04/10/2022 SUNDAY
A KING ON A DONKEY
By riding a young donkey into Jerusalem at a time when thousands of worshipers were coming into the city, Jesus was the center of attention (MATTHEW 21:9–11). Why would He take the place of prominence before thousands of people when for the past three years He’d deliberately kept a low profile? Why would He accept the people’s proclamation that He was King just five days before His death?
Matthew says that this took place to fulfill a five-hundredyear- old prophecy (MATTHEW 21:4–5) that God’s chosen king would come into Jerusalem “righteous and victorious, [yet] lowly and riding on a donkey” (ZECHARIAH 9:9; SEE ALSO GENESIS 49:10–11).
This was a truly unusual way for a triumphant king to enter a city. Conquering kings normally rode on mighty stallions. But Jesus didn’t come riding a warhorse. This reveals what kind of King Jesus is. He came in meekness and lowliness. Jesus came not for war, but for peace, establishing peace between God and us (ACTS 10:36; COLOSSIANS 1:20). - K. T. SIM
Today's Reading
MAT THEW 21:1–11See, your king comes to you, gentle and riding on a donkey.
[ MATTHEW 21:5 ]
What kind of king is Jesus to you today?
How can you honor Him as your King?
Jesus, thank You for coming into Jerusalem to reveal Your mighty and humble ways.
Fill my heart with Your pea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