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3/30/2022     수요일

성경읽기: 사사기 9-10; 누가복음 5:17-39
찬송가: 255(통187)

얼룩을 지워 주시는 하나님

우리가 입는 옷에 케첩이나 겨자를 흘리고 음료수를 쏟아도 저절로 깨끗해지는 기능이 있다면 어떨까요? BBC에 따르면 중국의 연구진들은 “자외선을 쬐면 면직물을 더럽힌 얼룩과 냄새를 스스로 없애 주는 특별한 코팅”을 개발했다고 합니다. 자정 능력을 가진 의류가 시사하는 바를 상상하실 수 있습니까?

자정 코팅이 옷감의 얼룩을 지울 수 있을지는 모르지만, 영혼의 때를 정화시키는 것은 오직 하나님뿐입니다. 고대 유다 왕국의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에게 “등을 돌리고” 우상을 섬기면서 타락과 악에 빠져 하나님을 격노케 했습니다(이사야 1:2-4). 설상가상으로 그들은 자신들의 죄를 깨끗이 할 심산으로 희생 제물을 드리고 분향하며 많은 기도를 올리고 엄숙한 성회로 모였습니다. 그러나 그들의 위선적이고 죄악된 심령은 그대로였습니다(12-13
절). 그들이 치유 받는 길은 정신을 차리고 회개하는 마음으로 그들 영혼의 때를 거룩하고 사랑이 많으신 하나님께 가지고 오는 것이었습니다. 하나님의 은혜가 그들을 정결케 하고, 그들이 영적으로 “눈과 같이 희게”(18절) 될 것이었습니다.

우리가 죄를 지으면 저절로 깨끗해지는 해결책은 없습니다. 겸손히 회개하는 마음으로 우리의 죄를 인정하고, 하나님의 거룩함이라는 정결케 하는 빛 아래로 죄를 가져와야 합니다. 우리는 죄에서 돌아서서 하나님께로 돌아와야 합니다. 그리하면 영혼의 얼룩을 지울 수 있는 유일하신 하나님께서 우리를 완전히 용서하시고 관계를 새롭게 회복시켜 주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1:10-18
너희 죄가 주홍 같을지라도 눈과 같이 희어질 것이요 주홍같이 붉을지라도 양털같이 희게 되리라 [이사야 1:18]

성령께서 당신의 죄를 드러내실 때 어떻게 하십니까? 요한은 하나님께 죄를 가져와서 회개하는 과정을 어떻게 설명하고 있습니까(요한1서 1:9 참조)?

하나님 아버지, 저의 죄와 스스로 족하다 여겼던 것을 회개하며 하나님께로 돌아갑니다.

Daily Article

03/30/2022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JUDGES 9–10; LUKE 5:17–39
Hymn: 255(OLD 187)

GOD CLEANS THE STAINS

What if our clothes were more functional, having the ability to clean themselves after we dropped ketchup or mustard or spilled a drink on them? Well, according to the BBC, engineers in China have developed a special “coating which causes cotton to clean itself of stains and odors when exposed to ultraviolet lights.” Can you imagine the implications of having self-cleaning clothes?

A self-cleaning coating might work for stained clothes, but only God can clean a stained soul. In ancient Judah, God was angry with His people because they had “turned their backs on” Him, given themselves to corruption and evil, and were worshiping false gods (ISAIAH 1:2–4). But to make matters worse, they tried to clean themselves by offering sacrifices, burning incense, saying many prayers, and gathering together in solemn assemblies. Yet their hypocritical and sinful hearts remained (VV. 12–13). The remedy was for them to come to their senses and with a repentant heart bring the stains on their souls to a holy and loving God. His grace would cleanse them and make them spiritually “white as snow” (V. 18).

When we sin, there’s no self-cleaning solution. With a humble and repentant heart, we must acknowledge our sins and place them under the cleansing light of God’s holiness. We must turn from them and return to Him. And He, the only One who cleans the stains of the soul, will offer us complete forgiveness and renewed fellowship. - MARVIN WILLIAMS

Today's Reading

ISAIAH 1:10–18
Though your sins are like scarlet, they shall be as white as snow; though they are red as crimson, they shall be like wool. [ ISAIAH 1:18 ]

When the Holy Spirit reveals your sins to you, what’s your response? How does John describe the process of bringing your sin to God and repenting of it (SEE 1 JOHN 1:9)?

Father, I repent of my sin and self-sufficiency and turn to You.

오늘의 말씀

03/29/2022     화요일

성경읽기: 사사기 7-8; 누가복음 5:1-16
찬송가: 508(통270)

인식의 경계를 지나

힘든 하루였습니다. 남편은 다른 많은 사람들처럼 자신도 코로나감염증 대유행으로 인해 임시로 해고될 거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우리는 하나님이 우리의 기본적인 필요를 채워 주실 거라고 믿으면서도 그것이 어떻게 나타날지 몰라 걱정에 휩싸였습니다.

혼란스러운 마음을 가다듬으며 16세기 종교 개혁가 십 자가의 성 요한이 쓴 내가 좋아하는 시 한 편을 다시 읽게 되었습니다. “미지의 영역으로 들어가서”라는 제목의 그 시는 “인식의 경계를 지나” “다른 여러 가 지 모습 으 로 나타나시는 하나님을 분별하는” 법을 알게 될 때, 순복의 여정에서 깨닫게 되는 경이로움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남편과 함께 이 시기 동안 하려고 했던 것도 바로 그것이었습니다. 그것은 우리가 통제하고 이해할 수 있는 것에서 초점을 돌려 우리 주변에서 하나님을 발견할 수 있는 예기치 않은 신비롭고 멋진 방법들에 주목하는 것이었습니다.

바울 사도는 보이는 것에서 보이지 않는 것으로, 외적 현실에서 내적 현실로, 잠시 받는 환난에서 “그 무엇과도 비교될 수 없는 크고 엄청난 영원한 영광”(고린도후서 4:17, 현대인의 성경)으로의 여정으로 신자들을 초대했습니다.

바울이 이런 권고를 한 것은 신자들의 고난에 대해 그가 공감하지 못했기 때문이 아니었습니다. 그는 신자들이 스스로 이해할 수 있다고 여기는 것을 내려놓아야 그들에게 절실히 필요한 위로와 기쁨, 소망을 경험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습니다(10, 15-16절). 그들은 결국 모든 것을 새롭게 하시는 그리스도의 삶의 경이를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후서 4:7-18
우리가 주목하는 것은 보이는 것이 아니요 보이지 않는 것이니 보이는 것은 잠깐이요 보이지 않는 것은 영원함이라 [고린도후서 4:18]

이해할 수 없는 방식으로 하나님의 영광을 경험한 적이 있습니까? 삶의 어느 영역에서 “인식의 경계”를 넘어 하나님을 경험할 수 있을까요?

사랑의 하나님, 세상에는 불확실한 일들이 너무 많습니다. 주위의 모든 것에 새로운 삶의 숨결을 불어넣으시는 주의 경이로움을 볼 수 있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3/29/2022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JUDGES 7–8; LUKE 5:1–16
Hymn: 508(OLD 270)

PAST THE BOUNDARIES OF KNOWING

It was a hard day when my husband found out that, like so many others, he too would soon be furloughed from employment as a result of the COVID-19 pandemic. We believed that God would meet our basic needs, but the uncertainty of how that would happen was still terrifying.

As I processed my jumbled emotions, I found myself revisiting a favorite poem by sixteenth-century reformer John of the Cross. Entitled “I Went In, I Knew Not Where,” the poem depicts the wonder to be found in a journey of surrender, when, going “past the boundaries of knowing,” we learn to “discern the Divine in all its guises.” And so that’s what my husband and I tried to do during this season: to turn our focus from what we could control and understand to the unexpected, mysterious, and beautiful ways God can be found all around us.

The apostle Paul invited believers to a journey from the seen to the unseen, from outward to inward realities, and from temporary struggles to the “eternal glory that far outweighs them all” (2 CORINTHIANS 4:17).

Paul didn’t urge this because he lacked compassion for their struggles. He knew it would be through letting go of what they could understand that they could experience the comfort, joy, and hope they so desperately needed (VV. 10, 15–16). They could know the wonder of Christ’s life making all things new. - MONICA LA ROSE

Today's Reading

2 CORINTHIANS 4:7–18
We fix our eyes not on what is seen, but on what is unseen, since what is seen is temporary, but what is unseen is eternal. [ 2 CORINTHIANS 4:18 ]

When have you experienced God’s glory in ways you couldn’t understand? In what areas of your life might you experience God beyond the “boundaries of knowing”?

Loving God, there’s so much uncertainty in our world. Help me to see the wonder of Your life breathing new life all around me.

오늘의 말씀

03/28/2022     월요일

성경읽기: 사사기 4-6; 누가복음 4:31-44
찬송가: 413(통470)

하나님의 평강

나는 몇 달째 직장 내의 격심한 정치와 음모에 맞서 싸우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걱정하는 것이 제2의 천성인 내가 평온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에 나 자신도 놀랐습니다. 불안함 대신에 차분한 마음과 심정으로 대처할 수 있었습니다. 그런 평온함은 오직 하나님에게서만 올 수 있음을 알고 있었습니다.

이와는 정반대로, 내 삶에서 모든 것이 순조로웠음에도 불구하고 심한 불안감이 마음속에 자리 잡고 있던 때가 있었습니다. 그것은 하나님을 의지하거나 그분의 인도하심을 따르지 않고 나 자신의 능력을 믿고 있었기 때문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되돌아보면 진정한 평강, 곧 하나님의 평강은 우리가 처한 상황이 아니라 그분을 향한 우리의 믿음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하나님의 평강은 우리의 마음이 견고할 때 옵니다(이사야 26:3). 히브리어로 ‘견고함’이란 “기대다”라는 뜻입니다. 주님께 기대면 우리는 그분의 평온한 임재를 경험하게 됩니다. 하나님은 교만하고 악한 자를 낮추시고 하나님을 사랑하는 자의 길을 평탄케 하신다는 사실을 기억할 때 우리는 하나님을 신뢰할 수 있습니다(5-7절).

삶이 순탄하지 않고 어려움을 겪고 있을 때 오히려 평강을 경험하면서, 나는 하나님의 평강이라는 것이 갈등이 없는 상태가 아니라 심한 고통 중에서도 갖게 되는 심오한 안정감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것은 인간의 지각을 뛰어 넘으며, 극심한 어려움 가운데서도 우리의 마음과 생각을 지키는 평강입니다(빌립보서 4:6-7).

오늘의 성구

이사야 26:3-7
주께서 심지가 견고한 자를 평강하고 평강하도록 지키시리니 이는 그가 주를 신뢰함이니이다 [이사야 26:3]

당신은 평강을 경험하기 위해 무엇을 합니까? 당신이 삶의 어느 부분에서 하나님을 신뢰하고 의지할 필요가 있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을 신뢰하며 견고한 마음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하나님을 신뢰할 때 온전한 평강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3/28/2022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JUDGES 4–6; LUKE 4:31–44
Hymn: 413(OLD 470)

HIS PEACE

For several months, I coped with intense workplace politics and intrigues. Worrying is second nature to me, so I was surprised to find myself at peace. Instead of feeling anxious, I was able to respond with a calm mind and heart. I knew that this peace could come only from God.

In contrast, there was another period in my life when everything was going well—and yet I felt a deep unrest in my heart. I knew it was because I was trusting in my own abilities instead of trusting God and His leading. Looking back, I’ve realized that true peace—God’s peace—isn’t defined by our circumstances, but by our trust in Him.

God’s peace comes to us when our minds are steadfast (ISAIAH 26:3). In Hebrew, the word for steadfast means “to lean upon.” As we lean on Him, we’ll experience His calming presence. We can trust in God, remembering that He’ll humble the proud and wicked and smooth the paths of those who love Him (VV. 5–7).

When I experienced peace in a season of difficulty rather than ease, I discovered that God’s peace isn’t an absence of conflict, but a profound sense of security even in distress. It’s a peace that surpasses human understanding and guards our hearts and minds in the midst of the most difficult of circumstances (PHILIPPIANS 4:6−7). - KAREN HUANG

Today's Reading

ISAIAH 26:3–7
You will keep in perfect peace those whose minds are steadfast, because they trust in you. [ ISAIAH 26:3 ]

What do you do to experience peace? In what areas of your life do you need to trust God and lean on Him?

Father, help me to trust You and have a steadfast mind. Thank You for the perfect peace that comes to me when I choose to trust You.

오늘의 말씀

03/27/2022     주일

성경읽기: 사사기 1-3; 누가복음 4:1-30
찬송가: 254(통186)

기도의 본질

아브라함 링컨이 미국 대통령이 되었을 때 그에게 분열된 나라를 이끌어야 하는 책무가 주어졌습니다. 링컨은 현명한 지도자이며 높은 도덕성의 소유자라는 평판이 있었지만, 그의 성품 가운데 이 모든 것의 기초가 되었던 다른 한 가지 요인이 있었습니다. 그는 자신이 주어진 일을 감당하기에 부족한 사람이라는 점을 알았던 것입니다. 그 부족함을 알고 그는 어떻게 했을까요? 링컨은 말했습니다. “기댈 곳이 없다는 것이 너무나 확실했기에 나는 많은 시간 무릎을 꿇고 기도했습니다. 나 자신의 지혜나 나에 관한 어떤 것으로도 그 하루를 감당하기에 충분치 않아 보였습니다.”

삶의 거대한 도전 앞에서 우리의 지혜와 지식과 힘으로는 감당 못할 극심한 한계에 맞닥뜨릴 때, 링컨처럼 우리도 한계가 없으신 예수님을 전적으로 의지하게 됩니다. 베드로는 주님께 의지하는 것에 대해 이렇게 일깨워주었습니다. “너희 염려를 다 주께 맡기라 이는 그가 너희를 돌보심이라”(베드로전서 5:7).

하나님의 절대적인 권능과 더불어 자녀들을 향한 하나님의 사랑은 하나님을 완전한 존재로 만들어 우리가 연약할 때 그분께 나아갈 수 있도록 해줍니다. 그것이 바로 기도의 본질입니다. 우리는 우리가 부족하고 주님은 영원히 충분하신 분이라는 사실을 주님께(그리고 우리 자신에게) 인정하며 예수님께 나아갑니다. 링컨은 “어디에도 더 기댈 데가 없었다”고 자신의 심경을 토로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크신 사랑으로 우리를 돌보신다는 것을 알게 될 때 그것은 진정 놀라운 복음입니다. 우리는 그분께 나아갈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베드로전서 5:6-11
너희 염려를 다 주께 맡기라 이는 그가 너희를 돌보심이라 [베드로전서 5:7]

어떤 식으로 당신의 부족함이 나타납니까? 그럴 때 보통 어떻게 반응합니까?

부족함이 없으신 하나님, 하나님 없이 저는 아무것도 할 수 없음을 압니다. 항상 함께하시며 저를 온전히 아시고 필요할 때 진정한 조력자가 되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3/27/2022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JUDGES 1–3; LUKE 4:1–30
Hymn: 254(OLD 186)

THE ESSENCE OF PRAYER

When Abraham Lincoln became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he was tasked with leading a fractured nation. Lincoln is viewed as a wise leader and a man of high moral character, but another element to his makeup, perhaps, was the foundation for everything else. He understood that he was inadequate for the task at hand. His response to that inadequacy? Lincoln said, “I have been driven many times upon my knees by the overwhelming conviction that I had nowhere else to go. My own wisdom and that of all about me seemed insufficient for that day.”

When we come to grips with the massive nature of life’s challenges and the severe limitations of our own wisdom, knowledge, or strength, we find, like Lincoln, that we are utterly dependent on Jesus—the One who has no limitations. Peter reminded us of this dependency when he wrote, “Cast all your anxiety on him because he cares for you” (1 PETER 5:7).

God’s love for His children, paired with His absolute power, make Him the perfect Person to approach with our frailties—and that’s the essence of prayer. We go to Jesus acknowledging to Him (and urselves) that we’re inadequate and He’s eternally sufficient. Lincoln said he felt he “had nowhere else to go.” But when we begin to comprehend God’s great care for us, that’s wonderfully good news. We can go to Him! - BILL CROWDER

Today's Reading

1 PETER 5:6–11
Cast all your anxiety on him because he cares for you. [ 1 PETER 5:7 ]

In what ways do your inadequacies reveal themselves? How do you normally respond in those moments?

All-sufficient God, I know that without You I can do nothing. Thank You for always being with me, for perfectly knowing me, and for being my true Helper in times of need.

오늘의 말씀

03/26/2022     토요일

성경읽기: 여호수아 22-24; 누가복음 3
찬송가: 454(통508)

진실한 삶

무척 힘든 국제 크로스컨트리 경주에 참가한 케냐 선수 아벨 무타이는 선두를 확고히 하며 승리를 바로 눈앞에 두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는 경주 코스를 알려주는 안내판을 잘못 보고 자신이 이미 결승선을 넘었다고 생각하여 갑자기 달리기를 멈추었습니다. 그때 두 번째로 뛰고 있던 스페인 선수 이반 페르난데즈 아나야가 무타이의 실수를 목격했습니다. 그 기회를 이용해 그를 추월하여 승리할 수도 있었지만, 아나야는 무타이를 쫒아가서 그의 팔을 내밀어 무타이가 금메달을 딸 수 있도록 이끌어주었습니다. 기자들이 아나야에게 왜 일부러 우승을 양보했느냐고 물었을 때, 그는 자신이 아니라 무타이가 우승할 자격이 있었다고 강조했습니다. “내가 이겼다면 그 승리가 가치 있는 일이었을까요? 그런 메달에 명예가 있을까요? 내가 그랬다면 어머니가 뭐라고 하셨을까요?” 어떤 기자는 “아나야 선수는 승리보다는 정직을 선택했다.”고 썼습니다.

잠언은 정직하게 살고자 하는 사람들, 자신들의 삶에 신실함과 진정성을 나타내기를 원하는 사람들은 무엇이 편리한가 보다는 무엇이 진실한가에 따라 선택을 한다고 말합니다. “정직한 자의 성실은 자기를 인도합니다”(11:3).
진실함에 대한 헌신은 인생을 사는 ‘옳은’ 방법일 뿐만 아니라 ‘더 나은’ 삶을 제공해 줍니다. 잠언은 계속해서 말합니다. “사악한 자의 패역은 자기를 망하게 하느니라”(3절). 결국 부정직은 절대로 좋은 결과를 가져다 주지 못합니다.

우리가 진실하게 살지 않으면, 단기적인 “승리”도 결국 실패로 귀결되고 맙니다. 하지만 하나님의 능력 안에서 성실함과 진실함으로 우리를 빚어 간다면, 우리는 서서히 진실로 선한 삶을 살아가는 훌륭한 성품을 가진 사람이 될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잠언 11:1-3
정직한 자의 성실은 자기를 인도하거니와 [잠언 11:3]

당신의 진실함이 어떤 부분에서 도전을 받고 있습니까? 당신 앞에는 어떤 선택들이 있습니까? 그리고 그 선택들이 어떻게 당신의 진실함을 높여 줍니까(낮춥니까)?

온전하신 하나님, 진실되고 신실하신 하나님을 더 닮게 하시고, 어떻게 똑바로 살아갈 수 있는지를 가르쳐 주소서.

Daily Article

03/26/2022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JOSHUA 22–24; LUKE 3
Hymn: 454(OLD 508)

A LIFE OF INTEGRITY

Abel Mutai, a Kenyan runner competing in a grueling international cross-country race, was mere yards from victory—his lead secure. Confused by the course’s signage and thinking he’d already crossed the finish line, however, Mutai stopped short. The Spanish runner in second place, Ivan Fernandez Anaya, saw Mutai’s mistake. Rather than take advantage and bolt past for the win, however, he caught up to Mutai, put out his arm and guided Mutai forward to a gold-medal win. When reporters asked Anaya why he purposefully lost the race, he insisted that Mutai deserved the win, not him. “What would be the merit of my victory? What would be the honor of that medal? What would my mom think of that?” As one report put it: “Anaya chose honesty over victory.”

Proverbs says that those who desire to live honestly, who want their lives to display faithfulness and authenticity, make choices based on what’s true rather than what’s expedient. “The integrity of the upright guides them” (11:3). This commitment to integrity isn’t only the right way to live, but it also offers a better life. The proverb continues: “But the unfaithful are destroyed by their duplicity” (V. 3). In the long run, dishonesty never pays.

If we abandon our integrity, short term “wins” actually yield defeat. But when fidelity and truthfulness shape us in God’s power, we slowly become people of deep character who lead genuinely good lives. - WINN COLLIER

Today's Reading

PROVERBS 11:1–3
The integrity of the upright guides them. [ PROVERBS 11:3 ]

Where’s your integrity being tested right now? What are the choices before you—and how do they increase (or decrease) your integrity?

God of integrity, You’re honest and faithful. Make me more like You. Teach me how to live uprightly.

오늘의 말씀

03/25/2022     금요일

성경읽기: 여호수아 19-21; 누가복음 2:25-52
찬송가: 545(통344)

하나님이 어디 있지?

마틴 핸드포드의 ‘왈도가 어디에 있을까?’라는 책은 아이들을 위한 퍼즐 시리즈로 1987년에 처음 발간되었습니다. 책 속에 숨어 있는 왈도는 빨갛고 하얀 줄무늬 셔츠와 양말, 그리고 거기에 잘 어울리는 모자, 파란 바지, 갈색 부츠와 안경을 착용하고 있습니다. 핸드포드는 세상 이곳 저곳을 배경으로 수많은 캐릭터들로 채워진 복잡한 그림 속에 왈도를 교묘하게 숨겨놓았습니다. 왈도를 찾는 것은 쉽지 않지만, 저자는 독자들이 언제나 그를 찾을 수 있다고 약속합니다. 하나님을 찾는 일은 퍼즐책에서 왈도를 찾는 일과는 다르지만, 우리의 창조주 하나님은 우리도 또한 그분을 찾을 수 있다고 약속하십니다.

하나님은 예레미야 선지자를 통해 그의 백성들에게 유배지에서 이방인으로서 어떻게 살아야 할지를 가르쳐 주셨습니다(예레미야 29:4-9). 하나님은 그분의 완벽한 계획에 따라 그들을 회복시킬 때까지 지켜주겠다고 약속하셨습니다(10-11절).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그분의 약속이 성취되면 그들이 기도로 하나님께 더욱 부르짖게 될 것이라고 그들에게 장담하셨습니다(12절).

예수님의 이야기와 성령님을 통해 하나님께서 자신을 드러내셨음에도, 오늘날에는 세상의 바쁜 일들로 주의가 딴 데로 쏠리기 쉽습니다. 심지어 “하나님이 어디에 있지?”라는 의문을 갖게 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만물을 창조하시고 유지시키시는 하나님은 그분께 속한 자들이 온 마음을 다해 그분을 찾으면 언제나 만나게 될 것이라고 말씀하십니다(13-14절).

오늘의 성구

예레미야 29:4-7, 10-14
너희가 온 마음으로 나를 구하면 나를 찾을 것이요 나를 만나리라 [예레미야 29:13]

어떤 것들이 성경 읽기와 기도를 통해 하나님을 찾는 일에 시간을 보내지 못하도록 방해합니까? 너무 바빠서 하나님에게서 멀어질 때 하나님은 다시 그분께 집중하도록 어떻게 도와주셨습니까?

만물을 사랑으로 창조하시고 유지시키시는 하나님, 매일 하나님을 온 마음 다해 찾게 하시고, 하나님이 하신 약속은 반드시 지키신다는 것을 믿을 수 있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3/25/2022     F RI DAY

The Bible in One Year: JOSHUA 19–21; LUKE 2:25–52
Hymn: 545(통344)

WHERE’S GOD?

In Martin Handford’s Where’s Waldo? books, a series of children’s puzzle books first created in 1987, the elusive character wears a red and white striped shirt and socks with a matching hat, blue jeans, brown boots, and glasses. Handford has cleverly hidden Waldo in plain sight within the busy illustrations filled with crowds of characters at various locations around the world. Waldo isn’t always easy to see, but the creator promises readers will always be able to find him. Though looking for God isn’t really like looking for Waldo in a puzzle book, our Creator promises we can find Him, too.

Through the prophet Jeremiah, God instructed His people on how to live as foreigners in exile (JEREMIAH 29:4–9). He promised to protect them until He restored them according to His perfect plan (VV. 10–11). God assured the Israelites that the fulfillment of His promise would deepen their commitment to call on Him in prayer (V. 12).

Today, even though God has revealed Himself in the story and Spirit of Jesus, it can be easy to get distracted by the busyness of this world. We may even be tempted to ask, “Where’s God?” However, the Creator and Sustainer of all things declares that those who belong to Him will always find Him if they seek Him with all their hearts (VV. 13–14). -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JEREMIAH 29:4–7, 10–14
You will seek me and find me when you seek me with all your heart. [ JEREMIAH 29:13 ]

What distractions prevent you from spending time seeking God through Bible reading and prayer? How has God helped you focus on Him when busyness tugs you away from Him?

Loving Creator and Sustainer of all, please help me seek You daily with all my heart and trust You will keep the promises You’ve made.

오늘의 말씀

03/24/2022     목요일

성경읽기: 여호수아 16-18; 누가복음 2:1-24
찬송가: 520(통257)

그 외 일곱 명

2020년 1월 로스앤젤레스 가까이에서 헬리콥터 추락사고로 아홉 명이 목숨을 잃는 비극적인 사건이 일어났습니다. 대부분의 뉴스 기사는 이렇게 시작되었습니다. “NBA 슈퍼스타 코비 브라이언트와 그의 딸 지애나(“지지”), 그리고 ‘그 외 일곱 명’이 사고로 목숨을 잃었습니다.”

이렇게 끔찍한 상황이 벌어지면 유명한 사람들에게 관심이 집중되는 것은 자연스럽고 이해가 됩니다. 또한 코비와 그의 소중한 십대 딸 지지의 죽음은 말로 설명할 수 없을 만큼 가슴이 아픕니다. 하지만 기억해야 할 것은
인생의 큰 그림으로 보면 “그 외 일곱 명”(페이튼, 사라, 크리스티나, 알리사, 존, 케리, 아라)을 덜 중요하게 구분 짓는 선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때때로 우리는 하나님의 관점으로는 한 사람 한 사람이 다 중요하다는 사실을 기억할 필요가 있습니다. 사회는 부자나 유명한 사람을 집중 조명합니다. 하지만 어떤 사람이 명성이 있다고 해서 그 사람이 당신의 이웃이나, 거리에서 놀고 있는 시끄러운 아이들이나, 도시 선교에서 만나는 불운한 남성이나, 또는 ‘당신’보다 더 중요한 것은 아닙니다.

이 땅의 모든 사람은 가난하든 부요하든(잠언 22:2)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되었습니다(창세기 1:27). 하나님은 어느 누구도 차별하지 않으시며(로마서 2:11), 모든 사람에게는 구세주가 필요합니다(3:23). 우리는 교회 안에서나(야고보서 2:1-4) 사회 전반에 걸쳐서, 다른 사람들을 차별하지 않을 때 위대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게 됩니다.

오늘의 성구

야고보서 2:1-4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을 너희가 가졌으니 사람을 차별하여 대하지 말라 [야고보서 2:1]

부유하거나 가난하거나, 유명하거나 평범하거나 상관없이 모든 인류에 대한 사랑을 어떻게 보여줄 수 있을까요? 예수님은 이런 사랑을 어떻게 나타내 보여주셨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신분에 상관없이 모든 사람에게 사랑과 친절을 베풀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3/24/2022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JOSHUA 16–18; LUKE 2:1–24
Hymn: 520(OLD 257)

AND SEVEN OTHERS

Tragedy struck near Los Angeles in January 2020 when nine people died in a helicopter crash. Most news stories began something like this, “NBA superstar Kobe Bryant, his daughter Gianna (“Gigi”), and seven others lost their lives in the accident.”

It’s natural and understandable to focus on the well-known people involved in a horrible situation like this—and the deaths of Kobe and his precious teenager Gigi are heartbreaking beyond description. But we must keep in mind that in life’s big picture there’s no dividing line that makes the “seven others” (Payton, Sarah, Christina, Alyssa, John, Keri, and Ara) any less significant.

Sometimes we need to be reminded that each human is important in God’s eyes. Society shines bright lights on the rich and famous. Yet fame doesn’t make a person any more important than your next-door neighbor, the noisy kids who play in your street, the down-on-his-luck guy at the city mission, or you.

Every person on earth is created in God’s image (GENESIS 1:27), whether rich or poor (PROVERBS 22:2). No one is favored more than another in His eyes (ROMANS 2:11), and each is in need of a Savior (3:23).

We glorify our great God when we refuse to show favoritism—whether in the church (JAMES 2:1–4) or in society at large. - DAVE BRANON

Today's Reading

JAMES 2:1–4
Believers in our glorious Lord Jesus Christ must not show favoritism. [ JAMES 2:1 ]

What can you do to show love for all mankind—rich or poor, famous or obscure? How did Jesus reveal this kind of love?

Heavenly Father, help me to show love and kindness to all, regardless of their station in life.

오늘의 말씀

03/23/2022     수요일

성경읽기: 여호수아 13-15; 누가복음 1:57-80
찬송가: 68(통32)

하나님이 만드신 좋은 접착제

펜실베니아 주립대의 과학자들이 최근 새로운 종류의 접착제를 만들었는데, 이 접착제는 아주 강력하면서도 쉽게 떼어낼 수 있습니다. 이것은 달팽이에서 영감을 받아 고안되었습니다. 달팽이의 점액은 건조한 환경에서는 딱딱해지고 습한 환경에서는 부드러워집니다. 이런 달팽이 점액의 가변성은 달팽이로 하여금 안전한 환경인 습한 곳에서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해주고, 움직이면 위험해지는 상황에서는 주변 물체에 견고하게 붙어 있을 수 있게 해줍니다.

자연에서 발견한 접착제를 흉내 내는 그 연구 개발진들의 접근 방법은 과학자 요하네스 케플러가 설명한 발견 과정을 생각나게 해줍니다. 그는 말하기를 “단순히 하나님의 생각을 따라서 생각했을 뿐”이라고 했습니다. 성경은 하나님이 땅과 그 안에 있는 모든 것 곧, 땅의 초목과(창세기 1:12) “큰 바다의 생물”과 “날개 있는 모든 새”(21절), “땅에 기는 모든 것”(25절), 그리고 “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람”(27절)을 창조하셨다고 기술합니다. 인류가 식물이나 동물의 어떤 특성을 발견하거나 규명할 때 우리는 그저 하나님의 창조의 발자취를 따라가며 하나님께서 그들을 어떻게 설계하셨는지 눈을 열어 바라볼 뿐입니다.

창조하실 때 하나님은 매일 하루를 마감하며 자신이 행한 일을 살펴보시고 “좋았더라”라고 말씀하셨습니다. 하나님의 창조에 대해 더 알게 되고 발견해 갈수록, 우리도 그분께서 하신 일이 얼마나 놀라운지를 깊이 깨닫고, 그
창조세계를 잘 보살피며, 그것이 얼마나 좋은지 선포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창세기 1:20-25
하나님이... 땅에 기는 모든 것을 그 종류대로 만드시니 [창세기 1:25]

주변의 창조물에서 어떻게 하나님의 손길을 보고 있습니까? 어떻게 그분께 찬양으로 화답할 수 있을까요?

창조주 하나님, 세상과 그 안에 있는 모든 것을 창조하신 하나님의 유일하고 완벽한 방법을 생각하며 감사드립니다. 하나님의 작품은 실로 경이롭습니다!

Daily Article

03/23/2022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JOSHUA 13–15; LUKE 1:57–80
Hymn: 68(OLD 32)

GOD’S GOOD GLUE

Scientists from Penn State University recently engineered a new kind of glue that’s both extremely strong and also removable. Their design is inspired by a snail whose slime hardens in dry conditions and loosens again when wet. The reversible nature of the snail’s slime allows it to move freely in more humid conditions—safer for the snail—while keeping it securely planted in its environment when movement would be hazardous.

The researchers’ approach of mimicking an adhesive found in nature calls to mind scientist Johannes Kepler’s description of his discoveries. He said he was “merely thinking God’s thoughts after him.” The Bible tells us that God created the earth and all that’s in it: the vegetation on the land (GENESIS 1:12); the “creatures of the sea” and “every winged bird” (V. 21); “the creatures that move along the ground” (V. 25); and “mankind in his own image” (V. 27). When humankind discovers or identifies a special attribute of a plant or animal, we’re simply following in God’s creative footsteps, having our eyes opened to the way He designed them.

At the end of each day in the creation account, God surveyed the fruit of His work and described it as “good.” As we learn and discover more about God’s creation, may we too recognize His magnificent work, care for it well, and proclaim how very good it is! -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GENESIS 1:20–25
God made . . . all the creatures that move along the ground. [ GENESIS 1:25 ]

How do you see God’s handiwork in the creation around you? How can you respond in praise to Him?

Creator God, thank You for the unique and perfect way You created the world and all that’s in it. Your works are wondrous!

오늘의 말씀

03/22/2022     화요일

성경읽기: 여호수아 10-12; 누가복음 1:39-56
찬송가: 303(통403)

전도는 단순하게

그 이메일은 짧고 긴박했습니다. “구원 요청합니다. 예수님을 알고 싶습니다.” 얼마나 놀라운 요청인지요. 예수님 영접하기를 꺼리는 친구나 가족들과는 달리 이 사람은 설득할 필요가 없었습니다. 내가 할 일이라고는 전도에 대한 나 자신의 의구심을 극복하고, 복음의 핵심 진리와 성경, 그리고 그의 필요를 채워줄 신뢰할 만한 참고자료들을 나누는 것 뿐이었습니다. 거기서부터는 믿음을 쫓아 하나님께서 그의 여정을 인도하실 것입니다.

빌립은 그런 단순한 전도를 어떻게 하는지 잘 보여주었습니다. 사막을 지나는 길에 에디오피아 국고를 맡은 내시가 이사야서를 소리 내어 읽고 있을 때 빌립이 이렇게 물었습니다. “읽는 것을 깨닫느냐”(사도행전 8:30). 그 사람은 “지도해주는 사람이 없으니 어찌 깨달을 수 있느냐”(31절)고 대답했습니다. 그가 알아듣기 쉽게 가르쳐줄 것을 요청하자 “빌립이 입을 열어 이 글에서 시작하여 예수를 가르쳐 복음을 전하였습니다”(35절).

빌립이 보여주었듯이 사람들이 처한 상황에서 시작하여 단순하게 복음을 전하는 것이 그리스도를 전하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실제로, 두 사람이 길을 함께 가다가 내시가 “보라 여기 물이 있다” 하며 세례 받기를 청했습니다(36절). 빌립은 그 말에 따라 세례를 주었고, 그 사람은 “기쁘게 길을 갔습니다”(39절). 나도 그 이메일을 쓴 분이 죄를 회개하고 그리스도를 영접했으며, 교회를 찾았고 다시 태어난 것을 믿는다고 답장해 줘서 아주
기뻤습니다. 얼마나 아름다운 시작입니까! 이제 하나님께서 그를 더 높은 곳으로 인도해 주시기를 기도합니다!

오늘의 성구

사도행전 8:26-35
빌립이 입을 열어 이 글에서 시작하여 예수를 가르쳐 복음을 전하니 [사도행전 8:35]

전도할 기회가 생길 때 당신은 어떻게 합니까? 예수님을 알고 싶어 하는 사람들에게 즉시 해줄 수 있는 어떤 간단한 답변을 준비할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전도 전문가가 아닌 저에게 예수님에 관한 복음을 전할 수 있는 단순하고 효과적인 방법을 보여 주소서.

Daily Article

03/22/2022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JOSHUA 10–12; LUKE 1:39–56
Hymn: 303(OLD 403)

KEEP IT SIMPLE

The email was short but urgent. “Request salvation. I would like to know Jesus.” What an astonishing request. Unlike reluctant friends and family who hadn’t yet received Christ, this person didn’t need convincing. My task was to quiet my self-doubt about evangelizing and simply share key concepts, Scriptures, and trusted resources that addressed this man’s plea. From there, by faith, God would lead his journey.

Philip demonstrated such simple evangelism when on a desert road he met the treasurer of Ethiopia who was reading aloud from the book of Isaiah. “Do you understand what you are reading?” Philip asked (ACTS 8:30). “How can I,” the man answered, “unless someone explains it to me” (V. 31). Invited to clarify, “Philip began with that very passage of Scripture and told him the good news about Jesus” (V. 35).

Starting where people are and keeping evangelism simple, as Philip showed, can be an effective way to share Christ. In fact, as the two traveled along, the man said, “Look, here is water” and asked to be baptized (V. 36). Philip complied, and the man “went on his way rejoicing” (V. 39). I rejoiced when the email writer replied that he had repented of sin, confessed Christ, found a church, and believed he was born again. What a beautiful start! Now, may God take him higher! -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ACTS 8:26–35
Philip began with that very passage of Scripture and told him the good news about Jesus. [ ACTS 8:35 ]

How do you respond to opportunities to share your faith? What simple answers could you have on hand for someone who wants to know Jesus?

I’m not an expert at evangelizing, heavenly Father, so show me simple, effective ways to share the good news about Christ.

오늘의 말씀

03/21/2022     월요일

성경읽기: 여호수아 7-9; 누가복음 1:21-38
찬송가: 213(통348)

과거 속에 묻혀버린 것

나라를 어지럽히는 부패와 사치에 격노한 조선의 임금 영조(1694-1776) 는 개혁을 결심했습니다. 왕은 전통공예인 금실 자수를 지나치게 호화스럽다고 여겨 금지시켰는데, 이는 목욕물을 버리려다 아기까지 버렸다는 속담의 예라 할 수 있습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섬세한 공정에 대한 지식은 과거 속으로 사라지고 말았습니다.

2011년, 심연옥 교수는 오랫동안 사라졌던 금실 자수의 전통을 되찾고자 금잎을 한지에 붙인 다음 가느다란 가닥으로 잘라냈을 것으로 추측하고, 그 과정을 재현해 오래된 공예기술을 되살릴 수 있었습니다.

출애굽기에서 우리는 아론의 제사장 옷인 에봇을 만들기 위한 금실을 비롯해, 성막을 짓기 위해 사용된 호화로운 방법들을 보게 됩니다. 숙련된 장인들은 “금을 얇게 쳐서 오려서 실을 만들어 청색 자색 홍색 실과 가는 베
실에 섞어 정교하게 짰습니다”(출애굽기 39:3). 그 정교했던 기술들은 모두 어떻게 되었을까요? 옷과 함께 닳아 없어져 버렸을까요? 우여곡절 끝에 약탈당하고 말았을까요? 모든 것이 헛수고였을까요?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그 노력의 각 면목들은 제대로 다 이행되었습니다. 하나님께서 그것을 위한 구체적인 지시를 주셨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은 우리 각자에게도 할 일을 주셨습니다. 그것은 친절 같은 간단한 행위일 수도 있습니다. 친절의 행위는 우리가 서로를 섬김으로써 하나님께 무언가를 돌려 드리는 것과 같습니다. 마지막에 우리의 노력의 결과가 어떻게 될지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고린도전서 15:58). 하나님 아버지를 위해 행하는 모든 일은 영원으로 이어지는 실이 되기 때문입니다.

오늘의 성구

출애굽기 39:1-7
마음이 감동된 모든 자와 자원하는 모든 자가 와서 예물을 가져다가 여호와께 드렸으니 [출애굽기 35:21]

지금까지 살아올 동안 하나님이 당신에게 어떤 여러 가지 일을 행하게 하셨습니까? 그것이 어떻게 당신의 관점을 바꾸어 오늘의 가장 평범한 일도 하나님을 위해 하는 일이라고 볼 수 있게 해줍니까?

하나님 아버지, 오늘 제가 하는 모든 일로 하나님을 섬길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3/21/2022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JOSHUA 7–9; LUKE 1:21–38
Hymn: 213(OLD 348)

LOST TO THE PAST

Upset with the corruption and extravagance plaguing his kingdom, Korea’s King Yeongjo (1694–1776) decided to change things. In a classic case of throwing out the baby with the bathwater, he banned the traditional art of gold-thread embroidery as excessively opulent. Soon, knowledge of that intricate process vanished into the past.

In 2011, Professor Sim Yeon-ok wanted to reclaim that long-lost tradition. Surmising that gold leaf had been glued onto mulberry paper and then hand-cut into slender strands, she was able to recreate the process, reviving an ancient art form.

In the book of Exodus, we learn of the extravagant measures employed to construct the tabernacle—including gold thread to make Aaron’s priestly garments. Skilled craftsmen “hammered out thin sheets of gold and cut strands to be worked into the blue, purple and scarlet yarn and fine linen” (EXODUS 39:3). What happened to all that exquisite craftsmanship? Did the garments simply wear out? Were they eventually carried off as plunder? Was it all in vain? Not at all! Every aspect of the effort was done because God had given specific instructions to do it.

God has given each of us something to do as well. It may be a simple act of kindness—something to give back to Him as we serve each other. We need not concern ourselves with what will happen to our efforts in the end (1 CORINTHIANS 15:58). Any task done for our Father becomes a thread extending into eternity.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EXODUS 39:1–7
Everyone who was willing and whose heart moved them came and brought an offering to the Lord for the work. [ EXODUS 35:21 ]

What are the various things God has given you to do over the course of your lifetime? How might it change your outlook to view even your most mundane tasks today as being done for Him?

Heavenly Father, help me choose to serve You today.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