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2/28/2022     월요일

성경읽기: 민수기 20-22; 마가복음 7:1-13
찬송가: 436(통493)

축하를 선택하기

작가인 메릴린 매킨타이어는 “질투의 반대는 축하”라고 하는, 친구로부터 배운 이야기를 공유했습니다. 그 친구는 신체장애와 만성적인 고통이 있어서 그녀가 바라는 대로 재능을 개발할 수 없었지만, 그녀가 죽기 전까지 “모든 상황에 감사”하며 어떤 식으로든 독특하게 기쁨을 표현하고 다른 사람들을 축하해줄 수 있었습니다.

“질투의 반대는 축하”라는 그 통찰은 긴 여운을 내게 남기면서, 다른 사람과의 비교에서 자유롭고, 다른 사람들을 깊이 진실로 기뻐하는 그런 삶을 사는 듯한 내 친구들을 떠올려주었습니다.

질투는 빠지기 쉬운 함정입니다. 그것은 우리의 가장 깊은 내면의 연약함과 상처, 두려움을 먹고 자라며, 우리가 조금만 더 이러저러하다면 힘들거나 낙담하지 않을 거라고 계속 속삭입니다.

베드로가 베드로전서 2장에서 새로 믿음을 가진 자들에게 일깨운 것처럼, 질투심이 우리에게 하는 거짓말을 “없앨”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진리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주의 인자하심을 맛보는 것”, 곧 깊이 체험하는 것입니다(1-3 절). 우리 기쁨의 진정한 원천이 “살아 있고 항상 있는 하나님의 말씀”(1:23) 임을 알 때, 우리는 “마음으로 뜨겁게 서로 사랑”(1:22)할 수 있습니다.

우리의 진정한 모습이 사랑받는 “택하신 족속이요... 그의 소유가 된 백성”이라는 것을 기억하면 비교하는 마음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어두운 데서 불러 내어 그의 기이한 빛에 들어가도록”(2:9) 부름을 받은 자들입니다.

오늘의 성구

베드로전서 2:1-3, 9-10
평온한 마음은 육신의 생명이나 시기는 뼈를 썩게 하느니라
[잠언 14:30]

당신의 삶에 영향을 주었던, 비교하지 않고 기뻐했던 어떤 사례가 있습니까?
자신이 그리스도의 지체임을 기억하는 것이 어떻게 다른 사람과 비교하는 것으로부터 당신을 자유케 합니까?

모든 선한 것들의 원천이신 사랑의 하나님, 질투가 주는 거짓말들, 곧 기쁨을 메마르게 하고 “뼈를 썩게 만드는” 거짓말들을 버리고, 대신 하나님 나라의 수많은 삶의 아름다운 선물들을 기뻐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2/28/2022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20–22; MARK 7:1–13
Hymn: 436(old493)

CHOOSING CELEBRATION

Writer Marilyn McEntyre shares the story of learning from a friend that “the opposite of envy is celebration.” Despite this friend’s physical disability and chronic pain, which limited her ability to develop her talents in the ways she’d hoped, she was somehow able to uniquely embody joy and to celebrate with others, bringing “appreciation into every encounter” before she passed away.

That insight—“the opposite of envy is celebration”—lingers with me, reminding me of friends in my own life who seem to live out this kind of comparison-free, deep, and genuine joy for others.

Envy is an easy trap to fall into. It feeds on our deepest vulnerabilities, wounds, and fears, whispering that if we were only more like so-and-so, we wouldn’t be struggling, and we wouldn’t be feeling bad.

As Peter reminded new believers in 1 Peter 2, the only way to “rid [ourselves]” of the lies that envy tells us is to be deeply rooted in the truth, to “have tasted”—deeply experienced—“that the Lord is good” (VV. 1–3). We can “love one another deeply, from the heart” (1:22) when we know the true source of our joy—“the living and enduring word of God” (V. 23).

We can surrender comparison when we remember who we really are—beloved members of “a chosen people, . . . God’s special possession.” We’re called “out of darkness into his wonderful light” (2:9).
- MONICA LA ROSE

Today's Reading

1 PETER 2:1–3, 9–10
A heart at peace gives life to the body, but envy rots the bones.
[ PROVERBS 14:30 ]

What examples of comparison-free joy have influenced your life?
How does remembering your place in the body of Christ free you from the need to compare yourself to others?

Loving God, source of all that’s good, help me to let go of envy’s lies, the kind of lies that suck out joy and “rot the bones.” Help me to instead celebrate the countless beautiful gifts of life in Your kingdom.

오늘의 말씀

02/27/2022     주일

성경읽기: 민수기 17-19; 마가복음 6:30-56
찬송가: 518(통252)

복음의 기쁨

1964년 어느 날 저녁 알래스카에서 진도 9.2의 대지진이 일어나 4분 이상 땅이 흔들리고 뒤틀렸습니다. 앵커리지에는 도시 도처의 구역들이 사라지고 엄청난 규모의 구덩이들과 잔해들이 생겼습니다. 방송국 기자 지니 챈스는 공포로 휩싸인 어두운 밤 내내 마이크를 잡고 서서 필사적으로 라디오에 귀를 기울이고 있는 사람들에게 소식을 전해주었습니다. 오지에서 일하고 있는 남편에게 아내가 살아있다는 소식을, 근심 가득한 가족들에게 보이스카우트 캠핑을 떠난 아이들이 무사하다는 소식을, 그리고 어떤 부부에게는 실종된 자녀들을 찾았다는 소식을 전해주었습니다. 폐허 속에서 순전한 즐거움이 되어준 이 기쁜 소식은 치직거리는 라디오 전파를 타고 꼬리를 물고 전해졌습니다.

이사야 선지자가 “여호와께서 내게 기름을 부으사 가난한 자에게 아름다운 소식을 전하게 하려 하심이라”(61:1)라고 했을 때 이를 들었던 이스라엘 민족도 같은 느낌이었을 것입니다. 그들이 황폐한 땅을 보며 무너진 삶과 암울한 미래로 모든 것을 다 상실한 것 같았던 바로 그 순간에 이사야는 또렷한 목소리로 기쁜 소식을 전해주었습니다. 하나님은 “마음이 상한 자를 고치며 포로된 자에게 자유를... 오래 황폐하였던 곳을 다시 쌓을 것이며 옛부터 무너진 곳을 다시 일으킬”(1, 4절) 것을 계획하셨습니다. 사람들은 공포 한가운데에서 하나님의 확실한 약속, 곧 하나님이 주시는 기쁜 소식을 들었습니다.

오늘을 사는 우리는 바로 예수님 안에서 하나님의 기쁜 소식을 듣습니다. ‘복음’이라는 말의 의미가 바로 그것입니다. 우리가 공포나 고통, 실패 가운데 있을 때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좋은 소식을 전해주시며, 그럴 때 우리의 괴로움은 기쁨으로 바뀌게 됩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61:1-7
여호와께서 내게 기름을 부으사 아름다운 소식을 전하게 하려 하심이라
[이사야 61:1]

당신의 어떤 부분에서 기쁜 소식을 경험할 필요가 있습니까?
언제 하나님의 기쁜 소식으로 두려움과 걱정이 기쁨으로 바뀐 적이 있습니까?

하나님, 저에게 기쁜 소식이 필요합니다.
항상 나쁜 소식을 듣지만, 하나님께서 세상에 대해 말씀하시는 것을 듣고 싶습니다.
하나님이 주시는 기쁨이 저에게 필요합니다.

Daily Article

02/27/2022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17–19; MARK 6:30–56
Hymn: 518(old252)

THE JOY OF GOOD NEWS

One evening in 1964, the Great Alaska earthquake shocked and writhed for more than four minutes, registering a 9.2 magnitude. In Anchorage, whole city blocks disappeared, leaving only massive craters and rubble. Through the dark, terrifying night, news reporter Genie Chance stood at her microphone, passing along messages to desperate people sitting by their radios: a husband working in the bush heard that his wife was alive; distraught families heard that their sons on a Boy Scout camping trip were okay; a couple heard that their children had been found. The radio crackled with line after line of good news—pure joy amid the ruin.

This must have been something like what Israel felt when they heard these words from the prophet Isaiah: “The Lord has anointed me to proclaim good news to the poor” (61:1). As they looked over the wasteland of their wrecked lives and grim future, Isaiah’s clear voice brought good news at the very moment when all seemed lost. God intended to “bind up the brokenhearted, to proclaim freedom for the captives. . . . [To] rebuild the ancient ruins and restore the places long devastated” (VV. 1, 4). In the midst of their terror, the people heard God’s assuring promise, His good news.

For us today, it’s in Jesus that we hear God’s good news—this is what the word gospel means. Into our fears, pains, and failures, He delivers good news. And our distress gives way to joy.
- WINN COLLIER

Today's Reading

ISAIAH 61:1–7
The Lord has anointed me to proclaim good news.
[ ISAIAH 61:1 ]

Where do you need to experience good news?
When has God’s good news replaced your fear and worry with joy?

God, I need some good news. I hear bad news all the time.
I need to hear what You say about things.
I need the joy You bring.

오늘의 말씀

02/26/2022     토요일

성경읽기: 민수기 15-16; 마가복음 6:1-29
찬송가: 559(통305)

가족의 일원

‘다운튼 애비’는 1900년대 초 영국 사회구조의 변화를 겪는 가상의 크롤리 가족을 다루었던 인기 있는 영국 텔레비전 드라마였습니다. 주인공 중 한 명인 톰 브랜슨은 처음에 가족의 운전기사로 일하다가 크롤리 가족의 막내딸과 결혼하여 모두를 놀라게 합니다. 얼마간의 도피 기간이 지난 후 이 젊은 부부는 다운튼 애비로 돌아왔는데, 톰은 가족의 일원이 되어 이전에 직원으로서는 누리지 못했던 권리와 특권들을 얻게 되었습니다.

우리는 한때 “외인과 나그네”(에베소서 2:19)로 여겨졌고 하나님 가족의 일원에게 주어지는 권리에서 제외되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으로 말미암아 모든 믿는 자들은 그들의 배경에 상관없이 하나님과 화해하여 “하나님의 권속”(19절)으로 불립니다.

하나님의 가족이 되는 것은 엄청난 권리와 특권을 가져다줍니다. 우리는 “담대함과 확신을 가지고 하나님께 나아갈”(3:12) 수 있으며, 방해받지 않고 무제한으로 하나님을 가까이하는 기쁨을 누릴 수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더 큰 가족, 곧 우리를 지지하고 격려해주는 믿음의 공동체의 일부가 됩니다 (2:19-22). 하나님의 가족 구성원들은 아낌없이 주시는 하나님의 엄청난 사랑을 붙잡을 수 있도록 서로 도와주는 특권을 지니고 있습니다(3:18).

두려움이나 의심은 우리로 하여금 쉽게 외인처럼 느끼게 하고, 하나님의가족의 일원이 되어 누릴 수 있는 혜택을 충분히 누리지 못하게 합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거저 주시는 풍성한 사랑의 선물(2:8–10)에 대해 다시 듣고 받아들여, 하나님의 가족이라는 그 경이로움을 즐겨 누리십시오.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2:19-22
그러므로 이제부터 너희는 외인도 아니요 나그네도 아니요 오직 성도들과 동일한 시민이요 하나님의 권속이라
[에베소서 2:19]

하나님의 가족이 되면 어떤 다른 혜택들이 있습니까?
하나님의 자녀라는 것을 알 때 오늘 얼마나 담대히 하나님 앞에 나아갈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저를 하나님 가족으로 즐거이 받아 주시고, 하나님의 자녀로서 그에 따르는 모든 권리와 특권까지 주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2/26/2022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15–16; MARK 6:1–29
Hymn: 559(old305)

PART OF THE FAMILY

Downton Abbey was a popular British television drama that followed the fictional Crawley family as they navigated a changing social structure in early 1900s England. One of the key characters, Tom Branson, initially worked as the family’s chauffeur before shocking everyone by marrying the youngest Crawley daughter. Following a period of exile, the young couple returned to Downton Abbey and Tom became part of the family, gaining access to rights and privileges he had been denied as an employee.

We were once considered “foreigners and strangers” (EPHESIANS 2:19) and excluded from the rights given to those who are part of God’s family. But because of Jesus, all believers, regardless of their background, are reconciled to God and called “members of his household” (V. 19).

Being a member of God’s family brings incredible rights and privileges. We can “approach God with freedom and confidence” (3:12) and enjoy unlimited, unhindered access to God. We become part of a larger family, a community of faith to support and encourage us (2:19–22). Members of God’s family have the privilege of helping each other grasp the enormity of God’s lavish love (3:18).

Fear or doubt could easily make us feel like an outsider, keeping us from fully accessing the benefits of being part of God’s family. But hear and embrace once more the reality of God’s free and generous gifts of love (2:8–10) and bask in the wonder of being His.
- LISA M. SAMRA

Today's Reading

EPHESIANS 2:19–22
You are no longer foreigners and strangers, but fellow citizens with God’s people and also members of his household.
[ EPHESIANS 2:19 ]

What are some other benefits of belonging to the household of God?
How might you approach God in confidence today knowing you’re one of His children?

Heavenly Father, thank You for welcoming me into Your family and giving me all the rights and privileges that come with being
a child of God.

오늘의 말씀

02/25/2022     금요일

성경읽기: 민수기 12-14; 마가복음 5:21-43
찬송가: 585(통384)

문을 피하라

겨울잠쥐가 코를 씰룩거렸습니다. 무언가 맛있는 것이 근처에 있었습니다. 아니나 다를까, 맛있는 씨앗이 가득한 새 모이통에서 그 향기가 흘러나오고 있었습니다. 겨울잠쥐는 모이통을 매달고 있는 줄을 타고 내려가 문으로 미끄러져 들어가서 밤새 씨앗을 먹고 또 먹었습니다. 그는 아침이 되어서야 자신이 곤경에 처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새들이 모이통의 문을 통해 그를 쪼아대고 있었는데, 씨앗을 잔뜩 먹은 쥐는 몸집이 두 배나 되어 있어 도망칠 수가 없었습니다.

문은 우리를 멋진 곳이나 아니면 위험한 곳으로 이끌 수 있습니다. 성적인 유혹을 피하라는 잠언 5장의 솔로몬의 충고에서 문이 두드러지게 눈에 띕니다. 그는 성적인 죄는 매혹적이지만 그것을 추구하면 곤경에 처한다고 말합니다 (5:3-6). 그 문을 지나 들어가면 거기에 갇혀 명예는 사라지고 낯선 사람들이 부를 빼앗아갈 것이기 때문에 그 문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7-11절). 솔로몬은 대신 자신의 배우자와의 친밀한 관계를 누리라고 충고합니다 (15-20절). 그의 충고는 여러 다른 죄에도 폭넓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21-23 절). 그것이 과식이나 과소비, 혹은 어떤 다른 유혹이든, 하나님은 우리가 덫에 갇히게 되는 문을 피할 수 있도록 도와주실 수 있습니다.

겨울잠쥐는 집주인이 정원에 있는 새 모이통에서 그를 발견하고 풀어주었을 때 틀림없이 행복했을 것입니다. 감사한 것은 하나님의 손도 우리가 갇혔을 때 우리를 자유롭게 해주실 준비가 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먼저 덫에 가두는 문을 피할 수 있도록 하나님의 능력을 구하십시오.

오늘의 성구

잠언 5:1-14
네 길을 그에게서 멀리하라 그의 집 문에도 가까이 가지 말라
[잠언 5:8]

당신을 가장 유혹하는 “문”은 어떤 것입니까?
오늘 그 문을 어떻게 피하시겠습니까?

전능하신 하나님, 덫에 가두는 문을 피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2/25/2022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12–14; MARK 5:21–43
Hymn: 585(old384)

AVOID THE DOOR

The dormouse’s nose twitched. Something tasty was nearby. Sure enough, the scent led to a birdfeeder full of delicious seed. The dormouse climbed down the chain to the feeder, slipped through the door, and ate and ate all night. Only in the morning did he realize the trouble he was in. Birds now pecked at him through the feeder’s door, but having gorged on the seed, he was now twice his size and unable to escape.

Doors can lead us to wonderful places—or dangerous ones. A door features prominently in Solomon’s advice in Proverbs 5 on avoiding sexual temptation. While sexual sin may be enticing, he says, trouble awaits if it’s pursued (5:3–6). Best to stay far from it, for if you walk through that door you’ll be trapped, your honor lost, your wealth pecked away by strangers (VV. 7–11). Solomon counsels us to enjoy the intimacy of our own spouse instead (VV. 15–20). His advice can apply to sin more broadly too (VV. 21–23). Whether it’s the temptation to overeat, overspend, or something else, God can help us to avoid the door that leads to entrapment.

The dormouse must’ve been happy when the homeowner found him in her garden birdfeeder and freed him. Thankfully, God’s
hand is also ready to free us when we’re trapped. But let’s call on His strength to avoid the door of entrapment in the first place.
- SHERIDAN VOYSEY

Today's Reading

PROVERBS 5:1–14
Keep to a path far from her, do not go near the door of her house.
[ PROVERBS 5:8 ]

What “door” leads to your greatest temptation?
How will you avoid that door today?

Almighty God, help me avoid the door that leads to entrapment.

오늘의 말씀

02/24/2022     목요일

성경읽기: 민수기 9-11; 마가복음 5:1-20
찬송가: 454(통508)

리더를 따르라

아무런 말도 없었습니다. 단지 음악과 움직임 만이 있었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대유행 기간 중에 줌바가 24 시간 내내 진행되는 동안, 전 세계 수천 명의 사람들이 인도와 중국, 멕시코, 미국, 남아프리카, 유럽 일부 및 기타 지역의 강사들을 온라인으로 보고 따라 하면서 함께 운동했습니다. 이 다양한 사람들은 어떤 언어 장벽도 없이 함께 움직일 수 있었습니다. 어떻게 그것이 가능했을까요? 1990년대 중반 콜롬비아 에어로빅 강사에 의해 만들어져 운동의 열풍을 일으키고 있는 줌바의 강사들이 언어가 아닌 신호를 사용하여 의사소통을 하기 때문입니다. 수업 중 강사들이 먼저 움직이면 학생들은 그들의 움직임을 따라 합니다. 어떤 말이나 소리를 지르지 않고 그냥 따라 합니다.

말은 때로 방해가 되거나 장벽을 만들기도 합니다. 바울이 고린도 교회에 보낸 첫 번째 편지에서 언급했듯이, 말은 그들이 경험한 것과 같은 혼란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그것은 특정 음식을 먹는 것에 대한 논쟁의 소지가 있는 문제에 서로 견해가 달라 생긴 혼란이었습니다(고린도전서 10:27-30). 그러나 행동은 장벽을, 그리고 혼란마저 초월할 수 있습니다. 바울이 오늘 본문에서 말하는 것처럼, 우리는 “많은 사람의 유익”을 구하는 행동을 통해 예수님을 따르는 길을 사람들에게 보여줘야 합니다(10:32-33). 우리가 “그리스도를 본받는 자”(11:1)가 됨으로써 우리는 사람들이 주님을 믿도록 초대하는 것입니다.

누군가가 말했듯이, “항상 복음을 전하되 말은 필요한 경우에만 하십시오.” 우리가 예수님의 인도하심을 따를 때, 우리의 그런 행동을 통해 다른 사람들이 우리 믿음의 본질을 알 수 있도록 이끌어 주시기를 소원합니다. 그리고 우리의 말과 행동이 “다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여”(10:31) 행해질 수 있기를 소망합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전서 10:23-11:1
내가 그리스도를 본받는 자가 된 것 같이 너희는 나를 본받는 자가 되라
[고린도전서 11:1]

행동을 통해 다른 사람들에게 보여주고 있는 당신의 비언어적 믿음의 신호는 무엇입니까?
사람들이 어떻게 당신의 말과 행동에서 그리스도를 볼 수 있습니까?

아버지 하나님, 예수님께서 본을 보여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말과 행동으로 주님을 어떻게 따라야 할지 보여 주소서.

Daily Article

02/24/2022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9–11; MARK 5:1–20
Hymn: 454(old508)

FOLLOW THE LEADER

No words. Just music and moving. During a twenty-four-hour Zumba marathon amid the COVID-19 pandemic, thousands of people from around the globe worked out together and virtually followed instructors from India, China, Mexico, America, South Africa, parts of Europe, and several other places. These diverse individuals were able to move together without any language barriers. Why? Because instructors of the exercise craze Zumba, created in the mid-1990s by a Colombian aerobics instructor, utilize nonverbal cues to communicate. Class instructors move, and students follow their lead. They follow with no words uttered or shouted.

Words can sometimes get in the way and create barriers. They may cause confusion such as the Corinthians experienced, as noted in Paul’s first letter to them. It was confusion brought about by differing views of disputable matters pertaining to the eating of particular foods (1 CORINTHIANS 10:27–30). But our actions can transcend barriers and even confusion. As Paul says in today’s passage, we should show people how to follow Jesus through our actions—seeking “the good of many” (10:32–33). We invite the world to believe in Him as we “follow the example of Christ” (11:1).

As someone once said, “Preach the gospel at all times. Use words when necessary.” As we follow Jesus’ lead, may He guide our actions to cue others to the reality of our faith. And may our words and actions be done “all for the glory of God” (10:31).
- KATARA PATTON

Today's Reading

1 CORINTHIANS 10:23–11:1
Follow my example, as I follow the example of Christ.
[ 1 CORINTHIANS 11:1 ]

What nonverbal faith cues are you showing others through your actions?
How are people able to see Christ in your words and actions?

Father God, thank You for the example of Jesus.
Show me how to follow Him in actions and in words every day.

오늘의 말씀

02/23/2022     수요일

성경읽기: 민수기 7-8; 마가복음 4:21-41
찬송가: 78(통75)

별들의 도전

20세기 초 이탈리아의 시인 마리네티는 과거를 거부하며 전통적인 미의 관념을 비웃고, 대신 기계를 미화하는 예술운동인 미래주의를 시작했습니다. 1909년 마리네티는 “여성에 대한 경멸”을 천명한 ‘미래주의 선언문’을 썼으며, “주먹다툼”을 신봉하며 “우리는 전쟁을 찬양하기를 원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 선언문은 “우리는 세계 정상에 서서 다시 한번 별들을 향한 당찬 도전을 시작한다!”고 끝을 맺고 있습니다.

마리네티의 선언문 후 5년이 지나 현대식 전쟁이 본격적으로 시작 되었습니다. 제1차 세계대전은 영광을 가져오지 않았으며 마리네티 자신은 1944년에 사망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제자리를 지키고 있는 별들은 전혀 알아차리지도 못했습니다.

다윗 왕은 완전히 다른 시각을 가지고 별들을 시로 노래했습니다. 그는 이렇게 썼습니다. “주의 손가락으로 만드신 주의 하늘과 주께서 베풀어 두신 달과 별들을 내가 보오니 사람이 무엇이기에 주께서 그를 생각하시며 인자가 무엇이기에 주께서 그를 돌보시나이까”(시편 8:3-4). 다윗의 질문은 불신의 질문이 아니라 놀라움에 찬 겸손에서 나온 질문입니다. 그는 이 광대한 우주를 만드신 하나님이 참으로 우리를 마음에 두신다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상세한 것 하나하나, 곧 좋은 것과 나쁜 것, 겸손한 것, 당돌한 것, 심지어 어리석은 것까지 다 아십니다.

별들에게 도전하는 것은 무의미합니다. 오히려 별들이 우리 창조주를 찬양하라고 우리에게 도전합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8
사람이 무엇이기에 주께서 그를 생각하시며
[시편 8:4]

하나님을 위한 여지를 남기지 않는 현재의 철학이나 운동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창조주를 생각나게 하는 것은 무엇이며, 그것이 어떻게 주님을 찬양하도록 만듭니까?

하나님 아버지, 저를 향한 하나님의 사랑을 놀라움과 경외심과 겸손한 마음으로 받아들입니다.
제가 누구이기에 저를 사랑하시는지, 정말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2/23/2022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7–8; MARK 4:21–41
Hymn: 78(old75)

THE CHALLENGE OF THE STARS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Italian poet F. T. Marinetti launched Futurism, an artistic movement that rejected the past, scoffed at traditional ideas of beauty, and glorified machinery instead. In 1909, Marinetti wrote his Manifesto of Futurism, in which he declared “contempt for women,” praised “the blow with the fist,” and asserted, “We want to glorify war.” The manifesto concludes: “Standing on the world’s summit we launch once again our insolent challenge to the stars!”

Five years after Marinetti’s manifesto, modern warfare began in earnest. World War I did not bring glory. Marinetti himself died in 1944. The stars, still in place, took no notice.

King David sang poetically of the stars but with a dramatically different outlook. He wrote, “When I consider your heavens, the
work of your fingers, the moon and the stars, which you have set in place, what is mankind that you are mindful of them, human beings that you care for them?” (PSALM 8:3–4). David’s question isn’t one of disbelief but of amazed humility. He knew that the God who made this vast cosmos is indeed mindful of us. He notices every detail about us—the good, the bad, the humble, the insolent—even the absurd.

It’s pointless to challenge the stars. Rather, they challenge us to praise our Creator.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PSALM 8
What is mankind that you are mindful of them?
[ PSALM 8:4 ]

What current philosophies or movements can you think of that leave no room for God?
What reminds you of your Creator, and how does that prompt you to praise Him?

Heavenly Father, I acknowledge Your love for me with feelings of amazement, awe, and humility.
Who am I? Thank You for loving me!

오늘의 말씀

02/22/2022     화요일

성경읽기: 민수기 4-6; 마가복음 4:1-20
찬송가: 293(통414)

소중한 사람들을 사랑하라

아모스는 외향적이며 거만한 사람이었고, 대니는 자신에 대한 회의로 힘들어하며 혼자 있기를 좋아하는 사람이었습니다. 어쩐 일인지 이 괴짜 천재들이 단짝 친구가 되었습니다. 그들은 함께 웃고 배우면서 10년을 같이 보냈는데, 어느 날 그들의 업적으로 노벨상을 받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대니는 아모스의 자기중심적인 행동에 싫증이 나 친구 관계를 그만두자고 말했습니다.

삼일 후, 아모스는 전화로 충격적인 소식을 전했습니다. 그가 암에 걸려 6개월 밖에 살지 못한다는 진단을 받았다는 것입니다. 마음이 찢어진 대니는 “네가 어떻게 생각하든 우리는 친구야.”라고 말했습니다.

바울은 완고한 선지자였고, 바나바는 온화한 성품의 격려자였습니다. 성령님은 그들을 한데 묶어 선교여행을 보냈습니다(사도행전 13:2-3). 그들은 함께 설교하며 교회들을 세워 나가다가 의무를 저버리고 떠난 마가에 대해 서로 의견을 달리하게 되었습니다. 바나바는 마가에게 한번 더 기회를 주기를 원했고, 바울은 그를 더 이상 신뢰할 수 없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그들은 헤어졌습니다(15:36-41).

바울은 결국에는 마가를 용서했습니다. 바울은 세 서신서를 쓰면서 마가로부터의 인사를 전하거나 마가를 추천하면서 마무리했습니다(골로새서 4:10; 디모데후서 4:11; 빌레몬서 1:24). 그가 바나바와는 어떻게 되었는지 우리는 모릅니다. 바울과 화해할 만큼 바나바가 오래 살았을까요? 그랬기를 바랍니다.

오늘 상황이 어떻든, 당신과 사이가 틀어졌을지도 모르는 사람들에게 다가가도록 노력해 보십시오. 바로 지금이 당신이 그들을 얼마나 사랑하는지 보여주고 말해줄 수 있는 시간입니다.

오늘의 성구

골로새서 4:7-10
그가 이르거든 영접하라
[골로새서 4:10]

지금 누구와 화해가 필요합니까?
만일 그 사람이 더 이상 살아 있지 않다면 당신의 그 아픔을 어떻게 해야 할까요?

하나님 아버지, 삶의 한가지 주된 목적이 주위 사람들에게 사랑을 보여주는 것임을 알게 하소서.

Daily Article

02/22/2022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4–6; MARK 4:1–20
Hymn: 293(old414)

LOVE YOUR LOVED ONES

Amos was an overbearing extrovert, and Danny was a loner wracked with self-doubt. Somehow these eccentric geniuses became best friends. They spent a decade laughing and learning together. One day their work would receive a Nobel Prize. But Danny tired of Amos’ self-centered ways and told him they were no longer friends.

Three days later, Amos called with terrible news. Doctors had found cancer and given him six months to live. Danny’s heart broke. “We’re friends,” he said, “whatever you think we are.”

Paul was a hard-nosed visionary and Barnabas a soft-hearted encourager. The Spirit put them together and sent them on a missionary journey (ACTS 13:2–3). They preached and started churches, until their disagreement over Mark’s desertion. Barnabas wanted to give Mark a second chance. Paul said he could no longer be trusted. So they split up (15:36–41).

Paul eventually forgave Mark. He closed three letters with greetings from or commendations for him (COLOSSIANS 4:10; 2 TIMOTHY 4:11; PHILEMON 1:24). We don’t know what happened with Barnabas. Did he live long enough to be reconciled with Paul in this life? I hope so. Whatever your situation today, try to reach out to those with whom you may have had a falling out. Now is the time to show and tell them how much you love them.
- MIKE WITTMER

Today's Reading

COLOSSIANS 4:7–10
If he comes to you, welcome him.
[ COLOSSIANS 4:10 ]

With whom do you need to reconcile?
What can you do with your pain if that person is no longer living?

Father, help me to see that one primary purpose of life is to show love to those around me.

오늘의 말씀

02/21/2022     월요일

성경읽기: 민수기 1-3; 마가복음 3
찬송가: 377(통451)

“할 수 없다”라고 절대 말하지 말라

젠은 다리가 없이 태어나 병원에 버려졌습니다. 그럼에도 입양된 것은 축복이었다고 그녀는 말합니다. “내가 여기 이렇게 있는 것은 내게 쏟아져 온 사람들 덕분이에요.” 그녀를 입양한 가정은 그녀가 “어떤 이유가 있어서 그렇게 태어난 것”이라고 말해주었습니다. 그들은 “‘할 수 없다’라고 절대 말하지 않도록” 그녀를 양육하면서, 숙련된 곡예사와 공중 곡예사가 되는 것 등, 그녀가 추구하는 모든 일을 격려해 주었습니다. 그녀는 어려운 일들을 만나면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라는 태도로 임하면서, 다른 사람들도 따라 하도록 동기부여를 해주고 있습니다.

성경에는 스스로 소명을 감당할 수 없거나 부적합하다고 느꼈지만 그럼에도 하나님이 사용하셨던 많은 사람들의 이야기가 있습니다. 모세가 전형적인 예입니다. 하나님이 모세를 불러 이스라엘 백성을 애굽에서 인도해 내라고 하셨을 때, 그는 망설이면서(출애굽기 3:11; 4:1) “나는 말이 느리고 혀가 둔한 자입니다”(현대인의 성경)라며 항의했습니다. 그러자 하나님은 말씀하셨습니다. “누가 사람의 입을 지었느냐 누가 말 못 하는 자나 못 듣는 자...가 되게 하였느냐 나 여호와가 아니냐 이제 가라 내가 네 입과 함께 있어서 할 말을 가르치리라”(4:10-12). 그러나 모세가 여전히 반대하자, 하나님은 그를 대신해 말하도록 아론을 세우시면서 하나님이 그들을 도와주시겠다고 확신시켜 주셨습니다(13-15절).

젠이나 모세처럼, 우리 모두는 이 세상에 존재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가 그 길을 가는 동안 하나님은 은혜로 우리를 도와주십니다. 하나님은 사람들을 보내어 우리를 돕게 하시고 하나님을 위해 사는데 필요한 것들을 공급해 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출애굽기 3:7-10; 4:10-15
이제 가라 내가 네 입과 함께 있어서 할 말을 가르치리라
[출애굽기 4:12]

하나님이 하라고 느껴지는 어떤 일이나 역할을 할 수 없거나 준비가 덜 되었다고 느낀 적이 있었습니까? 그때 하나님이 어떻게 도와주셨습니까?

하나님, 이 땅에서 저 혼자 힘으로 모든 것을 감당하도록 내버려 두지 않으셔서 아주 기쁩니다. 하나님의 사랑과 인도하심, 그리고 제 삶에 허락하신 사람들로 인해 감사드립니다.

Daily Article

02/21/2022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1–3; MARK 3
Hymn: 377(old451)

NEVER SAY “CAN’T”

Jen was born without legs and abandoned at the hospital. Yet she says being put up for adoption was a blessing. “I am here because of the people who poured into me.” Her adoptive family helped her to see she was “born like this for a reason.” They raised her to “never say ‘can’t’ ” and encouraged her in all her pursuits—including becoming an accomplished acrobat and aerialist!She meets challenges with an attitude of “How can I tackle this?” and motivates others to do the same.

The Bible tells the stories of many people God used who seemed incapable or unsuited for their calling—but God used them anyway. Moses is a classic example. When God called him to lead the Israelites out of Egypt, he balked (EXODUS 3:11; 4:1) and protested, “I am slow of speech and tongue.” God replied, “Who gave human beings their mouths? Who makes them deaf or mute? . . . Is it not I, the Lord? Now go; I will help you speak and will teach you what to say” (4:10–12). When Moses still protested, God provided Aaron to speak for him and assured him He would help them (VV. 13–15).

Like Jen and like Moses, all of us are here for a reason—and God graciously helps us along the way. He supplies people to help us and provides what we need to live for Him.
- ALYSON KIEDA

Today's Reading

EXODUS 3:7–10; 4:10–15
Now go; I will help you speak and will teach you what to say.
[ EXODUS 4:12 ]

When have you felt incapable or ill-equipped for a task or role you felt God calling you to fill? How did God help you?

God, I’m so glad you didn’t leave me here on this earth to do it all on my own. Thank You for Your love and guidance and the people You’ve placed in my life.

오늘의 말씀

02/20/2022     주일

성경읽기: 레위기 26-27; 마가복음 2
찬송가: 370(통455)

하나님께 기대어

해리엇 터브먼은 글을 읽을 수도, 쓸 수도 없었습니다. 그녀는 청소년 시절 잔인한 노예 주인의 손에 머리를 다쳤는데, 그 부상으로 발작과 의식을 잃는 일을 평생 겪었습니다. 하지만 하나님은 노예 생활에서 벗어난 그녀를 사용하여 300명이나 되는 사람들을 구해 내셨습니다.

그녀로 인해 자유를 찾은 사람들이 붙여준 “모세”라는 별명을 가진 해리엇은 남북전쟁 이전의 남부지역으로 용감하게 19번이나 건너가서 다른 사람들을 구했습니다. 그녀는 자신의 머리에 현상금이 붙어 있고 목숨이 계속 위태로울 때에도 멈추지 않았습니다. 헌신적으로 예수님을 믿었던 그녀는 갈 때마다 찬송가와 성경책을 지니고 다니면서 사람들에게 성경구절들을 읽게 했으며, 그것들을 외우려고 애썼고 또 자주 인용했습니다. “나는 어디서든 내가 하는 일을 놓고 항상 기도했습니다. 항상 주님께 말씀드렸습니다.”라고 그녀는 말했습니다. 그녀는 또한 작은 성공도 하나님께 영광을 돌렸습니다. 그녀의 삶은 바울 사도가 초기 기독교인들에게 한 가르침의 살아있는 본보기였습니다. “항상 기뻐하라 쉬지 말고 기도하라 범사에 감사하라 이것이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너희를 향하신 하나님의 뜻이니라”(데살로니가전서 5:16-18).

우리가 어려움 속에서도 하나님을 찬양하며 매순간 하나님께 기대고 기도에 의지하며 살아갈 때, 하나님은 아무리 어려운 일도 이룰 수 있는 힘을 우리에게 주십니다. 우리 구세주께서는 우리가 부딪히는 그 어떤 것보다도 크시며, 그분을 바라볼 때 우리를 인도해 주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데살로니가전서 5:12-24
쉬지 말고 기도하라
[데살로니가전서 5:17]

하나님 앞에서 시간을 보내면 어떻게 더 강해집니까?
오늘 어떻게 “하나님께 기대어” 지내시겠습니까?

전능하신 사랑의 하나님, 오늘 하나님과 함께 매 순간을 살 수 있도록, 그리고 하나님만이 주실 수 있는 힘을 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2/20/2022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LEVITICUS 26–27; MARK 2
Hymn: 370(old455)

LEANING INTO GOD

Harriet Tubman couldn’t read or write. As an adolescent, she suffered a head injury at the hands of a cruel slave master. That injury caused her to have seizures and lapses of consciousness for the rest of her life. But once she escaped slavery, God used her to rescue as many as three hundred others.

Nicknamed “Moses” by those she freed, Harriet bravely made nineteen trips back to the pre-Civil War South to rescue others. She continued even when there was a price on her head and her life was in constant danger. A devoted believer in Jesus, she carried a hymnal and a Bible on every trip and had others read her verses, which she committed to memory and quoted often. “I prayed all the time,” she said, “about my work, everywhere; I was always talking to the Lord.” She also gave God credit for the smallest successes. Her life was a powerful expression of the apostle Paul’s instruction to the earliest Christians: “Rejoice always, pray continually, give thanks in all circumstances; for this is God’s will for you in Christ Jesus” (1 THESSALONIANS 5:16–18).

When we lean into God in the moment and live dependently in prayer, praising Him despite our difficulties, He gives us the strength to accomplish even the most challenging tasks. Our Savior is greater than anything we face, and He will lead us as we look to Him.
- JAMES BANKS

Today's Reading

1 THESSALONIANS 5:12–24
Pray continually.
[ 1 THESSALONIANS 5:17 ]

How does spending time in God’s presence make you stronger?
In what ways will you “lean into Him” today?

Loving and Almighty God, please help me to live every moment with You today and to receive the strength You alone can give.

오늘의 말씀

02/19/2022     토요일

성경읽기: 레위기 25; 마가복음 1:23-45
찬송가: 546(통399)

하나님께 집중하기

피루에뜨는 발레리나와 현대 무용수들이 하는 우아한 회전입니다. 나는 어렸을 때 현대 무용 수업에서 피루에뜨를 하는 것을 좋아하여 머리가 어지러워 바닥에 쓰러질 때까지 계속 빙빙 돌았습니다. 나이가 들어 균형과 제어를 유지하기 위해 배운 기술이 “스팟팅”이었습니다. 그것은 한 바퀴를 돌 때마다 눈을 맞추는 한 지점을 정해두는 것입니다. 내가 피루에뜨를 우아하게 마무리하는 데에는 그 초점 하나만 있으면 되었습니다.

우리는 모두 살면서 많은 우여곡절을 겪습니다. 그러나 우리의 문제에만 초점을 맞추면 맞닥뜨리는 것들이 감당할 수 없어 보이고 어지럽게 하고 처참히 쓰러지게 만듭니다. 성경은 우리가 한결같이 하나님께 우리 마음을 두거나 집중한다면, 하나님은 우리를 “평강하고 평강하도록”(이사야 26:3) 지키신다고 상기시켜 줍니다. 그런 완전한 평화는 삶에 아무리 많은 전환점이 있더라도 문제와 시련 가운데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하실 것을 확신하며 평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나님의 약속은 결코 변치 않기 때문에, 그분은 우리의 눈을 고정시킬 궁극적인 “점”, 곧 “영원한 반석”(4절)이 되십니다.

우리가 하나님께 나아가 기도하고 성경에 있는 하나님의 약속을 공부하면서 매일 하나님께 초점을 맞출 수 있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우리의 영원한 반석이신 하나님을 의지하여 한 평생 우아하게 앞으로 나아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26:3-4
주께서 심지가 견고한 자를 평강하고 평강하도록 지키시리니 이는 그가 주를 신뢰함이니이다
[이사야 26:3]

요즘 어떤 문제들이 있습니까?
지금 겪고 있는 시련에 대해 하나님은 성경에서 어떻게 말씀하십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매일 부딪히는 문제에만 집중하는 저를 용서해 주소서. 이 세상을 정복하신 하나님이 저의 시련보다 더 크신 분이라는 것을 압니다. 모든 상황 속에서 저의 눈과 마음을 하나님께로 향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2/19/2022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LEVITICUS 25; MARK 1:23–45
Hymn: 546(old399)

SPOTTING GOD

A pirouette is a graceful spin that’s executed by ballerinas and contemporary dancers alike. As a child, I loved to do pirouettes in my modern dance class, whirling round and round until I was dizzy in the head and fell to the ground. As I got older, a trick I learned to help me maintain my balance and control was “spotting”—identifying a single point for my eyes to return to each time I made a full circle spin. Having a single focal point was all I needed to master my pirouette with a graceful finish.

We all face many twists and turns in life. When we focus on our problems, however, the things we encounter seem unmanageable, leaving us dizzy and heading toward a disastrous fall. The Bible reminds us that if we keep our minds steadfast, or focused, on God, He’ll keep us in “perfect peace” (ISAIAH 26:3). Perfect peace means that no matter how many turns life takes, we can remain calm, assured that God will be with us through our problems and trials. He’s the “Rock eternal” (V. 4)—the ultimate “spot” to fix our eyes on—because His promises never change.

May we keep our eyes on Him as we go through each day, going to Him in prayer and studying His promises in the Scriptures. May we rely on God, our eternal Rock, to help us move gracefully through all of life.
- KIMYA LODER

Today's Reading

ISAIAH 26:3–4
You will keep in perfect peace those whose minds are steadfast, because they trust in you.
[ ISAIAH 26:3 ]

What problems have you been focused on lately?
What has God revealed in Scripture about the trials you face?

Dear heavenly Father, forgive me for focusing on the problems I face each day. I know You’ve conquered the world and remain bigger than my trials. Help me turn my eyes and heart to You in every circumstance.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