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2/08/2022 화요일
성공과 희생
수업 시간에 아들의 선생님이 이렇게 물었습니다. “주인공이 산에 오르지 못했으니 실패한 것일까?” 한 학생이 “네, 그는 천성적으로 실패할 아이였어요.”라고 말했습니다. 그러자 다른 학생이 그에 동의하지 않으면서, 소년이 다른 사람을 돕기 위해 자신의 중요한 것을 포기했으므로 실패하지 않았다고 했습니다.
우리가 우리의 계획을 제쳐 두고 다른 이들을 돕는 것은 예수님처럼 행동하는 것입니다. 예수님은 두루 다니시며 하나님의 진리를 전하기 위해 가정과 안정된 수입과 사회에서 인정받는 것을 희생하셨습니다. 주님은 우리를 죄에서 자유롭게 하고 하나님의 사랑을 보여주시기 위해 자신의 목숨을 포기하기까지 하셨습니다(요한1서 3:16).
세상이 추구하는 성공과 하나님께서 인정하시는 성공은 아주 다릅니다. 하나님은 불이익을 당하고 상처 입은 사람들을 구하려 애쓰는 긍휼의 사랑을 귀하게 여기시며(17절), 사람들을 보호하는 결정들을 찬성하십니다. 하나님의 도움으로 우리는 우리의 가치관을 하나님의 가치관과 일치시키고, 그분과 다른 사람들을 사랑하는데 우리 자신을 헌신할 수 있습니다. 이 땅에서의 가장
중요한 성취는 바로 그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1서 3:11-18[예수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목숨을 버리셨으니 우리가 이로써 사랑을 알고
[요한1서 3:16]
성공을 쫓는 일이 당신의 삶에 어떻게 영향을 끼쳤습니까?
왜 때때로 우리는 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일에 우리의 가치관을 맞추기가 어려울까요?
하늘에 계신 아버지, 하나님 보시기에 성공적인 삶을 살고 싶습니다.
하나님께서 저를 사랑하신 것처럼 다른 이들을 사랑하는 법을 가르쳐주소서.
Daily Article
02/08/2022 TUESDAY
SUCCESS AND SACRIFICE
In the classroom, my son’s teacher asked, “Was the main character a failure because he didn’t climb the mountain?” One student said, “Yes, because it was in his DNA to fail.” But another child disagreed. He reasoned that the boy was not a failure, because he gave up something important to help someone else.
When we set aside our plans and care for others instead, we’re acting like Jesus. Jesus sacrificed having a home, reliable income, and social acceptance to travel and share God’s truth. Ultimately, He gave up His life to free us from sin and show us
God’s love (1 JOHN 3:16).
Earthly success is much different from success in God’s eyes. He values the compassion that moves us to rescue disadvantaged and hurting people (V. 17). He approves of decisions that protect people. With God’s help, we can align our values with His and devote ourselves to loving Him and others, which is the most significant achievement there is.
- JENNIFER BENSON SCHULDT
Today's Reading
1 JOHN 3:11–18This is how we know what love is: Jesus Christ laid down his life for us.
[ 1 JOHN 3:16 ]
How has the quest for success affected your life?
Why is it sometimes difficult to align our values with what matters to God?
Heavenly Father, I want to be successful in Your eyes.
Teach me how to love others the way You love me.
오늘의 말씀
02/07/2022 월요일
원하는 것을 얻기
비극을 부르는 권력 다툼은 역사적으로 늘 있었습니다. 다윗 왕의 죽음이 가까워 오자 그의 아들 아도니야는 다윗의 수장과 한 유력한 제사장을 자기편으로 끌어들여 자신을 왕으로 세우려 했습니다(열왕기상1:5-8). 그러나 다윗은 솔로몬을 왕으로 세웠고(17절), 나단 선지자의 도움으로 반란은 진압되었습니다(11-53절). 처벌을 면한 아도니야가 그럼에도 왕위를 빼앗기 위해 두 번째 음모를 꾸미자 솔로몬은 그를 처형했습니다(2:13-25).
우리 인간은 얼마나 남의 것을 탐하는지요! 아무리 권력이나 명예나 소유를 추구해도 결코 만족할 수 없어서 항상 무언가를 더 얻으려고 합니다. “자기를 낮추시고 십자가에 달려 죽기까지 순종하신”(빌립보서 2:8, 현대인의 성경) 예수님과 얼마나 다른 모습인지요!
역설적이게도, 자신의 야망을 이기적으로 쫓아 살면 마음 깊은 곳의 진정한 소망을 결코 이루지 못합니다. 결과를 하나님께 온전히 맡길 때에만 평화와 기쁨에 이르게 됩니다.
오늘의 성구
열왕기상 1:5, 32-37아도니야가 스스로 높여서 이르기를 내가 왕이 되리라 하고 [열왕기상 1:5]
당신의 욕망과 목표는 당신의 마음에 대해 무어라고 말해 줍니까?
오늘 하나님께 드려야 할 것은 무엇입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저에게 주신 역할을 잘 감당하게 하시고 더 욕심내지 않도록 해주소서. 모든 일에 주님을 신뢰하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2/07/2022 MONDAY
GETTING WHAT WE WANT
Political power plays are a tragic part of history. When King David was nearing death, his son Adonijah recruited David’s commander and a leading priest to make him king (1 KINGS 1:5–8). But David had chosen Solomon as king (V. 17). With the help of the prophet Nathan, the rebellion was put down (VV. 11–53). Despite his reprieve, Adonijah plotted a second time to steal the throne, and Solomon had him executed (2:13–25).
How human of us to want what’s not rightfully ours! No matter how hard we pursue power, prestige, or possessions, it’s never quite enough. We always want something more. How unlike Jesus, who “humbled himself by becoming obedient to death—even death on a cross”! (PHILIPPIANS 2:8).
Ironically, selfishly pursuing our own ambitions never brings us our truest, deepest longings. Leaving the outcome to God is the only path to peace and joy.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1 KINGS 1:5, 32–37Adonijah . . . put himself forward and said, “I will be king.” [ 1 KINGS 1:5 ]
What do your desires and goals tell you about your heart?
What do you need to give to God today?
Dear God, please help me fill the role You’ve given me and not to covet more. Help me trust You in everything.
오늘의 말씀
02/06/2022 주일
단 잠
잠은 우리 삶의 필요한 부분이지만 가끔 쉽게 잠들지 못할 때가 있습니다. 때로는 성령님께서 우리가 고백하지 않은 죄를 일러주시는 음성을 듣기도 하고, 직장 일, 사람들과의 관계, 재정, 건강, 혹은 자녀들에 대한 걱정을 하기도 합니다. 그러다 보면 곧 전반적인 암울한 미래가 머릿속에 맴돌기 시작합니다. 좀 잔 것 같은데 시계를 보면 아주 조금 밖에 시간이 지나지 않은 것을 알게 됩니다.
잠언 3:19-24에서 솔로몬 왕은 우리가 하나님의 지혜와 명철, 지식에서 떠나지 않으면 편안한 잠을 잘 수 있다고 말합니다. 실제로 그는 “그것이 네 영혼의 생명이 되며... 네가 누울 때에 두려워하지 아니하겠고 네가 누운 즉 네 잠이 달리로다”(22, 24절)라고 하였습니다.
아마도 우리 모두는 뒤죽박죽 마구 흐트러진 생각들에서 하나님과 그분의 성품에 온전히 집중된 마음으로 옮겨갈 수 있도록 부드럽게 속삭이며 도와줄 “한밤중”의 노래나 기도, 혹은 성경 구절이 필요할 지도 모르겠습니다. 깨끗한 양심이 있고, 마음속에 하나님의 신실하심과 사랑에 대한 감사가 넘치면 단 잠을 잘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잠언 3:19-24네가 누울 때에 두려워하지 아니하겠고 네가 누운 즉 네 잠이 달리로다 [잠언 3:24]
잠을 잘 수 없을 때 하나님께로 향하면 어떻게 평화가 찾아올까요?
어떤 노래, 기도, 성경 구절을 묵상할 때 하나님께 집중하게 되나요?
사랑하는 하나님, 저를 사랑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삶의 걱정들 대신 주님의 신실하심에 초점을 맞추게 하소서.
Daily Article
02/06/2022 SUNDAY
SWEET SLEEP
Sleep is a necessary—but sometimes elusive—part of life. At times we may sense the voice of the Holy Spirit bringing unconfessed sin to our mind. Or we begin worrying about our job, our relationships, our finances, our health, or our children. Soon a full-scale dystopian future starts running on a loop in our brain. We assume we nodded off for a bit, but when we look at the clock, we realize it’s been only moments since we last checked.
In Proverbs 3:19–24, King Solomon suggested that we can receive sleep benefits when we embrace God’s wisdom, understanding, and knowledge. In fact, he claimed, “They will be life for you . . . . When you lie down, you will not be afraid [and] your sleep will be sweet” (VV. 22, 24).
Maybe we all need a “middle-of-the-night” song, prayer, or Bible verse to softly whisper to help us shift our jumbled-up thoughts to a mind fully focused on God and His character. A clear conscience and a heart full of gratitude for God’s faithfulness and love can bring us sleep that’s sweet. - CINDY HESS KASPER
Today's Reading
PROVERBS 3:19–24When you lie down, you will not be afraid [and] your sleep will be sweet. [ PROVERBS 3:24 ]
How might turning to God when you can’t sleep give you peace?
What song, prayer, or Scripture can you meditate on to help you focus on God?
Dear God, thank You for loving me. Help me to focus on Your faithfulness instead of the worries of this life.
오늘의 말씀
02/05/2022 토요일
편안함이 아닌
바울 사도는 하나님과 함께 올바로 섰을 때의 두 가지 유익, 곧 환난 중에 인내하고 즐거워하는 것에 대해 설명했습니다(로마서 5:3-4). 이 두 가지 유익은 극기적인 불굴의 의지로 환난을 이겨내라는 것이거나, 고통 중에 즐거운 오락거리를 찾으라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그것은 하나님을 흔들림 없이 신뢰하라는 권면이었습니다. 환난 중에 그리스도와 함께 할 때 그것은 “인내를, 인내는 연단을, 연단은 소망을” 일구어 냅니다(3-4절). 이것은 모두 하나님 아버지께서 우리를 버리시지 않고 불 가운데를 지나 영원에 이르도록 우리와 동행하신다는 믿음에서 나옵니다.
하나님은 우리를 고난 중에 만나 주시며 하나님 안에서 성장하도록 도와주십니다. 환난이 닥칠 때 하나님이 우리를 싫어하신다고 생각할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사랑이 “우리 마음에 부은 바”(5절) 된 것을 경험하는 가운데 하나님이 그 환난을 사용하여 어떻게 우리의 인격을 단련하고 세워 나가시는지를 기대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로마서 5:1-11다만 이뿐 아니라 우리가 환난 중에도 즐거워 하나니 이는 환난은 인내를, 인내는 연단을, 연단은 소망을 이루는 줄 앎이로다 [로마서 5:3-4]
예수님의 능력 안에서 고난에 잘 대처하려면 당신의 어떤 마음과 생각을 바꾸어야 할까요? 이번 주에 어려움을 인내하고 즐거워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으로 어떤 것이 있을까요?
예수님, 인내하며 살아가는 데 필요한 것들을 주시는 주님 안에서 소망과 기쁨을 찾게 하소서.
Daily Article
02/05/2022 SATURDAY
NOT FOR OUR COMFORT
The apostle Paul explained two benefits of right standing with God: persevering and rejoicing in suffering (ROMANS 5:3–4). These two benefits weren’t a call to endure suffering with stoic fortitude or to find pleasure in pain. It was an invitation to unshakable confidence in God. Suffering plus Christ cultivates “perseverance; perseverance, character; and character, hope” (VV. 3–4). This all flows from a faith that the Father won’t abandon us but will walk with us through the fire and into the future.
God meets us in our suffering and helps us grow in Him. Rather than viewing afflictions as His disfavor, may we look for ways He’s using them to sharpen and build our character as we experience His love “poured out into our hearts” (V. 5). - MARVIN WILLIAMS
Today's Reading
ROMANS 5:1–11We also glory in our sufferings, because we know that suffering produces perseverance; perseverance, character; and character, hope. [ ROMANS 5:3–4 ]
What needs to change in your heart and mind for you to handle suffering in Jesus’ strength? What’s one practical way you can persevere through and rejoice in challenges this week?
Jesus, may I find hope and joy in You as You provide what I need to persevere in this life.
오늘의 말씀
02/04/2022 금요일
창조의 경이로움
그들은 아직도 이 이끼 덩어리들이 어떻게 이동하는지 정확히 밝혀내지 못했습니다. 이 같은 신비들은 하나님의 창조성을 잘 말해줍니다. 하나님은 창조하실 때 땅더러 식물과 나무의 형태로 “초목을 내라”고 지시하셨습니다 (창세기 1:11). 빙하쥐가 살 수 있는 환경의 빙하를 직접 가 보기 전에는 대부분 그것을 직접 볼 수가 없겠지만, 하나님의 창조 계획에는 빙하쥐도 들어 있었습니다.
1950년대에 빙하쥐가 발견된 이후, 그 보송보송한 초록의 존재는 지금껏 과학자들을 매혹해 왔습니다. 하나님은 자신이 창조하신 초목을 보시고는 “좋았더라”(12절)라고 하셨습니다. 우리 주변 어디에나 있는 하나님의 창조물인 식물들은 하나님의 창조 능력을 드러내며 하나님을 경배하게 합니다. 우리는 하나님이 만드신 각각의 나무와 초목들, 그 좋은 것들을 마음껏 즐길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창세기 1:9-13하나님이 이르시되 땅은 풀과 씨 맺는 채소와 각기 종류대로 씨 가진 열매 맺는 나무를 내라 하시니 [창세기 1:11]
하나님의 창조물 중 어떤 것이 언제 당신에게 기쁨을 주었습니까?
그분의 창조 역사의 어떤 면이 가장 당신을 경배하게 만듭니까?
하나님, 하나님의 창조물이 주는 경이와, 그 창조물을 통해 하나님을 알 수 있는 특권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2/04/2022 FRIDAY
THE WONDER OF CREATION
They haven’t yet discovered exactly how the moss balls move. Such mysteries highlight God’s creativity. In His work of creation, God appointed the land to “produce vegetation” in the form of plants and trees (GENESIS 1:11). His design included glacier mice too, though most of us won’t see them firsthand unless we visit a glacier that provides a suitable environment for them.
Glacier mice have been charming scientists with their fuzzy green presence since their discovery in the 1950s. When God observed the vegetation He’d created, He declared “that it was good” (V. 12). We’re surrounded by God’s botanical designs, each demonstrating His creative powers and inviting us to worship Him. We can delight in each of the trees and plants He’s made—for they are good! -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GENESIS 1:9–13Then God said, “Let the land produce vegetation: seed-bearing plants and trees on the land that bear fruit with seed in it.” [ GENESIS 1:11 ]
When has something in God’s creation brought you joy?
What aspect of His creative work most prompts you to worship?
Thank You, God, for the wonder of Your creation and the privilege to learn about You through it.
오늘의 말씀
02/03/2022 목요일
새 출발
이런 전통들은 또한 그리스도 안에서 누리는 새 삶을 생각나게 해줍니다. 우리가 전에 어떤 사람이었고 어떤 일을 하였건, 전부 뒤로 밀어 놓을 수 있습니다. 예수님이 십자가에서 돌아가심으로 우리가 완전히 용서받았다는 것을 알면 과거에 붙들려 스스로 책망하지도 않고 죄책감에서도 벗어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성령님을 의지하여 예수님을 더 닮아가도록 날마다 변화될 수 있음을 알기에 우리는 새롭게 시작할 수 있습니다.
바로 그것이 바울이 신자들에게 “이전 것은 지나갔으니 보라 새 것이 되었도다”(고린도후서 5:17)라고 말한 이유입니다. 우리도 이렇게 말할 수 있는 이유는 하나님께서 그리스도를 통해 우리를 하나님과 화목하게 하시고 더 이상 우리의 죄를 우리에게 묻지 아니하신다는(19절), 간단하지만 강력한 진리 때문입니다.
우리 주위 사람들은 우리가 과거에 저지른 잘못들을 잊지 않으려 할지 모르지만, 하나님의 관점에서 우리는 더 이상 정죄 받지 않는다는(로마서 8:1) 사실에서 우리는 용기를 얻을 수 있습니다. 바울이 지적했듯이, “하나님이 우리 편이시면, 누가 우리를 대적하겠습니까?”(31절, 새번역). 예수님을 통해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새 출발을 즐깁시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후서 5:16-20그런즉 누구든지 그리스도 안에 있으면 새로운 피조물이라 이전 것은 지나갔으니 보라 새 것이 되었도다 [고린도후서 5:17]
십자가에서 예수님이 돌아가신 것 때문에 완전히 용서받았다는 사실을 어떻게 스스로에게 상기시킬 수 있을까요? 당신은 초신자들이 삶을 새로 시작할 수 있도록 어떻게 격려해줄 수 있을까요?
예수님, 저를 하나님과 화목하게 하시고 주님 안에 있는 새 생명을 주시려고 십자가에 달리신 구원의 사역에 감사드립니다.
Daily Article
02/03/2022 THURSDAY
A FRESH START
These traditions also remind me of our new life in Christ. No matter who we used to be or what we’ve done, we can put it all behind us. We can stop beating ourselves up over our past and let go of the guilt, knowing we’re completely forgiven because of Jesus’ death on the cross. And we can start afresh, knowing we can rely on the Holy Spirit to daily transform us to be more like Jesus.
That’s why Paul reminds believers “the old has gone, the new is here!” (2 CORINTHIANS 5:17). We too can say this because of the simple but powerful truth: God has reconciled us to Himself through Christ and no longer counts our sins against us (V. 19).
Others around us may not be willing to forget our past wrongdoing, but we can take heart that in God’s eyes we’re no longer condemned (ROMANS 8:1). As Paul points out, “If God is for us, who can be against us?” (V. 31). Let’s enjoy the fresh start God has given us through Jesus. - LESLIE KOH
Today's Reading
2 CORINTHIANS 5:16–20If anyone is in Christ, the new creation has come: The old has gone, the new is here! [ 2 CORINTHIANS 5:17 ]
How can you remind yourself that you’re fully forgiven because of Jesus’ death on the cross? How can you encourage new believers to start life afresh?
Thank You, Jesus, for Your saving work on the cross that reconciles me to God and gives me a new life in You.
오늘의 말씀
02/02/2022 수요일
겸손한 자세
잰의 겸손에 대한 이해는 모든 것이 하나님으로부터 온 것이라는 다윗 왕의 깨달음에 근거를 두고 있습니다. 다윗은 “여호와는 나의 주시므로 주를
떠나서는 내가 아무것도 좋은 것을 가질 수 없다”(시편 16:2, 현대인의 성경)고 하나님께 고백했습니다. 그는 하나님을 신뢰하고 그분의 조언을 구하는 것을 배웠습니다. “밤마다 내 양심이 나를 교훈하도다”(7절). 그는 하나님이 곁에 계시므로 흔들리지 않을 거라는 것을 알았습니다(8절). 그를 사랑하는 전능하신 하나님을 믿었기 때문에 자기를 부풀릴 필요가 없었습니다.
우리가 좌절할 때 도움을 구하고 말문이 막힐 때 할 말을 알려주시기를 간구하며 매일 하나님을 바라보면 우리 삶 가운데 역사하시는 하나님을 보게 될 것입니다. 잰의 말처럼 우리는 “하나님과 동역”하는 것이며, 일이 잘 되었을 때 그것은 하나님께서 우리로 잘 되게 도와주셨기 때문이라는 것을 깨닫게 될 것입니다.
우리는 우리가 가진 모든 것이 하나님으로부터 온 것임을 기억하며, 겸손히 뒷짐 진 자세를 하고 사랑하는 마음으로 다른 사람들을 바라볼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6내가 여호와께 아뢰되 주는 나의 주님이시오니 주 밖에는 나의 복이 없다 하였나이다 [시편 16:2]
다른 사람 앞에서 겸손한 자세를 취할 때 어떤 마음이 듭니까? 오늘 앞에 놓인 과제에 도움을 받기 위해 어떻게 하나님을 의지하시겠습니까?
창조주 하나님, 하나님은 세상과 그 안에 있는 모든 것을 만드시고, 또 저를 사랑하시고 당신의 영광을 위해 사용하기를 원하십니다.
하나님께 도움과 힘을 구할 수 있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2/02/2022 WEDNESDAY
A HUMBLE POSTURE
Jan’s understanding of humility is rooted in King David’s observation that everything comes from God. David said to God, “You are my Lord; apart from you I have no good thing” (PSALM 16:2). He learned to trust God and seek His counsel: “Even at night my heart instructs me” (V. 7). He knew that with God next to him, he’d not be shaken (V. 8). He didn’t need to puff himself up because he trusted in the mighty God who loved him.
As we look to God each day, asking Him to help us when we feel frustrated or to give us words to speak when we feel tonguetied, we’ll see Him at work in our lives. We’ll “partner with God,” as Jan says; and we’ll realize that if we’ve done well, it’s because God has helped us flourish.
We can look at others with love, our hands clasped behind our backs in a posture of humility to remind us that everything we have comes from God. -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PSALM 16I say to the Lord, “You are my Lord; apart from you I have no good thing.” [ PSALM 16:2 ]
How do you feel when you place yourself in a humble posture before someone else? How could you depend on God to help you with the tasks before you today?
Creator God, You’ve created the world and all that’s within it, and yet You love me and want to use me for Your glory.
Help me to look to You for help and strength.
오늘의 말씀
02/01/2022 화요일
어디서든 사랑하라
나는 마태복음 25장을 펴서 감옥에 갇힌 자들을 찾아가는 제자들에 관한 예수님의 말씀을 큰 소리로 읽었습니다.
“그래요? 감옥 이야기도 있어요?” 하나님은 그분의 자녀들에게 베푼 친절을 하나님께 한 사랑의 행위로 여기신다고 하자, 그의 두 눈에 눈물이 글썽였습니다(31-40절).
그는 “우리 부모님도 나를 용서해 주시면 좋겠습니다.”하며 고개를 떨구었습니다. “금방 다시 올게요.” 그는 돌아와서 그의 낡은 성경책을 내게 건네주었습니다. “아까 읽은 데가 어딘지 찾아주시겠어요?”
나는 고개를 끄덕였습니다. 남편과 나는 그를 안고 그와 그의 부모님을 위해 기도했습니다. 우리는 연락처를 교환하고 그 청년을 위해 계속 기도했습니다.
우리는 때때로 사랑과 환영을 받지 못하고, 부족한 것이 많고, 신체적, 정서적으로 답답함을 느낄 때가 있습니다(35-36절). 이럴 때 하나님의 긍휼에 넘치는 사랑과 용서를 상기시켜주는 것들이 우리에게 필요합니다. 그리고 우리에게 이런 감정들로 힘들어하는 사람들을 격려할 기회가 생기기도 합니다. 우리는 가는 곳마다 하나님의 진리와 사랑을 전하며 하나님의 구원 계획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25:31-40너희가 여기 내 형제 중에 지극히 작은 자 하나에게 한 것이 곧 내게 한 것이니라 [마태복음 25:40]
오늘 어떻게 다른 사람을 사랑함으로 하나님을 사랑하시겠습니까? 하나님은 어떻게 다른 사람을 통해 당신에게 사랑을 보여주셨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저를 사랑하시고 용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리고 다른 사람들을 사랑함으로써 하나님을 사랑하며 하나님의 진리를 전할 수 있는 기회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2/01/2022 Tuesday
LOVE WHEREVER WE GO
Opening to Matthew 25, I read aloud that Jesus talked about His followers visiting those in prison.
“It says that? About being in prison?” Tears brimmed his eyes when I shared how God considers kindness toward His children a personal act of love toward Himself (VV. 31–40).
“I wish my parents would forgive me too.” He lowered his head. “I’ll be right back.” He returned and handed me his tattered Bible. “Would you show me where to find those words?”
I nodded. My husband and I hugged him as we prayed for him and his parents. We exchanged contact information and have continued praying for him.
At one point or another, we’ll feel unloved, unwelcomed, in need, and even physically or emotionally imprisoned (VV. 35–36). We’ll need reminders of God’s loving compassion and forgiveness. We’ll also have opportunities to support others who struggle with these feelings. We can be a part of God’s redeeming plan as we spread His truth and love wherever we go.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MATTHEW 25:31–40Whatever you did for one of the least of these brothers and sisters of mine, you did for me. [ MATTHEW 25:40 ]
How can you love God by showing love to others today? In what ways has He showed you love through others?
Father, thank You for loving me, forgiving me, and giving me opportunities to share Your truth as I love You by loving others.
Discover what real love is at DiscoverySeries.org/Q0714.
오늘의 말씀
01/31/2022 월요일
당당한 눈물
왜 많은 사람들이 눈물을 흘릴 때 미안하다고 말할까요? 바리새파 사람 시몬이 예수님을 저녁 식사에 초대하여 예수님이 식탁에 비스듬히 기대어 식사하실 때 죄를 지은 한 여인이 향유 옥합을 가져왔습니다. 그 여인은 “예수의 뒤로 그 발 곁에 서서 울며 눈물로 그 발을 적시고 자기 머리털로 닦고 그 발에 입 맞추고 향유를 부었습니다”(누가복음 7:38). 여인은 당당하게, 그리고 자유롭게 사랑을 표현했고, 자기 머리를 풀어 예수님의 발을 닦았습니다. 예수님을 향한 넘치는 감사와 사랑을 주체하지 못하면서 그 여인은 눈물을 흘리며 향기로운 입맞춤을 하였습니다. 이것은 겉으로는 예의를 차렸지만 속은 냉담했던 주인과는 아주 대조되었던 행동이었습니다.
이때 예수님은 어떻게 반응하셨습니까? 주님은 그 여인의 넘치는 사랑의 표현을 칭찬하셨고 여인의 “죄가 사하여졌다”고 선포하셨습니다(44-48절).
우리는 감사의 눈물이 북받칠 때 억누를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하나님은 우리를 감정적인 존재로 만드셨기 때문에 그 감정을 통해 하나님을 영화롭게 할 수 있습니다. 우리도 누가복음의 여인처럼 우리의 필요를 채우시고 우리의 감사를 받으시는 좋으신 하나님께 사랑을 당당히 표현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7:36-44예수의 뒤로 그 발 곁에 서서 울며 눈물로 그 발을 적시고 [누가복음 7:38]
오늘 당신의 감정을 통해 어떻게 하나님께 자유로이 감사 표현을 할 수 있을까요? 누군가가 눈물을 흘릴 때 어떻게 편안한 마음을 갖게 해 줄 수 있을까요?
사랑의 하나님, 하나님의 은혜로 제 필요를 채워 주시니 감사합니다! 오늘 감사하는 마음을 하나님 앞에 쏟아 놓습니다.
Daily Article
01/31/2022 Monday
UNAPOLOGETIC TEARS
Why do so many of us apologize for our tears? Simon, a Pharisee, invited Jesus to dinner. In the middle of the meal, as Jesus reclined at the table, a woman who had lived a sinful life brought an alabaster jar of perfume. “As she stood behind [Jesus] at his feet weeping, she began to wet his feet with her tears. Then she wiped them with her hair, kissed them and poured perfume on them” (LUKE 7:38). Unapologetically, this woman freely expressed her love and then unwound her hair to dry Jesus’ feet. Overflowing with gratitude and love for Jesus, she topped off her tears with perfumed kisses—actions that contrasted with those of the proper but cold-hearted host.
Jesus’ response? He praised her exuberant expression of love and proclaimed her “forgiven” (VV. 44–48).
We may be tempted to squelch tears of gratitude when they threaten to overflow. But God made us emotional beings, and we can use our feelings to honor Him. Like the woman in Luke’s gospel, let’s unapologetically express our love for our good God who provides for our needs and freely receives our thankful response. ELISA MORGAN
Today's Reading
LU K E 7:36–44As she stood behind him at his feet weeping, she began to wet his feet with her tears. [ LUKE 7:38 ]
How can you freely express your gratitude to God through your emotions today? How might you make others feel comfortable about sharing their tears?
Loving God, thank You for Your grace in providing for my needs! I pour out my gratitude to You today.
오늘의 말씀
01/30/2022 주일
응답 없는 기도
사실 대부분의 어른들도 말로 내뱉지 않을 뿐 이와 유사한 질문을 합니다. 그 이유는 다 같습니다. 우리는 지쳤고, 눈이 “근심으로 말미암아 쇠했기”(시편 6:7) 때문입니다. 저녁 뉴스에서부터 직장에서의 반복되는 좌절, 끊임없는 건강 문제, 사람과의 관계의 어려움 등에서 비롯되는 모든 것이 우리를 “탄식함으로 피곤하게”(6절) 만듭니다. 그래서 우리는 울부짖습니다. “주님, 이제 다 왔나요? 얼마나 더 가야 하나요?”
시편 기자는 그런 피곤함을 잘 알았기 때문에 정직하게 하나님께 그 질문을 드렸습니다. 하나님은 자상한 부모처럼 다윗의 간구를 들으시고 자비롭게 받아 주셨습니다(9절). 질문할 때 그 어떤 부끄러움도 없었습니다. 이처럼 우리도 담대하게 하늘에 계신 아버지께 나아가 “얼마나 더요?”라고 솔직하게 부르짖을 수 있습니다. 그러면 그분은 이렇게 대답하실 지도 모릅니다. “아직은 아니란다. 하지만 거의 다 왔어. 나는 선하니 나를 믿으렴.”
오늘의 성구
시편 6여호와여 어느 때까지니이까 [시편 6:3]
지금 몹시 지쳐 ‘주님, 얼마나 더요?’라고 묻고 있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하나님의 어떤 부분이 그분이 신뢰할 수 있는 분이라는 것을 보여줍니까?
하늘에 계신 아버지, 세상의 무거운 짐 때문에 “얼마나 더요?”라는 질문이 생깁니다. 이런 기도까지 기쁘게 받아 주시니 감사합니다. 삶 속에서 하나님을 신뢰할 수 있도록 힘을 주소서.
Daily Article
01/30/2022 Sunday
UNANSWERED PRAYERS
Truth be told, most adults are asking a variation on that question, although we may not voice it out loud. But we’re asking it for that same reason—we’re tired, and our eyes have grown “weak with sorrow” (PSALM 6:7). We’re “worn out from [our] groaning” (V. 6) about everything from the nightly news to daily frustrations at work to never-ending health problems to relational strains, and the list goes on. We cry out: “Are we there yet? How long, Lord, how long?”
The psalmist knew well that kind of weariness, and he honestly brought that key question to God. Like a caring parent, He heard David’s cries and in His great mercy accepted them (V. 9). There was no shame for asking. Likewise, you and I can boldly approach our Father in heaven with our honest cries of “How long?” and His answer might be, “Not yet, but soon. I’m good. Trust Me.” JOHN BLASE
Today's Reading
PSALM 6How long, Lord, how long? [ PSALM 6:3 ]
Why are you weary right now and wondering, How long, Lord? What is it about God that shows He’s trustworthy?
Father in heaven, the burdens of this world have me asking, “How long?” Thank You for welcoming such prayers, and please give me the strength to trust You in life’s journe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