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1/29/2022     토요일

성경읽기: 출애굽기 21-22; 마태복음 19
찬송가: 94(통102)

그리스도처럼 온전하게

캐슬린 노리스는 현대사회의 완벽주의를 마태복음에서 묘사된 “온전함”과 자세히 대조하면서 “완벽주의는 내가 알고 있는 가장 무서운 말 중의 하나”라고 기술하고 있습니다. 그녀는 현대사회의 완벽주의를 “사람들을 너무 소심하게 만들어서 필요한 위험조차 감수하지 못하게 만드는 심각한 정신적인 불행”이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마태복음에서 “온전하다”라고 번역된 단어는 실제로 성숙하다, 혹은 완전하다, 혹은 다 갖추었다는 뜻을 의미합니다. 노리스는 “온전해지려면 성장을 위한 여지를 두어야 하고, 자신을 다른 사람에게 내어줄 수 있을 정도로 성숙해야 한다.”고 결론을 내립니다.

온전함의 의미를 이렇게 이해하면, 한 남자가 무슨 좋은 일을 해야 “영생을 얻을” 수 있는지 예수님께 질문한(16절), 마태복음 19장의 심오한 이야기를 깨닫는 데 도움이 됩니다. 예수님은 그 질문에 “계명들을 지키라”(17절)고 대답하셨습니다. 그 남자는 계명을 다 지켰다고 생각했지만 무언가 놓친 것이 있음을 알고, “아직도 무엇이 부족하니이까”(20절)라고 물었습니다.

그때 예수님은 그 남자의 마음을 아주 강하게 붙잡고 있는 것이 바로 재물이라는 것을 아시고, 그가 만약 하나님 나라에 속한 다른 이들과 기꺼이 주고받음으로 “온전하게” 되고자 한다면, 다른 이들에게 굳게 닫혀 있는 마음을 기꺼이 떨쳐버려야 한다고 말씀하셨습니다(21절).

우리는 모두 자기 방식대로의 완벽함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것이 소유이든 습관이든 우리는 그것을 지키려고 있는 힘을 다합니다. 하지만 오늘 이 시간, 모든 것을 내려놓고 주님 안에서만 가능한 온전함으로 자유를 얻으라는 예수님의 부드러운 음성에 귀를 기울이시기 바랍니다(26절).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19:16-26
그러므로 하늘에 계신 너희 아버지의 온전하심과 같이 너희도 온전하라 [마태복음 5:48]

개인의 목표를 성경의 “온전함”으로 오인한 적이 있습니까? 결정권을 하나님께 드리는 것이 어떻게 완벽주의로부터 자유롭게 해줄까요?

사랑의 하나님, 자기 계발의 야망을 하나님 안에서의 성장으로 자주 착각한 것을 용서하시고, 결정권을 하나님께 드려 하나님과 함께 하는 자유로운 삶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1/29/2022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EXODUS 21–22; MATTHEW 19
Hymn: 94(old 102)

PERFECT LIKE CHRIST

“Perfectionism is one of the scariest words I know,” Kathleen Norris writes, thoughtfully contrasting modern-day perfectionism with the “perfection” described in the book of Matthew. Modern-day perfectionism she describes as “a serious psychological affliction that makes people too timid to take necessary risks.” But the word translated “perfect” in Matthew actually means mature, complete, or whole. Norris concludes, “To be perfect . . . is to make room for growth [and become] mature enough to give ourselves to others.”

Understanding perfection this way helps makes sense of the profound story told in Matthew 19, where a man asked Jesus what good he could do to “get eternal life” (V. 16). Jesus responded, “Keep the commandments” (V. 17). The man thought he’d obeyed all of them, yet he knew something was missing. “What do I still lack?” (V. 20) he asked.

That’s when Jesus identified the man’s wealth as the vise-grip stifling his heart. He said that if he wanted “to be perfect”—whole, willing to give and receive from others in God’s kingdom—then he must be willing to let go of what was closing off his heart from others (V. 21).

Each of us has our own version of perfection—possessions or habits we cling to as a futile attempt to be in control. Today, hear Jesus’ gentle invitation to surrender—and find freedom in the wholeness that’s only possible in Him (V. 26). MONICA LA ROSE

Today's Reading

MATTHEW 19:16–26
Be perfect . . . as your heavenly Father is perfect. [ MATTHEW 5:48 ]

When have you mistaken personal goals for biblical “perfection”? How can surrendering control to God offer freedom from perfectionism?

Loving God, forgive me for so often mistaking my own self-improvement ambitions for growing in You! Help me to surrender control and embrace a life of freedom with You.

오늘의 말씀

01/28/2022     금요일

성경읽기: 출애굽기 19-20; 마태복음 18:21-35
찬송가: 445(통502)

하나님 안에서 서로 신뢰함

휘트니는 분만 예정일을 6주 남기고 임신 중에 흔히 생기는 간질환인 담즙 분비 장애 진단을 받았습니다. 감정을 추스를 겨를도 없이 휘트니는 입원 치료를 받았고, 게다가 24시간 이내에 유도 분만을 해야 한다고 들었습니다! 그런데 병원의 다른 한편에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맹습으로 산소 호흡기와 다른 의료 장비가 가동되고 있어서 휘트니는 귀가 조처를 받아야만 했습니다. 그녀는 하나님과 그분의 계획을 의지하기로 결정했고, 며칠 후 건강한 아기를 분만했습니다.

성경말씀이 우리 안에 뿌리를 내리면 힘든 상황을 대처하는 방법이 달라집니다. 예레미야는 사회 구성원 대부분이 사람들의 동맹을 중시하고 우상 숭배가 만연했던 시대에 살았습니다. 선지자는 “육신으로 그의 힘을 삼고 마음이 여호와에게서 떠난 사람”(예레미야 17:5)과 하나님을 의지하는 사람을 대조하고 있습니다. “여호와를 의뢰하는 그 사람은 복을 받을 것이라 그는 물 가에 심어진 나무가... 더위가 올지라도 두려워하지 아니하며 그 잎이 청청함 같으리라”(7-8절).

예수님을 믿는 우리는 삶의 해결책을 하나님에게서 찾으며 믿음으로 살도록 부름 받았습니다. 하나님이 힘을 주실 때 우리는 두려워할지, 아니면 그분을 신뢰할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그분을 신뢰하기로 선택하면 복을 받고 ‘완전한 만족을 누릴’ 거라고 말씀하십니다.

오늘의 성구

예레미야 17:5-8
여호와를 의지하며 여호와를 의뢰하는 그 사람은 복을 받을 것이라 [예레미야 17:7]

염려와 두려움 속에 있다가 그분을 신뢰하는 자를 축복하신다는 하나님의 약속을 떠올린 적이 있습니까? 어떤 상황에서도 하나님을 신뢰할 수 있다는 사실이 어떻게 마음에 평안을 줍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어떤 상황에서도 하나님을 신뢰하고 기도로 하나님께 나아갈 수 있으니 감사합니다. 하나님은 저의 고난 가운데 함께 계시고 힘을 주십니다

Daily Article

01/28/2022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EXODUS 19–20; MAT THE W 18:21–35
Hymn: 445(old 502)

IN GOD WE PUT OUR TRUST

The baby wasn’t due for another six weeks, but the doctor had just diagnosed Whitney with cholestasis, a liver condition common in pregnancy. In a whirlwind of emotions, Whitney was taken to the hospital where she received treatment and was told her baby would be induced in twenty-four hours! In another part of the hospital, ventilators and other equipment needed for the onslaught of COVID-19 cases were being put into place. As a result, Whitney was sent home. She made the decision to trust God and His plans, and she delivered a healthy baby a few days later.

When Scripture takes root in us, it transforms the way we react in trying situations. Jeremiah lived in a time when most of society trusted in human alliances, and the worship of idols was prevalent. The prophet contrasts the person who “draws strength from mere flesh and whose heart turns away from the Lord” (JEREMIAH 17:5) with the one who trusts in God. “Blessed is the one . . . whose confidence is in him. They will be like a tree planted by the water that . . . does not fear when heat comes; its leaves are always green” (VV. 7–8).

As believers in Jesus, we’re called to live by faith as we look to Him for solutions. As He provides the strength, we can choose to fear or to trust Him. God says we’re blessed—fully satisfied—when we choose to place our trust in Him. REGIE KELLER

Today's Reading

JEREMIAH 17:5–8
Blessed is the one who trusts in the Lord, whose confidence is in him. [ JEREMIAH 17:7 ]

When have you felt worried or afraid and then were reminded of God’s promise to bless those who trust Him? How has the realization that you can trust God in all circumstances brought you relief?

Dear God, thank You that I can trust You in all situations and come to You in prayer. You’re right there in the midst of my struggles, and You give me strength.

오늘의 말씀

01/27/2022     목요일

성경읽기: 출애굽기 16-18; 마태복음 18:1-20
찬송가: 462(통517)

원한을 품지 않기

2011년에 있었던 한 홍보 행사 중에 73세의 전 캐나다 풋볼 리그 선수 두 명이 무대 위에서 주먹다짐을 벌였습니다. 논란이 되었던 1963년 풋볼 결승전 경기에서의 “불평”(원한 혹은 불화)이 그들에게 아직 남아 있었던 것입니다. 한 사람이 주먹을 날려 상대방을 무대에서 떨어뜨리자 군중들은 그에게 “이제 좀 내버려 둡시다!”라고 소리 질렀습니다. 군중들은 “원한을 풀라.”고 말하고 있었던 것입니다.

성경에도 “원한을 품었던” 이들에 대한 여러 사례가 나옵니다. 가인은 하나님이 아벨의 제물만 받으시고 자신의 것은 받지 않으신 것 때문에 동생 아벨에게 원한을 품었습니다(창세기 4:4-5). 이 원한이 너무 심해 “가인이 아우 아벨을 쳐죽이니라”(8절)라고 기록된 것처럼 결국 살인을 초래하고 말았습니다. 야곱은 장자 에서가 받아야 할 축복을 훔쳤기 때문에 “에서는 야곱을 미워했습니다”(27:41). 에서가 품었던 엄청난 원한 때문에 야곱은 생명의 위협을 느끼고 도망쳤습니다.

성경은 원한을 품었던 이들의 사례를 보여줄 뿐 아니라 용서와 화해를 통해 어떻게 “원한을 풀”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가르쳐줍니다. 하나님은 다른 사람들을 사랑하고(레위기 19:18), 우리를 박해하며 해를 입히는 자를 위해 기도하고 용서하며(마태복음 5:43-47), 모든 사람과 더불어 화목하고, 원수 갚음을 하나님께 맡기고, 선으로 악을 이기라고(로마서 12:18-21) 우리에게 요구하십니다. 하나님의 능력을 힘입어 우리도 지금 “원한을 풀” 수 있게 되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로마서 12:12-21
원수를 갚지 말며 동포를 원망하지 말며 네 이웃 사랑하기를 네 자신과 같이 사랑하라 나는 여호와이니라 [레위기 19:18]

원한을 품지 않는 것이 왜 중요할까요? 이번 한 주간 깨지고 상처 입은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 당신은 어떤 일을 할 수 있을까요?

예수님, 주님께서 저를 용서해 주셨기에 저도 다른 사람들을 용서할 수 있어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1/27/2022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EXODUS 16–18; MATTHEW 18:1–20
Hymn: 462(old 517)

NOT HOLDING GRUDGES

During a promotional event in 2011, two seventy-three-yearold former Canadian Football League players got into a fistfight on stage. They had a “beef” (a grudge or feud) dating back to a controversial championship football game in 1963. After one man knocked the other off the stage, the crowd called out to him to “let it go!” They were telling him to “squash the beef.”

The Bible contains many examples of people “beefing.” Cain held a grudge against his brother Abel because God accepted Abel’s offering over his (GENESIS 4:5). This grudge was so severe that it eventually led to murder as “Cain attacked his brother . . . and killed him” (V. 8). “Esau held a grudge against Jacob” because Jacob stole the birthright that was rightfully his (27:41). This grudge was so intense that it caused Jacob to run for his life in fear.

Not only does the Bible give us several examples of people who held grudges, but it also instructs us on how to “squash the beef”—how to seek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God calls us to love others (LEVITICUS 19:18), pray for and forgive those who insult and injure us (MATTHEW 5:43–47), live peaceably with all people, leave revenge to God, and overcome evil with good (ROMANS 12:18–21). By His power, may we “squash the beef” today. MARVIN WILLIAMS

Today's Reading

ROMANS 12:12–21
Do not seek revenge or bear a grudge against anyone among your people, but love your neighbor as yourself. I am the Lord. [ LEVITICUS 19:18 ]

Why is vital for us to not hold grudges? How will you work to restore a broken or damaged relationship this week?

Jesus, thank You that I can forgive others because You’ve forgiven me.

오늘의 말씀

01/26/2022     수요일

성경읽기: 출애굽기 14-15; 마태복음 17
찬송가: 430(통456)

진정한 행복

10세기 때 스페인 코르도바의 통치자는 압드 알라흐만 3세였습니다. 50년간의 성공적인 (“부하에게 사랑받고, 적군에게 위협적이며, 동맹군에게 존경받는”) 통치 이후 알라흐만은 자신의 삶을 깊이 돌아보게 되었습니다. 그는 자신이 누린 특권에 대해 “모든 부와 명예, 권력과 쾌락이 내 통치 아래 있었다.”라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그 기간 동안 진정 행복을 느낀 날을 세어보니 고작 14일 뿐이었습니다. 얼마나 냉정한 평가인지요.

전도서의 저자 또한 부와 명예(전도서 2:7-9), 권력과 쾌락(1:12; 2:1-3)을 소유했던 사람이었습니다. 그리고 자기 자신의 인생에 대한 평가도 똑같이 냉정했습니다. 그는 부는 더 많이 갖고 싶은 욕망으로 이끌 뿐이고(5:10-11), 쾌락은 아무 소용이 없으며(2:1-2), 성공은 능력만큼 우연에 기인할 수도 있다(9:11)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하지만 그의 평가는 알라흐만처럼 암울하게 끝나지 않았습니다. 하나님을 믿는 것이 그의 궁극적인 행복의 원천이었고, 하나님과 함께 먹고 일하고 선을 행할 때 그 모두가 즐거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2:25; 3:12-13).

알라흐만은 그의 삶을 돌아보며 이렇게 결론 내렸습니다. “사람들아! 이 현실 세상에다 당신의 신뢰를 두지 마라!” 전도서의 저자 또한 이에 동의할 것입니다. 우리는 영생을 위해 창조되었으므로(3:11) 이 땅의 쾌락과 성취만으로는 만족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우리 삶에 하나님과 함께 한다면 먹고 일하고 살아가는 일에서 진정한 행복을 누릴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전도서 3:9-14
사람이 사는 동안에 기뻐하며 선을 행하는 것보다 나은 것이 없는 줄을 내가 알았고 [전도서 3:12]

행복을 찾기 위해 당신이 가장 많이 의지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오늘 어떻게 하나님과 더불어 먹고 일하고 선을 행할 수 있을까요?

하늘에 계신 아버지, 오늘 제 곁에 계시는 하나님과 함께 모든 것을 하겠습니다.

Daily Article

01/26/2022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EXODUS 14–15; MATTHEW 17
Hymn: 430(old 456)

TRUE HAPPINESS

In the tenth century, Abd al-Rahman III was the ruler of Cordoba, Spain. After fifty years of successful reign (“beloved by my subjects, dreaded by my enemies, and respected by my allies”), al-Rahman took a deeper look at his life. “Riches and honors, power and pleasure, have waited on my call,” he said of his privileges. But when he counted how many days of genuine happiness he’d had during that time, they amounted to just fourteen. How sobering.

The writer of Ecclesiastes was also a man of riches and honor (ECCLESIASTES 2:7–9), power and pleasure (1:12; 2:1–3). And his own life evaluation was equally sobering. Riches, he realized, just led to a desire for more (5:10–11), while pleasures accomplished little (2:1–2), and success could be due to chance as much as ability (9:11). But his assessment didn’t end as bleakly as al-Rahman’s. Believing God was his ultimate source of happiness, he saw that eating, working, and doing good could all be enjoyed when done with Him (2:25; 3:12–13).

“O man!” al-Rahman concluded his reflections, “place not thy confidence in this present world!” The writer of Ecclesiastes would agree. Since we’ve been made for eternity (3:11), earthly pleasures and achievements won’t satisfy by themselves. But with Him in our lives, genuine happiness is possible in our eating, working, and living. SHERIDAN VOYSEY

Today's Reading

ECCLESIASTES 3:9–14
I know that there is nothing better for people than to be happy and to do good while they live. [ ECCLESIASTES 3:12 ]

What do you turn to most to find happiness? How can you eat, work, and do good with God today?

Heavenly Father, today I will do all things with You by my side.

오늘의 말씀

01/25/2022     화요일

성경읽기: 출애굽기 12-13; 마태복음 16
찬송가: 292(통415)

사랑의 하나님

한 대학교수는 온라인 강의를 하면서 매번 “다음에 만나요.” 혹은 “좋은 주말 보내요.”라고 말하며 강의를 마쳤습니다. 그러면 몇몇 학생들은 “감사합니다. 교수님도요!”라고 응답했습니다. 그런데 어느 날 한 학생이 “사랑합니다.”라는 말로 응답했습니다. 깜짝 놀란 교수는 “나도 사랑해요!”라고 답해 주었습니다. 그날 저녁 학생들은 그가 선호하는 대면 수업 대신 컴퓨터를 마주하고 강의를 해야 하는 교수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다음 수업부터 “사랑합니다.”라는 인사를 연이어 하기로 약속했습니다. 며칠 후 강의를 마치며 교수가 “다음에 만나요.”라고 인사하자 학생들은 한 명씩 연이어 “사랑합니다.”라고 응답했습니다. 그들은 몇 달간 계속해서 이렇게 했습니다. 교수는 이 일로 학생들과 깊은 유대감이 생겼으며 지금 그들을 “가족”처럼 느끼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요한1서 4:10-21에서 우리는 하나님의 가족으로서 하나님께 “사랑합니다.”라고 말할 몇 가지 이유를 찾을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그분의 아들을 우리 죄의 희생 제물로 보내시고(10절), 성령님을 주셔서 우리 안에 거하게 하셨습니다(13, 15절). 하나님의 사랑은 언제나 신뢰할 수 있으며(16절), 더 이상 심판을 두려워할 필요가 없습니다(17절). “하나님이 우리를 먼저 사랑하셨기 때문에”(19절, 새번역) 우리가 그분과 다른 사람들을 사랑할 수 있게 해주십니다.

다음에 하나님의 백성들과 모임을 할 때 하나님을 왜 사랑하는지 함께 나누어 보시기 바랍니다. 하나님께 연이어 “사랑합니다.”라고 고백함으로써 하나님께는 영광이 되고 우리는 더 가까워지게 될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1서 4:10-21
하나님이 우리를 사랑하시는 사랑을 우리가 알고 믿었노니 [요한1서 4:16]

왜 하나님을 사랑하십니까? 하나님의 사랑을 어떻게 다른 사람들에게 보여줄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아버지의 사랑을 알게 하시고 가족으로 삼아 주셔서 감사합니다. 그 사랑을 여러 가지 창조적인 방법으로 보여줄 수 있게 해주소서.

Daily Article

01/25/2022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EXODUS 12–13; MAT THE W 16
Hymn: 292(old 415)

LOVING GOD

The professor ended his online class in one of two ways each time. He’d say, “See you next time” or “Have a good weekend.” Some students would respond with “Thank you. You too!” But one day a student responded, “I love you.” Surprised, he replied, “I love you too!” That evening the classmates agreed to create an “I love you chain” for the next class time in appreciation for their professor who had to teach to a screen on his computer, not in-person teaching as he preferred. A few days later when he finished teaching, the professor said, “See you next time,” and one by one the students replied, “I love you.” They continued this practice for months. The teacher said this created a strong bond with his students, and he now feels they’re “family.”

In 1 John 4:10–21, we, as part of God’s family, find several reasons to say “I love you” to Him: He sent His Son as a sacrifice for our sin (V. 10). He gave us His Spirit to live in us (VV. 13, 15). His love is always reliable (V. 16), and we never need to fear judgment (V. 17). He enables us to love Him and others “because he first loved us” (V. 19).

The next time you gather with God’s people, take time to share your reasons for loving Him. Making an “I love you” chain for God will bring Him praise and bring you closer together. ANNE CETAS

Today's Reading

1 JO H N 4:10–21
We know and rely on the love God has for us. [ 1 JOHN 4:16 ]

Why do you love God? How can you show others His love?

I’m grateful to know Your love and to be a part of Your family, Father. Show me ways to creatively express that love.

오늘의 말씀

01/24/2022     월요일

성경읽기: 출애굽기 9-11; 마태복음 15:21-39
찬송가: 320(통350)

토기장이의 손길

1952년 마이애미 해변의 한 상점 주인은 덜렁대고 부주의한 손님들이 상품을 파손하는 행위를 막기 위하여 “파손 시 구입해야 함”이라는 안내문을 붙였습니다. 이 문구는 손님들에게 경각심을 갖게 해주었습니다. 이제는 각종 매장에서 이 같은 문구를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토기장이가 직접 운영하는 상점에는 다음과 같은 문구가 게시되어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파손 시 더 좋은 것으로 만들어 드림”. 이것은 바로 예레미야 18장에 나오는 사건과 정확히 일치합니다.

예레미야는 토기장이의 집에 방문해서 “부서진” 토기가 토기장이의 세심한 손을 거쳐 “다른 그릇으로” 만들어지는 과정을 지켜봅니다(4절). 여기서 선지자는 우리에게 하나님은 진정 능숙한 토기장이시며 우리는 진흙이라는 사실을 상기시켜 줍니다. 주권자이신 그분은 그의 창조물을 가지고 우리 속에 있는 악을 멸하시기도 하고 우리 속에 아름다움을 창조하실 수도 있습니다.

하나님은 훼손되고 깨어진 우리의 모습도 새롭게 빚으실 수 있습니다. 뛰어난 토기장이신 그분이 우리의 깨어진 조각들로 새롭고 소중한 그릇을 만드실 수 있고 또 기꺼이 그렇게 하십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깨어진 삶과 실수, 그리고 과거의 죄를 쓸모없는 것으로 여기지 않으시고, 오히려 우리의 부서진 조각들을 모아 그분 보시기에 가장 멋진 모습으로 다시 빚어 주십니다.

우리의 깨어진 모습조차도 뛰어난 토기장이신 하나님께는 무한한 가치가 있습니다. 하나님의 손을 통해 우리 삶의 깨어진 조각들도 그분이 쓰시는 아름다운 그릇으로 다시 빚어질 수 있습니다(4절).

오늘의 성구

예레미야 18:1-6
진흙으로 만든 그릇이 토기장이의 손에서 터지매 그가 그것으로 자기 의견에 좋은 대로 다른 그릇을 만들더라 [예레미야 18:4]

하나님은 깨어진 조각들로 새로운 것을 만드실 수 있는 토기장이라는 사실이 당신에게 어떤 위안이 됩니까? 토기장이신 하나님께서 당신을 아름다운 그릇으로 다시 빚어 주신다니 얼마나 마음이 놓이나요?

하나님, 하나님은 토기장이시고 저는 진흙입니다. 원하시는대로 저를 빚어 주시고, 제가 하나님의 능숙하고 세심한 손길 안에 있음을 알게 하소서.

Daily Article

01/24/2022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EXODUS 9–11; MAT THE W 15:21–39
Hymn: 320(old 350)

THE POTTER’S WHEEL

In 1952, in an effort to prevent clumsy or careless people from breaking items in a shop, a Miami Beach storeowner posted a sign that read: “You break it, you buy it.” The catchy phrase served as a warning to shoppers. This type of sign can now be seen in many boutiques.

Ironically, a different sign might be placed in a real potter’s shop. It would say: “If you break it, we’ll make it into something better.” And that’s exactly what’s revealed in Jeremiah 18.

Jeremiah visits a potter’s house and sees the potter shaping the “marred” clay with his hands, carefully handling the material and forming “it into another pot” (V. 4). The prophet reminds us that God is indeed a skillful potter, and we are the clay. He is sovereign and can use what He creates to both destroy evil and create beauty in us.

God can shape us even when we’re marred or broken. He, the masterful potter, can and is willing to create new and precious pottery from our shattered pieces. God doesn’t look at our broken lives, mistakes, and past sins as unusable material. Instead, He picks up our pieces and reshapes them as He sees best.

Even in our brokenness, we have immense value to our Master Potter. In His hands, the broken pieces of our lives can be reshaped into beautiful vessels that can be used by Him (V. 4). KATARA PATTON

Today's Reading

JEREMIA H 18:1–6
The pot he was shaping from the clay was marred in his hands; so the potter formed it into another pot, shaping it as seemed best to him. [ JEREMIAH 18:4 ]

What comfort can you find in knowing God is a potter who can form something new from your broken pieces? How can you relax as the Potter reshapes you into a beautiful vessel?

God, You’re the Potter and I’m the clay. Mold me as You wish. Remind me that I’m in Your skillful and caring hands.

오늘의 말씀

01/23/2022     주일

성경읽기: 출애굽기 7-8; 마태복음 15:1-20
찬송가: 294(통416)

은혜란 이런 것이다

소설 ‘레 미제라블’은 가석방된 죄수 장발장이 사제의 은 식기를 훔치는 일로 이야기가 시작됩니다. 그는 붙잡힌 후 광산으로 다시 돌려보내질 거라고 생각했지만, 사제는 자신이 그 은 식기를 장발장에게 준 것이라고 하면서 모두를 놀라게 합니다. 경찰이 떠난 후 사제는 도둑에게 이렇게 말합니다. “당신은 이제 더 이상 악이 아니라 선에 속한 사람입니다.”

이런 값진 사랑은 분명 은혜의 샘으로부터 흘러나온 사랑을 가리킵니다. 베드로는 오순절 날 회중에게 불과 두 달도 채 되기 전 이곳에서 사람들이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았다고 말했습니다. 설교를 듣고 마음이 무너진 회중들은 어찌해야 좋을지 물었습니다. 베드로는 “너희가 회개하여 각각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고 죄 사함을 받으라”(사도행전 2:38)라고 말했습니다. 그들이 마땅히 받아야 할 형벌을 예수님이 대신 받으셨기 때문에, 이제 예수님을 믿으면 그들은 죄 사함을 받게 되었습니다.

진정 은혜의 역설적인 모습이 아닐 수 없습니다. 사람들은 그리스도의 죽음으로 죄 사함을 받을 수 있었는데, 그 죽음에 대한 책임이 바로 그들에게 있었기 때문입니다. 참으로 은혜로우시며 전능하신 하나님! 하나님은 인류의 가장 큰 죄를 사용하여 우리의 구원을 완성하셨습니다. 하나님께서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은 그 죄를 통하여 이 일을 이미 행하셨다면, 하나님께는 이 세상에서 선으로 바꾸실 수 없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생각해도 됩니다. “하나님을 사랑하는 자들에게 모든 것이 합력하여 선을 이루시는”(로마서 8:28) 오직 한 분이신 하나님을 믿으십시오.

오늘의 성구

사도행전 2:32-41
너희가 십자가에 못 박은 이 예수를 하나님이 주와 그리스도가 되게 하셨느니라 [사도행전 2:36]

당신은 자신을 예수님께 드리셨습니까? 아직 안 드리셨다면 망설이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이미 드리셨다면 자신의 두려움까지 주님께 드린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합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저를 죄에서 구원해주신 값진 사랑에 감사드립니다. 저의 모든 두려움을 맡기고 주님을 믿을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1/23/2022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EXODUS 7–8; MAT THE W 15:1–20
Hymn: 294(old 416)

THIS IS GRACE

Les Misérables begins with paroled convict Jean Valjean stealing a priest’s silver. He’s caught, and he expects to be returned to the mines. But the priest shocks everyone when he claims he’d given the silver to Valjean. After the police leave, he turns to the thief, “You belong no longer to evil, but to good.”

Such extravagant love points to the love that flowed from the fountain from which all grace comes. On the day of Pentecost, Peter told his audience that less than two months before, in that very city, they had crucified Jesus. The crowd was crushed and asked what they must do. Peter replied, “Repent and be baptized, every one of you, in the name of Jesus Christ for the forgiveness of your sins” (ACTS 2:38). Jesus had endured the punishment they deserved. Now their penalty would be forgiven if they put their faith in Him.

Oh, the irony of grace. The people could only be forgiven because of Christ’s death—a death they were responsible for. How gracious and powerful is God! He’s used humanity’s greatest sin to accomplish our salvation. If God has already done this with the sin of crucifying Jesus, we may assume there’s nothing He can’t turn into something good. Trust the One who “in all things . . . works for the good of those who love him” (ROMANS 8:28). MIKE WITTMER

Today's Reading

AC T S 2:32–41
God has made this Jesus, whom you crucified, both Lord and Messiah. [ ACTS 2:36 ]

Have you given yourself to Jesus? If not, what’s holding you back? If you have, what will it mean for you to give your fears to Him as well?

Dear Father, thank You for Your extravagant love that rescued me from my sin. Please take all my fears and help me to trust You.

Learn more about having a personal relationship with God at ODB.org/personal-relationship.

오늘의 말씀

01/22/2022     토요일

성경읽기: 출애굽기 4-6; 마태복음 14:22-36
찬송가: 280(통338)

하나님으로부터 숨기

나는 눈을 감고 큰 소리로 숫자를 세기 시작했습니다. 3학년 같은 반 친구들은 숨을 곳을 찾아 교실을 뛰어나갔습니다. 한참 동안 사물함, 가방, 옷장 등을 샅샅이 뒤졌지만 친구들을 한 명도 찾을 수 없었습니다. 그때 한 친구가 천장에 매달린 예쁜 화분 뒤에 숨어있다가 튀어나오는 것을 보고 무척 당황했습니다. 숨바꼭질 내내 그 친구의 머리만 화분에 가려졌을 뿐 친구의 온몸은 내 시야 안에 있었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은 모든 것을 아시기 때문에 아담과 하와가 에덴동산에서 “숨었을” 때에도 그들은 언제나 하나님의 “시야” 안에 있었습니다(창세기 3:8). 그러나 그들은 숨바꼭질 놀이를 하고 있었던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먹지 말라고 하신 나무의 열매를 먹고 갑자기 죄책감과 부끄러움을 느껴서 그렇게 한 것이었습니다.

아담과 하와는 하나님의 지시를 어기고 하나님과 그분의 사랑의 돌보심을 떠났습니다. 하지만 하나님은 분노로 그들을 저버리지 않으시고 “네가 어디 있느냐”라고 물으시며 그들을 찾으셨습니다(9절). 어디 있는지 몰라서 물으신 것이 아니라, 그들을 향한 하나님의 자비로운 마음을 그들이 알아주기를 바랐던 것입니다.

나는 숨바꼭질할 때 숨은 친구들을 찾지 못했지만, 하나님은 언제나 우리를 보고 아십니다. 우리는 늘 그분의 시야 안에 있습니다. 하나님이 아담과 하와를 찾으셨던 것처럼, 예수님도 “아직 죄인”이었던 우리를 찾으시고 십자가에서 돌아가심으로 우리를 향한 사랑을 보여주셨습니다(로마서 5:8). 우리는 더 이상 숨을 필요가 없습니다.

오늘의 성구

창세기 3:1-10
여호와 하나님이 아담을 부르시며 그에게 이르시되 네가 어디 있느냐 [창세기 3:9]

당신은 언제 하나님으로부터 “숨으려” 했습니까? 그때 하나님은 어떻게 당신을 찾으셨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제가 잘못했을 때에도 아버지의 사랑과 돌보심을 보여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1/22/2022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EXODUS 4–6; MAT THE W 14:22–36
Hymn: 280(old 338)

HIDING FROM GOD

I squeezed my eyes shut and started counting aloud. My fellow third-grade classmates tore out of the room to find a place to hide. After scouring every cabinet, trunk, and closet for what felt like hours, I still couldn’t find one of my friends. I felt ridiculous when she finally jumped out from behind a lacey, potted fern hanging from the ceiling. Only her head had been eclipsed by the plant—the rest of her body had been in plain sight the entire time!

Since God is all-knowing, when Adam and Eve “hid from [Him]” in the garden of Eden, they were always in “plain sight” (GENESIS 3:8). But they weren’t playing any childhood game; they were experiencing the sudden awareness—and shame—of their wrongdoing, having eaten from the tree God told them not to eat from.

Adam and Eve turned from God and His loving provision when they disobeyed His instructions. Instead of withdrawing from them in anger, however, He sought them out, asking, “Where are you?” It’s not that He didn’t know where they were, but He wanted them to know His compassionate concern for them (V. 9).

I couldn’t see my friend hiding, but God always sees us and knows us—to Him we’re always in plain sight. Just as He pursued Adam and Eve, Jesus sought us out while we were “still sinners”—dying on the cross to demonstrate His love for us (ROMANS 5:8). We no longer need to hide.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G E N E SIS 3:1–10
The Lord God called to the man, “Where are you?” [ GENESIS 3:9 ]

When have you tried to “hide” from God? How has He sought you out?

Father God, thank You for demonstrating Your love and care for me despite the ways I wrong You.

오늘의 말씀

01/21/2022     금요일

성경읽기: 출애굽기 1-3; 마태복음 14:1-21
찬송가: 321(통351)

살아있는 동안 기부하기

한 성공한 사업가는 인생 마지막 몇 십 년을 자신의 재산을 기부하는데 온 힘을 쏟으며 살았습니다. 억만장자였던 그는 북아일랜드의 평화를 되찾는 일이나 베트남 의료시스템의 현대화 등, 각종 뜻깊은 일을 위해 돈을 기부했습니다. 세상을 떠나기 얼마 전에는 뉴욕시 루즈벨트 섬을 정보기술 중심지로 탈바꿈하는 일에 3억 5천만 달러를 내놓았습니다. 그는 말했습니다. “저는 살아있는 동안 베풀어야 한다는 강한 신념을 갖고 있습니다. 베푸는 것을 미룰 이유가 없지요... 게다가 죽은 뒤에 남기는 것보다는 생전에 주는 것이 훨씬 더 즐겁습니다.” 우리가 살아 있는 동안 베푼다는 것, 얼마나 멋진 태도인지요!

요한복음에서 예수님의 제자들은 나면서부터 소경이었던 사람이 “누구의 죄” 때문인지 궁금해했습니다(9:2). 예수님은 그들의 질문에 이렇게 대답하셨습니다. “이 사람이나 그 부모의 죄로 인한 것이 아니라 그에게서 하나님이 하시는 일을 나타내고자 하심이라 때가 아직 낮이매 나를 보내신 이의 일을 우리가 하여야 하리라”(3-4절). 우리가 하는 일은 예수님이 행하신 기적과 아주 다르겠지만, 어떤 방식으로 우리 자신을 드리든지 우리는 준비된 마음과 사랑으로 베풀어야 합니다. 우리가 베푸는 그것이 시간이든 자원이든, 아니면 행동이든, 우리의 목표는 하나님의 역사가 드러나도록 하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세상을 너무나 사랑하셔서 모든 것을 주셨습니다. 이제 우리도 살아있는 동안 기부합시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9:1-12
때가 아직 낮이매 나를 보내신 이의 일을 우리가 하여야 하리라 [요한복음 9:4]

베풀어야 할 때 베풀지 못했던 한 가지가 무엇입니까? 살아있는 동안 기부한다는 것이 당신에게 어떤 의미입니까?

베푸시는 하나님, 오늘 제가 베풀 수 있는 곳이 어디인지 보여주소서.

Daily Article

01/21/2022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EXODUS 1–3; MAT THE W 14:1–21
Hymn: 321(old 351)

GIVE WHILE YOU LIVE

A successful businessman spent the last few decades of his life doing all he could to give away his fortune. A multibillionaire, he donated cash to a variety of causes such as bringing peace to Northern Ireland and modernizing Vietnam’s health care system; and not long before he died, he spent $350 million to turn New York City’s Roosevelt Island into a technology hub. The man said, “I believe strongly in giving while living. I see little reason to delay giving. . . . Besides, it’s a lot more fun to give while you live than to give while you’re dead.” Give while you live—what an amazing attitude to have.

In John’s account of the man born blind, Jesus’ disciples were trying to determine “who sinned” (9:2). Jesus briefly addressed their question by saying, “Neither this man nor his parents sinned . . . but this happened so that the works of God might be displayed in him. As long as it is day, we must do the works of him who sent me” (VV. 3–4). Though our work is very different from Jesus’ miracles, no matter how we give of ourselves, we’re to do so with a ready and loving spirit. Whether through our time, resources, or actions, our goal is that the works of God might be displayed.

For God so loved the world that He gave. In turn, let’s give while we live. JOHN BLASE

Today's Reading

JO H N 9:1–12
As long as it is day, we must do the works of him who sent me. [ JOHN 9:4 ]

When it comes to giving, what’s one thing you’ve been delaying? What would it mean for you to give while you live?

Giving God, please show me places where I can give today.

Read Celebrating God’s Generosity at DiscoverySeries.org/Generosity.

오늘의 말씀

01/20/2022     목요일

성경읽기: 창세기 49-50; 마태복음 13:31-58
찬송가: 453(통506)

배움의 기쁨

어떤 사람이 어떻게 언론인이 되었냐는 질문을 받고, 자신의 교육열의 바탕에는 어머니의 헌신이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어머니는 매일 지하철을 타고 다니면서 좌석에 남겨진 신문을 모아서 그에게 가져다주었습니다. 그는 주로 스포츠 관련 기사를 즐겨 읽었지만, 신문을 통해 세상의 각종 지식을 접할 수 있었고 점차 관심의 폭도 넓어져 갔습니다.

아이들은 선천적으로 호기심이 많고 배우는 것을 좋아하기 때문에 어릴 때 성경말씀을 접하게 해주는 것은 매우 가치 있는 일입니다. 아이들은 하나님의 비범한 약속들과 성경 속 영웅들의 신나는 이야기에 호기심을 갖게 됩니다. 그러다가 지식이 점차 깊어지면서 죄의 결과, 회개의 필요성, 그리고 하나님을 믿음으로 얻는 기쁨에 대해서도 이해하기 시작합니다. 예를 들면, 잠언 1장은 지혜가 주는 여러 가지 유익을 아주 잘 소개하고 있습니다(잠언 1:1-7). 성경 속의 귀중한 지혜는 우리의 실제 삶을 이해할 수 있게 빛을 밝혀 줍니다.

배움의 기쁨, 특히 영적인 진리를 배우는 기쁨을 키워 나가면 우리가 믿음 안에서 더 강건하게 자라갈 수 있습니다. 수십 년간 신앙생활을 해온 신자들도 삶 속에서 꾸준히 하나님을 아는 지식을 쌓아갈 수 있습니다. 잠언 1장 5절은 “지혜 있는 자는 듣고 학식이 더할 것”이라고 조언합니다. 우리가 기꺼이 마음을 열어 하나님의 인도하심과 가르치심을 받아들인다면 하나님은 끊임없이 우리를 가르쳐 주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잠언 1:1-7
지혜 있는 자는 듣고 학식이 더할 것이요 명철한 자는 지략을 얻을 것이라 [잠언 1:5]

최근에 배운 새로운 진리의 말씀은 무엇입니까? 어떻게 꾸준히 하나님의 진리를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성경을 읽고 지식과 지혜가 자라가도록 늘 제 마음을 열어 주소서.

Daily Article

01/20/2022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GENESIS 49–50; MAT THE W 13:31–58
Hymn: 453(old 506)

LOVE OF LEARNING

When asked how he became a journalist, a man shared the story of his mother’s dedication to his pursuit of education. While traveling on the subway each day, she collected newspapers left behind on seats and gave them to him. While he especially enjoyed reading about sports, the papers also introduced him to knowledge about the world, which ultimately opened his mind to a vast range of interests.

Children are wired with natural curiosity and a love for learning, so introducing them to the Scriptures at an early age is of great value. They become intrigued by God’s extraordinary promises and exciting stories of biblical heroes. As their knowledge deepens, they can begin to comprehend the consequences of sin, their need of repentance, and the joy found in trusting God. The first chapter of Proverbs, for instance, is a great introduction to the benefits of wisdom (PROVERBS 1:1–7). Nuggets of wisdom found here shine a light of understanding on real-life situations.

Developing a love of learning—especially about spiritual truths—helps us to grow stronger in our faith. And those who have walked in faith for decades can continue to pursue knowledge of God throughout their life. Proverbs 1:5 advises, “Let the wise listen and add to their learning.” God will never stop teaching us if we’re willing to open our heart and mind to His guidance and instruction. CINDY HESS KASPER

Today's Reading

PROV E RBS 1:1–7
Let the wise listen and add to their learning. [ PROVERBS 1:5 ]

What fresh truth of Scripture have you added to your knowledge recently? How can you continually pursue a deeper understanding of God’s truth?

Father, please continue to open my mind and heart to grow in knowledge and wisdom as I read from the Scriptures.

To grow deeper in your understanding of faith, visit ChristianUniversity.org/ST101.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