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6/25/2025     수요일

성경읽기: 욥기 3-4; 사도행전 7:44-60
찬송가: 428(통488)

공로를 받으실 분

한 비영리단체의 설립 50주년을 기념하고, 오늘이 있게 한 사람들, 특히 지난 수십 년 동안 헌신해 온 이들을 기리기 위해 수백 명의 하객이 금빛 연회장에 모였습니다. 창립 멤버의 한 사람은 감사의 마음을 전하며, 자원봉사자들의 많은 시간과 수백만 달러의 지원이 있었지만 하나님이 아니었다면 성공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사람들의 노력도 많았으나 조직이 이렇게 잘 된 것은 인간의 노력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해주셨기 때문이라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다니엘도 받은 선한 은사들을 하나님께 돌리는 것을 중히 여겼습니다. 느부갓네살 왕이 미래에 대한 꿈을 꾸고 나서 바벨론의 모든 현인들을 불러 그들로 그의 꿈을 다시 말하고 그것을 해석하라고 명령했습니다. 이에 당혹한 그들은 왕이 요구하는 것을 해낼 수 있는 사람은 세상에 아무도 없으며, 그것은 초자연적인 힘이 있어야 가능하다고 항변했습니다(다니엘 2:10-11). 다니엘도 “물으신 바 은밀한 것은 지혜자나 술객이나 박수나 점쟁이가 능히 왕께 보일 수 없으되 오직 은밀한 것을 나타내실 이는 하늘에 계신 하나님이시라”(27-28절) 고 하며 그에 동의했습니다. 그리고 그는 믿음으로 하나님께 꿈을 보여달라고 기도했습니다. 이 기도를 응답받은 다니엘은 겸손하게 곧바로 그 해석이 자신의 지혜가 아니라 위대하신 하나님으로부터 온 것이라고 말했습니다(30, 45절).

업적을 축하하는 것은 괜찮지만 그와 함께 하나님께 영광을 돌려야 합니다. 우리 삶에서 칭찬받을 만한 것들은 궁극적으로 하나님에게서 온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다니엘 2:1-5, 13-19
네가 이 비밀을 밝혀내는 것을 보니 참으로 너희 하나님은... 비밀을 밝혀내는 분이시구나 [다니엘 2:47, 현대인의 성경]

근래에 하나님께서 해주시는 일을 어디서 보셨습니까?
때때로 하나님을 인정하기가 어려운 이유가 무엇입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모든 좋은 것을 주시는 하나님께 감사드립니다.

Daily Article

06/25/2025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JOB 3-4; ACTS 7:44-60
Hymn: 428(old488)

CREDIT WHERE DUE

Hundreds of guests filled a golden ballroom to celebrate a nonprofit’s fiftieth anniversary and honor those who made it possible, especially those who’d been involved for decades. A founding member shared with gratitude how, despite thousands of volunteer hours and millions of dollars in grants, they would not have succeeded without God. He repeated that the organization had blossomed not because of human effort—although there was plenty of that too—but because God had provided for them.

Daniel understood the importance of ascribing good gifts to God. When King Nebuchadnezzar received a dream of the future, he called for all the wise men of Babylon to retell his dream and then interpret it. Dismayed, they protested that no one on earth could do what the king asked; it would require a supernatural power (DANIEL 2:10-11). Daniel agreed, “No wise man, enchanter, magician or diviner can explain to the king the mystery he has asked about, but there is a God in heaven who reveals mysteries” (VV. 27-28). In faith, he asked God to reveal the dream to him. When his prayer was answered, Daniel was humble and quick to attribute the interpretation not to his own wisdom but to his great God (VV. 30, 45).

It’s right to celebrate accomplishments, but at the same time we should give glory to God. The praiseworthy things in our lives can ultimately be traced back to Him.

KAREN PIMPO

Today's Reading

DANIEL 2:1-5, 13-19
Surely your God is . . . a revealer of mysteries, for you were able to reveal this mystery. [ DANIEL 2:47 ]

Where have you noticed God’s provision lately?
Why is it sometimes hard to acknowledge Him?

Dear God, thank You for being the giver of all good things.

오늘의 말씀

06/24/2025     화요일

성경읽기: 욥기 1-2; 사도행전 7:22-43
찬송가: 401(통457)

구원하시는 하나님

스코틀랜드 브로라 지역의 거친 절벽 아래 구조를 기다리는 양 한 마리가 있었습니다. 한쪽은 가파르고 험한 바위로, 다른 한쪽은 넓은 바다에 막힌 절벽 밑에 갇혀 이 양은 2년을 홀로 지냈습니다. 몇 차례 구조를 시도했지만 아무도 그 양에게 다가갈 수 없었습니다. 그러던 중 캐미 윌슨 이라는 한 농부가 세 친구와 함께 작정하고 나서서 위험한 구조 작업을 성공 시켰습니다. 그들은 윈치를 사용하여 아주 용감하게 절벽 아래로 약 820 피트 (250 미터)를 조심스레 내려가 양을 들어 올려 양이 처한 곤경에서 구해냈습니다.

동정어린 마음으로 결단하여 이 일을 한 농부와 친구들은 예레미야 23:1-3에 기록된 사랑 많으신 하나님의 자비를 보여줍니다. 선지자는 유다의 악한 지도자들을 일컬어 “[하나님의] 목장의 양 떼를 멸하며 흩어지게 하는” 목자라고 규탄했습니다(1절). 그들이 하나님의 연약한 백성들을 무자비하게 대했기 때문에 하나님은 예레미야를 통해 그들에게 “보응할” 것이라고 선언 하셨습니다(2절). 하나님은 그의 양떼가 흩어져 고난 받는 것을 보시며 깊이 근심하셨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걱정만 하시지 않고 그의 양들을 사로잡힌 곳에서 정성스레 다시 모아 안전하고 풍요한 곳으로 인도하시겠다고 말씀 하셨습니다(3절).

우리가 길을 잃거나 갇히거나 고립되었다고 느낄 때,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께서는 우리의 고난을 보시고 그대로 내버려두지 않으십니다. 하나님은 적극적으로 우리를 구원하시고 회복시켜 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예레미야 23:1-8
내가 내 양 떼의 남은 것을... 모아 다시 그 우리로 돌아오게 하리니 그들의 생육이 번성할 것이며 [예레미야 23:3]

당신은 어떻게 영적으로 갇히고 고립되어 있습니까? 하나님께서 당신의 어려움을 보고 계시다는 사실에 어떻게 용기를 얻습니까?

하늘에 계신 아버지, 저의 선한 목자가 되어 주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6/24/2025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JOB 1-2; AC TS 7:22-43
Hymn: 401(old457)

THE GOD WHO RESCUES

Beneath the rugged cliffs of Brora, Scotland, a sheep needed rescue. Trapped at the base of a cliff, surrounded by steep and unyielding rock on one side and the vast ocean on the other, the sheep had been on its own for two long years. Despite several rescue attempts, no one could reach her until a determined farmer named Cammy Wilson and four friends successfully executed a risky rescue mission. Three members of the team carefully descended nearly 820 feet down the cliff to get her, using a winch and a lot of courage to lift her out of her predicament.

The determined and sympathetic farmer and team reflect the compassion of our loving Father as depicted in Jeremiah 23:1-3. The prophet denounced Judah’s sinful leaders as shepherds who were “destroying and scattering the sheep of [God’s] pasture!” (V. 1). God declared through Jeremiah that—due to the ruthless way they treated His helpless people—He’d “bestow punishment” on them (V. 2). He saw the plight of His scattered flock and was deeply concerned about them. Not only was God concerned, but He also said He’d lovingly regather His sheep from places of exile and bring them to a place of safety and abundance (V. 3).

When we feel lost, trapped, or isolated, our heavenly Father sees our plight and won’t leave us stranded. He actively seeks to rescue and restore us.

MARVIN WILLIAMS

Today's Reading

JEREMIAH 23:1-8
I myself will gather the remnant of my flock . . . and will bring them back to their pasture, where they will be fruitful and increase in number. [ JEREMIAH 23:3 ]

In what ways are you spiritually trapped and isolated? How does it encourage you to know God sees your challenge?

Heavenly Father, thank You for being my Good Shepherd.

오늘의 말씀

06/23/2025     월요일

성경읽기: 에스더 9-10; 사도행전 7:1-21
찬송가: 289(통208)

얽매는 것들

수박 덩굴이 우리 집 정원을 뒤덮었습니다. 덩굴은 돌길을 지나 담장을 타고 올랐는데, 내가 좋아하는 채소들까지 감아버릴 정도로 아주 심각했습니다. 어떤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정원이 살아남지 못하리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어느 저녁에 채소 줄기와 잎에서 덩굴을 떼어내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다가 덩굴이 다시 자라면 제거하기를 계속 반복하니 마침내 채소가 잘 자라 탐스러운 토마토와 반짝이는 고추가 달렸습니다.

탐욕, 욕망, 증오 같은 죄는 내 정원을 덮어버렸던 덩굴처럼 우리 삶을 덮어버릴 수 있습니다. 잘못된 생각의 씨앗을 그냥 놔 두면 자라서 “얽매이기 쉬운 죄”(히브리서 12:1)처럼 우리의 욕구와 행동을 지배하게 되고 영적 성장을 막을 수 있습니다.

히브리서 저자는 “인내로써 우리 앞에 당한 경주를” 하기 위해 “모든 무거운 것”을 벗어 버리라고 권면합니다(1절). 자유를 누리려면 우리의 죄를 처리해 줄 어떤 도움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정해야 합니다. 그러나 죄가 심각한 문제가 아니라고 스스로에게, 다른 사람들에게 말해왔다면 도움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받아들이기가 힘들 수 있습니다.

문제를 진심으로 인정하면 예수님은 우리의 고백을 기쁘게 받으시고 바로 용서해 주십니다(요한1서 1:9). 예수님은 우리의 생활 습관을 바꾸는 방법을 보여주시고, 성령의 능력을 통해 우리의 성장을 방해하는 속박을 극복하도록 도와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히브리서 12:1-3
모든 무거운 것과 얽매이기 쉬운 죄를 벗어 버리고 [히브리서 12:1]

당신을 계속 넘어지게 만드는 죄가 있습니까?
하나님은 당신이 그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기를 원하실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하나님을 슬프게 하는 저의 행동과 태도를 용서하시고, 지금부터 변화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6/23/2025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ESTHER 9-10; AC TS 7:1-21
Hymn: 289(old208)

ENTANGLED

Watermelon vines had overtaken my garden. They snaked across the stone path, climbed the fence, and worst of all tried to choke my favorite vegetable plants. I knew the garden wouldn’t thrive unless I took action. So one evening I went to work uncurling tendrils from stems and leaves. When the coils grew back, I kept removing them until the vegetable plants finally matured and produced plump tomatoes and shiny peppers.

Sins like greed, lust, and hate can overtake our lives like the vines that tried to dominate my garden. Left untended, the seed of a wrong thought may develop until it controls our desires and actions like a “sin that so easily entangles” (HEBREWS 12:1) and holds us back from growing spiritually.

The writer of Hebrews encourages us to “throw off everything that hinders” so that we can “run with perseverance the race marked out for us” (V. 1). To break free requires that we acknowledge we need help to handle the sin. This can be difficult if we’ve convinced ourselves and others that it’s not a serious issue.

Once we sincerely admit the problem, Jesus welcomes our prayers of confession and forgives us immediately (1 JOHN 1:9). He can show us how to change our life patterns and, through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help us to overcome the bondage that prevents us from flourishing.

JENNIFER BENSON SCHULDT

Today's Reading

HEBREWS 12:1-3
Let us throw off everything that hinders and the sin that so easily entangles. [ HEBREWS 12:1 ]

What sin has the power to make you fall repeatedly?
How does God want you to address this problem?

Dear God, please forgive me for the actions and attitudes that grieve You and help me change from this point forward.

오늘의 말씀

06/22/2025     주일

성경읽기: 에스더 6-8; 사도행전 6
찬송가: 488(통539)

하나님께 맡기라

암벽 타기를 하던 중 높이 매달려 있던 세라는 잡고 버티던 손에서 점점 힘이 빠져나가면서 공포가 밀려왔습니다. ‘땅에 세게 부딪히면 어떡하지?’ 걱정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지도요원이 아래쪽에서 계속 소리 지르며 안심시켰습니다. 세라의 안전벨트에 연결된 밧줄의 다른 쪽 끝에 묶여 있는 그 사람의 몸무게가 세라가 떨어지더라도 그녀를 지탱해줄 것이기 때문이었습니다. 지도요원이 소리쳤습니다. “내가 당신보다 훨씬 무거워요! 그냥 손을 놓아요”

그래서 세라는 손을 놓았습니다. 그리고 암벽에서 멀어져 안전하게 공중에 매달렸습니다.

이 사건을 통해 세라는 시편 18편 2절에 기록된 하나님의 새로운 모습을 보게 되었습니다. “여호와는 나의 반석이시요 나의 요새시요 나를 건지시는 이시요... 나의 바위시요.. 나의 산성이시로다.” 세라는 고백합니다. “하나님은 내 모든 문제보다 훨씬 더 무거운 분이시기 때문에 내 걱정과 두려움을 그냥 놓아버리면 됩니다. 그러면 하나님이 나를 붙잡아 주십니다.”

다윗 왕은 “많은 물”, 곧 그에게 “재앙의 날”을 가져다주려던 “강한 원수들” 에게서 하나님의 구원을 받고 나서(16-18절) 시편 18편 찬송을 불렀습니다. 그의 문제가 다 사라진 것은 아니었지만, 이 일로 다윗은 전능하신 구원자를 믿을 수 있으며 그 하나님이 그를 꽉 붙잡고 계시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8:1-2, 16-19
여호와는 나의 반석이시요 나의 요새시요 나를 건지시는 이시요 나의 하나님이시요 내가 그 안에 피할 나의 바위시요 [시편 18:2]

살면서 실제로 걱정을 “다 내려놓고” 하나님께 맡긴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할까요? 두려움을 하나님께 온전히 맡기는 법을 어떻게 배울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제 삶을 온전히 주관하시고 지켜주실 하나님께 제 모든 걱정과 두려움과 불안을 내려놓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6/22/2025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ESTHER 6-8; AC TS 6
Hymn: 488(old539)

LEAVE IT WITH GOD

Perched high on the climbing wall, Sarah could feel panic rising as her weakening fingers began losing grip on the handholds. Just how hard will I hit the ground? she wondered.

But the instructor kept calling out assurances from below. As the “belayer” tethered to the other end of the rope tied to Sarah’s harness through a pulley, his weight would hold her if she fell. “I’m much heavier than you!” he yelled. “Just let go.”

So she did—and simply swung away from the wall to dangle safely in the air.

The incident gave Sarah a new perspective of the picture of God in Psalm 18:2: “The Lord is my rock, my fortress and my deliverer; my God is my rock . . . my stronghold.” Sarah observed, “God is so much heavier than all my problems. I can let go of my worries and fears, and He’ll catch me.”

King David sang the words of Psalm 18 after God rescued him from “deep waters”—these were his “powerful [enemies]” looking to bring about his “day of . . . disaster” (VV. 16-18). Even if his troubles didn’t disappear, he knew he could trust his all-powerful Savior and that God was holding on to him tightly.

LESLIE KOH

Today's Reading

PSA LM 18:1-2, 16-19
The Lord is my rock, my fortress and my deliverer; my God is my rock, in whom I take refuge. [ PSALM 18:2 ]

What does it mean, in practical terms, to “let go” of a worry and leave it with God? How can you learn to surrender your fears to Him?

Dear Father, thank You that I can let go of all my worries, fears, and anxieties, knowing that You’re in complete control of my life and will keep me from falling.

오늘의 말씀

06/21/2025     토요일

성경읽기: 에스더 3-5; 사도행전 5:22-42
찬송가: 364(통482)

하나님의 뜻 안에 굳게 서서

1957년의 전쟁 영화 ‘콰이 강의 다리’가 크게 인기를 끌어 사람들이 실제로 철교를 보러 태국 깐차나부리로 몰려들었습니다. 사람들은 철교를 찾았지만 그 다리는 콰이 강 위에 있지 않았습니다. 영화에서 강의 이름을 잘못 표기했던 것입니다! 그러나 사람들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다리가 있는 매끌롱 강의 그 부분을 콰이로 이름을 바꾸었습니다.

예수님은 다른 사람들의 기대 때문에 하나님에게서 받은 사명을 바꾸시지 않았습니다. 당시 사람들은 예수님이 행하신 표적과 기적을 듣고 예수님을 보려고 몰려들었습니다(요한복음 6:2). 그들이 예수님을 발견하고 그가 약속된 메시아임을 믿게 되면서 예수님이 군사 지도자가 되어 로마의 통치에서 자신 들을 구원해주기를 원했습니다. 요한은 이렇게 말합니다. “예수께서 그들이 와서 자기를 억지로 붙들어 임금으로 삼으려는 줄 아시고 다시 혼자 산으로 떠나 가시니라”(15절).

자신들이 원하는 방식으로 구원받기를 원하는 사람들의 압박을 물리치고, 예수님은 그들에게 필요한 방식으로 구원하시려는 하나님의 계획을 굳게 따르셨습니다(골로새서 1:13). 하나님의 계획은 그들을 세상의 고난으로부터가 아닌, “죄와 사망”의 권세로부터 구원하는 것이었습니다(로마서 8:2).

우리에게 필요한 것을 주시려는 예수님의 흔들리지 않는 의지 때문에 우리는 어떤 상황에서도 예수님을 신뢰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방법이 우리의 기대와 맞지 않아 보일 때에도 우리는 그분의 계획이 항상 더 낫다는 것을 확신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우리를 구원하시려는 흔들림 없는 의지를 가지고 계시기 때문입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6:5-15
예수께서 그들이 와서 자기를 억지로 붙들어 임금으로 삼으려는 줄 아시고 다시 혼자 산으로 떠나 가시니라 [요한복음 6:15]

하나님께서 주신 것이 당신의 기대에 맞지 않는다고 느낀 적이 있습니까? 무엇이 하나님을 신뢰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흔들림 없는 굳은 구원의 의지로 언제나 가장 좋은 것을 행하시는 하나님을 신뢰합니다.

Daily Article

06/21/2025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ESTHER 3-5; AC TS 5:22-42
Hymn: 364(old482)

STEADFAST IN GOD’S WILL

The 1957 war movie The Bridge on the River Kwai was so popular that fans flocked to Kanchanaburi in Thailand to look for the real-life iron bridge. They found the bridge, but it wasn’t on the Kwai—the movie got the river’s name wrong! Soon, however, that part of the Mae Klong River was renamed Kwae Yai (Kwai) so it would align with people’s expectations.

Jesus never let the expectations of others cause Him to waver in His divine mission. People flocked to see Him because they heard of the signs and miracles He’d performed (JOHN 6:2). When they found Him and believed that He was the promised Messiah, they wanted Him as a military leader so He’d save them from Roman rule. John says, “Jesus, knowing that they intended to come and make him king by force, withdrew again to a mountain by himself” (V. 15).

Despite the pressure to rescue people the way they wanted, Christ resolutely followed God’s plan to rescue them the way they needed to be rescued (COLOSSIANS 1:13)—not from earthly troubles but from the power of “sin and death” (ROMANS 8:2).

Jesus’ unwavering will to provide what we need is why we can trust Him in all circumstances. When God’s ways don’t seem to align with our expectations, we can be assured that His plan is always better—because He doesn’t waver in His will to save us.

JASMINE GOH

Today's Reading

JOHN 6:5-15
Jesus, knowing that they intended to come and make him king by force, withdrew again to a mountain by himself. [ JOHN 6:15 ]

When have you felt that what God provided didn’t live up to your expectations? What helps you to trust Him?

Dear God, because You’re steadfast and unwavering in Your will to save, I know I can trust You to do what’s best.

오늘의 말씀

06/20/2025     금요일

성경읽기: 에스더 1-2; 사도행전 5:1-21
찬송가: 588(통307)

하나님께서... 나방을 보내셨다?

“아악!” 딸이 소리를 질렀습니다. “아빠! 이리 와봐요!” 나는 무슨 일인지 벌써 알고 있었습니다. 나방 때문이었습니다. 봄철이 되면 가루를 날리는 나방 떼가 네브라스카 평원에서 콜로라도 산맥으로 이동해 거기서 여름을 보냅니다. 우리는 해마다 이들의 이동에 대비해야 합니다. 그런데 올해는 유난히 더 심했습니다.

밀러 나방은 종종 사람들에게는 얼굴로 바로 날아드는 고약한 벌레이지만 새들에게는 ‘진수성찬’입니다. 조금 검색을 해보니 밀러 나방이 이 지역의 제비들에게 훌륭한 영양소가 된다고 합니다. 사람에겐 성가시기 짝이 없는 이 나방이 새들에게는 진정 나방 “만나”인 것입니다.

예수님 시대에도 이스라엘에 나방의 대이동이 있었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하나님께서 새들도 먹이시는 것을 잘 아시고 산상수훈에서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공중의 새를 보라 심지도 않고 거두지도 않고 창고에 모아들이지도 아니하되 너희 하늘 아버지께서 기르시나니 너희는 이것들보다 귀하지 아니하냐”(마태복음 6:26).

그래서 요즘은 나방을 다르게 바라봅니다. 그냥 지저분한 해충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손수 지으신 것들을 공급하시는 모습을 상기시키는 날벌레로, 또 나의 필요도 공급하시는 하나님의 살아있는 비유로 바라봅니다. 제비를 위해서도 이렇게 넉넉히 공급하시는 하나님이시라면 우리를 위해서는 얼마나 더 잘 돌보시겠습니까?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6:25-34
공중의 새를 보라 심지도 않고 거두지도 않고 창고에 모아들이지도 아니하되 너희 하늘 아버지께서 기르시나니 [마태복음 6:26]

당신이 사는 곳에서 하나님이 피조물에게 공급하시는 것을 어떻게 볼 수 있습니까? 그것을 보면서 하나님께서 당신을 돌보시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주님께서 아름답게 공급하시는 것을 언제나 볼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창조물의 풍성함에 감사드립니다. 하나님의 솜씨를 알아보는 눈을 주셔서 주님의 선하심을 기억하게 하소서.

Daily Article

06/20/2025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ESTHER 1-2; AC TS 5:1-21
Hymn: 588(old307)

AND GOD SENT . . . MOTHS?

“AaaaAAAAHHHK!” my daughter shrieked. “DaaaaDDDYY! Get UP here!” I knew what was wrong: a moth. Every spring, an armada of these dusty insects migrates from the plains of Nebraska to the mountains of Colorado, where they summer. Each year, we brace for their arrival. This year had been especially bad.

To humans, miller moths are unwanted pests that often fly right into your face. But to birds, well, it’s a feast. Doing a little research, I learned that the moths provide incredible nutrition for the region’s swallows. As annoying as they are, these moths are veritable moth “manna” for the birds.

I don’t know if Israel had moth migrations in Jesus’ day. But Christ took note of God’s provision for the birds there, saying in the Sermon on the Mount, “Look at the birds of the air; they do not sow or reap or store away in barns, and yet your heavenly Father feeds them. Are you not much more valuable than they?” (MATTHEW 6:26).

So these days, I look at moths differently. Not as dirty pests but as winged reminders of God’s provision for His creation—and as a living metaphor for His provision for me too. If God provides so richly for the swallows, how much more does He care for me and for you?

ADAM R. HOLZ

Today's Reading

MAT THEW 6:25-34
Look at the birds of the air; they do not sow or reap or store away in barns, and yet your heavenly Father feeds them. [ MATTHEW 6:26 ]

How do you see God’s provision for creation where you live? How might that serve as a reminder of His care for you too?

Father, the beauty of Your provision is ever on display. Thank You for the richness of Your creation. Please give me eyes to see Your handiwork, and let it remind me of Your goodness.

오늘의 말씀

06/19/2025     목요일

성경읽기: 느헤미야 12-13; 사도행전 4:23-37
찬송가: 219(통279)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됨

흑인으로는 처음으로 시집을 출간한 시인 필리스 휘틀리는 예수님을 믿는 사람들에게 노예제도를 폐지하도록 설득하기 위해 성경 속의 주제를 사용했습니다. 1753년경 서아프리카에서 태어난 휘틀리는 겨우 일곱 살에 노예 상인에게 팔렸습니다. 그러나 이 소녀는 학교에 들어가 곧 뛰어난 자질을 발휘했고 마침내 1773년에 자유를 얻었습니다. 휘틀리는 시와 서신을 통해 독자들에게 모든 사람이 동등하다는 성경의 확실한 말씀을 받아들이도록 설득했습니다. 그는 이렇게 썼습니다. “하나님께서 모든 사람의 가슴에 한가지 원리를 심어 놓으셨습니다. 그것은 곧 자유를 사랑하는 마음입니다. 그것은 억압을 관용하지 않으며, 구원을 목말라 찾는 것입니다. 이 원리는 바로 우리 모두 안에 살아 있습니다.”

바울도 하나님 앞에서 만인이 동등하다는 사실을 강조했습니다. “너희는 유대인이나 헬라인이나 종이나 자유인이나 남자나 여자나 다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하나이니라”(갈라디아서 3:28). 우리는 “모두 믿음 안에서 하나님의 자녀”(26절)이기 때문에, 인종이나 종족, 성별, 사회적 지위가 다르다고 교회 안에서 차별해서는 안됩니다.

우리가 하나님의 사랑을 동등하게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여전히 이 원칙을 살아내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그러나 성경은 다양한 사람들이 그리스도 안에서 믿음으로 하나된 것이 하나님의 마음을 가장 잘 보여주고, 또 그것이 영원한 삶을 위한 그분의 계획임을 가르쳐줍니다. 바로 그 사실 때문에 우리는 우리 믿음의 공동체의 다양성을 기쁘게 바라볼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갈라디아서 3:26-29
너희는 유대인이나 헬라인이나 종이나 자유인이나 남자나 여자나 다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하나이니라 [갈라디아서 3:28]

다양성이 어떻게 하나님을 더 잘 드러냅니까? 당신은 어떻게 다양성을 기뻐할 수 있습니까?

사랑하는 예수님, 오직 주 안에서만 가능한 하나됨을 통하여 형제자매를 사랑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6/19/2025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NEHEMIAH 12-13; AC TS 4:23-37
Hymn: 219(old279)

ONE IN CHRIST

Phillis Wheatley, the first published African American poet, used biblical themes to persuade believers in Jesus to abolish slavery. Born around 1753 in western Africa, Wheatley was sold to a slave trader at only seven years of age. Quicky distinguishing herself as a remarkable student, she finally secured her emancipation in 1773. In her poems and correspondence, Wheatley pressed her readers to embrace the scriptural affirmation of the equality of all people. She wrote, “In every human Breast, God has implanted a Principle, which we call Love of Freedom; It is impatient of Oppression, and pants for Deliverance; and . . . the same Principle lives in us.”

Equality before God is a truth emphasized by Paul when he wrote, “There is neither Jew nor Gentile, neither slave nor free, nor is there male and female, for you are all one in Christ Jesus” (GALATIANS 3:28). Because we’re “all children of God through faith” (V. 26), differences such as race, ethnicity, gender, or social status shouldn’t lead to discrimination in the church.

Even as equal recipients of God’s love, we still struggle to live out this principle. But Scripture teaches that diverse peoples united through faith in Christ best reflect God’s heart and is His plan for life in eternity. That reality can help us to celebrate the diversity in our communities of faith now.

LISA M. SAMRA

Today's Reading

GAL ATIANS 3:26-29
There is neither Jew nor Gentile, neither slave nor free, nor is there male and female, for you are all one in Christ Jesus. [ GALATIANS 3:28 ]

How does diversity better represent God?
How can you celebrate diversity?

Dear Jesus, help me love my brothers and sisters through the unity only made possible in You.

오늘의 말씀

06/18/2025     수요일

성경읽기: 느헤미야 10-11; 사도행전 4:1-22
찬송가: 187(통171)

보통 사람이란 없다

내가 이용하는 은행의 벽에 붙은 글을 보니 그 은행의 기업 신조는 ‘예의’라는 이 한 마디로 요약될 수 있다고 말하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거기서 내 거래를 도와준 창구 직원의 예의바른 태도에 나는 참으로 기분이 좋았습니다!

험하고 불친절한 세상에서 ‘예의’를 중시하며 산다는 것은 큰 의미가 있습니다. 우리는 바울 사도가 동역자 디도에게 보낸 편지에서 그 의미를 알 수 있습니다. 그는 디도에게 그의 회중들에게 “아무도 비방하지 말며 다투지 말며 관용하며 범사에 온유함을 모든 사람에게 나타낼 것을”(디도서 3:2) 기억하게 하라고 했습니다. 예의라는 개념은 “편안하고 사려 깊음” 또는 “모든 배려를 보여줌”으로 바꾸어 말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사람들을 대하는 태도에서 사람을 하나님의 형상을 지닌 존재로 보는지 아닌지가 나타납니다. 이에 대해 C.S. 루이스는 그의 책 ‘영광의 무게’ 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보통 사람이란 없다. 우리가 만난 사람들 중에 죽으면 그것으로 끝날 사람은 아무도 없다.” 루이스는 영원을 예상하면서, 거기서 우리는 하나님의 임재를 영원히 누리든지, 아니면 하나님으로부터 영원히 떨어지든지 둘 중의 하나가 될 것이라고 했습니다. 그래서 그는 우리에게 이렇게 상기시켜 줍니다. “우리가 농담을 나누고 함께 일하고 결혼하고 무시하고 착취 하기도 하는 그 사람들 모두가 영원한 존재이다. 영원한 공포이거나 영원한 영화의 존재인 것이다.”

우리 모두 성령의 인도하심을 따라 우리가 만나는 사람들을 하나님의 형상을 지닌 바로 그런 사람으로 대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디도서 3:1-11
온유함을 모든 사람에게 나타낼 것을 기억하게 하라 [디도서 3:1-2 ]

예의가 부족할 때 사람들과의 관계가 어떻게 될까요? 어떻게 하면 사람들과의 관계에 마음을 써서 더 예의를 갖출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저는 사람들에게 쉽게 짜증을 냅니다. 모든 사람을 품위와 예의를 가지고 대할 수 있도록 인내심과 친절한 심성을 갖게 하소서.

Daily Article

06/18/2025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NEHEMIAH 10-11; AC TS 4:1-22
Hymn: 187(old171)

NO ORDINARY PEOPLE

The statement on the wall of my bank declares that its corporate principles could be summed up in a single word: courtesy. And how refreshing it was to find courtesy in the teller who helped me with my transaction there!

In a harsh and unkind world, to be driven by courtesy is a big idea. We find this concept in the apostle Paul’s letter to his friend Titus. He instructed Titus to remind his congregation “to speak evil of no one, to avoid quarreling, to be gentle, and to show perfect courtesy toward all people” (TITUS 3:2 esv). This idea of courtesy is also rendered as “peaceable and considerate” (niv) or “showing every consideration” (nasb).

How we treat others reveals whether we see them as image bearers of God or not. C. S. Lewis wrote of this in The Weight of Glory: “There are no ordinary people,” he said. “You have never talked to a mere mortal.” Lewis anticipated eternity, where we’ll either enjoy God’s presence or be banished from Him forever. So he reminds us, “It is immortals whom we joke with, work with, marry, snub and exploit—immortal horrors or everlasting splendors.”

May we allow the Spirit to enable us to treat those around as what they truly are—image bearers of God.

BILL CROWDER

Today's Reading

TITUS 3:1-11
Remind them . . . to show perfect courtesy toward all people. [ TITUS 3:1-2 esv ]

What effect does the absence of courtesy have on your interactions? How might you intentionally bring more courtesy into those interactions?

Dear God, it’s easy to get frustrated with people. Please give me a patient spirit and a heart of kindness that I might treat everyone with dignity and courtesy.

오늘의 말씀

06/17/2025     화요일

성경읽기: 느헤미야 7-9; 사도행전 3
찬송가: 545(통344)

하나님의 약속에 매달림

웬디는 조금 소외감을 느꼈습니다. 점심시간에 웬디의 상사가 웬디만 빼고 모두의 책상에 초콜릿을 놓아두었기 때문입니다. 웬디는 이상해서 친구에게 “왜 나만 뺐을까?”하며 속상해했습니다.

그 일에 대해 상사는 이렇게 설명했습니다. “그 초콜릿은 아직 괜찮긴 한데 좀 오래된 거라서. 웬디는 임신중이라 내가 더 조심한 거예요. 다른 사람 들이야 뭐...” 이러면서 그는 웃었습니다.

이 작은 사건은 사무실에서 농담거리가 되었지만, 나에게는 우리가 때때로 이해와 지각의 한계로 하나님의 의도를 잘못 읽을 때가 있다는 것을 생각하게 해주었습니다. 우리는 하나님이 언제나 (그렇습니다, 언제나) 우리에게 가장 좋은 것을 마음에 두고 계신다는 사실을 잊고, 자신이 억울하게 부당한 대우를 받는다고 생각하기도 합니다.

이사야 55:8-9은 우리가 하나님의 생각과 방법을 완전히 이해하지 못할지라도, 그것이 “[우리의] 길보다 높다”(9절)는 사실을 상기시켜 줍니다. 우리의 길은 종종 이기적인 욕심에 영향을 받지만, 하나님의 길은 완전하고 자비로우며 공의롭습니다. 그래서 지금 당장은 상황이 좋아 보이지 않아도, 우리는 하나님이 우리에게 정말 필요한 것을 주실 거라는 것을 믿을 수 있습니다 (1-2절). 하나님은 사랑이시며 그의 영원한 약속을 신실하게 지키시는 분이기 때문입니다(3절). 결코 우리를 떠나지 않으시는 하나님을 믿고 “가까이 계실 때에 그분을 부릅시다”(6절).

오늘의 성구

이사야 55:1-3, 8-13
내 길은 너희의 길보다 높으며 내 생각은 너희의 생각보다 높음이니라 [이사야 55:9]

삶이 부당하게 느껴질 때 하나님의 어떤 약속을 붙들 수 있습니까? 하나님의 성품 중 어떤 면이 당신에게 위안과 확신을 줍니까?

신실하신 하나님, 하나님은 제가 때로는 하나님의 축복에서 소외되었다고 느끼고 저를 향한 하나님의 사랑을 의심한다는 것을 아십니다. 하나님을 신뢰하고 하나님의 영원한 약속을 굳게 붙들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6/17/2025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NEHEMIAH 7-9; ACTS 3
Hymn: 545(old344)

CLINGING TO GOD’S PROMISES

Wendy was feeling a little left out. During lunch break, her boss had left chocolates on everyone’s desks—except hers. Puzzled, she lamented to a friend, “Why did he leave me out?”

When asked, their boss explained: “Those chocolates are still good, but they’ve been around for some time. Wendy’s pregnant, so I just wanted to play it extra safe.” Then he laughed. “As for the rest of you . . . .”

The little incident became a running joke in the office, but it got me thinking about how we sometimes misread God’s intentions because of our limited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We may even believe ourselves to be victims of unfair treatment, forgetting that God always has our best interests at heart. Always.

Isaiah 55:8-9 reminds us that while we may not fully understand God’s thoughts and ways, we can be sure that they’re “higher than [our] ways” (V. 9). Ours are often influenced by selfish desires; His are perfect, compassionate, and righteous. So even when things don’t look good for now, we can trust that God will provide what we truly need (VV. 1-2), for He’s loving and faithful to His own everlasting promise (V. 3). Let’s “call on him while he is near” (V. 6), knowing that He’ll never leave us.

LESLIE KOH

Today's Reading

ISAIAH 55:1-3, 8-13
My ways [are] higher than your ways and my thoughts than your thoughts. [ ISAIAH 55:9 ]

Which promises of God can you hold on to when life seems unfair? Which aspects of His character give you comfort and assurance?

Faithful God, You know I sometimes feel left out of Your blessings and doubt Your love for me. Please help me to trust in You and to hold on tightly to Your everlasting promises.

오늘의 말씀

06/16/2025     월요일

성경읽기: 느헤미야 4-6; 사도행전 2:22-47
찬송가: 20(통40)

성령으로 변화되다

아일랜드행 비행기를 탄 닐 더글러스는 자기 좌석에 다른 사람이 앉아 있는 것을 보고 어떻게 된 일인지 알아보려고 대화를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그 승객이 대답을 하려고 고개를 드는데 자기와 너무나 닮은 사람이었습니다! 지켜보던 승객들도 이 두 사람이 셀카를 찍는 동안 둘의 닮은 모습에 모두 웃었습니다. 나중에 두 사람은 같은 호텔에 체크인하다가 다시 마주쳤고, 세 번째로 동네 술집에서 또 마주쳤습니다. 다음날 아침 이들은 너무나 닮은 자신들의 모습 때문에 그들의 셀카가 벌써 소셜 미디어에 널리 퍼진 것을 알았습니다.

쌍둥이로 태어나지 않고도 꼭 닮는 것은 놀라운 일이지만, 성경은 우리가 하나님을 따라 살면 하나님을 더욱 닮아가기 시작한다고 말합니다. 구약 성경을 보면, 모세가 하나님을 대면한 후 그의 얼굴이 변화되어 “그 광채 때문에 이스라엘 사람들은 그의 얼굴을 제대로 바라볼 수 없었습니다”(고린도후서 3:7, 현대인의 성경; 출애굽기 34:33-35 참조).

오늘날 우리는 성령의 역사를 통해 “예수님의 형상으로 변화되는” 사람 들에게서 예수님의 영광이 나타나는 것을 봅니다(고린도후서 3:18; 8절 참조). 하나님을 아는 지식과 하나님을 향한 사랑이 자라가면 우리에게 도덕적으로 영적으로 변화가 일어나고, 이것은 우리의 내면과 외면으로 드러나게 됩니다. 하나님이 우리의 마음과 생각을 “새롭게 하실” 때 삶의 여정을 함께 하는 옆 사람들의 눈에도 그것이 분명히 보이게 됩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후서 3:12-18
우리가... 그와 같은 형상으로 변화하여 영광에서 영광에 d이르니 곧 주의 영으로 말미암음이니라 [고린도후서 3:18]

당신은 예수님을 알고 나서 어떻게 변화되었습니까? 예수님이 오늘 당신 안에 무엇을 자라게 하십니까?

하나님, 저를 계속 변화시켜 하나님 모습으로 닮아가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6/16/2025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NEHEMIAH 4-6; ACTS 2:22-47
Hymn: 20(old40)

CHANGED BY THE SPIRIT

When Neil Douglas boarded his flight to Ireland, he discovered his seat was occupied by another passenger, so he began a conversation to sort out the discrepancy. When the passenger looked up to answer, Neil was face to face with his lookalike! Onlooking passengers laughed at the men’s resemblance while the two took a selfie. Later, they ran into each other again when checking into the same hotel and a third time at a local pub. The next morning, they discovered their selfie had gone viral on social media due to their striking facial similarities.

Bearing a resemblance to another human being is a surprise for those of us without a biological twin, but the Bible says we’ll begin to look more like God as we follow Him. In the Old Testament, Moses’ countenance was changed by his face-to-face encounter with God—so much so that “the Israelites could not look steadily at [his face] because of its glory” (2 CORINTHIANS 3:7; SEE EXODUS 34:33-35).

Today, we see the glory of Jesus revealed in people who “are being transformed into his image” through the ministry of the Spirit (2 CORINTHIANS 3:18; SEE V. 8). Our growing knowledge of and love for God results in moral and spiritual transformation that’s visible both inwardly and outwardly. When God “makes over” our hearts and minds, it’s evident to our fellow travelers in this journey of life.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2 CORINTHIANS 3:12-18
We . . . are being transformed into his image with ever-increasing glory, which comes from the Lord, who is the Spirit. [ 2 CORINTHIANS 3:18 ]

How has knowing Jesus changed you? What is He growing in you today?

Thank You, God, for continuing to transform me into Your likeness.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