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1/09/2022     주일

성경읽기: 창세기 23-24; 마태복음 7
찬송가: 251(통137)

씻음 받음

내 친구 빌은 그의 지인인 제라드에 대해 “아주 오랫동안 하나님으로부터 아주 멀리” 있었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어느 날 빌이 제라드를 만나서 하나님의 사랑이 어떻게 우리를 구원하셨는지 설명해 주자 제라드는 예수님을 믿게 되었습니다. 그는 눈물을 흘리며 자기의 죄를 회개하고 그리스도께 자신의 삶을 드렸습니다. 곧이어 빌이 제라드에게 어떤 느낌이 드는지 묻자, 그는 눈물을 닦으며 “씻겨졌어요.”라고 간단하게 대답했습니다.

얼마나 놀라운 반응입니까! 그것은 예수님이 십자가에서 우리를 위해 희생하신 것을 믿는 믿음을 통해 가능해진 구원의 본질과 정확히 일치합니다. 고린도전서 6장에서 바울은 하나님에 대한 불순종이 어떻게 그분에게서 멀어지게 하는지 몇 가지 예를 든 후, “너희 중에 이와 같은 자들이 있더니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과 우리 하나님의 성령 안에서 씻음과 거룩함과 의롭다 하심을 받았느니라”(11절)라고 말합니다. “씻음”, “거룩함”, “의롭다 하심”을 받았다는 말은 신자가 용서받고 하나님 앞에 바로 서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디도서 3:4-5은 구원이라고 하는 이 기적과도 같은 사건에 관해 좀 더 말해줍니다. “우리 구주의 하나님이... 우리를 구원하시되 우리의 행한 바 의로운 행위로 말미암지 아니하고 오직 그의 긍휼하심을 따라 중생의 씻음과 성령의 새롭게 하심으로 하셨나니.” 죄는 우리를 하나님으로부터 멀어지게 하지만 예수님을 믿는 믿음으로 말미암아 죄의 형벌이 씻겨졌습니다. 우리는 새로운 피조물이 되고(고린도후서 5:17), 우리 하나님 아버지께 나아가게 되며 (에베소서 2:18), 깨끗하게 되었습니다(요한1서 1:7). 오직 주님만이 우리가 ‘씻음’을 받기 위해 필요한 것을 공급해 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디도서 3:3-7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 안에서 씻음과 거룩함과 의롭다 하심을 받았느니라 [고린도전서 6:11]

예수님에 의해 씻음 받고 거룩하게 되는 것이 왜 중요합니까? 주님을 믿는다는 것이 당신에게 어떤 의미였으며, 앞으로 어떤 의미가 되겠습니까?

사랑하는 예수님, 제가 주님께 죄를 범했음을 압니다. 그리고 제 죄의 대가로 주님에게서 멀어진다는 것도 압니다. 주님이 이루신 구원과 저를 영원히 주님 가까이 이끌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1/09/2022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GENESIS 23–24; MAT THE W 7
Hymn: 251(old 137)

WASHED

My friend Bill described Gerard, an acquaintance of his, as being “very far from God for a very long time.” But one day, after Bill met with Gerard and explained to him how God’s love has provided the way for us to be saved, Gerard became a believer in Jesus. Through tears, he repented of his sin and gave his life to Christ. Afterward, Bill asked Gerard how he felt. Wiping away tears, he answered simply, “Washed.”

What an amazing response! That’s precisely the essence of salvation made possible through faith in Jesus’ sacrifice for us on the cross. In 1 Corinthians 6, after Paul gives examples of how disobedience against God leads to separation from Him, he says, “That is what some of you were. But you were washed, you were sanctified, you were justified in the name of the Lord Jesus Christ” (V. 11). “Washed,” “sanctified, “justified”—words that point to believers being forgiven and made right with Him.

Titus 3:4–5 tells us more about this miraculous thing called salvation. “God our Savior . . . saved us, not because of righteous things we had done, but because of his mercy. He saved us through the washing of rebirth.” Our sin keeps us from God, but through faith in Jesus, sin’s penalty is washed away. We become new creations (2 CORINTHIANS 5:17), gain access to our heavenly Father (EPHESIANS 2:18), and are made clean (1 JOHN 1:7). He alone provides what we need to be washed. DAVE BRANON

Today's Reading

TIT US 3:3–7
You were washed, you were sanctified, you were justified in the name of the Lord Jesus Christ. [ 1 CORINTHIANS 6:11 ]

Why is it vital for you to be washed and sanctified by Jesus? What has it meant or what will it mean for you to put your faith in Him?

Dear Jesus, I know I’ve sinned against You. And I realize that the penalty for my sin is separation from You. Thank You for the salvation You’ve made possible and for drawing me close to You forever

오늘의 말씀

01/08/2022     토요일

성경읽기: 창세기 20-22; 마태복음 6:19-34
찬송가: 279(통337)

하나님께 가까이 가기

코로나바이러스 여파로, 은행의 귀중품 보관소에서 무언가를 찾는데 이전보다 더 많은 검증 단계를 거쳐야 했습니다. 이제는 먼저 예약을 하고, 은행에 도착하여 들어가기 위해 전화를 걸고, 신분증과 서명을 보여주고 나서, 은행원이 금고로 안내할 때까지 기다려야 했습니다. 안으로 들어가면, 금속 상자 안에서 내가 필요한 것을 찾을 때까지 그 무거운 문은 다시 잠깁니다. 이런 지시들을 따르지 않으면 아예 들어갈 수가 없습니다.

구약에서 하나님은 성막 안의 지성소라고 불리는 곳에 들어가기 위한 특별한 규정들을 제정하셨습니다(출애굽기 26:33). “성소와 지성소를 분리”하는 휘장 뒤로는 오직 대제사장만이 한 해에 한 번 들어갈 수 있었습니다(히브리서 9:7). 아론과 그의 후임 대제사장들은 들어가기 전에 예물을 가져오고 몸을 씻은 후 거룩한 옷을 입어야 했습니다(레위기 16:3-4). 하나님의 지시들은 건강이나 안전 때문이 아니라,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하나님의 거룩하심과 우리가 용서가 필요함을 가르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예수님이 죽으시던 순간에 성소 휘장이 찢어진 것은(마태복음 27:51) 우리의 죄를 용서하기 위해 주님이 죽으셨다는 것을 믿는 모든 사람들이 하나님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것을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성소 휘장이 찢어짐으로 우리는 영원히 기뻐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예수님께서 우리가 언제나 하나님께 가까이 나아갈 수 있게 해주신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레위기 16:1-5
네 형 아론에게 이르라 성소의 휘장 안 법궤 위 속죄소 앞에 아무 때나 들어오지 말라 [레위기 16:2]

당신이 하나님께 가까이 나아가고 있다는 것을 어떤 식으로 깨닫고 있습니까? 그 사실이 어떻게 당신에게 기쁨을 가져다줍니까?

항상 하나님께 가까이 갈 수 있게 해 주신 예수님,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1/08/2022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GENESIS 20–22; MAT THE W 6:19–34
Hymn: 279(old 337)

DRAWN NEAR

In the wake of the coronavirus, retrieving something from my safety deposit box required even more layers of protocol than before. Now I had to make an appointment, call when I arrived to be granted entrance to the bank, show my identification and signature, and then wait to be escorted into the vault by a designated banker. Once inside, the heavy doors locked again until I’d found what I needed inside the metal box. Unless I followed the instructions, I wasn’t able to enter.

In the Old Testament, God had specific protocols for entering part of the tabernacle called the Most Holy Place (EXODUS 26:33). Behind a special curtain, one that “separate[d] the Holy Place from the Most Holy Place,” only the high priest could enter once a year (HEBREWS 9:7). Aaron, and the high priests who would come after him, were to bring offerings, bathe, and wear sacred garments before entering (LEVITICUS 16:3–4). God’s instructions weren’t for health or security reasons; they were meant to teach the Israelites about the holiness of God and our need for forgiveness.

At the moment of Jesus’ death, that special curtain was torn (MATTHEW 27:51), symbolically showing that all people who believe in His sacrifice for their forgiveness of sin can enter God’s presence. The tear in the tabernacle curtain is reason for our unending joy—Jesus has enabled us to draw near to God always!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LE V ITICUS 16:1–5
Tell your brother Aaron that he is not to come whenever he chooses into the Most Holy Place. [ LEVITICUS 16:2 ]

In what ways are you aware of being drawn near to God? How does that truth bring you joy?

Thank You, Jesus, for making it possible for me to be drawn near to God always.

To learn how to draw nearer to God this year, visit ChristianUniversity.org/SF104.

오늘의 말씀

01/07/2022     금요일

성경읽기: 창세기 18-19; 마태복음 6:1-18
찬송가: 162(통151)

진정한 희망

1960년대 초 미국은 밝은 미래에 대한 기대감으로 가득 차 있었습니다. 젊은 대통령 존 에프 케네디가 뉴프런티어(신개척운동), 평화봉사단, 그리고 달 탐사 과업을 제시했던 것입니다. 번영하는 경제로 많은 사람들은 미래가 단지 “좋은 시간만 지속될” 것으로 낙관하였습니다. 그러다가 베트남전쟁이 확산되고, 국가적인 불안정이 닥치며, 케네디가 암살당하고, 이전의 낙관적인 사회에서 통용되어 온 규범들이 무너졌습니다. 낙관주의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았으며, 그 결과 환멸이 만연하게 되었습니다.

그때, 1967년 신학자 위르겐 몰트만의 ‘희망의 신학’은 보다 명확한 비전을 보여주었습니다. 이 길은 낙관주의의 길이 아니라 희망의 길이었습니다. 이 둘은 같지 않습니다. 몰트만은 낙관주의는 현재 상황에 근거하고 있지만, 희망은 우리의 상황과 관계없이 하나님의 신실하심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단언했습니다.

이 희망의 근원이 무엇일까요? 베드로는 이렇게 썼습니다.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 하나님을 찬송하리로다 그의 많으신 긍휼대로 예수 그리스도를 죽은 자 가운데서 부활하게 하심으로 말미암아 우리를 거듭나게 하사 산 소망이 있게 하시며”(베드로전서 1:3). 우리의 신실하신 하나님은 그분의 아들 예수님을 통해 죽음을 정복하셨습니다! 모든 승리 중에서 가장 큰 이 승리로 말미암아 우리는 매일 그리고 모든 상황에서 단순한 낙관주의를 넘어 강하고 견고한 희망을 향해 들림을 받습니다

오늘의 성구

베드로전서 1:3-9
예수 그리스도를 죽은 자 가운데서 부활하게 하심으로 말미암아 우리를 거듭나게 하사 산 소망이 있게 하시며 [베드로전서 1:3]

당신이 낙관주의자이든 비관주의자이든, 현재 어떤 상황들이 걱정됩니까? 희망이 낙관론이나 비관론보다 나은 이유는 무엇일까요?

하나님, 이 세상은 고통스럽고 혼란스럽습니다. 그리고 많은 목소리가 저를 희망이 없어 보인다는 관점으로 이끌어 갑니다. 미래를 주관하시는 예수님의 부활의 약속과 능력 안에 제 마음이 뿌리내릴 수 있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1/07/2022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GENESIS 18–19; MAT THE W 6:1–18
Hymn: 162(old 151)

GENUINE HOPE

In the early 1960s, the US was filled with anticipation of a bright future. Youthful President John F. Kennedy had introduced the New Frontier, the Peace Corps, and the task of reaching the moon. A thriving economy caused many people to expect the future to simply “let the good times roll.” Then the war in Vietnam escalated, national unrest unfolded, Kennedy was assassinated, and the accepted norms of that previously optimistic society were dismantled. Optimism simply wasn’t enough, and in its wake, disillusionment prevailed.

Then, in 1967, theologian Jürgen Moltmann’s A Theology of Hope pointed to a clearer vision. This path wasn’t the way of optimism but the way of hope. The two aren’t the same thing. Moltmann affirmed that optimism is based on the circumstances of the moment, but hope is rooted in God’s faithfulness—regardless of our situation.

What’s the source of this hope? Peter wrote, “Praise be to the God and Father of our Lord Jesus Christ! In his great mercy he has given us new birth into a living hope through the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from the dead” (1 PETER 1:3). Our faithful God has conquered death through His Son, Jesus! The reality of this greatest of all victories lifts us beyond mere optimism to a strong, robust hope—every day and in every circumstance. BILL CROWDER

Today's Reading

1 PE T E R 1:3–9
He has given us new birth into a living hope through the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from the dead. [ 1 PETER 1:3 ]

Whether you’re an optimist or a pessimist, what situations cause concern in you? Why is hope better than either optimism or pessimism?

God, this world is distressing and confusing, and many voices want to drive me to a perspective that feels void of hope. Help me to root my heart in the promise and power of the resurrection of Jesus, who holds the future.

Read Hope: Choosing Faith Instead of Fear at DiscoverySeries.org/Q0733.

오늘의 말씀

01/06/2022     목요일

성경읽기: 창세기 16-17; 마태복음 5:27-48
찬송가: 452(통505)

불일치에 대처하기

큰 소셜미디어 기업 트위터는 세계 곳곳의 사람들이 짧은 소리로 손쉽게 자신의 의견을 표현할 수 있는 플랫폼을 만들었습니다. 그러나 최근 몇 년 간, 각 사람들이 자신이 동의하지 않는 다른 사람의 태도나 삶의 방식을 질책하는 매개체로 트위터를 사용하게 되면서 이것이 좀더 복잡해져 버렸습니다. 어느 날이든 플랫폼에 접속하면 “실시간으로 많은 이들이 반응한” 사람의 이름을 적어도 하나는 찾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사람의 이름을 클릭하면 떠오르는 어떤 논쟁에 대한 수많은 사람들의 의견을 볼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이제 사람들의 신념에서부터 그들이 입는 옷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을 공개적으로 비판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사실 비방하고 미워하는 태도는 예수님을 믿는 자로 우리를 부르신 하나님의 뜻에 어긋나는 것입니다. 때로는 불일치에 대처해야 할 때도 있지만, 신자인 우리는 언제나 “긍휼과 자비와 겸손과 온유와 오래 참음”(골로새서 3:12)으로 행해야 한다고 성경은 상기시켜 줍니다. 하나님은 심하게 비난하는 대신 우리 적들에게까지도 “불만이 있거든 서로 용납하여 피차 용서하라”(13절)고 권면하십니다.

이 권면은 생활 방식이나 신념에서 우리와 일치하는 사람들에게만 적용되는 것이 아닙니다. 그렇게 하기가 쉽지 않을 때라도, 우리가 주님의 사랑으로 구원받았음을 알고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인도하실 때 만나게 되는 모든 이들에게 은혜와 사랑을 전해줄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골로새서 3:12-14
주께서 너희를 용서하신 것 같이 너희도 그리하고 [골로새서 3:13]

친구나 낯선 사람을 섣불리 비난한 적은 없는지 생각해 보십시오. 그렇게 한 결과가 어땠습니까? 어떻게 다르게 행동하여 하나님이나 그 사람을 높일 수 있었을까요?

하늘에 계신 아버지, 제가 매일 하나님의 영광에 미치지 못하고 있음을 압니다. 하나님의 조건 없는 사랑에 감사드립니다. 사람들에게 인내하고 온유함으로 하나님을 더 닮아갈 수 있도록 노력하게 하소서.

Daily Article

01/06/2022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GENESIS 16–17; MAT THE W 5:27–48
Hymn: 452(old 505)

DEALING WITH DISAGREEMENT

The social media powerhouse Twitter created a platform where people all over the world express opinions in short sound bites. In recent years, however, this formula has become more complex as individuals have begun to leverage Twitter as a tool to reprimand others for attitudes and lifestyles they disagree with. Log on to the platform on any given day, and you’ll find the name of at least one person “trending.” Click on that name, and you’ll find millions of people expressing opinions about whatever controversy has emerged.

We’ve learned to publicly criticize everything from the beliefs people hold to the clothes they wear. The reality, however, is that a critical and unloving attitude doesn’t align with who God has called us to be as believers in Jesus. While there will be times when we have to deal with disagreement, the Bible reminds us that as believers we’re to always conduct ourselves with “compassion, kindness, humility, gentleness and patience” (COLOSSIANS 3:12). Instead of being harshly critical, even of our enemies, God urges us to “bear with each other and forgive one another if [we have] a grievance” (V. 13).

This treatment isn’t limited to the people whose lifestyles and beliefs we agree with. Even when it’s difficult, may we extend grace and love to everyone we encounter as Christ guides us, recognizing that we’ve been redeemed by His love. KIMYA LODER

Today's Reading

COLOSSIA NS 3:12–14
Forgive as the Lord forgave you. [ COLOSSIANS 3:13 ]

Consider a time when you were quick to criticize a friend or a stranger. What was the result? What could you have done differently to honor God and the individual?

Heavenly Father, I know I fall short of Your glory every day. Thank You for Your unconditional love. Help me strive to be more like You by being patient and gentle with others.

오늘의 말씀

01/05/2022     수요일

성경읽기: 창세기 13-15; 마태복음 5:1-26
찬송가: 424(통216)

기본에 충실하기

결심은 깨어지기 마련인 것 같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이 같은 현실을 조롱삼아 새해맞이 결심을 ‘손쉽게 달성할 수 있는’ 것들로 정하기도 합니다. 소셜미디어에 올라온 몇 가지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신호대기 중에 다른 운전자에게 손 흔들기.
마라톤 시합에 등록하기. 그리고는 뛰지 않기.
미루는 것을 중단하기. 내일부터.
시리(스마트폰 도움 앱)의 도움 없이 길 잃어버리기.
자기 운동하는 모습을 인터넷에 올리는 사람들과 친구관계 끊기.
그러나 새로운 시작이라는 이 생각이 아주 심각한 경우일 때도 있습니다.
유배당한 유다 백성들에게는 새로운 시작이 정말로 필요했습니다. 70년의 포로생활 중 20년이 갓 지났을 때 하나님은 에스겔 선지자를 통해 “내가... 야곱의 사로잡힌 자를 돌아오게 하리라”(에스겔 39:25)고 약속하시며 그들을 격려해 주셨습니다.

하지만 이 민족은 먼저 기본, 곧 800년 전에 하나님께서 모세에게 주셨던 명령으로 돌아가야 했습니다. 이 명령에는 새해맞이 축제를 지키는 것도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고대 유대 백성들은 이른 봄에 이 축제를 열었습니다(45:18). 그들의 축제의 중요한 목적은 하나님의 성품과 그분이 바라시는 바를 다시 기억하는 것이었습니다. 하나님은 유대인 지도자들에게 “포악과 겁탈을 제거하여 버리고 정의와 공의를 행하고”(9절) 정직하게 살기를 요구하셨습니다(10절).

이 교훈은 우리에게도 마찬가지로 적용됩니다. 우리의 믿음은 행동으로 옮겨져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아무 가치도 없습니다(야고보서 2:17). 이 새해에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을 공급해 주실 때 우리의 믿음 생활도 다음과 같은 기본으로 돌아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 “주 너의 하나님을 사랑하라”, 그리고 “네 이웃을 네 자신 같이 사랑하라”(마태복음 22:37-39).

오늘의 성구

에스겔 45:9-10, 17-20
너희는 포악과 겁탈을 제거하여 버리고 정의와 공의를 행하여 [에스겔 45:9]

어떤 방법으로 기본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새해를 맞아 이것을 어떻게 실행에 옮기시겠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성령께서 나보다도 다른 사람들을 더 돌아봐야 할 곳들을 보여주시기를 바랍니다. 저의 온 마음을 다해 하나님을 사랑하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1/05/2022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GENESIS 13–15; MAT THE W 5:1–26
Hymn: 424(old 216)

BACK TO THE BASICS

Resolutions, it seems, are made to be broken. Some folks poke fun at this reality by proposing New Year’s vows that are—shall we say—attainable. Here are a few from social media:
Wave to fellow motorists at stoplights.
Sign up for a marathon. Don’t run it.
Stop procrastinating—tomorrow.
Get lost without any help from Siri.
Unfriend everyone who posts their workout regimen.
The concept of a fresh start can be serious business, however.
The exiled people of Judah desperately needed one. Just over two decades into their seventy-year captivity, God brought encouragement to them through the prophet Ezekiel, promising, “I will now restore the fortunes of Jacob” (EZEKIEL 39:25).

But the nation first needed to return to the basics—the instructions God had given to Moses eight hundred years earlier. This included observing a feast at the new year. For the ancient Jewish people, that began in early spring (45:18). A major purpose of their festivals was to remind them of God’s character and His expectations. He told their leaders, “Give up your violence and oppression and do what is just and right” (V. 9), and he insisted on honesty (V. 10).

The lesson applies to us too. Our faith must be put into practice or it’s worthless (JAMES 2:17). In this new year, as God provides what we need, may we live out our faith by returning to the basics: “Love the Lord your God,” and “Love your neighbor as yourself” (MATTHEW 22:37–39).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EZ EKIEL 45:9–10, 17–20
Give up your violence and oppression and do what is just and right. [ EZEKIEL 45:9 ]

In what ways do you sense you need to get back to the basics? How will you put this into practice in the new year?

Father, may Your Spirit show me the places where I need to put others before myself. Help me love You with all my heart.

오늘의 말씀

01/04/2022     화요일

성경읽기: 창세기 10-12; 마태복음 4
찬송가: 204(통379)

굴하지 않는 믿음

실버레이크의 북쪽 해안을 따라 모래 언덕이 우뚝 솟아오르면서 근처의 주택들이 흐르는 모래 속으로 가라앉을 위험에 빠졌습니다. 주민들은 집을 보호하기 위해 모래 언덕을 옮기려고 시도해보았지만 잘 지어진 집들이 바로 그들의 눈앞에서 묻히는 것을 무력하게 지켜볼 수밖에 없었습니다. 지역 보안관이 최근에 파괴된 작은 집을 정리하는 것을 감독하면서 그 무너진 과정을 막을 수 없었다고 시인했습니다. 집주인들이 이 불안정한 제방의 위험을 피하려고 엄청난 노력을 기울였지만 모래 언덕은 결코 단단한 지지층을 제공해주지 못했습니다.

예수님은 모래 위에 집을 짓는 것이 헛되다는 것을 아셨습니다. 주님은 거짓 선지자들을 경계하라고 제자들에게 경고하신 후, 즐겨 순종하는 것이 지혜로운 모습이라는 것을 확신시켜 주셨습니다(마태복음 7:15-23). 주님은 누구나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행하는 자는 그 집을 반석 위에 지은 지혜로운 사람 같다”고 말씀하셨습니다(24절). 그러나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실천하지 않는 사람은 “그 집을 모래 위에 지은 어리석은 사람과 같습니다”(26절).

고난이나 염려의 무게 때문에 우리의 상황이 우리를 묻어 버리는 흐르는 모래처럼 느껴질 때, 우리는 우리의 반석이신 그리스도께 희망을 두어야 합니다. 주님은 그분의 변함없는 성품의 흔들리지 않는 기반 위에 세워진 우리의 굴하지 않는 믿음을 키워 나갈 수 있도록 도와주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7:24-27
나의 이 말을 듣고 행하지 아니하는 자는 그 집을 모래 위에 지은 어리석은 사람 같으리니 [마태복음 7:26]

순종이 어떻게 하나님에 대한 신뢰를 나타냅니까? 삶의 어떤 영역에서 하나님께 불순종하는 흐르는 모래 위에 서 있습니까?

예수님, 굴하지 않는 믿음을 키워나갈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하나님께 즐겨 순종하는 모습을 통해 저의 믿음을 보여줄 수 있도록 힘을 더해 주소서.

Daily Article

01/04/2022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GENESIS 10–12; MAT THE W 4
Hymn: 204(old 379)

RESILIENT FAITH

Towering dunes along the north shore of Silver Lake put nearby homes at risk of sinking into shifting sands. Though residents tried moving mounds of sand in efforts to protect their homes, they watched helplessly as well-built houses were buried right before their eyes. As a local sheriff oversaw the cleanup of a recently destroyed cottage, he affirmed the process couldn’t be prevented. No matter how hard homeowners tried to avoid the dangers of these unsteady embankments, the dunes simply couldn’t provide a strong foundational support.

Jesus knew the futility of building a house on sand. After warning the disciples to be wary of false prophets, He assured them that loving obedience demonstrates wisdom (MATTHEW 7:15–23). He said that everyone who hears His words and “puts them into practice is like a wise man who built his house on the rock” (V. 24). The one who hears God’s words and chooses not to put them into practice, however, is “like a foolish man who built his house on sand” (V. 26).

When circumstances feel like shifting sands burying us under the weight of affliction or worries, we can place our hope in Christ, our Rock. He will help us develop resilient faith built on the unshakable foundation of His unchanging character.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M AT T H E W 7:24–27
Everyone who hears these words of mine and does not put them into practice is like a foolish man who built his house on sand. [ MATTHEW 7:26 ]

How does obedience demonstrate your trust in God? In what areas of your life are you standing on the shifting sands of disobedience to Him?

Jesus, please help me develop resilient faith. Empower me to demonstrate my trust through loving obedience to You.

오늘의 말씀

01/03/2022     월요일

성경읽기: 창세기 7-9; 마태복음 3
찬송가: 299(통418)

끝없는 사랑

산드라는 이렇게 회상했습니다. “할아버지는 나를 바닷가에 데려갈 때마다 늘 시계를 벗어 두셨어요. 어느 날 할아버지께 왜 그러시냐고 여쭤봤지요.”

“할아버지는 미소 지으며 대답하셨어요. ‘그건 너와 함께 있는 이 순간들이 내게 얼마나 중요한지를 네가 알아주었으면 해서 란다. 시간이 흘러 가더라도 난 그저 너와 함께 있고 싶구나.’”

나는 산드라가 그녀의 할아버지 장례식에서 이렇게 추모하는 것을 들었습니다. 그것은 할아버지와 함께 한 삶 중에서 산드라에게 가장 기억에 남는 추억들 중의 하나였습니다. 다른 사람들이 우리를 위해 시간을 할애할 때 그것이 우리를 얼마나 가치 있게 느끼게 해주는지 생각하면서, 하나님의 사랑의 돌보심에 대한 성경말씀이 떠올랐습니다.

하나님은 항상 우리를 위해 시간을 내주십니다. 다윗은 시편 145 편에서 이렇게 기도했습니다. “[여호와께서는] 손을 펴사 모든 생물의 소원을 만족하게 하시나이다 여호와께서는 그 모든 행위에 의로우시며 그 모든 일에 은혜로우시도다 여호와께서는... 가까이 하시는도다”(16-18절).

하나님은 그분의 선하심과 사려 깊은 관심으로 우리에게 숨 쉴 공기와 먹을 음식을 제공하시면서 매 순간 우리의 삶을 유지시켜 주십니다. 만물의 창조주이신 하나님은 사랑이 풍부하셔서 우리 존재의 가장 복잡하고 세밀한 부분까지도 자비롭게 돌봐주십니다.

하나님의 사랑은 너무나 깊고 끝이 없어서, 주님의 친절과 자비로 주님과 함께하는 영원한 생명과 기쁨을 향한 길을 열어놓고 이렇게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 “나는 너를 아주 많이 사랑한단다. 시간이 흘러 가더라도 그저 영원히 너와 함께 있고 싶구나.”

오늘의 성구

시편 145:8-20
여호와께서 자기를 사랑하는 자들은 다 보호하시고 [시편 145:20]

다른 이들을 위해 시간을 내는 것이 그들을 향한 하나님의 신실하신 사랑을 어떻게 반영해 보여줍니까? 오늘 다른 이들을 위해 시간을 냄으로써 어떤 식으로 주님의 본을 따를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아버지의 완전한 사랑에 감사드립니다. 오늘 그 사랑을 주신 하나님을 찬양하고 다른 사람들과 그 사랑을 나눌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1/03/2022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GENESIS 7–9; MAT THEW 3
Hymn: 299(old 418)

WHEN LOVE NEVER ENDS

“Whenever my grandfather took me to the beach,” Sandra reminisced, “he always took off his watch and put it away. One day I asked him why.” “He smiled and replied, ‘Because I want you to know how important my moments with you are to me. I just want to be with you and let time go by.’ ”

I heard Sandra share that recollection at her grandfather’s funeral. It was one of her favorite memories of their life together. As I reflected on how valued it makes us feel when others take time for us, it brought to mind Scripture’s words on God’s loving care.

God always makes time for us. David prayed in Psalm 145, “You open your hand and satisfy the desires of every living thing. The Lord is righteous in all his ways and faithful in all he does. The Lordis near” (VV. 16–18).

God’s goodness and thoughtful attention sustain our lives each moment, providing us with air to breathe and food to eat. Because He is rich in love, the Creator of all things mercifully crafts even the most intricate details of our existence.

God’s love is so deep and unending that in His kindness and mercy He’s even opened the way to eternal life and joy in His presence, as if to say, “I love you so much, I just want to be with you forever, and let time go by.” JAMES BANKS

Today's Reading

PSA LM 145:8–20
The Lord watches over all who love him. [ PSALM 145:20 ]

How does your availability to others reflect God’s faithful love for them? In what ways can you follow His example by making time for others today?

Father, thank You for Your perfect love. Please help me to praise You for it and to share it with others today.

Read God Is Love at DiscoverySeries.org/Q0612.

오늘의 말씀

01/02/2022     주일

성경읽기: 창세기 4-6; 마태복음 2
찬송가: 449(통377)

새 출발 효과

브라이오니는 서른 살이 되었을 때 자신이 전혀 좋아하지 않았던 영업 일을 여전히 하고 있다는 사실에 마음이 괴로웠습니다. 그래서 이제는 더 이상 미루지 않고 새로운 직업을 찾아야겠다고 결심했습니다. 한편 데이비드는 새해 전날 거울을 보면서 새해에는 반드시 살을 빼야겠다고 맹세했습니다. 그리고 분노를 조절하는데 실패하고 또 한 달을 그냥 보낸 제임스는 다음 달에는 더 열심히 노력하겠다고 스스로 다짐했습니다.

새달, 새해 또는 중요한 생일이 시작될 때 무언가를 바꿔야겠다고 맹세한 적이 있다면 당신만 그런 것이 아닙니다. 학자들은 그것에 ‘새 출발 효과’라는 이름까지 붙여 놓았습니다. 그들은 우리가 이와 같이 달력 상의 어느 시점에서 더 자신의 삶을 평가하고, 실패를 뒤로하고 다시 시작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합니다. 더 나은 사람이 되고자 우리는 새로운 시작을 갈망합니다.

예수님을 믿는 믿음은 이런 갈망에 큰 영향을 주어, 우리의 가능한 최상의 모습에 대한 비전을 갖게 하고(골로새서 3:12-14), 과거의 우리 자신을 버릴 것을 요구합니다(5-9절). 믿음으로 말미암은 이 변화는 사람의 결심이나 맹세 만이 아닌, 하나님의 능력으로 가능합니다. 예수님을 믿을 때 우리는 새 사람이 되고, 우리를 온전케 하기 위해 하나님의 영이 우리 안에서 역사하십니다(10절; 디도서 3:5).

예수님을 믿고 구원받는 것은 궁극적인 새로운 시작입니다. 그리고 달력을 보며 특별한 날짜를 기다릴 필요가 없으며, 지금 당장 새로운 삶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골로새서 3:1-10
새 사람을 입었으니 이는 자기를 창조하신 이의 형상을 따라 지식에까지 새롭게 하심을 입은 자니라 [골로새서 3:10 ]

살면서 ‘새 출발 효과’를 경험해 보셨습니까? 지금 무엇이 하나님의 선물인 새 삶을 받지 못하게 막고 있습니까?

예수님, 주님의 계획을 따르기 위해 제 계획을 내려놓습니다. 새로 시작할 수 있게 해주소서!

Daily Article

01/02/2022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GENESIS 4–6; MAT THE W 2
Hymn: 449(old 377)

FRESH START EFFECT

When Bryony turned thirty, she was sad to still be in a sales job she’d never liked. She decided it was time to stop procrastinating and find a new career. For David, New Year’s Eve had him looking in the mirror vowing this would be the year he lost weight. And for James, it was watching another month pass without his angry outbursts decreasing. Next month, he promised himself, he would try harder.

If you’ve ever vowed to change at the start of a new month, new year, or a major birthday, you’re not alone. Researchers even have a name for it: the fresh start effect. They suggest that at calendar points like these we’re more prone to assess our lives and try putting our failures behind us to start over. Wanting to be better people, we long for a fresh start.

Faith in Jesus speaks powerfully to this longing, offering a vision of what our best selves can be (COLOSSIANS 3:12–14) and calling us to leave our past selves behind (VV. 5–9). It offers this change not by decisions and vows alone, but by divine power. When we believe in Jesus, we become new people, and God’s Spirit works in us to make us whole (V. 10; TITUS 3:5).

Receiving salvation in Jesus is the ultimate fresh start. And it doesn’t need to wait for a special calendar date. Your new life can start right now. SHERIDAN VOYSEY

Today's Reading

COLOSSIA NS 3:1–10
[Put] on the new self, which is being renewed in knowledge in the image of its Creator. [ COLOSSIANS 3:10 ]

How have you seen the fresh start effect at work in your life? What’s stopping you from receiving God’s gift of a new life now?

Jesus, I give up my own plans to follow Yours. Please give me a fresh start!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Bible this year, visit ChristianUniversity.org/SF105.

오늘의 말씀

01/01/2022     토요일

성경읽기: 창세기 1-3; 마태복음 1
찬송가: 201(통240)

말씀과 새해

미쉘란은 필리핀에서 자라면서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었지만, 항상 글을 좋아했고 글을 읽으면서 위로를 얻었습니다. 그러던 어느 대학 시절, 요한복음 1장을 읽다가 그녀의 “돌 같이 굳은 마음이 흔들렸습니다.” 마치 누군가가 이렇게 말하는 것 같았습니다. “그래, 넌 글을 좋아해. 그런데 말이야. 여기 어떤 글, 곧 ‘영원한 말씀’이 있어... 그 ‘말씀’은 지금도 언제나처럼 어둠을 걷어낼 수 있어. 사람으로 오신 그 ‘말씀’이 너를 사랑하신단다.”

그녀는 그때 독자들에게 창세기의 시작인 “태초에...”(창세기 1:1)를 떠올려주는 글로 시작하는 요한복음을 읽고 있었습니다. 요한은 예수님이 태초에 하나님과 함께 계셨을 뿐만 아니라 바로 하나님이셨음을 보여주려고 했습니다(요한복음 1:1). 그리고 이 살아 있는 ‘말씀’이 사람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하셨습니다”(14절). 더 나아가 예수님을 영접하고 그의 이름을 믿는 자들은 누구나 하나님의 자녀가 됩니다(12절).

미쉘란은 그날 하나님의 사랑을 받아들여 “하나님께로부터 난 자”(13절)가 되었습니다. 자기 가족이 걸려있던 중독에서 자신을 구해주신 분이 하나님이심을 인정하며, 이제는 예수님의 복음에 관한 글을 쓰면서 자신의 글로 ‘살아있는 말씀’에 대해 전하는 것을 기뻐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그리스도를 믿는 신자라면 우리도 하나님의 메시지와 사랑을 전할 수 있습니다. 2022년을 시작하면서 이 한 해에 우리는 어떤 은혜로 가득 찬 말을 할 수 있을까요?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1-14
태초에 말씀이 계시니라 이 말씀이 하나님과 함께 계셨으니 이 말씀은 곧 하나님이시니라 [요한복음 1:1]

예수님이 ‘하나님의 말씀’이라는 것이 어떤 의미일까요? 그 사실이 새해에 당신의 삶에 어떤 차이를 가져다 줄까요?

예수님, 오늘 그리고 새해에 주님의 은혜로 사람들을 축복하고 사랑하는 말을 하게 하소서.

Daily Article

01/01/2022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GENESIS 1–3; MAT THE W 1
Hymn: 201(old 240)

THE WORD AND A NEW YEAR

Michellan faced challenges while growing up in the Philippines, but she always loved words and found comfort in them. Then one day while attending university, she read the first chapter in the gospel of John, and her “stone heart stirred.” She felt like someone was saying, “Yes, you love words, and guess what? There is an Eternal Word, one who . . . can cut through the darkness, now and always. A Word who took on flesh. A Word who can love you back.”

She was reading the gospel that begins with words that would have reminded John’s readers of the opening of Genesis: “In the beginning . . .” (GENESIS 1:1). John sought to show that Jesus was not only with God at the beginning of time but was God (JOHN 1:1). And this living Word became a man “and made his dwelling among us” (V. 14). Further, those who receive Him, believing in His name, become His children (V. 12).

Michellan embraced God’s love that day and was “born of God” (V. 13). She credits God for saving her from her family’s pattern of addiction and now writes about the good news of Jesus, delighting in sharing her words about the Living Word.

If we’re believers in Christ, we too can share God’s message and His love. As we begin 2022, what grace-filled words can we speak this year?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JO H N 1:1–14
In the beginning was the Word, and the Word was with God, and the Word was God. [ JOHN 1:1 ]

What does it mean that Jesus is the Word of God? What difference will this make to your life in this new year?

Jesus, give me the words to speak, that I might bless someone with Your grace and love today and in this new year.

오늘의 말씀

12/31/2021     금요일

성경읽기: 말라기 1-4; 요한계시록 22
찬송가: 234(통220)

크리스마스에 하루 더 가까이

“크리스마스가 끝난 게 믿어지지 않아요!” 딸이 실망스러운 표정으로 말했습니다.

그 마음을 알 것 같습니다. 크리스마스가 지나고 나면 왠지 모르게 서운한 기분이 듭니다. 선물은 다 열어봤고 트리와 전구들을 치워야 합니다. 별로 할 일 없는 1월, 그리고 연휴 동안 늘어난 몸무게가 기다리고 있습니다. 크리스마스와 함께 찾아왔던 벅찬 기대감들이 갑자기 아득히 멀어진 것만 같습니다.

몇 년 전, 크리스마스 장식물들을 정리하며 깨달았습니다. ‘지금이 몇 월 몇 일이든 다음 크리스마스에 하루만큼 더 가까워졌잖아.’ 그 이후로 나는 이 말을 자주 합니다.

그러나 크리스마스의 이면에는 일시적인 기념을 넘어서는 훨씬 더 중요한 영적인 실재가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예수님이 가져다주신 구원과 그분의 재림에 대한 우리의 소망입니다. 성경은 우리에게 그리스도가 재림하실 것을 주목하여 기다리고 갈망하라고 반복해서 말합니다. 나는 바울이 빌립보서 3:15-21에서 말한 것을 아주 좋아합니다. 여기에서 그는 두 가지 삶의 방식을 비교합니다. 하나는 “땅의 일을 생각하는” 세상적인 방식이며 (19절) , 다른 하나는 예수님의 재림에 대한 소망으로 살아가는 방식입니다. “우리의 시민권은 하늘에 있는지라 거기로부터 구원하는 자 곧 주 예수 그리스도를 기다리노니” (20절).

“우리의 시민권이 하늘에 있다”는 사실은 우리가 소망하는 바와 살아가는 방식을 포함한 모든 것을 바꾸어 놓습니다. 하루 하루가 지날수록 예수님이 다시 오실 날이 하루 더 가까워진다는 사실에 그 소망은 더 굳건해집니다.

오늘의 성구

빌립보서 3:15-21
우리의 시민권은 하늘에 있는지라 거기로부터 구원하는 자 곧 주 예수 그리스도를 기다리노니 [빌립보서 3:20]

하나님 아버지, 제가 예수님과 그의 재림에 소망을 두고 살게 하셔서 감사합니다. 중요하지도 않은 소망들이 제 마음과 주의를 분산시킬 때 눈을 들어 하나님을 바라보도록 도와주소서.

이 세상에서 무엇을 소망하며 사십니까? 예수님 안에서 당신이 품고 있는 소망은 이 세상에서 소망하고 바라는 것들에 어떤 영향을 준다고 생각합니까?

Daily Article

12/31/2021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MALACHI 1–4; REVELATION 22
Hymn: 234(OLD 220)

ONE DAY CLOSER TO CHRISTMAS

“I can’t believe Christmas is over,” my dejected daughter said.

I know how she feels: The aftermath of Christmas can feel dreary. Presents have been opened. The tree and lights must come down. Listless January—and, for many, the need to shed holiday pounds—awaits. Christmas—and the breathless
anticipation that comes with it—suddenly feels eons away.

A few years ago, as we were putting Christmas stuff away, I realized: no matter what the calendar says, we’re always one day closer to the next Christmas. It’s become something I say frequently.

But far more important than our temporal celebration of Christmas is the spiritual reality behind it: the salvation Jesus brought into our world and our hope for His return. Scripture talks repeatedly about watching, waiting, and longing for Christ’s
second coming. I love what Paul says in Philippians 3:15–21. He contrasts the world’s way of living—with “mind[s] set on earthly things” (V. 19) —with a lifestyle shaped by hope in Jesus’ return: “Our citizenship is in heaven. And we eagerly await a Savior from there, the Lord Jesus Christ” (V. 20).

The reality that our “citizenship is in heaven” changes everything, including what we hope for and how we live. That hope is fortified by the knowledge that with every passing day, we’re indeed one day closer to Jesus’ return. ADAM R. HOLZ

Today's Reading

PHILIPPIANS 3:15–21
Our citizenship is in heaven. And we eagerly await a Savior from there, the Lord Jesus Christ. [ PHILIPPIANS 3:20 ]

Father, thank You for the hope that I have in Jesus and in His return. When lesser hopes compete for my heart’s affection and attention, help me to lift my eyes to You.

What are some of the things you hope for in this world? How do you think your hope in Jesus influences and affects the earthly things you long and hope for?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