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12/10/2021     금요일

성경읽기: 호세아 1-4; 요한계시록 1
찬송가: 377(통451)

강한 원수에게서 구조됨

조지 브흐노비치는 2010년 94세의 나이에 뉴욕 타임스가 “제2차 세계 대전 중 가장 큰 구조 작전의 하나”라 했던 작전의 공로로 동성 훈장을 받았습니다. 세르비아 출신 미국 이민자의 아들로서 미군에 입대한 브흐노비치는 미국 공군이 유고슬라비아에서 추락해 반군의 보호를 받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그의 고국으로 돌아가서 조종사들을 찾기 위해 낙하산을 타고 숲으로 들어갔습니다. 그는 군인들을 작은 그룹들로 나누어 세르비아 사람들과 어울리는 방법(세르비아 옷을 입고 세르비아 음식을 먹는 것)을 가르쳤습니다. 그런 다음 여러 달에 걸쳐, 숲 속에 만들어 놓은 비행기 활주로에 대기 중이던 C-47 수송기에 군인들을 한 그룹씩 차례로 인도해 태웠습니다. 브흐노비치는 고무되고 기쁨에 찬 512명의 병사들을 구출했습니다.

다윗은 물샐틈없이 에워싼 적으로부터 하나님이 구출해 주신 기쁨을 이렇게 표현했습니다. 하나님께서 “위에서 손을 내미사 나를 붙드심이여 많은 물에서 나를 건져내셨도다” (사무엘하 22:17) . 질투심에 불타는 사울 왕은 다윗을 죽일 생각으로 무자비하게 그의 뒤를 쫓았지만, 하나님은 다른 계획을 갖고 계셨습니다. 다윗은 “나를 강한 원수와 미워하는 자에게서 건지셨음이여 그들은 나보다 강했기 때문이로다” (18절) 라고 회상했습니다.

하나님은 사울로부터 다윗을 구하셨고, 이집트에게서 이스라엘을 구하셨습니다. 그리고 우리 모두를 구하시기 위해 예수님의 모습으로 오셨습니다. 예수님은 우리를 죄와 악, 그리고 죽음에서 구해 주십니다.
예수님은 그 어떤 강력한 적보다 더 크신 분입니다.

오늘의 성구

사무엘하 22:17-20
[하나님이] 나를 강한 원수에게서 건지셨음이여 [사무엘하 22:18]

전능하신 하나님, 저는 구조받아야 하는데 하나님이 도와주시지 않으면 가망이 없습니다. 탈출구도 없어서 하나님께로 갑니다. 저를 도와주소서.

어느 부분에서 잘못된 믿음이나 죄에 묶여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느낌이 듭니까? 예수님께서 당신을 구하러 오시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습니까?

Daily Article

12/10/2021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HOSE A 1–4; REVELATION 1
Hymn: 377(OLD 451)

RESCUED FROM POWERFUL ENEMIES

In 2010, at the age of ninety-four, George Vujnovich was awarded the bronze star for organizing what the New York Times called “one of the greatest rescue efforts of World War II.” Vujnovich, son of Serbian immigrants to the US, had joined the US Army. When word arrived that downed American airmen were being protected by rebels in Yugoslavia, Vujnovich returned to his family’s homeland, parachuting into the forest to locate the pilots. Dividing the soldiers into small groups, he taught them how to blend in with the Serbs (wearing Serbian clothes and eating Serbian food). Then, over months, he walked each small group out one at a time to C-47 transport planes waiting at a landing strip they’d cut out of the woods. Vujnovich rescued 512 elated, joyful men.

David described the elation of being rescued by God from enemies who’d hemmed him in with no escape. God “reached down from on high and took hold of me,” David said, “he drew me out of deep waters” (2 SAMUEL 22:17) . King Saul, enraged with
jealousy, hounded David, ruthlessly seeking blood. But God had other plans. “He rescued me from my powerful enemy,” David recounted, “from my foes, who were too strong for me” (V. 18).

God rescued David from Saul. He rescued Israel from Egypt. And in Jesus, God came to rescue all of us. Jesus rescues us from sin, evil, and death. He’s greater than every powerful enemy. WINN COLLIER

Today's Reading

2 SAMUEL 22:17–20
[God] rescued me from my powerful enemy. [ 2 SAMUEL 22:18 ]

All-powerful God, I need to be rescued. If You don’t help me, I’m finished. I have no escape. So I’m turning to You. Please help me.

Where do you feel hemmed in, with no escape from lies you believe or sin that binds you? How do you see Jesus coming to rescue you?

오늘의 말씀

12/09/2021     목요일

성경읽기: 다니엘 11-12; 유다서
찬송가: 37(통37)

허다한 무리

우리는 기쁨과 기대를 가지고 주일 아침 예배를 위해 모였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 전염병 때문에 공간적으로는 먼 곳에 있었지만 우리는 기쁨으로 개빈과 티아나의 결혼을 축하할 수 있었습니다. 기계를 잘 다루는 이란 친구들이 스페인, 폴란드, 세르비아를 포함해 지리적으로
흩어져 있는 가족과 친구들에게 결혼식을 온라인으로 중계했습니다. 이 기발한 방법으로 공간적인 한계를 극복하고 우리는 결혼 서약의 기쁨을 함께 나눌 수 있었습니다. 성령님은 우리를 연합시키고 기쁨을 주셨습니다.

여러 다국적 회중과 함께 했던 그 주일 아침은 “각 나라와 족속과 백성과 방언”의 사람들이 천국에서 하나님 앞에 설 때의 영광을 미리 맛보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요한계시록 7:9) . 사랑받는 제자 요한은 요한계시록에 기록한 환상에서 이 “허다한 무리”를 보았습니다. 그곳에 모인 사람들은 “찬송과 영광과 지혜와 감사와 존귀와 권능과 힘이 우리 하나님께 세세토록 있을지어다” (12절) 라고 하며 천사들과 장로들과 함께 하나님께 예배할 것입니다.

예수님과 국적을 초월한 신부가 연합하여 결혼을 하는 “어린 양의 혼인잔치” (19:9) 는 예배와 축하의 놀라운 시간이 될 것입니다. 여러 나라에 있는 사람들과 함께 주일예배를 드렸던 그 경험은 우리가 누릴 그날의 잔치를 미리 보여줍니다.

그 즐거운 순간을 바라며 기다리면서 우리는 하나님의 사람들과 더불어 잔치를 베풀고 기쁨을 나누는 것을 실천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계시록 7:9-12
이 일 후에 내가 보니 각 나라와 족속과 백성과 방언에서 아무도 능히 셀 수 없는 큰 무리가 나와 [요한계시록 7:9]

어린 양 예수님, 천국 혼인잔치에 불러 주시니 감사합니다.

당신은 어린 양의 혼인 잔치를 어떻게 상상합니까? 이 천국 잔치에 초대받았다는 것이 당신의 삶에 어떤 영향을 줍니까?

Daily Article

12/09/2021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DANIEL 11–12; JUDE
Hymn: 37(OLD 37)

A GREAT MULTITUDE

We came together for our Sunday morning church service with joy and anticipation. Although we were spatially distanced because of the coronavirus pandemic, we welcomed the opportunity to celebrate Gavin and Tijana’s wedding. Our technologically gifted Iranian friends broadcast the service to friends and family spread out geographically—including in Spain, Poland, and Serbia. This creative approach helped us overcome the constraints as we rejoiced in the covenant of marriage. God’s Spirit united us and gave us joy.

That Sunday morning with our wonderfully multinational congregation was a small taste of the glory to come when people from “every nation, tribe, people and language” will stand before God in heaven (REVELATION 7:9) . The beloved disciple John glimpsed this “great multitude” in a vision he recounts in the book of Revelation. There those gathered will worship God together along with the angels and elders: “Praise and glory and wisdom and thanks and honor and power and strength be to our God for ever and ever” (V. 12).

The union and marriage of Jesus and His international bride in the “wedding supper of the Lamb” (19:9) will be an amazing time of worship and celebration. Our experience at our Sunday church service with people from many nations points to this celebration
that one day we’ll enjoy.

While we wait in hope for that joyful event, we can embrace the practice of feasting and rejoicing among God’s people.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REVELATION 7:9–12
Before me was a great multitude that no one could count, from every nation, tribe, people and language. [ REVELATION 7:9 ]

Lamb of God, thank You for the invitation to the heavenly wedding.

How do you picture the wedding supper of the Lamb? How does being invited to this celebration affect your daily life?

오늘의 말씀

12/08/2021     수요일

성경읽기: 다니엘 8-10; 요한3서
찬송가: 208(통246)

함께 하기

듀베리 침례교회는 1800년대에 닭다리 하나 때문에 갈라졌습니다. 그에 대해 다양한 이야기가 있지만, 현재 교인의 설명에 따르면 교회 친교 모임에서 두 남자가 마지막 남은 닭다리를 가지고 싸웠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한 남자가 자기가 닭다리를 먹는 것이 하나님의 뜻이라고 하자, 다른 남자가 하나님이 그런 일에 간섭하실 리가 없다며 자기가 먹겠다고 했습니다. 이렇게 화가 치민 두 사람 중 하나가 2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제2듀베리침례교회를 세웠습니다. 다행히 두 교회는 그들의 의견 차이를 해결했으며, 지금은 모든 사람이 말도 안되는 엉뚱한 이유로 분열이 일어났다는 것을 인정하고 있습니다.

예수님도 그에 동의하십니다. 돌아가시기 전날 밤 예수님은 제자들을 위해 이렇게 기도하셨습니다. “아버지여, 아버지께서 내 안에, 내가 아버지 안에 있는 것 같이 그들도 다 하나가 되어... 그들로 온전함을 이루어 하나가 되어... 아버지께서 나를 보내신 것을 알게 하옵소서” (요한복음 17:21-23) .

바울 사도도 그에 동의합니다. 그는 우리에게 “평안의 매는 줄로 성령이 하나 되게 하신 것을 힘써 지키라 몸이 하나요 성령도 한 분” (에베소서 4:3-4) 이라고 권면합니다. 이런 연합은 나누어질 수 없습니다.

우리 죄 때문에 그리스도의 몸이 상한 것을 슬퍼하는 우리가 분노와 험한 말과 파벌로 그분의 몸인 교회를 갈라놓아서는 안됩니다. 교회 분열로 사회에서 지탄을 받는 죄를 짓는 것보다 우리 자신이 손해 보는 것이 낫습니다. 상대방에게 닭다리도 주고, 후식으로 파이도 주십시오!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4:1-6
평안의 매는 줄로 성령이 하나 되게 하신 것을 힘써 지키라 [에베소서 4:3]

하늘에 계신 아버지, 다른 사람들과 화평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게 하소서. 아버지께서 합치신 것을 절대로 나누지 않게 하소서.

당신은 교회의 연합을 위해 어떻게 기여했습니까? 그 외에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12/08/2021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DANIEL 8–10; 3 JOHN
Hymn: 208(OLD 246)

STAY TOGETHER

Dewberry Baptist Church split in the 1800s over a chicken leg. Various versions of the story exist, but the account told by a current member was that two men fought over the last drumstick at a church potluck. One man said God wanted him to have it. The other replied God didn’t care, and he really wanted it. The men became so furious that one moved a couple kilometers down the road and started Dewberry Baptist Church #2. Thankfully, the churches have settled their differences, and everyone concedes the reason for their split was ridiculous.

Jesus agrees. The night before His death Jesus prayed for His followers. May they “be one, Father, just as you are in me and I am in you.” May they “be brought to complete unity. Then the world will know that you sent me” (JOHN 17:21–23).

Paul agrees. He urges us to “make every effort to keep the unity of the Spirit through the bond of peace. There is one body and one Spirit” (EPHESIANS 4:3–4) , and these cannot be divided.

We who weep for Christ’s body broken for our sin must not tear apart His body, the church, with our anger, gossip, and cliques. Better to let ourselves be wronged than be guilty of the scandal of church division. Give the other guy the chicken leg—and some
pie too! MIKE WITTMER

Today's Reading

EPHESIANS 4:1–6
Keep the unity of the Spirit through the bond of peace. [ EPHESIANS 4:3 ]

Heavenly Father, help me do the best I can to be at peace with others. May I never separate what You’ve joined.

What have you done to contribute to the unity of your church? What else might you do?

오늘의 말씀

12/07/2021     화요일

성경읽기: 다니엘 5-7; 요한2서
찬송가: 384(통434)

완벽한 이름

무더운 8월의 어느 날 아내가 둘째 아들을 낳았습니다. 그러나 아이의 이름을 정하지 못해서 아이는 아직 이름이 없는 상태였습니다. 아이스크림 가게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고 오랜 시간 운전을 하며 생각하고도 우리는 아이의 이름을 정하지 못했습니다. 아이는 그냥 “아기
윌리엄스”로 3일간 지내다가 드디어 마이카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습니다.

딱 맞는 이름을 고르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그런데 세상 역사를 영원히 바꿀 그분에게 완벽히 맞는 이름이 지어졌다면 하나님 말고 누가 생각해 낼 수 있었을까요? 하나님은 이사야 선지자를 통해 아하스 왕에게 그의 믿음을 강하게 하기 위하여 “한 징조”를 구하라고 지시하셨습니다 (이사야 7:10-11). 아하스 왕은 징조를 구하지 않았지만, 하나님은 그에게 한 징조를 보여주시며 “처녀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을 것이요 그 이름을 임마누엘이라 하리라” (14 절) 고 하셨습니다. 하나님은 그 아이의 이름을 지어주셨고, 그는 절망 속에 있는 사람들에게 희망의 징조가 될 것이었습니다. 그 이름은 그대로 이어져와 마태가 예수님의 탄생 이야기를 쓸 때 그 이름에 새로운 의미를 불어넣었습니다 (마태복음 1:23) . 예수님이 “임마누엘”이 되신 것입니다. 예수님은 단지 하나님을 대변하는 분이 아니라, 육신을 입은 하나님으로서 죄의 절망 속에서 그의
백성들을 구원하기 위해 오셨습니다.

하나님이 우리에게 징조를 주셨습니다. 그 징조는 아들이신 예수님입니다. 그 아들의 이름은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계신다’는 뜻의 임마누엘입니다. 이는 하나님의 임재와 사랑을 보여주는 이름입니다. 오늘 하나님은 우리가 임마누엘을 받아들이고 그분이 우리와 함께 하심을 알라고 권유하십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7:10-17
그러므로 주께서 친히 징조를 너희에게 주실 것이라 보라 처녀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을 것이요 그의 이름을 임마누엘이라 하리라 [이사야 7:14]

하늘에 계신 아버지, 임마누엘이신 당신의 아들 예수님을 보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 주님의 임재와 사랑 안에서 기뻐하게 하소서.

하나님이 어둡고 절망적인 상황에 있는 당신에게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어 주실 수 있다는 것을 믿지 못하게 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이번 주에 예수님을 어떻게 임마누엘로 받아들이겠습니까?

Daily Article

12/07/2021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DA NIEL 5–7; 2 JOHN
Hymn: 384(OLD 434)

THE PERFECT NAME

On a hot and humid day one August, my wife gave birth to our second son. But he remained nameless as we struggled to settle on a given name. After spending many hours in ice cream shops and taking long car rides, we still couldn’t decide. He was simply “Baby Williams” for three days before finally being named Micah.

Choosing the right name can be a little frustrating. Well, unless you’re God, who came up with the perfect name for the One who would change things forever. Through the prophet Isaiah, God directed King Ahaz to ask Him “for a sign” to strengthen his faith
(ISAIAH 7:10–11) . Though the king refused to ask for a sign, God gave him one anyway: “The virgin will conceive and give birth to a son, and will call him Immanuel” (V. 14) . God named the child, and He would be a sign of hope to people going through despair. The name stuck and Matthew breathed new meaning into it when he wrote the narrative of Jesus’ birth (MATTHEW 1:23) . Jesus would be “Immanuel.” He wouldn’t just be a representative of God, but He would be God in the flesh, coming to rescue His people from the despair of sin.

God gave us a sign. The sign is a Son. The Son’s name is Immanuel—God with us. It’s a name that reflects His presence and love. Today, He invites us to embrace Immanuel and know that He’s with us. MARVIN WILLIAMS

Today's Reading

ISAIAH 7:10–17
The Lord himself will give you a sign: The virgin will conceive and give birth to a son, and will call him Immanuel. [ ISAIAH 7:14 ]

Heavenly Father, thank You for Immanuel—Jesus, Your Son. May I rejoice in His presence and love today.

What keeps you from believing that God can breathe new life into your dark times and desperate circumstances? How will you embrace Jesus as Immanuel this week?

오늘의 말씀

12/06/2021     월요일

성경읽기: 다니엘 3-4; 요한1서 5
찬송가: 211(통346)

기꺼이 베푸는 기부자

3세기에 태어난 니콜라스는 자기가 죽고 나서 수 세기 후에 산타클로스로 알려질 것이라고는 상상도 하지 못했습니다. 그는 하나님을 사랑하고 진정으로 사람들을 돌보며, 자기가 가진 것을 기쁜 마음으로 나눠주고 친절을 베푸는 사람으로 알려진 한 남자에 지나지 않았습니다. 전해오는 이야기에 의하면, 극심한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한 가족의 이야기를 들은 니콜라스가 밤중에 그 집으로 가서 열린 창문으로 금이 든 자루를 던졌는데, 그것이 벽난로 옆에 덥히려고 둔 신발인지 양말 속으로 떨어졌다고 합니다.

니콜라스보다 더 오래 전에 바울 사도는 고린도의 신자들에게 기꺼이 내는 기부자가 되라고 권고했습니다. 그는 예루살렘의 형제자매들이 겪는 극심한 재정적 어려움을 알리며 그들에게 아낌없이 도와줄 것을 권면하였습니다. 바울은 가진 것을 나눠주는 이들에게 오는 유익과 축복을 설명하면서, “적게 심는 자는 적게 거두고 많이 심는 자는 많이 거둔다” (고린도후서 9:6) 고 상기시켜 주었습니다. 그들이 기쁜 마음으로 너그러움을 베푼 결과 그들은 “모든 일에 넉넉하여” (11절) 졌고 하나님이 영광을 받게 되었습니다.

하나님 아버지, 우리가 이 성탄절 기간 뿐 아니라 일년 내내 기쁜 마음으로 베풀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하나님의 “형언할 수 없는 선물”인 당신의 아들 예수님을 우리에게 주신 (15절) , 그 놀라운 아버지의 관대한 베푸심에 감사드립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후서 9:6-15
각각 그 마음에 정한 대로 할 것이요 인색함으로나 억지로 하지 말지니 하나님은 즐겨 내는 자를 사랑하시느니라 [고린도후서 9:7]

베푸시는 하나님, 베풀 때에 주는 자와 받는 자 모두에게 넘치는 복을 주시는 하나님의 원리를 생각하며 제가 베푸는 사람이 되도록 힘을 더해 주시니 감사합니다.

이번 주에 당신의 도움이 필요한 곳은 어디입니까? 어떻게 당신의 시간과 가진 것을 아낌없이 줄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12/06/2021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DANIEL 3–4; 1 JOHN 5
Hymn: 211(OLD 346)

CHEERFUL GIVER

Nicholas, who was born in the third century, had no idea that centuries after his death he would be known as Santa Claus. He was just a man who loved God and genuinely cared for people and who was known for giving cheerfully of his own possessions and doing kind deeds. The story is told that after learning of a family who was in great financial distress, Nicholas came to their home at night and threw a bag of gold through an open window, which landed in a shoe or stocking warming by the fireplace.

Long before Nicholas, the apostle Paul urged the believers in Corinth to be cheerful givers. He wrote to them about the great financial needs of their brothers and sisters in Jerusalem and encouraged them to give generously. Paul explained to them the benefits
and blessings that come to those who give of their possessions. He reminded them that “whoever sows sparingly will also reap sparingly, and whoever sows generously will also reap generously” (2 CORINTHIANS 9:6) . As a result of their cheerful generosity, they would be “enriched in every way” (V. 11) , and God would be honored.

Father, would you help us to be cheerful givers not only during this Christmas season but all year long? Thank You for Your incredible generosity in giving us Your “indescribable gift,” Your Son, Jesus (V. 15). ESTERA PIROSCA ESCOBAR

Today's Reading

2 CORINTHIANS 9:6–15
Each of you should give what you have decided in your heart to give, not reluctantly or under compulsion, for God loves a cheerful giver. [ 2 CORINTHIANS 9:7 ]

Thank You, giving God, for encouraging me to be generous because in Your economy, generosity will bring the giver and the receiver abundant blessings.

Where do you see a need you could help with this week? How could you give generously of your time or resources?

오늘의 말씀

12/05/2021     주일

성경읽기: 다니엘 1-2; 요한1서 4
찬송가: 203(통202)

그림으로 성경 가르치기

네덜란드 가정에서 흔히 보는 파란색과 흰색의 장식용 세라믹 타일은 처음에 델프트 시에서 만들어졌습니다. 이 타일에는 보통 아름다운 풍경과 아주 흔한 풍차, 사람들이 일하고 노는 모습 등, 네덜란드의 친숙한 광경들이 많이 그려져 있습니다.

찰스 디킨스는 19세기 때 그의 소설 ‘크리스마스 캐럴’에서 이 타일이 성경을 설명하는 데 어떻게 사용되는지 묘사했습니다. 그는 진기한 델프트 타일들로 겉이 둘러싸인, 한 네덜란드인이 만든 오래된 벽난로를 설명하면서 “그 타일들에는 가인과 아벨, 바로의 딸들, 스바의 여왕들... [그리고] 바다로 떠나는 사도들이 있었다.”고 했습니다. 많은 가정에서 식구들이 따뜻한 불 가에 모여 앉아 성경 이야기를 나눌 때 성경을 가르치는 도구로 이 타일을 사용했습니다. 그들은 하나님의 공의, 사랑, 자비와 같은 성품에 대해 배웠습니다.

성경의 진리는 오늘날에도 계속 적용됩니다. 시편 78편은 우리에게 “옛날부터 감추어진 것, 우리가 이미 들어서 알고 있는 것, 우리 조상들이 우리에게 전해준 것”을 가르치라고 권면합니다 (2-3절, 현대인의 성경) . 시편은 계속해서 우리가 “주님의 영광스러운 행적과 능력과 그가 이루신 놀라운 일들을 미래의 세대에게 전하면” “그들도 그들의 자손에게 대대손손 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가르칩니다 (4, 6절, 새번역).

우리가 하나님께서 마땅히 받으셔야 할 온전한 영광과 찬양을 드리기 위해 노력할 때, 우리는 하나님의 도움으로 각 세대에게 성경의 진리를 설명할 수 있는 창의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을 찾을 수 있게 됩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78:1-8
우리가 이를 그들의 자손에게 숨기지 아니하고 여호와의 영예와 그의 능력과 그가 행하신 기이한 사적을 후대에 전하리로다 [시편 78:4]

사랑의 하나님, 성경에서 배운 것을 설명하는 방법을 보여주셔서 다른 사람들도 하나님의 경이로움을 알게 해주소서.

성경을 처음 접하는 사람들에게 성경의 진리를 효과적으로 설명하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주님의 영광스러운 행적”에 대해 알아야 할 사람들은 누구입니까?

Daily Article

12/05/2021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DANIEL 1–2; 1 JOHN 4
Hymn: 203(OLD 202)

ILLUSTRATING SCRIPTURE

Decorative blue and white ceramic tiles commonly found in Dutch households were originally made in the city of Delft. They often depict familiar scenes of the Netherlands: beautiful landscapes, ubiquitous windmills, and people working and playing.

In the nineteenth century, Charles Dickens wrote in his book A Christmas Carol how these tiles were used to illustrate the Scriptures. He described an old fireplace built by a Dutchman paved with these quaint Delft tiles: “There were Cains and Abels, Pharaohs’ daughters; Queens of Sheba, . . . [and] Apostles putting off to sea.” Many households used these tiles as a teaching tool as the family gathered around the warmth of a fire and shared the stories of the Bible. They learned about God’s character—His justice, compassion, and mercy.

The truths of the Bible continue to be relevant today. Psalm 78 encourages us to teach the “hidden lessons from our past—stories we’ve heard and known, stories our ancestors handed down to us” (VV. 2–3 NLT) . It goes on to instruct us to “tell the next generation the praiseworthy deeds of the Lord, his power, and the wonders he has done” and “they in turn [can] tell their children” (VV. 4, 6).

With God’s help, we can find creative and effective ways to illustrate the truths of Scripture to each generation as we strive to give God the full honor and praise He deserves. CINDY HESS KASPER

Today's Reading

PSALM 78:1–8
We will tell the next generation the praiseworthy deeds of the Lord, his power, and the wonders he has done. [ PSALM 78:4 ]

Loving God, show me ways to illustrate what I’ve learned from Scripture so others may know of Your wonders.

What ways have you found effective in illustrating the truths of the Bible to someone who’s new to Scripture? Who needs to know about the “praiseworthy deeds of the Lord”?

오늘의 말씀

12/04/2021     토요일

성경읽기: 에스겔 47-48; 요한1서 3
찬송가: 225(통298)

지금 세대

1964년 젊은 환경운동가 잭 와인버그는 “서른이 넘은 사람은 누구든 절대 믿지 말라.”고 말했습니다. 와인버그의 이 말은 한 세대 사람들에 대한 고정관념을 심어 주었는데 그는 나중에 이 말에 대해 후회했습니다. 그는 회고하면서 “내 머리에 문득 떠올라 말한 것이... 완전히 왜곡되고 오해를 불러일으켰다.”고 말했습니다.

밀레니엄 세대를 폄하하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습니까? 혹은 그 반대는요? 다른 세대를 향한 그릇된 생각 때문에 세대 간의 통로가 막힐 수 있습니다. 분명히 더 잘 할 수 있는 방법도 있는데 말입니다.

히스기야는 훌륭한 왕이었지만 다음 세대에 대해서는 관심이 부족했습니다. 젊은 시절 히스기야가 불치병에 걸렸을 때 (열왕기하 20:1) 그는 하나님께 살려 달라고 부르짖었습니다 (2-3절) . 그래서 하나님은 그에게 15년의 삶을 더해 주셨습니다 (6절).

그러나 히스기야는 그의 자녀들이 언젠가 포로로 잡힐 것이라는 무서운 소식을 듣고도 눈물 한 방울 흘리지 않았습니다 (16-18절) . 그는 “적어도 자기 시대에는 평화와 안전이 있을 것” (19절, 현대인의 성경) 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히스기야는 자신의 안위에 쏟은 열정을 다음 세대를 위해서는 보여주지 못한 것 같습니다.

하나님은 우리를 나누는 세대 간의 벽을 넘어 사랑하라고 하십니다. 나이 든 세대에게는 젊은 세대의 참신한 이상주의와 창의성이 필요하며, 반대로 젊은 세대는 윗 세대의 지혜와 경험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서로를 비난하는 메시지나 슬로건이 아니라, 사려 깊게 생각들을 주고받는 것이 필요한 때입니다. 우리는 이 일에 함께 해야 합니다.

오늘의 성구

열왕기하 20:1-19
히스기야가 낯을 벽으로 향하고 여호와께 기도하여 이르되 [열왕기하 20:2]

하나님 아버지, 나와는 다른 세대들을 존중하지 않은 것을 용서하소서.

당신은 어떤 식으로 다른 세대를 무시했거나 무례히 대했다고 생각합니까? 하나님께서 당신에게 주신 재능을 다른 세대를 위해 어떻게 사용할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12/04/2021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EZEKIEL 47–48; 1 JOHN 3
Hymn: 225(OLD 298)

GENERATION NOW

“Never trust anyone over thirty,” said young environmentalist Jack Weinberg in 1964. His comment stereotyped an entire generation—something Weinberg later regretted. Looking back, he said, “Something I said off the top of my head . . . became completely distorted and misunderstood.”

Have you heard disparaging comments aimed at millennials? Or vice versa? Ill thoughts directed from one generation toward another can cut both ways. Surely there’s a better way.

Although he was an excellent king, Hezekiah showed a lack of concern for another generation. When, as a young man, Hezekiah was struck with a terminal illness (2 KINGS 20:1) , he cried out to God for his life (VV. 2–3) . God gave him fifteen more years (V. 6).

But when Hezekiah received the terrible news that his children would one day be taken captive, the royal tears were conspicuously absent (VV. 16–18) . He thought, “Will there not be peace and security in my lifetime?” (V. 19) . It may have been that Hezekiah didn’t apply the passion he had for his own well-being to the next generation.

God calls us to a love that dares to cross the lines dividing us. The older generation needs the fresh idealism and creativity of the younger, who in turn can benefit from the wisdom and experience of their predecessors. This is no time for snarky memes and slogans but for thoughtful exchange of ideas. We’re in this together.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2 KINGS 20:1–19
Hezekiah turned his face to the wall and prayed to the Lord. [ 2 KINGS 20:2 ]

Forgive me, Father, for not appreciating others in a stage of life different from mine.

In what ways do you think you may have ignored or disrespected others from a different age group? How might you use the gifts God has given you to serve them?

오늘의 말씀

12/03/2021     금요일

성경읽기: 에스겔 45-46; 요한1서 2
찬송가: 436(통493)

진정한 정체성

친구는 내가 찍은 그녀의 사진들을 보더니 그녀가 보기에 불완전해 보이는 자기 몸의 여러 특징들을 꼬집어 내며 언급했습니다. 나는 친구에게 사진을 좀 더 자세히 보라고 하면서, “내 눈에는 전능하신 만왕의 왕의 아름답고 사랑스러운 딸이 보이는데.”라고 말했습니다. “하나님과 사람들을 진심으로 알고 사랑하는 사람, 진실로 친절하고 관대하고 신실해서 아주 많은 사람들의 삶을 바꾸어 놓은 사람이 보여.” 친구의 눈에 눈물이 글썽이는 것을 보며 나는 “네게 필요한 것은 자그마한 왕관이야!”라고 말했습니다. 그날 오후 우리는 친구가 자신의 진정한 정체성을 절대 잊지 못할, 그녀에게 꼭 맞는 왕관을 골랐습니다.

예수님을 인격적으로 알게 될 때 주님은 우리에게 사랑으로 관을 씌우시며 하나님의 자녀라고 부르십니다 (요한1서 3:1) . 그리고 우리에게 믿음으로 인내할 수 있는 능력을 주셔서 “그가 강림하실 때에 우리로 담대함을 얻어 그 앞에서 부끄럽지 않게” (2:28) 하십니다. 주님은 우리를 있는 그대로 받아 주시지만 주님의 사랑은 우리를 깨끗하게 하고 주님과 같은 모습으로 변화시켜 줍니다 (3:2-3) . 주님은 우리에게 그분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하시고, 우리를 죄에서 돌이키게 하시는 그 능력으로 기쁨 가운데 회개하게 도우십니다 (7-9절) . 우리는 우리 마음속에 감춰져 있는 주님의 진리와 우리 삶에 임재하시는 성령님과 더불어 신실하게 순종하며 사랑으로 살아갈 수 있습니다 (10절) .

그날 내 친구에게 작은 왕관이나 다른 장신구가 정말 필요한 것은 아니었지만, 우리 두 사람에게는 하나님의 사랑하는 자녀로서의 우리의 가치를 다시 기억시켜 줄 어떤 것이 필요했던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1서 2:28-3:10
보라 아버지께서 어떠한 사랑을 우리에게 베푸사 하나님의 자녀라 일컬음을 받게 하셨는가 [요한1서 3:1]

사랑의 하나님, 제가 누구인지는 제가 누구의 것인지에 달려있다는 것을 깨닫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는 하나님의 것, 오직 하나님의 것입니다.

당신의 결점이나 과거의 실패가 자신의 정체성을 결정짓도록 한 적이 있습니까? 하나님의 자녀로서 사랑받고 선택받고 면류관을 받았다는 것을 알면 의와 사랑 안에서 사는데 어떻게 도움이 될까요?

Daily Article

12/03/2021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EZEKIEL 45–46; 1 JOHN 2
Hymn: 436(OLD 493)

TRUE IDENTITY

As my friend reviewed the pictures I took of her, she pointed out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she saw as imperfections. I asked her to look closer. “I see a beautiful and beloved daughter of the Almighty King of Kings,” I said. “I see a compassionate lover of
God and others, whose genuine kindness, generosity, and faithfulness have made a difference in so many lives.” When I noticed the tears brimming her eyes, I said, “I think you need a tiara!” Later that afternoon, we picked out the perfect crown for my friend so she would never forget her true identity.

When we come to know Jesus personally, He crowns us with love and calls us His children (1 JOHN 3:1) . He gives us the power to persevere in faith so that “we may be confident and unashamed before him at his coming” (2:28) . Though He accepts us as we are, His love purifies us and transforms us into His likeness (3:2–3) . He helps us recognize our need for Him and repent as we rejoice in the power to turn away from sin (VV. 7–9) . We can live in faithful obedience and love (V. 10) , with His truth hidden in our hearts and His Spirit present in our lives.

My friend didn’t really need a tiara or any other trinket that day. But we both needed the reminder of our worth as God’s beloved children.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1 JOHN 2:28–3:10
See what great love the Father has lavished on us, that we should be called children of God! [ 1 JOHN 3:1 ]

Loving God, thank You for reminding me that who I am is based on whose I am—Yours, simply Yours.

What personal faults and past failings have you allowed to determine your identity? How can knowing you’re loved, chosen, and crowned as God’s child help you live in righteousness and love?

오늘의 말씀

12/02/2021     목요일

성경읽기: 에스겔 42-44; 요한1서 1
찬송가: 219(통279)

다양성을 누림

2019년 한 고등학교 졸업식에서 608명의 학생들이 졸업장을 받기 위해 대기하고 있었습니다. 교장 선생님은 시작하면서 학생들에게 아프가니스탄, 볼리비아, 보스니아 등, 자기 출신 국가를 호명하면 자리에서 일어나 달라고 부탁했습니다. 교장 선생님이 60개 나라의 이름을 다
부르는 동안 학생들은 서 있으면서 서로 환호해주었습니다. 한 고등학교 안에 60개 나라가 모인 것입니다.

다양함 가운데 연합한 그 아름다운 모습은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한 가지를 강력히 보여주었습니다. 그것은 바로 사람들이 하나로 어울려 사는 것입니다.

사람들이 절기를 따라 예루살렘에 들어가며 불렀던 성전에 올라가는 노래인 시편 133편에서 우리는 하나님 백성들 사이의 연합을 격려하는 것을 봅니다. 이 시편은 분열을 일으킬 수 있는 차이가 있음에도 연합하여 사는 삶의 유익을 일깨워줍니다 (1절) . 연합은 상쾌한 이슬 (3절) 이나 제사장 직분을 위임하기 위해 머리에 부었던 관유 (출애굽기 29:7) 가 제사장의 머리와 수염, 의복에 “흘러내리는” (2절) 것 같은 생생한 이미지로 묘사되어 있습니다. 이런 이미지들은 다 우리가 연합할 때 하나님의 축복이 담아두지 못할 만큼 넘치게 흐른다는 사실을 강조해 줍니다.

인종이나 국적, 나이는 달라도 예수님을 믿는 사람들에게는 성령 안에서 더 깊은 연합이 있습니다 (에베소서 4:3) . 우리가 함께 서서 예수님이 이끄시는 대로 하나됨을 누릴 때, 우리는 하나님이 주신 차이들을 받아들이게 되고 진정한 연합을 이루신 분을 기뻐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33
형제가 연합하여 동거함이 어찌 그리 선하고 아름다운고 [시편 133:1]

하늘에 계신 아버지, 모든 하나님의 백성들과 연합하며 살아갈 수 있도록 제가 맡은 역할을 다 하게 하소서.

그리스도 안에서의 연합의 좋은 점을 언제 경험하셨습니까? 그것이 어떻게 축복이 되었습니까?

Daily Article

12/02/2021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EZEKIEL 42–44; 1 JOHN 1
Hymn: 219(OLD 279)

CELEBRATING DIVERSITY

At the 2019 graduation ceremony at a local high school, 608 students prepared to receive their diplomas. The principal began by asking students to stand when he read the name
of the country where they were born: Afghanistan, Bolivia, Bosnia . . . . The principal kept going until he’d named sixty countries and every student was standing and cheering together. Sixty countries; one high school.

The beauty of unity amid diversity was a powerful image that celebrated something near to God’s heart—people living together in unity.

We read an encouragement for unity among God’s people in Psalm 133, a psalm of ascent—a song sung as people entered Jerusalem for annual celebrations. The psalm reminded the people of the benefits of living harmoniously (V. 1) despite differences that could cause division. In vivid imagery, unity is described as refreshing dew (V. 3) and oil—used to anoint priests (EXODUS 29:7) —“running down” the head, beard, and clothing of a priest (V. 2) . Together, these images point to the reality that in unity God’s blessings flow so lavishly they can’t be contained.

For believers in Jesus, despite differences such as ethnicity, nationality, or age, there’s a deeper unity in the Spirit (EPHESIANS 4:3). When we stand together and celebrate that common bond as Jesus leads us, we can embrace our God-given differences and
celebrate the source of true unity. LISA M. SAMRA

Today's Reading

PSALM 133
How good and pleasant it is when God’s people live together in unity! [ PSALM 133:1 ]

Heavenly Father, help me do my part to live in unity with all of God’s people.

When have you experienced the goodness of unity in Christ? How has it brought blessing?

오늘의 말씀

12/01/2021     수요일

성경읽기: 에스겔 40-41; 베드로후서 3
찬송가: 221(통525)

교회 공동체는 필요합니다

나는 남침례교 목사의 맏아들로 자랐기에 주일에는 반드시 교회에 가야 하는 것으로 알았습니다. 열이 아주 심하다면 빠질 수도 있었겠지만, 사실 나는 교회에 가는 것이 워낙 좋아서 열이 있을 때에도 몇 번 교회에 갔었습니다. 그러나 세상이 변하여 정기적으로 교회에 출석하는 교인의 수가 예전과 같지 않습니다. 당연히 ‘왜 그럴까?’ 하는 의문이 바로 떠오릅니다. 그에 대한 답은 많고 다양하지만, 작가 캐슬린 노리스는 “우리는 왜 교회에 가는가?”라는 질문에 어느 목사님이 주신 답 하나로 여러 답을 대신합니다. 그는 “우리는 다른 사람들을 위해서 교회에 갑니다. 거기엔 당신을 필요로 하는 누군가가 있을지도 모르기 때문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물론 이것이 우리가 교회에 가는 유일한 이유는 결코 아니지만, 그의 대답은 히브리서 기자의 마음과 일치하고 있습니다. 히브리서 기자는 신자들에게 믿음 안에서 인내하라고 권면하면서, 그 목표를 위해 “모이기를 폐하지 말라” (히브리서 10:25) 고 강조했습니다. 왜냐하면 모이지 않으면 “서로 격려하는” 중요한 일을 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25절, 현대인의 성경). 우리는 “서로 돌아보아 사랑과 선행을 격려” (24절) 하기 위해 상호간의 격려가 필요합니다.

형제자매 여러분, 누군가 당신을 필요로 할지도 모르기 때문에 함께 모이기를 계속하십시오. 어쩌면 반대로 당신에게 그들이 필요할지도 모릅니다.

오늘의 성구

히브리서 10:19-25
모이기를 폐하는 어떤 사람들의 습관과 같이 하지 말고 오직 권하여 그 날이 가까움을 볼수록 더욱 그리하자 [히브리서 10:25]

하늘에 계신 아버지, 다른 사람들과 함께 예배하고 하나님의 이름을 찬양할 때 아버지의 이름으로 사람들을 격려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나 자신에 너무 사로잡혀 그들을 그냥 지나칠 때 저를 용서해 주소서.

교회에 가거나 가지 않는 주요한 이유 네 가지가 있다면 무엇입니까? “누군가 당신을 필요로 할지도 모른다”는 것을 알면 함께 모이는 것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갖게 됩니까?

Daily Article

12/01/2021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EZEKIEL 40–41; 2 PETER 3
Hymn: 221(OLD 525)

WE NEED OUR CHURCH COMMUNITY

I grew up the firstborn son of a Southern Baptist preacher. Every Sunday the expectation was clear: I was to be in church. Possible exceptions? Maybe if I had a significant fever. But the truth is, I absolutely loved going, and I even went a few times feverish. But the world has changed, and the numbers for regular church attendance are not what they used to be. Of course, the quick question is why? The answers are many and varied. Author Kathleen Norris counters those answers with a response she received from a pastor to the question, “Why do we go to church?” He said, “We go to church for other people. Because someone may need you there.”

Now by no means is that the only reason we go to church, but his response does resonate with the heartbeat of the writer to the Hebrews. He urged the believers to persevere in the faith, and to achieve that goal he stressed “not giving up meeting together”
(HEBREWS 10:25) . Why? Because something vital would be missed in our absence: “encouraging one another” (V. 25) . We need that mutual encouragement to “spur one another on toward love and good deeds” (V. 24).

Brothers and sisters, keep meeting together, because someone may need you there. And the corresponding truth is that you may need them as well.
JOHN BLASE

Today's Reading

H E B R E W S 10:19–25
[Let us] not [give] up meeting together, as some are in the habit of doing, but [encourage] one another. [ HEBREWS 10:25 ]

Heavenly Father, as I meet with others to worship and praise Your name, help me to also encourage others in Your name. Forgive me when I overlook the latter because I’m too preoccupied with myself.

What are the top four reasons you either go to church or don’t go? How does knowing “someone may need you there” make you feel about meeting together?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