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11/30/2021 화요일
큰 빛
이사야 선지자는 폭력과 탐욕이 넘치고 반항과 고뇌로 산산이 부서진 음울한 흑암의 세상을 묘사했습니다(이사야 8:22). 폐허 밖에 없고, 희망의 촛불이 깜박이다가 희미해지면서 잠깐 반짝이다가 어둠의 허무 속으로 사라집니다. 하지만 이사야는 이 어둠의 절망이 끝이 아니라고 주장합니다. 하나님의 은혜로 말미암아 곧 “전에 고통받던 자들에게는 흑암이 없을 것입니다”(9:1). 하나님은 그의 백성들을 결코 그늘진 폐허에 내버려두지 않으실 것입니다. 이사야 선지자는 자기 백성들에게 희망을 선포하며, 죄가 드리운 흑암을 몰아 내실 예수님이 오실 때를 언급했습니다.
예수님이 오셨습니다. 이제는 이사야의 말이 새로운 의미로 다가옵니다. 이사야는 말합니다. “흑암에 행하던 백성이 큰 빛을 보고 사망의 그늘진 땅에 거주하던 자에게 빛이 비치도다”(2절).
밤이 얼마나 어둡든지, 우리의 상황이 얼마나 절망적인지 상관없이, 우리는 이 흑암 속에서 절대로 버림받지 않습니다. 예수님이 여기 계십니다. 큰 빛이신 예수님이 빛을 비추십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9:1-3흑암에 행하던 백성이 큰 빛을 보고 [이사야 9:2]
당신은 얼마나 자주 어둠과 절망을 경험합니까? 예수님의 이미지를 큰 빛으로 생각해 보십시오. 이 빛이 어떻게 새로운 희망을 갖게 합니까?
하나님, 너무 어둡습니다. 가끔은 이 어둠이 저를 삼켜버릴까 두렵습니다. 저의 큰 빛이 되셔서 빛나는 사랑으로 저를 비춰 주소서.
Daily Article
11/30/2021 Tuesday
A GREAT LIGHT
The prophet Isaiah described a world of brooding darkness, one overrun by violence and greed, shattered by rebellion and anguish (ISAIAH 8:22). Nothing but ruin; hope’s candle flickering and fading, sputtering before succumbing to dark nothingness. And yet, Isaiah insisted, this dim despair was not the end. Because of God’s mercy, soon “there will be no more gloom for those who were in distress” (9:1). God would never abandon His people in shadowy ruin. The prophet announced hope for his people then and pointed to the time when Jesus would come to dispel the darkness sin has caused.
Jesus has come. And now we hear Isaiah’s words with renewed meaning: “The people walking in darkness have a seen a great light,” Isaiah says. “On those living in the land of deep darkness a light has dawned” (V. 2).
No matter how dark the night, no matter how despairing our circumstances, we’re never forsaken in the dark. Jesus is here. A great Light shines. WINN COLLIER
Today's Reading
ISAIAH 9:1–3The people walking in darkness have seen a great light. [ ISAIAH 9:2 ]
How are you prone to experience darkness and despair? Consider this image of Jesus as the great light— how does this light renew you with hope?
God, there’s so much darkness. I fear sometimes that the darkness will overwhelm me. Be my great light. Shine on me with radiant love.
오늘의 말씀
11/29/2021 월요일
반대와 맞서 하나님을 신뢰함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옛날 바벨론에서 포로 생활을 하던 유다의 세 젊은이 사드락, 메삭, 아벳느고처럼 반대에 맞서서 하나님을 섬기고 있습니다. 다니엘서를 보면 그들은 죽음의 위협을 당했을 때에도 느부갓네살 왕의 모습으로 만든 큰 금상에 절하기를 거부했습니다. 그들은 하나님이 자신들을 보호하실 수 있으며, 만약 “그렇게 하지 아니하실지라도”(다니엘 3:18) 하나님을 섬기겠다고 단호한 태도를 보였습니다. 그들이 풀무불 가운데로 던져졌을 때 하나님은 실제로 그들의 고난과 함께 하셨습니다(25절). 놀랍게도 그들은 “머리털도 그을리지” 않고 살아남았습니다(27절).
우리가 믿음의 행위 때문에 고난이나 박해를 겪을 때, 결과가 비록 우리가 바라던 바와 달리 나타난다 해도 하나님께 순종하겠다고 결심하면, 우리를 강하게 하시고 지탱시켜 주시는 성령님이 우리와 함께 하신다는 것을 과거와 현재의 여러 사례들을 통해 알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다니엘 3:13-18, 25-27그렇게 하지 아니하실지라도... 우리가 왕의 신들을 섬기지도 아니하고 왕이 세우신 금 신상에게 절하지도 아니할 줄을 아옵소서 [다니엘 3:18]
당신은 “그렇게 하지 않으실지라도” 하나님을 따르기로 선택한 경우들이 있습니까? 하나님께서 그때 어떻게 함께 하셨습니까?
하나님, 저를 아낌없이 사랑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설령 반대에 부딪혀도 기쁨으로 하나님을 따르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1/29/2021 Monday
TRUSTING GOD IN OPPOSITION
Serving God in the face of opposition is a reality for many today just as it was for Shadrach, Meshach, and Abednego, three young Israelites living in captivity in Babylon. In the book of Daniel, we learn that they refused to pray to a large golden image of King Nebuchadnezzar even when threatened with death. The men testified that God was capable of protecting them, but they chose to serve Him “even if” He didn’t rescue them (DANIEL 3:18). When they were thrown into the fire, God actually joined them in their suffering (V. 25). To everyone’s amazement, they survived without even “a hair of their heads singed” (V. 27).
If we face suffering or persecution for an act of faith, ancient and modern examples remind us that God’s Spirit is present with us to strengthen and sustain us when we choose to obey Him, “even if” things turn out differently than we hope. LISA M. SAMRA
Today's Reading
DANIEL 3:13–18, 25–27But even if he does not . . . we will not serve your gods or worship the image of gold you have set up. [ DANIEL 3:18 ]
What are some ways you’ve chosen to follow God “even if”? What are ways He’s been with you?
God, thank You for loving me so generously. Help me to follow You with joy even in the face of opposition.
오늘의 말씀
11/28/2021 주일
상처에 모욕을 더함
욥의 삶은 그런 고통스러운 현실을 보여줍니다. 초기에는 믿음의 모습을 보였지만 결국 절망에 빠지게 되자, 그의 친구들은 상처에 모욕을 더하여 그를 더 아프게 했습니다. 친구들은 욥이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4:7-8) 하나님이 고쳐 주시는 것에서 배울 수 있다면, 그가 당면한 문제 앞에서도 웃을 수 있는 힘을 얻게 될 것이라고 그럴듯한 주장을 펼쳤습니다(5:22).
욥의 “위로자들”은 좋은 의도로 그렇게 말했겠지만 너무나 틀린 생각이었습니다(1:6-12). 그들은 앞으로 “친구들이 그와 같다면 누가 적이 필요할까?”라는 예가 될 거라고는 상상도 하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욥이 그들을 구하려 그들을 위해 기도한다고는, 아니 그들에게 왜 기도가 필요하게 될지를 전혀 상상할 수 없었습니다(42:7-9). 뿐만 아니라 우리의 가장 큰 기쁨을 위해 엄청난 오해를 겪으셨던 주님을 고소하는 자의 모습을 그들이 어떻게 미리 보여주게 되었는지도 결코 상상할 수 없었습니다.
오늘의 성구
욥기 5:17-27사람은 고생을 위하여 났으니 불꽃이 위로 날아 가는 것 같으니라 [욥기 5:7]
사람들이 당신을 잘못 판단했을 때 어떤 느낌이 들었습니까? 당신이 이해하지 못하는 고통을 당하는 사람들을 비판했던 적은 없었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욥의 친구들처럼 저도 다른 사람들이 문제가 있을 때 그럴 만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고소자의 말과 생각보다는 성령 안에서 이 하루를 살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1/28/2021 Sunday
INSULT TO INJURY
The life of Job unfolds in such troubled realism. When his early expressions of faith eventually gave way to despair, his friends multiplied his pain by adding insult to injury. With good sounding arguments they insisted that if he could admit his wrongs (4:7–8) and learn from God’s correction, he would find strength to laugh in the face of his problems (5:22).
Job’s “comforters” meant well while being so wrong (1:6–12). Never could they have imagined that they would one day be invoked as examples of “With friends like that, who needs enemies?” Never could they have imagined the relief of Job praying for them, or why they would need prayer at all (42:7–9). Never could they have imagined how they foreshadowed the accusers of the One who suffered so much misunderstanding to become the source of our greatest joys. MART DEHAAN
Today's Reading
JOB 5:17–27Man is born to trouble as surely as sparks fly upward. [ JOB 5:7 ]
How have others misjudged you, and how did you feel? When have you been critical of others whose pain you didn’t understand?
Father, like Job’s friends, I’m inclined to assume that the troubles of others are somehow deserved. Please help me live this day in the Spirit of Your Son rather than in the words and thoughts of the accuser.
오늘의 말씀
11/27/2021 토요일
담대한 믿음
베드로 사도는 예수님을 믿는 믿음 때문에, 그리고 하나님께 쓰임 받아 “못 걷는 사람”(사도행전 4:9)을 고친 것 때문에 강한 반대에 부딪혔습니다. 그러나 그는 그것을 그리스도를 담대하게 증거하는 기회로 사용했습니다 (8-13절).
오늘날 우리도 베드로처럼 강한 반대에 부딪힐 수 있습니다(3절). 하지만 우리에게는 우리의 죄값으로 죽으시고 용서의 능력을 보여주시기 위해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나셨으며(10절) 우리를 “구원할 수 있는”(12절) 그분에 대한 이야기를 꼭 들어야 할 가족과 직장 동료, 학교 친구, 그리고 우리가 아는 다른 사람들이 있습니다. 예수님에게 있는 구원의 좋은 소식을 그들이 들을 수 있도록 기도하는 마음으로 담대하게 선포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사도행전 4:8-13다른 이로써는 구원을 받을 수 없나니 [사도행전 4:12]
오늘 어떻게 담대하게 예수님을 증거하시겠습니까? 주님에 대해 사람들에게 말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담대히 증거하기 위해 어떻게 더 잘 준비할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저를 위해 하신 일에 감사드립니다. 저의 믿음을 다른 사람들에게 예수님 이름으로 담대하게 전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1/27/2021 Saturday
BOLD FAIT
The apostle Peter faced opposition due to his faith in Jesus and for being used by God to heal a “man who was lame” (ACTS 4:9). But he used the opportunity to boldly speak for Christ (VV. 8–13).
Today, like Peter, we too may face opposition (V. 3), yet we have family members, co-workers, fellow students, and others we know who desperately need to hear about the One in whom “salvation is found” (V. 12), who died as payment for our sins and was raised from the dead as proof of His power to forgive (V. 10). May they hear as we prayerfully and boldly proclaim this good news of salvation found in Jesus. ARTHUR JACKSON
Today's Reading
ACTS 4:8–13Salvation is found in no one else. [ ACTS 4:12 ]
How will you boldly share Jesus today? What keeps you from telling others about Him? How can you be better prepared to do so?
Father, thank You for what You’ve done for me. Help me, in Jesus’ name, to boldly share my faith with others.
오늘의 말씀
11/26/2021 금요일
큰 용사
우리는 성경에서 디트와 같이 겉보기에 하나님을 섬길 것 같지 않은 인물을 하나님께서 사용하시는 이야기를 많이 봅니다. 예를 들어, 하나님의 천사가 기드온에게 다가가서 “큰 용사여 여호와께서 너와 함께 계시도다” (사사기 6:12)라고 선포했을 때 기드온은 전혀 강해 보이지 않았습니다. 그는 당시 이스라엘을 억압하며 지배하고 있었던 미디안 족속의 눈을 피해 숨어서 밀을 타작하고 있었습니다(1-6, 11절). 그는 이스라엘에서 가장 약한 므낫세 지파 출신이며 집안에서도 “가장 작은” 자였습니다(15절). 그는 하나님의 부르심에 마음이 내키지 않았으며, 그래서 ‘여러 가지’ 징표를 요구하기까지 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잔인한 미디안 사람들을 치기 위해 그를 사용하셨습니다 (7장 참조).
하나님은 기드온을 “큰” 인물로 보셨습니다. 기드온과 함께하시고 힘을 주셨던 것처럼, 하나님은 그분의 “사랑을 받는 자녀”(에베소서 5:1)인 우리와도 함께하셔서 크고 작은 일에 하나님을 위해 살고 섬기는 데 필요한 모든 것을 공급해 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사사기 6:11-16큰 용사여 여호와께서 너와 함께 계시도다 [사사기 6:12]
연약하지만 하나님께서 큰일을 위해 사용하신 성경 속 인물에는 또 누가 있습니까? 하나님은 어떻게 당신을 안전지역 밖으로 옮겨 그분을 섬기게 하셨습니까?
하나님, 제가 보는 것처럼 저를 보지 않으시니 감사합니다. 하나님을 섬기는 크고 작은 일을 할 수 있는 하나님의 사랑받는 자녀로 저 자신을 볼 수 있게 하소서.
Daily Article
11/26/2021 Friday
MIGHTY WARRIOR
We find many stories in the Bible similar to Diet’s, stories of God using seemingly unlikely characters to serve Him. For instance, when the angel of the Lord approached Gideon, he proclaimed, “The Lord is with you, mighty warrior” (JUDGES 6:12). Yet Gideon seemed anything but mighty. He’d been secretly threshing wheat away from the prying eyes of the Midianites, who oppressively controlled Israel at the time (VV. 1–6, 11). He was from the weakest clan of Israel (Manasseh) and the “least” in his family (V. 15). He didn’t feel up to God’s calling and even requested several signs. Yet God used him to defeat the cruel Midianites (SEE CH. 7).
God saw Gideon as “mighty.” And just as God was with and equipped Gideon, so God is with us, His “dearly loved children” (EPHESIANS 5:1)—supplying all we need to live for and serve Him in little and big ways. ALYSON KIEDA
Today's Reading
JUDGES 6:11–16The Lord is with you, mighty warrior. [ JUDGES 6:12 ]
Who are some other Bible characters God used despite their weakness to accomplish much for Him? How has God moved you outside your comfort zone to serve Him?
God, I’m so thankful You don’t see me as I see myself. Help me to see myself as Your dearly loved child capable of doing big and small things in service to You.
오늘의 말씀
11/25/2021 목요일
감사하는 마음
세네카와 동시대를 살았던 바울 사도도 생각이 같았을 지 모릅니다. 로마서 1장 21절에서 바울은 인류의 붕괴가 초래된 이유 중 하나가 사람들이 하나님께 감사드리기를 거부했기 때문이라고 기록했습니다. 바울은 골로새 교회에 보내는 편지에서 동료 그리스도인들에게 감사에 대해 세 번이나 강조했습니다. 그는 우리에게 “감사함을 넘치게”(골로새서 2:7) 하라고 말했습니다. 하나님의 평강이 “[우리의] 마음을 주장하게” 하면 우리는 감사로 응답하게 됩니다(3:15). 사실 감사는 우리의 기도에서 나타내야 합니다(4:2).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베푸신 크신 은혜는 삶의 위대한 진실 중 하나를 상기시켜줍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사랑과 경배뿐 아니라 우리의 감사하는 마음을 받기에도 합당하신 분입니다. 왜냐하면 삶의 온갖 좋은 것은 다 하나님으로부터 오기 때문입니다(야고보서 1:17).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가 받은 모든 것에 대한 감사는 숨 쉬는 것처럼 자연스러워야 합니다. 우리 모두 하나님께서 주신 은혜의 선물에 감사를 표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골로새서 4:2-6기도를 계속하고 기도에 감사함으로 깨어 있으라 [골로새서 4:2]
살면서 받은 것 중 가장 크고 오래 가는 축복에는 어떤 것들이 있습니까? 매일 받는 축복 중에 쉽게 잊어버리는 것은 무엇입니까?
사랑의 하나님 아버지, 당신과 당신의 축복을 당연히 여긴 저를 용서하소서. 저에게 감사하는 마음을 주셔서 하나님이 하셨고 하시고 있는 모든 일에 영광과 찬양을 드릴 수 있게 하소서.
Daily Article
11/25/2021 Thursday
A THANKFUL HEART
A contemporary of Seneca’s, the apostle Paul, may have agreed. In Romans 1:21, he wrote that one of the triggers for the downward collapse of humankind was that they refused to give thanks to God. Writing to the church at Colossae, three times Paul challenged his fellow believers in Christ to gratitude. He said we should be “overflowing with thankfulness” (COLOSSIANS 2:7). As we let God’s peace “rule in [our] hearts,” we’re to respond with thankfulness (3:15). In fact, gratitude ought to characterize our prayers (4:2).
God’s great kindnesses to us remind us of one of life’s great realities. He not only deserves our love and worship, He also deserves our thankful hearts. Everything that’s good in life comes from Him (JAMES 1:17).
With all we’ve been given in Christ, gratitude should be as natural as breathing. May we respond to God’s gracious gifts by expressing our gratitude to Him. BILL CROWDER
Today's Reading
COLOSSIANS 4:2–6Devote yourselves to prayer, being watchful and thankful. [ COLOSSIANS 4:2 ]
What are some of the biggest, most enduring blessings you’ve received in life? What everyday blessings have you experienced that are often easy to forget?
Loving Father, forgive me for the times I’ve taken You and Your blessings for granted. Create in me a thankful heart, so I’ll honor and praise You for all You’ve done and are doing.
오늘의 말씀
11/24/2021 수요일
하나님의 뜻
“내 영혼이 잠잠히 하나님만 기다림은”(시편 62:1, 새번역). “내 영혼아, 잠잠히 하나님만 기다려라”(62:5, 새번역). 두 구절은 비슷하지만 다릅니다. 다윗은 그의 영혼에 ‘관하여’ 말하고, 그런 다음 자신의 영혼‘에게’ 무언가를 말하고 있습니다. “잠잠히 기다림”은 안정된 마음 상태인 어떤 결심을 말합니다. “잠잠히 기다려라”는 다윗이 그 결심을 기억하기 위해 자신의 영혼을 일깨우는 것입니다.
다윗은 하나님의 뜻에 조용히 복종하여 잠잠히 살기로 결심합니다. 이것은 우리의 소명이기도 하며, 우리가 창조된 이유입니다. 우리가 “내 원대로 마시옵고 아버지의 원대로 되기를 원하나이다”(누가복음 22:42)라는 말씀에 동의할 때 우리는 평안해질 것입니다. 그 말씀은 우리가 하나님을 주님으로, 우리의 가장 깊은 기쁨의 원천으로 삼을 때 우리에게 주어지는 첫 번째이자 최고의 소명입니다. 시편 기자는 “내가 주의 뜻 행하기를 즐긴다” 고 말했습니다(시편 40:8).
물론 “무릇 [우리의] 소망이 그로부터 나오기”(62:5) 때문에 우리는 항상 하나님께 도움을 구해야 합니다. 우리가 하나님께 도움을 구할 때 하나님은 도와주십니다. 하나님은 그분이 원치 않거나 하실 수 없는 일을 우리에게 결코 요구하지 않으십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62나의 영혼아 잠잠히 하나님만 바라라 무릇 나의 소망이 그로부터 나오는도다 [시편 62:5]
당신을 향한 하나님의 뜻이 어렵다고 생각한 때가 언제입니까? 어떻게 하면 조용히 순종하면서 살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제가 항상 아버지의 뜻을 이해하지는 못해도 아버지의 뜻에 순종하도록 도와주소서. 아버지의 선하시고 신실하신 성품을 신뢰하게 하시고, 순종하는 마음을 갖게 하소서.
Daily Article
11/24/2021 Wednesday
THE WILL OF GOD
“My soul waits in silence for God alone” (PSALM 62:1 NASB). “My soul, wait in silence for God alone” (62:5 NASB). The verses are similar, but different. David says something about his soul; then says something to his soul. “Waits in silence” addresses a decision, a settled state of mind. “Wait in silence” is David stirring his soul to remember that decision.
David determines to live in silence—quiet submission to God’s will. This is our calling as well, the thing for which we were created. We’ll be at peace when we’ve agreed: “Not my will, but yours be done” (LUKE 22:42). This is our first and highest calling when we make Him Lord and the source of our deepest pleasure. “I desire to do your will,” the psalmist said (PSALM 40:8).
We must always ask for God’s help, of course, for our “hope comes from him” (62:5). When we ask for His help, He delivers it. God never asks us to do anything He won’t or can’t do. DAVID H. ROPER
Today's Reading
PSALM 62Yes, my soul, find rest in God; my hope comes from him. [ PSALM 62:5 ]
When have you thought God’s will for you was difficult? How can you live in quiet submission?
I may not always understand Your will, Father, but I ask for help to submit to it. Teach me to trust Your good and faithful character. Give me a submissive heart.
오늘의 말씀
11/23/2021 화요일
소망을 전해줌
바울 사도는 청년 디모데에게 지도자로 나설 것을 권면하며 이 젊은이에게 자신감을 심어주었습니다(디모데전서 4:11-16). 바울은 디모데가 어려서부터 성경에 뿌리를 두고 있었음을 알았습니다(디모데후서 3:15). 디모데도 바울처럼 의심하는 자들을 대했지만, 두 사람은 모든 성경은 “하나님의 감동으로 된 것”이라고 믿고 그렇게 살았습니다. 그들은 성경이 “교훈과 책망과 바르게 함과 의로 교육하기에 유익하니 이는 하나님의 사람으로 온전하게 하며 모든 선한 일을 행할 능력을 갖추게 하려 함이라”(16-17절)는 것을 알았습니다.
우리 마음속에 하나님의 지혜를 간직할 때 하나님의 진리와 사랑이 우리의 대화 속에 자연스럽게 흘러나올 수 있습니다. 우리는 마치 걸어 다니는 성경처럼 어디를 가든지 하나님의 영원한 소망을 전해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디모데후서 3:10-17내가 주께 범죄하지 아니하려 하여 주의 말씀을 내 마음에 두었나이다 [시편 119:11]
어떻게 우리의 마음과 생각에 성경을 간직할 수 있을까요? 어떻게 하나님의 지혜가 그분의 진리를 다른 사람들과 나눌 수 있도록 도와주었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제 마음을 아버지의 지혜로 가득 채우셔서 자연스럽고 용기 있게 사람들에게 하나님을 전할 수 있게 하소서.
Daily Article
11/23/2021 Tuesday
SHARING HOPE
When the apostle Paul encouraged Timothy to step into leadership, he demonstrated confidence in this young man (1 TIMOTHY 4:11–16). Paul acknowledged that Timothy was rooted in Scripture from infancy (2 TIMOTHY 3:15). Like Paul, Timothy faced doubters. Still, both men lived as if they believed all Scripture was “Godbreathed.” They recognized Scripture was “useful for teaching, rebuking, correcting, and training in righteousness, so that the servant of God may be thoroughly equipped for every good work” (VV. 16–17).
When we hide God’s wisdom in our hearts, His truth and love can pour into our conversations naturally. We can be like walking Bibles sharing God’s eternal hope wherever we go.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2 TIMOTHY 3:10–17I have hidden your word in my heart that I might not sin against you. [ PSALM 119:11 ]
How do you hide Scripture in your heart and mind? How has God’s wisdom helped you share His truth with others?
Father, saturate my heart with Your wisdom so I can share You with others naturally and courageously.
오늘의 말씀
11/22/2021 월요일
진정한 예배자들
그렇지만 그런 장소들은 우리 믿음의 역사에서 언제나 아주 큰 의미를 지닙니다. 또다른 그런 장소가 예수님과 우물가의 여인이 대화를 나눌 때 언급된 곳, 여인의 “조상들이 예배했던”(요한복음 4:20) 그리심 산(신명기 11:29 참조) 이라고 불리는 곳입니다. 그곳은 예루살렘이 참된 예배를 드리는 곳이라는 유대인들의 주장에 반해 사마리아인들이 신성하게 여기던 곳입니다(20절). 그러나 예수님은 때가 이르렀다고 선포하시면서 예배는 이제 특별한 장소가 아니라 누구에게 예배하는가에 대한 것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아버지께 참되게 예배하는 자들은 영과 진리로 예배할 때가 오나니”(23절). 그 여인은 메시아를 믿는 믿음을 분명히 보여줬지만, 자신이 메시아와 말하고 있다는 것을 깨닫지 못했습니다. “그때 예수께서 이르시되 네게 말하는 내가 그라 하시니라”(26절).
하나님은 어떤 산이나 물리적인 공간에 제한을 받지 않으십니다. 하나님은 어디에서나 우리와 함께 계십니다. 우리가 매일 하는 진정한 순례는 “우리 아버지”라고 담대히 말하면서 하나님의 보좌로 가까이 다가가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거기에 계십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4:19-26아버지께 참되게 예배하는 자들은 영과 진리로 예배할 때가 오나니 [요한복음 4:23]
하나님은 영이시고 항상 그리고 영원히 계시는 분이라는 사실이 당신에게 어떤 변화를 가져다줍니까? 지금 이 순간 하나님을 무엇 때문에 찬양하시겠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제가 어디에 있든지 항상 함께해 주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11/22/2021 Monday
TRUE WORSHIPERS
Still, such places have always held great significance in our faith stories. Another such place is mentioned in the conversation between Jesus and the woman at the well—the mountain where her “ancestors worshiped” (JOHN 4:20), referring to Mount Gerizim (SEE DEUTERONOMY 11:29). It was sacred to the Samaritans, who contrasted it to the Jewish insistence that Jerusalem was where true worship occurred (V. 20). However, Jesus declared the time had arrived when worship was no longer specific to a place, but a Person: “the true worshipers will worship the Father in the Spirit and in truth” (V. 23). The woman declared her faith in the Messiah, but she didn’t realize she was talking to Him. “Then Jesus declared, ‘I, the one speaking to you—I am he’ ” (V. 26).
God isn’t limited to any mountain or physical space. He’s present with us everywhere. The true pilgrimage we make each day is to approach His throne as we boldly say, “Our Father,” and He is there. JOHN BLASE
Today's Reading
JOHN 4:19–26True worshipers will worship the Father in the Spirit and in truth. [ JOHN 4:23 ]
What difference does it make to you knowing that God is spirit, always and ever present? What will you praise Him for in this moment?
Father, thank You for Your constant presence no matter where I am.
오늘의 말씀
11/21/2021 주일
라브라도 천사
대쉬우드에게는 감동적인 얘기가 있습니다. 그는 “나쁜 가정 환경”을 피해 열 여섯 살 때 가출했습니다. 그러나, 그런 과거의 상처들이 그가 다른 데서 치유 받도록 해주었습니다. 그는 말합니다. “우리는 종종 사람들에 실망하면 다른 데 관심을 가집니다. 그렇지요?” 대쉬우드에게는 등산과 그의 검은색 라브라도 반려견이 보여준 무조건적인 사랑이 그 “다른 데”의 큰 부분이었습니다.
나처럼 반려동물들을 깊이 사랑하는 사람들이 그렇게 하는 큰 이유는 반려견이 우리에게 쏟아붓는 무조건적인 사랑, 즉 아주 드문 모습의 사랑 때문입니다. 그러나 나는 그들이 본능적으로 주는 사랑이 다른 종류의 사랑이 보여주는 실패의 사례들보다도 현실을 훨씬 더 크고 깊이 있게 강조해 보여준다고 생각합니다. 마치 우주를 다스리시는 하나님의 흔들림 없는 무한한 사랑처럼 말입니다.
다윗의 많은 기도에서처럼 시편 143편에서도, 그는 철저히 혼자라고 느낄 때 흔들림 없는 “주의 인자한 사랑”(12절)에 대한 믿음으로 계속 소망을 붙듭니다. 그리고 평생 하나님과 동행하는 삶을 살면서, 아침마다 “주님의 변함없는 사랑의 말씀을 듣게”(8절, 새번역) 될 거라는 믿음도 갖게 됩니다.
그에게는 다시 하나님을 의뢰하고, 미지의 길을 갈 때 하나님이 그 길을 인도하시기를 바라는 것 만으로도 충분했습니다(8절).
오늘의 성구
시편 143아침에 나로 하여금 주의 인자한 말씀을 듣게 하소서 [시편 143:8]
주변 세상에서 어떤 하나님의 변함없고 끝없는 사랑의 모습을 봅니까? 다른 사람이나 혹은 반려동물을 통해 하나님의 사랑을 경험하고 나서 어떻게 새로운 소망과 용기를 얻게 되었습니까?
사랑의 하나님, 사랑과 기쁨을 믿는 법을 다시 보여주셔서 감사합니다. 다른 사람들에게 그런 소망의 통로가 되게 해주소서.
Daily Article
11/21/2021 Sunday
LABRADOR ANGEL
Dashwood has a moving story to tell. He left home at sixteen, explaining simply, “Bad family life.” But these past wounds led him to find healing elsewhere. He explains, “Sometimes when you’re disappointed by people, you turn to something else. You know?” For Dashwood, mountain climbing and the unconditional love of his black lab companion has been a big part of that “something else.”
For those of us, like myself, who deeply love our animal companions, a big piece of why we do is the sweet, utterly unconditional love they pour out—a kind of love that’s rare. But I like to think the love they effortlessly give points to a much greater and deeper reality than the failures of others—God’s unshakable, boundless love upholding the universe.
In Psalm 143, as in many of his prayers, it’s only David’s faith in that unshakable, “unfailing love” (V. 12) that tethers him to hope in a time when he feels utterly alone. But a lifetime of walking with God gives him just enough strength to trust that the morning will “bring me word of your unfailing love” (V. 8).
Just enough hope to trust again and to let God lead the way to paths unknown (V. 8). MONICA LA ROSE
Today's Reading
PSALM 143Let the morning bring me word of your unfailing love. [ PSALM 143:8 ]
What signs of God’s unfailing, unending love do you see in the world around you? How have your experiences of the love of God through others or even animal companions given you renewed hope and courage?
Loving God, thank You for showing me how to believe in love and joy again. Help me to be a channel of that hope for other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