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11/20/2021     토요일

성경읽기: 에스겔 14-15; 야고보서 2
찬송가: 539(통483)

공허함을 채워 주시는 주님

심리학자 매들린 레빈은 15세 소녀의 “자해 변장”(자해하는 사람들이 주로 사용하는 긴 소매 티셔츠) 옷이 손을 반쯤 가리고 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그 소녀가 소매를 걷어 올리자, 팔뚝에 면도날로 “공허하다”라고 새긴 글을 보고 레빈은 깜짝 놀랐습니다. 레빈은 마음이 아팠지만, 그 십대 소녀가 절실히 필요했던 도움을 받을 수 있어서 감사했습니다.

어떤 면에서 그 십대 소녀는 “공허하다”는 단어를 마음에 새겨 놓은 많은 사람을 대변하고 있습니다. 요한은 예수님이 공허함을 채우고 생명을 “풍성히” 얻게 하려고 오셨다고 기록했습니다(요한복음 10:10). 하나님은 모든 인간의 마음속에 풍성한 삶에 대한 갈망을 갖게 하셨으며, 사람들이 하나님과의 사랑의 관계를 경험하기를 바라십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또한 “도둑”이 사람이나 일들, 또는 환경을 이용하여 그들의 삶을 파괴하려 할 것이라고 경고하셨습니다(1, 10절). 그들이 생명을 준다고 하는 주장들은 모두 위조이며 가짜일 것입니다. 이와 달리 예수님은 참된 것, 곧 “영생”을 주시며, “아무도 [우리를] [예수님] 손에서 빼앗을 자가 없느니라”(28절)고 약속해 주십니다.

오직 예수님만이 우리의 빈 마음을 생명으로 채울 수 있습니다. 만일 공허함이 느껴진다면 오늘 주님을 부르십시오. 심각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경건한 조언을 구하십시오. 오직 그리스도만이 풍성하고 충만한 생명, 곧 주님 안에서 찾을 수 있는 의미로 가득한 생명을 부어 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0:1-10
도둑이 오는 것은 도둑질하고 죽이고 멸망시키려는 것뿐이요 내가 온 것은 양으로 생명을 얻게 하고 더 풍성히 얻게 하려는 것이라 [요한복음 10:10]

의미 있고 흥미로운 것을 찾는 중에 어떤 것들이 실망스러웠습니까? 예수님은 어떻게 당신의 삶을 풍성하게 만드셨습니까?

예수님, 내게 주신 충만하고 풍요로운 삶을 생각하며, 주님을 떠나 나를 만족시키는 것으로 돌아가지 않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1/20/2021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EZEKIEL 14–15; JAMES 2
Hymn: 539(old 483)

HE FILLS THE EMPTY

Psychologist Madeline Levine noticed the fifteen-year-old girl’s “cutter disguise”—a long sleeve T-shirt pulled halfway over her hand commonly used by people who engage in selfharm. When the young girl pulled back her sleeve, Levine was startled to find that the girl had used a razor to carve “empty” on her forearm. She was saddened, but also grateful the teen was open to receiving the serious help she desperately needed.

The teen in some way represents many people who’ve carved “empty” on their hearts. John wrote that Jesus came to fill the empty and to offer life “to the full” (JOHN 10:10). God placed the desire for a full life in every human being, and He longs for people to experience a loving relationship with Him. But He also warned them that the “thief” would use people, things, and circumstances to attempt to ravage their lives (VV. 1, 10). The claims each made to give life would be counterfeit and an imitation. In contrast, Jesus offers what’s true—“eternal life” and the promise that “no one will snatch [us] out of [His] hand” (V. 28).

Only Jesus can fill the empty spaces in our hearts with life. If you’re feeling empty, call out to Him today. And if you’re experiencing serious struggles, seek out godly counsel. Christ alone provides life that’s abundant and full—life full of meaning found in Him. MARVIN WILLIAMS

Today's Reading

JOHN 10:1–10
The thief comes only to steal and kill and destroy; I have come that they may have life, and have it to the full. [ JOHN 10:10 ]

In your search for significance and excitement, what kinds of things have left you disappointed? How has Jesus made your life full?

Jesus, as I consider the full and abundant life You’ve provided for me, please help me resist turning from You to things I think will satisfy me.

오늘의 말씀

11/19/2021     금요일

성경읽기: 에스겔 11-13; 야고보서 1
찬송가: 93(통93)

더 이상 나아갈 수 없을 때

2006년, 아버지는 기억력, 언어 능력, 신체 제어 능력을 잃어가는 신경 질환 진단을 받았습니다. 2011년부터 침대에 누워 지내는 아버지는 지금 집에서 어머니의 보살핌을 계속 받고 있습니다. 아버지가 아프고 나서부터 어두운 시기가 시작되었습니다. 나는 두려웠습니다. 환자를 돌보는 것에 대해 아무것도 몰랐고, 재정문제와 어머니의 건강이 걱정되었습니다.

예레미야애가 3장 22절의 말씀은 내 마음만큼이나 빛이 희미했던 그 많은 아침에 내가 일어날 수 있도록 도와주었습니다. “여호와의 인자와 긍휼이 무궁하시므로 우리가 진멸되지 아니함이니이다.” “진멸되다”라는 말의 히브리어는 “완전히 소모되다” 또는 “끝나다”를 의미합니다.

하나님의 큰 사랑은 우리가 계속 나아가고, 일어나 새로운 날을 맞을 수 있게 해 줍니다. 우리의 시련이 감당 못할 만큼 크게 느껴지더라도 하나님의 사랑이 훨씬 더 크기에 우리는 그 시련들 때문에 무너지지 않을 것입니다!

사실 하나님은 우리 가족에게 그분의 신실하고 다정한 모습을 여러 번 보여주셨습니다. 친척과 친구들의 따뜻한 마음, 의사들의 현명한 조언, 재정적인 공급, 그리고 언젠가 아버지가 천국에서 다시 온전하게 될 것이라는 우리 마음속의 일깨움 등에서 나는 하나님의 베푸심을 보았습니다.

만일 당신이 어두운 시간을 보내고 있다면 소망을 잃지 마십시오. 당신이 직면하고 있는 것 때문에 진멸되지 않을 것입니다. 당신을 향한 하나님의 신실하신 사랑과 공급하심에 대한 믿음을 잃지 마십시오.

오늘의 성구

예레미야애가 3:21-23
여호와의 인자와 긍휼이 무궁하시므로 우리가 진멸되지 아니함이니이다... 주의 성실하심이 크시도소이다 [예레미야애가 3:22-23]

어려움 가운데 있을 때 어디에서 힘을 얻습니까? 어떻게 하나님의 크신 사랑을 신뢰하도록 스스로 일깨워줍니까?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을 계속 신뢰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하나님의 사랑과 신실하심을 볼 수 있도록 눈을 열어주소서.

Daily Article

11/19/2021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EZEKIEL 11–13; JAMES 1
Hymn: 93(old 93)

WHEN YOU CAN’T GO ON

In 2006, my dad was diagnosed with a neurological disease that robbed him of his memory, speech, and control over body movements. He became bedridden in 2011 and continues to be cared for by my mom at home. The beginning of his illness was a dark time. I was fearful: I knew nothing about caring for a sick person, and I was anxious about finances and my mom’s health.

The words of Lamentations 3:22 helped me get up many mornings when the light was as gray as the state of my heart: “Because of the Lord’s great love we are not consumed.” The Hebrew word for “consumed” means “to be used up completely” or “to come to an end.”

God’s great love enables us to go on, to get up to face the day. Our trials may feel overwhelming, but we won’t be destroyed by them because God’s love is far greater!

There are many times I can recount when God has shown His faithful, loving ways to my family. I saw His provision in the kindness of relatives and friends, the wise counsel of doctors, financial provision, and the reminder in our hearts that—one day—my dad will be whole again in heaven.

If you’re going through a dark time, don’t lose hope. You will not be consumed by what you face. Keep trusting in God’s faithful love and provision for you. KAREN HUANG

Today's Reading

LAMENTATIONS 3:21–23
Because of the Lord’s great love we are not consumed . . . great is [His] faithfulness. [ LAMENTATIONS 3:22–23 ]

In the midst of difficulty, where do you go for strength? How can you remind yourself to trust in God’s great love?

Father, help me to keep trusting You. Open my eyes so I can see Your love and faithfulness.

오늘의 말씀

11/18/2021     목요일

성경읽기: 에스겔 8-10; 히브리서 13
찬송가: 532(통323)

깨어진 삶을 치유하시는 하나님

콜린과 그의 아내 조던은 공예품 가게를 돌아다니며 집에 걸어 놓을 그림을 찾고 있었습니다. 딱 맞는 작품을 찾았다고 생각한 콜린은 아내를 불러 자기가 고른 도자기 작품을 보라고 했습니다. 그 도자기의 오른쪽에 ‘은혜’라는 단어가 새겨져 있었습니다. 그러나 왼쪽에 두 개의 긴 균열이 나 있었습니다. “깨진 거네요!” 조던은 그렇게 말하며 선반에서 깨지지 않은 온전한 것을 찾기 시작했습니다. 그러자 콜린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아니, 그게 중요한 점이에요. 우리도 깨어졌고, 그러고 나서 은혜가 들어왔어요.” 그들 부부는 그 깨진 것을 구입하기로 했습니다. 계산대에 갔더니 점원이 놀라서 말했습니다. “이런, 깨어졌네요!” “예, 우리도 그래요.” 조던이 속삭였습니다.

“깨어진” 사람이 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요? 어떤 사람은 그것을 이렇게 정의했습니다. 살면서 우리가 아무리 노력해도 우리의 살아가는 능력이 더 나아지기는커녕 더 나빠진다는 것을 차츰 깨닫는 것이라고 말입니다. 그것은 바로 우리의 삶에 하나님과 그분의 개입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깨닫는 것입니다.

바울 사도는 “[우리의] 허물과 죄로 죽었다”(에베소서 2:1)는 관점에서 우리의 깨어진 삶에 대해 말합니다. 우리가 왜 용서받고 변화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답이 4절과 5절에 나와 있습니다. “긍휼이 풍성하신 하나님이 우리를 사랑하신 그 큰 사랑을 인하여... 우리를... 살리셨고 [우리는] 은혜로 구원을 받은 것이라.”

우리가 “깨어졌다”는 것을 인정하면 하나님은 그분의 은혜로 깨어진 우리의 삶을 기꺼이 치유해 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2:1-10
너희는 그 은혜에 의하여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을 받았으니 [에베소서 2:8]

당신은 어떻게 깨어진 삶을 치유해달라고 하나님께 간구하게 되었습니까? 오늘은 어떤 일로 하나님이 필요합니까?

하나님, 저를 향한 넘치는 자비에 감사드립니다! 믿음으로 받는 은혜를 통해 하나님과 하나님의 구원의 선물을 자랑하게 하소서.

Daily Article

11/18/2021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EZEKIEL 8–10; HEBREWS 13
Hymn: 532(old 323)

GOD HEALS OUR BROKENNESS

Collin and his wife, Jordan, wandered through the craft store, looking for a picture to hang in their home. Collin thought he’d found just the right piece and called Jordan over to see it. On the right side of the ceramic artwork was the word grace. But the left side held two long cracks. “Well, it’s broken!” Jordan said as she started looking for an unbroken one on the shelf. But then Collin said, “No. That’s the point. We’re broken and then grace comes in—period.” They decided to purchase the one with the cracks. When they got to the checkout, the clerk exclaimed, “Oh, no, it’s broken!” “Yes, so are we,” Jordan whispered.

What does it mean to be a “broken” person? Someone defined it this way: A growing awareness that no matter how hard we try, our ability to make life work gets worse instead of better. It’s a recognition of our need for God and His intervention in our lives.

The apostle Paul talked about our brokenness in terms of being “dead in [our] transgressions and sins” (EPHESIANS 2:1). The answer to our need to be forgiven and changed comes in verses 4 and 5: “Because of his great love for us, God, who is rich in mercy, made us alive . . . [It] is by grace [we] have been saved.”

God is willing to heal our brokenness with His grace when we admit, “I’m broken.” ANNE CETAS

Today's Reading

EPHESIANS 2:1–10
By grace you have been saved, through faith. [ EPHESIANS 2:8 ]

What brought you to your need to ask God to heal your brokenness? How do you need Him today?

God, thank You for being rich in mercy toward me! May I boast in You and Your gift of salvation through grace by faith.

오늘의 말씀

11/17/2021     수요일

성경읽기: 에스겔 5-7; 히브리서 12
찬송가: 411(통473)

받아들여지고 인정받음

어렸을 때 테니는 늘 불안했습니다. 아버지의 인정을 받고 싶었지만 한번도 받지 못했습니다. 그가 학교나 집에서 한 것은 무엇이든 결코 괜찮아 보이지 않았습니다. 성인이 되어서도 불안감은 계속되어 ‘나는 괜찮은 사람인가?’하는 의심이 끊임없이 들었습니다.

테니는 예수님을 구주로 영접하자 비로소 오랫동안 간절히 원했던 안정을 찾고 인정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그는 자기를 창조하신 하나님께서 자기를 하나님의 아들로 사랑하고 아끼신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테니는 마침내 자신이 진정으로 소중하고 인정받고 있다는 확신을 가지고 살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사야 43:1-4에서 하나님은 그가 택한 백성들에게, 그들을 지으신 하나님이 그의 권능과 사랑으로 그들을 구원하실 거라고 말씀하셨습니다. 하나님은 “네가 내 눈에 보배롭고 존귀하다”고 선언하시며, 그들을 사랑 하셨기에 그들을 위해 행하려 하셨습니다(4절).

하나님이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두는 가치는 우리가 하는 어떤 일 때문이 아니라, 그분이 우리를 그분의 자녀로 선택하셨다는 단순하고 엄연한 사실에서 오는 것입니다.

이사야 43장의 그 말씀은 테니에게 대단한 안정감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그가 어떤 소명을 행하든 하나님을 위해 최선을 다할 수 있는 자신감을 갖게 해주었습니다. 지금 그는 예수님이 우리를 받아 주시고 인정해 주신다는, 이 생명을 주는 진리로 힘을 다해 다른 사람들을 격려하는 목사가 되어 있습니다. 우리도 오늘 이 진리로 자신 있게 살아갈 수 있기를 소원합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43:1-4
네가 내 눈에 보배롭고 존귀하며... 내가 너를 사랑하였은즉 [이사야 43:4]

하나님이 당신을 어떻게 보신다고 생각합니까? 요한복음 1장 12절 말씀은 당신과 하나님의 관계에 대해 무엇을 말하고 있습니까? 그 사실을 알고 어떤 위로를 받습니까?

하늘에 계신 아버지, 저를 사랑하시고 받아 주시고 소중히 여겨 주시는 것을 압니다. 저를 자녀 삼아 주시고 조건 없이 사랑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11/17/2021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EZEKIEL 5–7; HEBREWS 12
Hymn: 411(old 473)

ACCEPTED AND APPROVED

As a child, Tenny felt insecure. He sought approval from his father, but he never received it. It seemed that whatever he did, whether in school or at home, it was never good enough. Even when he entered adulthood, the insecurity remained. He continually wondered, Am I good enough?

Only when Tenny received Jesus as his Savior did he find the security and approval he’d long yearned for. He learned that God—having created him—loved and cherished him as His son. Tenny finally could live with the confidence that he was truly valued and appreciated.

In Isaiah 43:1–4, God told His chosen people that, having formed them, He would use His power and love to redeem them. “You are precious and honored in my sight,” He proclaimed. He would act on their behalf because He loved them (V. 4).

The value God places on those He loves doesn’t come from anything we do, but from the simple and powerful truth that He’s chosen us to be His own.

These words in Isaiah 43 not only gave Tenny great security, but also empowered him with the confidence to do his best for God in whatever task he was called to do. Today he’s a pastor who does all he can to encourage others with this life-giving truth: we’re accepted and approved in Jesus. May we confidently live out this truth today. LESLIE KOH

Today's Reading

ISAIAH 43:1–4
You are precious and honored in my sight . . . I love you. [ ISAIAH 43:4 ]

How do you think God sees you? What does John 1:12 tell you about your relationship with Him? What comfort do you find in that knowledge?

Heavenly Father, I know You love me, accept me, and cherish me. Thank You for adopting me as Your child and loving me without conditions.

오늘의 말씀

11/16/2021     화요일

성경읽기: 에스겔 3-4; 히브리서 11:20-40
찬송가: 449(통377)

우리의 진짜 정체성

남자는 먼저 낚시도구 상자를 골랐습니다. 그는 마을의 작은 낚시점에서 고리, 미끼, 찌, 줄, 추 등을 쇼핑카트에 담았습니다. 마지막으로 살아있는 미끼를 담고 새로운 낚싯대와 릴을 골랐습니다. “전에 낚시해 본 적이 있나요?” 가게 주인이 물었습니다. 없다고 대답하자 주인이 말했습니다. “이것을 추가하는 것이 좋겠네요.” 응급 상자였습니다. 그 남자는 주인 말대로 그것을 샀는데, 정작 그날은 고리와 장비에 손가락이 걸린 것 외에는 아무것도 잡지 못했습니다.

시몬 베드로의 문제는 그런 것이 아니었습니다. 경험 많은 어부인 베드로는 어느 새벽에 깊은 데로 가서 “그물을 내려 고기를 잡으라”(누가복음 5:4)는 예수님의 말씀에 놀랐습니다. 밤새 아무것도 잡지 못했음에도 베드로와 동료들은 그물을 내렸고, “그물이 찢어질 만큼 아주 많은 고기를 잡았습니다.” 실제로 잡은 고기가 너무 많아 그의 배 두 척이 가라앉기 시작했습니다(6절).

이것을 본 시몬 베드로는 “예수의 무릎 아래에 엎드려... 주여 나를 떠나소서 나는 죄인이로소이다”라고 간청했습니다(8절). 그러나 예수님은 베드로의 진짜 정체성을 알고 계셨습니다. 예수님이 그 제자에게 “이제 후로는 네가 사람을 취하리라”고 말씀하시자, 그 말을 들은 베드로는 “모든 것을 버려두고 예수님을 따랐습니다”(10-11절). 우리가 예수님을 따르면 주님은 우리가 누구인지, 그리고 주님의 제자로서 우리가 무슨 일을 위해 부름을 받았는지 가르쳐 주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5:1-11
예수께서 이르시되... 무서워하지 말라 이제 후로는 네가 사람을 취하리라 하시니 [누가복음 5:10]

그리스도를 모르는 삶에서 당신의 정체성이나 역할은 무엇입니까? 당신이 주님을 따를 때 당신의 정체성이 어떻게 변합니까?

하나님 아버지, 저의 진짜 정체성을 알려고 힘쓸 때 주님을 따르는 것이 주님 안에서 저의 참 자아를 발견하는 것임을 일깨워 주소서.

Daily Article

11/16/2021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EZEKIEL 3–4; HEBREWS 11:20–40
Hymn: 449(old 377)

OUR TRUE IDENTITY

First, the man selected a tackle box. Standing in his town’s small bait shop, he then filled a shopping cart with hooks, lures, bobbers, line, and weights. Finally, he added live bait and selected a new rod and reel. “Ever fished before?” the shop owner asked. The man said no. “Better add this,” said the owner. It was a first-aid kit. The man agreed and paid, then headed off to a day of not catching a thing—except snags on his fingers from his hooks and gear.

That wasn’t Simon Peter’s problem. An experienced fisherman, he was surprised one dawn when Jesus told him to push his boat into deep water and “let down the nets for a catch” (LUKE 5:4). Despite a long night of catching nothing, Simon and his crew let down their nets and “caught such a large number of fish that their nets began to break.” In fact, his two boats started to sink from the haul (V. 6).

Seeing this, Simon Peter “fell at Jesus’ knees,” urging Him to “go away from me, Lord; I am a sinful man!” (V. 8). Jesus, however, knew Simon’s true identity. He told His disciple, “From now on you will fish for people.” Hearing that, Simon “left everything and followed” Christ (VV. 10–11). When we follow Him, He helps us learn who we are and what we’re called to do as His own.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LUKE 5:1–11
Jesus said . . . , “Don’t be afraid; from now on you will fish for people.” [ LUKE 5:10 ]

Outside of Christ, what’s your identity or role in life? When you follow Him, how does your identity change?

Father, when I struggle to know my true identity, remind me to follow You to discover in You my true self.

오늘의 말씀

11/15/2021     월요일

성경읽기: 에스겔 1-2; 히브리서 11:1-19
찬송가: 95(통82)

좀 더 있다 갈래요!

잰더가 엄마와 함께 차로 가다가, 엄마의 팔을 뿌리치고 교회 문 쪽으로 돌아서서 미친 듯이 달려갔습니다. 떠나고 싶지 않았던 것입니다! 엄마는 뒤쫓아가서 집에 가자고 잰더와 애정 어린 승강이를 벌였습니다. 마침내 엄마가 네 살 난 잰더를 다시 품에 안자, 아이는 흐느끼며 엄마의 어깨너머로 교회를 향해 손을 뻗으며 집으로 떠났습니다.

잰더는 단지 교회에서 친구들과 좀 더 놀고 싶어서 그랬을지 모르지만, 그런 아이의 열정은 하나님을 예배하려는 다윗의 열망이 어떠했을지 생생하게 보여줍니다. 다윗은 자신의 평안과 안전을 위해 원수를 물리쳐 달라고 하나님께 간구했을지도 모르지만, 그보다는 평화가 찾아와서 “여호와의 아름다움을 바라보며 성전에서 그분을 사모할”(시편 27:4) 수 있기를 바랐습니다. 그가 진정 마음속으로 바란 것은 어디에 있든지 하나님과 함께 있고 그분의 임재를 즐거워하는 것이었습니다. 이스라엘의 가장 위대한 왕이며 전쟁의 영웅이었던 다윗은 평화로운 시간을 “노래하며 여호와를 찬송하는” 데 쓰고 싶어했습니다 (6절).

우리는 어느 곳에서든 자유롭게 하나님을 예배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하나님은 믿음을 통해 성령의 모습으로 우리 가운데 거하시기 때문입니다 (고린도전서 3:16; 에베소서 3:17). 우리가 하나님의 임재 가운데 하루하루를 보내면서 다른 신자들과 함께 모여 하나님을 경배하기를 갈망할 수 있기를 소원합니다. 벽으로 둘러 쌓인 건물 보다도 하나님 안에서 우리는 안전할 뿐만 아니라 가장 큰 기쁨도 누릴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27:1-6
내가 여호와께 바라는 한가지 일... 곧 내가 내 평생에 여호와의 집에 살면서 [시편 27:4]

당신은 언제 하나님을 예배하고 싶은 열정적인 갈망을 가져 보셨습니까? 그런 경험을 더 자주 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나의 기쁨과 즐거움이 되시는 하나님 아버지. 방해를 받거나 중단하지 않고 하나님을 예배하기를 간절히 원합니다.

Daily Article

11/15/2021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EZEKIEL 1–2; HEBREWS 11:1–19
Hymn: 95(old 82)

LET ME STAY!

As they made their way toward their car, Zander escaped his mother’s arms and made a mad dash back toward the church doors. He didn’t want to leave! His mom ran after him and tried to lovingly wrangle her son so they could depart. When his mother finally scooped four-year-old Zander back into her embrace, he sobbed and reached longingly over her shoulder toward the church as they walked away.

Zander may merely have enjoyed playing with friends at church, but his enthusiasm is a picture of David’s desire to worship God. Though he might have asked God to thwart his enemies for his own comfort and security, David wanted peace to prevail so that he could instead “gaze on the beauty of the Lord and to seek him in his temple” (PSALM 27:4). His heart’s desire was to be with God— wherever He was—and to enjoy His presence. Israel’s greatest king and military hero intended to use peacetime to “sing and make music to the Lord” (V. 6).

We can freely worship God anywhere, for He now dwells within us through faith in the person of the Holy Spirit (1 CORINTHIANS 3:16; EPHESIANS 3:17). May we yearn to spend our days in His presence and to gather corporately to worship Him with other believers. In God—not the walls of a building—we find our safety and our greatest joy.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PSALM 27:1–6
One thing I ask from the Lord . . . that I may dwell in the house of the Lord all the days of my life. [ PSALM 27:4 ]

When have you experienced a passionate yearning to worship God? What keeps you from experiencing that more frequently?

Father, You’re my delight and my joy. I long to worship You without distraction or interruption.

Read “Pure Worship,” at ODB.org/us/2020/03/08/pure-worship.

오늘의 말씀

11/14/2021     주일

성경읽기: 예레미야애가 3-5; 히브리서 10:19-39
찬송가: 585(통384)

권능과 사랑의 하나님

2020년, 에콰도르의 산가이 화산이 분출했습니다. BBC 방송은 “어두운 화산재 기둥이 12,000 미터 높이까지 다달았다”고 보도했습니다. 약 198,000 에이커(약 800 제곱킬로미터)에 달하는 네 개의 주가 그 분출물 때문에 회색의 화산재와 더러운 그을음으로 뒤덮였습니다. 하늘은 우중충하고 암울하게 변했고 공기는 탁해져 숨쉬기도 힘들었습니다. 펠리시아노 잉가라는 농부는 ‘엘 꼬메르치오’ 신문에 이 끔찍한 광경을 이렇게 말했습니다. “우리는 이 모든 먼지가 어디서 오는지 알 수 없었고... 캄캄해지는 하늘을 보면서 점점 두려워졌습니다.”

이스라엘 백성들도 시내산 기슭에서 “산 아래에 서니 그 산에 불이 붙어... 어둠과 구름과 흑암이 덮이자”(신명기 4:11) 이와 비슷한 공포를 경험했습니다. 하나님의 목소리가 우레처럼 울리자 사람들은 두려움에 떨었습니다. 두려운 일이었습니다. 살아 계신 하나님을 만나는 무릎이 떨리는 엄청난 경험이었습니다.

“여호와께서... 말씀하시되... (그들은) 그 말소리만 듣고 형상은 보지 못했습니다”(12절). 그들의 뼛속까지 떨리게 한 하나님의 음성은 생명과 희망을 주었습니다. 하나님은 이스라엘에게 십계명을 주시면서 그들과의 언약을 새롭게 하셨습니다. 그 어두운 구름으로부터 나온 음성은 그들을 떨게 했지만, 동시에 집요한 사랑으로 그들을 권면하였습니다(출애굽기 34:6-7).

하나님은 우리가 견줄 수 없는 권능으로 우리를 놀라게 하십니다. 그리고 사랑으로 충만하여 언제나 우리에게 다가오십니다. 강하시며 사랑이 많으신 하나님, 그분이 바로 우리가 간절히 필요로 하는 분입니다.

오늘의 성구

신명기 4:5-8, 11-14
너희가 가까이 나아와서 산 아래에 서니 그 산에 불이 붙어 불길이 충천하고 어둠과 구름과 흑암이 덮였는데 [신명기 4:11]

당신을 떨게 했던 하나님과의 만남이 언제 있었습니까? 하나님은 그때 어떻게 사랑도 함께 보여주셨습니까?

하나님, 때로는 하나님께 너무 가볍게 다가가고, 제 마음대로 생각하기도 했습니다. 하나님의 인내심에, 그리고 하나님의 사랑에 감사드립니다.

Daily Article

11/14/2021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LAMENTATIONS 3–5; HEBREWS 10:19–39
Hymn: 585(old 384)

POWERFUL AND LOVING

In 2020, the Ecuadorian volcano Sangay erupted. The BBC described the “dark ash plume which reached a height of more than 12,000 m.” The discharge covered four provinces (about 198,000 acres) in gray ash and grimy soot. The sky turned dingy and grim, and the air was thick—making it difficult to breathe. Farmer Feliciano Inga described the unnerving scene to El Comercio newspaper: “We didn’t know where all this dust was coming from. . . . We saw the sky go dark and grew afraid.”

The Israelites experienced a similar fear at the base of Mount Sinai, as they “stood at the foot of the mountain while it blazed with fire . . . with black clouds and deep darkness” (DEUTERONOMY 4:11). God’s voice thundered, and the people trembled. It was terrifying. It’s an awesome, knee-buckling experience to encounter the living God.

“Then the Lord spoke,” and they “heard the sound of words but saw no form” (V. 12). The voice that rattled their bones provided life and hope. God gave Israel the Ten Commandments and renewed His covenant with them. The voice from the dark cloud caused them to quake, but also wooed and loved them with tenacity (EXODUS 34:6–7).

God is powerful, beyond our reach, even startling. And yet He’s also full of love, always reaching out to us. A God both powerful and loving—this is who we desperately need. WINN COLLIER

Today's Reading

DEUTERONOMY 4:5–8, 11–14
You came near and stood at the foot of the mountain while it blazed with fire to the very heavens, with black clouds and deep darkness. [ DEUTERONOMY 4:11 ]

When has an encounter with God made you tremble? How did He also communicate love?

God, at times I’ve approached You too casually, assumed too much. Thank You for Your patience with me. And thank You for Your love.

오늘의 말씀

11/13/2021     토요일

성경읽기: 예레미야애가 1-2; 히브리서 10:1-18
찬송가: 397(통454)

그 어떤 것도 끊을 수 없다

목사였던 프리스의 아버지가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아 인도네시아의 한 작은 섬에서 선교사역을 시작했을 때, 가족들은 한때 가축을 키우던 낡은 축사에 살았습니다. 프리스는 가족들이 빗물이 새는 초가지붕 밑에서 찬양을 드리며 크리스마스를 기념하던 일을 기억합니다. 그때 아버지는 그녀에게 이렇게 일깨워주었습니다. “프리스, 단지 가난하다고 해서 하나님이 우리를 사랑하시지 않는 게 아니란다.”

어떤 사람들은 부유하고 건강하며 오래 살면 하나님이 축복하신 삶으로 생각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고난을 겪게 되면 그들이 하나님의 사랑을 잃어버린 것은 아닌지 의문을 갖기도 합니다. 그러나 로마서 8:31-39에서 바울은 환난이나 곤고, 박해, 기근을 포함한 그 어느 것도 우리를 예수님의 사랑에서 끊을 수 없다는 점을 상기시켜줍니다(35절). 이것이 진정으로 축복받은 삶의 기초입니다. 하나님은 그분의 아들 예수님을 보내어 우리 죄를 위해 죽게 하심으로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사랑을 보여주셨습니다(32절). 그리스도께서는 죽음에서 부활하여 이제 하나님 아버지의 “오른편에” 앉아 계시며 우리를 위해 간구하십니다(34절).

고통을 받을 때 우리는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해 하신 일이 우리 삶의 근간이 된다고 하는, 위로가 되는 진리를 굳게 붙잡아야 합니다. “사망이나 생명이나... 다른 어떤 피조물이라도”(38-39절), 곧 아무것도 우리를 주님의 사랑에서 끊을 수 없습니다. 어떤 상황이거나 어떤 고난에 처해 있든,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계시며 어느 것도 우리를 그분에게서 끊을 수 없다는 것을 되새길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로마서 8:31-39
누가 우리를 그리스도의 사랑에서 끊으리요 환난이나 곤고나 박해나 기근이나 적신이나 위험이나 칼이랴 [로마서 8:35]

그 무엇도 우리를 예수님의 사랑에서 끊을 수 없다는 것을 어떻게 되새길 수 있을까요? 이 진리를 알게 되면 삶의 어려움에 대처하는 방법을 어떻게 바꿀 수 있을까요?

하늘에 계신 아버지, 제 눈과 마음을 열어 더욱 아버지의 사랑을 이해하게 하시고 아버지의 사랑이 제 삶에 충만하다는 사실을 깨닫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1/13/2021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LAMENTATIONS 1–2; HEBREWS 10:1–18
Hymn: 397(old 454)

NOTHING CAN SEPARATE

When Pris’ father, a pastor, answered God’s call to pioneer a mission on a small island in Indonesia, Pris’ family found themselves living in a rundown shack once used to house animals. Pris remembers the family celebrating Christmas sitting on the floor and singing praises while rainwater dripped through the thatched roof. But her father reminded her, “Pris, just because we are poor doesn’t mean God doesn’t love us.”

Some may see a life blessed by God as one that’s filled with riches, health, and longevity. So in times of hardship, they may wonder if they’re still loved by Him. But in Romans 8:31–39, Paul reminds us that nothing can separate us from Jesus’ love— including trouble, hardship, persecution, and famine (V. 35). This is the foundation for a truly blessed life: God showed His love for us by sending His Son Jesus to die for our sins (V. 32). Christ rose from death and is now sitting “at the right hand” of the Father, interceding for us (V. 34).

In times of suffering, we can hold fast to the comforting truth that our life is rooted in what Christ has done for us. Nothing—“neither death nor life . . . nor anything else in all creation” (VV. 38–39)—can separate us from His love. Whatever our circumstance, whatever our hardship, may we be reminded that God is with us and that nothing can separate us from Him. YOHANA ANG

Today's Reading

ROMANS 8:31–39
Who shall separate us from the love of Christ? Shall trouble or hardship or persecution or famine or nakedness or danger or sword? [ ROMANS 8:35 ]

How can you remind yourself that nothing can separate you from Jesus’ love? How can knowing this truth change the way you respond to life’s challenges?

Heavenly Father, open my eyes and heart to understand more of Your love, and help me realize that Your love is enough for my life.

오늘의 말씀

11/12/2021     금요일

성경읽기: 예레미야 51-52; 히브리서 9
찬송가: 478(통78)

하나님의 놀라우신 창조물

아내와 함께 고향의 그랜드 강을 따라 산책하고 있을 때, 봄날의 간단한 야외운동이 특별한 의미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우리는 잔 물결이 이는 물 위에 떠 있는 한 통나무 위에서 친숙한 “친구들”을 발견한 것입니다. 대여섯 마리의 커다란 거북이 햇볕을 쬐고 있었습니다. 아내와 나는 몇 달 동안 보지 못했던 이 파충류들의 멋진 모습을 보고 미소를 지었습니다. 그들이 다시 돌아와서 기뻤고, 하나님의 이 위대하신 창조물을 보면서 우리는 기쁨의 순간을 만끽했습니다.

하나님도 욥을 자연 그대로의 산책으로 인도하신 일이 있습니다(욥기 38장 참조). 곤경에 처해 있던 그 남자는 자신의 상황에 대해 창조주가 주시는 답이 필요했습니다(1절). 하나님과 함께 걸으며 그분의 창조물들을 보면서 욥은 필요했던 격려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하나님께서 그가 지으신 세상의 위대한 디자인을 일깨워 주셨을 때, 욥이 얼마나 놀랐을지 상상해보십시오. 욥은 창조주로부터 자연 만물에 대해 직접 설명을 들었습니다. “모퉁이 돌을 누가 놓았느냐 그 때에 새벽 별들이 기뻐 노래하며 천사들이 다 기뻐 소리를 질렀느니라”(6-7절). 욥은 하나님께서 정하신 바다의 한계에 대한 지리적인 지식도 얻게 되었습니다(11절).

창조주께서는 이어서 자신이 창조하신 빛과 그가 만드시는 눈, 만물이 자라도록 주시는 비에 대해서도 알려주셨습니다(19-28절). 심지어 별자리도 하나님께서 우주 공간에 흩뿌리셨다는 것까지 듣게 되었습니다(31-32절).

마침내 욥은 승복했습니다. “주께서는 못하실 일이 없는 줄 압니다”(42:2). 우리가 자연세계를 경험하면서, 지혜롭고 놀라운 창조주 하나님에 대한 경외심을 가질 수 있게 되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욥기 38:1, 4-18
내가 땅의 기초를 놓을 때에 네가 어디 있었느냐 [욥기 38:4]

자연은 어떻게 당신을 하나님과 더 가까워지게 합니까? 자연은 당신이 하나님의 위대한 창조의 힘과 사랑을 어떻게 깨닫게 해 줍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이렇게 위대하고 다양하며 매력적인 세상을 창조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나님의 솜씨에 감사드리며, 하나님이 다스리고 계시다는 것을 깨닫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1/12/2021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JEREMIAH 51–52; HEBREWS 9
Hymn: 478(old 78)

GOD’S AMAZING CREATION

What began as a simple spring nature walk turned into something special as my wife and I trekked along our hometown’s Grand River. We noticed some familiar “friends” on a log in the rippling water—five or six large turtles basking in the sun. Sue and I smiled at the amazing sight of these reptiles, which we hadn’t seen for many months. We were delighted that they were back, and we celebrated a moment of joy in God’s magnificent creation.

God took Job on quite a nature walk (SEE JOB 38). The troubled man needed an answer from his Creator about his situation (V. 1). And what he saw on his journey with God through His creation provided the encouragement he needed.

Imagine Job’s amazement as God reminded him of His grand design of the world. Job got a firsthand explanation of the natural world: “Who laid its cornerstone—while the morning stars sang together and all the angels shouted for joy?” (VV. 6–7). He got a geography lesson regarding God’s imposed limitations of the seas (V. 11).

The Creator continued to inform Job about the light He created, snow He produces, and rain He provides to make things grow (VV. 19–28). Job even heard about the constellations from the One who flung them into space (VV. 31–32).

Finally, Job responded, “I know that you can do all things” (42:2). As we experience the natural world, may we stand in awe of our wise and wonderful Creator. DAVE BRANON

Today's Reading

JOB 38:1, 4–18
Where were you when I laid the earth’s foundation? [ JOB 38:4 ]

How can nature bring you closer to God? How does it remind you of His great creative power and love?

Dear God, thank You for creating such a magnificent, diverse, fascinating world. Help me to appreciate Your workmanship and realize that You’re in control.

To learn more about the book of Job, visit ChristianUniversity.org/Job.

오늘의 말씀

11/11/2021     목요일

성경읽기: 예레미야 50; 히브리서 8
찬송가: 162(통151)

기쁜 소식

1941년 히틀러의 지배가 유럽 전역으로 확장되면서, 소설가 존 스타인벡은 전시 활동을 도와 달라는 요청을 받았습니다. 일선에 나가 싸우거나 전장을 방문하라는 것이 아니라, 소설 작품을 써 달라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나온 책이 악한 정권에 의해 침략을 당하게 되는 평화로운 나라에 관한 소설 ‘달이 지다’입니다. 점령당한 국가들에서 지하 출판되어 비밀리에 배포된 이 소설이 준 메시지는 연합군이 진격해 오고 있으며 독자들이 소설 속의 인물들을 모방함으로써 그들의 자유를 수호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달이 지다’라는 소설을 통해 스타인벡은 나치 통치하에 있는 사람들에게 그들의 해방이 가까웠다는 기쁜 소식을 전해주었습니다.

스타인벡의 소설 속 등장인물들과 마찬가지로, 1세기 때 유대인들도 잔혹한 로마의 통치하에 점령된 사람들이었습니다. 그러나 여러 세기 전부터 하나님은 한 사람의 협력자를 보내 그들을 해방시키고 세상에 평화를 가져오겠다고 약속하셨습니다(이사야 11장). 그 협력자가 도착했을 때 기쁨이 넘쳐났습니다! 바울은 말했습니다. “우리는 하나님께서 조상들에게 하신 그 약속을 여러분에게 기쁜 소식으로 전합니다. 하나님께서 예수를 일으키셔서... 우리에게 그 약속을 이루어주셨습니다”(사도행전 13:32-33, 새번역). 예수님의 부활과 용서로 세상의 회복이 시작되었습니다(38-39절; 로마서 8:21).

그때 이후로 이 이야기는 온 세상에 퍼지면서, 그것을 받아들이는 곳은 어디나 평화와 자유가 함께 전해졌습니다. 예수님은 죽음에서 부활하셨습니다. 죄와 악에서의 해방이 시작된 것입니다. 주님 안에서 우리는 자유롭게 되었습니다!

오늘의 성구

사도행전 13:32-39
우리는 하나님께서 조상들에게 하신 그 약속을 여러분에게 기쁜 소식으로 전합니다.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그 약속을 이루어주셨습니다. [사도행전 13:32-33, 새번역]

다른 통치자들과 달리, 예수님은 어떻게 세상에 평화를 가져오십니까? 이 사역에 당신은 어떻게 예수님과 함께 할 수 있습니까?

최고의 협력자이신 예수님, 주님의 의로우신 통치에 저를 맡깁니다.

Daily Article

11/11/2021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JEREMIAH 50; HEBREWS 8
Hymn: 162(old 151)

GOOD NEWS

In 1941, as Hitler’s reign was expanding across Europe, novelist John Steinbeck was asked to help with the war effort. He wasn’t asked to fight or visit troops on the frontline, but to instead write a story. The result was The Moon Is Down, a novel about a peaceful land that gets invaded by an evil regime. Printed on underground presses and secretly distributed throughout occupied countries, the novel sent a message: The Allies were coming, and by imitating the novel’s characters, readers could help secure their freedom. Through The Moon Is Down, Steinbeck brought good news to people under Nazi rule—their liberation was near.

Like the characters in Steinbeck’s story, Jews in the first century were an occupied people under brutal Roman rule. But centuries before, God had promised to send an Ally to liberate them and bring peace to the world (ISAIAH 11). Joy erupted when that Ally arrived! “We tell you the good news,” Paul said. “What God promised our ancestors he has fulfilled for us . . . by raising up Jesus” (ACTS 13:32–33). Through Jesus’ resurrection and offer of forgiveness, the world’s restoration had begun (VV. 38–39; ROMANS 8:21).

Since then, this story has spread throughout the globe, bringing peace and freedom wherever it’s embraced. Jesus has been raised from the dead. Our liberation from sin and evil has begun. In Him we’re free! SHERIDAN VOYSEY

Today's Reading

AC TS 13:32–39
We tell you the good news: What God promised our ancestors he has fulfilled for us. [ ACTS 13:32–33 ]

Compared to other rulers, how does Jesus bring peace to the world? How can you join Him in this work?

Jesus, my ultimate Ally, I surrender to Your rightful rule.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