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11/10/2021     수요일

성경읽기: 예레미야 48-49; 히브리서 7
찬송가: 370(통455)

당신은 혼자가 아닙니다

“만나서 아주 반가워요!” “저도요!” “여기 오셔서 너무 기뻐요!” 따뜻하고 반가운 인사가 오고 갔습니다. 캘리포니아주 남부지역의 사역자들이 저녁 프로그램 전에 온라인상에 모여들고 있었습니다. 콜로라도 주에 살면서 연사로 요청받은 나는 사람들이 화상 모임에 모여드는 것을 조용히 지켜보면서, 낯선 사람들과 나의 내성적인 성격 때문에 마치 내가 외부인 같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그러다 갑자기 화면이 하나 열리더니 우리 교회 목사님이 나오고, 또 다른 화면이 열리더니 오랜 교회 친구가 그 모임에 참여했습니다. 그 둘을 보니 나는 더 이상 혼자라 느끼지 않게 되었습니다. 하나님이 지원군을 보내주신 듯했습니다.

엘리야가 이세벨과 아합의 분노를 피해 도망친 후 “[선지자 중] 오직 나만 남았다”고 느꼈을 때에도(열왕기상 19:10) 그는 혼자가 아니었습니다. 엘리야는 40일 동안 밤낮으로 황량한 사막을 떠돌다가 호렙산의 동굴에 숨게 되었지만, 하나님은 다시 그를 부르시고 사명을 맡기셨습니다. “너는 네 길을 돌이켜 광야를 통하여 다메섹에 가서 이르거든 하사엘에게 기름을 부어 아람의 왕이 되게 하고 너는 또 님시의 아들 예후에게 기름을 부어 이스라엘의 왕이 되게 하고 또 아벨므홀라 사밧의 아들 엘리사에게 기름을 부어 너를 대신하여 선지자가 되게 하라”(15-16절).

그리고 하나님은 그에게 이렇게 확신시켜 주셨습니다. “그러나 내가 이스라엘 가운데에 칠천 명을 남기리니 다 바알에게 무릎을 꿇지 아니하고 다 바알에게 입맞추지 아니한 자니라”(18절). 엘리야가 알게 된 것처럼, 하나님을 섬길 때 우리는 혼자가 아닙니다. 하나님께서 도울 자를 보내주셔서 우리는 함께 섬기게 될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열왕기상 19:8-11, 15-18
내가 이스라엘 가운데에 칠천 명을 남기리니 다 바알에게 무릎을 꿇지 아니하고 다 바알에게 입맞추지 아니한 자니라 [열왕기상 19:18]

최근 하나님을 섬길 때 어떤 도움의 손길을 보내주셨습니까? 하나님을 향한 사역의 영향력을 키우기 위해 당신은 누구와 동역할 수 있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하나님을 섬기다가 혼자라고 느껴질 때, 우리가 기쁨으로 섬기면 다른 사람들이 함께 한다는 것을 다시 일깨워 주소서.

Daily Article

11/10/2021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JEREMIAH 48–49; HEBREWS 7
Hymn: 370(old 455)

YOU’RE NOT ALONE

“So great to see you!” “You, too!” “So glad you’re here!” The greetings were warm and welcoming. Members of a ministry in Southern California gathered online before their evening program. As their speaker, calling in from Colorado, I watched silently as the others gathered on the video call. As an introvert and not knowing anyone, I felt like a social outsider. Then suddenly, a screen opened and there was my pastor. Then another screen opened. A longtime church friend was joining the call, too. Seeing them, I no longer felt alone. God, it seemed, had sent support.

Elijah wasn’t alone either, despite feeling like “the only [prophet] left” after fleeing the wrath of Jezebel and Ahab (1 KINGS 19:10). Journeying through desert wilderness for forty days and forty nights, Elijah hid in a cave on Mount Horeb. But God called him back into service, telling him, “Go back the way you came, and go to the Desert of Damascus. When you get there, anoint Hazael king over Aram. Also, anoint Jehu son of Nimshi king over Israel, and anoint Elisha son of Shaphat from Abel Meholah to succeed you as prophet” (VV. 15–16).

God then assured him, “Yet I reserve seven thousand in Israel—all whose knees have not bowed down to Baal and whose mouths have not kissed him” (V. 18). As Elijah learned, while serving God we don’t serve alone. As God brings help, we’ll serve together.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1 KINGS 19:8–11, 15–18
I reserve seven thousand in Israel—all whose knees have not bowed down to Baal. [ 1 KINGS 19:18 ]

What support has God recently sent when you were serving Him? Whom could you invite to serve with you to grow your ministry impact for God?

Dear God, when I feel alone while serving You, remind me that others are with me as we joyfully serve.

오늘의 말씀

11/09/2021     화요일

성경읽기: 예레미야 46-47; 히브리서 6
찬송가: 86(통86)

예수님의 참 제자

크리스찬 머스타드가 자신이 소유한 반 고흐의 풍경화를 미술품 수집가 오귀스뜨 펠러렝에게 보여주었을 때, 그는 한 번 흘깃 보고는 진품이 아니라고 했습니다. 머스타드는 그 그림을 다락에 숨겼는데, 그 후 50년 동안 그곳에 그대로 있었습니다. 머스타드가 죽은 뒤 그 그림은 40년이 넘도록 수시로 감정을 받았지만 매번 가짜라고 판명이 났습니다. 그러다가 2012년에 한 전문가가 컴퓨터를 사용하여 그 그림의 캔버스 실 가닥을 분리하여 세어보았더니 반 고흐 그림의 다른 작품과 동일한 캔버스 천에서 잘려 나온 것임을 알아냈습니다. 머스타드는 처음부터 반 고흐의 진품을 소유하고 있었던 것입니다.

당신이 가짜같이 여겨집니까? 당신이 기도나 베푸는 일이나 섬기는 일을 거의 하지 않는다는 것을 사람들이 알아낼까봐 두렵습니까? 당신을 엿보는 시선을 피해 다락에 숨고 싶으십니까?

당신 삶의 빛깔과 윤곽 아래로 더 깊은 곳을 바라보십시오. 당신 마음대로 살다가 돌이켜 예수님을 믿었다면, 이제 예수님과 당신은 같은 캔버스에 속한 것입니다. 예수님의 표현을 빌리자면 “나는 포도나무요 너희는 가지”(요한복음 15:5)인 것입니다. 예수님과 당신은 이음매가 없는 한 몸을 이루고 있습니다.

예수님 안에 거하면 우리는 예수님의 참 제자가 됩니다. 그것은 우리의 그림을 더 진짜로 만드는 유일한 방법이기도 합니다. 주님은 말씀하셨습니다. “그가 내 안에, 내가 그 안에 거하면 사람이 열매를 많이 맺나니 나를 떠나서는 너희가 아무것도 할 수 없음이라”(5절).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5:1-8
나는 포도나무요 너희는 가지라 [요한복음 15:5]

어떤 점들이 당신을 예수님의 참 제자인지 의심하게 합니까? 이 두려움이 어떻게 당신을 주님께로 이끌어줍니까?

예수님, 가지가 줄기에 붙어 있는 것처럼 제가 주님 안에 거합니다.

Daily Article

11/09/2021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JEREMIAH 46–47; HEBREWS 6
Hymn: 86(old 86)

A TRUE DISCIPLE OF JESUS

When Christian Mustad showed his Van Gogh landscape to art collector Auguste Pellerin, Pellerin took one look and said it wasn’t authentic. Mustad hid the painting in his attic, where it remained for fifty years. Mustad died, and the painting was evaluated off and on over the next four decades. Each time it was determined to be a fake—until 2012, when an expert used a computer to count the thread separations in the painting’s canvas. He discovered it had been cut from the same canvas as another work of Van Gogh. Mustad had owned a real Van Gogh all along.

Do you feel like a fake? Do you fear that if people examined you, they’d see how little you pray, give, and serve? Are you tempted to hide in the attic, away from prying eyes?

Look deeper, beneath the colors and contours of your life. If you’ve turned from your own ways and put your faith in Jesus, then you and He belong to the same canvas. To use Jesus’ picture, “I am the vine; you are the branches” (JOHN 15:5). Jesus and you form a seamless whole.

Resting in Jesus makes you a true disciple of His. It’s also the only way to improve your picture. He said, “If you remain in me and I in you, you will bear much fruit; apart from me you can do nothing” (V. 5). MIKE WITTMER

Today's Reading

JOHN 15:1–8
I am the vine; you are the branches. [ JOHN 15:5 ]

What things cause you to wonder if you’re a true disciple of Jesus? How might this fear drive you to Him?

Jesus, I rest in You like a branch clings to its vine.

오늘의 말씀

11/08/2021     월요일

성경읽기: 예레미야 43-45; 히브리서 5
찬송가: 131(통24)

하나님을 찬양하라

우리는 제자 모임이 진행되는 일주일 내내 머리 위로 내리쬐는 미국 중서부 여름의 열기와 습기를 견뎌야 했지만, 마지막 날에 불어온 시원한 바람에 환호할 수 있었습니다. 무더운 날씨의 변화와 하나님께서 하신 놀라운 일에 감사하며, 수백 명의 사람들이 목소리 높여 하나님을 찬양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마음과 영과 몸과 정신을 다해 하나님 앞에서 전심으로 찬양하면서 해방감을 느꼈습니다. 수십 년이 지난 지금도 그때를 돌아보면 하나님을 찬양할 때 가졌던 순수한 감격과 기쁨을 다시 생각하게 됩니다.

다윗 왕은 어떻게 하는 것이 하나님을 전심으로 경배하는지 잘 알았습니다. 하나님의 임재를 상징하는 언약궤가 예루살렘으로 들어올 때 그는 춤추고 뛰놀며 기뻐했습니다(열왕기상 15:29). 비록 그의 아내 미갈이 그의 자유분방한 모습을 보고 “마음으로 업신여겼지만”(29절), 다윗은 아내의 비난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유일하신 참 하나님을 향한 경배를 멈추지 않았습니다. 비록 품위가 없어 보여도, 그는 한 나라를 이끌도록 자신을 선택해 주신 하나님께 감사하고 싶었던 것입니다(사무엘하 6:21-22).

“그날에 다윗이 아삽과 그의 형제를 세워 먼저 여호와께 감사하게 하여 이르기를 너희는 여호와께 감사하며 그의 이름을 불러 아뢰며 그가 행하신 일을 만민 중에 알릴지어다 그에게 노래하며 그를 찬양하고 그의 모든 기사를 전할지어다”(역대상 16:7-9). 우리도 우리 자신을 온전히 드려 찬양과 경배로 하나님을 맘껏 찬양할 수 있게 하소서.

오늘의 성구

역대상 15:29-16:11
너희는 여호와께 감사하며 그의 이름을 불러 아뢰며 그가 행하신 일을 만민 중에 알릴지어다 [역대상 16:8]

당신은 언제 자유롭게 전심으로 하나님을 찬양하셨습니까? 그때 무엇이 그처럼 자유와 해방감을 느끼게 해주었습니까?

창조주 하나님, 다른 모든 이름 위에 뛰어나신 주의 이름을 찬양합니다. 주님은 찬양 받으시기에 합당하십니다! 우리가 주님을 경배합니다!

Daily Article

11/08/2021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JEREMIAH 43–45; HEBREWS 5
Hymn: 131(old 24)

SING PRAISE TO GOD

The heat and humidity of the Midwestern summer closed in on us all week at the discipleship conference, but on the last day we welcomed a front of cooler air. Giving thanks for the break in weather and the amazing work God had done, hundreds joined voices to worship God. Many felt liberated to sing wholeheartedly before God, offering hearts, souls, bodies, and minds to Him. As I think back to that day decades later, I’m reminded of the pure wonder and joy of praising God.

King David knew how to wholeheartedly worship God. He rejoiced when the ark of the covenant, which signified God’s presence, was placed in Jerusalem—by dancing, leaping, and celebrating (1 CHRONICLES 15:29). Even though his wife Michal observed his abandon and “despised him in her heart” (V. 29), David didn’t let her criticism stop him from worshiping the one true God. Even if he appeared undignified, he wanted to give thanks to God for choosing him to lead the nation (SEE 2 SAMUEL 6:21–22).

David “appointed Asaph and his associates to give praise to the Lord in this manner: Give praise to the Lord, proclaim his name; make known among the nations what he has done. Sing to him, sing praise to him; tell of all his wonderful acts” (1 CHRONICLES 16:7–9). May we too give ourselves fully to worshiping God by pouring out our praise and adoration.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1 CHRONICLES 15:29–16:11
Give praise to the Lord, proclaim his name; make known among the nations what he has done. [ 1 CHRONICLES 16:8 ]

When have you felt free to worship God wholeheartedly? What led you to that sense of freedom and release?

Creator God, we proclaim Your name above all others. You’re worthy to be praised! We worship You!

Watch “A Song that Never Ends” at YouTube.com/watch?v=8nRFWxeDix4.

오늘의 말씀

11/07/2021     주일

성경읽기: 예레미야 40-42; 히브리서 4
찬송가: 436(통493)

예수 이름표

“아들아, 너에게 줄 게 별로 없지만, 내가 물려준 훌륭한 이름을 욕되게 하진 말아 다오.” 이 말은 대학에 가기 위해 집을 떠나는 아들 제롬에게 쟈니 베티스가 해주었던 지혜롭고 무게 있는 한마디였습니다. 제롬은 미식축구 명예의 전당에 자신의 이름을 올리는 기념식에서 아버지의 이 말을 인용했습니다. 제롬이 일생 동안 품었던 이 지혜로운 말은 그의 삶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고, 그날 기념식 연설 마지막을 그의 아들에게 그와 비슷한 말을 함으로써 마무리했습니다. “아들아, 내가 너에게 줄 수 있는 것 중 우리의 좋은 이름보다 더 중요한 것이 별로 없구나.”

예수님을 믿는 신자들에게 훌륭한 이름은 생명과 같은 것입니다. 바울은 골로새서 3:12-17에서 우리가 누구를 나타내야 하는지를 상기시켜 줍니다 (17절). 인격은 우리가 입는 옷과 같은데, 다음 구절과 같은 “예수 이름표”가 보이도록 옷 위에 붙여 놓습니다 “너희는 하나님이 택하신... 자처럼 긍휼과 자비와 겸손과 온유와 오래 참음을 옷 입고... 서로 용납하여 피차 용서하되... 이 모든 것 위에 사랑을 더하라”(12-14절). 이것들은 단지 우리의 “주일용 의상”이 아닙니다. 하나님이 우리 안에 역사하여 그분을 드러내시기 때문에 우리는 언제 어디서든 그 옷을 입어야 합니다. 우리 삶이 이런 성품들을 지닌 인격으로 비춰질 때, 우리는 주님의 이름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을 공급해 주시는 주님을 기도하는 마음으로 신중하게 대변할 수 있게 하소서.

오늘의 성구

골로새서 3:12-17
또 무엇을 하든지 말에나 일에나 다 주 예수의 이름으로 하고 [골로새서 3:17]

당신이 입은 옷은 어떻습니까? 예수님의 성품이 얼마나 “잘 보이도록 옷 입고” 있습니까? 주님을 보다 분명히 드러내기 위해 어떻게 주님의 지혜와 능력, 그리고 지도를 받을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예수님을 잘 대변하지 못하는 저를 용서해 주시고, 하나님의 영광과 그리스도의 이름을 위한 옷을 잘 차려 입을 수 있도록 힘과 용기를 주소서.

Daily Article

11/07/2021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JEREMIAH 40–42; HEBREWS 4
Hymn: 436(old 493)

THE JESUS LABEL

“Son, I don’t have much to give you. But I do have a good name, so don’t mess it up.” Those wise, weighty words were uttered by Johnnie Bettis as his son Jerome left home for college. Jerome quoted his father in his American Professional Football Hall of Fame acceptance speech. These sage words that Jerome has carried with him throughout his life have been so influential that he closed his riveting speech with similar words to his own son. “Son, there’s not much that I can give you that’s more important than our good name.”

A good name is vital for believers in Jesus. Paul’s words in Colossians 3:12–17 remind us who it is that we represent (V. 17). Character is like the clothing that we wear; and this passage puts the “Jesus label” of clothing on display: “As God’s chosen people . . . clothe yourselves with compassion, kindness, humility, gentleness and patience. Bear with each other and forgive one another. . . . And over all these virtues put on love” (VV. 12–14). These aren’t just our “Sunday clothes.” We’re to wear them everywhere, all the time, as God works in us to reflect Him. When our lives are characterized by these qualities, we demonstrate that we have His name.

May we prayerfully and carefully represent Him as He provides what we need. ARTHUR JACKSON

Today's Reading

COLOSSIANS 3:12–17
Whatever you do, whether in word or deed, do it all in the name of the Lord Jesus. [ COLOSSIANS 3:17 ]

As you evaluate your wardrobe, how “well dressed” are you with Jesus’ character? How can you seek His wisdom, power, and guidance to reflect Him even more clearly?

Father, forgive me when I don’t represent Jesus well. Give me strength and courage to be better dressed for Your glory and Christ’s name’s sake.

오늘의 말씀

11/06/2021     토요일

성경읽기: 예레미야 37-39; 히브리서 3
찬송가: 424(통216)

슬픔에 관한 용어집

휴와 디디가 그들의 유일한 자녀를 하늘나라로 보낸 후, 자신들을 어떻게 불러야 할지 몰라 고민했습니다. 영어에는 자식을 잃은 부모를 지칭하는 단어가 없기 때문입니다. 남편을 잃은 아내는 미망인, 아내를 잃은 남편은 홀아비, 부모를 모두 잃은 아이는 고아라고 부릅니다. 그러나 깊은 상처의 공허함을 지닌 아이를 잃은 부모는 따로 부르는 말이 없습니다.

유산. 영아의 갑작스러운 죽음. 자살. 질병. 사고. 죽음은 아이를 이 세상에서 빼앗아가면서 남아 있는 부모들에게서 자신을 지칭할 용어마저 빼앗아갑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독생자 예수님이 십자가 위에서 돌아가시며, “아버지 내 영혼을 아버지 손에 부탁하나이다”(누가복음 23:46)라고 하나님을 부르신 것과 같은 통렬한 슬픔을 잘 이해하십니다. 하나님은 예수님이 이 세상에 태어나시기 전에도 아버지이셨고, 마지막 숨을 내쉴 때에도 아버지이셨으며, 그분의 아들이 굳어진 몸으로 무덤에 뉠 때에도 여전히 아버지셨습니다. 오늘도 살아 계시는 하나님은 모든 부모에게 아이가 다시 살아날 수 있다는 희망을 주시는 부활하신 예수님의 아버지이십니다.

이 세상을 위해, 그리고 당신과 나를 위해 그분의 아들을 희생시킨 하나님 아버지를 당신은 어떻게 부르십니까? 아버지입니다. 여전히 아버지이십니다. 슬픔에 관한 용어집에서 상실의 아픔을 표현할 단어를 찾을 수 없을 때에도, 하나님은 우리의 아버지이시고 우리를 그분의 자녀로 불러 주십니다(요한1서 3:1).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23:44-46
예수께서 큰 소리로 불러 이르시되 아버지 내 영혼을 아버지 손에 부탁하나이다 [누가복음 23:46]

하나님이 언제나 우리 아버지가 되시고 우리를 그분의 자녀라고 불러 주신다는 것을 깨달을 때 어떤 마음가짐을 갖게 됩니까? 이런 생각이 어떻게 위로가 됩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저의 아버지가 되어 주시고 저를 아버지의 자녀라고 하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11/06/2021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JEREMIAH 37–39; HEBREWS 3
Hymn: 424(old 216)

A GLOSSARY FOR GRIEF

When Hugh and DeeDee released their only child to heaven, they struggled with what to call themselves in the aftermath. There is no specific word in the English language to describe a parent who has lost a child. A wife without her husband is a widow. A husband without his wife is a widower. A child bereft of parents is an orphan. A parent whose child has died is an undefined hollow of hurt.

Miscarriage. Sudden infant death. Suicide. Illness. Accident. Death steals a child from this world and then robs the surviving parents of an expressed identity.

Yet God Himself understands such devastating grief as His only Son, Jesus, called to Him while dying on the cross, “Father, into your hands I commit my spirit” (LUKE 23:46). God was Father before Jesus’ earthly birth and remained Father when Jesus released His final breath. God continued as Father when the still body of His Son was laid in a tomb. God lives on today as Father of a risen Son who brings every parent the hope that a child can live again.

What do you call a heavenly Father who sacrifices His Son for the universe? For you and for me? Father. Still, Father. When there are no words in the glossary of grief to describe the pain of loss, God is our Father and calls us His children (1 JOHN 3:1). ELISA MORGAN

Today's Reading

LUKE 23:44–46
Jesus called out with a loud voice, “Father, into your hands I commit my spirit.” [ LUKE 23:46 ]

How does it shape your heart to realize that God remains your Father and calls you His child—always? How might this thought comfort you?

Dear heavenly Father, thank You for being my Father and claiming me as Your child.

Read Life After Loss at DiscoverySeries.org/CB131.

오늘의 말씀

11/05/2021     금요일

성경읽기: 예레미야 34-36; 히브리서 2
찬송가: 191(통427)

무의미한 것에서 즐거움 찾기

“나는 싫증나는 일을 좋아한다”는 이름의 블로그 창시자인 제임스 워드는 2010년에 “싫증 나는 컨퍼런스”라는 경연 대회를 개최 했습니다. 그것은 간과하기 쉬운 보통 사람들의 평범한 하루 동안에 벌어지는 일을 기념하는 행사입니다. 과거에는 연사들이 주로 재채기나 자동판매기가 내는 소리, 1999년도 잉크젯 프린터 같이 별 의미 없는 주제들에 관해 강연했습니다. 워드는 그런 것들이 싫증나는 주제일지는 모르지만, 연사들이 그런 평범한 주제로도 충분히 흥미롭고 의미 있을 뿐 아니라 즐겁기조차 한 이야기로 만들어 갈 수 있으리라고 생각했습니다.

수천 년 전, 가장 현명한 왕이었던 솔로몬은 별 의미 없고 평범한 일에서 즐거움을 찾는 일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는 사업을 일으키고, 가축 떼를 사들이고, 부를 축적하며, 노래하는 사람들을 두고, 건물들을 지었습니다 (전도서 2:4-9). 이런 일들 중 영예로운 일들도 있었지만 그렇지 못한 일들도 많았습니다. 솔로몬 왕은 그런 일들의 의미를 찾으면서 결국 모든 것이 헛되어 싫증날 뿐이라는 것을 알았습니다(11절). 당시 솔로몬의 세계관에는 인간 경험의 한계를 넘어서는 하나님이 포함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궁극적으로 솔로몬은 하나님을 기억하고 경배할 때에만 비로소 평범한 일들 속에서 즐거움을 찾을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12:1-7).

우리가 온통 지루한 일들에 매몰되어 있을 때 날마다 우리 스스로 미니 컨퍼런스를 열어서 지루한 일들에 의미를 부여해 주시는 “[우리] 창조주를 기억”(1절) 하도록 합시다. 우리가 하나님을 기억하고 경배할 때, 일상적인 것에서 경이로움을, 평범한 것에서 감사를, 삶의 무의미해 보이는 것에서 즐거움을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전도서 2:1-11
그 후에 내가 생각해 본즉 내 손으로 한 모든 일과 내가 수고한 모든 것이 다 헛되어 바람을 잡는 것이며 [전도서 2:11]

결코 만족할 수 없는 것에서 의미를 찾기가 힘든 이유가 무엇입니까? 어떻게 하나님께 헌신하며 경배하는 일에 우선순위를 재조정하여 하나님 안에서 당신의 의미를 찾을 수 있을까요?

하나님, 제 삶의 대수롭지 않은 순간들을 하나님의 기쁨과 놀라움으로 가득 채워 주소서.

Daily Article

11/05/2021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JEREMIAH 34–36; HEBREWS 2
Hymn: 191(old 427)

FINDING JOY IN THE MEANINGLESS

In 2010, James Ward, the creator of the blog “I like Boring Things,” launched a conference called the “Boring Conference.” It’s a oneday celebration of the mundane, the ordinary, and the overlooked. In the past, speakers have addressed seemingly meaningless topics like sneezing, sounds that vending machines make, and inkjet printers of 1999. Ward knows the topics may be boring, but the speakers can take a mundane subject and make it interesting, meaningful, and even joyful.

Several millennia ago, Solomon, the wisest of kings, launched his own search for joy in the meaningless and mundane. He pursued work, bought flocks, built wealth, acquired singers, and constructed buildings (ECCLESIASTES 2:4–9). Some of these pursuits were honorable and some were not. Ultimately, in his pursuit of meaning, the king found nothing but boredom (V. 11). Solomon maintained a worldview that didn’t press beyond the limits of human experience to include God. Ultimately, however, he realized that he’d find joy in the mundane only when he remembered and worshiped God (12:1–7).

When we find ourselves in the whirlwind of tedium, let’s launch our own daily mini-conference, as we “remember [our] Creator” (V. 1)—the God who fills the mundane with meaning. As we remember and worship Him, we’ll find wonder in the ordinary, gratitude in the mundane, and joy in the seemingly meaningless things of life. MARVIN WILLIAMS

Today's Reading

ECCLESIASTES 2:1–11
When I surveyed all that my hands had done and what I had toiled to achieve, everything was meaningless, a chasing after the wind. [ ECCLESIASTES 2:11 ]

Why is it so hard to find meaning in things that can never satisfy? How do you need to reprioritize your commitment to and worship of God so you can find your meaning in Him?

God, take the unremarkable moments of my life and infuse them with Your joy and wonder.

오늘의 말씀

11/04/2021     목요일

성경읽기: 예레미야 32-33; 히브리서 1
찬송가: 218(통369)

어려운 때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확산을 막기 위해 테네시 주의 영세업체들이 갑자기 영업을 중단했을 때, 가게 주인들은 종업원들을 어떻게 챙겨주고, 가게 임대료를 어떻게 감당하며, 이 위기를 어떻게 넘기나 걱정이 많았습니다. 그때 내슈빌 근처의 한 교회 목사가 힘들어하는 영세 상인들을 현금으로 도와주는 일을 시작했습니다.

그 목사는 “우리는 누군가가 힘든 날을 지날 때 불황에 대비한 기금을 그냥 깔고 앉아 있을 수만은 없다고 느꼈습니다.”라고 하면서, 주위 다른 교회들도 이 일에 함께 동참해 주기를 권면했습니다.

불황 대비 기금은 정상 운영이 계속되어야 함에도 정상적인 소득이 줄어드는 때를 대비해 따로 모아 둔 자금을 말합니다. 우리는 누구나 자연스럽게 스스로를 먼저 돌아보게 마련이지만, 성경은 항상 자신의 필요를 넘어 다른 이들을 섬기는 길을 찾아 구제를 행하라고 우리에게 권하고 있습니다. 잠언 11장은 이렇게 일깨워주고 있습니다. “흩어 구제하여도 더욱 부하게 되는 일이 있나니” “구제를 좋아하는 자는 풍족하여질 것이요” “남을 윤택하게 하는 자는 자기도 윤택하여지리라”(24-25절).

오늘 당신의 삶에 햇살이 유난히 밝게 비치고 있습니까? 다른 사람의 삶에 폭우가 몰아치고 있지 않은지 둘러보십시오. 하나님의 은혜로 받은 축복을 아낌없이 다른 사람들에게 나누어줄 때 그 복은 몇 배나 크게 불어납니다. 너그럽게 풍성히 구제하는 것은 다른 이들에게 소망을 주고, 상처받은 이들에게 하나님 사랑을 깨우쳐주는 아주 좋은 방법입니다.

오늘의 성구

잠언 11:23-26
구제를 좋아하는 자는 풍족하여질 것이요 남을 윤택하게 하는 자는 자기도 윤택하여지리라 [잠언 11:25]

누군가가 당신에게 아낌없이 자신의 시간과 물질을 베풀어준 적이 있습니까? 오늘 어떻게 도움이 필요한 누군가에게 똑같이 베풀어줄 수 있을까요?

자비로우신 하나님, 다른 사람들의 곤궁함을 보고 관대한 마음을 갖게 해주시고, 그들에게 어떻게 하나님의 사랑과 자비를 베풀 수 있는지 보여 주소서.

Daily Article

11/04/2021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JEREMIAH 32–33; HEBREWS 1
Hymn: 218(old 369)

RAINY DAYS

When small businesses in Tennessee were abruptly shuttered in an attempt to stop the spread of COVID-19, shop owners worried about how to care for their employees, how to pay their rent, and how to simply survive the crisis. In response to their concerns, the pastor of a church near Nashville started an initiative to supply cash to struggling business owners.

“We don’t feel like we can sit on a rainy-day fund when somebody else is going through a rainy day,” the pastor explained, as he encouraged other churches in the area to join the effort.

A rainy-day fund is money that’s put aside in case normal income is decreased for a time while regular operations need to continue. While it’s natural for us to look out for ourselves first, Scripture encourages us to always look beyond our own needs, to find ways to serve others, and to practice generosity. Proverbs 11 reminds us, “One person gives freely, yet gains even more,” “a generous person will prosper,” and “whoever refreshes others will be refreshed” (VV. 24–25).

Is the sun shining extra bright in your life today? Look around to see if there’s torrential rain in someone else’s world. The blessings God has graciously given you are multiplied when you freely share them with others. Being generous and open-handed is a wonderful way to give hope to others and to remind hurting people that God loves them. CINDY HESS KASPER

Today's Reading

PROVERBS 11:23–26
A generous person will prosper; whoever refreshes others will be refreshed. [ PROVERBS 11:25 ]

When has someone been open-handed with their time or resources with you? How could you do the same for someone in need today?

Gracious God, help me to be tenderhearted toward the needs of others and show me how I can share Your love and generosity with them.

오늘의 말씀

11/03/2021     수요일

성경읽기: 예레미야 30-31; 빌레몬서
찬송가: 337(통363)

함께 나누는 위로

딸 헤일리가 우리 집에 왔을 때, 딸의 세 살 난 아들 캘럼이 이상한 옷을 입고 있었습니다. ‘긁지 마’라고 불리는 이 옷은 소매에 벙어리장갑이 달린 긴 팔 상의였습니다. 손자 캘럼은 피부가 거칠고 빨갛게 부어오르면서 가려워지는 만성 피부병으로 고생하고 있습니다. “이 ‘긁지 마’ 옷은 캘럼이 피부를 긁어 상처 나지 않게 해 줘요.”라고 딸이 설명했습니다.

일곱 달 후, 딸도 피부가 타듯이 부어올라 가려움 때문에 계속 긁어야만 했습니다. 딸은 “이제야 캘럼이 겪고 있는 일을 이해하게 됐어요.”라고 고백했습니다. “어쩜 나도 ‘긁지 마’를 입어야 할 것 같아요.”

딸에게 일어난 일은 바울이 말한 고린도후서 1:3-5 말씀을 생각나게 해주었습니다. “모든 위로의 하나님이시며 우리의 모든 환난 중에서 우리를 위로하사 우리로 하여금 하나님께 받는 위로로써 모든 환난 중에 있는 자들을 능히 위로하게 하시는 이시로다 그리스도의 고난이 우리에게 넘친 것 같이 우리가 받는 위로도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넘치는도다.”

가끔 하나님은 우리가 질병이나 상실, 위기와 같은 곤경의 시기를 지나게 하시면서, 그 겪는 고난을 통해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서 우리를 위해 겪으셨던 극심한 고통을 감사할 수 있도록 가르치십니다. 위로와 힘을 얻기 위해 하나님을 의지할 때, 우리는 고난을 겪고 있는 다른 사람들을 위로하고 용기를 줄 수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것들로 누구를 위로해줄 수 있을지 생각해 봅시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후서 1:3-8
우리로 하여금 하나님께 받는 위로로써 모든 환난 중에 있는 자들을 능히 위로하게 하시는 이시로다 [고린도후서 1:4]

당신의 고난의 체험을 통해 하나님께서 누구를 위로할 수 있게 도와주셨습니까? 그들이 그들의 아픔을 통해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서 겪으신 고난에 감사할 수 있도록 어떻게 도와줄 수 있을까요?

하나님, 고난 중에 하나님의 위로를 경험하게 하셔서 다른 사람들을 위로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1/03/2021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JEREMIAH 30–31; PHILEMON
Hymn: 337(old 363)

COMFORT SHARED

When my daughter Hayley came to visit me, I saw her threeyear-old son, Callum, wearing a strange piece of clothing. Called a ScratchMeNot, it’s a long-sleeved top with mittens attached to the sleeves. My grandson Callum suffers from chronic eczema, a skin disease that makes his skin itch, making it rough and sore. “The ScratchMeNot prevents Callum from scratching and injuring his skin,” Hayley explained.

Seven months later, Hayley’s skin flared up, and she couldn’t stop scratching. “I now understand what Callum endures,” Hayley confessed to me. “Maybe I should wear a ScratchMeNot!”

Hayley’s situation reminded me of 2 Corinthians 1:3–5, in which Paul says that our God is “the God of all comfort, who comforts us in all our troubles, so that we can comfort those in any trouble with the comfort we ourselves receive from God. For just as we share abundantly in the sufferings of Christ, so also our comfort abounds through Christ.”

Sometimes God allows us to go through trying times such as an illness, loss, or crisis. He teaches us through our suffering to appreciate the greatest suffering that Christ went through on our behalf on the cross. In turn, when we rely on Him for comfort and strength, we’re able to comfort and encourage others in their suffering. Let’s reflect on whom we can extend comfort because of what God has brought us through. GOH BEE LEE

Today's Reading

2 CORINTHIANS 1:3–8
We can comfort those in any trouble with the comfort we ourselves receive from God. [ 2 CORINTHIANS 1:4 ]

Whom has God helped you to comfort through your own experiences of suffering? What can you do to help them appreciate Christ’s suffering on the cross through their pain?

God, help me to experience Your comfort in my sufferings and to become a source of comfort to others.

Read more about comforting others at DiscoverySeries.org/Q0729.

오늘의 말씀

11/02/2021     화요일

성경읽기: 예레미야 27-29; 디도서 3
찬송가: 520(통257)

예수님을 알리려고 다른 사람에게 다가가기

십 년 전 그들은 예수라는 이름을 몰랐습니다. 필리핀 민다나오 산에서 숨겨진 채 사는 반와온 종족은 바깥세상과 거의 교류가 없었습니다. 물품을 구하러 가는 길도 거친 지형을 힘들게 올라야 하기 때문에 이틀이 걸릴 정도입니다. 세상도 그들을 전혀 주목하지 않았습니다.

그때 한 선교팀이 그들에게 다가가, 반와온 사람들을 헬리콥터로 그 지역 안과 밖으로 실어 날랐습니다. 이 일로 이 종족은 필요한 물품이나 중요한 의료 혜택을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고, 보다 큰 세상에 대해 알게 되었습니다. 예수님도 그렇게 해서 그들에게 전해졌습니다. 이제 그들은 정령들에게 노래하는 대신, 부족 전통의 노래를 유일하신 참 하나님을 찬양하는 새로운 노랫말로 바꾸어 부르고 있습니다. 항공 선교가 중요한 연결고리를 만든 것입니다.

예수님은 하나님 아버지께로 돌아가실 때 제자들에게 이렇게 명령 하셨습니다. “너희는 가서 모든 민족을 제자로 삼아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베풀라”(마태복음 28:19). 이 명령은 아직도 유효합니다.

미전도 종족 사람들은 우리가 들어보지도 못한 외진 땅에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종종 그들은 우리와 함께 살고 있습니다. 반와온 종족에게 다가가기 위해 창의성과 풍부한 자원이 필요했던 것처럼, 우리 지역사회 안에 있는 장벽을 넘기 위해 우리도 창의적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그 일은 전혀 고려하지도 않았던 “다가가기 어려운” 사람들, 바로 당신의 이웃 중 누군가를 포함하는 일일 수도 있습니다. 그들에게 다가가 예수님을 전하기 위해 하나님이 당신을 어떻게 사용하실까요?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28:16-20
가서 모든 민족을 제자로 삼아 [마태복음 28:19]

당신의 지역사회에서 가장 다가가기 어려운 사람들이 누구입니까? 어떤 방법으로 그들에게 예수님을 알릴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___________가 믿음으로 하나님께 돌아올 수 있도록 하나님이 원하시는 방법으로 저를 사용해 주소서.

Daily Article

11/02/2021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JEREMIAH 27–29; TITUS 3
Hymn: 520(old 257)

REACHING OTHERS FOR JESUS

A decade ago, they didn’t know the name of Jesus. Hidden in the mountains of Mindanao in the Philippines, the Banwaon people had little contact with the outside world. A trip for supplies could take two days, requiring an arduous hike over rugged terrain. The world took no notice of them.

Then a mission group reached out, shuttling people in and out of the region via helicopter. This gained the Banwaon access to needed supplies, crucial medical help, and an awareness of the larger world. It also introduced them to Jesus. Now, instead of singing to the spirits, they chant their traditional tribal songs with new words that praise the one true God. Mission aviation established the critical link.

When Jesus returned to His heavenly Father, He gave His disciples these instructions: “Go and make disciples of all nations, baptizing them in the name of the Father and of the Son and of the Holy Spirit” (MATTHEW 28:19). That command still stands.

Unreached people groups aren’t limited to exotic locales we haven’t heard of. Often, they live among us. Reaching the Banwaon people took creativity and resourcefulness, and it inspires us to find creative ways to overcome the barriers in our communities. That might include an “inaccessible” group you haven’t even considered—someone right in your neighborhood. How might God use you to reach others for Jesus?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MAT THEW 28:16–20
Go and make disciples of all nations. [ MATTHEW 28:19 ]

Who are the hardest to reach people in your community? In what ways can you tell them about Jesus?

Father, please use me as You see fit in order that _____________might turn to You in faith.

Read Evangelism: Reaching Out Through Relationships at DiscoverySeries.org/Q0913.

오늘의 말씀

11/01/2021     월요일

성경읽기: 예레미야 24-26; 디도서 2
찬송가: 304(통404)

벨을 울려라

다알라는 30회의 힘든 방사선치료를 마친 후 비로소 암에서 자유롭게 되었습니다. 병원의 관례대로 완치를 축하하고 치료의 종결을 뜻하는 “암 완치 종”을 치고 싶어 했던 다알라가 너무 열심히 힘껏 종을 치는 바람에 종에 매여 있던 줄이 끊어져 나갔습니다! 그러자 즐거운 웃음소리가 종소리 여운과 함께 울려 퍼졌습니다.

다알라의 이야기에 나는 미소를 지으며 시편 기자가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하나님이 그들 삶 가운데 하신 일들을 송축하라고 할 때 가졌을지도 모를 그 마음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하나님이 그들의 적들을 물리치고 이스라엘을 그분의 사랑하는 백성으로 선택하셨기에, 그는 “손뼉을 치며” “하나님께 외치고” “찬양하라”고 그들을 격려하였습니다(시편 47:1, 6, 현대인의 성경).

하나님은 건강이나 금전, 대인 관계 등, 우리가 삶의 여러 문제들로 힘들어할 때 언제나 승리로 이끌어 주시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하나님은 여전히 “그의 거룩한 보좌에 앉아 계시는”(8절) 분이심을 알기에, 하나님은 그런 상황에서도 경배와 찬양을 받으시기에 합당한 분이십니다. 적어도 우리가 이 땅의 삶에서 알 수 있는 방식으로 하나님이 우리를 치유하실 때, 우리는 크게 기뻐해야 할 이유를 얻게 됩니다. 실제로 종을 치지는 않더라도 우리는 다알라가 보여준 것처럼 넘치는 기쁨으로 하나님의 선하심을 찬양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47
즐거운 소리로 하나님께 외칠지어다
[시편 47:1]

당신은 어떻게 하나님께 감사를 드립니까?
당신 삶에서 최근 하나님께서 하신 일 가운데 기뻐할 만한 일은 무엇입니까?

하나님, 제게 많은 선물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목소리 높여 하나님을 찬양하고 손뼉 치며 하나님이 제 삶에 하신 일들을 기뻐합니다.

Daily Article

11/01/2021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JEREMIAH 24–26; TITUS 2
Hymn: 304(old 404)

RING THE BELL

After an astounding thirty rounds of radiation treatments, Darla was finally pronounced cancer-free. As part of hospital tradition, she was eager to ring the “cancer-free bell” that marked the end of her treatment and celebrated her clean bill of health. Darla was so enthusiastic and vigorous in her celebratory ringing that the rope actually detached from the bell! Peals of joyous laughter ensued.

Darla’s story brings a smile to my face and gives me a sense of what the psalmist might have envisioned when he invited the Israelites to celebrate God’s work in their lives. The writer encouraged them to “clap [their] hands,” “shout to God,” and “sing praises” because God had routed their enemies and chosen the Israelites as His beloved people (PSALM 47:1, 6).

God doesn’t always grant us victory over our struggles in this life, whether health-related or financial or relational. He’s worthy of our worship and praise in even those circumstances because we can trust that He’s still “seated on his holy throne” (V. 8). When He does bring us to a place of healing—at least in a way we recognize in this earthly life—it’s cause for great celebration. We may not have a physical bell to ring, but we can joyfully celebrate His goodness to us with the same kind of exuberance Darla showed. -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PSALM 47
Shout to God with cries of joy.
[ PSALM 47:1 ]

How do you show your gratitude to God?
What good work has He done in your life recently that merits celebration?

Thank You, God, for Your many gifts to me. I shout my praises to You and clap my hands in celebration of Your work in my life.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