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10/31/2021     주일

성경읽기: 예레미야 22-23; 디도서 1
찬송가: 393(통447)

절기의 의미를 되찾아

리사는 절기의 의미를 되찾고 싶었습니다. 눈에 보이는 많은 가을 장식품 들은 때론 섬뜩하고 으스스한 느낌으로, 죽음을 미화라도 하는 듯 보였습니다.

어둠에 맞서 작은 일부터 해보기로 나선 리사는 커다란 호박에 매직펜으로 감사 목록을 쓰기 시작했습니다. 먼저 쓴 것은 “햇살”이었습니다. 이후 그녀의 집을 방문한 사람들도 감사 목록을 썼습니다. “낙서하기”처럼 엉뚱한 목록도 있었고, “따뜻한 집”, “잘 굴러가는 자동차”같이 현실적인 것들도 있었습니다. 반면에 먼저 떠나간 사랑하는 사람의 이름을 쓴 가슴을 울리는 목록도 있었습니다. 감사를 기록한 띠가 호박을 감아 돌기 시작했습니다.

시편 104편은 우리가 지나치기 쉬운 것들을 가지고 하나님께 찬양 드리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여호와께서 샘을 골짜기에서 솟아나게 하시며”(10절), “그가 가축을 위한 풀과 사람을 위한 채소를 자라게 하신다”(14절)고 시인은 노래합니다. 그리고 어두운 밤조차 멋지고 조화롭다고 표현합니다. “주께서 흑암을 지어 밤이 되게 하시니 삼림의 모든 짐승이 기어나오나이다”(20절). 그러다가 “해가 돋으면... 사람은 나와서 일하며 저녁까지 수고하는도다”(22-23 절)라고 했습니다. 이 모든 것을 바라보며 시편 기자는 “내가 평생토록 여호와께 노래하며 내가 살아있는 동안 내 하나님을 찬양하리로다”(33절)라고 하며 마칩니다.

죽음을 어떻게 다루어야 할지 모르는 이 세상 속에서, 우리의 창조주께 드리는 가장 작은 찬양조차도 세상을 밝히는 소망의 빛이 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04:10-23
여호와께서 달로 절기를 정하심이여
[시편 104:19]

우리는 죽음을 어떻게 대하고 있습니까? 어떻게 하면 세상이 우리가 예수님 안에서 갖고 있는 소망에 관심을 가질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이 땅에 많은 좋은 것들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제 삶이 아버지께 드리는 감사의 찬양 제물이 되게 하소서.

Daily Article

10/31/2021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JEREMIAH 22–23; TITUS 1
Hymn: 393(old 447)

REDEEMING THE SEASON

Leisa wanted a way to redeem the season. So many of the autumn decorations she saw seemed to celebrate death, sometimes in gruesome and macabre ways.

Determined to counter the darkness in some small way, Leisa began to write things she was grateful for with a permanent marker on a large pumpkin. “Sunshine” was the first item. Soon visitors were adding to her list. Some entries were whimsical: “doodling,” for instance. Others were practical: “a warm house”; “a working car.” Still others were poignant, like the name of a departed loved one. A chain of gratitude began to wind its way around the pumpkin.

Psalm 104 offers a litany of praise to God for things we easily overlook. “[God] makes springs pour water into the ravines,” sang the poet (V. 10). “He makes grass grow for the cattle, and plants for people to cultivate” (V. 14). Even the night is seen as good and fitting. “You bring darkness, it becomes night, and all the beasts of the forest prowl” (V. 20). But then, “The sun rises . . . . People go out to their work, to their labor until evening” (VV. 22–23). For all these things, the psalmist concluded, “I will sing praise to my God as long as I live” (V. 33).

In a world that doesn’t know how to deal with death, even the smallest offering of praise to our Creator can become a shining contrast of hope.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PSALM 104:10–23
He made the moon to mark the seasons.
[ PSALM 104:19 ]

How do you and your friends deal with the idea of death? What are some ways you might make the world curious about the hope you have in Jesus?

Thank You, Father, for the multiple good things You’ve placed on this earth.
Make my life a grateful offering of praise to You.

오늘의 말씀

10/30/2021     토요일

성경읽기: 예레미야 20-21; 디모데후서 4
찬송가: 436(통493)

새로운 소명

십대 깡패 두목 케이시와 그 일당은 가정집이나 차를 부수고 들어가거나, 편의점을 털고, 다른 패거리와 싸움을 하곤 했습니다. 마침내 케이시는 체포되어 형을 받았는데, 교도소에서도 그는 “우두머리”가 되어 폭동이 일어났을 때 손으로 만든 칼을 나누어 주었습니다.

그 얼마 후 그는 독방에 수감되었습니다. 케이시는 독방에서 공상을 하던 중, 살면서 겪었던 주요 사건들을 마치 “영화”처럼 다시 보는 경험을 하게 되었고, 십자가에 끌려가 못 박히시는 예수님이 그에게 “이것은 다 너를 위한 일이다”라고 말씀하시는 것을 보았습니다. 케이시는 바닥에 엎드려 눈물을 흘리며 죄를 고백했습니다. 나중에 교도소 소속의 목사에게 이 경험을 이야기하자 그는 예수님에 대해 더 많이 설명해주고 성경책도 주었습니다. 케이시는 “그렇게 내 믿음의 여정이 시작되었다.”라고 말했습니다. 시간이 지나 일반 수용소로 다시 돌아온 그는 그의 믿음 때문에 학대를 받았습니다. 하지만 “다른 재소자들에게 예수님을 전하는 새로운 소명을 받았기” 때문에 그는 마음이 평안했습니다.

바울 사도는 디모데에게 보낸 편지에서 삶을 바꾸는 그리스도의 능력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하나님은 우리를 그릇된 삶에서 벗어나 예수님을 따르고 섬기는 삶으로 부르십니다(디모데후서 1:9). 믿음으로 예수님을 영접하면 그리스도의 사랑을 전하는 산증인이 되고 싶은 마음이 우러납니다. 우리가 고난 중에도 복음을 전하려고 노력할 때 성령님께서 우리를 도와 잘 감당할 수 있게 해주십니다(8절). 우리도 케이시처럼 새로운 소명에 따라 살아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디모데후서 1:6-14
하나님이 우리를 구원하사 거룩하신 소명으로 부르심은
[디모데후서 1:9]

복음을 증거한 것이 언제였습니까? 그 결과는 어땠습니까?
혹 그것 때문에 고난을 당했습니까? 무슨 일이 있었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성자 예수님을 통해 새 소명을 주시니 감사합니다. 또 우리 안에 성령을 주셔서 하나님을 섬기도록 인도하시고 능력 주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10/30/2021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JEREMIAH 20–21; 2 TIMOTHY 4
Hymn: 436(old 493)

A NEW CALLING

Teenage gang leader Casey and his followers broke into homes and cars, robbed convenience stores, and fought other gangs. Eventually, Casey was arrested and sentenced. In prison, he became a “shot caller,” someone who handed out homemade knives during riots.

Sometime later, he was placed in solitary confinement. While daydreaming in his cell, Casey experienced a “movie” of sorts replaying key events of his life—and of Jesus, being led to and nailed to the cross and telling him, “I’m doing this for you.” Casey fell to the floor weeping and confessed his sins. Later, he shared his experience with a chaplain, who explained more about Jesus and gave him a Bible. “That was the start of my journey of faith,” Casey said. Eventually, he was released into the mainline prison population, where he was mistreated for his faith. But he felt at peace, because “[he] had found a new calling: telling other inmates about Jesus.”

In his letter to Timothy, the apostle Paul talks about the power of Christ to change lives: God calls us from lives of wrongdoing to follow and serve Jesus (2 TIMOTHY 1:9). When we receive Him by faith, we desire to be a living witness of Christ’s love. The Holy Spirit enables us to do so, even when suffering, in our quest to share the good news (V. 8). Like Casey, let’s live out our new calling. - ALYSON KIEDA

Today's Reading

2 TIMOTHY 1:6–14
He has saved us and called us to a holy life.
[ 2 TIMOTHY 1:9 ]

When have you shared the gospel with someone, and what was the result?
Did it ever lead to suffering? What happened?

Dear God, thank You for offering me a new calling through Your Son. And thank You for giving me the Spirit to live inside me to guide and empower me to serve You.

오늘의 말씀

10/29/2021     금요일

성경읽기: 예레미야 18-19; 디모데후서 3
찬송가: 440(통497)

우리로 말미암아 즐거이 부르시는 하나님

첫 아들이 태어난 지 17개월 만에 딸이 태어났습니다. 딸을 갖게 된 것이 너무 기쁘긴 했지만 아들과는 달리 딸을 키우는 지식이 전혀 없어서 약간 불안하기도 했습니다. 우리는 딸의 이름을 사라라고 지었습니다. 내게 주어진 특권 중 하나가 아내가 쉴 수 있도록 딸을 흔들며 재우는 일이었는데, 딱히 이유는 없었지만 나는 딸을 재우기 위해 “그대는 나의 햇살”이라는 노래를 부르곤 했습니다. 품에 안고 있을 때나, 아기 침대 옆에 서서 계속 노래를 불렀고 그 순간순간이 정말 즐거웠습니다. 이제 20대가 된 딸을 나는 여전히 ‘햇살’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우리는 흔히 천사들이 노래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하나님께서 노래하신다고 생각해본 적이 있습니까? 그렇습니다. ‘하나님’도 노래를 부르십니다. 더 나아가 하나님께서 당신 때문에 노래하신다고 생각해본 적이 있습니까? 스바냐는 예루살렘에 전하는 메시지에서 “너의 하나님 여호와” 가 너로 말미암아 기쁨을 이기지 못하시며 “너로 말미암아 즐거이 부르며 기뻐하시리라”(3:17)고 분명히 말합니다. 이 메시지는 예루살렘에게 직접 말하는 것이지만, 하나님은 예수님을 구주로 영접한 우리로 말미암아서도 즐거이 부르십니다. 하나님은 어떤 노래를 부르실까요? 성경에 명확히 쓰여있지는 않지만 우리는 그분의 사랑에서 우러나온 그 노래는 참되고, 경건하며, 옳고, 정결하며, 사랑받을 만하며, 칭찬받을 만하다는 것을 믿을 수 있습니다(빌립보서 4:8).

오늘의 성구

스바냐 3:14-17
[하나님이] 너로 말미암아 즐거이 부르며 기뻐하시리라
[스바냐 3:17]

하나님께서 우리로 말미암아 즐거이 부르신다는 것을 생각하면 어떤 기분이 듭니까?
이것을 믿기가 어렵습니까, 아니면 위로가 됩니까? 왜 그렇습니까?

좋으신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이 나로 말미암아 즐거이 부르며 기뻐하신다는 것을 생각하면 큰 확신과 위로가 됩니다.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10/29/2021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JEREMIAH 18–19; 2 TIMOTHY 3
Hymn: 440(old 497)

GOD SINGS OVER YOU

Seventeen months after our first child—a boy—was born, along came a little girl. I was overjoyed at the thought of having a daughter, but I was also a bit uneasy because while I knew a few things about little boys, this was uncharted territory. We named her Sarah, and one of my privileges was rocking her to sleep so my wife could rest. I’m not sure why, but I started trying to sing her to sleep, and the song of choice was “You Are My Sunshine.” Whether holding her in my arms or standing above her in her crib, I quite literally sang over her, and loved every minute of it. She’s in her twenties now, and I still call her Sunshine.

We usually think about angels singing. But when was the last time you thought about God singing? That’s right—God singing. And furthermore, when was the last time you thought about Him singing over you? Zephaniah is clear in his message to Jerusalem, “The Lord your God” takes great delight in you, so much so that He “rejoice[s] over you with singing” (3:17). Although this message speaks directly to Jerusalem, it’s likely God sings over us—those who have received Jesus as Savior—too! What song does He sing? Well, Scripture’s not clear on that. But the song is born out of His love, so we can trust it’s true and noble and right and pure and lovely and admirable (PHILIPPIANS 4:8). - JOHN BLASE

Today's Reading

ZEPHANIAH 3:14–17
[God] will rejoice over you with singing.
[ ZEPHANIAH 3:17 ]

What feelings are stirred when you consider God singing over you?
Is that something unbelievable or something comforting? Why?

Good Father, the thought that You would sing over me in joy is such an assurance and comfort. Thank You.

오늘의 말씀

10/28/2021     목요일

성경읽기: 예레미야 15-17; 디모데후서 2
찬송가: 363(통479)

하나님이 듣고 계실까?

내가 교회의 교인 관리 사역팀을 섬겼을 때 맡았던 일 중의 하나는 예배 중 교인들이 적어낸 기도 요청 카드를 보고 기도하는 것이었습니다. 이모의 건강을 위한 기도, 부부의 재정을 위한 기도, 손자가 하나님을 찾기를 바라는 기도 등이 있었는데, 기도의 결과에 대해서는 거의 들은 바가 없었습니다. 대부분 익명이었기 때문에 하나님이 어떻게 응답하셨는지 알 방법이 없었습니다. 나는 가끔 ‘하나님이 정말 듣고 계실까? 내 기도로 어떤 일이 일어나기는 했을까?’라는 의심이 들기도 했습니다.

일생 동안 많은 사람들이 “하나님이 내 기도를 들으실까?”라는 의문을 갖습니다. 나는 한나가 기도한 것처럼 아기를 갖게 해달라고 간청했지만 오랫동안 응답을 받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아버지가 믿음을 갖게 해달라고 간구했지만 아버지는 어떤 분명한 신앙고백도 없이 돌아가셨습니다.

하나님께서 귀 기울여 들으신 무수한 사례가 수천 년에 걸쳐 기록되어 있습니다. 노예 생활에 시달리는 이스라엘의 신음소리를 들으시고(출애굽기 2:24), 시내산에서 모세를 들으시며(신명기 9:19), 길갈에서 여호수아를 들으시고 (여호수아 10:14), 아이를 간구하는 한나의 기도를 들으시며(사무엘상 1:10-17), 사울로부터 구해달라고 부르짖는 다윗의 간구를 들으셨습니다(사무엘하 22:7).

요한1서 5장 14절 말씀은 우리가 “그의 뜻대로 무엇을 구하면 들으심 이라”고 강조합니다. “듣는다”라는 말의 의미는 들은 것에 기초하여 주의를 기울이고 반응한다는 뜻입니다.

오늘 우리가 하나님 앞에 나아갈 때, 그의 백성의 역사 속에서 하나님이 언제나 그들에게 귀를 기울이셨던 것을 확신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간구를 들으십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1서 5:13-15
그의 뜻대로 무엇을 구하면 들으심이라
[요한1서 5:14]

최근에 하나님께 무엇을 구했는지 잠시 생각해 보십시오. 간구의 동기가 무엇이었습니까?
하나님께서 들으신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께서 제 기도를 들으신다고 말씀하시기에 믿고 간구하며 나아갑니다.

Daily Article

10/28/2021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JEREMIAH 15–17; 2 TIMOTHY 2
Hymn: 363(old 479)

IS GOD LISTENING?

When I served on my church’s congregational care team, one of my duties was to pray over the requests penciled on pew cards during the services. For an aunt’s health. For a couple’s finances. For a grandson’s discovery of God. Rarely did I hear the results of these prayers. Most were anonymous, and I had no way of knowing how God had responded. I confess that at times I wondered, Was He really listening? Was anything happening as a result of my prayers?

Over our lifetimes, most of us question, “Does God hear me?” I remember my own Hannah-like pleas for a child that went unanswered for years. And there were my pleas that my father find faith, yet he died without any apparent confession.

Etched across the millennia are myriad instances of God’s ear bending to listen: to Israel’s groans under slavery (EXODUS 2:24); to Moses on Mount Sinai (DEUTERONOMY 9:19); to Joshua at Gilgal (JOSHUA 10:14); to Hannah’s prayers for a child (1 SAMUEL 1:10–17); to David crying out for deliverance from Saul (2 SAMUEL 22:7).

First John 5:14 crescendos, “If we ask anything according to his will, he hears us.” The word for “hears” means to pay attention and to respond on the basis of having heard.

As we go to God today, may we have the confidence of His
listening ear spanning the history of His people. He hears our
pleas. - ELISA MORGAN

Today's Reading

1 JOHN 5:13–15
If we ask anything according to his will, he hears us.
[ 1 JOHN 5:14 ]

Pause to consider what you’ve most recently asked of God. What motivated you to ask?
How can you know that God hears you?

Father, I come asking and trusting You to hear me because You say that You do.

오늘의 말씀

10/27/2021     수요일

성경읽기: 예레미야 12-14; 디모데후서 1
찬송가: 94(통102)

고난의 목적

“그러니까 제 잘못이 아닐 수도 있다는 말씀이네요.” 나는 그녀의 이 말을 듣고 매우 놀랐습니다. 나는 그녀가 다니는 교회에 강사로 초청되었고, 그날 아침에 나누었던 내용에 대해 함께 이야기하던 중이었습니다. 그녀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저에게 만성 질환이 있어서 낫기 위해 기도하고, 금식하고, 죄도 고백하고, 하라는 것은 모두 다 해봤어요. 하지만 병은 여전히 낫지 않아서 다 제 탓이라고 생각했어요.”

나는 그녀의 고백을 듣고 안쓰러웠습니다. 그녀는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려고 영적인 “공식”을 받았는데, 그 공식으로 해결이 되지 않자 자신을 책망했던 것입니다. 게다가, 고난에 대한 이같은 정형화된 접근 방식은 수 세대 이전에 이미 잘못되었다는 것이 판명되었습니다.

시대에 뒤떨어진 그 공식을 간단히 말하면, 우리의 고난은 우리가 지은 죄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욥이 그의 가축과 자녀들, 그리고 건강을 비참하게 잃어버렸을 때 친구들은 이 공식을 그에게 적용했습니다. 엘리바스는 욥의 죄를 의심하며 “정직한 사람이 멸망한 일이 있더냐?”(욥기 4:7, 새번역)라고 했고, 빌닷은 욥의 자녀들이 죽은 이유가 그들의 죄 때문이라고 말하기까지 했습니다(8:4). 친구들은 욥에게 닥친 재난의 참된 이유도 모르는 채(1:6- 2:10) 단순한 논리만으로 그를 괴롭혔으며, 그래서 나중에 하나님의 책망을 받았습니다(42:7).

고난은 타락한 이 세상의 삶의 일부분입니다. 우리도 욥처럼 알 수 없는 이유로 고난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하나님은 우리가 견디는 고통 그 이상의 목적을 우리를 위해 갖고 계십니다. 단순한 공식에 빠져 낙심하지 마십시오.

오늘의 성구

욥기 42:1-9
내가 너와 네 두 친구에게 노하나니 이는 너희가 나를 가리켜 말한 것이 내 종 욥의 말 같이 옳지 못함이니라
[욥기 42:7]

“고난 = 죄”라는 공식이 또 어떻게 사용되고 있습니까?
왜 이 공식이 아직도 만연하고 있다고 생각합니까?

위대한 치료자이신 하나님, 고통받는 때에 상처 되는 말 대신 치유하는 말을 하게 하소서.

Daily Article

10/27/2021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JEREMIAH 12–14; 2 TIMOTHY 1
Hymn: 94(old 102)

A PURPOSE IN SUFFERING

“So what you’re saying is, it may not be my fault.” The woman’s words took me by surprise. Having been a guest speaker at her church, we were now discussing what I’d shared that morning. “I have a chronic illness,” she explained, “and I have prayed, fasted, confessed my sins, and done everything else I was told to do to be healed. But I’m still sick, so I thought I was to blame.”

I felt sad at the woman’s confession. Having been given a spiritual “formula” to fix her problem, she had blamed herself when the formula hadn’t worked. Even worse, this formulaic approach to suffering was disproved generations ago.

Simply put, this old formula says that if you’re suffering, you must have sinned. When Job tragically lost his livestock, children, and health, his friends used the formula on him. “Who, being innocent, has ever perished?” Eliphaz said, suspecting Job’s guilt (JOB 4:7). Bildad even told Job that his children only died because they had sinned (8:4). Ignorant of the real cause of Job’s calamities (1:6–2:10), they tormented him with simplistic reasons for his pain, later receiving God’s rebuke (42:7).

Suffering is a part of living in a fallen world. Like Job, it can happen for reasons we may never know. But God has a purpose for you that goes beyond the pain you endure. Don’t get discouraged by falling for simplistic formulas. - SHERIDAN VOYSEY

Today's Reading

JOB 42:1–9
I am angry with you and your two friends, because you have not spoken the truth about me, as my servant Job has.
[ JOB 42:7 ]

How else do you see the “suffering = sin” formula being used?
Why do you think it’s still so prevalent?

Great Physician, give me words to heal, not hurt, in times of pain.

오늘의 말씀

10/26/2021     화요일

성경읽기: 예레미야 9-11; 디모데전서 6
찬송가: 497(통274)

따로 세움

“툭툭”으로 알려진 스리랑카의 삼륜 택시는 많은 이들에게 편리함과 즐거움을 주는 교통수단입니다. 수도 콜롬보에 거주하는 로레인은 그 택시들도 전도가 가능한 영역임을 깨달았습니다. 어느 날 툭툭을 탔는데 마침 종교에 관해 이야기하기를 아주 즐겨 하는 한 친절한 기사를 만났습니다. 그녀는 다음 기회에 그 기사에게 복음을 전하겠다고 스스로 다짐했습니다.

로마서는 바울이 “하나님의 복음을 전하기 위하여 따로 세우심을 받았다”(로마서 1:1, 새번역)고 자신을 소개하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헬라어로 “복음”은 ‘에반겔리온’이며 그 뜻은 “좋은 소식”입니다. 바울은 근본적으로 자신의 주된 목표가 하나님의 좋은 소식을 전하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었던 것입니다.

좋은 소식이란 무엇입니까? 로마서 1장 3절에서 하나님의 복음은 곧 “그의 아들에 관한 것”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좋은 소식은 바로 예수님 입니다! 예수님이 우리를 죄와 사망에서 구원하시려고 오셨다는 것을 온 세계에 전하기를 원하시는 바로 그 ‘하나님’이 그분의 소통 수단으로 우리를 선택하셨습니다. 이 얼마나 떨리는 사실인지요!

복음을 전하는 것은 예수님을 믿는 모든 신자들에게 주어진 특권입니다. 우리는 다른 사람들을 이 믿음으로 이끌기 위해 “은혜를 받았습니다”(5-6절). 툭툭에 탑승했을 때든, 혹은 어디에 있든, 하나님은 주변 사람들에게 복음의 기쁜 소식을 전하라고 우리를 따로 세우셨습니다. 우리도 로레인처럼 일상에서 좋은 소식되시는 예수님을 전할 기회를 얻게 되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로마서 1:1-6
바울은... 하나님의 복음을 전하기 위하여 따로 세우심을 받았습니다.
[로마서 1:1, 새번역]

당신의 믿음을 전하는데 어떤 장애물이 있습니까?
복음을 전하는데 당신의 재능과 관심사를 어떻게 사용할 수 있을까요?

예수님, 주님의 복음을 전하기 위해 저를 대변인으로 삼아 주셔서 감사합니다. 주의 성령께서 오늘 저에게 주님을 전할 수 있는 용기와 사랑을 주시기를 간구합니다.

Daily Article

10/26/2021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JEREMIAH 9–11; 1 TIMOTHY 6
Hymn: 497(old 274)

SET APART

The three-wheeled taxis of Sri Lanka, known as “tuk tuks,” are a convenient and delightful mode of transport for many. Lorraine, a resident of the capital of Colombo, also realized that they’re a mission field. Hopping onto a tuk tuk one day, she found the friendly driver more than happy to engage in conversation about religion. The next time, she told herself, she would talk to the driver about the good news.

The book of Romans starts with Paul declaring himself as “set apart for the gospel of God” (ROMANS 1:1). The Greek word for “gospel” is evangelion, which means “good news.” Paul was essentially saying that his main purpose was to tell God’s good news. What is this good news? Romans 1:3 says that the gospel of God is “regarding his Son.” The good news is Jesus! It’s God who wants to tell the world that Jesus came to save us from sin and death, and He’s chosen us to be His mode of communication. What a humbling fact!

Sharing the good news is a privilege all believers in Jesus have been given. We’ve “received grace” to call others to this faith (VV. 5–6). God has set us apart to carry the exciting news of the gospel to those around us, whether on tuk tuks or wherever we are. May we, like Lorraine, look for opportunities in our daily life to tell others the good news that is Jesus. - ASIRI FERNANDO

Today's Reading

ROMANS 1:1–6
Paul was . . . set apart for the gospel of God.
[ ROMANS 1:1 ]

What barriers do you experience in sharing your faith?
What talents or interests can you use to present the good news?

Jesus, thank You for making me Your mouthpiece for Your good news. May Your Spirit give me the courage and love to share about You today.

오늘의 말씀

10/25/2021     월요일

성경읽기: 예레미야 6-8; 디모데전서 5
찬송가: 543(통342)

테스트

아이들과 함께 14,000피트(약 4.3킬로미터)가 넘는 콜로라도 포티너 산을 처음 오를 때 아이들이 무척 긴장했습니다. ‘아이들이 해낼 수 있을까? 도전할 준비가 된 걸까?’ 등산로를 가다가 막내아들이 멈추어서 좀 더 오래 휴식을 취했습니다. “아빠, 더 이상 못 가겠어요.”라고 아들은 반복해서 말했습니다. 하지만 나는 이 테스트가 분명 아이들에게 유익하리라 생각했고 아이들이 나를 믿어주기를 원했습니다. 더 갈 수 없다고 말했던 아들은 정상까지 1마일(약 1.6킬로미터) 남은 상황에서 새롭게 힘을 내더니 결국 우리보다 빨리 정상에 올랐습니다. 두려움 속에서도 나를 믿었던 아들은 무척 기뻐했습니다.

이삭이 아버지와 함께 산을 오르며 아버지에게 가졌던 믿음은 실로 놀랍습니다. 게다가 아브라함이 아들의 몸 위로 칼을 들며 보여주었던 하나님에 대한 믿음은 나를 더 놀라게 합니다(창세기 22:10). 아브라함은 혼란스럽고 비통했지만 순종했습니다. 다행히 하나님의 사자가 나타나 그를 중단시키며 “그 아이에게 네 손을 대지 말라”고 말했습니다(12절). 하나님은 결코 이삭을 죽일 계획이 없으셨습니다.

이 특별한 사건과 우리의 삶을 조심스럽게 연결해 볼 때, 우리는 “하나님 이 아브라함을 시험하시려고”(1절)라는 첫 구절을 주목해 보아야 합니다. 아브라함은 시험을 통해 자신이 하나님을 얼마나 신뢰하는지를 알게 되었으며, 하나님의 사랑의 마음과 모든 것을 예비하심도 알게 되었습니다.

우리는 혼란과 어둠, 그리고 시험을 통해 하나님과 우리 자신에 대한 진실을 알게 됩니다. 그리고 시험을 당하는 것은 그분에 대한 더 깊은 신뢰로 이어진다는 것도 알게 됩니다.

오늘의 성구

창세기 22:1-3, 6-12
그 일 후에 하나님이 아브라함을 시험하시려고
[창세기 22:1]

당신이 겪었던 시험이 하나님이 주신 것이라고 어떻게 확신합니까?
어떤 경험이었고, 그것을 통해 무엇을 얻었습니까?

하나님, 제가 겪는 일이 하나님이 주신 시험인지 아닌지 알지 못합니다. 하지만 그 어떤 것이든 하나님을 신뢰하기를 원합니다. 제 앞날을 하나님께 드립니다.

Daily Article

10/25/2021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JEREMIAH 6–8; 1 TIMOTHY 5
Hymn: 543(old 342)

THE TESTING

The first time I took my sons to hike a Colorado Fourteener—a mountain with an elevation of a least 14,000 feet—they were nervous. Could they make it? Were they up to the challenge? My youngest stopped on the trail for extended breaks. “Dad, I can’t go any more,” he said repeatedly. But I believed this test would be good for them, and I wanted them to trust me. A mile from the peak, my son who’d insisted he could go no further caught his second wind and beat us to the summit. He was so glad he trusted me, even amid his fears.

I marvel at the trust Isaac had in his father as they climbed their mountain. Far more, I’m undone by the trust Abraham had in God as he raised his knife over his son (GENESIS 22:10). Even with his confused and wrenching heart, Abraham obeyed. Mercifully, an angel stopped him. “Do not lay a hand on the boy,” God’s messenger declared (V. 12). God never intended for Isaac to die.

As we draw parallels from this unique story to our own with caution, it’s crucial to note the opening line: “God tested Abraham” (V. 1). Through his test, Abraham learned how much he trusted God. He discovered His loving heart and profound provision.

In our confusion, darkness, and testing, we learn truths about ourselves and about God. And we may even find that our testing leads to a deeper trust in Him. - WINN COLLIER

Today's Reading

GENE SIS 22:1–3, 6–12
Some time later God tested Abraham.
[ GENESIS 22:1 ]

How do you believe you’ve been tested by God?
What was that experience like, and what did you take away from it?

God, I don’t know if what I’m experiencing is Your testing or not, but either way, I want to trust You. I give my future to You.

오늘의 말씀

10/24/2021     주일

성경읽기: 예레미야 3-5, 디모데전서 4
찬송가: 288(통204)

말하고 믿고 느껴라

프레드릭 뷰크너는 그의 충격적인 회고록 ‘비밀을 말하다’에서 이렇게 말합니다. “말하지 말고, 믿지 말고, 느끼지 말라는 것이 우리 가족이 살아온 법이었으며, 그것을 어긴 사람은 화를 면치 못했다.” 뷰크너는 그가 “각종 이유로 몰락하게 된 가족들의 불문율”이라고 부르는 이것에 대한 자신의 경험을 말하고 있습니다. 뷰크너는 자기 집안에서도 그 “법”의 영향으로 아버지의 자살에 대해 말하거나 슬퍼할 수조차 없었고, 누구와도 아픔을 나누지 못했습니다.

당신도 이와 비슷한 경험이 있습니까? 우리 중 많은 이들은 상처받은 것을 솔직히 말하지 못하고 침묵을 요구받는 왜곡된 사랑 가운데 사는 것을 배워왔습니다. 그런 종류의 “사랑”은 다만 두려움을 이용하여 통제권을 지키려는 것으로, 일종의 노예생활과도 같은 것입니다.

우리는 예수님이 우리를 부르신 사랑이 우리가 잃어버릴까 봐 늘 두려워하는 사랑, 곧 우리가 종종 경험하는 그런 조건부 사랑과 얼마나 다른지 잊어서는 안 됩니다. 바울 사도가 설명하는 대로, 우리는 그리스도의 사랑을 통해 두려움 없이 산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를 완전히 이해하게 되며(로마서 8:15), 우리가 깊이, 진실로, 무조건적으로 사랑받는 존재라는 것을 깨닫게 될 때 얻을 수 있는 영광스러운 자유(21절)를 비로소 이해하게 됩니다. 우리는 다시 한번 자유롭게 말하고, 믿고, 느낄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두려움 없이 사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를 알게 됩니다.

오늘의 성구

로마서 8:14-21
너희는 다시 무서워하는 종의 영을 받지 아니하고
[로마서 8:15]

인정받고 사랑받기 위해 암묵적으로 지켜왔던 어떤 “법칙들”이 있습니까?
사랑받으려고 지켜왔던 그런 법칙들을 따르지 않아도 된다는 것을 미리 알았다면 어떻게 다르게 살았을까요?

사랑의 하나님, 나 자신에게, 그리고 다른 사람에게 정직하게 살면 더 이상 사랑받지 못할까봐 때로 두렵습니다. 나의 마음을 치유해 주시고, 하나님의 사랑으로 가능케 된 기쁨과 자유와 영광을 믿고 누리며 살게 하소서.

Daily Article

10/24/2021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JEREMIAH 3–5; 1 TIMOTHY 4
Hymn: 288(old 204)

TALK, TRUST, FEEL

“Don’t talk, don’t trust, don’t feel was the law we lived by,” says Frederick Buechner in his powerful memoir Telling Secrets, “and woe to the one who broke it.” Buechner is describing his experience of what he calls the “unwritten law of families who for one reason or another have gone out of whack.” In his own family, that “law” meant Buechner was not allowed to talk about or grieve his father’s suicide, leaving him with no one he could trust with his pain.

Can you relate? Many of us in one way or another have learned to live with a warped version of love, one that demands dishonesty or silence about what’s harmed us. That kind of “love” relies on fear for control—and is a kind of slavery.

We can’t afford to forget just how different Jesus’ invitation to love is from the kind of conditional love we often experience— a kind of love we’re always afraid we could lose. As Paul explains, through Christ’s love we can finally understand what it means to not live in fear (ROMANS 8:15) and start to understand the kind of glorious freedom (V. 21) that’s possible when we know we’re deeply, truly, and unconditionally loved. We’re free to talk, to trust, and to feel once more—to learn what it means to live unafraid. - MONICA LA ROSE

Today's Reading

ROMANS 8:14–21
The Spirit you received does not make you slaves, so that you live in fear.
[ ROMANS 8:15 ]

Are there any unspoken “rules” you’ve learned as conditions for acceptance and love?
How might you live differently if you believed you didn’t have to follow those rules to be loved?

Loving God, at times I’m afraid to live honestly with myself and with others—thinking that by doing so I’ll no longer be loved. Heal my heart, and help me believe in and live for the glory, freedom, and joy Your love makes possible.

오늘의 말씀

10/23/2021     토요일

성경읽기: 예레미야 1-2, 디모데전서 3
찬송가: 218(통369)

지혜로운 그리스도인

세계적인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으로 전 세계 학교가 문을 닫게 되었습니다. 중국에서는 딩톡이라는 디지털 앱을 사용해서 교사들이 온라인 수업을 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그러자 학생들은 딩톡의 앱 평가 점수가 아주 낮게 나오면 앱 스토어에서 삭제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습니다. 그날 밤 딩톡은 최저 평점을 수천 개나 받아서 총점이 바닥으로 떨어졌습니다.

예수님이라면 공부를 안 하려는 학생들을 칭찬하시지는 않겠지만 아이들의 기발한 생각에는 놀라셨을지도 모릅니다. 예수님은 해고 당한 날 주인에게 빚진 자들의 빚을 대폭 줄여준 한 청지기에 대한 색다른 이야기를 하셨습니다. 예수님은 청지기의 정직하지 못한 모습을 칭찬하시지는 않았지만, 그의 영리함을 좋게 보셨고 제자들에게도 똑같이 지혜롭기를 바라셨습니다. “내가 너희에게 말하노니 불의의 재물로 친구를 사귀라 그리하면 그 재물이 없어질 때에 그들이 너희를 영주할 처소로 영접하리라”(누가복음 16:9).

돈의 경우, 대부분의 사람들은 얼마나 손해를 볼지에 관심을 갖지만, 현명한 사람들은 그것을 어떻게 사용할지에 관심을 둡니다. 예수님은 우리가 베풀면 “친구를 얻고”, 그럼으로써 안전과 영향력을 얻게 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어떤 그룹이든 리더는 지불하는 사람입니다. 베푸는 것은 또한 “영원한 집”을 소유하게 해줍니다. 그것은 기꺼이 재물을 나누려는 마음은 예수님을 신뢰하는 것을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재물이 없더라도 우리에게는 시간과 재능, 또는 남의 말을 경청해 줄 귀가 있습니다. 예수님을 위해 다른 사람들을 창의적으로 섬길 방법을 보여 달라고 하나님께 간구합시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16:1-9
이 세대의 아들들이 자기 시대에 있어서는 빛의 아들들보다 더 지혜로움이니라
[누가복음 16:8]

예수님은 오늘 누구를 섬기라고 하십니까? 그 사람을 축복하기 위해 당신의 재능과 물질, 또는 시간을 어떻게 창의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까요?

예수님, 주님을 위해 다른 이들에게 베풀기를 원합니다.

Daily Article

10/23/2021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JEREMIAH 1–2; 1 TIMOTHY 3
Hymn: 218(old 369)

WISE CHRISTIANS

The coronavirus pandemic resulted in canceled schools around the world. In China, teachers responded with DingTalk, a digital app that enabled class to be held online. Then their students figured out that if DingTalk’s rating fell too low, it might be removed from the App Store. Overnight, thousands of one-star reviews dropped DingTalk’s score.

Jesus wouldn’t be impressed with the students shirking their responsibilities, but He might admire their ingenuity. He told an unusual story about a fired manager who on his final day slashed the bills of his master’s debtors. Jesus didn’t praise the manager’s dishonesty. Rather He commended his cleverness and wished His followers would be equally shrewd: “I tell you, use worldly wealth to gain friends for yourselves, so that when it is gone, you will be welcomed into eternal dwellings” (LUKE 16:9).

When it comes to money, most people look at how much they might lose. Wise people look for what they can use. Jesus said giving to others “gain[s] friends,” which provides safety and influence. Who is the leader in any group? The one who pays. Giving also gains “eternal dwellings,” for our willingness to part with our cash shows our trust is in Jesus.

Even if we don’t have money, we do have time, skills, or a listening ear. Let’s ask God to show us how to creatively serve others for Jesus. - MIKE WITTMER

Today's Reading

LUKE 16:1–9
The people of this world are more shrewd in dealing with their own kind than are the people of the light.
[ LUKE 16:8 ]

Who does Jesus want you to serve today? How might you creatively use your skills, money, or time to bless this person?

Jesus, I want to give to others for You.

오늘의 말씀

10/22/2021     금요일

성경읽기: 이사야 65-66; 디모데전서 2
찬송가: 213(통348)

섬기며 살기

첼시는 열 살 때 멋진 미술용품 세트를 받은 후 하나님께서 미술을 통해 슬픈 마음을 위로해 주신다는 것을 경험했습니다. 첼시는 미술용품을 쉽게 구할 수 없는 아이들이 있다는 것을 알고 그들을 돕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생일 파티 때 친구들에게 생일 축하 선물 대신 도움이 필요한 아이들에게 줄 미술용품을 가져와서 기부 상자에 넣어달라고 부탁했습니다.

나중에 첼시는 가족의 도움으로 ‘첼시의 자선사업’을 시작하여, 더 많은 아이들을 도울 수 있도록 더 많은 사람들에게 기부 상자를 채워줄 것을 요청했습니다. 그녀는 기부 상자를 받은 아이들에게 직접 그림을 가르쳐주기도 했습니다. 현지의 뉴스 진행자가 첼시를 인터뷰한 이후에는 전국 각지에서 사람들이 미술용품을 기부하기 시작했습니다. ‘첼시의 자선사업’이 계속해서 미술용품을 전 세계에 보내게 되면서, 하나님은 이 소녀를 통해 우리가 다른 사람들을 기꺼이 돕고자 할 때 하나님이 우리를 어떻게 사용하실 수 있는지를 보여주십니다.

첼시의 다른 사람을 향한 마음과 나누려는 의지는 신실한 청지기의 마음과 같습니다. 베드로 사도는 예수님을 믿는 모든 신자들에게 하나님께 받은 자원과 재능을 나누면서 서로 깊게 사랑하는 신실한 청지기가 되라고 격려합니다(베드로전서 4:8-11).

우리는 작은 사랑의 행동으로 다른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여 나누는 일에 동참케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하나님은 우리와 함께 섬길 동역자들을 모아 주시기도 합니다. 하나님께 의지함으로 우리는 하나님을 섬기고 하나님이 받으시기 합당한 영광을 그분께 돌려 드리며 살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베드로전서 4:8-11
각각 은사를 받은 대로 하나님의 여러 가지 은혜를 맡은 선한 청지기 같이 서로 봉사하라
[베드로전서 4:10]

오늘 어떻게 하나님께 의지하여 다른 이들을 섬기겠습니까?
하나님은 혼자 감당하기에 벅차 보이는 어떤 일로 그분을 섬기게 하셨습니까?

신실하신 하나님 아버지, 오늘 제 말과 행동으로 이웃을 사랑하면서 하나님을 섬길 수 있도록 저에게 필요한 모든 것을 공급해 주소서.

Daily Article

10/22/2021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ISAIAH 65–66; 1 TIMOTHY 2
Hymn: 213(old 348)

LIVE TO SERVE

After ten-year-old Chelsea received an elaborate art set, she discovered that God used art to help her feel better when she was sad. When she found out that some kids didn’t have art supplies readily available, she wanted to help them. So when it was time for her birthday party, she asked her friends not to bring her gifts. Instead, she invited them to donate art supplies and help fill boxes for children in need.

Later, with her family’s help, she started Chelsea’s Charity. She began asking more people to help her fill boxes so she could help more kids. She has even taught art tips to groups who have received her boxes. After a local newscaster interviewed Chelsea, people started donating supplies from all over the country. As Chelsea’s Charity continues sending art supplies internationally, this young girl is demonstrating how God can use us when we’re willing to live to serve others.

Chelsea’s compassion and willingness to share reflects the heart of a faithful steward. The apostle Peter encourages all believers in Jesus to be faithful stewards as they “love each other deeply” by sharing the resources and talents God has given them (1 PETER 4:8–11).

Our small acts of love can inspire others to join us in giving. God can even rally supporters to serve alongside us. As we rely on Him, we can live to serve and give Him the glory He deserves. -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1 PETER 4:8–11
Each of you should use whatever gift you have received to serve others, as faithful stewards of God’s grace in its various forms.
[ 1 PETER 4:10 ]

How can you rely on God to help you serve others today?
In what way has God been nudging you to serve Him that seems too big for you to handle alone?

Faithful Father, please give me all I need to serve You by loving others with my words and actions today.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