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10/21/2021     목요일

성경읽기: 이사야 62-64; 디모데전서 1
찬송가: 205(통236)

성경공부

제임스 패커(1926-2020)는 그의 대표작 ‘하나님을 아는 지식’에서 유명한 네 명의 기독교인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그들을 “성경을 갉아먹는 비버들”이라고 불렀습니다. 그들은 다 훈련받은 학자는 아니었지만, 마치 비버가 나무를 끝까지 파서 갉아먹는 것처럼 하나님을 알기 위해 대단한 노력으로 성경을 파고들었습니다. 패커는 나아가 성경 공부를 통해 하나님을 아는 것은 학자들만의 일이 아니라고 했습니다. “신학적으로 옳다는 것으로 만족하는 많이 배운 학자보다, 성령으로 충만하여 성경을 읽고 설교를 듣는 평범한 사람이 구원자 하나님과 훨씬 더 깊은 사귐을 가질 수 있다.”

안타깝게도 성경을 공부하는 사람들이 다 구주를 더 알고 더 닮기 원하는 겸손한 마음으로 하지 않습니다. 예수님 당시에도 구약성경을 읽었던 사람들이 있었지만 정작 성경이 말하는 바로 그분을 알아보지 못했습니다. “너희가 성경에서 영생을 얻는 줄 생각하고 성경을 연구하거니와 이 성경이 곧 내게 대하여 증언하는 것이니라 그러나 너희가 영생을 얻기 위하여 내게 오기를 원하지 아니하는도다”(요한복음 5:39-40).

때때로 성경을 읽는 것이 힘이 드십니까? 아니면 성경공부를 완전히 포기하셨습니까? 성경을 갉아먹는 “비버들”은 단순히 성경을 읽는 사람들이 아닙니다. 그들은 성경 안에 나타나 있는 예수님을 알고 사랑하기 위해 눈과 마음을 열어 기도하며 차근차근 성경을 끝까지 파고드는 사람들입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5:39-47
[예수께서 이르시되] 이 성경이 곧 내게 대하여 증언하는 것이니라
[요한복음 5:39]

예수님을 “증언”하는 구약성경의 구절들은 무엇입니까?
성경을 더 잘 공부하기 위해 개발해야 할 더 좋은 습관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제 눈을 열어 성경 전체에 나타나 있는 예수님을 보게 하시고, 주님을 더 사랑하고 순종하며 섬길 수 있게 하소서.

Daily Article

10/21/2021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ISAIAH 62–64; 1 TIMOTHY 1
Hymn: 205(old 236)

STUDYING THE SCRIPTURES

In his classic work Knowing God, J. I. Packer (1926–2020) spoke of four well-known believers in Christ whom he called “beavers for the Bible.” Not all were trained scholars, but each one exercised great care to know God by gnawing into the Scripture, like a beaver digs in and gnaws away at a tree. Packer further noted that knowing God through Bible study is not just for scholars. “A simple Bible reader and sermon hearer who is full of the Holy Spirit will develop a far deeper acquaintance with his God and Savior than a more learned scholar who is content with being theologically correct.”

Unfortunately, not all who study the Bible do so with humble hearts with the goal of getting to know the Savior better and becoming more like Him. In Jesus’ day there were those who read the Old Testament Scriptures, yet they missed the very One they spoke of. “You study the Scriptures diligently because you think that in them you have eternal life. These are the very Scriptures that testify about me, yet you refuse to come to me to have life” (JOHN 5:39–40).

Do you sometimes find yourself stumped as you read the Bible? Or have you given up studying the Scriptures altogether? Bible “beavers” are more than Bible readers. They prayerfully and carefully gnaw away at Scripture in ways that open their eyes and hearts to see and love Jesus—the One revealed in it. - ARTHUR JACKSON

Today's Reading

JOHN 5:39–47
[Jesus said], “These are the very Scriptures that testify about me.”
[ JOHN 5:39 ]

What are some Old Testament Scripture passages that you recognize as “testifying” about Jesus?
What better habits do you need to develop to become a better student of the Scriptures?

Father, open my eyes to see Jesus in all of Scripture so that I might love, obey, and serve Him more.

오늘의 말씀

10/20/2021     수요일

성경읽기: 이사야 59-61; 데살로니가후서 3
찬송가: 274(통332)

내부로부터 무너짐

나의 십대 시절 엄마가 거실의 벽에 벽화를 그리셨는데, 그 그림은 몇 년 동안 계속 그 자리에 있었습니다. 거기에는 양쪽에 뉘어 있는 흰 기둥과 무너진 분수, 그리고 부서진 동상이 있는 폐허가 된 고대 그리스의 신전이 그려져 있었습니다. 한때 상당한 아름다움을 지녔었던 그 헬레니즘 건축물을 보면서 나는 무엇 때문에 그렇게 파괴됐는지를 상상해 보았습니다. 한때 위대하고 번성했던 문명이 ‘내부’로부터 쇠퇴하고 무너지게 된 비극에 대해 공부를 시작하면서 그것이 더욱 궁금했습니다.

오늘날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죄로 타락한 모습들과 무모한 파괴행위들을 보면 속이 상합니다. 우리는 자연스럽게 하나님을 거부한 사람들과 나라들 때문이라고 그 이유를 설명하려고 합니다. 하지만 우리의 내면 또한 들여다봐야 하지 않을까요? 성경말씀은 자신의 내면을 깊이 들여다보지 않으면서 다른 이들의 회개만을 촉구하는 위선자의 모습을 우리에게 경고하고 있습니다(마태복음 7:1-5).

시편 32편은 자신의 죄를 보고 고백하라고 우리에게 도전을 주고 있습니다. 우리는 자신의 죄를 깨닫고 고백할 때 비로소 죄책감에서 자유롭게 되고 참된 회개의 기쁨을 누릴 수 있습니다(1-5절).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완전한 용서를 주신다는 사실이 기쁨으로 다가올 때 죄와 싸우고 있는 다른 이들에게도 그 희망을 전해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32:1-5; 마태복음 7:1-5
내가 이르기를 내 허물을 여호와께 자복하리라 하고... 곧 주께서 내 죄악을 사하셨나이다
[시편 32:5]

우리의 삶에 죄가 있음을 인정하는 첫 단계가 무엇입니까?
죄를 하나님께 고백하는 것이 왜 중요할까요?

하나님 아버지, 나의 죄를 씻기는 용서의 선물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른 사람들의 죄를 걱정하기보다 먼저 나의 마음을 살피게 하소서.

Daily Article

10/20/2021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ISAIAH 59–61; 2 THESSALONIANS 3
Hymn: 274(old 332)

CRUMBLED FROM WITHIN

When I was a teenager, my mom painted a mural on our living room wall, which stayed there for several years. It showed an ancient Greek scene of a ruined temple with white columns lying on their sides, a crumbling fountain, and a broken statue. As I looked at the Hellenistic architecture that had
once held great beauty, I tried to imagine what had destroyed it. I was curious, especially when I began studying about the tragedy of once great and thriving civilizations that had decayed and crumbled from within.

The sinful depravity and wanton destruction we see around us today can be troubling. It’s natural for us to try to explain it by pointing to people and nations that have rejected God. But shouldn’t we be casting our gaze inwardly as well? Scripture warns us about being hypocrites when we call out others to turn from their sinful ways without also taking a deeper look inside our own hearts (MATTHEW 7:1–5).

Psalm 32 challenges us to see and confess our own sin. It’s only when we recognize and confess our personal sin that we can experience freedom from guilt and the joy of true repentance (VV. 1–5). And as we rejoice in knowing that God offers us complete forgiveness, we can share that hope with others who are also struggling with sin. - CINDY HESS KASPER

Today's Reading

PSALM 32:1–5; MAT THEW 7:1–5
I said, “I will confess my transgressions to the Lord.” And you forgave the guilt of my sin.
[ PSALM 32:5 ]

What’s the first step in identifying sin in your life?
Why is it vital that you confess your sin to God?

Father God, I thank You for the gift of Your forgiveness that eliminates the guilt of my sin.
Help me to first examine my own heart before I concern myself with the sins of others.

오늘의 말씀

10/19/2021     화요일

성경읽기: 이사야 56-58; 데살로가후서 2
찬송가: 329(통267)

희생해야 할 때

2020년 2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위기가 시작되던 당시 한 신문 칼럼니스트의 주장이 내게 충격을 주었습니다. 그녀는 우리가 기꺼이 자가 격리에 들어가고 다른 사람들을 감염시키지 않으려고 자기의 일이나 여행, 쇼핑 습관까지 바꾸려 할지를 물으며 이렇게 썼습니다. “이것은 단순히 임상실험 차원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을 위해 우리 자신을 기꺼이 내어줄 수 있는지를 테스트하는 것이다.” 미덕이 필요하다는 사실이 갑자기 뉴스의 1면을 장식했습니다.

자신도 불안한 상황에서 다른 이들의 필요를 배려한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입니다. 하지만 감사하게도 다른 사람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일은 우리의 의지만으로 하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는 성령님께 간구하여 무관심 대신 ‘사랑’을, 슬픔 대신 ‘희락’을, 불안 대신 ‘화평’을, 충동을 이길 ‘오래 참음’ 을, 남들을 돌볼 ‘자비’를, 그들의 필요를 볼 수 있는 ‘양선’을, 약속을 지킬 수 있는 ‘충성’을, 차가움 대신 ‘온유’를, 자기 중심을 이길 ‘절제’를 구할 수 있습니다(갈라디아서 5:22-23). 우리는 이 모든 것에 있어 완전할 수는 없지만 지속적으로 성령님의 이 은사들을 구하라고 요구받고 있습니다(에베소서 5:18).

작가 리차드 포스터는 거룩함을 마땅히 행할 일이 있을 때 그것을 해내는 능력이라고 정의했습니다. 그런 거룩함은 세계적인 전염병 상황뿐 아니라 매일같이 필요합니다. 다른 이들을 위해 우리가 희생할 수 있는지요? 성령님, 마땅히 해야 할 일을 해낼 수 있는 능력을 우리에게 채워 주소서.

오늘의 성구

갈라디아서 5:22-26
오직 성령의 열매는 사랑과 희락과 화평과 오래 참음과 자비와 양선과 충성과 온유와 절제니
[갈라디아서 5:22-23]

다른 사람들을 위해 희생했던 적이 언제입니까?
오늘 성령의 열매가 필요한 당신의 영역은 무엇입니까?

성령님, 오늘 저를 새롭게 채워 주셔서 선을 행하는 사람이 되게 하소서.

Daily Article

10/19/2021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ISAIAH 56–58; 2 THESSALONIANS 2
Hymn: 329(old 267)

WHEN TO SACRIFICE

In February 2020, as the COVID-19 crisis was just beginning, a newspaper columnist’s concerns struck me. Would we willingly self-isolate, she wondered, changing our work, travel, and shopping habits so others wouldn’t get sick? “This isn’t just a test of clinical resources,” she wrote, “but of our willingness to put ourselves out for others.” Suddenly, the need for virtue was front-page news.

It can be hard to consider others’ needs while we’re anxious about our own. Thankfully, we’re not left with willpower alone to meet the need. We can ask the Holy Spirit to give us love to replace our indifference, joy to counter sadness, peace to replace our anxiety, forbearance (patience) to push out our impulsiveness, kindness to care about others, goodness to see to their needs, faithfulness to keep our promises, gentleness instead of harshness, and self-control to lift us beyond self-centeredness (GALATIANS 5:22–23). While we won’t be perfect at all of this, we’re called to seek the Spirit’s gifts of virtue regularly (EPHESIANS 5:18).

Author Richard Foster once described holiness as the ability to do what needs to be done when it needs to be done. And such holiness is needed every day, not just in a pandemic. Do we have the capacity to make sacrifices for the sake of others? Holy Spirit, fill us with the power to do what needs to be done. - SHERIDAN VOYSEY

Today's Reading

GALATIANS 5:22–26
But the fruit of the Spirit is love, joy, peace, forbearance, kindness, goodness, faithfulness, gentleness and self-control.
[ GALATIANS 5:22–23 ]

When have you made a sacrifice for the sake of others?
What needs around you call for the Holy Spirit’s fruit today?

Holy Spirit, fill me afresh today and make me a person of virtue.

오늘의 말씀

10/18/2021     월요일

성경읽기: 이사야 53-55; 데살로니가후서 1
찬송가: 353(통391)

말문을 열어야 할 때

미국의 한 흑인 여성은 30년간 큰 규모의 국제 사역 기구에서 신실하게 일했습니다. 그런데 그녀가 동료들과 인종차별에 관한 대화를 가지려고 하자 동료들이 입을 다물어 버렸습니다. 마침내 2020년 봄, 인종차별 문제가 세계적으로 공론화되자 동료들이 “말문을 열기 시작했습니다.” 그녀는 마음이 복잡하고 고통스러운 가운데서도, 토론이 시작된 것에 대해 감사했지만 동료들이 말문을 열기까지 왜 그리 오랜 시간이 걸렸는지 이해할 수 없었습니다.

경우에 따라서 침묵은 미덕이 될 수 있습니다. 솔로몬 왕은 전도서에 이렇게 기록했습니다. “범사에 기한이 있고 천하 만사가 다 때가 있나니... 잠잠할 때가 있고 말할 때가 있느니라”(전도서 3:1, 7).

그러나 심한 편견이나 불의 앞에서 침묵하는 것은 피해와 상처를 더할 뿐입니다. 자신의 발언 때문에 독일 나치에 의해 투옥된 루터교 목사 마르틴 니뮐러는 종전 후 쓴 시에서 이렇게 고백했습니다. “처음에 그들은 공산당원을 잡으러 왔다. 하지만 나는 공산당원이 아니었으므로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나중에 그들은 유대인과 천주교 신자를 잡으러 왔다. 하지만 나는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마침내 “그들은 나를 잡으러 왔다. 그때에는 나를 위해 말해줄 사람이 아무도 남아 있지 않았다.”

불의에 대항해서 소리 내어 말하려면 용기와 사랑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하나님의 도움을 구하면서 말을 해야 할 때가 바로 지금이라는 것을 깨닫습니다.

오늘의 성구

전도서 3:1-7
만사가 다 때가 있나니... 잠잠할 때가 있고 말할 때가 있으며
[전도서 3:1, 7]

인종차별 및 다른 형태의 불의를 다루는 토론에서 침묵하지 않는 것이 왜 중요합니까? 인종 문제의 폐해에 관한 대화를 꺼리게 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적의 손아귀에서 제 혀와 마음을 풀어 주소서.
인종차별의 폐해를 보고 느끼게 하셔서 그 죄로 상처받은 사람들을 위해 소리 내어 말할 수 있게 하소서.

Daily Article

10/18/2021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ISAIAH 53–55; 2 THESSALONIANS 1
Hymn: 353(old 391)

A TIME TO SPEAK

For thirty long years, the African American woman worked faithfully for a large global ministry. Yet when she sought to talk with co-workers about racial injustice, she was met with silence. Finally, however, in the spring of 2020—as open discussions about racism expanded around the world—her ministry friends “started having some open dialogue.” With mixed feelings and pain, she was grateful discussions began, but wondered why it took her colleagues so long to speak up.

Silence can be a virtue in some situations. As King Solomon wrote in the book of Ecclesiastes, “There is a time for everything, and a season for every activity under the heavens: . . . a time to be silent and a time to speak” (ECCLESIASTES 3:1, 7).

Silence in the face of bigotry and injustice, however, only enables harm and hurt. Lutheran pastor Martin Niemoeller (jailed in Nazi Germany for speaking out) confessed that in a poem he penned after the war. “First they came for the Communists,” he wrote, “but I didn’t speak up because I wasn’t a Communist.” He added, “Then they came for” the Jews, the Catholics, and others, “but I didn’t speak up.” Finally, “they came for me—and by that time there was no one left to speak up.”

It takes courage—and love—to speak up against injustice. Seeking God’s help, however, we recognize the time to speak is now. -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ECCLESIASTES 3:1–7
There is a time for everything . . . a time to be silent and a time to speak.
[ ECCLESIASTES 3:1, 7 ]

Why is it important not to be silent during discussions about racial injustice and other forms of injustice? What hinders your willingness to engage in dialogue about addressing racial harm?

Dear God, release my tongue and heart from the enemy’s grip.
Equip me to see and feel the harm of racial injustice so that I may speak up for those hurt by this sin.

오늘의 말씀

10/17/2021     주일

성경읽기: 이사야 50-52; 데살로니가전서 5
찬송가: 186(통176)

성령님이 주시는 통찰력

한 프랑스 병사가 군대 야영지의 방어 시설을 보강하기 위해 사막의 모래를 파던 중 생각지도 않게 아주 중대한 것을 발견했습니다. 삽으로 모래를 떠서 옮기다가 돌판 하나를 본 것입니다. 예사로운 돌판이 아니었습니다. 그것은 프톨레미 5세 때의 법과 통치에 관한 내용이 세 가지 언어로 새겨진 로제타석이었습니다. 현재 대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그 돌판은 상형문자로 알려진 고대 이집트 문자의 신비를 풀어줄 19세기의 가장 중요한 고고학적 발굴 중의 하나입니다.

우리 대다수에게 성경의 많은 부분도 심오한 신비에 싸여 있습니다. 예수님은 십자가에 달리시기 전날 밤 성령을 보내 주시겠다고 제자들에게 약속하시며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그러나 진리의 성령이 오시면 그가 너희를 모든 진리 가운데로 인도하시리니 그가 스스로 말하지 않고 오직 들은 것을 말하며 장래 일을 너희에게 알리시리라”(요한복음 16:13). 어떤 의미에서 성령님은 진리 위에, 성경의 신비로운 진리들에 빛을 비추어주는 하나님의 로제타석입니다.

우리는 성경말씀을 모두 완전히 이해하게 될 거라고 약속 받지는 못했 지만, 예수님을 따르는 데 필요한 모든 것을 성령님이 알게 해주신다는 것을 확신할 수 있습니다. 성령님이 우리를 그 핵심 진리들로 이끌어 주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6:12-15
진리의 성령이 오시면 그가 너희를 모든 진리 가운데로 인도하시리니
[요한복음 16:13]

성경의 어느 부분이 어렵다고 느껴집니까?
그 부분을 적어보고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인도해 달라고 성령님께 간구하십시오.

모든 진리의 하나님, 진리의 성령님께 의지하여 하나님이 주신 지혜의 말씀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0/17/2021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ISAIAH 50–52; 1 THESSALONIANS 5
Hymn: 186(old 176)

INSIGHT FROM THE SPIRIT

As the French soldier dug in the desert sand, reinforcing the defenses of his army’s encampment, he had no idea he would make a momentous discovery. Moving another shovelful of sand, he saw a stone. Not just any stone. It was the Rosetta Stone, containing laws and governance from King Ptolemy V written in three languages. That stone (now housed in the British Museum) would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archaeological finds of the nineteenth century, helping to unlock the mysteries of the ancient Egyptian writing known as hieroglyphics.

For many of us, much of Scripture is also wrapped in deep mystery. Still, the night before the cross, Jesus promised His followers that He would send the Holy Spirit. He told them, “But when he, the Spirit of truth, comes, he will guide you into all the truth. He will not speak on his own; he will speak only what he hears, and he will tell you what is yet to come” (JOHN 16:13). The Holy Spirit is, in a sense, our divine Rosetta Stone, shedding light on the truth—including truths behind the mysteries of the Bible.

While we’re not promised absolute understanding of everything given to us in the Scriptures, we can have confidence that by the Spirit we can comprehend everything necessary for us to follow Jesus. He will guide us into those vital truths. - BILL CROWDER

Today's Reading

JOHN 16:12–15
When he, the Spirit of truth, comes, he will guide you into all the truth.
[ JOHN 16:13 ]

What are some portions of the Bible you have found difficult?
List them and ask the Holy Spirit to guide you into better understanding of those Scriptures.

God of all truth, help me to rest in the Spirit of truth that I might better understand the wisdom You’ve provided.

오늘의 말씀

10/16/2021     토요일

성경읽기: 이사야 47-49; 데살로니가전서 4
찬송가: 462(통517)

잘 산다는 것

한국의 한 단체는 생존해 있는 사람들을 위한 장례식을 무료로 제공해주고 있습니다. 그 단체가 2012년에 출범한 이후, 십대부터 은퇴한 이들까지 총 이만 오천 명이 넘는 사람들이 “살아서 하는 장례식”에 참여하여 자신의 죽음을 진지하게 생각해 봄으로써 그들의 삶을 개선해 보려고 했습니다. 관계자들은 이렇게 말합니다. “가상 장례식은 참가자들에게 그들의 삶에 참 의미를 부여하고, 감사함을 갖게 하며, 가족이나 친구들과의 관계에서 용서와 회복을 촉진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 이야기는 전도서의 저자가 기록한 지혜의 말씀과 상통합니다. “살아 있는 사람은 누구나 죽는다는 것을 명심하여야 한다”(전도서 7:2, 새번역). 죽음은 우리에게 인생이 짧다는 것과, 잘 지내며 더 사랑하며 살기에도 시간은 한정되어 있음을 상기시켜 줍니다. 그리고 우리가 꼭 쥐고 있던 하나님이 주신 어떤 선물들, 곧 물질이나 관계, 즐거움 같은 것들에 집착하지 않고 지금 이 땅에서 자유롭게 그것들을 즐기면서 “좀이나 동록이 해하지 못하며 도둑이 구멍을 뚫지도 못하고 도둑질도 못하는 하늘에 보물을”(마태복음 6:20) 쌓아가게 해줍니다.

죽음이 불시에 닥칠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하면, 부모님 방문이나 하나님 섬길 기회를 미루거나 일에 바쁘다는 핑계로 아이들과 시간을 보내지 못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도움으로 지혜롭게 사는 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전도서 7:1-4
살아 있는 사람은 누구나 죽는다는 것을 명심하여야 한다.
[전도서 7:2, 새번역]

죽음을 묵상함으로 오늘의 삶이 어떻게 달라질 수 있을까요?
부산한 삶 가운데 어떻게 죽음을 더 의식하며 살 수 있을까요?

사랑의 하나님, 인생의 짧음을 기억하며 오늘을 잘 보낼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0/16/2021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ISAIAH 47–49; 1 THESSALONIANS 4
Hymn: 462(old 517)

LIVING WELL

Free funerals for the living. That’s the service offered by an establishment in South Korea. Since it opened in 2012, more than 25,000 people—from teenagers to retirees—have participated in mass “living funeral” services, hoping to improve their lives by considering their deaths. Officials say “the simulated death ceremonies are meant to give the participant a truthful sense of their lives, inspire gratitude, and aid in forgiveness and reconnection among family and friends.”

These words echo the wisdom given by the teacher who wrote Ecclesiastes. “Death is the destiny of everyone; the living should take this to heart” (ECCLESIASTES 7:2). Death reminds us of the brevity of life and that we only have a certain amount of time to live and love well. It loosens our grip on some of God’s good gifts—such as money, relationships, and pleasure—and frees us to enjoy them in the here and now as we store up “treasures in heaven, where moths and vermin do not destroy, and where thieves do not break in and steal” (MATTHEW 6:20).

As we remember that death may come knocking anytime, perhaps it’ll compel us to not postpone that visit with our parents, delay our decision to serve God in a particular way, or compromise our time with our children for our work. With God’s help, we can learn to live wisely. - POH FANG CHIA

Today's Reading

ECCLESIASTES 7:1–4
Death is the destiny of everyone; the living should take this to heart.
[ ECCLESIASTES 7:2 ]

What changes will you make in your life today as you think about death?
How can you be more conscious about death amid the hustle and bustle of life?

Loving God, help me to remember the brevity of life and to live well today.

오늘의 말씀

10/15/2021     금요일

성경읽기: 이사야 45-46; 데살로니가전서 3
찬송가: 331(통375)

우리를 위한 하나님의 계획

지난 6년 동안 아그네스는 목사 사모인 존경하는 시어머니를 본받아 자기도 “완벽한 목사 사모”가 되고자 노력했습니다. 그녀는 사모 역할을 하면서는 작가와 화가의 일을 병행할 수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이렇게 자신의 창의성을 억누름으로써 우울증을 앓게 되고 자살을 생각할 지경에까지 이르렀습니다. 그러다가 가까운 곳의 한 목사의 도움으로 그 어둠에서 빠져나올 수 있었습니다. 그 목사는 그녀와 함께 기도하면서 매일 아침 두 시간씩 글을 쓰게 하였습니다. 이 일을 통해 그녀는 자기가 “숨겨진 소명” 이라고 이름한, 그녀에게 주어진 하나님의 부르심에 눈을 뜨게 되었습니다. 그녀는 “내가 진정한 나 자신, 완전한 나 자신이 되기 위해 하나님이 내게 주신 창의력이 하나 하나 그 통로들을 찾아 제대로 흘러야 했다.”고 썼습니다.

그녀는 나중에 다윗의 한 시에서 본인의 소명을 찾게 되었다고 말했습니다. “여호와를 기뻐하라 그가 네 마음의 소원을 네게 이루어 주시리로다”(시편
37:4). 하나님의 인도하심과 주관하심을 믿고 자신의 삶을 하나님께 맡겼을 때(5절) 하나님은 그녀에게 글을 쓰고 그림을 그리는 것뿐 아니라, 사람들이 하나님과 더 잘 교통하도록 도와줄 수 있는 길을 열어 주셨습니다.

우리 각자에게는 하나님께서 주신 “숨겨진 소명”이 있습니다. 그것을 통해 우리는 그분의 사랑받는 자녀라는 사실뿐 아니라, 주신 재능과 열정으로 하나님을 섬길 수 있는 우리 나름의 고유한 방법을 알게 됩니다. 우리가 하나님을 의지하며 기뻐할 때 하나님께서 우리를 인도해 주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37:3-7
여호와를 기뻐하라 그가 네 마음의 소원을 네게 이루어 주시리로다
[시편 37:4]

당신도 아그네스처럼 자신이 아닌 다른 사람의 인생을 살고 있지는 않습니까? 하나님이 당신에게 허락하신 “숨겨진 소명”은 무엇입니까?

저를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으신 창조주 하나님. 저의 소명을 알고 그것을 귀히 여기며 하나님을 더 사랑하고 섬기게 하소서.

Daily Article

10/15/2021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ISAIAH 45–46; 1 THESSALONIANS 3
Hymn: 331(old 375)

GOD’S PLANS FOR YOU

For six years, Agnes tried to make herself the “perfect minister’s wife,” modeling herself after her adored mother-in-law (also a pastor’s wife). She thought that in this role she couldn’t also be a writer and painter, but in burying her creativity she became depressed and contemplated suicide. Only the help of a neighboring pastor moved her out of the darkness as he prayed with her and assigned her two hours of writing each morning. This awakened her to what she called her “sealed orders”—the calling God had given her. She wrote, “For me to be really myself—my complete self—every . . . flow of creativity that God had given me had to find its channel.”

Later, she pointed to one of David’s songs that expressed how she found her calling: “Take delight in the Lord, and he will give you the desires of your heart” (PSALM 37:4). As she committed her way to God, trusting Him to lead and guide her (V. 5), He made a way for her not only to write and paint but to help others to better communicate with Him.

God has a set of “sealed orders” for each of us, not only that we’ll know we’re His beloved children but understand the unique ways we can serve Him through our gifts and passions. He’ll lead us as we trust and delight in Him. -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PSALM 37:3–7
Take delight in the Lord, and he will give you the desires of your heart.
[ PSALM 37:4 ]

How does Agnes’ story of living someone else’s life resonate with you? What has God put in your “sealed orders”?

Creator God, You’ve made me in Your image. Help me to know and embrace my calling that I might better love and serve You.

오늘의 말씀

10/14/2021     목요일

성경읽기: 이사야 43-44; 데살로니가전서 2
찬송가: 283(통183)

인생 초보자를 위한 가이드

어머니가 갑자기 돌아가신 후 블로그를 시작하고 싶어졌습니다. 사람들이 이 땅에서의 짧은 시간들로 삶의 의미 있는 순간들을 만들 수 있도록 영감을 주는 게시물을 만들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나는 블로그 만들기 초보자 가이드를 보고 어떤 플랫폼을 사용하는지, 제목을 어떻게 정하는지, 그리고 흥미로운 게시물을 어떻게 만드는지를 배웠습니다. 그리고 2016년, 나의 첫 블로그가 탄생했습니다.

바울은 어떻게 영생을 얻는지를 설명하는 “초보자 가이드”를 썼습니다. 로마서 6:16-18에서 그는 우리 모두 태어날 때부터 하나님과 원수(죄인)였다는
사실과 예수님이 우리를 “[우리의] 죄로부터 해방”(18절) 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대조시킵니다. 그러고는 죄의 종이 되는 것과 하나님의 종이 되어 그의 생명의 법 아래 사는 것의 차이를 설명하고(19-20절), 계속해서 “죄의 삯은 사망이요 하나님의 은사는 영생”(23절)이라고 말합니다. 죽음은 하나님과 영원히 분리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것은 우리가 그리스도를 거부할 때 당면하게 되는 무서운 결과입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예수님 안에서 우리에게 새 생명을 선물로 주셨습니다. 그것은 이 세상에서 시작하여 천국에서 하나님과 함께 영원히 사는 삶입니다.

바울의 영생에 대한 초보자 가이드는 우리에게 두 가지 선택, 곧 죽음에 이르는 죄와 영생에 이르는 예수님의 선물 사이의 선택이 있다고 말합니다. 우리 모두 예수님의 생명의 선물을 받기를 소망합니다. 그리고 그리스도를 이미 영접했다면, 이 선물을 오늘 다른 사람들에게 전해줄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로마서 6:16-23
죄의 삯은 사망이요 하나님의 은사는 그리스도 예수 우리 주 안에 있는 영생이니라
[로마서 6:23]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영생의 선물을 값없이 받는다는 것의 의미를 어떻게 설명하시겠습니까? 죄의 종이 되는 것과 하나님의 종이 되어 그의 생명의 법 아래 사는 것의 차이가 무엇입니까?

예수님, 저를 사랑하고 용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주님은 제가 지불할 수 없는 빚을 갚아주셨고 제가 살 수 없는 선물을 주셨습니다.

Daily Article

10/14/2021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ISAIAH 43–44; 1 THESSALONIANS 2
Hymn: 283(old 183)

A BEGINNER’S GUIDE TO LIFE

After my mother’s sudden death, I was motivated to start blogging. I wanted to write posts that would inspire people to use their minutes on earth to create significant life moments. So I turned to a beginner’s guide to blogging. I learned what platform to use, how to choose titles, and how to craft compelling posts. And in 2016, my first blog post was born.

Paul wrote a “beginner’s guide” that explains how to obtain eternal life. In Romans 6:16–18, he contrasts the fact that we’re all born in rebellion to God (sinners) with the truth that Jesus can help us be “set free from [our] sin” (V. 18). Paul then describes the difference between being a slave to sin and a slave to God and His lifegiving ways (VV. 19–20). He continues by stating that “the wages of sin is death, but the gift of God is eternal life” (V. 23). Death means being separated from God forever. This is the devastating outcome we face when we reject Christ. But God has offered us a gift in Jesus—new life. It’s the kind of life that begins on earth and continues forever in heaven with Him.

Paul’s beginner’s guide to eternal life leaves us with two choices—choosing sin, which leads to death, or choosing Jesus’ gift, which leads to eternal life. May you receive His gift of life, and if you’ve already accepted Christ, may you share this gift with others today! - MARVIN WILLIAMS

Today's Reading

ROMANS 6:16–23
The wages of sin is death, but the gift of God is eternal life in Christ Jesus our Lord.
[ ROMANS 6:23 ]

How would you describe what it means to receive the free gift of eternal life through Jesus Christ?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being a slave to sin and a slave to God and His life-giving ways?

Jesus, thank You for loving me and forgiving me. You paid a debt I couldn’t pay and gave me a gift I couldn’t buy.

오늘의 말씀

10/13/2021     수요일

성경읽기: 이사야 41-42; 데살로니가전서 1
찬송가: 203(통198)

영원히 지속되는 말씀

19세기 초 토마스 칼라일은 철학자 존 스튜어트 밀에게 자기 원고를 주며 검토해 달라고 부탁했습니다. 그러나 사고인지 고의인지는 모르지만, 그의 원고가 불 속에 던져졌습니다. 그것은 칼라일의 유일한 사본이었습니다. 그러나 그는 당황하지 않고 소실된 장들을 다시 쓰기 시작했습니다. 한낱 난로의 불이 그의 머리속에 생생하게 남아 있던 그 이야기를 멈추게 할 수는 없었습니다. 커다란 손실을 거치면서 칼라일은 그의 기념비적인 작품 ‘프랑스 혁명’을 완성했습니다.

타락한 고대 유다 왕국이 쇠약해가던 시대에 하나님은 예레미야 선지자에게 “너는 두루마리 책을 가져다... 내가 네게 일러준 모든 말을 거기에 기록하라”(예레미야 36:2)고 말씀하셨습니다. 하나님은 임박한 침략을 피하기 위해 그의 백성들에게 회개할 것을 촉구하는 사랑의 마음에서 이 말씀을 하셨습니다(3절).

예레미야는 말씀에 순종했습니다. 두루마리는 곧 유다의 여호야김 왕에게 전해졌지만, 왕은 그것을 조각조각 베어 불에 던졌습니다(23-25절). 왕의 불태운 행위는 상황을 더욱 악화시켰습니다. 하나님은 예레미야에게 같은 말씀을 다른 두루마리에 기록하라고 하시며, “[여호야김에게] 다윗의 왕위에 앉을 자가 없게 될 것이요 그의 시체는 버림을 당하여 낮에는 더위, 밤에는 추위를 당하리라”(30절)고 말씀하셨습니다.

하나님의 말씀이 기록된 책을 불 속에 던져 태울 수는 있습니다. 그것이 가능은 하지만, 전적으로 ‘무모한’ 일입니다. 글자 뒤에 있는 하나님의 말씀은
영원히 지속되기 때문입니다.

오늘의 성구

예레미야 36:27-32
여호와께로부터 예레미야에게 말씀이 임하니라
[예레미야 36:1]

당신이나 당신이 아는 사람들이 하나님의 말씀을 무시하게 된 이유가 무엇입니까? 하나님의 지시에 순복하고 따르는 것이 왜 중요합니까?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의 말씀을 듣기는 어려워도 마음에 새길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반항이 아닌 회개의 마음을 주소서.

Daily Article

10/13/2021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ISAIAH 41–42; 1 THESSALONIANS 1
Hymn: 203(old 198)

WORDS THAT ENDURE

In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Thomas Carlyle gave a manuscript to philosopher John Stuart Mill to review. Somehow, whether accidentally or intentionally, the manuscript got tossed into a fire. It was Carlyle’s only copy. Undaunted, he set to work rewriting the lost chapters. Mere flames couldn’t stop the story, which remained intact in his mind. Out of great loss, Carlyle produced his monumental work The French Revolution.

In the waning days of ancient Judah’s decadent kingdom, God told the prophet Jeremiah, “Take a scroll and write on it all the words I have spoken to you” (JEREMIAH 36:2). The message revealed God’s tender heart, calling on His people to repent in order to avoid imminent invasion (V. 3).

Jeremiah did as he was told. The scroll soon found its way to Judah’s king, Jehoiakim, who methodically shredded it and threw it into the fire (VV. 23–25). The king’s act of arson only made matters worse. God told Jeremiah to write another scroll with the same message. He said, “[Jehoiakim] will have no one to sit on the throne of David; his body will be thrown out and exposed to the heat by day and the frost by night” (V. 30).

It’s possible to burn the words of God by tossing a book into a fire. Possible, but utterly futile. The Word behind the words endures forever.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JEREMIAH 36:27–32
This word came to Jeremiah from the Lord.
[ JEREMIAH 36:1 ]

What has caused you or those you know to ignore the words of God? Why is it vital for you to submit to and obediently follow what He’s instructed?

Father, help me to take Your words to heart, even if they’re difficult to hear. Please give me a heart of repentance—not defiance.

오늘의 말씀

10/12/2021     화요일

성경읽기: 이사야 39-40; 골로새서 4
찬송가: 453(통506)

가장 위대한 스승

“모르겠어요.” 딸이 책상에 연필을 탁탁 내리쳤습니다. 딸은 수학 숙제를 하고 있었고, 나는 홈스쿨 엄마이자 선생으로서의 역할을 막 시작했는데 문제가 생긴 것입니다. 소수점 이하를 분수로 바꾸는 것을 35년 전에 배웠는데 기억이 나질 않았습니다. 내가 모르는 것을 가르칠 수는 없어서 우리는 온라인에서 선생님이 설명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인간인 우리는 잘 알지 못하거나 이해하지 못하는 것들로 힘들어할 때가 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아닙니다. 하나님은 모든 것을 다 아시는 분입니다. 이사야는 이렇게 썼습니다. “누가 그의 모사가 되어 그를 가르쳤으랴 그가 누구와 더불어 의논하셨으며 누가 그를 교훈하였으며 그에게 정의의 길로 가르쳤으며 지식을 가르쳤으며 통달의 도를 보여주었느냐”(이사야 40:13-14). 그에 대한 답은 ‘아무도 없다!’입니다.

하나님은 그분의 형상을 따라 인간을 창조하셨기에 우리에게는 지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의 지성은 하나님의 지성의 희미한 징후 같은 것에 지나지 않습니다. 우리의 지식에는 한계가 있지만 하나님은 영원한 과거부터 영원한 미래까지의 모든 것을 아십니다(시편 147:5). 오늘날 기술의 발달로 우리의 지식은 늘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것들을 잘못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어느 신학자의 표현대로 예수님은 모든 것을 “즉시, 동시에, 빠짐없이, 사실대로” 아십니다.

인간이 지식에 있어 아무리 진전이 있더라도, 모든 것을 아시는 그리스도를 절대로 넘어서지 못할 것입니다. 우리에게는 우리의 이해를 도와주시고 무엇이 선하고 진실한지 가르쳐 주시는 주님이 항상 필요합니다.

오늘의 성구

아사야 40:12-14
누가 [주에게] 지식을 가르쳤으며
[이사야 40:14]

어떤 상황에 있을 때 하나님의 전지하심에 감사하게 됩니까?
예수님이 모든 것을 이해하신다는 것을 알 때 어떻게 힘이 됩니까?

예수님, 모든 것을 아시는 주님을 찬양합니다. 제가 무엇을 배우기를 원하시는지 가르쳐 주시고, 온 맘 다해 주님을 사랑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0/12/2021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ISAIAH 39–40; COLOSSIANS 4
Hymn: 453(old 506)

THE GREATEST TEACHER

“I don’t get it!” My daughter slapped her pencil down on the desk. She was working on a math assignment, and I’d just begun my “job” as a homeschooling mom/teacher. We were in trouble. I couldn’t recall what I’d learned thirty-five years ago about changing decimals into fractions. I couldn’t teach her something I didn’t already know, so we watched an online teacher explain the skill.

As human beings, we’ll struggle at times with things we don’t know or understand. But not God; He’s the all-knowing One—the omniscient One. Isaiah wrote, “Who can . . . instruct the Lord as his counselor? Whom did the Lord consult to enlighten him, and who taught him the right way? Who was it that taught him knowledge, or showed him the path of understanding?” (ISAIAH 40:13–14). The answer? No one!

Humans have intelligence because God created us in His own image. Still, our intelligence is just an inkling of His. Our knowledge is limited, but God knows everything from eternity past to eternity future (PSALM 147:5). Our knowledge is increasing today with the aid of technology, but we still get things wrong. Jesus, however, knows all things “immediately, simultaneously, exhaustively and truly,” as one theologian put it.

No matter how much humans advance in knowledge, we’ll never surpass Christ’s all-knowing status. We’ll always need Him to bless our understanding and to teach us what’s good and true. - JENNIFER BENSON SCHULDT

Today's Reading

ISAIAH 40:12–14
Who was it that taught [the Lord] knowledge?
[ ISAIAH 40:14 ]

In what types of situations are you thankful for God’s omniscience?
How does knowing that Jesus understands everything encourage you?

Jesus, I praise You as the One who knows everything. Teach me what You want me to learn, and help me to love You with all my mind.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