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7/19/2021     월요일

성경읽기: 시편 23-25; 사도행전 21:18-40
찬송가: 352(통390)

단호한 거절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나치가 프란츠 예거슈테터를 징집했을 때 그는 기본 군사훈련은 마쳤지만 아돌프 히틀러에 대한 개인적인 충성 서약을 거부했습니다. 당국은 프란츠를 그의 농장으로 돌려보냈다가, 나중에 그를 다시 현역으로 소환했습니다. 하지만 예거슈테터는 나치의 이념을 가까이서 보고 유대인 학살에 대해 알게 된 후 하나님께 헌신한 사람으로서 절대 나치를 위해 싸울 수 없다고 결심했습니다. 결국 그는 체포되어 아내와 세 딸을 남겨둔 채 사형 선고를 받았습니다.

오랜 세월 동안 예수님을 믿는 많은 이들은 죽음의 위험 속에서도 하나님을 거역하라는 명령을 단호히 거절해 왔습니다. 다니엘의 이야기가 그 중의 하나입니다. 왕의 금령이 “누구든지 왕 외의 어떤 신에게나 사람에게 구하면” (다니엘 6:12) 사자 굴에 던져질 것이라고 위협했을 때 다니엘은 안위를
뒤로하고 믿음을 지켰습니다. “그는 늘 하듯이, 하루에 세 번씩 그의 하나님께 무릎을 꿇고 기도하며 감사를 드렸습니다” (10절, 새번역) . 다니엘 선지자는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유일하신 하나님께만 무릎을 꿇으려 했습니다.

때때로 우리는 분명한 선택을 합니다. 주변 사람들이 다수의 의견을 따르라고 간청할 때에도, 우리의 평판이나 안위가 위태로워져도 우리는 하나님께 순종하는 데에서 절대 돌아서지 않을 수 있습니다. 때로는 큰 대가를 치르더라도 우리는 단호한 거절을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다니엘 6:10-23
다니엘이......하루 세 번씩 기도하나이다 [다니엘 6:13]

하나님, 하나님께 순종하기 위해 때로는 다른 사람들의 기대나 요구를 거절해야 한다는 것을 압니다. 그 일로 큰 대가를 치를지도 모릅니다. 저에게 용기를 주소서.

하나님께 순종하기 위해 단호한 거절이 요구된다는 것을 어디서 느낍니까? 그 거절 때문에 치러야 할 대가는 무엇입니까? 그리고 그 일로 얻게 되는 것은 무엇입니까?

Daily Article

07/19/2021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23–25; ACTS 21:18–40
Hymn: 352(OLD390)

FIRM REFUSAL

When the Nazis drafted Franz Jägerstätter during World War II, he completed military basic training but refused to take the required pledge of personal loyalty to Adolf Hitler. Authorities allowed Franz to return to his farm, but they later summoned him to active duty. After seeing Nazi ideology up close and learning of the Jewish genocide, however, Jägerstätter decided his loyalty to God meant he could never fight for the Nazis. He was arrested and sentenced to execution, leaving behind his wife and three daughters.

Over the years, many believers in Jesus—under peril of death—have offered a firm refusal when commanded to disobey God. The story of Daniel is one such story. When a royal edict threatened that anyone “who pray[ed] to any god or human being except [the king]” (DANIEL 6:12) would be thrown into the lions’ den, Daniel discarded safety and remained faithful. “Three times a day he got down on his knees and prayed, giving thanks to his God, just as he had done before” (V. 10) . The prophet would bend his knee to God—and only God—no matter the cost.

Sometimes, our choice is clear. Though everyone around us implores us to go along with prevailing opinion—though our own reputation or well-being may be at risk—may we never turn from our obedience to God. Sometimes, even at great cost, all we can offer is a firm refusal.

WINN COLLIER

Today's Reading

DANIEL 6:10–23
Daniel . . . still pray[ed] three times a day. [ DANIEL 6:13 ]

God, I know my loyalty to You will at times mean saying no to others’ expectations or demands. It may cost me dearly. Give me courage.

Where are you sensing that obedience to God will require your firm refusal? What might this refusal cost you? What will you gain?

오늘의 말씀

07/18/2021     주일

성경읽기: 시편 20-22; 사도행전 21:1-17
찬송가: 264(통198)

하나님의 회복 방법

뮤지컬 ‘가장 위대한 쇼맨’에 나오는 가장 감동적인 노래 중 하나는 “이제부터”라는 곡입니다. 주인공이 가족과 친구들에게 상처를 주었음을 고통스럽게 깨닫고 부르는 이 노래는 집으로 돌아온 것에 대한 기쁨과 우리가 이미 가진 것이 너무 많다는 것을 깨달은 기쁨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호세아서의 결론도 하나님께 돌아오는 이들에게 허락하시는 회복에 대한 기막힌 기쁨과 감사로 그 뮤지컬의 노래와 비슷한 색조를 띱니다. 이 책의 대부분은 하나님과 그의 백성들의 관계를 정절을 지키지 못한 배우자와의 관계로 비교하면서, 하나님을 사랑하지 못하고 하나님을 위해 살지 못했던 이스라엘 민족을 비통해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14장에서 호세아는 하나님을 저버리고 슬픔에 빠진 자들이 그분께 돌아올 때 (1-3절) 그들에게 값없이 주어지는 하나님의 한없는 사랑과 은혜와 회복의 약속을 강조합니다. 하나님은 “내가 그들의 반역을 고치고 기쁘게 그들을 사랑하리라” (4절) 고 약속하십니다. 새벽이슬 같은 하나님의 은혜로 그의 백성들이 “백합화같이 피고” “곡식같이 풍성하게” 될 때, 회복 못할 정도로 망가진 것들이 다시 온전해지고 풍요로워질 것입니다 (5-7절).

우리가 살면서 다른 사람들에게 상처를 줬거나 하나님의 선하심을 당연한 것으로 여겼을 때, 우리가 받은 선한 선물들이 영원히 훼손되었다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겸손히 하나님께로 돌이킬 때 하나님의 사랑이 언제나 다가와 품어주고 회복시켜 주는 것을 알게 됩니다.

오늘의 성구

호세아 14
그 그늘 아래에 거주하는 자가 돌아올지라 그들은 곡식 같이 풍성할 것이며 포도나무 같이 꽃이 필 것이며 [호세아 14:7]

생명의 창조주이신 사랑의 하나님, 좋을 때 뿐 아니라 언제든 하나님의 선하심을 신뢰할 수 있도록 가르쳐주소서.

가능하지 않을 것 같은 회복을 경험하거나 목격한 적이 있습니까? 삶의 어떤 영역에서 치유와 회복의 하나님의 약속을 확신할 필요가 있을까요?

Daily Article

07/18/2021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20–22; ACTS 21:1–17
Hymn: 264(OLD198)

GOD’S RESTORING WAYS

One of the most moving songs in the musical The Greatest Showman is “From Now On.” Sung after the main character comes to some painful self-realizations about the ways he’s wounded family and friends, the song celebrates the joy of coming back home and finding that what we already have is more than enough.

The book of Hosea concludes with a similar tone—one of breathless joy and gratitude at the restoration God makes possible for those who return to Him. Much of the book, which compares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is people to a relationship with an unfaithful spouse, grieves Israel’s failures to love Him and live for Him.

But in chapter 14, Hosea lifts up the promise of God’s boundless love, grace, and restoration—freely available to those who return to Him heartbroken over the ways they’ve abandoned Him (VV. 1–3). “I will heal their waywardness,” God promises, “and love them freely” (V. 4). And what had seemed broken beyond repair will once more find wholeness and abundance, as God’s grace, like dew, causes His people to “blossom like a lily” and “flourish like the grain” (VV. 5–7).

When we’ve hurt others or taken for granted God’s goodness in our life, it’s easy to assume we’ve forever marred the good gifts we’ve been given. But when we humbly turn to Him, we find His love is always reaching to embrace and restore.

MONICA LA ROSE

Today's Reading

HOSEA 14
People will dwell again in his shade; they will flourish like the grain, they will blossom like the vine. [ HOSEA 14:7 ]

Loving God and Creator of Life, teach me to trust in Your goodness—not just when I’m good, but all the time.

When have you experienced or witnessed restoration beyond what seemed possible? In what areas of your life do you need reassurance of God’s promise to heal and restore?

오늘의 말씀

07/17/2021     토요일

성경읽기: 시편 18-19; 사도행전 20:17-38
찬송가: 195(통175)

편견과 용서

불공정을 바로잡자는 설교를 들은 한 교인이 눈물을 흘리며 목사에게 다가와 자신의 편견 때문에 흑인 목사 청빙에 찬성하지 않았던 사실을 고백하며 용서를 구했습니다. “부디 저를 용서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이 쓰레기 같은 편견과 인종 차별이 제 아이들의 삶에 전해지는 것을 원하지 않습니다. 목사님의 청빙을 반대했었는데, 제가 잘못했습니다.” 그의 눈물과 고백은 목사의 눈물과 용서로 이어졌습니다. 일주일 후 하나님이 그 교인의 마음에 어떻게 역사하셨는지 간증을 듣고 전 교인이 무척 기뻐했습니다.

예수님의 제자이자 초대 교회의 최고 지도자였던 베드로 역시 이방인에 관한 그의 잘못된 관념을 바로잡아야 했습니다. 당시에 이방인(부정하다고 여겨졌던 부류)과 함께 먹고 마시는 것은 사회적, 종교적 규범을 위반하는 것이었습니다. 베드로는 말했습니다. “유대 사람으로서 이방 사람과 사귀거나
가까이하는 일이 불법이라는 것을 여러분도 아십니다” (사도행전 10:28, 현대인의 성경) . 그러면서도 바로 하나님의 초자연적인 활동을 생각하면 (9-23절) 자신은 “아무도 속되다 하거나 깨끗하지 않다 하지 않겠다” (28절) 고 확신하며 말할 수 있었습니다.

하나님은 다른 사람들에 대한 우리의 잘못된 시각을 고치시려고 말씀의 선포나 성령께서 주시는 확신, 그리고 인생의 경험들을 통해 우리 마음속에 끊임없이 역사하십니다. 그래서 “하나님은 사람의 외모를 보지 아니하신다” (34 절) 는 것을 깨닫도록 도와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사도행전 10:23-28
내가 참으로 하나님은 사람의 외모를 보지 아니하......시는 줄 깨달았도다 [사도행전 10:34]

사랑하는 하나님, 제 마음을 감찰하시고 어떤 부분이 변화되어야 할지 보여주소서.

하나님은 사람의 외모를 보지 아니하신다는 것을 깨닫게 하시려고 당신의 어떤 경험이나 당신이 만난 어떤 사람들을 사용하셨습니까? 당신의 삶에서 모든 사람을 받아들이시는 그분으로부터 당신을 가리고 있는 것은 무엇입니까?

Daily Article

07/17/2021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8–19; ACTS 20:17–38
Hymn: 195(OLD175)

PREJUDICE AND FORGIVENESS

After hearing a message about correcting injustice, a church member approached the pastor weeping, asking for forgiveness and confessing that he hadn’t voted in favor of calling the black minister to be pastor of their church because of his own prejudice. “I really need you to forgive me. I don’t want the junk of prejudice and racism spilling over into my kids’ lives. I didn’t vote for you, and I was wrong.” His tears and confession were met with the tears and forgiveness of the minister. A week later, the entire church rejoiced upon hearing the man’s testimony of how God had worked in his heart.

Even Peter, a disciple of Jesus and a chief leader in the early church, had to be corrected because of his ill-conceived notions about non-Jewish people. Eating and drinking with gentiles (who were considered unclean), was a violation of social and religious protocol. Peter said, “You are well aware that it is against our law for a Jew to associate with or visit a Gentile” (ACTS 10:28) . It took nothing less than the supernatural activity of God (VV. 9–23) to convince him that he “should not call anyone impure or unclean” (V. 28) .

Through the preaching of Scripture, the conviction of the Spirit, and life experiences, God continues to work in human hearts to correct our misguided perspectives about others. He helps us to see that “God does not show favoritism” (V. 34).

ARTHUR JACKSON

Today's Reading

ACTS 10:23–28
I now realize how true it is that God does not show favoritism. [ ACTS 10:34 ]

Dear God, search my heart and show me where I need to change.

What experiences or people has God used to help you see that He doesn’t show favoritism? What are the things in your life that may have blinded you to His acceptance of all people?

오늘의 말씀

06/14/2021     월요일

성경읽기: 에스라 9-10; 사도행전 1
찬송가: 542(통340)

하나님의 권능

레베카와 러셀의 주치의들은 그들이 아이를 가질 수 없을 것이라고 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다른 계획을 갖고 계셨고, 레베카는 10년 뒤에 임신을 했습니다. 임신 기간이 순조롭게 지나고 진통이 시작되자 부부는 흥분된 마음으로 급히 병원으로 갔습니다. 진통이 길어지고 점점 심해졌지만 레베카의 몸은 아직 분만 준비가 되지 않았습니다. 마침내 의사는 응급 제왕절개 수술이 필요하다고 판단했습니다. 두려움 가운데 레베카가 아기와 자신에 대한 걱정으로 흐느끼자, 의사는 침착하게 “저도 최선을 다하겠지만 하나님은 그 이상을 하실 수 있으니 우리 하나님께 함께 기도해요.” 하며 그녀를 안심시켰습니다. 의사는 레베카와 함께 기도했고, 15 분 뒤 건강한 남자 아기 브루스가 태어났습니다.

그 의사는 하나님과 그분의 능력에 힘입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그녀는 수술을 할 수 있는 훈련을 받았고 기술도 있었지만, 그럼에도 자기의 손을 이끌어 줄 하나님의 지혜와 힘과 도움이 필요했습니다(시편 121:1-2).

고도로 숙련된 사람들이든 그렇지 않은 사람이든, 하나님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정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으면 힘이 납니다. 사실 우리 모두는 하나님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그분은 하나님이시지만 우리는 아닙니다. 오직 하나님만이 “우리가 구하거나 생각하는 모든 것에 더 넘치도록 능히 하실 이”(에베소서 3:20)십니다. 주님은 우리보다 “훨씬 더 많은 것을 하실 수 있는 분이기에” 겸손한 마음으로 주님께 배우고 기도로 맡겨드리도록 합시다.

오늘의 성구

시편 121
나의 도움은 천지를 지으신 여호와에게서로다
[시편 121:2]

당신에게 하나님과 그분의 권능이 필요하다는 것을 어떻게 알게 되었습니까?
하나님께 의지하는 모습이 매일의 삶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습니까?

하나님, 저의 판단, 재능, 일과 인간관계를 포함한 삶의 모든 부분에서 당신과 당신의 지혜와 권능이 필요합니다.

Daily Article

06/14/2021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EZRA 9–10; ACTS 1
Hymn: 542(old340)

THE POWER OF GOD

Rebecca and Russell’s doctors told them they couldn’t have children. But God had other ideas—and ten years later Rebecca conceived. The pregnancy was a healthy one; and when the contractions started, the couple excitedly rushed to the hospital. Yet the hours of labor grew long and more intense, and Rebecca’s body still wasn’t progressing enough for delivery. Finally, the doctor decided she needed to perform an emergency C-section. Fearful, Rebecca sobbed for her baby and herself. The doctor calmly assured her, saying, “I will do my best, but we’re going to pray to God because He can do more.” She prayed with Rebecca, and fifteen minutes later, Bruce, a healthy baby boy, was born.

That doctor understood her dependence on God and His power. She recognized that although she had the training and skill to do the surgery, she still needed God’s wisdom, strength, and help to guide her hands (PSALM 121:1–2).

It’s encouraging to hear about highly skilled people, or of anyone, who recognize they need Him—because, honestly, we all do. He’s God; we’re not. He alone “is able to do immeasurably more than all we ask or imagine” (EPHESIANS 3:20). Let’s have a humble heart to learn from Him and to trust Him in prayer “because He can do more” than we ever could.- ANNE CETAS

Today's Reading

PSALM 121
My help comes from the Lord, the Maker of heaven and earth.
[ PSALM 121:2 ]

How have you gained an understanding of your own need for God and His power?
How is this dependence seen in your daily life?

I need You and Your wisdom and power, God, for decisions, skill, work, relationships—all of my life.

오늘의 말씀

06/13/2021     주일

성경읽기: 에스라 6-8; 요한복음 21
찬송가: 565(통300)

하나님의 나라

어머니는 일생 동안 많은 일에 헌신하셨는데 그중에서도 어린아이들에게 예수님을 전하려는 열정은 한결같았습니다. 어머니가 공개적으로 반대 의견을 표하는 것을 몇 번 본 적이 있는데, 그것은 모두 누군가가 그들이 생각하기에 더 “중요한” 사역을 내세우며 어린이 사역 예산을 삭감하려 했을 때였습니다. 어머니는 “너의 형을 임신했던 여름에 내가 쉬었던 것이 전부야.”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대략 헤아려 보니 어머니는 55년 동안을 교회에서 아이들과 함께 일하셨습니다.

마가복음 10장에는 흔히 “어린아이들과 예수님”이라는 제목으로 친근한 복음서 이야기 중 하나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사람들은 아이들을 축복해달라고 예수님께 데려왔지만, 제자들은 그것을 막으려고 했습니다. 마가는 그때 예수님이 “노하시어......어린 아이들이 내게 오는 것을 용납하고 금하지 말라 하나님의 나라가 이런 자의 것이니라”(14절)라고 자신의 제자들을 꾸짖으셨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찰스 디킨스는 이렇게 썼습니다. “나는 이 작은 아이들을 사랑합니다. 하나님으로부터 갓 나온 그들이 우리를 사랑한다는 것은 작은 일이 아닙니다.” 어른인 우리가 어린아이들이 늘 새로운 예수님의 사랑으로부터 절대 차단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작은 일이 아닙니다.

오늘의 성구

마가복음 10:13-16
하나님의 나라가 이런 자의 것이니라
[마가복음 10:14]

어렸을 때 예수님을 소개받았다면 기억 속의 그 어른은 누구였습니까?
오늘 말씀에서 제자들에게 분노하신 예수님은 어떤 분이라는 인상을 줍니까?

예수님, 아이들을 비롯한 모든 사람들에게 주님의 사랑과 임재를 보여주게 하소서. 그들이 언제든지 주님께 올 수 있게 하는 방법들을 상기시켜 주소서.

Daily Article

06/13/2021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EZRA 6–8; JOHN 21
Hymn: 565(old300)

THE KINGDOM OF GOD

My mother has been committed to many things over the course of her life, but one that has remained constant is her desire to see little children introduced to Jesus. Of the few times I’ve witnessed my mother display disagreement publicly, all were when someone attempted to cut a children’s
ministry budget in favor of what they felt were more “serious” expenditures. “I took off one summer when I was pregnant with your brother, but that’s it,” she told me. I did a little family math and I realized my mom had been working with children in the church for fifty-five years.

Mark 10 records one of the endearing stories in the Gospels commonly titled “The Little Children and Jesus.” People were bringing children to Jesus that He might touch and bless them. But the disciples tried to prevent this from happening. Mark records Jesus as “indignant”—and rebuking His very own disciples: “Let the little children come to me, and do not hinder them, for the kingdom of God belongs to such as these” (V. 14).

Charles Dickens wrote, “I love these little people; and it’s not a slight thing when they, who are so fresh from God, love us.” And it’s not a slight thing when we, who are older, do all we can to make sure the little children are never hindered from the ever-fresh love of Jesus. - JOHN BLASE

Today's Reading

MARK 10:13–16
The kingdom of God belongs to such as these.
[ MARK 10:14 ]

If you were introduced to Jesus as a child, who were the supporting adults in that memory?
What kind of impression does Jesus being indignant in this story make on you?

Jesus, help me to reveal Your love and presence to all people, including children. Make me mindful of ways to ensure that they can always come to You.

오늘의 말씀

06/12/2021     토요일

성경읽기: 에스라 3-5; 요한복음 20
찬송가: 528(통318)

우리의 이름을 아시는 주님

우리 부부는 오래 다니던 교회를 떠났다가 3년 만에 다시 돌아가게 되었습니다. ‘사람들이 우리를 어떻게 대할까? 다시 받아줄까? 우리를 사랑할까? 떠났던 것을 용서할까?’ 화창한 주일 아침에 우리는 이 질문들에 대한 답을 얻었습니다. 교회의 커다란 문에 들어서자 우리의 이름이 계속해서 들렸던 것입니다. “팻! 댄! 보게 돼서 정말 반가워요!” 그들의 음성은 아동 문학 작가 케이트 디카밀로가 그녀의 유명한 책에 썼던 것과 같았습니다. “독자 여러분, 이 슬픈 세상에서 당신이 사랑하는 누군가가 당신의 이름을 부르는 소리만큼 더 아름다운 소리는 없습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에게도 이 같은 약속이 있었습니다. 우리 부부는 한동안 다른 교회를 선택한 것이었지만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께 등을 돌렸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그들을 다시 받아주셨습니다. 하나님은 이사야 선지자를 보내어, “너는 두려워하지 말라 내가 너를 구속하였고 내가 너를 지명하여 불렀나니 너는 내 것이라”(이사야 43:1)고 안심시키셨습니다.

눈에 띄지 않고, 인정받지 못하고, 심지어 아무도 우리를 모른다고 느껴지는 이 세상이지만 하나님은 우리 각자의 이름을 다 아신다는 것을 잊지 마십시오. 하나님은 “네가 내 눈에 보배롭고 존귀하다”고 말씀하십니다 (4절). “네가 물 가운데로 지날 때에 내가 너와 함께 할 것이라 강을 건널 때에 물이 너를 침몰하지 못할 것이라”(2절). 이 약속은 이스라엘만을 위한 것이 아닙니다. 우리를 위해 자신의 생명을 내어주신 예수님은 우리의 이름을 알고 계십니다. 왜요? 사랑 안에서 우리는 주님의 것이기 때문입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43:1-7
내가 너를 지명하여 불렀나니 너는 내 것이라
[이사야 43:1]

왜 하나님은 그의 백성이 돌아오는 것을 환영하십니까?
하나님은 당신의 이름을 아신다는 것을 어떻게 보여주셨습니까?

예수님, 주님의 품에서, 그리고 주님과의 교제에서 멀어졌을 때 저를 지명하여 불러 주소서. 제가 주님의 것임에 정말 감사드립니다.

Daily Article

06/12/2021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EZRA 3–5; JOHN 20
Hymn: 528(old318)

HE KNOWS YOUR NAME

After breaking with our longtime church, my husband and I reunited with the fellowship after three long years. But how would people treat us? Would they welcome us back? Love us? Forgive us for leaving? We got our answer on a sunny Sunday morning. As we walked through the big church doors, we kept hearing our names. “Pat! Dan! It’s so great to see you!” As children’s author Kate DiCamillo wrote in one of her popular books, “Reader, nothing is sweeter in this sad world than the sound of someone you love calling your name.”

The same assurance was true for the people of Israel. We had chosen a different church for a time, but they had turned their backs on God. Yet He welcomed them back. He sent the prophet Isaiah to assure them, “Do not fear, for I have redeemed you; I have summoned you by name; you are mine” (ISAIAH 43:1).

In this world—where we can feel unseen, unappreciated, and even unknown—be assured that God knows each of us by name. “You are precious and honored in my sight,” He promises (V. 4). “When you pass through the waters, I will be with you; and when you pass through the rivers, they will not sweep over you” (V. 2). This promise isn’t just for Israel. Jesus ransomed His life for us. He knows our names. Why? In love, we are His. -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ISAIAH 43:1–7
I have summoned you by name; you are mine.
[ ISAIAH 43:1 ]

Why does God welcome His people back to Him?
How has He shown that He knows you by name?

Jesus, when I stray from Your arms and Your fellowship, summon me home by name. I’m so grateful to be Yours.

오늘의 말씀

06/11/2021     금요일

성경읽기: 에스라 1-2; 요한복음 19:23-42
찬송가: 545(통344)

보이지 않는 경이로움

굿리치 여사는 인생의 황혼기에 접어들면서 힘겨웠지만 은혜로 가득 찬 삶의 기억들과 함께 이런저런 생각들이 떠오르곤 했습니다. 그녀는 미시간의 그랜드 트래버스 만이 내려다보이는 창가에 앉아 메모지를 집어 들었습니다. 조금 지나면 자신이 쓴 것조차 모르게 될 글이지만 그녀는 이렇게 썼습니다. “나는 지금 내가 늘 앉는 의자에 앉아 있습니다. 발은 문틀 위에 놓여 있고 마음은 하늘을 날아다닙니다. 저 아래엔 햇살 찬란한 물결이 쉼 없이 치고 있는데 다 어디로 가는 걸까요? 하지만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아버지가 주신 셀 수 없는 선물들과 영원한 사랑에 감사드립니다! 언제나 나를 감격시키는 그 사랑, 어떻게 그럴 수 있나요? 그 사랑 때문에 볼 수도 없는 하나님을 나도 이렇게 사랑합니다.”

베드로 사도도 그런 경이로움을 알았습니다. 그는 자신의 눈으로 예수님을 보았지만 그의 편지를 읽게 될 사람들은 본 적이 없었습니다. “예수를 너희가 보지 못하였으나......믿고 말할 수 없는 영광스러운 즐거움으로 기뻐하니” (베드로전서 1:8). 우리가 예수님을 사랑하는 것은 명령을 받았기 때문이 아니라 성령님의 도우심으로(11절) 예수님이 우리를 얼마나 사랑하시는지 알게 되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예수님이 우리 같은 사람들을 돌보신다는 말을 듣는 것 이상의 것입니다. 그것은 주님의 보이지 않는 임재와 성령님의 경이로움이 우리 삶의 모든 단계에서 현실이 되게 하겠다는 그리스도의 약속을 우리 스스로 경험하는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베드로전서 1:3-9
여러분은 그리스도를 본 일이 없으면서도 사랑하며, 지금 그를 보지 못하면서도 믿으며
[베드로전서 1:8, 새번역]

베드로전서 1:3-9을 다시 읽어보십시오. 이 말씀은 우리 하나님께서 말로 설명할 수 없는 것을 실제가 되게 하신다는 것을 어떻게 보여줍니까?
우리 안에 거하시는 성령님께 얼마나 마음의 문이 열려있습니까?

하늘에 계신 우리 하나님 아버지, 예수님 안에서 기적 같은 하나님의 사랑과 임재를 보고, 성령님을 믿을 수 있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6/11/2021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EZRA 1–2; JOHN 19:23–42
Hymn: 545(old 344)

UNSEEN WONDER

In the twilight of her years, Mrs. Goodrich’s thoughts came in and out of focus along with memories of a challenging and grace-filled life. Sitting by a window overlooking the waters of Michigan’s Grand Traverse Bay, she reached for her notepad. In words she soon wouldn’t recognize as her own she wrote: “Here I am in my favorite chair, with my feet on the sill, and my heart in the air. The sun-struck waves on the water below, in constant motion—to where I don’t know. But thank You—dear Father above—for Your innumerable gifts and Your undying love! It always amazes me—How can it be? That I’m so in love with One I can’t see.”

The apostle Peter acknowledged such wonder. He had seen Jesus with his own eyes, but those who would read his letter had not. “Though you have not seen him . . . you believe in him and are filled with an inexpressible and glorious joy” (1 PETER 1:8). We love Jesus not because we’re commanded to, but because with the help of the Spirit (V. 11) we begin to see how much He loves us.

It’s more than hearing that He cares for people like us. It’s experiencing for ourselves the promise of Christ to make the wonder of His unseen presence and Spirit real to us at every stage of life. - MART DEHAAN

Today's Reading

1 PETER 1:3–9
Though you have not seen him, you love him; and even though you do not see him now, you believe in him.
[ 1 PETER 1:8 ]

Read 1 Peter 1:3–9 again. In what ways do these words show you how our God makes the inexpressible real to us? How open are
you to the Spirit of Jesus, who lives in and among us?

Our Father in heaven, please help me to see the miracle of Your love and presence in Your Son and to believe in Your Spirit.

오늘의 말씀

06/10/2021     목요일

성경읽기: 역대하 34-36; 요한복음 19:1-22
찬송가: 86(통86)

당신은 누구입니까?

화상 회의에서 리더가 “안녕하세요!”하고 인사를 했습니다. 나는 그를 보지도 않고 그냥 “안녕하세요.”라고 대답했습니다. 스크린에 비친 내 모습을 보는데 정신이 빠져 있었던 것입니다. ‘아니 내가 이렇게 생긴 거야?’ 화상 회의에 참석한 다른 사람들의 미소 띤 얼굴을 보니 늘 보던 그 모습이었습니다. 그렇다면 여기 이 모습이 바로 나의 모습임에 틀림없습니다. ‘살을 좀 빼야 겠네. 머리도 깎고.’

바로는 스스로 생각하기에 매우 위대했습니다. 그는 여러 나라 가운데 사자였고 바다 가운데의 큰 악어와 같았습니다(에스겔 32:2). 그러다가 그는 하나님께서 자신을 어떻게 보시는지를 얼핏 보게 되었습니다. 하나님은 그가 곤경에 처해 있으며, 하나님이 그의 시체를 들짐승에게 내어줌으로써 “많은 민족이 놀랄 것이며......네가 당한 일로 왕들이 두려워 떨 것”(10절) 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바로는 자신이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못 미치는 사람이었습니다.

우리는 스스로 “영적으로 꽤 괜찮다”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하나님의 관점으로 우리 죄를 보면 그렇지 않습니다. 하나님의 거룩한 기준에 비교해보면 “우리의 의는 다 더러운 옷 같습니다”(이사야 64:6). 그러나 하나님은 또한 그 외의 어떤 것, 더 참된 어떤 것을 보십니다. 곧 하나님은 예수님을 보시고, 예수님 ‘안에’ 있는 우리를 보십니다.

‘지금의 당신의 모습’에 낙심이 되십니까? 그러나 그것이 ‘당신의 본 모습’이 아니라는 것을 기억하십시오. 예수님을 믿는 사람은 예수님 안에 있고,
주님의 거룩하심이 당신을 덮고 있습니다. 당신은 스스로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아름답습니다.

오늘의 성구

에스겔 32:2-10
너를 여러 나라에서 사자로 생각하였더니 실상은 바다 가운데의 큰 악어라
[에스겔 32:2]

자신에 대해 어떤 이미지를 가지고 있습니까? 그것은 하나님께서 당신을 보시는 이미지와 어떻게 비교됩니까?

예수님, 주님을 의지합니다. 주님의 사랑과 선하심이 저를 아름답게 합니다.

Daily Article

06/10/2021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2 CHRONICLES 34–36; JOHN 19:1–22
Hymn: 86(old 86)

WHO ARE YOU?

The leader of our video conference said, “Good morning!” I said “Hello” back, but I wasn’t looking at him. I was distracted by my own image on the screen. Do I look like this? I looked at the smiling faces of the others on the call. That looks like them. So yes, this must be me. I should lose some weight. And get a haircut.

In his mind, Pharaoh was pretty great. He was “a lion among the nations . . . a monster in the seas” (EZEKIEL 32:2). But then he caught a glimpse of himself from God’s perspective. God said he was in trouble and that He would expose his carcass to wild animals, causing “many peoples to be appalled at you, and their kings [to] shudder with horror because of you” (V. 10). Pharaoh was much less impressive than he thought.

We may think we’re “spiritually handsome”—until we see our sin as God sees it. Compared to His holy standard, even “our righteous acts are like filthy rags” (ISAIAH 64:6). But God also sees something else, something even more true: He sees Jesus, and He sees us in Jesus.

Feeling discouraged about how you are? Remember this is not who you are. If you have put your trust in Jesus, then you’re in Jesus, and His holiness drapes over you. You’re more beautiful than you imagine. - MIKE WITTMER

Today's Reading

EZEKIEL 32:2–10
You are like a lion among the nations; you are like a monster in the seas.
[ EZEKIEL 32:2 ]

What image do you have of yourself? How does that compare to the image God has of you?

Jesus, I cling to You. Your love and goodness beautifies me.

오늘의 말씀

06/09/2021     수요일

성경읽기: 역대하 32-33; 요한복음 18:19-40
찬송가: 455(통507)

영적 성숙으로 나아감

최근의 한 설문조사를 보면 자신이 성인이 되었다고 생각하는 나이가 언제인지 묻는 질문이 있습니다. 스스로 성인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그 사실을 보여주는 구체적 행동들을 예시했는데, 가계 예산을 세우고 집을 사는 것이 “어른으로서의 행동” 순위 1위를 차지했습니다. 다른 어른스러운 행동으로는 주 중에 매일 저녁식사를 직접 준비한다거나, 병원 진료 예약을 직접 하는 것, 재미있는 예로 군것질로 저녁식사를 때워도 된다거나, 토요일 저녁에 놀러 나가지 않고 집에 있는 것이 더 좋아지는 것 등 다양했습니다.

성경은 우리가 영적으로도 힘써 성숙해져야 한다고 말합니다. 바울은 에베소 교회에 편지를 써서 “온전한 사람을 이루어 그리스도의 장성한 분량이 충만한 데까지 이르라”(에베소서 4:13)고 강권했습니다. 우리 믿음이 “어릴” 동안에는 “온갖 교훈의 풍조”(14절)에 취약해 우리 사이에 자주 분열이 생기기도 합니다. 이와 반대로, 진리를 이해하는 데 성숙해지면 “머리가 되시는 그리스도”(15절, 새번역) 아래 한 몸이 되어 움직이게 됩니다.

하나님은 우리에게 성령을 주셔서 하나님이 누구신지 잘 알아가게 도우시며(요한복음 14:26), 목사와 교사들을 세워서 우리를 성숙한 믿음에 이르도록 가르치고 인도하게 하십니다(에베소서 4:11-12). 몸이 자라면서 그 증거로 어떤 특징들이 나타나는 것처럼, 우리가 주님의 몸으로 연합하는 모습이 영적으로 자랐다는 증거입니다.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4:11-16
온전한 사람을 이루어 그리스도의 장성한 분량이 충만한 데까지 이르리니
[에베소서 4:13 ]

당신은 어떤 면에서 여전히 “온갖 교훈의 풍조”에 약합니까?
어떻게 영적으로 계속 성장할 수 있을까요?

저의 성장과 성숙을 주관하시는 사랑의 하나님, 하나님에 대한 이해가 아직 부족한 곳을 보게 도와주시고 하나님의 지혜를 더 많이 가르쳐 주소서.

Daily Article

06/09/2021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2 CHRONICLES 32–33; JOHN 18:19–40
Hymn: 455(old 507)

MOVING TOWARD MATURITY

A recent survey asked respondents to identify the age at which they believed they became adults. Those who considered themselves adults pointed to specific behaviors as evidence of their status. Having a budget and buying a house topped the list as being marks of “adulting.” Other adult activities ranged from cooking dinner every weeknight and scheduling one’s own medical appointments, to the more humorous ability to choose to eat snacks for dinner or being excited to stay at home on a Saturday evening instead of going out.

The Bible says we should press on toward spiritual maturity as well. Paul wrote to the church at Ephesus, urging the people to “become mature, attaining to the whole measure of the fullness of Christ” (EPHESIANS 4:13). While we’re “young” in our faith, we’re vulnerable to “every wind of teaching” (V. 14), which often results in division among us. Instead, as we mature in our understanding of the truth, we function as a unified body under “him who is the head, that is, Christ” (V. 15).

God gave us His Spirit to help us grow into a full understanding of who He is (JOHN 14:26), and He equips pastors and teachers to instruct and lead us toward maturity in our faith (EPHESIANS 4:11–12). Just as certain characteristics are evidence of physical maturity, our unity as His body is evidence of our spiritual growth. -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EPHESIANS 4:11–16
Become mature, attaining to the whole measure of the fullness of Christ.
[ EPHESIANS 4:13 ]

In what ways are you still vulnerable to “every wind of teaching”?
How can you continue to grow spiritually?

Loving God, You’re the author of my growth and maturity. Please help me to see where my understanding of You is still immature and teach me more of Your wisdom.

오늘의 말씀

06/08/2021     화요일

성경읽기: 역대하 30-31; 요한복음 18:1-18
찬송가: 268(통202)

하나님의 구원

한 주민의 911 신고를 받고 경찰관이 기찻길을 따라 조명을 밝히며 운전해 가다 철로 위에 걸쳐 서 있는 자동차 한 대를 발견했습니다. 그때 경찰관의 계기판 카메라에 기차가 이 차를 향해 무서운 속도로 달려오는 아찔한 광경이 보였습니다. “시속 50에서 80마일(약 80에서 130 킬로미터) 정도의 빠른 속도로 기차가 다가오고 있었습니다.”라고 경찰관은 말했습니다. 그는 망설임 없이 뛰어가 기차가 차와 충돌하기 불과 몇 초 전에 의식을 잃은 한 남자를 차에서 끌어냈습니다.

성경은 하나님을 종종 아무런 가망이 안 보이는 바로 그때 구원해 주시는 분으로 기록하고 있습니다. 애굽에 갇혀 숨 막히는 억압 아래에서 이스라엘 민족은 벗어날 가능성이 전혀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출애굽기에서 우리는 하나님께서 그들에게 희망을 전해주는 말씀을 하시는 것을 봅니다. “내가 애굽에 있는 내 백성의 고통을 분명히 보고 그들이......부르짖음을 듣고 그 근심을 알았다”(3:7). 그리고 하나님은 보실 뿐 아니라 행동하셨습니다. “내가 내려가서 그들을 애굽인의 손에서 건져내리라”(8절). 하나님은 이스라엘 민족을 속박에서 구해내셨습니다. 그것은 하나님이 하신 구원이었습니다.

이스라엘 민족을 구한 하나님의 구원은 도움이 필요한 우리 모두를 도우시려는 그분의 마음과 권능을 보여줍니다. 하나님께서 구하러 오시지 않으면 파멸할 수밖에 없는 우리를 그분이 도와주십니다. 상황이 아무리 어렵고 불가능해 보일지라도, 우리는 눈을 들고 마음을 열어 구원하기를 기뻐하시는 하나님을 바라보아야 합니다.

오늘의 성구

출애굽기 3:7-10
내가 내려가서 그들을 애굽인의 손에서 건져내고
[출애굽기 3:8]

모든 것을 잃은 것 같아 하나님의 구원이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부분이 어디입니까? 이 어려운 상황에서 어떻게 하나님께 희망을 품을 수 있을까요?

하나님, 정말 곤경에 처해있어서 하나님의 도움 없이는 제대로 해결할 수가 없습니다. 제발 저를 도와주소서. 저를 구원해 주소서.

Daily Article

06/08/2021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2 CHRONICLES 30–31; JOHN 18:1–18
Hymn: 268(old 202)

DIVINE RESCUE

After being informed of a 911 call from a concerned citizen, a police officer drove alongside the train tracks, shining his floodlight into the dark until he spotted the vehicle straddling
the iron rails. The trooper’s dashboard camera captured the harrowing scene as a train barreled toward the car. “That train was coming fast,” the officer said, “Fifty to eighty miles per hour.” Acting without hesitation, he pulled an unconscious man from the car mere seconds before the train slammed into it.

Scripture reveals God as the One who rescues—often precisely when all seems lost. Trapped in Egypt and withering under suffocating oppression, the Israelites imagined no possibility for escape. In Exodus, however, we find God offering them words resounding with hope: “I have indeed seen the misery of my people in Egypt,” He said. “I have heard them crying out . . . and I am concerned about their suffering” (3:7). And God not only saw—God acted. “I have come down to rescue them” (V. 8). God led Israel out of bondage. This was a divine rescue.

God’s rescue of Israel reveals God’s heart—and His power—to help all of us who are in need. He assists those of us who are destined for ruin unless God arrives to save us. Though our situation may be dire or impossible, we can lift our eyes and heart and watch for the One who loves to rescue. - WINN COLLIER

Today's Reading

EXODUS 3:7–10
I have come down to rescue them.
[ EXODUS 3:8 ]

Where does all seem lost and where do you need God’s rescue? How can you turn your hope to Him in this dire place?

God, I’m in real trouble, and if You don’t help me, I don’t see a good ending. Will You help me? Will You rescue me?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