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7/13/2021     화요일

성경읽기: 시편 7-9; 사도행전 18
찬송가: 528(통318)

하나님을 향한 갈망

커너와 사라 스미스 부부가 5마일(9킬로미터) 떨어진 윗 동네로 이사했을 때, 그들의 고양이 스모어는 낯선 나머지 집을 나갔습니다. 어느 날 사라는 소셜미디어에서 그들이 살던 예전 농가의 현재 사진을 보았는데, 사진 속에 스모어가 있었습니다!

스미스 부부는 기뻐하며 고양이를 찾아왔지만 스모어는 또 달아났습니다. 고양이는 어디로 갔을까요? 결국 그들의 집을 매입한 가족이 스모어까지 받아주기로 했습니다. 찾아서 데리고 오면 스모어는 늘 “옛집”으로 돌아갔기 때문에 스미스 부부로서는 어쩔 수가 없었습니다.

느헤미야는 수산 왕궁에서 권력의 자리에 있었지만 그의 마음은 다른 곳에 있었습니다. 그는 “조상들의 묘실이 있는 성읍”의 슬픈 상황의 소식 (느헤미야 2:3) 을 방금 듣고 이렇게 기도했습니다. “옛적에 주께서 주의 종 모세에게......만일 내게로 돌아와 내 계명을 지켜 행하면 너희 쫓긴 자가 하늘
끝에 있을지라도 내가 거기서부터 그들을 모아 내 이름을 두려고 택한 곳에 돌아오게 하리라 하신 말씀을 이제 청하건대 기억하옵소서” (1:8-9).

마음이 있는 곳이 고향이라고 사람들은 말합니다. 그러나 느헤미야가 고국을 그리워한 것은 그 땅에 대한 그리움 이상이었습니다. 그가 가장 바랐던 것은 하나님과의 교제였습니다. 예루살렘은 “내 이름을 두려고 택한 곳” 이었기 때문입니다.

우리 마음 깊은 곳에 도사린 불만은 사실 하나님을 향한 갈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우리는 하나님과 함께 본향에 있기를 갈망합니다.

오늘의 성구

느헤미야 1:5-11
너희 쫓긴 자가 하늘 끝에 있을지라도 내가 거기서부터 그들을 모아 내 이름을 두려고 택한 곳에 돌아오게 하리라 [느헤미야 1:9]

하나님 아버지, 오직 하나님만이 나의 갈망을 충족시킬 수 있음을 깨닫게 도와주소서. 제가 어디에 있든 하나님과 함께 본향에 거하도록 도와주소서.

당신은 본향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까? 왜 그렇습니까? 어떤 면에서 당신이 하나님을 갈망하고 있다고 느낍니까?

Daily Article

07/13/2021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7–9; ACTS 18
Hymn: 528(OLD318)

LONGING FOR GOD

When Conner and Sarah Smith moved five miles up the road, their cat S’mores expressed his displeasure by running away. One day Sarah saw a current photo of their old farmhouse on social media. There was S’mores in the picture! Happily, the Smiths went to retrieve him. S’mores ran away again. Guess where he went? This time, the family that had purchased their house agreed to keep S’mores too. The Smiths couldn’t stop the inevitable; S’mores would always return “home.”

Nehemiah served in a prestigious position in the king’s court in Susa, but his heart was elsewhere. He had just heard news of the sad condition of “the city where my ancestors are buried” (NEHEMIAH 2:3) . And so he prayed, “Remember the instruction you gave your servant Moses, . . . ‘if you return to me and obey my commands, then even if your exiled people are at the farthest horizon, I will gather them from there and bring them to the place I have chosen as a dwelling for my Name’ ” (1:8–9).

Home is where the heart is, they say. In Nehemiah’s case, longing for home was more than being tied to the land. It was communion with God that he most desired. Jerusalem was “the place I have chosen as a dwelling for my Name.”

The dissatisfaction we sense deep down is actually a longing for God. We’re yearning to be home with Him.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NEHEMIAH 1:5–11
Even if your exiled people are at the farthest horizon, I will gather them from there and bring them to the place I have chosen. [ NEHEMIAH 1:9 ]

Father, help me understand that only You can satisfy my longings. Help me be at home with You, no matter where I am.

What’s your idea of home and why? In what ways do you sense yourself longing for God?

오늘의 말씀

07/12/2021     월요일

성경읽기: 시편 4-6; 사도행전 17:16-34
찬송가: 82(통90)

회복시키시는 예수님

샘은 아무 잘못도 하지 않았지만 조립 라인 일자리를 잃었습니다. 다른 부서의 부주의로 그들이 만든 자동차에 문제가 생긴 것입니다. 몇 번의 자동차 사고가 뉴스에 보도된 후 조심스러운 고객들은 그 브랜드의 차를 사지 않았습니다. 회사는 규모를 줄여야 했고, 샘은 일자리를 잃었습니다. 그는 부수적으로 피해를 입게 되었는데, 그것은 결코 공평한 일이 아니었습니다.

역사상 처음으로 부수적인 피해는 인간의 처음 범죄 직후에 일어났습니다. 아담과 하와는 벌거벗은 것을 부끄러워했고, 자비로운 하나님은 그들을 위해 “가죽옷” (창세기 3:21) 을 지어 입히셨습니다. 상상하기가 고통스럽지만, 에덴동산에서 안전하게 살던 한 마리 이상의 동물들이 죽임을 당하고 가죽이 벗겨졌습니다.

이외에도 더 있습니다.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아침마다 일 년 되고 흠 없는 어린양 한 마리를 번제를 갖추어 나 여호와께 드리라” (에스겔 46:13) 고 말씀하셨습니다. ‘매일. 매일.’ 인간의 죄 때문에 얼마나 많은 동물들이 희생되었을까요?

하나님의 어린양 예수님이 우리의 죄를 제하러 오실 때까지 (요한복음 1:29) 그 동물들의 죽음은 우리의 죄를 덮기 위해 필요했습니다. 그것을 “부수적인 회복”이라고 부릅시다. 아담의 범죄로 우리가 죽게 된 것 같이, 마지막 아담이신 그리스도의 순종으로 그를 믿는 모든 자가 회복됩니다 (로마서 5:17-19) . 예수님의 생명이 희생되었기에 ‘부수적인 회복’도 공평한 것은 아니지만, 그것은 값없이 주어집니다. 믿음으로 예수님께 나아가 주님이 주시는 구원을 받아들이십시오. 그러면 그분의 의로운 생명이 당신에게 아주 중요하게 될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창세기 3:17-24
여호와 하나님이 아담과 그의 아내를 위하여 가죽옷을 지어 입히시니라 [창세기 3:21]

예수님, 주님을 믿습니다. 그리고 주님의 생명이 저에게 중요함을 압니다.

누군가의 잘못으로 고통받은 적이 있습니까? 혹은 누군가의 성공으로 이득을 본 적이 있습니까? 이 두 상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야 할까요?

Daily Article

07/12/2021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4–6; ACTS 17:16–34
Hymn: 82(OLD90)

JESUS RESTORES US

Although Sam had done nothing wrong, he lost his job on the assembly line. Carelessness in another division led to problems in cars they built. After several crashes made the news, wary customers stopped buying their brand. The company had to downsize, leaving Sam out of work. He’s collateral damage, and it isn’t fair. It never is.

History’s first collateral damage occurred immediately after the first sin. Adam and Eve were ashamed of their nakedness, so God graciously clothed them with “garments of skin” (GENESIS 3:21). It’s painful to imagine, but one or more animals that had always been safe in the garden were now slaughtered and skinned.

There was more to come. God told Israel, “Every day you are to provide a year-old lamb without defect for a burnt offering to the Lord; morning by morning you shall provide it” (EZEKIEL 46:13). Every. Single. Day. How many thousands of animals have been sacrificed because of human sin?

Their death was necessary to cover our sin until Jesus, the Lamb of God, came to remove it (JOHN 1:29) . Call this “collateral repair.” As Adam’s sin kills us, so the Last Adam’s (Christ’s) obedience restores all who believe in Him (ROMANS 5:17–19) . Collateral repair isn’t fair—it cost Jesus’ life—but it’s free. Reach out to Jesus in belief and receive the salvation He offers, and His righteous life will count for you.

MIKE WITTMER

Today's Reading

GENESIS 3:17–24
The Lord God made garments of skin for Adam and his wife and clothed them. [ GENESIS 3:21 ]

Jesus, I believe in You, and I know Your life counts for me.

When have you suffered for someone else’s mistake? When have you benefited from someone’s success, and how should you think about both situations?

오늘의 말씀

07/11/2021     주일

성경읽기: 시편 1-3; 사도행전 17:1-15
찬송가: 180(통168)

슬픔 가운데 소망

택시기사는 우리를 런던 히드로 공항에 태워 주면서 자신의 지난 이야기를 해주었습니다. 그는 열다섯 살 때 전쟁과 기아를 피해 홀로 영국으로 왔습니다. 11년이 지난 지금, 자신의 가정을 이루었고, 고향에서는 생각지도 못할 여러 방법들로 가족을 부양하고 있지만, 그는 여전히 고향의 부모 형제들과 떨어져 사는 것을 한탄하고 있습니다. 그는 가족들과 다시 만나는 날이 와야 이 고단한 여정이 끝날 거라고 했습니다.

사랑하는 이들과 헤어져 지내는 것도 힘든 일이지만, 죽음으로 사랑하는 이를 잃는 것은 훨씬 더 힘들고, 우리가 그들과 다시 만나기 전까지는 어떻게 할 수 없는 상실감이 생깁니다. 데살로니가의 새 신자들이 후에 다시 만나게 되는 그런 상실을 이해하지 못하자 바울은 편지에 이렇게 썼습니다. “형제
자매들아 자는 자들에 관하여는 너희가 알지 못함을 우리가 원하지 아니하노니 이는 소망 없는 다른 이와 같이 슬퍼하지 않게 하려 함이라” (데살로니가전서 4:13) . 예수님을 믿는 우리는 그리스도 앞에서 영원히 함께할 위대한 재결합을 기대하며 살 수 있다고 바울은 설명하였습니다 (17절).

이별만큼 감내하기 힘든 것은 거의 없지만, 우리에게는 예수님 안에서 다시 만날 소망이 있습니다. 슬픔과 상실 가운데에서도, 우리는 그 변함없는 약속 안에서 우리에게 필요한 위로를 얻을 수 있습니다 (18절).

오늘의 성구

데살로니가전서 4:13-18
자는 자들에 관하여는 너희가 알지 못함을 우리가 원하지 아니하노니 이는 소망 없는 다른 이와 같이 슬퍼하지 않게 하려 함이라 [데살로니가전서 4:13]

하나님 아버지, 이 세상에 아무것도 상실로 공허해진 마음을 채울 수 없습니다. 저를 아버지께로 이끄셔서 사랑과 은혜로 위로해 주소서.

상실이 당신의 삶에 어떤 흔적을 남겼습니까? 예수님이 당신에게 필요한 도움과 소망을 어떻게 공급해 주십니까?

Daily Article

07/11/2021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3; ACTS 17:1–15
Hymn: 180(OLD168)

HOPE IN GRIEF

As the cabbie drove us to London’s Heathrow Airport, he told us his story. He had come alone to the United Kingdom at age fifteen, seeking to escape war and deprivation. Now, eleven years later, he has a family of his own and is able to provide for them in ways unavailable in his native land. But he laments that he’s still separated from his parents and siblings. He told us that he’s had a hard journey that won’t be complete until he’s reunited with his family.

Being separated from our loved ones in this life is hard, but losing a loved one in death is much harder and creates a sense of loss that won’t be made right until we’re reunited with them. When the new believers at Thessalonica wondered about such losses, Paul wrote, “Brothers and sisters, we do not want you to be uninformed about those who sleep in death, so that you do not grieve like the rest of mankind, who have no hope” (1 THESSALONIANS 4:13). He explained that as believers in Jesus, we can live in expectation of a wonderful reunion—together forever in the presence of Christ (V. 17).

Few experiences mark us as deeply as the separations we endure, but in Jesus we have hope of being reunited. And in the midst of grief and loss we can find the comfort we need in that enduring promise (V. 18).

BILL CROWDER

Today's Reading

1 THESSALONIANS 4:13–18
We do not want you to be uninformed about those who sleep in death, so that you do not grieve like the rest of mankind, who have no hope. [ 1 THESSALONIANS 4:13 ]

Father, there’s nothing on earth that can fill the places in my heart made empty through loss. Draw me to You and comfort me with Your love and grace.

How has loss marked your life? How does Jesus provide the help and hope you need?

오늘의 말씀

07/10/2021     토요일

성경읽기: 욥기 41-42; 사도행전 16:22-40
찬송가: 285(통209)

진리를 덮는 거짓말

나는 강대상 위에 성경을 놓고 메시지의 시작을 기다리는 기대에 찬 얼굴들을 바라보았습니다. 기도하면서 준비했었는데, 왜 나는 말문이 막혔을까요?

‘너는 쓸모없는 사람이야. 아무도 네 말을 들으려고 하지 않을 거야. 특히 네 과거를 알면 말이야. 그리고 하나님은 절대로 너를 사용하시지 않을 거야.’ 내 마음과 생각에 새겨진, 사는 동안 다양한 방식으로 들려온 이 말들은 내가 너무 쉽게 믿어버린 그 거짓말과 십 년을 넘게 싸워온 전쟁에 다시 불을
붙였습니다. 나는 그 말들이 사실이 아니라는 것을 알면서도 불안과 두려움에서 벗어날 수 없을 것 같았습니다. 그래서 나는 성경을 펼쳤습니다.

잠언 30장 5절을 펼쳐 천천히 심호흡을 한 후 크게 소리 내어 읽었습니다. “하나님의 말씀은 다 순전하며 하나님은 그를 의지하는 자의 방패시니라.” 눈을 감자 평강이 가득 임했고, 나는 청중들에게 나의 간증을 나누기 시작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자신에 대한 다른 사람들의 부정적인 말과 생각 때문에 꼼짝 못하게 되는 경험을 합니다. 하지만, 하나님의 말씀은 “순전”하고 완벽하며 온전합니다. 하나님의 자녀로서의 우리의 가치나 삶의 목적에 대해 영혼을 파괴하는 그릇된 생각들을 믿고 싶은 충동이 들 때, 하나님의 영원하며 절대 확실한 진리가 우리의 생각과 마음을 보호해 줍니다. 우리는 “여호와여 주의 옛 규례들을 내가 기억하고 스스로 위로하였나이다” (시편 119:52) 라고 고백한 시편 기자의 말을 되뇌일 수 있습니다.

우리 모두 부정적인 말들을 성경말씀으로 바꾸어 가면서, 하나님과 우리와 다른 사람들에 관해 받아들였던 거짓말과 싸우도록 합시다.

오늘의 성구

잠언 30:5-8
하나님의 말씀은 다 순전하며 하나님은 그를 의지하는 자의 방패시니라 [잠언 30:5 ]

사랑의 하나님 아버지, 기도하며 성경을 공부하여 하나님의 진리의 시각으로 인생을 볼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지금까지 어떤 거짓말들을 믿어 왔습니까? 어떤 성경구절이 하나님과 당신 자신과 다른 사람들을 성경의 진리를 통해 볼 수 있도록 도와주었습니까?

Daily Article

07/10/2021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JOB 41–42; ACTS 16:22–40
Hymn: 285(OLD209)

LIES WITH TRUTH

I set my Bible on the podium and stared at the eager faces waiting for me to begin the message. I’d prayed and prepared. Why couldn’t I speak?

You’re worthless. No one will ever listen to you, especially if they know your past. And God would never use you. Seared into my heart and mind, these words spoken in various ways over my life ignited a decade-long war against the lies I so easily believed. Though I knew the words weren’t true, I couldn’t seem to escape my insecurities and fears. So I opened my Bible.

Turning to Proverbs 30:5, I inhaled and exhaled slowly before reading out loud. “Every word of God is flawless,” I read, “he is a shield to those who take refuge in him.” I closed my eyes as peace overwhelmed me, and I began to share my testimony with the crowd. Many of us have experienced the paralyzing power of negative words or opinions others have of us. However, God’s words are “flawless,” perfect and absolutely sound. When we’re tempted to believe spirit-crushing ideas about our value or our purpose as God’s children, God’s enduring and infallible truth protects our minds and our hearts. We can echo the psalmist who wrote: “I remember, Lord, your ancient laws, and I find comfort in them” (PSALM 119:52).

Let’s combat lies we’ve accepted about God, ourselves, and others by replacing negative-speak with Scripture.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PROVERBS 30:5–8
Every word of God is flawless; he is a shield to those who take refuge in him. [ PROVERBS 30:5 ]

Loving Father, please help me to prayerfully study Scripture as You help me view life through the lens of Your truth.

What lies have you believed? What verses in the Bible have helped you see God, yourself, and others through the truth of Scripture?

오늘의 말씀

07/09/2021     금요일

성경읽기: 욥기 38-40; 사도행전 16:1-21
찬송가: 196(통174)

하나님의 은혜 안에서 자라감

영국의 설교가 찰스 스펄전 (1834-1892) 은 그야말로 “전속력으로” 살았습니다. 열 아홉 살에 목사가 된 그는 곧 많은 청중 앞에서 설교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그가 직접 편집한 그의 모든 설교는 마침내 육십 세 권의 책으로 발간되었고, 그 밖에 여러 성경주석과 기도에 관한 책들, 그리고 다른 저술들이 있습니다. 그는 일주일에 보통 여섯 권의 책을 읽었습니다! 스펄전은 한 설교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아무 일도 하지 않는 죄는 모든 죄 중에서 가장 큰 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그것이 다른 대부분의 죄를 수반하기 때문입니다...... 이 끔찍한 게으름! 하나님, 우리를 거기서 구해 주소서!”

찰스 스펄전은 하나님의 은혜 안에서 자라고 하나님을 위해 살기 위해 열심히, “더욱 힘써” (베드로후서 1:5) 살았습니다. 우리가 그리스도를 따르는 자들이라면, 하나님은 우리가 “더욱 힘써 [우리] 믿음에 덕을, 덕에 지식을...... 절제를, 인내를......경건을 더하” (5-7절) 도록 더욱 예수님을 닮아 자라갈 수
있는 열정과 능력을 불어넣어 주실 것입니다.

우리는 제각각 동기부여나 능력, 활력 등이 다 달라서, 우리 모두가 찰스 스펄전과 같은 속도로 살 수도 없고 또 그렇게 살아야 하는 것도 아닙니다. 그러나 예수님이 우리를 위해 하신 모든 일을 이해할 때, 우리는 부지런하고 신실한 삶을 살아야 할 최고의 동기부여를 갖게 됩니다. 그리고 하나님을 위하고 섬기며 살도록 하나님이 우리에게 주신 자원들을 통해 힘을 얻습니다. 하나님은 성령님을 통해 크든 작든 그렇게 하려는 우리의 모든 노력에 힘을 더해 주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베드로후서 1:3-11
여러분은 열성을 다하여 여러분의 믿음에 덕을 더하고, 덕에 지식을 더하고 [베드로후서 1:5, 새번역]

사랑의 하나님, 저의 모든 말과 행동으로 하나님을 위해 열심히 살도록 도와주소서. 제 안에 계시는 성령님을 통해 그렇게 할 수 있는 힘을 주시니 감사합니다.

그리스도를 더욱 닮아 자라가려고 어떻게 노력하고 있습니까? 무엇이 그런 노력에 도움이 될까요?

Daily Article

07/09/2021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JOB 38–40; ACTS 16:1–21
Hymn: 196(OLD174)

GROWING IN GOD’S GRACE

The English preacher Charles H. Spurgeon (1834–1892) lived life “full throttle.” He became a pastor at age nineteen— and soon was preaching to large crowds. He personally edited all of his sermons, which eventually filled sixty-three volumes, and wrote many commentaries, books on prayer, and other works. And he typically read six books a week! In one of his sermons, Spurgeon said, “The sin of doing nothing is about the biggest of all sins, for it involves most of the others. . . . Horrible idleness! God save us from it!”

Charles Spurgeon lived with diligence, which meant he “[made] every effort” (2 PETER 1:5) to grow in God’s grace and to live for Him. If we’re Christ’s followers, God can instill in us that same desire and capacity to grow more like Jesus, to “make every effort to add to [our] faith goodness; and to goodness, knowledge . . . self-control, perseverance . . . godliness” (VV. 5–7) .

We each have different motivations, abilities, and energy levels—not all of us can, or should, live at Charles Spurgeon’s pace! But when we understand all Jesus has done for us, we have the greatest motivation for diligent, faithful living. And we find our strength through the resources God has given us to live for and serve Him. God through His Spirit can empower us in our efforts—big and small—to do so.

ALYSON KIEDA

Today's Reading

2 PETER 1:3–11
Make every effort to add to your faith goodness; and to goodness, knowledge. [ 2 PETER 1:5 ]

Loving God, help me to be diligent to live for You in all I do and say. Thank You for enabling me to do so through Your Spirit inside me.

How are you making every effort to grow more like Christ? What will help you in this endeavor?

오늘의 말씀

07/08/2021     목요일

성경읽기: 욥기 36-37; 사도행전 15:22-41
찬송가: 282(통339)

막힌 기도

14년 동안 화성탐사선 ‘오퍼튜니티호’는 미국항공우주국의 제트추진 연구소 사람들과 아무 문제없이 소통했습니다. 2004년에 착륙한 후, 화성 표면 28마일(45킬로미터)을 횡단하며 수천 장의 이미지를 촬영하고 많은 물질들을 분석했습니다. 그러나 2018년 큰 먼지 폭풍이 태양 전지판을 덮어버리면서 탐사선이 전력을 잃어 ‘오퍼튜니티호’와 과학자들 사이의 통신은 끝이 나버렸습니다.

“먼지” 때문에 우리가 세상 바깥에 계시는 분과 소통하는 것이 막힐 수 있을까요? 하나님과 소통하는 수단인 기도를 생각해 보면 방해되는 분명한 것들이 있습니다.

성경은 죄가 하나님과의 관계를 막을 수 있다고 말합니다. “내가 나의 마음에 죄악을 품었더라면 주께서 듣지 아니하시리라” (시편 66:18) . 예수님도 “서서 기도할 때에 아무에게나 혐의가 있거든 용서하라 그리하여야 하늘에 계신 너희 아버지께서도 너희 허물을 사하여 주시리라” (마가복음 11:25) 고
가르치십니다. 하나님과의 소통은 의심하거나 인간관계에 문제가 생겼을 때에도 방해를 받을 수 있습니다 (야고보서 1:5-7; 베드로전서 3:7).

‘오퍼튜니티호’와의 통신이 막혀버린 것은 영구적인 것 같습니다. 하지만 우리의 기도는 막혀서는 안 됩니다. 성령님의 역사로 하나님은 사랑으로 우리와 하나님과의 소통을 회복시켜 주십니다. 우리가 죄를 고백하고 하나님께로 돌이킬 때, 우리는 하나님의 은혜로 우주에서 가장 위대한 소통인, 우리와
거룩하신 하나님 사이의 일대일 기도를 체험하게 됩니다.

오늘의 성구

마가복음 11:20-25
서서 기도할 때에 아무에게나 혐의가 있거든 용서하라 그리하여야 하늘에 계신 너희 아버지께서도 너희 허물을 사하여 주시리라 [마가복음 11:25]

하나님 아버지, 아버지와의 소통을 제한하는 것이 무엇인지 깨달을 수 있도록 인도해 주소서. 하나님과 연결되도록 도와주시니 감사합니다!

우리 죄를 하나님께 고백하는 것이 어떻게 하나님과의 소통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까? 우리의 기도생활을 풍요롭게 하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7/08/2021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JOB 36–37; ACTS 15:22–41
Hymn: 282(OLD339)

BLOCKED PRAYERS

For fourteen years, the Mars rover Opportunity faithfully communicated with the people at NASA’s Jet Propulsion Laboratory. After it landed in 2004, it traversed twenty-eight miles of the Martian surface, took thousands of images, and analyzed many materials. But in 2018, communication between Opportunity and scientists ended when a major dust storm coated its solar panels, causing the rover to lose power.

Is it possible that we can allow “dust” to block our communication with Someone outside of our world? When it comes to prayer—communicating with God—there are certain things that can get in the way.

Scripture says that sin can block our relationship with God. “If I had cherished sin in my heart, the Lord would not have listened” (PSALM 66:18) . Jesus instructs, “When you stand praying, if you hold anything against anyone, forgive them, so that your Father in heaven may forgive you your sins” (MARK 11:25) . Our communication with God can also be hindered by doubt and relationship problems (JAMES 1:5–7; 1 PETER 3:7).

Opportunity’s blockage of communication seems to be permanent. But our prayers don’t have to be blocked. By the work of the Holy Spirit, God lovingly draws us to restored communication with Him. As we confess our sins and turn to Him, by God’s grace we experience the greatest communication the universe has ever known: one-to-one prayer between us and our holy God.

DAVE BRANON

Today's Reading

MARK 11:20–25
When you stand praying, if you hold anything against anyone, forgive them, so that your Father in heaven may forgive you your sins. [ MARK 11:25 ]

Father, guide me to discover what’s limiting my communication with You. Thank You for helping me connect with You!

How can confessing your sins to God improve your communication with Him? What can you do to enrich your prayer life?

오늘의 말씀

07/07/2021     수요일

성경읽기: 욥기 34-35; 사도행전 15:1-21
찬송가: 613(통284)

우리에게 필요한 지혜

엘렌이 우편함을 열자 거기에 친한 친구의 주소가 적힌 부피가 큰 봉투가 있었습니다. 며칠 전 엘렌은 그 친구와 다투었습니다. 호기심을 가지고 포장을 풀어 보니 색색의 구슬이 소박한 황마 줄에 꿰어진 목걸이가 들어있었습니다. 목걸이에 “모스 부호로 말하라”는 회사의 구호가 인쇄된 카드가 붙어 있었는데, 카드 안에는 목걸이에 숨겨진 지혜로운 메시지가 번역되어 쓰여 있었습니다. “하나님의 길을 찾으라.” 엘렌은 그것을 목에 걸며 미소를 지었습니다.

잠언서는 지혜로운 말들을 모아 놓은 책인데, 그 시대에 가장 현명한 사람으로 찬사를 받았던 솔로몬이 많이 집필했습니다 (열왕기상 10:23) . 서른 한개의 장으로 되어 있어 독자에게 지혜에 귀 기울이고 어리석음을 피하라고 권하고 있는 잠언서는 “여호와를 경외하는 것이 지식의 근본”이라는 1장 7절
의 핵심 메시지로 시작하고 있습니다. 언제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아는 지혜는 하나님의 길을 구함으로써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데서 옵니다. 잠언서의 서두 부분에 이런 말씀이 있습니다. “내 아들아 네 아비의 훈계를 들으며 네 어미의 법을 떠나지 말라 이는 네 머리의 아름다운 관이요 네 목의 금사슬이니라” (8-9절).

엘렌의 친구는 그녀에게 필요한 지혜의 근원인 하나님의 길을 찾게 해주었습니다. 그 선물은 엘렌으로 하여금 필요한 도움을 어디에서 찾을 것인지에 관심을 집중하게 해주었습니다.

하나님을 공경하고 그분의 길을 추구할 때, 삶에서 직면하는 모든 문제에 필요한 지혜를 얻게 됩니다. 이것은 우리 각자 누구에게나 다 그렇습니다.

오늘의 성구

잠언 1:1-9
여호와를 경외하는 것이 지식의 근본이거늘 [잠언 1:7]

하나님, 제게 필요한 지혜의 근원이 하나님이심을 상기시켜 주소서.

지혜가 필요할 때 어디로 가십니까? 어떻게 주님의 말씀을 마음의 맨 앞에 간직할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7/07/2021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JOB 34–35; ACTS 15:1–21
Hymn: 613(OLD284)

THE WISDOM WE NEED

Ellen opened her mailbox and discovered a bulky envelope with her dear friend’s return address. Just a few days prior, she’d shared a relational struggle with that friend. Curious, she unwrapped the package and found a colorful beaded necklace on a simple jute string. Attached was a card with a company’s slogan, “Say It in Morse Code,” and words translating the necklace’s hidden and wise message, “Seek God’s Ways.” Ellen smiled as she fastened it around her neck.

The book of Proverbs is a compilation of wise sayings—many penned by Solomon, who was acclaimed as the wisest man of his era (1 KINGS 10:23) . Its thirty-one chapters call the reader to listen to wisdom and avoid folly, starting with the core message of Proverbs 1:7: “The fear of the Lord is the beginning of knowledge.” Wisdom—knowing what to do when—comes from honoring God by seeking His ways. In the introductory verses, we read, “Listen when your father corrects you. Don’t neglect your mother’s instruction. What you learn from them will crown you with grace and be a chain of honor around your neck” (VV. 8–9 NLT).

Ellen’s friend had directed her to the Source of the wisdom she needed: Seek God’s ways. Her gift focused Ellen’s attention on where to discover the help she needed.

When we honor God and seek His ways, we’ll receive the wisdom we need for all the matters we face in life. Each and every one.

ELISA MORGAN

Today's Reading

PROVERBS 1:1–9
Fear of the Lord is the foundation of true knowledge. [ PROVERBS 1:7 nlt ]

God, remind me that You’re the Source of the wisdom I need.

Where do you go when you need wisdom? How can you keep God’s words in the forefront of your mind?

오늘의 말씀

07/06/2021     화요일

성경읽기: 욥기 32-33; 사도행전 14
찬송가: 187(통171)

아버지가 없는 것이 아닙니다

존 소어즈는 그의 책 ‘아버지 없는 세대’에서 “이천 오백만 명이나 되는 많은 아이들이 편모 가정에서 자라는 이 세대처럼 아버지의 부재를 경험한 세대는 없었다.”라고 말합니다. 나의 경우를 봐도 만약 길거리에서 아버지를 마주쳤어도 몰라봤을 것입니다. 부모님은 내가 아주 어렸을 때 이혼했고, 아버지의 모든 사진은 불태워져 버렸습니다. 그래서 여러 해 동안 나는 아버지가 없는 느낌 속에 자랐습니다. 그러다가 열세 살 되었을 때 주기도문 (마태복음 6:9-13) 을 듣고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내게 육신의 아버지는 없을 지는 몰라도 이제 하늘에 계신 하나님 아버지가 계셔.’

마태복음 6장 9절은 우리에게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여 이름이 거룩히 여김을 받으시오며”라고 기도하라고 가르칩니다. 그전의 7절에서는 기도할 때 “중언부언하지” 말라고 하는데 이 두 개의 절이 어떻게 연결되는지 궁금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하나님은 다 기억하시기 때문에 반복할 필요가 없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하나님은 정말로 다 이해하시기 때문에 설명할 필요가 없으며, 따뜻한 마음을 지니셨기에 그분의 선하심을 의심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리고 하나님은 시작부터 끝까지 다 아시기에 우리는 하나님의 때가 완벽하다는 것도 압니다.

하나님께서 우리 아버지 되시므로 하나님을 감동시키기 위해 “많은 말” (7절) 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우리는 기도를 통해 우리를 사랑하고 돌보시며, 예수님을 통해 자녀로 삼아 주신 하나님 아버지와 대화하는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6:5-13
성령이 친히 우리의 영과 더불어 우리가 하나님의 자녀인 것을 증언하시나니 [로마서 8:16]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저를 자녀 삼아 주시고, 제 아버지 되셔서 기도를 통해 하나님 앞에 나아갈 수 있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언제 기도하면서 많은 말로써 하나님을 감동시키려 했습니까? 하나님이 아버지인 것이 어떻게 하나님을 신뢰할 수 있게 도와줍니까?

Daily Article

07/06/2021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JOB 32–33; ACTS 14
Hymn: 187(OLD171)

NOT FATHERLESS

John Sowers in his book Fatherless Generation writes that “No generation has seen as much voluntary father absence as this one with 25 million kids growing up in single-parent homes.” In my own experience, if I’d bumped into my father on the street, I wouldn’t have known him. My parents were divorced when I was very young, and all the photos of my dad were burned. So for years I felt fatherless. Then at age thirteen, I heard the Lord’s Prayer (MATTHEW 6:9–13) and said to myself, You may not have an earthly father, but now you have God as your heavenly Father.

In Matthew 6:9 we’re taught to pray, “Our Father in heaven, hallowed be your name.” Previously verse 7 says not to “keep on babbling” when praying, and we may wonder how these verses are connected. I realized that because God remembers, we don’t need to repeat. He truly understands, so we don’t need to explain. He has a compassionate heart, so we don’t need to be uncertain of His goodness. And because He knows the end from the beginning, we know His timing is perfect.

Because God is our Father, we don’t need to use “many words” (V. 7) to move Him. Through prayer, we’re talking with a Father who loves and cares for us and made us His children through Jesus.

ALBERT LEE

Today's Reading

M AT T H E W 6:5–13
The Spirit himself testifies with our spirit that we are God’s children. [ ROMANS 8:16 ]

Dear heavenly Father, thank You for making me Your child and for being a Father that welcomes me into Your presence through prayer.

When have you tried to “move God” in prayer by using many words? How does having a relationship with Him as your Father help you to trust Him?

오늘의 말씀

07/05/2021     월요일

성경읽기: 욥기 30-31; 사도행전 13:26-52
찬송가: 497(통274)

전도할 때의 그 “무엇”

어느 날 알렌이 찾아와 대중 앞에서 발표할 때 어떻게 하면 떨리지 않는지 조언을 부탁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그렇듯이, 그도 대중 앞에 서면 심장이 두근거리고, 입이 바짝 마르는 것 같고, 얼굴이 벌겋게 상기된다고 합니다. ‘발표 공포증’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가장 흔한 사회적 불안 중의 하나인데, 심지어 사람들 앞에서 말하는 것이 죽는 것보다 더 두렵다고 농담하는 사람들까지 있습니다. 알렌이 발표를 잘하지 못할까 봐 걱정하는 두려움을 없애 주려고, 나는 그에게 얼마나 잘 발표하는가 보다는 전하려는 메시지의 내용에 집중하라고 말해 주었습니다.

사람의 전달하는 능력보다 ‘무엇’을 전달할지에 중점을 두는 것은 바울이 사람들을 하나님께로 인도하기 위해 접근했던 방법과 비슷합니다. 바울은 고린도 교회에 쓴 서신에서 그의 설교가 “설득력 있는 지혜의 말로 하지 아니했다” (고린도전서 2:4) 고 했습니다. 대신 그는 그의 유려한 말솜씨보다는 그의 말에 힘을 더하시는 성령님을 의지하면서, 오직 예수 그리스도와 주님이 십자가에 못 박히신 것에만 집중하기로 작정하였습니다 (2절).

하나님을 인격적으로 알고 나면 주변 사람들에게 하나님을 전하고 싶어지는데, 종종 “올바르게” 또는 매끄러운 말로 잘 전하지 못할까 봐 두려워서 그것을 피할 때가 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이 어떤 분이시며 하나님이 어떤 놀라운 일을 행하셨는지를 알려주는 진리, 곧 그 “무엇”에 초점을 맞춘다면, 우리도 바울과 같이 우리 말에 힘을 더하시는 하나님을 믿고 두려움과 주저함 없이 전도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전서 2:1-5
내 말과 내 전도함이 설득력 있는 지혜의 말로 하지 아니하고 다만 성령의 나타나심과 능력으로 하여 [고린도전서 2:4]

하늘에 계신 하나님, 성경을 통해 제게 나타나시고 그것을 나눌 수 있는 자들을 제 삶 속에 허락하셔서 감사합니다. 하나님께서 제 말에 힘을 더하시는 것을 믿고 사람들에게 전도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다른 사람들에게 진리이신 하나님을 전하려 할 때 무엇이 종종 그 일을 가로막았습니까? 바울의 접근 방식이 어떻게 담대하게 복음을 전할 수 있게 해줍니까?

Daily Article

07/05/2021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JOB 30–31; ACTS 13:26–52
Hymn: 497(OLD274)

THE “WHAT” IN SHARING OUR FAITH

Alan came to me for advice on how to deal with his fear of public speaking. Like so many others, his heart would begin to race, his mouth would feel sticky and dry, and his face would flush bright red. Glossophobia is among the most common social fears people have—many even joke that they’re more fearful of public speaking than of dying! To help Alan conquer his fear of not “performing” well, I suggested he focus on the substance of his message instead of how well he’d deliver it.

Shifting the focus to what will be shared, instead of one’s ability to share it, is similar to Paul’s approach to pointing others to God. When he wrote to the church at Corinth, he remarked that his message and preaching “were not with wise and persuasive words” (1 CORINTHIANS 2:4) . Instead, he’d determined to focus solely on the truth of Jesus Christ and His crucifixion (V. 2) , trusting the Holy Spirit to empower his words, not his eloquence as a speaker.

When we’ve come to know God personally, we’ll want to share about Him with those around us. Yet we sometimes shy away from it because we’re afraid of not presenting it well—with the “right” or eloquent words. By focusing instead on the “what”—the truth of who God is and His amazing works—we can, like Paul, trust God to empower our words and share without fear or reluctance.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1 CORINTHIAN S 2:1–5
My message and my preaching were not with wise and persuasive words, but with a demonstration of the Spirit’s power. [ 1 CORINTHIANS 2:4 ]

Father in heaven, thank You for revealing Yourself to me through the Bible and those You put in my life to share with me. Please help me to share with others, trusting You to empower my words.

What has prevented you at times from sharing the truth of God with others? How can Paul’s approach embolden you to share the gospel?

오늘의 말씀

07/04/2021     주일

성경읽기: 욥기 28-29; 사도행전 13:1-25
찬송가: 393(통447)

우리는 하나님을 믿습니다

미국 독립전쟁 초기에, 미국은 퀘벡에 있는 영국군을 상대하기 위해 원정대를 보냈습니다. 원정대는 캐나다로 가는 길에 매사추세츠 주 뉴베리포트를 지나갈 때, 유명한 복음전도자 조지 휫필드의 무덤을 찾아갔습니다. 그들은 휫필드의 관을 열고 그의 성직복에서 옷깃과 소매 끝동을 잘라냈습니다. 그러고는 그것을 조각 내어 나누어 가졌는데, 그것은 그 옷 조각들이 군인들에게 전쟁의 승리를 가져다줄 것이라는 잘못된 믿음 때문이었습니다.

그 원정대는 전투에서 졌습니다. 그러나 그 군인들이 한 일은 궁극적인 행복을 위해 돈이나 인간의 능력, 심지어 종교적인 관습 등, 하나님과의 관계보다 못한 것에 의지하려는 인간의 성향을 잘 보여줍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임박한 앗수르의 침략으로 위협받을 때, 그들의 죄에서 돌이켜 스스로 하나님께로 향하는 대신 바로에게 도움을 청하자 하나님께서 이에 대해 이렇게 경고하셨습니다. “주 여호와 이스라엘의 거룩하신 이가 이같이 말씀하시되 너희가 돌이켜 조용히 있어야 구원을 얻을 것이요 잠잠하고 신뢰하여야 힘을 얻을 것이거늘 너희가 원하지 아니하고 이르기를 아니라 우리가 말 타고 도망하리라 하였으므로 너희가 도망할 것이요” (이사야 30:15-16).

바로의 “원정대” 또한 실패했습니다(하나님의 말씀 그대로). 그리고 앗수르가 유다를 정복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그의 백성들에게 또 말씀하셨습니다. “여호와께서 기다리시나니 이는 너희에게 은혜를 베풀려 하심이요.” 심지어 우리가 하찮은 것들을 믿을 때라도 하나님은 우리가 하나님께로 돌이킬 수 있도록 도와주시기 위해 여전히 손을 내밀고 계십니다. “그를 기다리는 자마다 복이 있도다” (18절) .

오늘의 성구

이사야 30:1-5, 15-18
너희가 돌이켜 조용히 있어야 구원을 얻을 것이요 잠잠하고 신뢰하여야 힘을 얻을 것이거늘 [이사야 30:15]

하나님, 저는 하나님을 믿습니다. 하나님은 언제나 신실하시니 늘 의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때때로 하나님이 아닌 다른 어떤 것을 믿고 싶은 유혹을 받습니까? 오늘 어떻게 하나님을 의지하시겠습니까?

Daily Article

07/04/2021     SUMDAY

The Bible in One Year: JOB 28–29; ACTS 13:1–25
Hymn: 393(OLD447)

IN GOD WE TRUST

In the early days of the American Revolutionary War, an expedition was launched against British forces in Quebec. When the expedition passed through Newburyport, Massachusetts, on the way to Canada, they visited the tomb of the renowned evangelist George Whitefield. Whitefield’s coffin was opened and his clerical collar and cuffs were removed. The clothing was cut in pieces and distributed in the mistaken belief that it could somehow give the soldiers success.

The expedition failed. But what the soldiers did demonstrates our human tendency to trust in something less than a relationship with God—money or human strength or even religious traditions—for our ultimate well-being. God cautioned His people against this when invasion from Assyria threatened, and they sought Pharaoh’s help instead of turning from their sins and turning personally to Him: “This is what the Sovereign Lord, the Holy One of Israel, says: ‘In repentance and rest is your salvation, in quietness and trust is your strength, but you would have none of it. You said, “No, we will flee on horses.” Therefore you will flee!’ ” (ISAIAH 30:15–16).

Their “expedition” failed as well (just as God said it would) and Assyria overwhelmed Judah. But God also told His people, “The Lord longs to be gracious to you.” Even when we have trusted in lesser things, God still holds out His hand to help us return to Him. “Blessed are all who wait for him!” (V. 18)

JAMES BANKS

Today's Reading

ISAIAH 30:1–5, 15–18
In repentance and rest is your salvation, in quietness and trust is your strength. [ ISAIAH 30:15 ]

I trust You, God. Please help me to always rely on You because You’re always faithful!

In what other than God are you sometimes tempted to place your trust? How will you rely on Him today?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