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5/24/2021     월요일

성경읽기: 역대상 22-24; 요한복음 8:28-59
찬송가: 384(통434)

계획을 세웠나요?

거의 열여덟 살의 청년 케이든은 자신의 제1지망 대학에 장학금을 받고 진학할 수 있으리라 기대하고 있었습니다. 그는 고등학교 캠퍼스 사역에 참여했으며 새로운 환경인 대학에 가서도 비슷한 사역에 참여하길 바랐습니다. 그는 아르바이트로 돈을 모아왔고 새 일에서도 월등히 앞서 나갔습니다. 그가 세운 몇 가지 큰 목표들은 모든 것이 정확히 예정대로 진행되어 가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2020년 봄 전 세계에 닥친 보건 위기가 이 모든 것을 바꾸어 놓았습니다.

학교에서는 케이든에게 첫 학기가 온라인으로 진행될 것 같다고 알려왔습니다. 캠퍼스 사역에 공백이 생겼습니다. 비즈니스가 문을 닫자 일자리에 대한 기대도 사라져버렸습니다. 실망에 빠진 그에게 친구가 유명한 프로 권투선수의 말을 넉살맞게 인용하며 말했습니다. “그래, 주먹으로 입을 얻어맞기 전까지는 누구에게나 계획이 있지.”

잠언 16 장은 우리의 모든 일을 하나님께 맡길 때, 하나님이 우리의 계획을 견고하게 하시고 그분의 뜻대로 행하실 것이라고 말합니다(3-4절). 그러나 진정한 헌신은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것은 우리의 길을 혼자 꾸려나가겠다는 생각을 의도적으로 떨쳐버리고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열린 마음으로 받아들여야 하기 때문입니다(9절; 19:21).

꿈이 결실을 맺지 못할 때 실망이 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미래를 바라보는 우리의 좁은 시각은 모든 것을 아시는 하나님의 방법들에 결코 상대가 되지 않습니다. 우리가 자신을 하나님께 내어 드리면, 앞에 놓인 길을 보지 못할 때에도 그분은 여전히 우리의 발걸음을 사랑으로 인도하고 계신다는 것을 확신할 수 있습니다(16:9).

오늘의 성구

잠언 16:3-9
사람이 마음으로 자기의 길을 계획할지라도 그의 걸음을 인도하시는 이는 여호와시니라
[잠언 16:9 ]

어떤 실망감으로 미래에 대한 계획을 바꾸었습니까?
오늘 하나님의 인도를 구하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사랑과 지혜의 하나님 아버지, 선하시고 신실하신 하나님이 제 발걸음을 확고히 해주실 것을 알고, 실망 속에서도 하나님을 신뢰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5/24/2021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22–24; JOHN 8:28–59
Hymn: 384(old 434)

GOT PLANS?

Caden, a young man of almost eighteen, was anticipating attending his first choice of a college on an academic scholarship. He was involved in a campus ministry in high school and looked forward to participating in a similar ministry in the new environment. He’d saved money from his part-time job and also had an excellent lead on a new job. He’d established some great goals, and everything was coming together exactly on schedule.

And then in the spring of 2020 a global health crisis changed everything.

The school let Caden know that his first semester would probably be online. The campus ministry was on hiatus. The job prospect dried up when the business closed. As he despaired, his buddy glibly quoted words from a well-known professional boxer: “Yeah, everyone has a plan until they get punched in the mouth.”

Proverbs 16 tells us that when we commit all we do to God, He’ll establish our plans and work things out according to His will (VV. 3–4). True commitment, however, can be difficult. It involves an open heart to God’s direction, along with a willingness to resist charting our course independently (V. 9; 19:21).

Dreams that don’t come to fruition can bring disappointment, but our limited vision for the future can never compete with God’s all-knowing ways. As we yield ourselves to Him, we can be certain that He’s still lovingly directing our steps even when we don’t see the path ahead (16:9). - CINDY HESS KASPER

Today's Reading

PROVERBS 16:3–9
In their hearts humans plan their course, but the Lord establishes their steps.
[ PROVERBS 16:9 ]

What disappointment changed your plans for the future?
What can you do to seek God’s guidance today?

Loving and wise Father, help me to trust You even in my disappointments knowing that You’re a good and faithful God and You’ll establish my steps.

오늘의 말씀

05/23/2021     주일

성경읽기: 역대상 19-21; 요한복음 8:1-27
찬송가: 374(통423)

보이지 않는 광경

유리 가가린이 인류 최초로 우주비행을 마친 후, 낙하산을 타고 러시아의 농촌마을에 떨어졌습니다. 한 농촌 여인이 여전히 헬멧을 쓴 채 낙하산 두 개를 끌고 있는 주황색 옷을 입은 이 우주 비행사를 발견했습니다. “당신 혹시 우주에서 오셨나요?” 그 여인이 놀라서 물었습니다. “그러고 보니, 실제로 우주에서 왔네요.”라고 그가 대답했습니다.

소련 지도자들은 유감스럽게도 이 역사적인 비행을 반 종교적 선전의 기회로 삼고, “가가린은 우주에 갔지만 그곳에서 어떤 신도 보지 못했다.”라고 소련 총리가 선언했습니다. (가가린 자신은 그런 말을 한 적이 없었습니다.) C.S. 루이스가 말했듯이 “지상에서 [하나님을] 찾지 못하는 사람들은 우주에서도 그분을 찾지 못할 것입니다.”

예수님은 이 생에서 하나님을 무시하는 것에 대해 경고하셨습니다. 주님은 죽은 두 사람, 곧 하나님을 위해서는 시간을 내지 않았던 부자와, 궁핍했으나 믿음에 부요했던 나사로의 이야기를 하셨습니다(누가복음 16:19-31). 고통 가운데 있는 부자는 아직 지상에 있는 그의 형제들을 위해 아브라함에게 애원하면서, “나사로를 보내소서”라고 아브라함에게 간청했습니다. “만일 죽은 자에게서 그들에게 가는 자가 있으면 회개하리이다”(27, 30절). 아브라함은 문제의 핵심을 집어 말했습니다. “모세와 선지자들에게 듣지 아니하면 비록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나는 자가 있을지라도 권함을 받지 아니하리라”(31절).

오스왈드 챔버스는 이렇게 썼습니다. “본다고 믿는 것은 절대 아니다. 우리는 우리가 믿는 것에 비추어 우리가 보는 것을 해석한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16:19-31
모세와 선지자들에게 듣지 아니하면 비록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나는 자가 있을지라도 권함을 받지 아니하리라
[누가복음 16:31]

당신은 하나님의 존재와 그리스도의 부활의 실제에 대해 무엇을 믿습니까?
당신의 믿음은 매일매일의 선택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오늘 아직 하나님을 믿지 않는 사람들을 위해 기도합니다.
성령님의 온화한 능력과 사랑으로 그들을 이끌어 주소서.

Daily Article

05/23/2021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19–21; JOHN 8:1–27
Hymn: 374(old 423)

SIGHT UNSEEN

After Yuri Gagarin became the first man in space, he parachuted into the Russian countryside. A farmwoman spotted the orange-clad cosmonaut, still wearing his helmet and dragging two parachutes. “Can it be that you have come from outer space?” she asked in surprise. “As a matter of fact, I have,” he said.

Soviet leaders sadly turned the historic flight into antireligious propaganda. “Gagarin went into space, but he didn’t see any god there,” their premier declared. (Gagarin himself never said such a thing.) As C. S. Lewis observed, “Those who do not find [God] on earth are unlikely to find Him in space.”

Jesus warned us about ignoring God in this life. He told a story of two men who died—a rich man who had no time for God, and Lazarus, a destitute man rich in faith (LUKE 16:19–31). In torment, the rich man pleaded with Abraham for his brothers still on earth. “Send Lazarus,” he begged Abraham. “If someone from the dead goes to them, they will repent” (VV. 27, 30). Abraham got to the heart of the problem: “If they do not listen to Moses and the Prophets, they will not be convinced even if someone rises from the dead” (V. 31).

“Seeing is never believing,” wrote Oswald Chambers. “We interpret what we see in the light of what we believe.”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LUKE 16:19–31
If they do not listen to Moses and the Prophets, they will not be convinced even if someone rises from the dead.
[ LUKE 16:31 ]

What do you believe about the existence of God and the reality of Christ’s resurrection?
How do your beliefs affect your day-to-day choices?

Father, I pray today for those who don’t yet believe in You.
Draw them by the gentle power and love of Your Holy Spirit.

오늘의 말씀

05/22/2021     토요일

성경읽기: 역대상 16-18; 요한복음 7:28-53
찬송가: 526(통316)

찾을 때 곁에 있는 물

세계에서 가장 깊은 호수인 바이칼 호수는 아주 거대하고 웅장합니다. 1마일(약 1.6킬로미터) 깊이에, 길이는 거의 400 마일(636 킬로미터), 폭이 49 마일(79 킬로미터)이며, 전 세계 지표면 담수의 1/5 정도를 담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물은 대체로 접근하기가 어렵습니다. 바이칼 호수는 러시아의 가장 외딴 지역의 하나인 시베리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지구상의 많은 곳에서 그렇게 절실히 물이 필요한데도, 이처럼 방대한 양의 물이 많은 사람들이 접근하기 어려운 곳에 숨겨져 있다는 사실이 아이러니합니다.

비록 바이칼 호수는 멀리 떨어져 있을지 모르지만, 가장 절실히 필요한 사람들이 이용할 수 있고 다가갈 수 있는 끝없는 생명수의 원천이 있습니다. 사마리아의 우물가에서 예수님은 한 여인과 대화를 나누시며, 그녀의 깊은 영적 갈증의 언저리를 살펴보셨습니다. 그녀의 마음속 필요를 채워줄 해결책이 무엇이었을까요? 바로 예수님이셨습니다.

그 여인이 우물에서 길어내려고 했던 물과 달리, 예수님은 더 좋은 것을 제안하셨습니다. “이 물을 마시는 자마다 다시 목마르려니와 내가 주는 물을 마시는 자는 영원히 목마르지 아니하리니 내가 주는 물은 그 속에서 영생하도록 솟아나는 샘물이 되리라”(요한복음 4:13-14).

많은 것들이 만족을 준다고 약속하지만, 어느 것도 우리 마음의 갈증을 완전히 해소시켜 주지 못합니다. 예수님만이 진정 우리의 영적 갈증을 채워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주님의 공급하심은 누구나 어디서나 누릴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4:7-14
내가 주는 물을 마시는 자는 영원히 목마르지 아니하리니
[요한복음 4:14]

인생의 충만함이나 만족을 어디서 찾고 계십니까?
왜 그리스도를 떠나서는 참된 만족을 찾을 수 없을까요?

사랑의 하나님, 생명을 주시고, 삶의 목적과 의미를 주시니 감사합니다.
하나님과 당신의 사랑 안에서 진정한 만족을 찾을 수 있도록 가르쳐 주소서.

Daily Article

05/22/2021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16–18; JOHN 7:28–53
Hymn: 526(old 316)

WATER WHERE WE NEED IT

Lake Baikal, the world’s deepest lake, is vast and magnificent. Measuring one-mile-deep and nearly 400 miles (636 km) by 49 miles (79 km) across, it contains one-fifth of all the surface fresh water in the world. But this water is largely inaccessible. Lake Baikal is located in Siberia—one of the most remote areas of Russia. With water so desperately needed for much of our planet, it’s ironic that such a vast supply of water is tucked away in a place where not many people can access it.

Although Lake Baikal may be remote, there is an endless source of life-giving water that is available and accessible to those who need it most. When at a well in Samaria, Jesus engaged a woman in conversation, probing at the edges of her deep spiritual thirst. The solution to her heart-need? Jesus Himself.

In contrast to the water she had come to draw from the well, Jesus offered something better: “Everyone who drinks this water will be thirsty again, but whoever drinks the water I give them will never thirst. Indeed, the water I give them will become in them a spring of water welling up to eternal life” (JOHN 4:13–14).

Many things promise satisfaction but never fully quench our thirsty hearts. Jesus alone can truly satisfy our spiritual thirst, and His provision is available to everyone, everywhere. - BILL CROWDER

Today's Reading

JOHN 4:7–14
Whoever drinks the water I give them will never thirst.
[ JOHN 4:14 ]

Where are you seeking fulfillment or satisfaction in life?
Why is the search for true satisfaction impossible apart from Christ?

Loving God, thank You for the life You provide and the purpose and meaning You give to me.
Teach me to find my truest satisfaction in You and Your love.

오늘의 말씀

05/21/2021     금요일

성경읽기: 역대상 13-15; 요한복음 7:1-27
찬송가: 429(통489)

안전하게 해변으로

파푸아뉴기니의 칸다스 부족은 자신들의 언어로 인쇄된 신약성경이 도착하기를 들뜬 마음으로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성경책을 가져오는 사람들이 마을에 닿으려면 작은 배를 타고 큰 바다를 건너야 했습니다.

무엇이 그들에게 큰 바다를 가로지를 용기를 주었을까요? 물론 항해기술이 있어야 했지만, 그들은 바다를 만드신 분이 누구인지도 알았습니다. 하나님은 우리 삶의 소용돌이치는 파도와 깊은 바다를 건너도록 인도해 주시는 분입니다.

다윗은 이렇게 기록하였습니다. “내가 주의 영을 떠나 어디로 가리이까” (시편 139:7). “내가 하늘에 올라갈지라도 거기 계시며......바다 끝에 가서 거주할지라도 거기서도 주의 손이 나를 인도하시며 주의 오른손이 나를 붙드시리이다”(8-10절).

이런 말씀들은 열대 해안에 짙은 우림과 거친 산들로 이루어진, “마지막 미지의 땅”이라고 불리는 섬나라에 사는 칸다스 부족에게 깊은 공감을 불러일으킬 만합니다. 그러나 그곳이나 세상 곳곳의 신자들이 알고 있듯이, 어떤 장소나 문제도 하나님에게서 너무 멀리 떨어진 것은 없습니다. 시편 139편 12절은 “주에게서는 흑암이 숨기지 못하며 밤이 낮과 같이 비추이나니 주에게는 흑암과 빛이 같음이니이다”라고 말합니다.

그러므로 우리 하나님이 폭풍이 이는 바다에 “잠잠하라 고요하라”고 말씀하시면 풍랑이 순종하는 것입니다(마가복음 4:39). 따라서 오늘 삶에서 만나는 깊고 거친 바다를 두려워하지 마십시오. 우리 하나님이 우리를 안전하게 해변으로 인도해 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39:7-12
잠잠하라 고요하라
[마가복음 4:39]

무엇이 하나님을 신뢰하지 못하게 유혹하고 있습니까? 오늘 하나님을 신뢰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합니까?

사랑의 하나님 아버지, 인생의 풍파를 다스리시고 저를 안전하게 해변으로 인도해 주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5/21/2021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13–15; JOHN 7:1–27
Hymn: 429(old 489)

SAFELY ASHORE

In Papua New Guinea, the Kandas tribe awaited with excitement the arrival of New Testament Bibles printed in their language. To reach the village, however, the people bringing the books had to travel on the ocean in small boats.

What gave them courage to travel across great waters? Their seafaring skills, yes. But they also knew who created the seas. He’s the One who guides each of us across our life’s churning waves and deepest waters.

As David wrote, “Where can I go from your Spirit?” (PSALM 139:7). “If I go up to the heavens, you are there; . . . if I settle on the far side of the sea, even there your hand will guide me, your right hand will hold me fast” (VV. 8–10).

These words would resonate deeply with the Kandas, who live on an island nation whose tropical coasts, dense rainforests, and rugged mountains have been called “The Last Unknown.” Yet as believers there and everywhere know, no place or problem is too remote for God. “Even the darkness will not be dark to you,” says Psalm 139:12, and “the night will shine like the day, for darkness is as light to you.”

On stormy waters, therefore, our God speaks, “Peace, be still!” and the waves and wind obey (MARK 4:39 nkjv). So, don’t fear life’s deep or turbulent waters today. Our God safely leads us ashore. -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PSALM 139:7–12
Peace, be still!
[ MARK 4:39 nkjv ]

What tempts you not to trust God? What do you need to trust Him with today?

Dear heavenly Father, You rule life’s winds and waves, and I thank You for guiding me safely to shore.

오늘의 말씀

05/20/2021     목요일

성경읽기: 역대상 10-12; 요한복음 6:45-71
찬송가: 524(통313)

뛰지 말고 걸어라

나는 새벽을 맞이하는 그녀를 매일 보았습니다. 그녀는 우리 지역의 알려진 경보 선수였습니다. 내가 아이들을 학교에 데려다줄 때 그녀는 갓길에서 걷고 있곤 했습니다. 아주 큰 헤드폰과 무릎까지 덮는 알록달록한 양말을 착용하고 그녀는 언제나 한 발은 땅에 닿게 하면서 팔과 발을 번갈아 움직이며 걸었습니다. 그 스포츠는 달리기나 조깅과는 다릅니다. 경보는 달리고자 하는 몸의 자연스러운 성향을 의도적으로 제지하는 과정이 수반됩니다. 비록 그렇게 보이지는 않아도, 경보에는 달리기나 조깅만큼 많은 에너지와 집중력, 그리고 힘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모두 다 통제받고 있습니다.

통제할 수 있는 힘, 그것이 핵심입니다. 성경에서 말하는 겸손은 경보와 마찬가지로 종종 약한 것으로 간주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겸손은 우리의 강점이나 능력을 약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이른 아침 경보 선수의 마음에 따라 움직이는 팔과 다리와 발처럼 그것들을 통제하는 것입니다.

“겸손하게 행하라”는 미가의 말은 우리가 하나님보다 앞서 나가려는 성향에 고삐를 조이라는 말입니다. 그는 “정의를 행하며 인자를 사랑하라”(6:8) 고 말하는데, 그 일을 위해 무언가를 하고 또 빨리 해내고 싶은 열망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이 세상에 일상적으로 불의가 너무 넘쳐나기 때문에 그럴 만도 합니다. 그러나 우리는 하나님의 통제와 인도를 받아야 합니다. 우리의 목표는 여기 이 세상에 ‘하나님의’ 나라가 시작될 때 ‘그분의’ 뜻과 목적이 성취되는 것을 보는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미가 6:6-8
겸손히 네 하나님과 함께 행하는 것이 아니냐
[미가 6:8]

당신은 어떤 상황에서 하나님보다 “앞질러 달려”왔습니까?
당신은 보통 겸손을 강점으로 보십니까, 아니면 약점으로 보십니까? 왜 그렇습니까?

하나님, 겸손히 하나님과 함께 행하는 것이 항상 쉽지는 않습니다.
제 발걸음이 하나님과, 그리고 하나님의 뜻과 조화를 이루도록 저를 훈련시켜 주소서.

Daily Article

05/20/2021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10–12; JOHN 6:45–71
Hymn: 524(old 313)

WALK, DON’T RUN

I’d see her welcoming the dawn each day. She was our local power walker. As I drove my kids to school, she’d be there on the road’s shoulder. Equipped with an oversized pair of headphones and knee-high, colorful socks, she walked with an alternating movement of arms and feet, always with one foot in contact with the ground. The sport is different from running or jogging. Power walking involves an intentional restraint, a reining in of the body’s natural inclination to run. Although it doesn’t look like it, there’s just as much energy, focus, and power involved as in running or jogging. But it’s under control.

Power under control—that’s the key. Biblical humility, like power walking, is often viewed as weakness. The truth is, it’s not. Humility isn’t diminishing our strengths or abilities, but rather allowing them to be reined in much like the arms and legs and feet guided by the mind of an early morning power walker.

Micah’s words “walk humbly” are a call for us to rein in our inclination to go ahead of God. He says “to act justly and to love mercy” (6:8), and that can bring with it a desire to do something and do it fast. That’s fair since the daily injustices in our world are so overwhelming. But we are to be controlled and directed by God. Our goal is to see His will and purposes accomplished in the dawning of His kingdom here on earth. - JOHN BLASE

Today's Reading

MIC AH 6:6–8
Walk humbly with your God.
[ MICAH 6:8 ]

In what circumstance have you “run ahead” of God?
Do you usually view humility as a strength or a weakness? Why?

To walk humbly with You, O God, is not always easy.
Train me, so that my steps are in tune with You and Your will.

오늘의 말씀

05/19/2021     수요일

성경읽기: 역대상 7-9; 요한복음 6:22-44
찬송가: 218(통369)

자기가 할 수 있는 일을 하였다

한 여인이 플라스틱 컵케이크 용기를 계산대의 컨베이어 벨트 위에 올려놓고 점원이 있는 쪽으로 보냈습니다. 생일 카드와 다양한 칩 봉지가 그 뒤를 따랐습니다. 하나로 질끈 묶은 그녀의 머리에서 머리카락이 빠져나와 피곤한 이마를 덮고 있었고, 그녀의 아이는 관심을 끌려고 큰소리로 떠들고 있었습니다. 점원이 전부 얼마라고 말하자 그 엄마가 얼굴을 떨구었습니다. “아, 이 아이의 파티를 위한 건데, 좀 덜어내야겠네요.” 그녀는 아이를 안타깝게 바라보며 한숨을 내쉬었습니다.

그녀의 뒤에 줄을 선 다른 손님이 그 엄마가 난처해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이 장면은 베다니에서 예수님이 마리아에게 “이 여자는 자기가 할 수 있는 일을 하였다”(마가복음 14:8, 새번역)라고 하신 말씀으로 우리에게 친숙한 장면과 비슷합니다. 마리아는 예수님이 돌아가시고 장사되기 전에 값비싼 나드 한 병으로 예수님께 기름을 부은 후 제자들에게 조롱을 당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그녀가 한 일을 축복하심으로써 제자들의 잘못을 바로잡으셨습니다. 주님은 “그녀는 자기가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하였다”라고 말씀하시지 않고,
“그녀는 자기가 할 수 있는 일을 하였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주님의 말씀의 요점은 향수의 비싼 가격이 아니었습니다. 중요한 것은 마리아가 그녀의 사랑의 투자를 행동으로 옮긴 것이었습니다. 그에 대한 응답으로 예수님과의 관계가 형성되었습니다.

바로 그때, 그 엄마가 만류하기도 전에 그 다음 손님이 앞으로 몸을 기울여 그녀의 신용카드를 카드기에 꽂아 대금을 대신 지불했습니다. 큰 비용도 아니었고, 그녀는 그 달에 여분의 자금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 엄마에게는 그것이 전부였습니다. 그 엄마가 도움이 필요한 그 순간에 순수한 사랑의 손길이 베풀어진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마가복음 14:3-9
이 여자는 자기가 할 수 있는 일을 하였다. 곧 내 몸에 향유를 부어서, 내 장례를 위하여 할 일을 미리 한 셈이다.
[마가복음 14:8, 새번역]

예수님께서 어떤 예상치 못한 방법으로 당신을 도와주셨습니까?
오늘 당신이 보는 도움이 필요한 상황에서 예수님의 사랑을 되갚기 위해 전부는 아니더라도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오늘 제 눈을 열어 제가 할 수 있는 일을 하라고 권하시는 주님을 보게 하소서.

Daily Article

05/19/2021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7–9; JOHN 6:22–44
Hymn: 218(old 369)

SHE DID WHAT SHE COULD

She loaded the plastic container of cupcakes onto the conveyor belt, sending it toward the cashier. Next came the birthday card and various bags of chips. Hair escaped from her ponytail, crowning her fatigued forehead. Her toddler clamored for attention. The clerk announced the total and the mom’s face fell. “Oh, I guess I’ll have to put something back. But these are for her party,” she sighed, glancing regretfully at her child.

Standing behind her in line, another customer recognized this mother’s pain. This scene is familiar in Jesus’ words to Mary of Bethany: “She did what she could” (MARK 14:8). After anointing Him with a bottle of expensive nard before His death and burial, Mary was ridiculed by the disciples. Jesus corrected His followers by celebrating what she had done. He didn’t say, “She did all she could,” but rather, “She did what she could.” The lavish cost of the perfume wasn’t His point. It was Mary’s investment of her love in action that mattered. A relationship with Jesus results in a response.

In that moment, before the mom could object, the second customer leaned forward and inserted her credit card into the reader, paying for the purchase. It wasn’t a large expense, and she had extra funds that month. But to that mom, it was everything. A gesture of pure love poured out in her moment of need. - ELISA MORGAN

Today's Reading

MARK 14:3–9
She did what she could. She poured perfume on my body beforehand to prepare for my burial.
[ MARK 14:8 ]

In what unexpected ways has Jesus helped you?
What might you do—not all, but what—to love Jesus back in a need you see today?

Father, open my eyes to see You inviting me to do what I can do today.

오늘의 말씀

05/18/2021     화요일

성경읽기: 역대상 4-6; 요한복음 6:1-21
찬송가: 84(통96)

어둠에 직면하기

1960년대 중반, 두 사람이 인간의 정신에 영향을 주는 어둠의 효과에 관한 연구에 참여했습니다. 그들이 각자의 동굴에 들어가자, 연구원들은 그들의 식습관과 수면습관을 계속 조사했습니다. 한 사람은 88일 동안, 다른 사람은 126일 동안 완전한 어둠 속에 머물렀습니다. 그들은 각자 어둠 속에서 얼마나 오래 머무를 수 있는지를 추측했었는데, 실제로 몇 달간 그렇게 머물렀던 것입니다. 그중 한 사람은 잠깐 낮잠을 잤다고 생각한 것이 ‘30 시간’을 잤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어둠은 감각을 혼란스럽게 만듭니다.

하나님의 백성들은 그들이 유배가 임박한 어둠의 상태에 놓여 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들은 무슨 일이 일어날지도 잘 모른 채 기다렸습니다. 이사야 선지자는 그들이 방향감각을 상실한 것과 하나님의 심판에 대해 말하기 위해 어둠을 은유적으로 사용했습니다(이사야 8:22). 이전에 이집트 사람들에게 재앙으로 어둠이 찾아온 적이 있었는데(출애굽기 10:21-29), 이제 이스라엘 사람들이 어둠 속에 처하게 된 것입니다.

하지만 빛이 올 것입니다. “흑암에 행하던 백성이 큰 빛을 보고 사망의 그늘진 땅에 거주하던 자에게 빛이 비치도다”(이사야 9:2). 억압하던 것이 무너지고 혼란스러운 것은 끝이 날 것입니다. 한 아기가 와서 모든 것을 변화시키고, 용서와 자유의 새로운 날을 가져올 것입니다(6절).

예수님께서 정말 오셨습니다! 비록 세상이 어두워 방향감각을 잃어 버릴지라도, 우리 모두 주님 안에 있는 용서와 자유, 빛이 주는 위안을 경험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9:2-6
흑암에 행하던 백성이 큰 빛을 보고
[이사야 9:2]

자유와 용서의 새로운 날을 받아들이는 것은 어떤 모습일까요?
오늘 그리스도의 빛을 어떻게 맞이하시겠습니까?

사랑하는 예수님, 주님의 빛을 제 삶에 비추어 용서와 자유를 얻게 하소서.
주님의 재림의 빛 안에서 살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5/18/2021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4–6; JOHN 6:1–21
Hymn: 84(old 96)

FACING THE DARKNESS

In the mid-1960s, two people participated in research on the effects of darkness on the human psyche. They entered separate caves, while researchers tracked their eating and sleeping habits. One remained in total darkness for 88 days, the other 126 days. Each guessed how long they could remain in darkness and were off by months. One took what he thought was a short nap only to discover he’d slept for 30 hours. Darkness is disorienting.

The people of God found themselves in the darkness of impending exile. They waited, unsure of what would take place. The prophet Isaiah used darkness as a metaphor for their disorientation and as a way of speaking about God’s judgment (ISAIAH 8:22). Previously, the Egyptians had been visited with darkness as a plague (EXODUS 10:21–29). Now Israel found herself in darkness.

But a light would come. “The people walking in darkness have seen a great light; on those living in the land of deep darkness a light has dawned” (ISAIAH 9:2). Oppression would be broken, disorientation would end. A Child would come to change everything and bring about a new day—a day of forgiveness and freedom (V. 6).

Jesus did come! And although the darkness of the world can be disorienting, may we experience the comfort of the forgiveness, freedom, and light found in Christ. - GLENN PACKIAM

Today's Reading

ISAIAH 9:2–6
The people walking in darkness have seen a great light.
[ ISAIAH 9:2 ]

What would it look like to embrace a new day of freedom and forgiveness?
How can you welcome the light of Christ today?

Dear Jesus, shine Your light into my life. Bring forgiveness and freedom.
Help me to live in the light of Your arrival.

오늘의 말씀

05/17/2021     월요일

성경읽기: 역대상 1-3; 요한복음 5:25-47
찬송가: 276(통334)

사랑으로 추적하심

영국 시인 프란시스 톰슨의 유명한 시 “천국의 사냥개”는 이렇게 시작됩니다. “나는 그분에게서 도망쳤다. 무수한 밤과 낮이 지나도록.” 톰슨은 그가 하나님으로부터 숨고, 심지어 도망가려고 노력해도 예수님이 끊임없이 추적하신다고 묘사합니다. 시인은 “그분이 찾는 사람은 바로 나”라고 하며 시를 끝맺습니다.

하나님의 추적하는 사랑은 요나서의 중심 주제입니다. 요나 선지자는 이스라엘의 악명 높은 적인 니느웨 사람들에게 하나님께로 돌이키라고 전하라는 사명을 받았지만, “요나는 여호와로부터 도망쳤습니다”(요나 1:3). 그는 니느웨 반대 방향으로 가는 배에 올랐으나 배는 곧 사나운 폭풍을 만났습니다. 선원들을 구하기 위해 요나는 바다속으로 던져졌고, 곧 큰 물고기가 그를 삼켰습니다(1:15-17).

요나는 그의 아름다운 시에서 그가 최선을 다해 하나님으로부터 도망하고자 했으나, 하나님이 그를 추적하셨다고 회상했습니다. 요나는 꼼짝 못하는 상황에서 구원받기 위해 하나님께 기도로 부르짖고 그분의 사랑에 매달렸습니다(2:2, 8). 하나님은 응답하셨고, 요나뿐 아니라 그의 적인 앗수르 사람들까지 구원해주셨습니다(3:10).

두 시에서 묘사된 것처럼, 우리 삶 속에서도 하나님으로부터 도망치려고 시도할 때가 있을지도 모릅니다. 그럴 때에도 예수님은 우리를 사랑하시며, 주님과의 관계를 다시 회복시키시기 위해 우리를 인도해 주십니다(요한1서 1:9).

오늘의 성구

요나 2:1-9
구원은 여호와께 속하였나이다 하니라
[요나 2:9]

당신은 언제 하나님으로부터 도망치려고 했습니까?
하나님께서 당신을 어떻게 구원해 주셨습니까?

예수님, 저를 구하시기 위해 사랑으로 추적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5/17/2021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1–3; JOHN 5:25–47
Hymn: 276(old 334)

PURSUED BY LOVE

“I fled Him, down the nights and down the days,” opens the famous poem “The Hound of Heaven” by English poet Francis Thompson. Thompson describes Jesus’ unceasing pursuit—despite his efforts to hide, or even run away, from God. The poet concludes, “I am he whom Thou seekest!”

The pursuing love of God is a central theme of the book of Jonah. The prophet received an assignment to tell the people of Nineveh (notorious enemies of Israel) about their need to turn to God, but instead “Jonah ran away from the Lord” (JONAH 1:3). He secured passage on a ship sail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Nineveh, but the vessel was soon overcome by a violent storm. To save the ship’s crew, Jonah was thrown overboard before being swallowed by a large fish (1:15–17).

In his own beautiful poem, Jonah recounted that despite his best efforts to run away from God, God pursued him. When Jonah was overcome by his situation and needed to be saved, he cried out to God in prayer and turned toward His love (2:2, 8). God answered and provided rescue not only for Jonah, but for his Assyrian enemies as well (3:10).

As described in both poems, there may be seasons of our lives when we try to run from God. Even then Jesus loves us and is at work guiding us back into restored relationship with Him (1 JOHN 1:9). - LISA M. SAMRA

Today's Reading

JONAH 2:1–9
I will say, “Salvation comes from the Lord.”
[ JONAH 2:9 ]

When have you tried to run from God?
How did He provide rescue?

Jesus, thank You for lovingly pursuing me to offer rescue.

오늘의 말씀

05/16/2021     주일

성경읽기: 열왕기하 24-25; 요한복음 5: 1-24
찬송가: 255(통187)

죄책감과 용서

인류학자 도널드 브라운은 그의 저서 ‘인간의 보편성’에서 인류 전반에 걸쳐 공통적이라고 생각하는 400가지 이상의 행동들을 열거하고 있습니다. 거기에는 장난감, 농담, 춤, 속담, 뱀에 대한 경계심, 끈으로 물건을 묶기 같은 것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는 또한 모든 문화에는 관대함이 칭송받고, 약속이 중시되며, 비열함과 살인 같은 것들이 잘못이라고 인식하는, 그런 옳고 그름의 개념이 있다고 믿습니다. 우리가 어디에서 왔던, 우리 모두에게는 양심이 있습니다.

바울 사도도 여러 세기 전에 이와 비슷한 지적을 했습니다. 하나님이 유대민족에게는 옳고 그름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십계명을 주셨지만, 이방인들이 양심을 지킴으로써 옳은 일을 할 수 있는 것은 하나님의 율법이 그들의 마음에 분명히 새겨져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로마서 2:14-15). 그렇다고 그것이 사람들이 항상 옳은 일을 ‘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방인들은 양심에 반하는 일을 하고(1:32) 유대인들은 율법을 어기는(2:17-24) 등, 모두 죄를 범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예수님을 믿는 믿음을 통해 우리의 모든 죄로부터 말미암은 죽음의 형벌을 없애 주십니다(3:23-26; 6:23).

하나님은 옳고 그름을 알 수 있도록 모든 인간을 창조하셨기 때문에, 우리 각자는 우리가 한 나쁜 일이나 우리가 하지 못한 좋은 일에 대해 어느 정도 죄책감을 느끼게 됩니다. 우리가 그 죄를 고백할 때, 하나님은 깨끗하게 닦은 화이트보드처럼 죄책감을 없애주십니다. 우리가 누구이며 어디에서 왔던, 우리가 해야 할 일은 하나님께 간구하는 것뿐입니다.

오늘의 성구

로마서 2:12-16
이런 이들은......그 마음에 새긴 율법의 행위를 나타내느니라
[로마서 2:15]

옳고 그름에 대한 인간의 지각은 어디에서 온다고 생각하십니까?
오늘 어떤 죄책감 때문에 예수님의 용서를 구하고 있습니까?

예수님, 저는 옳은 일을 하지 못하고 잘못을 저질러 왔습니다.
용서해 주소서. 제 대신 죽으심으로 제가 죽지 않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5/16/2021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2 KINGS 24–25; JOHN 5:1–24
Hymn: 255(old 187)

GUILT AND FORGIVENESS

In his book Human Universals, anthropologist Donald Brown lists more than four hundred behaviors that he considers common across humanity. He includes such things as toys, jokes, dances, and proverbs, wariness of snakes, and tying things with string! Likewise, he believes all cultures have concepts of right and wrong, where generosity is praised, promises are valued, and things like meanness and murder understood to be wrong. We all have a sense of conscience, wherever we’re from.

The apostle Paul made a similar point many centuries ago. While God gave the Jewish people the Ten Commandments to clarify right from wrong, Paul noted that since gentiles could do right by obeying their conscience, God’s laws were evidently written on their hearts (ROMANS 2:14–15). But that didn’t mean people always did what was right. The gentiles rebelled against their conscience (1:32), the Jews broke the Law (2:17–24), leaving both guilty. But through faith in Jesus, God removes the death penalty from all our rule-breaking (3:23–26; 6:23).

Since God created all humans with a sense of right and wrong, each of us will likely feel some guilt over a bad thing we’ve done or a good thing we failed to do. When we confess those sins, God wipes away the guilt like a whiteboard wiped clean. All we have to do is ask Him—whoever we are, wherever we’re from. - SHERIDAN VOYSEY

Today's Reading

ROMANS 2:12–16
They show that the requirements of the law are written on their hearts.
[ ROMANS 2:15 ]

Where do you think humanity’s sense of right and wrong comes from?
What guilt feelings are you wanting Jesus’ forgiveness for today?

Jesus, I’ve failed to do right and succeeded in doing wrong.
Forgive me. Thank You for dying my death so I don’t have to.

오늘의 말씀

05/15/2021     토요일

성경읽기: 열왕기하 22-23; 요한복음 4:31-54
찬송가: 502(통259)

빛나는 별

나는 눈을 감고 시간을 돌려 내가 자라난 집으로 돌아가 봅니다. 그러면 아버지와 함께 별을 바라본 기억이 납니다. 우리는 번갈아 가며 눈을 가늘게 뜨고 아버지의 망원경을 통해 반짝이고 깜빡이는 빛나는 점들에 초점을 맞추곤 했습니다. 열과 불에 의해 만들어진 이 빛나는 작은 점들은 매끄럽고 칠흑 같은 하늘과 뚜렷한 대조를 이루며 두드러지게 드러났습니다.

당신은 자신이 빛나는 별이라고 생각하십니까? 나는 인간 성취의 정점에 도달하는 것에 대해 말하는 것이 아니라, 완전히 망가지고 악한 어두움을 배경으로 두드러지게 드러나는 것에 대해 말하고 있습니다. 바울 사도는 빌립보 교인들에게 “생명의 말씀을 굳게 붙들고” 불평과 논쟁을 피할 때 하나님께서 그들 안에서, 그들을 통해 빛나실 것이라고 말했습니다(빌립보서 2:14-16).

하나님께 신실하고 다른 성도들과 연합함으로 우리는 세상과 구별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것들이 자연스럽게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우리는 하나님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려고 유혹을 극복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으며, 우리의 영적 형제자매들과 조화를 이루기 위해 우리 자신의 이기심과도 맞서 싸우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 희망이 있습니다. 신자들 안에 살아 계신 성령님은 우리가 절제하고 자비롭고 충성할 수 있도록 능력을 주십니다(갈라디아서 5:22-23). 우리가 타고난 능력 이상으로 살라고 부름을 받은 그대로, 하나님의 초자연적인 도움이 이것을 가능케 해줍니다(빌립보서 2:13). 모든 성도들이 성령님의 능력으로 “빛나는 별”이 된다면, 하나님의 빛이 우리 주변의 어두움을 어떻게 물리칠지 상상해 보십시오!

오늘의 성구

빌립보서 2:12-18
여러분은 이 세상에서 별과 같이 빛날 것입니다. 생명의 말씀을 굳게 잡으십시오.
[빌립보서 2:15-16, 새번역]

무엇이 예수님을 위한 당신의 빛을 어둡게 합니까?
그것을 밝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사랑의 하나님, 어둠 속에서 빛을 발할 수 있도록 성령께서 능력 주시기를 간구합니다.
다른 사람들을 사랑하고 하나님께 충성스러운 사람으로 만들어 주소서.

Daily Article

05/15/2021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2 KINGS 22–23; JOHN 4:31–54
Hymn: 502(old 259)

SHINING STARS

I can close my eyes and go back in time to the house where I grew up. I remember stargazing with my father. We took turns squinting through his telescope, trying to focus on glowing dots that shimmered and winked. These pinpricks of light, born of heat and fire, stood out in sharp contrast to the smooth, ink-black sky.

Do you consider yourself to be a shining star? I’m not talking about reaching the heights of human achievement, but standing out against a dark background of brokenness and evil. The apostle Paul told the Philippian believers that God would shine in and through them as they held “firmly to the word of life” and avoided grumbling and arguing (PHILIPPIANS 2:14–16).

Our unity with other believers and our faithfulness to God can set us apart from the world. The problem is that these things don’t come naturally. We constantly strive to overcome temptation so we can maintain a close relationship with God. We wrestle against selfishness to have harmony with our spiritual brothers and sisters.

But still, there’s hope. Alive in each believer, God’s Spirit empowers us to be self-controlled, kind, and faithful (GALATIANS 5:22–23). Just as we are called to live beyond our natural capacity, God’s supernatural help makes this possible (PHILIPPIANS 2:13). If every believer became a “shining star” through the power of the Spirit, just imagine how the light of God would repel the darkness around us! - JENNIFER BENSON SCHULDT

Today's Reading

PHILIPPIANS 2:12–18
You will shine among them like stars in the sky as you hold firmly to the word of life.
[ PHILIPPIANS 2:15–16 ]

What causes your light for Jesus to dim?
What do you need to do to brighten it?

Loving God, I ask Your Spirit to empower me to shine in the darkness.
Make me into someone who is known for my love of others and my faithfulness to You.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