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4/24/2021     토요일

성경읽기: 사무엘하 19-20; 누가복음 18:1-23
찬송가: 445(통502)

하나님과 함께여서 더 좋음

내 손녀딸은 대학 배구팀에 있을 때 경기에서 이기는 원리를 배웠습니다. 그것은 공이 자기 쪽으로 날아오면 어떤 수단을 써서든 “그 공을 더 좋은 위치로” 보내는 것입니다. 손녀는 화를 내거나 남 탓을 하거나 변명하지 않고, 팀원들에게 더 좋은 상황을 만들어주는 플레이를 했습니다. 언제나 상황을 더 좋게 만드는 것입니다.

이것은 바로 다니엘과 세 명의 히브리 친구들이 바벨론의 느부갓네살 왕에게 포로로 잡혀갔을 때의 다니엘의 태도였습니다. 그들이 이교도의 이름으로 바뀌어 불리고, 적의 궁궐에서 3년의 “훈련” 기간이.주어졌을 때에도 다니엘은 분노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그는 왕의 기름진 음식과 술을 먹음으로써 하나님 앞에 자신을 더럽히지 않게 해달라고 허락을 구했습니다. 이 흥미로운 성경 이야기에서 보여주는 것처럼, 다니엘과 세 친구는 열흘 동안 채소와 물만 먹고도(다니엘 1:12) “왕의 음식을 먹는 다른 사람들보다 더 건강하고 혈색이 좋았습니다”(15절).

이후 느부갓네살 왕은 다니엘과 왕실의 박사들에게 자신을 번민케 한 꿈이 무엇인지 말하고 해석하지 못하면 모두 죽이겠다고 위협했습니다. 이번에도 다니엘은 두려워하지 않고 “하늘에 계신 하나님께” 자비를 구했고, 그 비밀은 다니엘에게 환상으로 나타났습니다(2:19). 다니엘이 하나님에 관해 선포한 것처럼 “지혜와 권능이 하나님의 것입니다”(20절, 새번역). 다니엘은 포로 생활 동안 여러 어려움을 겪었음에도 언제나 하나님 보시기에 최선의 것을 추구했습니다. 우리도 이것을 본받아 우리 자신의 어려움을 하나님께 맡김으로 상황을 더 좋게 만들 수 있게 되기를 소원합니다.

오늘의 성구

다니엘 1:11-16; 2:19-20
지혜와 능력이 그에게 있음이로다 [다니엘 2:20]

사랑의 하나님, 삶의 고난이 오늘 너무 버겁습니다. 하나님께로 가오니 낙심 대신 새 힘을 얻어 하나님과 더 나은 여정으로 가게 하소서.

당신은 지금 어떤 고난에 처해 있습니까? 그 고난에서 돌이켜 하나님을 찾을 때 하나님은 당신의 여정을 어떻게 더 좋게 만들어주십니까?

Daily Article

04/24/2021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2 SAMUEL 19–20; LUKE 18:1–23
Hymn: 445(old 502)

BETTER WITH GOD

On her college volleyball team, my granddaughter learned a winning principle. When the ball came her way, no matter what, she could “better the ball.” She could make a play that left her teammates in a better situation—without throwing tantrums, blaming, or making excuses. Always make the situation better.

That was Daniel’s response when he and three Hebrew friends were taken into captivity by Babylon’s king Nebuchadnezzar. Although they were given pagan names and ordered to take three years of “training” in the enemy’s palace, Daniel didn’t rage. Instead, he asked permission not to defile himself in God’s sight by eating the king’s rich food and wine. As this intriguing Bible story shows, after consuming nothing but vegetables and water for ten days (DANIEL 1:12), Daniel and his friends “looked healthier and better nourished than any of the young men who ate the royal food” (V. 15).

Another time, Nebuchadnezzar threatened to kill Daniel and all palace wise men if they couldn’t repeat the king’s disturbing dream and interpret it. Again, Daniel didn’t panic, but sought mercy “from the God of heaven,” and the mystery was revealed to him in a vision (2:19). As Daniel declared of God, “wisdom and power are his” (V. 20). Throughout his captivity, Daniel sought God’s best despite the conflicts he faced. In our own troubles, may we follow that example, making the situation better by taking it to God.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DANIEL 1:11–16; 2:19–20
Wisdom and power are his. [ DANIEL 2:20 ]

Loving God, life’s challenges feel overwhelming today. As I turn to You, inspire me to shed my despair to journey better with You.

What battles are you facing now? As you turn from those troubles and seek God, how does He make your journey better?

오늘의 말씀

04/23/2021     금요일

성경읽기: 사무엘하 16-18; 누가복음 17:20-37
찬송가: 329(통267)

새로운 관점으로 보기

하나의 문화 현상으로 자리 잡은 비디오 게임 중에, 가상 공간의 섬에 백 명의 선수를 배치하고 마지막 한 명이 살아남을 때까지 싸우게 하는 게임이 있습니다. 누군가가 당신을 탈락시키면 당신은 이제 그 사람의 관점에서 게임을 계속 지켜볼 수 있습니다. 한 기자는 이렇게 말합니다. “당신이 다른 선수의 입장이 되어 그들의 관점으로 바라보게 되면......자기방어에서......공동 연대로 감정이 전환되고, 오래지 않아 당신을 탈락시킨 그 모르던 사람과 한 편 같이 느끼기 시작합니다.”

언제든 우리 자신만을 바라보는 것을 넘어 다른 사람들의 고통과 두려움, 또는 희망에 공감하며 다른 사람들의 경험에 마음을 열 때 변화가 일어납니다. 우리가 예수님의 본을 따라 “아무 일에든지 다툼이나 허영으로 하지 말고 오직 겸손한 마음으로 각각 [우리] 자신보다 남을 낫게 여기고” 지낸다면 우리는 정작 중요한 것을 놓치지 않을 수 있습니다(빌립보서 2:3). 그럴 때 우리의 관심의 폭이 넓어지고 새로운 질문을 하게 됩니다. 나 자신의 필요와 염려에만 국한되지 않고 다른 사람의 안위에도 관심을 두게 되고, “[우리] 자신의 일”만 돌보기보다는 “다른 사람들의 일”을 돌보게 됩니다(4절). 나의 성공에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것들을 지키기보다는 다른 사람들이 잘 되도록 무엇이든 기쁨으로 돕는 데 노력을 기울이게 됩니다.

이렇게 우리의 시각이 바뀌면 다른 사람을 향한 긍휼한 마음을 갖게 됩니다. 가족을 사랑하는 새로운 방법을 발견하게 되고, 원수까지도 친구로 만들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빌립보서 2:1-5
각각 자기 일을 돌볼뿐더러 또한 다른 사람들의 일을 돌보아 [빌립보서 2:4]

예수님, 저는 제 두려움과 고통, 부족함만 바라볼 때가 너무나 많습니다. 주변의 형제 자매들을 볼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그들을 진심으로 대하고 사랑하기 원합니다.

편협하고 이기적이 되지 않도록 성령님께서 어떻게 도우실 수 있을까요? 새로운 관점으로 다른 사람들을 보도록 하나님께서 어떻게 인도해 주십니까?

Daily Article

04/23/2021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2 SAMUEL 16–18; LUKE 17:20–37
Hymn: 329(old 267)

SEEING WITH NEW EYES

A video game, one that’s become a cultural phenomenon, places a hundred players on a virtual island to compete until one player remains. Whenever a player eliminates you from the contest, you can continue to watch through that player’s vantage point. As one journalist notes, “When you step into another player’s shoes and inhabit their point of view, the emotional register . . . shifts from self-preservation to . . . communal solidarity. . . . You begin to feel invested in the stranger who, not too long ago, did you in.”

Transformation happens whenever we open ourselves to see another’s experience, looking beyond our own vision and encountering another’s pain, fear, or hopes. When we follow Jesus’ example and “do nothing out of selfish ambition or vain conceit” and instead “in humility value others above [our]selves,” then we notice things we would have missed otherwise (PHILIPPIANS 2:3). Our concerns broaden. We ask different questions. Rather than being preoccupied with only our own needs or angst, we become invested in others’ well-being. Rather than looking to “[our] own interests,” we become committed “to the interests of . . . others” (V. 4). Rather than protecting what we assume we need to thrive, we joyfully pursue whatever helps others flourish.

With this transformed vision, we gain compassion for others. We discover new ways to love our family. We may even make a friend out of an enemy! WINN COLLIER

Today's Reading

PHILIPPIANS 2:1–5
[Don’t look] to your own interests but each of you to the interests of . . . others. [ PHILIPPIANS 2:4 ]

Jesus, too often what I see is only my fear, my pain, or my lack. Help me to see my sisters and brothers. I want to truly see them and love them.

How can the Holy Spirit help you avoid becoming small, narrow, or selfish? How do you think God’s inviting you to see others with new eyes?

오늘의 말씀

04/22/2021     목요일

성경읽기: 사무엘하 14-15; 누가복음 17:1-19
찬송가: 291(통413)

위로의 하나님

새끼 고양이 라다메네스의 주인은 고양이가 회복되지 못할 정도로 아픈 것 같아 동물보호소에 맡겼습니다. 하지만 고양이는 간호를 받아 건강을 회복하고 수의사에게 입양되었습니다. 이제 그 고양이는 동물보호소에 상주하면서 방금 수술을 마쳤거나 병에서 회복 중인 다른 개와 고양이에게 부드러운 소리로 가르랑거리며 함께 있으면서 그들을 “위로하는” 역할을 감당하고 있습니다.

이 이야기는 사랑의 하나님께서 우리를 위해 무엇을 하시고, 그 보답으로 우리가 다른 이들에게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단편적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하나님은 아픔과 고통 가운데 있는 우리를 돌보시고 우리와 함께하심으로 위로를 주십니다. 바울 사도는 고린도후서에서 우리 하나님을 “자비의 아버지시요 모든 위로의 하나님”(1:3)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낙심되거나 우울하고 괴로울 때 하나님께서 우리와 함께 하십니다. 우리가 기도로 하나님께로 향할 때 그분은 “우리의 모든 환난 중에서 우리를 위로”(4절) 해 주십니다.

하지만 4절은 거기서 끝나지 않습니다. 극심한 고통을 경험했던 바울은 계속해서 “우리로 하여금 하나님께 받는 위로로써 모든 환난 중에 있는 자들을 능히 위로하게 하신다”고 말합니다. 우리 하나님 아버지는 우리를 위로해 주십니다. 그리고 그 위로를 경험할 때 우리도 다른 이들을 위로해줄 수 있습니다.

우리를 위해 고난을 당하신 자비로운 구주께서는 고통과 괴로움 가운데 있는 우리를 위로하시는 것 이상의 일을 하십니다(5절). 주님은 고통받는 우리를 도우실 뿐 아니라 우리도 똑같이 다른 이들을 도울 수 있게 준비시켜 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후서 1:3-7
[하나님은] 우리의 모든 환난 중에서 우리를 위로하사 우리로 하여금 모든 환난 중에 있는 자들을 능히 위로하게 하시는 이시로다 [고린도후서 1:4]

사랑하는 하나님, 함께 하셔서 저의 아픔과 슬픔을 위로해 주시니 감사합니다. 이제 제가 다른 사람들을 위로할 수 있게 도와주소서.

어려울 때 하나님의 위로를 경험했던 적이 있습니까? 다른 이들에게 하나님의 위로를 전했던 적이 언제입니까?

Daily Article

04/22/2021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2 SAMUEL 14–15; LUKE 17:1–19
Hymn: 291(old 413)

THE GOD OF ALL COMFORT

Radamenes was just a kitten when his owner dropped him off at an animal shelter, thinking he was too ill to recover. The kitten was nursed back to health and adopted by the vet. He then became a fulltime resident at the shelter and now spends his days “comforting” cats and dogs—just out of surgery or recovering from an illness—through his warm presence and gentle purr.

That story is a small picture of what our loving God does for us—and what we can do for others in return. He cares for us in our sickness and struggles, and He soothes us with His presence. The apostle Paul in 2 Corinthians calls our God, “the Father of compassion and the God of all comfort” (1:3). When we are discouraged, depressed, or mistreated, He’s there for us. When we turn to Him in prayer, He “comforts us in all our troubles” (V. 4).

But verse 4 doesn’t end there. Paul, who had experienced intense suffering, continues, “so that we can comfort those in any trouble with the comfort we ourselves receive from God.” Our Father comforts us, and when we’ve experienced His comfort, we’re enabled to comfort others.

Our compassionate Savior, who suffered for us, is more than able to comfort us in our suffering and distress (V. 5). He helps us through our pain and equips us to do the same for others. ALYSON KIEDA

Today's Reading

2 CORINTHIANS 1:3–7
[God] comforts us in all our troubles, so that we can comfort those in any trouble. [ 2 CORINTHIANS 1:4 ]

Dear God, thank You for Your comforting presence in my pain and sorrow. Help me in turn to be a comfort to others.

When have you experienced God’s comfort during a difficult time? When have you offered God’s comfort to others?

오늘의 말씀

04/21/2021     수요일

성경읽기: 사무엘하 12-13; 누가복음 16
찬송가: 212(통347)

무례한 사람들

루시 워슬리는 영국의 사학자이자 텔레비전 진행자입니다. 대중 앞에 서는 대부분의 사람들처럼 그녀도 가끔 불쾌한 메일을 받습니다. 루시의 경우는 그녀의 r 발음이 w처럼 들리는 가벼운 언어 장애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어떤 사람이 이렇게 썼습니다. “루시, 그냥 대놓고 말할게요. 어눌한 발음을 제대로 고치든지, 아니면 대본에서 r 소리를 다 빼주세요. 너무 짜증이 나서 당신 프로그램을 끝까지 봐 줄 수가 없네요. 대런 보냄.”

이런 험한 말을 들으면 보통은 똑같이 험한 말로 대하기가 쉽습니다. 하지만 루시는 이렇게 답을 했습니다. “대런님, 제 앞에서라면 못하실 말을 인터넷의 익명성을 이용하여 하신 것 같군요. 심한 말씀을 하셨는데 다시 한번 생각해 주시기 바랍니다! 루시 드림.”

루시의 절제된 답변은 효과가 있었습니다. 대런은 사과하면서 다시는 다른 사람들에게 그와 같은 이메일을 보내지 않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잠언에는 “유순한 대답은 분노를 쉬게 하여도 과격한 말은 노를 격동 하느니라”(15:1)는 말씀이 있습니다. 화를 쉽게 내는 자는 다툼을 일으켜도, 노하기를 더디 하는 자는 시비를 그치게 합니다(18절). 동료의 비판적 발언이나 가족의 헐뜯는 말, 또는 모르는 사람에게서 불쾌한 답을 들을 때, 우리는 분노를 불러일으키는 성난 말을 할 것인지 아니면 화를 가라앉히는 부드러운 말을 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 분노를 잠재우는 말을 할 수 있도록, 더 나아가 무례한 사람들이 달라질 있도록 우리를 도와주소서.

오늘의 성구

잠언 15:1-7, 18
유순한 대답은 분노를 쉬게 하여도 과격한 말은 노를 격동하느니라 [잠언 15:1]

사랑의 하나님, 다툼을 일으키는 이들을 인내와 부드러운 말로 대할 수 있게 해주소서.

누군가와의 사이에서 나 자신만 지키려 했던 경우를 생각해 보십시오. 왜 그렇게 대응한 것 같습니까? 하나님이 도우셨다면 어떻게 다르게 대했을까요?

Daily Article

04/21/2021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 2 SAMUEL 12–13; LUKE 16
Hymn: 212(old 347)

DIFFICULT PEOPLE

Lucy Worsley is a British historian and TV presenter. Like most people in the public eye, she sometimes receives nasty mail—in her case, over a mild speech impediment that makes her r’s sound like w’s. One person wrote this: “Lucy, I’ll be blunt: Please try harder to correct your lazy speech or remove r’s from your scripts—I couldn’t sit through your TV series because it made me so annoyed. Regards, Darren.”

For some people, an insensitive comment like this might trigger an equally rude reply. But here’s how Lucy responded: “Oh Darren, I think you’ve used the anonymity of the internet to say something you probably wouldn’t say to my face. Please reconsider your unkind words! Lucy.”

Lucy’s measured response worked. Darren apologized and vowed not to send anyone such an email again.

“A gentle answer turns away wrath,” Proverbs says, “but a harsh word stirs up anger” (15:1). While the hot-tempered person stirs things up, the patient person calms them down (V. 18). When we get a critical comment from a colleague, a snide remark from a family member, or a nasty reply from a stranger, we have a choice: to speak angry words that fuel the flames or gentle words that douse them.

May God help us to speak words that turn away wrath—and perhaps even help difficult people to change. SHERIDAN VOYSEY

Today's Reading

PROV ERBS 15:1–7, 18
A gentle answer turns away wrath, but a harsh word stirs up anger. [ PROVERBS 15:1 ]

Loving God, give me the ability to respond to quarrelsome people with patient, gentle words.

Think of a time you got defensive with someone. Why do you think you reacted that way? How could you respond differently in God’s power?

오늘의 말씀

04/20/2021     화요일

성경읽기: 2 SAMUEL 9–11; LUKE 15:11–32
찬송가: 191(통427)

예수님의 약속

제이슨의 부모가 제이슨을 에이미에게 넘겨주자 아이가 울기 시작했습니다. 두 살배기 제이슨은 엄마 아빠가 예배를 드릴 동안 처음으로 유아실에 따로 있게 되었는데 그것이 편하지 않았던 것입니다. 에이미는 아이가 괜찮아질 거라며 그들을 안심시켰습니다. 그리고 아이를 장난감과 책으로 달래 보고, 흔들의자에 태워 보고, 함께 걸어 보고, 가만히 서 있어 보고, 무슨 재미있는 것을 해볼까 말도 걸어 보았습니다. 하지만 무엇을 해도 아이는 더 큰 소리로 울 뿐이었습니다. 그러자 에이미는 아이의 귀에다 간단히 이렇게 속삭였습니다. “내가 옆에 있어줄게.” 그러자 바로 평온함이 찾아왔습니다.

예수님은 십자가에서 고난을 당하시게 되는 그 주간에 제자들에게 이와 비슷한 위로의 말씀을 하셨습니다. “내가 아버지께 구하겠으니 그가 또 다른 보혜사를 너희에게 주사 영원토록 너희와 함께 있게 하리니 그는 진리의 영이라”(요한복음 14:16-17). 부활하신 후에는 이런 약속도 주셨습니다. “내가 세상 끝날까지 너희와 항상 함께 있으리라”(마태복음 28:20). 예수님은 곧 하늘로 올라가셨지만 성령님을 보내어 그의 백성들 안에 “머무르고” 그들과 함께 살게 하셨습니다.

눈물이 흐를 때 우리는 성령님이 주시는 위로와 평안을 경험하게 됩니다. 그리고 어찌할 바를 모를 때 그분의 인도하심을 받습니다(요한복음 14:26). 성령님은 우리의 눈을 열어 하나님을 더 알게 하시고(에베소서 1:17-20), 연약할 때 도우시며 우리를 위해 간구하십니다(로마서 8:26-27).

성령님은 우리와 영원히 함께 하십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4:15-21, 25-27
그가 또 다른 보혜사를 너희에게 주사 영원토록 너희와 함께 있게 하리니 [요한복음 14:16]

예수님께서 항상 제 곁에 계시니 얼마나 감사한지요! 제게는 주님이 필요합니다.

오늘 성령님께 구하는 것이 무엇입니까? 그분이 항상 곁에 계신다는 것을 알면 어떻게 도움이 됩니까?

Daily Article

04/20/2021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사무엘하 9-11; 누가복음 15:11-32
Hymn: 191(old 427)

JESUS’ PROMISE TO YOU

Jason wailed as his parents handed him over to Amy. It was the two-year-old’s first time in the nursery while Mom and Dad attended the service—and he was not happy. Amy assured them he’d be fine. She tried to soothe him with toys and books, by rocking in a chair, walking around, standing still, and talking about what fun he could have. But everything was met with bigger tears and louder cries. Then she whispered five simple words in his ear: “I will stay with you.” Peace and comfort quickly came.

Jesus offered His friends similar words of comfort during the week of His crucifixion: “The Father . . . will give you another advocate to help you and be with you forever—the Spirit of truth” (JOHN 14:16–17). After His resurrection He gave them this promise: “Surely I am with you always, to the very end of the age” (MATTHEW 28:20). Jesus was soon to ascend to heaven, but He would send the Spirit to “stay” and live within His people.

We experience the Spirit’s comfort and peace when our tears flow. We receive His guidance when we’re wondering what to do (JOHN 14:26). He opens our eyes to understand more of God (EPHESIANS 1:17–20), and He helps us in our weakness and prays for us (ROMANS 8:26–27).

He stays with us forever. ANNE CETAS

Today's Reading

JOHN 14:15–21, 25–27
He will give you another advocate to help you and be with you forever. [ JOHN 14:16 ]

How thankful I am that You remain always by my side, Jesus! I need You.

What do you need from the Holy Spirit today? How can knowing He’s always near help you?

오늘의 말씀

04/19/2021     월요일

성경읽기: 사무엘하 6-8; 누가복음 15:1-10
찬송가: 543(통342)

두려움으로 격리됨

2020년 코로나 바이러스의 발생으로 전 세계가 두려움에 휩싸였습니다. 사람들은 격리되었고 많은 나라들이 봉쇄 조치에 들어갔으며 항공편과 대규모 행사들이 취소되었습니다. 발병 사례가 없는 곳에 사는 사람들도 바이러스에 감염될까 두려워했습니다. 불안감에 대한 전문가인 그래함 데이비는 부정적인 뉴스가 “사람들을 더 우울하고 불안하게 만들 수 있다”고 했습니다. 소셜 미디어에 떠돌고 있는 어떤 그림에는 한 남자가 텔레비전 뉴스를 보며 어떻게 하면 걱정에서 벗어날 수 있는지를 묻습니다. 그러자 방에 있던 다른 사람이 다가와 텔레비전을 끕니다. 해답은 관심을 다른 데로 돌리는 것일 수도 있다는 것을 말하려는 것이지요!

누가복음 12장은 걱정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으로 “그의 나라를 구하라”(31절)고 말합니다. 하나님의 백성들에게 천국에 유업이 있다는 약속에 마음을 집중할 때 우리는 하나님 나라를 추구하게 됩니다. 어려움에 봉착할 때에는 시선을 돌려 하나님께서 우리를 보시고 우리의 필요를 아신다는 것을 기억하면 됩니다(24-30절).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적은 무리여 무서워 말라 너희 아버지께서 그 나라를 너희에게 주시기를 기뻐하시느니라”(32절)고 말씀하시며 용기를 주셨습니다. 하나님은 우리를 축복하기를 즐겨하십니다! 하나님을 경배합시다. 하나님은 우리를 공중의 새와 들의 꽃보다 더 돌보시는 분이십니다(22-29절). 어려운 때에도 우리는 성경을 읽고, 하나님의 평안을 간구하며, 선하시고 신실하신 우리 하나님을 신뢰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12:22-34
그의 나라를 구하라 [누가복음 12:31]

사랑의 하나님, 두려움과 걱정으로 살지 말고 저를 돌보시는 하나님께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오늘 당신을 두렵게 하는 것이 무엇입니까? 걱정이 될 때 하나님 나라를 구하기 위해 할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은 무엇입니까?

Daily Article

04/19/2021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2 SAMUEL 6–8; LUKE 15:1–10
Hymn: 543(old 342)

QUARANTINED BY FEAR

In 2020, an outbreak of the coronavirus left the world in fear. People were quarantined, countries were put under lockdown, flights and large events were canceled. Those living in areas with no known cases still feared they might get the virus. Graham Davey, an expert in anxiety, believes that negative news broadcasts are “likely to make you sadder and more anxious.” A meme that circulated on social media showed a man watching the news on TV, and he asked how to stop worrying. In response, another person in the room reached over and flipped off the TV, suggesting that the answer might be a shift in focus!

Luke 12 gives us some advice to help us stop worrying: “Seek his kingdom” (V. 31). We seek God’s kingdom when we focus on the promise that His followers have an inheritance in heaven. When we face difficulty, we can shift our focus and remember that God sees us and knows our needs (VV. 24–30).

Jesus encourages His disciples: “Do not be afraid, little flock, for your Father has been pleased to give you the kingdom” (V. 32). God enjoys blessing us! Let’s worship Him, knowing He cares for us more than the birds of the air and the flowers of the field (VV. 22–29). Even in difficult times, we can read the Scriptures, pray for God’s peace, and trust in our good and faithful God. JULIE SCHWAB

Today's Reading

LUKE 12:22–34
Seek his kingdom. [ LUKE 12:31 ]

Loving God, instead of living in fear or worry, help me to focus on Your care for me.

What’s causing you to fear today? What’s one thing you can do to seek God’s kingdom when you begin to worry?

오늘의 말씀

04/18/2021     주일

성경읽기: 2 SAMUEL 3–5; LUKE 14:25–35
찬송가: 303(통403)

굳은 땅과 부드러운 자비

제임스가 겨우 여섯 살 때 슬프게도 그의 형 데이빗이 스케이트 사고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그날은 데이빗의 열네 번째 생일 바로 전 날이었습니다. 그 후 몇 년 동안 제임스는 최선을 다해 깊은 슬픔에 잠긴 엄마를 위로했는데, 때때로 엄마 마가렛은 큰 아들이 크면서 마주칠 세상의 어려움을 겪지 않아도 된다는 생각으로 마음을 가라앉히곤 했습니다. 수십 년이 지나 제임스 베리는 이 일을 바탕으로 상상력을 발휘해서 영원히 늙지 않는 주인공에 대한 동화를 썼는데, 그것이 바로 많은 사람의 사랑을 받는 피터 팬 이야기입니다. 마치 한 송이 꽃이 아스팔트를 뚫고 피어난 것처럼, 상상 못할 고통의 굳은 땅속에서 선한 것이 피어난 것입니다.

하나님은 가장 힘든 상황에서도 무한히 더 창조적인 방법으로 선한 일을 이루실 수 있다는 사실이 얼마나 위안이 되는지 모릅니다. 그 아름다운 예가 구약에 있는 룻의 이야기입니다. 나오미는 두 아들을 잃은 후 생계를 유지할 수 없었습니다. 과부가 된 며느리 룻은 나오미 곁에 남아서 그녀를 부양하고 그녀의 하나님을 섬기기로 마음을 정했습니다(룻기 1:16). 훗날 그들은 하나님의 예비하심으로 상상도 못했던 기쁨을 누리게 되었습니다. 룻은 다시 결혼하여 아이를 낳고, “그의 이름을 오벳이라 하였는데 그는 다윗의 아버지인 이새의 아버지였습니다”(4:17). 그는 예수님의 조상 가운데 한 사람으로도 기록되었습니다(마태복음 1:5).

하나님의 부드러운 자비는 감히 측량할 수 없으며, 예상치 못한 곳에서 우리에게 나타납니다. 계속 찾아보십시오! 어쩌면 오늘 발견하게 될지도 모릅니다.

오늘의 성구

룻기 4:13-22
주님께 찬양을 드립니다. [룻기 4:14, 새번역]

사랑의 하나님, 제가 겪게 될 어떤 마음의 고통이나 역경보다 더 크셔서, 언젠가 제 모든 눈물을 닦아주실 하나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살면서 어려울 때 하나님께서 예기치 못한 선함을 보이신 적이 있습니까? 그분께서 베푸신 일을 어떻게 다른 사람들과 나눌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4/18/2021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사무엘하 3-5; 누가복음 14:25-35
Hymn: 303(old 403)

HARD GROUND AND TENDER MERCY

When James was just six years old, his older brother David died tragically in an ice-skating accident. It was the day before David’s fourteenth birthday. In the years that followed, James tried his best to console his mother, Margaret, who in her deep grief sometimes reminded herself that her elder son would never have to face the challenges of growing up. In James Barrie’s fertile imagination, decades later that same idea would burgeon into inspiration for a much-loved children’s story character who never aged: Peter Pan. Like a flower pushing its way through pavement, good emerged even from the hard ground of unthinkable heartache.

How comforting is the thought that God, in an infinitely more creative way, is able to bring good out of our most difficult circumstances. A beautiful illustration of this occurs in the Old Testament story of Ruth. Naomi lost her two sons, leaving her without means or support. Her widowed daughter-in-law Ruth chose to remain with Naomi to help provide for her and to serve her God (RUTH 1:16). In the end, God’s provision brought them unexpected joy. Ruth remarried and had a child, “and they named him Obed. He was the father of Jesse, the father of David” (4:17). He would also be listed among the ancestors of Jesus (MATTHEW 1:5).

God’s tender mercy reaches beyond our ability to fathom and meets us in surprising places. Keep looking! Perhaps you’ll see it today. JAMES BANKS

Today's Reading

RUTH 4:13–22
Praise be to the Lord. [ RUTH 4:14 ]

Loving God, I thank You that one day You’ll wipe every tear from my eyes because You’re greater than every heartache or difficulty I’ll ever face.

When have you seen God bring unexpected good out of difficult circumstances in your life? How can you share what He’s done with others?

오늘의 말씀

04/17/2021     토요일

성경읽기: 사무엘하 1-2; 누가복음 14:1-24
찬송가: 380(통424)

창문

히말라야 산간 지역을 방문한 한 남자는 그곳에 한 줄로 들어선 집들에 창문이 없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안내인의 설명에 따르면 어떤 마을 사람들은 자는 동안에 악한 영이 집으로 들어올 것을 두려워하여 침투할 수 없는 벽을 만들었다고 하였습니다. 벽에 창문을 내어 빛이 들어오게 한 집이 있다면 그 집 주인이 예수님을 믿기 시작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합니다.

우리 안에도 꼭 그런 식은 아니라도 이와 비슷한 현상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우리는 두려움과 분열의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사탄과 그의 부하 마귀들은 분노를 일으켜 가족과 친구들을 분열시킵니다. 나는 내가 세운 벽 뒤로 숨고 싶을 때가 많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거기에 창문을 내라고 하십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성벽을 더 높이 쌓아 피난처로 삼았지만, 하나님은 그들의 안위가 하나님께 달려 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하나님은 하늘에서 통치하시고, 그분의 말씀은 모든 것을 다스리십니다(이사야 55:10-11). 이스라엘이 하나님께로 돌아온다면 하나님은 그들을 “긍휼히 여기시고”(7절), 그들을 하나님의 백성으로 회복시켜 세상을 복되게 하시고(창세기 12:1-3), 훗날 그들을 높여 궁극적으로 승리의 행진을 하게 하실 것이었습니다. “이것이 여호와의 기념이 되며 영영한 표징이 되어 끊어지지 아니하리라”(이사야 55:13).

때로는 벽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창문이 있는 벽이 가장 좋습니다. 창문은 우리의 미래를 하나님께 맡긴다는 것을 세상에 보여줍니다. 우리의 두려움은 현실입니다. 그러나 우리 하나님은 그보다 더 크신 분이십니다. 창문은 우리로 “세상의 빛”(요한복음 8:12)이신 예수님에게, 그리고 주님이 필요한 이웃에게 향하게 해줍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55:6-13
너희는 기쁨으로 나아가며 평안히 인도함을 받을 것이요 [이사야 55:12]

전능하신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의 사랑에 대한 확신이 제 마음속에 차고 넘치게 해주소서.

당신의 삶은 벽과 창문 중에서 어느 쪽에 더 가깝습니까? 왜 그렇게 생각하십니까? 당신의 마음을 좀 더 열어야 할 사람이나 상황이 있습니까?

Daily Article

04/17/2021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2 SAMUEL 1–2; LUKE 14:1–24
Hymn: 380(old 424)

WINDOWS

Near the foothills of the Himalayas, a visitor noticed a row of houses without windows. His guide explained that some of the villagers feared that demons might sneak into their homes while they slept, so they built impermeable walls. You could tell when a homeowner began to follow Jesus because he put in windows to let in the light.

A similar dynamic may take place in us, though we might not see it quite that way. We live in scary, polarizing times. Satan and his demons instigate angry divisions that split families and friends. I often feel like hiding behind my walls. But Jesus wants me to cut in a window.

Israel sought refuge in higher walls, but God said their security lay with Him. He reigns from heaven, and His word governs all (ISAIAH 55:10–11). If Israel would return to Him, God would “have mercy on them” (V. 7) and restore them as His people to bless the world (GENESIS 12:1–3). He would lift them up, ultimately leading them in a triumphal parade. Their celebration “will be for the Lord’s renown, for an everlasting sign, that will endure forever” (ISAIAH 55:13).

Sometimes walls are necessary. Walls with windows are best. They show the world that we trust God for the future. Our fears are real. Our God is greater. Windows open us to Jesus—“the light of the world” (JOHN 8:12)—and to others who need Him. MIKE WITTMER

Today's Reading

ISAIAH 55:6–13
You will go out in joy and be led forth in peace. [ ISAIAH 55:12 ]

Almighty Father, flood my heart with the confidence of Your love.

Would you say your life is more wall or window? Why? Is there a person or situation you need to be more open to?

오늘의 말씀

04/16/2021     금요일

성경읽기: 사무엘상 30-31; 누가복음 13:23-35
찬송가: 304(통404)

자비를 베풀라

비타는 르완다 집단 학살 당시 그녀의 남편과 자녀들을 살해한 마나세라는 남자를 용서한 일에 대해 이렇게 말했습니다. “내가 용서할 수 있었던 것은 예수님이 하신 일 때문입니다. 예수님은 역사의 모든 인간의 죄에 대한 형벌을 대신 지셨습니다. 오직 그분의 십자가만이 참 승리입니다!” 마나세는 감옥에서 비타에게 쓴 몇 번의 편지에서, 떨쳐지지 않는 괴로운 악몽에 대해 자세히 이야기하며 그녀와 하나님께 용서를 구했습니다. 그녀는 처음엔 자기의 가족을 죽인 그를 증오한다고 하며 용서할 수가 없었습니다. 그러나 그때 “예수님께서 그녀의 생각에 개입하셨고” 2년쯤 지나 그녀는 하나님의 도움으로 마나세를 용서할 수 있었습니다.

이 이야기의 비타는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회개하는 사람들을 용서하라고 명하신 것을 그대로 따랐습니다. 주님은 “만일 하루에 일곱 번이라도 네게 죄를 짓고 일곱 번 네게 돌아와 내가 회개하노라 하거든 너는 용서하라”(누가복음 17:4)고 말씀하셨습니다. 하지만 제자들이 “우리에게 믿음을 더하소서”(5절) 라고 대답했던 것처럼 용서란 참으로 어려운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비타는 용서할 수 없는 자신의 모습을 놓고 기도로 씨름하면서 믿음이 성장했습니다. 그녀처럼 우리도 용서하는 일을 놓고 씨름하고 있다면, 용서할 수 있게 도와 달라고 성령님을 통해 하나님께 간구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우리의 믿음이 자라면서 하나님이 용서할 수 있게 도와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17:1-5
너희는 스스로 조심하라 만일 네 형제가 죄를 범하거든 경고하고 회개하거든 용서하라 [누가복음 17:3]

예수님, 십자가에서 죽으심으로 저의 죄의 결과로부터 자유롭게 해주시니 감사합니다. 주님께 영광을 드립니다!

당신에게 잘못한 누군가가 나중에 회개했을 때 당신의 반응은 어떠했습니까? 그런 상황에서 하나님은 용서할 수 있도록 어떻게 도와주셨습니까?

Daily Article

04/16/2021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1 SAMUEL 30–31; LUKE 13:23–35
Hymn: 304(old 404)

EXTENDING MERCY

Reflecting on how she forgave Manasseh, the man who killed her husband and some of her children in the Rwandan genocide, Beata said, “My forgiving is based on what Jesus did. He took the punishment for every evil act throughout all time. His cross is the place we find victory—the only place!” Manasseh had written to Beata from prison more than once, begging her—and God—for forgiveness as he detailed the regular nightmares that plagued him. At first she could extend no mercy, saying she hated him for killing her family. But then “Jesus intruded into her thoughts,” and with God’s help, some two years later, she forgave him.

In this, Beata followed Jesus’ instruction to His disciples to forgive those who repent. He said that even if they “sin against you seven times in a day and seven times come back to you saying ‘I repent,’ you must forgive them” (LUKE 17:4). But to forgive can be extremely difficult, as we see by the disciples’ reaction: “Increase our faith!” (V. 5).

Beata’s faith increased as she wrestled in prayer over her inability to forgive. If, like her, we’re struggling to forgive, we can ask God through His Holy Spirit to help us to do so. As our faith increases, He helps us to forgive.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LUKE 17:1–5
If your brother or sister sins against you, rebuke them; and if they repent, forgive them. [ LUKE 17:3 ]

Jesus, thank You for releasing me from the consequences of my sin through Your death on the cross. I give You the glory!

If someone who wronged you later repented, how did you react? How could God help you to forgive in these situations?

Read The Risk of Forgiveness at DiscoverySeries.org/HP071.

오늘의 말씀

04/15/2021     목요일

성경읽기: 사무엘상 27-29; 누가복음 13:1-22
찬송가: 449(통377)

무거운 짐 들어주기

중학교 교사인 카렌은 학생들이 서로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가르치기 위해 한 과외활동을 만들었습니다. 학생들은 “짐 들어주기 과외활동” 에서 자신들에게 있는 힘든 감정 몇 가지를 종이에 적으면, 이 메모를 익명으로 공유하면서 서로의 어려움에 대해 알게 되고 때론 눈물을 흘리며 반응하기도 했습니다. 그 이후로 교실에는 어린 십대 청소년들 사이에 서로를 존중하는 깊은 배려심이 가득하게 되었고, 이제는 서로에 대한 더 깊은 공감대를 이루고 있습니다.

성경 전체를 통해 하나님은 그의 백성들에게 서로 존귀하게 대하고,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공감하는 모습을 보이라고 권고하셨습니다(로마서 12:15). 이스라엘 역사에서 일찍이 레위기 시대부터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공감하는 모습을 보이기를 강조하면서, 특히 외국인 나그네를 대할 때 그렇게 하라고 하셨습니다.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들도 애굽 땅에서 외국인이었고 그 고통을 잘 알기 때문에 “외국인 나그네를......너희의 몸과 같이 사랑하여라” 고 말씀하신 것입니다(레위기 19:34, 새번역).

우리는 가까운 사람들과 같이 살면서도 때로는 삶의 버거운 짐 때문에 외롭고 이해받지 못하는 나그네처럼 느낄 때가 있습니다. 우리의 경우, 이스라엘 백성들이 그 나라에 사는 외국인 나그네들과의 사이에서 체험한 것과 다를 수 있겠지만, 우리는 언제나 우리 스스로 받기 원하는 존중과 이해심으로 하나님께서 우리 삶에 보내주신 사람들을 대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오늘날의 중학생이든, 이스라엘 백성이든, 그 외 누구이든, 그렇게 살 때 그것이 하나님을 높이는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레위기 19:32-34
거류민을 자기 같이 사랑하라 너희도 애굽 땅에서 거류민이 되었었느니라 [레위기 19:34]

하나님, 하나님을 신뢰할 때 제 마음의 짐을 아시고 긍휼로 짐을 덜어 주셨습니다. 저도 주위 사람들을 사랑으로 보살필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주위에 당신의 배려가 필요한 무거운 짐을 진 사람이 있습니까? 어떻게 “그들을 당신 자신 같이 사랑할”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4/15/2021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1 SAMUEL 27–29; LUKE 13:1–22
Hymn: 449(old 377)

THE BAGGAGE ACTIVITY

Karen, a middle school teacher, created an activity to teach her students how to better understand one another. In “The Baggage Activity” students wrote down some of the emotional weights they were carrying. The notes were shared anonymously, giving the students insight into each other’s hardships, often with a tearful response from their peers. The classroom has since been filled with a deeper sense of mutual respect among the young teens, who now have a greater sense of empathy for one another.

Throughout the Bible, God has nudged His people to treat one another with dignity and show empathy in their interaction with others (ROMANS 12:15). As early in the history of Israel as the book of Leviticus, God pointed the Israelites toward empathy—especially in their dealings with foreigners. He said to “love them as [themselves]” because they too had been foreigners in Egypt and knew that hardship intimately (LEVITICUS 19:34).

Sometimes the burdens we carry make us feel like foreigners— alone and misunderstood—even among our peers. We don’t always have a similar experience to draw on as the Israelites did with the foreigners among them. Yet we can always treat those God puts in our paths with the respect and understanding that we, ourselves, desire. Whether a modern-day middle schooler, an Israelite, or anything in between, we honor God when we do.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LEVITICUS 19:32–34
Love them as yourself, for you were foreigners in Egypt. [ LEVITICUS 19:34 ]

God, You know the weight in my heart and You graciously unburden me as I put my trust in You. Help me to offer care and compassion toward those in my life.

Who around you might need your empathy for the burdens they carry? How can you “love them as yourself”?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