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4/14/2021 수요일
아침인 것처럼 살기
바울은 예수님을 믿는 사람들이 진정으로 주님을 나타내는 삶을 살고자 한다면 세상의 방식에서 벗어나 살아야 한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그들은 “전에는 어둠이었지만” 이제는 “빛의 자녀”로 살아야 했습니다(에베소서 5:8). 그렇다면 그것은 어떤 모습일까요? 바울은 이렇게 그림을 완성합니다. “빛의 열매는 모든 착함과 의로움과 진실함에 있느니라”(9절).
같은 비행기를 타고 가는 사람들에게는 저녁 식사 내내 잠을 자는 것이 이상하게 보일 수도 있지만, 세상의 한밤중 시간에도 믿는 사람들은 아침인 것처럼 살도록 부름을 받았습니다. 이것은 비웃음과 반대를 불러일으킬 수도 있지만, 우리는 예수님 안에서 “우리를 위하여 하나님 앞에 향기로운 예물과 제물로 자기 몸을 내어주신” 그분을 본받아 “사랑으로 살아갈” 수 있습니다 (2절, 새번역).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5:1-9빛의 열매는 모든 착함과 의로움과 진실함에 있느니라 [에베소서 5:9]
예수님, 주님 안에서 시작되는 새 날에 맞춰 저를 깨워주소서. “다른 시간대”에 살 수 있도록 주님의 능력으로 채워주시고, 제 눈을 열어 선과 의와 아름다움을 선택할 수 있게 하소서.
당신의 행동과 선택의 어떤 부분들이 세상과 너무 가까이 맞춰져 있습니까? 선과 의와 진리의 열매가 당신 삶에서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습니까?
Daily Article
04/14/2021 Wednesday
LIVE LIKE IT’S MORNING
Paul knew that if believers in Jesus were to truly reflect Him in their lives, they would need to live out of step with the world around them. They “were once darkness” but now they were to live as “children of light” (EPHESIANS 5:8). And what might that look like? Paul goes on to fill out the picture: “The fruit of the light consists in all goodness, righteousness and truth” (V. 9).
Sleeping through dinner may have seemed foolish to the people on my flight, but even as it’s midnight in the world, as believers, we’re called to live like it’s morning. This may provoke scorn and opposition, but in Jesus we can “walk in the way of love,” following the example of the One who “love[s] us and gave himself up for us as a fragrant offering and sacrifice to God” (V. 2). GLENN PACKIAM
Today's Reading
EPHESIANS 5:1–9The fruit of the light consists in all goodness, righteousness and truth. [ EPHESIANS 5:9 ]
Jesus, wake me up to the new day that has come in You. Fill me with Your power to live in a “different time zone.” Open my eyes to choose goodness, righteousness, and beauty.
To learn more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a believer in Jesus, visit ChristianUniversity.org/SF132.
Where have your actions and choices lined up too closely with the world around you? What would the fruit of goodness, righteousness, and truth look like in your life?
오늘의 말씀
04/13/2021 화요일
믿음의 설탕 옷
바울은 자신의 영적 아들 디모데에게 보낸 두 번째 편지에서 그의 진실한 믿음에 대해 이야기한 후, 디모데의 할머니 로이스와 어머니 유니게의 대를 잇는 유산을 기리고 있습니다(디모데후서 1:5). 믿음의 삶을 살았던 이 여인들로 말미암아 디모데도 예수님을 믿게 되었습니다. 틀림없이 로이스와 유니게는 디모데를 사랑하고 그의 필요를 공급해주었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분명 더 많은 일을 했습니다. 바울은 두 여인 안에 살아있는 믿음이 나중에 디모데 안에 사는 믿음의 근원이 되었다고 지적합니다.
할머니로서의 나의 역할에는 새 학기의 옷을 입히는 “달콤한” 것도 있지만, 정말 더 달콤한 순간은 나의 믿음을 나눌 때입니다. 그것은 치킨 너겟을 앞에 놓고 머리 숙여 기도할 때라든지, 하늘에 하나님의 예술 작품으로 천사 모양의 구름이 만들어지는 것을 볼 때라든지, 라디오에서 흘러나오는 예수님에 관한 노래를 함께 따라 부를 때입니다. 유니게와 로이스 같은 엄마와 할머니들을 본받아, 우리도 믿음으로 삶을 진정 달콤한 것으로 만들어 다른 사람들도 우리가 가진 믿음을 갖길 원하게 만듭시다.
오늘의 성구
디모데후서 1:1-5이는 네 속에 거짓이 없는 믿음이 있음을 생각함이라 이 믿음은 먼저 네 외조모 로이스와 네 어머니 유니게 속에 있더니 네 속에도 있는 줄을 확신하노라 [디모데후서 1:5]
사랑하는 하나님, 시간을 들여 다른 사람들 앞에서 제 믿음을 실천하며 살 수 있게 도와주소서.
다른 사람들의 믿음에서 어떤 영향을 받았습니까? 어떻게 다른 사람들이 영향을 받도록 믿음의 삶을 살고 있습니까?
Daily Article
04/13/2021 Tuesday
THE FROSTING OF FAITH
In his second letter to his spiritual son Timothy, Paul calls out his sincere faith—and then credits its lineage both to Timothy’s grandmother, Lois, and his mother, Eunice (2 TIMOTHY 1:5). These women lived out their faith in such a way that Timothy also came to believe in Jesus. Surely, Lois and Eunice loved Timothy and provided for his needs. But clearly, they did more. Paul points to the faith living in them as the source of the faith later living in Timothy.
My job as a grandmother includes the “frosting” moment of a back-to-school outfit. But even more, I’m called to the frosting moments when I share my faith: Bowing our heads over chicken nuggets. Noticing angelic cloud formations in the sky as God’s works of art. Chirping along with a song about Jesus on the radio. Let’s be wooed by the example of moms and grandmas like Eunice and Lois to let our faith become the frosting in life so others will want what we have. ELISA MORGAN
Today's Reading
2 TIMOTHY 1:1–5I am reminded of your sincere faith, which first lived in your grandmother Lois and in your mother Eunice and, I am persuaded, now lives in you also. [ 2 TIMOTHY 1:5 ]
Dear God, help me to invest my time in living out my faith before others.
How have you been influenced by the faith of others? How are you living out your faith so that others might be influenced?
오늘의 말씀
04/12/2021 월요일
지극히 작은 자를 섬김
“지극히 작은 자.” 이 구절은 일반적으로 여러 다양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하지만 예수님은 우리가 섬겼을 때 세상 기준으로 봐서 우리에게 되갚을 것이 거의 또는 전혀 없는 사람들을 가리키는 말로 이 구절을 사용하셨습니다. 이들은 세상에서 완전히 잊히지는 않더라도, 쉽게 지나쳐버리는 남자와 여자와 아이들입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그들에게] 한 것이 곧 내게 한 것이니라” (마태복음 25:40)라고 말씀하시면서, 바로 그들을 지극히 아름다운 신분으로 높여주십니다. “지극히 작은 자”를 섬기는 것은 예수님을 섬기는 것과 같다고 하신 주님의 말씀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명문 대학의 학위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정말 필요한 것은 기꺼이 그렇게 하려는 마음입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25:31-40임금이 대답하여 이르시되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너희가 여기 내 형제 중에 지극히 작은 자 하나에게 한 것이 곧 내게 한 것이니라 [마태복음 25:40]
왕이신 예수님, 주님을 섬기는 것을 실제보다 더 어렵게 만들고 있는 것은 아닌지 두렵습니다. 분명한 주님의 말씀에 따라 니카라과든 저의 이웃이든, 주님이 부르시는 지극히 작은 자들에게로 가서 그들을 섬길 수 있게 용기를 주소서.
“지극히 작은 자”라는 말을 들을 때 누가 떠오릅니까? 그들을 위해 당신이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입니까?
Daily Article
04/12/2021 Monday
SERVING THE LEAST
“The least of these.” It’s a phrase people use in a variety of ways, yet Jesus used it to describe those who, according to the world’s standards, have little or nothing to offer us in return for our service. They are the men and women and children the world often overlooks—if not forgets completely. Yet it’s exactly those people Jesus elevates to such a beautiful status by saying, “Whatever you did [for them], you did for me” (MATTHEW 25:40). You don’t have to have a degree from a prestigious university to understand Christ’s meaning: serving “the least” is the same as serving Him. All it really takes is a willing heart. JOHN BLASE
Today's Reading
MAT THEW 25:31–40The King will reply, “Truly I tell you, whatever you did for one of the least of these brothers and sisters of mine, you did for me.” [ MATTHEW 25:40 ]
King Jesus, I’m afraid I make serving You harder than it is. Your words are clear—You call me to the least and the littlest, perhaps in Nicaragua or maybe in my neighborhood. Give me courage to serve.
Who comes to mind when you hear the phrase “the least of these”? What’s something you could do for them?
오늘의 말씀
04/11/2021 주일
불완전한 계획
인생에서도 우리의 계획은 종종 어긋나고, 중요한 고려 사항을 빠뜨리기도 합니다. 우리가 세운 계획이 모든 사고나 급작스러운 상황에 대비하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계획을 세우면 재정의 부족이나 시간의 낭비, 건강 문제를 피하는데 도움이 되기는 하지만, 아무리 철저한 전략을 세워도 우리 삶에서 모든 문제를 없앨 수는 없습니다. 우리는 에덴동산 이후의 세계에 살고 있습니다.
하나님이 도우시면 우리는 미래를 신중히 준비하고(잠언 6:6-8) 또 어려움이 생겼을 때 잘 대처하는, 이 두 가지를 다 잘 할 수 있습니다. 우리 삶에 허락하시는 고난에는 종종 하나님의 목적이 있습니다. 우리의 인내심을 기르거나, 믿음이 자라게 하거나, 또는 단순히 그분께 가까이 오게 하려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성경은 “사람의 마음에는 많은 계획이 있어도 오직 여호와의 뜻만이 완전히 서리라”(잠언 19:21)고 상기시켜 줍니다. 예수님께 우리의 목표와 미래에 대한 희망을 내어드릴 때, 그분은 우리 안에서 그리고 우리를 통해 이루시고자 하는 것을 보여주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잠언 19:20-23사람의 마음에는 많은 계획이 있어도 오직 여호와의 뜻만이 완전히 서리라 [잠언 19:21]
하나님, 하나님이 모든 것의 주관자이심을 믿습니다. 제 모든 계획을 하나님께 드리며 이 땅에서 지혜롭게 살도록 도와주소서.
계획대로 되지 않거나 기대에 어긋날 때 어떻게 반응하십니까? 하나님은 당신이 그런 경험을 통해 무엇을 배우길 원하실까요?
Daily Article
04/11/2021 Sunday
IMPERFECT PLANS
In life as well, our plans are often flawed. We overlook important considerations. Our plans don’t always account for accidents or surprises. Although planning helps us avoid financial shortfalls, time crunches, and health issues, even the most thorough strategies can’t eliminate all problems from our lives. We live in a post-Eden world.
With God’s help, we can find the balance between prudently considering the future (PROVERBS 6:6–8) and responding to difficulties. God often has a purpose for the trouble He allows into our lives. He may use it to develop patience in us, to increase our faith, or simply to bring us closer to Him. The Bible reminds us, “Many are the plans in a person’s heart, but it is the Lord’s purpose that prevails” (PROVERBS 19:21). As we submit our goals and hopes for the future to Jesus, He’ll show us what He wants to accomplish in us and through us. JENNIFER BENSON SCHULDT
Today's Reading
PROV ERBS 19:20–23Many are the plans in a person’s heart, but it is the Lord’s purpose that prevails. [ PROVERBS 19:21 ]
God, I believe You’re in control of everything. Help me to live wisely in this world, committing all my plans to You.
How do you respond when your plans don’t work out or when your expectations are unmet? What might God want you to learn through those experiences?
오늘의 말씀
04/10/2021 토요일
찬양 속에서 찾는 기쁨
하박국 선지자도 오래 전에 같은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하박국은 유다 백성들의 악을 하나님 앞에 불평한 후, 하나님이 하시는 일보다도 하나님 그분만으로 하나님을 찬양할 때 기쁨에 이르게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처럼 나라나 세계에 위기가 있을 때에도 하나님은 여전히 위대하십니다. 하박국 선지자가 다음과 같이 선포한 것처럼 말입니다.
“비록 무화과나무가 무성하지 못하며 포도나무에 열매가 없으며 감람나무에 소출이 없으며 밭에 먹을 것이 없으며 우리에 양이 없으며 외양간에 소가 없을지라도 나는 여호와로 말미암아 즐거워하며 나의 구원의 하나님으로 말미암아 기뻐하리로다”(하박국 3:17-18).
C.S. 루이스가 깨달은 것처럼, “온 세상에 찬양이 울려 퍼집니다.” 하박국도 똑같이 “행하심이 예로부터 그러하신”(6절) 그분 안에서 풍성한 기쁨을 발견하며 늘 하나님을 찬송하는 데 자신을 바쳤습니다.
오늘의 성구
하박국 3:6, 16-19나는 여호와로 말미암아 즐거워하며 [하박국 3:18]
사랑의 하나님, 어려울 때에도 제 영혼이 풍족하여 마음과 입술로 기쁨이 넘치는 찬양을 하나님께 드리게 하소서.
당신은 하나님을 찬양할 때 영적으로 어떤 영향을 받습니까? 하나님의 선하심을 묵상하면서, 오늘 그분을 찬양할 세 가지를 말해 보십시오.
Daily Article
04/10/2021 Saturday
FINDING JOY IN PRAISE
The prophet Habakkuk arrived at this conclusion centuries earlier. After complaining to God about evils aimed at the people of Judah, Habakkuk came to see that praising Him leads to joy— not in what God does, but in who He is. Thus, even in a national or world crisis, God is still great. As the prophet declared:
“Though the fig tree does not bud and there are no grapes on the vines, though the olive crop fails and the fields produce no food, though there are no sheep in the pen and no cattle in the stalls, yet I will rejoice in the Lord” (HABAKKUK 3:17–18). “I will be joyful in God my Savior,” he added.
As C. S. Lewis realized, “The whole world rings with praise.” Habakkuk, likewise, surrendered to praising God always, finding rich joy in the One who “marches on forever” (V. 6).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HABAKKUK 3:6, 16–19Yet I will rejoice in the Lord. [ HABAKKUK 3:18 ]
Loving God, even during hard times, stir in my heart—and on my lips—the rich spirit of joyful praise to You.
When you praise God, what’s the impact on your spirit? Reflecting on God’s goodness, name three things you can praise Him for today.
To learn more about the book of Habakkuk, visit ChristianUniversity.org/OT314.
오늘의 말씀
04/09/2021 금요일
거부받은 사람들의 피난처
구약 성경에서 다윗도 다른 사람들에게 가혹한 비난을 받았을 때 자신을 하나님께 맡겼습니다. 반란을 주도한다는 사울의 거짓 모함을 받고 다가오는 사울의 군대를 피해 동굴에 숨어야만 했을 때, 다윗은 자신을 “사자 가운데서 살고”, “그들의 이는 창과 화살이요 그들의 혀는 날카로운 칼 같은” 사람들 중에 있다고 표현했습니다(시편 57:4). 그러나 그 힘든 곳에서도 다윗은 하나님께로 향하며 그분 안에서 안식을 얻었습니다. “무릇 주의 인자는 커서 하늘에 미치고 주의 진리는 궁창에 이르나이다”(10절).
다른 사람이 우리를 오해하고 거절할 때, 하나님은 우리의 “피난처”(1절) 되십니다. 변함없이 자비로운 사랑을 베푸시는 하나님을 영원토록 찬양합시다!
오늘의 성구
시편 57하나님이여 내게 은혜를 베푸소서 내게 은혜를 베푸소서 내 영혼이 주께로 피하되 [시편 57:1]
아바 아버지, 성자 예수님으로 말미암아 저를 영원히 받아주신 하나님을 찬양합니다. 오늘 하나님의 완전하신 사랑에서 위안을 얻습니다.
낙심될 때 하나님의 자비를 깊이 생각하면 어떻게 도움이 됩니까? 하나님의 사랑을 다른 사람들에게 어떻게 보여줄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4/09/2021 Friday
REFUGE FOR THE REJECTED
In the Old Testament, when David faced harsh criticism from others, he too entrusted himself to God. When Saul falsely accused David of leading a rebellion and he was forced to hide from Saul’s approaching army in a cave, David described being “in the midst of lions,” among “men whose teeth are spears and arrows, whose tongues are sharp swords” (PSALM 57:4). But even in that difficult place, he turned to God and found comfort in Him: “For great is your love, reaching to the heavens; your faithfulness reaches to the skies” (V. 10).
When others misunderstand or reject us, God is our “refuge” (V. 1). May He be forever praised for His unfailing and merciful love! JAMES BANKS
Today's Reading
PSALM 57Have mercy on me, my God, have mercy on me, for in you I take refuge. [ PSALM 57:1 ]
Abba Father, I praise You that I can be accepted by You forever because of Your Son. I take refuge in Your perfect love today.
How does dwelling on God’s mercy help you when you’re discouraged? How can you demonstrate His love to another?
오늘의 말씀
04/08/2021 목요일
사랑으로 자제하기
개인의 표현을 강조하는 이 시대에 자기 절제를 하는 모습을 보게 되면 참 놀랍습니다. 이것은 바울 사도가 로마서에 기록하고 있는 개념이기도 합니다. 그는 때때로 사랑은 다른 이들을 위해 우리의 권리를 내려놓기를 요구한다고 말했습니다. 사랑은 우리의 자유를 최대한 밀어부치기 보다는 때때로 우리를 자제하게 합니다. 사도는 교회의 어떤 이들은 “모든 것을 먹을” 자유가 있다고 믿지만, 어떤 이들은 “채소만” 먹는다고 설명합니다(로마서 14:2). 이것은 사소한 문제 같지만, 초대교회 시대에는 음식에 관한 구약의 율법을 고수하는 것 때문에 논란이 많았습니다. 바울은 먼저 모두에게 “서로 비판하지 말라”(13절)고 지시하면서, 자유롭게 먹는 사람들을 향해 특별히 이렇게 결론을 내렸습니다. “고기도 먹지 아니하고 포도주도 마시지 아니하고 무엇이든지 네 형제로 거리끼게 하는 일을 아니함이 아름다우니라”(21절).
다른 사람을 사랑한다는 것은 때로는 자신의 자유를 제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라고 해서 다 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때에 따라 사랑으로 자제해야 합니다.
오늘의 성구
로마서 14:1-13무엇이든지 네 형제로 거리끼게 하는 일을 아니함이 아름다우니라 [로마서 14:21]
하나님, 어디서 다른 사람들이 자유를 누리도록 격려하며, 어떻게 저의 자유를 제한해야 하는지 알게 해주소서.
당신은 언제 사람들이 예수님을 믿는 다른 성도들를 위해 자신의 자유를 제한하는 것을 보셨습니까? 그 모습은 어떤 모습이었습니까? 사랑이 우리를 자제시킬 때 어떤 어려운 점들이 있습니까?
Daily Article
04/08/2021 Thursday
LOVE REINS US IN
In an age emphasizing individual expression, it’s remarkable to encounter self-limitation—a concept Paul wrote about in the book of Romans. He told us that love sometimes requires us to lay down our rights for others. Rather than pushing our freedom to the boundaries, sometimes love reins us in. The apostle explained how some people in the church believed they were free “to eat anything,” but others ate “only vegetables” (ROMANS 14:2). While this might seem like a minor issue, in the first century, adherence to Old Testament dietary laws was controversial. Paul instructed everyone to “stop passing judgment on one another” (V. 13), before concluding with particular words for those who ate freely. “It is better not to eat meat or drink wine or to do anything else that will cause your brother or sister to fall” (V. 21).
At times, loving another means limiting our own freedoms. We don’t have to always do everything we’re free to do. Sometimes love reins us in. WINN COLLIER
Today's Reading
ROMANS 14:1–13It is better not to . . . do anything . . . that will cause your brother or sister to fall. [ ROMANS 14:21 ]
God, help me to see where I need to encourage others to experience freedom and how I need to limit how I use my own freedoms.
When have you seen people limit their freedom for the sake of other believers in Jesus? What was that like? What’s difficult about those situations where love reins us in?
오늘의 말씀
04/07/2021 수요일
언제나 변함없이
우리는 실제로 하나님의 얼굴을 만질 수는 없지만, 때로는 눈부시도록 아름다운 일몰이나 자연 속 명상의 장소에서 하나님이 옆에 계신다는 놀라운 느낌을 경험합니다. 어떤 사람들은 이 순간들을 “얇은 곳”이라고 부릅니다. 천국과 세상을 분리하는 장벽이 더 얇아져 가는 것처럼 보이면서, ‘하나님이 좀 더 가까이 느껴집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광야 생활에서 하나님이 가까이 계심을 느꼈을 때 “얇은 곳”을 경험했을 것입니다. 하나님은 광야에서 그들을 인도하시기 위해 낮에는 구름 기둥을, 밤에는 불기둥을 주셨습니다(출애굽기 40:34-38). 그들이 진을 치고 머무를 때에는 “여호와의 영광이 성막에 충만했습니다”(35절). 그들의 모든 여정에 하나님이 함께하심을 그들은 알았습니다.
하나님이 창조하신 놀라운 아름다움을 즐기면서, 우리는 하나님은 어디에나 계심을 점점 깨닫게 됩니다. 기도로 하나님께 말하고 들으면서, 그리고 성경을 읽으면서, 우리는 언제 어디서나 즐거이 하나님과 교제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출애굽기 40:34-38낮에는 여호와의 구름이 성막 위에 있고 밤에는 불이 그 구름 가운데에 있음을 이스라엘의 온 족속이 그 모든 행진하는 길에서 그들의 눈으로 보았더라 [출애굽기 40:38]
하나님 아버지, 제가 광야에서 길을 잃을 때에도 하나님을 구하고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자연에서 어떤 장소가 특히 하나님과 가까이 있다고 느끼게 합니까? 어떻게 하면 언제 어디서나 하나님을 찾을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4/07/2021 Wednesday
THROUGH THICK AND THIN
Although we can’t literally touch God’s face, we sometimes experience a stunning sunset or a place of meditation in nature that gives us an overwhelming sense that He’s near. Some people call these moments “thin places.” The barrier separating heaven and earth seems to grow a little thinner. God feels a little closer.
The Israelites may have experienced a “thin place” as they sensed the nearness of God in the desert wilderness. God provided a pillar of cloud by day and pillar of fire by night to lead them through the desert (EXODUS 40:34–38). When they were staying in the camp, “the glory of the Lord filled the tabernacle” (V. 35). Throughout all their travels, they knew God was with them.
As we enjoy the incredible beauty of God’s creation, we grow conscious that He’s present everywhere. As we talk with Him in prayer, listen to Him, and read the Scriptures, we can enjoy fellowship with Him anytime and anywhere. CINDY HESS KASPER
Today's Reading
EXODUS 40:34–38The cloud of the Lord was over the tabernacle by day, and fire was in the cloud by night, in the sight of all the Israelites during all their travels. [ EXODUS 40:38 ]
Father, help me to seek and find You even when I’m lost in a desert wilderness.
What places in nature make you feel especially close to God? How can you seek Him anytime and anywhere?
오늘의 말씀
04/06/2021 화요일
그리스도 안에서의 친구
바울 사도가 빌립보서 1장에서 말하고 있는 내용이 바로 이것을 반영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감옥에서 편지를 쓰면서 바울은 빌립보에 있는 그의 친구들을 생각할 때마다 하나님께 감사하며 “기쁨으로” 간구한다고(4절) 말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그냥 친구가 아니라 예수님 안에서 “하나님의 은혜에 참여한” 형제자매이자 바울과 함께 복음을 전하는 동역자들입니다 (7절). 함께 나누고 공유하는 그들의 관계는 하나님의 사랑과 복음에 의해 형성된 진정한 성도의 교제였습니다.
맞습니다. 친구가 중요합니다. 그러나 그리스도 안에서의 친구는 참되고 깊은 기쁨을 만들어내는 촉매제입니다. 그 무엇보다도 하나님의 은혜가 우리를 같이 묶어줍니다. 삶의 가장 어두운 시기를 지날 때라도 그 결속에서 오는 기쁨은 영원히 지속될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빌립보서 1:3-8내가 너희를 생각할 때마다 나의 하나님께 감사하며 [빌립보서 1:3]
사랑하는 하나님, 친구를 선물로 주시니 감사합니다. 제게 진실했던 친구들에게 감사를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시고, 제게 은혜를 베풀어 그들에게 힘이 되고 격려가 될 수 있게 하소서.
당신 주변에 어떤 친구들이 있습니까? 그들과의 관계의 본질은 무엇입니까? 어떻게 하나님의 은혜로 그들과 친구가 되었습니까?
Daily Article
04/06/2021 Tuesday
COMPANIONS IN CHRIST
This appears to reflect what the apostle Paul is describing in Philippians 1. Writing from prison, Paul can’t help but tell his friends that he thanks God for them every time he remembers them, praying “with joy” (V. 4). But these aren’t just any friends; these are brothers and sisters in Jesus who “share in God’s grace,” partners in the gospel with Paul (V. 7). Their relationship was one of sharing and mutuality—a true fellowship shaped by God’s love and the gospel itself.
Yes, friends are important, but fellow companions in Christ are catalysts of a true and deep joy. The grace of God can bind us together like nothing else. And even through the darkest seasons of life, the joy that comes from that bond will last. GLENN PACK
Today's Reading
PHILIPPIANS 1:3–8I thank my God every time I remember you. [ PHILIPPIANS 1:3 ]
Dear God, thank You for the gift of friendship. Help me to express my gratitude to those who have been faithful companions to me. Give me the grace to strengthen and encourage them.
Who are the friends that surround you? What’s the substance of your relationships? How has the grace of God shaped your choice of companions?
오늘의 말씀
04/05/2021 월요일
진리에 단단히 매인
이사야 선지자는 두드러지지 않은 성경 속의 한 인물 엘리아김을 벽에 단단히 박힌 못의 이미지로 설명했습니다. 부패한 관리 셉나(이사야 22:15-19)와 자신들의 힘을 믿은 이스라엘 민족(8-11절)과는 달리 엘리아김은 하나님을 의지했습니다. 이사야는 엘리아김이 히스기야 왕의 궁정 관리인으로 높아질 것을 예언하며, 하나님이 엘리아김을 “못이 단단한 곳에 박힘 같이” 견고하게 하시리라고 기록했습니다(23절). 그리고 하나님의 진리와 은혜에 단단히 닻을 내린 엘리아김은 그의 가족과 민족에게도 도움이 될 것이었습니다(22-24절).
그러나 이사야는 이 예언의 끝에 가서 어느 누구도 자기의 친구나 가족을 궁극적으로 지켜줄 수 없다는 사실을, 우리 모두는 실패한다는 것을 분명히 일깨워줍니다(25절). 우리의 삶을 완전히 신뢰하고 맡길 수 있는 닻은 오직 예수님뿐입니다(시편 62:5-6; 마태복음 7:24). 다른 사람들을 돌보고 그들의 짐을 덜어줄 때, 결코 실패하지 않는 닻이신 주님께로 그들을 인도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22:15-20, 22-25못이 단단한 곳에 박힘 같이 그를 견고하게 하리니 [이사야 22:23]
사랑하는 예수님, 저의 닻이 되어 주시니 감사합니다. 제가 주님의 자녀로 주님 안에 견고히 심겨져 있다는 것을 압니다.
어떻게 하나님의 진리와 은혜 가운데 단단히 매여 있을 수 있을까요? 삶의 무거운 짐으로 힘들어 하는 사람들을 어떻게 도와줄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4/05/2021 Monday
ANCHORED IN TRUTH
The prophet Isaiah used the imagery of a nail driven firmly into a wall to describe a minor biblical character named Eliakim. Unlike the corrupt official Shebna (ISAIAH 22:15–19), as well as the people of Israel—who looked to themselves for strength (VV. 8–11)—Eliakim trusted in God. Prophesying Eliakim’s promotion to palace administrator for King Hezekiah, Isaiah wrote that Eliakim would be driven like a “peg into a firm place” (V. 23). Being securely anchored in God’s truth and grace would also allow Eliakim to be a support for his family and his people (VV. 22–24).
Yet Isaiah concluded this prophecy with a sobering reminder that no person can be the ultimate security for friends or family— we all fail (V. 25). The only completely trustworthy anchor for our lives is Jesus (PSALM 62:5–6; MATTHEW 7:24). As we care for others and share their burdens, may we also point them to Him, the anchor who will never fail. LISA M. SAMRA
Today's Reading
ISA I AH 22:15–20, 22–25I will drive him like a peg into a firm place. [ ISAIAH 22:23 ]
Dear Jesus, thank You for being my anchor. As Your child, I know that I’m firmly planted in You.
How can you stay firmly anchored in God’s truth and grace? In what ways can you support those feeling weighed down by life’s burdens?
Read Navigating the Storms of Life at DiscoverySeries.org/HP06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