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4/04/2021     주일

성경읽기: 룻기 1-4; 누가복음 8:1-25
찬송가: 162(통151)

저 장미꽃 위에 이슬

아버지는 옛 찬송가를 즐겨 부르셨습니다. “저 장미꽃 위에 이슬”도 아버지가 좋아하던 찬송 중의 하나였습니다. 몇 해 전 우리는 이 찬송가를 아버지의 장례식에서 불렀습니다. 후렴은 간단합니다. “주님 나와 동행을 하면서 나를 친구 삼으셨네. 우리 서로 받은 그 기쁨은 알 사람이 없도다.” 이 찬송가는 아버지에게 기쁨을 가져다주었고 나에게도 기쁨을 줍니다.

찬송가 작가 C. 오스틴 마일즈는 1912년 봄, 요한복음 20장을 읽고서 이 곡을 썼다고 합니다. “그날 말씀을 읽던 나는 그 이야기 속에 나도 함께 있는 듯했습니다. 나는 마리아가 주님 앞에서 무릎을 꿇고 ‘랍오니[선생님]’ 하고 외치는 극적인 장면을 본 말없는 증인이 되었습니다.”

요한복음 20장에서 우리는 예수님의 빈 무덤 옆에서 울고 있는 막달라 마리아를 봅니다. 그녀는 거기서 왜 울고 있냐고 묻는 남자를 만났습니다. 동산지기인 줄 알았는데, 그녀는 부활하신 구주, ‘예수님’과 이야기하고 있었던 것입니다! 슬픔이 기쁨으로 변한 마리아는 예수님의 제자들에게 달려가서 “내가 주님을 보았어요!”(18절, 현대인의 성경)라고 말했습니다.

우리에게도 예수님께서 부활하셨다는 확신이 있습니다! 지금 주님은 천국에서 하나님 아버지와 함께 계시지만 우리를 홀로 두고 떠나지 않으셨습니다. 그리스도를 믿는 사람들은 우리 안에 주의 영을 모시고 있으며, 그분을 통해 주님이 우리와 함께 계시고 우리가 “주님의 것”이라는 사실을 확인하고 기뻐합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20:11-18
막달라 마리아가 가서 제자들에게 내가 주를 보았다 하고 [요한복음 20:18]

예수님, 주님이 살아계시고 주님의 자녀 된 제 안에 살고 계시니 감사합니다!

삶을 혼자서 살아가야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알 때 어떻게 위로가 됩니까? 당신은 언제 예수님이 함께 계시는 것을 친밀하게 느껴보았습니까?

Daily Article

04/04/2021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RUTH 1–4; LUKE 8:1–25
Hymn: 162(old 151)

IN THE GARDEN

My dad loved to sing the old hymns. One of his favorites was “In the Garden.” A few years back, we sang it at his funeral. The chorus is simple: “And He walks with me, and He talks with me, and He tells me I am His own, and the joy we share as we tarry there none other has ever known.” That song brought joy to my dad—as it does to me.

Hymn writer C. Austin Miles says he wrote this song in spring 1912 after reading chapter 20 of the gospel of John. “As I read it that day, I seemed to be part of the scene. I became a silent witness to that dramatic moment in Mary’s life when she knelt before her Lord and cried, ‘Rabboni [Teacher].’ ”

In John 20, we find Mary Magdalene weeping near Jesus’ empty tomb. There she met a man who asked why she was crying. Thinking it was the gardener, she spoke with the risen Savior—Jesus! Her sorrow turned to joy, and she ran to tell the disciples, “I have seen the Lord!” (V. 18).

We too have the assurance that Jesus is risen! He’s now in heaven with the Father, but He hasn’t left us on our own. Believers in Christ have His Spirit inside us, and through Him we have the assurance and joy of knowing He’s with us, and we are “His own.” ALYSON KIEDA

Today's Reading

JOHN 20:11–18
Mary Magdalene went to the disciples with the news: “I have seen the Lord!” [ JOHN 20:18 ]

Jesus, I’m so thankful You’re alive and that as Your child You live in me!

How is it comforting to know that you don’t have to do this life on your own? When have you intimately felt Jesus’ presence?

To learn more about the resurrection of Jesus, visit ChristianUniversity.org/resurrection.

오늘의 말씀

04/03/2021     토요일

성경읽기: 사사기 19-21; 누가복음 7:31-50
찬송가: 390(통444)

파도타기

남편이 바위로 덮인 해변을 따라 하와이의 수평선 풍경 사진을 찍는 동안 나는 큰 바위에 앉아 다시 찾아온 몸의 이상에 대해 걱정하였습니다. 집으로 돌아가면 그 문제들이 나를 기다리고 있겠지만, 그 순간만큼은 내 마음에 평화가 필요했습니다. 몰려오는 파도가 검고 삐죽삐죽한 바위들에 부딪히는 것을 바라보고 있는데, 파도의 곡선을 따라 한 검은 물체가 눈에 들어왔습니다. 카메라의 망원렌즈로 보니 그것은 발을 쭉 뻗은 채로 가만히 있으면서 평화롭게 파도를 타고 있는 바다거북이었습니다. 나는 얼굴을 돌려 바다 바람을 맞으며 미소를 지었습니다.

“하늘이 주의 놀라운 일을 찬양합니다”(시편 89:5, 현대인의 성경). 우리의 비할 데 없는 하나님은 “바다의 파도를 다스리시며 그 파도가 일어날 때에 [하나님이] 잔잔하게 하십니다”(9절). 하나님은 “세계와 그 가운데 있는 모든 것을 만드셨습니다”(11절, 현대인의 성경). 하나님은 그분의 영광과 우리의 기쁨을 위해 모든 것을 만드셨고, 모든 것을 소유하시고, 주관하시고, 그 모든 것에 목적을 부여하십니다.

우리는 변함없는 하나님 아버지의 사랑을 믿는 믿음의 기초 위에 서서 “주의 얼굴 빛 안에서 다닐”(15절)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항상 전능하시고, 우리를 대하실 때 언제나 자비로우십니다. 우리는 온종일 주의 이름 때문에 기뻐할 수 있습니다(16절). 어떤 난관을 만나고 얼마나 많은 좌절을 견뎌야 하든지, 하나님은 파도가 솟구치고 떨어질 때 우리를 꼭 붙들고 계십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89:5-17
여호와 만군의 하나님이여 주와 같이 능력 있는 이가 누구리이까 여호와여 주의 성실하심이 주를 둘렀나이다 [시편 89:8]

하나님 아버지, 아버지께서 보여주신 신실함에 닻을 내리고, 용기 있는 믿음으로 인생의 파도를 탈 수 있게 힘을 주시니 감사합니다.

삶의 거센 파도 앞에서 놀라우신 하나님을 묵상할 때, 어떻게 마음의 평화와 용기, 그리고 하나님이 늘 함께 계시고 돌보신다는 확신이 생기게 될까요? 인생의 파도를 타면서 하나님께 맡겨야 할 상황들은 어떤 것들인가요?

Daily Article

04/03/2021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JUDGES 19–21; LUKE 7:31–50
Hymn: 390(old 444)

RIDING THE WAVES

As my husband strolled down the rocky beach taking photos of the Hawaiian horizon, I sat on a large rock fretting over another medical setback. Though my problems would be waiting for me when I returned home, I needed peace in that moment. I stared at the incoming waves crashing against the black, jagged rocks. A dark shadow in the curve of the wave caught my eye. Using the zoom option on my camera, I identified the shape as a sea turtle riding the waves peacefully. Its flippers spread wide and still. Turning my face into the salty breeze, I smiled.

The “heavens praise [God’s] wonders” (PSALM 89:5). Our incomparable God rules “over the surging sea; when its waves mount up, [God] stills them” (V. 9). He “founded the world and all that is in it” (V. 11). He made it all, owns it all, manages it all, and purposes it all for His glory and our enjoyment.

Standing on the foundation of our faith—the love of our unchanging Father—we can “walk in the light of [His] presence” (V. 15). God remains mighty in power and merciful in His dealings with us. We can rejoice in His name all day long (V. 16). No matter what obstacles we face or how many setbacks we have to endure, God holds us as the waves rise and fall.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PSALM 89:5–17
Who is like you, Lord God Almighty? You, Lord, are mighty and your faithfulness surrounds you. [ PSALM 89:8 ]

Father, thank You for empowering me to ride the waves of life with courageous faith, anchored in Your proven faithfulness.

When facing rough waves in life, how can reflecting on God’s wonders fill you with peace, courage, and confidence in His ongoing presence and sufficient care? What situations do you need to release to God as you ride the waves of life?

오늘의 말씀

04/02/2021     금요일

성경읽기: 사사기 16-18; 누가복음 7:1-30
찬송가: 149(통147)

예수님이 지불하신 대가

예수님의 삶의 여러 측면을 탐구하고 있는 미켈란젤로의 작품들 중에 가장 가슴 아프면서도 가장 단순한 한 작품이 있습니다. 1540년대에 그는 친구 비토리아 콜로나를 위해 피에타(죽은 그리스도의 몸을 안고 있는 예수님의 어머니를 그린 그림)를 스케치했습니다. 분필로 그린 이 작품은 마리아가 움직이지 않는 아들을 무릎에 놓고서 하늘을 바라보는 모습을 그린 것입니다. 마리아의 뒤로 위를 향해 세워진 십자가 기둥에는 단테의 ‘신곡’의 ‘천국’편에 나오는 이런 말이 씌어 있습니다. “저들은 거기서 얼마나 많은 피가 대가로 치러졌는지를 생각하지 않는다.” 미켈란젤로가 말하고자 했던 요점은 아주 심오했습니다. 예수님의 죽음을 묵상할 때 우리는 주님이 지불하신 대가를 생각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리스도께서 지불하신 대가는 주님이 돌아가시면서 선포하셨던, “다 이루었다”(요한복음 19:30)라는 말씀 속에 담겨 있습니다. “다 이루었다” (‘테텔레스타이’)라는 말은 여러 가지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청구서가 완납되었다, 과제가 완수되었다, 희생 제물이 바쳐졌다, 걸작이 완성되었다 등과 같은 의미입니다. 그런데 이 하나하나가 모두 예수님께서 우리를 대신해서 십자가에서 하신 일입니다! 그래서 아마 바울 사도가 이렇게 쓴 것 같습니다. “그러나 내게는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외에 결코 자랑할 것이 없으니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세상이 나를 대하여 십자가에 못 박히고 내가 또한 세상을 대하여 그러하니라”(갈라디아서 6:14).

예수님이 기꺼이 우리를 대신해 죽으신 것은 하나님께서 우리를 얼마나 사랑하시는지를 보여주는 영원한 증거입니다. 예수님이 지불하신 값을 깊이 생각하면서, 우리 모두 예수님의 사랑을 찬양하고 십자가로 말미암아 감사를 드릴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9:25-30
예수께서 신 포도주를 받으신 후에 이르시되 다 이루었다 하시고 머리를 숙이니 영혼이 떠나가시니라 [요한복음 19:30]

하나님 아버지, 예수님이 저를 대신해 희생하신 것을 생각하면 겸손해지고 깊이 감사하게 됩니다. 예수님을 보내시고 십자가를 지게 하셔서 감사합니다.

‘테텔레스타이’(다 이루었다)가 뜻하는 각 의미가 예수님이 지신 십자가와 예수님이 십자가에서 이루신 일들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습니까? 왜 그 하나하나가 당신에게 의미가 있습니까?

Daily Article

04/02/2021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JUDGES 16–18; LUKE 7:1–30
Hymn: 149(old 147)

THE COST

Michelangelo’s works explored many facets of the life of Jesus, yet one of the most poignant was also one of the most simple. In the 1540s he sketched a pieta (a picture of Jesus’ mother holding the body of the dead Christ) for his friend Vittoria Colonna. Done in chalk, the drawing depicts Mary looking to the heavens as she cradles her Son’s still form. Rising behind Mary, the upright beam of the cross carries these words from Dante’s Paradise, “There they don’t think of how much blood it costs.” Michelangelo’s point was profound: when we contemplate the death of Jesus, we must consider the price He paid.

The price paid by Christ is captured in His dying declaration, “It is finished” (JOHN 19:30). The term for “it is finished” (tetelestai) was used in several ways—to show a bill had been paid, a task finished, a sacrifice offered, a masterpiece completed. Each of them applies to what Jesus did on our behalf on the cross! Perhaps that’s why the apostle Paul wrote, “May I never boast except in the cross of our Lord Jesus Christ, through which the world has been crucified to me, and I to the world” (GALATIANS 6:14).

Jesus’ willingness to take our place is the eternal evidence of how much God loves us. As we contemplate the price He paid, may we also celebrate His love—and give thanks for the cross. BILL CROWDER

Today's Reading

JOHN 19:25–30
When he had received the drink, Jesus said, “It is finished.” With that, he bowed his head and gave up his spirit. [ JOHN 19:30 ]

Father, when I consider the sacrifice Jesus made on my behalf, I am humbled and deeply grateful. Thank You for Jesus, and thank You for the cross.

How could each meaning of tetelestai be applied to the cross of Jesus and what He accomplished there? Why does each one have meaning to you?

오늘의 말씀

04/01/2021     목요일

성경읽기: 사사기 13-15; 누가복음 6:27-49
찬송가: 218(통369)

“큰 도움”

기독교 라디오 방송국에 한 청취자가 전화하여 그의 아내가 수술이 끝나 퇴원해서 집으로 돌아온다고 말했습니다. 그러고 나서 내 마음에 깊이 와닿는 말을 했습니다. “그동안 교회 식구들이 모두 나서서 돌봐주신 것이 저희에게 큰 도움이 되었어요.”

이 간단한 말을 듣고 나는 그리스도인의 친절과 돌봄이 얼마나 가치 있고 필요한 것인지를 다시 되새기게 되었습니다. 나는 성도 간의 사랑과 도움이 삶을 변화시키는 복음의 능력을 보여주는 가장 좋은 방법 중의 하나라는 생각이 들기 시작했습니다.

베드로전서는 베드로 사도가 지금의 터키에 있는 초대 교회들이 서로 회람할 수 있도록 쓴 편지입니다. 편지에서 그는 그의 친구 바울이 로마서 12장 13절에 “손 대접하기를 힘쓰라”고 썼던 것과 같이, 그의 글을 읽는 신자들에게 그와 같은 일을 하라고 강권했습니다. 베드로는 “뜨겁게 서로 사랑할지니......서로 대접하라”고 하면서, 하나님께서 주신 은사를 사용하여 “서로 봉사하라” 고 말했습니다(베드로전서 4:8-10). 바울과 베드로의 말은 예수님을 믿는 모든 사람들이 서로를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를 분명히 보여줍니다.

우리 모두는 그 청취자의 아내처럼, 옆에 와서 관심을 갖고 그리스도의 사랑을 보여주는 누군가가 필요한 사람들을 압니다. 하나님이 주시는 능력으로 우리도 “큰 도움”이 되었다는 말을 듣는 사람들이 되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베드로전서 4:7-11
성도들의 쓸 것을 공급하며 손 대접하기를 힘쓰라 [로마서 12:13]

사랑의 하나님, 제 격려의 말이나 행동이 필요한 사람들을 주위에서 찾게 하셔서, 그들을 환대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돕기 위해 하나님께서 당신에게 예비해주신 것은 무엇입니까? 하나님은 그분의 베푸시는 마음을 어떻게 보여주셨습니까?

Daily Article

04/01/2021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JUDGES 13–15; LUKE 6:27–49
Hymn: 218(old369)

“SO HELPFUL”

The caller to the Christian radio station said that his wife was coming home from the hospital following surgery. Then he shared something that spoke deeply to my heart: “Everyone in our church family has been so helpful in taking care of us during this time.”

When I heard this simple statement, it reminded me of the value and necessity of Christian hospitality and care. I began to think that the love and support of fellow believers for one another is one of the greatest ways to demonstrate the lifechanging power of the gospel.

In First Peter, the apostle was writing a letter to be circulated among the first-century churches in what’s now the country of Turkey. In that letter, he compelled his readers to do something that his friend Paul wrote about in Romans 12:13: “Practice hospitality.” Peter said, “Love each other deeply . . . offer hospitality,” and he told them to use the gifts God gave them to “serve others” (1 PETER 4:8–10). These are clear directions to all believers in Jesus for how we’re to treat fellow believers.

All of us know people like that caller’s wife—those who need someone to come alongside and show concern and Christlike love. In God’s strength, may we be among the ones who are noted for being “so helpful.” DAVE BRANON

Today's Reading

1 PE TER 4:7–11
Share with the Lord’s people who are in need. Practice hospitality. [ ROMANS 12:13 ]

Loving God, help me to look around for people who need an encouraging word or action from me. Then help me offer hospitality to them.

What has God equipped you to do for those in need?
How has God revealed His own hospitable nature?

오늘의 말씀

03/31/2021     수요일

성경읽기: 유다서 11-12; 누가복음 6:1-26
찬송가: 261(통195)

현명한 잡초 제거

손자 손녀들이 뒷마당에서 뛰어다니고 있습니다. 놀이를 하는 중이냐고요? 아닙니다. 잡초를 뽑는 중입니다. “뿌리까지 다 뽑았어요!” 막내 손녀가 두 손 가득히 보여줍니다. 그날 우리가 잡초와 씨름하며 무성한 잡초를 뿌리째 뽑으면서 성가신 골칫거리를 하나씩 제거하는 일을 즐겁게 하면서
손녀는 아주 기뻐했습니다. 하지만 그 기쁨을 맛보려면 잡초를 찾아다니겠다는 마음이 먼저입니다.

마음을 먹고 잡초를 제거하는 일은 개인의 죄를 없애는 첫 단계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다윗은 이렇게 기도했습니다. “하나님이여 나를 살피사 내 마음을 아시며...... 내게 무슨 악한 행위가 있나 보시고” (시편 139:23-24).

하나님께 우리의 죄를 보여 달라고 구하면서 죄를 찾아다니는 것이 얼마나 현명한 방법인지 모릅니다. 무엇보다 하나님은 우리의 모든 것을 알고 계십니다. 시편 기자는 이렇게 썼습니다. “여호와여 주께서 나를 살펴보셨으므로 나를 아시나이다 주께서 내가 앉고 일어섬을 아시고 멀리서도 나의 생각을 밝히 아시오며” (1-2절).

다윗은 이어서 말합니다. “이 지식이 내게 너무 기이하니 높아서 내가 능히 미치지 못하나이다” (6절) . 그러므로 죄가 뿌리내리기 전에 하나님이 우리에게 그 위험을 미리 알려 주실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우리를 둘러싼 ‘풍경’을 알고 계시기 때문에, 죄가 은밀히 뿌리를 내리려 할 때 가장 먼저 아시고
알려 주십니다.

다윗은 “내가 주의 영을 떠나 어디로 가며 주의 앞에서 어디로 피하리이까” (7절) 라고 썼습니다. 우리가 우리 구주를 가까이 따라가며 더 거룩한 곳으로 나아갈 수 있기를 소원합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39:1-6, 23-24
하나님이여 나를 살피사 내 마음을 아시며 [시편 139:23]

사랑의 하나님, 하나님이 저의 개인적인 죄를 보여주실 때 그 잡초들을 뽑아 주실 하나님의 계획도 알게 해주소서.

하나님께 마음을 살펴주시기를 간구할 때 어떤 개인적인 잘못들을 알게 됩니까? 마음먹고 ‘잡초 제거하는 일’이 어떻게 끈질지게 짓는 죄를 없애는데 도움이 됩니까?

Daily Article

03/31/2021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JUDGES 11–12; LUKE 6:1–26
Hymn: 261(OLD195)

WISELY WEEDING

My grandchildren are running around my backyard. Playing games? No, pulling weeds. “Pulling them up by the roots!” the youngest says, showing me a hefty prize. Her delight as we tackled weeds that day was how much we enjoyed plucking the weedy roots—clearing away each pesky menace. Before the joy, however, came the choice to go after them.

Intentional weeding is also the first step in removing personal sin. Thus, David prayed: “Search me, God, and know my heart. . . . See if there is any offensive way in me (PSALM 139:23–24).

What a wise approach, to go after our sin by asking God to show it to us. He above all knows everything about us. “You have searched me, Lord, and you know me,” wrote the psalmist. “You know when I sit and when I rise; you perceive my thoughts from afar” (VV. 1–2).

“Such knowledge,” David added, “is too wonderful for me, too lofty for me to attain” (V. 6) . Even before a sin takes root, therefore, God can alert us to the danger. He knows our “landscape.” So when a sneaky sinful attitude tries to take root, He’s first to know and point it out.

“Where can I go from your Spirit,” wrote David. “Where can I flee from your presence?” (V. 7) . May we closely follow our Savior to higher ground!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PSALM 139:1–6, 23–24
Search me, God, and know my heart. [ PSALM 139:23 ]

Loving God, when You show me my personal sin, point me to Your plan to pull those weeds.

When you ask God to search your heart, what personal wrongs do you discover? How does intentional “weeding” help rid you of a relentless sin?

오늘의 말씀

03/30/2021     화요일

성경읽기: 사사기 9-10; 누가복음 5:17-39
찬송가: 265(통199)

코 베기

“동상들의 코가 왜 훼손되어 있나요?” 브룩클린 박물관의 이집트 미술 큐레이터인 에드워드 블레이버그에게 관람객들이 제일 많이 하는 질문입니다.

블레이버그도 정상적인 마모로 없어지는 것은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심지어 2차원으로 그려진 그림에서도 코가 없어지니 말입니다. 그러나 그는 동상의 코들이 고의로 손상되었을 것으로 추측합니다. 적들은 이집트의 신들을 죽일려고 했습니다. 그것은 마치 신들과 “코 베기” 게임을 하는 것과 같습니다. 침략한 군대가 이 우상들이 숨을 쉬지 못하도록 코를 잘라냈던 것입니다.

‘정말 그랬을까요? 모두 다 그래서 잘라낸 것일까요?’ 코 떨어진 신들과 함께 있다면 파라오는 자신이 곤경에 처해 있음을 알았을 것입니다. 물론 그에게는 군대와 충성스러운 백성들이 있었습니다. 이에 비하면 히브리 민족은 소심한 도망자였던 모세가 이끄는 무기력한 노예들이었습니다. 하지만
이스라엘에게는 살아 계신 하나님이 있었고, 파라오의 신들은 가짜였습니다. 열 번의 재앙을 겪은 후 상상 속에만 있던 그 신들의 삶은 완전히 끝나 버렸습니다.

이스라엘 사람들은 일주일 동안 누룩 없는 빵을 먹는 무교절 (출애굽기 12:17; 13:7-9) 을 지키며 그들의 승리를 축하했습니다. 누룩은 죄를 상징합니다. 그리고 하나님은 그의 백성들이 그들의 구원받은 삶이 전적으로 하나님께 속해 있음을 기억하기를 바라셨습니다.

우리 하나님 아버지는 우상들에게 “네 코를 베었다”라고 하시고, 그의 자녀들에게는 “네 삶을 가졌다”라고 말씀하십니다. 우리를 숨 쉬게 해주시는 하나님을 섬기고 그분의 사랑의 품 안에서 안식하십시오.

오늘의 성구

출애굽기 12:12-19
애굽의 모든 신을 내가 심판하리라 [출애굽기 12:12]

생명의 하나님 아버지, 제 삶을 아버지께 드립니다. 제 삶에서 “적’이라고 여겨지는 어떤 것도 하나님의 능력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라는 것을 알게 도와주소서.

어떤 거짓 신이 당신의 삶을 숨 막히게 합니까? 당신이 오직 하나님만을 신뢰한다는 것을 어떻게 하나님께 보여드릴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3/30/2021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JUDGES 9–10; LUKE 5:17–39
Hymn: 265(OLD199)

GOT YOUR NOSE

“Why are the statues’ noses broken?” That’s the number one question visitors ask Edward Bleiberg, curator of Egyptian art at the Brooklyn Museum.

Bleiberg can’t blame it on normal wear and tear; even two-dimensional painted figures are missing noses. He surmises that such destruction must have been intentional. Enemies meant to kill Egypt’s gods. It’s as if they were playing a game of “got your nose” with them. Invading armies broke off the noses of these idols so they couldn’t breathe.

Really? That’s all it took? With gods like these, Pharaoh should have known he was in trouble. Yes, he had an army and the allegiance of a whole nation. The Hebrews were weary slaves led by a timid fugitive named Moses. But Israel had the living God, and Pharaoh’s gods were pretenders. Ten plagues later, their imaginary lives were snuffed out.

Israel celebrated their victory with the Festival of Unleavened Bread, when they ate bread without yeast for a week (EXODUS 12:17; 13:7–9) . Yeast symbolizes sin, and God wanted His people to remember their rescued lives belong entirely to Him.

Our Father says to idols, “Got your nose,” and to His children, “Got your life.” Serve the God who gives you breath, and rest in His loving arms.
MIKE WITTMER

Today's Reading

EXODUS 12:12–19
I will bring judgment on all the gods of Egypt. [ EXODUS 12:12 ]

Father of life, I give You my life. Help me recognize that any perceived “enemies” in my life are nothing compared to Your power.

What false god is suffocating your life? How might you show God you’re trusting only in Him?

오늘의 말씀

03/29/2021     월요일

성경읽기: 사사기 7-8; 누가복음 5:1-16
찬송가: 417(통476)

하나님과 함께 싸우는 전투

2016년에 나온 영화 ‘핵소 고지’는 미국 병사 데스먼드 도스의 영웅적인 행동을 보여줍니다. 도스는 그의 신념 때문에 남의 생명을 죽이는 일은 안 하면서도, 육군 의무병으로서 죽음을 무릅쓰고 전우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헌신했습니다. 1945년 10월 12일에 있었던 도스의 명예훈장 수여식에서 낭독된 내용의 일부입니다. “도스 일병은 피할 곳을 찾아 숨으려 하지 않고 오히려 불에 휩싸인 전투지역에 남아 부상당한 전우들을 한 사람씩 절벽의 가장자리로 옮겼다...... 그는 한 포병 장교를 돕기 위해서도 적의 포격과 소총 사격에 주저하지 않고 용감히 맞섰다.”

시편 11편에서 다윗은 하나님이 자신의 피난처라는 확신 아래, 적과 맞서지 말고 도망가라는 부하들의 제안을 뿌리칩니다 (2-3절) . 그의 믿음의 고백은 이렇게 간단합니다. “내가 여호와께 피하였거늘” (1절) . 그처럼 잘 뿌리내린 신념이 그의 행동을 이끌어주었던 것입니다.

4-7절의 다윗의 고백은 하나님의 위대하심을 잘 말해줍니다. 그렇습니다. 삶은 간혹 전쟁터 같아서, 적의 사격으로 건강 문제나 경제적, 관계적, 영적인 스트레스가 퍼부어질 때 우리는 피할 곳을 찾아 흩어져버릴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하나님이 우주의 왕이심을 인정하고
(4절) , 정확하게 심판하시는 하나님의 놀라운 능력을 기뻐하며 (5-6절) , 올바르고 공정하고 공평함을 즐거워하시는 하나님 안에서 안식하십시오 (7절) . 우리는 피난처를 찾아 하나님께로 재빨리 달려갈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1
내가 여호와께 피하였거늘 [시편 11:1]

하나님 아버지, 나를 대적하는 어떤 세력보다 하나님을 더 똑똑히 보게 하시고, 진정한 피난처가 되시는 하나님께로 달려갈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살면서 적대적인 공격을 당하여 하나님이 아닌 다른 피난처를 찾고 싶은 유혹을 받은 적이 있습니까? 하나님이 당신을 구하러 오셔서 그분 안에서 당신의 소망이 새롭게 된 때를 기억하십니까?

Daily Article

03/29/2021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JUDGES 7–8; LUKE 5:1–16
Hymn: 417(OLD476)

FACING THE BATTLES WITH GOD

The heroic deeds of US Army soldier Desmond Doss are featured in the 2016 movie Hacksaw Ridge. While Doss’ convictions wouldn’t allow him to take human life, as an army medic he committed himself to preserving life even at the risk of his own. The citation read at Doss’ Medal of Honor ceremony on October 12, 1945, included these words: “Private First Class Doss refused to seek cover and remained in the fire-swept area with the many stricken, carrying them one by one to the edge of the escarpment. . . . He unhesitatingly braved enemy shelling and small arms fire to assist an artillery officer.”

In Psalm 11, David’s conviction that his refuge was in God compelled him to resist suggestions to flee rather than face his foes (VV. 2–3) . Six simple words comprised his statement of faith: “In the Lord I take refuge” (V. 1) . That well-rooted conviction would guide his conduct.

David’s words in verses 4–7 amplified God’s greatness. Yes, life can sometimes be like a battlefield, and hostile fire can send us scattering for cover when we’re bombarded with health challenges or financial, relational, and spiritual stresses. So, what should we
do? Acknowledge that God is the king of the universe (V. 4) ; take delight in His amazing capacity to judge with precision (VV. 5–6) ; and rest in His delight in what’s right, fair, and equitable (V. 7) . We can run swiftly to God for shelter!
ARTHUR JACKSON

Today's Reading

PSALM 11
In the Lord I take refuge. [ PSALM 11:1 ]

Father, help me to see You more clearly than any force that opposes me and run to You for true safety and security.

When have you experienced life’s hostile fire and been tempted to find shelter in something other than God? Can you recall times when God came to your rescue and your hope in Him was renewed?

오늘의 말씀

03/28/2021     주일

성경읽기: 사사기 4-6; 누가복음 4:31-44
찬송가: 141(통132)

저 좀 보세요!

“할머니, 내 요정 공주 춤 보세요.” 세 살배기 손녀가 별장 마당을 뛰어다니며 얼굴에 함박웃음을 짓고 즐겁게 나를 불렀습니다. 그 아이의 “춤”은 웃음을 자아냈고, “저게 춤이에요? 그냥 뛰어다니는 거지.”라고 말하는 큰손자의 시큰둥한 반응에도 가족 휴가를 보내는 손녀 아이는 그저 즐겁기만 했습니다.

첫 종려주일은 기복이 심한 날이었습니다. 예수님이 나귀를 타고 예루살렘에 입성할 때 사람들은 소리 높여 외쳤습니다. “호산나...... 주의 이름으로 오시는 이여 찬송하리로다” (마태복음 21:9) . 그러나 많은 군중들은 자신들의 죄를 위해 죽으실 구세주가 아니라 로마로부터 자신들을 해방시킬
메시아를 기대하고 있었습니다.

대제사장들이 예수님의 권위를 의심하며 분노했던 것과는 달리, 그날 늦게 성전에 있던 아이들은 “호산나 다윗의 자손이여” (15절) 하며 기쁘게 소리쳤습니다. 아이들은 아마도 종려나무 가지를 들고 흔들면서 성전 뜰을 뛰어다녔을 것입니다. 아이들은 그렇게 주님을 경배할 수밖에 없다고 예수님은
성난 지도자들에게 말씀하셨습니다. 왜냐 하면 “[하나님이] 어린 아이들과 젖먹이들의 입에서 찬양이 나오게 하셨” (16절, 새번역) 기 때문입니다. 아이들은 구세주 앞에 있었던 것입니다!

예수님은 지금 우리를 불러 그가 어떤 분이신지 잘 보라고 하십니다. 예수님이 어떤 분이신지 알게 되면 우리도 기쁨이 넘치는 어린아이 같이 주님 앞에서 크게 즐거워할 수밖에 없습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21:12-17
어린 아이들과 젖먹이들의 입에서 찬양이 나오게 하셨다 [마태복음 21:16, 새번역]

사랑의 하나님, 저를 위해 행하신 모든 것에 감사드립니다! 제가 하나님 안에서 기쁨을 찾을 수 있도록 크게 도와주신 것을 생각하면 놀라지 않을 수 없습니다. 하나님께 견고히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일상생활의 산만함과 다른 사람들에 대한 불만이 어떻게 주님께 집중하지 못하게 합니까? 무엇이 예수님만 계속 바라보는데 도움이 될까요?

Daily Article

03/28/2021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JUDGES 4–6; LUKE 4:31–44
Hymn: 141(OLD132)

WATCH ME!

“Watch my fairy princess dance, Grandma!” my three-year-old granddaughter gleefully called as she raced around the yard of our cabin, a big grin on her face. Her “dancing” brought a smile; and her big brother’s glum, “She’s not dancing, just running,” didn’t squelch her joy at being on vacation with family.

The first Palm Sunday was a day of highs and lows. When Jesus rode into Jerusalem on a donkey, the crowds enthusiastically shouted, “Hosanna! . . . Blessed is he who comes in the name of the Lord!” (MATTHEW 21:9) . Yet many in the crowd were expecting a Messiah to free them from Rome, not a Savior who would die for their sins that same week.

Later that day, despite the anger of the chief priests who questioned Jesus’ authority, children in the temple expressed their joy by shouting, “Hosanna to the Son of David” (V. 15) , perhaps leaping and waving palm branches as they ran around the courtyard. They couldn’t help but worship Him, Jesus told the indignant leaders, for “from the lips of children and infants [God has] called forth [His] praise” (V. 16) . They were in the presence of the Savior!

Jesus invites us to also see Him for who He is. When we do, like a child overflowing with joy, we can’t help but revel in His presence.
ALYSON KIEDA

Today's Reading

MATTHEW 21:12–17
From the lips of children and infants you, Lord, have called forth your praise. [ MATTHEW 21:16 ]

Loving God, thank You for all You’ve done for me! I’m amazed at the great lengths You went to so that I could find joy in You. Help me to keep my focus firmly on You.

How do the daily distractions and discontent of others draw your focus away from the Lord? What will help you to keep your eyes on Jesus?

오늘의 말씀

03/27/2021     토요일

성경읽기: 사사기 1-3; 누가복음 4:1-30
찬송가: 434(통491)

왕실 손님 접대

스코틀랜드의 무도회에서 영국 여왕을 만난 실비아 부부는 여왕의 가족이 자기 집에 차를 마시러 오고 싶다는 연락을 받았습니다. 실비아는 왕실 손님을 접대하는 일에 들떠서 집 안을 청소하고 준비를 시작했습니다. 그들이 도착하기 전, 그녀는 떨리는 마음으로 식탁에 놓을 꽃을 따러 정원에
나왔습니다. 그때 문득 하나님이 생각나며, 왕 중의 왕이신 하나님이 자기와 매일 함께하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즉시 그녀는 마음의 평온을 찾으면서, “그래, 어차피 여왕일 뿐인데!”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실비아의 말이 맞습니다. 바울 사도가 말한 것처럼 하나님은 “만왕의 왕이시며 만주의 주” (디모데전서 6:15) 이시고, 하나님을 따르는 자들은 “하나님의 자녀” (갈라디아서 3:26) 입니다. 우리가 그리스도께 속해 있다면 우리는 아브라함의 자손입니다 (29절) . 우리는 더 이상 인종이나 사회적 계층,
또는 성별의 차이 같은 것에 의한 분열에 얽매이지 않습니다. 우리는 “다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하나” (28절) 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왕이신 하나님의 자녀입니다.

실비아 부부는 여왕과 함께 아주 특별한 식사를 했지만, 나는 앞으로도 여왕의 초청을 받는 일은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왕 중의 왕이 매 순간 나와 함께 계신다는 생각 만으로도 나는 기쁩니다. 그리고 진심으로 예수님을 믿는 사람들은 (27절) 자신들이 하나님의 자녀라는 사실을 앎으로 함께 연합하여
살아갈 수 있다는 생각도 나를 기쁘게 합니다. 이 진리를 붙들면 오늘 우리가 어떤 모습으로 살게 될까요?

오늘의 성구

갈라디아서 3:26-29
너희가 다 믿음으로 말마암아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하나님의 아들이 되었으니 [갈라디아서 3:26]

위대하고 영광스러운 만왕의 왕이시며 만주의 주이신 하나님. 저를 사랑하기 위해 몸을 낮추시고 저를 하나님의 자녀로 맞아주시니 감사합니다.

당신이 아브라함의 자손이라는 것이 어떤 의미입니까? 어떻게 다른 사람들을 하나님의 가족이 되도록 초대할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3/27/2021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JUDGES 1–3; LUKE 4:1–30
Hymn: 434(OLD491)

HOSTING ROYALTY

After meeting the Queen of England at a ball in Scotland, Sylvia and her husband received a message that the royal family would like to visit them for tea. Sylvia started cleaning and prepping, nervous about hosting the royal guests. Before they were due to arrive, she went outside to pick some flowers for the table, her heart racing. Then she sensed God reminding her that He’s the King of kings and that He’s with her every day. Immediately she felt peaceful and thought, “After all, it’s only the Queen!”

Sylvia is right. As the apostle Paul noted, God is the “King of kings and Lord of lords” (1 TIMOTHY 6:15) and those who follow Him are “children of God” (GALATIANS 3:26) . When we belong to Christ, we’re heirs of Abraham (V. 29) . We no longer are bound by division—such as that of race, social class, or gender—for we’re “all one in Christ Jesus” (V. 28) . We’re children of the King.

Although Sylvia and her husband had a marvelous meal with the Queen, I don’t anticipate receiving an invitation from her anytime soon. But I love the reminder that the highest King of all is with me every moment. And that those who believe in Jesus wholeheartedly (V. 27) can live in unity, knowing they’re God’s children.

How could holding onto this truth shape the way we live today?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GALATIANS 3:26–29
So in Christ Jesus you are all children of God through faith. [ GALATIANS 3:26 ]

King of kings and Lord of lords, You are mighty and glorious. Thank You for stooping down to love me and for welcoming me as Your child.

What does it mean to you to be an heir of Abraham? How could you invite others to become part of the family?

오늘의 말씀

03/26/2021     금요일

성경읽기: 여호수아 22-24; 누가복음 3
찬송가: 242(통233)

빈민가의 음악 소리

카테우라는 남미 파라과이의 작은 빈민가 이름입니다. 몹시 가난한 그 지역의 사람들은 쓰레기장에서 나오는 물건을 재활용하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가망 없는 상황에서 아름다운 일이 일어났습니다. 오케스트라가 생긴 것입니다.

바이올린 하나의 가격이 카테우라 마을의 집 한 채 값이라 그 오케스트라는 쓰레기 더미에서 주운 것들로 자신들의 악기들을 창의적으로 만들어야 했습니다. 바이올린은 기름통에 줄걸이로 구부러진 포크를 사용해서, 색소폰은 수도 파이프에 키로 유리병 뚜껑을 사용해서, 그리고 첼로는 양철
드럼통에 조율 핀으로 뇨키 파스타 롤러를 달아매어 만들었습니다. 이런 장치들로 연주되는 모차르트의 음악을 듣는 것은 아주 멋진 일입니다. 그 오케스트라는 많은 나라에 순회공연을 하며 젊은 연주자들의 시야를 넓혀 주었습니다.

매립 쓰레기에서 만들어진 바이올린. 빈민가에서 나온 음악. 그것은 하나님이 하시는 일을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가난에서 아름다움이 피어난 이 장면처럼, 이사야 선지자는 메마른 땅에 꽃이 피고 (이사야 35:1-2) , 사막에 시냇물이 흐르며 (6-7절) , 칼과 창이 농기구로 만들어지고 (2:4) , 빈곤한 자들이 기쁨의 노랫소리에 하나가 되는 (35:5-6, 10) 하나님의 새로운 창조의 세계를 마음에 그리고 있습니다.

카테우라 오케스트라의 감독은 말합니다. “온갖 쓰레기가 우리에게 버려집니다. 그러면 우리는 음악으로 되돌려줍니다.” 그들은 연주를 통해, 언젠가 하나님께서 모든 사람의 눈물을 닦아주시고 더 이상 가난이 없게 될 미래의 한 장면을 세상에 보여주고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35
노래하며 시온에 이르러 그들의 머리 위에 영영한 희락을 띠고 [이사야 35:10]

성령님, 제 인생의 가난을 아름다운 것으로 바꾸어 주소서.

하나님이 당신 삶의 “쓰레기”를 아름다운 것으로 바꾸시는 것을 본 적이 있습니까? 하나님은 어떻게 당신이 고통으로부터 “음악”을 만들어내기를 바라십니까?

Daily Article

03/26/2021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JOSHUA 22–24; LUKE 3
Hymn: 242(OLD233)

SLUM SONGS

Cateura is a small slum in Paraguay, South America. Desperately poor, its villagers survive by recycling items from its rubbish dump. But from these unpromising conditions something beautiful has emerged—an orchestra.

With a violin costing more than a house in Cateura, the orchestra had to get creative, crafting its own instruments from their garbage supply. Violins are made from oil cans with bent forks as tailpieces. Saxophones have come from drainpipes with bottle tops for keys. Cellos are made from tin drums with gnocchi rollers for tuning pegs. Hearing Mozart played on these contraptions is a beautiful thing. The orchestra has gone on tour in many countries, lifting the sights of its young members.

Violins from landfills. Music from slums. That’s symbolic of what God does. For when the prophet Isaiah envisions God’s new creation, a similar picture of beauty-from-poverty emerges, with barren lands bursting into blooming flowers (ISAIAH 35:1–2) , deserts flowing with streams (VV. 6–7) , castaway war tools crafted into garden instruments (2:4) , and impoverished people becoming whole to the sounds of joyful songs (35:5–6, 10).

“The world sends us garbage,” Cateura’s orchestra director says. “We send back music.” And as they do, they give the world a glimpse of the future, when God will wipe away the tears of every eye and poverty will be no more.
SHERIDAN VOYSEY

Today's Reading

ISAIAH 35
They will enter Zion with singing; everlasting joy will crown their heads. [ ISAIAH 35:10 ]

Holy Spirit, turn the poverty in my life into something beautiful.

How have you seen God turn the “garbage” of your life into something beautiful? How might He wish to bring “music” out of your pain?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