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3/15/2021     월요일

성경읽기: 신명기 26-27; 마가복음 14:27-53
찬송가: 202(통241)

돌봄의 편지

수십 년 전, 제리 모토 박사는 “돌봄의 편지”가 힘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그의 연구는 이전에 자살을 시도했던 퇴원 환자에게 단순히 관심을 표현하는 편지를 보내는 것만으로도 재발 비율을 절반으로 줄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최근에 의료서비스 종사자들은 심각한 우울증의 후속 치료로 “돌봄”의 문자 메시지나 엽서, 심지어 소셜 미디어로 메시지를 보내는 것도 이런 효과가 있음을 재확인했습니다.

성경 중에 스물한 권의 “책”은 사실 여러 가지 이유로 어려움을 겪었던 초대교회 신자들을 보살피기 위해 쓰인 사도들의 편지입니다. 바울과 야고보와 요한은 신앙과 예배의 기본을 설명하고, 갈등을 어떻게 풀고 화합을 이룰 수 있는지 설명하기 위해 편지를 썼습니다.

그러나 베드로 사도는 특별히 로마 황제 네로에게 박해를 받고 있던 신자들에게 편지를 썼습니다. 그는 베드로전서 2장 9절에서 그들을 일컬어 “하나님이 선택하신 민족이며 왕 같은 제사장이요 거룩한 나라요 하나님의 소유가 된 백성” (현대인의 성경) 이라고 묘사함으로써, 그들이 하나님께 본질적인 가치가 있는 존재들임을 상기시켜 주었습니다. 이 말씀은 그들로 하여금 세상에서 그들을 향한 하나님의 위대한 목적, 즉 “너희를 어두운 데서 불러내어 그의 기이한 빛에 들어가게 하신 이의 아름다운 덕을 선포하게 하려 하신다” 는 사실을 바라보게 해주었습니다.

위대한 하나님은 우리를 향한 돌봄의 편지로 가득 찬 책인, 영감으로 쓰인 성경을 주셨습니다. 이 성경을 통해 우리는 하나님이 우리에게 부여해주신 하나님의 소유로서의 그 가치를 기록으로 늘 지닐 수 있게 되었습니다. 매일 주님의 편지를 읽고 예수님께서 베푸시는 소망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과 함께
나눌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베드로전서 2:4-10
여러분은 하나님이 선택하신 민족이며 왕 같은 제사장이요 거룩한 나라요 하나님의 소유가 된 백성입니다. [베드로전서 2:9, 현대인의 성경]

사랑의 하나님, 성경에 돌봄의 편지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사도들의 서신을 돌봄의 편지로 읽을 때 어떻게 하나님의 격려를 받는 데 도움이 됩니까? 오늘 하나님의 돌봄의 편지가 주는 소망을 어떻게 나누시겠습니까?

Daily Article

03/15/2021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DEUTERONOMY 26–27; MARK 14:27–53
Hymn: 202(OLD 241)

CARING LETTERS

Decades ago, Dr. Jerry Motto discovered the power of a “caring letter.” His research found that simply sending a letter expressing care to discharged patients who had previously attempted suicide reduced the rate of recurrence by half. Recently, health care providers have rediscovered this power when sending “caring” texts, postcards, and even social media memes as followup treatment for the severely depressed.

Twenty-one “books” in the Bible are actually letters—epistles—caringly written to first-century believers who struggled for a variety of reasons. Paul, James, and John wrote letters to explain the basics of faith and worship, and how to resolve conflict and
build unity.

The apostle Peter, however, specifically wrote to believers who were being persecuted by the Roman emperor, Nero. Peter reminded them of their intrinsic value to God, describing them this way in 1 Peter 2:9, “You are a chosen people, a royal priesthood, a holy nation, God’s special possession.” This lifted their gaze to God’s great purpose for them in their world: “that you may declare the praises of him who called you out of darkness into his wonderful light.”

Our great God Himself wrote a book filled with caring letters to us—inspired Scripture—that we might always have a record of the value He assigns us as His own. May we read His letters daily and share them with others who need the hope Jesus offers. ELISA MORGAN

Today's Reading

1 PETER 2:4–10
You are a chosen people, a royal priesthood, a holy nation, God’s special possession. [ 1 PETER 2:9 ]

Loving God, thank You for the caring letters in the Bible!

How does reading the epistles as caring letters help you receive God’s encouragement? How will you share the hope of God’s caring letters today?

오늘의 말씀

03/14/2021     주일

성경읽기: 신명기 23-25; 마가복음 14:1-26
찬송가: 345(통461)

두려움을 주는 폭풍

얼마 전 텔레비전 광고를 보니 한 여성이 텔레비전을 보고 있는 사람들 중 누군가에게 무심코 “마크야, 무엇을 찾고 있니?” 하고 묻습니다. 사실 이 질문은 단순히 텔레비전에서 무슨 프로그램을 보고 싶은지 묻는 것이었지만, 그는 “두려움 때문에 결정을 내리지 않는 또 다른 나 자신”
이라고 진지하게 대답합니다.

‘와’ 하는 탄성이 나도 모르게 나왔습니다. 텔레비전 광고가 이토록 깊은 충격을 줄 것이라고는 예상치도 못했습니다! 하지만 나는 가여운 마크에게 공감이 갔습니다. 나도 두려움이 내 인생을 결정하는 것처럼 보일 때 당황하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의 제자들 또한 두려움의 무서운 힘을 경험하였습니다. 한 번은 그들이 갈릴리 바다를 건널 때 (마가복음 4:35) “큰 광풍이 일어났습니다” (37 절) . 공포에 휩싸인 그들은 주무시던 예수님이 그들을 모른체하시는 줄 알고 이렇게 말했습니다. “선생님이여 우리가 죽게 된 것을 돌보지 아니하시나이까” (38절) .

두려움은 제자들의 시야를 ‘왜곡시켜’ 그들을 위한 예수님의 선한 의도를 보지 못하게 만들었습니다. 그리스도는 바람과 파도를 꾸짖으신 후 (39절) 제자들을 마주하시며 두 가지 따끔한 질문을 하셨습니다. “어찌하여 이렇게 무서워하느냐 너희가 어찌 믿음이 없느냐” (40절) .

우리 삶에도 폭풍이 몰아칩니다. 그렇지 않습니까? 그러나 예수님의 질문은 두려움을 올바른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첫 번째 질문은 우리로 두려움이라는 감정의 ‘정체를 밝히라’고 권면합니다. 두 번째 질문은 인생의 가장 격렬한 폭풍우를 만나더라도 주님께서 우리를 어떻게 인도하시는지 볼 수 있는 눈을 달라고 간구하면서, 우리로 이 왜곡된 감정을 주님께 ‘맡기라’고 권면합니다.

오늘의 성구

마가복음 4:35-41
[예수께서] 제자들에게 이르시되 어찌하여 이렇게 무서워하느냐 너희가 어찌 믿음이 없느냐 [마가복음 4:40]

사랑의 구주시여, 폭풍우 가운데 주님이 늘 함께 하셔서 감사합니다. 인생의 무서운 순간을 헤쳐 나갈 때, 매일 주님과 대화하며 두려움을 주님께 맡기도록 도와주소서.

바로 지금 어떤 폭풍우를 겪고 있습니까? 바람이 불고 파도가 심해질 때 어떻게 두려운 감정을 예수님께 맡길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3/14/2021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DEUTERONOMY 23–25; MARK 14:1–26
Hymn: 345(OLD 461)

STORMS OF FEAR

In a TV commercial I saw recently, a woman casually asks someone in a group watching TV, “What are you searching for, Mark?” “A version of myself that doesn’t make decisions based on fear,” he responds soberly—not realizing that she was just asking what he liked to watch on TV!

Whoa, I thought. I wasn’t expecting a TV commercial to hit me so profoundly! But I related to poor Mark: I too feel embarrassed by the way fear sometimes seems to direct my life.

Jesus’ disciples also experienced the profound power of fear. Once, as they headed across the Sea of Galilee (MARK 4:35) , “a furious squall came up” (V. 37) . Terror gripped them, and they suggested that Jesus (who’d been sleeping!) might not care about them: “Teacher, don’t you care if we drown?” (V. 38).

Fear distorted the disciples’ vision, blinding them to Jesus’ good intentions for them. After He rebuked the wind and waves (V. 39) , Christ confronted the disciples with two penetrating questions: “Why are you so afraid? Do you still have no faith?” (V. 40).

Storms rage in our lives as well, don’t they? But Jesus’ questions can help us put our fears in perspective. His first question invites us to name our fears. The second invites us to entrust those distorted feelings to Him—asking Him for eyes to see how He guides us even through life’s most raging storms. ADAM R. HOLZ

Today's Reading

MARK 4:35–41
[Jesus] said to his disciples, “Why are you so afraid? Do you still have no faith?” [ MARK 4:40 ]

Loving Savior, thank You that You’re always present in the storm. As I move through life’s scary moments, help me each day to talk to You and entrust You with my fears.

What storms are you facing right now? How can you entrust your fears and emotions to Jesus when the winds blow and the waters rise?

오늘의 말씀

03/13/2021     토요일

성경읽기: 신명기 20-22; 마가복음 13:21-37
찬송가: 454(통508)

하나님의 이야기책

화창한 날이 좋아 산책을 나갔다가 새 이웃을 만났습니다. 그는 나를 보더니 자기 소개를 했습니다. “제 이름은 제네시스고요, 여섯 살 반이에요.”

“제네시스(창세기)는 멋진 이름인데! 성경에 나오는 책이지.” 나는 대답했습니다.

“성경이 뭐예요?” 그는 물었습니다.

“하나님께서 이 세상과 사람들을 어떻게 만드셨는지, 그리고 우리를 얼마나 사랑하시는지를 쓴 하나님의 이야기책이란다.”

“왜 하나님은 세상과 사람과 차와 집을 만드셨어요? 그리고 그 책에 제 사진도 있나요?” 호기심 가득한 그의 질문에 나는 미소를 지었습니다.

성경에 새 친구 제네시스나 우리들의 사진은 없어도, 우리 모두는 하나님의 이야기책에서 큰 부분을 차지합니다. 창세기 1장에 “하나님이 자기 형상 곧 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람을 창조하신” (27절) 이야기가 나옵니다. 하나님은 동산에서 그들과 함께 걸으시며 그들 스스로 신이 되려는 유혹에 빠지지
말라고 경고하셨습니다 (3장) . 성경 후반부에서는 하나님은 어떻게 하나님의 아들이신 예수님이 다시 우리와 걷기 위해 사랑으로 오셨으며, 어떻게 우리를 용서하시고 피조물을 구원하기 위한 계획을 세우셨는지 말씀하십니다.

우리가 성경을 보면, 창조주께서는 우리가 그분을 알고 그분과 이야기하며 심지어 그분께 질문하기를 바라신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상상하는 것 이상으로 우리를 사랑하십니다.

오늘의 성구

창세기 1:26-31
하나님이 그들에게 복을 주시며...... 하나님이 지으신 그 모든 것을 보시니 보시기에 심히 좋았더라 [창세기 1:28, 31]

사랑의 하나님, 저를 하나님의 이야기의 일부가 되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하나님께서 저를 사랑하시는 것처럼 하나님과 다른 사람들을 사랑하게 하소서.

당신은 하나님의 이야기 중 어디에서 자신을 봅니까? 당신은 어떤 방법으로 하나님과의 교제를 경험하고 있습니까?

Daily Article

03/13/2021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DEUTERONOMY 20–22; MARK 13:21–37
Hymn: 454(OLD 508)

GOD’S STORYBOOK

Wanting to enjoy the beautiful day, I headed out for a walk and soon met a new neighbor. He stopped me and introduced himself: “My name is Genesis, and I’m six and a half years old.”

“Genesis is a great name! It’s a book in the Bible,” I replied.

“What’s the Bible?” he asked.

“It’s God’s storybook about how He made the world and people and how He loves us.”

His inquisitive response made me smile: “Why did He make the world and people and cars and houses? And is my picture in His book?”

While there isn’t a literal picture of my new friend Genesis or the rest of us in the Scriptures, we’re a big part of God’s storybook. We see in Genesis 1 that “God created mankind in his own image, in the image of God He created them” (V. 27) . God walked with them in the garden, and then warned about giving in to the temptation to be their own god (CH. 3) . Later in His book, God told about how, in love, His Son, Jesus, came to walk with us again and brought about a plan for our forgiveness and the restoration of His creation.

As we look at the Bible, we learn that our Creator wants us to know Him, talk with Him, and even ask Him our questions. He cares for us more than we can imagine. ANNE CETAS

Today's Reading

GENESIS 1:26–31
God blessed them. . . . God saw all that he had made, and it was very good. [ GENESIS 1:28, 31 ]

Loving God, thank You for making me a part of Your story. May I love You and others as You love me.

Where do you see yourself in God’s story? In what ways are you experiencing His fellowship?

오늘의 말씀

03/12/2021     금요일

성경읽기: 신명기 17-19; 마가복음 13:1-20
찬송가: 429(통489)

매순간의 호흡

모든 근육을 약화시키는 희귀한 자가면역질환에 걸려 거의 죽을 뻔했던 티운은 숨을 쉴 수 있는 것도 하나의 선물이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일주일 이상 기계를 사용해서 몇 초 간격으로 그의 폐에 공기를 주입하는 일은 고통스러운 치료 과정이었습니다.

티운은 기적적으로 회복되었습니다. 그는 지금 인생의 여러 가지 어려움에 대해 불평하지 않기로 스스로 다짐합니다. 그는 이렇게 말합니다. “난 그저 심호흡을 한번 하고, 그렇게 할 수 있는 것만으로도 하나님께 감사합니다.”

자신이 필요로 하고 원하는 것에만 집중하다 보면, 때로는 인생에서 가장 작은 것이 가장 큰 기적일 수 있다는 사실을 잊어버리기가 쉽습니다. 에스겔의환상 (에스겔 37:1-14) 을 통해 하나님은 선지자에게 하나님만이 마른 뼈들에 생명을 주실 수 있음을 보여주셨습니다. 힘줄과 살과 피부가 생긴 후에도 “그 속에 생기는 없었습니다” (8절) . 그들이 다시 살아날 수 있으려면 하나님께서 그들에게 생기를 불어넣으셔야만 했습니다 (10절) .

이 환상은 이스라엘을 황폐함에서 회복시키겠다는 하나님의 약속을 보여주었습니다. 또한 하나님께서 호흡을 주시지 않으면 내가 가진 크고 작은 모든 것이 아무 소용이 없다는 사실을 일깨워줍니다.

오늘 우리 삶의 가장 평범한 복에 대해 하나님께 감사하지 않으시겠습니까? 매일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가끔은 멈추어 심호흡을 합시다. 그리고 “호흡이 있는 자마다 여호와를 찬양하십시오” (시편 150:6) .

오늘의 성구

에스겔 37:1-3, 7-10, 14
너희 속에 생기를 넣으리니 [에스겔 37:6]

하나님, 저에게 매순간 호흡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인생의 가장 작은 것들이 주는 가장 큰 기적들로 인해 감사드립니다.

바로 지금 하나님께 무엇을 감사하시겠습니까? 오늘 하나님께 더 자주 감사해야 한다는 것을 어떻게 기억할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3/12/2021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DEUTERONOMY 17–19; MARK 13:1–20
Hymn: 429(OLD 489)

EVERY BREATH

When Tee Unn came down with a rare autoimmune disease that weakened all his muscles and nearly killed him, he realized that being able to breathe was a gift. For more than a week, a machine had to pump air into his lungs every few seconds, which was a painful part of his treatment.

Tee Unn made a miraculous recovery, and today he reminds himself not to complain about life’s challenges. “I’ll just take a deep breath,” he says, “and thank God I can.”

How easy it is to focus on things we need or want, and forget that sometimes the smallest things in life can be the greatest miracles. In Ezekiel’s vision (EZEKIEL 37:1–14) , God showed the prophet that only He could give life to dry bones. Even after tendons, flesh, and skin had appeared, “there was no breath in them” (V. 8) . It was only when God gave them breath that they could live again (V. 10) .

This vision illustrated God’s promise to restore Israel from devastation. It also reminds me that anything I have, big or small, is useless unless God gives me breath.

How about thanking God for the simplest blessings in life today? Amid the daily struggle, let’s stop occasionally to take a deep breath, and “let everything that has breath praise the Lord” (PSALM 150:6). LESLIE KOH

Today's Reading

EZEKIEL 37:1–3, 7–10, 14
I will put breath in you. [ EZEKIEL 37:6 ]

Thank You, God, for every breath You’ve given me. Thank You for the smallest things in life and the greatest miracles of life.

What will you thank God for right now? How can you remind yourself to thank Him more often today?

오늘의 말씀

03/11/2021     목요일

성경읽기: 신명기 14-16; 마가복음 12:28-44
찬송가: 321(통351)

가난한 중에도

워렌 버핏과 빌 게이츠, 그리고 멜린다 게이츠는 그들 재산의 반을 기부하겠다는 역사에 남을만한 ‘기부 서약’ 운동을 시작했습니다. 2018 년을 기준으로 이는 920억 달러를 기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서약에 대해 호기심이 생긴 심리학자 폴 피프는 사람들의 기부 성향에 대해 연구하게 되었습니다. 이 연구를 통해 그는 가난한 사람들이 부자들보다 자신들이 가진것 중에서 44%를 더 기부하는 경향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대체로 자신이 직접 가난을 경험한 사람들은 훨씬 너그러운 마음을 갖게 됩니다.

예수님도 이 점을 아셨습니다. 성전을 방문하셨을 때 예수님은 사람들이 헌금함에 돈을 넣는 것을 지켜보셨습니다 (마가복음 12:41) . 부자들은 돈뭉치를 던져넣었지만, 가난한 과부는 그가 마지막으로 갖고 있던 십원 정도 가치의 동전 두 개를 꺼내어 바구니에 넣었습니다. 그때 기쁨과 놀라움을 금치 못하시며 자리에서 벌떡 일어서시는 예수님의 모습을 그려봅니다. 예수님은 제자들이 이 빛나는 행동을 놓치지 않도록 곧바로 그들을 불러 모으셨습니다. 그러고는 “이 가난한 과부는 헌금함에 넣는 모든 사람보다 많이 넣었도다” (43절) 라고 외치셨습니다. 제자들은 어리둥절해서 예수님이 무슨 말씀을 하고 계신지 누군가가 설명해 주기를 바라며 서로를 바라보았습니다. 그래서 예수님은 다시 분명하게 말씀하셨습니다. 많은 돈을 가져온 사람들은 “그 풍족한 중에서 넣었거니와 이 과부는 그 가난한 중에서 자기의 모든 소유를 넣었느니라” (44절) .

우리에게 드릴 것이 거의 없을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우리가 가난한 중에서도 드리기를 원하십니다. 비록 그것이 다른 사람들에게는 초라해 보일지라도, 우리가 가진 대로 드릴 때 하나님은 우리가 아낌없이 드리는 선물을 크게 기뻐하십니다.

오늘의 성구

마가복음 12:38-44
그들은 다 풍족한 중에서 넣었거니와 이 과부는 그 가난한 중에서 자기의 모든 소유 곧 생활비 전부를 넣었느니라 [마가복음 12:44]

하나님, 제가 드릴 수 있는 것이 많지 않은 것 같습니다. 저의 선물은 보잘것 없고 가치 없게 느껴집니다. 그러나 제가, 저의 모든 것이 여기 있습니다. 제가 가난한 중에도 주님께서 저를 받아 주시기를 바랍니다.

가난한 중에서도 드린다는 것이 어떤 의미일까요? 오늘 어떻게 예수님께 “모든 것”을 드릴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3/11/2021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DEUTERONOMY 14–16; MARK 12:28–44
Hymn: 321(OLD 351)

OUT OF OUR POVERTY

Warren Buffett and Bill and Melinda Gates made history when they launched the Giving Pledge, promising to donate half of their money. As of 2018, this meant giving away 92 billion dollars. The pledge made psychologist Paul Piff curious to study giving patterns. Through a research test, he discovered that the poor were inclined to give 44 percent more of what they had than wealthy people. Those who’ve felt their own poverty are often moved to greater generosity.

Jesus knew this. Visiting the temple, He watched the crowds drop gifts into the treasury (MARK 12:41) . The rich tossed in wads of cash, but a poor widow pulled out her last two copper coins, worth maybe a penny, and placed them into the basket. I picture Jesus standing up, delighted and astounded. Immediately, He gathered His disciples, making sure they didn’t miss this dazzling act. “This poor widow has put more into the treasury than all the others,” Jesus exclaimed (V. 43) . The disciples looked at each other, bewildered, hoping someone could explain what Jesus was talking about. So, He made it plain: those bringing huge gifts “gave out of their wealth; but she, out of her poverty, put in everything” (V. 44) .

We may have little to give, but Jesus invites us to give out of our poverty. Though it may seem meager to others, we give what we have, and God finds great joy in our lavish gifts. WINN COLLIER

Today's Reading

MARK 12:38–44
They all gave out of their wealth; but she, out of her poverty, put in everything—all she had to live on. [ MARK 12:44 ]

God, I don’t feel like I have much to offer. My gifts feel puny and worthless. But I’m here. All of me. Will You receive me in my poverty?

What does it mean for you to give out of your poverty? How can you give “everything” for Jesus today?

오늘의 말씀

03/10/2021     수요일

성경읽기: 신명기 11-13; 마가복음 12:1-27
찬송가: 449(통377)

이것들을 행하라

아들의 수학 숙제를 도와주면서 보니, 그가 어떤 한 개념과 관련된 곱셈 문제들을 푸는 것을 재미없어 하는 게 분명해 보였습니다. 아들은 내가 그의 모든 숙제를 그만두게 해주기를 바라는 마음에, “아빠, 알아요!” 라고 고집을 부렸습니다. 그래서 나는 하나의 개념을 실제로 어떻게 적용할지 알기 전까지는 단지 하나의 개념에 지나지 않는다고 차분히 설명해주었습니다.

바울 사도는 빌립보에 있는 그의 친구들에게 행함에 대해서 이야기하면서 “너희는 내게 배우고 받고 듣고 본 바를 행하라” (빌립보서 4:9) 고 썼습니다. 그는 다섯 가지를 언급합니다. 유오디아와 순두게에게 ‘화해’를 권하고 (2-3절) , 편지를 읽는 이들에게 ‘기뻐하라’고 하며 (4절) , 세상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관용’을 베풀라고 했습니다 (5절) . 또한 직접적으로, 그리고 서면으로 그들에게 ‘기도’의 모범을 보이고 (6-7절) , 감옥에서조차 ‘집중’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8절) . 화해와 기쁨, 관용, 기도, 그리고 집중. 이것들은 우리가 예수님을 믿는 신자로서 살면서 실행해야 할 것들입니다. 어떤 습관과 마찬가지로, 이런 미덕들도 자라나기 위해서는 먼저 행해져야 합니다.

그러나 바울이 이미 빌립보 사람들에게 말했듯이, 복음의 좋은 소식은 “너희 안에서 행하시는 이는 하나님이시니 자기의 기쁘신 뜻을 위하여 너희에게 소원을 두고 행하게 하신다” (2:13) 는 것입니다. 결코 우리 자신의 힘으로 행하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을 하나님께서 공급해 주실 것입니다 (4:19) .

오늘의 성구

빌립보서 4:1-9
너희는 내게 배우고 받고 듣고 본 바를 행하라 [빌립보서 4:9]

예수님, 성령님의 힘으로 주님의 일들을 실천할 수 있는 은혜를 주시고, 성령의 열매를 맺을 수 있는 삶을 살 수 있도록 힘을 더해 주소서.

예수님을 닮아가려면 무엇을 실천해야 할까요? 어떻게 성령님이 주시는 힘으로 행할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3/10/2021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DEUTERONOMY 11–13; MARK 12:1–27
Hymn: 449(OLD 377)

PRACTICE THESE THINGS

As I helped my son with his math homework, it became apparent he was less than enthusiastic about doing multiple problems related to the same concept. “I’ve got it, Dad!” he insisted, hoping I would let him out of doing all of his assignment. I then gently explained to him that a concept is just a concept until we learn how to work it out in practice.

Paul wrote about practice to his friends in Philippi. “Whatever you have learned or received or heard from me, or seen in me—put it into practice” (PHILIPPIANS 4:9) . He mentions five things: reconciliation—as he urged Euodia and Syntyche to do (VV. 2–3) ; joy—as he reminded his readers to cultivate (V. 4) ; gentleness—as he urged them to employ in their relation to the world (V. 5) ; prayer—as he had modeled for them in person and in writing (VV. 6–7) ; and focus—as he had shown even in prison (V. 8) . Reconciliation, joy, gentleness, prayer, and focus—things we’re called to live out as believers in Jesus. Like any habit, these virtues must be practiced in order to be cultivated.

But the good news of the gospel, as Paul had already told the Philippians, is that “it is God who works in you to will and to act in order to fulfill his good purpose” (2:13) . We’re never practicing in our own power. God will provide what we need (4:19). GLENN PACKIAM

Today's Reading

PHILIPPIANS 4:1–9
Whatever you have learned or received or heard from me, or seen in me—put it into practice. [ PHILIPPIANS 4:9 ]

Jesus, give me the grace to practice Your ways by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Empower me to live my life in a way that bears the fruit of the Spirit

What things do you need to practice as you seek to imitate Jesus? How can you practice in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오늘의 말씀

03/09/2021     화요일

성경읽기: 신명기 8-10; 마가복음 11:19-33
찬송가: 71(통438)

눈을 보면서 떠올린 시상

오하이오 주 신시내티의 노동자 동네 이름을 딴 대중음악단 오버 더 라인은 이 도시에서 해마다 일어나는 계절의 변화를 노래합니다. 이 밴드의 공동 설립자인 린포드 듀웨일러는 말합니다. “언제든 매해 눈다운 눈을 처음 맞을 때마다, 마치 신성한 일이 일어나고 있는 것 같이 느껴졌습니다. 무언가 새롭게 시작하려는 듯이 말입니다. 그럴 때 도시는 천천히 움직이면서 점점 조용해지곤 했습니다.”

폭설을 경험해 봤다면, 그것이 어떻게 노래에 영감을 줄 수 있는지 이해할 수 있습니다. 눈은 세상의 찌든 때와 잿빛을 가리며 마법처럼 고요하게 세상을 덮어버립니다. 잠시 겨울의 적막함이 밝아지며 스스로를 돌아보게도 하고 기쁨의 세계로 우리를 초대합니다.

나름대로 하나님의 안목을 가졌던 욥의 친구 엘리후는 우리가 어떻게 주의 깊게 창조 현상을 바라봐야 하는지를 언급합니다. “하나님은 신기한 방법으로 음성을 발하신다” (욥기 37:5, 현대인의 성경) . “그는 명령 한 마디로 땅에 눈이 내리게 하시며 소나기와 폭우도 쏟아지게 하신다.” 그 같은 장관은
우리의 삶에 끼어들어 우리로 잠시 멈춰 서서 경건한 마음을 갖게 합니다. “하나님이 사람들의 일손을 멈추게 하는 이유는 그가 지으신 모든 사람들이 그가 하시는 일을 깨달아 알게 하기 위해서이다.”라고 엘리후는 말했습니다 (6-7절, 현대인의 성경) .

자연은 때로는 우리가 좋아하지 않는 방식으로 우리의 주의를 사로잡기도 합니다. 그러나 우리에게 무슨 일이 일어나고 우리가 주위에서 무엇을 보게 되든지 상관없이, 웅장하고 위협적이고 또는 일상적인 매 순간들은 우리의 예배에 영감을 줄 수 있습니다. 우리 안에 있는 시인의 마음은 신성한 고요함을 갈망하고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욥기 36:26-29; 37:5-7
눈을 명하여 땅에 내리라 하시며 적은 비와 큰 비도 내리게 명하시느니라 [욥기 37:6]

하나님 아버지, 오늘 모든 것에서 하나님의 손길을 보게 하소서. 주님이 행하신 놀라운 일들에 감사하는 마음을 주소서.

어떤 사건이나 사물을 만날 때 하나님의 위대함과 창조성을 생각하게 됩니까? 오늘 일상 속에서 어떻게 하나님의 경이로움을 경험할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3/09/2021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DEUTERONOMY 8–10; MARK 11:19–33
Hymn: 71(OLD 438)

SNOW MUSE

Named for a tough blue-collar neighborhood in Cincinnati, Ohio, the grassroots musical group Over the Rhine sings about a transformation that took place each year in the city. “Whenever we’d get our first real snowfall of the year, it felt like something sacred was happening,” explains band co-founder Linford Detweiler. “Like a little bit of a fresh start. The city would slow down and grow quiet.”

If you’ve experienced a heavy snowfall, you understand how it can inspire a song. A magical quietness drapes the world as snow conceals grime and grayness. For a few moments, winter’s bleakness brightens, inviting our reflection and delight.

Elihu, the one friend of Job who may have had a helpful view of God, noted how creation commands our attention. “God’s voice thunders in marvelous ways,” he said (JOB 37:5) . “He says to the snow, ‘Fall on the earth,’ and to the rain shower, ‘Be a mighty downpour.’ ” Such splendor can interrupt our lives, demanding a sacred pause. “So that everyone he has made may know his work, he stops all people from their labor,” Elihu observed (VV. 6–7).

Nature sometimes seizes our attention in ways we don’t like. Regardless of what happens to us or what we observe around us, each moment—magnificent, menacing, or mundane—can inspire our worship. The poet’s heart within us craves the holy hush.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JOB 36:26–29; 37:5–7
He says to the snow, “Fall on the earth,” and to the rain shower, “Be a mighty downpour.” [ JOB 37:6 ]

Father, help me to see Your hand in everything today. Give me a heart to appreciate Your amazing works.

What events or things motivate you to ponder God’s greatness and creativity? How can you experience His wonder in your ordinary moments today?

오늘의 말씀

03/08/2021     월요일

성경읽기: 신명기 5-7; 마가복음 11:1-18
찬송가: 203(통240)

글을 쓰는 이유

“ 주님은 나의 높은 탑입니다...... 우리는 노래를 부르며 캠프를 떠났습니다.” 1943년 9월 7일, 에티 힐레줌은 엽서에 이런 말을 적어 기차에서 던졌습니다. 그것은 에티가 우리에게 남긴 마지막 기록된 말이었습니다. 그는 1943년 11월 30일에 아우슈비츠에서 살해당했습니다. 후에 힐레줌의 포로수용소 경험을 담은 일기가 번역되어 출간되었습니다. 일기에는 나치 점령에 따른 공포에 관한 그의 견해들이 하나님의 세계의 아름다움과 더불어 연대기적으로 서술되어 있습니다. 67개 언어로 번역된 이 일기는 나쁜 것뿐 아니라 좋은 것을 함께 읽고 믿으려 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주어진 하나의 선물입니다.

요한 사도는 예수님이 이 땅에서 겪은 삶의 가혹한 현실에 눈을 감지 않았습니다. 그는 예수님이 행하신 선한 일과 함께 예수님이 겪으셨던 어려움을 모두 기록했습니다. 요한복음에 기록된 마지막 말씀은 요한의 이름으로 쓰인 그 책에 담긴 목적을 알게 해줍니다. 요한에 따르면 예수님은 “이 책에 기록되지 아니한 다른 표적도 많이 행하셨습니다” (20:30) . 그러나 “이것을 기록함은 너희로......믿게 하려 함이요”라고 그는 말합니다 (31절) . 요한의 “일기”는 “예수님은 하나님의 아들, 구세주”라는 승리의 메시지로 끝이 납니다. 선물로 주신 복음의 말씀은 우리가 주님의 이름을 믿고, “그 이름 안에 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줍니다.

복음은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사랑을 담은 일기입니다. 복음은 우리를 생명으로 인도하기 때문에 우리가 읽고 믿고 전해야 하는 말씀입니다. 복음은 우리를 그리스도께로 인도합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20:24-31
이것을 기록함은 너희로......믿게 하려 함이요 [요한복음 20:31]

은혜로우신 하나님, 제가 믿고 생명을 가질 수 있도록 신실한 사람들에 의해 쓰인 성경이라는 선물을 주시니 감사합니다.

복음이 일기라고 생각한다면 복음을 읽는 방식을 어떻게 바꾸겠습니까? 복음을 통해 그리스도의 마음에 어떻게 다가가고 있습니까?

Daily Article

03/08/2021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DEUTERONOMY 5–7; MARK 11:1–18
Hymn: 203(OLD 240)

THE REASON FOR WRITING

“ The Lord is my high tower . . . . We left the camp singing.” On September 7, 1943, Etty Hillesum wrote those words on a postcard and threw it from a train. Those were the final recorded words we would hear from her. On November 30, 1943, she was murdered at Auschwitz. Later, Hillesum’s diaries of her experiences in a concentration camp were translated and published. They chronicled her perspectives on the horrors of Nazi occupation along with the beauty of God’s world. Her diaries have been translated into sixty-seven languages—a gift to all who would read and believe the good as well as the bad.

The apostle John didn’t sidestep the harsh realities of Jesus’ life on earth; he wrote of both the good Jesus did and the challenges He faced. The final words from his gospel give insight into the purpose behind the book that bears his name. Jesus performed “many other signs . . . which are not recorded” (20:30) by John. But these, he says, were “written that you may believe” (V. 31) . John’s “diary” ends on the note of triumph: “Jesus is the Messiah, the Son of God.” The gift of those gospel words allows us the opportunity to believe and “have life in his name.”

The gospels are diary accounts of God’s love for us. They’re words to read and believe and share, for they lead us to life. They lead us to Christ. JOHN BLASE

Today's Reading

JOHN 20:24–31
But these are written that you may believe. [ JOHN 20:31 ]

Gracious God, thank You for the gift of the Scriptures, written down by faithful hands so that I might believe and have life.

How might it change the way you read the Gospels if you thought of them as diaries? How are you being led to the heart of Christ through them?

오늘의 말씀

03/07/2021     주일

성경읽기: 신명기 3-4; 마가복음 10:32-52
찬송가: 220(통278)

하나님께 간구하기

어느 날 아침 가족 기도 시간을 끝내는데 케이틀린이 깜짝 발언을 했습니다. 아빠가 “아멘”이라고 하자마자 다섯 살 된 케이틀린이 당당히 말했습니다. “기도하는 동안 로건 오빠가 눈을 뜨고 있어서 내가 오빠를 위해 기도했어요.”

열 살짜리 오빠의 기도 예절을 위해 기도하는 것이 성경에서 말하는 중보기도는 분명히 아니겠지만, 적어도 케이틀린은 우리가 다른 사람을 위해 기도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습니다.

성경 교사 오스왈드 챔버스는 다른 사람을 위한 기도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그는 “중보기도는 당신 자신을 하나님의 자리에 놓는 것이며, 하나님의 마음과 관점을 갖는 것이다.”라고 말했습니다. 그것은 우리가 알고 있는 하나님과 우리를 향한 그분의 사랑의 관점에서 다른 사람들을 위해
기도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다니엘서 9장에서 중보기도의 훌륭한 예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다니엘 선지자는 유대인들이 바벨론에서 70년 동안 포로 생활을 할 것이라는 고통스러운 약속을 하나님으로부터 받았다 (예레미야 25:11-12) 는 것을 알았습니다. 이 70년이 거의 끝나가고 있음을 깨닫고, 다니엘은 기도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는 하나님의 계명을 언급하며 (다니엘 9:4-6) , 자신을 낮추고 (8절) , 하나님의 성품을 존중하며 (9절) , 죄를 고백하고 (15절) , 하나님의 자비에 의존하며 그의 백성들을 위해 기도했습니다 (18절) . 그리고 하나님으로부터 즉각적인 응답을 받았습니다 (21절) .

모든 기도가 그처럼 극적인 응답으로 끝나는 것은 아니지만, 우리가 하나님을 신뢰하고 의지하는 자세로 다른 사람을 대신하여 하나님께 나아갈 수 있다는 사실에 우리는 격려를 받습니다.

오늘의 성구

다니엘 9:1-5,17-19
나 다니엘이 책을 통해......깨달았나니......주 하나님께 기도하며 간구하기를 결심하고 [다니엘 9:2-3]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을 더 잘 알게 하셔서 다른 사람들을 위해 기도할 때 하나님의 뜻을 잘 알아 선별하여 간구할 수 있게 해주소서.

다른 사람을 위해 기도할 때 어떻게 하나님의 마음을 구하고 있습니까? 하나님의 관점을 어떻게 추구하고 있습니까?

Daily Article

03/07/2021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DEUTERONOMY 3–4; MARK 10:32–52
Hymn: 220(OLD 278)

PLEADING WITH GOD

A family’s prayer time ended with a surprising announcement one morning. As soon as Dad said, “Amen,” five-year-old Kaitlyn proclaimed, “And I prayed for Logan, because he had his eyes open during prayer.”

I’m pretty sure praying for your ten-year-old brother’s prayer protocol isn’t what Scripture has in mind when it calls us to intercessory prayer, but at least Kaitlyn realized that we can pray for others.

Bible teacher Oswald Chamber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raying for someone else. He said that “intercession is putting yourself in God’s place; it is having His mind and perspective.” It’s praying for others in light of what we know about God and His
love for us.

We find a great example of intercessory prayer in Daniel 9. The prophet understood God’s troubling promise that the Jews would have seventy years of captivity in Babylon (JEREMIAH 25:11–12). Realizing that those years were nearing their completion, Daniel went into prayer mode. He referenced God’s commands (DANIEL 9:4–6), humbled himself (V. 8) , honored God’s character (V. 9) , confessed sin (V. 15) , and depended on His mercy as he prayed for His people (V. 18) . And he got an immediate answer from God (V. 21).

Not all prayer ends with such a dramatic response, but be encouraged that we can go to God on behalf of others with an attitude of trust and dependence on Him. DAVE BRANON

Today's Reading

DANIEL 9:1–5, 17–19
I, Daniel, understood from the Scriptures. . . . So I turned to the Lord God and pleaded with him in prayer and petition. [ DANIEL 9:2–3 ]

Dear heavenly Father, help me to know You better so that when I pray for others, I can filter my requests through my knowledge of Your will.

When you pray for others, how are you seeking the mind of God? How do you seek His perspective?

오늘의 말씀

03/06/2021     토요일

성경읽기: 신명기 1-2; 마가복음 10:1-31
찬송가: 208(통246)

자기 일에 전념함

여러 해 전, 아들 조시와 함께 등산하다가 먼지가 구름처럼 공기 중에 떠오르는 것을 갑자기 보게 되었습니다. 슬금슬금 다가가 보니 오소리한 마리가 흙으로 된 둑에서 정신없이 굴을 파고 있었습니다. 그놈은 구멍에 머리와 어깨를 박고 앞발로 힘차게 땅을 파며 뒷발로는 구멍의 흙을 밖으로 걷어내고 있었습니다. 오소리는 자기 일에 너무 몰두해서 우리가 오는 소리를 듣지 못했습니다.

나는 참지 못하고 근처에 있는 긴 막대기로 오소리를 뒤에서 찔렀습니다. 다치게 하지는 않았지만 오소리는 바로 뛰어오르더니 우리를 향해 돌아섰습니다. 조시와 나는 백 미터 달리기 세계 신기록을 세울 정도의 속도로 도망쳤습니다.

나는 나의 그 경솔함으로부터 때로는 남의 일에 참견하지 않는 것이 최선이라는 교훈을 배웠습니다. 그것은 특히 예수님을 믿는 신자들과의 관계에 있어서 더욱 그렇습니다. 바울 사도는 데살로니가 사람들에게 “조용히 살기를 힘쓰고, 자기 일에 전념하고, 자기 손으로 일을 하십시오” (데살로니가전서 4:11, 새번역) 라고 권면했습니다. 우리는 다른 사람들을 위해 기도하고 하나님의 은혜로 성경 말씀을 나누기를 추구해야 합니다. 그리고 가끔은 온화한 말로 잘못을 고쳐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조용한 삶을 사는 법을 배우고 다른 사람들의 삶에 간섭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것은 하나님을 믿지 않는 이들에게 본보기가 됩니다 (12절) . 우리는 “서로 사랑하라” (9절) 고 부르심을 받았습니다.

오늘의 성구

데살로니가전서 4:9-12
자기 일에 전념하고, 자기 손으로 일을 하십시오. [데살로니가전서 4:11, 새번역]

하나님, 다른 사람들을 더 잘 사랑한다는 것이 무슨 의미인지 알게 해주소서.

다른 사람들의 일에 간섭할 때 어떤 일이 일어납니까? 간섭 대신 다른 사람들을 위해 무슨 일을 먼저 해야 할까요?

Daily Article

03/06/2021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DEUTERONOMY 1–2; MARK 10:1–31
Hymn: 208(OLD 246)

MINDING MY OWN BUSINESS

Years ago, my son Josh and I were making our way up a mountain trail when we spied a cloud of dust rising in the air. We crept forward and discovered a badger busy making a den in a dirt bank. He had his head and shoulders in the hole and was vigorously digging with his front paws and kicking the dirt out of the hole with his hind feet. He was so invested in his work he didn’t hear us.

I couldn’t resist and prodded him from behind with a long stick lying nearby. I didn’t hurt the badger, but he leaped straight up in the air and turned toward us. Josh and I set new world records for the hundred-yard dash.

I learned something from my brashness: Sometimes it’s best not to poke around in other people’s business. That’s especially true in relationships with fellow believers in Jesus. The apostle Paul encouraged the Thessalonians to “make it your ambition to lead a quiet life: You should mind your own business and work with your hands” (1 THESSALONIANS 4:11) . We’re to pray for others and seek by God’s grace to share the Scriptures, and occasionally we may be called to offer a gentle word of correction. But learning to live a quiet life and not meddling into others’ lives is important. It becomes an example to those who are now outside God’s family (V. 12) . Our calling is to “love each other” (V. 9). DAVID H. ROPER

Today's Reading

1 THESSALONIANS 4:9–12
Mind your own business and work with your hands. [ 1 THESSALONIANS 4:11 ]

God, teach me to know what it means to love others better.

What happens when you meddle in other people’s business? What’s the first thing you should do instead for others?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