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3/05/2021     금요일

성경읽기: 민수기 34-36; 마가복음 9:30-50
찬송가: 549(통431)

누가 알겠습니까?

중국 전설 중에 이런 이야기가 있습니다. 새옹이 소중한 말 한 마리를 잃어버리자 그의 이웃이 말을 잃어버린 것을 함께 슬퍼해 주었습니다. 그러나 노인은 개의치 않으면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이게 내게 좋은 일이 될지 누가 알겠습니까?” 놀랍게도, 그 잃어버렸던 말이 다른 말 한 마리를 데리고 집으로 돌아왔습니다. 그 이웃이 그에게 축하한다고 하자, 새옹은 다시 “이것이 내게 나쁜 일이 될지 누가 알겠습니까?”라고 말했습니다. 과연, 그의 아들이 새 말을 타다 다리가 부러지는 일이 생겼습니다. 그것은 정말 불운 같았는데, 나중에 군대가 그 마을에 도착해 전장에서 싸울 신체 건강한 남자들을 모집하게 되었습니다. 다리가 부러진 아들은 징병대상에서 제외되었고, 결과적으로 전쟁으로 인한 죽음을 피할 수 있었습니다.

이것은 고난이 때로는 복이 될 수도, 또는 그 반대의 경우가 될 수 있음을 가르쳐주는 중국 고사성어 이야기입니다. 이 오래된 이야기가 말해주는 지혜는 전도서 6장 12절 말씀과 아주 밀접합니다. 거기서 저자는 “일생에서 사람에게 좋은 것이 무엇인지 누가 알겠는가?” (현대인의 성경) 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사실, 그 누구도 미래가 어떻게 될지 모릅니다. 역경이 긍정적인 유익을 가져오기도 하고, 번성이 부작용을 낳을 수도 있습니다.

우리는 매일 매일 새로운 기회와 기쁨, 힘겨움과 고통을 맞이합니다. 하나님이 사랑하시는 자녀인 우리는 하나님의 주권 안에서 안식하며, 형통한 날이나 곤고한 날에 똑같이 그분을 신뢰하며 살아갈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이 두 가지를 병행하게 하셨습니다” (7:14) . 하나님은 우리 삶의 모든 일에
우리와 함께 하시며, 우리를 사랑으로 돌보시겠다고 약속하십니다.

오늘의 성구

전도서 6:12; 7:13-14
형통한 날에는 기뻐하고 곤고한 날에는 되돌아보아라 이 두 가지를 하나님이 병행하게 하사 [전도서 7:14]

통치하시는 하나님, 제 삶을 주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나님은 당신을 사랑하는 자에게 궁극적으로 선을 이루시기 위해 모든 일을 행하신다는 것을 믿으며, 형통한 날이나 곤고한 날에 똑같이 하나님을 찬양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불운이 결국 축복이 된 경우가 당신에게 있습니까? 어떻게 형통한 날이나 곤고한 날에 똑같이 하나님만을 바라볼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3/05/2021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34–36; MARK 9:30–50
Hymn: 549(OLD 431)

WHO KNOWS?

According to Chinese legend, when Sai Weng lost one of his prized horses, his neighbor expressed sorrow for his loss. But Sai Weng was unconcerned. He said, “Who knows if it maybe a good thing for me?” Surprisingly, the lost horse returned home with another horse. As the neighbor congratulated him, Sai Weng said, “Who knows if it may be a bad thing for me?” As it turned out, his son broke his leg when he rode on the new horse. This seemed like a misfortune, until the army arrived at the village to recruit all able-bodied men to fight in the war. Because of the son’s injury, he wasn’t recruited, which ultimately could have spared him from death.

This is the story behind the Chinese proverb which teaches that a difficulty can be a blessing in disguise and vice versa. This ancient wisdom has a close parallel in Ecclesiastes 6:12, where the author observes: “Who knows what is good for a person in life?” Indeed, none of us know what the future holds. An adversity might have positive benefits, and prosperity might have ill effects.

Each day offers new opportunities, joys, struggles, and suffering. As God’s beloved children, we can rest in His sovereignty and trust Him through the good and bad times alike. God has “made the one as well as the other” (7:14) . He’s with us in all the events in our lives and promises His loving care. POH FANG CHIA

Today's Reading

ECCLESIASTES 6:12; 7:13–14
When times are good, be happy; but when times are bad, consider this: God has made the one as well as the other. [ ECCLESIASTES 7:14 ]

Sovereign God, thank You for ordering my life. Help me to praise You in both good and bad times, believing that You work all things for the ultimate good of those who love You.

Can you think of an example where a misfortune turned out to be a blessing? How can you keep your focus on God in good times as well as in bad times?

오늘의 말씀

03/04/2021     목요일

성경읽기: 민수기 31-33; 마가복음 9:1-29
찬송가: 요한복음 14:8-11

하나님을 아는 것

전해오는 이야기에 따르면, 영국의 지휘자 토마스 비첨 경이 하루는 호텔 로비에서 위엄 있어 보이는 한 여인을 보았다고 합니다. 아는 사람 같은데 이름이 생각나지 않아 다가가서 이야기를 건넸습니다. 대화가오가면서 그는 그 여인에게 오빠가 있다는 것이 어렴풋이 떠올랐습니다. 어떤
단서라도 찾을까 하는 마음으로 그는 오빠가 어떻게 지내고 있는지, 아직도 같은 일을 하고 있는지 물어보았습니다. 그 여인이 대답했습니다. “아, 오빠는 잘 지내고 있어요. 그리고 여전히 ‘왕’이고요.”

비첨 경의 경우처럼, 사람을 잘못 알아보면 당황스러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어떤 때에는 예수님의 제자 빌립의 경우처럼 그것이 좀더 심각한 일이 될 수도 있습니다. 제자인 그는 당연히 예수님을 알고 있었지만 예수님이 정말 누구신지는 완전히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빌립이 예수님께 “하나님 아버지를
[그들에게] 보여달라고” 하자, 예수님은 “나를 본 자는 아버지를 보았다”고 대답하셨습니다 (요한복음 14:8-9) . 하나님의 독생자이신 예수님이 하나님을 너무나 완벽하게 드러내시기 때문에 예수님을 아는 것이 곧 하나님 아버지를 아는 것입니다 (10-11절) .

우리가 혹시 하나님의 성품이나 인격, 또는 다른 사람들에 대한 관심 등이 궁금하다면, 오직 예수님을 바라보며 그 답을 찾으면 됩니다. 예수님의 성품, 온유함, 사랑, 그리고 자비가 하나님의 특성을 나타내 주기 때문입니다. 비록 우리가 놀랍고 경이로운 하나님을 온전히 이해하고 알지는 못해도,
우리는 하나님이 어떤 분이신지 온전히 보여주신 예수님이라는 위대한 선물을 받았습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4:8-11
예수께서 이르시되 빌립아 내가 이렇게 오래 너희와 함께 있으되 네가 나를 알지 못하느냐 나를 본 자는 아버지를 보았거늘 [요한복음 14:9]

사랑하는 하나님, 하나님이 누구신지를 알고 이해하는 가운데 자라갈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하나님의 성품을 얼마나 잘 알고 있습니까? 그것은 당신이 갖고 있는 예수님에 대한 인식과 얼마나 일치합니까?

Daily Article

03/04/2021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31–33; MARK 9:1–29
Hymn: JOHN 14:8–11

KNOWING THE FATHER

According to legend, British conductor Sir Thomas Beecham once saw a distinguished-looking woman in a hotel foyer. Believing he knew her but unable to remember her name, he paused to talk with her. As the two chatted, he vaguely recollected that she had a brother. Hoping for a clue, he asked how her brother was doing and whether he was still working at the same job. “Oh, he’s very well,” she said, “And still king.”

A case of mistaken identity can be embarrassing, as it was for Sir Beecham. But at other times it may be more serious, as it was for Jesus’ disciple Philip. The disciple knew Jesus, of course, but he hadn’t fully appreciated who He was. He wanted Jesus to “show [them] the Father,” and Jesus responded, “Anyone who has seen me has seen the Father” (JOHN 14:8–9) . As God’s unique Son, Jesus reveals the Father so perfectly that to know one is to know the other (VV. 10–11) .

If we ever wonder what God is like in His character, personality, or concern for others, we only need to look to Jesus to find out. Jesus’ character, kindness, love, and mercy reveal God’s character. And although our amazing, awesome God is beyond our complete comprehension and understanding, we have a tremendous gift in what He’s revealed of Himself in Jesus. CON CAMPBELL

Today's Reading

JOHN 14:8–11
Jesus answered: “Don’t you know me, Philip, even after I have been among you such a long time? Anyone who has seen me has seen the Father.” [ JOHN 14:9 ]

Dear God, help me to grow in my knowledge and appreciation of who You are.

How well do you know God’s character? How does it match your perception of who Jesus is?

오늘의 말씀

03/03/2021     수요일

성경읽기: 민수기 28-30; 마가복음 8:22-38
찬송가: 382(통432)

위험에서 지켜주심

봄철 나무심기를 위해 정원을 정리하면서 겨울 잡초 덤불을 잡아 뽑다가 나는 놀라 펄쩍 뛰었습니다. 황갈색 독사가 내 손 바로 아래의 덤불 속에 숨어 있었던 것입니다. 1인치(2.5센티미터)만 더 아래로 손이 내려갔다면 실수로 그 뱀을 손으로 잡을 뻔했습니다. 덤불을 들어올리자마자 뱀의 화려한 무늬를 보았는데, 그 몸체가 내 두 발 사이 잡초 속에서 똬리를틀고 있었습니다.

나는 먼발치로 물러나, 뱀에 물리지 않은 것을 하나님께 감사드렸습니다. 그리고 내가 전혀 알지도 못했던 위험에서 하나님이 얼마나 많이 나를 구해주셨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하나님은 그분의 백성들을 지켜주십니다. 모세는 약속의 땅에 들어가기 전에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이렇게 말했습니다. “여호와 그가 네 앞에서 가시며 너와 함께 하사 너를 떠나지 아니하시며 버리지 아니하시리니 너는 두려워하지 말라 놀라지 말라” (신명기 31:8) . 그들은 하나님을 볼 수 없었지만, 그럼에도 하나님은 그들과 함께 계셨습니다.

때로는 우리가 이해하지 못하는 어려운 일들이 일어납니다. 하지만 우리가 알지도 못하는 사이에 하나님께서 우리를 몇 번이나 지켜주셨는지 모릅니다.

성경은 하나님의 완벽하고 섭리적인 보살핌 아래 그의 백성들이 매일 살아가고 있다는 사실을 우리에게 상기시켜줍니다. 하나님은 우리와 항상 함께 계십니다 (마태복음 28:20) .

오늘의 성구

신명기 31:1-8
그리하면 여호와 그가 네 앞에서 가시며 [신명기 31:8]

신실하신 하나님 아버지, 매일 저를 지켜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가 오늘 하는 모든 일에서 하나님과 더 가까이 동행하는 은혜를 내려주소서.

하나님이 그의 백성들을 지켜주신다는 성경의 진리가 어떻게 위로가 됩니까? 오늘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누구에게 말할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3/03/2021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28–30; MARK 8:22–38
Hymn: 382(OLD 432)

PRESERVED

While I was clearing out the garden in preparation for spring planting, I pulled up a large clump of winter weeds . . . and leapt into the air! A venomous copperhead snake lay hidden in the undergrowth just below my hand—an inch lower and I would have grabbed it by mistake. I saw its colorful markings as soon as I lifted the clump; the rest of it was coiled in the weeds between my feet.

When my feet hit the ground a few feet away, I thanked God I hadn’t been bitten. And I wondered how many other times He had kept me from dangers I never knew were there.

God watches over His people. Moses told the Israelites before they entered the Promised Land, “The Lord himself goes before you and will be with you; he will never leave you nor forsake you. Do not be afraid; do not be discouraged” (DEUTERONOMY 31:8) . They
couldn’t see God, but He was with them nonetheless.

Sometimes difficult things happen that we may not understand, but we can also reflect on the number of times God has preserved us without our ever being aware!

Scripture reminds us that His perfect, providential care remains over His people every day. He’s always with us (MATTHEW 28:20). JAMES BANKS

Today's Reading

D E U T E RO N O M Y 31:1–8
The Lord himself goes before you. [ DEUTERONOMY 31:8 ]

Faithful Father, thank You for watching over me every day. Please give me grace to walk closely with You in everything I do today.

How does the biblical truth that God watches over His people comfort you? Who can you tell about His faithfulness today?

오늘의 말씀

03/02/2021     화요일

성경읽기: 민수기 26-27; 마가복음 8:1-21
찬송가: 383(통433)

안전하게 가만히

에너지가 넘쳐나는 미취학 아동인 우리 아들 제비어는 오후의 조용한 시간을 가만히 있지 못했습니다. 가만히 있다 보면 꼭 필요하기는 하지만 원치 않는 낮잠을 자버리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잠시도 조용히 있기 싫어서 앉은 자리에서 좌우로 흔들고, 소파에서 미끄러져 내려오고, 마룻바닥에서 뛰고, 심지어는 방을 가로질러 뒹굴기도 했습니다. “엄마, 배고파요...... 목말라요...... 화장실에 가야 돼요...... 안아줘요.”

가만히 있는 것이 얼마나 유익한지 잘 아는 나는 제비어를 데려와 끌어안고 진정시켜주었습니다. 그러면 아이는 내 옆에 기대어 잠이 들곤 했습니다.

내 초기의 영적 생활도 아들이 한시도 가만히 있지 않으려 하던 모습과 닮아 있었습니다. 바쁘게 움직이면서 나 스스로 인정받고, 중요한 사람이 되고, 무엇이든 할 수 있는 것 같은 느낌이 들었지만, 반면 시끄럽게 굴다보니 나의 결점과 시련을 돌아볼 틈이 없었습니다. 마지 못해 쉬는 것도 나의 나약한 인성만 확인시켜줄 뿐이었습니다. 그래서 나는 하나님이 내 도움 없이 모든 일들을 처리하실 수 있을지 의심하면서 가만히 있거나 조용히 있지 않으려고 했습니다.

아무리 많은 문제와 불확실성들이 우리를 에워쌀지라도 하나님은 우리의 피난처이십니다. 우리 앞에 펼쳐진 길이 멀고 무섭고 위압적으로 보일지 모르지만, 하나님의 사랑이 우리를 감싸주십니다. 그분은 우리의 기도를 들으시고 응답하시고 지금부터 영원히 우리와 함께 계십니다 (시편 91) .

우리는 조용한 상태를 받아들임으로 하나님의 한결같은 사랑과 변함없는 임재를 누릴 수 있습니다. 우리가 하나님 안에 가만히 있으면서 쉼을 얻을 수 있는 것은 하나님의 신실하심이 변치 않는 그 피난처에서 우리는 안전하기 때문입니다 (4절) .

오늘의 성구

시편 91
지존자의 은밀한 곳에 거주하며 전능자의 그늘 아래에 사는 자여 [시편 91:1]

하늘에 계신 아버지, 한결같은 사랑의 안전한 쉼터를 마련해 주시니 감사합니다.

삶 속에서 하나님의 보호하심을 어떻게 보았습니까? 하나님이 당신을 그분의 날개 아래에 두셨다는 것을 알고 나니 어떻게 어려움에 대처할 수 있습니까?

Daily Article

03/02/2021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26–27; MARK 8:1–21
Hymn: 383(OLD 433)

SAFE AND STILL

As a full-of-energy preschooler, my son Xavier avoided afternoon quiet time. Being still often resulted in an unwanted, though much-needed, nap. So, he’d wiggle in his seat, slide off the sofa, scoot across the hardwood floor, and even roll across the room to evade the quiet. “Mom, I’m hungry . . . I’m thirsty . . .I have to go to the bathroom . . . I want a hug.”

Understanding the benefits of stillness, I’d help Xavier settle down by inviting him to snuggle. Leaning into my side, he’d give in to sleep.

Early in my spiritual life, I mirrored my son’s desire to remain active. Busyness made me feel accepted, important, and in control, while noise distracted me from fretting over my shortcomings and trials. Surrendering to rest only affirmed my frail humanity. So I avoided stillness and silence, doubting God could handle things without my help.

But He’s our refuge, no matter how many troubles or uncertainties surround us. The path ahead may seem long, scary, or overwhelming, but His love envelops us. He hears us, answers us, and stays with us . . . now and forever into eternity (PSALM 91) .

We can embrace the quiet and lean into God’s unfailing love and constant presence. We can be still and rest in Him because we’re safe under the shelter of His unchanging faithfulness (V. 4).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PSALM 91
Whoever dwells in the shelter of the Most High will rest in the shadow of the Almighty. [ PSALM 91:1 ]

Heavenly Father, thank You for providing a safe haven of unfailing love.

In what ways have you seen God’s protection in your life? How can you face difficulties knowing that God has you under His wings?

오늘의 말씀

03/01/2021     월요일

성경읽기: 민수기 23-25; 마가복음 7:14-37
찬송가: 200(통235)

절대 포기하지 마라

“시간은 다 지나가고 전쟁이 시작되었다.” 남수단의 켈리코 부족의 세미 니고 주교는 그들의 언어로 성경을 갖기까지 교회가 겪었던 길고 지루한 싸움을 그렇게 묘사했습니다. 사실상 그때까지 단 한단어도 켈리코어로 인쇄되지 못했습니다. 성경 번역 사업은 수십 년 전 니고 주교의 할아버지에 의해 과감히 시작되었지만, 전쟁과 불안정한 시국으로 그 일은 계속 중단된 상태로 있었습니다. 그러나 북우간다와 콩고 민주공화국의 난민촌에 공격이 끊이지 않았음에도, 주교와 동료 신자들은 그 번역 사업을 계속 진행해 나갔습니다.

그들의 집념은 결국 열매를 맺게 되었습니다. 거의 삼십 년이 지나, 켈리코어 신약성경이 격려와 축하 속에 난민들에게 전달된 것입니다. 그 과제를 도왔던 한 컨설턴트는 “켈리코 부족의 의지는 말로 표현할 수 없을 만큼 대단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켈리코 부족이 보여준 헌신은 하나님이 여호수아에게 요구하신 인내를 떠올려 줍니다. “이 율법책을 네 입에서 떠나지 말게 하며 주야로 그것을 묵상하여 그 안에 기록된 대로 다 지켜 행하라 그리하면 네 길이 평탄하게 될것이며 네가 형통하리라” (여호수아 1:8) . 그와 똑같은 집념으로 켈리코 부족은
성경 번역을 계속 했습니다. 한 번역자는 이제 “난민촌에 있는 사람들이 미소를 짓는 것을 봅니다.”라고 말합니다. 성경을 듣고 이해하게 되면서 “그들은 소망을 갖습니다.” 켈리코 부족처럼 우리도 성경의 능력과 지혜를 찾는 일을 절대 포기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여호수아 1:1-9
이 율법책을 네 입에서 떠나지 말게 하며 [여호수아 1:8]

사랑의 하나님, 제 마음에 성경을 찾고 공부하고 알고 싶어 하는 더 큰 갈망이 일게 하셔서, 당신의 지혜를 알려고 탐구하는 노력을 절대로 포기하지 않게 하소서.

무엇이 성경을 끊임없이 계속 읽을 수 있게 도와줍니까? 당신이 성경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다른 사람이 어떻게 도와줄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3/01/2021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23–25; MARK 7:14–37
Hymn: 200(OLD 235)

NEVER GIVE UP

“Time went by. War came in.” That’s how Bishop Semi Nigo of the Keliko people of South Sudan described delays in his church’s long struggle to get the Bible in their own language. Not one word, in fact, had ever been printed in the Keliko language. Decades earlier, Bishop Nigo’s grandfather had courageously started a Bible translation project, but war and unrest kept halting the effort. Yet, despite repeated attacks on their refugee camps in northern Uganda and the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the bishop and fellow believers kept the project alive.

Their persistence paid off. After nearly three decades, the New Testament Bible in Keliko was delivered to the refugees in a rousing celebration. “The motivation of the Keliko is beyond words,” said one project consultant.

The commitment of the Keliko reflects the perseverance God asked of Joshua. As God told him, “Keep this Book of the Law always on your lips; meditate on it day and night, so that you may be careful to do everything written in it. Then you will be prosperous and successful” (JOSHUA 1:8) . With equal persistence, the Keliko pursued the translation of Scripture. Now, “when you see them in the camps, they are smiling,” said one translator. Hearing and understanding the Bible “gives them hope.” Like the Keliko people, may we never give up seeking the power and wisdom of Scripture.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JOSHUA 1:1–9
Keep this Book of the Law always on your lips. [ JOSHUA 1:8 ]

Loving God, stir up in me a greater hunger to seek, study, and know the Bible, never giving up my quest to understand Your wisdom.

What will help you persist in reading Scripture? How could another person help you better understand it?

오늘의 말씀

02/28/2021     주일

성경읽기: 민수기 20-22; 마가복음 7:1-13
찬송가: 552(통358)

아침마다 새로움

내 동생 폴은 심한 간질로 고생하면서 자랐는데 십대로 접어들면서 증상이 더 심해졌습니다. 종종 발작이 한 번에 여섯 시간 이상 지속되기도 했기 때문에 밤이 되면 부모님과 동생은 몹시 괴로워했습니다. 의사들은 적어도 하루 중 얼마 동안만이라도 동생이 의식이 있으면서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치료법을 결국 찾지 못했습니다. 부모님은 기도로 울부짖었습니다. “하나님, 하나님, 도와주세요!”

비록 심신이 지칠 대로 지친 상태였지만 폴과 부모님은 매일 새롭게 하나님께서 주시는 힘을 넉넉히 공급받았습니다. 또한 부모님은 예레미야 애가서를 포함한 여러 성경말씀을 통해 위로를 받으셨습니다. 예레미야는 바벨론에 의해 파괴된 예루살렘을 보고 “쑥과 담즙”을 기억하며 비통함을 토해내고 있습니다(3:19). 그러나 희망을 잃지 않고 하나님의 자비를, 하나님의 긍휼하심이 “아침마다 새롭다”는 것을 떠올렸습니다(23절). 그래서 우리 부모님도 그렇게 하셨습니다.

무슨 일을 만나도 하나님은 신실하시다는 것을 매일 아침 기억하십시오. 하나님은 날마다 새 힘을 주시고 또 희망을 주십니다. 그리고 우리 가족에게 그러셨듯이 때로는 위안도 주십니다. 몇 년이 지나 새로운 약이 나와서 밤마다 계속되었던 폴의 발작이 멈추었습니다. 우리 가족은 잠을 제대로 자며 회복할 수 있었고 미래에 대한 소망도 갖게 되었습니다.

우리가 낙심하게 될 때(20절), 하나님의 자비가 아침마다 새롭다는 것을 기억하길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예레미야애가 3:19-26
여호와의 긍휼이 무궁하시므로...... 이것들이 아침마다 새로우니 [예레미야애가 3:22-23]

하나님은 시련 속의 당신을 어떻게 붙들어주셨습니까?
당신은 힘든 시기를 보내는 누군가를 어떻게 도울 수 있을까요?

하나님, 하나님의 사랑은 결코 저를 떠나지 않을 것입니다. 지치고 희망이 없다고 느껴질 때, 하나님의 자비와 긍휼을 기억하게 해주소서.

Daily Article

02/28/2021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20–22; MARK 7:1–13
Hymn: 552(old 358)

NEW EVERY MORNING

My brother Paul grew up battling severe epilepsy, and when he entered his teenage years it became even worse. Nighttime became excruciating for him and my parents, as he’d experience continuous seizures for often more than six hours at a time. Doctors couldn’t find a treatment that would alleviate the symptoms while also keeping him conscious for at least part of the day. My parents cried out in prayer: “God, oh God, help us!”

Although their emotions were battered and their bodies exhausted, Paul and my parents received enough strength from God for each new day. In addition, my parents found comfort in the words of the Bible, including the book of Lamentations. Here Jeremiah voiced his grief over the destruction of Jerusalem by the Babylonians, remembering “the bitterness and the gall” (3:19). Yet Jeremiah didn’t lose hope. He called to mind the mercies of God, that His compassions “are new every morning” (V. 23). So too did my parents.

Whatever you’re facing, know that God is faithful every morning. He renews our strength day by day and gives us hope. And sometimes, as with my family, He brings relief. After several years, a new medication became available that stopped Paul’s continuous nighttime seizures, giving my family restorative sleep and hope for the future.

When our souls are downcast (V. 20), may we call to mind that God’s mercies are new every morning. -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LAMENTATIONS 3:19–26
[God’s] compassions never fail. They are new every morning. [ LAMENTATIONS 3:22–23 ]

How has God sustained you through the trials you’ve faced?
How could you support someone who’s enduring a challenging time?

God, Your love will never leave me. When I feel spent and without hope, remind me of Your mercies and compassion.

오늘의 말씀

02/27/2021     토요일

성경읽기: 민수기 17-19; 마가복음 6:30-56
찬송가: 430(통456)

너는 더 이상 네가 아니야

1859년 여름 찰스 블론딘은 줄타기로 나이아가라 폭포를 건너간 최초의 사람이 되었습니다. 그는 이후로도 줄타기로 수백 번을 더 건넜습니다. 한 번은 매니저인 해리 콜코드를 등에 업고 줄타기를 했습니다. 그때 블론딘은 콜코드에게 이렇게 지시했습니다. “이봐, 해리...... 지금부터 자네는 더 이상 콜코드가 아니야, 자네는 블론딘이야...... 내가 몸을 흔들면 자네도 나를 따라 몸을 흔들게. 스스로 균형을 잡으려고 하지 말게. 그랬다간 우리 둘 다 죽게 되네.”

바울이 갈라디아의 신자들에게 말한 것도 사실상 이런 이야기입니다. ‘여러분은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 없이 하나님을 기쁘게 하는 삶을 곧게 걸어갈 수 없습니다. 그러나 좋은 소식이 있는데, 그러려고 애쓸 필요가 아예 없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하나님께 나아가려고 아무리 안간힘을 써도 방법이 없습니다. 그러면 우리는 구원에 있어서 별로 할 일이 없다는 말인가요? 아닙니다! 하나님은 예수님을 꼭 붙들라고 우리를 권하십니다. 예수님을 꼭 붙든다는 것은 옛적의 독립적인 삶의 방식을 죽인다는 것입니다. 마치 우리 자신은 죽은 것처럼 말입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우리는 계속 살아갑니다. 그러나 “이제 [우리가] 육체 가운데 사는 것은 [우리를] 사랑하사 [우리를] 위하여 자기 자신을 버리신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 믿음 안에서 사는 것” (갈라디아서 2:20)입니다.

오늘 어디에서 줄타기를 하려고 애쓰고 있습니까? 하나님은 우리에게 줄을 타고 그에게 오라고 하신 것이 아니라, 주님을 꼭 붙들고 그와 함께 이 생을 걸으라고 하셨습니다.

오늘의 성구

갈라디아서 2:14-21
내가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혔나니 그런즉 이제는 내가 사는 것이 아니요 오직 내 안에 그리스도께서 사시는 것이라 이제 내가 육체 가운데 사는 것은 나를 사랑하사 나를 위하여 자기 자신을 버리신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 믿음 안에서 사는 것이라 [갈라디아서 2:20]

우리 힘으로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려는 것을 그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오늘 예수님의 의로우심을 믿고 어디서 그분을 붙잡아야 할까요?

사랑하는 예수님, 제 스스로 절대 할 수 없는 일을 대신해주시니 감사합니다.
이제 제 힘으로 예수님을 기쁘시게 하려고 애쓰지 않겠습니다.
애써서 주님의 사랑을 얻으려 하지 않아도 되니 너무 기쁩니다.

Daily Article

02/27/2021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17–19; MARK 6:30–56
Hymn: 430(old 456)

NO LONGER YOURSELF

In the summer of 1859, Monsieur Charles Blondin became the first person to cross Niagara Falls on a tightrope—something he would go on to do hundreds of times. Once he did it with his manager Harry Colcord on his back. Blondin gave Colcord these instructions: “Look up, Harry . . . you are no longer Colcord, you are Blondin. . . . If I sway, sway with me. Do not attempt to do any balancing yourself. If you do, we will both go to our death.”

Paul, in essence, said to the Galatian believers: You can’t walk the line of living a life that is pleasing to God apart from faith in Christ. But here’s the good news—you don’t have to! No amount of attempting to earn our way to God will ever cut it. So are we passive in our salvation? No! Our invitation is to cling to Christ. Clinging to Jesus means putting to death an old, independent way of living; it’s as if we ourselves have died. Yet, we go on living. But “the life [we] now live in the body, [we] live by faith in the Son of God, who loved [us] and gave himself for [us]” (GALATIANS 2:20).

Where are we trying to walk the tightrope today? God hasn’t called us to walk out on the rope to Him; He’s called us to cling to Him and walk this life with Him. - GLENN PACKIAM

Today's Reading

GALATIANS 2:14–21
I have been crucified with Christ and I no longer live, but Christ lives in me. The life I now live in the body, I live by faith in the Son of God, who loved me and gave himself for me. [ GALATIANS 2:20 ]

How can you stop trying to please God on your own?
Where do you need to cling to Jesus today, trusting His righteousness?

Dear Jesus, thank You for doing for me what I could never do for myself.
I turn away from trying to please You on my own.
I’m so glad I don’t need to earn Your love.

오늘의 말씀

02/26/2021     금요일

성경읽기: 민수기 15-16; 마가복음 6:1-29
찬송가: 412(통489)

두려움을 마주하기

워렌은 교회 사역을 위해 작은 마을로 이사했습니다. 초기에 그의 사역이 어느 정도 성공했을 때 지역 주민 중 한 사람이 그를 공격했습니다. 그 사람은 워렌의 매우 나쁜 행위를 비난하는 이야기를 꾸며내어 그 이야기를 지역 신문사에 가져가고, 심지어 그 비난의 글을 주민들에게 우편으로 발송하려고 전단지까지 인쇄했습니다. 워렌과 그의 아내는 열심히 기도하기 시작했습니다. 만약 사람들이 그 거짓말을 믿게 된다면 그들의 삶은 뒤흔들리고 말 것입니다.

다윗 왕도 한때 비슷한 경험을 했습니다. 그는 대적의 중상모략을 당했습니다. “그들이 종일 내 말을 곡해하며 나를 치는 그들의 모든 생각은 사악이라”(시편 56:5)고 그는 말했습니다. 이 지속적인 공격은 그를 두렵고 눈물 나게 만들었습니다(8절). 그러나 전투 중에 그는 이런 강력한 기도를 드렸습니다. “내가 두려워하는 날에는 내가 주를 의지하리이다...... 혈육을 가진 사람이 내게 어찌하리이까”(3-4절).

다윗의 기도는 오늘날 우리에게 하나의 본이 될 수 있습니다. ‘내가 두려워하는 날에는’, 즉 두려움과 비난의 시기에 우리는 하나님께로 향하고, ‘내가 주를 의지하리이다’, 즉 우리의 전투를 하나님의 강한 손에 맡기는 것입니다. 그리고 ‘혈육을 가진 사람이 내게 어찌하리이까’, 즉 하나님과 함께 그 상황을 맞이하는 우리는 대적하는 세력의 힘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기억하는 것입니다.

그 신문사는 워렌을 비난하는 이야기를 싣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어떤 이유에서인지 전단지도 하나도 배포되지 않았습니다. 당신은 오늘 어떤 전투를 두려워합니까? 하나님께 말씀드리십시오. 하나님은 기꺼이 당신과 함께 싸우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56:3-11
내가 두려워하는 날에는 내가 주를 의지하리이다
[시편 56:3]

당신에게 어떤 실제적인 두려움이 있습니까?
다윗의 기도는 그것에 대처하는데 어떤 도움을 줍니까?

사랑의 하나님, 두렵습니다. 그래서 오늘 하나님을 의지합니다.
하나님께서 저를 위해 싸우는데 한낱 인간들이 저에게 무엇을 할 수 있겠습니까?
다가올 승리에 감사드립니다.

Daily Article

02/26/2021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15–16; MARK 6:1–29
Hymn: 412(old 489)

FACING FEAR

W arren moved to a small town to pastor a church. After his ministry had some initial success, one of the locals turned on him. Concocting a story accusing Warren of horrendous acts, the man took the story to the local newspaper and even printed his accusations on pamphlets to distribute to local residents by mail. Warren and his wife started praying hard. If the lie was believed, their lives would be upended.

King David once experienced something similar. He faced an attack of slander by an enemy. “All day long they twist my words,” he said, “all their schemes are for my ruin” (PSALM 56:5). This sustained assault left him fearful and tearful (V. 8). But in the midst of the battle, he prayed this powerful prayer: “When I am afraid, I put my trust in you. . . . What can mere mortals do to me?” (VV. 3–4).

David’s prayer can be a model for us today. When I am afraid—in times of fear or accusation, we turn to God. I put my trust in you—we place our battle in God’s powerful hands. What can mere mortals do to me?—facing the situation with Him, we remember how limited the powers against us really are.

The newspaper ignored the story about Warren. For some reason, the pamphlets were never distributed. What battle do you fear today? Talk to God. He’s willing to fight it with you. - SHERIDAN VOYSEY

Today's Reading

PSALM 56:3–11
When I am afraid, I put my trust in you.
[ PSALM 56:3 ]

What real fears do you face?
How can David’s prayer help you deal with them?

Loving God, I’m afraid—and so today I put my trust in You.
What can mere mortals do to me when You’re fighting for me?
Thank You for the coming victory.

오늘의 말씀

02/25/2021     목요일

성경읽기: 민수기 12-14; 마가복음 5:21-43
찬송가: 91(통91)

인간다운 모습

“싱어맨 아저씨, 왜 우세요?” 열두 살의 알버트가 나무상자를 만들고 있는 목공 장인을 보면서 물었습니다.

그는 “내 아버지가 울었고 내 할아버지가 울었기 때문에 나도 운단다.”라고 말했습니다. 목수가 어린 견습생에게 대답해주는 그 모습은 ‘초원의 집’ 방송의 따뜻한 한 장면입니다. 싱어맨은 “관을 만들다 보니 눈물이 나는구나.”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말했습니다. “어떤 남자들은 우는 것이 나약함을 나타내는 것이라 해서 울지 않지만, 나는 ‘남자는 울 수 있기 때문에 남자다’ 라고 배웠단다.”

예수님이 예루살렘을 염려하는 마음이 암탉이 그 새끼를 돌보는 것과 같다고 말씀하실 때 예수님의 눈에 감정이 북받쳤을 것입니다(마태복음 23:37). 예수님의 제자들은 종종 예수님의 눈에서 본 것이나 그가 하신 이야기에 혼란스러워했습니다. 강하다는 것에 대한 예수님의 생각은 그들과 달랐습니다. 제자들이 예수님과 함께 성전에서 나올 때 비슷한 일이 다시 발생했습니다. 제자들은 성전 건물의 웅장한 돌벽과 화려한 장식들에 예수님의 시선을 끌려고 애쓰면서(24:1), 인간의 대단한 성취 능력에 주목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거기서 서기 70년에 무너져내릴 성전을 보셨습니다.

예수님은 건강한 사람들은 언제 왜 울어야 하는지 알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십니다. 예수님은 무엇이 주님의 마음을 아프게 하는지 아직 알지 못하는 자녀들을 위해 하나님 아버지께서 염려하시고 성령님이 신음하시기 때문에 우셨습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23:37-24:2
예루살렘아 예루살렘아......암탉이 그 새끼를 날개 아래에 모음 같이 내가 네 자녀를 모으려 한 일이 몇 번이더냐
[마태복음 23:37]

당신은 인생의 어떤 상황에서 슬픔을 외면할 것 같습니까?
눈물을 흘리시는 구주(요한복음 11:35)를 믿는 믿음이 어떻게 당신의 슬픔을 건강하게 표현하게 해줍니까?

하나님 아버지, 제가 버리지 못하는 힘에 대한 차가운 환상 대신, 저처럼 하나님의 마음을 아프게 하는 자녀들을 향한 아버지의 돌보심과 염려를 날마다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해주소서.

Daily Article

02/25/2021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12–14; MARK 5:21–43
Hymn: 91(old 91)

TO BE HUMAN

“Mr. Singerman, why are you crying?” asked twelve-yearold Albert as he watched the master craftsman construct a wooden box.

“I cry,” he said, “because my father cried, and because my grandfather cried.” The woodworker’s answer to his young apprentice provides a tender moment in an episode of Little House on the Prairie. “Tears,” explained Mr. Singerman, “come with the making of a coffin.”

“Some men don’t cry because they fear it is a sign of weakness,” he said. “I was taught that a man is a man because he can cry.”

Emotion must have welled up in the eyes of Jesus as He compared His concern for Jerusalem to the care of a mother hen for her chicks (MATTHEW 23:37). His disciples were often confused by what they saw in His eyes or heard in His stories. His idea of what it meant to be strong was different. It happened again as they walked with Him from the temple. Calling His attention to the massive stone walls and magnificent decor of their place of worship (24:1), the disciples noted the strength of human accomplishment. Jesus saw a temple that would be leveled in ad 70.

Christ shows us that healthy people know when to cry and why. He cried because His Father cares and His Spirit groans for children who couldn’t yet see what breaks His heart. - MART DEHAAN

Today's Reading

MAT THEW 23:37–24:2
Jerusalem, Jerusalem . . . how often I have longed to gather your children together, as a hen gathers her chicks under her wings.
[ MATTHEW 23:37 ]

In what situations in your life might you be avoiding grief?
How can your faith in a Savior who cries (JOHN 11:35) help you express your grief in a healthy way?

Father, please replace any cold illusions of strength I cling to with a growing understanding of the cares and concerns that break Your heart for children like me.

오늘의 말씀

02/24/2021     수요일

성경읽기: 민수기 9-11; 마가복음 5:1-20
찬송가: 90(통98)

절대 혼자가 아니다

매기 퍼거슨은 잡지 ’이코노미스트 1843’에 “그것은 집이 없고 굶주리고 병에 걸린 것보다 더 끔찍한 고통이 될 수 있다.”라는 글을 썼습니다. 글의 주제가 무엇이었을까요? 외로움이었습니다. 퍼거슨은 외로움이 어떤 느낌인지 가슴 아픈 예들을 들어가며, 사회적, 경제적 지위와 상관없이 외로움이 증가하는 비율을 연대순으로 보여주었습니다.

고독감의 아픔은 우리 시대에 나타난 새로운 것이 아닙니다. 사실 외로운 상태의 고통은 옛 전도서에서도 말하고 있습니다. 흔히 솔로몬 왕이 쓴 것으로 알려진 이 책은 의미 있는 관계를 유지할 사람이 하나도 없는 사람들의 슬픔을 이야기합니다(4:7-8). 저자는 많은 부를 얻더라도 그것을 함께 나눌 사람이 없으면 그 가치를 전혀 누리지 못할 수도 있다고 한탄했습니다.

그러나 저자는 또한 친구의 좋은 점도 말합니다. 친구들의 도움으로 혼자 할 때보다 더 많은 것을 성취할 수 있으며(9절), 동무는 필요할 때 도와주고 (10절), 안락함을 주며(11절), 어려울 때 보호해줄 수 있다(12절)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외로움은 맞서야 할 심각한 싸움입니다. 하나님은 우리를 친구나 공동체가 갖는 혜택을 베풀기도 하고 받기도 하도록 만드셨기 때문입니다. 당신이 혼자라고 느낀다면 다른 사람들과 의미 있는 관계를 맺게 해달라고 하나님께 기도하십시오. 동시에 예수님의 영이 우리와 늘 함께 하심으로 믿는 사람들은 절대 혼자가 아니라는 사실에 힘을 얻으십시오(마태복음 28:20).

오늘의 성구

전도서 4:8-12
두 사람이 한 사람보다 나음은......혹시 그들이 넘어지면 하나가 그 동무를 붙들어 일으키려니와
[전도서 4:9-10]

당신은 외로운 사람에게 어떻게 다가가겠습니까?
당신이 혼자라고 느껴졌을 때, 하나님의 영의 축복을 어떻게 경험해 보셨습니까?

하늘에 계신 아버지, 외롭다고 느껴질 때 용기를 내어 사랑을 베풀면서 사람들에게 다가가게 하소서.

Daily Article

02/24/2021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9–11; MARK 5:1–20
Hymn: 90(old 98)

NEVER ALONE

“It can be an affliction more harrowing than homelessness, hunger or disease,” wrote Maggie Fergusson in The Economist’s 1843 magazine. Her subject? Loneliness. Fergusson chronicled the increasing rates of loneliness, irrespective of one’s social or economic status, using heart-wrenching examples of what it feels like to be lonely.

The hurt of feeling alone isn’t new to our day. Indeed, the pain of isolation echoes off the pages of the ancient book of Ecclesiastes. Often attributed to King Solomon, the book captures the sorrow of those who seem to lack any meaningful relationships (4:7–8). The speaker lamented that it’s possible to acquire significant wealth and yet experience no value from it because there’s no one to share it with.

But the speaker also recognized the beauty of companionship, writing that friends help you accomplish more than you could achieve on your own (V. 9); companions help in times of need (V. 10); partners bring comfort (V. 11); and friends can provide protection in difficult situations (V. 12).

Loneliness is a significant struggle—God created us to offer and receive the benefits of friendship and community. If you’re feeling alone, pray that God would help you form meaningful connections with others. In the meantime, find encouragement in the reality that the believer is never truly alone because Jesus’ Spirit is always with us (MATTHEW 28:20). - LISA M. SAMRA

Today's Reading

ECCLESIASTES 4:8–12
Two are better than one . . . If either of them falls down, one can help the other up.
[ ECCLESIASTES 4:9–10 ]

How might you reach out to someone who’s lonely?
How have you experienced the blessing of God’s Spirit with you when you’ve felt alone?

Heavenly Father, when I feel lonely, give me courage to reach out to others with an offer of friendship.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