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2/03/2021 수요일
축복을 기다림
좋은 일들은 종종 시간이 오래 걸리곤 하지만 우리 인간의 성품은 기다리는 것을 힘들어합니다. 성경 곳곳에도 “어느 때까지리이까”라는 질문이 등장합니다. 하박국 선지가가 이에 맞는 예입니다. 그는 하박국서를 이런 질문으로 시작합니다. “여호와여 내가 부르짖어도 주께서 듣지 아니하시니 어느 때까지리이까”(하박국 1:2). 하박국(“붙잡고 싸우는 자”라는 뜻의 이름)은 하나님이 무자비한 바벨론 왕국의 침략을 통해 그의 나라(유다) 를 심판하신다는 것을 예언하면서, 남을 착취하는 부패한 백성이 번성하는
것을 하나님이 어떻게 그냥 내버려 두시는지를 놓고 씨름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소망을 주시며 그분의 때에 다시 회복하시겠다고 약속하셨습니다. “이 [하나님의 도움의] 묵시는 정한 때가 있나니......비록 더딜지라도 기다리라 지체되지 않고 반드시 응하리라”(2:3).
바벨론 포로생활은 70년 동안 이어졌습니다. 인간의 셈으로는 긴 시간 이지만 하나님은 언제나 신실하시고 그분의 말씀을 지키십니다.
하나님의 가장 큰 축복의 어떤 것은 오래 걸릴 수 있습니다. 비록 더딜지라도 계속 그분을 바라보십시오! 하나님은 완전한 지혜와 돌보심으로 모든 축복을 준비하십니다. 하나님은 기다리면 언제나 좋은 것을 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하박국 1:12-2:4비록 더딜지라도 기다리라
[하박국 2:3]
하나님께 어떤 축복을 기다리고 계십니까? 축복이 언제 임하든 관계없이 그분을 어떻게 경배하시렵니까?
아빠, 아버지, 제 삶의 모든 시기에 선하시고 신실하시니 감사합니다.
무엇보다도 하나님을 기대하며 바라보게 하소서.
Daily Article
02/03/2021 Wednesday
WAITING FOR A BLESSING
Good things often take time, but our human nature struggles with patience. The question “How long?” occurs throughout the Bible. One poignant example is from the prophet Habakkuk, who begins his book by asking, “How long, Lord, must I call for help, but you do not listen?” (HABAKKUK 1:2). Habakkuk (whose name means “grappler”) prophesied God’s judgment on his country (Judah) through the invasion of the ruthless Babylonian Empire, and he wrestled with how God could allow corrupt people to prosper as they exploited others. But God promised hope and restoration in His own time: “For the revelation [of God’s help] awaits an appointed time . . . . Though it linger, wait for it; it will certainly come and will not delay” (2:3).
The Babylonian captivity lasted seventy years. By human reckoning that’s a long time, but God is always faithful and true to His Word.
Some of God’s best blessings may be long in coming. Though they linger, keep looking to Him! He prepares every blessing with perfect wisdom and care—and He’s always worth waiting for. - JAMES BANKS
Today's Reading
HABAKKUK 1:12–2:4Though it linger, wait for it.
[ HABAKKUK 2:3 ]
What blessings are you waiting for from God? How do you plan to worship Him regardless of when blessings come?
Abba, Father, thank You for Your kindness and faithfulness in every season and blessing of life.
Help me to look forward to You most of all.
오늘의 말씀
02/02/2021 화요일
더 잘 자라게 가지치기
사정없이 잘라낸 데서 놀랍도록 아름다운 것이 나오는 그 모습에, 예수님도 믿는 자들 가운데 행하시는 하나님의 역사를 가지치기 이야기로 설명하셨는지 모릅니다. 요한복음 15장에서 예수님은 “나는 참포도나무요 내 아버지는 농부라...... 무릇 열매를 맺는 가지는 더 열매를 맺게 하려 하여 그것을 깨끗하게 하시느니라”(1-2절)라고 말씀하십니다.
예수님의 말씀은 하나님이 좋은 때나 나쁜 때나 언제든지 우리 안에서 영적인 회복과 결실을 위해 일하고 계신다는 것을 상기시켜 줍니다(5절). 살다가 어려움이 생기고 정서도 바닥나 “가지치기”의 과정에 들어서면 언제 다시 살아날 수 있을까 의문스러울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리스도께서는 그분께 계속 붙어있으라고 권하십니다. “가지가 포도나무에 붙어 있지 아니하면 스스로 열매를 맺을 수 없음 같이 너희도 내 안에 있지 아니하면 그러하리라”(4절).
예수님으로부터 영적인 영양분을 지속적으로 얻을 때 우리 삶에 나타나는 아름다움과 결실들이(8절) 하나님의 선하심을 세상에 드러내게 될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5:1-12무릇 열매를 맺는 가지는 더 열매를 맺게 하려 하여 그것을 깨끗하게 하시느리라 [요한복음 15:2]
하나님께서 당신의 힘든 삶을 성장과 결실을 위해 사용하시는 것을 어떻게 경험해 보셨습니까?
시간이 지나면 하나님의 손길이 우리 삶 가운데 역사하신 것을 볼 수 있다는 말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하나님 아버지, 제 삶에 아름다움과 변화를 가져오기 위해 하나님께서 일하 신다는 것을 알고, 제 인생의 어려운 시절에도 하나님을 신뢰하게 하소서.
Daily Article
02/02/2021 Tuesday
PRUNED TO THRIVE
The surprising beauty that results from harsh cuts may be one of the reasons Jesus chose pruning imagery to describe God’s work among believers. In John 15, He says, “I am the true vine, and my Father is the gardener. . . . Every branch that does bear fruit he prunes so that it will be even more fruitful” (VV. 1–2).
Jesus’ words remind us that in the good times and bad, God is always working in us toward spiritual renewal and fruitfulness (V. 5). During “pruning” seasons of suffering or emotional barrenness, we may wonder if we’ll ever thrive again. But Christ encourages us to continue to stick close to Him: “No branch can bear fruit by itself; it must remain in the vine. Neither can you bear fruit unless you remain in me” (V. 4).
As we continually draw spiritual nourishment from Jesus, the resulting beauty and fruitfulness in our lives (V. 8) will show the world God’s goodness. - ADAM R. HOLZ
Today's Reading
JOHN 15:1–12Every branch that does bear fruit he prunes so that it will be even more fruitful. [ JOHN 15:2 ]
How have you seen God use struggle in your life to produce growth and fruitfulness?
How do you think time gives us the perspective to see God’s hand at work in our lives?
Father, help me to trust You during difficult seasons in my life, knowing that You are at work to bring beauty and change.
오늘의 말씀
02/01/2021 월요일
반석 위에 지은 집
예수님은 잘못된 기초 위에 집을 짓는 것에 비유하시면서 우리 삶을 불안정한 토대 위에 짓는 것은 그보다 훨씬 위험하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예수님은 우리 중 어떤 사람들은 삶을 견고한 반석 위에 지어서 극심한 폭풍우를 만나도 든든히 서 있을 수 있지만, 어떤 사람들은 모래 위에 세워 폭풍이 몰아칠 때 “심하게” 무너져버린다고 하셨습니다(마태복음 7:27). 흔들리지 않는 토대와 무너지는 토대의 한 가지 차이는 그리스도의 말씀을 “실천”하느냐 않느냐는 것입니다(26절). 문제는 주님의 말씀을 ‘듣느냐’ 아니냐가 아니라, 주님께서 힘주실 때 그 말씀을 ‘실천하느냐’ 않느냐 하는 것입니다.
세상에는 많은 지혜와 더불어 많은 조언과 도움들이 있고 그중 많은 것이 선하고 유익합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진리에 겸손히 순종하는 것 외의 다른 기초에 우리 삶을 세우면 문제를 일으키게 됩니다. 하나님이 주시는 힘으로 그분의 말씀을 행하는 것만이 집, 곧 우리 ‘삶’을 반석 위에 짓는 유일한 길입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7:24-29누구든지 나의 이 말을......행하는 자는 그 집을 반석 위에 지은 지혜로운 사람 같으리니 [마태복음 7:24]
누구의 지혜나 통찰, 의견을 가장 많이 듣습니까?
예수님의 말씀을 실천하며 삶의 기초를 더 잘 세우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하나님, 제 삶의 많은 경우가 불안하고, 그때뿐이고, 모래 위에 지은 삶 같습니다. 이젠 흔들리지 않는 삶을 살고 싶습니다. 하나님께 순종하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2/01/2021 Monday
A HOUSE ON A ROCK
Jesus used the image of building a home atop a faulty foundation to explain the far riskier danger of building our lives on unsteady ground. He explained how some of us construct our life on sturdy rock, ensuring that we hold solid when we face fierce storms. Others of us, however, erect our lives on sand; and when the tempests rage, our lives tumble “with a great crash” (MATTHEW 7:27). The one distinction between building on an unshakable foundation and a crumbling one is whether or not we put
Christ’s words “into practice” (V. 26). The question isn’t whether or not we hear His words, but whether we practice them as He enables us.
There’s much wisdom offered to us in this world—plus lots of advice and help—and much of it is good and beneficial. If we base our life on any foundation other than humble obedience to God’s truth, however, we invite trouble. In His strength, doing what God says is the only way to have a house, a life, built on rock. - WINN COLLIER
Today's Reading
MAT THEW 7:24–29Everyone who [practices] these words of mine . . . is like a wise man who built his house on the rock. [ MATTHEW 7:24 ]
Whose wisdom, insights, or opinions do you listen to the most?
How can you better build your life’s foundation by putting Jesus’ words into practice?
God, so much of what I experience feels unsteady and temporary, a life built on sand. I want to live a solid life. Help me to obey You.
오늘의 말씀
01/31/2021 주일
용서가 있는 미래
새 민주정부는 진실화해위원회를 세워서 진실과 정의, 자비를 모두 추구하는 쉽지 않은 길을 택했습니다. 죄를 지은 자가 진심으로 죄를 고백하고 보상하고자 하면 회복의 길을 열어주었습니다. 용기 있게 진실을 직면함으로써 이 나라는 치유의 걸음을 내디딜 수 있었습니다.
남아공의 딜레마에서 우리는 우리 모두가 겪는 문제점을 볼 수 있습니다. 우리는 정의와 자비를 둘 다 함께 행하라는 부르심을 받았지만(미가 6:8), 정의를 행하는 것이 종종 보복으로 왜곡되기도 하고, 자비는 책임을 덮는 것으로 오해되기도 합니다.
우리가 나아가야 할 유일한 길은 “악을 미워하면서도”(로마서 12:9) 우리가 변화되어 “이웃”에게 악을 행하지 않기를 바라게 되는 그런 사랑입니다 (13:10). 우리는 그리스도의 영을 힘입음으로 선으로 악을 이기는(12:21) 미래의 의미를 깨달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로마서 12:9-21악에게 지지 말고 선으로 악을 이기라 [로마서 12:21]
자비와 은혜를 목적했던 것이 불의를 용납하는 것으로 왜곡돼 보인 적이 있습니까? 정의와 자비가 조화를 이루는 것을 본 적이 있는지요?
사랑의 하나님, 저를 둘러싼 고통과 불의로 괴로울 때, 변화시키고 치유하시는 하나님의 사랑과 능력을 굳게 믿도록 도와주소서. 하나님의 정의와 자비, 그리고 사랑을 제 삶으로 나타내게 해주소서.
Daily Article
01/31/2021 Sunday
A FUTURE WITH FORGIVENESS
Through establishing the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ttee, the new democracy chose the difficult path of pursuing truth, justice, and mercy. Those guilty of crimes were offered a path to restoration—if they were willing to confess their crimes and seek to make restitution. Only by courageously facing the truth could the country begin to find healing.
In a way, South Africa’s dilemma mirrors the struggle we all face. We’re called to pursue both justice and mercy (MICAH 6:8), but mercy is often misunderstood to be a lack of accountability, while pursuing justice can become distorted into pursuing revenge.
Our only path forward is a love that not only “hates what is evil” (ROMANS 12:9) but also longs for the transformation and good of our “neighbor” (13:10). Through the power of Christ’s Spirit, we can learn what it means to have a future of overcoming evil with good (12:21). MONICA LA ROSE
Today's Reading
ROMANS 12:9–21Do not be overcome by evil, but overcome evil with good. [ ROMANS 12:21 ]
When have you witnessed times when the goal of mercy and grace seemed distorted to enable injustice? When have you seen both justice and mercy working in harmony?
Loving God, when the pain and injustice around me breaks my heart, help me to still believe in Your love and power to transform and heal. Help me to point with my life to Your justice, mercy, and love.
오늘의 말씀
01/30/2021 토요일
용기의 옷을 입기
엘리야는 이스라엘 왕이 자신을 잡으려고 군사 오십 명을 보냈을 때에도 두려워하지 않았습니다(열왕기하 1:9). 선지자는 하나님께서 그와 함께하심을 알았으며, 하늘에서 불을 내려 군사들을 태워버렸습니다. 왕이 다시 군사를 보냈지만 엘리야는 다시 같은 일을 행했습니다(12절). 왕은 다시 군사를 보냈습니다. 그러나 세 번째 군사들은 이전 군사들에게 있었던 일을 전해 들었기 때문에, 지휘관이 자기 군사들을 살려달라고 엘리야에게 간청했습니다. 엘리야가 군사들을 두려워했던 것 이상으로 그들이 엘리야를 더 두려워했기에, 여호와의 사자가 엘리야에게 이제는 안전하니 그들과 함께 내려가라고 말했습니다(13-15절).
예수님은 우리가 불을 내려 적을 태워 달라는 기도를 하는 것을 원치 않으십니다. 제자들이 예수님께 불을 명하여 하늘로부터 내려 사마리아 마을을 태워버려도 되는지 물었을 때 예수님은 그들을 꾸짖으셨습니다(누가복음 9:51-55). 우리는 그때와 다른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하지만 예수님은 우리가 엘리야의 담대함을 가지고, 우리를 위해 죽으신 구세주를 다른 이들에게 전하는 데 준비가 되어 있기를 바라십니다. 이것은 마치 한 사람이 오십 명을 상대하는 것 같이 보일지도 모르지만, 사실은 한 분께서 오십 명을 상대하고 계시는 것입니다. 우리가 용기를 내어 다른 이들을 사랑하고 그들에게 다가갈 때, 예수님은 우리에게 필요한 것들을 공급해 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열왕기하 1:9-15내가 만일 하나님의 사람이면 불이 하늘에서 내려와 [열왕기하 1:10]
예수님은 당신이 용기를 내야 할 부분을 어떻게 채워주십니까? 하나님은 당신이 무엇을 깨닫고 행하기를 원하십니까?
성령님, 제 안에 거하시니 감사합니다. 저에게 예수님을 전할 용기를 가득 채워주소서.
Daily Article
01/30/2021 Saturday
WEARING OUR COURAGE
Elijah refused to be intimidated, even when the king of Israel sent fifty soldiers to arrest him (2 KINGS 1:9). The prophet knew God was with him, and he called down fire that consumed the platoon. The king sent more soldiers, and Elijah did it again (V. 12). The king sent more, but the third platoon had heard about the others. The captain begged Elijah to spare his soldiers’ lives. They were more afraid of him than he’d ever been of them, so the angel of the Lord told Elijah it was safe to go with them (VV. 13–15).
Jesus doesn’t want us to call down fire on our enemies. When the disciples asked if they could call down fire on a Samaritan village, Jesus rebuked them (LUKE 9:51–55). We’re living in a different time. But Jesus does want us to have Elijah’s boldness—to be ready to tell everyone about the Savior who died for them. It may seem like one person taking on fifty, but it’s actually One on fifty. Jesus provides what we need to courageously love and reach out to others. MIKE WITTMER
Today's Reading
2 KINGS 1:9–15If I am a man of God, may fire come down from heaven. [ 2 KINGS 1:10 ]
How does Jesus provide what you need to be courageous? What does God want you to know and do?
Holy Spirit, thank You for living in me. Fill me with courage as I tell others about Jesus.
오늘의 말씀
01/29/2021 금요일
숨가쁨
우리는 이런 경우에서처럼 신속히 서비스 받기를 좋아합니다. 하지만 서비스를 제공하는 입장에서는 빠른 서비스 때문에 종종 고통이 따르기도 합니다. 오늘날 많은 사람들은 일을 하면서 마음이 급해지고, 장시간 근무를 하며, 하루에도 여러 번 이메일을 확인하고, 점점 긴박해가는 마감 시간을 맞추는 것 때문에 압박감을 느낍니다. 대형 철물점의 고객 서비스 전략은 우리 생활 전반에 스며들어 서두르는 문화를 만들어냈습니다.
하나님은 이스라엘 자손에게 안식일을 지키라고 말씀하실 때 중요한 이유를 덧붙이셨습니다. “너는 기억하라 네가 애굽 땅에서 종이 되었다” (신명기 5:15). 그곳에서 그들은 바로의 과도한 시간 통제에 시달리며 끊임없이 일을 해야만 했습니다(출애굽기 5:6-9). 이제 자유롭게 된 그들은 그들 및 그들을 섬기는 자들 모두 일주일에 하루를 온전히 쉬어야 했습니다(신명기 5:14). 하나님의 통치 안에서는 얼굴이 상기되거나 숨이 가쁜 사람들이 있어서는 안 되었습니다.
당신은 얼마나 자주 지칠 정도로 일합니까? 혹은 얼마나 자주 당신을 기다리게 만드는 사람들 때문에 조급해 합니까? 우리 서로 휴식을 취하십시다. 서두르는 문화는 바로의 것이지 하나님의 것이 아닙니다.
오늘의 성구
신명기 5:12-15엿새 동안은 힘써 네 모든 일을 행할 것이나 일곱째 날은 네 하나님 여호와의 안식일인즉 [신명기 5:13-14]
지나치게 일하려는 충동을 어떻게 물리칠 수 있을까요? 이번 주에 당신을 기다리게 만드는 사람들에 대해 어떻게 인내할 수 있을까요?
안식일의 주님, 제가 온전해질 수 있도록 휴식을 명해 주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1/29/2021 Friday
OUT OF BREATH
We like being the customer in this scenario who enjoys the speedy service. But the demand for fast service often takes a toll when we’re the one expected to deliver it. So many of us today feel rushed doing our jobs, working long hours, checking email multiple times a day, and feeling pressured to meet tighter and tighter deadlines. The customer service tactics of the home improvement store have seeped into all our lives, creating a culture of rush.
When God told the Israelites to keep a Sabbath, He added an important reason: “Remember that you were slaves in Egypt” (DEUTERONOMY 5:15). There they’d been forced to work ceaselessly under Pharaoh’s excessive time constraints (EXODUS 5:6–9). Now freed, they were to give themselves a whole day each week to ensure they and those who served them could rest (DEUTERONOMY 5:14). Under God’s rule, there were to be no flushfaced,out-of-breath people.
How often do you work to the point of exhaustion or get impatient with people who keep you waiting? Let’s give ourselves and each other a break. A culture of rush is Pharaoh’s doing, not God’s. SHERIDAN VOYSEY
Today's Reading
DEUTERONOMY 5:12–15Six days you shall labor and do all your work, but the seventh day is a sabbath to the Lord your God. [ DEUTERONOMY 5:13–14 ]
How can you resist the urge to overwork? How will you be patient this week with people who keep you waiting?
Lord of the Sabbath, thank You for commanding me to rest so I can be whole.
오늘의 말씀
01/28/2021 목요일
거센 물결
평화로운 이곳에 앉아서 둘러보니 벽에 새겨진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목사의 글이 눈에 들어왔습니다. “정의를 물같이, 공의를 거센 물결같이 흐르게 할 때까지 우리는 일하며 투쟁할 것입니다.” 이 힘 있는 말은 구약의 아모스서에서 따온 것입니다.
아모스 선지자는 절기를 지키고 제사를 드리는 등, 종교 활동에는 열심이지만 마음은 하나님으로부터 떠나 있는 사람들 속에서 살고 있었습니다 (아모스 5:21-23). 그러나 하나님은 그들의 행위를 거부하셨습니다. 가난하고 억압받는 자들을 정의롭게 대할 것을 요구하는 명령을 포함한 하나님의 명령들을 그들이 저버렸기 때문이었습니다.
하나님은 그의 백성들이 하나님과 타인에 대한 사랑이 없는 종교행위를 그만두고, 모든 사람의 행복에 진정한 관심을 보이기를 원하신다고 아모스는 기록했습니다. 그것은 마치 닿는 곳마다 생명을 불어넣는 거센 물결 같은 관대한 삶의 모습을 말하는 것입니다.
예수님도 하나님을 사랑하는 것이 이웃을 사랑하는 것과 연결되어 있다는 동일한 진리를 가르쳐주셨습니다(마태복음 22:37-39). 우리가 하나님을 사랑하려고 할 때, 정의 또한 소중히 여기는 마음으로 그렇게 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아모스 5:21-24오직 정의를 물 같이, 공의를 마르지 않는 강 같이 흐르게 할지어다 [아모스 5:24]
다른 사람을 위한 공의가 어떻게 하나님을 향한 사랑으로 나타날까요? 우리가 할 수 있는 가난하고 억압받는 자들을 위한 관대한 삶의 본보기는 무엇일까요?
하늘에 계신 아버지, 거센 물결처럼 우리에게 공의를 베푸시는 하나님의 사랑에 감사드립니다. 하나님의 치유의 사역에 동참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1/28/2021 Thursday
A MIGHTY STREAM
As I sat in that peaceful space, a quote on the wall from Dr. Martin Luther King Jr. caught my eye: “We are determined . . . to work and fight until justice rains down like water and righteousness like a mighty stream.” These powerful words are drawn from the Old Testament book of Amos.
Amos was a prophet living among a people who were involved in religious activities, such as celebrating festivals and offering sacrifices, but whose hearts were far from God (AMOS 5:21–23). God rejected their activities because they’d turned away from His commands, including those regarding justice toward the needy and oppressed.
nstead of religious ceremonies devoid of love for God and others, Amos wrote that God longed for His people to demonstrate genuine concern for the welfare of all people—a generous way of living that would be a mighty river bringing life wherever it flowed.
Jesus taught the same truth that loving God is connected with loving our neighbors (MATTHEW 22:37–39). As we seek to love God, may it come from hearts that also treasure justice. LISA M. SAMRA
Today's Reading
AMOS 5:21–24But let justice roll on like a river, righteousness like a never-failing stream! [ AMOS 5:24 ]
How might you love God through pursuing justice for others? What are examples of generous living toward the needy or oppressed that encourage you?
Heavenly Father, thank You that Your love is like a mighty stream that brings justice to all. Help me to join You in Your healing work.
오늘의 말씀
01/27/2021 수요일
마침내 얻은 자유
우리 믿는 자들도 이처럼 어렵게 얻은 자유에 공감할 수 있습니다. 예수님은 우리 모두의 영적 자유를 위해 로마의 십자가에서 죽음의 고통을 참으시고 생명을 내어주셨습니다. 우리는 그분의 자녀로서, 바울 사도가 담대히 선포한 것처럼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자유롭게 하려고 자유를 주셨다” (갈라디아서 5:1)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요한복음도 그리스도 안에서의 자유에 대해 가르쳐줍니다. “그러므로 아들이 너희를 자유롭게 하면 너희가 참으로 자유로우리라”(요한복음 8:36).
그러나 어떤 자유를 말하는 것일까요? 예수님 안에서 우리는 죄와 죄로 인한 억압뿐 아니라, 죄의식과 수치심, 근심, 사탄의 거짓말, 미신, 거짓 가르침, 영원한 죽음으로부터의 자유를 경험합니다. 우리는 더 이상 인질이 아니라, 원수를 사랑하고, 친절을 베풀고, 소망을 갖고 살며, 이웃을 사랑할 자유를 갖게 되었습니다. 성령님의 인도하심을 따를 때, 우리가 용서받은 것처럼 우리도 용서할 수 있습니다.
이 모든 것을 인하여 오늘 하나님께 감사를 드립시다. 그리고 다른 이들도 주님이 주시는 자유의 능력을 알게 되도록 서로 사랑합시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8:31-36그러므로 아들이 너희를 자유롭게 하면 너희가 참으로 자유로우리라 [요한복음 8:36]
어떤 영적 사슬이 아직 우리를 인질로 붙잡고 있습니까? 사슬을 풀어 자유롭게 하시는 하나님께 어떤 말로 감사를 표현할 수 있을까요?
자유롭게 하시는 하나님, 제게 자유를 주셔서 영적인 죽음에서 벗어나 다른 이들을 사랑할 수 있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1/27/2021 Wednesday
FREE AT LAST
We as believers can relate to such hard-won freedom. Jesus gave up His life—enduring death on a Roman cross—to secure spiritual freedom for all people, including each of us. Now as His children, we know “it is for freedom that Christ has set us free,” the apostle Paul boldly declared (GALATIANS 5:1).
The gospel of John also teaches of freedom in Christ, noting, “If the Son sets you free, you will be free indeed” (JOHN 8:36).
But free in what ways? In Jesus, we experience freedom not only from sin and its hold on us but also from guilt, shame, worry, Satan’s lies, superstitions, false teaching, and eternal death. No longer hostages, we have freedom to show love to enemies, walk in kindness, live with hope, and love our neighbors. As we follow the Holy Spirit’s leading, we can forgive as we’ve been forgiven.
For all of this, let’s thank God today. Then let’s love so others will know the power of His freedom too.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JOHN 8:31–36If the Son sets you free, you will be free indeed. [ JOHN 8:36 ]
What spiritual chains still hold you hostage? As you release those chains to God, what words can you use to thank Him for setting you free?
Dear liberating God, thank You for my freedom—for setting me free from spiritual death and releasing me to love.
오늘의 말씀
01/26/2021 화요일
내부의 문제
예수님이 예루살렘에 도착하셨을 때 군중들은 주님이 그들의 외적 문제인 로마의 압제를 해결해주실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그들은 열광하며 큰 소리로 “호산나 다윗의 자손이여 찬송하리로다 주의 이름으로 오시는 이여 가장 높은 곳에서 호산나”(마태복음 21:9)라고 외쳤습니다. 드디어 그들이 기다리던 순간이 왔습니다.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왕이 오신 것입니다. 하나님이 보내신 구원자가 개혁을 하신다면 먼저 모든 ‘외적인’ 문제부터 시작하려고 하지 않을까요? 하지만 대부분의 복음서에 쓰인 것을 보면, 예수님은 “승리의 입성”을 하신 후 바로 ‘성전’에서 착취를 일삼는 환전상을 쫓아내셨습니다(12-13절). 주님은 성전 안쪽부터 깨끗하게 하신 것입니다.
우리가 예수님을 왕으로 받아들일 때에도 바로 이런 일이 일어납니다. 모든 것을 바로잡으러 오신 예수님은 우리와 함께 그 일을 시작하셔서 우리로 우리 내면의 악을 대면하게 하십니다. 당나귀를 타신 예수님은 트로이의 목마 안에 있는 용사와 같습니다. 목마는 평화의 상징으로서 환영을 받았지만, 그것이 궁극적으로 목적했던 것은 무조건적인 항복이었습니다. 우리의 왕이신 예수님도 우리에게 동일한 것을 요구하십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21:1-9호산나 다윗의 자손이여 찬송하리로다 주의 이름으로 오시는 이여 가장 높은 곳에서 호산나 하더라 [마태복음 21:9]
예수님이 우리의 왕이라는 것이 어떤 의미입니까? 우리의 모든 것을 그분께 내어드리는 것이 왜 중요할까요?
진정한 왕이신 사랑하는 예수님, 제 주위의 세상 문제만 해결하려고 주님을 찾고, 제 마음속 죄악을 대면하지 않았던 것을 용서하소서. 제가 어디서 쉽게 방황하는지를 보여주시고, 어떻게 제 스스로 삶을 이끌려 하는지 드러내 보여주소서.
Daily Article
01/26/2021 Tuesday
THE PROBLEM WITHIN
When Jesus arrived in Jerusalem, the crowd was hoping He would be the one to fix their external problem—their oppression by the Romans. They went wild, shouting, “Hosanna to the Son of David! Blessed is he who comes in the name of the Lord! Hosanna in the highest heaven!” (MATTHEW 21:9). This was the moment they’d been waiting for; God’s appointed King had come. If God’s chosen Deliverer was going to begin reforming things, wouldn’t He start with all the wrong out there? But in most gospel accounts, the “triumphal entry” is followed by Jesus driving out exploitative moneychangers . . . from the temple (VV. 12–13). He was cleaning house, and from the inside out.
That’s what happens when we welcome Jesus as King; He comes to set things right—and He starts with us. He makes us confront the evil inside. Jesus on the donkey is like the warriors in the Trojan horse. The horse was welcomed as a symbol of peace, but its ultimate aim was unconditional surrender. Jesus our King requires the same from us. GLENN PACKIAM
Today's Reading
MAT THEW 21:1–9Hosanna to the Son of David! Blessed is he who comes in the name of the Lord! Hosanna in the highest heaven! [ MATTHEW 21:9 ]
What does it mean for Jesus to be your King? Why is it vital for you to surrender your all to Him?
Dear Jesus, You’re the true King. Forgive me for wanting You to only fix the problems in the world around me and not to confront the sin in my heart. Show me where I’m prone to wander and expose the ways I want to run my own life.
오늘의 말씀
01/25/2021 월요일
파급 효과
아닥사스다 왕(기원전 465-424) 통치 시기에 학사 에스라는 예루살렘으로 귀환시키기 위해 유배 중인 유대인 무리들을 모았습니다. 하지만 그들 중 레위 자손이 한 명도 없는 것을 알고(에스라 8:15), 제사장으로 섬길 레위인이 필요했기 때문에 에스라는 지도자들에게 “우리 하나님의 성전을 위하여 섬길 자를 데리고 오라”(17절)고 명령했습니다. 그들이 에스라의 말대로 하자(18-20절), 에스라는 금식을 선포하며 기도로 그들을 이끌었습니다(21절).
‘에스라’라는 이름은 훌륭한 지도력에 필수적인 특징인 “조력자”라는 뜻입니다. 기도를 바탕으로 한 에스라의 지도력을 통해 그와 그의 제자들은 예루살렘의 영적 각성을 이끌 수 있었습니다(9-10장 참조). 그들에게 필요했던 것은 오직 작은 격려의 말과 지혜로운 방향 제시였습니다.
하나님의 교회가 일하는 방식도 이와 마찬가지입니다. 훌륭한 멘토가 우리를 격려하고 성장시켜주면, 우리도 배운 대로 다른 이들에게 그대로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함으로 현 세대를 넘어 대대에 영향을 미치게 될 것입니다. 하나님을 위해 충실히 행한 일은 영원토록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에스라 8:15-21내 하나님 여호와의 손이 내 위에 있으므로 내가 힘을 얻어 이스라엘 중에 우두머리들을 모아 나와 함께 올라오게 하였노라 [에스라 7:28]
당신의 주된 영적 멘토는 누구입니까? (아직 없다면 누구에게 요청할 수 있을까요?) 남에게 조언을 받거나 줄 때 그리스도 안에서 조언하는 것이 왜 중요합니까?
하나님 아버지, 제가 조언할 수 있는 사람을 보여주소서.
Daily Article
01/25/2021 Monday
RIPPLE EFFECT
During the reign of King Artaxerxes (465–424 bc), Ezra the scribe assembled a band of Jewish exiles to return to Jerusalem. But Ezra found no Levites among them (EZRA 8:15). He needed Levites to serve as priests. So he commissioned leaders to “bring attendants to us for the house of our God” (V. 17). They did so (VV. 18–20), and Ezra led them all in fasting and prayer (V. 21).
Ezra’s name means “helper,” a characteristic that resides at the heart of good leadership. Under Ezra’s prayerful guidance, he and his protégés would lead a spiritual awakening in Jerusalem (SEE CHAPTERS 9–10). All they had needed was a little encouragement and wise direction.
That’s how God’s church works too. As good mentors encourage and build us up, we learn to do the same for others. Such an influence will reach far beyond our lifetime. Work done faithfully for God stretches into eternity.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EZRA 8:15–21Because the hand of the Lord my God was on me, I took courage and gathered leaders from Israel to go up with me. [ EZRA 7:28 ]
Who is your primary spiritual mentor? (If you don’t have one, who might you ask to mentor you?) Why is mentoring in Christ something vital for you to receive and extend to others?
Father, show me someone I can mento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