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1/24/2021     주일

성경읽기: 출애굽기 9-11; 마태복음 15:21-39
찬송가: 50(통71)

모든 것을 드림

하나님이 부르신 곳에서 헌신하기 위해 예술가의 직업을 버리고 예수님을 위한 섬김의 삶을 살았던 두 남자가 있습니다. 영국인 제임스 프레이져 (1886–1938)는 중국의 리수 종족을 섬기려고 피아노 연주자의 길을 중단했고, 미국인 저드슨 밴 디벤터(1855–1939)는 화가의 경력을 쌓는 대신 복음전도자의 길을 택했습니다. 그는 나중에 찬송가 “내게 있는 모든 것을”의 가사를 쓰기도 했습니다.

예술가라는 직업이 많은 사람들에게는 완벽한 직업이긴 하지만, 이 두 사람은 하나님께서 다른 일을 위해 자신의 직업을 포기하게 하셨다고 믿었습니다. 그들은 예수님이 젊은 부자 관원에게 주님을 따르려면 그의 소유를 다 버려야 한다고 하신 말씀에서 영감을 받았을지도 모릅니다 (마가복음 10:17–25). 예수님과 관원의 대화를 목격한 베드로가 말했습니다. “우리가 모든 것을 버리고 주를 따랐나이다”(28절). 예수님은 그에게 하나님은 그를 따르는 자들에게 “현세에 있어 백 배”를 주시며 또 영생을 주신다고 확신시켜주셨습니다(30절). 하지만 주님은 “먼저 된 자로서 나중 되고 나중 된 자로서 먼저 될 자가 많으니라”(31절)라는 지혜의 말씀도 함께 주셨습니다.

집이나 회사, 지역사회, 혹은 타지 어느 곳이든 하나님께서 우리를 보내신 모든 곳에서, 우리는 우리의 재능과 자원을 다해 그분을 따르고 섬기라는 그분의 부드러운 음성에 순종하며 매일의 삶을 그리스도께 드려야 합니다. 그렇게 할 때 주님은 우리가 다른 이들의 필요를 먼저 살피고 사랑할 수 있는 마음을 주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마가복음 10:26-31
베드로가 여짜와 이르되 보소서 우리가 모든 것을 버리고 주를 따랐나이다 [마가복음 10:28]

예수님을 위해 자신을 희생했던 사람 중 누가 마음속에 떠오릅니까? 하나님은 어떻게 당신이 헌신하도록 부르고 계십니까?

예수님, 오늘 주님과 다른 이들을 섬길 때 주님의 영광을 위해 저의 전부를 드릴 수 있게 해주소서.

Daily Article

01/24/2021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EXODUS 9–11; MAT THEW 15:21–39
Hymn: 50(old 71)

SURRENDERING ALL

Two men remembered for serving others for Jesus left careers in the arts to commit themselves to where they believed God had called them. James O. Fraser (1886–1938) decided not to pursue being a concert pianist in England to serve the Lisu people in China, while the American Judson Van DeVenter (1855–1939) chose to become an evangelist instead of pursuing a career in art. He later wrote the hymn “I Surrender All.”

While having a vocation in the arts is the perfect calling for many, these men believed God called them to relinquish one career for another. Perhaps they found inspiration from Jesus counseling the rich, young ruler to give up his possessions to follow Him (MARK 10:17–25). Witnessing the exchange, Peter exclaimed, “We have left everything to follow you!” (V. 28). Jesus assured him that God would give those who follow Him “a hundred times as much in this present age” and eternal life (V. 30). But He would give according to His wisdom: “Many who are first will be last, and the last first” (V. 31).

No matter where God has placed us, we’re called to daily surrender our lives to Christ, obeying His gentle call to follow Him and serve Him with our talents and resources—whether in the home, office, community, or far from home. As we do, He’ll inspire us to love others, putting their needs above our own.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MARK 10:26–31
Peter spoke up, “We have left everything to follow you!” [ MARK 10:28 ]

Who comes to mind when you think of someone who’s sacrificed for Jesus? How is God calling you to surrender?

Jesus, help me to surrender my all for You today as I serve You and those around me for Your honor.

오늘의 말씀

01/23/2021     토요일

성경읽기: 출애굽기 7-8; 마태복음 15:1-20
찬송가: 539(통483)

가장 깊은 곳

19세기 프랑스의 사회적, 정치적 격변기의 시인이자 소설가였던 빅토르 위고(1802–1885)는 그의 고전 작품 ‘레 미제라블’로 가장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로부터 한 세기 후 그의 소설은 뮤지컬로 각색되어 우리 세대에 가장 인기 있는 작품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이것은 그리 놀랄 일이 아닙니다. 위고가 말했듯이, “음악은 말로 할 수 없고 침묵할 수 없는 것을 표현합니다.”

시편 기자들도 그 말에 동의했을 것입니다. 그들의 노래와 기도는 우리의 삶과 삶의 불가피한 고통까지 솔직하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그것들은 우리가 닿기 힘든 깊은 내면을 어루만집니다. 예를 들어, 다윗은 시편 6편 6절에서 “내가 탄식함으로 피곤하여 밤마다 눈물로 내 침상을 띄우며 내 요를 적시나이다”라고 부르짖습니다.

성경의 감동적인 노래 속에 그런 꾸미지 않은 솔직함이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이 우리에게 큰 위로가 됩니다. 그것은 위로와 도움을 주시는 그분 앞으로 우리를 불러주시는 하나님께 우리의 두려움을 가져갈 수 있게 해줍니다. 그분은 솔직한 우리 마음을 받아주십니다.

음악은 우리가 말로 하기 어려운 감정을 표현해줍니다. 그 표현하는 방법이 곡조이든, 기도이든, 아니면 작은 울부짖음이든 관계없이, 우리 하나님은 우리의 마음 가장 깊은 곳에 찾아오셔서 그분의 평안을 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6
내가 탄식함으로 피곤하여 [시편 6:6]

당신의 기도 생활에는 어떤 특징이 있습니까? 하나님께서 우리의 모습 그대로 그분 앞에 올 수 있게 허락하신다는 것을 깨달을 때 어떤 느낌이 듭니까?

사랑의 하나님, 저의 모든 고통, 두려움, 몸부림과 절망을 받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올바른” 혹은 “정제된” 기도가 아닌, 저의 솔직한 마음을 원하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1/23/2021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EXODUS 7–8; MAT THEW 15:1–20
Hymn: 539(old 483)

THE DEEPEST PLACES

Victor Hugo (1802–1885), a poet and novelist during the social and political upheavals of nineteenth-century France, is perhaps best known for his classic Les Miserables. Over a century later, a musical adaptation of his novel has become one of our generation’s most popular productions. This shouldn’t surprise us. As Hugo once said, “Music expresses that which cannot be said and on which it is impossible to be silent.”

The psalmists would have agreed. Their songs and prayers provide us with honest reflections on life and its inevitable pain. They touch us in places we find difficult to access. For example, in Psalm 6:6 David cries out, “I am worn out from my groaning. All night long I flood my bed with weeping and drench my couch with tears.”

The fact that such raw honesty is included in the inspired songs of the Scriptures gives us great encouragement. It invites us to bring our fears to God, who welcomes us into His presence for comfort and help. He embraces us in our heartfelt honesty.

Music can give us the ability to express our feelings when words are hard to come by, but whether that expression is sung, prayed, or silently cried, our God reaches into the deepest places in our hearts and gives us His peace. BILL CROWDER

Today's Reading

PSALM 6
I am worn out from my groaning. [ PSALM 6:6 ]

How would you characterize your prayer life? How does it make you feel to realize that God Himself allows you to come into His presence just as you are?

Thank You, loving God, for welcoming me with all my pain, fear, struggle, and disappointment. Thank You that You don’t want “correct” or “sanitized” prayers, but my honest heart instead.

오늘의 말씀

01/22/2021     금요일

성경읽기: 출애굽기 4-6; 마태복음 14:22-36
찬송가: 159(통149)

알리기 위해 달려감

현대의 마라톤은 고대 그리스 시대의 전령인 페이디피데스의 이야기에서 비롯됩니다. 전설에 따르면 기원전 490년, 그리스가 강적 페르시아의 침략에 대항하여 승리한 것을 알리기 위해 페이디피데스는 마라톤에서 아테네까지 약 25마일(40킬로미터)을 달렸다고 합니다. 오늘날 사람들은 마라톤을 개인적 성취를 위한 운동 목적으로 하지만, 페이디피데스는 더 큰 목적을 위해 뛰었습니다. 그의 동족들에게 좋은 소식을 알리겠다는 기쁨 하나로 한 걸음씩 달린 것입니다!

약 500년 후, 두 여인 역시 기쁜 소식, 역사상 가장 중요한 소식을 전하기 위해 달렸습니다. 마리아와 막달라 마리아가 예수님이 십자가 못 박혀 돌아가신 후 안치된 무덤에 도착했을 때 무덤이 비어 있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그때 천사가 그들에게 예수님이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나셨으니 빨리 가서 그의 제자들에게 전하라”고 했습니다(마태복음 28:7). 그러자 여인들은 “무서움과 큰 기쁨으로” 제자들에게 그들이 본 것을 전하려고 달렸습니다(8절).

우리도 이같이 예수님의 부활을 기뻐하고 다른 이들과 이 기쁜 소식을 적극적으로 나눌 수 있기를 바랍니다. 굳이 멀리까지 “뛰지” 않아도, 바로 옆에 우리 구주에 대해 알아야 할 사람이 있을 수 있습니다. 주님이 죽음과의 전투에서 이기셨기 때문에 우리는 주님과 함께 영원히 승리하는 삶을 살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28:1-10
그 여자들이......제자들에게 알리려고 달음질할새 [마태복음 28:8]

당신에게 그리스도의 부활을 알려준 사람이 누구입니까? 당신은 오늘 그리스도의 부활에 대해 다른 이들에게 어떻게 전해주겠습니까?

하나님, 죽음을 이기신 하나님을 기뻐합니다. 이 기쁜 소식을 제 삶 속에서 만나는 다른 이들과 나눌 수 있는 특권을 주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1/22/2021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EXODUS 4–6; MAT THEW 14:22–36
Hymn: 159(old 149)

RUNNING TO TELL

The modern-day marathon is based on the story of a Greek messenger, Pheidippides. According to legend, in 490 bc he ran approximately twenty-five miles (forty kilometers) from Marathon to Athens to announce the Greeks’ victory against their formidable foe, the invading Persians. Today, people run marathons for the personal satisfaction of an athletic achievement, but Pheidippides had a greater purpose behind his effort: each of his steps was run for the sheer joy of delivering good news to his kinsmen!

Some five hundred years later, two women also ran to deliver good news—the most pivotal news in all of history. When Mary and Mary Magdalene arrived at the tomb where Jesus had been placed after His crucifixion, they found it empty. An angel told them that Jesus had “risen from the dead” and to “go quickly and tell his disciples” (MATTHEW 28:7). The women, “afraid yet filled with joy,” ran to tell the disciples what they’d discovered (V. 8).

May we have the same joyful exuberance at the resurrection of Jesus, and may it invigorate us to share the good news with others. We may not even need to “run” farther than next door to find someone who needs to know about our Savior. He won the battle against death so we might live victoriously with Him forever!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MAT THEW 28:10
So the women . . . ran to tell his disciples. [ MATTHEW 28:8 ]

Who shared the good news of Christ’s resurrection with you? How will you share it with others today?

God, I rejoice because of Your victory over death. Thank You for allowing me the privilege of sharing this good news with those You’ve put in my life.

To learn more about the resurrection of Jesus, visit ChristianUniversity.org/CA206.

오늘의 말씀

01/21/2021     목요일

성경읽기: 출애굽기 1-3; 마태복음 14:1-21
찬송가: 537(통329)

작은 물고기

서아프리카에 사는 한 영국인 부부는 같은 마을에 사는 한 남자와 여러 해 동안 돈독한 우정을 쌓으며 많은 시간 예수님의 사랑과 구원에 관해 대화를 나누었습니다. 하지만 그 남자는 예수님을 믿는 믿음이 “더 큰 진리”임을 알게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평생 믿어왔던 자신의 신앙을 포기하지 못했습니다. 그는 종교지도자로서 사례를 받고 생활하고 있었기 때문에 어느 정도는 재정적인 염려 때문이기도 했고, 또한 지역 사회에서 평판을 잃을까 봐 두려워하기도 했습니다.

그는 슬픈 목소리로 말했습니다. “저는 냇가에서 손으로 물고기를 잡는 사람과 같아요. 한 손으로 작은 물고기를 잡았는데 옆에 큰 물고기가 헤엄쳐 가고 있어요. 큰 물고기를 잡으려면 저는 작은 물고기를 놓아주어야 해요!”

마태복음 19장에 나오는 젊은 부자 관원도 비슷한 문제가 있었습니다. 그는 예수님께 다가가 “내가 무슨 선한 일을 하여야 영생을 얻으리이까”(16절) 라고 물었습니다. 그는 진심 어려 보이기는 했지만 예수님께 자신의 삶을 모두 내어드리는 것은 원하지 않았습니다. 부자였을 뿐 아니라 율법을 잘 지키는 것에 대한 자부심도 아주 강했던 그는 영생을 원하긴 했지만 다른 것을 그보다 더 사랑하여 그리스도의 말씀을 거부했습니다.

예수님께 겸손히 우리의 삶을 드리고 값없이 주시는 구원의 선물을 받으면, 주님은 “와서 나를 따르라”(21절)고 우리를 초대하십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19:16-26
와서 나를 따르라 [마태복음 19:21]

구원과 주님과 함께하는 영생의 약속을 받기 위해 예수님께서 우리에게 요구하시는 한 가지는 무엇입니까? 무엇 때문에 예수님께 온전히 내어드리지 못합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제 죗값으로 당신의 아들을 희생시키시니 감사합니다. 저를 당신께 온전히 드릴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1/21/2021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EXODUS 1–3; MAT THEW 14:1–21
Hymn: 537(old 329)

SMALL FISH

Over several years, a British couple living in West Africa developed a strong friendship with a man in their town and many times shared the love of Jesus and the story of salvation with him. Their friend, however, was reluctant to relinquish the lifetime of allegiance he had to another religion, even though he came to recognize that faith in Christ was “the greater truth.” His concern was partly financial, since he was a leader in his faith and depended on the compensation he received. He also feared losing his reputation among the people in his community.

With sadness, he explained, “I’m like a man fishing with my hands in a stream. I have caught a small fish in one, but a bigger fish is swimming by. To catch the bigger fish, I have to let go of the smaller one!”

The rich young ruler Matthew wrote about in Matthew 19 had a similar problem. When he approached Jesus, he asked, “What good thing must I do to get eternal life?” (V. 16). He seemed sincere, but he didn’t want to fully surrender his life to Jesus. He was rich, not only in money, but also in his pride of being a rule-follower. Although he desired eternal life, he loved something else more and rejected Christ’s words.

When we humbly surrender our life to Jesus and accept His free gift of salvation, He invites us, “Come, follow me” (V. 21). CINDY HESS KASPER

Today's Reading

MAT THEW 19:16–26
Come, follow me. [ MATTHEW 19:21 ]

What one thing does Jesus require of us to receive salvation and the promise of eternal life with Him? What’s keeping you from fully surrendering to Him?

Dear Father, thank You for offering Your Son as payment for my sin. Help me to surrender wholly to You.

오늘의 말씀

01/20/2021     수요일

성경읽기: 창세기 49-50; 마태복음 13:31-58
찬송가: 69(통33)

하나님의 발자국

네 살짜리 손자가 내 아내 캐리에게 말했습니다. “난 하나님이 어디에 사는지 알아요.” 아내가 호기심에 가득 차서 “거기가 어디야?” 라고 묻자, 손자는 “하나님은 할머니 집 옆의 숲속에 살아요.”라고 대답했습니다.

캐리가 손자와 나눈 대화를 이야기하며 아이가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궁금해하자 내가 말했습니다. “나는 알지. 그 아이가 지난번에 여기 왔을 때 함께 숲속을 산책하면서, 우리가 하나님을 볼 수는 없지만 그분이 하신 일들을 볼 수 있다고 말해준 적이 있거든.” 그때 나는 손자와 강변의 모래밭을 지나 걸어가며 이렇게 말했습니다. “내가 만들고 있는 발자국이 보이니? 동물과 나무들, 그리고 강은 하나님의 발자국과 같단다. 우린 그분이 만드신 것들을 볼 수 있기 때문에 그분이 여기에 계셨다는 걸 알 수 있지.”

시편 104편의 저자도 하나님의 창조 증거를 가리키며 이렇게 선포했습니다. “여호와여 주께서 하신 일이 어찌 그리 많은지요 주께서 지혜로 그들을 다 지으셨으니 주께서 지으신 것들이 땅에 가득하니이다”(24절). 여기에 사용된 지혜를 뜻하는 히브리어는 성경에서 숙련된 솜씨를 묘사할 때 자주 사용되는 말입니다.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자연은 그분의 살아계심을 선포하고 있고, 그것을 보며 우리는 그분을 찬양하게 됩니다.

시편 104편은 “여호와를 송축하라”(1, 35절)는 말로 시작하고 끝을 맺습니다. 아기의 손에서 독수리의 눈에 이르기까지, 우리를 둘러싼 창조주의 예술품은 그분의 완벽한 솜씨를 보여줍니다. 오늘 이 모든 것을 경외하는 마음으로 바라보며 그분을 찬양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04:24-35
여호와여 주께서 하신 일이 어찌 그리 많은지요 [시편 104:24]

어디서 창조주의 솜씨를 볼 수 있습니까? 오늘 누구에게 그것을, 또 그분을 알릴 수 있을까요?

하나님, 하나님이 만드신 모든 창조물을 인하여 찬양 드립니다! 오늘 당신의 지혜와 선하심을 경외하며 살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1/20/2021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GENESIS 49–50; MAT THEW 13:31–58
Hymn: 69(old 33)

GOD’S FOOTPRINTS

“I know where God lives,” our four-year-old grandson told my wife, Cari. “Where is that?” she asked, her curiosity piqued. “He lives in the woods beside your house,” he answered.

When Cari told me about their conversation, she wondered what prompted his thinking. “I know,” I responded. “When we went for a walk in the woods during his last visit, I told him that even though we can’t see God, we can see the things He’s done.” “Do you see the footprints I’m making?” I had asked my grandson as we stepped through a sandy place by a river. “The animals and the trees and the river are like God’s footprints. We know that He’s been here because we can see the things He’s made.”

The writer of Psalm 104 also pointed to the evidence for God in creation, exclaiming “How many are your works, Lord! In wisdom you made them all; the earth is full of your creatures” (V. 24). The Hebrew word for wisdom found here is often used in the Bible to describe skillful craftsmanship. God’s handiwork in nature proclaims His presence and makes us want to praise Him.

Psalm 104 begins and ends with the words: “Praise the Lord” (vv. 1, 35). From a baby’s hand to an eagle’s eye, our Creator’s artistry all around us speaks of His consummate skill. May we take it all in with wonder today—and praise Him for it! JAMES BANKS

Today's Reading

PSALM 104:24–35
How many are your works, Lord! [ PSALM 104:24 ]

Where do you see God’s handiwork in creation? How might you point someone to it—and to Him—today?

I praise You for all You’ve made, God! Help me to live in wonder at Your wisdom and goodness today.

오늘의 말씀

01/19/2021     화요일

성경읽기: 창세기 46-48; 마태복음 13:1-30
찬송가: 543(통342)

깨어질 수 없는 믿음

다이앤 독고 김과 남편은 첫아들이 자폐 진단을 받은 후, 인식 장애가 있는 아이를 평생 돌봐야 할 상황을 맞아 매우 슬펐습니다. 다이앤은 그의 저서 ‘깨어지지 않는 믿음’에서 그들의 꿈과 기대를 사랑하는 아들의 미래에 맞추어야 하는 것이 무척 힘들었다고 고백합니다. 하지만 이 고통스러운 과정을 통해 하나님께서 그들의 분노와 의심, 그리고 두려움까지 돌보신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제 그 아들은 성인이 되었고, 다이앤은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특수교육이 필요한 아이들의 부모들에게 용기를 북돋워주고 있습니다. 그녀는 그들에게 하나님의 굳건한 약속, 무한한 권능, 신실하신 사랑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그리고 인생의 꿈과 기대, 삶의 방식이나 시절을 잃어버려 슬퍼하는 것을 하나님께서 충분히 이해하신다고 사람들을 확신시켜 줍니다.

이사야서 26장에서 이사야는 “주 여호와는 영원한 반석”(4절)이시기에 하나님의 백성들이 주님을 영원토록 신뢰할 수 있다고 선포합니다. 우리가 어떤 상황에 처하더라도 그분은 초자연적인 평안으로 우리를 붙들어주십니다 (12절). 환난 중에도 변함없는 그분의 성품에 집중하고 그분께 부르짖으면 희망이 다시 샘솟게 됩니다(15절).

어떤 상실이나 실망, 혹은 힘든 상황을 맞을 때 하나님은 우리가 그분께 솔직하기를 원하십니다. 그분은 수시로 바뀌는 우리의 감정과 우리의 의문들을 해결해주실 수 있습니다. 그분은 우리와 함께하시며, 영원한 소망으로 우리의 영혼을 새롭게 하십니다. 삶이 무너지는 것처럼 느껴질 때에라도 하나님은 우리의 믿음을 굳건히 해주실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26:3-13
주께서 심지가 견고한 자를 평강하고 평강하도록 지키시리니 이는 그가 주를 신뢰함이니이다 [이사야 26:3]

삶이 아주 힘겹게 느껴질 때 하나님께 솔직하기 어려웠던 적이 있었습니까? 꿈과 기대가 사라졌을 때 하나님께서 당신을 어떻게 도우셨습니까?

사랑의 하나님, 제 솔직한 감정으로 하나님은 언제나 신뢰할 수 있는 분임을 믿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1/19/2021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GENESIS 46–48; MAT THEW 13:1–30
Hymn: 543(old 342)

UNBREAKABLE FAITH

After doctors diagnosed their first-born son with autism, Diane Dokko Kim and her husband grieved facing a lifetime of caring for a cognitively disabled child. In her book Unbroken Faith, she admits to struggling with adjusting their dreams and expectations for their beloved son’s future. Yet through this painful process, they learned that God can handle their anger, doubts, and fears. Now, with their son reaching adulthood, Diane uses her experiences to encourage parents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She tells others about God’s unbreakable promises, limitless power, and loving faithfulness. She assures people that He gives us permission to grieve when we experience the death of a dream, an expectation, a way or a season of life.

In Isaiah 26, the prophet declares that God’s people can trust in the Lord forever, “for the Lord . . . is the Rock eternal” (V. 4). He’s able to sustain us with supernatural peace in every situation (V. 12). Focusing on His unchanging character and crying out to Him during troublesome times revitalizes our hope (V. 15).

When we face any loss, disappointment, or difficult circumstance, God invites us to be honest with Him. He can handle our ever-changing emotions and our questions. He remains with us and refreshes our spirits with enduring hope. Even when we feel like our lives are falling apart, God can make our faith unbreakable.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ISAIAH 26:3–13
You will keep in perfect peace those whose minds are steadfast, because they trust in you. [ ISAIAH 26:3 ]

Have you ever struggled with being honest with God when life feels overwhelming? How has God helped you deal with the death of a dream or expectation?

Loving God, please help me believe You can always be trusted with my honest emotions.

오늘의 말씀

01/18/2021     월요일

성경읽기: 창세기 43-45; 마태복음 12:24-50
찬송가: 216(통356)

포용의 유산

글렌 커린은 그의 저서 ‘벽을 허물다’라는 책에서, 1968년 인권운동가 마틴 루터 킹 목사가 암살된 후 시카고의 대학 기숙사 건물 옥상에 올라간 일을 쓰고 있습니다. “커다란 건물들 사이로 여기저기 총성이 무섭게 울려 퍼졌고, 곧이어 나는 건물 옥상에서 끔찍한 장면을 거의 파노라마처럼 목격할 수 있었다...... 위스콘신의 옥수수밭에 있던 내가 어떻게 2년 만에 이곳 시카고 시내의 전쟁터로 오게 된 것일까?” 글렌은 2011년 세상을 떠날 때까지 시카고 서쪽에 살면서 예수님과 그와 배경이 다른 사람들을 향한 사랑으로 사람들에게 음식과 의복, 쉼터 등을 제공하는 사역을 이끌었습니다.

글렌은 예수님을 믿는 자들이 다른 처지에 있는 사람들을 어떻게 포용해야 하는지 그 본보기를 그의 삶으로 보여주었습니다. 로마의 성도들은 바울의 가르침과 그의 본보기를 통해 유대인과 이방인을 포함한 온 인류를 구원하시려는 하나님의 계획을 알 수 있었습니다(로마서 15:8-12). 성도들은 다른 사람들을 포용하신 주님의 모습을 본받아야 합니다(7절). “한 마음과 한 입으로”(6절)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도록 부름받은 사람들에게는 편견이나 불화가 함께 있을 수 없습니다. 장벽을 넘고 벽을 허물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그리고 다름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을 따뜻하게 포용할 수 있게 해달라고 하나님께 간구하십시오. 포용의 유산을 남길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로마서 15:5-13
그러므로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받아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심과 같이 너희도 서로 받으라 [로마서 15:7]

어떻게 우리와 다른 사람들과 좀 더 가까워질 수 있을까요? 모든 사람을 포용하셨던 예수님을 더 잘 따르려면 어떤 노력을 해야 할까요?

하늘에 계신 아버지, 오늘 하나님을 드러내고 제 생각과 행동을 조정하며 다른 사람들을 잘 사랑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1/18/2021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GENESIS 43–45; MAT THEW 12:24–50
Hymn: 216(old 356)

A LEGACY OF ACCEPTANCE

In his book Breaking Down Walls, Glen Kehrein writes about climbing to the roof of his college dorm in Chicago after the assassination of civil rights activist Dr. Martin Luther King Jr. in 1968. “The sound of gunfire bounced eerily back and forth off the large buildings, and soon my rooftop perch provided a near panoramic, yet horrific, view. . . . How in the world did I get from a Wisconsin cornfield to a war zone in the inner city of Chicago in less than two years?” Compelled by his love for Jesus and people whose backgrounds were different from his, Glen lived on Chicago’s West Side and led a ministry there that provided food, clothing, shelter, and other services until his death in 2011.

Glen’s life mirrors the efforts of believers in Jesus who’ve come to grips with the need to embrace those who are different from themselves. Paul’s teaching and example helped Roman believers see that God’s plan to rescue wayward humanity included Jews and gentiles (ROMANS 15:8–12). Believers are called to follow His example of acceptance of others (V. 7); prejudice and discord have no place among those called to glorify God with “one mind and one voice” (V. 6). Ask God to help you cross barriers and break down walls and to warmly embrace everyone, regardless of their differences. Let’s strive to leave behind a legacy of acceptance. ARTHUR JACKSON

Today's Reading

ROMANS 15:5–13
Accept one another, then, just as Christ accepted you, in order to bring praise to God. [ ROMANS 15:7 ]

How can you be more intentional with people who are different from you? What steps do you need to take to be more in line with Jesus’ embrace of all people?

Father in heaven, help me to represent You and make adjustments in my thinking and actions today as I strive to love others well.

오늘의 말씀

01/17/2021     주일

성경읽기: 창세기 41-42; 마태복음 12:1-23
찬송가: 8(통9)

놀라우신 분

‘오즈의 마법사’ 이야기에서, 도로시, 허수아비, 양철 나무꾼, 그리고 겁쟁이 사자는 서쪽 나라의 사악한 마녀가 타고 다니던 빗자루를 타고오즈로 돌아옵니다. 마법사는 전에 도로시 일행에게 그 빗자루를 가져오면 그들이 가장 원하는 네 가지 소원, 곧 도로시에게는 집으로의 귀환을, 허수아비에게는 두뇌를, 양철 나무꾼에게는 심장을, 그리고 겁쟁이 사자에게는 용기를 주겠다고 이전에 약속했었습니다. 하지만 마법사는 핑계를 대며 다음날 다시 오라고 말합니다.

그들이 마법사에게 간청하는 동안 도로시의 개 토토가 마법사를 가리고 있던 커튼을 물어 당기자 그가 실제로 마법사가 아니라는 것이 드러납니다. 단지 네브라스카 출신의 겁 많고 안절부절못하는 남자일 뿐이었습니다.

저자인 L. 프랭크 바움은 하나님과의 관계에 심각한 문제가 있었으며, 그래서 오직 우리 자신만이 우리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하고 싶어 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와 대조적으로, 요한 사도는 장막을 젖힘으로 “커튼” 뒤에 계신 진실로 놀라운 분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요한은 말로 그것을 다 표현할 수 없었지만 (문장 속에 ‘~같은’이라는 전치사를 반복해서 쓴 것을 주의해 보십시오), 그래도 하나님은 수정 같은 유리 바다로 둘린 보좌에 앉아 계시다(요한계시록 4:2, 6) 고 요점을 잘 기술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비록 이 세상에서 환난을 당하지만 (2-3장), 하나님은 당황하여 어쩔 줄 몰라 하거나 염려함으로 초조해하는 분이 아니십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선을 위하여 힘써 일하고 계시기 때문에 우리는 그분이 주시는 평안을 누릴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계시록 4:4-11
하늘에 보좌를 베풀었고 그 보좌 위에 앉으신 이가 있는데 [요한계시록 4:2]

오늘 당신이 두려워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당신 주변의 어려움을 하나님께서 주관하신다는 것을 알면 어떤 도움이 됩니까? 어떻게 더욱 그분을 믿고 순종할 수 있을까요?

하나님, 모든 일에 저와 동행해 주심을 믿고 감사드립니다. 하나님의 평안을 주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1/17/2021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GENESIS 41–42; MAT THEW 12:1–23
Hymn: 8(old 9)

THE WONDERFUL ONE

In The Wonderful Wizard of Oz, Dorothy, the Scarecrow, the Tin Man, and the Cowardly Lion return to Oz with the broomstick that empowered the Wicked Witch of the West. The Wizard had promised, in return for the broomstick, that he would give the four their deepest desires: a ride home for Dorothy, a brain for the Scarecrow, a heart for the Tin Man, and courage for the Cowardly Lion. But the Wizard stalls and tells them to come back the next day.

While they plead with the Wizard, Dorothy’s dog Toto pulls back the curtain, behind which the Wizard spoke, to reveal that the Wizard isn’t a wizard at all, He’s just a fearful, fidgety man from Nebraska.

It’s said that the author, L. Frank Baum, had a serious problem with God, so he wanted to send the message that only we have the power to solve our problems.

In contrast, the apostle John pulls back the veil to reveal the truly Wonderful One behind the “curtain.” Words fail John (note the repeated use of the preposition like in the passage), but the point is well made: God is seated on His throne, surrounded by a sea of glass (REVELATION 4:2, 6). Despite the troubles that plague us here on earth (CHS. 2–3), God isn’t pacing the floor and biting His nails. He’s actively at work for our good, so we can experience His peace. DAVID H. ROPER

Today's Reading

REVEL ATION 4:4–11
There before me was a throne in heaven with someone sitting on it. [ REVELATION 4:2 ]

What do you fear today? How does it help you to know that God controls the troubles that surround you? How can you better trust and surrender to Him?

I’m grateful, God, that I can count on You to walk with me through everything. Thank You for Your peace.

오늘의 말씀

01/16/2021     토요일

성경읽기: 창세기 39-40; 마태복음 11
찬송가: 356(통396)

강한

23주 만에 “초미숙아”로 태어난 갓난아기 세이비는 체중이 8.6온스 (244그램)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아기가 얼마 살지 못하리라 생각한 의료진은 아이의 부모에게 딸과 함께할 시간이 한 시간 밖에 없을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세이비는 계속 싸우며 견뎌냈습니다. 아이의 침대 옆에 붙어 있는 분홍색 카드에는 “아주 작지만 강한 아이”라는 문구가 쓰여 있었습니다. 병원에서 5개월을 보낸 세이비는 기적같이 5파운드(약 2.3 킬로그램)의 건강한 아이의 모습으로 집으로 갔습니다. 그리고 세계에서 가장 작게 태어나 생존한 아기로 기록되었습니다.

역경을 이겨낸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으면 힘이 납니다. 성경에도 그런 이야기가 있습니다. 목동이었던 다윗은 자처해서 하나님을 모독하고 이스라엘을 위협한 거인 용사 골리앗과 맞섰습니다. 사울 왕은 다윗이 터무니없다고 생각했습니다. “네가 가서 저 블레셋 사람과 싸울 수 없으리니 너는 소년이요 그는 어려서부터 용사임이니라”(사무엘상 17:33). 소년 다윗이 전장에 들어서자 골리앗은 “다윗을 보고 나서, 그가 다만......소년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았습니다”(42절, 새번역). 그러나 다윗은 홀로 전투에 나서지 않았습니다. 그는 “만군의 여호와의 이름, 곧 이스라엘 군대의 하나님의 이름으로”(45절) 나아갔습니다. 날이 저물었을 때, 전투에서 승리한 다윗은 죽은 골리앗 위에 우뚝 서 있었습니다.

하나님께서 우리와 함께 하시면 아무리 큰 문제라도 두려워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분의 능력이 함께 할 때 우리 또한 강하기 때문입니다.

오늘의 성구

사무엘상 17:32, 41-47
[골리앗은] 다윗을 보고 나서, 그가 다만......소년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는 [사무엘상 17:42, 새번역]

어떤 순간에 자신이 작고 하찮은 존재라고 느껴집니까? 엄청난 역경 가운데 하나님께서 함께 하셔서 힘을 주시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하나님, 오늘 제 자신이 초라하게 느껴집니다. 홀로 남겨져 앞이 보이지 않습니다. 하지만 하나님께서 저와 함께 계셔서 인도해주실 것을 믿습니다. 하나님의 능력을 신뢰합니다.

Daily Article

01/16/2021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GENESIS 39–40; MAT THEW 11
Hymn: 356(old 396)

MIGHTY

Baby Saybie, born as a “micro-preemie” at 23 weeks, weighed only 8.6 ounces. Doctors doubted Saybie would live and told her parents they’d likely have only an hour with their daughter. However, Saybie kept fighting. A pink card near her crib declared “Tiny but Mighty.” After five months in the hospital, Saybie miraculously went home as a healthy five-pound baby. And she took a world record with her: the world’s tiniest surviving baby.

It’s powerful to hear stories of those who beat the odds. The Bible tells one of these stories. David, a shepherd boy, volunteered to fight Goliath—a mammoth warrior who defamed God and threatened Israel. King Saul thought David was ridiculous: “You are not able to go out against this Philistine and fight him; you are only a young man, and he has been a warrior from his youth” (1 SAMUEL 17:33). And when the boy David stepped onto the battlefield, Goliath “looked David over and saw that he was little more than a boy” (V. 42). However, David didn’t step into battle alone. He came “in the name of the Lord Almighty, the God of the armies of Israel” (V. 45). And when the day was done, a victorious David stood above a dead Goliath.

No matter how enormous the problem, when God is with us there’s nothing that we need to fear. With His strength, we’re also mighty. WINN COLLIER

Today's Reading

1 SAMUEL 17:32, 41–47
[Goliath] looked David over and saw that he was little more than a boy. [ 1 SAMUEL 17:42 ]

When do you feel small and insignificant? How can you see God present with you and strengthening you despite insurmountable odds?

God, I feel tiny today. Left to myself, there’s no way forward. But I trust You to be with me and guide me. I’m trusting in Your strength.

오늘의 말씀

01/15/2021     금요일

성경읽기: 창세기 36-38; 마태복음 10:21-42
찬송가: 96(통94)

여러 길?

“아빠, 고속도로를 타지 마세요!” 어느 날 퇴근길에 딸이 메시지를 보내왔습니다. 집으로 가는 고속도로는 거의 주차장처럼 되어 있었습니다. 다른 길을 시도해 보았지만 다른 길들도 완전히 정체되어 있는 것을 보고는 포기해 버렸습니다. 집으로 돌아가기 위해서는 늦게까지 기다려야 할 것 같아 차를 반대 방향으로 돌려 손녀가 참가하는 체육 행사장으로 향했습니다.

그 어떤 길로도 집으로 갈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을 때, 모든 길이 하나님과의 영원한 관계로 이어진다고 말하는 사람들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친절과 선한 행실을 통해 하나님께 갈 수 있다고 믿습니다. 또 어떤 사람들은 종교적인 선행의 길을 선택합니다.

그러나 이런 길에 의존하면 막다른 길로 가고 맙니다. 영원하신 하나님께 나아가는 길은 오직 한 길뿐입니다. 예수님은 분명하게 말씀하셨습니다. “내가 곧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니 나로 말미암지 않고는 아버지께로 올 자가 없느니라”(요한복음 14:6). 예수님은 자신의 죽음을 통해 우리가 아버지 집, 곧 주님이 계시고 그분이 주시는 현재와 영원을 위한 실제적인 삶이 있는 그곳으로 갈 수 있다고 말씀하신 것입니다.

하나님 앞으로 이끌지 못하는 막힌 고속도로를 타지 마십시오. 대신 “아들을 믿는 자에게는 영생이 있다”(요한복음 3:36)고 말씀하신 예수님을 구주로 믿으십시오. 그리고 이미 그분을 믿으신다면 그분이 마련해주신 길에 계속 머무르십시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4:1-7
예수께서 이르시되 내가 곧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니 [요한복음 14:6]

예수님만이 우리를 구원하실 수 있다는 것을 아는 것이 왜 중요할까요? 왜 우리는 그분의 가족이 되기 위해 필요한 것 외에 무언가를 덧붙이려 하는 걸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영원히 하나님을 신뢰하기 원합니다. 구원이 오직 예수님 안에만 있음을 감사드립니다.

Daily Article

01/15/2021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GENESIS 36–38; MAT THEW 10:21–42
Hymn: 96(old 94)

ALL ROADS?

“Don’t get on the expressway!” That text came from my daughter one day as I was leaving work. The highway home had become a virtual parking lot. I began trying alternate routes, but after experiencing gridlock on other roads, I gave up. The trip home would have to wait till later in the day, so I drov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an athletic event my granddaughter was involved in.

Discovering that no roads would lead me home made me think about people who say that all roads lead to an eternal relationship with God. Some believe the road of kindness and good behavior will get you there. Others choose the road of doing religious things.

Relying on those roads, however, leads to a dead end. There’s only one road to take to God’s eternal presence. Jesus clarified this when He said, “I am the way and the truth and the life. No one comes to the Father except through me” (JOHN 14:6). He was revealing that He was going to die to open the way for us to enter His Father’s house—to His presence and the real life He provides for today and eternity.

Skip the blocked highways that don’t lead to God’s presence. Instead, trust Jesus as Savior, for “whoever believes in the Son has eternal life” (3:36). And for those who already believe in Him, rest in the way He’s provided. DAVE BRANON

Today's Reading

JOHN 14:1–7
Jesus answered, “I am the way and the truth and the life.” [ JOHN 14:6 ]

Why is it vital to know that only Jesus can save us? Why are we prone to try to add to what it takes to be welcomed into His family?

Dear God, I want to trust You for eternity. Thank You for the salvation found in Jesus alone.

Read about the difference between relationship with Jesus and religion at DiscoverySeries.org/Q0215.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