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1/14/2021     목요일

성경읽기: 창세기 33-35; 마태복음 10:1-20
찬송가: 299(통418)

자비로운 하나님

어느 추운 겨울밤에 누군가가 유대인 아이의 침실 창문으로 큰 돌을 던졌습니다. 그 창문에는 유대인의 빛 축제인 하누카를 기념하기 위해 큰 촛대 메노라와 함께 다윗의 별이 장식되어 있었습니다. 아이가 사는 몬태나 주 빌링스의 수천 명의 주민들 중 다수가 예수님을 믿는 사람들이었는데, 그 증오에 찬 행위에 연민의 마음으로 반응했습니다. 주민들은 유대인 이웃들의 상처와 두려움을 함께 나누기 위해 자신들의 집 창문에도 메노라 그림을 붙였습니다.

예수님을 믿는 우리 역시 큰 자비를 받고 있습니다. 우리 구주는 우리 가운데 거하시기 위해(요한복음 1:14) 자신을 낮추시고 우리와 같이 되셨습니다. 우리를 대신하여 주님은 “하나님의 본체시나......오히려 자기를 비워 종의 형체를 가지셨습니다”(빌립보서 2:6-7). 우리가 느끼는 것처럼 느끼고, 우리가 우는 것처럼 우신 주님은 우리를 구원하기 위해 십자가에서 죽으심으로 자신의 생명을 내어주셨습니다.

우리가 겪는 어떤 어려움도 우리 구주의 관심 밖에 있지 않습니다. 누군가가 우리의 삶에 “돌을 던지면” 주님이 우리를 위로해 주십니다. 살면서 절망하게 될 때, 주님이 우리와 함께 걸으며 절망을 이겨내게 하십니다. “여호와께서는 높이 계셔도 낮은 자를 굽어살피시며 멀리서도 교만한 자를 아심이니이다” (시편 138:6). 우리의 어려움 속에서 주님은“[우리] 원수들의 분노”(7절)와 우리 자신의 가장 깊은 두려움을 향해 손을 뻗어 우리를 보호해주십니다. 우리의 자비로운 사랑의 하나님, 감사합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38
주의 손을 펴사 내 원수들의 분노를 막으시며 [시편 138:7]

인생의 어떤 부분에서 하나님의 자비가 필요합니까? 다른 사람들에게 그분의 보살핌과 사랑을 어떻게 보여줄 수 있을까요?

하나님, 저의 어려움을 아시고 사랑으로 위로해주시니 감사합니다. 하나님의 자비를 다른 사람들과 나누어야 한다는 것을 항상 기억하게 하소서.

Daily Article

01/14/2021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GENESIS 33–35; MAT THEW 10:1–20
Hymn: 299(old 418)

OUR COMPASSIONATE GOD

The winter night was cold when someone threw a large stone through a Jewish child’s bedroom window. A star of David had been displayed in the window, along with a menorah to celebrate Hanukkah, the Jewish Festival of Lights. In the child’s town of Billings, Montana, thousands of people—many of them believers in Jesus—responded to the hateful act with compassion. Choosing to identify with the hurt and fear of their Jewish neighbors, they pasted pictures of menorahs in their own windows.

As believers in Jesus, we too receive great compassion. Our Savior humbled Himself to live among us (JOHN 1:14), identifying with us. On our behalf, He, “being in very nature God . . . made himself nothing by taking the very nature of a servant” (PHILIPPIANS 2:6–7). Then, feeling as we feel and weeping as we weep, He died on a cross, sacrificing His life to save ours.

Nothing we struggle with is beyond our Savior’s concern. If someone “throws rocks” at our lives, He comforts us. If life brings disappointments, He walks with us through despair. “Though the Lord is exalted, he looks kindly on the lowly; though lofty, he sees them from afar” (PSALM 138:6). In our troubles, He preserves us, stretching out His hand against both “the anger of [our] foes” (V. 7) and our own deepest fears. Thank You, God, for Your compassionate love.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PSALM 138
You stretch out your hand against the anger of my foes. [ PSALM 138:7 ]

In what areas of your life do you need God’s compassion? How can you show His care and love to others?

O God, I thank You for understanding my struggles and comforting me with loving care. Remind me always to share Your compassion with others. Learn to love like Jesus at DiscoverySeries.org/Q0208.

오늘의 말씀

01/13/2021     수요일

성경읽기: 창세기 31-32; 마태복음 9:18-38
찬송가: 482(통49)

당신의 노래는 무엇입니까?

대부분의 미국인들은 린 매뉴엘 미란다가 그의 유명한 뮤지컬 ‘해밀턴’ 을 썼던 2015년까지 알렉산더 해밀턴에 대해 거의 알지 못했습니다. 지금은 학생들도 그에 대한 이야기를 암기할 정도로 잘 알고 있습니다. 그들은 버스 안에서나 쉬는 시간에 그의 노래를 함께 부릅니다. 오늘날 해밀턴은 학생들이 매우 좋아하는 미국 건국의 아버지입니다.

하나님은 음악의 힘을 아시고 모세에게 “이 노래를 써서 이스라엘 자손들에게 가르쳐 그들의 입으로 부르게 하라”(신명기 31:19)고 말씀하셨습니다. 하나님은 모세가 죽고 난 오랜 후 이스라엘 백성들이 약속의 땅으로 들어갔을 때, 그들이 반역하고 다른 신들을 섬길 거라는 것을 아셨습니다. 그래서 하나님은 모세에게 “그들의 자손들이 부르기를 잊지 아니한 이 노래가 그들 앞에 증인처럼 되리라”(21절)고 말씀하셨습니다.

노래는 거의 잊혀지지 않으므로 어떤 노래를 부를 것인지 신중하게 선택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단지 재미를 위한 노래도 괜찮기는 하지만, 예수님을 자랑하며 우리 믿음을 격려하는 노래가 유익합니다. “세월을 아끼는” 한 가지 방법은 “시와 찬송과 신령한 노래들로 서로” 화답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마음으로 주께 노래하며 찬송하십시오”(에베소서 5:15-19 참조).

노래는 우리 마음의 방향을 나타내는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노래의 구절들이 예수님을 높이고 있습니까? 우리는 그 노래들을 진심으로 부르고 있습니까? 우리가 부르는 노래가 우리의 믿음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노래를 현명하게 선택한 후 큰 소리로 부르십시오.

오늘의 성구

신명기 31:15-22
그러므로 모세가 그 날 이 노래를 써서 이스라엘 자손들에게 가르쳤더라 [신명기 31:22]

예배 찬양에서 무엇을 구해야 할까요? 더 자주 부르는 좋아하는 노래가 있습니까? 왜입니까?

하나님 아버지, 이 노래는 아버지께 드리는 저의 기도입니다. (좋아하는 찬송을 부르십시오.)

Daily Article

01/13/2021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GENESIS 31–32; MAT THEW 9:18–38
Hymn: 482(old 49)

WHAT’S YOUR SONG?

Most Americans knew little about Alexander Hamilton—until 2015, when Lin-Manuel Miranda wrote his hit musical Hamilton. Now schoolchildren know Hamilton’s story by heart. They sing it to each other on the bus and at recess. He’s their favorite founding father.

God knows the power of music, and He told Moses to “write down this song and teach it to the Israelites and have them sing it” (DEUTERONOMY 31:19). God knew that long after Moses was gone, when He had brought Israel into the Promised Land, they would rebel and worship other gods. So He told Moses, “This song will testify against them, because it will not be forgotten by their descendants” (V. 21).

Songs are nearly impossible to forget, so it’s wise to be selective about what we sing. Some songs are just for fun, and that’s fine, but we benefit from songs that boast in Jesus and encourage our faith. One of the ways we “[make] the most of every opportunity” is when we speak “to one another with psalms, hymns, and songs from the Spirit.” So “sing and make music from your heart to the Lord” (SEE EPHESIANS 5:15–19).

Songs can be an indicator of the direction of our heart. Do the words make much of Jesus? Do we sing them wholeheartedly? What we sing will influence what we believe, so choose wisely and sing loudly. MIKE WITTMER

Today's Reading

DEUTERONOMY 31:15–22
So Moses wrote down this song that day and taught it to the Israelites. [ DEUTERONOMY 31:22 ]

What should you look for in a worship song? Is there a favorite song you can sing more often? Why?

Father, this song is my prayer to You. (Sing your favorite.)

오늘의 말씀

01/12/2021     화요일

성경읽기: 창세기 29-30; 마태복음 9:1-17
찬송가: 285(통209)

굴레에서 벗어나기

데이빗은 일곱 번째 생일에 실수로 창문을 깬 후, 아버지에게 처음으로 매를 맞았습니다. “아버지는 나를 발로 차고 주먹으로 때리고, 그러고 나서 용서를 빌었습니다. 아버지는 폭력적인 알코올 중독자였는데, 그것이 나에게 이어졌지만 그것을 끊어내기 위해 지금 나는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데이빗이 이렇게 결심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렸습니다. 그는 십대와 이십대 대부분을 감옥이나 보호관찰, 그리고 중독치료 센터에 드나들며 보냈습니다. 자신의 꿈이 완전히 물거품이 된 것 같이 느껴졌을 때, 그는 기독교 치료센터에서 예수님을 만나면서 희망을 찾게 되었습니다.

데이빗은 말합니다. “나에게는 절망밖에 없었습니다. 이제 나는 새로운 방향으로 나아가려고 애쓰고 있습니다. 아침에 일어나면 제일 먼저 하나님께 나의 의지를 내려놓는다고 말씀드립니다.”

우리가 다른 사람들의 잘못 때문이든 우리 자신의 잘못 때문이든 삶이 산산조각 난 채로 하나님께 나아올 때, 그분은 우리의 상한 마음을 받으시고 우리를 새롭게 해주십니다. “누구든지 그리스도 안에 있으면 새로운 피조물이라 이전 것은 지나갔으니 보라 새 것이 되었도다”(고린도후서 5:17). 그리스도의 사랑과 생명이 우리의 과거의 악습을 깨뜨리고 우리에게 새로운 미래를 주십니다(14-15절). 그것이 전부가 아닙니다! 우리는 매 순간 하나님이 우리를 위해 하신 일과 지금도 우리 안에서 하고 계시는 일을 통해 소망과 힘을 얻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후서 5:14-21
그런즉 누구든지 그리스도 안에 있으면 새로운 피조물이라 이전 것은 지나갔으니 보라 새 것이 되었도다 [고린도후서 5:17]

예수님을 구주로 받아들일 때 당신은 어디로 향하고 있었습니까? 하나님이 그분을 점점 더 닮아가도록 당신의 삶을 빚고 계시다는 것을 아는 것이 어떻게 도움이 될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추락하고 있던 저의 삶에 개입하시고 저를 새롭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하나님을 더욱 더 닮아가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1/12/2021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GENESIS 29–30; MAT THEW 9:1–17
Hymn: 285(old 209)

BREAKING THE CYCLE

David’s first beating came at the hands of his father on his seventh birthday, after he accidentally broke a window. “He kicked me and punched me,” David said. “Afterward, he apologized. He was an abusive alcoholic, and it’s a cycle I’m doing my best to end now.”

But it took a long time for David to get to this point. Most of his teen years and twenties were spent in jail or on probation, and in and out of addiction treatment centers. When it felt like his dreams were entirely dashed, he found hope in a Christcentered treatment center through a relationship with Jesus.

“I used to be filled with nothing but despair,” David says. “Now I’m pushing myself in the other direction. When I get up in the morning, the first thing I tell God is that I’m surrendering my will over to Him.”

When we come to God with lives shattered, whether by others’ wrongdoing or by our own, God takes our broken hearts and makes us new: “If anyone is in Christ, . . . the old has gone, the new is here!” (2 CORINTHIANS 5:17). Christ’s love and life breaks into the cycles of our past, giving us a new future (VV. 14–15). And it doesn’t end there! Throughout our lives, we can find hope and strength in what God has done and continues to do in us—each and every moment. ALYSON KIEDA

Today's Reading

2 CORINTHIANS 5:14–21
If anyone is in Christ, the new creation has come: The old has gone, the new is here! [ 2 CORINTHIANS 5:17 ]

Where were you headed when you received Jesus as your Savior? How does it help to know that God continues to shape your life to increasingly resemble His?

Dear God, thank You for interrupting the downward trajectory of my life and making me a new creation! Make me ever more like You.

오늘의 말씀

01/11/2021     월요일

성경읽기: 창세기 27-28; 마태복음 8:18-34
찬송가: 383(통433)

눈을 들라

낮게 드리운 구름이 시야를 가려서 몇 백 야드 밖에는 앞이 보이질 않았습니다. 그렇게 시간이 흐르는 동안 내 기분도 영향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오후가 되자, 구름이 흩어지고 내가 사는 도시의 최고 명물인 아름다운 파이크스 피크 봉우리와 함께 그 양옆으로 산맥이 펼쳐져 있는 것이 보였습니다. 내 얼굴에도 어느덧 웃음이 피어올랐습니다. 나는 우리 육신의 시야도 영적인 시각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시편 기자가 “내가 산을 향하여 눈을 들리라”(시편 121:1) 라고 노래한 것이 떠올랐습니다. 때때로 우리는 단순히 눈을 조금 더 높이 들 필요가 있습니다!

시편 기자는 그의 도움이 어디서 올지 묵상했습니다. 아마도 이스라엘을 둘러싼 언덕 꼭대기들에는 이교도 신들의 제단이 여기 저기 있었고, 종종 강도들이 출몰하였기 때문에 그랬을지도 모릅니다. 아니면, 그 언덕들 너머에 주님의 성전이 있는 시온산을 바라보며, 천지를 지으신 언약의 하나님을 기억했기 때문일지도 모릅니다(2절). 그 어느 경우이든 예배를 드리기 위해서 우리는 ‘위를 바라보아야’ 합니다. 우리는 우리의 상황이나 우리의 고난과 시련들보다, 그리고 현 시대의 거짓 신들의 허황된 약속들보다 더 높은 곳을 바라보아야 합니다. 그러면 우리의 창조주요 구원자시며, 우리의 이름을 부르시는 그분을 볼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출입을 지금부터 영원까지 지키시는 분이십니다(8절).

오늘의 성구

시편 121
나의 도움은 천지를 지으신 여호와에게서로다 [시편 121:2]

현재의 상황을 넘어 하나님을 보기 위해 어떻게 “위를 바라볼” 수 있을까요? 정말로 필요한 도움을 얻기 위해 그분을 부르는 것은 어떤 모습일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천지를 만드시고 저를 지키시는 창조주요 보호자이신 하나님, 감사합니다. 제 눈을 더 높이 들어 아버지를 바라보고 신뢰하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1/11/2021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GENESIS 27–28; MAT THEW 8:18–34
Hymn: 383(old 433)

LIFT UP YOUR EYES

The clouds hung low, blocking the horizon and limiting visibility to only a few hundred yards. The minutes dragged on. The effect on my mood was noticeable. But then, as afternoon approached, the clouds began to break, and I saw it: beautiful Pikes Peak, the most recognizable landmark of my city, flanked on each side by the mountain range. A smile broke over my face. I considered that even our physical perspective—our literal line of sight—can affect our spiritual vision. And I was reminded of the psalmist singing, “I lift up my eyes to the mountains” (PSALM 121:1). Sometimes we simply need to lift our eyes a bit higher!

The psalmist pondered where his help came from, maybe because the hilltops around Israel were dotted with altars to pagan gods and often contained robbers. Or it could have been because the psalmist looked up beyond the hills to Mount Zion where the temple stood and remembered that the Maker of heaven and earth was his covenant God (V. 2). Either way, to worship we must look up. We have to lift our eyes higher than our circumstances, higher than our troubles and trials, higher than the empty promises of the false gods of our day. Then we can see the Creator and Redeemer, the One who calls us by name. He’s the one who will “watch over your coming and going” today and forevermore (V. 8). GLENN PACKIAM

Today's Reading

PSALM 121
My help comes from the Lord, the Maker of heaven and earth. [ PSALM 121:2 ]

How can you “look up” today—beyond your circumstances—to see God? What would it look like to call upon Him for the help you really need?

Dear Father, thank You that You’re the Creator and Keeper—the One who made the heavens and the earth and watches over me. Help me to lift my eyes higher to see You and to put my trust in You.

오늘의 말씀

01/10/2021     주일

성경읽기: 창세기 25-26; 마태복음 8:1-17
찬송가: 207(통243)

종이 왕관

어느 명절날 집에서 식사를 마친 후, 모두 사탕과 조그만 장난감과 반짝이 종이로 가득 찬 파티 기념품들을 풀어보았습니다. 그 기념품들 안에는 각 사람을 위한 종이 왕관이 하나씩 추가로 더 들어 있었습니다. 우리는 안 써 볼 수가 없어서 식탁에 둘러앉아 왕관을 쓰고 서로를 쳐다보며 웃었습니다. 비록 우리의 왕국은 먹다 남은 저녁식사로 어질러진 식당이었지만, 그래도 잠시나마 우리는 왕과 왕비가 되었습니다.

이 일은 내가 별로 생각해 보지 않았던 성경의 약속을 갑자기 기억나게 해주었습니다. 천국에서 모든 성도들은 예수님과 함께 다스리는 권세를 가지게 될 것입니다. 바울은 고린도전서 6장에서 이것을 언급하며 “성도가 세상을 판단할 것을 너희가 알지 못하느냐”(2절) 라고 질문합니다. 바울은 믿는 자들이 이 땅에서 분쟁을 평화롭게 해결하도록 격려하기 위해 이 미래의 특권을 언급한 것입니다. 그들은 서로를 고소하고 있었고, 그 결과로 그들이 속한 공동체 안에 있는 다른 신자들의 명예를 훼손하고 있었습니다.

성령님이 우리 안에 절제와 온유와 인내의 열매를 맺으실 때 우리는 분쟁을 더 잘 해결할 수 있습니다. 예수님이 이 땅에 다시 오셔서 우리 삶 속의 성령님의 사역을 완성하실 때까지(요한1서 3:2-3) 우리는 “우리 하나님 앞에서 나라와 제사장으로......땅에서 왕 노릇 할”(요한계시록 5:10) 우리의 궁극적인 역할을 준비하게 될 것입니다. 금관에 박힌 다이아몬드처럼 성경말씀 안에 반짝이는 이 약속을 꼭 붙잡으시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전서 6:1-6
성도가 세상을 판단할 것을 너희가 알지 못하느냐 [고린도전서 6:2]

갈등 상황에서 성령님이 어떻게 언행에 영향을 주십니까? 이것이 주위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줍니까?

전능하신 하나님, 하나님과 함께할 멋진 미래로 인해 감사드립니다. 다른 사람들과 협력하기 힘들 때 하나님을 바라보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1/10/2021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GENESIS 25–26; MAT THEW 8:1–17
Hymn: 207(old 243)

PAPER CROWNS

After a holiday meal at my house, everyone opened party favors filled with candy, small toys, and confetti. But there was something else in the favors—a paper crown for each of us. We couldn’t resist trying them on, and we smiled at each other as we sat around the table. For just a moment, we were kings and queens, even if our kingdom was a dining room littered with the remnants of our dinner.

This sparked a memory of a Bible promise I don’t often think about. In the next life, all believers will share ruling authority with Jesus. Paul mentions this in 1 Corinthians 6 where he asks, “Do you not know that the Lord’s people will judge the world?” (V. 2). Paul referenced this future privilege because he wanted to inspire believers to settle disputes peacefully on earth. They had been suing each other and consequently harming the reputation of other believers in their community.

We become better at resolving conflict as the Holy Spirit produces self-control, gentleness, and patience within us. By the time Jesus returns and completes the Spirit’s work in our lives (1 JOHN 3:2–3), we’ll be ready for our eventual role as “a kingdom and priests to serve our God, and . . . reign on the earth” (REVELATION 5:10). Let’s hold on to this promise that glitters in Scripture like a diamond set in a crown of gold. JENNIFER BENSON SCHULDT

Today's Reading

1 CORINTHIANS 6:1–6
The Lord’s people will judge the world. [ 1 CORINTHIANS 6:2 ]

How does the Holy Spirit influence your words and actions when you experience conflict? How does this affect those around you?

Almighty God, thank You for the wonderful future I have with You. Help me to look to You when it’s hard to cooperate with others.

To learn more about the Spirit’s work in our lives, visit ChristianUniversity.org/ST410-12.

오늘의 말씀

01/09/2021     토요일

성경읽기: 창세기 23-24; 마태복음 7
찬송가: 300(통406)

쓴 뿌리를 파내라

레베카는 오빠와 올케의 결혼 생활에 문제가 생기기 시작했을 때 진심으로 그들의 화해를 위해 기도했습니다. 하지만 그들은 결국 헤어졌습니다. 그 후 올케는 아이들을 데리고 타주로 이사를 갔고, 아이들의 아버지도 그것에 반대하지 않았습니다. 레베카는 몹시 사랑하는 조카들을 다시 보지 못했습니다. 몇 년 후 그녀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슬픔을 혼자서 이기려고 애쓰니까 마음속에 쓴 뿌리가 자라기 시작했고, 그것이 가족과 친구들에게까지 퍼지기 시작했어요.”

룻기에는 마음이 슬퍼 힘들어 하다가 쓴 뿌리가 자라게 된 나오미라는 여인의 이야기가 나옵니다. 남편이 외국 땅에서 죽고, 십 년 후에는 두 아들도 모두 죽었습니다. 그녀는 며느리 룻과 오르바와 함께 빈곤에 처하게 되었습니다 (1:3-5). 나오미와 룻이 나오미의 고향으로 돌아오자 온 성읍이 떠들썩하게 맞이했습니다. 하지만 나오미는 친구들에게 “전능자가 나를 심히 괴롭게 하셨고...... 여호와께서 나를 징벌하셨다”(20-21절)고 말했습니다. 그리고 심지어 자신을 ‘쓰다’는 뜻의 “마라”라고 부르라고 했습니다.

실망스러워서 씁쓸한 마음을 느껴보지 않은 사람이 누가 있을까요? 누군가가 우리의 마음을 상하게 하는 말을 하고, 기대한 것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다른 사람이 까다롭게 굴어 몹시 화가 납니다. 우리의 마음 깊은 곳에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우리 자신과 하나님 앞에서 시인할 때, 우리의 다정한 정원사이신 하나님은 아직 작은 것이든 몇 년 자란 것이든 우리의 쓴 뿌리를 파낼 수 있도록 도와주십니다. 그리고 그것을 사랑스럽고 즐거운 마음으로 교체해 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룻기 1:3-5, 20-21
모든 악독을 버리라 [에베소서 4:31]

당신의 삶의 어느 부분에서 씁쓸함을 느끼곤 합니까? 당신의 마음속에 자라고 있는 것 중에 하나님의 사랑의 손길이 필요한 것이 있습니까?

God, help me to see the goodness in life You’re always displaying. And dig up any root of bitterness in my heart that dishonors You.

Daily Article

01/09/2021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GENESIS 23–24; MAT THEW 7
Hymn: 300(old 406)

DIG IT UP

When Rebecca’s brother and sister-in-law started having marriage problems, Rebecca prayed earnestly for their reconciliation. But they divorced. Then her sister-in-law took the children out of state and their dad didn’t protest. Rebecca never again saw the nieces she dearly loved. Years later she said, “Because of trying to handle this sadness on my own, I let a root of bitterness start in my heart, and it began to spread to my family and friends.”

The book of Ruth tells about a woman named Naomi who struggled with a heart of grief that grew into bitterness. Her husband died in a foreign land, and ten years later both her sons died. She was left destitute with her daughters-in-law, Ruth and Orpah (1:3–5). When Naomi and Ruth returned to Naomi’s home country, the whole town was excited to see them. But Naomi told her friends: “The Almighty has made my life very bitter. . . . The Lord has afflicted me” (VV. 20–21). She even asked them to call her “Mara,” meaning bitter.

Who hasn’t faced disappointment and been tempted toward bitterness? Someone says something hurtful, an expectation isn’t met, or demands from others make us resentful. When we acknowledge to ourselves and God what’s happening deep in our hearts, our tender Gardener can help us dig up any roots of bitterness—whether they’re still small or have been growing for years—and can replace them with a sweet, joyful spirit. ANNE CETAS

Today's Reading

RUTH 1:3–5, 20–21
Get rid of all bitterness. [ EPHESIANS 4:31 ]

What areas of life do you tend to become bitter about? What’s growing inside your heart that needs God’s loving care?

하나님, 살면서 하나님이 늘 보여주시는 선을 볼 수 있게 도와주소서. 그리고 제 마음에서 주님의 이름을 더럽히는 쓴 뿌리를 파내어 주소서.

오늘의 말씀

01/08/2021     금요일

성경읽기: 창세기 20-22; 마태복음 6:19-34
찬송가: 295(통417)

별볼일 없는 자들의 하나님

“때로는 저 자신이 별볼일 없는 것처럼 느껴집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그런 저도 사용하시기를 원합니다.”

우리가 대화를 시작했을 때 앤은 내가 방문했던 호텔의 운동실을 정리하고 있었습니다. 대화를 하면서 나는 그녀에게 놀라운 간증이 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녀는 고백했습니다. “예전에 저는 마약중독자였으며 길거리에서 생활하던 매춘부였습니다. 그러나 저는 하나님께서 마약을 내려놓고 주님과 동행하기를 원하신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몇 년 전 어느 날 저는 예수님의 발 앞에 무릎을 꿇었고, 주님은 저를 자유롭게 해주셨습니다.”

나는 하나님께서 그녀에게 행하신 일과, 그녀가 미미한 존재가 아니라는 확신을 주신 일을 함께 나누어주어서 앤에게 감사했습니다. 주님은 우리 대화에 그녀를 사용하셔서 삶을 변화시키는 주님의 능력을 아름답게 상기시켜 주셨습니다.

하나님은 사람들이 미처 보지 않고 지나칠 수 있는 이들을 곧잘 사용하십니다. 안드레 사도는 그의 형제 베드로만큼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성경은 “그가 먼저 자기의 형제 시몬[베드로]을 찾아 말하되 우리가 메시아를 만났다 하고......데리고 예수께로 오니”(요한복음 1:41-42)라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베드로는 안드레를 통해 예수님을 만났습니다. 세례 요한의 제자 중 한 사람이었던 안드레는 세례 요한으로부터 예수님에 관해 알게 되자 예수님을 따르고 믿었으며, 즉시 그의 형제에게 말했습니다. 안드레의 드러나지 않은 신실함은 세상을 뒤흔드는 영향을 미쳤습니다.

하나님은 명성보다 충실한 봉사를 소중히 여기십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어디에 있든지, 아무도 보지 않을 때라도, 우리를 강력하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35-42
하나님은 불의하지 아니하사 너희 행위와 그의 이름을 위하여 나타낸 사랑으로 이미 성도를 섬긴 것과 이제도 섬기고 있는 것을 잊어버리지 아니하시느니라 [히브리서 6:10]

누구의 숨은 신실함이 당신의 삶을 변화시켰습니까? 오늘 다른 사람을 섬김으로 어떻게 하나님을 섬길 수 있을까요?

Thank You for never overlooking me, Father! I’m thankful You can use me to make a difference wherever I am.

Daily Article

01/08/2021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GENESIS 20–22; MAT THEW 6:19–34
Hymn: 295(old 417)

GOD OF THE INVISIBLE

“Sometimes I feel as if I’m invisible. But I so want God to use me.”

Ann was tidying up the exercise room at the hotel I was visiting when we struck up a conversation. As we talked, I discovered she had an amazing story.

“I used to be a crack addict and prostitute living on the streets,” she said. “But I knew God wanted me to put down my pipe and walk with Him. One day years ago I knelt at Jesus’ feet, and He set me free.”

I thanked Ann for sharing what God had done for her and assured her she wasn’t invisible—He had used her in our conversation in a beautiful way to remind me of His power to transform lives.

God loves to use people others might overlook. The apostle Andrew isn’t as well known as his brother Peter, but the Bible recounts that “the first thing Andrew did was to find his brother Simon [Peter] and tell him, ‘We have found the Messiah’. . . . And he brought him to Jesus” (JOHN 1:41–42).

Peter met Jesus through Andrew. When Andrew, one of John the Baptist’s disciples, learned about Jesus from John, he followed Jesus and believed—and immediately told his brother. Andrew’s quiet faithfulness had an impact that would shake the world.

God values faithful service over fame. He can use us powerfully wherever we are—even when no one is looking. JAMES BANKS

Today's Reading

JOHN 1:35–42
God is not unjust; he will not forget your work and the love you have shown him as you have helped his people. [ HEBREWS 6:10 ]

Whose quiet faithfulness made a difference in your life? How can you serve God by serving someone else today?

하나님 아버지, 저를 그냥 지나치지 않으시니 감사합니다! 제가 어디에 있든지 저를 변화의 도구로 사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의 말씀

01/07/2021     목요일

성경읽기: 창세기 18-19; 마태복음 6:1-18
찬송가: 363(통479)

나팔을 불라

“탭스”라는 트럼펫 곡은 미군에서 하루가 끝날 무렵이나 장례식에서 연주되는 곡입니다. 나는 그 곡의 비공식적인 가사를 읽고, 많은 절이 “하나님이 가까이 계신다”는 구절로 끝나는 것을 발견하고 놀랐습니다. 매일 밤 어두워지기 전이나,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을 애도하는 동안에 그 가사는 군인들에게 하나님이 가까이 계신다는 아름다운 확신을 줍니다.

구약에서도 나팔소리는 이스라엘 사람들에게 하나님이 가까이 계시다는 것을 상기시켜 주었습니다. 하나님과 이스라엘 민족이 맺은 언약의 일부인 향연과 축제를 기념하는 가운데 유대인들은 “나팔을 불어야”(민수기 10:10) 했습니다. 나팔을 부는 것은 하나님이 함께하신다는 것뿐 아니라, 그들에게 하나님이 가장 필요할 때 나타나시고 그들을 돕기를 간절히 원하신다는 사실을 상기시켜 주었습니다.

오늘날 우리에게도 하나님이 가까이 계시다는 사실을 상기시켜주는 것들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우리도 각자 자신의 예배 방식으로 기도하고 찬양하면서 하나님께 부르짖을 수 있습니다. 어쩌면 우리의 기도가 하나님께 도움을 청하는 나팔 소리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하나님이 언제나 그 소리를 들으신다는 것이 아름다운 위로가 됩니다(베드로전서 3:12). 우리 각자의 간구에 하나님은 우리와 함께 하심으로써 삶의 어려움과 슬픔 속에 빠진 우리를 강하게 하시고 위로해 주신다는 확신으로 응답해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민수기 10:8-10
또 너희의 희락의 날과 너희가 정한 절기와 초하루에는 번제물을 드리고 화목제물을 드리며 나팔을 불라 [민수기 10:10]

당신의 기도가 도움을 요청하는 것처럼 느낀 때는 언제입니까? 하나님께서 우리의 기도를 들으신다는 깨달음이 어떻게 격려가 됩니까?

하나님 아버지, 도움을 구하는 기도에 응답해 주시고 아버지의 강력한 임재와 사랑을 확신시켜 주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1/07/2021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GENESIS 18–19; MAT THEW 6:1–18
Hymn: 363(old 479)

SOUND THE TRUMPETS

“Taps” is a trumpet call played by the US military at the end of the day as well as at funerals. I was amazed when I read the unofficial lyrics and discovered that many of the verses end with the phrase “God is nigh” (God is near). Whether before the dark of each night settles in or while mourning the loss of a loved one, the lyrics offer soldiers the beautiful assurance that God is near.

In the Old Testament, trumpets were also a reminder to the Israelites that God was near. In the middle of celebrating the feasts and festivals that were part of the covenant agreement between God and the nation of Israel, the Jews were to “sound the trumpets” (NUMBERS 10:10). Blowing a trumpet was a reminder not only of God’s presence but also that He was available when they needed Him most—and He longed to help them.

Today, we still need reminders that God is near. And in our own style of worship, we too can call out to God in prayer and song. Perhaps our prayers can be thought of as trumpets asking God to help us. And the beautiful encouragement is that God always hears those calls (1 PETER 3:12). To each of our pleas, He responds with the assurance of His presence that strengthens and comforts us in the difficulties and sorrows of life. LISA M. SAMRA

Today's Reading

NUMBERS 10:8–10
At your times of rejoicing—your appointed festivals and New Moon feasts—you are to sound the trumpets. [ NUMBERS 10:10 ]

When have your prayers felt like calls for help? How does the reminder that God listens to our prayers encourage you?

Heavenly Father, thank You that You respond to my call for help and assure me of Your powerful presence and love.

오늘의 말씀

01/06/2021     수요일

성경읽기: 창세기 16-17; 마태복음 5:27-48
찬송가: 294(통416)

사랑의 깊이

이제 갓 수영을 배운 세 살 난 딜런 맥코이가 할아버지 집 뒷마당에서 벽이 돌로 된 40피트(약 12미터) 깊이의 우물을 덮고 있던 썩은 나무판자 위에 올라갔다가 우물 속으로 떨어졌습니다. 딜런은 그의 아버지가 내려가 꺼내줄 때까지 10피트(약 3미터) 깊이의 우물물에 간신히 떠있었습니다. 구조대원들이 아이를 꺼내려고 밧줄을 가져와 보니, 아버지는 아들이 너무 걱정이 되어 미끄러운 돌을 타고 우물 아래로 벌써 내려가 있었습니다.

오, 부모의 사랑! 자녀들을 위한 사랑이 얼마나 넓고 깊은지!

성도들에게 그릇된 가르침이 범람할 때, 요한 사도는 믿음의 뿌리를 내리려고 애쓰고 있는 초대교회 신자들에게 구명조끼와 같은 말씀을 이렇게 전해주고 있습니다. “보라 아버지께서 어떠한 사랑을 우리에게 베푸사 하나님의 자녀라 일컬음을 받게 하셨는가, 우리가 그러하도다”(요한1서 3:1). 예수님을 믿는 자들을 하나님의 “자녀”라고 부르는 것은 주님을 신뢰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친밀하고 합법적인 정당성을 부여해주는 것이었습니다.

오, 그분의 자녀를 사랑하시는 하나님의 사랑이 얼마나 넓고 깊은지!

자녀를 위해 오직 부모만이 할 수 있는 일들이 있습니다. 바로 아들을 구하러 우물 밑으로 내려간 딜런의 아버지처럼 말입니다. 그리고 우리를 주님의 마음 가까이로 모으시고 주님과 함께하는 삶으로 회복시키려고 그분의 독생자를 보내주신 우리 하나님 아버지의 행동처럼 말입니다(5-6절).

오늘의 성구

요한1서 3:1-6
보라 아버지께서 어떠한 사랑을 우리에게 베푸사 하나님의 자녀라 일컬음을 받게 하셨는가, 우리가 그러하도다 [요한1서 3:1]

하나님께서 언제 절박한 어둠의 우물에서 당신을 구해주셨습니까? 하나님께서 어떻게 당신을 소망의 자리로 옮기시는 것을 보셨습니까?

오, 하나님 아버지, 저를 구하시고 아버지께로 돌아올 수 있도록 저의 절박한 우물로 찾아오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1/06/2021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GENESIS 16–17; MAT THEW 5:27–48
Hymn: 294(old 416)

DEPTHS OF LOVE

Three-year-old Dylan McCoy had just learned to swim when he fell through a rotted plywood covering into a forty-foot deep, stone-walled well in his grandfather’s backyard. Dylan managed to stay afloat in ten feet of water until his father went down to rescue him. Firefighters brought ropes to raise the boy, but the father was so worried about his son that he’d already climbed down the slippery rocks to make sure he was safe.

Oh, the love of a parent! Oh, the lengths (and depths) we will go for our children!

When the apostle John writes to believers in the early church who were struggling to find footing for their faith as false teaching swirled about them, he extends these words like a life-preserver: “See what great love the Father has lavished on us, that we should be called children of God! And that is what we are!” (1 JOHN 3:1). Naming believers in Jesus as “children” of God was an intimate and legal labeling that brought validity to all who trust in Him.

Oh, the lengths and depths God will go for His children!

There are actions a parent will take only for their child—like Dylan’s dad descending into a well to save his son. And like the ultimate act of our heavenly Father, who sent His only Son to gather us close to His heart and restore us to life with Him (VV. 5–6). ELISA MORGAN

Today's Reading

1 JOHN 3:1–6
See what great love the Father has lavished on us, that we should be called children of God! And that is what we are! [ 1 JOHN 3:1 ]

When has God rescued you from a dark well of need? How have you seen Him bring you to a place of hope?

Oh, heavenly Father, thank You for reaching into the well of my need to rescue me and bring me back to You!

Read more about the love of God at DiscoverySeries.org/Q0612.

오늘의 말씀

01/05/2021     화요일

성경읽기: 창세기 13-15; 마태복음 5:1-26
찬송가: 200(통235)

익어가는 과정

영국 캐임브리지에서 50년간 목회한 찰스 시므온 목사(1759-1836)는 목회 초기에 이웃 교회 목사인 헨리 벤과 그의 딸들을 만났습니다. 벤 목사의 딸들은 그를 만나고 나서 그 젊은 목사가 아주 냉엄하고 자기 주장이 강해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그러자 벤 목사는 딸들에게 나무에서 복숭아를 따오라고 하였습니다. 아버지가 왜 익지 않은 과일을 따오라고 하는지 궁금해하자 그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얘들아, 과일이 아직 녹색이니 익으려면 좀더 기다려야 겠지. 하지만 조금 더 햇볕을 쬐고 비를 조금 더 맞으면 복숭아는 익어서 달콤해질 거야. 시므온 목사도 마찬가지란다.”

해가 가면서 시므온 목사는 하나님의 은혜로 부드러운 성품으로 변화 되었습니다. 그렇게 변화하게 된 이유 중의 하나는 매일 성경읽기와 기도에 전념한 때문이었습니다. 몇 달을 그와 함께 지낸 한 친구는 그가 이것을 실천 하는 것을 보고 이렇게 말했습니다. “바로 이것이 그의 큰 은혜와 영적 능력의 비결이었습니다.”

매일 하나님과 동행한 시므온 목사는 하나님의 말씀을 신실하게 들었던 예레미야 선지자의 실천을 그대로 따라 한 것입니다. 말씀에 전심으로 의존했던 예레미야는 “내가 주의 말씀을 얻어 먹었사오니”라고까지 고백했습니다. 그가 말씀을 숙고하고 되새기자 그 말씀들이 그의 “기쁨”이자 “마음의 즐거움”이 되었습니다(예레미야 15:16).

우리 역시 시고 덜 익은 과일과 닮아 있다면, 우리가 성경읽기와 순종을 통해 주님을 알아갈 때 하나님이 성령을 통해 우리를 부드럽게 바꾸어 주신다는 것을 믿어도 됩니다.

오늘의 성구

예레미야 15:15-18
내가 주의 말씀을 얻어 먹었사오니 주의 말씀은 내게 기쁨과 내 마음의 즐거움이오나 [예레미야 15:16]

성경을 읽는 것이 어떻게 당신을 변화시켰습니까? 때때로 성경을 읽지 않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하나님, 말씀이 나를 먹이고 죄로부터 보호해 줍니다. 매일 말씀을 읽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1/05/2021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GENESIS 13–15; MAT THEW 5:1–26
Hymn: 200(old 235)

A RIPENING PROCESS

Early in his fifty-year ministry in Cambridge, England, Charles Simeon (1759–1836) met a neighboring pastor, Henry Venn, and his daughters. After the visit, the daughters remarked how harsh and self-assertive the young man seemed. In response, Venn asked his daughters to pick a peach from the trees. When they wondered why their father would want the unripe fruit, he responded, “Well, my dears, it is green now, and we must wait; but a little more sun, and a few more showers, and the peach will be ripe and sweet. So it is with Mr. Simeon.”

Over the years Simeon did soften through God’s transforming grace. One reason was his commitment to read the Bible and pray every day. A friend who stayed with him for a few months witnessed this practice and remarked, “Here was the secret of his great grace and spiritual strength.”

Simeon in his daily time with God followed the practice of the prophet Jeremiah, who faithfully listened for God’s words. Jeremiah depended on them so much that he said, “When your words came, I ate them.” He mulled and chewed over God’s words, which were his “joy” and “heart’s delight” (JEREMIAH 15:16).

If we too resemble a sour green fruit, we can trust that God will help to soften us through His Spirit as we get to know Him through reading and obeying the Scriptures.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JEREMIAH 15:15–18
When your words came, I ate them; they were my joy and my heart’s delight. [ JEREMIAH 15:16 ]

How has reading the Bible changed you? Why might you sometimes not read it?

God, the Scriptures feed me and protect me from sin.
Help me to read them every day.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