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1/04/2021     월요일

성경읽기: 창세기 10-12; 마태복음 4
찬송가: 37(통37)

예배하는 삶

어느 크리스천 컨퍼런스 센터의 조식 뷔페 줄에 서 있을 때 한 무리의 여성들이 식당으로 들어왔습니다. 나는 내 뒤로 와서 줄을 선 여성에게 웃으면서 인사를 했습니다. 그런데 그녀가 내 인사에 답하며 “내가 당신을 알아요.”라고 말했습니다. 우리는 스크램블드에그를 접시에 담으며 어디서 만났는지 기억하려고 애썼습니다. 하지만 나는 그녀가 나를 다른 사람으로 착각하고 있다는 확신이 들었습니다.

점심을 먹으러 왔을 때 그녀가 내게 다가왔습니다. “흰색 차를 운전하지 않나요?”

“그랬지요. 몇 년 전에.” 나는 어깨를 으쓱하며 대답했습니다. 그녀는 웃으며 말했습니다. “우리는 거의 매일 아침 초등학교 근처의 같은 신호등에서 멈추어 기다리고 있었어요. 그런데 당신은 언제나 손을 들고 즐겁게 노래하고 있었어요. 나는 당신이 하나님을 예배하고 있다고 생각했어요. 그 모습을 보며 나도 같이 예배하고 싶어졌어요. 힘든 날조차도요.”

우리는 하나님을 찬양하며 함께 기도하고 포옹하며 점심을 맛있게 먹었습니다.

내 새 친구는 우리가 아무도 보는 사람이 없다고 여길 때에도 사람들은 예수님을 따르는 자들이 어떻게 행동하는지를 눈여겨보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시켜주었습니다. 우리가 즐거이 예배하는 삶을 받아들일 때 언제 어디서나 우리의 창조주 앞에 나아갈 수 있습니다. 주님의 영원한 사랑과 신실하심을 알고 나면 우리는 주님과 깊은 교감을 나누고 주님의 지속되는 보살핌에 감사하게 됩니다(시편 100). 우리가 차 안에서 찬양하든 공공장소에서 기도하든, 혹은 선한 행실로 하나님의 사랑을 전하든, 우리는 다른 사람들이 “그의 이름을 송축하도록”(4절) 감화시킬 수 있습니다. 하나님을 예배하는 것은 주일 아침 행사 그 이상의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00
기쁨으로 여호와를 섬기며 노래하면서 그의 앞에 나아갈지어다 [시편 100:2]

하루 동안 어떤 방법으로 하나님을 즐거이 예배할 수 있을까요? 다른 사람의 예배를 보고 당신이 예배하게 된 적이 있습니까?

전능하신 하나님, 전염성 있는 기쁨과 감사의 모습으로 주님을 예배하며 살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1/04/2021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GENESIS 10–12; MAT THEW 4
Hymn: 37(old 37)

A LIFESTYLE OF WORSHIP

As I waited in the breakfast buffet line at a Christian conference center, a group of women entered the dining hall. I smiled, saying hello to a woman who stepped into the line behind me. Returning my greeting, she said, “I know you.” We scooped scrambled eggs onto our plates and tried to figure out where we’d met. But I was pretty sure she’d mistaken me for someone else.

When we returned for lunch, the woman approached me. “Do you drive a white car?”

I shrugged. “I used to. A few years ago.”

She laughed. “We stopped at the same traffic light by the elementary school almost every morning,” she said. “You’d always be lifting your hands, singing joyfully. I thought you were worshiping God. That made me want to join in, even on tough days.”

Praising God, we prayed together, hugged, and enjoyed lunch.

My new friend affirmed that people notice how Jesus’ followers behave, even when we think no one is watching. As we embrace a lifestyle of joyful worship, we can come before our Creator anytime and anywhere. Acknowledging His enduring love and faithfulness, we can enjoy intimate communion with Him and thank Him for His ongoing care (PSALM 100). Whether we’re singing praises in our cars, praying in public, or spreading God’s love through kind acts, we can inspire others to “praise his name” (V. 4). Worshiping God is more than a Sunday morning event.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PSALM 100
Worship the Lord with gladness; come before him with joyful songs. [ PSALM 100:2 ]

In what ways can you joyfully worship God throughout the day? When has someone else’s worship led to your own?

Almighty God, please help me live to worship You with contagious joy and gratitude.

오늘의 말씀

01/03/2021     주일

성경읽기: 창세기 7-9; 마태복음 3
찬송가: 623(통341)

예수님의 속도로 움직이기

최근에 차를 수리해야 했습니다. 정비소가 집에서 1 마일(1.6킬로미터) 거리의 가까운 곳에 있어서 차를 맡기고 그냥 걸어서 집으로 가기로 했습니다. 번잡한 도로의 옆길을 따라 걸으면서 나는 사람들이 다 ‘매우’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는 것을 새삼 느꼈습니다.

이 사실을 알아차리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자동차들은 보행자들보다 더 빠르게 지나갑니다. 휙, 휙, 휙! 느긋하게 걸어 집으로 가면서 나는 우리가 빠르게 움직이는 것에 아주 익숙해져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항상 그렇게 빨리 움직입니다. 그러고 나서 또 종종 하나님도 그렇게 빨리 움직여주시길 기대한다는 것도 깨닫게 되었습니다. 나는 하나님의 계획이 나의 급한 시간표에 맞추어지기를 원합니다.

예수님이 이 땅에 계실 때 겉보기에 더디어 보이는 주님의 속도는 때때로 제자들을 실망시켰습니다. 요한복음 11장에서 마리아와 마르다는 그들의 오라버니 나사로가 병 들었다는 연락을 보냈습니다. 그들은 예수님이 도와주실 수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1-3절). 그러나 주님은 나사로가 죽고 나흘이 지나 도착하셨습니다(17절). 마르다는 예수님께 “주께서 여기 계셨더라면 내 오라버니가 죽지 아니하였겠나이다”(21절)라고 말했습니다. 바꾸어 말해 예수님이 빨리 움직이지 않으셨다는 말입니다. 하지만 주님은 나사로를 죽은 자들 가운데서 살리시려는 더 커다란 계획을 가지고 계셨습니다(38-44절).

마르다의 절망에 공감할 수 있으십니까? 나는 공감할 수 있습니다. 때때로 나는 예수님이 내 기도에 더 빨리 응답해주시기를 바랍니다. 어떤 때에는 주님이 늦으시는 것만 같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의 주권적인 일정표는 우리의 것과는 다릅니다. 주님은 우리의 시간표가 아닌 주님의 시간표에 맞추어 구원의 사역을 이루십니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우리의 계획보다 훨씬 더 다양한 방법으로 주님의 영광과 선하심을 드러내십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1:14-27
마르다가 예수께 여짜오되 주께서 여기 계셨더라면 내 오라버니가 죽지 아니하였겠나이다 [요한복음 11:21]

예수님이 기도에 응답하시지 않은 것 같아 실망하다가 주님께서 그보다 더 큰 것을 이루고 계심을 깨달은 적이 있습니까? 그 깨달음이 하나님과 하나님의 주권에 대한 당신의 인식에 어떤 영향을 끼쳤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때때로 너무 조급해집니다. 제가 주님의 완벽한 시간을 신뢰하고, 믿음 안에서 주님의 선하심을 꼭 붙잡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1/03/2021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GENESIS 7–9; MAT THEW 3
Hymn: 623(old 341)

MOVING AT THE SPEED OF JESUS

Recently, my car needed work. The mechanic’s shop was close, a mile from my home. So I decided to just walk home. But as I shuffled along next to a bustling thoroughfare, I noticed something: Everyone else was moving so fast.

This isn’t rocket science. Cars go faster than pedestrians. Zip, zip, zip! As I ambled home, I had a realization: We’re so used to moving fast. All the time. Then, another realization: I often expect God to move just as quickly. I want His plans to fit my speedy timetable.

When Jesus lived on earth, His seemingly slow pace sometimes disappointed His friends. In John 11, Mary and Martha sent word that their brother, Lazarus, was sick. They knew Jesus could help (VV. 1–3). But He arrived some four days later (V. 17), after Lazarus had died. “ ‘Lord,’ Martha said to Jesus, ‘if you had been here, my brother would not have died’ ” (V. 21). Translation: Jesus didn’t move fast enough. But He had bigger plans: raising Lazarus from the dead (VV. 38–44).

Can you relate to Martha’s desperation? I can. Sometimes, I long for Jesus to move more quickly to answer a prayer. Sometimes, it seems like He’s late. But Jesus’ sovereign schedule is different from ours. He accomplishes His saving work on His timetable, not ours. And the ultimate outcome displays His glory and goodness in ways that are so much greater than our plans. ADAM R. HOLZ

Today's Reading

JOHN 11:14–27
“Lord,” Martha said to Jesus, “if you had been here, my brother would not have died.” [ JOHN 11:21 ]

When have you been disappointed that Jesus seemingly didn’t answer a prayer, only to realize He was accomplishing something bigger? How did that affect your perception of God and His sovereignty?

Father, sometimes I get so impatient. Help me to trust in Your perfect timing and to cling to Your goodness in faith.
To learn more about the life of Christ, visit ChristianUniversity.org/NT111.

오늘의 말씀

01/02/2021     토요일

성경읽기: 창세기 4-6; 마태복음 2
찬송가: 204(통204)

홍수가 날 때

나는 록키산맥과 매년 폭설로 유명한 미국 서부의 콜로라도 주에 살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 주의 최악의 자연재해는 눈 때문이 아니라 비 때문이었습니다. 1976년 7월 31일, 에스테스 파크라는 휴양지 마을 주변의 빅 톰슨 계곡에 홍수가 발생했습니다. 마침내 물이 다 빠져나가자 많은 가축과 함께 144명의 인명 피해가 있었습니다. 그 재난에 바로 이어 그 지역에서 중요한 연구들, 특히 도로와 고속도로의 기초에 관한 중요한 연구들이 수행되었습니다. 그 폭우를 견뎌낸 도로벽들이 있었는데, 그것들은 콘크리트로 그 속을 채운 것들이었습니다. 다시 말해, 그 도로벽들은 확실하고 견고한 기반을 가지고 있었던 것입니다.

우리의 삶에서 문제는 홍수가 날 것인지 아닌지가 아니라, 홍수가 ‘언제’ 날 것인가 하는 것입니다. 가끔은 예보가 있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예보가 없습니다. 예수님은 그때를 위해 주님의 말씀을 들을 뿐 아니라 복음대로 살아감으로써 견고한 기반을 만들라고 강조하십니다(누가복음 6:47). 그렇게 하는 것은 우리 삶을 콘크리트로 다지는 것과 같습니다. 언젠가 홍수가 날 때, 우리는 “잘 지어졌기” 때문에 견딜 수 있습니다(48절). 그러나 행함이 없으면 우리의 삶은 무너지고 파괴되기 쉽습니다(49절). 현명함과 어리석음의 차이가 바로 이것입니다.

가끔은 잠시 멈추어 삶의 기반을 점검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예수님은 홍수가 날 때 우리가 주님의 능력 안에서 굳게 서 있을 수 있도록 우리의 약한 부분들을 강하게 해주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6:46-49
듣고 행하지 아니하는 자는 주추 없이 흙 위에 집 지은 사람과 같으니 탁류가 부딪치매 집이 곧 무너져 파괴됨이 심하니라 [누가복음 6:49]

당신의 삶에서 어떤 약한 부분들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까요? 그 약한 부분들을 위해 어떤 일을 할 수 있을까요?

예수님, 단순히 듣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잘 행하는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 관심이 필요한 약한 제 기반을 볼 수 있게 해주소서. 홍수가 올 때 함께 하신다는 주님의 약속에 감사드립니다!

Daily Article

01/02/2021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GENESIS 4–6; MAT THEW 2
Hymn: 204(old 204)

WHEN THE FLOODS COME

I live in Colorado, a state in the western US known for the Rocky Mountains and our annual snowfall. Yet the worst natural disaster in my state had nothing to do with snow, but rain. The Big Thompson flood occurred on July 31, 1976, around the resort town of Estes Park. When the water finally receded, the death toll was 144 lives, not including livestock. In the wake of that disaster significant studies were done in the area, especially in regard to the foundation of roads and highways. The walls of the roads that withstood the storm were those filled with concrete. In other words, they had a sure and strong foundation.

In our lives the question is not if the floods will come, but when. Sometimes we have advance notice, but usually not. Jesus stresses a strong foundation for such times—one built by not just hearing His words but also by living out the gospel (LUKE 6:47). That practice is almost like pouring concrete into our lives. When the floods come, and they will, we can withstand them because we’ve been “well built” (V. 48). The absence of practice leaves our lives vulnerable to collapse and destruction (V. 49). It’s the difference between being wise and foolish.

It’s good to pause occasionally and do a little foundation assessment. Jesus will help us to fortify the weak places that we might stand strong in His power when the floods come. JOHN BLASE

Today's Reading

LUKE 6:46–49
The one who hears my words and does not put them into practice is like a man who built a house on the ground without a foundation. [ LUKE 6:49 ]

What weak spots need attention in your life? How might you work on them?

Jesus, I want to be not just a hearer but a doer as well. Give me the vision to see weak places in my foundation that need attention. And thank You for Your promised presence when the floods do come.

오늘의 말씀

01/01/2021     금요일

성경읽기: 창세기 1-3; 마태복음 1
찬송가: 393(통447)

미지의 바다

뉴욕에서는 타임스퀘어에서 공이 밑으로 내려가고, 런던에서는 군중들이 빅벤의 종소리에 맞춰 카운트다운을 합니다. 그리고 호주의 시드니 항만에서는 불꽃놀이가 시작됩니다. 우리가 사는 도시가 어떤 식으로 새해를 맞든, 새해를 맞이하며 새롭게 시작하는 것은 흥분되는 일입니다. 새해 첫날에 우리는 새로운 바다 속으로 들어서게 됩니다. 그 바다에서 우리는 어떤 친구를 만나고 어떤 기회를 찾게 될까요?

그러나 이 모든 흥분에도 불구하고 새해는 무언가 불안감을 주기도 합니다. 아무도 미래를 알지 못하고, 어떤 풍랑이 우리를 기다릴지 모르기 때문입니다. 갖가지 새해 풍습들도 그 사실을 반영해주고 있습니다. 불꽃놀이는 중국에서 발명되었는데, 아마도 악령을 쫓아내고 풍요로운 한 해를 기원하려고 시작한 것 같습니다. 그리고 새해에 새롭게 결심하는 것은 바벨론 사람들이 그들의 신들을 달래기 위해 서약한 데서 비롯되었습니다. 이런 행동들은 다 알지 못할 미래를 안전한 것으로 만들고자 시도했던 것들이었습니다.

바벨론 사람들은 이스라엘을 포함하여 다른 나라들을 정복하기에 바쁠 때에는 서약을 해가며 신들을 달래지 않았습니다. 때가 되어 하나님은 노예가 된 유대인들에게 이런 메시지를 보내셨습니다. “너는 두려워하지 말라...... 네가 물 가운데로 지날 때에 내가 너와 함께 할 것이라”(이사야 43:1-2). 후에 예수님도 제자들과 함께 배에서 심한 풍랑을 만났을 때 비슷한 말씀을 하셨습니다. 예수님은 “어찌하여 무서워하느냐”고 말씀하신 후 물더러 잠잠하라고 명령하셨습니다(마태복음 8:23-27).

새해 첫날인 오늘, 우리는 해안가에서 새로운 미지의 바다 속으로 들어서게 됩니다. 우리가 무슨 일을 만나든, 예수님은 우리와 함께 하시며 파도를 잠잠하게 하실 능력이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43:1-7
네가 물 가운데로 지날 때에 내가 너와 함께 할 것이라 [이사야 43:2]

새해를 맞이하면서 어떤 기대되는 일들이 당신을 흥분시킵니까? 어떤 걱정들을 하나님의 손에 맡길 수 있을까요?

하나님, 새해에 어떤 일을 만나든 그 가운데 하나님이 저와 함께 계실 것이기에 감사드립니다.

Daily Article

01/01/2021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GENESIS 1–3; MAT THEW 1
Hymn: 393(old 447)

UNCHARTED WATERS

The ball drops in New York’s Times Square. The crowd counts down to Big Ben chiming. Sydney Harbor erupts in fireworks. However your city marks it, there’s something exciting about welcoming in a new year and the fresh start it brings. On New Year’s Day we push out into new waters. What friendships and opportunities might we find?

For all its excitement, though, a new year can be unsettling. None of us knows the future or what storms it may hold. Many New Year’s traditions reflect this: Fireworks were invented in China to supposedly ward off evil spirits and make a new season prosperous. And New Year’s resolutions date back to the Babylonians who made vows to appease their gods. Such acts were an attempt to make an unknown future secure.

When they weren’t making vows, the Babylonians were busy conquering people—including Israel. In time, God sent the enslaved Jews this message: “Do not fear . . . . When you pass through the waters, I will be with you” (ISAIAH 43:1–2). Later, Jesus said something similar when He and the disciples were caught sailing in a violent storm. “Why are you so afraid?” He told them before commanding the waters to be still (MATTHEW 8:23–27).

Today we push out from the shore into new, uncharted waters. Whatever we face, He’s with us—and He has the power to calm the waves. SHERIDAN VOYSEY

Today's Reading

ISAIAH 43:1–7
When you pass through the waters, I will be with you. [ ISAIAH 43:2 ]

What possibilities excite you as you look forward to a new year? What worries can you place in God’s hands?

God, thank You that whatever this new year brings, You will be with me in it.

오늘의 말씀

12/31/2020     목요일

성경읽기: 말라기 1-4; 요한계시록 22
찬송가: 475(통272)

삶의 불꽃

새해 전야에 세계 여러 도시와 마을에서 고출력 폭죽을 터뜨릴 때 일부러 소리가 크게 나게 만든다고 합니다. 제조업자들은 원래 화려한 불꽃놀이는 말 그대로 ‘공중을 가르기’ 위한 것이라고 말합니다. “연발 폭죽”은 특히 지상 가까이서 폭발했을 때 가장 큰 소리를 낸다고 합니다. 우리의 걱정거리도 생각과 마음과 가정에서 폭발할 수 있습니다. 가족 간의 갈등, 관계의 문제, 직장에서의 어려움, 재정 문제, 심지어 교회의 분열과 같은 삶의 “불꽃”들은 우리의 감정 세계를 뒤흔드는 폭죽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이런 소동 속에서 우리를 건져주시는 분을 압니다. 바울은 에베소서 2장 14절에서 그리스도가 바로 “우리의 평화”라고 했습니다. 우리가 그분 안에 거하면 주님의 평화는 어떤 혼란보다도 더 커서 모든 걱정과 상처와 분열의 소음을 잠재웁니다.

그것은 유대인과 이방인 모두에게 강력한 확신이었을 것입니다. 그들은 한때 “세상에서 소망이 없이 하나님도 없이” 살았습니다(12절). 이제 그들은 박해와 분열이라는 내부의 위협에 처했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그리스도 안에서 주님의 피로 말미암아 주님께로 가까이 왔고, 그 결과 서로 가까워졌습니다. “그는 우리의 화평이신지라 둘로 하나를 만드사 중간에 막힌 담을 허시고” (14절).

불안과 분열의 위협이 언제 다가올지 모를 새해를 맞이하면서, 인생의 시끄러운 문제들을 내려놓고 언제나 우리 곁에 “평화”로 임재하시는 그분을 찾읍시다. 주님은 폭발을 잠재우고 우리를 치유하십니다.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2:12-18
그는 우리의 화평이신지라 [에베소서 2:14]

위로의 하나님, 삶의 불꽃이 놀라게 하고 불안하게 할 때 저를 당신의 평화로 이끌어 주소서.

어떤 “불꽃”이 고요한 당신의 삶을 깨뜨립니까? 그것을 가지고 하나님께 기도할 때 어떤 평안을 느끼십니까?

Daily Article

12/31/2020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MALACHI 1–4; REVELATION 22
Hymn: 475(Old272)

FIREWORKS OF LIFE

On New Year’s Eve, when high-powered fireworks detonate across cities and towns worldwide, the noise is loud on purpose. By their nature, say manufacturers, flashy fireworks are meant to split the atmosphere, literally. “Repeater” blasts can sound the loudest, especially when exploded near the ground.

Troubles, too, can boom through our hearts, minds, and homes. The “fireworks” of life—family struggles, relationship problems, work challenges, financial strain, even church division—can feel like explosions, rattling our emotional atmosphere.

Yet we know the One who lifts us over this uproar. Christ Himself “is our peace,” Paul wrote in Ephesians 2:14. When we abide in His presence, His peace is greater than any disruption, quieting the noise of any worry, hurt, or disunity.

This would have been powerful assurance to Jews and gentiles alike. They’d once lived “without hope and without God in the world” (V. 12). Now they faced threats of persecution and internal threats of division. But in Christ, they’d been brought near to Him, and consequently to each other, by His blood. “For he himself is our peace, who has made the two groups one and has destroyed the barrier, the dividing wall of hostility” (V. 14).

As we start a new year, with threats of unrest and division ever rumbling on the horizon, let’s turn from life’s noisy trials to seek our ever-present Peace. He quiets the booms, healing us.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EPHESIANS 2:12–18
He himself is our peace. [ EPHESIANS 2:14 ]

Comforting God, when life’s fireworks shock and unsettle me, draw me to Your peace.

What “fireworks” are shattering the calm in your life? When you give them to God in prayer, what peace do you feel?

오늘의 말씀

12/30/2020     수요일

성경읽기: 스가랴 13-14; 요한계시록 21
찬송가: 455(통507)

진정한 성공

대담하러 나온 초대손님은 나의 질문들에 정중히 답해 주었습니다. 그런데 대화를 하면서도 뭔가 석연치 않은 느낌이 있었습니다. 그것은 지나가는 말 한 마디에 드러났습니다.

“선생님은 수천 명의 사람에게 감동을 주고 계시군요.”라고 내가 말했습니다.

그러자 그가 중얼거렸습니다. “수천 명이 아니라 ‘수백 만명’이죠.”

그리고 그는 나의 무지함을 깨우쳐 주기라도 하려는 듯 본인이 맡은 직책과 업적들, 그리고 자기가 실렸던 잡지 이름들을 쭉 이야기했습니다. 참 어색한 순간이었습니다.

그 일 후에 나는 하나님께서 시내 산에서 모세에게 자신을 어떻게 나타내셨는지를 보고 놀라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출애굽기 34:5-7). 우주의 창조자이시고 인류의 주관자이신 하나님이시지만 하나님은 그런 칭호를 말씀하지 않으셨습니다. 천억 개의 은하계를 지으신 하나님은 그런 업적도 언급하지 않으셨습니다. 대신 하나님은 “자비롭고 은혜롭고 노하기를 더디하고 인자와 진실이 많다”라고 자신을 소개하셨습니다(6절). 하나님은 자신이 누구인지 밝히실 때 직책이나 업적이 아닌 성품을 말씀하십니다.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되었고 하나님을 본받는 자로 부름받은 우리에게 (창세기 1:27; 에베소서 5:1-2) 이것은 큰 교훈입니다. 업적도 좋은 것이고 직책도 필요합니다. 그러나 정말 중요한 것은 우리가 얼마나 자비와 은혜와 사랑을 실천하는 사람이 되는가 하는 것입니다.

그 대담에 나온 손님처럼 우리도 업적을 내세워 자신을 드러낼 수 있습니다. 나도 그랬으니까요. 그러나 하나님은 참된 성공이 무엇인지 본을 보여주셨습니다. 그것은 명함이나 이력서에 쓰여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얼마나 하나님을 닮아가는가 하는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출애굽기 34:1-7
여호와라 여호와라 자비롭고 은혜롭고 노하기를 더디하고 인자와 진실이 많은 하나님이라 [출애굽기 34:6]

성령님, 자비하고 은혜롭고 인내하며 사랑하는 사람이 되게 하소서!

당신의 업적을 내세워 자신을 드러내려는 유혹을 받은 적이 있습니까? 오늘 하나님의 성품 중 어떤 부분을 더 닮아가길 원하십니까?

Daily Article

12/30/2020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ZECHARIAH 13–14; REVELATION 21
Hymn: 455(Old507)

TRUE SUCCESS

My interview guest politely answered my questions. I had a feeling, though, that something lurked beneath our interaction. A passing comment brought it out.

“You’re inspiring thousands of people,” I said.

“Not thousands,” he muttered. “Millions.”

And as if pitying my ignorance, my guest reminded me of his credentials—the titles he held, the things he’d achieved, the magazine he’d graced. It was an awkward moment.

Ever since that experience, I’ve been struck by how God revealed Himself to Moses on Mount Sinai (EXODUS 34:5–7). Here was the Creator of the cosmos and Judge of humanity, but God didn’t use His titles. Here was the Maker of 100 billion galaxies, but such feats weren’t mentioned either. Instead, God introduced Himself as “the
compassionate and gracious God, slow to anger, abounding in love and faithfulness” (V. 6). When He reveals who He is, it isn’t His titles or achievements He lists but the kind of character He has.

As people made in God’s image and called to follow His example (GENESIS 1:27; EPHESIANS 5:1–2), this is profound. Achievement is good, titles have their place, but what really matters is how compassionate, gracious, and loving we’re becoming.

Like that interview guest, we too can base our significance on our achievements. I have. But our God has modeled what true success is—not what’s written on our business cards and resumés, but how we’re becoming like Him.

SHERIDAN VOYSEY

Today's Reading

EXODUS 34:1–7
The Lord, the Lord, the compassionate and gracious God, slow to anger, abounding in love and faithfulness. [ EXODUS 34:6 ]

Spirit of God, make me compassionate, gracious, patient, and loving!

How tempted are you to base your significance on your accomplishments? What aspect of God’s character needs to grow in you today?

오늘의 말씀

12/29/2020     화요일

성경읽기: 스가랴 9-12; 요한계시록 20
찬송가: 350(통393)

보이지 않아도 존재하는 세계

1876년 인디애나주 중부 한 탄광에서 작업 중이던 광부들은 자신들이 지옥으로 가는 문을 보았다고 생각했습니다. 역사학자 존 발로우 마틴에 의하면 지하 600피트(183미터) 지점에서 “무시무시한 굉음에 악취를 동반한 가스가 터졌다”고 합니다. “악마가 사는 굴의 지붕을 건드렸다”며 두려워한 광부들은 갱도를 막고 황급히 집으로 도망갔습니다.

물론 그것은 광부들의 착각이었습니다. 몇 년 뒤 그 지점을 다시 팠을 때 다량의 천연가스가 발견되었으니까요. 광부들이 착각은 하였지만 그래도 나는 그 광부들이 나와는 달리 영의 세계를 의식하며 살았다는 점에서 은근히 부럽기도 합니다. 나는 초자연계와 자연계는 쉽게 만날 수 없는 것이라고 생각해버리고, “우리의 씨름이 혈과 육을 상대하는 것이 아니요......하늘에 있는 악의 영들을 상대하는 것”(에베소서 6:12)이라는 사실을 쉽게 망각합니다.

세상에서 악이 이기는 것을 볼 때 그냥 악에 굴복하거나 자신의 힘으로 물리치려 해서는 안 됩니다. 오히려 “하나님의 전신 갑주”(13-18절)를 입음으로 악에게 맞서야 합니다. “마귀의 간계를 능히 대적하는”(11절) 힘을 얻으려면 말씀을 공부하고, 믿음의 사람들이 정기적으로 모여 서로를 격려하며 다른 사람들의 유익을 먼저 생각해야 합니다. 성령으로 무장한다면 어떤 상황에서도 굳게 설 수 있습니다(13절).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6:10-20
우리의 씨름은 혈과 육을 상대하는 것이 아니요...... 하늘에 있는 악의 영들을 상대함이라 [에베소서 6:12]

하나님, 하나님의 권능 안에서 믿음으로 동행하며 섬길 수 있게 하소서.

어떻게 하면 영적 세계의 실체를 의식하며 살 수 있을까요? 하나님은 지금 당신에게 바울이 말한 전신갑주에서 어떤 것을 입으라고 말씀하십니까? 오늘은 그것이 어떤 모습으로 보이나요?

Daily Article

12/29/2020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ZECHARIAH 9–12; REVELATION 20
Hymn: 350(Old393)

UNSEEN REALITIES

In 1876, men drilling for coal in central Indiana thought they had found the gates of hell. Historian John Barlow Martin reports that at six hundred feet, “foul fumes issued forth amid awesome noises.” Afraid they had “bitten into the roof of the devil’s cave,” the miners plugged the well and scurried back to their homes.

The miners, of course, were mistaken—and some years later, they would drill again and be rich in natural gas. Even though they were mistaken, I find myself a little jealous of them. These miners lived with an awareness of the spiritual world that is often missing from my own life. It’s easy for me to live as if the supernatural and the natural rarely intersect and to forget that “our struggle is not against flesh and blood, but . . . against the spiritual forces of evil in the heavenly realms” (EPHESIANS 6:12).

When we see evil winning in our world, we shouldn’t give in or try to fight it in our own strength. Instead, we’re to resist evil by putting on “the full armor of God” (VV. 13–18). Studying Scripture, meeting regularly with other believers for encouragement, and making choices with the good of others in mind can help us “stand against the devil’s schemes” (V. 11). Equipped by the Holy Spirit, we can stand firm in the face of anything (V. 13).

AMY PETERSON

Today's Reading

EPHESIANS 6:10–20
Our struggle is not against flesh and blood, but . . . against the spiritual forces of evil in the heavenly realms. [ EPHESIANS 6:12 ]

Help me to remember, God, to walk and serve by faith and in Your power.

How can you cultivate an awareness of the reality of the spiritual world? Is God calling you to “put on” some part of the “armor” Paul describes? What might that look like today?

오늘의 말씀

12/28/2020     월요일

성경읽기: 스가랴 5-8; 요한계시록 19
찬송가: 426(통215)

허물어진 곳을 다시 세우기

다웨인은 열일곱 살 때 도둑질과 헤로인 중독으로 남아공 케이프타운의 마넨버그에 있는 집을 나가야 했습니다. 그러나 멀리 간 것은 아니었습니다. 어머니 집 뒷마당에 양철 골판으로 오두막집을 짓고 지냈는데, 그곳은 얼마 안가 카지노라는 마약 소굴이 되었습니다. 그러다 19살에 다웨인은 예수님을 믿고 구원을 얻게 되었습니다. 마약을 끊기까지 길고도 힘든 여정이었지만, 하나님의 도우심과 예수님을 믿는 친구들의 협조로 마약에서 벗어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 카지노를 지은 지 10년이 되어 그와 친구들은 그 오두막집을 가정교회로 바꾸었습니다. 한때 어둡고 기분 나빴던 장소가 지금은 예배와 기도의 장소가 된 것입니다.

이 교회 지도자들은 하나님께서 다웨인과 이전의 카지노에 하신 것처럼 어떻게 사람과 집에 치유와 회복을 가져다주시는지 설명하기 위해 예레미야 33장을 봅니다. 예레미야 선지자는 잡혀간 하나님의 백성들을 향해 비록 성읍이 무너질지라도 하나님은 그의 백성을 치유하시고 “다시 세우셔서” 죄로부터 깨끗하게 하실 것이라고 말했습니다(예레미야 33:7-8). 그러면 그 성읍은 하나님께 기쁨과 찬송, 그리고 영광의 장소가 될 것이었습니다(9절).

슬픔과 비통을 자아내는 죄 때문에 좌절을 느낄 때, 하나님이 마넨버그 뒷마당에서 하셨던 것 같이 우리에게 치유와 소망을 주시기를 계속 기도합시다.

오늘의 성구

예레미야 33:6-11
이 성읍이 세계 열방 앞에서 나의 기쁜 이름이 될 것이며 [예레미야 33:9]

하나님, 죽은 것 같은 삶에 새로운 생명을 불러일으켜 주시니 감사합니다. 제 안에 계속 역사하셔서 구원을 베푸시는 하나님의 사랑을 남들과 나누게 하소서.

하나님께서 당신과 다른 사람의 삶을 회복시키시는 것을 본 적이 있습니까? 하나님의 치유하심을 위해 오늘 어떻게 기도할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12/28/2020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ZECHARIAH 5–8; REVELATION 19
Hymn: 426(Old215)

REBUILDING THE RUINS

At seventeen, Dowayne had to leave his family’s home in Manenberg, a part of Cape Town, South Africa, because of his stealing and addiction to heroin. He didn’t go far, building a shack of corrugated metal in his mother’s backyard, which soon became known as the Casino, a place to use drugs. When he was nineteen, however, Dowayne came to saving faith in Jesus. His journey off drugs was long and exhausting, but he got clean with God’s help and with the support of friends who are believers in Jesus. And ten years after Dowayne built the Casino, he and others turned the hut into a house church. What was once a dark and foreboding place now is a place of worship and prayer.

The leaders of this church look to Jeremiah 33 for how God can bring healing and restoration to people and places, as He’s done with Dowayne and the former Casino. The prophet Jeremiah spoke to God’s people in captivity, saying that although the city would not be spared, yet God would heal His people and would “rebuild them,” cleansing them from their sin (JEREMIAH 33:7–8). Then the city would bring Him joy, renown, and honor (V. 9).

When we’re tempted to despair over the sin that brings heartbreak and brokenness, let’s continue to pray that God will bring healing and hope, even as He’s done in a backyard in Manenberg.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JEREMIAH 33:6–11
Then this city will bring me renown, joy, praise and honor. [ JEREMIAH 33:9 ]

God, thank You for sparking new life in what appeared to be dead. Continue to work in me, that I might share Your saving love with others.

How have you seen God bring restoration in your own life and in the lives of others? How can you pray for His healing this day?

오늘의 말씀

12/27/2020     주일

성경읽기: 스가랴 1-4; 요한계시록 18
찬송가: 21(통21)

한밤중의 노래

이미 해가 저문 저녁인데 집의 전기가 갑자기 나갔습니다. 그때 나와 함께 있던 어린 두 아이는 정전을 처음 겪었습니다. 전기 회사에 알린 후 촛불 몇 개를 켜고 부엌에서 아이들과 함께 깜박이는 촛불 주위로 옹기종기 모여 앉았습니다. 아이들이 긴장하고 불안해하는 것 같아서 우리는 노래를 부르기 시작했습니다. 곧 아이들 얼굴의 걱정스러운 표정이 웃음으로 바뀌었습니다. 때로는 우리의 가장 어두운 순간에 노래가 필요합니다.

시편 103편은 하나님의 백성들이 포로생활에서 폐허가 된 고국으로 돌아와 드린 기도이자 노래입니다. 위기의 순간에 그들에게는 노래가 필요했습니다. 그것도 아무 노래가 아니라 하나님과 그가 하신 일들을 찬양하는 노래였습니다. 시편 103편은 또한 긍휼이 많으시고 은혜로우시며 노하기를 더디 하시고 인자가 풍부하신 하나님(8절)을 기억하게 도와줍니다. 그리고 그 시편은 죄에 대한 심판을 아직도 걱정하고 있는 우리에게 하나님은 화내지 않으시고, 용서하시며, 긍휼히 여기신다고 말합니다. 이 모든 것이 우리 삶의
어두운 밤에 노래해야 할 좋은 이유입니다.

어쩌면 지금 당신은 어둡고 힘든 곳에서 하나님의 선하심과 당신을 향한 그분의 사랑을 의심하고 있을 지도 모릅니다. 만약 그렇다면, 사랑이 풍성하신 그분께 기도와 찬양을 드리십시오!

오늘의 성구

시편 103:1-14
여호와는 긍휼이 많으시고 은혜로우시며 노하기를 더디 하시고 인자하심이 풍부하시도다 [시편 103:8]

사랑하는 예수님, 주님의 삶과 죽음, 부활에서 드러난 하나님의 사랑을 볼 수 있게 하소서. 지친 머리를 들어 주님의 선하심과 신실하심을 노래하게 하소서.

예수님을 통한 하나님의 구원 사역이 어떻게 하나님이 누구신지를 더 잘 보여줄 수 있을까요? 하나님은 당신을 어떻게 보고 계실까요?

Daily Article

12/27/2020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ZECHARIAH 1–4; REVELATION 18
Hymn: 21(Old21)

A SONG IN THE NIGHT

The sun had long set when our electrical power suddenly went out. I was at home with our two younger children, and this was their first time experiencing a power outage. After verifying that the utility company knew about the outage, I located some candles, and the kids and I huddled together in the kitchen around the flickering flames. They seemed nervous and unsettled, so we began to sing. Soon the concerned looks on their faces were replaced with smiles. Sometimes in our darkest moments we need
a song.

Psalm 103 may be one of the psalms prayed or sung after the people of God had returned from exile to a homeland that had been laid waste. In a moment of crisis, they needed to sing. But not just any song, they needed to sing about who God is and what He does. Psalm 103 also helps us remember that He’s compassionate, merciful, patient, and full of faithful love (V. 8). And in case we wonder if the judgment for our sin still hangs over our heads, the psalm announces that God isn’t angry, He has forgiven, and
He feels compassion. These are good things to sing about during the dark nights of our lives.

Maybe that’s where you find yourself—in a dark and difficult place, wondering if God really is good, questioning His love for you. If so, pray and sing to the One who abounds in love!

GLENN PACKIAM

Today's Reading

PSALM 103:1–14
The Lord is compassionate and gracious, slow to anger, abounding in love. [ PSALM 103:8 ]

Dear Jesus, help me to see the love of God revealed in Your life, death, and resurrection. Lift up my weary head that I might sing of Your goodness and faithfulness.

How might God’s saving acts in Jesus give you a better picture of what He’s like? How does He view you?

오늘의 말씀

12/26/2020     토요일

성경읽기: 학개 1-2; 요한계시록 17
찬송가: 220(통278)

누가 나를 필요로 하는가?

워싱턴 DC로 가는 밤 비행기에서 칼럼니스트 아서 브룩스는 한 할머니가 남편에게 “아무도 당신이 필요 없다는 말, 사실이 아니에요.”라고 속삭이는 것을 우연히 들었습니다. 남편은 죽었으면 좋겠다고 중얼거렸고, 부인은 “아, 그런 말 그만하세요.”라고 대답했습니다. 비행기가 도착하자 뒤돌아본 브룩스는 바로 그 남자를 알아보았습니다. 그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영웅이었습니다. 다른 승객들은 그와 악수를 했고 기장은 몇십 년 전 그가 보여주었던 용기에 대해 감사를 표했습니다. 이런 위인이 어떻게 절망에 빠졌을까요?

엘리야 선지자는 홀로 용감하게 450명의 바알 선지자들을 물리쳤습니다. 아니, 그렇게 생각했습니다(열왕기상 18). 하지만 그가 혼자 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하나님이 줄곧 옆에 계셨습니다! 그러나 나중에 외로움을 느낀 그는 하나님께 자기의 생명을 거두어달라고 했습니다.

하나님은 엘리야를 그분 앞에 부르시고 엘리야가 섬겨야 할 사람들을 알려주시며 사기를 북돋우셨습니다. 그는 가서 “하사엘에게 기름을 부어 아람의 왕이 되게 하고”, 예후를 “이스라엘의 왕”으로, 엘리사를 “자기를 대신하여 선지자가 되게” 하라는 명령을 받았습니다(19:15-16). 새로운 임무에 기운을 차린 엘리야는 그의 후임자를 찾아 지도했습니다.

당신의 위대한 승리가 과거의 일이 되어 있는지도 모릅니다. 당신의 삶이 이제 절정을 지났거나, 아니면 절정이 아예 없었다고 느낄지 모릅니다. 상관없습니다. 주위를 둘러보십시오. 전투가 작아 보이거나 위험이 심각해 보이지 않아도, 아직 당신을 필요로 하는 이들이 많습니다. 예수님을 위해 그 사람들을 잘 섬기십시오. 이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그들이 당신의 목적이고, 당신이 아직 여기에 있는 이유입니다.

오늘의 성구

열왕기상 19:9-12, 15-18
가서 이르거든 하사엘에게 기름을 부어 아람의 왕이 되게 하고 [열왕기상 19:15]

성령님, 제 눈을 열어 예수님을 위해 섬길 수 있는 사람들을 볼 수 있게 하소서.

오늘 그리스도를 위해 누구를 섬길 수 있습니까? 하나님의 사랑으로 다른 사람에게 다가가는 것이 왜 중요할까요?

Daily Article

12/26/2020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HAGGAI 1–2; REVELATION 17
Hymn: 220(Old278)

WHO NEEDS ME?

While on a red-eye flight to Washington, DC, opinion writer Arthur Brooks overheard an elderly woman whisper to her husband, “It’s not true that no one needs you anymore.” The man murmured something about wishing he were dead, and his wife replied, “Oh, stop saying that.” When the flight ended, Brooks turned around and immediately recognized the man. He was a world-famous hero. Other passengers shook his hand, and the pilot thanked him for the courage he displayed decades ago.
How had this giant sunk into despair?

The prophet Elijah bravely and single-handedly defeated 450 prophets of Baal—or so he thought (1 KINGS 18). Yet he hadn’t really done it alone; God was there all along! But later, feeling all alone, he asked God to take his life.

God lifted Elijah’s spirits by bringing him into His presence and giving him new people to serve. He must go and “anoint Hazael king over Aram,” Jehu “king over Israel,” and Elisha “to succeed you as prophet” (19:15–16). Invigorated with renewed purpose, Elijah found and mentored his successor.

Your great victories may lie in the rearview mirror. You may feel your life has peaked, or that it never did. No matter. Look around. The battles may seem smaller, the stakes less profound, but there are still others who need you. Serve them well for Jesus’ sake, and it will count. They’re your purpose—the reason you’re still here.

MIKE WITTMER

Today's Reading

1 KINGS 19:9–12, 15–18
When you get there, anoint Hazael king over Aram. [ 1 KINGS 19:15 ]

Holy Spirit, open my eyes to those I can serve for Jesus’ sake.

Who can you serve today for Christ? Why is it so vital for you to reach out to others with God’s love?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