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12/31/2019     화요일

성경읽기: 말 1-4; 계 22
찬송가: 497(통 274)

아름다운 열매

“아이들은 원하는 곳[정원]에 씨를 뿌릴 수 있어야 하고 무엇이 돋는지 볼 수 있어야 한다.”고 시티 블러섬의 설립자인 레베카 레모스 오테로는 제안합니다. 본격적인 원예의 모습은 아니지만, 이 말은 씨앗 하나하나가 생명으로 피어날 잠재력이 있다는 사실을 잘 보여줍니다. 2004년 이후, 시티 블러섬은 저소득 지역의 학교와 이웃을 위해 정원을 만들었습니다. 아이들은 정원 가꾸기를 통해 영양에 대해 배우고 직업 기술을 습득합니다. 레베카는 말합니다. “도시 지역에 활기찬 녹색 공간을 갖추는 것은......아이들이 집 밖에서 생산적이며 아름다운 그 무엇을 할 수 있는 길을 마련해줍니다.”

예수님은 “심은 것보다 백배의 결실을” 거둘 수 있는 씨 뿌리는 이야기를 하셨습니다(누가복음 8:8). 그 씨앗은 “좋은 땅”에 심어진 하나님의 좋은 소식인데, 좋은 땅이란 “착하고 좋은 마음으로 말씀을 듣고 지키어 인내로 결실하는 자”(15절)라고 예수님이 설명하셨습니다.

예수님은 우리가 열매 맺는 유일한 방법은 예수님께 계속 붙어 있는 것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요한복음 15:4). 우리가 예수님의 가르침을 받고 주님께 매달릴 때 성령께서 우리 안에서 “사랑과 희락과 화평과 오래 참음과 자비와 양선과 충성과 온유와 절제” (갈라디아서 5:22-23)의 열매를 맺어 주십니다. 성령님은 우리 안에서 맺어 주신 열매를 다른 사람들의 삶에 영향을 끼치는데 사용하셔서, 그 사람들이 변화되어 자신의 삶에서도 열매를 맺게 하십니다. 이렇게 하여 아름다운 삶이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8:4-8, 11-15
씨는 하나님의 말씀 이요 누가복음 8:11

당신은 어떻게 예수님께 붙어 있습니까? 예수님이 당신 안에서 어떤 열매를 맺으시기를 원하십니까?

하나님 아버지, 아름다운 삶을 살고 싶습니다. 제 안에 하나님의 열매를 맺어 다른 사람들을 하나님께로 향하게 하는 삶을 살게 해주소서.

Daily Article

12/31/2019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MALACHI 1–4 and REVELATION 22
Hymn: 497(old 274)

Beautiful Fruit

“Kids should be able to throw a seed anywhere they want [in the garden] and see what pops up,” suggests Rebecca Lemos-Otero, founder of City Blossoms. While this is not a model for careful gardening, it reflects the reality that each seed has the potential to burst forth with life. Since 2004, City Blossoms has created gardens for schools and neighborhoods in low-income areas. The kids are learning about nutrition and gaining job skills through gardening. Rebecca says, “Having a lively green space in an urban area . . . creates a way for kids to be outside doing something productive and beautiful.”

Jesus told a story about the scattering of seed that had the potential of producing “a hundred times more than was sown” (LUKE 8:8). That seed was God’s good news planted on “good soil,” which He explained is “honest, good-hearted people who hear God’s word, cling to it, and patiently produce a huge harvest” (V. 15 NLT).

The only way we can be fruitful, Jesus said, is to stay connected to Him (JOHN 15:4). As we’re taught by Christ and cling to Him, the Spirit produces in us His fruit of “love, joy, peace, forbearance, kindness, goodness, faithfulness, gentleness and selfcontrol” (GALATIANS 5:22–23). He uses the fruit He produces in us to touch the lives of others, who are then changed and grow fruit from their own lives. This makes for a beautiful life. ANNE CETAS

Today's Reading

Luke 8:4–8, 11–15
The seed is the word of God. LUKE 8:11

How are you staying connected to Jesus? What fruit do you want Him to produce in you?

I want a beautiful life, Father. Please produce Your fruit in me that I might live a life that points others to You.

오늘의 말씀

12/30/2019     월요일

성경읽기: 슥 13-14; 계 21
찬송가: 543(통 342)

계획된 결점

예루살렘의 동쪽에서 솟아나는 천연의 샘이 있습니다. 고대에는 그것이 그 도시의 유일한 상수원이었고 성벽 ‘밖에’ 위치하고 있어서 예루살렘의 가장 큰 취약점이기도 했습니다. 무방비의 샘은 침략자가 샘의 흐름을 돌려 버리거나 막아버리면, 난공불락의 그 도시가 항복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의미 합니다.

히스기야 왕은 샘에서 도시 안의 “저수지”까지 물이 흘러가도록 1,750 피트(533미터)의 바위 터널을 뚫어 이 약점을 해결했습니다(열왕기하 20:20; 역대하 32:2-4 참조). 그러나 히스기야는 이 모든 일에 있어서 “일이 이렇게 되도록 하신 분을 의지하지 않고, 이 일을 옛적부터 계획하신 분에게는 관심도 없었습니다” (이사야 22:11, 새번역). ‘무슨’ 계획을 말하는 것일까요?

하나님께서 친히 예루살렘의 물 공급이 보호받지 못하도록 “계획하신 것입니다.” 성벽 밖의 샘은 그 도시의 주민들이 구원을 위해 오직 하나님만 의지해야 한다는 점을 끊임없이 상기시켜 주는 상징이었습니다.

우리의 결점이 우리의 유익을 위해 존재할 수 있을까요? 실제로 바울 사도는 예수님의 아름다움과 권능이 그의 약함을 통해 나타났기 때문에 자신의 부족한 약점을 “자랑하겠다”고 말했습니다(고린도후서 12:9-10). 우리도 우리의 부족한 약점 하나 하나마다 하나님이 우리의 능력으로 나타나는 선물로 여길 수 있을까요?

오늘의 성구

이사야 22:8-11
너희는 일이 이렇게 되도록 하신 분을 의지 하지 않고, 이 일을 옛 적부터 계획하신 분에 게는 관심도 없었다. 이사야 22:11, 새번역

우리는 무슨 결점들을 가지고 있습니까? 그것이 어떻게 하나님을 신뢰하도록 도와주고 있습니까?

하나님, 저는 약합니다. 하나님이 저의 힘이라는 것을 다른 사람들이 알게 해주소서.

Daily Article

12/30/2019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ZECHARIAH 13–14 and REVELATION 21
Hymn: 543(old 342)

A Designed Deficiency

There’s a natural spring that rises on the east side of the city of Jerusalem. In ancient times it was the city’s only water supply and was located outside the walls. Thus it was the point of Jerusalem’s greatest vulnerability. The exposed spring meant that the city, otherwise impenetrable, could be forced to surrender if an attacker were to divert or dam the spring.

King Hezekiah addressed this weakness by driving a tunnel through 1,750 feet of solid rock from the spring into the city where it flowed into the “Lower Pool” (SEE 2 KINGS 20:20; 2 CHRONICLES 32:2–4). But in all of this, Hezekiah “did not look to the One who made it, or have regard for the One who planned it long ago” (ISAIAH 22:11). Planned what?

God Himself “planned” the city of Jerusalem in such a way that its water supply was unprotected. The spring outside the wall was a constant reminder that the inhabitants of the city must depend solely on Him for their salvation.

Can it be that our deficiencies exist for our good? Indeed, the apostle Paul said that he would “boast” in his limitations, because it was through weakness that the beauty and power of Jesus was seen in him (2 CORINTHIANS 12:9–10). Can we then regard each limitation as a gift that reveals God as our strength? DAVID H. ROPER

Today's Reading

Isaiah 22:8–11
You did not look to the One who made it, or have regard for the One who planned it long ago. ISAIAH 22:11

What are your deficiencies? How are they helping you gain trust in God?

God, I’m weak. I pray that others would see that You are my strength.

오늘의 말씀

12/29/2019     주일

성경읽기: 슥 9-12; 계 20
찬송가: 449(통 377)

사랑의 세탁

미국 남캘리포니아의 한 작은 교회가 하나님의 사랑을 실제로 표현할 기회를 만들었습니다. 교인들이 동네 빨래방에 모여 재정적으로 어려운 사람들의 옷을 대신 세탁해 준 것입니다. 그들은 함께 옷을 세탁하고 잘 개어 주었으며, 때로는 따뜻한 식사를 대접하거나 식료품을 한 보따리씩 안겨주기도 했습니다.

한 자원봉사자는 그 일에 대한 가장 큰 보람이 “사람들과 실제로 만나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주는 것”임을 알았습니다. 예수님과의 관계 때문에, 이 자원봉사자들은 사랑의 말과 행동을 통해 이웃과 진정한 관계를 발전시키는 데 도움을 주면서 그들의 믿음을 실천하는 삶을 살기 원했습니다.

야고보 사도는 신자들이 드러내는 모든 사랑의 섬김이야말로 진정한 믿음의 증거라고 단언합니다. 그는 “행함이 없는 믿음은 그 자체가 죽은 것이라”고 말합니다 (야고보서 2:14-17). 우리가 믿음을 선포함으로 하나님의 자녀가 되지만, 다른 사람들을 섬김으로써 예수님을 섬길 때 비로소 예수님을 믿고 따르는 신자로서 행동하는 것입니다(24절). 믿음과 섬김은 육체와 정신만큼 밀접한 상호의존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26절). 그리스도께서 우리 안에서, 우리를 통해 일하실 때 그리스도의 권능이 아름답게 나타납니다.

십자가에서의 하나님의 희생이 우리를 완전한 사랑으로 깨끗케 한다는 것을 개인적으로 받아들인 후, 우리는 참된 믿음의 충만한 모습으로 우리의 이웃들을 섬길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야고보서 2:14-26
이로 보건대 사람이 행함으로 의롭다 하심을 받고 믿음으로만은 아니니라 야고보서 2:24

누가 어떻게 예수님을 개인적으로 더 알 수 있도록 도와주었습니까? 어떻게 사랑의 말과 행동으로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을 보여줄 수 있을까요?

예수님, 예수님의 완전하고 깨끗케 하는 사랑으로 우리의 삶을 가득 채우셔서 우리가 다른 사람들의 삶에 그것을 쏟아 부을 수 있게 하소서.

Daily Article

12/29/2019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ZECHARIAH 9–12 and REVELATION 20
Hymn: 449(old 377)

Washed in Love

A small church in Southern California recognized an opportunity to express God’s love in a practical way. Believers in Jesus gathered at a local laundromat to give back to their community by washing clothes for those in financial need. They cleaned and folded clothes together, and sometimes provided a hot meal or bags of groceries for recipients.

One volunteer discovered the greatest reward was in the “actual contact with people . . . hearing their stories.” Because of their relationship with Jesus, these volunteers wanted to live out their faith through loving words and actions that helped them nurture genuine relationships with others.

The apostle James affirms that every act of a professing believer’s loving service is a result of genuine faith. He states that “faith by itself, if it is not accompanied by action, is dead” (JAMES 2:14–17). Declaring we believe makes us children of God, but it’s when we serve Him by serving others that we act as believers who trust and follow Jesus (V. 24). Faith and service are as closely interdependent as the body and the spirit (V. 26), a beautiful display of the power of Christ as He works in and through us.

After personally accepting that God’s sacrifice on the cross washes us in perfect love, we can respond in authentic faith that overflows into the ways we serve others.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James 2:14–26
You see that a person is considered righteous by what they do and not by faith alone. JAMES 2:24

How has someone helped you be more open to knowing Jesus personally? How can you demonstrate your faith in Christ through loving words and actions?

Jesus, please flood our lives with Your perfect, cleansing love, so that we can pour it into the lives of others.

오늘의 말씀

12/28/2019     토요일

성경읽기: 슥 5-8; 계 19
찬송가: 304(통 404)

결코 잊히지 않음

몇 년 동안 힘들게 배운 피아노의 기본기를 보여 달라는 아이들에게 들볶이다가 나는 피아노 앞에 앉아 C장조 음계를 연주하기 시작했습니다. 거의 20년 동안 피아노를 치지 않았기에 나는 내가 기억하고 있다는 사실에 놀랐습니다! 용기를 내어 나는 곧바로 7개의 다른 음계를 하나씩 연주하기 시작했습니다. 충격이었습니다! 여러 해 동안의 연습이 내 손가락의 “기억” 속에 음표와 기법을 깊숙이 새겨 놓아 손가락이 바로 무엇을 해야 할지 알고 있었던 것입니다.

평생 잊히지 않는 것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자녀를 향한 하나님의 사랑은 우리의 희미해지는 어떤 기억보다도 훨씬 깊이 새겨져 있습니다. 사실, 하나님은 자녀들을 정말 잊을 수 없습니다. 이스라엘 민족이 유배되어 하나님에게 버림받았다고 느꼈을 때 그들이 이 말을 들어야 했습니다 (이사야 49:14). 하나님은 이사야를 통해 분명히 대답하셨습니다. “나는 너를 잊지 아니할 것이라”(15절). 그의 백성을 돌보시겠다는 하나님의 약속은 자식을 사랑하는 어머니의 약속보다도 더 확실했습니다.

하나님은 그분의 변함없는 사랑을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확신시키려고 자신의 약속을 그림으로 그려서 보여주셨습니다. “보아라, 내가 네 이름을 내 손바닥에 새겼다”(16절, 새번역). 이는 하나님께서 자녀들을 언제나 알고 계시고, 그들의 이름과 얼굴을 항상 하나님 앞에 두신다는 것을 보여주는 아름다운 이미지입니다.

오늘날에도 우리는 간과되고 잊혀진다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하나님 손에 “새겨져서” 항상 우리 하나님 아버지께 기억되고 보살핌 받으며 사랑받고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니 얼마나 위안이 되는지 모릅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49:8-16
나는 너를 잊지 아니할 것이라 이사야 49:15

당신은 언제 잊히거나 버림받았다고 느꼈습니까? 하나님은 항상 어떻게 함께 하셔서 변함없는 사랑을 상기시켜 주셨습니까?

예수님, 예수님께서 저를 결코 잊지 않으시니 감사합니다. 제가 남들에게 버림받았다고 느낄 때, 예수님의 변함없고 끝없는 사랑 속에서 기억하고 쉴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2/28/2019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ZECHARIAH 5–8 and REVELATION 19
Hymn: 304(old 404)

Never Forgotten

Egged on by my children to prove I’d endured years mastering the basics of piano, I sat down and started playing the C Major scale. Having played very little piano in nearly two decades, I was surprised I remembered! Feeling brave, I proceeded to play seven different scales by heart one right after the other. I was shocked! Years of practicing had imprinted the notes and technique so deeply in my fingers’ “memory” that they instantly knew what to do.

There are some things that can never be forgotten. But God’s love for His children is far more deeply imprinted than any of our fading memories—in fact, God can’t forget them. This is what the Israelites needed to hear when the exile left them feeling abandoned by Him (ISAIAH 49:14). His response through Isaiah was unequivocal: “I will not forget you!” (V. 15). God’s promise to care for His people was more certain than a mother’s love for her child.

To assure them of His unchanging love, He gave them a picture of His commitment: “See, I have engraved you on the palms of my hands” (V. 16). It’s a beautiful image of God’s constant awareness of His children; their names and faces always before Him.

Still today, we can easily feel overlooked and forgotten. How comforting to remember that we’re “etched” on God’s hands— always remembered, cared for, and loved by our Father. LISA M. SAMRA

Today's Reading

Isaiah 49:8–16
I will not forget you! ISAIAH 49:15

When have you felt forgotten or abandoned? In what ways has God always been present with you to remind you of His constant love?

Jesus, thank You that I’m never forgotten by You. When I feel abandoned by others, help me to remember and rest in Your never-ending, constant love.

오늘의 말씀

12/27/2019     금요일

성경읽기: 슥 1-4; 계 18
찬송가: 430(통 456)

하나님 말씀에 이끌려

런던 BBC에서의 폴 아놀드의 첫 방송 작업은 라디오 드라마에서 “걷는 소리”를 내는 것이었습니다. 성우들이 걷는 장면에서 대본을 읽는 동안, 무대 감독인 폴은 걸음 속도를 성우의 목소리와 대사에 세심히 맞추면서 그의 발로 장면에 해당하는 소리를 만들어냈습니다. 그가 설명하는 제일 중요한 점은 드라마에서 성우를 쫓아 잘 따라하면서 “우리 둘이 함께 일하는 것” 입니다.

시편 119편의 기자는 그와 같은 협력의 종교적 버전을 추구하면서 하나님 말씀의 계율에 따라 사는 삶을 강조했습니다. 시편 119편 1절에서처럼 “행위가 온전하여 여호와의 율법을 따라 행하는 자들은 복이 있습니다.” 하나님이 인도하시는 대로 그분의 지시를 따라가면 우리는 순수함을 유지하고(9절) 멸시를 이겨내며(23절) 탐욕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36절). 하나님은 우리가 죄악에 저항하고 (61절) 경건한 친구를 만나(63절) 기쁨 속에 살 수 있게(111절) 해주실 것입니다.

신학자 찰스 브리지스는 133절을 이렇게 주석했습니다. “그러므로 이 세상으로 한 걸음 내디딜 때 나는 이렇게 묻습니다. 그것은 그리스도를 나의 완벽한 본보기로 보여주시는 하나님의 말씀이 명한 것인가?”

이 길을 걸어가면 우리는 세상에 예수님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부디 우리가 예수님과 아주 가까이 걷게 하셔서 사람들이 우리 안에서 우리의 지도자이자 친구이며 구세주인 주님을 볼 수 있게 도와주소서!

오늘의 성구

시편 119:1, 133-136
나의 발걸음을 주의 말씀에 굳게 세우시고 어떤 죄악도 나를 주관 하지 못하게 하소서 시편 119:133

하나님과 얼마나 가까이 걷고 있습니까? 시편 119편에서 그 답을 찾으면서 하나님을 더 가까이 따라갈 수 있는 한 가지 중요한 단계를 찾아보십시오. 어떤 유익을 얻을 수 있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오늘 제 걸음을 성경의 지혜에 맞춰 하나님처럼 걸을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2/27/2019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ZECHARIAH 1–4 and REVELATION 18
Hymn: 430(old 456)

Led by His Word

At the BBC in London, Paul Arnold’s first broadcasting job was making “walking sounds” in radio dramas. While actors read from scripts during a walking scene, Paul as stage manager made corresponding sounds with his feet—careful to match his pace to the actor’s voice and spoken lines. The key challenge, he explained, was yielding to the actor in the story, “so the two of us were working together.”

A divine version of such cooperation was sought by the author of Psalm 119, which emphasizes living by the precepts of God’s Word. As Psalm 119:1 says, “Blessed are those whose ways are blameless, who walk according to the law of the Lord.” Led this way by God and following His instructions, we can remain pure (V. 9), overcome scorn (V. 23), and escape greed (V. 36). He will enable us to resist sin (V. 61), find godly friends (V. 63), and live in joy (V. 111).

Theologian Charles Bridges commented on verse 133: “When I take therefore a step into the world, let me ask—Is it ordered in God’s word, which exhibits Christ as my perfect example?”

Walking this way, we show the world Jesus. May He help us walk so closely with Him that people glimpse in us our Leader, Friend, and Savior!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Psalm 119:1, 133–136
Direct my footsteps according to your word; let no sin rule over me. PSALM 119:133

How closely do you walk with God? Finding your answer in Psalm 119, identify one key step you can make to follow God more closely. What benefit can you gain?

Dear God, order my steps in the wisdom found in Scripture today, helping me to walk like You.

오늘의 말씀

12/26/2019     목요일

성경읽기: 학 1-2; 계 17
찬송가: 90(통 98)

큰 혼란

우리가 봉사하는 여러 가지 이유를 탐구하는 작가 로버트 콜스는 그의 저서 ‘봉사의 부름’에서 다른 사람들에게 봉사하는 나이든 여성의 감동적인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버스 운전사인 이 할머니는 매일 아이들을 학교에 실어다 주면서 숙제를 물어보고 잘한 일을 칭찬하는 등, 아이들을 아주 잘 돌보았습니다. “나는 이 아이들이 인생에서 성공하는 것을 보고 싶어요.” 그녀는 자기가 그 일을 하는 동기를 그렇게 말했지만, 거기에는 또 다른 이유도 있었습니다.

어렸을 때 들었던 이모의 말이 이 여인의 마음속 깊이 자리 잡았던 것입니다. 그 여인이 콜스에게 한 말입니다. “이모는 우리에게 하나님이 알아줄 만한 일을 해야 한다고 말하곤 했어요. 그렇지 않으면 우리는 큰 혼란 속에서 길을 잃을 거라고 했어요!” 심판 날의 “큰 혼란”을 겪은 후 지옥에 갈 것을 염려했던 이 여인은 “하나님의 관심을 끌” 방법을 고안해 냈습니다. “나의 충성스러운 모습을 하나님이 보실” 수 있도록 교회에 다니고, 하나님이 “내가 하는 일을 다른 사람을 통해 들을” 수 있도록 다른 사람들을 열심히 섬기는 것이었습니다.

나는 그 여인의 말을 읽고 슬픈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 사랑스러운 여인은 자신이 이미 하나님의 관심을 받고 있다는 사실을 왜 몰랐을까요?(마태복음 10:30). 어떻게 예수님이 우리를 위해 큰 혼란을 해결해 주셔서 심판으로부터 영원히 자유롭게 해주셨다는 말을 듣지 못했을까요?(로마서 8:1). 어떻게 그는 구원이 선행으로 살 수 없고 믿는 모든 사람에게 주어지는 선물이라는 것을 알지 못했을까요?(에베소서 2:8-9).

그리스도의 삶과 죽음, 부활은 하나님과 함께 할 우리의 미래를 책임지며, 우리를 자유롭게 하여 다른 사람들을 즐겁게 섬기게 해줍니다.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2:4-10
너희는 그 은혜에 의하여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을 받았으니 이것은 너희에게서 난 것이 아니요 하나님의 선물 이라 에베소서 2:8

왜 하나님의 인정을 받기 위해 착한 일을 해야 한다고 잘못 생각하기가 쉽습니까? 복음을 이해하는 것이 다른 사람을 더 사랑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될까요?

하나님, 제가 하나님께 받아들여지기 위해 필요한 일을 하나님이 하셨다는 것을 믿을 수 있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2/26/2019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HAGGAI 1–2 and REVELATION 17
Hymn: 90(old 98)

The Big Shuffle

In The Call of Service, author Robert Coles, exploring our reasons for serving, tells the moving story of an older woman’s service to others. As a bus driver, she showed great care toward the children she drove to school each day—quizzing them on homework and celebrating their successes. “I want to see these kids make it in life,” she said of her motivation. But there was another reason too.

As a youth, the words of an aunt had shaken this woman to the core. “She’d tell us that we had to do something God would notice,” she told Coles, “or else we’d get lost in the big shuffle!” Worried at the prospect of hell after the “big shuffle” of judgment, this woman had devised ways to “get God’s attention”—going to church so “He’d see me being loyal” and working hard to serve others so God might “hear from others what I was doing.”

I grieved reading her words. How had this dear woman never known that she already had God’s attention? (MATTHEW 10:30). How had she not heard that Jesus took care of the big shuffle for us, offering freedom from judgment forever? (ROMANS 8:1). How had she missed that salvation can’t be bought with good deeds but is a gift to anyone who believes? (EPHESIANS 2:8–9).

Christ’s life, death, and resurrection take care of our future with God and set us free to serve others with joy. SHERIDAN VOYSEY

Today's Reading

Ephesians 2:4–10
It is by grace you have been saved, through faith—and this is not from yourselves, it is the gift of God. EPH. 2:8

Why is it easy to mistakenly believe you must do good things to be accepted by God? How does understanding the gospel help you to love others better?

God, help me to trust that You’ve done what’s needed for me to be accepted by You.

오늘의 말씀

12/25/2019     수요일

성경읽기: 습 1-3; 계 16
찬송가: 122(통 122)

점점 더 많이 베풂

“할아버지 선물 샀어!” 두 살배기 손자가 내 손에 상자를 들이밀며 신나게 소리쳤습니다. “그 애가 혼자 골랐어요.” 아내가 빙그레 웃었습니다.

상자를 열자 아이가 좋아하는 만화 캐릭터의 크리스마스 장식이 있었습니다. “나도 봐도 돼?” 아이가 간절히 바라는 눈길로 물었습니다. 그리고는 저녁 내내 “내” 선물을 가지고 놀았습니다. 그런 손자를 보면서 나는 미소를 지었습니다.

나는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예전에 준 선물들이 생각나서 미소를 지었습니다. 그 중 하나는 고등학교 시절 어느 크리스마스에 내가 형에게 음악 앨범을 주었었는데 그 앨범은 내가 정말 듣고 싶었던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실제로 들었습니다). 나는 오랜 세월이 지난 지금까지 하나님이 여전히 나에게 오셔서 받는 사람을 더 헤아려 가며 베풀라고 가르치시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베풂은 우리가 점점 더 키워 나가야 할 일입니다. 바울은 이렇게 썼습니다. “여러분은 모든 일에 있어 뛰어납니다...... 여러분은 이 은혜로운 활동에서도 뛰어나야 할 것입니다”(고린도후서 8:7, 새번역). 우리가 가진 모든 것이 하나님에게서 받은 것이라는 것을 알 때 우리의 베풂이 은혜로 가득하게 됩니다. 그리고 하나님은 “주는 것이 받는 것보다 복이 있다”(사도행전 20:35)는 것을 보여주셨습니다.

하나님은 무엇보다도 가장 이기적이지 않은 선물을 우리에게 아낌없이 주셨습니다. 그 선물은 우리의 죄를 위해 십자가에서 돌아가시고 다시 살아나신 하나님의 독생자 예수님이십니다. 이 최고의 선물을 받은 사람은 누구나 측량할 수 없을 만큼 부유한 사람입니다. 우리의 마음이 주님께 맞춰져 있으면, 우리의 손이 다른 사람을 향한 사랑으로 열리게 됩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후서 8:1-9
너희가 거저 받았으니 거저 주라 마태복음 10:8

어떻게 점점 더 많이 베풀 수 있게 될까요? 오늘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저에게 최고의 선물인 하나님의 아들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 하나님의 너그러움을 다른 사람들과 나눌 수 있게 하소서.

Daily Article

12/25/2019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ZEPHANIAH 1–3 and REVELATION 16
Hymn: 122(old 122)

Growing into Giving

“I got you a present!” my two-year-old grandson shouted excitedly as he pressed a box into my hands. “He picked it out all by himself,” my wife smiled.

I opened the box to find a Christmas ornament of his favorite cartoon character. “Can I see it?” he asked anxiously. Then he played with “my” present for the rest of the evening, and as I watched him, I smiled.

I smiled because I remembered gifts I had given loved ones in the past, like the music album I gave my older brother one Christmas when I was in high school that I really wanted to listen to (and did). And I realized how years later God was still stretching me and teaching me to give more unselfishly.

Giving is something we grow into. Paul wrote, “But since you excel in everything . . . see that you also excel in this grace of giving” (2 CORINTHIANS 8:7). Grace fills our giving as we understand that all we have is from God, and He has shown us “it is more blessed to give than to receive” (ACTS 20:35).

God generously gave us the most unselfish gift of all: His only Son, who would die on a cross for our sins and be raised to life. Any who receive this ultimate gift are rich beyond measure. As our hearts are focused on Him, our hands open in love to others. JAMES BANKS

Today's Reading

2 Corinthians 8:1–9
Freely you have received; freely give. MATTHEW 10:8

In what ways do you need to grow in giving? What could you do today?

Thank You, Father, for giving me the best gift of all: Your Son! Help me to share Your generosity with others today.

오늘의 말씀

12/24/2019     화요일

성경읽기: 합 1-3; 계 15
찬송가: 112(통 112)

크리스마스에 온 방문객

1944년 크리스마스이브에 “올드 브링커”라는 남자가 죽음을 앞두고 교도소 병원에 누워 동료 죄수들이 인도하는 자체 크리스마스 예배를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언제 음악이 시작되지?” 그는 수마트라의 문톡 교도소에 함께 수감된 윌리엄 맥두걸에게 물었습니다. “곧” 하고 맥두걸은 대답했습니다. “좋아.” 죽어가는 남자가 대답했습니다. “그럼 천사들의 음악과 그들의 찬양을 비교해볼 수 있겠군.”

수십 년 전에 브링커는 하나님을 믿는 믿음에서 멀어졌지만, 죽음이 가까워지자 자신의 죄를 고백하고 하나님과 화해 했습니다. 시큰둥한 표정으로 다른 사람에게 인사하는 대신 그는 미소를 짓기도 했습니다. 그것을 두고 맥두걸은 “매우 큰 변화였다”라고 말했습니다.

브링커는 11명의 수척한 죄수들로 구성된 합창단이 그의 신청곡인 “고요한 밤 거룩한 밤”을 부른 후 평화롭게 숨을 거두었습니다. 브링커가 다시 한 번 예수님을 따름으로 회개하고 천국에서 하나님과 연합할 것을 안 맥두걸은 “아마 죽음은 늙은 브링커가 반겨 맞이했을 크리스마스에 온 방문객이었을 것”이라고 한마디 했습니다.

브링커가 자신의 죽음을 맞이한 방법은 거룩한 사람 시므온을 떠올려줍니다. 성령님은 그에게 “주의 그리스도를 보기 전에는 죽지 아니하리라”(누가복음 2:26)고 일러주었습니다. 시므온은 성전에서 예수님을 보자 이렇게 소리쳤습니다. “이제 주님께서는......이 종을 세상에서 평안히 떠나가게 해주십니다. 내 눈이 주의 구원을 보았습니다”(29-30절, 새번역).

브링커와 마찬가지로 우리가 함께 나누며 받을 수 있는 가장 큰 크리스마스 선물은 예수님 안에 있는 구원의 믿음입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2:25-33
주재여 이제는......종을 평안히 놓아주시는도다 누가복음 2:29

맥두걸은 왜 죽음을 브링커의 반가운 방문객으로 보았다고 생각하십니까? 예수님은 어떻게 우리에게 기쁨을 가져다주시고 우리를 변화시키십니까?

예수님, 예수님의 죽음과 부활을 통해 평화롭게 인도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내가 아는 사람이나 만나는 사람과 예수님의 구원의 선물을 함께 나눌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2/24/2019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HABAKKUK 1–3 and REVELATION 15
Hymn: 112(old 112)

A Christmas Visitor

On Christmas Eve 1944, a man known as “Old Brinker” lay dying in a prison hospital, waiting for the makeshift Christmas service led by fellow prisoners. “When does the music start?” he asked William McDougall, who was imprisoned with him in Muntok Prison in Sumatra. “Soon,” replied McDougall. “Good,” replied the dying man. “Then I’ll be able to compare them with the angels.”

Although decades earlier Brinker had moved away from his faith in God, in his dying days he confessed his sins and found peace with Him. Instead of greeting others with a sour look, he would smile, which “was quite a transformation,” said McDougall.

Brinker died peacefully after the choir of eleven emaciated prisoners sang his request, “Silent Night.” Knowing that Brinker once again followed Jesus and would be united with God in heaven, McDougall observed, “Perhaps Death had been a welcome Christmas visitor to old Brinker.”

How Brinker anticipated his death reminds me of Simeon, a holy man to whom the Holy Spirit revealed that “he would not die before he had seen the Lord’s Messiah” (LUKE 2:26). When Simeon saw Jesus in the temple, he exclaimed, “You may now dismiss your servant in peace. For my eyes have seen your salvation” (VV. 29–30).

As with Brinker, the greatest Christmas gift we can receive or share is that of saving faith in Jesus.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Luke 2:25–33
Sovereign Lord, . . .you may now dismiss your servant in peace. LUKE 2:29

Why do you think McDougall saw death as a welcome visitor for Brinker? How does Jesus bring you joy and change you?

Jesus, thank You for ushering in peace through Your death and resurrection. Help me to share Your gift of salvation with someone I know or meet.

오늘의 말씀

12/23/2019     월요일

성경읽기: 나 1-3; 계 14
찬송가: 540(통 219)

작은 ‘예’들을 하나로 엮었을 때

어느 크리스마스에 할머니가 나에게 아름다운 진주 목걸이를 주셨습니다. 아름다운 구슬들이 내 목에서 반짝였는데, 어느 날 줄이 끊어져 우리 집 마루 바닥 위에 구슬들이 사방으로 튀고 말았습니다. 나는 바닥 위에 웅크리고 앉아 그 작은 알들을 일일이 주웠습니다. 알 하나하나는 작았습니다. 그런데 보십시오. 그 진주들을 한 줄로 엮어놓으니 정말 놀라운 모습으로 바뀌었습니다!

내가 하나님 말씀에 순종한 ‘예’들은 마치 그 각각의 진주처럼 너무 작아 보입니다. 나는 가끔 놀라운 순종을 보였던 예수님의 어머니 마리아와 나를 비교해 봅니다. 마리아는 메시아를 잉태하리 라는 하나님의 부름을 받았을 때 ‘예’라고 말했습니다. 그녀는 “주의 여종이오니 말씀대로 내게 이루어지이다”(누가복음 1:38)라고 대답했습니다. 마리아는 장차 그녀가 감당해야 할 모든 것을 이해했을까요? 아들을 십자가에 내어줘야 할 더 큰 ‘예’까지 이해했을까요?

천사와 양치기들의 방문 후에, 누가복음 2장 19절은 마리아가 “이 모든 말을 고이 간직하고, 마음속에 곰곰이 되새겼다”(새번역) 고 전해줍니다. ‘고이 간직하다’는 “보관하다”를 의미하고, ‘곰곰이 되새기다’는 “실을 꿰다”를 의미합니다. 누가복음 2장 51절에서 마리아에 관한 그 구절이 또 나옵니다. 과연 마리아는 그녀의 전 생애를 통하여 하나님께 많은 ‘예’로 응답합니다.

마리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순종의 요체는 우리가 하나님 아버지의 초대에 순종한 여러 가지 ‘예’들을 한 번에 하나씩 함께 꿰어 나가는 것일지도 모릅니다. 그 ‘예’들이 순종하는 삶이라는 보물로 엮어질 때까지 말입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2:15-19
마리아는 이 모든 말을 마음에 새기어 생각 하니라 누가복음 2:19

하나님께 말해야 할 ‘예’는 무엇입니까? 어떻게 더 순종하는 것을 배울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우리가 살며 하나님이 하시는 일에 대해 한 번에 한 ‘예’로 응답하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2/23/2019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NAHUM 1–3 and REVELATION 14
Hymn: 540(old 219)

A String of Yeses

One Christmas, my grandmother gave me a beautiful pearl necklace. The beautiful beads glowed about my neck until one day the string broke. Balls bounced in all directions off our home’s hardwood flooring. Crawling over the planks, I recovered each tiny orb. On their own, they were small. But oh, when strung together, those pearls made such an impression!

Sometimes my yeses to God seem so insignificant—like those individual pearls. I compare myself to Mary, the mother of Jesus who was so fantastically obedient. She said yes when she embraced God’s call for her to carry the Messiah. “‘I am the Lord’s servant,’ Mary answered. ‘May your word to me be fulfilled’” (LUKE 1:38). Did she understand all that would be required of her? That an even bigger yes to relinquishing her Son on the cross loomed ahead?

After the visits of the angels and shepherds, Luke 2:19 tells us that Mary “treasured up all these things and pondered them in her heart.” Treasure means to “store up.” Ponder means to “thread together.” The phrase is repeated of Mary in Luke 2:51. She would respond with many yeses over her lifetime.

As with Mary, the key to our obedience might be a threading together of various yeses to our Father’s invitations, one at a time, until they string into the treasure of a surrendered life. ELISA MORGAN

Today's Reading

Luke 2:15–19
Mary treasured up all these things and pondered them in her heart. LUKE 2:19

What yeses do you need to say to God? How can you learn to be more obedient?

Dear God, help us to respond, one yes at a time, to Your ongoing work in our lives.

오늘의 말씀

12/22/2019     주일

성경읽기: 미 6-7; 계 13
찬송가: 294(통 416)

아버지의 축복

최근에 우리 교회의 몇몇 사람들(그들의 아버지와 관계가 좋지 않았던 사람들)이 나에게 자기들의 아버지 대신 사랑하는 아버지의 모습으로 자신들을 축복해 달라고 부탁했습니다. 축복하는 동안 나는 너무 높은 기대를 갖거나, 멀리 떨어져 있거나, 다정하게 함께 있으면서 긍정의 말을 해주지 못해 아버지가 자녀에게 상처 준 것에 대해 용서를 구하였으며, 또한 기쁨과 칭찬, 그리고 끝없는 사랑을 축복했습니다. 그러면서 나는 눈물을 흘렸습니다. 아직도 나에게 그런 축복의 말들이 필요하고, 내 아이들에게도 그 말들이 얼마나 필요한지 깨달았기 때문입니다.

성경은 종종 하나님을 우리 아버지 라고 말하는데, 그렇게 부름으로써 우리가 잘못 생각하는 왜곡된 아버지상을 바로 세우게 됩니다. 우리의 영원하신 아 버 지 하 나 님 은 완 전 한 사 랑 을 “우리에게 베푸셔서” 우리를 “하나님의 자녀”로 삼으셨습니다(요한1서 3:1). 하나님의 아들딸이라는 우리의 정체성은 이 불확실하고 두려움을 주는 세상에서 우리를 지탱해주는 근본입니다. 요한은 말합니다. “우리가 지금은 하나님의 자녀라 장래에 어떻게 될지는 아직 나타나지 아니하였으니”(2절). 항상 있을 도전에 직면할 때마다 우리가 진실로 믿어야 할 것은 우리 하나님 아버지께서 우리를 사랑하시고, 필요한 것을 주시며, 결코 멈추지 않으신다는 사실입니다. 하나님은 영감을 받은 요한의 말을 통해, 모든 것이 말대로 이루어지는 그 때에 우리가 주님처럼 될 것이 확실하다고 말씀하십니다(2절).

우리가 근심, 상처, 실패 속에 빠져 있는데도, 좋으신 우리 하나님 아버지는 무한한 사랑의 축복을 말씀하십니다. 하나님이 우리를 그분의 자녀로 만드셨기 때문에 하나님은 우리가 그분에게 속해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십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1서 3:1-3
보라 아버지께서 어떠한 사랑을 우리에게 베푸사 하나님의 자녀라 일컬음을 받게 하셨는가 요한1서 3:1

‘아버지’라는 단어를 곰곰이 생각해보면 무슨 생각이 떠오릅니까? 하나님의 아낌없는 사랑은 당신이 갖고 있는 아버지의 이미지를 어떻게 바꿔줍니까?

하나님, 어떻게 하나님이 나의 아버지이신지 좀 더 가르쳐 주소서. 하나님의 돌보심을 체험하고 알게 해주소서.

Daily Article

12/22/2019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MICAH 6–7 and REVELATION 13
Hymn: 294(old 416)

The Father’s Blessing

Recently, several people within our church—those who had experienced poor relationships with their fathers—asked me to stand in as a loving, father figure and offer a blessing over them. The blessing asked forgiveness for the ways a father can hurt his children by setting expectations that are too high or being distant or failing to offer tender presence and affirmation. It also pronounced delight, admiration, and abundant love. As I shared the blessing, I wept. I realized how I still needed to receive such words, and how much my children need them too.

The Scriptures repeatedly speak of God as our Father, a reality reshaping the distorted father images we might have. God, our eternal Father, has “lavished on us” perfect love, making us “children of God” (1 JOHN 3:1). Our identity as God’s sons and daughters grounds us in an uncertain, fear-inducing world. “We are children of God,” John says, even though “what we will be has not yet been made known” (V. 2). Facing ever-present challenges, all we can truly count on is that our Father loves and provides for us and never stops. When everything is said and done, God says through the inspired words of John, we can be certain we’ll be like Him (V. 2).

In the midst of our anxieties, wounds, and failures, our good Father speaks a blessing of inexhaustible love. God insists we belong, for He’s made us His children. WINN COLLIER

Today's Reading

1 John 3:1–3
See what great love the Father has lavished on us. 1 JOHN 3:1

What comes to mind when you ponder the word father? How does God’s lavish love reshape the father image for you?

God, teach me more about how You are my Father. May I experience and know Your care.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