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3/07/2025     금요일

성경읽기: 신명기 3-4; 마가복음 10:32-52
찬송가: 588(통307)

염려를 예수님께 맡기세요

낸시는 문제만 보며 앞날을 두려워했습니다. 남편 톰이 메인 주 시골에서 하이킹을 하던 중 세 번이나 현기증으로 기절한 것입니다. 하지만 근처 작은 병원 의사들은 어떤 이상도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더 큰 규모의 의료 센터에 가서 추가 검사를 한 결과 역시 아무런 문제가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정말 두려웠었다”고 낸시는 말했습니다. 남편이 퇴원할 때 마지막으로 심장 전문의에게 “이제 어떻게 해야 하나요?”라고 물었습니다. 이때 그의 지혜로운 말이 낸시의 관점을 영원히 바꾸어 놓았습니다. 그는 낸시에게 “가서 당신의 인생을 사세요.”라고 말했습니다. 낸시는 회상합니다. “그냥 경솔하게 한 말이 아니었어요. 그것은 우리 부부에게 준 조언이었어요.”

전문의의 진단은 산상수훈에 나오는 예수님의 가르침을 담고 있습니다. 예수님은 이렇게 말씀하셨지요. “그러므로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목숨을 위하여 무엇을 먹을까 무엇을 마실까 몸을 위하여 무엇을 입을까 염려하지 말라 목숨이 음식보다 중하지 아니하며 몸이 의복보다 중하지 아니하냐” (마태복음 6:25). 예수님의 지침은 의학적 또는 기타 문제나 증상을 무시하라는 것이 아닙니다. 다만 예수님은 “염려하지 말라”(25절)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런 다음 “너희 중에 누가 염려함으로 그 키를 한 자라도 더할 수 있겠느냐”(27 절) 물으셨습니다.

선지자 이사야도 비슷한 지혜의 말씀을 주었습니다. “겁내는 자들에게 이르기를 굳세어라 두려워하지 말라 보라 너희 하나님이 오사”(이사야 35:4). 낸시와 톰 부부는 이제 하루에 8 킬로 이상 걸을 수 있는 용기를 얻었습니다. 더 이상 걱정하며 걷는 것이 아니라 기쁨으로 걸음을 내딛습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6:25-27
목숨을 위하여... 염려하지 말라
[마태복음 6:25]

당신에게 가장 큰 두려움은 무엇인가요?
그리스도께 걱정을 맡기면 어떻게 삶이 나아질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예수님, 제가 오늘 두려움을 느낄 때, 주님의 평안 가운데 주님께 그 두려움을 맡길 수 있도록 담대함을 주소서.

Daily Article

03/07/2025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DEUTERONOMY 3-4; MARK 10:32-52
Hymn: 588(old 307)

GIVE YOUR WORRIES TO JESUS

Nancy feared the future, seeing only trouble. Her husband Tom had fainted three times during a hiking trip in rural Maine. But doctors at a small nearby hospital found nothing wrong. At a larger medical center, where doctors conducted additional tests, they also found no problem. “I was very afraid,” Nancy stated. As her husband was released, she questioned the cardiologist one last time, asking, “What do we do now?” He gave her words of wisdom that forever changed her outlook. “Go live your life,” he said. “It wasn’t in a flippant way,” Nancy recalls. “It was his advice to us.”

Such guidance captures Jesus’ instruction in the Sermon on the Mount. He said, “Do not worry about your life, what you will eat or drink; or about your body, what you will wear. Is not life more than food, and the body more than clothes?” (MATTHEW 6:25). Such guidance doesn’t say to ignore medical or other problems or symptoms. Instead, Christ simply said, “Do not worry” (V. 25). He then asked, “Can any one of you by worrying add a single hour to your life?” (V. 27).

The prophet Isaiah offered similar wisdom. “Say to those with fearful hearts, ‘Be strong, do not fear; your God will come’ ” (ISAIAH 35:4). For Nancy and Tom, they’re inspired now to walk more than five miles a day. No longer walking with worry, they step out with joy.
-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MAT THEW 6:25-27
Do not worry about your life.
[ MATTHEW 6:25 ]

What’s your greatest fear?
How can giving your worry to Christ enhance your life?

If I’m feeling worried today, dear Jesus, please grant me confidence to give my fear to You as I live out Your peace.

오늘의 말씀

03/06/2025     목요일

성경읽기: 신명기 1-2; 마가복음 10:1-31
찬송가: 492(통544)

쉽게 화내지 않기

몇 달간 자가 격리를 마치고 교회에 나갔을 때, 한동안 보지 못했던 성도들을 만나게 되어 기뻤습니다. 일부 성도들, 특히 연로하신 분들은 안전관리 차원에서 나오지 않으셨고, 안타깝게도 이 세상을 떠난 분들도 계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한 노부부가 예배당에 들어와 늘 하던 대로 내 뒤 좌석에 앉는 것을 보고 매우 반가웠습니다. 나는 두 분께 손을 흔들었습니다. 남편 분은 제 인사에 화답했지만 아내 분은 미소도 보이지 않고 나를 빤히 쳐다만 보았습니다. 나는 마음에 상처를 받았고 그 이유가 궁금했습니다.

몇 주일 후에 (내 인사에 답하지 않은) 바로 그 여인이 간병인으로 보이는 친구의 도움을 받아 앉고 서는 것을 보았습니다. 그 오래된 교회 친구는 많이 아팠기 때문에 나를 알아보지 못했던 것이 분명했습니다. 몇 주 전 그 친구가 아주 반갑게 하는 내 인사에 답하지 않았을 때 가까이 가서 화를 내지 않았던 것이 다행이었습니다.

잠언은 현명한 삶에 대한 많은 조언을 주는데 쉽게 화를 내지 않는 것도 그 중 하나입니다. 실제로 잠언은 “노하기를 더디하는 것이 사람의 슬기요 허물을 용서하는 것이 자기의 영광이니라”(19:11)고 말합니다. 기분 상하지 않고 “우리의 화를 억제하는 법”(11절)을 배우면 우리는 명예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인내와 “지혜”(8절)가 필요할 수도 있지만, 자신을 극복하고 다른 사람을 사랑하기로 선택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보상을 얻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잠언 19:8-13
노하기를 더디하는 것이 사람의 슬기요 허물을 용서하는 것이 자기의 영광이니라
[잠언 19:11]

다른 사람의 행동 때문에 불쾌감을 느낀 적이 있습니까?
기분 상한 일을 그냥 지나치는 것이 좋을 때가 언제입니까?

자비의 하나님, 제가 하나님께 죄를 범했을 때 덮어 주신 것을 감사합니다.
다른 사람들에게도 그렇게 할 수 있는 지혜를 주시옵소서.

Daily Article

03/06/2025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DEUTERONOMY 1-2; MARK 10:1-31
Hymn: 492(old 544)

NOT EASILY OFFENDED

When I entered my church after several months of quarantine, I was excited to see members I hadn’t seen in a while. I realized that some members, especially older ones, just wouldn’t be back—some due to safety reasons and others, unfortunately, because they’d passed from this life. So I was quite excited when I spotted an older couple coming into the sanctuary and taking their normal seat behind me. I waved at them both. The man returned my greeting, while his wife stared at me without even smiling. I was hurt and wondered why.

It was a few Sundays later that I observed the same woman (who hadn’t returned my greeting) being helped by a friend who was showing her when to stand or sit—acting as her caregiver. My old church friend was apparently very sick and hadn’t recognized me. I’m glad I didn’t approach her or even get upset when she didn’t return my enthusiastic greeting.

Proverbs offers a lot of advice for living wisely, and not being easily offended is one of its gems. In fact, it says “sensible people . . . earn respect by overlooking wrongs” (19:11 NLT). Choosing not to get offended and learning to “control [our] temper” (V. 11 NLT) can bring us honor. It may require patience and “wisdom” (V. 8), but the rewards also are well worth getting over ourselves and choosing to love others.
- KATARA PATTON

Today's Reading

PROVERBS 19:8-13
Sensible people . . . earn respect by overlooking wrongs.
[ PROVERBS 19:11 NLT ]

When were you offended by someone’s actions?
When is it the right thing to overlook an offense?

God of mercy, thank You for overlooking the times I’ve offended You.
Please give me the wisdom to do the same for others.

오늘의 말씀

03/05/2025     수요일

성경읽기: 민수기 34-36; 마가복음 9:30-50
찬송가: 354(통394)

측량할 수 없는 하나님

2023년 2월,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은 또 하나의 놀라운 발견을 해냈습니다. 인류가 지금까지 우주를 들여다볼 수 있었던 영역을 넘어 6개의 새로운 은하계를 발견한 것입니다. 이 발견은 우리가 우주에 대해 알고 있던 많은 것을 뒤집어 놓았습니다. 한 천문학자는 말합니다. “우리는 예상치 못한 것을 발견했고, 이는 실제로 과학에 문제들을 던져 주었습니다.” 그리고 어떤 천체물리학자는 “모른다고 잘못된 것은 아니라” 고 사과하듯이 말했습니다.

하나님은 계속해서 우리 모두를 놀라게 하시는 것 같습니다. 우주 망원경이 등장하기 훨씬 전 선지자 이사야가 오늘날의 과학자들에게 직접 말하는 것 같습니다. “너는 알지 못하였느냐? 듣지 못하였느냐? 하나님 여호와 땅 끝까지 창조하신 이는... 명철이 한이 없으시다”(이사야 40:28). 이사야는 그 천체물리학자보다 먼저 “하나님의 이해력은 누구도 측량할 수 없다”(28 절)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만일 거기서 멈춘다면 우리는 이 구절의 아름다움을 놓치게 됩니다. 헤아릴 수 없는 하나님은 비인격적인 분이 아닙니다. 그 여섯 개의 은하계와 다른 모든 것을 창조하신 분이(26절) “피곤한 자에게는 능력을 주시며 무능한 자에게는 힘을 더하시는”(29절) 바로 그 하나님이십니다. 우주의 하나님은 또한 그분을 앙망하는 자들을 “독수리가 날개치며 올라감 같이”(31 절) 도우시는 인격적인 하나님이십니다. 측량할 수 없는 하나님은 우리가 아는 하나님, 즉 능력과 힘으로 우리 삶 속에 말씀하시는 분이시니 안심해도 됩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40:25-31
명철이 한이 없으시며
[이사야 40:28]

하나님을 측량할 수 없으나 인격적인 존재로 생각한다는 것은 당신에게 어떤 의미인가요? 하나님은 당신에게 어떤 인격적인 분이십니까?

우주의 하나님, 하늘에 계신 저의 아버지 되심에 감사합니다.
저에게 지혜와 강건함을 주시는 주님께 내 소망을 드립니다.

Daily Article

03/05/2025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34-36; MARK 9:30-50
Hymn: 354(old 394)

UNFATHOMABLE GOD

In February 2023, the James Webb Space Telescope made another remarkable discovery. Beyond where humankind had previously been able to peer into the universe, it discovered six new galaxies. This discovery upended much of what we know about space. One astronomer remarked, “It turns out we found something so unexpected it actually creates problems for science.” An astrophysicist said almost apologetically, “There is nothing wrong with not knowing.”

It seems that God continues to surprise us all. The prophet Isaiah, long before the advent of space telescopes, seems to be talking directly to the scientists of today: “Do you not know? Have you not heard? The Lord is . . . the Creator of the ends of the earth” (ISAIAH 40:28). He goes on, predating that astrophysicist’s words, “[God’s] understanding no one can fathom” (V. 28).

But if we stop there, we miss the beauty of this passage. He who is unfathomable is not impersonal. He who created those six galaxies, and all the others (V. 26), is the same God who “gives strength to the weary and increases the power of the weak” (V. 29). The God of the universe is also the personal God who helps those who hope in Him to “soar on wings like eagles” (V. 31). Rest assured, the unfathomable God is the one we do know—the one who speaks into our lives with power and strength.
- KENNETH PETERSEN

Today's Reading

ISAIAH 40:25-31
His understanding no one can fathom.
[ ISAIAH 40:28 ]

What does it mean to you to think of God as unfathomable yet personal? How is He personal to you?

God of the universe, thank You for being my heavenly Father.
I place my hope in You to provide me wisdom and strength.

오늘의 말씀

03/04/2025     화요일

성경읽기: 민수기 31-33; 마가복음 9:1-29
찬송가: 289(통208)

바로 읽기, 새로 쓰기, 예수님

뿔 달린 모세? 1515년에 완성된 미켈란젤로의 걸작 조각품에 묘사된 모세의 모습입니다. 이마 바로 위 모세의 머리카락에서 두 개의 뿔이 튀어나와 있습니다.

미켈란젤로 뿐만 아니라 많은 르네상스 및 중세 화가들은 모세를 그렇게 그렸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당시 히브리어 성경의 라틴어 번역본이 모세가 하나님을 영접하며 모세의 얼굴에 광채가 난다고 묘사한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출애굽기 34:29 참조). 원어에서는 “뿔”과 관련된 단어를 사용하여 모세의 얼굴에서 광채가 나는 빛의 “광선”을 묘사했는데, 라틴어 성경에서는 이를 문자 그대로 번역했습니다. 모세의 광채를 잘못 해석했던 것입니다.

당신은 어떤 사람에 대해 잘못 알고 오해한 적이 있습니까? 태어날 때부터 걷지 못하는 사람이 예수님의 이름으로 베드로에게 고침을 받은 후(사도행전 3:1-10), 베드로 사도는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그들이 예수님을 잘못 이해했다고 말하면서, “(너희가) 생명의 주를 죽였도다 그러나 하나님이 죽은 자 가운데서 그를 살리셨다”(15절)고 예리하게 말했습니다. 그는 계속하여 말합니다. “그러나 하나님이 모든 선지자의 입을 통하여 자기의 그리스도께서 고난 받으실 일을 미리 알게 하신 것을 이와 같이 이루셨느니라”(18절). 베드로는 모세도 그리스도를 가리켰었다고 말했습니다(22절).

“그 이름을 믿음으로,” “예수로 말미암아 난 믿음이” 나면서 못 걷게 된 이의 삶을 바꿔놓은 것입니다(16절). 우리가 주님을 어떻게 오해했든, 우리의 과거가 어떠했든, 예수님은 우리가 주님을 바라볼 때 우리를 반겨 주십니다. 인생을 써가는 주님은 우리를 위해 새로운 시작을 쓸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사도행전 3:15-24
생명의 주를 죽였도다 그러나 하나님이 죽은 자 가운데서 그를 살리셨으니
[사도행전 3:15]

예수님을 어떻게 잘못 이해했었나요? 오늘 주님을 더 바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무엇이 도움을 줄 수 있나요?

항상 저를 이해하고 사랑해 주시는 예수님,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3/04/2025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31-33; MARK 9:1-29
Hymn: 289(old 208)

READING, WRITING, AND JESUS

Moses with horns? That’s the way he’s depicted in Michelangelo’s masterpiece sculpture completed in 1515. Two horns protrude from Moses’ hair just above his forehead.

Michelangelo wasn’t alone—many Renaissance and medieval artists depict Moses that way. Why? It has to do with the Latin translation of the Hebrew Bible available at the time, which described Moses’ radiant face after being in God’s presence (SEE EXODUS 34:29). The original language uses a word related to “horns” to describe “beams” of light shining from Moses’ face, and the Latin Vulgate Bible translated it literally. Moses was “misread.”

Have you ever misread someone? After a man unable to walk from birth was healed by Peter in Jesus’ name (ACTS 3:1-10), the apostle told his fellow Israelites that they had misread Jesus. “You killed the author of life,” he said pointedly, “but God raised him from the dead” (V. 15). He continued, “This is how God fulfilled what he had foretold through all the prophets, saying that his Messiah would suffer” (V. 18). Peter even said Moses had pointed to Christ (V. 22).

It was “by faith in the name of Jesus,” a “faith that comes through him,” that the man’s life was transformed (V. 16). No matter how we’ve misunderstood Him or what our past contains, Christ welcomes us when we turn to Him. The author of life stands ready to write new beginnings for us!
- JAMES BANKS

Today's Reading

AC T S 3:15-24
You killed the author of life, but God raised him from the dead.
[ ACTS 3:15 ]

How have you misread Jesus? What will help you understand Him even better today?

Thank You, Jesus, for always understanding and loving me.

오늘의 말씀

03/03/2025     월요일

성경읽기: 민수기 28-30; 마가복음 8:22-38
찬송가: 465(통523)

하나님의 사랑을 널리 실천하기

미시간 주의 어느 겨울날 있었던 일입니다. 한 배달원이 어느 할머니가 집 앞의 눈을 치우고 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이 배달원은 멈춰 서서 여든 한 살의 할머니에게 자기가 나머지 눈을 다 치우겠다고 말했습니다. 다른 소포 배달이 늦어질까 걱정이 된 할머니는 다른 삽을 들고 함께 눈을 치웠습니다. 두 사람은 이웃들이 멀리서 지켜보는 가운데 거의 15분 동안 나란히 서서 일했습니다. 할머니는 “도와줘서 고마워요. 하나님이 당신을 보내주셨네요.”라고 말했습니다.

예수님은 율법교사와의 대화 중에 이웃 사랑의 개념을 새롭게 정의 하셨습니다(누가복음 10:25-37). 예수님이 이웃사랑에 대해 그가 잘 알고 있는 법의 해석을 물었을 때, 그 율법교사는 이렇게 대답합니다. “네 마음을 다하며 목숨을 다하며 힘을 다하며 뜻을 다하여 주 너의 하나님을 사랑하고 또한 네 이웃을 네 자신 같이 사랑하라 하였나이다”(27절).

그러자 예수님은 강도 당한 피해자를 외면한 두 종교 지도자에 대한 이야기를 하시면서, 그 당시 대부분의 유대 지도자들이 멸시했던 사마리아인이 오히려 자신을 희생하며 어려움에 처한 사람을 도와주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30-35절). 율법교사가 강도 당한 사람에게 자비를 베푼 그 사람이 이웃처럼 사랑했다는 사실을 깨닫자, 예수님은 그에게 그 사마리아인과 같이 하라고 권면하셨습니다(36-37절).

다른 이들을 사랑하는 일은 항상 쉽고 편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사랑을 넘치도록 우리에게 베푸시는 예수님은 우리도 선한 사마리아인처럼 우리의 이웃을 사랑할 수 있게 도와주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10:27-37
예수께서 이르시되 가서 너도 이와 같이 하라
[누가복음 10:37]

하나님은 어떻게 당신에게 예상치 못한 이웃을 통해 그분의 사랑을 보여 주셨습니까? 이번 주에 어떻게 하나님의 사랑을 실제적으로 보여줄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예수님, 주님이 창조한 모든 이들을 사랑하고 내 이웃이라 부를 기회를 주소서.

Daily Article

03/03/2025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28-30; MARK 8:22-38
Hymn: 465(old 523)

EXTENDING GOD’S LOVE

One winter day in Michigan, a delivery man noticed an elderly woman shoveling snow off her driveway. He stopped and convinced the eighty-one-year-old to let him finish the job. Concerned that he’d be late delivering his other packages, she retrieved another shovel. They worked side by side for almost fifteen minutes as her neighbors watched from afar. “I’m thankful you helped me,” she said. “You’re God-sent.”

During a conversation with an expert in the law, Jesus redefined the concept of loving our neighbors (LUKE 10:25-37). When Jesus asked him to interpret the law he knew so well, the expert said, “ ‘Love the Lord your God with all your heart and with all your soul and with all your strength and with all your mind’; and, ‘Love your neighbor as yourself’ ” (V. 27).

Then Jesus shared a story about two religious leaders who ignored a robbery victim. But a Samaritan—a person most Jewish leaders in those days considered inferior—sacrificed to help the man in need (VV. 30-35). When the expert of the law realized that the one who had mercy on the man had loved like a neighbor, Jesus encouraged him to do likewise (VV. 36-37).

Loving others isn’t always easy or convenient. But as Jesus overwhelms us with His love, He’ll help us love all our neighbors like the Good Samaritan did.
-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LUKE 10:27-37
Jesus told him, “Go and do likewise.”
[ LUKE 10:37 ]

How has God shown you His love through an unexpected neighbor? Who can you show God’s love to in a practical way this week?

Dear Jesus, please give me opportunities to love all the people You created and call my neighbors.

오늘의 말씀

03/02/2025     주일

성경읽기: 민수기 26-27; 마가복음 8:1-21
찬송가: 388(통441)

예수, 우리의 안식처

1943년, 메릴랜드 주 시골에 있는 “샹그릴라”라는 캠프가 미국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즈벨트를 위한 휴양지로 구입되었습니다. 백악관 웹사이트에 따르면 소박하고 조용하며 외딴 곳에 위치한 이곳은 대통령들이 “혼자서 평온한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장소”일 뿐만 아니라 “외국 지도자들을 위해 일하고 접대하기에 이상적인 장소”입니다. 드와이트 아이젠하워가 대통령이 된 후 자신의 아버지와 손자 이름을 따서 이 휴양지 이름을 ‘캠프 데이비드’로 바꿨고, 그 이름이 지금까지 그대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보안 조치가 강화된 것을 제외하고는, 캠프는 거의 자연 그대로 현대화되지 않아서 미국대통령과 그의 가족이 일상에서 벗어나 휴식을 취하기에 완벽한 장소로 남아있습니다.

예수님을 믿는 신자들에게는 격동의 세상 한가운데서 안식을 찾을 수 있는 피난처가 있습니다. 시편 32편 7절에서 다윗 왕은 이렇게 말합니다. “주는 나의 은신처이오니 환난에서 나를 보호하시고 구원의 노래로 나를 두르시리이다.” 다윗은 하나님이 그의 진정한 안전한 장소임을 깨달았습니다.

예수님은 우리가 주님 안에서 안식과 회복을 찾도록 초대하십니다. 예수님은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수고하고 무거운 짐 진 자들아, 다 내게로 오라 내가 너희를 쉬게 하리라 나는 마음이 온유하고 겸손하니 나의 멍에를 메고 내게 배우라 그리하면 너희 마음이 쉼을 얻으리니”(마태복음 11:28-29).

예수님은 언제나, 항상, 그리고 아무 때나 우리의 안식처가 되어 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32:1-7
나는 마음이 온유하고 겸손하니 내게 배우라 그리하면 너희 마음이 쉼을 얻으리니
[마태복음 11:29]

무엇이 당신의 평화와 안식을 빼앗아 가나요?
어떻게 예수님 안에서 안식을 찾을 수 있을까요?

사랑의 하나님, 저는 지쳤습니다. 이 세상은 험난하고 때때로 제 안의 생명이 고갈된 것처럼 느껴집니다. 제가 주님께 더 나아가고 주님의 은혜로운 임재 안에서 안식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3/02/2025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26-27; MARK 8:1-21
Hymn: 388(old 441)

JESUS—OUR PLACE OF REST

In 1943, a camp in rural Maryland called Shangri-La was purchased as a retreat for US President Franklin D. Roosevelt. Rustic, quiet, and remote, it provided “an opportunity for solitude and tranquility,” according to the White House website, “as well as an ideal place to work and host foreign leaders.” When Dwight Eisenhower became president, he renamed this retreat Camp David in honor of his father and his grandson, and the name stuck. Aside from increased security measures, there has been very little modernizing of the camp. It remains the perfect place for US presidents and their families to escape and rest.

Believers in Jesus also have a retreat where we can find rest in the midst of our turbulent world. In Psalm 32:7, King David wrote, “You [God] are my hiding place; you will protect me from trouble and surround me with songs of deliverance.” David recognized that God was his true place of safety.

Jesus welcomes us to find rest and restoration in Him. He says, “Come to me, all you who are weary and burdened, and I will give you rest. Take my yoke upon you and learn from me, for I am gentle and humble in heart, and you will find rest for your souls” (MATTHEW 11:28-29).

He can be our place of rest any time, every time, and all the time.
- BILL CROWDER

Today's Reading

P SALM 32:1-7
Learn from me, for I am gentle and humble in heart, and you will find rest for your souls.
[ MATTHEW 11:29 ]

What robs you of peace and rest?
How might you seek to find rest in Jesus?

Loving God, I’m tired. This world is tough, and sometimes I feel like the very life is drained from me. Please help me to be more intentional about coming to You and finding rest in Your gracious presence.

오늘의 말씀

03/01/2025     토요일

성경읽기: 민수기 23-25; 마가복음 7:14-37
찬송가: 199(통234)

성경 이해하기

성경이 얼마나 중요할까요? 많은 나라에서 목숨을 걸고 성경을 모국어로 번역하는 사람들이 있을 정도로 성경은 우리에게 사활이 달린 책입니다. 이분들은 평신도들이지만 종종 그 나라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성경 말씀을 번역하다가 당국에 체포되기도 합니다.

예수를 믿는 이들에게 적대적인 어떤 나라의 여성 번역자는 말했습니다. “저는 이 일을 꼭 완수해야 합니다. 사랑하는 사람들이 그리스도 안에서 구원을 경험하는 것을 보고 싶습니다.” 또 어떤 남성은 일반 시민들을 조직하여 비밀리에 성경을 번역하면서 그 나라 교회에서 성숙한 신자들을 양육하는데 성경이 필수적 이라고 설명합니다. “교회를 시작할 수는 있지만... [모국어로 된 성경이 없으면] 일반적으로 한 세대 밖에 지속되지 못합니다.”

이들이 왜 이렇게 성경 번역에 매달릴까요? 이 세상에 성경 같은 책은 없기 때문입니다. 성경이 오랜 세월을 거쳐 보존되어 온 것은 아주 독특합니다. 성경의 진정성과 사람 마음의 표현은 정확합니다. 성경은 “살아 있고 활력이 있어... 마음의 생각과 뜻을 판단합니다”(히브리서 4:12). 뿐만 아니라 “모든 성경은 하나님의 감동으로 된 것으로”(디모데후서 3:16) 하나님께 영감을 받아 기록되었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성경이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에 이르는”(15절) 근거와 실체를 보여준다는 사실입니다.

성경을 읽고 소중히 여기며 성경에 의지해 살아갑시다.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시는 능력대로, 전 세계 사람들이 성경을 받아들이고 이해하도록 도웁시다.

오늘의 성구

디모데후서 3:14-16
하나님의 말씀은 살아 있고 활력이 있어... 마음의 생각과 뜻을 판단하나니
[히브리서 4:12]

성경에서 당신이 가장 좋아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다른 사람들이 성경을 더 잘 이해하도록 어떻게 도울 수 있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성경을 주심에 감사하며 다른 사람들과 성경을 나눌 수 있는 특권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3/01/2025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23-25; MARK 7:14-37
Hymn: 199(old 234)

UNDERSTANDING THE BIBLE

How important is the Bible? It’s so vital that people in many countries risk their lives to translate it into their native languages. Often, these are ordinary believers in Jesus who face arrest for translating the words of Scripture into a heart language others can understand.

One female translator from a country hostile to believers in Jesus said, “I must complete this work. I want to see my beloved ones experience salvation in Christ.” And a man who organizes regular citizens to clandestinely translate Scripture explains that the Bible is essential to growing mature believers in local churches: “You can start a church, but . . . [without] the Bible in its heart language, it will typically only last one generation.”

Why are they doing this? Because there’s no other book like the Bible. Its preservation through the centuries is unique. Its authenticity and its representation of the human heart is accurate. It’s “alive and active . . . [and] judges the thoughts and attitudes of the heart” (HEBREWS 4:12). And “all Scripture is Godbreathed” (2 TIMOTHY 3:16), inspired by Him. And most important, it reveals the source and reality of “salvation through faith in Christ Jesus” (V. 15).

Let’s read, cherish, and live by the Scriptures. And as God provides, let’s help those around the world receive it and understand it.
- DAVE BRANON

Today's Reading

2 TIMOTHY 3:14-16
The word of God is alive and active. . . . [It] judges the thoughts and attitudes of the heart.
[ HEBREWS 4:12 ]

What’s your favorite aspect of the Bible?
How can you help others understand it better?

Dear God, thank You for the Scriptures and for the privilege of sharing them with others.

오늘의 말씀

02/28/2025     금요일

성경읽기: 민수기 20-22; 마가복음 7:1-13
찬송가: 412(통469)

그리스도의 평강

논쟁으로 이길 수 있을까요? 절대로 아닙니다. 아디론댁 파크 지역에서 환경운동가들과 소상공인들 사이에 심한 “아디론댁 전쟁”이 시작되자 작은 마을의 한 지도자가 주민들에게 그렇게 경고했습니다. 이 다툼은 뉴욕 주 북부 지역의 천혜의 자연 지역을 그대로 보존할지 개발할지에 대한 싸움이었습니다.

지역의 한 지도자는 환경운동가에게 “네가 왔던 곳으로 돌아가!”라고 소리쳤습니다. 그러나 곧 “서로 고함지르지 말고 대화해 보자”고 하는 새로운 의견이 대두되었습니다. 그리고 서로 싸우는 진영 사이에 다리를 놓기 위한 ‘공동연합전선’이 형성되었습니다. 시민들의 대화가 진척을 보여 거의 백만 에이커의 야생지가 보존되면서 동시에 아디론댁 지역의 마을들은 지난 20년 보다 더 발전을 이루게 되었습니다.

평화롭게 공존하는 것을 시작으로 바울은 이보다 더 나은 것을 가르쳤습니다. 그는 골로새의 새로운 신자들에게 “분함과 노여움과 악의와 비방과 너희 입의 부끄러운 말을 제하여 버리라”(골로새서 3:8)고 말했습니다. 바울은 그들에게 옛 방식을 버리고 그리스도 안에서 새로운 성품을 가지라고 하면서, “긍휼과 자비와 겸손과 온유와 오래 참음을 옷 입으라”(12절)고 썼습니다.

오늘의 모든 그리스도인들은 불평을 일삼던 옛 삶 대신에 그리스도 안에서의 새로운 삶으로 초대받고 있습니다. “그리스도의 평강이 너희 마음을 주장하게 하라 너희는 평강을 위하여 한 몸으로 부르심을 받았나니”(15절). 그럴 때에 세상은 우리의 평강 속에서 예수님을 보게 될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골로새서 3:8-17
너희는 평강을 위하여 한 몸으로 부르심을 받았나니
[골로새서 3:15]

당신은 오늘 누구를 용서할 수 있습니까?
그리고 누구와 화해할 수 있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제가 예전처럼 분노로 차오를 때 하나님의 새로운 평강으로 덮어주소서.

Daily Article

02/28/2025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20-22; MARK 7:1-13
Hymn: 412(old 469)

PEACE OF CHRIST

Would they win by arguing? Never, a small-town leader warned residents in Adirondack Park where a pitched battle between environmentalists and small-business owners ignited the “Adirondack Wars.” The name described their fight whether to save the area’s pristine wilderness in Upstate New York or develop it.

“Go back wherever you came from!” a local leader had shouted at an environmentalist. But soon a new message emerged. “Don’t yell at each other. Try to talk to each other.” A Common Ground Alliance was formed to build bridges between warring factions. Civic dialogue led to progress—with nearly a million acres of wild land protected even as Adirondack towns grew more prosperous than they’d been in twenty years.

Peaceful coexistence is a start, but Paul taught something even better. To the new believers in Colossae, he said, “Rid yourselves of . . . anger, rage, malice, slander, and filthy language from your lips” (COLOSSIANS 3:8). Paul urged them to exchange their old ways for a new nature in Christ: “Clothe yourselves with compassion, kindness, humility, gentleness and patience,” he wrote (V. 12).

The invitation is offered today to all believers: surrender our old cantankerous lives to new life in Christ. “Let the peace of Christ rule in your hearts, since as members of one body you were called to peace” (V. 15). Then, in our peace, the world will see Jesus.
-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COLOSSIANS 3:8-17
As members of one body you were called to peace.
[ COLOSSIANS 3:15 ]

Whom could you forgive today?
With whom can you make peace?

Dear God, when my old life erupts in anger, please grant me new peace in You.

오늘의 말씀

02/27/2025     목요일

성경읽기: 민수기 17-19; 마가복음 6:30-56
찬송가: 516(통265)

앞으로 나아갈 길

‘어떻게 할까?’ 스콧과 브리는 성경과 동떨어진 삶을 살아가는 친구와 가족들과 어떤 사이로 지내야 할지 고민이 깊었습니다. 그러다 성경공부를 하고 기도를 하면서 앞길이 보였습니다. 첫째, 친구와 가족들을 더 사랑했습니다. 둘째, 하나님께서 원래 선하게 지으신 그들의 진실되고 좋은 점들을 말해주었습니다. 그 다음, 성경의 지혜를 가지고 그들과 사랑으로 소통하고 싶다고 말해주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스콧과 브리가 예수님 닮은 사랑을 보여주면서 대단한 신뢰의 관계로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호세아도 하나님과 남편을 존중하지 않는 삶을 사는 아내와 어떻게 지내야 할지 고민했을 것입니다. 하나님은 이 선지자에게 “너는 다시 가서 간음한 네 아내를 사랑하라”(호세아 3:1, 현대인의 성경)고 지시하셨습니다. 선지자는 아내를 더욱 분명하게 사랑하면서, 동시에 하나님 앞에서 맺은 그들의 관계에 있어 옳고 진실된 것들을 말했습니다(3절). 그와 아내와의 관계는 거역하는 옛 이스라엘 백성을 다루시는 하나님 자신을 상징하였습니다. 그들은 잘못된 길을 선택했지만 하나님은 앞으로 나아갈 길을 열어주시고 “그들을 마음껏 사랑할 것”(14:4, 현대인의 성경)이라고 하시면서 하나님의 길은 “정직하니” 그 길을 선택하라고 하셨습니다(9절).

하나님이 주시는 지혜와 분별력을 힘입어 비성경적인 삶의 방식을 선택한 사람들에게 하나님의 사랑과 진리를 계속 전합시다. 하나님께서 보여주신 길이 우리가 나아갈 길입니다.

오늘의 성구

호세아 3
이스라엘 자손이 다른 신을 섬길지라도 여호와가 그들을 사랑하나니 너는... [네 아내를] 사랑하라
[호세아 3:1]

하나님께서 어떻게 당신에게 사랑과 진리를 보여주셨습니까?
비성경적인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하나님의 사랑과 진리를 어떻게 보여줄 수 있을까요?

사랑의 하나님, 하나님과 동떨어진 삶을 사는 사람들에게 하나님의 진리와 사랑을 보여줄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2/27/2025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17-19; MARK 6:30-56
Hymn: 516(old 265)

A PATH FORWARD

What do we do? Scott and Bree agonized over how to relate to friends and family members who’d chosen unbiblical ways of life. As they studied the Scriptures and prayed, a path forward emerged: First, they reinforced their love for their friends and loved ones; second, they expressed what was true and good about them based on God’s good design; and third, they shared how they would lovingly interact with them based on Scriptural wisdom. In time, greater relational trust was built as Scott and Bree extended Christlike love.

Hosea likely wondered how to relate to his wife—a woman whose chosen way of life didn’t honor God or him. God directed the prophet to “show your love to your wife again, though she is . . . an adulteress” (HOSEA 3:1). The prophet evidently reinforced his love for her while also expressing what was right and true for them and their relationship before God (V. 3). His relationship with her symbolized God’s own challenge with rebellious ancient Israel. Though they’d chosen a wrong course, He provided a path forward, telling them His “love will know no bounds” (14:4 NLT) but to choose His ways for they “are right” (V. 9).

As God provides wisdom and discernment, let’s continue to extend His love and truth to those who’ve chosen unbiblical ways of life. His example provides the path forward.
- TOM FELTEN

Today's Reading

HOSEA 3
Love [your wife] as the Lord loves the Israelites, though they turn to other gods.
[ HOSEA 3:1 ]

How has God shown love and truth to you?
How can you show God’s love and truth to those on unbiblical paths?

Loving God, please help me to reflect Your truth and love to those far from You.

오늘의 말씀

02/26/2025     수요일

성경읽기: 민수기 15-16; 마가 6:1-29
찬송가: 211(통346)

주는 기쁨

다섯 시간의 비행기 여행 중에 한 여성이 열심히 스웨터를 뜨고 있었습니다. 실 사이로 뜨게바늘을 왔다 갔다 하던 그 여성은 다섯 달 된 아기가 넋을 잃고 그 모습을 바라보고 있는 것을 알았습니다. 그러자 이 여성에게 좋은 생각이 떠올랐습니다. 만들고 있던 스웨터는 놔두고 대신에 자기만 바라보는 이 아기에게 모자를 만들어주자는 것입니다. 남아 있는 비행 시간 동안 모자를 만들어야 하는데 단 한 시간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그 여성이 아기 엄마에게 작은 모자를 선물하자 온 가족이 그것을 받으며 기뻐했고 옆의 승객들도 웃으며 갈채를 보냈습니다.

깜짝 선물은 종종 우리 마음을 기쁘게 해줍니다. 필요했던 것이든 그냥 갖고 싶은 것이든, 선물을 주는 사람은 선물을 통해 우리에게 그리스도의 사랑도 함께 전해줄 수 있습니다. 초대교회 때 다비다는 옷을 나눠주기도 하며 “착한 일과 구제 사업을 많이 하는”(사도행전 9:36, 새번역) 사람이었습니다. 다비다가 죽자 그의 도움을 받았던 사람들은 “[다비다가] 그들과 함께 있을 때에 지은 속옷과 겉옷”(39절)을 내보여 주었습니다. 그들은 다비다의 친절과 그들의 삶에 끼친 영향에 대해 증언했습니다.

이야기는 극적으로 반전되어 베드로가 성령의 능력으로 다비다를 다시 살려냈습니다(40절). 그의 이러한 사역으로 다비다를 사랑하는 사람들에게는 기쁨이 넘쳤고, 다른 많은 사람들도 그리스도를 믿게 되었습니다(42절).

우리의 친절한 행동은 우리가 할 수 있는 가장 기억에 남는 증언이 될 수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베푸시는 것으로 우리도 오늘 다른 사람들에게 깜짝 선물을 베풀어 줍시다.

오늘의 성구

사도행전 9:36-43
다비다라 하는 여제자가 있으니... 선행과 구제하는 일이 심히 많더니
[사도행전 9:36]

당신은 다른 사람들에게 어떤 선물을 줄 수 있습니까?
친절한 선물을 받았을 때 그것이 당신에게 어떤 의미로 다가왔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제가 가진 재능과 재물을 나누어 다른 사람들에게 친절을 베풀 수 있게 하소서.

Daily Article

02/26/2025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15-16; MARK 6:1-29
Hymn: 211(old 346)

THE JOY OF GIVING

On a five-hour flight, a woman vigorously crocheted a sweater. As she moved her hook in and out of her yarn, she noticed a five-month-old baby who was mesmerized by her motions. Then the woman got an idea: instead of finishing the sweater she was working on; she would make a hat for her little admirer. She had to finish the hat in the remaining time of the flight, however—just one hour! When the woman presented the child’s mom with the little hat, the whole family accepted it with joy while the other passengers smiled and applauded.

Surprise gifts are often received with joy. Whether they’re gifts we need or simply want, through them the giver may also show us the kindness of Christ. In the early church, Tabitha was known for sharing clothes and “always doing good and helping the poor” (ACTS 9:36). When she died, her beneficiaries displayed “the robes and other clothing that [she] had made . . . them” (V. 39). They testified about her kindness and how she’d touched their lives.

In a dramatic turn of events, Peter, through the Holy Spirit’s power, brought Tabitha back to life (V. 40). His actions filled those who loved her with joy—and led many others to believe in Christ (V. 42).

Our actions of kindness can be some of the most memorable testifying we do. As God provides, let’s share some surprise gifts with others today.
- KATARA PATTON

Today's Reading

AC TS 9:36-43
Tabitha . . . was always doing good and helping the poor.
[ ACTS 9:36 ]

What gifts can you share with others?
What has it meant for you to receive gifts of kindness?

Heavenly Father, please remind me to be kind to others— sharing my gifts and treasures.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