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1/16/2025 목요일
쉬운 길과 어려운 길
한편으로는, 그것이 간단한 일이 아닐지도 모릅니다. 이스라엘의 출애굽기를 살펴보면 우리는 하나님의 방법이 복잡하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하나님은 이스라엘 민족을 쉬운 길로 인도하셨습니다. “이 백성이 전쟁을 하게 되면 마음을 돌이켜 애굽으로 돌아갈까 하셨음이라”(출애굽기 13:17). 그런데 몇 절 후에, 하나님은 모세에게 되돌아 가라고 말씀하시며 바로가 그의 군대를 규합해 싸우러 오게 하셨습니다(14:1-4). 바로는 그 하나님의 속임수에 넘어갔습니다. 이스라엘 자손은 “심히 두려워하여 여호와께 부르 짖었습니다”(10절). 모세는 그들을 향해 “여호와께서 너희를 위하여 싸우시리니 너희는 가만히 있을지니라”(14절)고 꾸짖었습니다.
하나님은 쉬운 길과 어려운 길을 모두 사용하여 자기 백성들을 성장 시키고 주님께 영광을 돌리게 하십니다. 주님은 “바로와 그의 온 군대로 말미암아 영광을 얻어 애굽 사람들이 나를 여호와인 줄 알게 하리라”(4절) 고 약속하셨습니다. 이스라엘은 하나님 말씀대로 그렇게 했습니다. 우리도 그렇게 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쉬운 일이든 어려운 일이든 여러가지 시험을 통하여 우리의 믿음을 굳게 세우십니다. 삶이 평안할 때 주님 안에서 안식하십시오. 삶이 어려울 때는 주님께 맡기십시오.
오늘의 성구
출애굽기 14:5-14하나님이 말씀하시기를 이 백성이 전쟁을 하게 되면 마음을 돌이켜 애굽으로 돌아갈까 하셨음이라
[출애굽기 13:17]
고난이 당신을 어떻게 성장시켰나요? 왜 하나님은 쉬운 시험과 어려운 시험을 둘 다 사용하신다고 생각하나요?
사랑하는 예수님, 주님은 모든 시험을 통과하신 분입니다.
Daily Article
01/16/2025 Thursday
EASY AND HARD
Then again, perhaps it’s not that simple. We learn about the complexity of God’s ways by observing the exodus of Israel. God led the young nation out of Egypt on an easy road, saying of Israel, “If they face war, they might change their minds and return to Egypt” (EXODUS 13:17). Yet a few verses later, God told Moses to double back so Pharaoh would rally his army and come out to fight (14:1-4). Pharaoh took the bait. The Israelites “were terrified and cried out to the Lord” (V. 10). Moses chided them, “The Lord will fight for you; you need only to be still” (V. 14).
God uses both easy and hard paths to grow His people and bring Him glory. He promised, “I will gain glory for myself through Pharaoh and all his army, and the Egyptians will know that I am the Lord” (V. 4). So did Israel. So can we. God is building our faith through every test, whether easy or hard. When life is easy, rest in Him. When life is hard, let Him carry you.
- MIKE WITTMER
Today's Reading
EXODUS 14:5-14God said, “If they face war, they might change their minds and return to Egypt.”
[ EXODUS 13:17 ]
How has pain contributed to your growth? Why do you think God uses both easy and hard tests?
Dear Jesus, You’re enough for every test.
오늘의 말씀
01/15/2025 수요일
하나님과 새로운 시작
하지만 또 다른 사람도 눈에 띕니다. 그는 말을 타고 있으며, 그림 바깥 쪽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일부 사람들은 이것을 렘브란트의 또 다른 자화상으로 보고 있습니다. 관찰하는 모든 이들을 사로잡는 그의 꿰뚫어 보는 듯한 눈빛은 “당신도 여기에 있지 않습니까?”라는 질문을 던지는 것 같습니다.
바울은 자신을 그곳에서 보았고, 우리도 그럴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예수님께서 우리를 위하여 고통 당하시며 돌아가셨기 때문입니다. 로마서 5장 10절에서 바울은 자신과 우리를 “하나님의 원수”라고 부릅니다. 우리들의 죄로 말미암아 예수님께서 돌아가셨으나, 그분의 죽음으로 인해 우리는 하나님과 화해하게 되었습니다. “우리가 아직 죄인 되었을 때에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죽으심으로 하나님께서 자기의 사랑을 확증하셨습니다”(8절).
우리는 렘브란트와 바울과 함께 서 있습니다. 그들은 우리처럼 용서가 필요한 죄인들입니다. 주님의 십자가를 통해 예수님은 우리가 스스로는 결코 할 수 없는 것을 제공하시며, 우리의 가장 깊은 필요를 충족시켜 주십니다. 즉, 하나님과의 새로운 시작을 하도록 하십니다.
오늘의 성구
로마서 5:6-11우리가 아직 죄인 되었을 때에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죽으셨느니라
[로마서 5:8]
당신은 한때 어떻게 하나님의 원수였나요?
오늘날 주님의 친구로 어떻게 살아갈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예수님, 저를 위해 당신 자신을 내어 주심에 감사드립니다.
오늘 하루도 주님의 사랑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Daily Article
01/15/2025 Wednesday
A NEW BEGINNING WITH GOD
But there’s another who also stands out. He’s on horseback, looking directly out of the painting. Some see this as a second self-portrait by Rembrandt, engaging all who observe with a knowing glance that seems to ask, “Aren’t you here too?”
Paul saw himself there, and we may also, because Jesus suffered and died for us as well. In Romans 5:10, he refers to himself and us as “God’s enemies.” But even though our sins caused Jesus’ death, His death reconciles us to God: “God demonstrates his own love for us in this: While we were still sinners, Christ died for us” (V. 8).
We stand with both Rembrandt and Paul: sinners in need of forgiveness. Through His cross, Jesus offers us what we could never do for ourselves and meets our deepest need: a new beginning with God.
- JAMES BANKS
Today's Reading
ROMANS 5:6-11While we were still sinners, Christ died for us.
[ ROMANS 5:8 ]
How were you once God’s enemy?
In what ways can you live as His friend today?
Dear Jesus, thank You for giving Yourself for me.
Please help me to live in Your love today.
오늘의 말씀
01/14/2025 화요일
하나님과 동행
성경 이야기 속에서 걷기는 하나님과의 교제를 상징하는 비유로 사용됩니다. 창세기 3장에는 하나님께서 “날이 서늘할 때에”(8절. 현대인의 성경) 아담과 하와와 함께 동행하며 걸으셨다는 이야기가 나옵니다. 창세기 5장은 “300년 동안 하나님과 함께 신실하게 걸은”(22절) 에녹의 이야기도 들려줍니다. 어느 날 에녹은 창조주와 늘 함께 시간을 보내다가 끌어 올림을 받는 즉시 하나님과 함께 하게 되었습니다(23절). 창세기 17장에서 하나님은 아브람과의 언약을 갱신하시면서 아브람에게 하나님 “앞에서 걷도록” 초대하셨습니다 (1절). 그리고 야곱은 생애 말년에 하나님을 그의 목자로 묘사하고 “신실하게 걸어 온” 그의 조상들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48:15). 또 신약에서 바울은 우리에게 “성령을 따라 행하라”(갈라디아서 5:16)고 가르쳤습니다.
창세기에 나오는 에녹과 족장들처럼 우리도 매일 하나님과 동행하며 걸을 수 있습니다. 우리는 우리의 삶을 예수님께 내어드리고 성령님의 인도를 받음으로써 그렇게 합니다. 그것이 참된 건강의 길입니다. 당신의 걷기는 어떻습니까?
오늘의 성구
창세기 5:21-24에녹이 하나님과 동행하더니
[창세기 5:24]
“하나님과 동행하는 것”을 어떻게 설명하시겠습니까? 오늘 당신은 성경을 묵상하면서 어떻게 그 말씀을 따르고 순종하시겠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제가 주님과 함께 동행하지 않고 제 자신의 계획을 추구한 것을 용서해 주소서. 주님과 보조를 맞추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1/14/2025 Tuesday
WALKING WITH GOD
Throughout the story of the Bible, walking is used as a metaphor for communing with God. In Genesis 3, we’re told how God walked with Adam and Eve “in the cool of the day” (V. 8). Genesis 5 shares the story of Enoch, who “walked faithfully with God 300 years” (V. 22). One day Enoch’s regular time spent with his Creator led to him being taken directly to be with God (V. 24). In Genesis 17, God invited Abram to “walk before” Him as He renewed His covenant with him (V. 1). And Jacob, near the end of his life, described God as his shepherd and spoke of his ancestors who had “walked faithfully” (48:15). In the New Testament, Paul instructed us to “walk by the Spirit” (GALATIANS 5:16).
Like Enoch and the patriarchs in Genesis, we can walk with God daily. We do so by surrendering our lives to Jesus and being guided by the Holy Spirit. That’s the path to true health. How’s your walk?
- MATT LUCAS
Today's Reading
GENE SIS 5:21-24Enoch walked faithfully with God.
[ GENESIS 5:24 ]
How would you describe “walking with God”? Today, as you reflect on Scripture, how will you follow and obey it?
Father, please forgive me when I’ve chosen not to walk with You but pursued my own agenda. Help me keep in step with You.
오늘의 말씀
01/13/2025 월요일
진실을 찾는 탐색
갈레프의 통찰은 믿는 사람들이 가져야 할 비슷한 사고방식, 곧 “듣기는 속히 하고 말하기는 더디 하며 성내기도 더디 하라”(야고보서 1:19)는 야고보의 격려를 생각나게 합니다. 야고보는 예수님을 믿는 신자들에게 다른 사람들에게 생각 없이 반사적으로 반응하지 말고, 사람이 화를 내는 것이 하나님의 의를 이루지 못한다(20절)는 것을 잊지 말라고 강력히 권고합니다. 지혜의 성장은 하나님의 은혜에 겸손히 복종함으로써만 가능합니다(21절; 디도서 2:11-14 참조).
우리 삶의 매 순간이 우리 손에 달려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은혜에 달려 있다는 점을 기억할 때 우리는 항상 옳아야 한다는 욕구를 버릴 수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자신이 어떻게 살며 다른 사람을 어떻게 돌볼 것인지에 대해 하나님의 인도하심에 의지할 수 있습니다(야고보서 1:25-27).
오늘의 성구
야고보서 1:19-27사람마다 듣기는 속히 하고 말하기는 더디 하며 성내기도 더디 하라
[야고보서 1:19]
겸손하게 배우고 변화하려는 의지를 보인 사람들의 모습을 어떤 곳에서 보셨나요?
다른 사람에게서 배우려는 의지를 어떻게 키울 수 있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제가 항상 옳아야 한다는 필요를 포기하고 주님과 동행하면서 끝없는 배움의 선물을 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1/13/2025 Monday
SCOUTING FOR TRUTH
Galef argues a more helpful mindset is that of a scout—someone focused not primarily on eliminating threats but on seeking the complete truth: comprehending “what’s really there as honestly and accurately as you can, even if it’s not pretty or convenient or pleasant.” People with this outlook have the humility to continually grow in understanding. Galef’s insights bring to mind James’ encouragement that believers adopt a similar mindset—one where they’re “quick to listen, slow to speak and slow to become angry” (JAMES 1:19). Instead of being driven by knee-jerk reactions to others, James urges believers in Jesus to remember that human anger doesn’t lead to God’s righteousness (V. 20). Growth in wisdom is only possible through humble submission to His grace (V. 21; SEE TITUS 2:11-14).
When we remember that each moment of our lives is dependent on God’s grace—not on us—we can let go of a need to always be right. And we can rely on His leading for how to live and care well for others (JAMES 1:25-27).
- MONICA LA ROSE
Today's Reading
JAME S 1:19-27Everyone should be quick to listen, slow to speak and slow to become angry.
[ JAMES 1:19 ]
What examples have you seen of a spirit of humble willingness to learn and change?
How can you cultivate a willingness to learn from others?
Dear God, please help me to surrender the need to always be right in exchange for the gift of unending learning as I journey with You.
오늘의 말씀
01/12/2025 주일
하나님은 행동하실 것입니다
마가라 하는 요한도 바울이 선교 팀에서 그를 제외했을 때 같은 기분을 느꼈을 것입니다. 분명히, 이 청년은 이전에 그들을 떠난(사도행전 15:37-38) 일을 후회하고 이번에는 포함되기를 바랐을 것입니다. 이 청년은 아마도 바울이 그를 불공평하게 판단했다고 느낄 수 밖에 없었을 것이고, 오직 바나바만이 그를 믿었습니다.
몇 년 후, 바울은 마음을 바꾸어 이렇게 말했습니다. “마가를 데리고 오라 그가 나의 일에 유익하니라”(디모데후서 4:11). 마가라 하는 요한도 자신의 평판이 회복된 것에 대해 안도했을 것입니다.
우리가 불공정한 비판을 받았을 때, 예수님께서는 우리가 어떤 기분인지 잘 아실 줄 기억합시다. 예수님은 죄가 없으시나 그분 자신이 죄인으로 심판 받았으며, 하나님의 아들임에도 불구하고 보통 범죄자보다 더 억울한 대우를 받으셨습니다. 그러나 그분은 자신의 정당성이 입증되고 의로움이 드러날 것임을 알고 아버지의 뜻을 계속 행하셨습니다. 만약 당신이 불공정하게 판단 받았다면, 포기하지 마십시오. 하나님은 알고 계시며 하나님의 때에 행동하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사도행전 15:36-41마가를 데리고 오라 그가 나의 일에 유익하니라
[디모데후서 4:11]
당신이 불공평하게 판단 받았을 때 붙들 수 있는 하나님의 약속은 무엇인가요?
예수님이 겪으신 일이 어떻게 격려가 됩니까?
하나님 아버지, 주님만이 제가 느끼는 것과 겪고 있는 것을 아십니다.
주님은 공의로운 하나님이시므로 저에게 믿음과 인내를 주셔서 주님을 기다리며 신뢰하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1/12/2025 Sunday
GOD WILL ACT
John Mark may have felt the same when Paul dropped him from the mission team. To be sure, the young man had left them earlier (ACTS 15:37-38). But perhaps he’d regretted this and was hoping to be included this time. He must have felt unfairly judged by Paul; only Barnabas believed in him.
Years later, Paul would change his mind. “Get Mark and bring him with you, because he is helpful to me in my ministry,” he said (2 TIMOTHY 4:11). John Mark must have been relieved to have his reputation restored.
When we’re unfairly judged, may we remember that Jesus understands how we feel: He Himself was judged a sinner though He wasn’t, and He was treated worse than a common criminal though He was the Son of God. But He continued to do His Father’s will, knowing that He’d be vindicated and shown to be righteous. If you’ve been unfairly judged, don’t give up: God knows and will act in His time.
- LESLIE KOH
Today's Reading
AC TS 15:36-41Get Mark and bring him with you, because he is helpful to me in my ministry.
[ 2 TIMOTHY 4:11 ]
What promises of God can you hold on to when you’re unfairly judged?
How does Jesus’ example encourage you?
Father, only You know how I feel and what I’m going through.
Please grant me the faith and patience to wait and to trust in You, for You’re a just God.
오늘의 말씀
01/11/2025 토요일
인간이 아닌 다른 입을 통한 하나님 말씀
하나님도 발람에게 주의를 주기 위해 동물을 사용하셨습니다. 발람은 “가라... 그리고 내가 네게 이르는 말만 준행하라”(민수기 22:20)는 하나님의 지시에 응하여 모압으로 가기 위해 자기의 나귀에게 안장을 얹었습니다. 그러나 발람에게는 보이지 않았던 여호와의 사자가 “칼을 빼어 손에 들고 길에 선 것”을 나귀가 보고는 걸음을 멈추었습니다(23절). 발람이 계속 앞으로 나아가려고 할 때, 하나님이 나귀에게 인간의 말을 하도록 했습니다. 발람의 눈이 마침내 위험한 상황을 보게 되었을 때, “그가 머리를 숙이고 엎드리고” (31절), 자신의 내면에 하나님의 지시와는 다르게 어떤 보상을 받거나 하나님의 백성을 저주하려는 의도가 있었음을 시인했습니다(37-38절). 그가 말하되 “내가 범죄하였나이다 당신이 나를 막으려고 길에 서신 줄을 내가 알지 못하였나이다”(34절).
우리가 성령의 인도하심을 따라 성경 말씀을 통해, 그리고 다른 이들의 지혜로운 조언을 통해 주시는 하나님의 지시를 겉으로만이 아니라 마음 중심으로 따르기를 원합니다.
오늘의 성구
민수기 22:21-23, 31-35발람이 여호와의 사자에게 말하되 내가 범죄하였나이다 당신이 나를 막으려고 길에 서신 줄을 내가 알지 못하였나이다
[민수기 22:34]
당신은 어떤 영역에서 내면의 의도 없이 순종하는 모습을 보이나요?
하나님께서는 어떻게 그 점에 대해 당신의 주의를 환기시키고 계실까요?
하늘에 계신 아버지, 사랑의 손길로 이끌어 주시고 죄와 내게 유익하지 않은 것에서 보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1/11/2025 Saturday
OUT OF THE MOUTHS OF . . .
God used an animal to get Balaam’s attention too. Balaam saddled his donkey to travel to Moab in response to God’s instructions to “go . . . but do only what I tell you” (NUMBERS 22:20). The donkey stopped when it saw God’s angel “standing in the road with a drawn sword in his hand,” though Balaam couldn’t see it (V. 23). Balaam continued to try to press forward, so God enabled the donkey to speak in human words. When Balaam’s eyes were finally opened to the danger, “he bowed low and fell facedown” (V. 31), admitting his inward intention to either collect a reward or curse God’s people contrary to God’s instructions (VV. 15-18, 37-38). “I have sinned,” he said. “I did not realize you were standing in the road to oppose me” (V. 34).
May we heed the instructions God gives us in the pages of the Bible, through the Holy Spirit’s guidance, and in the wise counsel of others—not just outwardly, but inwardly, too.
-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NUMBERS 22:21-23, 31-35Balaam said to the angel of the Lord, “I have sinned. I did not realize you were standing in the road to oppose me.”
[ NUMBERS 22:34 ]
In what area do you give the appearance of obedience without the inward intention?
How might God be calling your attention to that?
Heavenly Father, thank You for lovingly guiding and turning me away from sin and things that aren’t good for me.
오늘의 말씀
01/10/2025 금요일
성경이 드러내는 것
이 젊은 여성이 거의 석 달 동안이나 주변 사람 전체를 어떻게 속일 수 있었는지 의아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요한2서는 “미혹하는 자가 세상에 많이 나왔다”(1:7)고 언급하면서, 속이는 일은 늘 있어왔다고 경고합니다. 그들은 예수 그리스도가 “육체로”(7절) 오셨다는 사실을 부인하거나,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벗어나(9절) 오늘날에는 성경이 타당하지 않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입니다. 이렇게 미혹하는 자들은 우리가 “온전한 상”(8절)을 받지 못하게 하고, 심지어 그들의 일에 합세하도록 우리를 속이기까지 합니다(11절).
아무도 속는 것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글로스터셔 사람들은 그 일로 옷가지와 약간의 음식을 낭비하는 데 그쳤지만, 성경은 죄와 속임수의 결과가 우리를 계속해서 위협한다고 말합니다. 말씀을 가까이 하면 하나님께서는 “우리가 그 계명을 따라”(6절) 행하고 미혹을 피할 수 있도록 도우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2서 1:4-11미혹하는 자가 세상에 많이 나왔나니 이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육체로 오심을 부인하는 자라
[요한2서 1:7]
요즈음 거짓 교사를 어떻게 경계하고 있습니까?
무엇이 말씀을 읽고, 묵상하고, 적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말씀의 지혜 위에 굳게 서서 미혹 당하지 않게 하소서.
Daily Article
01/10/2025 Friday
WHAT SCRIPTURE REVEALS
We may wonder how this young woman deceived an entire community for almost three months. But the book of 2 John warns us that deception is nothing new as it mentions “many deceivers who . . . have gone out into the world” (1:7). These are people who deny that Jesus Christ came “in the flesh” (V. 7), or those who go beyond what Christ taught (V. 9)—proclaiming that the Bible isn’t adequate for us today. Both these types of deceivers can cause us to not “receive [our] full reward” (V. 8 NLT) and can even trick us into helping them in their work (V. 11).
No one likes to be deceived. The people of Gloucestershire didn’t lose much, just some clothing and a few meals. But the Bible says that the consequences of sin and deception continue to threaten us. As we engage with Scripture, God will help us avoid deception as we “walk in obedience to his commands” (V. 6).
- BRENT HACKETT
Today's Reading
2 JOHN 1:4-11Many deceivers, who do not acknowledge Jesus Christ as coming in the flesh, have gone out into the world.
[ 2 JOHN 1:7 ]
How do you watch for false teachers today?
What will help you read, reflect on, and respond to Scripture?
Dear Father, please help me to stand firm on the wisdom of Scripture and not be deceived.
오늘의 말씀
01/09/2025 목요일
생명보다 나은 것
성경에서 하나님을 가장 친밀하게 예배했던 순간들 중 일부는 광야에서 일어났습니다. 다윗 왕은 유다 광야에서 자신의 아들 압살롬을 피해 숨어 있을 때 이렇게 노래했습니다. “하나님이여 주는 나의 하나님이시라 내가 간절히 주를 찾되 물이 없어 마르고...내 영혼이 주를 갈망하며”(시편 63:1). 하나님의 능력과 영광을 경험한 다윗은 하나님의 사랑이 “생명보다 낫다고” (3절) 여겼고, 광야에 있을지라도 평생을 예배하기로 작정했습니다(2-6절). 그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주는 나의 도움이 되셨음이라 내가 주의 날개 그늘에서 즐겁게 부르리이다 내 영혼이 주를 가까이 따르니 주의 오른손이 나를 붙드시거니와”(7-8절).
우리가 처해 있는 상황이나 우리를 대적하는 자들의 맹렬함에 상관없이 우리는 다윗처럼 하나님을 찬양함으로써 그분을 향한 믿음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11절). 우리가 때로는 억울하게 고통 당할 수 있지만, 우리는 하나님의 사랑이 언제나 생명보다 낫다는 것을 믿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63주의 인자하심이 생명보다 나으므로 내 입술이 주를 찬양할 것이라
[시편 63:3]
비난 받거나 패배감을 느낄 때 하나님께서 당신을 사랑하신다는 것을 알면 어떤 도움이 됩니까?
언제 힘든 시기에 하나님을 찬양하면서 믿음이 견고해 진 적이 있나요?
나의 하나님, 주님의 사랑이 생명보다 낫습니다!
Daily Article
01/09/2025 Thursday
BETTER THAN LIFE
Some of the most intimate moments of worshiping God recorded in Scripture took place in the wilderness. While hiding in the Desert of Judah and most likely on the run from his son Absalom, King David sang: “You, God, are my God, earnestly I seek you; I thirst for you, my whole being longs for you” (PSALM 63:1). Having experienced God’s power and glory, David deemed God’s love as “better than life” (V. 3), and it was the reason he committed to a lifetime of worship—even while in the wilderness (VV. 2-6). He said, “Because you are my help, I sing in the shadow of your wings. I cling to you; your right hand upholds me” (VV. 7-8).
Like David, regardless of our circumstances or the fierceness of those standing against us, we can demonstrate confidence in God by praising Him (V. 11). Though we’ll suffer, sometimes by no fault of our own, we can trust that God’s love is always better than life.
-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PSALM 63Because your love is better than life, my lips will glorify you.
[ PSALM 63:3 ]
How can knowing God loves you help when you’re feeling attacked or defeated?
When has praising Him strengthened your faith during hard times?
My God, Your love is better than life!
오늘의 말씀
01/08/2025 수요일
청각장애인의 마음
레이사는 수어 실력이 점점 늘어나면서 청각 장애인과 편하게 어울리게 되었습니다. 한 파티에서 어떤 청각 장애인이 레이사가 들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놀랐습니다. 레이사가 답변을 하려는 순간 다른 친구가 “쟤는 청각 장애인의 마음을 가졌어.”라고 수어로 말했습니다. 그 비결은 레이사가 그들의 세계에 함께 하고자 했던 의지였습니다.
레이사는 “자신을 낮추어” 청각 장애인들과 함께 했던 것이 아니었습니다. 자신이 들을 수 있다는 것만 빼고는 레이사와 그들은 같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이 세상에 오셔서 우리 모두와 함께 하시려고 몸소 낮아지셨습니다. 그분은 “천사들보다 잠시 동안 못하게 하심을 입은 자”(히브리서 2:9)였습니다. 그리스도께서 “우리와 같은 모양으로 혈과 육을 함께 지니심은 죽음을 통하여 죽음의 세력을 잡은 자 곧 마귀를 멸하기 위함”(14절) 이었습니다. 그로 인해 주님은 “죽기를 무서워하므로 한평생 매여 종 노릇하는 모든 자들을 놓아 주려”(15절) 하셨습니다. 또한 주님은 “하나님의 일에 자비하고 신실한 대제사장이 되어 백성의 죄를 속량하시기 위해 범사에 우리와 같이 되셨습니다”(17절).
우리가 어떤 상황에 있더라도 예수님은 그것을 알고 이해하십니다. 그분은 우리의 마음을 들으시고 언제나 우리와 함께 계십니다.
오늘의 성구
히브리서 2:9-18그도 또한 같은 모양으로 혈과 육을 함께 지니심은 죽음을 통하여 죽음의 세력을 잡은 자 곧 마귀를 멸하시며
[히브리서 2:14]
예수님도 당신의 어려움을 겪으셨다는 사실은 어떤 의미가 있습니까?
잠시 다른 사람의 세계로 들어가보는 것은 어떨까요?
하나님 아버지, 당신의 아들 예수님을 선물로 주시고 저를 주의 가족으로 삼아 주심을 감사드립니다.
Daily Article
01/08/2025 Wednesday
A DEAF HEART
Leisa’s signing steadily improved to the point where she felt at home with the Deaf. At a party, a Deaf person was surprised to learn Leisa could hear. Before Leisa could respond, another friend signed, “She has a Deaf heart.” The key had been Leisa’s willingness to live in their world.
Leisa didn’t “condescend” to be with the Deaf. Except for her hearing, she was like them. But Jesus did stoop to reach all of us—to live in our world. He “was made lower than the angels for a little while” (HEBREWS 2:9). Christ “shared in [our] humanity so that by his death he might break the power of him who holds the power of death—that is, the devil” (V. 14). In doing so, He freed “those who all their lives were held in slavery by their fear of death” (V. 15). More than that, He was “fully human in every way, in order that he might become a merciful and faithful high priest in service to God” (V. 17).
Whatever we face, Jesus knows and understands. He hears our heart. He’s with us in every way.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HEBREWS 2:9-18[Jesus] too shared in their humanity so that by his death he might break the power of . . . the devil.
[ HEBREWS 2:14 ]
What does it mean to you that Jesus has experienced the same hardships you face?
How might you step into someone else’s world for a while?
Thank You, Father, for the gift of Your Son, who brings me into Your family.
오늘의 말씀
01/07/2025 화요일
창조 속에서 만난 하나님
욥 또한 삶의 많은 것을 잃은 후 믿음이 흔들렸습니다. 그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내가 주께 부르짖으나 주께서 대답하지 아니하시오며 내가 섰사오나 주께서 나를 돌아보지 아니하시나이다”(욥기 30:20). 하나님께서는 욥을 못 보신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경이로운 창조 세계를 보고 욥의 생각이 넓어져야 한다고 “폭풍우 가운데”(38:1) 말씀하셨습니다. “땅의 기초”와 “새벽 별들”(4, 7절)과, 그 가운데 있는 모든 생물, 식물, 물(8-41절)은 욥이 신뢰하는 그분, 곧 놀라운 사랑과 권능의 하나님을 드러냅니다. 욥은 고백했습니다. “내가 주께 대하여 귀로 듣기만 하였사오나 이제는 눈으로 주를 뵈옵나이다”(42:5).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이 의심될 때 하나님의 창조의 경이로움을 떠올려 보십시오. 우리가 보는 눈을 갖기만 한다면, 하나님은 창조 세계 가운데 자신을 드러내십니다.
오늘의 성구
욥기 42:1-6내가 주께 대하여 귀로 듣기만 하였사오나 이제는 눈으로 주를 뵈옵나이다
[욥기 42:5]
하나님은 창조 속에서 어떻게 자신을 드러내셨습니까?
하나님을 향한 경외함과 그분을 향한 믿음은 어떤 연관이 있을까요?
창조주 하나님, 창조 속에서 주님을 볼 수 있게 도와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1/07/2025 Tuesday
SEEING GOD IN CREATION
After he’d lost much in life, Job’s faith had also been shaken. He said, “I cry to you, O God, but you don’t answer. I stand before you, but you don’t even look” (JOB 30:20 NLT). God “spoke to Job out of the storm” (38:1), declaring that it wasn’t about Him not seeing Job but that Job’s vision needed to be expanded as he considered God’s amazing, intricate creation. The “earth’s foundation” and the “morning stars” (VV. 4, 7) and all the creatures, plants, and waters found between (VV. 8-41), pointed to the one whom Job could trust—the God of amazing love and power. Job responded by saying, “My ears had heard of you but now my eyes have seen you” (42:5).
When doubts threaten your faith in Christ, consider the magnificence of God’s creation. He reveals Himself in it if we only have eyes to see. TOM FELTEN
Today's Reading
JOB 42:1-6My ears had heard of you but now my eyes have seen you.
[ JOB 42:5 ]
How has God revealed Himself in creation?
How are awe of God and faith in Him linked?
Creator God, thank You for helping me see You in cre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