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7/27/2017     목요일

성경읽기: 시 43-45; 행 27:27-44
찬송가: 430(통 456)

좋은 동반자

양로원에 계시던 그 할머니는 아무에게도 말을 걸지 않았고, 무엇을 부탁하지도 않았습니다. 삐걱거리는 오래된 흔들의자를 흔들며, 단지 존재하고 있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찾아오는 사람도 별로 없어서 한 젊은 간호사가 휴식 시간을 이용하여 그 할머니를 종종 찾아가곤 했습니다. 말을 걸려고 질문을 던지는 대신, 그 간호사는그냥 다른 흔들의자를 할머니 옆으로 가져가 옆에서 같이 흔들며 앉아 있었습니다. 몇 달이 지난 후 그 할머니는 “나와 함께 해주어서 고마워요.”라고 말했습니다. 그녀는 동반자가 있다는 것에 감사했습니다.

예수님은 승천하시기 전에 제자들에게 변함없는 동반자를 보내주시겠다고 약속하셨습니다. 주님은 그들을 홀로 내버려두시지 않고 성령님을 보내 그들 속에 있게 하시겠다고 말씀하셨습니다(요한복음 14:17). 그 약속은 오늘날 예수님을 믿는 모든 사람들에게도 마찬가지로 적용됩니다. 예수님은 삼위일체의 하나님께서 우리 안에 “거처”를 마련하신다고 말씀하셨습니다(23절).

주님은 평생 동안 계속해서 가장 가깝고 신실한 우리의 동반자 이십니다. 주님은 가장 어려운 고통 가운데에서 우리를 이끌어주시며, 우리 죄를 용서해주시고, 침묵의 기도를 들으시며, 우리가 질 수 없는 무거운 짐을 져주십니다.

오늘 우리는 좋은 동반자 되시는 주님과 함께 즐거워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4:15-26
그는 진리의 영이라......그는 너희와 함께 거하심이요 또 너희 속에 계시겠음이라
요한복음 14:17

사랑하는 주님, 우리의 변치 않는 동반자로 성령님을 주시니 감사합니다.

그리스도인의 마음은 성령님이 거하시는 처소이다.

Daily Article

07/27/2017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43–45 and ACTS 27:27–44
Hymn: 430(old 456)

Sweet Company

The elderly woman in the nursing home didn’t speak to anyone or request anything. It seemed she merely existed, rocking in her creaky old chair. She didn’t have many visitors, so one young nurse would often go into her room on her breaks. Without asking the woman questions to try to get her to talk, she simply pulled up another chair and rocked with her. After several months, the elderly woman said to her, “Thank you for rocking with me.” She was grateful for the companionship.

Before He went back to heaven, Jesus promised to send a constant companion to His disciples. He told them He would not leave them alone but would send the Holy Spirit to be in them (JOHN 14:17). That promise is still true for believers in Jesus today. Jesus said that the triune God makes His “home” in us (V 23).

The Lord is our close and faithful companion throughout our entire life. He will guide us in our deepest struggles, forgive our sin, hear each silent prayer, and shoulder the burdens we cannot bear.

We can enjoy His sweet company today. - ANNE CETAS

Today's Reading

John 14:15–26
The Spirit of truth...lives with you and will be in you.
John 14:17

Dear Lord, thank You for giving us Your Spirit as our constant companion.

The Christian’s heart is the Holy Spirit’s home.

오늘의 말씀

07/26/2017     수요일

성경읽기: 시 40-42; 행 27:1-26
찬송가: 371(통 419)

깊은 곳에서 빠져나옴

나는 무슨 문제가 없는지 집중해서 물을 훑어보았습니다. 인명구조원으로 근무하는 6시간 동안 나는 수영하는 사람들의 안전을 확인하려고 수영장 가장자리에서 지켜보았습니다. 내 자리를 벗어나거나 집중력이 흐트러지면 풀장에 있는 사람들에게 중대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만약 수영하는 사람이 다치거나 기량 미숙으로 익사할 위험에 빠지면, 나의 책임은 그들을 건져내어 물 밖에 있는 안전지대로 데려오는 것입니다.

블레셋과의 전투에서 하나님의 도움을 경험한 다윗은(사무엘하 21:15-22) 그가 구원 받은 것이 “깊은 물” 속에서 구조된 것과 같다고 말합니다(22:17). 다윗 자신과 그의 부하들의 목숨이 적의 공격으로 아주 위험한 처지에 놓이게 되자, 하나님은 그 재난 속에 빠져 들어가는 다윗을 떠오르게 하셨습니다. 인명구조원은 보수를 받고 수영하는 사람들의 안전을 지키지만, 하나님은 다윗을 ‘기뻐하시므로’ 그를 구원하셨습니다(20절). 하나님께서 나를 지켜보시고 보호하시는 것은 그것이 의무이기 때문이 아니라 하나님이 ‘원하시기’ 때문입니다. 내가 이 사실을 알았을 때 내 가슴은 기쁨으로 요동쳤습니다.

삶이 고통으로 뒤덮인 것처럼 느껴질 때, 인명구조원이신 하나님께서 우리의 고난을 보고 계시며, 우리를 기뻐하셔서 지키고 보호하신다는 것을 알면 우리는 안심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사무엘하 22:17-20
그가 위에서 손을 내미사 나를 붙드심이여 많은 물에서 나를 건져 내셨도다
사무엘하 22:17

제 고난을 아시고 구원해주시려고 준비하고 계시는 주님, 감사합니다.
주님께서 구조해주시는 그 사랑을 온전히 믿을 수 있게 도와주소서.

하나님은 그분의 자녀들을 구원하는 것을 기뻐하신다.

Daily Article

07/26/2017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40–42 and ACTS 27:1–26
Hymn: 371(old 419)

Out of the Deep

I scanned the water intently, on alert for signs of trouble. During my six-hour shifts as a lifeguard, I watched from the side of the pool to ensure the safety of those swimming. Leaving my post, or even becoming lax in my attentiveness, could have grave consequences for those in the pool. If a swimmer was in danger of drowning due to injury or lack of skill, it was my responsibility to pluck them from the water and return them to safety on the pool deck.

After experiencing God’s aid in battle against the Philistines (2 SAM 21:15–22), David likens his rescue to being drawn out of “deep waters” (22:17). David’s very life—and that of his men—was in serious danger from his enemies. God buoyed David as he was drowning in disaster. While lifeguards are paid to assure the safety of swimmers, God, on the other hand, saved David because of His delight in him (V 20). My heart leaps for joy when I realize that God doesn’t watch over and protect me because He’s obliged to but because He wants to.

When we feel overcome by the troubles of life, we can rest in the knowledge that God, our Lifeguard, sees our struggle and, because of His delight in us, watches over and protects us. -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2 Samuel 22:17–20
He reached down from on high and took hold of me.
2 Samuel 22:17

Thank You, Lord, for seeing my struggles and standing ready to save me.
Help me to trust Your rescuing love more fully.

God delights in saving His children.

오늘의 말씀

07/25/2017     화요일

성경읽기: 시 37-39; 행 26
찬송가: 440(통 497)

우리가 얻은 것

존 에프 번스는 뉴욕 타임스에서 세계적인 사건들을 취재하며 40년을 보냈습니다. 2015년에 은퇴한 후 쓴 글에서, 번스는 암으로 죽어가는 친한 친구였던 동료 기자가 했던 말을 회상했습니다. “절대 잊지 말게, 중요한 것은 자네가 얼마나 멀리 여행했느냐가 아니라 무엇을 얻고 돌아왔느냐 라는 것을.”

시편 37편은 다윗이 목자에서 군인, 그리고 왕이 되었던 자신의 인생여정에서 “얻었던” 것을 나열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 시는 악인과 의인을 대조하면서 하나님을 신뢰하는 자들을 보여주는 2행 대구 형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악을 행하는 자들 때문에 불평하지 말며 불의를 행하는 자들을 시기하지 말지어다 그들은 풀과 같이 속히 베임을 당할 것이며 푸른 채소 같이 쇠잔할 것임이로다”(1-2절).

“여호와께서 사람의 걸음을 정하시고 그의 길을 기뻐하시나니 그는 넘어지나 아주 엎드러지지 아니함은 여호와께서 그의 손으로 붙드심이로다”(23-24절).

“내가 어려서부터 늙기까지 의인이 버림을 당하거나 그의 자손이 걸식함을 보지 못하였도다”(25절).

살아오면서 우리가 겪은 경험을 통해 하나님께서 무엇을 가르쳐주셨습니까? 우리는 하나님의 사랑과 신실하심을 어떤 방법으로 경험했습니까? 주님의 사랑이 어떤 식으로 우리의 삶을 빚으셨습니까?

중요한 것은 우리가 얼마나 먼 곳을 두루 다니며 살았느냐가 아니라 무엇을 얻었는가 하는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37:1-6,23-27
내가 어려서부터 늙기까지 의인이 버림을 당하거나 그의 자손이 걸식함을 보지 못하였도다
시편 37:25

사랑하는 주님, 제 삶 가운데 동행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주님의 신실하심을 기억하도록 도와주소서.

해를 거듭할수록 주님의 신실하심은 커져만 간다.

Daily Article

07/25/2017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37–39 and ACTS 26
Hymn: 440(old 497)

What We Bring Back

John F. Burns spent forty years covering world events for T he New York Times. In an article written after his retirement in 2015, Burns recalled the words of a close friend and fellow journalist who was dying of cancer. “Never forget,” his colleague said, “It’s not how far you’ve traveled; it’s what you’ve brought back.”

Psalm 37 could be considered David’s list of what he “brought back” from his journey of life, from shepherd to soldier and king. The psalm is a series of couplets contrasting the wicked with the righteous, and affirming those who trust the Lord.

“Do not fret because of those who are evil or be envious of those who do wrong; for like the grass they will soon wither” (VV 1–2).

“The LORD makes firm the steps of the one who delights in him; though he may stumble, he will not fall, for the LORD upholds him with his hand” (VV 23–24).

“I was young and now I am old, yet I have never seen the righteous forsaken or their children begging bread” (V 25).

From our experiences in life, what has God taught us? How have we experienced His faithfulness and love? In what ways has the Lord’s love shaped our lives?

It’s not how far we’ve traveled in life, but what we’ve brought back that counts. - DAVID MCCASLAND

Today's Reading

Psalm 37:1–6, 23–27
I was young and now I am old, yet I have never seen the righteous forsaken or their children begging bread.
Psalm 37:25

Dear Lord, thank You for walking with me throughout my life.
Help me to remember Your faithfulness.

As the years add up, God’s faithfulness keeps multiplying.

오늘의 말씀

07/24/2017     월요일

성경읽기: 시 35-36; 행 25
찬송가: 219(통 279)

공동체 세우기

헨리 나우웬은 “공동체”란 당신이 더불어 살고 싶지 않은 사람이 항상 같이 살고 있는 곳이라고 말했습니다. 종종 우리는 가장 같이 있고 싶은 사람들끼리 모이는데, 이것은 공동체가 아닌 동호회나 파벌을 형성하게 됩니다. 누구나 동호회를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한 공동체를 형성하려면 구성원들이 품위를 갖추고 비전을 공유하고 뼈를 깎는 노력을 해야 합니다.

교회는 역사상 처음으로 유대인과 이방인, 남자와 여자, 노예와 자유인이 동등한 지위로 함께 모인 기관입니다. 바울 사도는 “영원부터 하나님 속에 감추어졌던 비밀”에 대해 열정적으로 말했습니다.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 공동체를 형성하는 것은 세상과, 심지어 초자연적 세상의 관심을 사로잡을 수 있는 기회라고 바울은 말했습니다(에베소서 3:9-10).

아쉽게도 어떤 면에서 교회는 이 과제에서 실패했습니다. 그렇지만 내가 방문하는 곳 중에서 교회는 어머니의 팔에 안겨있는 갓난아기들, 예배 시간에 꿈틀대며 키득거리는 아이들, 항상 절도 있게 행동할 줄
아는 책임감 있는 어른들, 그리고 설교자의 단조로운 설교가 너무 길어지면 졸음으로 빠져드는 사람들 같이, 여전히 다양한 세대가 모이는 유일한 장소입니다.

만약 하나님이 우리에게 주시는 공동체를 경험하고 싶다면, “우리와 같지 않은” 성도들과 함께 하기를 추구해야 합니다.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2:19-3:11
이는 이방인들이 복음으로 말미암아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함께 상속자가 되고 함께 지체가 되고 함께 약속에 참여하는 자가 됨이라
에베소서 3:6

주님, 교회는 주께서 지으시고 주의 선하신 목적을 위하여 우리로 모이게 한 것을 기억하게 하소서. 우리가 다른 이들에게 은혜를 베풀도록 도와주소서.

한 작은 공동체에 사는 사람은 훨씬 더 큰 세상에 살고 있다. - G.K 체스터튼

Daily Article

07/24/2017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35–36 and ACTS 25
Hymn: 219(old 279)

Building Community

“Community” is the place where the person you least want to live with always lives, says Henri Nouwen. Often we surround ourselves with the people we most want to live with, which forms a club or a clique, not a community. Anyone can form a club; it takes grace, shared vision, and hard work to form a community.

The Christian church was the first institution in history to bring together on equal footing Jews and Gentiles, men and women, slaves and free. The apostle Paul waxed eloquent on this “mystery, which for ages past was kept hidden in God.” By forming a community out of diverse members, Paul said, we have the opportunity to capture the attention of the world and even the supernatural world beyond (EPH 3:9–10).

In some ways the church has sadly failed in this assignment. Still, church is the one place I visit that brings together generations: infants still held in their mothers’ arms, children who squirm and giggle at all the wrong times, responsible adults who know how to act appropriately at all times, and those who may drift asleep if the preacher drones on too long.

If we want the community experience God is offering to us, we have reason to seek a congregation of people “not like us.” - PHILIP YANCEY

Today's Reading

Ephesians 2:19–3:11
This mystery is that through the gospel the Gentiles are heirs together with Israel, members together of one body, and sharers together in the promise in Christ Jesus.
Ephesians 3:6

Lord, remind us that the church is Your work, and You have brought us together for Your good purposes. Help us extend grace to others.

The man who lives in a small community lives in a much larger world. - G. K. CHESTERTON

오늘의 말씀

07/23/2017     주일

성경읽기: 시 33-34; 행 24
찬송가: 331(통 375)

인정받지 못했나요?

할리우드 뮤지컬은 1950년대와 1960년대에 인기가 많았습니다. 특히 세 명의 여배우, 오드리 헵번과 나탈리 우드, 데보라 커는 뛰어난 연기로 관객을 사로잡았습니다. 하지만 이들을 돋보이게 한 것은 그녀들의 연기를 드높인 숨을 죽이게 하는 노래였습니다. 그러나 사실 이 클래식 영화들이 성공한데는 각 여주인공의 목소리를 더빙했지만 한동안 그 중요한 공헌에 대해 어떤 공로도 인정받지 못했던 마니 닉슨의 역할이 상당히 큽니다.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에는 사람들 앞에 나서서 일하는 사람들을 성실히 돕는 이들이 종종 있습니다. 바울 사도는 사역할 때 바로 그런 사람들에게 의존했습니다. 필사자로서의 더디오의 사역은 바울에게 강력한 ‘기록된’ 목소리를 제공해주었습니다(로마서 16:22). 에바브라의 지속적인 중보기도는 바울과 초대교회의 필수적인 기반이었습니다(골로새서 4 : 1 2 - 1 3 ) . 루디아는 지쳐 회복이 필요한 사도에게 기꺼이 자신의 집을 제공하였습니다 (사도행전 16:15). 바울의 사역은 그리스도 안에서 이런 동역자들의 후원 없이는 불가능했을 것입니다(7-18절).

우리가 항상 눈에 잘 뜨이는 역할을 하지는 않을지라도, 하나님의 계획에서 중요한 일을 순종하며 따르면 하나님이 기뻐하신다는 것을 압니다. 우리가 “우리 자신을 주의 일에 온전히 드릴 때”(고린도전서 15:58),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고 사람들을 하나님께로 이끄는 우리 사역의 가치와 의미를 찾게 될 것입니다(마태복음 5:16).

오늘의 성구

골로새서 4:7-18
이같이 너희 빛이 사람 앞에 비치게 하여 그들로 너희 착한 행실을 보고 하늘에 계신 너희 아버지께 영광을 돌리게 하라
마태복음 5:16

주님, 주님이 정하신 저의 일을 순종하며 행하게 도와주소서.

참된 섬김의 비밀은 하나님이 당신을 어느 자리에 두셔도 온전히 신실하게 행하는 것이다.

Daily Article

07/23/2017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33–34 and ACTS 24
Hymn: 331(old 375)

Didn’t Get Credit?

Hollywood musicals were wildly popular during the 1950s and 1960s, and three actresses in particular—Audrey Hepburn, Natalie Wood, and Deborah Kerr—thrilled viewers with their compelling performances. But a huge part of the appeal of these actresses was the breathtaking singing that enhanced their acting. In fact, the classic films’ successes were actually due in large part to Marni Nixon, who dubbed the voices for each of those leading ladies and who for a long time went completely uncredited for her vital contribution.

In the body of Christ there are often people that faithfully support others who take a more public role. The apostle Paul depended on exactly that kind of person in his ministry. Tertius’s work as a scribe gave Paul his powerful written voice (ROM 16:22). Epaphras’s consistent behind-the-scene prayers were an essential foundation for Paul and the early church (COL 4:12–13). Lydia generously opened her home when the weary apostle needed restoration (ACTS 16:15). Paul’s work could not have been possible without the support he received from these fellow servants in Christ (VV 7–18).

We may not always have highly visible roles, yet we know that God is pleased when we obediently play our essential part in His plan. When we “give [ourselves] fully to the work of the Lord” (1 COR 15:58), we will find value and meaning in our service as it brings glory to God and draws others to Him (MATT 5:16).- CINDY HESS KASPER

Today's Reading

Colossians 4:7–18
Let your light shine before others, that they may see your good deeds and glorify your Father in heaven.
Matthew 5:16

Lord, help me to obediently do my part in the role You have chosen for me.

The secret of true service is absolute faithfulness wherever God places you.

오늘의 말씀

07/22/2017     토요일

성경읽기: 시 31-32; 행 23:16-35
찬송가: 405(통 458)

“정말 무서워......”

“정말 무서워.” 어느 십대 소녀가 의료검사를 앞두고 페이스북에 올린 절박한 글이었습니다. 그녀는 집에서 3시간 떨어진 도시의 한 병원에 입원하여 일련의 검사를 받은 후, 그녀가 앓고 있는 어떤 심각한 질병의 원인을 알아내려는 의사들의 진단 결과를 걱정스럽게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우리 중 청소년기에, 혹은 나중에라도 뜻하지 않게 맞닥뜨리는 정말 두려운 사건에 이와 비슷한 두려움을 느껴보지 않은 사람이 누가 있겠습니까? 그런 경우 우리는 어디서 도움을 구할 수 있을까요? 이런 상황 가운데 우리는 힘을 주는 성경말씀을 통해 어떤 위로를 받을 수 있을까요?

우리의 시련 가운데서도 하나님께서 우리와 함께하신다는 사실은 우리에게 희망을 줍니다. 이사야 41장 13절은 “이는 나 여호와 너의 하나님이 네 오른손을 붙들고 네게 이르기를 두려워하지 말라 내가 너를 도우리라 할 것임이니라”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우리가 문제를 놓고 하나님께 기도하면 말로 형용할 수 없는 마음의 평강을 주십니다(빌립보서 4:6-7).

하나님의 변함없는 임재와 “모든 지각에 뛰어난”(7절) 하나님의 평강이 주는 소망과 도움으로 우리는 정말 두려운 순간들을 견딜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빌립보서 4:4-9
아무것도 염려하지 말고 다만 모든 일에 기도와 간구로 너희 구할 것을 감사함으로 하나님께 아뢰라
빌립보서 4:6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제가 두려울 때 하나님께서 제 손을 붙드시고 평안을 주신다는 것을 깨닫게 하소서. 제가 무서울 때 하나님의 팔에 의지하여 도움을 얻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하나님은 제게 좋으신 분이십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모든 고통 가운데 우리와 함께 하신다.

Daily Article

07/22/2017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31–32 and ACTS 23:16–35
Hymn: 405(old 458)

“I’m Really Scared . . .”

“I’m really scared.” This was the poignant note a teenager posted to friends on Facebook as she told them of some upcoming medical tests. She was facing hospitalization and a series of procedures in a city three hours from home and anxiously waited as doctors tried to discover the source of some serious medical problems she was experiencing.

Who of us, in youth or later years, has not felt similar fears when facing unwanted life events that are truly frightening? And where can we turn for help? What comfort can we find from Scripture to give us courage in these kinds of situations?

The reality that God will go with us through our trial can help us to hope. Isaiah 41:13 tells us, “For I am the LORD your God who takes hold of your right hand and says to you, ‘Do not fear; I will help you.’ ”

In addition, God offers indescribable, heart-guarding peace when we present our difficulties to Him in prayer (PHIL 4:6–7).

Through God’s unfailing presence and His peace that “transcends all understanding” (V 7), we can find the hope and help we need to endure situations in which we are really scared. - DAVE BRANON

Today's Reading

Philippians 4:4–9
Do not be anxious about anything, but in every situation, by prayer and petition, with thanksgiving, present your requests to God.
Philippians 4:6

Dear heavenly Father, when I am afraid, remind me that You hold my hand and give me peace. I’m grateful that I can lean into Your arms and find help when I’m scared. You are good to me.

God is with us in all our struggles.

오늘의 말씀

07/21/2017     금요일

성경읽기: 시 29-30; 행 23:1-15
찬송가: 454(통 508)

차려입기

작가 로렌 위너는 ‘하나님을 입으라’라는 자신의 책에서 우리가 입은 옷이 아무 말 없이도 다른 이들에게 우리가 누구인지를 알려준다고 말합니다. 우리가 입은 옷이 직업, 소속이나 신분, 기분이나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기도 합니다. 선전 문구가 인쇄된 티셔츠, 비즈니스 정장, 제복, 기름 묻은 청바지를 보고 그것들이 무엇을 드러내 보이는지 생각해보십시오. 그녀는 “옷이 말없이 무언가를 드러내는 것처럼,
그리스도인들도 말없이 예수를 전할 수 있다는 생각이 설득력이 있습니다.”라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바울에 의하면 우리도 마찬가지로 말없이 그리스도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로마서 13장 14절은 “오직 주 예수 그리스도로 옷 입고 정욕을 위하여 육신의 일을 도모하지 말라”고 가르칩니다. 이게 무슨 뜻일까요? 그것은 우리가 그리스도인이 되면 그리스도의 정체성을 입는다는 뜻입니다. 우리는 “믿음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자녀”가 되었습니다(갈라디아서 3:26-27). 그것이 우리의 신분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날마다 그리스도의 성품으로 차려입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예수님을 위해 살려고 노력하고 예수님을 더 닮아가기 위해 노력하며, 경건과 사랑과 순종함으로 성장하고, 한 때 우리를 노예로 삼았던 죄로부터 돌이켜야 합니다.

성경공부와 기도, 그리고 성도와의 교제 시간을 통해 주님과 더 가까워지기를 바라는 우리의 소망과, 우리 안에서 일하시는 성령으로 말미암아 우리는 그리스도 안에서 자라갑니다(요한복음 14:26). 우리의
말과 행동을 지켜보는 사람들에게 우리는 어떻게 그리스도를 증거하고 있습니까?

오늘의 성구

로마서 13:11-14
오직 주 예수 그리스도로 옷 입고
로마서 13:14

사랑하는 주님, 우리는 주님을 나타내기 원합니다.
날마다 주님을 더 닮아가도록 도와주소서.
거룩함, 사랑, 기쁨과 인내로 성장하게 하소서.

다른 사람들이 우리를 보며 구주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볼 수 있게 하소서.

Daily Article

07/21/2017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29–30 and ACTS 23:1–15
Hymn: 454(old 508)

Dressed Up

In her book Wearing God, author Lauren Winner says our clothes can silently communicate to others who we are. What we wear may indicate career, community or identity, moods, or social status. Think of a T-shirt with a slogan, a business suit, a uniform, or greasy jeans and what they might reveal. She writes, “The idea that, as with a garment, Christians might wordlessly speak something of Jesus—is appealing.”

According to Paul, we can similarly wordlessly represent Christ. Romans 13:14 tells us to “clothe [ourselves] with the Lord Jesus Christ, and do not think about how to gratify the desires of the flesh.” What does this mean? When we become Christians, we take on Christ’s identity. We’re “children of God through faith” (GAL 3:26–27). That’s our status. Yet each day we need to clothe ourselves in His character. We do this by striving to live for and to be more like Jesus, growing in godliness, love, and obedience and turning our back on the sins that once enslaved us.

This growth in Christ is a result of the Holy Spirit working in us and our desire to be closer to Him through study of the Word, prayer, and time spent in fellowship with other Christians (JOHN 14:26). When others look at our words and attitudes, what statement are we making about Christ? - ALYSON KIEDA

Today's Reading

Romans 13:11–14
Clothe yourselves with the Lord Jesus Christ.
Romans 13:14

Dear Lord, we want to be a reflection of You.
Help us to look more like You each day.
Grow us in godliness, love, joy, and patience.

When others see us, may what they see speak well of the Savior.

오늘의 말씀

07/20/2017     목요일

성경읽기: 시 26-28; 행 22
찬송가: 455(통 507)

범사가 다 때가 있나니

최근 비행기를 탔을 때 나보다 몇 줄 앞에 있던 한 엄마와 아이들을 보았습니다. 아장아장 걷는 어린아이가 즐겁게 놀고 있는 동안, 그 엄마는 갓 태어난 아기의 눈을 바라보고 미소 지으며 그의 뺨을 만졌습니다. 갓난아기는 큰 눈을 동그랗게 뜨고 엄마를 바라보았습니다. 그 나이 때의 우리 아이들과 이미 내 곁을 스쳐 가버린 그 시절을 생각하며, 한줄기 아쉬움과 더불어 잠깐 동안 즐거운 시간을 가졌습니다.

그러다가 나에게 전도서에 있는 솔로몬 왕의 “천하 만사”에 관한 말이 떠올랐습니다 (1절). 그는 일련의 대조를 통해 “범사에 기한”이 있음을 설명하고 있습니다(1절). “날 때가 있고 죽을 때가 있으며 심을 때가
있고 심은 것을 뽑을 때가 있으며”(2절). 어쩌면 이 구절에서 솔로몬 왕은 의미 없이 돌고 도는 인생에 대해 절망하고 있는 것인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그러면서도 그는 우리의 수고가 “하나님의 선물”(13절)이며, “하나님께서 행하시는 모든 것은 영원히 있을 것이라”(14절)라고 하며 각 시기에 하나님이 하시는 역할을 인정하고 있습니다.

내가 우리 아이들의 아기시절을 생각했던 것처럼, 우리는 인생의 어떤 시기를 그리워하며 추억할 때가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주님이 우리 삶의 모든 때에 같이 하겠다고 약속하신 것을(이사야 41:10) 알고
있습니다. 우리는 주님이 함께 계심을 믿을 수 있고, 우리의 목적이 주님과 동행하는 데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됩니다.

오늘의 성구

전도서 3:1-14
범사에 기한이 있고 천하 만사가 다 때가 있나니
전도서 3:1

주 하나님, 하나님은 저를 항상 인도하시며, 제가 기쁘거나 슬프거나 언제든 저와 함께하심을 알고 있습니다. 오늘 제가 주님의 사랑으로 누군가에게 다가갈 수 있기를 원합니다.

하나님은 우리 인생에 여러 시절들을 주신다.

Daily Article

07/20/2017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26–28 and ACTS 22
Hymn: 455(old 507)

A Time for Everything

While flying recently, I watched a mother and her children a few rows ahead of me. While the toddler played contentedly, the mother gazed into the eyes of her newborn, smiling at him and stroking his cheek. He stared back with a wide-eyed wonderment. I enjoyed the moment with a touch of wistfulness, thinking of my own children at that age and the season that has passed me by.

I reflected, however, about King Solomon’s words in the book of Ecclesiastes about “every activity under the heavens” (V 1). He addresses through a series of opposites how there is a “time for everything” (V 1): “a time to be born and a time to die, a time to plant and a time to uproot” (V 2). Perhaps King Solomon in these verses despairs at what he sees as a meaningless cycle of life. But he also acknowledges the role of God in each season, that our work is a “gift of God” (V 13) and that “everything God does will endure forever” (V 14).

We may remember times in our lives with longing, like me thinking of my children as babies. We know, however, that the Lord promises to be with us in every season of our life (ISA 41:10). We can count on His presence and find that our purpose is in walking with Him. -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Ecclesiastes 3:1–14
There is a time for everything, and a season for every activity under the heavens.
Ecclesiastes 3:1

Lord God, You lead me through the seasons, and whether I’m laughing or crying I know You are with me. May I reach out to someone with Your love today.

God gives us the seasons of our lives.

오늘의 말씀

07/19/2017     수요일

성경읽기: 시 23-25; 행 21:18-40
찬송가: 585(통 384)

모든 것보다 더 강하심

브라질과 아르헨티나 국경에 있는 이과수폭포는 이과수강을 따라 2.7킬로미터(1.67마일)에 걸쳐 275개의 폭포로 구성되어 장관을 이루고 있습니다. 그런데 폭포의 브라질 쪽 벽에는 시편 93편 4절, “높이 계신 여호와의 능력은 많은 물소리와 바다의 큰 파도보다 크니이다”라는 성구가 선명히 새겨져 있습니다. 그 성구 밑에는 “하나님은 우리의 모든 고통보다 언제나 더 크신 분이시다.”라고 새겨져 있습니다.

왕조 시대에 그 시편을 썼던 시편 93 편의 기자는 하나님이 모든 것의 궁극적인 왕이시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그는 이렇게 썼습니다. “여호와께서 다스리시니...... 주의 보좌는 예로부터 견고히 섰으며 주는
영원부터 계셨나이다”(1-2절). 어떤 홍수가 일어나고 물결이 아무리 높게 일지라도 주님은 그 어떤 것보다 여전히 더 위대하십니다.

폭포의 굉음은 매우 장엄하게 들리지만, 폭포 쪽으로 돌진하는 물속에 있다면 이는 전적으로 다른 문제입니다. 어쩌면 그것이 오늘 당신이 처해있는 상황일수도 있습니다. 육체적, 경제적, 혹은 인간관계의 문제들이 그 어느 때보다 확대되어 드러나 보이고, 당신은 폭포 아래로 곧 떨어질 것 같이 느껴집니다. 그런 경우라도 그리스도인에게는 돌아서서 향할 의지할 분이 있습니다. 그분은 바로 주님이시며, “우리가
구하거나 생각하는 모든 것에 더 넘치도록 능히 하시는 분”(에베소서 3:20)이십니다. 왜냐하면, 주님은 우리의 어떤 문제보다도 더 크시기 때문입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93
여호와께서 다스리시니 스스로 권위를 입으 셨도다 여호와께서 능력의 옷을 입으시며 띠를 띠셨으므로
시편 93:1

주님, 주님은 강하시며 제게 다가오는 그 어떤 문제보다도 더 크신 분이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저를 인도하실 주님을 신뢰합니다.

당신의 한정된 예지력으로 하나님의 무한하신 능력을 결코 측량하지 마라.

Daily Article

07/19/2017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23–25 and ACTS 21:18–40
Hymn: 585(old 384)

Mightier than All

Iguazu Falls, on the border of Brazil and Argentina, is a spectacular waterfall system of 275 falls along 2.7 km (1.67 miles) of the Iguazu River. Etched on a wall on the Brazilian side of the Falls are the words of Psalm 93:4, “Mightier than the thunders of many waters, mightier than the waves of the sea, the Lord on high is mighty!” (RSV). Below it are these words, “God is always greater than all of our troubles.”

The writer of Psalm 93, who penned its words during the time that kings reigned, knew that God is the ultimate King over all. “The LORD reigns,” he wrote. “Your throne was established long ago; you are from all eternity” (VV 1–2). No matter how high the floods or waves, the Lord remains greater than them all.

The roar of a waterfall is truly majestic, but it is quite a different matter to be in the water hurtling toward the falls. That may be the situation you are in today. Physical, financial, or relational problems loom ever larger and you feel like you are about to go over the falls. In such situations, the Christian has Someone to turn to. He is the Lord, “who is able to do immeasurably more than all we ask or imagine” (EPH 3:20) for He is greater than all our troubles. - C. P. HIA

Today's Reading

Psalm 93
The LORD reigns, he is robed in majesty; the LORD is robed in majesty and armed with strength.
Psalm 93:1

Lord, I know that You are powerful and greater than any trouble that might come my way. I trust You to carry me through.

Never measure God’s unlimited power by your limited expectations.

오늘의 말씀

07/18/2017     화요일

성경읽기: 시 20-22; 행 21:1-17
찬송가: 532(통 323)

꼬리표와는 상관없이

내가 사는 도시의 한 교회는 모든 사람을 향한 하나님의 사랑과 은혜를 표현해주는 독특한 환영 카드를 사용합니다. 그 카드에는 이렇게 쓰여 있습니다. “만일 당신이 성도, 죄인, 패배자, 승리자......” 그리고 힘겨워하는 사람들을 가리키는 다른 많은 단어들이 이어집니다. “......알코올 중독자, 위선자, 사기꾼, 소심한자, 사회 부적응자라면, 이곳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그 교회의 목회자 중 한사람이 나에게 “우리는 매 주일 예배 시간에 큰 소리로 함께 그 카드를 읽습니다.” 라고 말해 주었습니다.

우리는 얼마나 자주 우리에게 붙는 꼬리표를 인정함으로써 그것이 우리의 정체성을 결정하도록 놔두는지 모릅니다. 또한, 우리도 너무나 쉽게 다른 사람들에게 그런 꼬리표를 붙입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은혜는 그런 꼬리표와는 상관이 없습니다. 하나님의 은혜는 우리가 자신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에 달려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사랑에 뿌리를 내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자신을 훌륭하게 보든 끔찍하게 보든, 능력 있게 보든 무능력하게 보든, 우리는 하나님으로부터 영원한 생명을 선물로 받을 수 있습니다. 바울 사도는 로마에 있는 예수님을 따르는 사람들에게 이렇게 상기시켜주었습니다. “우리가 아직 연약할 때에 기약대로 그리스도께서 경건하지 않은 자를 위하여 죽으셨도다”(로마서 5:6).

주님은 우리 스스로의 힘으로 변화하라고 요구하지 않으십니다. 대신에 주님은 주님 안에서 소망과 치유와 자유를 찾을 수 있도록 우리를 초청하십니다. “우리가 아직 죄인 되었을 때에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죽으심으로 하나님께서 우리에 대한 자기의 사랑을 확증하셨느니라”(8절). 주님은 우리의 모습 그대로 받아주시기 위해 준비하고 계시고 또 기꺼이 받아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로마서 5:1-11
우리가 아직 죄인 되었을 때에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죽으심으로 하나님께서 우리에 대한 자기의 사랑을 확증하셨느니라
로마서 5:8

하나님 아버지, 예수님을 통해 하나님의 놀라운 사랑을 보여주시니 감사합니다.

하나님의 용서는 실패나 교만과 같은 우리의 꼬리표와는 상관이 없다.

Daily Article

07/18/2017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20–22 and ACTS 21:1–17
Hymn: 532(old 323)

Beyond Labels

A church in my city has a unique welcome card that captures the love and grace of God for everyone. It says, “If You Are A . . . saint, sinner, loser, winner”—followed by many other terms used to describe struggling people—“alcoholic, hypocrite, cheater, fearful, misfit . . . . You are welcome here.” One of the pastors told me, “We read the card aloud together in our worship services every Sunday.”

How often we accept labels and allow them to define who we are. And how easily we assign them to others. But God’s grace defies labels because it is rooted in His love, not in our self-perception. Whether we see ourselves as wonderful or terrible, capable or helpless, we can receive eternal life as a gift from Him. The apostle Paul reminded the followers of Jesus in Rome that “at just the right time, when we were still powerless, Christ died for the ungodly” (ROM 5:6).

The Lord does not require us to change by our own power. Instead He invites us to come as we are to find hope, healing, and freedom in Him. “But God demonstrates his own love for us in this: While we were still sinners, Christ died for us” (V 8). The Lord is ready and willing to receive us just as we are. - DAVID MCCASLAND

Today's Reading

Romans 5:1–11
But God demonstrates his own love for us in this; While we were still sinners, Christ died for us.
Romans 5:8

Heavenly Father, thank You for Your amazing love in Jesus.

God’s forgiveness defies our labels of failure or pride.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