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5/28/2017     주일

성경읽기: 대하 4-6; 요 10:24-42
찬송가: 491(통 543)

참새 한 마리도

한 평생을 기품 있고 고상하게 사셨던 어머니가 이제 심신이 약해지는 연세가 되어 호스피스의 침대에 누워 있습니다. 숨 쉬기도 힘들어하며 점점 쇠약해져가는 어머니의 상태와 창유리 너머 반대쪽에 유혹하는 듯이 춤추는 너무나 아름다운 봄날이 대조적이었습니다.

세상의 어떠한 마음의 준비도 이별이라는 냉엄한 현실에서 우리를 지탱해주기에 충분하지 않습니다. ‘죽음은 정말 무례한 것이구나!’라고 나는 생각했습니다.

창 바깥쪽 새 모이통으로 눈을 돌렸습니다. 한 마리 콩새가 씨앗을 먹으려고 가까이로 가볍게 날아왔습니다. 갑자기 익숙한 성구가 머릿속에 떠올랐습니다. “너희 아버지께서
허락하지 아니하시면 그 하나도 땅에 떨어지지 아니하리라”(마태복음 10:29). 이것은 예수님이 유대 지역에 복음을 전하라고 제자들에게 명령하실 때 하신 말씀인데, 이 원리는 우리 모두에게도 마찬가지로 적용됩니다. 주님은 “너희는 많은 참새보다 귀하니라”라고 말씀하셨습니다(31절).

어머니는 움직이시더니 눈을 뜨시고는, 어린 시절로 돌아가 네덜란드 식 애칭을 사용해 어머니의 모친을 지칭하며 말했습니다. “엄마가 돌아가셨어!”

“네, 맞아요. 지금 예수님과 같이 계세요.”라고 아내가 말했습니다. 확신이 없는 채로 어머니는 계속 “조이스와 짐은?” 하며 당신의 언니와 오빠를 물어보았습니다. 아내가 말했습니다. “네, 그분들도 예수님과 같이 계세요. 우리 모두 곧 같이 있게 될 거예요.”

“기다리기가 너무 힘들어.”라고 어머니가 조용히 말씀하셨습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10:28-33
그의 경건한 자들의 죽 음은 여호와께서 보시기에 귀중한 것이로다
시편 116:15

하나님 아버지, 인생이 너무 힘들고 고통스러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하나님...... 하나님이 바로 여기 우리와 함께 계시고, 우리를 사랑하시고 지켜주시고 붙잡고 계십니다. 그리고 우리를 결코 떠나지도 버리지도 않으실 거라고 약속해주십니다.

죽음은 천국의 새벽이 오기 전의 마지막 그림자이다.

Daily Article

05/28/2017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2 CHRONICLES 4–6 and JOHN 10:24–42
Hymn: 491(old 543)

Not One Sparrow

My mother, so dignified and proper her entire life, now lay in a hospice bed, held captive by debilitating age. Struggling for breath, her declining condition contradicted the gorgeous spring day that danced invitingly on the other side of the windowpane.

All the emotional preparation in the world cannot sufficiently brace us for the stark reality of goodbye. Death is such an indignity! I thought.

I diverted my gaze to the bird feeder outside the window. A grosbeak flitted close to help itself to some seed. Instantly a familiar phrase popped into my mind: “Not a single sparrow can fall to the ground without your Father knowing it” (MATT. 10:29 NLT). Jesus had said that to His disciples as He gave them marching orders for a mission to Judea, but the principle applies to all of us. “You are worth more than many sparrows,” He told them (V. 31).

My mom stirred and opened her eyes. Reaching back to her childhood, she used a Dutch term of endearment for her own mother and declared, “Muti’s dead!”

“Yes,” my wife agreed. “She’s with Jesus now.” Uncertain, Mom continued. “And Joyce and Jim?” she questioned of her sister and brother. “Yes, they’re with Jesus too,” said my wife. “But we’ll be with them soon!”

“It’s hard to wait,” Mom said quietly.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Matthew 10:28–33
Precious in the sight of the LORD is the death of his faithful servants.
Psalm 116:15

Heavenly Father, this life can be so hard and painful. But You! . . .You are right there with us, loving us, keeping us, holding us! And You promise never to leave us or forsake us.

Death is the last shadow before heaven’s dawn.

오늘의 말씀

05/27/2017     토요일

성경읽기: 대하 1-3; 요 10:1-23
찬송가: 289(통 208)

역기능적

‘역기능적’이라는 단어는 개인이나 가정, 인간관계, 단체, 심지어는 정부를 묘사할 때도 자주 쓰입니다. ‘기능적’ 이란 단어의 의미가 제대로 작동하는 상태를 말하는 반면, ‘역기능적’이라는 말은 그 반대로, 고장 나거나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서 애초에 설계된 대로 쓸 수 없게 된 상태를 말합니다.

바울 사도는 영적으로 역기능적인 인간을 묘사하는 것으로 로마서를 시작하고 있습니다(1:18-32). 우리는 모두 다 그 반항하는 무리들 속에 속해 있습니다. “다 치우쳐 함께 무익하게 되고 선을 행하는 자는 없나니 하나도 없도다...... 모든 사람이 죄를 범하였으매 하나님의 영광에 이르지 못하더니”(3:12,23).

그러나 여기 기쁜 소식이 있습니다.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속량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은혜로 값없이 의롭다 하심을 얻은 자 되었느니라......믿음으로 말미암아”(24-25절). 우리가 그리스도를 우리의 삶에 초청하고 하나님이 제시하시는 용서와 새로운 삶을 받아들일때, 우리는 하나님이 우리를 창조하신 대로의 사람이 되어가는 길에 머무르게 됩니다. 우리는 당장 완벽해지지는 않지만, 더 이상 고장 나고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상태로 남아 있지 않게 됩니다.

성령님을 통해 우리는 말하고 행동하는 것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릴 수 있는 힘과, “옛 사람을 벗어 버리고......오직 [우리의] 심령이 새롭게 되어 하나님을 따라 의와 진리의 거룩함으로 지으심을 받은 새 사람을 입을”(에베소서 4:22-24) 수 있는 능력을 매일 얻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로마서 3:10-26
모든 사람이 죄를 범하 였으매 하나님의 영광에 이르지 못하더니
로마서 3:23

주님, 우리의 역기능적인 삶에서 회복되고 힘을 얻기 위해 주님께로 향합니다. 주님의 놀라운 은혜와 사랑에 감사합니다.

그리스도를 가까이 하면 주님이 계획하신 대로의 삶을 살 수 있게 해준다.

Daily Article

05/27/2017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2 CHRONICLES 1–3 and JOHN 10:1–23
Hymn: 289(old 208)

Dysfunctional

The word dysfunctional is often used to describe individuals, families, relationships, organizations, and even governments. While functional means it’s in proper working order, dysfunctional is the opposite—it’s broken, not working properly, unable to do what it was designed to do.

In his letter to the Romans, the apostle Paul begins by describing a spiritually dysfunctional humanity (1:18–32). We are all part of that rebellious company: “All have turned away, they have together become worthless; there is no one who does good, not even one. . . . For all have sinned and fall short of the glory of God” (3:12, 23).

The good news is that “all are justified freely by [God’s] grace through the redemption that came by Christ Jesus . . . to be received by faith” (VV. 24–25). When we invite Christ into our lives and accept God’s offer of forgiveness and new life, we are on the path to becoming the person He created us to be. We don’t immediately become perfect, but we no longer have to remain broken and dysfunctional.

Through the Holy Spirit we receive daily strength to honor God in what we say and do and to “put off [our] old self . . . to be made new in the attitude of [our] minds; and to put on the new self, created to be like God in true righteousness and holiness” (EPH. 4:22–24).- DAVID MCCASLAND

Today's Reading

Romans 3:10–26
For all have sinned and fall short of the glory of God.
Romans 3:23

Lord, in our dysfunctional lives we turn to You for restoration and strength. Thank You for Your amazing grace and love!

Drawing close to Christ helps us to live as He designed us.

오늘의 말씀

05/26/2017     금요일

성경읽기: 대상 28-29; 요 9:24-41
찬송가: 400(통 463)

거친 물살 사이로 항해하기

나는 앞쪽에서 급물살의 굉음이 들려올 때까지는 처음 해보는 급류에서 보트타기를 시작하며 즐기고 있었습니다. 그러자 불확실성과 공포, 불안감들이 한꺼번에 내 감정을 뒤덮어버렸습니다. 급류 사이를 타고 가는 것은 굉장한, 손에 땀을 쥐게 하는 경험이었습니다! 그리고는 다음 순간, 갑자기 그것이 끝나버렸습니다. 보트 뒤에 있던 가이드가 우리가 항해해 나갈 수 있게 도와주었습니다. 적어도 다음 급류를 만나기 전까지는 나는 안전했습니다.

우리 인생의 전환기도 이런 급류타기 경험과 같을 수 있습니다. 인생의 한 계절에서 다른 계절로 넘어가는 피할 수 없는 도약들, 즉 대학에서 직장으로, 이 직장에서 저 직장으로, 부모와 같이 살다가 혼자 살거나 배우자랑 살게 되는 것, 직장생활을 하다가 은퇴하는 것, 젊은 시절에서 노년시절로 넘어가는 것 등, 이 모두가 다 불확실성과 불안감으로 가득한 것들입니다.

구약 역사에 기록된 매우 중대한 전환기 중 한 시기에 솔로몬은 아버지 다윗으로부터 왕위를 이어 받았습니다. 솔로몬은 분명히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가득 찼을 것입니다. 그의 아버지의 조언은 무엇이었습니까? “너는 강하고 담대하게 이 일을 행하라......여호와 하나님 나의 하나님이 너와 함께 계시리라”(역대상 28:20).

인생의 힘든 전환기에 우리가 견뎌내야 할 몫도 어느 정도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의 보트에 하나님이 함께 계시기에 우리는 혼자가 아닙니다. 급류 가운데서 항해하시는 주님께 계속 초점을 맞추면 우리는 기쁨과 안전을 누릴 수 있습니다. 주님은 이전에도 다른 많은 사람들을 그렇게 인도해주셨습니다.

오늘의 성구

역대상 28:9-20
두려워하지 말며 놀라지 말라...... 여호와 하나님 나의 하나님이 너와 함께 계시사 네게서 떠나지 아니하시고 너를 버리지 아니하시리라
역대상 28:20

.

하나님은 변화의 급류 가운데서 우리를 인도해주신다.

Daily Article

05/26/2017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Navigating Rough Waters
Hymn: 400(old 463)

1 CHRONICLES 28–29 and JOHN 9:24–41

I was enjoying the start of my first whitewater rafting experience— until I heard the roar of the rapids up ahead. My emotions were flooded with feelings of uncertainty, fear, and insecurity at the same time. Riding through the whitewater was a first-rate, white-knuckle experience! And then, suddenly, it was over. The guide in the back of the raft had navigated us through. I was safe—at least until the next set of rapids.

Transitions in our lives can be like whitewater experiences. The inevitable leaps from one season of life to the next— college to career, changing jobs, living with parents to living alone or with a spouse, career to retirement, youth to old age—are all marked by uncertainty and insecurity.

In one of the most significant transitions recorded in Old Testament history, Solomon assumed the throne from his father David. I’m sure he was filled with uncertainty about the future. His father’s advice? “Be strong and courageous, and do the work. . . . For the Lord God, my God, is with you” (1 CHRON. 28:20).

We’ll have our fair share of tough transitions in life. But with God in our raft we’re not alone. Keeping our eyes on the One who is navigating the rapids brings joy and security. He’s taken lots of others through before. - JOE STOWELL

Today's Reading

1 Chronicles 28:9–20
Do not be afraid or discouraged, for the LORD God, my God, is with you. He will not fail you or forsake you.
1 Chronicles 28:20

.

God guides us through the rapids of change.

오늘의 말씀

05/25/2017     목요일

성경읽기: 대상 25-27; 요 9:1-23
찬송가: 66(통 20)

질투심 치료법

나는 손주의 엄마 아빠가 저녁 시간에 나가 있는 동안 흔쾌히 손주들을 돌보기로 했습니다. 나는 아이들을 껴안아주고는 주말 동안 무엇을 했는지 물어보았습니다. (두 명이 서로 다른 경험을 하였습니다.) 세살 박이 브리져는 이모 이모부와 밤새우며 지낸 것, 아이스크림 먹은 것, 회전목마 탄 것, 영화 본 것들에 대해 숨도 쉬지 않고 신나게 나열했습니다. 다음은 다섯 살짜리 사무엘의 순서였습니다. 무엇을 했는지 묻자 사무엘은 “캠핑”이라고만 대답했습니다. “즐거웠니?”라고 물으니, “별로요”라고 쓸쓸하게 답했습니다.

사무엘은 예전부터 전해 내려오는 감정인 질투심을 느끼고 있었습니다. 그는 동생이 신나서 지난 주말에 대해 얘기하는 것을 들으면서, 자신이 아빠와 얼마나 재미나게 캠핑을 했는지를 잊어버렸습니다.

우리 모두는 질투심의 포로가 될 수 있습니다. “사울이 죽인 자는 천천이요 다윗은 만만이로다”(사무엘상 18:7) 와 같이 다윗이 사울왕보다 더 많은 칭송을 받자 사울왕은 질투라는 녹색 눈의 괴물에게 굴복하고 말았습니다. 사울은 격분하여 “그날부터...... 계속 다윗을 질투의 눈으로 바라보았습니다”(9절, 현대인의 성경). 그는 너무 화가 난 나머지 다윗을 죽이려고 했습니다!

비교하는 게임은 어리석고 자신을 파괴하는 행위입니다. 누군가는 항상 우리가 갖지 못한 것을 갖고 있고, 또 우리와는 다른 경험을 즐기게 될 것입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이 세상에서의 삶과 모든 믿는 자에게 주시는 영생의 약속을 포함하여 이미 우리에게 많은 복을 주셨습니다. 하나님의 도우심에 의존하고 감사함으로 그분께 초점을 맞추면 질투심을 극복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사무엘상 18:5-15
그날부터 사울은 계속 다윗을 질투의 눈으로 바라보았다
사무엘상 18:9,
현대인의 성경

주님, 주님은 우리에게 삶을 주시고, 주님을 우리의 구주로 믿을 때 영생의 약속까지도 주셨습니다. 그것과 또 다른 많은 주신 복들로 말미암아 주님을 찬양합니다!

질투심에 대한 치료법은 하나님께 감사하는 것이다.

Daily Article

05/25/2017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25–27 and JOHN 9:1–23
Hymn: 66(old 20)

The Remedy for Jealousy

I gladly agreed to babysit my grandkids while their parents went out for the evening. After hugs, I asked the boys what they did over the weekend. (Both had separate adventures.) Bridger, age three, recounted breathlessly how he got to stay overnight with his aunt and uncle—and he had ice cream and rode a carousel and watched a movie! Next it was five-year-old Samuel’s turn. When asked what he did, he said, “Camping.” “Did you have fun?” I asked. “Not so much,” he answered forlornly.

Samuel experienced the age-old feeling of jealousy. He forgot how much fun he had camping with his dad when he heard his brother excitedly tell about his weekend.

All of us can fall prey to jealousy. King Saul gave in to the green-eyed monster of jealousy when the praise David received exceeded his: “Saul has killed his thousands, and David his ten thousands!” (1 SAM. 18:7 NLT). Saul was outraged and “from that time on . . . kept a jealous eye on David” (V. 9 NLT). He was so incensed he tried to kill David!

The comparison game is foolish and self-destructive. Someone will always have something we don’t or enjoy experiences different from ours. But God has already given us many blessings, including both life on this earth and the promise of eternal life to all who believe. Depending on His help and focusing on Him in thankfulness can help us to overcome jealousy. - ALYSON KIEDA

Today's Reading

1 Samuel 18:5–15
So from that time on Saul kept a jealous eye on David.
1 Samuel 18:9 NLT

Lord, You have given us life and the promise of life eternal if we trust in You as our Savior. For that—and so many other blessings—we give You praise!

The remedy for jealousy is thankfulness to God.

오늘의 말씀

05/24/2017     수요일

성경읽기: 대상 22-24; 요 8:28-59
찬송가: 452(통 505)

닮은 사람들

우리 모두에게는 ‘도플갱어’(꼭 닮은 사람)가 한 사람씩 있다고 합니다. 우리와 전혀 연관이 없지만 우리와 아주 많이 닮은 사람을 말합니다.

내 경우에는 도플갱어가 음악계의 스타입니다. 내가 그의 콘서트에 갔을 때, 휴식 시간에 팬들이 자꾸 나를 다시 쳐다보곤 했습니다. 하지만 유감스럽게도 나는 기타를 치며 노래하는 제임스 테일러가 아닙니다. 서로 아주 닮아 보이는 것뿐입니다.

당신은 누구와 닮아 보입니까? 이 질문의 답을 생각하면서, 고린도후서 3장 18절에서 바울 사도가 우리가 “[주님의] 형상으로 변화”된다고 말하고 있는 부분을 곰곰이 고찰해보십시오. 우리의 삶으로 예수님을 영화롭게 하고자 할 때, 우리가 목적하는 것 중의 하나가 주님의 형상을 갖는 것입니다. 물론, 이 말은 우리가 턱수염을 기르고 샌들을 신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우리가 살아가는 방식에서 그리스도를 닮은 성품을 보여줄 수 있도록 성령님이 도와주신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겸손한 태도, 사랑하는 성품, 그리고 가진 것 없고 소외된 사람들에게 다가가는 긍휼함 등, 우리는 예수님처럼 보여야 하고 주님을 따라 해야 합니다.

우리의 눈을 예수님께 고정시킴으로써 “주님의 영광을 볼 때”, 우리는 점점 더 예수님처럼 자라갈 수 있습니다. 만일 사람들이 우리를 관찰해보고 “내가 당신 안에서 예수님을 봅니다!”라고 말할 수 있다면 이 얼마나 놀라운 일이 될는지요!

오늘의 성구

고린도후서 3:17-4:2
우리가 다......그와 같은 형상으로 변화하여 영광에서 영광에 이르니 곧 주의 영으로 말미암음이니라
고린도후서 3:18

주님, 주님을 바라보고 주님에 대해 배우고 알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우리가 말하는 것, 다른 사람을 사랑하는 방식, 주님을 경배하는 방식을 통해 우리를 주님의 형상으로 변화시켜 주소서. 다른 사람들이 우리 안에서 예수님을 볼 수 있게 하소서.

사랑은 그리스도를 따르는 사람들 속에서 세상이 보아야 하는 가족 간의 닮은 모습이다.

Daily Article

05/24/2017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22–24 and JOHN 8:28–59
Hymn: 452(old 505)

Lookalikes

They say we all have one: Doppelgangers some call them. Lookalikes. People unrelated to us who look very much like us.

Mine happens to be a star in the music field. When I attended one of his concerts, I got a lot of double takes from fellow fans during intermission. But alas, I am no James Taylor when it comes to singing and strumming a guitar. We just happen to look alike.

Who do you look like? As you ponder that question, reflect on 2 Corinthians 3:18, where Paul tells us that we “are being transformed into [the Lord’s] image.” As we seek to honor Jesus with our lives, one of our goals is to take on His image. Of course, this doesn’t mean we have to grow a beard and wear sandals—it means that the Holy Spirit helps us demonstrate Christlike characteristics in how we live. For example, in attitude (humility), in character (loving), and in compassion (coming alongside the down and out), we are to look like Jesus and imitate Him.

As we “contemplate the Lord’s glory,” by fixing our eyes on Jesus, we can grow more and more like Him. What an amazing thing it would be if people could observe us and say, “I see Jesus in you”! - DAVE BRANON

Today's Reading

2 Corinthians 3:17–4:2
We all...are being transformed into his image with ever-increasing glory, which comes from the Lord, who is the Spirit.
2 Corinthians 3:18

Lord, help us to gaze on You, to study You, to know You. Transform us into Your image by what we say, how we love others, and how we worship You. May others see Jesus in us.

Love is the family resemblance the world should see in followers of Christ.

오늘의 말씀

05/23/2017     화요일

성경읽기: 대상 19-21; 요 8:1-27
찬송가: 220(통 278)

하나님 옹호

하나님을 반대하는 내용의 범퍼 스티커들이 붙어있는 차가 어느 대학교수의 시선을 끌었습니다. 자신도 한때 무신론자였던 그 교수는 아마도 차 주인이 믿는 자들을 화나게 하고 싶었나 보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는 “화를 내면 무신론자가 그의 무신론을 정당화하는 것을 도와주는 셈이 됩니다.”라고 하면서, “그럴 때 대부분의 경우 무신론자는 정확히 자신이 원하는 바를 얻게 됩니다.” 라고 경고하였습니다.

그 교수는 자신의 믿음의 여정을 되돌아보면서, 한 믿는 친구가 관심을 가지고 그에게 예수 그리스도의 진리를 생각해 보도록 권했던 일을 언급했습니다. 그 친구는 “전혀 화를 내지 않으면서 긴박감을 전해주었습니다.” 그 교수는 그날 그가 받았던 진정한 존중과 친절을 결코 잊을 수 없었습니다.

예수님을 믿는 자들은 다른 사람들이 주님을 거부할 때 종종 공격적이 됩니다. 하지만, 그런 거부에 대해 주님 자신은 어떻게 느끼실까요? 예수님은 끊임없는 협박과 증오에 직면했지만, 그분의 신성에 대해서는 개인적으로 전혀 의심하지 않으셨습니다. 어느 날 한 마을에서 예수님을 영접하지 않았을 때, 야고보와 요한은 즉각적으로 보복하고 싶어 했습니다. 그들은 “주여 우리가 불을 명하여 하늘로부터 내려 저들을 멸하라 하기를 원하시나이까”(누가복음 9:54)라고 물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그러기를 원하지 않으셨고, “돌아보시며 꾸짖었습니다”(55절). 무엇보다, “하나님이 그 아들을 세상에 보내신 것은 세상을 심판하려 하심이 아니요 그로 말미암아 세상이 구원을 받게 하려 하심”(요한복음 3:17)이었습니다.

하나님께는 우리의 옹호가 필요 없다는 것을 생각하면 놀랍기도 합니다. 그 대신 하나님은 우리가 그분을 ‘나타내기를’ 원하십니다! 그 일은 시간과 노력과 절제와 사랑을 요구합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9:51-56
유순한 대답은 분노를 쉬게 하여도 과격한 말은 노를 격동하느니라
잠언 15:1

주님, 우리에게 미워하는 마음이 들 때 미워하는 사람이 되지 않고, “아버지, 저들을 사하여 주옵소서 자기들이 하는 것을 알지 못함이니이다”(누가복음 23:34)라고 주님이 하셨던 것처럼 그렇게 반응할 수 있게 하소서.

예수님을 가장 잘 옹호하는 방법은 주님처럼 사는 것이다.

Daily Article

05/23/2017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19–21 and JOHN 8:1–27
Hymn: 220(old 278)

Defending God

The anti-God bumper stickers covering the car seized the attention of a university professor. As a former atheist himself, the professor thought perhaps the owner wanted to make believers angry. “The anger helps the atheist to justify his atheism,” he explained. Then he warned, “All too often, the atheist gets exactly what he is looking for.”

In recalling his own journey to faith, this professor noted the concern of a Christian friend who invited him to consider the truth of Christ. His friend’s “sense of urgency was conveyed without a trace of anger.” He never forgot the genuine respect and grace he received that day.

Believers in Jesus often take offense when others reject Him. But how does He feel about that rejection? Jesus constantly faced threats and hatred, yet He never took doubt about His deity personally. Once, when a village refused Him hospitality, James and John wanted instant retaliation. “Lord,” they asked, “do you want us to call fire down from heaven to destroy them?” (LUKE 9:54). Jesus didn’t want that, and He “turned and rebuked them” (V. 55). After all, “God did not send his Son into the world to condemn the world, but to save the world through him” (JOHN 3:17).

It may surprise us to consider that God doesn’t need us to defend Him. He wants us to represent Him! That takes time, work, restraint, and love.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Luke 9:51–56
A gentle answer turns away wrath, but a harsh word stirs up anger.
Proverbs 15:1

Lord, when we are confronted with hate, help us not to be haters but to respond as Your Son did: “Father, forgive them, for they do not know what they are doing.” LUKE 23:34

The best way to defend Jesus is to live like Him.

오늘의 말씀

05/22/2017     월요일

성경읽기: 대상 16-18; 요 7:28-53
찬송가: 70(통 79)

눈 깜박이며 하나님을 생각하기

친구 라일리가 “하나님은 눈꺼풀 같아.”라고 말해서 나는 깜짝 놀라 눈을 깜박거렸습니다. 라일리가 말하는 게 무슨 뜻일까요?

나는 “더 자세하게 말해 봐.”라고 말했습니다. 우리는 성경에서 의외로 하나님을 해산하는 어머니로(이사야 42:14) 또는 양봉가로(7:18) 표현한 것들을 함께 공부하기는 했지만, 이것은 전혀 새로운 것이었습니다. 라일리는 나에게 모세가 하나님이 그의 백성을 돌보시는 방식을 찬양한 신명기 32장을 가리켰습니다. 10절은 하나님이 그의 백성을 “자기의 눈동자 같이” 지키시며 호위하시며 보호하신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라일리는 영어로 ‘사과’라고 번역된 단어는 글자 그대로는 눈동자를 의미한다고 말했습니다(역자주: 한글성경에는 이미 ‘눈동자’로 번역되어 있습니다). 그러면 무엇이 이 눈동자를 둘러싸고 보호하고 있을까요? 당연히 눈꺼풀이지요! 하나님은 본능적으로 부드러운 눈을 보호하는 눈꺼풀과 같습니다. 눈꺼풀은 눈을 위험에서 보호하고, 깜박거림으로 먼지나 티끌을 없애는데 도움을 줍니다. 눈이 계속 젖어 있게 해주고 안구의 윤활유 역할을 하여 눈의 건강을 지켜줍니다. 그리고 눈을 감겨 휴식을 취하게 해줍니다.

하나님의 이미지를 눈꺼풀로 생각하고 나니, 나는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사랑을 이해시키기 위해 많은 비유를 주신 하나님께 감사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밤에 눈을 감고 아침에 눈을 뜰 때, 우리는 하나님을 생각하고, 또 우리를 부드럽게 보호하시고 돌보시는 하나님을 찬양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신명기 32:1-12
여호와께서 그를......호위하시며 보호하시며 자기의 눈동자 같이 지키셨도다
신명기 32:10

하나님, 우리가 하나님을 더 잘 알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놀라운 비유들을 사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눈꺼풀이 눈동자를 보호하는 것처럼 우리를 지켜주시니 감사합니다.

눈을 깜박일 때마다 하나님께서 보호하시는 것을 잊지 말고 감사하라.

Daily Article

05/22/2017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16–18 and JOHN 7:28–53
Hymn: 70(old 79)

Blink and Think of God

“God is like an eyelid,” my friend Ryley said, and I blinked in surprise. What could she mean by that?

“Tell me more,” I replied. Together, we had been studying surprising pictures of God in the Bible, things like God as a laboring mother (ISA. 42:14) or as a beekeeper (7:18), but this one was new to me. Ryley pointed me to Deuteronomy 32, where Moses praises the way God takes care of His people. Verse 10 says that God shields and protects His people, guarding them “as the apple of his eye.”

But the word we translate apple, Ryley told me, literally means pupil. And what encircles and guards the pupil? The eyelid, of course! God is like the eyelid, which instinctively protects the tender eye. The eyelid guards the eye from danger, and by blinking helps remove dirt or dust. It keeps sweat out of the eye. It lubricates the eyeball, keeping it healthy. It closes, allowing rest.

As I considered the picture of God as an eyelid, I couldn’t help but thank God for the many metaphors He’s given us to help us understand His love for us. When we close our eyes at night and open them in the morning, we can think of God, and
praise Him for His tender protection and care for us. - AMY PETERSON

Today's Reading

Deuteronomy 32:1–12
He shielded him and cared for him; he guarded him as the apple of his eye.
Deuteronomy 32:10

Thank You, God, for using surprising metaphors to help us understand You better. Thanks for guarding us just as the eyelid guards the eye.

When you blink, remember to thank God for His protection.

오늘의 말씀

05/21/2017     주일

성경읽기: 대상 13-15; 요 7:1-27
찬송가: 65(통 19)

하나님 바라보기

풍자만화 화가들이 공공장소에 이젤을 설치하고, 자신을 유머러스하게 그려주는 대가로 기꺼이 작은 돈을 지불하는 사람들에게 그림을 그려줍니다. 그들은 우리의 겉모습 중 한두 가지 특징을 과장해서 알아보기 쉽고 우습게 그리기 때문에 우리는 그 그림을 보며 즐거워합니다.

반면, 하나님을 그렇게 그리는 것은 우스꽝스럽지 않습니다. 하나님의 속성 중 하나를 과장하는 것은 사람들이 쉽게 무시해버리는 왜곡된 시각을 제공합니다. 그런 그림 같이 하나님에 대한 왜곡된 시각은 심각하게 받아들여지지 않습니다. 화가 나 있고 요구가 지나친 재판관의 모습으로 그려진 하나님을 보는 사람들은 자비를 강조하는 다른 이로부터 쉽게 유혹을 받습니다. 하나님을 인자한 할아버지의 모습으로 보는 사람들은 그들이 정의가 필요할 때에는 그 인자한 이미지를 거부할 것입니다. 하나님을 살아있고 사랑이 넘치는 존재로 여기기보다는 지적인 개념으로 보는 사람들은 결국에는 보다 매력적인 다른 개념들을 찾게 됩니다. 하나님을 최고의 친구로 간주하는 사람들은 그들의 기호에 더 맞는 사람 친구들을 만나게 되면 종종 하나님을 떠나고 맙니다.

하나님은 그분 자신을 자비와 은혜가 풍성하지만, 또한 죄인을 벌하는 의로운 분이라고 말씀하십니다(출애굽기 34:6-7).

우리가 믿음을 행동으로 옮길 때, 하나님을 단지 우리가 좋아하는 속성들만 가진 분으로 그리는 것을 피해야 합니다. 우리는 우리가 좋아하는 것만이 아닌, 하나님의 모든 것을 경배해야 합니다.

오늘의 성구

출애굽기 34:1-9
여호와는 노하기를 더디 하시고 인자가 많아 죄악과 허물을 사하시나 형벌 받을 자는 결단코 사하지 아니하시고
민수기 14:18

성부, 성자, 성령 하나님을 경배합니다. 하나님은 거룩하시며 의로우시며, 온유하시고, 사랑이 많으십니다. 주님만이 홀로 하나님이십니다.

하나님만이 홀로 하나님이시다.

Daily Article

05/21/2017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13–15 and JOHN 7:1–27
Hymn: 65(old 19)

Seeing God

Caricature artists set up their easels in public places and draw pictures of people who are willing to pay a modest price for a humorous image of themselves. Their drawings amuse us because they exaggerate one or more of our physical features in a way that is recognizable but funny.

Caricatures of God, on the other hand, are not funny. Exaggerating one of His attributes presents a distorted view that people easily dismiss. Like a caricature, a distorted view of God is not taken seriously. Those who see God portrayed only as an angry and demanding judge are easily lured away by someone who emphasizes mercy. Those who see God as a kindhearted grandfather will reject that image when they need justice. Those who see God as an intellectual idea rather than a living, loving being eventually find other ideas more appealing. Those who see God as a best friend often leave Him behind when they find human friends who are more to their liking.

God declares Himself to be merciful and gracious, but also just in punishing the guilty (EX. 34:6–7).

As we put our faith into action, we need to avoid portraying God as having only our favorite attributes. We must worship all of God, not just what we like. - JULIE ACKERMAN LINK

Today's Reading

Exodus 34:1–9
The LORD is slow to anger, abounding in love and forgiving sin and rebellion. Yet he does not leave the guilty unpunished.
Numbers 14:18

Father, Son, and Holy Spirit, I worship You. You are holy, just, kind, and loving. You are God alone.

God is God alone.

오늘의 말씀

05/20/2017     토요일

성경읽기: 대상 10-12; 요 6:45-71
찬송가: 337(통 363)

피할 길 찾기

캘리포니아주의 산타바바라시에는 흥미로운 이름을 가진 거리가 있습니다. 그것은 “떠날 수 있으면 떠나라”라는 의미의 “살시퓨데스”라는 거리입니다. 그 거리가 처음 이름 붙여졌을 당시 그 지역은 가끔씩 물이 범람하는 습지에 접해 있었고, 스페인어를 할 줄 아는 도시계획관이 접근하지 말라는 명확한 경고의 뜻으로 그곳을 그렇게 명명했습니다.

하나님의 말씀은 죄와 유혹의 “그릇된 길”을 멀리 하라고 우리에게 주의를 주십니다. “그의 길을 피하고 지나가지 말며 돌이켜 떠나갈지어다”(잠언 4:15). 그러나 성경은 단순히 “떠날 수 있으면 떠나라”라고 말씀하지 않습니다. 성경은 확실하게 우리가 어디로 돌이켜야 할지를 말해줍니다. “사람이 감당할 시험 밖에는 너희가 당한 것이 없나니 오직 하나님은 미쁘사 너희가 감당하지 못할 시험 당함을 허락하지 아니하시고 시험 당할 즈음에 또한 피할 길을 내사 너희로 능히 감당하게 하시느니라”(고린도전서 10:13).

하나님이 우리가 감당하지 못할 정도의 유혹을 허락하지 않으신다는 약속을 생각하면 격려가 됩니다. 유혹이 다가오는 순간 우리가 하나님을 향해 돌아설 때, 하나님은 기꺼이 우리를 도우셔서 유혹으로부터 멀어지게 하실 줄을 우리는 압니다.

성경은 예수님이 “우리의 연약함을 동정해” 주시는 분이라고 확언해줍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모든 일에 우리와 똑같이 시험을 받으신 이로되 죄는 없으셨습니다”(히브리서 4:15). 예수님은 모든 유혹을 이길 수 있는 길을 알고 계십니다. 우리가 주님께로 달려갈 때 주님이 친히 보여주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전서 10:1-13
하나님은 미쁘사 너희 가 감당하지 못할 시험 당함을 허락하지 아니하시고 시험 당할 즈음 에 또한 피할 길을 내사 너희로 능히 감당하게 하시느니라
고린도전서 10:13

주님, 제가 유혹 받을 때마다 제게 신실하시고 유혹을 벗어나게 하겠다고 약속해주시니 감사합니다. 제게 필요한 모든 능력을 기꺼이 주시는 주님을 찬양합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유혹 받을 때마다 도와주시겠다고 약속하신다.

Daily Article

05/20/2017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10–12 and JOHN 6:45–71
Hymn: 337(old 363)

Finding the Way Out

There’s a street with an intriguing name in the city of Santa Barbara, California. It’s called “Salsipuedes,” which means “leave if you can.” When the street was first named, the area bordered on a marsh that sometimes flooded, and the Spanish-speaking city planners dubbed the location with a not-so-subtle warning to stay away.

God’s Word cautions us to stay away from the “wrong road” of sin and temptation: “Avoid it, do not travel on it; turn from it and go on your way” (PROV. 4:15). But Scripture doesn’t just say “leave if you can.” It offers assurance and tells us where to turn: “God is faithful; he will not let you be tempted beyond what you can bear. But when you are tempted, he will also provide a way out so that you can endure it” (1 COR. 10:13).

The promise that God will not allow us to be tempted above our ability to withstand is an encouraging reminder. When we turn to God in the moments when temptation comes, we know He is more than willing to help us stay away.

The Bible affirms that Jesus is able “to empathize with our weaknesses.” But He was “tempted in every way, just as we are— yet he did not sin” (HEB. 4:15). Jesus knows the way out of every temptation. He will show us as we run to Him! - JAMES BANKS

Today's Reading

1 Corinthians 10:1–13
God is faithful; he will not let you be tempted beyond what you can bear. But when you are tempted, he will also provide a way out so that you can endure it.
1 Corinthians 10:13

Thank You, Lord, for Your promise to be faithful to me and provide a way out whenever I face temptation. I praise You that You are willing to give me all the strength I need!

God promises to help us when we are tempted.

오늘의 말씀

05/19/2017     금요일

성경읽기: 대상 7-9; 요 6:22-44
찬송가: 559(통 305)

자녀 준비시키기

육아를 위한 여러 웹사이트에는 “자녀를 위해 길을 준비하지 말고 길에 대비해 자녀를 준비시켜라.”라는 말이 있습니다. 우리가 살 동안 자녀들을 위해 길의 모든 장애물을 제거하고 잘 포장하려고 노력하는 대신에, 우리는 그들의 앞길에서 마주치는 어려움들에 대처하도록 잘 준비시켜야 합니다.

시편기자는 “우리가 여호와의 영예와 그의 능력과 그의 행하신 기이한 사적을 후대에 전하리로다 그는 법령을 공포 하기를......우리 조상들에게 명령하사 그들의 자손에게 알리라 하셨으니 이는 그들로 후대 곧 태어날 자손에게 이를 알게 하고 그들은 일어나 그들의 자손에게 알려서” (시편 78:4-6)라고 썼습니다. 그렇게 하는 목적은 “그들로 그들의 소망을 하나님께 두며 하나님께서 행하신 일을 잊지 아니하고 오직 그의 계명을 지키게” (7절) 하기 위해서 입니다.

사람들이 그들의 말과 삶을 통해 우리에게 주었던 강력한 영적 영향력을 생각해보십시오. 그들의 말과 그들이 보여준 모습들이 우리의 관심을 사로잡아 그들이 그랬던 것처럼 우리도 예수님을 따르도록 우리 속에 불을 지펴주었습니다.

우리의 자녀들과 또 다음에 오는 세대들에게 하나님의 말씀과 우리 인생을 위한 그분의 계획을 같이 나누는 것은 놀라운 특권이자 책임입니다. 그들 인생의 앞길에 어떤 일이 놓여있든, 그들이 주님께서 주시는 힘으로 그것을 직면하도록 잘 준비하고 갖추어지기를 원합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78:1-8
우리가 여호와의 영예와 그의 능력과 그가 행하신 기이한 사적을 후대에 전하리로다
시편 78:4

하늘에 계신 아버지, 우리가 알고 사랑하는 자녀들이 믿음 안에서 주님과 동행하도록 준비할 수 있게 주님의 지혜와 인도하심을 구합니다.

자녀들이 그들의 앞길에서 주님을 따르도록 잘 준비하게 말과 모범으로 도와주라.

Daily Article

05/19/2017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7–9 and JOHN 6:22–44
Hymn: 559(old 305)

Prepare the Child

A phrase on many parenting websites says, “Prepare the child for the road, not the road for the child.” Instead of trying to remove all obstacles and pave the way for the children in our life, we should instead equip them to deal with the difficulties they encounter on the road ahead.

The psalmist wrote, “We will tell the next generation the praiseworthy deeds of the Lord, his power, and the wonders he has done. He decreed statutes . . . , which he commanded our ancestors to teach their children, so the next generation would know them . . . and they in turn would tell their children” (PS. 78:4–6). The goal is that “they would put their trust in God and would not forget his deeds but would keep his commands” (V. 7).

Think of the powerful spiritual impact others had on us through what they said and how they lived. Their conversation and demonstration captured our attention and kindled a fire in us to follow Jesus just as they did.

It’s a wonderful privilege and responsibility to share God’s Word and His plan for our lives with the next generation and the generations to come. No matter what lies ahead on their road through life, we want them to be prepared and equipped to face it in the strength of the Lord. - DAVID MCCASLAND

Today's Reading

Psalm 78:1–8
We will tell the next generation the praiseworthy deeds of the LORD, his power, and the wonders he has done.
Psalm 78:4

Father in heaven, we seek Your wisdom and guidance to prepare the children we know and love to walk with You in faith.

Through conversation and demonstration, help prepare children to follow the Lord on the road ahead.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