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1/06/2025 월요일
오 베들레헴 작은 골
1868년에 브룩스는 이 내용을 시로 정리했고, 교회의 오르간 연주자가 곡을 붙였습니다. 이 노래는 미국 남북전쟁 직후의 혼란스러운 시기에 고요함과 평안의 메시지가 되었습니다. “오 베들레헴의 작은 골 / 너 잠들었느냐 / ... 온 하늘 두루 비춘 줄 / 너 어찌 모르나.”
마태복음 2장에서 마태는 베들레헴에서 나신 구세주에 대해 기록했습니다. “동방 박사들”(1절)은 별을 따라 베들레헴에 왔고(미가 5:2 참조), 예수님을 찾게 되어 “크게 기뻐했습니다”(마태복음 2:10). 구세주의 탄생을 기념하면서,
구세주 탄생의 영광스러운 소식이 우리 에게도 필요합니다. “내 죄를 모두 사하고, 늘 함께하시며, 늘 함께 하소서” 라는 찬송가 가사처럼 우리는 예수님 안에서 평화를 얻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2:1-11베들레헴아... 네게서 한 다스리는 자가 나와서 내 백성 이스라엘의 목자가 되리라
[마태복음 2:6]
당신의 삶에서 구세주의 평화가 필요한 곳은 어디입니까?
예수님의 이야기 중 어떤 부분이 가장 마음에 와 닿나요?
사랑하는 예수님, 저에게 소망과 평강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1/06/2025 Monday
LITTLE TOWN OF BETHLEHEM
In 1868, Brooks put his thoughts into a poem, and his church organist set it to music. The song spoke stillness and peace into the unsettling aftermath of the American Civil War: “O little town of Bethlehem / How still we see thee lie! / . . . The hopes and fears of all the years / Are met in thee tonight.”
Matthew wrote of our Savior’s birth in Bethlehem in Matthew 2. When the “Magi from the east” (V. 1) followed the star to Bethlehem (SEE MICAH 5:2), “they were overjoyed” to find Jesus (MATTHEW 2:10).
Today, as we celebrate Epiphany, we too need the glorious news of our Savior’s birth. As the hymn reminds us, He came to “cast out our sin and enter in” and “be born in us.” In Him, we find peace.
- ALYSON KIEDA
Today's Reading
MAT THEW 2:1-11Bethlehem, . . . out of you will come a ruler who will shepherd my people Israel.
[ MATTHEW 2:6 ]
Where in your life do you need the peace the Savior offers?
What aspect of Jesus’ story touches you most?
Dear Jesus, thank You for the hope and peace You’ve brought to me.
오늘의 말씀
01/05/2025 주일
하나님은 모든 것을 다 아신다
다윗은 말하기를, 하나님께서는 우리가 하나님과 어떤 관계에 있는지 알고 계신다고 합니다. 미국 국가안보국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말입니다. 시편 139편에서 다윗은 우리를 살피시고 아시는 하나님(1절)께 기도를 드립니다. 그는 이렇게 기록했습니다. “하나님이시여 나를 살피사 내 마음을 아시며” (23절). 그분은 우리의 모든 것을 아시고(2-6절), 어디든지 계시며(7-12절), 우리의 “내장을 모태에서 지으셨습니다”(13-16절). 그분의 생각은 우리의 것보다 높고(17-18절), 우리가 원수를 맞설 때 함께 하십니다(19-22절).
항상 존재하시며 전지전능하신 하나님은 우리가 어디에 있었는지, 무엇을 했으며, 어떤 존재인지 정확히 아십니다. 또한 그분은 우리가 주의 길을 걷도록 도우시는 사랑의 아버지이십니다. 오늘도 삶의 여정에서 그분을 따라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39:1-12나의 모든 길과 내가 눕는 것을 살펴 보셨으므로 나의 모든 행위를 익히 아시오니
[시편 139:3]
하나님께서 당신을 정말로 알고 계신다는 사실이 어떻게 위로가 되나요?
당신은 지금 주님과 어떻게 동행하고 있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저의 모든 것을 아심에도 사랑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주님과 온전히 동행하도록 도우소서.
Daily Article
01/05/2025 Sunday
GOD KNOWS EVERYTHING
Far more superior than the NSA’s digital trail analysis, David said God knows where we are in relation to Him. In Psalm 139, he addresses a prayer to God, the one who alone can search and examine what’s going on inside of us (V. 1). The psalmist wrote, “Search me, God, and know my heart” (V. 23). He knows everything about us (VV. 2-6), is present everywhere (VV. 7-12), and “created [our] inmost being” (VV. 13-16). His thoughts are higher than our human understanding (VV. 17-18), and He’s even with us as we face our enemies (VV. 19-22).
Because God is all-knowing, ever-present, and all-powerful, He knows exactly where we’ve been, what we’ve been doing, and what we’re made of. But He’s also a loving Father who will help us walk in His ways. Let’s follow Him down the trail of life today.
- MARVIN WILLIAMS
Today's Reading
PSALM 139:1-12You see me when I travel and when I rest at home. You know everything I do.
[ PSALM 139:3 nlt ]
How does it encourage you to know God truly knows you?
How are you walking with Him?
Dear God, thank You for loving me even though You know all about me.
Please help me to walk well with You.
오늘의 말씀
01/04/2025 토요일
하나님께 돌려 드림
역대상 29장에서 다윗 왕은 그의 아들 솔로몬을 하나님께서 세우신 후계자이자 성전의 건축자로 옹립할 의지를 이스라엘 지도자들에게 보여 주었습니다(1-5절). 그러자 모두가 “즐거이 드리고”, “기뻐하며”(6, 9절) 그를 따랐습니다. 다윗은 하나님을 찬양하며, “천지에 있는 것이 다 주의 것이로다” (11절)라고 선포했습니다. 그리고 기도했습니다. “우리 하나님 여호와여 우리가 주의 거룩한 이름을 위하여 성전을 건축하려고 미리 저축한 이 모든 물건이 다 주의 손에서 왔사오니 다 주의 것이니이다”(16절).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행하시고 주신 모든 것, 특히 우리와 함께하시는 예수님이라는 선물을 생각할 때, 우리는 모든 좋은 것을 주시는 그분께 돌려 드림으로 감사와 사랑을 표현하고 그분을 예배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역대상 29:10-16모든 것이 주께로 말미암았사오니 우리가 주의 손에서 받은 것으로 주께 드렸을 뿐이니이다
[역대상 29:14]
모든 것이 하나님께 속해 있다는 것을 인정하면 헌금에 대한 관점이 어떻게 달라집니까?
헌금을 통해 감사를 표현하면 어떤 변화가 생길까요?
사랑의 하나님, 넉넉하고 신실하게 공급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1/04/2025 Saturday
GIVING BACK TO GOD
In 1 Chronicles 29, King David showed the leaders of Israel his commitment to support his son Solomon as his God-chosen successor and the builder of the temple (VV. 1-5). Everyone followed suit, “gave willingly,” and “rejoiced” (VV. 6, 9). David praised God and declared that “everything in heaven and earth” belonged to Him (V. 11). He prayed: “Lord our God, all this abundance that we have provided for building you a temple for your Holy Name comes from your hand, and all of it belongs to you” (V. 16).
As we consider all God has done and given to us, specifically the gift of a personal relationship with Jesus, we can express our worship and show our gratitude and love by simply giving back to God, the Giver of all good things!
-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1 CHRONICLES 29:10-16Everything comes from you, and we have given you only what comes from your hand.
[ 1 CHRONICLES 29:14 ]
How does acknowledging that all things belong to God change the way you view giving?
How can expressing your gratitude through giving change you?
Loving God, thank You for being a generous and faithful provider.
오늘의 말씀
01/03/2025 금요일
알 수 없는 미래에 대한 두려움
예수님의 제자들도 나쁜 일이 생길까 봐 두려워한 적이 있었습니다. 주님께서 돌아가시기 전날, 제자들에게 미리 마음의 준비를 하고 안심하라고 하셨지만 그들은 여전히 두려웠습니다. 예수님이 체포되자 제자들은 도망쳤고 (마태복음 26:56), 베드로는 그를 부인했으며(요한복음 18:15-17, 25-27), 다른 제자들은 숨어버렸습니다(20:19). 그들은 예수님이 체포되고 십자가에 못 박혀 고난 당하신 충격적 사건으로 두려움에 떤 나머지, 예수님의 “담대하라”라는 명령과 “내가 세상을 이기었노라”(16:33)는 약속에 반하는 행동을 했습니다.
하지만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은 그분이 생사를 초월하는 권위와 능력을 갖고 계심을 증명했습니다. 최후의 승리자는 주님이십니다. 죄로 얼룩진 세상에서는 고통을 피할 수 없지만, 모든 일이 지혜와 사랑이 많으신 하나님의 권위 아래 있다는 진리 안에서 우리는 안식을 찾을 수 있습니다. 시간이 지나 담대함으로 세상에 복음을 전하러 나섰던 제자들과 함께하셨던 예수님은 우리와도 함께 하십니다(16:32-33). 하나님께서 주관하신다는 그 약속으로 말미암아 이 새로운 한 해에 우리의 마음이 더욱 더 하나님을 신뢰하고, 앞으로 무슨 일이 일어날지 모를 때조차도 담대해질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6:31-33세상에서는 너희가 환난을 당하나 담대하라 내가 세상을 이기었노라
[요한복음 16:33]
당신은 어려움, 고난과 시험에 어떻게 대처하고 있습니까?
예수님의 “담대하라”는 말씀은 당신에게 어떻게 적용될까요?
예수님, 두려움을 극복할 수 있게 도와주시고, 담대한 삶의 본을 보여주심에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1/03/2025 Friday
FEAR OF THE UNKNOWN
Jesus’ disciples understood the fear of bad things happening. Even though their Master had prepared and reassured them the day before He died, they were still afraid. They fled when He was arrested (MATTHEW 26:56); Peter denied Him (JOHN 18:15-17, 25-27), and they went into hiding (20:19). Their fear during the upheaval of Jesus’ arrest and crucifixion, as well as of persecution, led them to act contrary to His command to “take heart” and His promise, “I have overcome the world” (16:33).
But Christ’s death and resurrection proved His authority and power over life and death. He has the ultimate victory. Even though the sinful state of our world makes suffering a certainty, we can rest in the truth that all things are subject to the authority of our wise and loving God. Jesus’ presence is with us (16:32-33), just as it was with His disciples, who later confidently went on to share the gospel to the world. May God’s promise that He’s in control strengthen our hearts to trust Him in this new year and be courageous even when we don’t know what the future will bring.
- KAREN HUANG
Today's Reading
JOHN 16:31-33In this world you will have trouble. But take heart! I have overcome the world.
[ JOHN 16:33 ]
What’s your response to difficulty, suffering, and trials?
What would “taking heart” look like for you?
Thank You, Jesus, for helping me with my fears and for showing me how to live courageously.
오늘의 말씀
01/02/2025 목요일
태풍 피해 속에 숨겨진 하나님의 약속
구약에서 하나님의 백성이 자연재해나 영적 재앙에 직면할 때마다, 하나님의 말씀은 그보다 훨씬 확실한 소망을 주셨고, 파멸 가운데서도 주께서 함께하실 것을 약속했습니다. 하나님은 그 땅의 “모든 황폐한 곳들을 위로하여... 그 광야를 여호와의 동산 같게”(이사야 51:3) 하시겠다고 말씀하셨습니다. 나아가 하나님께서는 백성들이 주를 믿기만 하면 반드시 구원과 회복이 뒤따를 것임을 약속하신 것입니다. “하늘이 연기 같이 사라질지라도...구원은 영원히 있고”라고 하셨습니다(6절). 어떤 피해가 닥치더라도 백성들을 향한 하나님의 궁극적인 선하심은 영원히 변치 않을 것입니다.
하나님은 모든 고난을 막아 주시지는 않지만, 재난을 극복한 회복을 약속하십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51:1-6하늘이 연기 같이 사라지고... 나의 구원은 영원히 있고
[이사야 51:6]
당신은 어떤 재앙이나 재난을 겪고 있습니까? 재난 이후에도 함께하며, 치유하고, 회복하신다는 하나님의 약속을 어떻게 들을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이 폐허는 너무도 참혹합니다.
이를 극복할 수 있다는 주님의 약속이 믿기지 않을 정도입니다. 하지만 믿겠습니다.
Daily Article
01/02/2025 Thursday
GOD’S PROMISE BEYOND THE RUINS
Whenever God’s people in the Old Testament faced natural or spiritual calamity, His words were far more certain and hopeful, promising His presence despite destruction. He said that He would “look with compassion on all her ruins; [and would] make her wastelands . . . like the garden of the Lord” (ISAIAH 51:3). And more, God always assured His people of the rescue and healing that would certainly follow if they would only trust Him. Even though “the heavens [would] vanish like smoke,” God said, His “salvation [would] last forever” (V. 6). Whatever the damage, His ultimate goodness toward them wouldn’t be thwarted, ever.
God doesn’t safeguard us from hardship, but He does promise that His restorative healing extends far beyond the ruin.
- WINN COLLIER
Today's Reading
ISAIAH 51:1-6The heavens will vanish like smoke . . . .But my salvation will last forever.
[ ISAIAH 51:6 ]
Where are you facing calamity and ruin? How do you hear God’s promise to be with you, to heal and rebuild after the ruins?
Dear God, the ruins are so devastating.
I’m not sure I can believe that You have a promise big enough for this. But I choose to believe.
오늘의 말씀
01/01/2025 수요일
예수님 이야기
성경 전체는 예수님에 집중하며 예수님의 이야기를 증거합니다. 요한은 자신의 서신 앞머리에 제자들이 각자 어떻게 예수님을 경험했는지에 대해 이렇게 쓰고 있습니다. “우리가...눈으로 본 바요 자세히 보고 우리의 손으로 만진 바라”(요한1서 1:1). 사도들은 예수님을 직접 경험했기 때문에 예수님을 증거한다고 말했습니다. “이 생명이 나타나신 바 된지라 이 영원한 생명을 우리가 보았고 증언하여 너희에게 전하노니”(2절). 이후 요한은 “하나님의 말씀이 너희 안에 거하시며”(2:14)라는 놀라운 표현을 썼습니다. 다시 말해, 예수님의 이야기가 우리 각자의 이야기이기도 한 것입니다. 우리는 그렇게 예수님과의 개별적 경험을 바탕으로 그리스도를 전하라는 부름을 받은 것입니다.
케이트 행키가 시를 통해 표현하고자 했던 일은 바로 그것이었습니다. 이 두 편의 시는 훗날 우리가 즐겨 부르는 “주 예수 넓은 사랑”과 “주 예수 크신 사랑”이라는 두 찬송가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우리도 케이트처럼 예수님에 대한 간증을 자신의 말로 나눌 수 있기를 바랍니다. 주께서 특별한 방식으로 우리를 사랑하시고 찾아오시고 구원하신 것처럼 말이죠.
오늘의 성구
요한1서 1:1-5이 생명이 나타내신 바 된지라 이 영원한 생명을 우리가 보았고 증언하여 너희에게 전하노니
[요한1서 1:2]
당신에게는 예수님에 대한 이야기가 있습니까?
주께서 어떻게 당신에게 찾아오셨고, 어떻게 당신을 구원하셨나요?
사랑하는 예수님, 저를 구원해 주시고 제 삶에 주의 사랑을 보여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1/01/2025 Wednesday
THE JESUS STORY
All Scripture points to Jesus and tells His story. John begins his epistle reminding readers how they had personally experienced Jesus: “That which . . . we have seen with our eyes, which we have looked at and our hands have touched—this we proclaim” (1 JOHN 1:1). Because of our experience of Him, the apostle writes, we’re telling the Jesus story: “The life appeared; we have seen it and testify to it” (V. 2). Later, John makes the fascinating comment, “The word of God lives in you” (2:14). In other words, the Jesus story is our story too. We’re called to tell the story of Christ in light of our own experience with Him.
This is what Kate Hankey did in her poem. Eventually, the two parts of her poem became these beloved hymns: “I Love to Tell the Story” and “Tell Me the Old, Old Story.” Perhaps we might, like Kate, find our own words and share our Jesus story with others—the unique way in which He loved us, came to us, and rescued us.
- KENNETH PETERSEN
Today's Reading
1 JOHN 1:1-5The life appeared; we have seen it and testify to it.
[ 1 JOHN 1:2 ]
What is your story with Jesus?
How did He come to you and rescue you?
Dear Jesus, thank You for rescuing me and doing Your loving work in my life.
오늘의 말씀
12/31/2024 화요일
하나님의 도우시는 손길
하나님의 도우시는 손길이라는 이미지는 이사야서를 포함해 성경 여러 곳에 나타납니다. 하나님께서는 이사야 선지자를 통해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처음이요 마지막이신”(이사야 48:12) 창조주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과 함께 거하실 것을 믿으라고 명하셨습니다. 하나님께서는 “과연 내 손이 땅의 기초를 정하였고 내 오른손이 하늘을 폈나니”(13절)라고 말씀하십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을 신뢰하여야 하며 하나님보다 힘없는 다른 것들을 바라보아서는 안 됩니다. 하나님은 그들의 “구속자시요 이스라엘의 거룩한 이”시기 때문입니다(17절).
다가오는 새해를 바라보며 어떤 문제를 만나든지 우리는 죠지 왕과 이사야 선지자가 격려한 것처럼 우리의 소망과 믿음을 하나님께 두어야 합니다. 그럴 때 우리에게도 평강이 강과 같이, “공의가 바다 물결 같이”(18절) 임할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48:12-19과연 내 손이 땅의 기초를 정하였고 내 오른손이 하늘을 폈나니
[이사야 48:13]
새해를 맞으며 하나님께 맡겨 드려야 하는 상황이나 관계가 있습니까?
주님의 도움의 손길은 당신에게 무엇을 의미합니까?
전능하신 하나님, 하늘과 땅을 창조하신 주님은 또한 저를 소중히 품어 주십니다. 저는 주님을 믿습니다.
Daily Article
12/31/2024 Tuesday
THE HAND OF GOD
The image of God’s hand appears in many places in the Bible, including in the book of Isaiah. Through this prophet, God called His people to trust that He as their Creator, “the first and . . . the last” (ISAIAH 48:12), would remain involved with them. As He says, “My own hand laid the foundations of the earth, and my right hand spread out the heavens” (V. 13). They should put their trust in Him and not look to those less powerful. After all, He’s their “Redeemer, the Holy One of Israel” (V. 17).
Whatever we face as we look toward the new year, we can follow the encouragement of King George and the prophet Isaiah and place our hope and trust in God. Then, for us too, our peace will be like the river, our “well-being like the waves of the sea” (V. 18).
-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ISAIAH 48:12-19My own hand laid the foundations of the earth, and my right hand spread out the heavens.
[ ISAIAH 48:13 ]
As you consider the new year, what situations or relationships could you entrust to God?
How does the image of His hand speak to you?
All-powerful God, You created the heavens and the earth and yet You cherish me. I place my trust in You.
오늘의 말씀
12/30/2024 월요일
하나님, 왜 저인가요?
짐 뿐만 아니라 예수님을 믿는 많은 다른 성도들이 자신의 질문을 하나님께 가져갔습니다. 시편 13편에서 다윗은 “여호와여 어느 때까지니이까 나를 영원히 잊으시나이까 주의 얼굴을 나에게서 어느 때까지 숨기시겠나이까 나의 영혼이 번민하고 종일토록 마음에 근심하기를 어느 때까지 하오리까” (1-2절)라고 부르짖었습니다.
우리도 우리의 혼란과 의문을 하나님께 가져갈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언제까지입니까, 왜 입니까 부르짖는 것을 이해하십니다. 하나님의 최종적인 대답은 예수님과 죄와 사망을 이기신 그의 승리 안에서 우리에게 이미 주어졌습니다.
우리는 십자가와 빈 무덤을 바라보며 하나님의 “다함이 없는 사랑”(5절) 을 믿는 확신과 구원의 기쁨을 얻을 수 있습니다. 어두운 흑암 중에도 우리는 “은덕을 베푸시는 주님을 찬송”할 수 있습니다(6절).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 안에서 하나님은 우리의 죄를 용서하셨고 우리를 자녀 삼으셨으며 우리의 삶 속에서 그분의 영원하신 선한 목적을 이루고 계십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3여호와여 어느 때까지니이까 나를 영원히 잊으시나이까
[시편 13:1]
하나님께 가지고 가야 할 질문이 있습니까? 어두운 밤을 지날 때에도 하나님은 자신의 선하심을 어떻게 보여주셨습니까?
사랑의 하나님, 저를 돌보아 주셔서 감사합니다. 주님께서 제 삶을 아름답게 빚어 가시는 것을 믿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2/30/2024 Monday
WHY ME, GOD?
He’s in good company with many other believers in Jesus who have brought their questions to God. In Psalm 13, David cries out, “How long, Lord? Will you forget me forever? How long will you hide your face from me? How long must I wrestle with my thoughts and day after day have sorrow in my heart?” (VV. 1-2).
We too can take our confusion and questions to God. He understands when we cry out “How long?” and “Why?” His ultimate answer is given to us in Jesus and His triumph over sin and death.
As we look at the cross and the empty tomb, we gain confidence to trust in God’s “unfailing love” (V. 5) and rejoice in His salvation. Even in the darkest nights, we can “sing the Lord’s praise, for he has been good to [us]” (V. 6). Through our faith in Christ, He’s forgiven our sins, adopted us as His children, and is accomplishing His eternal good purpose in our lives.
- POH FANG CHIA
Today's Reading
PSALM 13How long, Lord? Will you forget me forever?
[ PSALM 13:1 ]
What questions do you need to bring to God? How has He shown His goodness to you, even in your darkest night?
Loving Father, thank You that You care for me. Please help me to trust that You’re making something beautiful of my life.
오늘의 말씀
12/29/2024 주일
든든한 건물 짓기
창세기 11장에는 한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가 나옵니다. 사람들이 “자, 성읍과 탑을 건설하여 그 탑 꼭대기를 하늘에 닿게 하자”(4절)고 합니다. 이 공사의 큰 문제는 사람들이 자기 “이름을 내기” 위해(4절) 시작한 일이라는 것입니다.
이것은 지금까지 인간의 고질적인 문제입니다. 사람들은 자신과 자신의 성취를 자랑하기 위해 기념물을 만듭니다. 바벨탑 이야기 후에 성경에서 기록하고 있는 솔로몬의 성전 건축 이야기는 그 동기가 뚜렷이 대비 됩니다. 솔로몬은 “내가 내 하나님 여호와의 이름을 위하여 성전을 건축하려 하오니” (열왕기상 5:5)라고 했습니다.
솔로몬은 자신이 세운 건축물이 자신이 아니라 하나님을 위한 것이어야 함을 알고 있었습니다. 이런 중요한 교훈에 대하여 솔로몬은 찬송시를 쓰기도 했습니다. 시편 127편은 “여호와께서 집을 세우지 아니하시면 세우는 자의 수고가 헛되며”(1절)로 시작합니다. 나의 어린 시절 지었던 요새처럼 사람이 만든 것은 오래 가지 못합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이름과 하나님을 위한 우리의 소중한 사역은 오래 남습니다.
오늘의 성구
창세기 11:1-8또 말하되 자, 성읍과 탑을 건설하여... 우리 이름을 내고
[창세기 11:4]
당신은 인생에서 무엇을 건설하고 있습니까?
당신의 삶은 하나님께 어떻게 영광이 되고 있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주님이 세상을 위해 하시는 일이 아닌 저 자신에게 초점을 맞추었던 날들을 용서하소서.
Daily Article
12/29/2024 Sunday
BUILDING WHAT LASTS
In Genesis 11, we encounter a major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 “Let us build ourselves a city,” said the people, “with a tower that reaches to the heavens” (V. 4). A big problem with this effort was that the people did it to “make a name for ourselves” (V. 4).
This has been a recurring issue for humans; we build monuments to ourselves and our achievements. Later in the biblical narrative, this story is contrasted with Solomon’s motivation for building God’s temple: “I intend, therefore, to build a temple for the Name of the Lord my God” (1 KINGS 5:5).
Solomon understood that what he built needed to point to God and not himself. This was such an important lesson that he even wrote a psalm about it. Psalm 127 opens with “unless the Lord builds the house, the builders labor in vain” (V. 1). Like my childhood fort-building, what we build will not last, but God’s name and what we do for Him has lasting significance.
- MATT LUCAS
Today's Reading
GENE SIS 11:1-8They said, “Come, let us build ourselves a city, . . . so that we may make a name for ourselves.”
[ GENESIS 11:4 ]
What are you building with your life? How is your life bringing honor to God?
Father, please forgive me for the times I’ve focused on myself and not on what You’re doing in the world.
오늘의 말씀
12/28/2024 토요일
믿음의 발걸음
이보다 더 극적인 사례는 이스라엘이 이집트에서 노예생활을 하던 동안 요게벳(출애굽기 6:20)과 그의 가족에게 있었던 일입니다. 바로가 히브리인의 모든 아들을 나일강에 던지라고 명령했을 때(1:22) 요게벳은 놀랐을 것입니다. 그러나 법을 바꿀 수는 없었지만 하나님께 순종하고 아들을 구하기 위한 몇 단계의 방법이 있었습니다. 요게벳은 믿음으로 아들을 이집트 사람들에게서 숨겼습니다. 그리고 방수가 되는 작은 파피루스 바구니를 만들어 아들을 넣고 “나일강 가 갈대 사이에”(2:3) 두었습니다. 하나님은 기적처럼 요게벳의 아들을 살리기 위해 개입하셨고(5-10절), 나중에 그를 사용하여 이스라엘 백성을 노예생활에서 구원하셨습니다(3:10).
존과 요게벳은 다른 방법을 사용했지만, 두 이야기 모두 믿음이 가득한 행동을 보여줍니다. 두려움은 우리를 꼼짝 못하게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기대하거나 바라는 대로 되지는 않을지라도, 믿음은 그 결과에 관계없이 하나님의 선하심을 계속 신뢰할 수 있는 힘을 줍니다.
오늘의 성구
출애굽기 2:1-10믿음으로 모세가 났을 때에 그 부모가 아름다운 아이임을 보고 석달 동안 숨겨 왕의 명령을 무서워하지 아니하였으며
[히브리서 11:23]
두려움이나 걱정으로 얼어붙은 자신을 발견할 때가 있습니까?
믿음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다음 단계로 나가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주님께서 저를 위해 마련하신 길로 신실하게 나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2/28/2024 Saturday
STEP IN FAITH
A more dramatic instance of this occurred with Jochebed (EXODUS 6:20) and her family during the time of Israel’s enslavement in Egypt. When Pharaoh decreed that all newborn Hebrew sons must be cast into the Nile (1:22), Jochebed must have been terrified. She couldn’t change the law, but there were some steps she could take to obey God and try to save her son. In faith, she hid him from the Egyptians. She made a little, watertight papyrus basket and “put it among the reeds along the bank of the Nile” (2:3). God stepped in to miraculously preserve his life (VV. 5-10) and later used him to deliver all of Israel from slavery (3:10).
John and Jochebed took very different steps, but both stories are marked by faith-filled action. Fear can paralyze us. Even if the result isn’t what we expected or hoped for, faith empowers us to keep trusting in God’s goodness regardless of the outcome.
- KAREN PIMPO
Today's Reading
EXODUS 2:1-10By faith Moses’ parents hid him . . . and they were not afraid.
[ HEBREWS 11:23 ]
When do you find yourself frozen in fear or worry?
How can you faithfully take the next God-honoring step?
Dear God, please help me faithfully take each step on the path You have for 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