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4/18/2017 화요일
광경을 즐겨라
아내와 나는 최근 멕시코만 위로 떨어지는 해를 바라보았습니다. 우리 주위에 많은 사람들이 있었는데, 대부분 서로 모르는 사람들이었지만 해변에 함께 모여 일몰의 경이로운 자연현상을 지켜보았습니다. 해가 수평선 아래로 완전히 떨어진 순간 사람들은 환호하며 흩어졌습니다.
왜 사람들이 그렇게 반응하는 걸까요? 시편이 하나의 실마리를 제공해줍니다. 시편기자는 하나님이 태양에게 자기를 만드신 창조주를 찬양하라고 명령하셨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시편 148:3). 햇살이 비치는 이 땅의 어디에서든 사람들은 그 햇살과 함께 찬양하고 싶은 감동을 받습니다.
우리에게 다가오는 자연의 아름다움은 세상의 어떤 것도 말해줄 수 없는 것들을 우리 영혼에게 말해줍니다. 또 그것은 우리의 관심을 사로잡아 우리가 하던 일을 멈추게 할 능력이 있을 뿐만 아니라, 바로 그 아름다움을 만드신 분에게 우리의 초점을 돌리게 하는 힘이 있습니다.
하나님의 광대한 창조의 경이로움은 우리로 하여금 잠시 멈추어 진실로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기억하게 해줍니다. 궁극적으로 그것은 하루가 시작되고 저무는 놀라운 일 뒤에 창조주가 계시다는 것을 일깨워줍니다. 자신이 만드신 이 세상을 너무도 사랑하셨던 그 창조주께서 이 세상을 구원하고 회복시키기 위해 이 세상으로 들어오셨습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48:1-6해와 달아 그를 찬양하며 밝은 별들아 다 그를 찬양할지어다
시편 148:3
하나님께서 여러 빛깔로 다양하게 창조하신 이 세계를 즐겁게 누립니다. 주님과 주님께서 만드신 이 세상이 너무도 놀랍습니다!
하나님이 만드신 모든 만물을 하나님과 함께 기뻐하자.
Daily Article
04/18/2017 TUESDAY
Enjoy the View
My wife and I watched the sun setting over the Gulf of Mexico recently. A crowd of people surrounded us, mostly strangers who had gathered at the beach to watch this nightly phenomenon. At the moment the sun fully slipped below the horizon, the crowd broke out with applause.
Why do people respond like that? The book of Psalms offers a clue. The psalmist wrote of God ordering the sun to praise its Creator (Ps. 148:3). And wherever the rays of the sun shine across the earth, people are moved to praise along with them.
The beauty that comes to us through nature speaks to our souls like few things do. It not only has the capacity to stop us in our tracks and captivate our attention, it also has the power to turn our focus to the Maker of beauty itself.
The wonder of God’s vast creation can cause us to pause and remember what’s truly important. Ultimately, it reminds us that there is a Creator behind the stunning entrance and exit of the day, One who so loved the world He made that He entered it in order to redeem and restore it.
Today's Reading
Psalm 148:1–6Praise him, sun and moon; praise him, all you shining stars.
Psalm 148:3
I enjoy the world You have created with its variety and color. You and what You have made are awesome, Lord!
Join God in taking delight in all that He has made.
오늘의 말씀
04/17/2017 월요일
예수님과 함께 하는 집
방을, 머무를 곳인 본향의 집을 준비하실 것이었습니다.
주님이 죄 없이 십자가에서 돌아 가셨을 때 하나님의 율법이 요구하는 바를 충족시키심으로 그들을 위해, 그리고 우리를 위해 거처를 마련해주셨습니다. 주님은 가서 그 집을 만들고 나서, 그들을 위해 다시 와서 그들을 홀로 내버려두지 않으실 거라고 제자들에게 확신시켜주셨습니다. 그들은 이 땅에서든 천국에서든 그들의 삶에 대해 두려워하거나 걱정할 필요가 없었습니다.
우리는 예수님의 말씀으로부터 위로와 확신을 얻을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주님이 우리를 위한 집을 마련하시고, 우리 안에 주님의 거처를 만드시고(요한복음 14:23 참조), 천국에 우리를 위한 거처를 마련하시기 위해 앞서 가셨다는 것을 우리가 믿고 신뢰하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이 땅의 어떤 집에 살고 있든, 우리는 예수님께 속해 있어 그분의 사랑이 우리를 지탱하고 그분의 평화가 우리를 둘러싸고 있습니다. 주님과 함께 하는 집과 같은 곳은 어디에도 없습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4:1-4가서 너희를 위하여 거처를 예비하면
요한복음 14:3
주 예수님, 우리가 집이 없다고 느껴질 때 주님이 우리의 집임을 기억하게 하소서. 우리가 만나는 사람들과 이런 소속감을 함께
나눌 수 있게 해주소서.
예수님은 우리가 영원히 살 수 있는 거처를 마련해주신다.
Daily Article
04/17/2017 MONDAY
At Home With Jesus
He made this place for them—and us—through fulfilling the requirements of God’s law when He died on the cross as the sinless man. He assured His disciples that if He went to the trouble of creating this home, that of course He would come back for them and not leave them alone. They didn’t need to fear or be worried about their lives, whether on earth or in heaven.
We can take comfort and assurance from Jesus’s words, for we believe and trust that He makes a home for us; that He makes His home within us (see John 14:23); and that He has gone ahead of us to prepare our heavenly home. Whatever sort of physical place we live in, we belong with Jesus, upheld by His love and surrounded in His peace. With Him, there’s no place like home.
Today's Reading
John 14:1-4I go and prepare a place for you.
John 14:3
Lord Jesus Christ, if and when we feel homeless, remind us that You are our home. May we share this sense of belonging with those we meet.
Jesus prepares a place for us to live forever.
오늘의 말씀
04/16/2017 주일
주님은 이해하시고 돌보신다
요즘 낙심한 많은 사람들이 이 세상과 세상 사람들에 대해 그같이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예수님은 우리 삶의 당혹스럽고 걱정스런 일들을 충분히 이해하시고 깊은 관심을 가지고 계십니다. 예수님이 십자가에 못 박히실 것에 대한 구약의 예언인 이사야 53장은 주님이 우리를 위해 당하신 고통이 어떤 것인지를 어렴풋이 보여줍니다. “그가 곤욕을 당하여 괴로울 때에도......도수장으로 끌려가는 어린양과 같이” (7절). “그는 곤욕과 심문을 당하고......내 백성의 허물 때문이라”(8절). “여호와께서 그에게 상함을 받게 하시기를 원하사 질고를 당하게 하셨은즉 그의 영혼을 속건제물로 드리기에 이르면 그가 씨를 보게 되며 그의 날은
길 것이요 또 그의 손으로 여호와께서 기뻐하시는 뜻을 성취하리로다” (10절).
예수님은 십자가에서 우리의 죄를 기꺼이 짊어지셨습니다. 우리를 대신해서 주님이 겪은 것보다 더 큰 고통을 겪은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주님은 우리를 죄로부터 구원하기 위해 치러야 하는 대가가 얼마나 큰지
알고 계셨지만 사랑으로 기꺼이 다 지불하셨습니다(4-6절).
예수님은 죽음을 이기시고 부활하셨기 때문에 지금도 살아계셔서 우리와 함께 하십니다. 우리가 어떤 상황에 처해 있든지 예수님은 이해하시고 관심을 가지시며, 우리가 그것들을 헤쳐 나갈 수 있게 해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53:1-8그는 실로 우리의 질고를 지고 우리의 슬픔을 당하였거늘
이사야 53:4
주님, 우리가 처한 현실을 이해해주시고 우리를 돌봐주시니 감사합니다.
오늘 주님과 함께 걸으며 우리의 하는 모든 일로 주님께 영광을 돌려드리기를 원합니다.
[주님은] 여기 계시지 않고 살아나셨느니라. 누가복음 24:6
Daily Article
04/16/2017 Sunday
He Understands and Cares
I suppose many discouraged people feel that way about the world today and the people in it. But when it comes to the perplexities and concerns of our lives, Jesus fully understands, and He deeply cares. Isaiah 53, an Old Testament prophecy of the crucifixion of Jesus, gives us a glimpse of what He went through for us. “He was oppressed and afflicted . . . led like a lamb to the slaughter” (V. 7). “For the transgression of my people he was punished” (V. 8). “It was the Lord’s will to crush him and cause him to suffer, and though the Lord makes his life an offering for sin, he will see his offspring and prolong his days, and the will of the Lord will prosper in his hand” (V. 10).
On the cross Jesus willingly bore our sin and guilt. No one ever suffered more than our Lord did for us. He knew what it would cost to save us from our sins and, in love, He willingly paid it (VV. 4–6).
Because of Jesus’s resurrection from the dead, He is alive and present with us today. Whatever situation we face, Jesus understands and cares. And He will carry us through. - DAVID MCCASLAND
Today's Reading
Isaiah 53:1–8Surely he took up our pain and bore our suffering.
Isaiah 53:4
Lord, we give thanks for Your knowledge of our circumstances and Your care for us.
Today we want to walk with You and honor You in all we do.
He is not here; He has risen! Luke 24:6
오늘의 말씀
04/15/2017 토요일
사랑의 대가
우리가 사랑하는 사람들과 헤어질 때 마음이 아프듯이, 예수님도 십자가에서 극심한 박탈감을 느끼시며 사랑의 대가를 치르셨습니다. 이사야가 “그가 많은 사람의 죄를 담당하리라”(이사야 53:12)라고 한 예언은 700년 후에 인간이시며 하나님이셨던 예수님에 의해 성취되었습니다. 이사야서 53장에는 고통 받는 종으로 오시는 예수님을 묘사한 부분이 많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고 한 군인이 창으로 주님의 옆구리를 찔렀을 때(요한복음 19:34)를 가리키는 “그가 찔림은 우리의 허물 때문이요”(이사야 53:5)와, “그가 채찍에 맞으므로 우리는 나음을 받았도다”(5절)와 같은 부분입니다.
사랑 때문에 예수님은 이 세상에 오셔서 아기의 모습으로 태어나셨습니다. 사랑 때문에 주님은 많은 율법학자들과 군중들, 그리고 군인들에게 박해를 받으셨습니다. 사랑 때문에 주님은 하나님 아버지 앞에서 우리를 대신하여 고난을 받아 온전한 희생 제물로 돌아가셨습니다. 우리는 사랑 때문에 살고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53:9-12그가 자기 영혼을 버려 사망에 이르게 하며
이사야 53:12
우리의 죄를 없애주신 하나님의 어린양 주 예수 그리스도시여!
우리에게 자비를 베풀어주시고, 우리가 다른 사람들에게 자비와 사랑을 베풀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오늘 우리가 다른 사람들과 주님의 사랑을 어떻게 나눌 수 있는지를 보여주소서.
예수님은 우리에게 생명을 주시기 위해 온전한 희생 제물로 돌아가셨다.
Daily Article
04/15/2017 Saturday
The Price of Love
We might feel the pain of being separated from loved ones, but Jesus felt the ultimate separation when He paid the price of love on the cross. He, who was both human and God, fulfilled Isaiah’s prophecy 700 years after Isaiah gave it when He “bore the sin of many” (ISA. 53:12). In this chapter we see rich pointers to Jesus being the suffering Servant, such as when He was “pierced for our transgressions” (V. 5), which happened when He was nailed to the cross and when one of the soldiers pierced His side (JOHN 19:34), and that “by his wounds we are healed” (ISA. 53:5).
Because of love, Jesus came to earth and was born a baby. Because of love, He received the abuse of the teachers of the law, the crowds, and the soldiers. Because of love, He suffered and died to be the perfect sacrifice, standing in our place before the Father. We live because of love. -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Isaiah 53:9–12He poured out his life unto death.
Isaiah 53:12
Lord Jesus Christ, the Lamb of God who takes away our sins,
have mercy on us, and help us to extend mercy and love to others.
Show us how we might share Your love with others today.
Jesus was the perfect sacrifice who died to give us life.
오늘의 말씀
04/14/2017 금요일
십자가를 기억하라
나는 십자가를 보면 우리를 위해 예수님이 당하신 고통들이 떠오릅니다. 주님은 십자가에 못 박히시기 전에 매질과 침 뱉음을 당하셨습니다. 군인들은 막대기로 머리를 때리고 무릎을 꿇고 앉아서 숭배하는 척하며 조롱했습니다. 그들은 강제로 예수님께 십자가를 지우고 사형장까지 끌고 가려 했지만, 그 전에 받은 잔인한 매질로 예수님은 이미 약해져 있었습니다. 골고다 언덕에 도착해서 십자가를 세울 때 그들은 주님의 몸이 떨어지지 않도록 주님의 살에 못을 박았고, 그 못 박힌 상처가 주님이 매달려 있는 동안 주님의 몸의 무게를 지탱했습니다. 그리고 여섯 시간 후 예수님은 마지막 숨을 거두셨습니다(마가복음 15:37). 예수님의 죽음을 지켜보던 백부장은 “이 사람은 진실로 하나님의 아들이었도다”(39절)라고 선언했습니다.
이후에 당신이 십자가의 상징을 볼 때, 그것이 당신에게 무엇을 의미하는지 생각해보십시오. 하나님의 아들이 그곳에서 고통을 받고 돌아가셨고, 영생을 주시기 위해 다시 살아나셨습니다.
오늘의 성구
마가복음 15:19-20,33-39이 사람은 진실로 하나님의 아들이었도다
마가복음 15:39
사랑하는 예수님, 십자가에서 돌아가시면서 내 죄를 대신해주신 주님께 어떻게 감사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주님의 희생에 감사드리며, 주님의 부활의 능력을 믿습니다.
그리스도의 십자가는 가장 나쁜 면으로는 우리의 죄를, 가장 좋은 면으로는 하나님의 사랑을 드러낸다.
Daily Article
04/14/2017 Friday
Remember the Cross
The sight of a cross causes me to consider what Jesus endured for us. Before being crucified, He was flogged and spit on. The soldiers hit Him in the head with sticks and got down on their knees in mock worship. They tried to make Him carry His own cross to the place where He would die, but He was too weak from the brutal flogging. At Golgotha, they hammered nails through His flesh to keep Him on the cross when they turned it upright. Those wounds bore the weight of His body as He hung there. Six hours later, Jesus took His final breath (MARK 15:37). A centurion who witnessed Jesus’s death declared, “Surely this man was the Son of God!” (V. 39).
The next time you see the symbol of the cross, consider what it means to you. God’s Son suffered and died there and then rose again to make eternal life possible. - JENNIFER BENSON SCHULDT
Today's Reading
Mark 15:19–20, 33–39"Surely this man was the Son of God!"
Mark 15:39
Dear Jesus, I can’t begin to thank You enough for taking care of my sin when You died on the cross. I acknowledge Your sacrifice, and I believe in the power of Your resurrection.
The cross of Christ reveals our sin at its worst and God’s love at its best.
오늘의 말씀
04/13/2017 목요일
우리를 위해 버림받으심
그들은 수십 번의 실험을 했고 일관된 결과를 얻었습니다. 충격이 다가오리라 예상되는 상황에서 혼자이거나 낯선 사람의 손을 잡고 있을 때는 위험을 감지하는 뇌 부분이 작동이 됐지만, 신뢰하는 사람의 손을 잡고 있을 때는 뇌가 안정되어 있었습니다. 친구가 옆에 있다는 위안이 고통을 더 잘 참게 해준 것입니다.
예수님이 겟세마네 동산에서 기도하실때 위로가 필요하셨습니다. 주님은 앞으로 어떤 일을 겪게 될 것인지 알고 계셨습니다. 그것은 바로 배신과 체포, 그리고 죽음이었습니다. 주님은 주님의 마음이 “매우 고민하여 죽게 되었다”(마태복음 26:38)고 하시며 가장 가까운 친구들에게 같이 머물며 함께 기도하자고 하셨습니다. 그러나 베드로와 야고보, 요한은 계속 잠에 빠져 있었습니다.
예수님은 붙잡아줄 위로의 손길 하나 없이 그곳에서 고통을 맞이하셨습니다. 그러나 주님이 그 고통을 참으셨기에, 우리는 하나님이 결코 우리를 버리지도 떠나지도 않으실 거라는 것을 확신할 수 있습니다 (히브리서 13:5). 주님이 고통을 당하셨기 때문에 우리는 하나님의 사랑에서 절대 끊어지지 않을 것입니다(로마서 8:39). 주님과 교제할 때 우리는 우리가 견디어야 할 그 어떤 것도 더 잘 참을 수 있게 됩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26:36-46[하나님이] 친히 말씀 하시기를 내가 결코 너희를 버리지 아니하고 너희를 떠나지 아니하리라 하셨느니라
히브리서 13:5
예수님, 겟세마네 동산에서 홀로 고통을 감당하시고 우리를 위해 십자가를 지시니 감사합니다. 우리에게 하나님 아버지와 교제하며 살아갈 길을 열어주시니 감사합니다.
하나님이 사랑하시기 때문에 우리는 결코 혼자가 아니다.
Daily Article
04/13/2017 Thursday
Forsaken for Our Sake
Researchers ran the test on dozens of pairs, and found consistent results. When a person was alone or holding a stranger’s hand while anticipating a shock, the regions of the brain that process danger lit up. But when holding the hand of a trusted person, the brain relaxed. The comfort of a friend’s presence made the pain seem more bearable.
Jesus needed comfort as He prayed in the Garden of Gethsemane. He knew what He was about to face: betrayal, arrest, and death. He asked His closest friends to stay and pray with Him, telling them that His soul was “overwhelmed with sorrow” (MATT. 26:38). But Peter, James, and John kept falling asleep.
Jesus faced the agony of the garden without the comfort of a hand to hold. But because He bore that pain, we can be confident that God will never leave or forsake us (HEB. 13:5). Jesus suffered so that we will never have to experience separation from the love of God (ROM. 8:39). His companionship makes anything we endure more bearable. - AMY PETERSON
Today's Reading
Matthew 26:36–46God has said, "Never will I leave you; never will I forsake you."
Hebrews 13:5
Jesus, thank You for bearing the pain and isolation of the Garden of Gethsemane and the cross for us. Thank You for giving us a way to live in communion with the Father.
Because of God’s love, we are never truly alone.
오늘의 말씀
04/12/2017 수요일
머리를 풀어헤치라
우리 중 어떤 사람들은 교회에 갈 때 다른 사람들이 호감을 느끼도록 완벽한 모습으로 가야 한다는 압박감을 느끼기도 합니다. 비유적으로 말하자면, 많은 수고를 들여 머리카락 한 오라기까지 단정하게 빗었는지 확인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건강한 교회는 우리가 머리를 풀어헤칠 수 있고, 완벽한 모습 뒤에 가려진 우리의 결점들을 숨기지 않아도 되는 곳입니다. 교회는 강한 것처럼 보이려고 우리의 결점을 숨기려 하기보다는,
오히려 능력을 구하기 위해 우리의 약함을 드러낼 수 있는 곳이어야 합니다.
예배는 마치 잘못된 것이 하나도 없는 것처럼 행동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과 성도들, 그리고 성도들 상호간의 관계가 올바로 되어 있는지 확실히 하는 것입니다. 우리의 머리를 풀어헤치는 것이 가장 두려운 것이라면, 아마도 우리의 가장 큰 죄는 그것을 풀어헤치지 않으려 하는 것일 겁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2:1-8마리아는 지극히 비싼 향유 곧 순전한 나드 한 근을 가져다가 예수의 발에 붓고 자기 머리털로 그의 발을 닦으니
요한복음 12:3
하나님이여, 나를 살피사 내 마음을 아시며......내게 무슨 악한 행위가 있나 보시고 나를 영원한 길로 인도하소서.
시편 139:23-24
하나님과의 관계가 올바를 때 우리의 예배가 올바르게 된다.
Daily Article
04/12/2017 Wednesday
Let Down Your Hair
Some of us may feel pressured to be perfect when we go to church so that people will think well of us. Metaphorically speaking, we work hard to make sure we have every hair in place. But a healthy church is a place where we can let down our hair and not hide our flaws behind a façade of perfection. In church, we should be able to reveal our weaknesses to find strength rather than conceal our faults to appear strong.
Worship doesn’t involve behaving as if nothing is wrong; it’s making sure everything is right—right with God and with one another. When our greatest fear is letting down our hair, perhaps our greatest sin is keeping it up. - JULIE ACKERMAN LINK
Today's Reading
John 12:1–8Mary took about a pint of pure nard, an expensive perfume; she poured it on Jesus' feet and wiped his feet with her hair.
John 12:3
Search me, God, and know my heart. . . . See if there is any offensive way in me, and lead me in the way everlasting.
PSALM 139:23–24
Our worship is right when we are right with God.
오늘의 말씀
04/11/2017 화요일
왜 용서하나?
감정을 완전히 떨쳐버릴 수 있었습니다. 나는 마침내 자유롭게 되었습니다.
용서는 그리스도인의 믿음의 핵심이며, 그 중심에는 십자가에서 돌아가실 때조차도 용서의 손을 내미신 우리 주님이 계십니다. 예수님은 자신을 못 박는 이들마저 사랑 하셨고, 하나님 아버지께 그들을 용서해 달라고 기도하셨습니다. 주님은 십자가에 달리실 때 주님께 잘못을 저지른 자들에게 분노하거나 원한을 품으신 것이 아니라 은혜와 사랑을 보여주셨습니다.
우리에게 상처를 주었지만, 예수님의 본을 따라 주님의 사랑으로 용서해야 할 사람들이 있는지 주님 앞에서 곰곰이 생각해보기에 좋은 시기입니다. 비록 용서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생각되더라도, 우리가 용서할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성령님을 통해 하나님께 간구하면 하나님은 우리를 도와주실 것입니다. 우리가 그렇게 할 때 용서불가능이라는 굴레를 벗게 됩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23:32-34예수께서 이르시되 아버지 저들을 사하여 주옵소서 자기들이 하는 것을 알지 못함이니이다 하시더라 그들이 그의 옷을 나눠 제비 뽑을새
누가복음 23:34
주 예수 그리스도시여, 주님께서 제 안에 계셔서 주님의 은혜와 권능으로 제가 용서할 수 있게 도우셔서 주님의 사랑이 저를 자유롭게 해주소서.
십자가에서조차 예수님은 자신을 해하는 자들을 용서하셨다.
Daily Article
04/11/2017 Tuesday
Why Forgive?
Forgiveness lies at the heart of the Christian faith, with our Savior extending forgiveness even when He was dying on the cross. Jesus loved those who had nailed Him there, uttering a prayer asking His Father to forgive them. He didn’t hang on to bitterness or anger, but showed grace and love to those who had wronged Him.
This is a fitting time to consider before the Lord any people we might need to forgive as we follow Jesus’s example in extending His love to those who hurt us. When we ask God through His Spirit to help us forgive, He will come to our aid—even if we take what we think is a long time to forgive. When we do, we are freed from the prison of unforgiveness. -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Luke 23:32–34Jesus said, "Father, forgive them, for they do not know what they are doing." And they divided up his clothes by casting lots.
Luke 23:34
Lord Jesus Christ, through Your grace and power as You dwell in me, help me to forgive, that Your love will set me free.
Even on the cross, Jesus forgave those who hurt Him.
오늘의 말씀
04/10/2017 월요일
가장 친한 친구
예수님은 다른 사람들로부터 극심한 모욕을 당하는 것이 어떤 것인지를 아셨습니다. 성경은 “그는 멸시를 받아 사람들에게 버림받았다”(이사야 53:3) 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예수님은 고통의 희생양이 되셨을 뿐 아니라 우리의 중재자도 되어주셨습니다. 예수님은 생명을 내어주심으로 우리에게 하나님과의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새로운 삶의 길”을 열어주셨습니다(히브리서 10:20). 주님은 우리를 위해 우리 스스로는 결코 할 수 없는 일을 해주셔서, 우리 죄를 회개하고 주님을 신뢰할 때 우리에게 값없이 구원의 선물을 주십니다.
예수님은 우리가 사귈 수 있는 가장 좋은 친구입니다. 주님은 “내게 오는 자는 내가 결코 내쫓지 아니하리라”(요한복음 6:37)고 말씀하셨습니다. 다른 사람들은 우리와 거리를 두거나 심지어는 밀쳐내 버리기도 하지만, 하나님은 십자가를 통해 우리에게 팔을 벌려주셨습니다. 우리 구주는 얼마나 강한 분이신지요!
오늘의 성구
히브리서 10:19-23영접하는 자 곧 그 이름을 믿는 자들에게는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권세를 주셨으니
요한복음 1:12
무덤 권세 이긴 주, 왕의 왕이 되셨네.
높은 이름 세상에 널리 반포하여라.
찰스 웨슬리
하나님은 우리에게 값없이 선물을 주시려고 엄청난 대가를 치르셨다.
Daily Article
04/10/2017 Monday
Our Best Friend
got pushed out of the way while waiting in line. One day my friend Jose, who was big and strong for his age, saw this happening. He stepped in and stuck out a strong arm to clear my way. “Hey!” he exclaimed, “You let Banks get a drink first!” I never had trouble at the drinking fountain again.
Jesus understood what it was like to face the ultimate unkindness of others. The Bible tells us, “He was despised and rejected by mankind” (ISA. 53:3). But Jesus was not just a victim of suffering, He also became our advocate. By giving His life, Jesus opened a “new and living way” for us to enter into a relationship with God (HEB. 10:20). He did for us what we could never do for ourselves, offering us the free gift of salvation when we repent of our sins and trust in Him.
Jesus is the best friend we could ever have. He said, “Whoever comes to me I will never drive away” (JOHN 6:37). Others may hold us at arm’s length or even push us away, but God has opened His arms to us through the cross. How strong is our Savior! - JAMES BANKS
Today's Reading
Hebrews 10:19–23Yet to all who did receive him, to those who believed in his name, he gave the right to become children of God.
John 1:12
Love’s redeeming work is done, fought the fight, the battle won.
Death in vain forbids him rise; Christ has opened paradise.
CHARLES WESLEY
God’s free gift to us cost Him dearly.
오늘의 말씀
04/09/2017 주일
믿음의 여정
에이미 립슨은 ‘휴머니티즈’라는 잡지에 기고한 글에서 그 책을 집필하며 작가의 삶이 바뀌게 되었다고 썼습니다. “벤허가 독자들을 그리스도의 수난 장면으로 이끌었던 것처럼 루 월리스를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으로 이끌었다.” 월리스는 “나는 그 나사렛 사람을 봤습니다...... 그 누구도 하지 못한 것을 해내는 그를 봤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예수님의 삶을 기록한 복음서를 통해 우리는 예수님과 동행하게 되며, 주님의 기적을 보고, 주님의 말씀을 듣고, 종려주일에 예루살렘으로 승리의 입성을 하시는 주님을 보게 됩니다. 요한은 요한복음의 마지막에서 “예수께서 제자들 앞에서 이 책에 기록되지 아니한 다른 표적도 많이 행하셨으나 오직 이것을 기록함은 너희로 예수께서 하나님의 아들 그리스도이심을 믿게 하려 함이요 또 너희로 믿고 그 이름을 힘입어 생명을 얻게 하려 함이로라”(요한복음 20:30-31)라고 썼습니다.
루 월리스가 성경을 읽으며 연구하고 글을 쓰다가 예수님을 믿게 된 것처럼, 하나님의 말씀은 우리의 마음과 생각을 변화시켜 예수님을 통해 주님 안에 있는 영생을 얻게 합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20:24-31오직 이것을 기록함은 너희로 예수께서 하나님의 아들 그리스도이심을 믿게 하려 함이요 또 너희로 믿고 그 이름을 힘입어 생명을 얻게 하려 함이로라
요한복음 20:31
주님, 주님의 삶을 담은 말씀이 우리의 마음과 생각에 새겨져서 우리 믿음이 주님 안에서 계속 자라게 해주소서.
책은 지식을 알려주지만, 성경은 삶을 변화시킨다.
Daily Article
04/09/2017 Sunday
A Journey of Belief
Amy Lifson, writing in Humanities magazine, said that the writing of the book transformed the life of the author. “As Ben-Hur guided readers through the scenes of the Passion, so did he lead the way for Lew Wallace to believe in Jesus Christ.” Wallace said, “I have seen the Nazarene . . . . I saw him perform works which no mere man could perform.”
The Gospels’ record of the life of Jesus allows us to walk alongside Him, witness His miracles, hear His words, and see His triumphal entry into Jerusalem on what we call Palm Sunday. At the conclusion of John’s gospel, he wrote, “Jesus performed many other signs in the presence of his disciples, which are not recorded in this book. But these are written that you may believe that Jesus is the Messiah, the Son of God, and that by believing you may have life in his name” (JOHN 20:30–31).
Just as Lew Wallace’s research, reading of the Bible, and writing led him to believe in Jesus, so God’s Word draws us to a transformation of mind and heart by which we have eternal life in and through Him. - DAVID MCCASLAND
Today's Reading
John 20:24–31These are written that you may believe that Jesus is the Messiah, the Son of God, and that by believing you may have life in his name.
John 20:31
Lord, may the record of Your life be written on our minds and hearts so that we may have ever-increasing faith in You.
Many books can inform, but only the Bible can transfo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