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3/29/2017 수요일
불 시련
사시나무는 자연재해로 황폐해진 것을 바탕으로 새로운 나무들을 자라게 합니다. 야고보는 우리의 믿음도 어려움을 겪음으로 성장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너희가 여러 가지 시험을 당하거든 온전히 기쁘게 여기라 이는 너희 믿음의 시련이 인내를 만들어 내는 줄 너희가 앎이라 인내를 온전히 이루라 이는 너희로 온전하고 구비하여 조금도 부족함이 없게 하려 함이라”(야고보서 1:2-4).
시련을 당하면서 기뻐하기는 어렵지만, 하나님이 어려운 상황들을 사용하여 우리가 성숙해지도록 도와주신다는 사실을 알기에 우리는 희망을 가질 수 있습니다. 사시나무처럼, 고난이 우리의 마음에 빈 공간을 만들어 하나님의 빛이 우리를 만질 수 있을 때, 시련의 시기에도 우리의 믿음은 자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야고보서 1:1-12시험을 참는 자는 복이 있나니 이는 시련을 견디어 낸 자가......생명의 면류관을 얻을 것이기 때문이라
야고보서 1:12
하나님, 우리가 시련을 당할 때 함께 해주시고 역경을 통하여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주시니 감사합니다.
시련과 시험은 우리를 그리스도께로 더 가까이 이끌어준다.
Daily Article
03/29/2017 Wednesday
Trial by Fire
root system. These root systems can exist for thousands of years whether or not they produce trees. They sleep underground, waiting for fire, flood, or avalanche to clear a space for them in the shady forest. After a natural disaster has cleared the land, aspen roots can sense the sun at last. The roots send up saplings, which become trees.
For aspens, new growth is made possible by the devastation of a natural disaster. James writes that our growth in faith is also made possible by difficulties. “Consider it pure joy,” he writes, “whenever you face trials of many kinds, because you know that the testing of your faith produces perseverance. Let perseverance finish its work so that you may be mature and complete, not lacking anything” (JAMES 1:2–4).
It’s difficult to be joyful during trials, but we can take hope from the fact that God will use difficult circumstances to help us reach maturity. Like aspen trees, faith can grow in times of trial when difficulty clears space in our hearts for the light of God to touch us. - AMY PETERSON
Today's Reading
James 1:1–12Blessed is the one who perseveres under trial because, having stood the test, that person will receive the crown of life.
James 1:12
Thank You, God, for being with us in our trials, and for helping us to grow through difficult circumstances.
Trials and tests can draw us closer to Christ.
오늘의 말씀
03/28/2017 화요일
좋은 열매 맺기
깨끗한 물이 있어야 풍성한 수확이 있는 것처럼, 나의 말이나 행동, 태도 같은 내 삶의 ‘열매’의 풍성함도 나의 영적인 영양상태에 달려 있습니다. 시편기자는 시편 1편에서 이렇게 노래합니다. “주의 율법을 즐거워하는 사람은......시냇가에 심은 나무가 철을 따라 열매를 맺음......같으니”(1-3절). 그리고 바울 사도는 갈라디아서 5장에서 성령을 따라 사는 사람들에게는 “사랑과 희락과 화평과 오래 참음과 자비와 양선과 충성과 온유와 절제”(22-23절)와 같은 특징이 있다고 했습니다.
가끔은 나의 환경에 대한 마음가짐이 날카로워지거나, 행동과 말이 계속 퉁명스러워질 때가 있습니다. 그때는 좋은 열매가 나타나지 않으며, 내가 하나님 말씀 앞에서 조용히 시간을 보내지 않았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그러나 하루하루의 리듬을 하나님께 깊이 의지하게 되면 나는 좋은 열매를 맺습니다. 그때에는 다른 사람들을 대할 때 인내와 온유로 하게 되며, 불평보다는 감사를 선택하는 것이 더 쉬워집니다.
우리에게 자신을 계시해주신 하나님이 우리의 힘과 지혜, 기쁨, 깨달음, 그리고 평화의 원천입니다(시편 119:28,98,111,144,165). 우리를 하나님께로 향하게 하는 말씀 안에 우리의 영혼을 흠뻑 적시면, 우리 삶에 성령님이 역사하시는 것이 확실히 보일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1-3그는 시냇가에 심은 나무가 철을 따라 열매를 맺음......같으니
시편 1:3
.
성령님은 하나님의 백성들을 통해 일하시려고 그들 안에 사신다.
Daily Article
03/28/2017 Tuesday
Bearing Good Fruit
Just as a bountiful harvest depends on a source of clean water, the quality of the “fruit” in my life—my words, actions, and attitude—depends on my spiritual nourishment. The psalmist describes this in Psalm 1: The person “whose delight is in the law of the Lord . . . is like a tree planted by streams of water, which yields its fruit in season” (VV. 1–3). And Paul writes in Galatians 5 that those who walk in step with the Spirit are marked by “love, joy, peace, forbearance, kindness, goodness, faithfulness, gentleness, and self-control” (VV. 22–23).
Sometimes my perspective on my circumstances turns sour, or my actions and words become persistently unkind. There is no good fruit, and I realize I haven’t spent time being quiet before the words of my God. But when the rhythm of my days is rooted in reliance on Him, I bear good fruit. Patience and gentleness characterize my interactions with others; it’s easier to choose gratitude over complaint.
The God who has revealed Himself to us is our source of strength, wisdom, joy, understanding, and peace (PS. 119:28, 98, 111, 144, 165). As we steep our souls in the words that point us to Him, the work of God’s Spirit will be evident in our lives. - PETER CHIN, GUEST WRITER
Today's Reading
Psalm 1:1–3That person is like a tree planted by streams of water, which yields its fruit in season.
Psalm 1:3
.
God’s Spirit lives in His people, in order to work through them.
오늘의 말씀
03/27/2017 월요일
이미지 관리
처칠은 완성된 초상화를 좋아하지 않았습니다. 서덜랜드는 의자에 푹 쓰러져 자신의 트레이드마크인 찡그린 얼굴을 하고 있는 처칠의 모습을 초상화에 그려놓았던 것입니다. 실제 모습대로 그리긴 했지만, 마음에 드는 그림이라고는 할 수 없었습니다. 처칠은 공식적인 제막식을 가진 후 그 초상화를 자신의 집 다락방에 숨겨놓았다가, 나중에 아무도 모르게 폐기해버렸습니다.
처칠과 마찬가지로 우리 대부분에게도 성공이나 경건함, 아름다움, 혹은 강인함 같은, 남들이 우리를 그렇게 봐주었으면 하는 자신의 이미지가 있습니다. 우리는 우리의 ‘추한’ 면들을 감추기 위해 온갖 노력을 다 하기도 합니다. 아마도 우리 마음 속 깊이 우리의 참 모습이 공개되면 사람들로부터 사랑받을 수 없을 것이라는 두려움이 자리 잡고 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바벨론에 포로로 끌려갈 때 그들의 최악의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하나님은 그들의 죄 때문에 적들이 그들을 정복하는 것을 허락하셨습니다. 하지만 하나님은 그들에게 두려워하지 말라고 말씀하셨습니다. 하나님은 그들 한 사람 한 사람을 아시고, 모든 참담한 시련 속에서 그들과 함께 하셨습니다(이사야 43:1-2). 그들은 하나님의 손 안에서 안전했으며(13절), 하나님께 “존귀한” 자들이었습니다(4절). 그들의 추함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은 그들을 사랑하셨습니다.
그러한 진리가 우리 마음속에 진정 와 닿을 때, 우리는 다른 사람들의 인정을 받으려고 그렇게 애쓰지 않게 될 것입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진짜 모습을 아시면서도 측량할 수 없을 만큼 우리를 사랑하는 분이십니다(에베소서 3:18).
오늘의 성구
이사야 43:1-9네가 내 눈에 보배롭고 존귀하며 내가 너를 사랑하였은즉
이사야 43:4
.
하나님의 깊은 사랑을 체험하면 다른 사람들 앞에서 진실할 수 있다.
Daily Article
03/27/2017 Monday
Image Management
Churchill was not happy with the results. Sutherland’s portrait had Churchill slumped in a chair wearing his trademark scowl—true to reality, but hardly flattering. After its official unveiling, Churchill hid the painting in his cellar. It was later secretly destroyed.
Like Churchill, most of us have an image of ourselves we want others to have of us also—whether of success, godliness, beauty, or strength. We can go to great lengths to conceal our “ugly” sides. Perhaps deep down we fear we won’t be loved if the real us is known.
When the Israelites were taken captive by Babylon, they were seen at their worst. Because of their sins, God allowed their enemies to conquer them. But He told them not to fear. He knew them by name, and He was with them in every humiliating trial (ISA. 43:1–2). They were secure in His hands (V. 13) and “precious” to Him (V. 4). Despite their ugliness, God loved them.
We will find ourselves less motivated to seek the approval of others when such a truth truly sinks in. God knows the real us and still loves us immeasurably (EPH. 3:18). - SHERIDAN VOYSEY
Today's Reading
Isaiah 43:1–9You are precious and honored in my sight, and ...I love you.
Isaiah 43:4
.
God’s deep love means we can be real with others.
오늘의 말씀
03/26/2017 주일
동이 서를 만나다
신약시대에 그리스도인으로 개종한 유대인들과 이방인들은 동과 서가 먼 것 만큼 너무나도 다른 시각들을 가지고 그리스도께로 나아오고 있었습니다. 얼마 지나지 않아 그들은 예배하는 날들에서부터 그리스도인들이 마음 놓고 먹고 마실 수 있는 것들이 무엇인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제들에 서로 다른 의견을 내세우게 되었습니다. 바울 사도는 우리 중 어느 누구도 다른 사람의 마음을 알거나 정죄할 위치에 서 있는 사람은 없다는 중요한 사실을 꼭 기억하라고 그들에게 권고하였습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함께 믿는 자들과 화합할 수 있도록, 모두가 주님 앞에 책임을 져야 할 존재임을 깨닫고, 주님의 말씀과 우리의 양심에따라 행동하라고 권고하십니다. 우리 마음의 태도를 판단하실 수 있는 분은 오직 주님뿐이십니다(로마서 14:4-7).
오늘의 성구
로마서 14:1-12남의 하인을 비판하는 너는 누구냐
로마서 14:4
하늘에 계신 아버지, 수많은 것들을 우리와 다른 시각으로 보는 이들의 마음을 정죄하려는 저희에게 자비를 베풀어주소서.
남을 판단하기는 더디 하고, 자신을 판단하기는 빨리 하라.
Daily Article
03/26/2017 Sunday
East Meets West
different perspective and practice.
In the days of the New Testament, Jewish and Gentile converts were coming to Christ with perspectives as different as East and West. Before long they were disagreeing over matters as diverse as worship days and what a Christ-follower is free toeat or drink. The apostle Paul urged them to remember an important fact: None of us is in a position to know or judge the
heart of another.
For the sake of harmony with fellow believers, God urges us to realize that we are all accountable to our Lord, to act according to His Word and our conscience. However, He alone is in a position to judge the attitudes of our heart (ROM. 14:4–7). - MART DEHAAN
Today's Reading
Romans 14:1–12Who are you to judge someone else's servant?
Romans 14:4
Father in heaven, please have mercy on us for presuming to judge the heart of those who see so many things differently than we do.
Be slow to judge others but quick to judge yourself.
오늘의 말씀
03/25/2017 토요일
너는 아니다
왜냐하면 하나님이 “너는 내가 거할 집을 건축하지 말라”(역대상 17:4)고 말씀하셨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은 다윗의 아들 솔로몬을 선택하여 성전을 건축하도록 하셨습니다. 이렇게 하나님께 거절당한 다윗이 보여준 반응은 우리에게 본이 됩니다. 그는 자신이 할 수 없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하시고자 하는 일에 집중하였습니다(16-25절). 그는 늘 감사하는 마음으로 자신이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다 하며, 유능한 사람들을 불러 모아 솔로몬이 성전 짓는 것을 돕도록 했습니다(역대상 22장 참조).
성경 주석가 맥콘빌은 이렇게 썼습니다. “종종 우리가 인정해야 하는 사실은, 우리가 그리스도인의 사역으로 꼭 하고 싶은 일이 있다 해도, 우리가 그것을 잘 할 수 있는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고, 더 나아가 하나님께서 그 일을 하라고 실제로 우리를 부르지 않았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다윗의 경우처럼, 분명 더 위대한 어떤 일에 이르기 위한 준비사역이 우리가 잘 할 수 있고, 또 하나님이 주신 소명일 수 있다.”
다윗은 자신의 영광이 아닌 하나님의 영광을 구했습니다. 그는 자신의 후대에 성전 건축을 마무리할 솔로몬을 위해 기초를 든든히 다지면서, 하나님의 성전을 위해 충실하게 자신이 할 수 있는 것을 다했습니다. 그와 같이, 우리도 하나님이 택하셔서 우리에게 하라고 주신 일을 받아들이고 감사한 마음으로 하나님을 섬길 수 있기를 바랍니다. 우리의 사랑의 하나님은 “분명 더 위대한” 어떤 일을 하고 계시기 때문입니다.
오늘의 성구
역대상 17:1-4,16-25말씀하신 대로 행하사 견고하게 하시고 사람에게 영원히 주의 이름을 높여
역대상 17:23-24
하나님 아버지, 우리의 소망과 꿈과 마음이 하나님의 것과 일치하기를 원합니다. 하나님의 선하심을 의심하려는 유혹이 들 때에도 하나님을 찬양할 수 있도록 가르쳐주소서.
하나님은 그분의 뜻의 목적을 숨기실 수 있지만, 하나님의 뜻에는 언제나 목적이 있다.
Daily Article
03/25/2017 Saturday
Not the One
For God had said, “You are not the one” (1 CHRON. 17:4). God had chosen David’s son Solomon to build the temple. David’s response to this denial was exemplary. He focused on what God would do, instead of what he himself could not do (VV. 16–25). He maintained a thankful spirit. He did everything he could and rallied capable men to assist Solomon in building the temple (SEE 1 CHRON. 22).
Bible commentator J. G. McConville wrote: “Often we may have to accept that the work which we would dearly like to perform in terms of Christian service is not that for which we are best equipped, and not that to which God has in fact called us. It may be, like David’s, a preparatory work, leading to something more obviously grand.”
David sought God’s glory, not his own. He faithfully did all he could for God’s temple, laying a solid foundation for the one who would come after him to complete the work. May we, likewise, accept the tasks God has chosen for us to do and serve Him with a thankful heart! Our loving God is doing something “more obviously grand.” - POH FANG CHIA
Today's Reading
1 Chron. 17:1–4, 16–25Do as you promised, so that it will be established and that your name will be great forever.
1 Chronicles 17:23-24
Father, we want our hopes and dreams and our hearts to align with Yours. Teach us to praise You when we are tempted to doubt Your goodness.
God may conceal the purpose of His ways, but His ways are not without purpose.
오늘의 말씀
03/24/2017 금요일
놀라운 하나님의 얼굴
때때로 나는 하나님도 우리에게 같은 말을 하시고 싶어 하신다고 생각합니다. 하나님이 우리 말을 듣지 못하시기 때문이 아니라, 우리가 하나님을 진짜 “쳐다보지” 않고 하나님께 이야기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기도를 하면서도 우리의 질문에 사로잡히고 우리 자신에게만 집중한 나머지, 우리가 기도를 드리는 주님이 어떤 분이신지 잊어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마치 네 살 된 내 아들처럼, 우리는 대화하는 대상에게 관심을 두지 않고 질문을 던집니다.
우리의 많은 걱정들에 대한 최선의 해결책은 하나님이 누구신지, 그리고 그분이 어떤 일을 행하셨는지를 기억하는 것입니다. 단순하게 다시 한 번 생각의 초점을 맞추어, 사랑이 많으시고, 용서하시며, 주권자이시며, 자비로우신 그분의 성품을 깨달음으로써 우리는 위안을 얻을 수 있습니다.
시편기자는 우리가 하나님의 얼굴을 계속 구해야 한다고 믿었습니다(시편 105:4). 다윗은 예배와 기도를 인도하는 사람들을 세울 때에 그들에게 하나님의 성품과 하나님께서 지금까지 신실하게 행하셨던 행적을 이야기하라고 권면하였습니다(역대상 16:8-27).
우리의 눈을 돌려 하나님의 아름다운 얼굴을 구할 때, 우리는 답을 알 수 없는 질문들 가운데에서도 힘을 얻고 평안을 누릴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역대상 16:8-27여호와와 그의 능력을 구할지어다 항상 그의 얼굴을 찾을지어다
역대상 16:11
주님, 주님의 얼굴의 빛을 우리에게 비춰주소서.
하나님의 얼굴을 구할 때 우리의 믿음이 강해진다.
Daily Article
03/24/2017 Friday
His Wonderful Face
Sometimes I think God wants to say the same thing to us not because He can’t hear us, but because we can tend to talk to Him without really “looking” at Him. We pray, but we remain caught up in our own questions and focused on ourselves, forgetting the character of the One we’re praying to. Like my son, we ask questions without paying attention to the person we’re talking to.
Many of our concerns are best addressed by reminding ourselves of who God is and what He has done. By simply refocusing, we find comfort in what we know of His character: that He is loving, forgiving, sovereign, graceful.
The psalmist believed we ought to seek God’s face continually (PS. 105:4). When David appointed leaders for worship and prayer, he encouraged the people to praise God’s character and tell stories of His past faithfulness (1 CHRON. 16:8–27).
When we turn our eyes toward the beautiful face of God, we can find strength and comfort that sustain us even in the midst of unanswered questions. - AMY PETERSON
Today's Reading
1 Chronicles 16:8–27Look to the LORD and his strength; seek his face always.
1 Chronicles 16:11
Lord, let the light of Your face shine upon us.
Seeking the face of God can strengthen our faith.
오늘의 말씀
03/23/2017 목요일
편안하게 품에 안겨서
하나님은 마치 엄마가 아이에게 하듯 부드럽고 믿음직하고 부지런히 그분의 자녀들을 편안히 해주십니다. 우리가 지치거나 당황할때, 하나님은 사랑으로 우리를 하나님 품에 안아주십니다. 우리의 아버지 되시고 창조주이신 하나님은 우리를 속속들이 아십니다. “주께서 심지가 견고한 자를 평강하고 평강하도록 지키시리니 이는 그가 주를 신뢰함이니이다”(이사야 26:3).
이 세상의 어려운 일들 때문에 마음이 무거울 때, 사랑하는 부모이신 하나님께서 자녀된 우리를 보호하시고 우리를 위해 싸워주신다는 것을 알기에 우리는 위로를 얻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66:12-16어머니가 자식을 위로함 같이 내가 너희를 위로할 것인즉
이사야 66:13
주님, 고난의 시간에 주님을 바라보고 위로를 얻을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하나님의 위로는 우리 마음을 온전히 평안하게 하신다.
Daily Article
03/23/2017 Thursday
Cradled in Comfort
God extends comfort to His children like a mother: tender, trustworthy, and diligent in her efforts to calm her child. When we are weary or upset, He carries us affectionately in His arms. As our Father and Creator, He knows us intimately. He “will keep in perfect peace all who trust in [him], all whose thoughts are fixed on [him]” (ISA. 26:3 NLT).
When the troubles of this world weigh heavy on our hearts, we can find comfort in the knowledge that He protects and fights for us, His children, as a loving parent. -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Isaiah 66:12–16As a mother comforts her child, so will I comfort you.
Isaiah 66:13
Lord, help me to look to You for my comfort in times of distress.
God’s comfort soothes us perfectly.
오늘의 말씀
03/22/2017 수요일
당신은 무엇으로 알려져 있는가?
많은 사람들의 눈에 에릭의 최고의 성취는 스포츠 분야였습니다. 하지만 그는 또한 자신이 태어나고 사랑한 나라인 중국의 톈진의 젊은이들에게 공헌한 것으로도 기억되고 있습니다. 그는 믿음으로 살고 섬겼습니다.
우리는 무엇으로 기억될까요? 학문의 업적이나 직위, 재정적인 성공으로 사람들로부터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죽은 뒤에도 오랫동안 살아남는 것은 우리가 다른 사람들의 삶 속에 조용히 행하는 일들입니다.
모세는 성경의 믿음의 장인 히브리서 11장에서 애굽의 부귀영화를 마다하고 하나님의 사람들과 함께 하기를 선택한 사람으로 기억되고 있습니다(26절). 그는 믿음으로 하나님의 사람들을 인도하고 섬겼습니다.
오늘의 성구
히브리서 11:23-28[모세는] 그리스도를 위하여 받는 수모를 애굽의 모든 보화보다 더 큰 재물로 여겼으니 이는 상 주심을 바라 봄이라
히브리서 11:26
당신이 어떻게 타인의 삶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 하나님께 물어보십시오. 당신은 무엇으로 기억되고 싶습니까?
하나님께 충실한 것이 진정한 성공이다.
Daily Article
03/22/2017 Wednesday
What Are You Known For?
In the eyes of many, Eric’s greatest achievement was on the sports field. But he is also remembered for his contribution to the youth of Tianjin in China, the country where he was born and that he loved. He lived and served by faith.
What will we be remembered for? Our academic achievements, job position, or financial success may get us recognized by others. But it is the quiet work we do in the lives of people that will live long after we are gone.
Moses is remembered in the faith chapter of the Bible, Hebrews 11, as someone who chose to align himself with the people of God instead of enjoying the treasures of Egypt (V. 26). He led and served God’s people by faith. - C. P. HIA
Today's Reading
Hebrews 11:23–28[Moses] regarded disgrace for the sake of Christ as of greater value than the treasures of Egypt, because he was looking ahead to his reward.
Hebrews 11:26
Ask God to show you how you can make a difference in the lives of others. For what would you like to be remembered?
Faithfulness to God is true success.
오늘의 말씀
03/21/2017 화요일
상쾌한 봄비
호세아서를 읽다 보면 혹독한 겨울같이 느껴지는 부분들이 있습니다. 왜냐하면 이스라엘 백성들을 향한 창조주의 사랑의 표현으로 하나님께서 이 선지자에게 부정한 여자와 결혼하라고 하는, 그리 부럽지 않은 사명을 주셨기 때문입니다(1:2-3). 호세아의 아내인 고멜은 결혼 서약을 깨뜨렸지만, 호세아는 그녀가 그를 헌신적으로 사랑해줄 것을 간절히 바라며 그녀를 다시 받아들였습니다(3:1-3). 마찬가지로 주님께서도 우리가 아침 안개처럼 사라져버리지 않는, 굳건한 마음과 헌신을 가지고 주님을 사랑하기를 바라십니다.
우리는 하나님과 어떤 관계에 있습니까? 우리가 주로 힘들 때에는 고통 속에서 해답을 찾기 위해 하나님을 찾지만, 소위 잘 나갈 때에는 하나님을 무시하지 않습니까? 우리는 이스라엘 백성처럼 분주한 삶이나 성공, 영향력과 같은 우리 시대의 우상에 쉽게 흔들리지 않습니까?
오늘 우리는 봄이 되면 피어나는 꽃봉오리처럼 우리를 확실하게 사랑하시는 주님께 자신을 다시 맡길 수 있게 되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호세아 6:1-4그의 나타나심은......땅을 적시는 늦은 비와 같이 우리에게 임하시리라
호세아 6:3
주 예수님, 주님은 우리를 자유롭게 하시려고 자신을 내어주셨습니다. 저희도 온 맘을 다해 주님을 사랑하도록 도와주소서.
우리는 하나님께 신실하지 못해도 하나님은 결코 우리를 버리지 않으신다.
Daily Article
03/21/2017 Tuesday
Refreshing Spring Rains
As we read through the book of Hosea, it can feel in parts like an unrelenting winter. For the Lord gave this prophet the unenviable task of marrying an unfaithful woman as a picture of the Creator’s love for His people Israel (1:2–3). Hosea’s wife, Gomer, broke their wedding vows, but Hosea welcomed her back, yearning that she would love him devotedly (3:1–3). So too the Lord desires that we love Him with a strength and commitment that won’t evaporate like the morning mist.
How do we relate to God? Do we seek Him mainly in times of trouble, searching for answers in our distress but ignoring Him during our seasons of celebration? Are we like the Israelites, easily swayed by the idols of our age, including such things as busyness, success, and influence?
Today, may we recommit ourselves to the Lord, who loves us as surely as the flowers bud in the spring. -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Hosea 6:1–4He will come to us like the...spring rains that water the earth.
Hosea 6:3
Lord Jesus, You gave Yourself that we might be free. Help us to love You wholeheartedly.
Though we may be unfaithful to God, He will never turn from us.
오늘의 말씀
03/20/2017 월요일
달리기와 휴식
이 사실은 믿음과 섬김의 삶에도 똑같이 적용됩니다. 정기적으로 휴식시간을 갖는 것은 탈진하고 낙심하는 것을 피하는데 필수적입니다. 예수님은 하실 일이 엄청나게 많으셨음에도 불구하고, 지상의 삶을 사시는 동안 영적인 균형을 추구하셨습니다. 예수님의 제자들이 사람들을 가르치고 그들의 병을 고쳐주는 아주 힘든 시간을 보내고 돌아왔을 때, 주님은 그들에게 “너희는 따로 한적한 곳에 가서 잠깐 쉬어라”(마가복음 6:31)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리고 큰 무리의 사람들이 그들을 따르자 예수님은 그들을 가르치시고 떡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로 그들을 먹이신 후(32-44절), 모든 사람들이 다 떠나가자 “기도하러 산으로” 가셨습니다(46절).
우리의 인생이 일만 하는 것이라면, 우리가 하는 일은 점점 더 효과가 적어질 것입니다. 예수님은 기도하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조용한 곳에서 정기적으로 주님을 만날 것을 우리에게 권면하십니다.
오늘의 성구
마가복음 6:30-46[예수께서] 이르시되 너희는 따로 한적한 곳에 가서 잠깐 쉬어라 하시니
마가복음 6:31
주 예수님, 주님께서 홀로 하나님 아버지와 함께 기도하는 본보기를 보여주셔서 감사합니다. 주님을 따르면서 휴식을 우선으로 할 수 있는 지혜와 결단을 주소서.
믿음과 섬김의 삶에서 휴식은 일하는 것만큼이나 중요하다.
Daily Article
03/20/2017 Monday
Running and Rest
The same is true in our walk of faith and service. Regular times of rest are essential to avoid burnout and discouragement. Jesus sought spiritual balance during His life on Earth, even in the face of great demands. When His disciples returned from a strenuous time of teaching and healing others, “He said to them, ‘Come with me by yourselves to a quiet place and get some rest’” (MARK 6:31). But a large crowd followed them, so Jesus taught them and fed them with only five loaves and two fish (VV. 32–44). When everyone was gone, Jesus “went up on a mountainside to pray” (V. 46).
If our lives are defined by work, then what we do becomes less and less effective. Jesus invites us to regularly join Him in a quiet place to pray and get some rest. - DAVID MCCASLAND
Today's Reading
Mark 6:30–46[Jesus] said to them, "Come with me by yourselves to a quiet place and get some rest."
Mark 6:31
Lord Jesus, thank You for Your example of prayer alone with Your Father. Give us wisdom and determination to make rest a priority as we follow You.
In our life of faith and service, rest is as important as wor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