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3/19/2017 주일
작은 불
성경은 우리에게 또 하나의 작지만 매우 파괴적인 불을 경고합니다. 야고보는 건물이 아닌 삶과 인간관계를 염려하며 이렇게 썼습니다. “이와 같이 혀도 작은 지체로되 큰 것을 자랑하도다 보라 얼마나 작은 불이 얼마나 많은 나무를 태우는가”(야고보서 3:5).
그러나 우리의 말은 ‘건설적인’ 것이 될 수도 있습니다. 잠언 16장 24절은 우리에게 “선한 말은 꿀송이 같아서 마음에 달고 뼈에 양약이 되느니라”라고 상기시켜 줍니다. 바울 사도도 “너희 말을 항상 은혜 가운데서 소금으로 맛을 냄과 같이 하라 그리하면 각 사람에게 마땅히 대답할 것을 알리라” (골로새서 4:6)라고 말합니다. 소금이 음식의 맛을 내듯이, 은혜는 다른 사람들을 세워주는 우리의 말에 풍미를 더해줍니다.
성령님의 도움을 통해 우리의 말은 마음이 상한 사람들과 믿음이 자라기를 원하는 사람들, 또는 구주가 필요한 사람들에게 용기를 줄 수 있습니다. 우리의 말은 불을 지르는 대신 불을 끌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야고보서 3:3-12이와 같이 혀도 작은 지체로되 큰 것을 자랑 하도다 보라 얼마나 작은 불이 얼마나 많은 나무를 태우는가
야고보서 3:5
주님, 제가 말하는 것에 언제나 도움을 구하오니, 오늘 다른 사람들을 세워주는 희망과 용기의 말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우리는 이제 말을 어떻게 해야 할까요?
Daily Article
03/19/2017 Sunday
A Small Fire
The Bible warns us of another small but destructive fire. James was concerned about lives and relationships, not buildings, when he wrote, “The tongue is a small part of the body, but it makes great boasts. Consider what a great forest is set on fire by a small spark” (JAMES 3:5).
But our words can also be constructive. Proverbs 16:24 reminds us, “Gracious words are a honeycomb, sweet to the soul and healing to the bones.” The apostle Paul says, “Let your
conversation be always full of grace, seasoned with salt, so that you may know how to answer everyone” (COL. 4:6). As salt flavors our food, grace flavors our words for building up others.
Through the help of the Holy Spirit our words can encourage people who are hurting, who want to grow in their faith, or who need to come to the Savior. Our words can put out fires instead of starting them. - BILL CROWDER
Today's Reading
James 3:3–12The tongue is a small part of the body, but it makes great boasts. Consider what a great forest is set on fire by a small spark.
James 3:5
Lord, I can always use help with the way I talk. For this day, help me to speak words of hope and encouragement to build up others.
What will our words be like today?
오늘의 말씀
03/18/2017 토요일
뭔가 이상해요
의사가 당신 아이에게 뭔가 이상이 있다고 말하면, 그때부터 당신의 삶이 바뀝니다. 앞으로 닥칠 것에 대한 두려움으로 마음이 무너지고 후들거리며, 아이를 돌볼 수 있는 힘을 달라고 하나님께 필사적 으로 매달리게 됩니다. 당신에게 이런 의심도 듭니다. ‘사랑의 하나님이 이것을 허락하셨을까? 하나님이 내 아이를 돌아보고 계시나? 하나님이 계시는 걸까?’ 그날 아침 이런 저런 생각이 나의 믿음을 흔들었습니다.
그때 남편 히람이 도착하여 그 소식을 들었습니다. 의사가 떠난 후 남편은 “졸린, 같이 기도합시다.”라고 말했습니다. 내가 고개를 끄덕이자 남편이 내 손을 잡았습니다. “하나님 아버지, 알렌을 우리에게 주신 것을 감사합니다. 알렌은 우리의 자녀가 아닌, 하나님의 자녀입니다. 우리가 알렌을 알기 전 하나님께서 그를 먼저 사랑하셨고, 지금도 주님의 것입니다. 우리는 같이 있지 못해도 하나님께서 그와 함께 해주시옵소서. 아멘.”
히람은 언제나 말이 별로 없는 사람이었습니다. 그는 자기 생각을 말하는 것을 힘들어하고, 조용할 때에는 내가 말을 많이 한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평소에는 별로 말을 하려 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그날 내 가슴이 찢어지고 마음이 무너지며 믿음을 잃었을 때, 하나님은 내가 할 수 없는 그 말들을 히람이 대신 할 수 있게 그에게 힘을 주셨습니다. 남편의 손을 잡고 깊은 침묵 속에 많은 눈물을 흘리면서, 나는 그때 하나님께서 아주 가까이 계신 것을 느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34:11-18여호와는 마음이 상한 자를 가까이 하시고 충심으로 통회하는 자를 구원하시는도다.
시편 34:18
.
기도해주는 친구가 가장 좋은 친구이다.
Daily Article
03/18/2017 Saturday
Something’s Wrong
When the doctor tells you something is wrong with your child, your life changes. Fear of what lies ahead can crush your spirit and you stumble along, desperate for a God who will strengthen you so you can support your child. Would a loving God allow this? you wonder. Does He care about my child? Is He there? These and other thoughts shook my faith that morning.
Then my husband, Hiram, arrived and heard the news. After the doctor left, Hiram said, “Jolene, let’s pray.” I nodded and he took my hand. “Thank You, Father, for giving Allen to us. He’s Yours, God, not ours. You loved him before we knew him, and he belongs to You. Be with him when we can’t. Amen.”
Hiram has always been a man of few words. He struggles to speak his thoughts and often doesn’t try, knowing that I have enough words to fill any silence. But on a day when my heart was broken, my spirit crushed, and my faith gone, God gave Hiram strength to speak the words I couldn’t say. And clinging to my husband’s hand, in deep silence and through many tears, I sensed that God was very near. - JOLENE PHILO, GUEST WRITER
Today's Reading
Psalm 34:11–18The LORD is close to the brokenhearted and saves those who are crushed in spirit.
Psalm 34:18
.
The best kind of friend is a praying friend.
오늘의 말씀
03/17/2017 금요일
먼저 하십시오
아브람(후에 아브라함이라 불림)이 조카 롯과 함께 길을 떠났을 때, 그들에게 속한 수많은 양떼와 소떼와 장막으로 땅이 충분하지 않았습니다. 아브람은 난처한 입장을 타개하기 위해 롯에게 서로 나뉠 것을 권하며 그에게 땅을 먼저 선택하라고 호의를 베풀었습니다. 조카 롯이 비옥한 요단 계곡을 차지하자, 아브람에게는 별로 가치 없는 땅만 남게 되었습니다.
아브람은 이 상황에서 연장자로서의 권한을 행사하지 않고 그의 미래를 하나님께 맡겼습니다. “아브람이 롯에게 이르되......나나 너나......서로 다투게 하지 말자 네 앞에 온 땅이 있지 아니하냐 나를 떠나가라 네가 좌하면 나는 우하고 네가 우하면 나는 좌하리라”(창세기 13:8-9). 그러나 롯의 선택은 결국 온 가족에게 무서운 결과를 초래하고 말았습니다(창세기 19장 참조).
오늘날 우리가 여러 가지 선택을 해야 할 때, 하나님 아버지께서 그분의 뜻대로 우리를 인도하시도록 맡겨야 합니다. 우리를 돌보시겠다고 약속하신 하나님은 우리의 필요를 항상 채워주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창세기 13:1-18네 앞에 온 땅이 있지 아니하냐 나를 떠나가라 네가 좌하면 나는 우하고 네가 우하면 나는 좌하리라
창세기 13:9
하나님 아버지, 우리가 하는 모든 선택에 하나님의 변함없는 사랑과 신실하심이 우리를 인도해주십니다. 오늘 우리의 삶으로 하나님을 잘 증거하고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소서.
선택을 하나님께 맡긴 사람들에게 하나님은 언제나 그분의 최선의 것을 베풀어주신다. 짐 엘리엇
Daily Article
03/17/2017 Friday
After You
Abram (later called Abraham) and his nephew Lot had so many flocks, herds, and tents that the land could not support both of them as they traveled together. To avoid conflict, Abram suggested they part company and generously gave Lot first choice of the land. His nephew took the fertile Jordan Valley, leaving Abram with the less desirable land.
Abram did not insist on his rights as the elder in this situation but trusted his future to God. “So Abram said to Lot, ‘Let’s not have any quarreling between you and me . . . . Is not the whole land before you? Let’s part company. If you go to the left, I’ll go to the right; if you go to the right, I’ll go to the left” (GEN. 13:8–9). Lot’s choice eventually led to dire consequences for his entirefamily (SEE GEN. 19).
Today, as we face choices of many kinds, we can trust our Father to guide us in His way. He has promised to care for us. He will always give us what we need. - DAVID MCCASLAND
Today's Reading
Genesis 13:1–18Is not the whole land before you? Let's part company. If you go to the left, I'll go to the right; if you go to the right, I'll go to the left.
Genesis 13:9
Father, Your unfailing love and faithfulness guide us in every choice we make. May our lives speak well of You and honor You today.
God always gives His best to those who leave the choice with Him. JIM ELLIOT
오늘의 말씀
03/16/2017 목요일
손가락 사이로 흘림
내 삶의 많은 날들도 이와 비슷합니다. 문제를 해결하느라, 세세한 것에 매달리느라, 상황을 통제하느라 뒤죽박죽이 되어버리는 나 자신을 발견합니다. 아무리 열심히 노력 해도 나의 미약한 능력으로는 모든 사안들과 부분들을 다 다루기에 부족합니다. 무언가가 항상 손가락 사이로 빠져나가 내가 서있는 주위 바닥을 흥건하게 하고 나를 무기력하게 만들어버립니다. 새지 않게 하려고 아무리 손을 비틀고 손가락을 세게 오므려도 새는 것을 막을 수가 없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하실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모든 바다와 강과 비까지, 온 세상의 물을 손바닥으로 헤아릴 수 있다고 이사야는 말합니다 (40:12). 오직 하나님의 손만이 그 모두를 담을 수 있을 만큼 큽니다. 하나님께서 우리 손으로는 한 숟가락 정도만 담을 수 있게 만드셨으니 더 담으려고 애쓸 필요가 없습니다. 우리가 무력함을 느낄 때, 우리의 근심과 걱정을 하나님의 능하신 손에 맡길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40:9-17누가 손바닥으로 바닷물을 헤아렸으며
이사야 40:12
주님, 제 손에 모든 것을 담으려고 애쓰지 말고, 대신 제 필요와 근심들을 주님의 온전한 돌보심에 맡길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우리가 감당하기 힘든 일들은 하나님께 맡겨드리면 된다.
Daily Article
03/16/2017 Thursday
Spilling Through My Fingers
My life feels similar on many days. I find myself scrambling to solve problems, oversee details, and control circumstances. No matter how hard I try, my feeble hands are incapable of managing all the pieces and parts. Something invariably slips through my fingers and pools on the floor at my feet, leaving me feeling overwhelmed. No amount of contorting my hands or squeezing my fingers more tightly together makes me able to handle it all.
Yet God can. Isaiah tells us that God can measure the globe’s waters—all the oceans and rivers and rain—in the hollow of His hands (40:12). Only His hands are large enough to hold them all. We needn’t try to hold more than the tablespoon He’s designed our hands to carry. When we feel overwhelmed, we can entrust our cares and concerns into His capable hands. -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Isaiah 40:9–17Who has measured the waters in the hollow of his hand...?
Isaiah 40:12
Help me, Lord, to stop trying to hold everything in my hands, but instead to trust my needs and concerns into Your perfect care.
We can trust God to handle the things that overwhelm us.
오늘의 말씀
03/15/2017 수요일
훌륭한 유산
이 유산을 우리 자녀들에게 넘겨줄 수 있기를 원합니다. 지난 12월 크리스마스를 함께 지내기 위해 온 가족이 모였을 때, 우리는 이 훌륭한 전통이 할아버지와 할머니로부터 시작되었음을 깨달았습니다. 그들은 우리에게 금전적인 유산을 남기지는 못했지만, 정성껏 사랑과 존경과 믿음의 씨앗을 뿌려서 자손 대대로 그들의 본보기를 따를 수 있게 하셨습니다.
성경은 우리에게 디모데에게 진정한 믿음을 전해준 외할머니 로이스와 어머니 유니게에 대해 이야기해줍니다(디모데후서 1:5). 그들의 영향으로 디모데는 많은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할 수 있게 준비될 수 있었습니다.
하나님과 친밀하게 삶으로써 우리는 우리가 영향을 미치는 사람들에게 줄 영적인 유산을 준비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우리는 주님의 사랑이 그들에게 현실로 다가갈 수 있도록 우리의 시선을 그들에게 집중하고, 그들이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에 관심을 보이며, 삶을 나누어야 합니다. 심지어는 우리의 즐거운 축하 행사에 그들을 초대할 수도 있습니다. 우리의 삶이 하나님의 사랑의 참 모습을 보여줄때, 우리는 오래도록 이어질 유산을 다른 사람들에게 남기는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디모데후서 1:1-5이는 네 속에 거짓이 없는 믿음이 있음을 생각함이라 이 믿음은 먼저 네 외조모와 네 어머니 속에 있더니
디모데후서 1:5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이 저를 사용하셔서 하나님의 영원한 사랑을 보여주게 하신 것처럼, 저도 우리 가족들에게 훌륭한 영적 유산을 남기게 하소서.
누군가가 당신에게 영적인 유산을 남겼다면, 그것을 다른 사람들에게 남겨주라.
Daily Article
03/15/2017 Wednesday
A Good Inheritance
We want to leave the same legacy to our children. When we got together last December to share Christmas with family, we realized this wonderful tradition had started with Grandpa and Grandma. They couldn’t leave us a monetary inheritance, but they were careful to plant the seeds of love, respect, and faith so that we—their children’s children—might imitate their example.
In the Bible we read about Grandma Lois and mom Eunice, who shared with Timothy genuine faith (2 TIM. 1:5). Their influence prepared this man to share the good news with many others.
We can prepare a spiritual inheritance for those whose lives we influence by living in close communion with God. In practical ways, we make His love a reality to others when we give them our undivided attention, show interest in what they think and do, and share life with them. We might even invite them to share in our celebrations! When our lives reflect the reality of God’s love, we leave a lasting legacy for others. - KEILA OCHOA
Today's Reading
2 Timothy 1:1–5I am reminded of your sincere faith, which first lived in your grandmother Lois and in your mother Eunice.
2 Timothy 1:5
Father, may I leave a good spiritual inheritance to my family as You use me to show Your everlasting love.
If someone has left you a godly inheritance, invest it in others.
오늘의 말씀
03/14/2017 화요일
활짝 편 두 팔
내가 공중에서 그대로 땅으로 떨어지는 느낌이 드는 날에는, 하나님이 나의 속마음과, 비밀들, 불안감, 자존심, 그리고 이기심들을 나에게 보여주셨습니다. 하나님은 나의 연약함을 통하여 그분의 사랑과 용서를 보여주셨습니다.
우리 담임목사님이 말했습니다. “최고의 날은 예수님 없이는 절망적일 수밖에 없는 자신의 모습을 보게 되는 날입니다. 그럴 때, 주님이 당신을 보듯 주님 안에서 완전해진 당신의 모습을 바라보십시오.” 이것은 내 삶에 있어서의 돌봄의 축복이었습니다. 하나님이 창조하신 나의 모습을 보며, 나는 돌아서서 눈물을 흘리며 주님 팔 안으로 달려가 시편기자와 같이 외쳤습니다. “하나님이여 나를 살피사 내 마음을 아옵소서”(시편 139:23).
당신이 처해 있는 상황 속에서 당신 자신의 모습을 보며, 팔을 벌려 사랑하시고 용서하시는 하나님의 품으로 달려갈 수 있기를 기도합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39:17-24하나님이여 나를 살피사 내 마음을 아시며 나를 시험하사 내 뜻을 아옵소서
시편 139:23
은혜로우신 하나님 아버지, 오늘 하나님의 사랑과 지혜, 그리고 은혜가 절실히 필요함을 인정합니다. 나를 살펴 나를 아시고, 주님의 은혜와 자비를 내 삶에 부어 내 마음을 고쳐주소서.
걱정하면 강인함이 사라지나, 하나님께로 달려가면 다시 강인해진다.
Daily Article
03/14/2017 Tuesday
Open Arms
On days when I felt I was plunging toward earth in an out-of-control freefall, God showed me my agendas, my reservations, my fears, my pride, and my selfishness. He used my broken places to show me His love and forgiveness.
My pastor has said, “The best day is the day you see yourself for who you are—desperate without Christ. Then see yourself as He sees you—complete in Him.” This was the blessing of caregiving in my life. As I saw who God had created me to be, I turned and ran weeping into His arms. I cried out with the psalmist: “Search me, God, and know my heart” (PS. 139:23).
This is my prayer for you—that as you see yourself in the midst of your own circumstances, you will turn and run into the open, loving, and forgiving arms of God. - SHELLY BEACH, GUEST WRITER
Today's Reading
Psalm 139:17–24Search me, God, and know my heart; test me and know my anxious thoughts.
Psalm 139:23
Gracious Father, I recognize today my desperate need of Your love, wisdom, and grace. Search me and know me. Pour out Your grace and mercy in my life to bring healing to my heart.
When worry walks in, strength runs out. But strength returns when we run to God.
오늘의 말씀
03/13/2017 월요일
뜻밖의 면접
사울도 역시 그가 전혀 만날 것이라고 예상치 못했던 누군가를 만났습니다. 주님의 제자들에 대하여 여전히 위협과 살기가 등등할 때(사도행전 9:1-2), 눈을 뜰 수 없는 빛이 그를 멈춰 세웠습니다. 그리고 “사울아 사울아 네가 어찌하여 나를 박해하느냐” (4절)라는 소리가 들렸습니다. 사울이 “주님 누구시니이까”라고 묻자 그 음성은 “나는 네가 박해하는 예수라”(26:15)라고 대답했습니다.
오래 전에 예수님은 우리가 굶주린 자나 목마른 자, 나그네 된 자, 그리고 옥에 갇힌 자들을 어떻게 대하는지가 예수님과 우리의 관계를 보여준다고 말씀하셨습니다(마태복음 25:35-36). 누군가 우리를 모욕하거나, 아니면 우리가 다른 사람을 돕거나 해칠 때, 우리를 사랑하시는 주님께서 그것을 친히 받으시리라고 어느 누가 상상했겠습니까?
오늘의 성구
사도행전 26:9-15임금이 대답하여 이르시되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너희가 여기 내 형제 중에 지극히 작은 자 하나에게 한 것이 곧 내게 한 것이니라 하시고
마태복음 25:40
하나님 아버지, 우리가 힘들고 상처받고 화를 내고 동정하는 그 순간에 하나님께서 계시지 않는 것처럼 행동한 것을 용서해주소서.
우리가 남을 돕거나 해칠 때 예수님이 그것을 친히 받으신다.
Daily Article
03/13/2017 Monday
Surprise Interview
Saul also ran into someone he never expected to see. While raging against a group called the Way (ACTS 9:1–2), he was stopped in his tracks by a blinding light. Then a voice said, “Saul, Saul, why do you persecute me?” (V. 4). Saul asked, “Who are you, Lord?” The One speaking to him replied, “I am Jesus, whom you are persecuting” (26:15).
Years earlier Jesus had said that how we treat the hungry, the thirsty, the stranger, and the prisoner reflects our relationship to Him (MATT. 25:35–36). Who would have dreamed that when someone insults us, or when we help or hurt another, the One who loves us takes it personally? - MART DEHAAN
Today's Reading
Acts 26:9–15The king will say, "I tell you the truth, when you did it to one of the least of these my brothers and sisters, you were doing it to me!"
Matthew 25:40 NLT
Father, forgive us for acting as if You were not present in our moments of need, hurt, anger, or compassion.
When we help or hurt one another, Jesus takes it personally.
오늘의 말씀
03/12/2017 주일
내가 아니야
나는 우리가 누구이며, 왜 어떤 것들은 우리의 개성과 어울리지 않는지 생각해보았습니다. 그 주된 이유는 하나님이 우리를 개별적으로 차이를 주셨고 선호하는 것도 다르게 하셨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취미가 다 다르고, 같은 음식을 먹지 않고, 같은 교회에서 예배를 드리지 않는다고 해서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우리 각자는 독특하고 “심히 기묘하게 지어졌습니다”(시편 139:14). 베드로는 우리가 서로 섬기기 위해 각자 독특한 은사를 받았다고 하였습니다 (베드로전서 4:10-11).
예수님의 제자들은 주님의 사역에 동참하기 전에 어떤 적성검사도 받지 않았습니다. 베드로는 매우 충동적인 성격이라 예수님이 체포되던 날 밤 하인의 귀를 잘랐습니다. 도마는 예수님의 부활을 믿기 전에 증거를 보여 달라고 요구했습니다. 그러나 주님은 그들이 부족한 사람이라고 거절하시지 않고, 주님의 사역을 위해 그들을 새로운 모습으로 빚어주셨습니다.
우리가 주님을 어떻게 가장 잘 섬길 수 있는지 판단해볼 때, 우리의 재능과 성격을 고려해 보면서 때로는 “내가 아니야”라고 말하는 것이 현명한 일입니다. 하나님은 우리를 안전지대 밖으로 부르실 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그것은 그분의 선하신 목적에 헌신할 수 있도록 우리의 독특한 재능과 성격을 개발하기 위해 그렇게 하시는 것입니다. 우리의 모습 그대로 주님께서 사용하실 수 있도록 내어드릴 때 그분의 창조성을 영화롭게 하는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베드로전서 4:7-11각각 은사를 받은 대로......서로 봉사하라
베드로전서 4:10
하나님 아버지, 우리 각자에게 멋진 개성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나의 성격과 나의 능력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나님을 위해 그것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나를 인도해주소서.
우리는 다 독특하게 창조되었기 때문에 평범한 사람은 아무도 없다.
Daily Article
03/12/2017 Sunday
It’s Not Me
I’ve been thinking about the idea of who we are and why one thing or another does not fit our personality. Primarily, it’s because God has bestowed us with individual differences and preferences. It’s okay that we don’t all like the same hobbies, eat the same foods, or worship in the same church. We are each uniquely and “wonderfully made” (PS. 139:14). Peter noted that we are uniquely gifted in order to serve each other (1 PETER 4:10–11).
Jesus’s disciples didn’t check their characteristics at the door before entering His world. Peter was so impulsive that he cut off a servant’s ear the night Jesus was arrested. Thomas insisted on evidence before believing Christ had risen. The Lord didn’t reject them simply because they had some growing to do. He molded and shaped them for His service.
When discerning how we might best serve the Lord, it’s wise to consider our talents and characteristics and to sometimes say, “It’s not me.” God may call us out of our comfort zone, but He does so to develop our unique gifts and personalities to serve His good purposes. We honor His creative nature when we permit Him to use us as we are. - DAVE BRANON
Today's Reading
1 Peter 4:7–11Each of you should use whatever gift you have received to serve others.
1 Peter 4:10
Thank You, Father, for the great individuality You have built into us. Thank You for my personality and for my abilities. Guide me in using them for You.
There are no ordinary people—we were created to be unique.
오늘의 말씀
03/11/2017 토요일
도와주세요!
다윗 왕은 그의 일생을 통해 피할 길이 보이지 않는 목숨이 위태로운 상황들을 많이 만났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시편 86편에서, 다윗의 생애 중 가장 어두웠던 시기에도 그가 하나님을 신뢰했던 것을 봅니다. “여호와여 나의 기도에 귀를 기울이시고 내가 간구하는 소리를 들으소서 나의 환난 날에 내가 주께 부르짖으리니 주께서 내게 응답하시리이다”(6-7절).
다윗은 하나님께 그의 길을 인도해주시기를 간구할 때 목전의 위험 그 너머도 바라보았습니다. “여호와여 주의 도를 내게 가르치소서 내가 주의 진리에 행하오리니 일심으로 주의 이름을 경외하게 하소서”(11절). 다윗은 위기가 지나가도 계속 하나님과 동행하기를 원했습니다.
우리가 처한 가장 어려운 상황은 오히려 우리 주님과 더 깊은 관계로 들어가는 출입구가 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우리가 환난 가운데에서 도와달라고 간구할 때, 그리고 주님의 길로 매일 우리를 인도해달라고 기도할 때 시작됩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86:1-13나의 환난 날에 내가 주께 부르짖으리니 주께서 내게 응답하시리이다
시편 86:7
주님, 우리가 오늘 주님께 도와달라고 부르짖는 것처럼, 이 위기가 끝난 뒤에도 계속 주님과 동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하나님은 우리가 도와달라고 부르짖을 때 들으시고 그분의 길로 인도해주신다.
Daily Article
03/11/2017 Saturday
Mayday!
Throughout King David’s life, he faced life-threatening situations for which there seemed to be no way out. Yet, we read in Psalm 86 that during his darkest hours, David’s confidence was in the Lord. “Hear my prayer, Lord; listen to my cry for mercy. When I am in distress, I call to you, because you answer me” (VV. 6–7).
David also saw beyond the immediate danger by asking God to lead his steps. “Teach me your way, Lord, that I may rely on your faithfulness; give me an undivided heart, that I may fear your name” (V. 11). When the crisis was past, he wanted to keep walking with God.
The most difficult situations we face can become doorways to a deeper relationship with our Lord. This begins when we call on Him to help us in our trouble, and also to lead us each day in His way. - DAVID MCCASLAND
Today's Reading
Psalm 86:1–13When I am in distress, I call to you, because you answer me.
Psalm 86:7
Lord, even as we call to You for help today, please help us to keep walking with You when this crisis is over.
God hears our cries for help and leads us in His way.
오늘의 말씀
03/10/2017 금요일
집
바울은 에베소교인들에게 편지를 쓸 때 나라 없이 사는 어려움을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그의 편지를 받는 비유대인들은 이방인과 외인으로 사는 것이 어떤 것인지를 알고 있었습니다(2:12). 그들은 그리스도 안에서 생명과 소망을 발견한 후에야(1:13) 천국 백성이 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게 되었습니다(마태복음5:3). 그리고 예수님 안에서, 주님이 보여주신 하나님 아버지께서 아시고 보호하신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도 알게 되었습니다 (마태복음 6:31-33).
그렇지만 바울은 과거가 눈에서 멀어져 가면 우리의 짧은 기억 때문에 그것을 곧 잊게 되어, 소망이 삶의 새로운 일상이 되고 절망은 과거의 일이 된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우리가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하나님 가족의 일원이 되었다는 것을 매일 깨닫고, 하나님의 집에 살면서 누리는 권리와 혜택을 이해하면서 안전하게 살 수 있도록 우리 하나님께서 도와주시기를 소원합니다.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2:11-22이제부터 너희는 외인도 아니요 나그네도 아니요 오직 성도들과 동일한 시민이요
에베소서 2:19
주님, 주님이 우리를 찾으시기 전 우리가 얼마나 소망 없이 지내왔는지를 기억합니다. 우리가 아직도 길에서 헤매는 사람들을 잊지 않도록 도와주소서.
소망이란 소망 없이 살아온 사람들에게 있어 그들의 모든 것이다.
Daily Article
03/10/2017 Friday
Home
The plight of living without a country was on Paul’s mind as he wrote his letter to the Ephesians. His non-Jewish readers knew what it was like to live as aliens and outsiders (2:12). Only since finding life and hope in Christ (1:13) had they discovered what it meant to belong to the kingdom of heaven (MATT. 5:3). In Jesus, they learned what it means to be known and cared for by the Father He came to reveal (MATT. 6:31–33).
Paul realized, however, that as the past fades from view, a short memory can cause us to forget that, while hope is the new norm, despair was the old reality.
May our God help us to live in security—to know each day the belonging that we have as members of His family is by faith in Jesus Christ and to understand the rights and benefits of having our home in Him. - MART DEHAAN
Today's Reading
Ephesians 2:11–22You are no longer foreigners and strangers, but fellow citizens with God's people.
Ephesians 2:19
Lord, as we remember how hopeless we were before You found us, please help us not to forget those who are still on the street.
Hope means the most to those who have lived without i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