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8/19/2024 월요일
숲을 암실로 삼아
다윗 왕은 살면서 그만의 전쟁과 암흑기를 겪었습니다. 사무엘하 22장은 “여호와께서 다윗을 그 모든 원수의 손과 사울의 손에서 구원하셨다”(1절)고 말합니다. 다윗은 그 경험들을 사용하여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기록했습니다. 그는 “사망의 물결이 나를 에우고 불의의 창수가 나를 두렵게 하였다”(5절) 고 했습니다.
이런 다윗의 절망은 곧 희망으로 바뀝니다. 그는 자신을 돌아보며 “내가 환난 중에서 여호와께 아뢰었더니 그가 그의 성전에서 내 소리를 들으셨다” (7절)고 하였습니다. 다윗은 변치 않고 도움을 주시는 하나님을 전심으로 찬양했습니다. “여호와께서 나의 어둠을 밝히시리이다 내가 주를 의뢰하고 적진으로 달리며 내 하나님을 의지하고 성벽을 뛰어 넘나이다”(29-30절).
다윗은 자신의 어려움을 바꾸어 신실하신 하나님을 세상에 알릴 기회로 삼았습니다. 우리도 그렇게 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우리가 의지하는 분은 어두움을 빛으로 바꾸시는 하나님이시기 때문입니다.
오늘의 성구
사무엘하 22:1-7, 29-30여호와께서 나의 어둠을 밝히시리이다
[사무엘하 22:29]
당신이 가장 절망했던 때는 언제입니까? 그 순간에 당신을 신실하게 지켜 주신 하나님을 다른 이들에게 어떻게 전하시겠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특별히 가장 어두운 가운데 있을 때 하나님께서 여러 방법으로 저를 보호하시고 도우시는 것을 볼 수 있게 하소서.
Daily Article
08/19/2024 Monday
FOREST DARKROOM
King David lived through his share of battles and dark times. Second Samuel 22 says, “The Lord delivered [David] from the hand of all his enemies and from the hand of Saul” (V. 1). David used those experiences to produce a record of God’s faithfulness. He said, “Waves of death swirled about me; the torrents of destruction overwhelmed me” (V. 5).
David soon pivoted from desperation to hope: “In my distress I called to the Lord,” he recalled. “From his temple he heard my voice” (V. 7). David made certain to praise God for His unfailing help. “The Lord turns my darkness into light,” he said. “With your help I can advance against a troop; with my God I can scale a wall” (VV. 29-30).
David turned his difficulties into an opportunity to tell the world about his faithful God. We can do the same. After all, we rely on the one who turns darkness into light.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2 SAMUEL 22:1-7, 29-30The Lord turns my darkness into light.
[ 2 SAMUEL 22:29 ]
When have you most felt most desperate? How will you tell others about God’s faithfulness to you in that moment?
Dear God, help me to see the many ways You protect and help me—especially when it’s darkest.
오늘의 말씀
08/18/2024 주일
노래하는 천국
요한계시록 19장에서 큰 잔치를 묘사한 구절에는 우리가 그 합창으로 표현했던 온 하늘이 기뻐하는 모습을 그려볼 수 있습니다. 신약성경 마지막 책에 기록된 요한 사도의 미래에 대한 환상에서 그는 천국에서 수많은 사람들과 천사들이 함께 모여 하나님께 감사를 선포하는 모습을 보았습니다. 요한은 함께 외치는 그 소리가 악과 불의를 이기신 하나님의 권능과 온 땅을 다스리시고 통치하심과 하나님과 함께 하는 영원한 삶을 찬양한다고 기록했습니다. 천국에 사는 모든 이들은 계속해서 “할렐루야”(1, 3, 4, 6 절), 곧 “하나님을 찬양하라!” 를 외칩니다.
언젠가 “각 족속과 방언과 백성과 나라”(5:9)가 하나님의 영광을 선포할 것입니다. 그리고 각기 다른 언어로 모든 목소리를 합하여 기쁨으로 “할렐루야!”를 함께 외칠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계시록 19:1-8이르되 아멘 할렐루야 하니
[요한계시록 19:4 ]
당신은 오늘 어떤 이유로 “할렐루야”를 외칠 수 있습니까?
하나님을 자주 찬양하는 것이 왜 중요할까요?
할렐루야! 나의 하나님, 하나님께 사랑받는 것을 알게 된 기쁨에 너무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8/18/2024 Sunday
HEAVEN IS SINGING
In a celebratory passage in Revelation 19, we’re given a glimpse of the reality expressed in that choral song—all of heaven rejoicing! In the apostle John’s vision of the future in the last book of the New Testament, he saw an enormous gathering of people and angelic creatures in heaven declaring gratitude to God. John wrote that the chorus of voices celebrated God’s power that overcame evil and injustice, His reign over the whole earth, and eternal life with Him forever. Over and over again, all the inhabitants of heaven declare “Hallelujah!” (VV. 1, 3, 4, 6), or “Praise God!”
One day people “from every tribe and language and people and nation” (5:9) will declare God’s glory. And with joy all our voices in every different language will shout together, “Hallelujah!”
- LISA M. SAMRA
Today's Reading
REVEL ATION 19:1-8They cried, “Amen, Hallelujah!”
[ REVELATION 19:4 ]
What is a reason you can say “Hallelujah” today?
Why is it vital to regularly praise God?
Hallelujah! I’m so grateful for the joy I know because I’m loved by You, my God.
오늘의 말씀
08/17/2024 토요일
서로 돕기
이 밴드는 빌립보서에서 말씀하는 연합의 모습을 잘 보여줍니다. 바울은 빌립보의 초대교회에게, 그리고 오늘날 우리에게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가 되었으니 “한 마음”(빌립보서 2:2)을 품어 연합해 살라고 하였습니다. 바울 사도는 이를 위해 이기적인 야망을 버리고 자신보다 다른 사람의 유익을 먼저 생각하라고 권면했습니다.
자신보다 다른 사람을 더 소중히 여기는 마음은 저절로 생기는 것이 아니지만 우리는 그래야만 예수님을 닮아갈 수 있습니다. 바울은 그의 서신에서 “아무 일에든지 다툼이나 허영으로 하지 말고 오직 겸손한 마음으로 각각 자기보다 남을 낫게 여기라”(3절)고 했습니다. 우리 자신에게만 집중하기보다는 겸손히 “다른 사람들의 일을 돌아보는”(4절) 것이 더 유익합니다.
그러면 어떻게 다른 사람들을 도울 수 있을까요? 상대방의 응원가를 배우거나 필요한 것을 공급해주는 등, 무엇이 그들에게 유익한지를 잘 생각해보면 도울 일이 있을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빌립보서 2:1-5아무 일에든지 다툼이나 허영으로 하지 말고 오직 겸손한 마음으로 각각 자기보다 남을 낫게 여기고
[빌립보서 2:3]
당신은 오늘 누구의 필요를 도와줄 수 있습니까?
다른 사람들을 돌아보는 행위가 어떻게 연합을 촉진시킬까요?
겸손하신 구주 예수여, 저도 다른 사람의 유익을 살피며 도울 수 있게 하소서.
Daily Article
08/17/2024 Saturday
HELP EACH OTHER
This band’s actions can be seen to symbolize the unity described in Philippians. Paul told the early church at Philippi—and us today—to live in unity, or of “one mind” (PHILIPPIANS 2:2), particularly because they were united in Christ. To do this, the apostle encouraged them to give up selfish ambition and consider the interests of others before their own.
Valuing others above ourselves may not come naturally, but it’s how we can imitate Christ. Paul wrote, “Do nothing out of selfish ambition or vain conceit. Rather, in humility value others above yourselves” (V. 3). Instead of focusing only on ourselves, it’s better to humbly look “to the interests of . . . others” (V. 4).
How can we support others? By carefully considering their interests whether learning their fight songs or providing whatever they might need.
- KATARA PATTON
Today's Reading
PHILIPPIANS 2:1-5Do nothing out of selfish ambition or vain conceit. Rather, in humility value others above yourselves.
[ PHILIPPIANS 2:3 ]
Whose interests can you look after today?
How does looking out for others promote unity?
Humble Savior, please show me ways I can help others by looking to their interests.
오늘의 말씀
08/16/2024 금요일
가족 그 이상의 관계
가족 간에는 서로 대단하게 여기지를 않습니다. 메시아로 오신 예수님도 그랬습니다. 예수님은 나사렛에서 그곳 사람들과 함께 자라셨습니다. 그래서 나사렛 사람들은 예수님을 특별한 분으로 믿기가 어려웠습니다. 그럼에도 예수님을 보고는 “이 사람이 받은 지혜와 그 손으로 이루어지는 이런 권능이 어찌 됨이냐 이 사람이 마리아의 아들 목수가 아니냐”(마가복음 6:2-3) 하며 놀라워했습니다. 이에 예수님은 “선지자가 자기 고향과 자기 친척과 자기 집 외에서는 존경을 받지 못함이 없느니라”(4절)고 말씀하셨습니다. 이 사람들은 예수님을 잘 알았지만 그가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사실은 믿을 수가 없었습니다.
만약 당신이 믿는 가정에서 자라났다면 어릴 적 교회에 가고 찬송을 부른 기억이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예수님이 항상 가족처럼 느껴졌을 것입니다. 예수님을 믿고 따른다면 예수님은 사실 가족입니다. 예수님도 “[우리를] 형제 자매라 부르시기를 부끄러워하지 않으십니다”(히브리서 2:11, 새번역). 예수님은 하나님의 가족 가운데 맏아들이 되십니다(로마서 8:29)! 이것은 우리에게 대단한 특권입니다. 그러나 식구로 가깝게 지내다 보면 예수님을 그저 보통 사람으로만 보게 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특별한 사람은 식구들 가운데 있어도 특별한 사람입니다.
예수님이 우리의 가족이면서 동시에 그 이상의 분이라는 사실이 기쁘지 않습니까? 오늘 예수님과 동행할 때 예수님이 더 가깝게, 동시에 더 특별한 분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마가복음 6:1-6예수를 배척한지라
[마가복음 6:3]
예수님은 어떻게 당신과 더 가까운 사이가 되셨습니까?
어떻게 하면 예수님이 언제나 특별한 분이 되실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예수님, 저를 하나님의 가족이 되게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8/16/2024 Friday
MORE THAN FAMILY
It’s hard to impress family—even if you’re the Messiah. Jesus had grown up among the people of Nazareth, so they struggled to believe He was special. Yet they were amazed by Him. “What are these remarkable miracles he is performing? Isn’t this the carpenter? Isn’t this Mary’s son . . . ?” (MARK 6:2-3). Jesus noted, “A prophet is not without honor except in his own town, among his relatives and in his own home” (V. 4). These people knew Jesus well, but they couldn’t believe He was the Son of God.
Perhaps you were raised in a godly home. Your earliest memories include going to church and singing hymns. Jesus has always felt like family. If you believe and follow Him, Jesus is family. He “is not ashamed to call [us] brothers and sisters” (HEBREWS 2:11). Jesus is our older brother in the family of God (ROMANS 8:29)! This is a great privilege, but our closeness might make Him seem common. Just because someone is family doesn’t mean they’re not special.
Aren’t you glad Jesus is family, and more than family? May He become more personal, and more special, as you follow Him today.
- MIKE WITTMER
Today's Reading
MARK 6:1-6They took offense at [Jesus].
[ MARK 6:3 ]
How has Jesus become more personal to you?
How might you make sure He remains special?
Dear Jesus, thank You for bringing me into the family of God.
오늘의 말씀
08/15/2024 목요일
유죄 판결과 자유
그러나 하나님은 거짓말이 계속되는 것을 허락하지 않으시고 나에게 심한 죄책감을 주셨습니다. 나는 몇 주간을 버티다가 그만 항복하고 하나님과 아버지께 용서를 구했습니다. 그리고 얼마 후 밴드 감독의 집을 찾아가 눈물을 흘리며 고백했습니다. 감사하게도 그는 너그럽게 용서해 주었습니다.
부담을 내려놓고 나니 얼마나 좋았는지 그 순간을 나는 결코 잊지 못합니다. 죄책감의 무게에서 벗어난 나는 몇 주 만에 처음으로 행복했습니다. 다윗도 자신의 삶에 있었던 책망과 고백의 순간에 대해 말하고 있습니다. 그는 하나님께 이렇게 고백합니다. “내가 입을 열지 아니할 때에... 내 뼈가 쇠하였도다... 주의 손이 주야로 나를 누르시오니... 주께 내 죄를 아뢰었나이다”(시편 32:3-5).
진실함은 하나님께 중요합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죄를 하나님께 고백 하고, 또 우리가 잘못한 사람들에게도 용서를 구하기를 원하십니다. 다윗은 “주께서 내 죄악을 사하셨나이다”라고 선포합니다(5절). 하나님의 용서로 자유를 아는 것이 얼마나 좋은 일인지요!
오늘의 성구
시편 32:1-7주께 내 죄를 아뢰고
[시편 32:5]
하나님께 진실함으로 어떤 도움이 되었습니까? 예수님의 용서가 어떻게 당신의 짐을 가볍게 하고 삶을 바꾸어 주었습니까?
사랑의 하나님, 하나님께 죄를 고백할 때 용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나님께 항상 진실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8/15/2024 Thursday
CONVICTED AND FREED
But God wouldn’t allow the lie to go on. He gave me a very guilty conscience about it. After resisting for weeks, I relented. I asked God and my dad for forgiveness. A while later, I went to my director’s house and tearfully confessed. Thankfully, he was kind and forgiving.
I’ll never forget how good it felt to have that burden lifted. I was free from the weight of guilt and happy for the first time in weeks. David describes a time of conviction and confession in his life too. He tells God, “When I kept silent, my bones wasted away . . . . For day and night your hand was heavy on me.” He continues, “Then I acknowledged my sin to you” (PSALM 32:3-5).
Authenticity matters to God. He wants us to confess our sins to Him and also to ask forgiveness of those we’ve wronged. “You forgave the guilt of my sin,” David proclaims (V. 5). How good it is to know the freedom of God’s forgiveness!
- JAMES BANKS
Today's Reading
P SALM 32:1-7I acknowledged my sin to you.
[ PSALM 32:5 ]
How has being authentic with God helped you? How has Jesus’ forgiveness lightened your load and changed your life?
Thank You for forgiving my sins when I confess them to You, loving Father.
Please help me to always be authentic with You.
오늘의 말씀
08/14/2024 수요일
하나님의 너그러운 사랑
하나 있습니다. 중동에서 군사 작전을 펼치던 중 맥레이븐은 실수로 무고한 어느 가정의 몇 사람이 죽게 된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맥레이븐은 그 가족이 진정한 사과를 받아야 한다고 믿고 상심한 아버지에게 가서 과감히 용서를 구했습니다.
맥레이븐은 통역관을 통해 그 아버지에게 말했습니다. “저는 군인입니다. 그러나 저에게도 아이들이 있습니다. 당신에게 마음속 깊은 애도를 전합니다.” 그 사람의 대답은 무엇이었을까요? 그는 맥레이븐에게 너그러운 용서를 선물로 주었습니다. 그 사람의 살아남은 아들은 “정말 고맙습니다. 우리 마음에 당신에 대한 어떤 반감도 갖지 않을 것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바울 사도는 이런 너그러운 은혜에 대해 쓰면서 “너희는 하나님이 택하사 거룩하고 사랑받는 자처럼 긍휼과 자비와 겸손과 온유와 오래 참음을 옷 입으라”(골로새서 3:12)고 했습니다. 삶이 우리를 여러 가지 방법으로 시험한다는 것을 알았던 그는 골로새 교회 신자들에게 “누가 누구에게 불만이 있거든 서로 용납하여 피차 용서하되 주께서 너희를 용서하신 것 같이 너희도 그리하라”(13절)고 가르쳤습니다.
무엇이 그런 자비롭고 용서하는 마음을 가능하게 할까요? 하나님의 너그러운 사랑입니다. 바울의 결론은 이렇습니다. “이 모든 것 위에 사랑을n 더하라 이는 온전하게 매는 띠니라”(14절).
오늘의 성구
골로새서 3:12-17주께서 너희를 용서하신 것 같이 너희도 그리하고
[골로새서 3:13]
용서는 왜 너그러운 것인가요?
당신은 오늘 누구를 용서하시겠습니까?
용서의 하나님, 오늘 하나님의 너그러이 용서하고자 하는 마음을 제게 주소서.
Daily Article
08/14/2024 Wednesday
GOD’S GENEROUS LOVE
“I’m a soldier,” McRaven told him through a translator. “But I have children as well, and my heart grieves for you.” The man’s response? He granted McRaven the generous gift of forgiveness. As the man’s surviving son told him, “Thank you very much. We will not keep anything in our heart against you.”
The apostle Paul wrote of such generous grace: “As God’s chosen people, holy and dearly loved, clothe yourselves with compassion, kindness, humility, gentleness and patience” (COLOSSIANS 3:12). He knew that life would test us in various ways, so he instructed believers in the church at Colossae: “Forgive one another if any of you has a grievance against someone. Forgive as the Lord forgave you” (V. 13).
What enables us to have such compassionate, forgiving hearts? God’s generous love. As Paul concluded, “Over all these virtues put on love, which binds them all together in perfect unity” (V. 14).
-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COLOSSIANS 3:12-17Forgive as the Lord forgave you.
[ COLOSSIANS 3:13 ]
Why is forgiveness generous?
Whom will you forgive today?
Please grant me today, forgiving God, Your generous will to forgive.
오늘의 말씀
08/13/2024 화요일
감옥
하지만 이 순간은 유명한 운동선수의 멋진 경기 이야기가 아니라 깨어지고 상한 수많은 영혼들을 위한 시간이었습니다. 이 특별한 시간에 하나님께서 교도소에 나타나셨습니다. 한 참관인은 “예배당에 예배와 찬양이 터져 나오기 시작했다.”고 트위터에 올렸습니다. 사람들은 함께 울며 기도했습니다. 끝에 가서 스물 일곱 명의 수감자들이 그리스도께 삶을 바쳤습니다.
어떤 의미에서 우리는 모두 스스로 만든 탐욕과 이기심과 중독이라는 감옥에 갇혀 있습니다. 그러나 놀랍게도 하나님께서 나타나십니다. 그날 아침 교도소에서 나눈 중심 구절은 “내가 새 일을 행하리니 이제 나타낼 것이라 너희가 그것을 알지 못하겠느냐”(이사야 43:19)였습니다. 그 구절은 하나님이 “나 곧 나는... 네 죄를 기억하지 아니하리라”(25절)고 말씀하신 것 같이 우리도 “이전 일을 기억하지 말며 옛날 일을 생각하지 말라”(18절)고 격려합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나 외에 구원자가 없느니라”(11절)고 분명히 말씀 하십니다. 우리는 삶을 그리스도께 드릴 때에만 자유를 얻습니다. 우리 중 어떤 사람은 이제 삶을 드려야 하고, 어떤 사람은 이미 삶을 드렸다 해도 우리 삶의 주인이 진정 어떤 분인지를 다시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우리는 하나님이 그리스도를 통해 정말로 “새 일”을 행하실 것을 확신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어떤 일이 일어날지 기대해 보십시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43:11-19보라 내가 새 일을 행하리니 이제 나타낼 것이라
[이사야 43:19]
당신은 어떤 면에서 자신의 죄에 갇혀 있습니까?
자신의 깨어진 삶에서 풀려나 자유를 누리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하늘에 계신 아버지, 죄의 감옥으로부터 저를 자유롭게 해주소서.
Daily Article
08/13/2024 Tuesday
BEHIND PRISON BARS
This moment, though, was not about the spectacle of a famous athlete but about a sea of souls broken and hurting. In this special time, God showed up behind bars. One observer tweeted that “the chapel began to erupt in worship and praise.” Men were weeping and praying together. In the end, some twenty-seven inmates gave their lives to Christ.
In a way, we are all in prisons of our own making, trapped behind bars of our greed, selfishness, and addiction. But amazingly, God shows up. In the prison that morning, the key verse was, “I am doing a new thing! Now it springs up; do you not perceive it?” (ISAIAH 43:19). The passage encourages us to “forget the former things” and “do not dwell on the past” (V. 18) for God says, “I, even I, am he who . . . remembers your sins no more” (V. 25).
Yet God makes it clear: “Apart from me there is no savior” (V. 11). It is only by giving our lives to Christ that we’re made free. Some of us need to do that; some of us have done that but need to be reminded of who the Lord of our life truly is. We’re assured that, through Christ, God will indeed do “a new thing.” So let’s see what springs up!
- KENNETH PETERSEN
Today's Reading
ISAIAH 43:11-19See, I am doing a new thing! Now it springs up.
[ ISAIAH 43:19 ]
In what way are you imprisoned by your own sin?
What do you need to do to break free from your brokenness?
Heavenly Father, please free me from the prison bars of my sin.
오늘의 말씀
08/12/2024 월요일
환영 매트
마가복음 9장에서 예수님은 베드로, 야고보, 요한이 예수님의 거룩한 임재에 놀라 서 있던 변화 산에서 내려오셔서(1-13절) 희망을 잃은 아버지의 귀신들린 아들을 고쳐주십니다(14-29절). 그런 다음 다가올 주님의 죽음에 관해 제자들에게만 일러주셨습니다(30-32절). 그러나 제자들이 예수님이 말씀하신 요점을 전혀 깨닫지 못하는 일이 발생하자(33-34절), 이에 예수님은 한 아이를 무릎 위에 앉히시고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누구든지 내 이름으로 이런 어린 아이 하나를 영접하면 곧 나를 영접함이요 누구든지 나를 영접하면 나를 영접함이 아니요 나를 보내신 이를 영접함이니라”(37절). 여기서 ‘영접한다’는 말은 손님으로 맞이하고 받아들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수님은 제자들이 모든 사람들, 소외되고 불편한 사람들까지 주님을 영접하듯 영접하기를 원하십니다.
나는 환영 매트를 생각하며 어떻게 예수님의 사랑을 다른 사람들에게 전할 것인지 생각해 보았습니다. 그것은 예수님을 귀한 손님으로 영접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됩니다. 나도 주님의 인도하심을 따라 주님이 원하시는 방식으로 다른 사람들을 영접해야 하지 않을까요?
오늘의 성구
마가복음 9:30-37누구든지 내 이름으로 이런 어린 아이 하나를 영접하면 곧 나를 영접함이요
[마가복음 9:37]
당신은 언제 어떻게 예수님을 마음 속에 영접하셨습니까?
예수님을 영접한 사람은 다른 사람을 영접하는 방식이 어떻게 달라져야 할까요?
사랑하는 예수님, 제가 주님 안에 거하듯, 주님도 제 안에 거하소서.
Daily Article
08/12/2024 Monday
WELCOME MAT
In Mark 9, Jesus moves from the Mount of Transfiguration where Peter, James, and John stood in awe of His holy presence (VV. 1-13), to healing a possessed boy with a father who’d lost hope (VV. 14-29). Jesus then offered private lessons to the disciples concerning His upcoming death (VV. 30-32). They missed His point—badly (VV. 33-34). In response, Jesus took a child atop His lap saying, “Whoever welcomes one of these little children in my name welcomes me; and whoever welcomes me does not welcome me but the one who sent me” (V. 37). The word welcome here means to receive and accept as a guest. Jesus wants His disciples to welcome all, even the undervalued and the inconvenient as if we were welcoming Him.
I thought of my welcome mat and wondered how I extend His love to others. It starts by welcoming Jesus as a treasured guest. Will I permit Him to lead me, welcoming others the way He desires?
- ELISA MORGAN
Today's Reading
MARK 9:30-37Whoever welcomes one of these little children in my name welcomes me.
[ MARK 9:37 ]
When and how did you welcome Jesus into your heart?
What effect should this have on the way you welcome others?
Dear Jesus, please make Your home in me as I make mine in You.
오늘의 말씀
08/11/2024 주일
성경을 사랑하는 사람들
시편 119편은 성경의 포괄적인 가치를 찬양하는 시편입니다. 이 시편의 저자는 하나님의 율법에 따라 사는 자의 복을 선포하고(1절), 율법에 대해, 그리고 그에 대한 사랑을 시적으로 이렇게 극찬합니다. “내가 주의 법도들을 사랑함을 보옵 서”(159절), “나는 거짓을 미워하며 싫어하고 주의 율법을 사랑하나이다”(163절). “내 영혼이 주의 증거들을 지켰사오며 내가 이를 지극히 사랑하나이다”(167절).
우리는 하나님과 그분의 말씀을 사랑한다는 것을 어떤 삶을 통해 말하고 있습니까? 하나님에 대한 우리의 사랑을 알아보는 한 가지 방법은 이렇게 질문해보는 것입니다. 나는 어떤 일에 참여하고 있는가? 나는 달콤한 성경말씀을 “잘 씹어서” 먹고 있는가? 그런 다음 “여호와의 선하심을 맛보아 알지어다”(34:8)라고 하시는 초대에 응하시기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19:159-168주의 말씀의 맛이 내게 어찌 그리 단지요
[시편 119:103]
어떤 것들에 당신의 “이빨 자국”이 남아 있습니까?
하나님과 성경에 대한 사랑을 어떻게 성장시킬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은 제가 좋아하는 것들을 어떻게 바꿔야 하는지 아십니다. 용기와 힘을 주시고, 하나님을 향한 사랑이 자랄 수 있도록 제게 필요한 변화를 일으켜 주소서.
Daily Article
08/11/2024 Sunday
SCRIPTURE LOVERS
Psalm 119 celebrates the comprehensive worth of the Scriptures. After declaring the blessedness of those who live by God’s law (V. 1), the author poetically raved about it, including his love for it. “See how I love your precepts” (V. 159); “I hate and detest falsehood but I love your law” (V. 163); “I obey your statutes, for I love them greatly” (V. 167).
What statements do we make about our love for God and His Word through how we live? One way to test our love for Him is by asking, What am I partaking of? Have I been “chewing” on the sweet words of Scripture? And then accept this invitation, “Taste and see that the Lord is good” (34:8).
- ARTHUR JACKSON
Today's Reading
PSALM 119:159-168How sweet are your words to my taste.
[ PSALM 119:103 ]
What things bear your “teeth marks”?
How can you grow your love for God and Scripture?
Heavenly Father, You know where my appetite needs adjusting.
Please give me the courage and strength to make the necessary changes to grow in my love for You.
오늘의 말씀
08/10/2024 토요일
하나님을 붙들라
조니는 리카의 끈기와 인내를 다윗 왕 시대의 군인으로 블레셋 사람들을 피해 도망가기를 거부했던 엘르아살과 비교합니다. 그는 군사를 따라 후퇴하지 않고 “그가 나가서 손이 피곤하여 그의 손이 칼에 붙기까지”(사무엘하 23:10) 싸웠으며, 하나님의 능력으로 “그 날에 여호와께서 크게 이기게 하셨습니다” (10절). 조니의 말에 의하면, 엘르아살이 결심하고 칼을 단단히 붙잡은 것처럼 리카도 “성령의 검 곧 하나님의 말씀”(에베소서 6:17)을 단단히 쥐고 있었던 것입니다. 이렇게 리카는 바로 하나님 안에서 힘을 얻고 있습니다.
건강이 넘칠 때든 만성질환으로 힘든 싸움을 할 때든, 우리도 더 깊은 소망을 가지고 인내하게 하시는 하나님을 바라볼 수 있습니다. 그리스도 안에 우리의 힘이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사무엘하 23:8-12그가 나가서 손이 피곤하여 그의 손이 칼에 붙기까지 블레셋 사람을 치니라
[사무엘하 23:10]
끈기와 인내의 사례를 본 적이 있습니까?
당신이 지치고 기진맥진할 때 하나님께서 어떻게 회복시켜 새롭게 해 주십니까?
모든 능력의 하나님, 저를 사랑해 주시고 인내할 수 있게 도와주셔서 감사합니다. 하나님만 바라보며 계속 신뢰하고 사랑하게 해 주소서.
Daily Article
08/10/2024 Saturday
CLINGING TO GOD
Joni likens Rika’s tenacity and persistence to that of Eleazar, a soldier at the time of King David who refused to flee the Philistines. Instead of joining the troops who took off, “Eleazar stood his ground . . till his hand grew tired and froze to the sword” (2 SAMUEL 23:10). Through God’s power, “The Lord brought about a great victory that day” (V. 10). As Joni observes, even as Eleazar hung on to the sword with determination, so too does Rika cling to “the sword of the Spirit, which is the word of God” (EPHESIANS 6:17). And there, in God, she finds her strength.
Whether in glowing good health or battling discouragement over a chronic condition, we too can look to God to deepen our stores of hope and to help us to endure. In Christ we find our strength.
-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2 SAMUEL 23:8-12Eleazar stood his ground and struck down the Philistines till his hand grew tired.
[ 2 SAMUEL 23:10 ]
What examples of tenacity and endurance have you witnessed?
How does God restore and renew you when you feel spent and wrung out?
God of all power, thank You for loving me and helping me to endure. Please help me to focus on You that I might continue to trust and love You.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