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7/10/2024 수요일
하나님, 내 마음을 살피소서
사무엘 선지자는 하나님이 이스라엘의 다음 왕에게 기름을 부으라고 그를 보냈을 때 비슷한 교훈을 얻었습니다(사무엘상 16:1). 사무엘은 이새의 맏아들 엘리압을 보고 하나님께서 택하신 자라고 생각했지만, 하나님은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그의 용모와 키를 보지 말라... 사람은 외모를 보거니와 나 여호와는 중심을 보느니라”(7절). 하나님은 이새의 여덟 아들 중에서 아버지의 양을 치는 막내 아들 다윗을 다음 왕으로 택하셨습니다(11절).
하나님은 학벌이나 수입, 많은 봉사 활동 같은 외적인 자격보다 우리의 마음에 더 관심을 가지십니다.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사람에게서 나오는 그것이 사람을 더럽게 한다”(마가복음 7:20)고 하시면서, 이기적이고 악한 마음을 깨끗하게 하는 데 집중하라고 가르치셨습니다. 사무엘이 외모로 판단해서는 안된다는 것을 깨달은 것처럼, 우리도 무슨 일을 하든지 하나님의 도우심으로 우리 마음의 생각과 의도를 점검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사무엘상 16:4-12사람은 외모를 보거니와 나 여호와는 중심을 보느니라
[사무엘상 16:7]
잘못된 동기로 “선한 일”을 한 적이 있습니까?
당신의 마음이 깨끗하다는 것을 어떻게 확신할 수 있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일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7/10/2024 Wednesday
SEARCH MY HEART, GOD
The prophet Samuel learned a similar lesson when he was sent by God to anoint the next king of Israel (1 SAMUEL 16:1). When he saw Eliab, the firstborn son of Jesse, Samuel thought he was the chosen one. But God said: “Do not consider his appearance or his height . . . . People look at the outward appearance, but the Lord looks at the heart” (V. 7). Out of Jesse’s eight sons, God chose the youngest, David—who was tending his father’s sheep (V. 11)— to be the next king.
God is more concerned with our hearts than with outward credentials—the school we attended, what we earn, or how much we volunteer. Jesus taught His disciples to focus on purifying their hearts of selfish and evil thoughts because “what comes out of a person is what defiles them” (MARK 7:20). Just as Samuel learned not to consider outward appearances, may we, with God’s help, examine our hearts—our thoughts and intentions—in all that we do.
- JASMINE GOH
Today's Reading
1 SAMUEL 16:4-12People look at the outward appearance, but the Lord looks at the heart.
[ 1 SAMUEL 16:7 ]
When have you done a “good thing” with the wrong motive?
How can you ensure that what’s in your heart is pure?
Dear God, please help me to do what honors You.
오늘의 말씀
07/09/2024 화요일
나도 속해 있나요?
성경에서 에티오피아의 한 내시도 자신이 받아들여진 일로 무척 감격했습니다. 이방인이며 내시였던 그는 성전의 안 뜰로 들어가는 것이 거부되었습니다(에베소서 2:11-12; 신명기 23:1 참조). 하지만 그는 그곳에 들어가기를 간절히 원했습니다. 빌립은 그가 예루살렘으로 왔다가 또다시 실망하고 돌아가는 것을 보았습니다(사도행전 8:27).
그 에티오피아인은 이사야서를 읽고 있었는데, 거기에는 “나의 언약을 굳게 지키는” 내시는 “내 집에서, 내 성 안에서... 기념물과... 영원한 이름”을 받을 것이라는 약속이 있었습니다(이사야 56:4-5). ‘정말 어떻게 그렇게 될 수 있을까요?’ 그때 빌립이 그에게 “예수를 가르쳐 복음을 전하니” 그 사람은 “보라 물이 있으니 내가 세례를 받음에 무슨 거리낌이 있느냐”고 응답했습니다 (사도행전 8:35-36).
그가 묻고 있었던 것은 ‘정말 나도 받아 주나요? 나도 거기에 속해 있나요?’ 였습니다. 빌립은 예수님이 막힌 담을 모두 허무셨다(에베소서 2:14) 는 증표로 그에게 세례를 베풀었습니다. 예수님은 죄에서 돌이켜 주님을 믿는 모든 사람을 품으시고 하나가 되게 하십니다. 그 에티오피아 사람은 “기쁨에 차서 가던 길을 갔습니다”(사도행전 8:39, 새번역). 마침내 그는 온전히 하나님 가족의 일원이 된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사도행전 8:29-39내가 세례를 받음에 무슨 거리낌이 있느냐
[사도행전 8:36]
예수님을 믿는 모든 성도는 왜 그분의 가족에 속합니까?
세례를 받는 것이 어떻게 이 사실을 마음속에 깊이 새겨줄까요?
사랑하는 예수님, 제가 주님께 속했기 때문에 저는 하나님의 가족이 되었습니다.
Daily Article
07/09/2024 Tuesday
DO I BELONG?
An Ethiopian eunuch was also amazed by his acceptance. As a gentile and as a eunuch, he was denied entrance into the temple’s inner courts (SEE EPHESIANS 2:11-12; DEUTERONOMY 23:1). Yet he yearned to be included. Philip found him returning from another unsatisfying pilgrimage to Jerusalem (ACTS 8:27).
The Ethiopian man was reading Isaiah, which promised that eunuchs who “hold fast to my covenant” will receive “within my temple and its walls a memorial and . . . an everlasting name” (ISAIAH 56:4-5). How could this be? Then Philip “told him the good news about Jesus,” and the man responded, “Look, here is water. What can stand in the way of my being baptized?” (ACTS 8:35-36).
He was asking, Am I really allowed in? Do I belong? Philip baptized him as a sign that Jesus had bulldozed every barrier (EPHESIANS 2:14). Jesus embraces—and unites—everyone who turns from sin and puts their trust in Him. The man “went on his way rejoicing” (ACTS 8:39). He finally and fully belonged.
- MIKE WITTMER
Today's Reading
AC TS 8:29-39What can stand in the way of my being baptized?
[ ACTS 8:36 ]
Why do all believers in Jesus belong in His family?
How might baptism impress these facts on your heart?
Dear Jesus, I belong with God and His family because I belong to You.
오늘의 말씀
07/08/2024 월요일
예수님을 섬김
프라이는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섬기라는 예수님의 요청을 행동으로 옮겼습니다. 예수님은 감람산에서 마지막 때에 관한 몇 가지 말씀을 하셨는데, 그 중에 “의인들은 영생에”(마태복음 25:46) 들어갈 것이라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이 이야기에서 왕이신 예수님이 의인들에게 그들이 주님께 마실 것을 주었고, 안으로 영접해 들였고, 옥에 갇혔을 때 찾아 보았다고 말씀하셨습니다 (35-36절). 의인들이 자신의 그런 일들을 기억하지 못하자 왕은 이렇게 대답합니다. “너희가 여기 내 형제 중에 지극히 작은 자 하나에게 한 것이 곧 내게 한 것이니라”(40절).
우리가 성령님의 도우심으로 다른 이들을 섬기는 것이 곧 예수님을 섬기는 것이라는 사실이 얼마나 놀라운지요! 우리는 엘리자베스 프라이의 본을 따라 섬길 수 있으며, 또한 중보기도나 격려의 메시지를 보내는 것 등을 통해 집에서도 섬길 수 있습니다. 예수님은 우리가 우리의 영적 은사와 재능을 사용하여 다른 이들을 섬김으로써 주님을 사랑하는 것을 기뻐하십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25:31-40어느 때에 병드신 것이나 옥에 갇히신 것을 보고 가서 뵈었나이까
[마태복음 25:39]
다른 사람들을 섬기는 것이 곧 예수님을 섬기는 것이라는 사실에 어떻게 반응하시겠습니까?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 어떻게 다가갈 수 있을까요?
사랑의 예수님, 오늘 제가 어디에서 사랑을 실천해야 할지 알게 하소서.
Daily Article
07/08/2024 Monday
SERVING JESUS
In her actions, she followed Jesus’ invitation to serve those in need. For instance, while on the Mount of Olives, Christ shared several stories about the end of the age, including one about the welcome of “the righteous to eternal life” (MATTHEW 25:46). In this story, the King tells the righteous people that they gave Him something to drink, invited Him in, and visited Him in prison (VV. 35-36). When they couldn’t recall doing so, the King responds: “Whatever you did for one of the least of these brothers and sisters of mine, you did for me” (V. 40).
What a wonder that when we serve others with the help of the Holy Spirit, we serve Jesus! We can follow Elizabeth Fry’s example, and we can also serve from home, such as through intercessory prayer or sending encouraging messages. Jesus welcomes us to love Him as we use our spiritual gifts and talents to assist others.
-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MAT THEW 25:31-40When did we see you sick or in prison and go to visit you?
[ MATTHEW 25:39 ]
How do you react to hearing that we serve Jesus when we serve others?
How could you reach out to someone in need?
Loving Jesus, please help me discern where I can put my love into action today.
오늘의 말씀
07/07/2024 주일
초콜릿 탱크에 빠져
예레미야 선지자가 진흙 구덩이에 빠졌던 일은 달콤했던 그 사고와는 완전히 달랐습니다. 그는 예루살렘의 하나님의 백성들에게 보냄을 받아 그 성읍이 곧 “바벨론 왕의 군대의 손에 넘어간다”(예레미야 38:3)고 하며 긴급히 그곳을 떠날 것을 선포했습니다. 시드기야 왕의 고관들은 예레미야의 말이 “군사의 손을 약하게 한다”고 주장하며 예레미야를 “죽이라”고 왕에게 요구했습니다(4절). 왕이 허락하자 그들은 “예레미야를 밧줄에 매달아 웅덩이 속으로 내려 보냈는데” 거기서 그는 “진흙 속에 빠져 있었습니다”(6절, 새번역).
그때 왕의 다른 신하 중 이방인이었던 에벳멜렉이 예레미야의 편에 서서 다른 신하들이 예레미야에게 행한 모든 일이 “악하다”고 왕에게 고하자, 시드기야 왕은 자신이 실수했음을 깨닫고 그에게 예레미야를 “구덩이에서” 끌어내라고 명령했습니다(9-10절).
우리가 예레미야처럼 옳은 일을 하고 있을 때에도 진흙에 빠져 있는 것처럼 느낄 때가 있습니다. 시련이 닥쳐 하나님의 도우심을 기다릴 때 낙심치 않게 해 달라고 하나님께 간구합시다.
오늘의 성구
예레미야 38:1-10하나님은 불의하지 아니하사 너희 행위와 그의 이름을 위하여 나타낸 사랑을 잊어버리지 아니하시느니라
[히브리서 6:10]
옳은 일을 하다가 부당한 대우를 받은 적이 있습니까?
그때 하나님께서 어떻게 붙들어 주셨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께 순종하려고 노력할 때 저를 붙들어 주소서.
Daily Article
07/07/2024 Sunday
TRAPPED IN CHOCOLATE
When the prophet Jeremiah found himself at the bottom of a mud-filled cistern, the story was anything but sweet. As a messenger to God’s people in Jerusalem, he’d proclaimed the urgency for them to leave the city because it would soon “be given into the hands of the army of the king of Babylon” (JEREMIAH 38:3). Some of King Zedekiah’s officials demanded Jeremiah be “put to death” because they claimed his words were “discouraging the soldiers” (V. 4). The king consented and they “lowered Jeremiah by ropes into the cistern” where he “sank down into the mud” (V. 6).
When another of the king’s officials—a foreigner, no less— advocated for Jeremiah’s well-being, saying the others had “acted wickedly,” Zedekiah realized he’d made a mistake and ordered Ebed-Melek to lift Jeremiah “out of the cistern” (VV. 9-10).
Even when we’re doing the right thing—as Jeremiah was—we might sometimes feel like we’re stuck in the mud. Let’s ask God to lift our spirits as we wait for His help in the troubles we face.
-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JEREMIAH 38:1-10God is not unjust; he will not forget your work and the love you have shown.
[ HEBREWS 6:10 ]
When have you been wronged for doing what’s right?
How has God sustained you?
Father God, please sustain me as I seek to obey You.
오늘의 말씀
07/06/2024 토요일
그리스도의 영적 갑옷
예수님을 믿는 우리는 보이지 않는 악의 세력과 전쟁을 합니다(고린도후서 10:3-6). 이 영적 전쟁을 싸우기 위해 우리에게는 주어진 무기가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육신에 속한 무기가 아닙니다. 그와 반대로 우리에게는 “어떤 견고한 진도 무너뜨리는 하나님의 능력”(4절)이 주어졌습니다. 그 말이 무슨 의미일까요? “견고한 진”이란 단단하게 잘 지어진 안전한 곳을 말합니다. 하나님은 우리에게 “오른손에는 공격을, 왼손에는 방어를 위한 의의 무기”(6:7, NLT성경)를 각각 주셨습니다. 에베소서 6:13-18에는 우리를 보호해주는 것들, 곧 성경말씀과 믿음, 구원, 기도, 그리고 성도의 도움이 열거되어 있습니다. 우리보다 크고 강한 세력을 대할 때, 넘어지느냐 마느냐의 차이를 만드는 것은 이 영적 무기들을 얼마나 적절하게 사용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하나님은 홀로 감당하기에 너무 힘든 대적과 싸우는 이들을 돕기 위해 상담사나 전문인력을 사용하기도 하시지만, 좋은 소식은 우리가 예수님 안에서 그리고 예수님을 통해서 싸울 때 항복할 필요가 없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전신갑주를 입고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후서 10:3-6우리의 싸우는 무기는 육신에 속한 것이 아니요
[고린도후서 10:4]
개인적인 영적 전쟁을 싸울 때 당신은 누구에게 도움을 청할 수 있습니까?
당신은 어떤 영적 갑옷을 입겠습니까?
사랑하는 예수님, 주님의 권능은 보이든 보이지 않든 그 어떤 세력보다도 강합니다. 오늘 제 안에 주님의 임재와 권능의 역사가 필요합니다.
Daily Article
07/06/2024 Saturday
OUR ARMOR IN CHRIST
As believers in Christ, we wage war with unseen forces of evil (2 CORINTHIANS 10:3-6). But we’ve been given weapons to fight our spiritual battles. They aren’t the weapons of the world, however. On the contrary, we’ve been given “divine power to demolish strongholds” (V. 4). What does that mean? “Strongholds” are wellbuilt, secure places. Our God-given arms include “weapons of righteousness in the right hand for attack and the left hand for defense” (6:7 NLT). Ephesians 6:13-18 expands the list of things that help protect us, including the Scriptures, faith, salvation, prayer, and the support of other believers. When faced with forces bigger and stronger than us, appropriating these munitions can make the difference between standing and stumbling.
God also uses counselors and other professionals to help those who struggle with forces too big to tackle alone. The good news is that in and through Jesus, we needn’t surrender when we struggle. We have the armor of God!
- ARTHUR JACKSON
Today's Reading
2 CORINTHIANS 10:3-6The weapons we fight with are not the weapons of the world.
[ 2 CORINTHIANS 10:4 ]
Who might you reach out to for support in your personal struggle? What spiritual armor will you put on?
Dear Jesus, You’re more powerful than any force—seen or unseen. I need Your presence and power to be at work in me today.
오늘의 말씀
07/05/2024 금요일
하나님과의 씨름
야곱의 삶은 한마디로 험난했습니다. 그는 형 에서를 속여 장자권을 뺐었습니다. 집을 도망쳐 나온 그는 오랫동안 외삼촌이자 장인인 라반 밑에서 힘들게 일했습니다. 이후 라반을 피해 도망쳐 홀로 남겨진 그는 에서를 만나기가 두려웠습니다. 그때 “하나님의 사자들이 그를 만나는”(창세기 32:1) 하늘의 경험을 하게 됩니다. 그 일은 이전에 그가 하나님으로부터 받은 꿈 (28:10-22)을 상기시켜 주었습니다. 이제 야곱은 인간의 형상을 입은 하나님인 어떤 “사람”과 밤새도록 씨름을 하는 또 다른 경험을 하게 되는데, 그 “사람”은 야곱이 “하나님과 및 사람들과 겨루어 이겼기”(32:28) 때문에 그에게 이스라엘이라는 새 이름을 주었습니다. 하나님은 험난한 여정 내내 야곱과 함께 하셨고 그를 사랑하셨습니다.
우리도 모두 어려움을 겪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혼자가 아니며, 각 시련 중에 하나님께서 함께 하십니다. 하나님을 믿는 자는 사랑받고 용서받고 약속된 영생을 얻게 됩니다(요한복음 3:16). 우리는 하나님을 굳게 붙들어야 합니다.
오늘의 성구
창세기 32:22-32야곱은 홀로 남았더니 어떤 사람이 날이 새도록 야곱과 씨름하다가
[창세기 32:24]
하나님과 씨름한 적이 있습니까? 하나님께서 시련 중에 당신과 함께 하신다는 사실이 어떻게 위로가 됩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저의 모든 고민과 문제를 들으시는 하나님께 그것들을 가져갑니다. 언젠가는 제 문제들이 더 이상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을 압니다.
Daily Article
07/05/2024 Friday
GRAPPLING WITH GOD
Jacob’s life was characterized by struggle. He connived to get his brother Esau’s birthright. He fled home and struggled for years with his kinsman and father-in-law, Laban. Then he fled Laban. He was alone and afraid to meet Esau. Yet he’d just had a heavenly encounter: “The angels of God met him” (GENESIS 32:1), perhaps a reminder of his earlier dream from God (28:10-22). Now Jacob had another encounter: all night he wrestled with a “man,” God in human form, who renamed him Israel, because he “struggled with God and with humans and [overcame]” (32:28). God was with and loved Jacob despite and through it all.
All of us have struggles. But we’re not alone; God is with us in each trial. Those who believe in Him are loved, forgiven, and promised eternal life (JOHN 3:16). We can hold fast to Him.
- ALYSON KIEDA
Today's Reading
GENESIS 32:22-32So Jacob was left alone, and a man wrestled with him till daybreak.
[ GENESIS 32:24 ]
When have you wrestled with God? How is it comforting to know He’s with you in your struggles?
Dear God, please help me to bring my questions and troubles to You knowing You hear them. One day my questions will be no more.
오늘의 말씀
07/04/2024 목요일
하늘에 계신 아버지께 알리기
얼마나 성취했든, 나이가 몇 살이든, 우리는 “잘 했어!”라는 격려의 말을 들으려고 부모님께 전화를 걸고 싶어 합니다. 아무리 큰 성공을 거두었을 지라도 우리는 언제나 그들의 아들이요 딸입니다.
안타깝게도 누구나 육신의 부모와 이런 관계를 맺고 있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예수님을 통해 우리는 모두 하나님을 아버지로 삼을 수 있습니다. 우리는 “자녀로 삼으시는 영을 받았기”(로마서 8:15, 새번역) 때문에, 그리스도를 따르는 우리는 하나님의 가족이 되었습니다. 이제 우리는 “하나님의 상속자요 그리스도와 함께 한 상속자”(17절)입니다. 우리는 종의 신분으로 하나님께 말하는 것이 아니라, 예수님이 마지막 절박한 순간에 쓰셨던 “아빠 아버지” (15절; 마가복음 14:36 참조)라는 친근한 이름을 우리도 이제 자유롭게 쓸 수 있습니다.
당신에게 어떤 일이 있습니까? 아니면 필요한 것이 있습니까? 당신의 영원한 집에 계시는 하나님께 알리시기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로마서 8:12-21우리가 [성령님을 통해] 아빠 아버지라고 부르짖느니라
[로마서 8:15]
육신의 부모님께 알리고 싶은 어떤 일이나 필요한 것이 있습니까?
하늘에 계신 아버지께 무엇을 말씀드리겠습니까? 하나님은 듣고 계십니다.
은혜로우신 하나님 아버지, 기도를 통해 언제나 하나님께 알릴 수 있게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7/04/2024 Thursday
CALLING OUR HEAVENLY FATHER
No matter how accomplished, no matter how old, we yearn to call our parents. To hear their affirming words, “Well done!” We may be wildly successful, but we’ll always be their son or daughter.
Sadly, not everyone has this kind of relationship with their earthly parents. But through Jesus, we all can have God as our Father. We who follow Christ are brought into the family of God, for “the Spirit you received brought about your adoption to sonship” (ROMANS 8:15). We’re now “heirs of God and co-heirs with Christ” (V. 17). We don’t speak to God as a slave but now have the freedom to use the intimate name Jesus used in His hour of desperate need, “Abba, Father” (V. 15; SEE ALSO MARK 14:36).
Do you have news? Do you have needs? Call the one who is your eternal home.
- MIKE WITTMER
Today's Reading
ROMANS 8:12-21By [the Spirit] we cry, “Abba, Father.”
[ ROMANS 8:15 ]
What news or needs would you love to share with your earthly parents?
What can you tell your heavenly Father? He’s listening.
Gracious Father, thank You for being the one to whom I can call on in prayer anytime.
오늘의 말씀
07/03/2024 수요일
인생을 바꿔 주는 하나님의 선물
하나님은 그의 백성들에게 성경을 읽고 암송하고 어느 구절인지 기억하는 것 이상의 능력을 더해 주십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말씀을 “지켜” 삶으로써 “행실을 깨끗하게” 할 수 있게 하십니다(시편 119:9). 그리고 변치 않는 진리의 말씀으로 우리를 죄에서 해방시켜 변화시키시고, 우리가 하나님을 찾고 순종하기를 바라십니다(10-11절). 우리는 성경말씀을 이해하고 하나님을 알아갈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매일 하나님께 간구할 수 있습니다(12-13절).
하나님의 방식대로 사는 삶의 귀중한 가치를 깨달을 때, 우리는 “모든 재물을 즐거워함” 같이 그분의 가르침을 “즐거워할” 수 있습니다(14-15절). 시편 기자처럼 우리도 이렇게 찬양할 수 있습니다. “주의 율례들을 즐거워하며 주의 말씀을 잊지 아니하리이다”(16절). 우리에게 능력 주시는 성령님을 우리 안에 모실 때, 우리는 하나님이 주신 인생을 바꾸는 선물인 성경을 기도하는 마음으로 읽으며 매 순간 즐거이 음미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19:9-20주의 율례들을 즐거워하며 주의 말씀을 잊지 아니하리이다
[시편 119:16]
당신은 성경공부를 위해 얼마나 노력하십니까? 말씀을 기쁘게 받아들일 때 순종의 부르심을 깨닫는 관점이 어떻게 변화될 수 있을까요?
사랑의 하나님, 저의 삶 속에서 주님의 지혜와 권위에 순종할 힘을 주시고, 귀한 말씀을 기쁨으로 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7/03/2024 Wednesday
GOD’S LIFE-CHANGING GIFT
God empowers His people to go beyond reading, reciting, and remembering where to find Bible verses. He enables us to “stay on the path of purity” by living “according to” the Scriptures (PSALM 119:9). God wants us to seek and obey Him as He uses His unchanging truth to free us from sin and change us (VV. 10-11). We can ask God daily to help us know Him and understand what He says in the Bible (VV. 12-13).
When we recognize the priceless value of living God’s way, we can “rejoice” in His instruction “as one rejoices in great riches” (VV. 14-15). Like the psalmist, we can sing, “I delight in your decrees; I will not neglect your word” (V. 16). As we invite the Holy Spirit to empower us, we can savor each moment spent prayerfully reading the Bible—God’s life-changing gift to us.
-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P SA LM 119:9-20I delight in your decrees; I will not neglect your word.
[ PSALM 119:16 ]
How do you invest in studying the Scriptures? How can delighting in them change your perspective on God’s call to obey Him?
Loving God, please help me rejoice over the priceless words of Scripture as You empower me to submit to Your wisdom and authority in my life.
오늘의 말씀
07/02/2024 화요일
초막절 야영
아버지는 가나 북부 지역의 선교사였고, 모든 것을 가르침의 순간으로 만드는 타고난 은사가 있었습니다. 캠핑 때도 예외는 아니었습니다.
하나님도 야영을 통해 그분의 백성들을 가르치셨습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일년에 한 번, 일주일간 “종려나무 가지와 무성한 나무 가지와 시내 버들”(레위기 23:40)로 만든 초막에서 지내야 했습니다. 거기에는 두 가지 목적이 있었습니다. 하나님은 말씀하셨습니다. “이스라엘에서 난 자는 다 초막에 거주할지니 이는 내가 이스라엘 자손을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내던 때에 초막에 거주하게 한 줄을 너희 대대로 알게 함이니라”(42-43절). 하지만 그것은 또한 축제이기도 했습니다. “너희의 하나님 여호와 앞에서 이레 동안 즐거워할 것이라”(40절).
누군가에게는 야영이 즐겁지 않을 수도 있겠지만,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하나님의 선하심을 즐겁게 기억할 수 있도록 일주일 간의 야영 기간을 정하셨습니다. 우리는 명절이 갖는 참 의미를 쉽게 잊어버립니다. 우리의 축제는 사랑의 하나님의 성품을 떠올릴 수 있는 즐거운 행사들이 될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즐거움도 창조하셨습니다.
오늘의 성구
레위기 23:33-43너희의 하나님 앞에서 이레 동안 즐거워할 것이라
[레위기 23:40]
당신이 가장 좋아하는 명절은 무엇입니까? 왜 그렇습니까?
그날을 기념함으로써 어떻게 하나님의 선하심을 떠올릴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의 창조물과 하나님의 축제를 통해 즐거움을 주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7/02/2024 Tuesday
A NATIONAL CAMPOUT
Dad was a missionary to Ghana’s Upper Region, and he had a knack for turning everything into a teaching moment. Camping was no exception.
God used campouts as a teaching point for His people too. Once a year, for an entire week, the Israelites were to live in shelters made of “branches from luxuriant trees—from palms, willows and other leafy trees” (LEVITICUS 23:40). The purpose was twofold. God told them, “All native-born Israelites are to live in such shelters so your descendants will know that I had the Israelites live in temporary shelters when I brought them out of Egypt” (VV. 42-43). But the event was also to be festive. “Rejoice before the Lord your God for seven days” (V. 40).
Camping may not be your idea of fun, but God instituted a one-week campout for the Israelites as a joyful way to recall His goodness. We easily forget the meaning at the heart of our holidays. Our festivals can be joyous reminders of the character of our loving God. He created fun too.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L EVITICUS 23:33-43Rejoice before the Lord your God for seven days.
[ LEVITICUS 23:40 ]
What’s your favorite holiday and why?
How does celebrating it remind you of God’s goodness?
Father, thank You for the fun You’ve put in Your creation and in Your festivals.
오늘의 말씀
07/01/2024 월요일
기쁨으로 섬기기
우리는 해야 할 너무 많은 역할과 아주 복잡한 인간 관계 속에서, 바울 사도가 자주 권면한 것처럼 연합하여 서로를 세워주기보다는 서로의 환심을 사는 데에 쉽게 빠져듭니다. 바울은 에베소서 4장에서 이렇게 말합니다. “그가 어떤 사람은 사도로, 어떤 사람은 선지자로, 어떤 사람은 복음 전하는 자로, 어떤 사람은 목사와 교사로 삼으셨으니 이는 성도를 온전하게 하여 봉사의 일을 하게 하며 그리스도의 몸을 세우려 하심이라 우리가 다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 일에 하나가 되어”(11-13절). 또 15-16절에서 바울은 사람의 환심을 사려는 우리의 성향을 배제하고, 이 모든 은사는 “온 몸이... 자라고 사랑으로 그 몸을 세우도록” “사랑으로 진리를 말하는” 것으로 표현되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현대인의 성경).
예수님을 믿는 우리는 사람들을 세우고 하나님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그들을 섬깁니다. 우리가 사람들을 기쁘게 하든 그렇지 않든 상관없이, 하나님의 교회의 연합을 이루기 위해 그분이 우리를 통해 일하실 때 우리는 하나님을 기쁘시게 할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4:11-16오직 사랑 안에서 참된 것을 하여 범사에 그에게까지 자랄지라 그는 머리니 곧 그리스도라
[에베소서 4:15]
당신은 누구를 기쁘게 하기 위해 일합니까?
하나님의 거룩한 임재가 어떻게 당신의 말을 인도할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형제자매들에게 사랑 안에서 참된 것을 말함으로 하나님을 기쁘시게 해 드리길 원합니다.
Daily Article
07/01/2024 Monday
SERVING AT THE PLEASURE
In so many of our roles and relationships we slip into peoplepleasing mode rather than building up each other in unity, as the apostle Paul often urged. In Ephesians 4, Paul wrote, “Christ himself gave the apostles, the prophets, the evangelists, the pastors and teachers, to equip his people for works of service, so that the body of Christ may be built up until we all reach unity in the faith” (VV. 11-13). In verses 15-16, Paul cut through our peoplepleasing tendencies, stressing that these gifts should be expressed by “speaking the truth in love” so that “the whole body . . . grows and builds itself up in love.”
As believers in Jesus, we serve people to build them up and to accomplish God’s purposes. Whether or not we please others, we’ll please God as He works through us to create unity in His church.
- ELISA MORGAN
Today's Reading
EPHESIANS 4:11-16Speaking the truth in love, we will grow to become in every respect the mature body of him who is the head, that is, Christ.
[ EPHESIANS 4:15 ]
Who do you serve to please?
How might God’s higher presence direct your words?
Dear God, I want to please You by speaking the truth in love to my brothers and sisters.
